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712B1 - 단말, 서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서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712B1
KR102546712B1 KR1020220082451A KR20220082451A KR102546712B1 KR 102546712 B1 KR102546712 B1 KR 102546712B1 KR 1020220082451 A KR1020220082451 A KR 1020220082451A KR 20220082451 A KR20220082451 A KR 20220082451A KR 102546712 B1 KR102546712 B1 KR 102546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authentication key
authentic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진
홍성일
김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챗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챗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챗
Priority to KR102022008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12B1/ko
Priority to PCT/KR2023/006246 priority patent/WO202401020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7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03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selecting, conveying and possibly reading and/or writ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6Markers for unambiguous identification of a particular session, e.g. session cookie or URL-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5Protecting application or service provisioning, e.g. securing SIM application provis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단말이 서비스와 관련된 인증키를 인증 카드에 등록하고, 제2 단말이, 인증키를 인증 카드로부터 획득하며, 인증키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단말, 서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TERMINAL, SERVER,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등록된 인증카드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기술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관련 기술의 발달로, 다수의 단말 간의 채팅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대화 상대를 지정한다. 사용자는 채팅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지정한 대화 상대와 문자,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서로 주고 받는 채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스마트 폰 뿐만 아니라 무선 결제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스마트 폰 등 단말기만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에 탑재된 NFC(near frequency communication) 모듈은 근거리에 태깅된(tagging) 다른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단말기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실행된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별도의 결제 수단(예: 지갑) 없이도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미리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폰과 연동된 별도의 모듈(예: 인증 카드 등)에 서비스에 필요한 서비스 인증을 미리 등록 받아야 한다. 즉, 사용자가 소유한 스마트 폰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설치되어 있어도 사용자 인증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지금 바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말이 단말에 태깅된 인증 카드로부터 획득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인증 받고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단말은,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인증 장치의 접근을 인식하고,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증키를 수신하며, 상기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입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NFC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의 센싱 신호에 기반하여 인증 장치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는 알림창을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창을 통해 인증키 수신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키에 대한 확인 요청 및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인증키가 미리 등록된 인증키와 일치한다는 확인 결과 및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URL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는, 제1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인증키를 발급하고, 상기 제1 인증키를 저장하는 메모리;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요청에 포함된 제2 인증키와 상기 제1 인증키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증키와 상기 제1 인증키를 비교한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증키가 상기 제1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증키가 상기 제1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실행을 위한 푸시 알림을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증키가 상기 제1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증키가 상기 제1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접속을 위한 URL 주소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단말이,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인증키를 인증 카드에 등록하는 단계; 제2 단말이, 상기 인증키를 상기 인증 카드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이, NFC 통신을 통해 상기 인증 카드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인증 카드가 태그되면, 상기 인증 카드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는 알림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알림창을 통해 인증키 수신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인증 카드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인증키에 대한 확인 요청 및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인증키가 미리 등록된 인증키와 일치한다는 확인 결과 및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가, 상기 인증키에 대한 비교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가, 상기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URL 주소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에서 서비스 종료 요청을 전송하면, 상기 서버가,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서비스 이용 내역을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단말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서비스 관련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인증카드를 단순히 단말에 태깅함으로써,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미리 인증받지 못한 서비스에 대해서도 인증카드 및 단말을 통해 쉽게 인증을 획득할 수 있어, 별도의 복잡한 인증 절차 없이도 원하는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사용자 단말 사이에 보안성이 높게 유지되며 사용성이 높은 상호 소통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단말 및 인증카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단말이 인증카드에 인증키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의 서비스 인증 및 어플리케이션 획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이 인증 카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인증 및 어플리케이션을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서비스에 대한 인증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게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9는 인증 카드가 태깅된 경우 단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0은 서비스 제공이 승인된 경우 단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게 오픈 채팅 URL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2는 서버에서 오픈 채팅방 URL이 제공된 경우 단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3은 URL이 선택된 경우 단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4는 제1 단말에서 서비스 해제 시 시스템 전체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도 15는 제1 단말에서 서비스 해제 시 각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설명
이하에서 설명되는 모든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 예들과 다르게 변형되어 다양한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공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기재할 때,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른 것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각 장치에 대한 요약 설명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 인증 시스템'은 단말을 소유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증카드', '제1 단말', '제2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증카드'는 인증키를 저장하는 모듈이며, 인증키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 받기 위해 필요한 인증서 또는 인증정보를 의미/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단말', '제2 단말' 또는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모바일 컴퓨터(mobile PC) 또는 스마트 탭(smart tablet) 등 AP(application processor)가 탑재되며 이동 가능한 단말기가 되거나, 포스(POS: point of sale) 단말, 데스크탑(desktop) PC와 같은 고정형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단말'은 인증카드에 인증키/인증서/인증정보를 등록/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제1 단말'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증키/인증서/인증정보를 미리 등록 받아 저장하고 있는 상태의 단말이다. '제1 단말'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단말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2 단말'은 인증카드로부터 인증키/인증서/인증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제2 단말'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단말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버'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서버'는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에게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증키/인증서/인증정보를 발급하고,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서비스 자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서비스 인증카드 등록 과정 (도 1, 도 2)
도 1 설명
도 1은 제1 단말 및 인증카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카드(10)는 인증키 저장 모듈(11), 프로세서(12) 및 NFC 모듈(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통신부(110), 제어부(120), 입출력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카드의 인증키 저장 모듈(11)은 제1 단말로부터 전달된 인증키(또는 인증서/인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인증키 저장 모듈은 인증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memory) 칩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인증키와 관련된 데이터는 텍스트(비밀번호) 또는 이미지(지문)의 형태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인증카드의 NFC 모듈(13)은 근거리 통신(NFC: near frequency communication)을 수행하기 위한 NFC 칩을 포함할 수 있다. NFC 모듈은 표준에 정의된 근거리 통신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인증카드의 프로세서(12)는 NFC 모듈(13)을 이용하여 제1 단말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신된 인증키를 인증키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단말의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NFC 모듈(111)을 포함할 수 있다. NFC 모듈(111)은 인증카드의 NFC 모듈(13)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증키를 송수신할 수 있다. NFC 모듈은 인증카드와 제1 단말 사이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으며, 거리와 관련된 센싱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단말의 제어부(120)는 NFC 모듈(111)로부터 인증카드와 제1 단말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센싱 신호의 크기에 기반하여 인증카드가 제1 단말에 접근하였는지 여부(태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카드가 제1 단말에 태깅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인증키를 통신부의 NFC 모듈(111)을 통해 인증카드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의 입출력부(13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는 제어부에 의해 실행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서비스 APP)과 관련된 서비스 APP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제1 단말의 메모리(140)는 인증키(141) 및 서비스 APP(142)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서비스 APP을 호출하여 실행시키고, 서비스 APP 화면을 입출력부를 통해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 설명
도 2는 제1 단말이 인증카드에 인증키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21)은 입출력부를 통해 서비스 APP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서비스 APP 화면 또는 미리 설정된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의 서비스 APP 화면 또는 미리 설정된 화면 상에 '서비스 인증키 등록'을 위한 입력이 수신되면, 제1 단말(21)은 서비스 인증키를 인증카드(22)에 등록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은 제1 단말에 저장된 서비스 인증키를 제1 단말의 NFC 모듈을 통해 인증카드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카드는 인증카드 내의 NFC 모듈을 통해 서비스 인증키를 수신하며, 수신된 서비스 인증키를 인증키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단말의 사용자는 제1 단말과 인증카드 사이의 NFC 통신을 이용하여 제1 단말에 저장된 서비스 인증키를 인증카드에 등록/저장할 수 있다.
제1 단말과 다른 단말인 제2 단말은 상기에서 설명한 인증카드로부터 해당 서비스 인증키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한다.
단말의 서비스 인증/앱 획득 과정 (도 3, 도 4, 도 5)
도 3 설명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의 서비스 인증 및 어플리케이션 획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의 서비스 인증 및 어플리케이션 획득 방법(S300)은 S310, S330, S350, S370 및 S390 단계를 포함하며, 상세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제2 단말은 인증카드가 태그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S310).
여기서, 제2 단말이 인증카드의 태그(인증카드가 제2 단말에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은,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단말이 인증카드의 태깅을 인식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이어서, 제2 단말은 태그된 인증 카드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한다(S330).
예를 들어, 제2 단말은 태그된 인증 카드로 근거리 통신(NFC 통신)을 통해 인증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인증 카드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증키를 수신/획득할 수 있다. 제2 단말은 인증 카드로부터 수신한 인증키를 제2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그 다음, 제2 단말은 서버로 서비스 앱에 대한 요청 및 인증키에 대한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350).
제2 단말은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앱)을 서버에 요청하면서, 서비스 인증을 위한 인증키에 대한 확인 요청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은 인증 카드와 태그된 직후, 인증 카드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한 직후 또는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입력을 수신한 직후 상기한 요청들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단말은 서버로부터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앱을 수신할 수 있다(S370).
예를 들어, 제2 단말로부터 서버로 전송된 인증키가 서버에 미리 저장된 인증키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버는 제2 단말로 서비스 앱을 전송할 수 있고, 제2 단말은 서버로부터 서비스 앱을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2 단말은 서비스 앱을 실행하고, 서비스 앱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390).
예를 들어, 제2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앱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서비스 앱 화면을 입출력부를 통해 출력/제공할 수 있다.
도 4 설명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400)은 통신부(410), 제어부(420) 및 입출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의 통신부(410)는 NFC 모듈(411) 및 원거리 통신 모듈(412)을 포함할 수 있다. NFC 모듈(근거리 통신 모듈)은 인증카드(40)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증카드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원거리 통신 모듈은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4)로 인증키를 전송할 수 있고, 서버(4)로부터 서비스 APP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의 제어부(420)는 통신부(410) 및 입출력부(430)의 동작을 제어하며, 통신부를 제어하여 인증카드(40) 및/또는 서버(4)와 서비스 관련 데이터(인증키/서비스 APP)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의 입출력부(430)는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서비스 APP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는 제1 단말의 입출력부와 동일하게 터치 스크린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5 설명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이 인증 카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인증 및 어플리케이션을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53)은 인증카드(52)가 제2 단말에 태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인증카드가 제2 단말에 태그된 것을 감지하면, 제2 단말은 인증카드로 인증키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인증카드로부터 NFC 통신을 통해 서비스를 위한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은 서버(54)로 서비스 APP에 대한 요청 및 인증키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제2 단말로부터의 인증키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키에 대한 인증 결과(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의 판단 결과 제2 단말에서 전송된 인증키가 서버에 미리 저장된 인증키와 동일한 경우, 서버는 제2 단말로 서비스 APP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서비스 APP을 수신하면, 제2 단말은 수신된 서비스 APP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서비스 APP의 화면을 입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서비스 APP이 설치되지 않은 제2 단말에 인증키가 저장된 인증카드를 태깅함으로써 서비스 APP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제2 단말에 인증이 완료된 인증키를 태깅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서비스 인증을 획득할 수 있다.
서버가 상기의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키에 응답하여 서비스 인증 및 서비스 앱을 제2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서버의 서비스 인증/앱 제공 과정 (도 6, 도 7, 도 8)
도 6 설명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서비스에 대한 인증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가 제2 단말에 서비스 인증/앱을 제공하는 방법(S600)은 S610, S630, S650, S651, S670 및 S690 단계를 포함하며, 상세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서버는 제2 단말로부터 서비스 앱에 대한 요청 및 인증키의 확인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610).
이어서, 서버는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키의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30).
그 다음, 서버는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키가 서버에 저장된 사전 등록된 인증키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50). 판단 결과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키가 사전 등록된 인증키와 불일치하면, 서버는 제2 단말로 인증키가 불일치한다는 인증키 확인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651).
판단 결과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키가 사전 등록된 인증키와 일치하면, 서버는 제2 단말로 인증키가 일치한다는 확인 결과 및 서비스 앱을 전송할 수 있다(S670).
그 다음, 서버는 인증카드에 인증키를 저장한 제1 단말을 식별하고, 제2 단말에 서비스 인증/앱을 제공하였다는 푸시 알림을 제1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690).
예를 들어, 서버는 서비스 실행을 위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제1 단말에게 발급한 인증키와 제1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함께 서버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제1 단말에게 발급한 인증키와 동일한 인증키의 확인 요청을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서버는 해당 인증키에 대한 인증 과정 완료 후 이와 관련된 푸시 알림을 제1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 설명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700)는 통신부(710), 제어부(720) 및 메모리(7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의 통신부(710)는 원거리 통신을 통해 제2 단말(7)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하고, 인증키에 대한 확인 결과 및 서비스 APP을 제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의 제어부는 통신부(710)를 제어하여 제1 단말(70)에게 인증키를 발급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제1 단말의 메모리(71)에 발급받은 인증키 및 서비스 APP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의 메모리(730)는 제1 단말에게 발급한 인증키(732) 및 서비스 APP(731)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의 제어부는 통신부(710)를 제어하여 제2 단말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키가 메모리(730)에 저장된 인증키(제1 단말에게 발급한 인증키)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의 제어부는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키가 제1 단말에게 발급한 인증키(메모리에 저장된 인증키)와의 일치하는지 여부를 제2 단말(7) 및 제1 단말(7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8 설명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게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82)로부터 서비스 인증키에 대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800)는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키와 제1 단말에게 발급했던 인증키(서버에 저장된 인증키)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키와 제1 단말에게 발급했던 인증키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서버는 인증키가 일치한다는 인증 결과 및 서비스 APP을 제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키와 제1 단말에게 발급했던 인증키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 서버는 제1 단말(81)에게 인증 결과 푸시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에 대한 서비스 인증/앱이 제공된 후, 서버는 제1 단말(70) 및 제2 단말(7) 모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버는 최초 제1 단말에게 발급했던 인증키와 제2 단말로부터 인증 확인 요청된 인증키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두 인증키가 일치할 경우, 서버는 제2 단말에게 서비스 APP을 전송하고,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은 서비스 인증 및 서비스 실행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각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예 (도 9, 도 10)
도 9 설명
도 9는 인증 카드가 태깅된 경우 단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앱(APP)이 미설치 및/또는 미인증된 제2 단말(920)은 NFC 모듈을 통해 인증카드(9)가 태그(접근)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증카드(9)가 제2 단말(920)에 태그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단말은 인증카드로부터 NFC 통신을 통해 인증카드에 저장/등록된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인증키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서비스 인증/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증카드가 제2 단말에 태그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단말은 제2 단말의 입출력부 상에 '인증카드가 터치되었습니다. 인증키를 수신하시겠습니까?'라는 텍스트 및 '수신'이라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알림창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버튼에 터치가 수신되면, 제2 단말은 해당 터치를 인증키 수신 명령으로 인식하고, 인증카드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에 의해 제2 단말에 서비스 인증/앱이 제공되면, 서버는 제1 단말로 서비스 인증/앱 제공 결과를 제1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서비스 인증/앱 제공 결과를 수신하면, 제1 단말(910)은 입출력부(911) 상에 "PUSH <제2 단말>에 대한 인증이 확인되었습니다. 제2 단말과의 채팅을 시작하시겠습니까? YES NO"라는 텍스트 형태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단말의 입출력부 상에 표시된 'YES' 또는 'NO' 버튼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0 설명
도 10은 서비스 제공이 승인된 경우 단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10)의 입출력부 상에 표시된 푸시 알림 내의 'YES' 버튼(1001)에 터치가 수신되면, 제1 단말(1010) 및 제2 단말(1020)은 서비스 APP을 실행하고, 서비스 APP 화면(1002)을 입출력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에서 오픈 채팅 URL을 수신하는 과정 (도 11, 도 12, 도 13)
도 11 설명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게 오픈 채팅 URL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카드(1101)가 태그된 제2 단말(1120)로부터 서비스 인증키에 대한 확인 요청 및 오픈 채팅방 URL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1130)는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키와 제1 단말에게 발급했던 인증키(서버에 저장된 인증키)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키와 제1 단말에게 발급했던 인증키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서버는 인증키가 일치한다는 제2 단말에 대한 인증 결과 및 오픈 채팅방 URL을 제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제1 단말(1110)에 동일하게 인증 카드(1101)가 태깅되면, 제1 단말은 서버로 오픈 채팅방 URL 요청을 전송한다.
제2 단말에 대한 인증이 완료 되면, 서버는 제1 단말에게 제2 단말 인증 결과를 전송하면서, 오픈 채팅방 URL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2 설명
도 12는 서버에서 오픈 채팅방 URL이 제공된 경우 단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카드(12)가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태깅되면, 제2 단말은 인증 카드로부터 NFC 통신을 통해 인증카드에 저장/등록된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인증키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서비스 인증/URL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은 서버로부터 URL을 수신한 후, 제2 단말의 입출력부(디스플레이) 상에 "제1 단말과의 채팅: http://m.anychat.com"이라는 텍스트 및 URL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제1 단말(1210)에도 인증카드가 태깅되고 제1 단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서버로부터 제2 단말에 대한 인증 결과 및 서비스 URL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제1 단말의 입출력부(디스플레이) 상에 "<제2 단말>에 대한 인증이 확인되었습니다. 제2 단말과의 채팅: http://m.anychat.com"이라는 텍스트 및 URL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 설명
도 13은 URL이 선택된 경우 단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310)의 입출력부 상에 표시된 URL(1311) 및 제2 단말(1320)의 입출력부 상에 표시된 URL(1311)에 터치가 수신되면, 제1 단말(1310) 및 제2 단말(1320)은 오픈 채팅방 URL에 접속하고, 접속 후 서버에서 제공하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오픈 채팅방 창(1302)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단말의 서비스 해제 시 시나리오(도 14, 도 15)
도 14 설명
도 14는 제1 단말에서 서비스 해제 시 시스템 전체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카드에 인증키를 등록한 제1 단말(1410)과 인증 카드를 이용하여 인증 완료한 제2 단말(1420)이 서비스를 함께 이용중인 경우(예: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참여하는 채팅방이 활성화된 상태), 제1 단말은 임의로 서비스 이용을 해제(채팅방 나가기)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서비스 이용의 해제를 입력하면, 제1 단말은 서버(1430)로 서비스 해제 요청(채팅방 나가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1430)는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해제(채팅방을 비활성화)하고, 서비스 데이터(채팅 내역)를 서버 내의 메모리에서 삭제할 수 있다.
도 15 설명
도 15는 제1 단말에서 서비스 해제 시 각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카드에 인증키를 등록한 제1 단말(1510)의 입출력부 상의 대화 창(1511)에는 대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단말과 제2 단말(1520) 사이에서 채팅 서비스가 활성화된 상태라면, 제2 단말의 입출력부의 대화창(1521) 또한 제1 단말과의 대화 내용이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채팅 서비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서비스 종료/해제 버튼(대화방 나가기 버튼)(1512)에 터치를 입력하면, 제1 단말의 대화창(1511) 및 제2 단말의 대화창(1521)에 표시되던 대화 내용이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서비스 종료/해제 버튼에 터치를 입력하면, 제1 단말의 입출력부 하단에는 "채팅 종료되었습니다. 대화 내역은 삭제되었습니다."라는 종료창(1513)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서비스 종료/해제를 요청한 경우, 제2 단말의 입출력부 하단에는 "제2 단말이 채팅을 종료하였습니다. 대화 내역은 삭제되었습니다."라는 종료창(1522)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해석 방법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제1 인증키를 발급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 인증키를 저장하는 제1 단말;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 인증키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저장하는 인증카드; 및
    상기 인증카드로부터 전달된 상기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제2 인증키를 저장하는 제2 단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은,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증카드의 접근을 인식하고, 상기 인증카드로부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입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인증키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인증키와 상기 제1 인증키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인증키가 상기 제1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접속을 위한 URL 주소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URL 주소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오픈 채팅방을 개설하기 위한 것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NFC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모듈의 센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카드의 접근을 인식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카드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는 알림창을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창을 통해 인증키 수신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인증카드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키에 대한 확인 요청 및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인증키가 미리 등록된 인증키와 일치한다는 확인 결과 및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는 상기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URL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제1 인증키를 발급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 인증키를 저장하는 제1 단말;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 인증키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저장하는 인증카드; 및
    상기 인증카드로부터 전달된 상기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제2 인증키를 저장하는 제2 단말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인증키를 발급하고, 상기 제1 인증키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요청에 포함된 제2 인증키와 상기 제1 인증키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증키가 상기 제1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접속을 위한 URL 주소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URL 주소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오픈 채팅방을 개설하기 위한 것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증키와 상기 제1 인증키를 비교한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증키가 상기 제1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증키가 상기 제1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실행을 위한 푸시 알림을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증키가 상기 제1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삭제
  14.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인증키를 인증 카드에 등록하는 단계;
    제2 단말이, 상기 인증키를 상기 인증 카드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URL 주소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RL 주소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오픈 채팅방을 개설하기 위한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NFC 통신을 통해 상기 인증 카드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인증 카드가 태그되면, 상기 인증 카드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는 알림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알림창을 통해 인증키 수신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인증 카드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인증키에 대한 확인 요청 및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인증키가 미리 등록된 인증키와 일치한다는 확인 결과 및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인증키에 대한 비교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삭제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에서 서비스 종료 요청을 전송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서비스 이용 내역을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082451A 2022-07-05 2022-07-05 단말, 서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4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451A KR102546712B1 (ko) 2022-07-05 2022-07-05 단말, 서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23/006246 WO2024010201A1 (ko) 2022-07-05 2023-05-09 단말, 서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451A KR102546712B1 (ko) 2022-07-05 2022-07-05 단말, 서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712B1 true KR102546712B1 (ko) 2023-06-22

Family

ID=8698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451A KR102546712B1 (ko) 2022-07-05 2022-07-05 단말, 서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6712B1 (ko)
WO (1) WO202401020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135B1 (ko) * 2011-09-19 2012-12-18 에이큐 주식회사 일회용 엔에프씨 결제카드 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9203A (ko) * 2012-04-23 2013-10-31 유비벨록스(주) Nfc카드를 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과 이동통신시스템의 로그인 방법
KR20180015920A (ko) * 2016-08-04 2018-02-14 (주)인더스웰 Nfc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다중 사이트 로그인 서비스 장치
KR20200013494A (ko) * 2018-07-30 2020-02-07 엔에이치엔한국사이버결제 주식회사 사용자가 소지한 금융 카드 기반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875A (ko) * 2014-03-20 2015-10-05 주식회사 브이아이씨씨 스마트 카드 인증 및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135B1 (ko) * 2011-09-19 2012-12-18 에이큐 주식회사 일회용 엔에프씨 결제카드 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9203A (ko) * 2012-04-23 2013-10-31 유비벨록스(주) Nfc카드를 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과 이동통신시스템의 로그인 방법
KR20180015920A (ko) * 2016-08-04 2018-02-14 (주)인더스웰 Nfc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다중 사이트 로그인 서비스 장치
KR20200013494A (ko) * 2018-07-30 2020-02-07 엔에이치엔한국사이버결제 주식회사 사용자가 소지한 금융 카드 기반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0201A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44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on information by using image on device display
US112324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transaction request from device
KR102174437B1 (ko) 화면 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터랙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112106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ash redemption to a third party
CN105306204B (zh) 安全验证方法、装置及系统
US20150325067A1 (en)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16504690A (ja) 決済方式の選択のための決済デバイス制御方法
KR101512127B1 (ko) Nfc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40017297A (ko) 금융 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953837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terminal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terminal thereof
KR101445137B1 (ko) 근거리 통신 기반 스마트 카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CN106503986B (zh) 虚拟资源转移方法及装置
KR20130128924A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품을 결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46712B1 (ko) 단말, 서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98279B1 (ko)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JP6293975B2 (ja) 使用履歴を表示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KR201101318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이체 서비스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170039464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조명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00053752A (ko) 자동 완성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154740B1 (ko) 디바이스로부터의 결제 요청을 인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33124A (ko) 앱 로그인 없이 포인트 적립이 가능한 가상 계좌를 사용한 포인트 적립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29859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431366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627327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431305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