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735A -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전면 홀더 커버 - Google Patents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전면 홀더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735A
KR20210136735A KR1020200055416A KR20200055416A KR20210136735A KR 20210136735 A KR20210136735 A KR 20210136735A KR 1020200055416 A KR1020200055416 A KR 1020200055416A KR 20200055416 A KR20200055416 A KR 20200055416A KR 20210136735 A KR20210136735 A KR 20210136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ent
slide plate
outer frame
fron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경
김정근
진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5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735A/ko
Publication of KR2021013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positioning of the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전면 홀더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에서 전면 커버 역할을 하는 전면 홀더 커버는, 전면 커버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버와의 사이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내부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시청용 통공이 형성된 제2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는 상하에 각각 탄성력 있는 재질의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전면 홀더 커버{PORTABLE DEVICE FOR CONTENTS USE AND FRONT HOLDER COVER COMPRISED IN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전면 홀더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VR 콘텐츠와 같이 영상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전면 홀더 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
가상현실은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인공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넓은 의미로 보면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등의 시뮬레이션, 세컨드 라이프 등의 게임과 같은 시각매체 역시 가상현실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가상현실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하는데, 이때 만들어진 가상의(상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은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며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을 하게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몰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들, 예를 들어 VR 헤드셋 등이 도입된 것이다.
즉, VR 콘텐츠 이용자들은 VR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VR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가상의 현실을 만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VR용 장치들의 경우 휴대성만을 강조한 나머지 외부와 완벽하게 차폐시키지 못하거나 또는 VR 몰입만을 강조한 나머지 휴대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형태를 갖는 것들뿐이고, 또한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VR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VR 장치의 경우 스마트폰 장착시 중앙 정렬이 용이하지 않아 VR 콘텐츠 이용중에 수시로 스마트폰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이에 대한 해결이 요망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7-010240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콘텐츠(예를 들어 VR 콘텐츠) 몰입도를 향상시키고,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장착시 중앙 정렬이 용이한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전면 홀더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의 전면 커버 역할을 하는 전면 홀더 커버는, 전면 커버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버와의 사이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내부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시청용 통공이 형성된 제2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는 상하에 각각 탄성력 있는 재질의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커버에는 콘텐츠 이용자 양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시청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버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2 커버의 시청용 통공에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닿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커버의 시청용 통공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관통홈이 적어도 한 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면 홀더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는, 전면부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가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뒤쪽으로 돌출 이동하여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부에 닿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후면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 좌우 양쪽과 결합하고, 상기 바디를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밀착하도록 하는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내부 중앙 양쪽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소정의 초점거리를 두고서 볼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렌즈와; 후면부 바깥쪽에 형성되어 콘텐츠 이용시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닿고, 보관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내부로 접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페이스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가이드 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외부면에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내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하는 레일 결합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 후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전단부에는 탄성 작용에 의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콘텐츠 이용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외력에 의해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드 고정용 스프링 후크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전단부에는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돌출 이동시 상하좌우 뒤틀림을 방지하는 4개 이상의 뒤틀림 방지 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VR 콘텐츠 이용시 몰입도 향상을 위한 밀폐 구조를 가지면서도, VR 콘텐츠를 이용하지 않을 때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여 VR 콘텐츠 이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VR 콘텐츠를 표시하는 스마트폰의 장착시 중앙 정렬이 용이하여 신속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 VR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내부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빼 내는 경우 뒤틀림 방지 밴드가 외부 프레임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간에 연결되어 있어서 슬라이딩 이동상의 뒤틀림을 방지하여, 자칫 뒤틀림에 의해 좌우 양안과 디스플레이 장치까지의 거리가 오차로 인해 VR 콘텐츠 이용시 어지러움을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면 홀더 커버의 세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전면 홀더 커버에 디스플레이 장치(스마트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후면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바디의 외부 프레임으로부터 뒤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바디의 외부 프레임의 상세 구조도이고,
도 10 내지 도 11은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세 구조도이고,
도 12는 콘텐츠 이용을 위해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빼 낸 상태에서 뒤틀림 방지 밴드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콘텐츠 이용이 종료된 후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외부 프레임 내부로 삽입함에 따라 뒤틀림 방지 밴드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후면 커버를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내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홀더 커버를 포함하는 전체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의 외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고, 도 2는 도 1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는 전면 홀더 커버(100), 바디(200), 후면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이러한 각각의 주요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 홀더 커버(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또한 전면 커버 역할을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예를 들어 시청용 콘텐츠가 표시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VR(Virtual Reality) 콘텐츠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다음으로 바디(200)는 상술한 전면 홀더 커버(100)가 전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고, 콘텐츠 이용자가 상술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콘텐츠 이용자가 안면에 착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밴드(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면 커버(300)는 바디(200)의 후단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콘텐츠 이용자가 콘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의 후면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후면 커버(300)와 바디(200) 간에는 요철 결합/끼움 결합 등을 위한 구조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주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 및 도 4에는 전면 홀더 커버(100)의 세부 구성도가 나타나 있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홀더 커버(100)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버(110)는 전면 커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콘텐츠를 이용하지 않고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를 휴대하는 경우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의 전면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뒷면(즉, 콘텐츠 표시 반대면)과 맞닿도록 구성된다.
제2 커버(120)는 제1 커버(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커버(110)와의 사이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내부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시청용 통공(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는 상하에 각각 탄성력 있는 재질의 연결부(1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예를 들어 연결부(13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일 예로 스마트폰)(400)가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 삽입될 때 연결부(130)는 늘어나게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 그 탄성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와 밀착하게 되어 움직임이 최소화 된다.
특히, 제2 커버(120)에는 콘텐츠 이용자 양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시청용 통공(121)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때 제1 커버(110)의 후면부에는 제2 커버(120)의 시청용 통공에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돌출부(111)가 형성되어,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뒷면과 맞닿아 마찰에 의해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크기가 비록 작더라도 최소한 콘텐츠 이용자 양안의 간격에 대응되는 크기 이상이기만 하면, 상술한 돌출부(111)가 돌출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밀어 냄으로써 앞서 설명한 연결부(130)의 탄성력과 맞물려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커버(120)의 시청용 통공 주변(바람직하게는 시청용 통공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정렬 관통홈(122)이 적어도 한 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가이드 정렬 관통홈(122)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VR 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중앙 정렬 표시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경우 콘텐츠 이용자는 그 중앙 정렬 표시가 상술한 제2 커버(120)의 정렬 관통홈(122)을 통해 보이는 위치에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콘텐츠 이용자는 VR 콘텐츠 이용시 중앙 정렬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커버(120)의 안쪽면에는 복수 개의 끼움 결합 돌기(123)가 형성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200)에 끼움 결합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바디(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바디(200)는 외부 프레임(210)과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외부 프레임(210)은 그 전면부에 전면 홀더 커버(100)가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프레임(210)의 전면부에는 상술한 전면 홀더 커버(100)의 끼움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끼움 결합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는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외부 프레임(210)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에는 전면 홀더 커버(10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통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통공에는 소정의 렌즈(221)가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는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뒤쪽으로 돌출 이동하여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부에 닿아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VR 콘텐츠 이용을 위한 초점거리를 확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삽입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5는 바디(200)의 뒷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있던 후면 커버(300)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 좌우 양쪽과 결합하고 바디(200)를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밀착하도록 머리 뒤쪽으로 착용하도록 하는 머리 밴드(230) 역시 보관시에는 바디(200) 내부로 들어가 있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는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 상태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었다.
편의상 도 6 및 도 7에서는 콘텐츠 이용자 머리 뒤쪽으로 착용하도록 하는 머리 밴드(230)를 제거하였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중앙 양쪽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10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소정의 초점거리를 두고서 볼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렌즈(221)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후면부 바깥쪽에는 콘텐츠 이용시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닿는 페이스폼(22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페이스폼은 보관시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내부로 접히는 소재(일 예로 스펀지와 러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페이스폼이(222) 접혀 있는 상태가 도 5이고, 펼쳐져 있는 상태가 도 6이다.
그리고 페이스폼(222)이 펼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상술한 밴드(230)를 이용하여 잡아당기면 도 7과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으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슬라이딩 돌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처럼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가이드 레일(213)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바깥쪽 위치에 레일 결합 돌출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13)은 소정의 홈에 해당할 수 있고,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바깥쪽에 형성된 레일 결합 돌출부(223)는 이러한 홈에 삽입된 채로 홈 주변의 턱에 의해 좌우 이동이 제한된 채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디(200)의 외부 프레임(210) 내부 후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214)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위치에는 슬라이드 고정용 스프링 후크(22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고정용 스프링 후크(224)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전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체(일 예로 판형 스프링)로서, 탄성 작용에 의해 걸림홈(214)에 삽입되어 콘텐츠 이용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외력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콘텐츠 이용을 위해 콘텐츠 이용자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잡아 빼게 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슬라이드 고정용 스프링 후크(224)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의 걸림홈(213)에 걸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약한 외력에 의해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안쪽으로 삽입 이동(보관을 위한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고, 슬라이드 고정용 스프링 후크(224)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강한 외력에 의해서만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로 삽입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콘텐츠 이용중에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렌즈(221)의 초점이 어긋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와 외부 프레임(210)은 서로 뒤틀림 방지 밴드(225)를 통해 연결되는데, 즉,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전단부에는 외부 프레임(210)과 각각 연결되고,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슬라이딩 돌출 이동시 상하좌우 뒤틀림을 방지하는 4개 이상의 뒤틀림 방지 밴드(225)가 구비될 수 있다.
뒤틀림 방지 밴드(225)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나 있는데, 도 12는 콘텐츠 이용을 위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외부 프레임(210)으로부터 잡아 뺀 상태에서의 뒤틀림 방지 밴드(225)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휴대를 위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외부 프레임(210) 안쪽으로 밀어 넣은 상태의 뒤틀림 방지 밴드(225)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뒤틀림 방지 밴드(225)는 콘텐츠 이용을 위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외부 프레임(210)로부터 잡아 빼내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골고루 발생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슬라이딩 이동 중에 상, 하, 좌, 우 한쪽 방향이 다른 쪽 방향보다 먼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후면 커버(30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상기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프레임(210)의 후면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함으로써,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의 후면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후면 커버(300)와 전면 홀더 커버(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석을, 다른 하나에는 금속재를 포함시키거나, 또는 후면 커버(300)와 전면 홀더 커버(100) 둘 다 자석을 포함시킴으로써, 콘텐츠 이용중에는 후면 커버(300)를 전면 홀더 커버(100)에 자력에 의해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후면 커버(300)가 전면 홀더 커버(100)에 부착되는 상태가 도 14에 나타나 있다.
즉, 도 14(a)의 상태에서 도 14(b)의 상태가 되도록 후면 커버(300)를 전면 홀더 커버(100)에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면 홀더 커버(100)가 후면 커버(30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는 후면 커버(300)가 없는 상태 즉, 전면 홀더 커버(100)와 바디(200)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평상시에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를 이용하지 않고 휴대하는 경우에는 전면 홀더 커버(100)를 후면 커버(300) 대용으로 즉, 바디(100)의 후면에 장착하여 컴팩트한 상태를 유지하고,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면 홀더 커버(100)를 바디(200)의 전면에 장착하여 VR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면 홀더 커버(100)에는 바디(200)의 후면에 장착하기 위한 결합 구조를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 :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100 : 전면 홀더 커버
200 : 바디 300 : 후면 커버
110 : 제1 커버 120 : 제2 커버
130 : 연결부 210 : 외부 프레임
220 : 슬라이드 플레이트 230 :밴드

Claims (10)

  1. 디스플레이 장치가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의 전면 커버 역할을 하는 전면 홀더 커버에 있어서,
    전면 커버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버와의 사이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내부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시청용 통공이 형성된 제2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는 상하에 각각 탄성력 있는 재질의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홀더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에는 콘텐츠 이용자 양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시청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버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2 커버의 시청용 통공에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닿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홀더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의 시청용 통공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관통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홀더 커버.
  4. 제1항 내지 제3항 어느 한 항의 전면 홀더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에 있어서,
    전면부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가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뒤쪽으로 돌출 이동하여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부에 닿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바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후면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좌우 양쪽과 결합하고, 상기 바디를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밀착하도록 하는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내부 중앙 양쪽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소정의 초점거리를 두고서 볼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렌즈와;
    후면부 바깥쪽에 형성되어 콘텐츠 이용시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닿고, 보관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내부로 접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페이스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가이드 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외부면에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내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하는 레일 결합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 후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전단부에는 탄성 작용에 의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콘텐츠 이용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외력에 의해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드 고정용 스프링 후크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전단부에는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돌출 이동시 상하좌우 뒤틀림을 방지하는 4개 이상의 뒤틀림 방지 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KR1020200055416A 2020-05-08 2020-05-08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전면 홀더 커버 KR20210136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416A KR20210136735A (ko) 2020-05-08 2020-05-08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전면 홀더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416A KR20210136735A (ko) 2020-05-08 2020-05-08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전면 홀더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735A true KR20210136735A (ko) 2021-11-17

Family

ID=7870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416A KR20210136735A (ko) 2020-05-08 2020-05-08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전면 홀더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67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2405A (ko) 2016-03-01 2017-09-11 (주)비트스페이스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hmd기반 vr시스템 구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내스포츠 트레이닝센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2405A (ko) 2016-03-01 2017-09-11 (주)비트스페이스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hmd기반 vr시스템 구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내스포츠 트레이닝센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874B2 (en)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CN204613517U (zh) 基于移动设备的头戴式显示装置
KR101419007B1 (ko)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US20150103152A1 (en) Head-mounted stereoscopic display
KR20140013676A (ko) 디스플레이 단말기 헤드마운트 장치
CN203870329U (zh) 基于移动设备的头戴式透镜放大显示装置
KR200467827Y1 (ko) 다용도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N203825300U (zh) 3d手机眼镜
KR101814883B1 (ko)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가상 실현 제공 장치
US20220369023A1 (en) Virtual reality headset with foldable head straps
CN109152456B (zh) 虚拟现实兼用手机套
CN204154982U (zh) 一种在大屏幕手机上使用的头戴式3d眼镜架子
US20170090208A1 (en) Compact stereoscopic viewing apparatus
CN206684384U (zh) 一种头戴式虚拟现实设备
CN105717642A (zh) 便携式虚拟现实眼镜
KR102407999B1 (ko)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KR20210136735A (ko)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전면 홀더 커버
CN106371220A (zh) 一种用于立体成像及视觉增强的智能眼镜
KR101850619B1 (ko) 휴대폰 고정 케이스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CN105700147A (zh) 紧凑型虚拟现实眼镜
CN205015556U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头戴式虚拟现实装置
CN203278946U (zh) 用于观看手机影像的装置
CN207611201U (zh) 一种vr头戴设备壳体
KR20170003621U (ko) Nfc 카드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102283026B1 (ko)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