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026B1 -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026B1
KR102283026B1 KR1020200034848A KR20200034848A KR102283026B1 KR 102283026 B1 KR102283026 B1 KR 102283026B1 KR 1020200034848 A KR1020200034848 A KR 1020200034848A KR 20200034848 A KR20200034848 A KR 20200034848A KR 102283026 B1 KR102283026 B1 KR 102283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smartphone
viewer device
us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상기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VR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뷰어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서,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클립 및 한 쌍의 렌즈를 포함하며, 메인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사용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탈착 및 휴대가 자유롭고, 사용자 이용시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가상현실(VR)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VIEWER DEVICE FOR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탈착 및 휴대가 자유롭고, 사용자 이용시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가상현실(VR)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HMD(Head mounted Display)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와 다르게 사용자의 눈앞에 직접적인 현실감을 느끼게 해주는 장치이다. 기술과 콘텐츠가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보다 현실감을 느낄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하려고 하고 이러한 요구로 인해서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구현하는 장치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HMD 시스템은 자체적으로 탑재된 Display가 존재하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예를 들어 TV, 비디오, 컴퓨터 등)와 연결되어 이용해야 한다. 또한, 현재까지는 HMD 시스템은 가격이 고가이고 휴대하면서 이용하기에는 크기나 크고 무거울 뿐 아니라 콘텐츠 제공 장치와의 연결 문제로 많은 제약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서 많은 사람이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는데,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은 단순히 전화, 문자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을 정도로 화면이 커지고 하드웨어 성능이 향상되었다.
영상 콘텐츠를 스마트폰으로 이용하는 추세가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가상현실을 구현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고정하여 VR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뷰어 디바이스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아울러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휴대성도 높일 수 있는 뷰어 디바이스에 관한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90869호(2012.08.1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탈착 및 휴대가 자유롭고, 사용자 이용시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가상현실(VR)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상기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VR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뷰어 디바이스로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클립; 및 한 쌍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사용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너 프레임에 결합되며, 접철됨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이너 프레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리프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렌즈는 상기 이너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이동홈; 및 상기 렌즈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사용자의 턱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벤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벤딩에 따라 사용자의 턱부분에 부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탈착 및 휴대가 자유롭고, 사용자 이용시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가상현실(VR)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가지면서 메인 프레임에 상하좌우로 형성된 클립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의 이너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의 사용자 이용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의 사시도로서,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는, 메인 프레임(110), 커버(120), 클립(130), 이너 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 및 커버(120)는 이너 프레임(15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메인 프레임(110)은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의 본체로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양측으로 개구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0)는 플레이트(plate) 형태로 메인 프레임(110)의 어느 하나의 개구부측에 형성되어, 개폐됨에 따라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커버(120)는 메인 프레임(110)에 힌지(hinge) 결합되며, 사용자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이용시에 오픈(open)되고, 이용 종료 또는 보관시 클로즈(close)되며 커버(120)와 메인 프레임(110)은 자력 또는 요입부/요철부 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의 후면도서, 도 3을 참고하면, 클립(130)은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마트폰(10)을 고정한다. 클립(130)은 커버(120)의 반대측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스마트폰(10)을 가압하여 스마트폰(10)을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시킨다. 이때, 스마트폰(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클립(130)은 상/하, 좌/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 가압시 스마트폰(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마트폰(10)과 접촉하는 부분에 고무 패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50)은 한 쌍의 렌즈(140)를 포함하며,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사용에 따라 메인 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5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양측으로 개구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50)의 내부 공간에는 한 쌍의 렌즈(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50)은 한 쌍의 렌즈(140)를 구비함과 동시에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사용시 사용자의 코 주위에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안정적 지지를 위해 코 형상에 대응하여 요홈되게 형성되는 받침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받침부(160)는 사용자의 코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사용시 디바이스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140)는 이너 프레임(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렌즈(140)를 통해 스마트폰(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VR 영상을 시청함으로써 VR을 체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의 이너 프레임(150)이 메인 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로서,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는 리프트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부(17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너 프레임(150)과 메인 프레임(110) 사이에 구비되어 일단이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이너 프레임(150)에 결합되며, 접철됨에 따라 메인 프레임(110)으로부터 이너 프레임(150)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트부(170)는 한 쌍의 리프트 바(171, 17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110)과 이너 프레임(150) 각각에 결합되는 한 쌍의 리프트 바(171, 173)가 힌지(hinge) 연결됨으로써 리프트부(170)가 접철될 수 있다.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미사용시에는 리프트부(170)가 접혀 이너 프레임(150)이 메인 프레임(110)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사용시에는 리프트부(170)가 펼쳐져 이너 프레임(150)이 메인 플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렌즈(140)는 이너 프레임(150)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두 눈간 거리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렌즈(140)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렌즈(140)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렌즈(140)는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의 이너 프레임(150)에 구비된 렌즈(140)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는 이동홈(151) 및 이동 블록(1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부분 확대도를 참고하면, 이동홈(151)은 이너 프레임(150)의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블록(141)은 한 쌍의 렌즈(140) 상/하 단부 각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동 블록(141)은 이동홈(151)에 삽입되어 이동홈(15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홈(151)에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어 이동 블록(14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때 스토퍼는 이동홈(151) 내측에 형성되는 경사를 가진 톱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렌즈(140) 및 이너 프레임(150)에 구비되는 이동 구조에 의해 렌즈(14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편의 및 VR 체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는 벨트(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벨트(180)는 메인 프레임(110)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메인 프레임(110)을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고정시킨다.
벨트(180)의 일단부가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 길이 조절가능하게 구비되고(도 6의 (a) 참고), 벨트(180)의 타단부가 메인 프레임(11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됨으로써(도 6의 (b) 참고), 메인 프레임(110)을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벨트(180)의 일단부는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스프링(미도시)에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벨트(180)의 타단부에는 버클(181)이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홈(183)에 체결됨으로써 벨트(180)가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는 메인 프레임(110)을 사용자의 턱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90)는 지지대(191) 및 받침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91)는 메인 프레임(110)에 벤딩(bending) 가능하도록 바(bar) 형태로 구비되고, 받침대(193)는 지지대(191)의 단부에 구비되며 지지대(191)의 벤딩에 따라 사용자의 턱 부분에 부착된다. 받침대(193)는 사용자의 턱 형상에 대응하여 아치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착용감을 위해 외면에 부드러운 고무 재질의 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10) 뷰어 디바이스 착용시, 받침부(160)에 의해 이너 프레임(150)이 사용자의 코부분에 정확히 안착되고, 벨트(180)에 의해 메인 프레임(110)이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턱 부분에 부착되는 고정부(190)에 의해 메인 프레임(1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는 이너 프레임(150)에 형성되는 받침부(160), 메인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벨트(180) 및 고정부(190)를 포함하여,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VR 체험시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120)가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의 상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여 VR 체험시 사용자의 체험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마트폰 110: 메인 프레임
120: 커버 130: 클립(clip)
140: 렌즈 141: 이동 블록
150: 이너 프레임 151: 이동홈
160: 받침부 170: 리프트부
180: 벨트(belt) 181: 버클(buckle)
183: 체결홈 190: 고정부
191: 지지대 193: 받침대

Claims (7)

  1.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상기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VR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뷰어 디바이스로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클립;
    한 쌍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사용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사용자의 턱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벤딩 가능하도록 바(bar)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벤딩에 따라 사용자의 턱부분에 부착되는 받침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너 프레임에 결합되며, 접철됨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이너 프레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리프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렌즈는 상기 이너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이동홈; 및
    상기 렌즈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블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6. 삭제
  7. 삭제
KR1020200034848A 2020-02-21 2020-03-23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KR102283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21401 2020-02-21
KR1020200021401 2020-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026B1 true KR102283026B1 (ko) 2021-07-28

Family

ID=77126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848A KR102283026B1 (ko) 2020-02-21 2020-03-23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279B1 (ko) * 2021-08-04 2022-02-08 장승재 절첩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핸드그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8936A (ja) * 1994-04-11 1995-10-24 Nagano Japan Radio Co ヘッドホン付ヘルメット
KR200353864Y1 (ko) * 2004-03-10 2004-06-26 서복수 이동통신기기용 화면확대장치
KR20120090869A (ko) 2011-02-08 2012-08-17 방경란 휴대용 3d 뷰어
KR20180041816A (ko) * 2016-10-14 2018-04-25 (주)네오인터넷 휴대폰 고정 케이스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8936A (ja) * 1994-04-11 1995-10-24 Nagano Japan Radio Co ヘッドホン付ヘルメット
KR200353864Y1 (ko) * 2004-03-10 2004-06-26 서복수 이동통신기기용 화면확대장치
KR20120090869A (ko) 2011-02-08 2012-08-17 방경란 휴대용 3d 뷰어
KR20180041816A (ko) * 2016-10-14 2018-04-25 (주)네오인터넷 휴대폰 고정 케이스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279B1 (ko) * 2021-08-04 2022-02-08 장승재 절첩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핸드그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874B2 (en)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TWI599796B (zh) 具有輸入與輸出結構的可戴式裝置
KR101977433B1 (ko)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CN202758141U (zh) 电子装置及头戴式装置
US20150103152A1 (en) Head-mounted stereoscopic display
KR101579130B1 (ko) 휴대용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어
CA2934987A1 (en) Stereoscopic viewing of an image on a body supported computer
US20170010471A1 (en) Graphic display adapter device for mobile virtual stereoscopic vision
CN204013703U (zh) 一种用于手机的立体图像浏览装置
KR20140013676A (ko) 디스플레이 단말기 헤드마운트 장치
GB2516242A (en) Head mounted display
JP2013510491A (ja) ビデオ信号源が組み込まれた自由水平線双眼鏡型表示装置
CN110045501A (zh) 显示装置组件
TW201346332A (zh) 具有輸入及輸出結構之可戴式裝置
WO1995006271A1 (fr) Ecran de visualisation porte a la tete
US2007027931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9232133A (ja) 携帯端末器
KR20170094883A (ko) 접이식 가상현실 시청용 장치
KR20150027651A (ko)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두부 탑재형 장치
JP2013171224A (ja) 表示装置
JP2015106915A (ja) 携帯機器挿入式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102283026B1 (ko)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KR101890621B1 (ko) 안경
KR20200139066A (ko) 탄성구동체
CN107884933B (zh) 一种头戴式虚拟现实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