KR102547743B1 - 데크 및 플로어 설치 공법 - Google Patents

데크 및 플로어 설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743B1
KR102547743B1 KR1020210133688A KR20210133688A KR102547743B1 KR 102547743 B1 KR102547743 B1 KR 102547743B1 KR 1020210133688 A KR1020210133688 A KR 1020210133688A KR 20210133688 A KR20210133688 A KR 20210133688A KR 102547743 B1 KR102547743 B1 KR 102547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portion
fastening
joist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0608A (ko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우드
Priority to KR102021013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7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5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 및 플로어 설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및 플로어 설치공법은, 시공이 이루어지는 바닥면에 점착 패드(pad)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점착 패드상의 하부 본체부와 상기 하부 본체부의 일측에서 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되는 상부 본체부로 구성된 하부틀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상부 본체부상에 형성된 체결부(112)의 고리부에 바 형태의 장선을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장선상에 타 부재와의 접착을 위한 고무 패드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크 및 플로어 설치 공법{Method for Installing Deck and Floor}
본 발명은 데크 및 플로어 설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플로어링재의 시스템마루틀이나 데크(deck) 분야에서의 페데스탈 시스템을 도입한 하부틀의 단점을 보완하여 플로어링 시공과 데크 시공의 양쪽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데크 및 플로어 설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물질의 영향을 많이 받는 반도체 소자 등을 제조하는 산업시설이나 고가의 컴퓨터 등을 이용한 제어가 이루어지는 전산실 등에는, 해당 장비 등이 이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클린룸이 설치되고, 클린룸은 각종 장비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연결관이 통과하는 통로 공간 확보를 위하여 바닥면이 억세스플로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억세스플로어는 기초바닥면에 위치된 페데스탈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실내 체육관의 경우에도 이러한 페데스탈과 유사한 하부틀을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종래에는 플로어링재 즉 바닥재의 시스템마루틀이라는 이름으로 유사 제품이 판매되고 있고, 데크 분야에도 페데스탈 시스템을 도입한 하부틀이 존재한다. 마루 바닥재는 건축물의 바닥에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진 건축자재이다. 데크재는 주로 고급 주택 데크재용으로 사용되며 벽체나 내부 마감용으로 애용되고 있다.
그런데 플로어링에 사용되는 시스템마루틀은 대부분 철제로 무겁고 높이조절은 단순한 작업으로 진행할 수 있지만, 고정력이 약해 충격이 반복적으로 일어날 경우 풀림현상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플로어링이 설치된 후 플로어링재의 변형에 의해 마루널 전체가 배부름 현상으로 올라오게 되면 기존 제품들은 조임이 풀리거나 바닥과의 고정력이 약해 같이 들떠 올라오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데크 하부틀은 보통 포스트(post)를 설치하고 데크를 판상재로 제작해 위에 얹는 방식으로 실내나 구석진 공간에서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72555호(2007.10.2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11902호(2015.04.0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12457호(2015.04.0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56329호(2013.04.1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26758호(2014.07.30)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플로어링재의 시스템마루틀이나 데크 분야에서의 페데스탈 시스템을 도입한 하부틀의 단점을 보완하여 플로어링 시공과 데크 시공의 양쪽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데크 및 플로어 설치 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및 플로어 설치공법은, 시공이 이루어지는 바닥면에 점착 패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점착 패드상의 하부 본체부(120)와 상기 하부 본체부의 일측에서 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되는 상부 본체부(110)로 구성된 하부틀(100)의 높이를 조절하되, 상기 상부 본체부(110)의 제2 측벽 프레임의 외벽에 제2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나사산(113a) 부분을 상기 하부 본체부(120)의 제1 측벽 프레임의 내벽에 제1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나사산(122a)이 없는 상기 제1 간격 부분에 높이에 맞춰 삽입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나사산이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하여 체결하는 단계, 상기 상부 본체부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 중 상기 제1 체결부의 내벽의 하측에 형성되는 홈부(112c)로 장선(400)의 일측 돌기부(421)을 체결하고, 상기 제2 체결부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리부(112b)로 상기 장선의 타측 돌기부(421)를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장선상에 타 부재와의 완충을 위한 고무 패드(900)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 패드와 접촉하는 상기 하부 본체부의 하면에는 수막현상 방지 및 접착력 증가를 위해 벌집 모양의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의 내벽 상측에 형성된 제1 나사 홀(111a)에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장선을 상기 하부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 패드를 구비하는 단계는, 양면이 평탄한 형태의 고무 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본체부의 측벽 프레임(122)과 접촉하는 상기 상부 본체부의 상측 프레임(113)에 형성되는 제2 나사 홀(111b)에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상부 본체부와 상기 하부 본체부의 풀림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하부에 나사산을 형성한 소켓부(130)를 상기 상부 본체부와 상기 하부 본체부의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본체부에서 상기 바닥면에 접촉하는 바닥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홀(121a)을 통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결합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재 및 플로어링재의 하부틀은, 바닥면에 접촉하는 바닥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측벽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벽 프레임의 내벽에는 제1 간격을 두고 제1 나사산이 복수개 형성되는 하부 본체부; 및 바(bar) 형태의 장선이 체결되는 체결부를 상면에 구비하는 상측 프레임과, 상기 상측 프레임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측벽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벽 프레임의 외벽에는 제2 간격을 두고 제2 나사산이 복수개 형성되는 상부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본체부와 상기 하부 본체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본체부의 상기 제2 나사산 부분을 상기 하부 본체부의 상기 제1 간격 부분에 삽입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나사산이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이 상기 제2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나사산은 각각 4개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의 내벽에는 상기 내벽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하측으로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수직면을 갖는 내벽과, 상기 장선에 제1 나사를 체결하기 위한 제1 나사 홀; 및 상기 장선의 장축 방향으로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체결하도록 상기 수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프레임에는 바닥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프레임의 하면에는 벌집 모양의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 프레임의 외벽에는 측방하중에 의한 상기 하부 본체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손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에서 상기 장선과 맞닿는 부분에는 복수의 상측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상기 제1 측벽 프레임에 제2 나사를 고정하기 위한 제2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틀은 상기 하부 본체부와 상기 상부 본체부의 사이에 끼워져 높이를 연장하는 소켓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의 외벽에는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3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의 내벽에는 상기 제2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4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이 간단하고, 고정작업도 단순하며 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닥과 제품간 접착을 통해 제품이 들뜨지 않고 돌림 방식의 높이조절이 아니어서 고정이 풀리지 않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공에 사용되는 전용 장선이 아니어도 목재 및 각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규격의 장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도의 소켓을 사용하여 필요한 만큼 높이를 증가시키고 전용 장선을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데크 시공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부 바닥면에 벌집 모양의 공간을 두어 바닥 접착시 수막 현상이 없으며, 압축하여 접착될 경우 접착력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의 장선을 결합하는 경우 수막 현상을 막아주고 수분 이탈을 도모하여 백화 현장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삼각 구조의 옆면 지지대를 통해 측방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상부 본체부의 외부 및 내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하부 본체부의 외부 및 내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하부틀에 결합되는 장선의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복수의 장선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하부틀의 변형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및 플로어 설치공법의 흐름도,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S720 단계를 그림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부 본체부의 외부 및 내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하부 본체부의 외부 및 내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틀(100)은 데크재 및 플로어링재의 하부틀로서,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는 플라스틱 등의 폴리(poly)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며, 재생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는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재질과 제조 방법 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컨대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고, 금속 재질의 외부에 폴리 계열의 재질을 코팅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사산을 상정한 관계로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를 원형의 형태로 형성하고 있지만, 만약 사각 형상으로 본체부를 각각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가 벽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나사산과 유사한 골 혹은 홈을 따라 슬라이드 형태로 결합된 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특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나사산을 사용하느냐, 슬라이드 형태로 형성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본체부(110)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한 형태, 더 정확하게는 하부 본체부(120)의 바닥 프레임(121)에 대하여 수평한 상측 프레임(혹은 제1 프레임)(111)과, 상측 프레임(111)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일측에서 바(bar) 형태의 목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의 장선이 체결되는 체결부(112), 그리고 상측 프레임(1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바닥면을 향해 형성되는 측벽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상측 프레임(110)은 중앙 부위에 체결부(112)를 형성하고 있으며, 체결부(112)는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형성한다.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삼각 지지대의 모양을 띠고 있지만, 이는 제조비 등의 측면을 고려한 것일 뿐 사각형상을 띠어도 무관하다. 그 중앙 부위는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때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삼각 기둥의 형태를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 체결부의 내벽과 제2 체결부의 내벽은 평탄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평탄한 구조로 인해 상측에서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사이에 장선이 체결될 때 매끈한 면을 따라 쉽게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112)의 제1 체결부의 수직면을 갖는 내벽에는 하측에 홈부(112c)를 형성하고 있고, 제2 체결부의 내벽에는 갈고리 형태의 고리(112b)가 형성된다. 홈부(112c)의 높이와 고리(112b)에 의해 외부로 개방되는 공간의 높이는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선의 양측에서 장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기부의 높이와 일치한다. 높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mm로 형성하지만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체결부(112)에 장선이 체결되는 경우 일측의 돌기부가 홈부(112c)에 체결되고, 타측의 돌기부가 고리(112c)에 체결됨으로써 견고한 결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장선을 결합부(112)로부터 해제시에도 고리(112b)를 눌러 분리시킴으로써 시공 작업이 용이하다. 상측 프레임(110)은 지름이 대략 140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112b)는 제2 체결부의 내벽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하측으로 구부러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측에서 장선이 체결될 때, 장선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에 체결됨으로써 한번 체결된 장선은 체결부(112)로부터 쉽게 이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 체결부의 내벽에는 나사(screw)를 체결하기 위한 제1 나사홀(112a)이 형성된다. 따라서 바 형상의 장선은 일측면이 제2 체결부의 고리(112b)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면은 제1 체결부의 제1 나사홀(112a)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장선과 하부틀(110)이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제1 체결부의 내벽 하부에 형성되는 홈부(112c)도 이에 일조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부 본체부(110)의 상측 프레임(111)상에는 가령 목재 재질의 장선뿐 아니라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의 장선이 체결될 때, 가령 알루미늄 장선의 경우 백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된다. 금속 재질의 장선에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선이 체결될 때 장선과 맞닿는 하부의 상측 프레임(111) 부분에는 복수의 상측 관통홀(111a)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측 관통홀(111a)을 관통홈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측 관통홀(111a)은 장선과 결합시 수막 현상을 막아주고, 수분 이탈을 도모하여 알루미늄 등의 백화 현상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4개의 상측 관통홀(111a)을 보여주고 있다. 일측과 타측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측 프레임(111)의 일측에는 상부 본체부(110)를 하부 본체부(120)와 견고히 결합시키기 위한 제2 나사홀(111b)을 더 포함한다. 더 정확하게는 제2 나사홀(111b)의 나사 고정을 통해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의 조임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는 서로의 측벽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서로 체결되어 높이를 조절하게 되지만, 이 나사산의 결합 이외에도 제2 나사홀(111b)을 통해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의 결합을 견고히 한다.
상측 프레임(111)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 프레임(113)은 하부 본체부(120)의 측벽 프레임(122)이 제1 측벽 프레임이라 명명될 때 제2 측벽 프레임이라 명명될 수 있으며, 하부 본체부(120)의 측벽 프레임(122)이 제2 측벽 프레임으로 명명되면 제1 측벽 프레임이라 명명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본체부(110)의 측벽 프레임(113)의 외벽에는 제2 간격을 두고 4개의 영역에 외부로 형성되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2 간격은 나사산이 형성되는 영역과 영역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물론 측벽 프레임(113)의 측벽 영역을 수직한 방향으로 8분할하여 4개의 영역에 외부로 형성되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의 나사산 또한 하부 본체부(120)의 나사산이 제1 나사산으로 명명되는 경우 제2 나사산이라 명명되며, 하부 본체부(110)의 나사산이 제2 나사산으로 명명되는 경우 제1 나사산이라 명명된다. 측벽 프레임(113)상에 나사산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있지만, 전(체)면에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만, 제조비용을 고려하거나 측방하중에 의한 제품의 파손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영역에 나사산을 형성하였고, 이는 얼마든지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이러한 나사산의 영역을 구분하여 형성하는 것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본체부(120)에 형성되는 나사산과의 체결과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다시 말해, 측벽 프레임(113)상의 나사산이 없는 오목한 부위(즉, 제2 간격 부분)를 하부 본체부(120)의 볼록한 나사산 영역에 원하는 높이만큼 삽입되도록 한 후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원하는 높이에서 체결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이러한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체결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이러한 나사산의 구조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하부 본체부(120)는 상부 본체부(110)와 나사산을 통해 결합하며, 바닥면과 접촉하고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형성되는 바닥(혹은 하부) 프레임(121), 그리고 바닥 프레임(121)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 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측벽 프레임(122)은 제1 측벽 프레임 또는 제2 측벽 프레임이라 명명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21)의 하면에는 바닥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하부 바닥면에 대하여 벌집 모양의 공간을 두어 바닥 접착시 수막 현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압축하여 접착될 경우 접착력이 증가되도록 접촉부(121b)를 포함한다. 또한, 바닥 프레임(121)은 중앙 부위에 바닥 관통홀(121a)을 포함한다. 바닥 관통홀(121a)을 통해 하부 본체부(12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바닥 프레임(121)은 지름이 대략 140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가 완전하게 잠긴 상태에서의 상측 프레임(111)과 바닥 프레임(121)의 높이는 두께를 제외한 내부 높이가 대략 55mm 정도가 될 수 있다. 체결부(112)의 높이는 상측 프레임(110)의 두께(예: 5mm)를 제외하면 23mm 정도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틀(100)의 설치 즉 시공시에 바닥에는 별도의 점착 부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하부틀(100)과는 별도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하부 본체부(120)의 접촉부(121b)와는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바닥 프레임(121)의 벌집 모양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점착 부재의 위에 하부틀(100)을 설치하면 벌집 모양으로 인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촉부(121b)는 바닥 프레임(121)의 제조시, 더 정확하게는 하부 본체부(120)의 제조시 벌집 모양을 본체와 일체화하여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측벽 프레임(122)은 내벽에 형성되는 나사산부(122a)와 외벽에 형성되어 측방하중에 의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파손 방지부(122b)가 형성된다. 나사산부(122a)는 제1 나사산 또는 제2 나사산을 형성한다. 파손 방지부(122b)는 외벽에 삼각 구조의 형태로 옆면 지지대를 형성한다.
도 3에서 볼 때 내벽에는 제1 간격을 두고 4개의 영역에 나사산부(12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간격은 나사산부(122a)가 형성되는 영역과 영역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나사산부(122a)는 상부 본체부(110)의 제2 간격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물론 상부 본체부(110)의 외벽 영역을 수직한 방향으로 8분할하여 4개의 영역에 외부로 형성되는 나사산부을 형성하는 경우 하부 본체부(120)의 나사산부도 이와 대칭되도록 내벽을 수직 방향으로 8분할하여 4개의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각 나사산부(122a)는 내벽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주변 가령 좌우의 오목 영역(즉, 제1 간격 부분)으로 삽입되는 상부 본체부(110)의 나사산부와 회전시 서로 맞물리면서 체결되고 이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측벽의 상측 부위에는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홀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볼 때, 상부 본체부(110)의 나사산의 폭이 하부 본체부(120)의 나사산의 폭보다 크게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는 하부 본체부(120)의 제1 간격이 상부 본체부(110)의 제2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것은 체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사용 중 충격으로 조금씩 돌아가더라도 체결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시공 경험에 근거하여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높이 조절에 고정작업도 단순하고 종래 대비 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바닥과 제품간 접착을 통해 들뜨지 않고 돌림방식의 높이조절이 아니어서 고정이 풀리지 않는다. 이외에도 측방하중에 의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벌집모양의 공간을 두어 바닥 접착시 수막현상을 없애도 압축하여 접착될 경우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하부틀에 결합되는 장선의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로 절단한 일부를 보여주며, 도 5는 복수의 장선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선(400)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재 재질의 장선으로서, 중앙 부위에 중공을 형성하는 파이프와 같은 형태의 메인 바디부(420)와, 메인 바디부(420)의 좌우측으로 각각 상하로 형성되는 바 형상의 제1 돌기부(421)와, 메인 바디부(420)의 상측에서 좌우로 각각 형성되는 바 형상의 제2 돌기부(4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바디부(420)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더 정확하게는 양측 외벽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1 돌기부(421)는 도 1 및 도 2에서 볼 때 체결부(112)로 삽입되어 제1 체결부의 내벽 하측에 형성된 홈부(112c)와, 제2 체결부의 고리부(112b)에 의해 체결된다. 이에 따라 하부틀(100)과 장선(400)의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물론 앞서 언급한 대로 제1 체결부의 내벽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장선(400)의 체결을 좀더 견고히 할 수 있다. 제1 돌기부(421)의 높이 및 너비는 제1 체결부의 내벽 하측에 형성된 홈부(112c)와, 제2 체결부의 고리부(112b)의 높이와 관계된다. 가령, 3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장선(400)의 좌측 제1 돌기부(421)가 좌측 즉 제1 체결부의 하단에 형성된 홈부(112c)에 삽입되고, 장선(400)의 우측 제1 돌기부(421)는 제2 체결부의 탄성이 있는 고리부(112b)를 지나 하단의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는 클릭방식이라 명명될 수 있다. 탄성이 있는 고리부(112b)를 압박하면서 체결되므로 가령 목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장선(400)이 어느 정도 고정되고, 여기에 나사를 체결하면 더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실내와 실외, 가령 실내 체육관 등의 다양한 장소의 바닥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틀(100)을 설치하고, 또 하부틀(100)의 상측에 장선(400)을 통해 인접하는 하부틀(100)과 결합시킴으로써 장선(400)의 상측으로 데크재나 플로어링 즉 바닥재를 마감하기 위한 기초를 마무리할 수 있다.
도 4에서 볼 때, 메인 바디부(4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돌기부(422)의 사이에는 고무 패드가 구성될 수 있다. 고무 패드를 구비한 후 그 상측에 합판, 그리고 합판상에 바닥재 등을 마감함으로써 시공을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장선(4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 다른 장선(400)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500)를 보여준다. 물론 커넥터(500)는 도 4의 메인 바디부(420)의 내부 중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견고한 체결을 위해 외부면으로 복수의 돌기부들을 형성한다. 또한 커넥터(500)는 제1 장선의 일측과 제2 장선의 일측이 서로 연결될 때 서로 균등한 영역을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영역 분리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균등한 영역을 할당함으로써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영역 분리부(520)를 기준으로 제1 장선의 메인 바디부(420)의 내부 중공으로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부(510)의 외측으로는 상하좌우로 돌기부(511)를 형성하고 있고, 제2 장선의 메인 바디부(420)의 내부 중공으로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부(510)의 외측으로도 상하좌우의 돌기부(511)를 형성한다. 커넥터(500)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들에 의해 견고히 체결되어 바닥면에 구성되는 하부틀(100)과 하부틀(100)의 상측에 체결되는 장선(400)의 전반적인 체결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550)는 커넥터 바디부(510)의 외벽, 상하좌우로 돌기부(511)를 2개씩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것은 시공 경험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6은 도 1의 하부틀의 변형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틀(600)은 도 1의 하부틀(100)에서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의 사이에 체결되는 소켓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의 체결만으로는 시공시 원하는 높이를 형성할 수 없을 때, 소켓부(130)를 그 사이에 끼워 원하는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소켓부(130)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 도 1에서의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의 측벽의 높이를 높이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만, 이의 경우에는 제품 제조 단가가 높아질 수 있고, 오히려 시공의 확정성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측벽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고 소켓부(130)를 체결하는 것이 시공의 확장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소켓부(130)는 하부 프레임(132)의 외벽에는 나사산(132a)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프레임(131)의 내벽에는 나사산(131a)이 내측벽에서 중앙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32)의 나사산(132a)은 하부 본체부(120)의 나사산(122a)과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131)의 나사산(131a)은 상부 본체부(110)의 나사산(113a)과 맞물리도록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만일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의 나사산(113a, 122a)이 8분할했을 때 4개의 분할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 소켓부(130)도 상부 프레임(131)의 내측에서 내벽을 수직 방향으로 8분할했을 때 4개의 분할 영역에 나사산(131a)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 프레임(132)의 외측에서도 마찬가지로 8분할했을 때 4개의 분할 영역에 나사산(132a)을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부 본체부(110) 및 하부 본체부(120)와 소켓부(13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려는 것이므로, 앞서 언급한 대로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의 나사산 체결 방식이 변경되는 경우 소켓부(130)의 구조가 변경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의 구성 결과, 하부틀(600)의 시공시 도 1과 관련해 언급한 효과 이외에도 원하는 높이 확장이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를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하지만, 소켓부(130)만을 금속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거치 안정성 등을 확보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시공 현장의 특성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및 플로어 설치공법의 흐름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7의 S720 단계를 그림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 내지 도 9를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및 플로어 설치공법을 위하여 먼저 점착 패드를 바닥면에 설치한다(S700). 여기서 바닥면은 실내나 실외의 콘크리트 바닥일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어 점착 패드상에 도 1 내지 도 3에서의 하부틀(100)을 설치한다(S710).
하부틀(100)의 바닥 프레임(121)의 하면에는 벌집 모양의 공간을 갖는 접촉부(121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점착 패드와 접착시 수막 현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압축하여 접착될 경우 접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하부틀(100)은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가령 높이의 확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소켓부(130)를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의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부 본체부(110)와 하부 본체부(120)는 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이를 조절하여 하부틀(10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확장이 필요한 경우 소켓부(130)를 사용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하부틀(100)의 상측에는 도 4에서와 같은 알루미늄 등의 장선(400)을 설치하고, 장선(400)의 상측에 고무 패드를 부착한다(S720). 고무 패드의 하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장선(400)과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접착력을 높인다. 물론, 고무 패드의 상측 또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무 패드는 합판과 같은 타 부재와의 완충 또는 접착력(혹은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좀더 살펴보면, 장선(400)을 하부틀(100)의 체결부(112)에 체결할 때 장선(40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421)를 먼저 홈부(112c)에 체결한 후 타측의 돌기부(421)를 고리부(112b)를 따라 누르면서 미끄러지듯 체결하여 가령 클립(혹은 클릭) 형태의 고리부(112b)에 의해 타측의 돌기부(421)가 상측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물론 장선(400)을 체결부(112)로부터 해제하는 경우에는 고리부(112b)를 눌러 타측의 돌기부421)를 뺀 후 장선(400)의 일측 돌기부(421)를 홈부(112c)에서 뺀다. 체결 단계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장선(400)을 하부틀(110)의 체결부(112)에 체결한 후 제1 체결부상에 형성된 제1 나사 홀(112a)을 통해 나사로 장선(400)을 고정시킴으로써 장선(400)과 하부틀(100)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고 마무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단계에서 장선(400)은 체결부(112)의 고리부(112b)의 탄성에 의해 어느 정도 고정되어 있으므로 나사 결합을 생략할 수도 있다.
하부틀(100)과 장선(400)을 사용함으로써 실내 체육관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 시공을 할 때 구석진 모서리 부분에서의 시공을 좀더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경사진 곳에서의 높이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페데스탈에 설치되는 바닥 타일을 절단하는 작업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초래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장선(400)을 이용한 시공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
또한, 고무 패드(900)가 부착된 후의 장선(400)의 상측으로는 합판을 설치한다(S730). 장선(400)에 합판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나사 고정 작업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합판을 예시하고 있지만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 합판의 상측에는 플로링재 즉 바닥재로 마감하여 시공을 종료한다(S740). 바닥재는 건축물의 바닥에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진 건축자재이다. 다양한 플로링재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시공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상부 본체부 111: 상측 프레임
112: 체결부 113: 제2 측벽 프레임
120: 하부 본체부 121: 바닥 프레임(또는 하부 프레임)
122: 제1 측벽 프레임 130: 소켓부

Claims (7)

  1. 시공이 이루어지는 바닥면에 점착 패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점착 패드상의 하부 본체부와 상기 하부 본체부의 일측에서 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되는 상부 본체부로 구성된 하부틀의 높이를 조절하되, 상기 상부 본체부의 제2 측벽 프레임의 외벽에 제2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나사산 부분을 상기 하부 본체부의 제1 측벽 프레임의 내벽에 제1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나사산이 없는 상기 제1 간격 부분에 높이에 맞춰 삽입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나사산이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하여 체결하는 단계;
    상기 상부 본체부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 중 상기 제1 체결부의 내벽의 하측에 형성되는 홈부로 장선의 일측 돌기부을 체결하고, 상기 제2 체결부의 내벽에 형성되는 탄성을 가진 고리부로 상기 장선의 타측 돌기부를 클릭 방식으로 체결하는 단계;
    상기 장선상에 타 부재와의 완충을 위한 고무 패드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본체부의 상측 프레임에서 상기 장선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상측 관통홀과, 상기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 사이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관통 부분과, 상기 하부 본체부에서 상기 바닥면에 접촉하는 바닥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바닥 관통홀을 통해 상기 상부 본체부와 상기 하부 본체부의 결합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로어 설치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패드와 접촉하는 상기 하부 본체부의 하면에는 수막현상 방지 및 접착력 증가를 위해 벌집 모양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플로어 설치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의 내벽 상측에 형성된 제1 나사 홀에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장선을 상기 하부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로어 설치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패드를 구비하는 단계는,
    양면이 평탄한 형태의 고무 패드를 사용하는 플로어 설치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부의 측벽 프레임과 접촉하는 상기 상부 본체부의 상측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 나사 홀에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상부 본체부와 상기 하부 본체부의 풀림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로어 설치공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에 나사산을 형성한 소켓부를 상기 상부 본체부와 상기 하부 본체부의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로어 설치공법.
  7. 삭제
KR1020210133688A 2021-10-08 2021-10-08 데크 및 플로어 설치 공법 KR102547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688A KR102547743B1 (ko) 2021-10-08 2021-10-08 데크 및 플로어 설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688A KR102547743B1 (ko) 2021-10-08 2021-10-08 데크 및 플로어 설치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608A KR20230050608A (ko) 2023-04-17
KR102547743B1 true KR102547743B1 (ko) 2023-06-29

Family

ID=8613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688A KR102547743B1 (ko) 2021-10-08 2021-10-08 데크 및 플로어 설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7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138A (ja) * 1999-06-09 2000-12-19 Ichijyo Home Building Co Ltd 床 束
US20040035064A1 (en) * 2000-05-19 2004-02-26 Kugler William E. Non-threaded apparatus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elevation of a building surface
KR100772555B1 (ko) * 2007-03-22 2007-11-01 (주)화석엔지니어링 높낮이 조절 폭이 향상된 건축용 나사형 페데스탈
KR101136098B1 (ko) * 2011-08-12 2012-04-17 박태복 이중마루용 알루미늄 지지장치
KR102097339B1 (ko) * 2019-05-28 2020-05-26 제경주 데크 받침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5672A3 (fr) * 2003-09-05 2005-07-05 Buzon Pedestal Internat S A Plancher.
KR100704250B1 (ko) * 2005-06-15 2007-04-06 피티엘중공업 주식회사 이중 바닥재의 지지대 및 그의 제조 방법과 그 지지대의사용 방법
KR101256329B1 (ko) 2012-03-06 2013-04-18 양호준 방진고무와 후레임에 의한 마루틀의 설치공법
KR101426758B1 (ko) 2013-07-08 2014-08-05 김상현 마루바닥 시공장치
KR101511902B1 (ko) 2014-02-05 2015-04-13 박정익 페데스탈 및 클린룸의 플로어 시스템
KR101512457B1 (ko) 2014-03-19 2015-04-16 박정익 페데스탈 및 클린룸 플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138A (ja) * 1999-06-09 2000-12-19 Ichijyo Home Building Co Ltd 床 束
US20040035064A1 (en) * 2000-05-19 2004-02-26 Kugler William E. Non-threaded apparatus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elevation of a building surface
KR100772555B1 (ko) * 2007-03-22 2007-11-01 (주)화석엔지니어링 높낮이 조절 폭이 향상된 건축용 나사형 페데스탈
KR101136098B1 (ko) * 2011-08-12 2012-04-17 박태복 이중마루용 알루미늄 지지장치
KR102097339B1 (ko) * 2019-05-28 2020-05-26 제경주 데크 받침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608A (ko)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9992B2 (en) Precision height adjustable flooring substrate support sytem
JP2707397B2 (ja) 床パネル支持脚および二重床
US8622169B2 (en)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KR102547743B1 (ko) 데크 및 플로어 설치 공법
KR102547751B1 (ko) 데크재 및 플로어링재의 하부틀
US10829941B2 (en) Flooring support system
US10815673B2 (en) Flooring support system
US10801215B2 (en) Flooring support system
US11002023B2 (en) Flooring support system
GB2477210A (en) An access flooring system with acoustic attenuating support pedestals
US9359775B2 (en) Substructure for supporting a wood flooring and flo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A1215811A (en) Panel assembly and a method of installing same
US10947739B2 (en) Flooring support system
GB2417503A (en) Floor supports, e.g. to improve soundproofing
WO1998023824A1 (en) Serviceable open floor system
GB2363401A (en) Stackable building component
US10815678B2 (en) Flooring support system
JP7022930B2 (ja) 壁下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壁下地施工方法
JP6877099B2 (ja) 遮音床構造
JP6679135B2 (ja) 乾式二重床構造、乾式二重床構造の構築方法、及び連結材
JP2895015B2 (ja) きわ根太集成体
JP5297340B2 (ja) 床構造
JP3211904U (ja) 防振部材及び二重床構造
US20200190826A1 (en) Flooring Support System
JPS63472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