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637B1 -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637B1
KR102546637B1 KR1020160100147A KR20160100147A KR102546637B1 KR 102546637 B1 KR102546637 B1 KR 102546637B1 KR 1020160100147 A KR1020160100147 A KR 1020160100147A KR 20160100147 A KR20160100147 A KR 20160100147A KR 102546637 B1 KR102546637 B1 KR 102546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unlicensed band
subframes
information
transmission bur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597A (ko
Inventor
엄중선
유성진
정회윤
박승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274,55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10428B2/en
Publication of KR2017003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1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using small cells within macro cells, e.g. femto, pico or micro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Abstract

통신 노드는 비면허대역의 채널 점유 상태를 고려하여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구성하고,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비면허대역을 통해 전송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나머지 서브프레임과 다른 타입을 가진다.

Description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FRAME OF UNLICENSED BAND}
본 발명은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면허대역 셀의 프레임 구조를 유연하게 구성하고, 구성된 프레임 구조를 시그널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무선 통신 기술은 사용 대역에 따라 크게 면허대역(licensed band)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과 비면허대역(unlicensed band)[예를 들어,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허대역의 사용권은 한 사업자(operator)에게 독점적으로 주어지므로, 면허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은 비면허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에 비해 더 나은 신뢰성과 통신 품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면허대역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있으며, LTE를 지원하는 기지국(base station, NodeB, NB) 및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각각은 면허대역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비면허대역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IEEE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이 있으며, WLAN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및 스테이션(station, STA) 각각은 비면허대역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모바일 트래픽(mobile traffic)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면허대역을 통해 모바일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면허대역의 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면허대역은 유한하고, 면허대역은 사업자들간의 주파수 대역 경매 등을 통해 확보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면허대역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소모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비면허대역을 통해 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을 통해서 구성되는 비면허대역 셀은 기존의 면허대역 셀과 다른 특징을 가진다. 기회주의적으로 채널을 점유하며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채널을 점유할 수 없다. 또한 면허대역과 다르게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 문제가 없어 새로운 구조의 서브프레임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면허대역 셀의 프레임 구조는 면허대역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비면허대역을 통해 면허대역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비면허대역 프레임의 구조를 단말이 인지할 수 있도록 시그널링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노드에서 비면허대역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은 비면허대역의 채널 점유 상태를 고려하여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구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비면허대역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는 연속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나머지 서브프레임과 다른 타입의 서브프레임이다.
상기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은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시작 위치에 비면허대역 신호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보다 짧은 시간 길이를 가지는 부분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 서브프레임은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의 시간 길이 중에서 처음 또는 마지막 일부 시간 동안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 심볼과 존재하지 않는 심볼이 혼합된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비면허대역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다중화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만으로 구성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가 포함된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은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구성하는 서브프레임들의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서브프레임에 구성되는 CRS가 포함된 심볼의 수,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부분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심볼 수,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 현재 전송되고 있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가 종료된 이후 제어채널 영역을 모니터링하지 않아도 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현재 전송되고 있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남은 서브프레임 수, 다음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CSI-IM(Channel State Information-Interference Measurement)의 구성 여부, CRS/CSI-RS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하는 단계는 상향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용으로 정의되는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비면허대역 셀과 관련된 U-RNTI(Unlicensed 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및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하는 단계는 PHICH 그룹, PHICH 시퀀스 및 PHICH 정보 비트 중 하나의 이상의 조합으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노드의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장치가 제공된다.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장치는 프로세서, 그리고 송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비면허대역의 채널 점유 상태를 확인하여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연속하여 전송하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구성하며,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들의 정보를 알리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 장치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 및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나머지 서브프레임과 다른 타입의 서브프레임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가 포함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은 상기 동기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비면허대역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다중화되어 있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은 동기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보다 짧은 시간 길이를 가지는 부분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서브프레임에 구성되는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가 포함된 심볼의 수,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부분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심볼 수,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 현재 전송되고 있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가 종료된 이후 제어채널 영역을 모니터링하지 않아도 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현재 전송되고 있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남은 서브프레임 수, 다음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CSI-IM(Channel State Information-Interference Measurement)의 구성 여부, CRS/CSI-RS의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향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용으로 정의되는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비면허대역 셀과 관련된 U-RNTI(Unlicensed 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및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여러 타입의 비면허대역 서브프레임 구조와 해당 서브프레임 구조를 단말이 인지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제공함으로써, 비면허대역 셀의 프레임 구조를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셀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셀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만으로 구성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DRS와 PDSCH가 다중화된 서브프레임이 포함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RS가 포함된 심볼과 CRS가 포함되지 않은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이 포함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SS/SSS가 포함되지 않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또 다른 일 예로서, PSS/SSS가 포함된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인덱스 0과 5와 다른 서브프레임 인덱스에서 전송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to 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메트로 기지국(met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등]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설명하며, 본 실시 예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기지국(110)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LTE-U(unlicensed)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은 면허대역(licensed band)(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다른 기지국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20) 및 제3 기지국(130)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지국(120)은 제1 기지국(110)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20)은 비면허대역(unlicensed band)(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30)은 제1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30)은 비면허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20) 및 제3 기지국(130) 각각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 및 제1 기지국(110)에 접속된 단말(미도시) 각각은 면허대역(F1)과 비면허대역(F3) 간의 CA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기지국(210) 및 제2 기지국(220) 각각은 셀룰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 및 제2 기지국(220) 각각은 MIMO(예를 들어, SU-MIMO, MU-MIMO, 대규모 MIMO 등), CoMP, C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 및 제2 기지국(220) 각각은 면허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 및 제2 기지국(220) 각각은 매크로 셀을 형성하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3 기지국(2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지국(22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4 기지국(2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기지국(230)은 제1 기지국(2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기지국(230)은 비면허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240)은 제2 기지국(22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기지국(240)은 비면허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230) 및 제4 기지국(240) 각각은 IEEE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 제1 기지국(210)에 접속된 단말, 제2 기지국(220) 및 제2 기지국(220)에 접속된 단말 각각은 면허대역(F1)과 비면허대역(F3) 간의 CA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기지국(310), 제2 기지국(320) 및 제3 기지국(330) 각각은 셀룰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310), 제2 기지국(320) 및 제3 기지국(330) 각각은 MIMO, CoMP, C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310)은 면허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매크로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31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다른 기지국 예를 들어, 제2 기지국(320), 제3 기지국(330)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지국(320)은 제1 기지국(3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지국(320)은 면허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330)은 제1 기지국(3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기지국(330)은 면허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32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4 기지국(3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기지국(340)은 제2 기지국(32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기지국(340)은 비면허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33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5 기지국(350)과 연결될 수 있다. 제5 기지국(350)은 제3 기지국(33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기지국(350)은 비면허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340) 및 제5 기지국(350) 각각은 IEEE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310), 제1 기지국(310)에 접속된 단말(미도시), 제2 기지국(320), 제2 기지국(320)에 접속된 단말(미도시), 제3 기지국(330) 및 제3 기지국(330)에 접속된 단말(미도시) 각각은 면허대역(F1)과 비면허대역(F3) 간의 CA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기지국(410), 제2 기지국(420) 및 제3 기지국(430) 각각은 셀룰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410), 제2 기지국(420) 및 제3 기지국(430) 각각은 MIMO, CoMP, C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410)은 면허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매크로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41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다른 기지국 예를 들어, 제2 기지국(420), 제3 기지국(430)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은 제1 기지국(4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은 면허대역(F2)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430)은 제1 기지국(4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기지국(430)은 면허대역(F2)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 및 제3 기지국(430) 각각은 제1 기지국(410)이 동작하는 면허대역(F1)과 다른 면허대역(F2)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4 기지국(4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기지국(440)은 제2 기지국(42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기지국(440)은 비면허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43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5 기지국(450)과 연결될 수 있다. 제5 기지국(450)은 제3 기지국(43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기지국(450)은 비면허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440) 및 제5 기지국(450) 각각은 IEEE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410) 및 제1 기지국(410)에 접속된 단말(미도시) 각각은 면허대역(F1)과 비면허대역(F3) 간의 CA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 제2 기지국(420)에 접속된 단말(미도시), 제3 기지국(430) 및 제3 기지국(430)에 접속된 단말(미도시) 각각은 면허대역(F2)과 비면허대역(F3) 간의 CA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 즉, 기지국과 단말 등은 비면허대역에서 LBT(listen before talk) 절차에 기초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LBT에 따르면, 통신 노드는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비면허대역의 채널 점유 상태를 확인하고, 채널이 비점유(idle) 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통신 노드는 랜덤 백오프(random backoff) 동작에 따른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동안 채널이 비점유 상태인 경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통신 노드는 채널이 점유(busy) 상태로 판단되면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채널 상태 확인(Clear Channel Assessment, CCA)의 기본 단위는 슬롯으로 정의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고정된 길이의 CCA 또는 고정된 수의 슬롯 동안 채널의 점유 상태를 확인하여 채널이 비점유 상태에 있는 경우에 채널을 점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통신 노드는 랜덤하게 양의 정수를 선택하고, 선택된 값의 슬롯 수만큼 채널 점유 상태를 확인하여 채널이 비점유 상태에 있는 경우 채널을 점유할 수 있다. 이때 랜덤한 값을 선택하는 범위는 충돌 윈도우(Contention Window)로 정의된다. 여기서, 충돌 윈도우의 크기는 고정된 값으로 정의되거나 가변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가변 값으로 정의되는 경우 충돌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하는 기준이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가변 값 변경 기준의 일 예로 사용하고자 하는 채널의 점유 상태 정보(예를 들면, 일정 레벨 이상의 신호가 존재하는 시간 또는 비율 또는 점유율 등),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는 통신 노드의 수, 수신 에러 정보(예를 들면, ACK/NACK), 충돌정보, 타 통신 노드의 검출 정보 등의 여러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충돌 윈도우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CSAT(carrier sensing adaptive transmission) 절차에 기초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 노드는 미리 설정된 듀티 사이클(duty cycle)에 기초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현재 듀티 사이클이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를 위해 할당된 듀티 사이클인 경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통신 노드는 현재 듀티 사이클이 셀룰러 통신 외의 통신(예를 들어, WLAN 등)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를 위해 할당된 듀티 사이클인 경우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듀티 사이클은 비면허대역에 존재하는 WLAN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의 수, 비면허대역의 사용 상태 등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비면허대역에서 비연속 전송(discontinuous transmission)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면허대역에서 최대 전송 기간(maximum transmission duration) 또는 최대 채널 점유시간(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 maximum COT) 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통신 노드는 최대 전송 기간 내에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현재 최대 전송 기간 내에 신호를 모두 전송하지 못한 경우 다음 최대 전송 기간에서 나머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는 비면허대역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간섭을 가지는 반송파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반송파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는 비면허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다른 통신 노드로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송신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노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5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50), 저장 장치(5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5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5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 및 저장 장치(5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520) 및 저장 장치(5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들을 설명한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대표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인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1ms 길이를 가지는 10개의 서브프레임(#0~#9)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최소 시간 단위로 사용되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즉, TTI는 1ms의 시간 길이를 가진다.
서브프레임(#0~#9)은 각각 2개의 슬롯(#S0, #S1)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슬롯(#S0, #S1)은 0.5ms의 길이를 가진다. 슬롯(#S0, #S1)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하나의 RB는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심볼은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심볼, OFDMA 심볼, SC-FDMA 심볼 등으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채널 대역폭이나 CP(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normal) 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개의 심볼을 포함하나, 확장(extended) 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제어 채널 영역(control channel region)과 데이터 채널 영역(data channel region)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면허대역 셀의 제어 채널 영역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Indicator Channel) 등이 할당될 수 있다. 데이터 채널 영역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한다. 데이터 채널 영역의 일부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될 수 있다. PDCCH는 PDSCH의 자원 할당 및 PUSCH의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한다.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심볼에는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심볼 개수 정보를 전송하는 PCFICH가 포함된다. 또한 제어 채널 영역에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응답 정보인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ACK(acknowledgment/negative-acknowledgment) 신호를 전송하는 PHICH가 포함될 수 있다. PDCCH와 EPDCCH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DCI는 단말 및 다수 단말 그룹을 위한 자원할당정보 또는 자원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CI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정보, 상향링크 전송전력제어명령(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DCCH 또는 E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는 정보 필드의 종류와 개수, 각 정보 필드의 비트 수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포맷을 갖는다. DCI 포맷 0, 3, 3A는 상향링크용으로 정의되며, DCI 포맷 1, 1A, 1B, 1C, 1D, 2, 2A, 2B, 2C 등의 포맷이 하향링크용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각 DCI 포맷에는 반송파 지시자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CIF), RB 할당(assignment), MCS(modulation coding scheme), RV(redundancy version), NDI(new data indicator), TPC(transmit power control), HARQ 프로세스 번호,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확인(confirmation), 호핑 플래그(hopping flag), 플래그 필드(Flag field) 등의 정보가 포맷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따라서, DCI 포맷에 맞는 제어정보의 크기(size)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두 종류 이상의 제어정보 전송에 동일한 DCI 포맷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DCI 포맷 플래그 필드에 의해 제어정보가 구분된다. 표 1은 각 DCI 포맷에 포함된 정보를 요약한 것이다.
Figure 112016076371320-pat00001
(E)PDCCH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E)CCE[(Enhanced) Consecutive Control Channel Element)의 집합(Aggregation)에 전송된다. (E)CCE는 논리적 할당 단위로써 복수의 REG(Resource Element Group)으로 구성된다. (E)PDCCH에 전송되는 비트 수는 (E)CCE의 개수와 (E)CCE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율 사이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DCI 포맷에 따라 (E)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에는 에러검출(Error Detection)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부착된다. CRC는 (E)PDCCH 수신 대상(단말 등)이나 용도에 따라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가 마스킹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E)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에는 RNTI로 스크램블된 CRC가 부착된다.
RNTI의 종류와 해당 값은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6076371320-pat00002
각 RNTI에 대한 용도는 표 3과 같다.
Figure 112016076371320-pat00003
비면허대역 셀과 관련된 식별자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비면허대역 셀과 관련된 식별자를 U-RNTI(Unlicensed Cell-RNTI)로 명명한다. U-RNTI는 비면허대역 셀 정보에 따라서 다르게 명명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셀은 비면허대역을 통해서 구성되는 셀을 의미한다.
U-RNTI로 스크램블된 CRC를 포함하는 (E)PDCCH는 PDCCH 공통탐색공간(Common Search Space)에 전송되거나, 단말특정탐색공간(UE-Specific Search Space)에 전송될 수 있다. 각 탐색공간에서 실제 전송되는 (E)PDCCH 위치는 CCE의 집성 레벨(Aggregation level)과 U-RNTI 값을 통해 계산되는 (E)CCE 인덱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단말은 수학식 1을 통하여 전체 탐색공간 중 (E)PDCCH를 모니터링할 CCE들의 후보 위치
Figure 112016076371320-pat00004
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6076371320-pat00005
수학식 1에서, NCCE,k는 k 서브프레임의 CCE의 전체 수이며, L은 집성 레벨로 1, 2, 4 또는 8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비면허대역 셀의 부분서브프레임에 전송되는 (E)PDCCH를 구성하는 CCE 집성 레벨은 8 보다 큰 16 또는 32의 값을 가질 수 있다. m'는 주어진 탐색공간에서 모니터링할 PDCCH 후보 전체 수 M(L)-1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다. Yk는 공통탐색공간에서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Yk는 RNTI 값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 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셀의 경우 Yk는 U-RNTI 값이 될 수 있다.
U-RNTI 값은 사용 용도에 따라 단말 특정으로 할당되거나 기지국 또는 비면허대역 셀의 공통 값(또는 예비 값)으로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U-RNTI 값이 단말 특정으로 할당되는 경우, 비면허대역 셀을 새로 추가/구성하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U-RNTI 값에 대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셀은 면허대역 셀과 CA하여 운용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셀의 구성(configuration), 추가(Add), 수정(Modify), 또는 해제(Release)는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면, 비면허대역 셀의 구성, 추가, 수정, 또는 해제는 RRC 연결 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RRC 메시지는 면허대역 셀로부터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RRC 메시지에는 비면허대역 셀 운용 및 동작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U-RNTI 값이 기지국 또는 비면허대역 셀의 공통 값으로 지정되는 경우, U-RNTI는 기지국에서 구성할 수 있는 비면허대역 셀들의 구성/시스템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U-RNTI값은 SI-RNTI 값과 같이 사전에 지정되어 있거나,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U-RNTI는 비면허대역 셀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가지며,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U-RNTI 값은 비면허대역 셀을 S셀(Secondary cell)로 새로 구성하는 절차에서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U-RNTI는 서로 다른 비면허대역 셀의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U-RNTI는 비면허대역 셀의 동적(Dynamic)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U-RNTI 값은 용도 또는 (E)PDCCH를 수신해야 하는 대상에 따라 다르게 지정될 수 있다. 즉, 셀 공통의 셀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U-RNTI가 정의되거나 각 단말에 특정된 셀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U-RNTI가 정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셀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단말은 기지국과의 초기 RRC 연결/구성 절차(RRC connection/configuration procedure)를 통해서 연결을 맺은 P셀(primary cell) 외에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절차를 통한 S셀(Secondary cell) 추가/해제(addition/release)를 수행할 수 있다(S710).
추가되는 비면허대역 S셀은 처음에는 비활성상태(Deactivated state)에 있게 된다. 이후 S셀이 활성상태(Activated State)로 전환됨에 따라 비면허대역 S셀에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면허대역 S셀에 대한 활성상태로의 전환은 활성/비활성 MAC CE(Control Element) 시그널링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MAC CE의 S셀 인덱스를 0에서 1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S셀의 상태가 활성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활성상태에서 비활성상태로의 전환은 MAC CE의 S셀 인덱스를 다시 0으로 변경하거나 RRC 메시지인 MAC-MainConfig 메시지의 S셀 비활성화 시간(Scell Deactivation Time) 필드 값에 의해서 설정된 타이머가 종료되면(expired) 이루어질 수 있다. S셀 비활성화 시간은 20, 40, 80, 160, 320, 640, 또는 1280ms로 설정이 가능하다. 만약 MAC-MainConfig 메시지에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가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단말은 대응되는 타이머의 값을 무한대(infinity)로 가정할 수 있다.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 값은 모든 S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n번째 서브프레임에 활성화 MAC CE를 수신한 단말은 해당 셀의 (n+8)번째 서브프레임에서부터 S셀 비활성화 타이머를 시작(start, S셀 활성화) 또는 재시작(restart, S셀 재활성화)한다. 이후 활성화된 S셀의 상향링크나 하향링크 자원 스케줄링(Self-Scheduling or Cross-Carrier Scheduling)을 위한 (E)PDCCH를 수신할 때마다 단말은 S셀 비활성화 타이머를 재시작한다. 단말은 n번째 서브프레임에 비활성화 MAC CE를 수신하거나 단말의 S셀 비활성화 타이머가 종료되면, (n+8)번째 서브프레임 전까지 해당 셀을 비활성화 한다.
비면허대역 셀에 대한 활성상태/비활성상태의 전환은 면허대역 S셀과 같이 활성화/비활성화 MAC C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지국은 활성화/비활성화 MAC CE를 단말로 전송함으로써(S720), 해당 비면허대역 셀에 대한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모든 S셀에 적용되는 S셀 비활성화 시간 타이머가 종료되면, 모든 S셀은 비활성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활성화된 동일 비면허대역 채널의 다른 무선기기의 상황에 따라 정의된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의 값까지 단말이 (E)PDCCH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이머가 종료되면 다시 활성화 절차가 요구된다. 따라서 비면허대역 S셀을 위한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 값은 다음에 정의한 방법 중 하나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 값은 면허대역 S셀에 없는 비면허대역 S셀 비활성화 타이머의 최소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 값은 Mac-MainConfig 메시지에 정의된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 값의 정수 배로 정의되거나 비면허대역의 S셀만을 위한 새로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정의되거나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 값과 상관없이 비면허대역 S셀에 대해서는 무한대로 정의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S셀 비활성화 타이머의 최소값이 정의되는 경우, 고정된 최소값이 사전에 정의되거나 RRC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들에게 최소값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사전에 정의된 최소값 또는 시그널링된 S셀 비활성화 타이머의 최소값과 MAC-MainConfig 메시지의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 값을 비교하여 더 큰 값을 비면허대역 S셀 비활성화 타이머의 시작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비면허대역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 값이 Mac-MainConfig 메시지에 정의된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 값의 정수 배로 정의되는 경우, 해당 정수 값이 고정된 값으로 사전에 정의되거나 RRC 시그널링으로 단말들에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비면허대역 S셀 비활성화 타이머의 시작 시간을 Mac-MainConfig 메시지에 정의된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 값의 정수 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비면허대역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 값이 비면허대역 셀을 위한 새로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정의되는 경우, 면허대역 셀 또는 비면허대역 셀에서 비면허대역 S셀 비활성화 타이머의 초기값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들에게 전송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S셀 비활성화 시간 필드 값이 무한대로 정의되는 경우, 단말은 면허대역 셀 또는 비면허대역 셀에서 전송된 비활성화 MAC CE에 따라 비면허대역 S셀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비면허대역 셀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전환은 기존 면허대역과 다르게 MAC CE를 이용하지 않고 (E)PDCCH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셀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비면허대역 셀의 하향링크 스케줄링은 다음 정의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셀의 n번째 서브프레임의 PDSCH 자원 정보는 동일한 비면허대역 셀의 n번째 서브프레임의 (E)PD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비면허대역 셀의 n번째 서브프레임의 (E)PDCCH를 통해 비면허대역 셀의 n번째 서브프레임의 PDSCH 자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810).
단말은 PDSCH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비면허대역 셀의 n번째 서브프레임의 PDSCH를 수신할 수 있다(S820).
다른 방법으로는 면허대역 셀의 n번째 서브프레임의 (E)PDCCH에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 방법으로 비면허대역 셀의 n번째 서브프레임에 구성되는 PDSCH 자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향링크 스케줄링과 관련해서는 면허대역 셀 또는 비면허대역 셀의 n번째 서브프레임에 구성된 (E)PDCCH가 (n+4)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PUSCH 그랜트(Grant) 관련 DCI 0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스케줄링된 (n+4)번째 서브프레임이 다른 WLAN이나 다른 비면허대역 셀의 통신 노드에 의해 점유되어 있으면 다음 방법들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비면허대역 셀은 다른 통신 사업자의 비면허대역 셀을 의미한다.
제1 방법으로, 단말은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된 (n+4)번째 서브프레임이 다른 신호에 의하여 점유되어 있으면 상향링크 전송을 포기하고 새로운 DCI 0를 포함하고 있는 (E)PDCCH 수신을 기다린다.
제2 방법으로, 단말은 (n+4)번째 서브프레임부터 (n+4+NUL_Window)번째 서브프레임까지 채널 상태를 판별하여 해당 채널이 비점유(idle) 상태가 되면 상향링크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0보다 크고 NUL_Window보다 작은 m에 대하여, (n+ 4+m)번째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정보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 전송된 (E)PDCCH의 DCI 0의 정보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NUL_Window 값은 RRC 시그널링 예를 들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또는 다른 RRC 메시지 또는 새로운 비면허대역 관리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NUL_Window 값은 0을 포함한 양의 정수 값이다. 예를 들어, NUL_Window 값이 0이고 (n+4)번째 서브프레임이 다른 WLAN이나 다른 LTE 비면허대역 셀의 통신 노드에 의해 점유되어 있으면 단말은 (n+4)번째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 전송을 포기하고 새로운 DCI 0를 포함하고 있는 (E)PDCCH 수신을 대기한다. 즉, 제2 방법은 제1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NUL_Window 값이 RRC 시그널링되지 않는 방법으로는 비면허대역 셀에 대한 최대전송기간 또는 최대 채널 점유시간을 넘지 않는 최대 정수 값으로 결정되거나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면허대역 셀과 다르게 비면허대역 셀은 최대전송시간 기술기준조건에 의해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된다. 만약 채널점유상태 확인 후 전송을 하는 기술기준을 준수해야 하는 경우 단말은 타 통신 노드의 전송이 끝날 때까지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비면허대역 셀의 전송은 비주기적, 비연속적, 기회주의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비면허대역 셀의 특징에 따라 비면허대역 셀에서 기지국 또는 단말이 일정 시간 동안 연속하여 전송하는 것을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Unlicensed band Transmission Burst)라고 정의한다.
통신 노드는 비면허대역 셀의 점유 상태를 확인하고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구성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신 노드는 기지국 또는 단말일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는 최소한 비면허대역 서브프레임들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비면허대역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신호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시작 부분에 존재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신호는 채널 점유, 자동이득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 시간 및 주파수 동기, 셀 확인(Cell Identifier),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길이 중 하나 이상의 목적을 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서브프레임은 면허대역에서의 일반적인 서브프레임이거나 비면허대역에서 정의되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구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면허대역에서의 일반적인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DL-1, DL-2, UL-1)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DL-1)은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나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의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가 포함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서브프레임(DL-2)은 PSS나 SSS의 동기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서브프레임(UL-1)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와 PUSCH가 포함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서브프레임(DL-1, DL-2) 등과 같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는 셀 특정 기준 신호(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가 포함될 수 있다. CRS는 셀 내 모든 단말에게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비면허대역에서 정의되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PF-1, PE-1, PE-2, DRS-1, DLM-1, SSL-1, UL-2)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PF-1, PE-1, PE-2)은 1ms의 TTI보다 짧은 TTI를 가지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이하, 1ms의 TTI보다 짧은 TTI를 가지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PF-1, PE-1, PE-2)을 부분 서브프레임이라 한다.
부분 서브프레임(PF-1)은 TTI의 처음 임의의 N개 심볼이 전송되지 않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구조는 프레임 타입 2의 스페셜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 중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구조의 심볼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1ms의 TTI에 DwPTS의 하향링크 구간과 UpPTS(Uplink pilot timeslot)의 상향링크 구간으로 구성된다. 또한 DwPTS와 UpPTS 사이에 신호의 왕복전파시간(Round Trip Delay)을 고려한 보호구간(Guard Period)이 포함되어 있다.
부분 서브프레임(PE-1)은 TTI의 마지막 임의의 M개 심볼이 전송되지 않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구조는 프레임 타입 2의 스페셜 서브프레임 중 DwPTS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DwPTS 구조 중 3개의 심볼로 구성된 DwPTS 구조는 제외될 수 있다.
부분 서브프레임(PE-2)은 TTI의 마지막 심볼 중 일정시간 동안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신호가 없는 일정 시간은 16us, 25us나 34us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신호가 없는 일정 시간에는 기지국이 시그널링 해주는 백오프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심볼은 앞선 심볼의 포스트픽스(Postfix)로 구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DRS-1)은 비면허대역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와 PDSCH가 다중화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비면허대역 DRS라 함은 릴리즈(Release) 12의 DRS와 다르게 비면허대역 셀 환경에 적합하도록 새로운 패턴의 기준 신호 즉, CRS와 PSS/SSS로 구성된 DRS가 될 수 있다. 셀에 연결된 단말은 DRS가 전송되는 시점 또는 주기[DMTC(DRS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 주기] 정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비면허대역 DRS가 포함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해 기존의 면허대역의 일반적 서브프레임의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과 다른 레이트 매칭으로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DLM-1)은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과 같은 구조로 TTI 중 처음 하나 또는 두 개의 심볼에는 CRS가 포함되고 나머지 심볼에는 CRS가 포함되지 않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CRS가 포함되지 않은 구간의 PDSCH는 DMRS를 이용한 전송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CRS 구성에 따른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서브프레임(PF-1, PE-1, PE-2, DRS-1, DLM-1) 등과 같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는 CRS가 포함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SSL-1)은 하향링크 심볼과 상향링크 심볼이 동시에 구성된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사이의 간격은 고정된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된 시간은 16us, 25us나 34us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사이의 간격에는 기지국이 시그널링해 주는 백오프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상향링크 신호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이나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UL-2)은 PUCCH 만으로 구성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서브프레임이 PUCCH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보다는 제어신호의 성격이 강하므로 하향링크 이후 채널 점유 확인(LBT)없이 고정된 시간 간격 이후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된 시간은 16us, 25us나 34us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만으로 구성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010, 1020, 1110, 1120)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보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010, 1020)는 서브프레임(DL-1, DL-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이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10개의 서브프레임이 순차적으로 0에서 9까지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가진다. 이때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010)는 서브프레임 인덱스 0, 1 및 2인 3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020)는 서브프레임 인덱스 4, 5, 6 및 7인 4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010, 1020)에서 서브프레임(DL-1)은 서브프레임 인덱스 0 및 서브프레임 인덱스 5에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비면허대역 신호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010)와 같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010)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020)와 같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0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1을 보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110)는 서브프레임(DL-1, DL-2, PF-1)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인덱스 0에는 서브프레임(DL-1)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110)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위치에는 서브프레임(PE-1)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120)는 서브프레임(DL-2, PF-1, PE-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120)에는 PSS/SSS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120)의 맨 앞 서브프레임 위치에는 서브프레임(PF-1)이 구성될 수 있고,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120)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위치에는 서브프레임(PE-1)이 구성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신호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110)와 같이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고,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120)와 같이 서브프레임(PF-1)의 처음 임의의 N개 심볼 중 일부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 내 서브프레임 인덱스 0 및 5에는 PSS/SSS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PSS/SSS의 심볼 수 또는 CRS의 포트 수가 릴리즈 12의 DRS에서의 PSS/SSS의 심볼 수 또는 CRS의 포트 수보다 많거나 같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프레임 인덱스 0 및 5의 CRS 포트 수는 비면허대역 DRS의 CRS 포트 수보다 같거나 많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DRS와 PDSCH가 다중화된 서브프레임이 포함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210, 1220)는 서브프레임(DRS-1, DL-2, PF-1)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210)에서, 하나의 프레임 내 서브프레임 인덱스 0에는 서브프레임(DRS-1)이 구성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DRS-1) 직전에 서브프레임(DL-2)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인덱스 1 및 2에 서브프레임(DL-2)이 구성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220)는 서브프레임 인덱스 5, 6 및 7인 3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DMTC 주기에 따라 서브프레임(DRS-1)이 서브프레임 인덱스 5에 전송되어야 하는데, LBT 수행에 따라 서브프레임 인덱스 6에 서브프레임(DRS-1)이 구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인덱스 5에 서브프레임(PF-1)이 구성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인덱스 7에 서브프레임(DL-2)이 구성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신호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220)의 서브프레임(PF-1)의 처음 임의의 N개 심볼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면허대역 DRS와 PDSCH가 다중화되는 경우, 비면허대역 DRS가 릴리즈 12의 PSS/SSS/CRS의 서브세트로 구성되므로, 서브세트 구성방법에 따라 PDSCH의 레이트 매칭이 다를 수 있다. 단말은 DMTC 정보를 통하여 비면허대역 DRS와 PDSCH의 다중화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시그널링을 통하여 비면허대역 DRS와 PDSCH의 다중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다른 일 예로, CRS가 포함된 심볼과 CRS가 포함되지 않은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이 포함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310, 1320)는 서브프레임(DL-1, DLM-1)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310)는 서브프레임 인덱스 0, 1 및 2인 3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320)는 서브프레임 인덱스 4, 5, 6 및 7인 4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310, 1320)에서 서브프레임(DL-1)은 서브프레임 인덱스 0 및 서브프레임 인덱스 5에 구성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310)에서 서브프레임 인덱스 0 및 1에 서브프레임(DLM-1)이 구성될 수 있으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320)에서 서브프레임 인덱스 4, 6 및 7에 서브프레임(DLM-1)이 구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DLM-1)의 처음 1개 또는 2개의 심볼 구간에 CRS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비면허대역 신호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310)와 같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310)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320)와 같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320)의 시작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410)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L-1, DL-2, PE-2)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L-1)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420)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L-2, DRS-1, PE-2)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L-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410)에서, 서브프레임(DL-1)은 서브프레임 인덱스 0에 구성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PE-2)은 서브프레임 인덱스 1에 구성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UL-1)은 서브프레임(PE-2) 이후에 구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PE-2)의 마지막 심볼 중 일정시간 동안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이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간의 스위칭 시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프레임(DL-1) 직전에 서브프레임(DL-2)이 구성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420)에서, 서브프레임(DRS-1)은 서브프레임 인덱스 5에 구성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PE-2)은 서브프레임 인덱스 6에 구성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UL-2)은 서브프레임(PE-2) 이후에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프레임(DL-2)은 서브프레임(DL-1) 직전 서브프레임 인덱스 4에 구성될 수 있다.
도 15를 보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510)는 도 14에 도시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410)와 달리 서브프레임(DL-1)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L-1) 사이에 스페셜 서브프레임(SS-1)이 구성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520) 또한 도 14에 도시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410)와 달리 서브프레임(DRS-1) 서브프레임(UL-2) 사이에 스페셜 서브프레임(SS-1)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LTE 시스템은 P셀과 S셀의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동일하게 구성한다. 따라서 프레임 타입 1의 P셀과 S셀의 CA 구성에서 P셀의 서브프레임 인덱스 0 및 5의 시점에 S셀도 PSS와 SSS가 전송된다. 이것은 특정 단말에게 S셀이 다른 단말에게는 P셀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단말은 P셀의 PSS와 SSS로 셀 ID를 확인하거나, 동기 등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비면허대역 셀은 P셀로 구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프레임 타입 1의 서브프레임 인덱스 0 및 5에 PSS와 SSS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PBCH(Physical Broadcasting Channel)도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가 서브프레임 인덱스 1, 2, 3, 4인 4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경우, PSS와 SSS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비면허대역 셀에서 셀 ID 확인 및 동기 수행은 PSS/SSS 이외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면허대역 신호를 이용하거나 CRS를 이용하여 셀 ID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SS/SSS가 포함되지 않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610)는 서브프레임(DL-2, PF-1, PE-1)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620)는 서브프레임(DL-2, PF-1, PE-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브프레임 인덱스 0 및 5에서 PSS/SSS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610)에서, 서브프레임 인덱스 0에 서브프레임(DL-2)이 구성될 수 있고, 마지막 서브프레임 위치에 서브프레임(PE-1)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프레임 인덱스 0 앞의 위치에 서브프레임(PF-1)이 구성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620)에서, 서브프레임 인덱스 5에 서브프레임(DL-2)이 구성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DL-2) 이전에 서브프레임(PF-1)이 구성될 수 있으며, 마지막 서브프레임 위치에 서브프레임(PE-2)이 구성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신호는 서브프레임(PF-1)의 처음 임의의 N개 심볼 구간에서 전송될 수도 있고,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PSS/SSS가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에 항상 요구되는 경우, 서브프레임 인덱스 0과 5의 서브프레임에서 PSS/SSS/CRS가 전송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셀의 경우 PSS/SSS가 포함된 서브프레임(DL-1)이 서브프레임 인덱스 0과 5 이외에 전송될 수도 있다. 더 상세히, 비면허대역 셀의 경우 서브프레임(DL-1)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들 중 서브프레임 인덱스 0과 5 이외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가 서브프레임 인덱스 1, 2, 3, 4인 4개의 서브프레임으로만 구성되는 경우, PSS/SSS가 포함된 서브프레임(DL-1)이 해당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 중 최소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야 한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가장 앞 서브프레임에 서브프레임(DL-1)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DRX(discontinuous reception)로부터 깨어난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DL-1)인지 서브프레임(DL-2)인지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에게 각 서브프레임의 종류를 시그널링해 줄 필요가 존재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또 다른 일 예로서, PSS/SSS가 포함된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인덱스 0과 5와 다른 서브프레임 인덱스에서 전송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710)의 서브프레임 인덱스 1에 서브프레임(DL-1)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1720)의 서브프레임 인덱스 6에 서브프레임(DL-1)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서브프레임 인덱스 1, 2, 3, 4, 6, 7, 8 및 9 중에서 임의의 서브프레임 인덱스에 PSS/SSS가 포함된 서브프레임(DL-1)이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서브프레임 타입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과 각 서브프레임이 단말이 원하는 서빙 셀로부터 전송된 서브프레임인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구성하는 서브프레임들은 시그널링 없이 단말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그러나 DRX로부터 깨어난 단말이 각 서브프레임이 서빙 셀로부터 전송된 서브프레임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부분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경우 이를 확인하는 방법 및 해당 서브프레임의 심볼 길이를 알려주는 시그널링이 요구될 수 있다.
모든 서브프레임마다 또는 하나의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마다 포함될 수 있는 시그널링은 다음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에 구성되는 CRS가 포함된 심볼의 수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 2, 4, 6개의 심볼 수가 단말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1 또는 2개거나 4개 또는 6개의 심볼 수가 단말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해당 서브프레임이 마지막 서브프레임인지 단말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해당 서브프레임이 마지막 서브프레임으로써 1ms의 TTI를 가지는 일반적인 서브프레임인지 부분 서브프레임인지 단말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해당 서브프레임이 마지막 서브프레임으로써 부분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몇 개의 심볼로 구성되어 있는지 단말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에 대한 시그널링은 현재 전송되고 있는 버스트의 남은 서브프레임 수가 단말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에 대한 시그널링은 현재 전송되고 있는 버스트의 현재 서브프레임을 포함한 남은 서브프레임 수가 단말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에 대한 시그널링은 현재 전송되고 있는 버스트 이후에 전송할 다음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가 단말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현재 전송되고 있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가 종료 이후 단말이 (E)PDCCH 모니터링을 하지 않아도 되는 서브프레임의 수가 단말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현재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나 CSI-IM (Channel State Information-Interference Measurement)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단말에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CRS나 CSI-RS 중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전송 전력이 단말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시그널링은 PHICH를 이용하는 방법, U-RNTI를 이용하는 방법 및 DCI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기존의 상향링크 HARQ 피드백용으로 정의되는 PHICH의 구조를 이용하여 비면허대역 시그널링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U-RNTI를 이용하는 방법은 셀공통탐색영역(Common Search Space)에 전송되는 PDCCH나 단말특정탐색영역(UE specific Search Space)에 전송되는 (E)PDCCH의 CRC를 스크램블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U-RNTI를 이용하는 방법은 셀공통탐색영역에 전송되는 PDCCH나 단말특정탐색영역에 전송되는 (E)PDCCH의 DCI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시그널링일 수 있다.
이러한 시그널링은 기지국에 의해 생성되고,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PHICH를 이용하는 비면허대역 시그널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비면허대역 셀에서는 기회주의적으로 채널을 점유할 수 있으므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인덱스에 대응되는 고정된 시점에 HARQ 응답 정보 전송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비면허대역 셀에서는 상향링크에 대한 응답정보가 면허대역 셀과 다르게 비동기식(Asynchronous)으로 전송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셀의 상향링크 HARQ에서는 하향링크 PDCCH의 PHICH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리더던시(Redundancy) 버전과 HARQ 프로세스 정보가 (E)PDCCH로 전송되는 DCI 제어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PHICH는 다른 정보 전달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타입의 서브프레임 구조에 대한 정보를 단말이 PHICH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의 셀 ID를 PHICH의 지정된 시퀀스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함으로써 획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PHICH 자원은 PHICH 그룹(
Figure 112016076371320-pat00006
)과 PHICH 그룹(
Figure 112016076371320-pat00007
) 내의 직교시퀀스 (Orthogonal Sequence) 인덱스(
Figure 112016076371320-pat00008
)로 정의될 수 있다. PHICH 그룹(
Figure 112016076371320-pat00009
)의 수는 CP에 따라 다르게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되거나 비면허대역 셀에서는 PHICH 그룹(
Figure 112016076371320-pat00010
)의 수가 상위 레이어에서 지정되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Figure 112016076371320-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16076371320-pat00012
가 가능하며,
Figure 112016076371320-pat00013
는 상위 레이어에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6076371320-pat00014
Figure 112016076371320-pat00015
의 값으로 비면허대역 셀에서는 1 또는 2의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PHICH 시퀀스는 0부터 7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CP에 따라 PHICH 시퀀스 마다 사용되는 직교 시퀀스(Orthogonal Sequence)
Figure 112016076371320-pat00016
가 표 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6076371320-pat00017
PHICH로 전달되는 정보 0 또는 1은 채널 코딩에 따라
Figure 112016076371320-pat00018
가 되고 다시 BPSK로 변조되어 Z(0),Z(1),…,Z(Ms-1)의 복소 심볼이 된다. 이때, Mbit=MS이다. 각 복소 심볼은 수학식 3에 따라 새로운 심볼열 d(0),….,d(Msymb-1)이 된다.
Figure 112016076371320-pat00019
여기서, i=0,… ,Msymb-1이며,
Figure 112016076371320-pat00020
가 된다. c(i)는 셀 지정 스크램블 시퀀스(Cell Specific Scrambling Sequence)로써 생성 초기값은 수학식 4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112016076371320-pat00021
따라서, PHICH로 전송된 심볼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셀 ID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22
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셀 ID가 다른 경우 정의된 PHICH 정보(HI) 비트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게 된다.
각 서브프레임이 서빙 셀로부터 전송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PHICH 그룹에 하나 이상의 PHICH 시퀀스가 서빙 셀 정보 획득을 위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20MHz 대역폭에 일반 CP를 사용하고 상위 레이어로부터 정의된 정보에 따라 PHICH 그룹이 3개로 구성될 때, PHICH 그룹 1의 PHICH 시퀀스 0의 HI 비트 0과 PHCICH 시퀀스 1의 HI 1이 해당 셀의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PHICH 그룹의 해당 PHICH 시퀀스의 값이 해당 HI 비트와 같은지 확인하여 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
Figure 112016076371320-pat00023
가 셀마다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즉, 셀 획득 정보는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24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합 정보는 비면허대역 셀 구성 정보와 관련하여 단말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합 정보는 RRC 연결 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비면허대역 셀에 대한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에 정의되어 전송될 수 있다.
각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 또한 유사한 방법으로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25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HICH 그룹 1의 PHICH 시퀀스 2의 값의 1이면 해당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DLM-1)인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가능한 조합에 대한 정보 비트 개수가 x개라고 할 때, x개의 PHICH 시퀀스로써 각 서브프레임의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각 서브프레임의 타입 정보에 대한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26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 정보는 비면허대역 셀 구성 정보와 관련하여 단말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부분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도 유사한 방법으로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27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HICH 그룹 2의 PHICH 시퀀스 0,1,2,3의 4가지 시퀀스에 대한 HI 비트로 부분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심볼의 수가 정의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심볼의 개수 정보도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PHICH의 HI 정보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28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조합 정보 또한 비면허대역 셀 구성 정보와 관련하여 단말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길이 정보가 각 서브프레임의 PHICH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연속된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PHICH 특정정보 값은 4, 두 번째 서브프레임의 PHICH 특정정보 값은 3으로 정의함으로써,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남은 서브프레임 길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PHICH 그룹 3의 PHICH 시퀀스 0, 1, 2, 3으로 스크램블되는 정보 비트로부터 남은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길이가 정의될 수 있다. 즉,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길이 정보는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29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조합 정보는 비면허대역 셀 구성 정보와 관련하여 단말에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PHICH로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정보는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30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들에 의해 각 서브프레임에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각 서브프레임이 서빙 셀에서 전송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서브프레임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분 서브프레임의 경우 몇 개의 심볼로 구성되고 현재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남은 서브프레임 수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의 CRS를 구성하는 심볼(이하, CRS 심볼)의 수도 유사한 방법으로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31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합 정보는 비면허대역 셀 구성 정보와 관련하여 단말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예로, PHICH 그룹 1의 PHICH 시퀀스 1의 값이 1이면 해당 서브프레임의 CRS 심볼이 1개의 심볼로 구성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PHICH 그룹 1의 PHICH 시퀀스 0, 1, 2, 3의 4가지 시퀀스에 대한 HI 비트로 CRS 심볼의 수 1, 2, 4, 6를 각각 정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모든 가능한 조합에 대한 정보 비트 개수가 x개라고 할 때, x개의 PHICH 시퀀스로써 CRS 심볼의 수를 지정할 수 있다. 이때 CRS 심볼의 수로부터 서브프레임의 타입이 지정될 수도 있다.
현재 서브프레임이 마지막 서브프레임인지 여부나 마지막 일반 서브프레임인지 부분 서브프레임인지 여부 또는 마지막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심볼 수 정보도 유사한 방법으로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32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HICH 그룹 1의 PHICH 시퀀스 0에 대한 HI 비트로 마지막 서브프레임인지 여부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는 PHICH 그룹 1의 PHICH 시퀀스 0과 1에 대한 HI 비트로 마지막 서브프레임인지 여부와 함께 1ms의 TTI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인지 부분 서브프레임인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는 PHICH 그룹 2의 PHICH 시퀀스에 대한 HI 비트 일부를 이용하여 마지막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심볼 수가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즉, 마지막 서브프레임 여부 또는 서브프레임 구조 또는 부분 서브프레임일 경우 심볼의 수 정보는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33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조합 정보는 비면허대역 셀 구성 정보와 관련하여 단말에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다음 전송될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길이 정보가 각 서브프레임의 PHICH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다음 전송될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가 10개의 연속된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경우 현재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의 PHICH 특정정보 값을 10으로 설정함으로써, 다음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길이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HICH 그룹 3의 PHICH 시퀀스 0,1,2,3으로 스크램블되는 정보 비트로부터 다음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길이가 지정될 수 있다. 즉, 다음 전송될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길이 정보는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34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조합 정보는 비면허대역 셀 구성 정보와 관련하여 단말에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현재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 이후 단말이 (E)PDCCH 모니터링을 하지 않아도 되는 서브프레임 길이 정보가 각 서브프레임의 PHICH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현재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 수신 이후 다음 15개의 연속된 서브프레임 동안 단말의 모니터링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현재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에서 PHICH 특정 정보 값이 15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HICH 그룹 3의 PHICH 시퀀스 0,1,2,3(또는 최대 8개 시퀀스)으로 스크램블되는 정보 비트로부터 모니터링이 요구되지 않는 서브프레임 길이가 지정될 수 있다. 즉, 다음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까지 단말에게 (E)PDCCH 모니터링이 요구되지 않는 서브프레임 길이 정보는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35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합 정보는 비면허대역 셀 구성 정보와 관련하여 단말에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현재 서브프레임에 CSI-RS나 CSI-IM 중 하나 이상이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가 PHICH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HICH 그룹 1의 PHICH 시퀀스 5로 스크램블되는 정보 비트로부터 CSI-RS나 CSI-IM 중 하나 이상이 구성되었는지 여부가 지정될 수 있다. 즉, CSI-RS나 CSI-IM의 구성 여부를 포함한 안테나 포트 및 CSI 프로세스 정보는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PHICH의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36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조합 정보는 비면허대역 셀 구성 정보와 관련하여 단말에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현재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에 구성된 CRS나 CSI의 전송전력 정보는 PHICH 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HICH 그룹 3의 PHICH 시퀀스 0,1,2,3 (또는 최대 8개 시퀀스)으로 스크램블되는 정보 비트로부터 CRS나 CSI의 전송전력 정보가 지정될 수 있다. 즉, CRS나 CSI의 전송전력 정보는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PHICH의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37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합 정보는 비면허대역 셀 구성 정보와 관련하여 단말에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PHICH로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정보는 (PHICH 그룹 하나 이상, PHICH 시퀀스 하나 이상의 집합, PHICH의 HI 비트,
Figure 112016076371320-pat00038
비트)의 하나 이상의 조합들에 의해 각 서브프레임에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각 서브프레임이 서빙 셀에서 전송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서브프레임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분 서브프레임의 경우 몇 개의 심볼로 구성되고 현재 버스트의 남은 서브프레임 수, 다음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 CSI-RS/CSI-IM이 구성되었는지 여부, CRS/CSI-RS의 전송 전력 정보, 단말이 (E)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아도 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등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U-RNTI를 이용하는 시그널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비면허대역 셀에서 해당 셀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DCI를 포함하는 PDCCH 또는 (E)PDCCH의 CRC를 특정 목적에 맞는 U-RNTI로 마스킹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E)PDCCH는 셀 공통탐색영역의 자원을 사용하거나 U-RNTI 값에 따라 지정되는 단말지정탐색영역 자원에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특정 목적에 따라 정의된 U-RNTI로 DCI를 복조함으로써 서빙 셀로부터 전송된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DCI에 서브프레임 타입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DCI는 PDSCH 관련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서브프레임 정보 또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 정보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정보는 서브프레임 타입, 1ms의 TTI보다 짧은 TTI를 가지는 서브프레임의 심볼 수, PDCCH 이후의 심볼에 전송되는 CRS 심볼 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 정보는 해당 버스트의 남은 서브프레임 수 정보, 다음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 상향링크 구성 정보, CSR/RS-CSI-IM 구성 여부, CRS/CSI-RS 파워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DCI 정보를 이용하는 시그널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DCI 정보를 이용하는 시그널링 방법은 비면허대역 PDCCH의 셀공통탐색영역에서 SIB를 지정하는 DCI 또는 해당 DCI가 지정하는 비면허대역 SIB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단말은 DCI를 복조함으로써 해당 서브프레임이 서빙 셀로부터 전송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단말은 DCI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거나 해당 DCI가 지정하고 있는 PDSCH에 전송되는 비면허대역 관련 SIB로부터 해당 서브프레임 및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 정보는 서브프레임 타입, 부분 서브프레임의 심볼 수, PDCCH 이후의 심볼에 전송되는 CRS 심볼 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 정보는 해당 버스트의 남은 서브프레임 수 정보, 다음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 상향링크 구성 정보, CSR/RS-CSI-IM 구성 여부, CRS/CSI-RS 전송전력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장치(1800)는 프로세서(1810), 송수신기(1820) 및 메모리(1830)를 포함한다.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장치(1800)는 기지국 또는 단말에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10)는 비면허대역의 채널 점유 상태를 확인하여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연속하여 전송하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구성하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들의 정보를 알리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한다. 프로세서(1810)는 도 9 내지 도 17을 토대로 설명한 바와 같이 면허대역에서의 일반적인 서브프레임 또는 비면허대역에서 정의되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송수신기(1820)는 프로세서(1810)와 연결되어 무선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메모리(1830)는 프로세서(1810)에서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하며, 프로세서(1810)는 메모리(1830)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830)는 프로세서(18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0)와 메모리(1830)는 버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스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송수신기(1820)가 연결되며,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스피커, 저장 장치 등의 주변 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통신 노드에서 비면허대역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비면허대역의 채널 점유 상태를 고려하여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비면허대역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의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는 연속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나머지 서브프레임과 다른 타입의 서브프레임이며,
    상기 서브프레임의 정보는 서브프레임에 구성되는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가 포함된 심볼의 수,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부분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심볼 수,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 현재 전송되고 있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가 종료된 이후 제어채널 영역을 모니터링하지 않아도 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현재 전송되고 있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남은 서브프레임 수, 다음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CSI-IM(Channel State Information-Interference Measurement)의 구성 여부, 및 CRS/CSI-RS의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시작 위치에 비면허대역 신호를 추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보다 짧은 시간 길이를 가지는 부분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 서브프레임은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의 시간 길이 중에서 처음 또는 마지막 일부 시간 동안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인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가 존재하는 심볼과 존재하지 않는 심볼이 혼합된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비면허대역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다중화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만으로 구성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가 포함된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서,
    상기 시그널링하는 단계는 상향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용으로 정의되는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비면허대역 셀과 관련된 U-RNTI(Unlicensed 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및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시그널링하는 단계는 PHICH 그룹, PHICH 시퀀스 및 PHICH 정보 비트 중 하나의 이상의 조합으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14. 통신 노드의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장치로서,
    비면허대역의 채널 점유 상태를 확인하여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연속하여 전송하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를 구성하며,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들의 정보를 알리기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 및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는 송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나머지 서브프레임과 다른 타입의 서브프레임이며,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서브프레임에 구성되는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가 포함된 심볼의 수,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부분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심볼 수, 상기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 현재 전송되고 있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가 종료된 이후 제어채널 영역을 모니터링하지 않아도 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현재 전송되고 있는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남은 서브프레임 수, 다음 비면허대역 전송 버스트의 서브프레임 수,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CSI-IM(Channel State Information-Interference Measurement)의 구성 여부, CRS/CSI-RS의 전송 전력을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가 포함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은 상기 동기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장치.
  16. 제14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비면허대역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다중화되어 있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은 동기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장치.
  17. 제14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인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장치.
  18. 제14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나머지 서브프레임보다 짧은 시간 길이를 가지는 부분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장치.
  19. 삭제
  20. 제14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향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용으로 정의되는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비면허대역 셀과 관련된 U-RNTI(Unlicensed 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및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장치.
KR1020160100147A 2015-09-24 2016-08-05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546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74,553 US10110428B2 (en) 2015-09-24 2016-09-2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frame of unlicensed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498 2015-09-24
KR20150135498 2015-09-24
KR20150142980 2015-10-13
KR1020150142980 2015-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597A KR20170036597A (ko) 2017-04-03
KR102546637B1 true KR102546637B1 (ko) 2023-06-22

Family

ID=5858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147A KR102546637B1 (ko) 2015-09-24 2016-08-05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968B1 (ko) * 2018-04-18 2022-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584500B1 (ko) * 2018-08-08 2023-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대역의 채널을 점유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1958*
3GPP R1-154319*
3GPP R1-1544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597A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852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リソースを選択しpscchを伝送する方法及び装置
CN108352956B (zh) 发送信号的方法和装置以及触发信号传输的方法和装置
US101104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frame of unlicensed band
EP299629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different carrier types and corresponding apparatus
US113106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V2X terminal to receive PSCCH scheduling information and transmit PSCC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31371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lurality of D2D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25679A (ko) 면허 및 비면허 대역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JP201952565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が他の端末にデータを伝送する方法
JP201953163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のd2d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US11115958B2 (en) Method whereby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sidelink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78641B2 (en)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ssociated with platoon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108348A (ko)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US1101961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link signal by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8002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subframe-type-related transmission/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8486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to set transmit power for plurality of CCS during 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91059B2 (en) Method by which terminal simultaneously transmits messages in at least two carri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US20200213975A1 (en) Method and device by which terminal selects resource and transmit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3113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message including plato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16707B2 (en) Method by which terminal simultaneously transmits messages in at least two carri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US11452002B2 (en) Method whereby terminal transmits device-to-device (D2D)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D2D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US9900811B2 (en) Method for receiving data from amorphous mimic cell and terminal thereof
KR102546637B1 (ko) 비면허대역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
US11438874B2 (en) Method by which terminal selects resource on plurality of CCs and transmit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KR102498332B1 (ko) 면허 및 비면허 대역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US202303362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eam swit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