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172B1 -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 - Google Patents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172B1
KR102547172B1 KR1020210149526A KR20210149526A KR102547172B1 KR 102547172 B1 KR102547172 B1 KR 102547172B1 KR 1020210149526 A KR1020210149526 A KR 1020210149526A KR 20210149526 A KR20210149526 A KR 20210149526A KR 102547172 B1 KR102547172 B1 KR 102547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rl
mother
patch
layer
thermal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4202A (ko
Inventor
조상명
Original Assignee
조상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명 filed Critical 조상명
Priority to KR102021014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1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의 자개를 이용하되 자개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자개 패치를 패브릭이나 가죽과 같은 유연성 소재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는,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 {Mother of pearl patch for flexible material}
본 발명은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막의 자개를 이용하되 자개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자개 패치를 패브릭이나 가죽과 같은 유연성 소재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커는 가방, 다이어리 노트, 핸드폰, 학용품, 손톱 등과 같은 다양한 대상에 점착되는 장식물 혹은 선전 광고, 상표, 표지 등과 같은 인쇄물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스티커는 이형지, 이형지의 상면에 점착되어 그림이나 글 등과 같은 문양이 도안됨은 물론 저면에 접착력을 갖는 인쇄부로 구성되고, 인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양부를 구비하여 이형지에 점착된 인쇄부에서 문양부를 떼어내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종래 스티커는 평면적 형상과 모양 혹은 도안, 글씨 등으로 인쇄부가 이루어짐으로 인해 볼륨감, 특히 질감 표현이 없어 밋밋하고, 장식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인쇄부의 형상과 모양을 입체감 있게 표현함으로써 장식미, 유희성 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들이 경주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다수의 특허 기술들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나전이라 함은 자개를 무늬대로 잘라 목심(木心)이나 칠면(漆面)에 박아 넣거나 붙이는 칠공예 기법을 말하며, 중국에서는 전감(族嵌), 함방(陷蚌), 취라(吹螺) 또는 나전(螺塡)이라고도 하며, 한국에서는 자개라고도 한다.
나전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야광패나 전복껍데기가 주로 쓰이며, 이 밖에도 담패, 현패(가막조개)와 같은 진주빛을 내는 조개껍데기가 사용되며, 이러한 패각을 잘게 끊어서 사용하거나 형성하고자 하는 문양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나전제품들은 주로 목가구나 장신구에 섬세한 문양으로 장식되며, 문양층에 형성된 패각에 의한 빛의 산란효과로 인하여 고급스러운 느낌과 함께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정취를 느낄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나전제품들은 대부분이 수공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길며, 대량생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이 고가의 상품으로 일반인이 쉽게 접하지 못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량생산을 통한 나전제품들이 출시되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제품들은 일부 소품이나 장신구에 한정되어 있으며, 섬세한 현대적 디자인이나 색상을 온전하게 표현하지 못하여 제품의 질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천연 자개는 본래 조개 껍질을 가공한 딱딱한 재질로서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목재나 금속 등 단단히 고정된 표면에 국한되어 활용되어 왔으며, 예를 들어 가구 등으로 제한되어 사용되며, 접착상태가 불안하여 평상시나 세탁 이후 원도안의 장식이 파손되거나 파단되기 때문에 패브릭이나 가죽과 같은 유연성(flexibility) 소재에는 사용이 불가하였다.
선행문헌 1(특허공보 제10-2203119호)을 참조하면, 자개는 95%이상이 탄산칼슘(CaCO3)으로 구성되어 있다. 겹겹이 쌓여 있는 충 사이에 단백질이 접착제 같은 역학을 해주기 때문에 얇지만 단단한 구조층으로 되어 있다.
종이자개와 같이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판자개의 한 면을 화학물질에 침전시켜 연화처리를 할 경우 판자개를 구성하는 단백질과 탄산칼슘의 결속층이 파괴되면서 결합력을 상실하게 되고 동시에 자개 고유의 빛깔을 잃게 되는 것이므로 상품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판자개를 연화 처리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서 원단의 안정성을 파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단을 커팅하고 휘고 조각하는 동안 심한 파손으로 인해 안정성 및 고유 컬러가 손상되기 때문에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없게 된다.
연화과정은 조직의 안정성에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천연 자개가 가진 고유의 빛깔과 연관되어 천연의 빛깔이 모두 파괴되는 두 가지 문제 때문에 어느 정도 완성이 되어 진다고 해도 인조자개보다 빛깔과 상품 안정성 모두 떨어져서 본연 천연 자개의 모든 상품성이 사라진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선행문헌 2(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4987호)를 참조하면, 바탕체의 외부를 향하는 표면에 옻칠을 하고, 세공된 자개를 원하고자 하는 무늬모양으로 배열하며 접착하고, 자개가 접착된 바탕체의 표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액상수지를 코팅하고 수지가 코팅된 바탕체를 건조한 후, 바탕체의 이면에 양면테이프를 접착시켜, 자개무늬 패널을 제조한다.
그러나, 상기 자개무늬 패널은 양면테이프를 통해 피착물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바탕체에 코팅된 수지만으로는 유연성과 내구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이에 자개무늬 패널을 섬유나 가죽과 같은 유연성 소재에 부착하는 과정 또는 부착한 후에 자개가 쉽게 파손 또는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선행문헌 3(특허공보 제10-1305272호)을 참조하면, 밑그림 그려진 자개판 밑에 다수의 색상이 다른 자개판들을 포개놓고 동일한 문양으로 오린 후, 시트 위에 상기의 문양들을 상호 교차배열하고 접착하며, 시트 위에 교차 배열되어 접착된 문양 상면에 도료로 칠 작업을 하여 전통 나전칠기방식으로 장식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3은 자개를 오려 문양을 형성하고 칠을 하여 나전칠기를 이용한 장식물을 먼저 제조하고 이를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부재에 부착한 후 마감작업을 하여 나전칠기 제품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선행문헌 3의 특징으로는 자개 문양을 섬유나 가죽과 같은 유연성 소재에 부착할 수 없다.
선행문헌 4(공개특허공보 제10-1987-0000184호)를 참조하면, 나전칠이 불가능한 금속박판 상에 나전칠을 가능하게 하여 금속 장식판을 제공하는 발명을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4를 통해서는, 자개의 유연성과 내구도를 향상시킬 수 없으므로, 이에 자개를 금속판이 아닌 섬유나 가죽과 같은 유연성 소재에 부착하게 되면 파손 또는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203119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5-0104987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05272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987-0000184호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천연 자개를 포함하고 유연성 소재에도 간편하게 부착이 가능한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간단 공정으로 가정용 다리미로도 다양한 종류의 유연성 소재 위에 손쉽게 자개 무늬를 부착할 수 있는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에 자개를 장식하는 솔루션으로서, 가벼운 물세탁이 가능하고 누구나 쉽게 자개 무늬를 섬유에 접착시킬 수 있는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열접착에 의해 유연성 소재의 표면에 부착되는 열접착층; 상기 열접착층의 상면에 배치되고 문양을 가지는 천연 자개; 상기 열접착층의 상면에 상기 천연 자개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 및 상기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의 상면에 접합되는 크랙방지 및 고광택 유지층; 을 포함하는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열접착층은 130 내지 150℃, 10 내지 13초의 열접착 조건을 가지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로 이루어지고, 95 내지 105㎛의 평균 두께를 가지며, 상기 천연 자개는 조개패에서 조직이 단단하면서 유연성이 우수한 안쪽 부분이고, 0.09 내지 0.15mm의 평균 두께를 가지고, 상기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은 PU(열경화성 폴리우레탄)로 이루어지고, 상기 크랙방지 및 고광택 유지층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천연 자개의 하면에 도료 또는 옻칠을 하여 상기 천연 자개와 상기 열접착층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코트 컬러링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천연 자개의 상면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상기 천연 자개와 상기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 사이에 형성되는 유연성 향상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열접착층의 하면에 배치되는 이형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열접착시 상기 크랙방지 및 고광택 유지층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하는 고내열성의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는,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기술로서, 종래의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천연 자개를 부드럽게 하여 자개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하여, 패브릭이나 가죽 등의 유연성 소재에 스티커처럼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의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는, 표면에 저온 접착을 위한 코팅이 이루어져 1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0 내지 13초 동안 누르기만 하면 피착물에 접착과 마감 코팅이 동시에 되는 초간단 공정으로 가정용 다리미로도 손쉽게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일 실시 예의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를 이용하면, 전통 소재 및 첨단 소재의 결합으로 홈리빙, 셔츠, 가방, 모자, 신발 등 패션 전반에 활용 가능하고, 이에 한국적이면서 심미감이 향상된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의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는 자개의 한계를 극복하여 섬유에 접착하는 기술로, 세탁에 의해 원도안의 장식이 파손되거나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여러 번의 가벼운 물세탁이 가능하고 누구나 쉽게 완성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개 패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개 패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개 패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개 패치의 천연 자개를 문양으로 전단한 경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개 패치에서 이형필름을 분리하고 유연성 소재에 부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개 패치를 유연성 소재에 부착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개 패치에서 천연 자개의 다양한 패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개 패치가 적용된 신발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개 패치에 사용되는 이형필름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는 열접착을 이용하여 천연 자개를 유연성 소재에 부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여기서, 유연성 소재는, 섬유, 가죽 또는 특수비닐 등이 될 수 있으며, 홈리빙, 셔츠, 가방, 모자 또는 신발 등 패션 전반에 걸쳐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개 패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개 패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개 패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100)는, 열접착층(30), 천연 자개(10),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20) 및 크랙방지 및 고광택 유지층(40)을 포함한다.
열접착층(30)은 일 실시 예의 자개 패치(100)를 다리미나 열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저온에서 열접착으로 유연성 소재의 표면에 부착할 때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하고, 천연 자개(10)의 유연성을 강화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때, 열접착층(30)의 열접착 조건은 130 내지 150℃에서 10 내지 13초로서, 다림질 정도의 열과 압력으로 짧은 시간 내에 자개 패치(100)를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피착물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접착층(30)은 투명한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5㎛의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TPU는, 일반 고무에 비해 탄성, 내마모성, 내유성, 고온내열성 및 내UV성 및 광택이 우수하고, 가소제가 첨가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무독성이라는 장점도 가진다.
천연 자개(10)는 열접착층(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여러가지 문양이나 패턴, 기호, 캐릭터 등으로 디자인되고 일정한 크기로 커팅될 수 있다.
이러한 천연 자개(10)에 사용되는 원료 조개는 고유의 빛깔과 광택도를 가진 진주층을 보유한 조개로서, 야광패나 전복껍데기를 포함하고, 담패, 현패(가막조개)와 같이 진주 빛을 내는 조개껍데기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 조개는 조개패를 슬라이스하여 2 내지 3층으로 분리하는데, 이때 광택이 없는 최상층을 제외한 하부층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조개패에서 조직이 단단하면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유연성이 우수한 가장 안쪽 부분을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천연 자개(10)는 0.09 내지 0.15mm의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천연 자개(10)의 평균 두께는 0.1mm일 수 있다. 종래의 자개는 0.3mm 정도의 두께로 가공하는데, 일 실시 예에서는 종래 자개의 1/3 수준으로 두께를 가공하여 물리적인 측면에서 자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천연 자개(10)의 평균 두께가 0.09mm 미만이면 구조적인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자개 고유의 빛깔이 제대로 표현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천연 자개(10)의 평균 두께가 0.15mm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유연성 소재에 부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착하는 과정에서 파손되거나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천연 자개(10)의 두께가 0.09 내지 0.15mm인 경우, 진주 고유의 빛깔과 광택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컬러와 안정성이 보장되는 천연 자개(10)의 최적의 두께가 0.09 내지 0.15mm, 더 바람직하게는 0.1mm임을 알 수 있었다.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20)은 천연 자개(10)의 컬러와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접착층(30)의 상면에 천연 자개(10)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20)은 투명한 PU(열경화성 폴리우레탄)를 열접착층(30)의 상면에 천연 자개(10)를 커버하도록 95 내지 105㎛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크랙방지 및 고광택 유지층(40)은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20)의 상면에 접합되고, 천연 자개(10)의 크랙을 방지하고 광택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크랙방지 및 고광택 유지층(40)은 고온에 대한 내열성과 고광택성의 특성이 있어, 열접착시 150℃에서 13초 이상의 가열과 가압을 견딜 수 있다.
이러한 크랙방지 및 고광택 유지층(40)은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20)의 상면에 폴리우레탄을 12 내지 28㎛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천연 자개(10)와 열접착층(30) 사이에 하부코트 컬러링층(50)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코트 컬러링층(50)은 자개 패치(100)에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부코트 컬러링층(50)은 레드, 골드, 화이트 등의 다양한 색상의 우레탄 도료를 천연 자개(10)의 하면에 도포하거나 또는 옻칠을 하여 형성할 수 있고, 20 내지 40㎛의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옻은 옻나무에서 나는 진액을 말하는데 처음 옻나무에서 나는 진액은 회색이지만 물기를 없애면 검붉은 색으로 변한다.
옻은 보존성이 우수하고 산이나 알칼리, 70℃이상의 온도에서도 잘 변하지 않는다. 옻에는 뷰테인(butein)과 설퓨레틴(sulfuretin)처럼 약효를 나타내는 성분이 있어 약으로 쓰기도 하며, 주성분인 우르시올(urushiol)은 체질상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나 신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여 직접 섭취하기도 한다.
옻칠은 이러한 옻을 칠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것인데,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예로부터 금속이나 목공 도장용(木工塗裝用)으로 가장 소중히 여겨왔던 도료이다.
이와 같이 천연 자개(10)의 하면에 옻칠을 하여 하부코트 컬러링층(50)을 형성하는 경우, 자개 패치(100)가 항균성과 보존성과 전자파 차단 및 특유의 광택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의 자개 패치(100)는 천연 자개(10)의 상면에 에폭시를 10 내지 30㎛의 두께로 도포하여 천연 자개(10)와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20) 사이에 형성되는 유연성 향상층(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연성 향상층(80)은 TPU의 단점을 보완하고 탄성을 부여하여 천연 자개(10)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며, 자개 패치(100)에서 가장 단단한 부분인 천연 자개(10)가 외부 충격에 의해 파단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 향상층(80)은 천연 자개(10)와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20) 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의 자개 패치(100)는 열접착층(30)의 하면에 배치되는 이형필름(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형필름(60)은 일 실시 예의 자개 패치(100)를 사용하기 전에 열접착층(30)을 외부 이물질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같은, 이형필름(60)은 도 10에서 보여주고 있듯이 90 내지 230㎛의 엠보 구조를 가진 박형의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형필름(60)은 일 실시 예의 자개 패치를(100) 유연성 소재에 부착하기 전에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일 실시 예의 자개 패치(100)는 열접착시 크랙방지 및 고광택 유지층의 상면에 보호필름(70)을 배치할 수 있다.
보호필름(70)은 열접착시 크랙방지 및 고광택 유지층(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내열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호필름(70)은 500 ±  200(180℃ peel * gf/25mm)의 점착력을 가지는 실리콘, 아크릴 등의 점착 소재와 PP 필름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열성을 가지며, 약 70㎛의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호필름(70)은 바람직하게 고열 프레스(다림질)에서 의류와 핫픽스(자개)를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모티브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개 패치(100)는, 40㎏/㎠의 인장강도를 가지고, 18℃이하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며, 122℃의 녹는점을 가진다.
도 4를 보면, 박막의 천연 자개(10)를 문양으로 전단하는 경우, 디자인에 의해 경계부에 공백이 생긴다. 일 실시 예의 경우, 이러한 공백 부분의 일부(문양의 가장자리 부분)가 열접착 과정에서 천연 자개(10)의 표면과 하면에 도포되어 있는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20)과 열접착층(30)이 공백 부분으로 살짝 녹아 내리면서 채워지며(도시 생략), 이렇게 천연 자개(10)의 문양의 가장자리 부분에 채워진 재료는 천연 자개(10)의 문양을 감싸며 보호하게 되어 절단된 자개 문양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개 패치(1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유연성 소재에 부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건식 다리미를 140℃ 또는 "모직" 모드로 예열하고, 피착물인 유연성 소재의 원하는 위치에 도 5 및 도 6b에서와 같이 이형필름(60)을 제거하고 도6c와 같이 보호필름(70)에 부착된 상태인 자개 패치를 올려 놓는다.
그리고, 도 6d에서와 같이 예열된 다리미로 자개 패치 위에 놓인 보호필름(70)을 10초 이상 지속적으로 눌러주어 자개 패치를 유연성 소재의 표면에 점착한다.
다음으로, 도 6e에서와 같이 열이 약간 식은 후 보호필름(70)을 분리한다. 이때, 자개 패치(100) 중 피착물에 잘 안 붙은 부분이 있다면 보호필름(70)을 다시 덮고 앞서 실행한 가열/가압 공정을 반복해서 실행하여 도 6f에서와 같이 유연성 소재의 표면에 자개 패치(1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종래의 천연 자개는 유연성이 있는 플랙서블한 원단에 사용이 불가하다. 이는 접착 상태가 불안하여 평상시나 세탁 이후 원도안의 장식이 파손되거나 파단되고, 천연 자개는 본래 조개 껍질을 가공한 딱딱한 소재로 유연성이 없어 목재나 금속 등 단단히 고정된 표면에 국한되어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일 실시 예에 의한 천연 자개를 이용한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는 종래의 자개의 한계를 극복하여 섬유에 접착하는 기술로 물세탁이 가능하며 누구나 쉽게 완성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또한, 표면에 저온 접착을 위한 코팅이 이루어져 1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0 내지 13초 동안 누르기만 하면 피착물에 접착과 마감 코팅이 동시에 되는 초간단 공정으로 천연 자개를 포함하는 자개 패치를 가정용 다리미로도 손쉽게 유연성 소재에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개 패치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다양한 전통문양 디자인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패브릭 또는 가죽과 같은 유연성 소재로 된 홈리빙 제품, 의류, 가방 또는 모자 등에 부착할 수 있다.
도 8은 곤룡포에 수놓아지던 오조룡보 문양과 왕실의 비단 보자기에 직조된 길상 문양(패꿀보 문양) 및 범 문양을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자개 패치를 활용하면 도 9에서와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한국적 감성의 전통문양이 적용된 자개 신발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천연 자개 20: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
30: 열접착층 40: 크랙방지 및 고광택 유지층
50: 하부코트 컬러링층 60: 이형필름
70: 보호필름 80: 유연성 향상층
100: 자개 패치

Claims (9)

130 내지 150℃, 10 내지 13초의 열접착 조건을 가지는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로 이루어지고, 95 내지 105㎛의 평균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서, 열접착에 의해 유연성 소재의 표면에 부착되는 열접착층;
조개패에서 조직이 단단하면서 유연성이 우수한 안쪽 부분이고, 0.09 내지 0.15mm의 평균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열접착층의 상면에 배치되고 문양을 가지는 천연 자개;
상기 열접착층의 상면에 상기 천연 자개를 커버하도록 PU(열경화성 폴리우레탄)로 형성되는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 및
상기 천연 자개와 상기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 사이에 에폭시 계열의 유연성 향상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크랙방지 및 접착강화층의 상면에는 폴리우레탄을 12 내지 28㎛의 두께로 도포하여서 구성되는, 크랙방지 및 고광택 유지층; 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자개의 하면에 도료 또는 옻칠을 하여 상기 천연 자개와 상기 열접착층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코트 컬러링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착층의 하면에 배치되는 이형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
제 1 항에 있어서,
열접착시 상기 크랙방지 및 고광택 유지층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하는 고내열성의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
KR1020210149526A 2021-11-03 2021-11-03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 KR102547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526A KR102547172B1 (ko) 2021-11-03 2021-11-03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526A KR102547172B1 (ko) 2021-11-03 2021-11-03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202A KR20230064202A (ko) 2023-05-10
KR102547172B1 true KR102547172B1 (ko) 2023-06-22

Family

ID=8638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526A KR102547172B1 (ko) 2021-11-03 2021-11-03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1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642Y1 (ko) * 2006-02-27 2006-07-05 조대현 자개 장식물
KR101011593B1 (ko) * 2010-06-11 2011-01-27 김지수 한지시트와 생분해성 수지시트가 결합된 카드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981B1 (ko) 1985-06-08 1987-10-24 최호섭 나전칠 금속 장식판의 제조방법
KR20050104987A (ko) 2004-04-30 2005-11-03 이강수 자개무늬 패널 제조방법
KR101305272B1 (ko) 2011-06-09 2013-09-06 이용재 전통 나전칠기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83701B1 (ko) * 2019-07-23 2021-08-02 주식회사 성협공예 자개 장식방법 및 자개 제품
KR102203119B1 (ko) 2020-03-09 2021-01-14 김유준 종이자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642Y1 (ko) * 2006-02-27 2006-07-05 조대현 자개 장식물
KR101011593B1 (ko) * 2010-06-11 2011-01-27 김지수 한지시트와 생분해성 수지시트가 결합된 카드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202A (ko) 202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91758A1 (en) Decorative material and decorative plate
WO2011149370A1 (en) Cork fabric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395449B1 (ko) 장식 박막이 전체적으로 전이된 미용재료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미용재료 원단을 이용한 미용 스티커
KR102547172B1 (ko)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
KR200437582Y1 (ko) 실리콘 표면막을 구비한 발포입체 열전사지
JP4347931B2 (ja) 遊戯機用表化粧板
KR20130076439A (ko) 오프셋인쇄 방식의 무늬를 가진 가열용 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436821Y1 (ko) 우레탄 및 에폭시 열전사지
KR101056279B1 (ko) 인쇄 자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293008Y1 (ko) 나전스티커
JP2003094891A (ja) 表面質感の特異な熱転写ラベルとその製造法
KR101384978B1 (ko) 단추의 장식 및 문양 제작 방법
KR100514988B1 (ko) 장식품의 제조 방법
KR100927891B1 (ko) 장식용 보석 스티커
KR101073896B1 (ko) 자개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이를 이용한 구두 제조 방법
KR200409878Y1 (ko) 장식품
KR102565760B1 (ko) Tpu 필름을 이용한 장식필름 및 그 장식필름 제조방법
JP2018053001A (ja) 装飾具およびその作成方法
KR20110114739A (ko) 자개 장식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물
KR200251219Y1 (ko) 입체장식용 열전사지
KR200372664Y1 (ko) 에폭시 스티커
TWI688691B (zh) 合成皮革
KR200168933Y1 (ko) 라벨용 열전사지
KR200204376Y1 (ko) 라벨용 열전사지
KR100579896B1 (ko) 장식층이 인쇄층에 형성된 라벨용 전사지의 제조방법 및라벨용 전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