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899B1 - 오픈마켓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 - Google Patents

오픈마켓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899B1
KR102546899B1 KR1020220073709A KR20220073709A KR102546899B1 KR 102546899 B1 KR102546899 B1 KR 102546899B1 KR 1020220073709 A KR1020220073709 A KR 1020220073709A KR 20220073709 A KR20220073709 A KR 20220073709A KR 102546899 B1 KR102546899 B1 KR 102546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es
keyword
product
advertising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케이알
Priority to KR1020220073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8Special types of queries, e.g. statistical queries, fuzzy queries or distributed queries
    • G06F16/2462Approximate or statistic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오픈마켓 서버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검색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제품 판매를 진행하고, 각 검색 키워드에 대한 판매 통계를 산출하는 제1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산출한 판매 통계에서 검색 키워드를 통한 순이익이 플러스 상태인 키워드를 선정하여 키워드 그룹(A)을 생성하고, 생성한 키워드 그룹(A)에 대한 총 순이익을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판매자 단말에 사용자가 직접 키워드를 지정하여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 추가 요청이 있으면, 상기 키워드 그룹(A)에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를 추가한 키워드 그룹(B)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키워드 그룹(B)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제품 판매를 진행하고, 각 검색 키워드에 대한 판매 통계를 산출하고, 상기 키워드 그룹(B)에 대한 총 순이익을 산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키워드 그룹(A)와 상기 키워드 그룹(B)의 순이익을 비교하여 순이익이 더 큰 키워드 그룹을 선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픈마켓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 {Method for selling product based on search keyword in open market}
본 발명은 오픈마켓에서 제품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픈마켓에서 검색 키워드를 기반으로 한 제품 판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픈마켓(open market)이란 온라인상에서 개인이나 소규모 업체가 개설한 점포를 통해 구매자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총칭한다. 홈쇼핑이나 백화점 또는 대형마트 업체 등이 운영하는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과 달리, 오픈마켓은 제품 생산업체와 판매자 간의 중간 유통마진 없이 직접 구매자에게 제품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온라인 쇼핑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에 있으며,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는 국내외 오픈마켓에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게 된다. 이때, 판매자는 1개의 제품을 하나의 오픈마켓에서 판매하는 경우는 드물며, 제품에 대한 많은 노출과 매출을 위해 여러 오픈마켓에 등록하고 관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오픈마켓 판매자(셀러)들은 쿠팡, 옥션, 지마켓, 11번가, 인터파크 등의 국내 오픈마켓과, 타오바오(중국), 티쿤(일본), 아마존(미국) 등의 해외 오픈마켓에 제품을 등록하고 관리하며, 판매를 진행할 수 있다.
오픈마켓에 상품을 등록한 판매자는 오픈마켓에 광고비를 지불하여 광고를 진행하고, 오픈마켓측으로부터 제품 판매에 관련된 매출, 이익금 등 각종 통계 데이터를 받아서 오픈마켓을 통한 제품 판매를 관리한다. 그리고, 오픈마켓에 등록된 다수 제품의 재고를 관리하고, 각 제품에 대한 투자가치를 판단하여 마켓팅 전략을 세우는 등의 오픈마켓에 등록된 제품을 관리한다.
이처럼, 오픈마켓에 입점한 판매자는 제품 판매를 위하여 다양한 광고 방식을 진행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 각 제품마다 검색 키워드별로 광고비를 지불하는 검색 키워드 광고 방식의 마켓팅이 있다. 이 방식은 검색 키워드별로 집행된 광고비에 따라 키워드 검색 화면에서 해당 제품이 노출되도록 하는 광고 방식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오픈마켓측에서 검색 키워드를 추천하는 방식과, 판매자가 직접 키워드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팡의 경우, 전자를 매출 최적화 방식이라 하고, 후자를 수동성과형 방식이라고 명명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검색 키워드 광고 방식은 오픈마켓측에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검색 키워드를 사용하거나, 판매자가 직접 검색 키워드를 선택하게 되는데, 어떤 검색 키워드가 광고 효과가 높은지 알 수 없고, 광고비 대비 최대 수익을 낼 수 있는 효율적인 검색 키워드 조합을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397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픈 마켓에서 키워드 검색을 통해 최대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픈마켓 서버, 판매자 단말 및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판매자 단말과 통신하며, 판매자가 오픈마켓에 등록한 제품을 관리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오픈마켓 서버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검색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제품 판매를 진행하고, 각 검색 키워드에 대한 판매 통계를 산출하는 제1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산출한 판매 통계에서 검색 키워드를 통한 순이익이 플러스 상태인 키워드를 선정하여 키워드 그룹(A)을 생성하고, 생성한 키워드 그룹(A)에 대한 총 순이익을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판매자 단말에 사용자가 직접 키워드를 지정하여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 추가 요청이 있으면, 상기 키워드 그룹(A)에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를 추가한 키워드 그룹(B)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키워드 그룹(B)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제품 판매를 진행하고, 각 검색 키워드에 대한 판매 통계를 산출하고, 상기 키워드 그룹(B)에 대한 총 순이익을 산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키워드 그룹(A)와 상기 키워드 그룹(B)의 순이익을 비교하여 순이익이 더 큰 키워드 그룹을 선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단계에서,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 추가 요청이 없으면, 상기 키워드 그룹(A)을 기반으로 한 제품 판매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키워드 그룹(B)의 순이익이 더 크면 상기 키워드 그룹(B)를 선정하고, 상기 키워드 그룹(B)를 키워드 그룹(A)로 명칭을 변경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단계 이후,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 추가 요청이 없을 때까지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6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판매자 단말에 제품의 키워드에 대한 순이익을 평가할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판매자 단말로부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제품 판매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픈마켓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검색 키워드를 조합하여 최대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의 판매자 단말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화면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오픈마켓 서버, 판매자 단말 및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판매자 단말과 통신하며, 판매자가 오픈마켓에 등록한 제품을 관리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오픈마켓 서버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검색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제품 판매를 진행하고, 각 검색 키워드에 대한 판매 통계를 산출하는 제1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산출한 판매 통계에서 검색 키워드를 통한 순이익이 플러스 상태인 키워드를 선정하여 키워드 그룹(A)을 생성하고, 생성한 키워드 그룹(A)에 대한 총 순이익을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판매자 단말에 사용자가 직접 키워드를 지정하여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 추가 요청이 있으면, 상기 키워드 그룹(A)에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를 추가한 키워드 그룹(B)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키워드 그룹(B)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제품 판매를 진행하고, 각 검색 키워드에 대한 판매 통계를 산출하고, 상기 키워드 그룹(B)에 대한 총 순이익을 산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키워드 그룹(A)와 상기 키워드 그룹(B)의 순이익을 비교하여 순이익이 더 큰 키워드 그룹을 선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단계에서,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 추가 요청이 없으면, 상기 키워드 그룹(A)을 기반으로 한 제품 판매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키워드 그룹(B)의 순이익이 더 크면 상기 키워드 그룹(B)를 선정하고, 상기 키워드 그룹(B)를 키워드 그룹(A)로 명칭을 변경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단계 이후,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 추가 요청이 없을 때까지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6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판매자 단말에 제품의 키워드에 대한 순이익을 평가할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판매자 단말로부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제품 판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 및 판매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판매자 단말(200)과 통신하며, 판매자가 오픈마켓에 등록한 제품을 관리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판매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판매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 가능한 단말로서, 판매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200)은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 폰, 핸드폰, 휴대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제품에 대한 전체 판매 수량, 집행한 광고비를 포함하는 제품 판매와 관련된 제품 통계 정보를 표시하는 제품 전체 통계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창고 재고, 오픈마켓 재고, 전체 판매수량, 광고 판매수량, 자연 판매수량, 매출, 매출 이익금, 광고 시작일, 집행광고비, 광고 전환매출, 광고 전환매출율, 광고전환매출 이익금, 광고전환매출 순이익금,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율, 순이익금 항목을 포함하는 제품 전체 통계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제품 전체 통계 메뉴에서 날짜별로 각 제품의 검색 키워드를 통한 판매 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간대 별로 광고비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시간대 별 광고비가 설정되면 이에 따라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시간대 별 광고비를 설정하여 집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간대 별로 광고비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시간대 별 광고비가 설정되면 이에 따라 오픈마켓 서버(10)에 접속하여 시간대 별 광고비를 설정하여 집행하도록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제품에 대한 전체 판매 수량, 집행한 광고비를 포함하는 제품 판매와 관련된 제품 통계 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제품에 대한 재고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오픈마켓 내에서 각 제품의 판매 순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서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이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단계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은, 판매자 단말(200)에 제품의 키워드에 대한 순이익을 평가할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S201). 예를 들어, 1일(24시간), 3일, 일주일 등으로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200)에서 기간이 설정되면, 설정된 기간 동안 오픈마켓 서버(1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검색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판매를 진행하고, 각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판매 통계를 산출한다(S203).
산출한 판매 통계에서 검색 키워드를 통한 순이익이 플러스(+) 상태인 키워드를 선정하여 키워드 그룹(A)을 생성한다(S205). 그리고, 키워드 그룹(A)에 대한 총 순이익을 평가한다(S20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키워드를 선정하여 키워드 그룹(A)를 생성함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준비율만큼 순이익이 큰 순서대로 키워드를 선정하여 키워드 그룹(A)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비율이 30%로 설정되어 있고, 오픈마켓인 쿠팡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검색 키워드가 100개이고, 판매 진행 결과 50개의 검색 키워드에서 순이익이 플러스 상태인 경우, 기준비율에 따라 플러스 상태의 50개의 키워드 중에서 순이익이 큰 상위 30개의 키워드를 선정하여 키워드 그룹(A)을 생성할 수 있다. 만약 판매 진행 결과 순이익이 플러스 상태인 키워드의 수가 기준비율에 미달하면, 기준비율에 해당하는 키워드 수만큼 키워드를 추가하도록 판매자 단말(200)에 키워드를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비율이 30%로 설정되어 있고, 오픈마켓인 쿠팡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검색 키워드가 100개이고, 판매 진행 결과 20개의 검색 키워드에서 순이익이 플러스 상태인 경우, 기준비율에 해당하는 30개의 키워드에 10개의 키워드가 미달되기 때문에, 10개의 키워드를 추가하도록 판매자 단말(200)에 키워드를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판매자 단말(200)에서 사용자가 직접 키워드를 지정하여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판매자 단말(200)로부터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 추가 요청이 있으면(S209), 키워드 그룹(A)에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를 추가한 키워드 그룹(B)을 생성한다(S211). 이때, 판매자 단말(200)로부터 키워드 추가 요청이 없으면, 키워드 그룹(A)을 기반으로 한 제품 판매를 계속 진행한다(S225).
그리고, 설정된 기간 동안 키워드 그룹(B)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판매를 진행하고, 각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판매 통계를 산출한다(S213). 그리고, 키워드 그룹(B)에 대한 총 순이익을 평가한다(S215).
그리고, 키워드 그룹(A)와 키워드 그룹(B)의 순이익을 비교하여 순이익이 더 큰 키워드 그룹을 선정한다(S217, S219, S221). 즉, 키워드 그룹(A)의 순이익이 더 크면 키워드 그룹(A)를 선정하고, 키워드 그룹(B)의 순이익이 더 크면 키워드 그룹(B)를 선정한다. 이때, 키워드 그룹(B)가 선정되면, 키워드 그룹(B)를 키워드 그룹(A)으로 명칭을 변경한다(S223).
이후, 판매자 단말(200)로부터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 추가 요청이 없을 때까지 S209 내지 S225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설정된 기간이 1일인 경우, 매일 S209 내지 S225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에서 판매자 단말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화면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오픈마켓으로 쿠팡을 예시한 화면예이다.
도 3는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하면 나타나는 메인 화면예이다.
도 3의 화면예에서 좌측에 “재고관리, 소싱, 제품관리, 중국발주, 물류정보, 디자인 일정, 제품 전체 통계, 판매 순위 관리, 광고 금액 관리, 마진 계산기” 등의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이 중에서 '광고 금액 관리' 메뉴가 선택되면, 다음 도 4과 같은 화면예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4은 '광고 금액 관리' 메뉴의 화면예이다.
도 4의 화면예에서 판매자는 자정 시간대에 집행할 광고비를 의미하는 '자정금액'과 오후 시간대에 집행할 광고비를 의미하는 '오후금액' 으로 각각 광고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정 시간대는 0시부터 15시까지이고, 오후 시간대는 15시부터 24시로 정의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시간대별로 집행할 광고비를 달리하여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오픈마켓 서버(100)에 접속하여, 설정된 시간대별 광고비에 따라 자동으로 광고비가 집행되도록 구현한다.
도 4의 화면예에서 자정 시간대는 비교적 매출이 적은 시간대이고, 오후 시간대는 비교적 매출이 많은 시간대이다. 따라서, 자정 시간대보다 오후 시간대에 고액의 광고비를 설정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오픈마켓의 광고비를 집행할 수 있다.
가령, 도 4에서 '로지 스텔 지그재그 맨투맨' 품목의 경우, 자정금액으로 10,000원을 설정하고, 오후금액으로 30,000원을 설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는 '제품 전체 통계' 메뉴를 도시한 화면예이다.
도 5 및 도 6의 화면예에서, 순번, 담당자, 제품명, 옵션명, 입고예정, 창고 재고, 쿠팡 재고, 전체 판매수량, 광고 판매수량, 자연 판매수량, 매출, 매출 이익금, 광고 시작일, 집행광고비, 광고 전환매출, 광고 전환매출율, 광고전환매출 이익금, 광고전환매출 순이익금,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율, 순이익금 등의 항목이 제품 전체 통계 메뉴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전체 판매수량은 해당 제품의 전체 판매수량이고, 광고 판매수량은 광고를 통한 해당 제품의 판매수량이고, 자연 판매수량은 광고를 통하지 않은 해당 제품의 판매수량이고, 매출 이익금은 해당 제품의 매출로부터 발생한 이익금을 나타낸다.
그리고, 집행광고비는 해당 제품에 대해 집행한 광고비이고, 광고 전환 매출은 해당 광고를 통해 판매한 제품의 매출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해당 제품의 판매뿐만 아니라 해당 제품의 광고를 통해 판매된 다른 제품의 매출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해당 제품의 광고에서 관련 제품으로 표시된 링크를 통해 판매된 다른 제품에서 발생한 매출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 광고 전환 매출이다.
그리고, 광고 전환 매출율은 집행광고비 대비 광고 전환매출의 비율을 나타낸다.
광고 전환매출 이익금은 해당 광고를 통해 판매된 제품들의 매출로부터 발생한 이익금의 총합을 나타낸다.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금은 광고 전환매출 이익금에서 집행광고비를 뺀 금액이다.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율은 집행광고비 대비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금의 비율을 나타낸다.
순이익금은 매출이익금에서 집행광고비를 뺀 금액을 나타낸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제품 전체 통계 보고서에서 광고 전환매출 이익금,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금,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율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오픈마켓 내에서 어떤 제품의 광고를 통해 발생한 매출, 순이익금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제품의 광고 전략, 마켓팅 전략 수립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5의 화면예에서, '로지 고속 충전케이블 c타입 2m 6개' 제품의 경우를 보면, 전체 판매수량은 26, 광고 판매수량은 18, 자연 판매수량은 8, 매출은 491,400d원, 매출이익금은 60,892원이다. 그리고, 광고 시작일은 2021년 12월 16일이고, 집행광고비는 100,045원이고, 광고 전환매출은 340,200이고, 광고 전환매출율은 341%이고, 광고 전환매출 이익금은 42,156원이고,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금은 -57,889원이고,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율은 -58%이고, 순이익금은 -39,153원이다.
또한, 도 5의 화면예에서, 입고예정은 입고 예정인 제품 수량이고, 창고 재고는 창고에 있는 재고 수량이고, 쿠팡 재고는 오픈마켓인 쿠팡에 있는 재고 수량이고, 판매순위는 제품의 판매순위를 나타낸다. 여기서 판매순위는 오픈마켓에서 매출, 판매량, 클릭 수 등 각종 지표를 이용하여 계산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오픈마켓 서버(10)에서 데이터를 크롤링하여, 입고예정, 창고 재고, 오픈마켓 재고 정보를 포함하는 재고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품의 재고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제품에 대한 품질 관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제품에 대한 판매순위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제품에 대한 투자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제품 전체 통계' 화면예에서 각 제품명 옆에 병기된 괄호 안의 숫자는 해당 제품에 대한 옵션의 숫자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7의 화면예에서 '로지 국민 커버형 모기향거치대 10개(4)'가 클릭되면, 도 8의 화면예와 같이 해당 상품에 대한 4개의 옵션 목록인 '커버형 10개입(로켓배송)', '일반형 10개입(로켓배송), '커버형 10개입', '일반형 10개입'을 표시한다.
도 6의 화면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각 제품별 최근 5일 동안의 판매 평균인 '최근 5일 판매 평균'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최근 5일 판매 평균'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재고가 부족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최근 5일 판매 평균' 데이터 항목에 빨간색 원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최근 5일 판매 평균'값에 2주일의 일 수인 14를 곱한 값(A)과, '창고 재고'와 오픈마켓 재고인 '쿠팡 재고'를 합한 값(B)을 비교하여, A가 크면 '최근 5일 판매 평균' 데이터에 빨간색 원을 표시한다.
도 6의 화면예에서 쿠폰 적용 매출은 소비자가 해당 제품 구매시에 쿠폰을 사용한 것을 반영한 매출로서, 실제 매출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쿠폰 적용 매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매출이익금, 순이익금 등을 산출한다.
도 6의 화면예에서 각 제품명 항목이 클릭되면, 해당 제품의 '일별 판매 통계 요약' 팝업 창을 제공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제품명 '로지 유니버셜 침대 핸드폰 거치대' 항목이 클릭된 결과, 표시된 '일별 판매 통계 요약' 팝업창 화면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의 화면예에서, '로지 유니버셜 침대 핸드폰 거치대' 제품에 대한 일별 판매 통계 요약 팝업창 화면이 예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해당 제품에 대한 날짜별 키워드 판매 순위, 전체 판매량, 광고 판매량, 자연 판매량, 매출, 매출 이익금, 순이익금, 광고 노출지면, 노출수, 클릭수, 광고비, 클릭당 비용, 전환율, 판매량, BEP(Break Even Point), 전환당 비용, 전환 매출액, 광고전환매출 이익금, 광고전환매출 순이익금 등의 항목이 표시된다.
여기서, 노출수는 제품이 날짜별로 광고에 노출된 횟수이고, 클릭수는 광고를 클릭한 횟수이고, 클릭당 비용은 광고비를 클릭수로 나눈 값이다. 그리고, 전환율은 판매량을 클릭수로 나눈 값이다.
도 9 내지 도 11의 화면예에서 날짜별로 각 키워드에 대한 판매순위를 표시하는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22녀 5월 5일에 '핸드폰 거치대' 키워드의 판매순위는 '2-3'이고, '휴대폰 거치대' 키워드의 판매순위는 '2-2'이다. 여기서 '2-3'은 오픈마켓 사이트의 제품 판매 화면에서 2번째 페이지의 3번째 제품순서라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날짜별로 각 키워드에 대한 판매순위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주기적으로 오픈마켓 서버(100)에서 해당 제품의 판매 화면을 크롤링하고, 크롤링한 판매 화면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날짜의 각 키워드에 대한 판매순위를 산출하여 표시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날짜별로 각 키워드에 대한 판매순위를 보여주는 기능을 제안함으로써, 광고 키워드를 선정하고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날짜 옆에 '+' 가 클릭되면, 도 12 및 도 13의 화면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날짜에서의 구체적인 검색 영역, 비검색 영역에 대한 통계 자료가 표시된다. 도 12 및 도 13의 화면예에서 '2022년 5월 2일'에 대한 '일별 판매 통계 요약' 팝업창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검색 키워드 광고 방식은 소위 '수동 성과형' 방식임이 표시되어 있고, '2022년 5월 2일'에서의 구체적인 검색 영역, 비검색 영역에 대한 통계 자료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검색 영역은 키워드 검색을 통한 해당 제품에 대한 판매 관련 통계 데이터이고, 비검색 영역은 키워드 검색을 통하지 않은 경우의 해당 제품에 대한 판매 관련 통계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A 제품에 대한 비검색 영역을 예시하면, 오픈 마켓 사이트에서 B 제품의 판매 화면에서, B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판매자 다른 상품 보기' 메뉴를 통해 들어가서 A 제품에 대한 매출이 발생하는 경우이거나, B 제품의 판매 화면에서 하단에 마련된 '관련 상품 보기' 메뉴를 통해 들어가서 A 제품에 대한 매출이 발생하는 경우 등이다.
도 12 및 도 13의 화면예에서, 2022년 5월 2일에서의 구체적인 키워드 검색 영역, 비검색 영역에 대한 통계 자료가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검색 영역에서 '휴대폰거치대', '침대휴대폰거치대', '핸드폰거치대', '스마트폰거치대'의 각 키워드 별 노출수, 클릭수, 광고비, 클릭당 비용, 전환율, BEP, 전환당 비용, 전환 매출액, 광고전환 매출 이익금, 광고전환 매출 순이익금 등의 통계 자료가 표시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의 화면예에서, 검색 영역의 키워드는 '휴대폰거치대', '침대휴대폰거치대', '핸드폰거치대', '스마트폰거치대'인 예시이며, 날짜별 각 키워드에 대한 노출수, 클릭수, 광고비, 클릭당 비용, 전환율, BEP, 전환당 비용, 전환 매출액, 광고전환 매출 이익금, 광고전환 매출 순이익금 등의 통계 자료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함께 비검색 영역의 , 날짜별 각 키워드에 대한 노출수, 클릭수, 광고비, 클릭당 비용, 전환율, BEP, 전환당 비용, 전환 매출액, 광고전환 매출 이익금, 광고전환 매출 순이익금 등의 통계 자료가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비검색 영역은 광고전환매출 순이익금이 6,355원 플러스 상태이고, 검색 영역에서 각 검색 키워드의 광고전환매출 순이익금은 모두 마이너스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날짜별 키워드 검색을 통한 검색 영역의 제품 판매 통계 자료와, 비검색 영역의 제품 판매 통계 자료가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어, 용이하게 통계 자료를 분석하고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판매자 단말(200)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입력되어 사용자가 로그인된 상태에서, 특정 제품에 대한 매출이 발생하면,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광고를 통한 매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광고를 통한 매출이면, 사용자가 설정한 키워드 검색을 통한 매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키워드 검색을 통한 매출이면, 이를 반영한 키워드별 검색 영역 통계를 산출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검색 영역 통계를 산출한다. 광고를 통한 매출이 아니면, 이를 반영한 자연 판매 통계를 산출한다.
도 14는 제품 전체 통계 화면예로서, 도 14의 화면예에서 '로지 파스텔 집게핀 60개 세트' 제품명 항목이 클릭되면, 도 15와 같은 팝업창이 표시된다.
도 15는 화면예에서 '로지 파스텔 집게핀 60개 세트'의 '일별 판매 통계 요’' 팝업창을 예시한 화면예이다.
도 15에서 '2022년 5월 10일' 날짜 옆의 '+'가 클릭되면, 도 16 및 도 17과 같은 화면예가 표시된다.
도 16 및 도 17의 화면예에서 검색 키워드 광고 방식은 소위 '매출 최적화' 방식임이 표시되어 있고, '2022년 5월 10일'에서의 구체적인 검색 영역, 비검색 영역에 대한 통계 자료가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검색 영역에서 '머리집게핀소형', '똑딱핀3cm', '티니핑', '미니똑딱핀1cm', '엉키지않는유아머리끈', '예쁜유아머리핀', '똑딱핀', '큰삼각똑딱핀', '아기머리핀', '여아딱핀', '구디핀', '유아머리핀'의 키워드가 예시되어 있고, 각 키워드에 대한 노출수, 클릭수, 광고비, 클릭당 비용, 전환율, BEP, 전환당 비용, 전환 매출액, 광고전환 매출 이익금, 광고전환 매출 순이익금 등의 통계 자료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광고전환매출 순이익금이 플러스이면 붉은색, 마이너스이면 푸른색으로 표시된다. 도 17에서 '머리집게핀소형' 키워드에 대한 광고전환 매출 순이익금만 3,268원의 플러스 상태이고, 나머지 키워드에 대한 광고전환 매출 순이익금은 모두 마이너스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200 판매자 단말
10 오픈마켓 서버

Claims (5)

  1. 오픈마켓 서버, 판매자 단말 및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판매자 단말과 통신하며, 판매자가 오픈마켓에 등록한 제품을 관리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오픈마켓 서버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검색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제품 판매를 진행하고, 각 검색 키워드에 대한 판매 통계를 산출하는 제1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산출한 판매 통계에서 검색 키워드를 통한 순이익이 플러스 상태인 키워드를 선정하여 키워드 그룹(A)을 생성하고, 생성한 키워드 그룹(A)에 대한 총 순이익을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판매자 단말에 사용자가 직접 키워드를 지정하여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 추가 요청이 있으면, 상기 키워드 그룹(A)에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를 추가한 키워드 그룹(B)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키워드 그룹(B)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제품 판매를 진행하고, 각 검색 키워드에 대한 판매 통계를 산출하고, 상기 키워드 그룹(B)에 대한 총 순이익을 산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키워드 그룹(A)와 상기 키워드 그룹(B)의 순이익을 비교하여 순이익이 더 큰 키워드 그룹을 선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 추가 요청이 없으면, 상기 키워드 그룹(A)을 기반으로 한 제품 판매를 계속 진행하고,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키워드 그룹(B)의 순이익이 더 크면 상기 키워드 그룹(B)를 선정하고, 상기 키워드 그룹(B)를 키워드 그룹(A)로 명칭을 변경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단계 이후,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가 지정한 키워드 추가 요청이 없을 때까지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6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판매자 단말에 제품의 키워드에 대한 순이익을 평가할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판매자 단말로부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의 제품 판매를 진행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품의 키워드에 대한 순이익을 평가할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기간이 설정되면,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오픈마켓 서버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검색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판매를 진행하고, 각 검색 키워드들에 대한 판매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키워드를 선정하여 키워드 그룹(A)를 생성함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준비율만큼 순이익이 큰 순서대로 키워드를 선정하여 키워드 그룹(A)을 생성하고, 이때 판매 진행 결과 순이익이 플러스 상태인 키워드의 수가 상기 기준비율에 미달하면, 상기 기준비율에 해당하는 키워드 수만큼 키워드를 추가하도록 상기 판매자 단말에 키워드를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간대별로 집행할 광고비를 달리하여 설정할 수 있는 광고 금액 관리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오픈마켓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 금액 관리 메뉴에서 설정된 시간대별 광고비에 따라 자동으로 광고비가 집행되도록 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창고 재고, 오픈마켓 재고, 전체 판매수량, 광고 판매수량, 자연 판매수량, 매출, 매출 이익금, 광고 시작일, 집행광고비, 광고 전환매출, 광고 전환매출율, 광고전환매출 이익금, 광고전환매출 순이익금,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율, 순이익금 항목을 포함하는 제품 전체 통계 메뉴를 제공하고,
    여기서, 전체 판매수량은 해당 제품의 전체 판매수량이고, 광고 판매수량은 광고를 통한 해당 제품의 판매수량이고, 자연 판매수량은 광고를 통하지 않은 해당 제품의 판매수량이고, 매출 이익금은 해당 제품의 매출로부터 발생한 이익금을 나타내고, 집행광고비는 해당 제품에 대해 집행한 광고비이고, 광고 전환 매출은 해당 광고를 통해 판매한 제품의 매출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해당 제품의 판매뿐만 아니라 해당 제품의 광고를 통해 판매된 다른 제품의 매출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고, 광고 전환 매출율은 집행광고비 대비 광고 전환매출의 비율을 나타내고, 광고 전환매출 이익금은 해당 광고를 통해 판매된 제품들의 매출로부터 발생한 이익금의 총합을 나타내고,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금은 광고 전환매출 이익금에서 집행광고비를 뺀 금액이고,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율은 집행광고비 대비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금의 비율을 나타내고, 순이익금은 매출이익금에서 집행광고비를 뺀 금액을 나타내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광고 전환매출 이익금,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금, 광고 전환매출 순이익율을 포함하는 제품 전체 통계 보고서를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오픈마켓 서버에서 데이터를 크롤링하여, 입고예정, 창고 재고, 오픈마켓 재고 정보를 포함하는 재고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입력되어 사용자가 로그인된 상태에서, 특정 제품에 대한 매출이 발생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광고를 통한 매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광고를 통한 매출이면, 사용자가 설정한 키워드 검색을 통한 매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키워드 검색을 통한 매출이면, 이를 반영한 키워드별 검색 영역 통계를 산출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검색 영역 통계를 산출하고, 광고를 통한 매출이 아니면, 이를 반영한 자연 판매 통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73709A 2022-06-16 2022-06-16 오픈마켓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 KR102546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709A KR102546899B1 (ko) 2022-06-16 2022-06-16 오픈마켓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709A KR102546899B1 (ko) 2022-06-16 2022-06-16 오픈마켓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899B1 true KR102546899B1 (ko) 2023-06-23

Family

ID=8699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709A KR102546899B1 (ko) 2022-06-16 2022-06-16 오픈마켓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8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877B1 (ko) 2023-12-05 2024-03-11 주식회사 에스지커뮤니케이션 인공지능 기반 상위 키워드 분석을 이용한 계절성 전자제품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74B1 (ko) 2014-05-26 2014-11-26 (주)시엠아이코리아 마케팅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0034A (ko) * 2019-06-24 2021-01-04 정재화 성과 기반의 키워드 광고 자동 입찰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143554A (ko) * 2020-05-20 2021-11-29 (주)컨버전스스퀘어 오픈마켓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키워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9796A (ko) * 2020-10-15 2022-04-22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노출지수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74B1 (ko) 2014-05-26 2014-11-26 (주)시엠아이코리아 마케팅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0034A (ko) * 2019-06-24 2021-01-04 정재화 성과 기반의 키워드 광고 자동 입찰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143554A (ko) * 2020-05-20 2021-11-29 (주)컨버전스스퀘어 오픈마켓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키워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9796A (ko) * 2020-10-15 2022-04-22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노출지수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877B1 (ko) 2023-12-05 2024-03-11 주식회사 에스지커뮤니케이션 인공지능 기반 상위 키워드 분석을 이용한 계절성 전자제품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iman et al. Valuation and management of money-back guarantee options
Huang Optimal retailer's ordering policies in the EOQ model under trade credit financing
US834104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an electronic advertising campaign based on organic content
US84840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nancing promotional services
US20080059298A1 (en) Dynamic keyword auction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20036007A1 (en) Creating, Managing and Optimizing Online Advertising
US200400684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fluencing position of information tags allowing access to on-site information
US8694384B2 (en) Search engine system and method using directories of products and services for facilitating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communication
JP2010503050A (ja) 双方向資源競争および競争情報表示
WO2008024997A2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value of an on-line advertisement campaign
JP2006522963A (ja) オークションに基づくインターネットサーチにおける用語に対してクリック課金の最低価格を決め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74986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Scholz et al. AKEGIS: automatic keyword generation for sponsored search advertising in online retailing
US20150324836A1 (en)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advertisements
KR102546899B1 (ko) 오픈마켓에서 검색 키워드 기반 제품 판매 방법
TW201727551A (zh) 返利機制的管理系統、方法、及其電腦可讀取記錄媒體
JP7140588B2 (ja) 決定装置、決定方法および決定プログラム
US20020169661A1 (en) Virtual discount system
US20150324752A1 (en) Combine local offers, social network, and calendar to provide personalized experience for consumers
JP2004234520A (ja) 広告管理方法
TWM529227U (zh) 多層式消費返利之銷售系統
KR102545604B1 (ko) 오픈마켓 관리 시스템
AU200626159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ffering and selling advertising
CN114445128A (zh) 卡券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20040128244A1 (en) Charging device, charging method, transaction supporting device, and transaction suppor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