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621B1 -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621B1
KR102547621B1 KR1020200166162A KR20200166162A KR102547621B1 KR 102547621 B1 KR102547621 B1 KR 102547621B1 KR 1020200166162 A KR1020200166162 A KR 1020200166162A KR 20200166162 A KR20200166162 A KR 20200166162A KR 102547621 B1 KR102547621 B1 KR 102547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cover
slide plate
content
fron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339A (ko
Inventor
이은경
정성우
박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66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6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전면 커버 역할을 하는 전면 홀더 커버와; 전면부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가 결합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뒤쪽으로 돌출 이동하여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부에 닿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홀더 커버 안쪽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시키기 위한 밴드가 상기 전면 홀더 커버 중간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PORTABLE DEVICE FOR CONTENTS USE}
본 발명은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VR 콘텐츠와 같이 영상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
가상현실은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인공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넓은 의미로 보면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등의 시뮬레이션, 세컨드 라이프 등의 게임과 같은 시각매체 역시 가상현실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가상현실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하는데, 이때 만들어진 가상의(상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은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며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을 하게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몰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들, 예를 들어 VR 헤드셋 등이 도입된 것이다.
즉, VR 콘텐츠 이용자들은 VR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VR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가상의 현실을 만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VR용 장치들의 경우 휴대성만을 강조한 나머지 외부와 완벽하게 차폐시키지 못하거나 또는 VR 몰입만을 강조한 나머지 휴대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형태를 갖는 것들뿐이고, 또한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VR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VR 장치의 경우 스마트폰 장착시 중앙 정렬이 용이하지 않아 VR 콘텐츠 이용중에 수시로 스마트폰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이에 대한 해결이 요망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7-010240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콘텐츠(예를 들어 VR 콘텐츠) 몰입도를 향상시키고,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장착이 용이한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전면 커버 역할을 하는 전면 홀더 커버와; 전면부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가 결합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뒤쪽으로 돌출 이동하여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부에 닿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홀더 커버 안쪽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시키기 위한 밴드가 상기 전면 홀더 커버 중간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후면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 좌우 양쪽과 결합하고, 상기 바디를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밀착하도록 하는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내부 중앙 양쪽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소정의 초점거리를 두고서 볼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렌즈와; 후면부 바깥쪽에 형성되어 콘텐츠 이용시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닿고, 보관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내부로 접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페이스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가이드 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외부면에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내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하는 레일 결합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에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일단에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외력에 의해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된 경우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의 걸림부와 걸림 결합하는 후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외부로 돌출된 조작부가 구비된 누름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에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 결합 돌출부는 피니언 기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 프레임 내측 가이드 레일의 랙기어어와 치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이 결합 돌출부 내부에는 상기 누름 버튼이 눌림에 따라 상기 누름 버튼의 후크가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 걸림부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후방으로 자동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 홀더 커버 안쪽 하단에는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 홀더 커버 안쪽면 중 상기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 밴드에 대응되는 위치 일부에는 상기 밴드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보조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 중앙 일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정렬 관통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 커버 양쪽에는 금속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중 상기 후면 커버의 금속 후크와 맞닿는 위치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 홀더 커버는 전방을 향하는 전방 커버와; 상기 전방 커버와 결합하고 후방을 향하는 후방 커버와; 상기 전방 커버와 후방 커버 사이에 내장된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 커버와 상기 후방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면에는 상기 방열판에 의한 열기가 방출되는 방출홈이 적어도 한 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커버와 맞닿는 상기 방열판의 후면에는 복수 개의 방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각 방열 돌기의 돌출 끝단면에는 좌우방향으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 돌기는 격자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방열 돌기들은 공기 흐름 형성을 위해 서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은 2 개가 양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 돌기가 형성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좌우 길이보다 더 좁은 좌우 길이를 갖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의 상단부 좌우측에는 열기 배출 가속을 위한 가속 단턱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VR 콘텐츠 이용시 몰입도 향상을 위한 밀폐 구조를 가지면서도, VR 콘텐츠를 이용하지 않을 때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여 VR 콘텐츠 이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VR 콘텐츠를 표시하는 스마트폰의 장착시 중앙 정렬이 용이하여 신속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 VR 콘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터치 방식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특히, 전면 홀더 커버 내에 방열판을 내장함으로써, 장착된 스마트폰 등에서 발산되는 열을 신속히 방출시켜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내의 렌즈 등에 습기가 서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전면 홀더 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12는 도 1의 바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 1의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에 장착한 상탤글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의 후면 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의 외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고, 도 2는 도 1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는 전면 홀더 커버(100), 바디(200), 후면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이러한 각각의 주요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 홀더 커버(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또한 전면 커버 역할을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전면 홀더 커버(100)과 바디(200) 간에는 요철 결합/끼움 결합 등을 위한 구조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는 전면 홀더 커버(100)와 바디(200)가 힌지 결합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면 홀더 커버(100)는 바디(200)와 완전히 분리되었다가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예를 들어 시청용 콘텐츠가 표시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VR(Virtual Reality) 콘텐츠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다음으로 바디(200)는 상술한 전면 홀더 커버(100)이 전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고, 콘텐츠 이용자가 상술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콘텐츠 이용자가 안면에 착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밴드(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면 커버(300)는 바디(200)의 후단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콘텐츠 이용자가 콘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의 후면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후면 커버(300)와 바디(200) 간에는 요철 결합/끼움 결합 등을 위한 구조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는데, 참고로 후면 커버(300)의 구조의 일 예는 도 14에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주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에는 전면 홀더 커버(100)의 세부 구성도가 나타나 있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홀더 커버(100)의 안쪽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시키기 위한 밴드(12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밴드(120)는 전면 홀더 커버(100) 중간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전면 홀더 커버(100)에 밴드(12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이해를 돕기 위해 이러한 전면 홀더 커버(100)에서 밴드(12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면 홀더 커버(100)에는 보조홈(140)과 지지 돌기(130)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보조홈(140)은 전면 홀더 커버(100) 안쪽면 중 상술한 밴드(120)에 대응되는 위치 일부에 형성되는 홈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장착시에 밴드(120)를 들어올리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보조홈(140)은 밴드(120)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b)에는 밴드(120)가 안착되도록 하는 세로 방향의 보조홈(140)이 형성되고, 그 중 중간부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120) 폭 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밴드(120)를 들어올릴 때 용이하도록 한 예가 도시되었다.
또한 지지 돌기(13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경우 이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전면 홀더 커버(100)에는 힌지 결합부(150)가 더 구비되어 바디에 구비된 홈에 끼워진채로 힌지 구조에 의해 전면 홀더 커버(10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눕혀질 수도 있고, 또는 도 1과 같이 바디(200)와의 결합시에 수직으로 세워질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힌지 결합부(150)가 바디(200)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 결합부(150)는 바디(200) 내부와 연결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힌지 결합부의 기둥 부분(150)은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디(200) 내부로 깊이 들어가고,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장착하기 위해 전면 홀더 커버(100)를 개방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전면 홀더 커버(100)에 장착한 경우에는 바디(200) 내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빠져 나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도 4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면 홀더 커버(100)에 밴드(120)를 통해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여기서 밴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따라 늘어날 수 있는 패브릭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120) 중앙 일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정렬 관통홈(121)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이 정렬 관통홈(121)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VR 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중앙 정렬 표시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경우 콘텐츠 이용자는 그 중앙 정렬 표시가 상술한 정렬 관통홈(121)을 통해 보이는 위치에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콘텐츠 이용자는 VR 콘텐츠 이용시 중앙 정렬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면 홀더 커버(100)에는 바디(200)와 추가적인 결합을 위해 상단 걸림부(1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단 걸림부(110)에는 끼움 결합을 위한 걸림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디(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바디(200)의 상단에는 상술한 전면 홀더 커버(100)의 상단 걸림부(110)에 형성된 걸림홈(110)과의 결합을 위한 걸림돌기(20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201)에는 추가 머리 밴드(500)가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특히, 바디(200)는 외부 프레임(210)과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외부 프레임(210)은 그 전면부에 전면 홀더 커버(100)가 결합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프레임(210)의 전면부에는 상술한 전면 홀더 커버(100)의 지지 돌기(130)가 삽입되는 끼움 결합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즉, 전면 홀더 커버(100)를 바디(200)와 완전히 결합하는 경우에는 지지 돌기(130)가 바디(200)의 끼움 결합 홈(212)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는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외부 프레임(210)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에는 전면 홀더 커버(10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통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통공에는 소정의 렌즈(229)가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는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뒤쪽으로 돌출 이동하여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부에 닿아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VR 콘텐츠 이용을 위한 초점거리를 확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삽입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5는 도 1에서 바디(200)의 뒷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있던 후면 커버(300)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 좌우 양쪽과 결합하고 바디(200)를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밀착하도록 머리 뒤쪽으로 착용하도록 하는 머리 밴드(230) 역시 보관시에는 바디(200) 내부로 들어가 있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는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의 상태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었다.
편의상 도 6에서는 콘텐츠 이용자 머리 뒤쪽으로 착용하도록 하는 머리 밴드(230)를 제거하였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면 홀더 커버(10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6(a)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6(b)는 VR 시청을 위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중앙 양쪽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10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소정의 초점거리를 두고서 볼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렌즈(229)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후면부 바깥쪽에는 콘텐츠 이용시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닿는 페이스폼(22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페이스폼(221)은 보관시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내부로 접히는 소재(일 예로 스펀지와 러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페이스폼이(221) 접혀 있는 상태가 도 5이고, 펼쳐져 있는 상태가 도 6이다.
그리고 페이스폼(221)이 펼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외부에 돌출된 소정의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도 6(b)과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으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슬라이딩 돌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처럼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가이드 레일(215)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바깥쪽 위치에 레일 결합 돌출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즉,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15)은 소정의 홈에 해당할 수 있고,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바깥쪽에 형성된 레일 결합 돌출부(225)는 이러한 홈에 삽입된 채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특히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에는 걸림부(214)가 구비되고,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이러한 걸림부(214)와 결합 또는 해제되는 후크(224)를 포함하는 누름 버튼(222)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7과 도 8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즉,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바디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안착된 도 7(a) 상태의 단면을 살펴보면 도 7(b)과 같다.
즉, 도 7(b)를 살펴보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에는 누름 버튼(222)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누름 버튼(222)의 일단에는 후크 구조(224)가 형성되어 있어서 바디 외부 프레임(210)의 걸림부(214)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즉, 누름 버튼(222)의 일단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력에 의해 외부 프레임(210)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된 경우 외부 프레임(210) 내부의 걸림부(214)와 걸림 결합하는 후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로 돌출된 조작부(2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22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참고로 도 9에서는 편의상 페이스폼(221)은 제거한 상태이다.
콘텐츠 이용이 종료되어 콘텐츠 이용자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바디 외부 프레임(210) 내부로 집어넣는 경우에는 후크 구조에 의해 외부 프레임(210)의 걸림부(214)에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누름 버튼(223)의 끝단 후크가 걸리게 되고, 사용자가 콘텐츠 이용을 위해 누름 버튼(222)의 조작부(223)를 누르는 경우 누름 버튼(222)의 끝단 후크(224)는 외부 프레임(210)의 걸림부(214)와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는 사용자가 누름 버튼(222)의 조작부(223)를 누르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 결합이 해제되면서 자동으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로 돌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일 예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었다.
도 10(a)에는 외부 프레임(210)의 내측 가이드 레일(215)의 일 측면에 랙기어가 형성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레일 결합 돌출부(225)가 피니언 기어 형태로 구성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도 10(a)에서도 편의상 페이스폼(221)과 머리끈(230)은 제거하였다.
즉, 슬라이드 플레이트(22)의 레일 결합 돌출부(225)와 외부 프레임 내측 가이드 레일(215)은 기어 구조에 의해 도 10b와 같이 상호 치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레일 결합 돌출부(225) 내부에는 누름 버튼의 조작부(223)가 사용자에 의해 눌림에 따라 누름 버튼의 후크(224)가 외부 프레임 내부 걸림부(214)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경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후방으로 자동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결합 돌출부(225)는 외부 케이스(228)와 이러한 외부 케이스(228)내에 삽입되고 그 단이 외부 케이스(228)에 고정되는 태엽형식의 탄성 스프링(227)고, 탄성 스프링(227)의 타단과 결합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기어부(2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1과 같은 태엽 구조에 의해 레일 결합 돌출부(225)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력에 의해 외부 프레임(210) 안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경우에는 태엽 형태의 탄성 스프링이 감기어 강한 탄성력을 갖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와 외부 프레임(210) 간의 후크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탄성 스프링(227)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기어부(226)의 회전이 유발되고, 결국 자동으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으로부터 슬라이딩 돌출 이동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2에는 바디(200)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제거한 외부 프레임(210)의 안쪽면을 도시하였는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210)에는 콘텐츠 시청을 위한 통공(219)과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215, 216)이 구비되고, 특히 상술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피니언 기어에 대응되는 특정 가이드 레일(215)에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3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전면 홀더 커버(100)에 결합한 후, 이를 바디에 장착한 상태가 도시되었다.
한편, 후면 커버(30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프레임(210)의 후면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함으로써,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의 후면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후면 커버(300)와 전면 홀더 커버(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석을, 다른 하나에는 금속재를 포함시키거나, 또는 후면 커버(300)와 전면 홀더 커버(100) 둘 다 자석을 포함시킴으로써, 콘텐츠 이용 중에는 후면 커버(300)를 전면 홀더 커버(100)에 자력에 의해 부착시킬 수도 있다.
특히 후면 커버(300) 안쪽의 양측면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를 포함한 후크(3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이러한 금속재 후크(310)에 대응되는 외부 프레임(210)의 위치에 자석(미 도시함)이 구비되는 경우 자력에 의해 후면 커버(300)가 바디(200)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면 홀더 커버(100)에 대해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장착되도록 하는 구조 및 그 기능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전면 홀더 커버(100)는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히 배출하는 구조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전면 홀더 커버(1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커버(160), 후방 커버(170), 및 방열판(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커버(160)는 전방을 향하는 커버이고, 후방 커버(170)는 이러한 전방 커버(160)와 결합되고 후방을 향하는 것으로서, 후방 커버(170)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밴드(120)의 안착을 위한 보조홈(1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 커버(160)와 후방 커버(170) 사이, 즉 전방 커버(160)와 후방 커버(17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는 방열판(180)이 구비될 수 있다.
방열판(180)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한 개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에에서는 양안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한 개씩, 총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러한 방열판(180)이 외부로 열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전방 커버(160)와 후방 커버(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면에는 상기 방열판(180)에 의한 열기가 방출되는 방출홈(171)이 적어도 한 개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방열판(180)이 두 개로 구성되는 경우, 그 각각의 방열판(180)의 위치에 각각 방출홈(17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커버(170)에 이러한 방출홈(171)이 형성된 것을 일 예로 한다.
도 16에는 방열판(180)이 후방 커버(17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후방 커버(170)에 맞닿는 방열판(180)의 후면에는 독특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의 일 예가 도 17 내지 19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커버(170)와 맞닿는 방열판(180)의 후면에는 복수 개의 방열 돌기(181)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방열 돌기(181)들 전체는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 돌기(181)들은 공기 흐름 형성을 위해 서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는데, 각 방열 돌기(181)들 간의 좌우 간격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방열 돌기(181)들 간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열기 통로(186)는 가열된 공기들의 원할한 흐름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특히 각 방열 돌기(181)의 돌출 끝단면에는 좌우방향으로 단턱(182, 18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열 방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구조이다.
즉, 단턱(182, 183) 중 최상단면(182)는 디스플레이 장치(400)(특히 그 배터리)에서 발산되는 열을 최대한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단턱(182, 183) 중 두 번째 차상단면(183)은 상술한 열기 통로(186)와 함께 열기의 원할한 흐름 형성을 유도함은 물론이고 방열판(180)이 흡수한 열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차상단면(183)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보다 신속한 열 방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방열판(18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180_a)와, 배출부(180_b, 180_c)로 구분될 수 있는데, 여기서 몸통부(180_a)는 방열 돌기(181)가 형성된 부분이고, 배출부는 이러한 몸통부(180_a)의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몸통부(180_a)의 좌우 길이보다 더 좁은 좌우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통부(180_a)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고 이를 다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몸통부(180_a) 특히 그 몸통부(180_a)의 방열 돌기(181)에 의해 방출되는 열기들은 상부로 이동하여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런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의 끝단은 후방 커버(170)의 방출홈(171)과 연결되는데, 방출홈(171)의 크기 또는 폭이 너무 큰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어 방열판(180)의 기능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열을 흡수하는 기능을 주로 하는 몸통부(180_a)는 폭이 넓도록 구성하고, 실제 열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는 배출부의 폭은 몸통부(180_a)보다 좁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디자인 측면과, 상술한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측면 이외에도, 실제 열방출 효과 측면에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는데 기여한다.
특히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180_a) 상단에 배출부가 2단으로 구성되어 그 중 하단부(180_b)는 몸통부(180_a)보다 더 폭이 좁도록 구성되고, 상단부(180_c)는 그러한 하단부(180_b)보다 더 폭이 좁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출부를 하단부의 폭으로 유지하면서 일체화한 경우 또는 상단부(180_c)의 폭으로 유지하면서 일체화한 경우보다 열 방출 효과가 더 커지게 된다.
즉, 도 18에서 t1>t2>t3의 관계식이 성립하는 것이다.
또한 배출부의 상단부 좌우측에는 열기 배출 가속을 위한 가속 단턱 돌기(18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가속 단턱 돌기(185)가 없는 경우보다 열 배출 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가속 단턱 돌기(184)에 의해 중앙에 열기 최종 배출 통로(184)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열기 최종 배출 통로(184)를 가속 단턱 돌기(185)에 의해 중앙에 좁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열기 배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참고로 도 19는 도 18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이러한 구조에 의해 실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후면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전면 홀더 커버(100) 내의 방열판(180)에 흡수된 후에 다시 방출홈(17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 :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100 : 전면 홀더 커버
200 : 바디 300 : 후면 커버

Claims (17)

  1. 디스플레이 장치가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전면 커버 역할을 하는 전면 홀더 커버와;
    전면부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가 결합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뒤쪽으로 돌출 이동하여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부에 닿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 홀더 커버 안쪽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시키기 위한 밴드가 상기 전면 홀더 커버 중간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밴드 중앙 일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정렬 관통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후면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좌우 양쪽과 결합하고, 상기 바디를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밀착하도록 하는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내부 중앙 양쪽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소정의 초점거리를 두고서 볼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렌즈와;
    후면부 바깥쪽에 형성되어 콘텐츠 이용시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닿고, 보관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내부로 접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페이스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가이드 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외부면에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내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하는 레일 결합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에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일단에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외력에 의해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된 경우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의 걸림부와 걸림 결합하는 후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외부로 돌출된 조작부가 구비된 누름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에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 결합 돌출부는 피니언 기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 프레임 내측 가이드 레일의 랙기어어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이 결합 돌출부 내부에는 상기 누름 버튼이 눌림에 따라 상기 누름 버튼의 후크가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 걸림부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후방으로 자동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홀더 커버 안쪽 하단에는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 홀더 커버 안쪽면 중 상기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 밴드에 대응되는 위치 일부에는 상기 밴드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보조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10. 삭제
  11. 제2항에 있어서,
    후면 커버 양쪽에는 금속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중 상기 후면 커버의 금속 후크와 맞닿는 위치에는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홀더 커버는 전방을 향하는 전방 커버와; 상기 전방 커버와 결합하고 후방을 향하는 후방 커버와; 상기 전방 커버와 후방 커버 사이에 내장된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 커버와 상기 후방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면에는 상기 방열판에 의한 열기가 방출되는 방출홈이 적어도 한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커버와 맞닿는 상기 방열판의 후면에는 복수 개의 방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각 방열 돌기의 돌출 끝단면에는 좌우방향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돌기는 격자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방열 돌기들은 공기 흐름 형성을 위해 서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2 개가 양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 돌기가 형성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좌우 길이보다 더 좁은 좌우 길이를 갖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상단부 좌우측에는 열기 배출 가속을 위한 가속 단턱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KR1020200166162A 2020-12-02 2020-12-02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KR102547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62A KR102547621B1 (ko) 2020-12-02 2020-12-02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62A KR102547621B1 (ko) 2020-12-02 2020-12-02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339A KR20220077339A (ko) 2022-06-09
KR102547621B1 true KR102547621B1 (ko) 2023-06-26

Family

ID=8198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162A KR102547621B1 (ko) 2020-12-02 2020-12-02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6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1536A (ja) * 2007-09-12 2009-04-02 Sharp Corp スライド式携帯端末
KR101307073B1 (ko) * 2013-02-28 2013-09-11 정선희 충전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50253574A1 (en) 2014-03-10 2015-09-10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Modular and Convertible Virtual Reality Headse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2405A (ko) 2016-03-01 2017-09-11 (주)비트스페이스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hmd기반 vr시스템 구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내스포츠 트레이닝센터
KR20170003621U (ko) * 2016-04-11 2017-10-19 최태민 Nfc 카드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20190108727A (ko) * 2018-03-15 2019-09-25 민상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1536A (ja) * 2007-09-12 2009-04-02 Sharp Corp スライド式携帯端末
KR101307073B1 (ko) * 2013-02-28 2013-09-11 정선희 충전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50253574A1 (en) 2014-03-10 2015-09-10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Modular and Convertible Virtual Reality Headse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339A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94231U (zh) 虚拟现实眼镜
US9869874B2 (en)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CA2934987A1 (en) Stereoscopic viewing of an image on a body supported computer
CN204462542U (zh) 一种虚拟现实头盔
CN204013703U (zh) 一种用于手机的立体图像浏览装置
CN204967946U (zh) 一种以手机作为显示屏的虚拟现实装置
CN205281020U (zh) 一种便携式可调焦vr保护壳
KR102547621B1 (ko)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CN104111537B (zh) 3d电影手机观看装置
CN205910422U (zh) 一种多功能虚拟现实眼镜
CN105717642A (zh) 便携式虚拟现实眼镜
CN209358617U (zh) 防摔钢化手机壳
CN207611201U (zh) 一种vr头戴设备壳体
KR102407999B1 (ko)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CN106773070A (zh) 一种便携式vr眼镜
CN205826959U (zh) 一种新型vr眼镜
CN205620614U (zh) 一种虚拟现实移动观影装置
CN108828775A (zh) 一种可散热vr眼镜架
KR20210136735A (ko)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전면 홀더 커버
WO2017177450A1 (zh) 一种3d眼镜帽
CN107390368B (zh) 一种vr眼镜
CN205750127U (zh) 一种手机用3d眼镜
CN205581415U (zh) 便携式虚拟现实眼镜
CN106681007A (zh) 一种vr眼镜头套装置
CN205899154U (zh) 一种可拆卸的虚拟现实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