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488B1 -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구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구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488B1
KR102546488B1 KR1020220132954A KR20220132954A KR102546488B1 KR 102546488 B1 KR102546488 B1 KR 102546488B1 KR 1020220132954 A KR1020220132954 A KR 1020220132954A KR 20220132954 A KR20220132954 A KR 20220132954A KR 102546488 B1 KR102546488 B1 KR 102546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movement
valve
crusher
moveme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광
박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득인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득인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득인기공
Priority to KR102022013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원 과수원 등지에서 사용하는 이동식 파쇄기의 이동 여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어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구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저장탱크(T)에서 인입관로(2)로 흡입한 유체를 유압펌프(P)가 토출관로(1)로 토출하는 유압공급부(A)와; 상기 유압펌프(P)에서 토출되는 토출관로(1)를 통해 유입된 가압유가 정역방향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파쇄결정밸브(30)를 통해 유입방향이 결정된 파쇄관로(5)에 따라 파쇄모터(M2)의 회전방향이 결정되도록 구성하는 파쇄제어부(B)와; 상기 유압펌프(P)에서 토출된 가압유를 유입하여 정역방향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이동방향설정밸브(20)를 통해 유입방향이 결정되어 공급관로(3)에 따라 공급하거나, 배출관로(4)를 따라 저장탱크(T)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이동방향제어부(C)와; 상기 이동방향설정밸브(20)에서 공급방향이 결정되어 공급관로(3)를 통해 유입되는 가압유를 이동제어밸브(10)의 작동상태에 따라 구동관로(6)를 통해 회전모터(M1)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이동제어장치를 좌측이동제어장치(D1)와 우측이동제어장치(D2)로 구분하여 대칭으로 구비하되 각각의 회전모터(M1)가 개별작동하도록 구성하여 회전모터(M1)에 직접 연결된 각각의 구동휠(40)을 개별제어하도록 하는 이동제어부(E)를 각각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구동제어장치{the movement control valve for crusher and driving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본원 발명은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구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원 등지에서 사용하는 이동식 파쇄기의 이동 여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어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구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기계인 목재 파쇄기는 대형목재를 파쇄하는 것에서부터 중·소형의 수목가지를 파쇄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중 과수 농가에서는 중·소형의 수목가지 파쇄기를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과수를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과일의 수확 향상을 위하여 매년 가지치기를 함에 따라 가지치기로 잘린 수목가지는 파쇄기로 분쇄하여 바닥에 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정 이상의 규모를 가지는 과수 농가에서는 수목가지를 파쇄하는 파쇄기를 보유한 곳이 많고, 수목가지를 파쇄하는 파쇄기에 관하여서는 많은 기술이 특허등록되거나 출원되어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파쇄기가 판매되고 있다.
이처럼 파쇄기의 성능에 따라 과수농가의 작업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근래에는 본체에 회전 커터와 수목 공급로울러를 구비하고 엔진의 동력을 회전커터와 공급롤러에 밸트, 체인, 기어 등 각종 동력전달 수단으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수목 공급 롤러에 수목 가지를 공급하면 회전커터에서 파쇄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수단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본체에 회전드럼을 구비하고 회전드럼에 밸트 또는 체인 등으로 엔진 동력을 전달시켜 회전드럼의 원주면에 구비한 파쇄 날에 목재가 파쇄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본체에 회전되는 원판을 구비하고 원판에는 파쇄 날을 구비하여 원판 상부로 공급되는 목재를 파쇄 날에서 파쇄가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등으로 다양한 수목파쇄기가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목파쇄기에서 이동수단을 부여시켜 과수원과 공원 등지에서 전정하면서 발생 된 수목들을 이동하면서 파쇄하고 파쇄된 분쇄물은 바닥에 분산되도록 하여 퇴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이점이 있으나 이동기능이 구비된 수목파쇄기는 엔진의 동력을 밸트, 체인, 기어 등으로 전달되므로 동력의 발생지점과 전달 지점에는 축이 구비되고 이들 축은 평행이 이루어져야 가능하게 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면서 무거워지게 되고, 동력의 전달지점이 노출되면 안전사고의 발생이 많고 소음발생이 많은 등의 결점이 발생 된다.
하여 최근에는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출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1792호 "유압을 이용한 수목파쇄기"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체(1) 위에는 엔진(2)의 동력으로 파쇄커터(3)를 구동할 수 있도록 장착한 파쇄장치(A)와, 엔진(2)의 동력으로 유압펌프(4)를 작동시키고 송출압력을 체인지레버(5)로 밋션(6)과 구동휠(7)에 전달하는 이동수단(B)과, 파쇄커터로 공급하는 한 쌍의 수목 공급로울러(8)(8a)를 작동하는 수목 공급수단(C)으로 구성하는 유압을 이용한 수목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파쇄장치(A)는 엔진(2)의 출력축(20)과, 안내축(21)과, 파쇄커터 회전축(22) 간을 풀리(23)와 밸트(24)로 연결하여 수목 지지를 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동수단(B)은 엔진(2)의 동력으로 유압펌프(4)를 작동시키면 유압펌프(4)에서 송출되는 압력은 체인지레버(5)에 의해 밋션(6)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동 밋션(6)에는 좌우 조향레버(30)(30a)로 구동휠(7)을 선택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목 공급수단(C)은 엔진(2)의 동력으로 유압펌프(4)를 작동시키면 유압펌프(4)에서 송출되는 압력은 체인지레버(5)에 의해서 상하 한 쌍의 수목 공급로울러(8)(8a)가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유압을 이용한 수목파쇄기'를 구성함으로써, 수목 파쇄기 엔진의 동력을 파쇄장치에는 풀리와 밸트로 동력을 전달하고, 이동수단과 수목 공급수단에는 유압의 압력을 이용하여 작동하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의 구성으로 볼때 별도의 체인이나 미션이 구성됨으로써, 사용시 작업환경이 열악한 과수원에서 파쇄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체인이니 미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파쇄기 자체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구조일 뿐만 아니라 파쇄기 이동을 위한 체인지레버 작동시 과도기에 유압의 과부하가 해결되지 않아 엔진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등의 다양하고 세부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음에도 파쇄기를 생산하는 업체나 관련 밸브를 생산하는 생산업체에서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KR 공개특허공보 10-2006-0121792호 KR 등록특허공보 10-0920711호 KR 공개특허공보 10-1999-0047629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일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과도기구동블록의 유로가 전부 오픈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특수구조의 이동제어밸브를 구성함으로써, 이동제어밸브 작동시 과도기 과정에서 유압이 해지되어 이동제어밸브는 물론 엔진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를 복수로 구성하여 적용함으로써, 좌우구동바퀴에 개별적으로 구동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파쇄기의 이동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파쇄기의 구동클러치를 작동시에만 구동할 수 있게 하여 파쇄기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파쇄기 작동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탱크(T)에서 인입관로(2)를 통해 유체를 흡입한 유압펌프(P)가 토출관로(1)를 통해 토출하는 유압공급부(A)와;
상기 유압펌프(P)에서 토출되는 토출관로(1)를 통해 유입된 가압유가 정역방향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파쇄결정밸브(30)를 통해 유입방향이 결정된 파쇄관로(5)에 따라 파쇄모터(M2)의 회전방향이 결정되도록 하여 파쇄 날(도면 미 도시)의 회전방향이 결정되도록 구성하는 파쇄제어부(B)와;
상기 유압펌프(P)에서 토출관로(1)를 통해 토출된 가압유를 유입하여 정역방향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이동방향설정밸브(20)를 통해 유입방향이 결정되어 공급관로(3)에 따라 공급하거나, 배출관로(4)를 따라 저장탱크(T)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이동방향제어부(C)와;
상기 이동방향설정밸브(20)에서 공급방향이 결정되어 공급관로(3)를 통해 유입되는 가압유를 이동제어밸브(10)의 작동상태에 따라 구동관로(6)를 통해 회전모터(M1)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이동제어장치를 좌측이동제어장치(D1)와 우측이동제어장치(D2)로 구분하여 대칭으로 구비하되 각각의 회전모터(M1)가 개별작동하도록 구성하여 회전모터(M1)에 직접 연결된 각각의 구동휠(40)을 개별제어하도록 하는 이동제어부(E)를 각각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파쇄제어부(B)에 구성되는 파쇄결정밸브(30)는 한쪽에서부터 작동레버(7)로 연결되는 정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정방향파쇄블록(31)과, 공급라인이 서로 연통되고 배출라인이 각각 폐쇄된 바이패스파쇄블록(32)과, 디텐트스폴(8)이 연결구성되고 역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역방향파쇄블록(33)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4/3-ray밸브구조이며;
상기 이동방향제어부(C)에 구성되는 이동방향설정밸브(20) 또한 한쪽에서부터 작동레버(7)로 연결되는 정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정방향이동블록(21)과, 공급라인이 연통되고 배출라인이 폐쇄된 바이패스이동블록(22)과, 디텐트스폴(8)이 연결구성되고 역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역방향이동블록(23)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4/3-ray밸브구조이고;
그리고 본원의 핵심구성인 이동제어부(E)에 대칭으로 구성된 이동제어밸브(10)는 한쪽에서부터 작동레버(7)로 연결되는 역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역방향구동블록(11)과,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이 모두 연통되는 과도기구동블록(12)과, 스프링스폴(9)을 연결하되 공급라인이 연통되고 배출라인이 폐쇄된 바이패스구동블록(13)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4/3-ray밸브구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수구조의 이동제어밸브를 복수로 구성하여 좌우구동바퀴에 개별적으로 구동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제어밸브 작동시 과도기과정에서 유압이 해지되어 엔진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파쇄기의 구동클러치를 작동시에만 구동할 수 있게 하여 파쇄기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에 따라 파쇄기의 이동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는 발명이다.
상기의 효과를 적용한 안전성이 확보된 이동식 파쇄기 구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파쇄기의 기본구성을 간략하게 하면서도 구동력과 내구성이 강한 소형 이동식 유압파쇄기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수농가에 안전하면서고 내구성이 강하고, 사용과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파쇄기를 농가에서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고효율의 파쇄기를 구입하여 안전하고 용이하게 파쇄작업을 진행하도록 하는 농가에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도움이 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파쇄기의 구동 제어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구동방향설정밸브와 이동제어밸브를 작동하여 파쇄기가 전진구동하도록 구성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구동방향설정밸브와 이동제어밸브를 작동하여 파쇄기가 후진구동하도록 구성한 회로도.
도 4는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이동제어밸브의 작동상태도로서 (가)는 구동정지 상태의 회로도이고, (나)는 구동진행 상태의 회로도이며, (다)는 구동완료 상태의 회로도.
도 5는 본원의 바람직한 실실시 예를 보인 파쇄결정밸브의 작동상태도로서 (가)는 파쇄결정밸브를 정 회전시킨 상태의 회로도이고, (나)는 파쇄결정밸브를 역회전시킨 상태의 회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회로도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명칭 등으로 대체하고 또 동일기능에 대한 구성요소를 하나의 명칭으로 통일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원의 핵심구성인 이동제어부(E)에 대칭으로 구성된 이동제어밸브(10)는 한쪽에서부터 작동레버(7)로 연결되는 역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역방향구동블록(11)과,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이 모두 연통되는 과도기구동블록(12)과, 스프링스폴(9)을 연결하되 공급라인이 연통되고 배출라인이 폐쇄된 바이패스구동블록(13)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4/3-ray밸브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10)는 도 4의 (가)에 도시된 구동정지 상태의 회로도에서와같이 작동레버(7)의 미작동 상태에서는 스프링스폴(6)에 의해 바이패스구동블록(13)이 공급관로(3)와 연결되므로 공급라인이 연통된 바이패스구동블록(13)으로 인해 공급관로(3)를 통해 유입된 가압유가 리턴하여 배출하게 되는 구조이므로 회전모터(M1)에 가압을 방지하여 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하게된다.
하여 파쇄기의 이동을 결정하는 구동휠(40)이 정지 상태를 유시화게 되므로 파쇄기에 구성된 유압펌프(P)가 작동하는 상태에서도 이동제어밸브(10)의 작동레버(7)를 작동하지 않으면 파쇄기가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모터(M1)가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모터(M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도 4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제어밸브(10)의 작동레버(7)를 작동하여 스폴(도면 미 도시)을 이동하여 공급관로(3)가 역방향구동블록(11)으로 연통 되도록 하면 공급관로(3)를 통해 가압유가 구동관로(6)로 유입되어 회전모터(M1)를 회전시킨 다음 공급관로(3)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구조로써, 유압펌프(P)에서 발생하는 가압을 오롯이 회전모터(M1)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파쇄기의 에너지효율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제어밸브(10)의 구조상 작동레버(7)를 작동하여 스폴(도면 미 도시)이 이동하여 바이패스구동블록(13)에서 역방향구동블록(11)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구성된 과도기구동블록(12)을 지나감에 따라 공급관로(3)가 공급라인에 연통되는 시점에서 가압유가 과도기구동블록(12)의 유입되는 공급라인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기존의 구동관로(6)에 유지하는 가압유로 인해 구동관로(6)로 유입되지 않고 배출되는 공급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공급관로(3)로 배출하는 구조로써, 과도기구동블록(12)으로 유입되는 가압유는 회전모터(M1)의 가동을 하지 않고 배출되어 이동제어밸브(10)의 작동과정에서 회전모터(M1)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동제어밸브(10) 자체의 과부하도 방지함에 따라 가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P)에도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구조의 밸브이다.
즉, 과도기구동블록(12)의 개방된 구성으로 모든 배관구가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밸브 조작과정에서 엔진부하를 방지하고, 공급라인과 배기라인이 구분없이 입력용기로 사용하기 때문에 밸브 자체의 가압을 방지하기 위핸 특수구조로 구성된 별도의 밸브바디가 필요하지 않아 밸브구성을 위한 별도의 생산비용이 추가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밸브의 회로연결방향에 구애받지 않아 현장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룻 있도록 하는 다양한 이점과 효과가 있는 밸브 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스프링스폴(6)은 작동레버(7)의 작동시에 작동레버(7)의 압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역방향구동블록(11)이 공급관로(3)와 연결구성되도록 하고, 작동레버(7)의 압력이 해지되면 수축된 스프링스폴(6)이 자체 반발력으로 바이패스구동블록(13)에 압력을 가하여 공급관로(3)와 연결되도록 하므로 평상시에는 항상 바이패스구동블록(13)이 공급관로(3)와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이동제어밸브(10)를 이용하여 적용하는 올바른 파쇄기의 구동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T)에서 인입관로(2)를 통해 유체를 흡입한 유압펌프(P)가 토출관로(1)를 통해 토출하는 유압공급부(A)와;
상기 유압펌프(P)에서 토출되는 토출관로(1)를 통해 유입된 가압유가 정역방향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파쇄결정밸브(30)를 통해 유입방향이 결정된 파쇄관로(5)에 따라 파쇄모터(M2)의 회전방향이 결정되도록 하여 파쇄날(도면 미 도시)의 회전방향이 결정되도록 구성하는 파쇄제어부(B)와;
상기 유압펌프(P)에서 토출관로(1)를 통해 토출된 가압유를 유입하여 정역방향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이동방향설정밸브(20)를 통해 유입방향이 결정되어 공급관로(3)에 따라 공급하거나, 배출관로(4)를 따라 저장탱크(T)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이동방향제어부(C)와;
상기 이동방향설정밸브(20)에서 공급방향이 결정되어 공급관로(3)를 통해 유입되는 가압유를 이동제어밸브(10)의 작동상태에 따라 구동관로(6)를 통해 회전모터(M1)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이동제어장치를 우측이동제어장치(D2)와 우측이동제어장치(D2)로 구분하여 대칭으로 구비하되 각각의 회전모터(M1)가 개별작동하도록 구성하여 회전모터(M1)에 직접 연결된 각각의 구동휠(40)을 개별제어하도록 하는 이동제어부(E)가 각각 구성되어 관로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쇄기의 구동제어장치는 파쇄기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유압펌프(P)를 가동한 다음 저장탱크(T)에 유지하는 유체를 유압펌프(P)로 유입하여 토출시켜서 형성한 가압유를 파쇄모터(M2)로 보내서 파쇄날을 화전 시키거나 회전모터(M1)로 보내서 파쇄기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조이다.
즉, 하나의 유압펌프(P)를 가동하여 파쇄기의 파쇄작업과 이동작업을 병행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구조로써, 이동식 파쇄기의 특성상 안전한 파쇄작업을 위해 파쇄모터(M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이동방향설정밸브(20)를 작동한 다음 양측에 구성된 이동제어밸브(10)를 통해 회전모터(M1)가 회전하도록 하여 파쇄기를 전진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통상적으로 파쇄기의 구조상 이동제어밸브(10)의 작동레버(7)는 파쇄기의 조향장치인 핸들(도면 미 도시)에 구성되는 클러치(도면 미 도시)에 연결구성하는 구조이므로 파쇄기의 이동을 위해 핸들을 잡고 클러치를 당기면 이동제어밸브(10)의 작동레버(7)가 작동하고 별도로 구성된 전후진작동레버(도면 미 도시)를 통해 이동방향설정밸브(20)의 작동레버(7)가 작동하며, 별도로 구성된 파쇄작동버튼(도면 미 도시)을 통해 파쇄결정밸브(30)의 작동레버(7)가 각각 작동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는 통상적인 패쇄기의 조작구조이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락한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제어부(B)의 파쇄결정밸브(30)를 중립에 적용시키고 이동방향제어부(C)의 이동방향설정밸브(20)를 중립으로 적용시키게 되면 파쇄기는 유압펌프(P)가 가동하는 상태에서도 이동이나 파쇄작업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이다.
상기의 파쇄제어부(B)에 구성되는 파쇄결정밸브(30)는 한쪽에서부터 작동레버(7)로 연결되는 정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정방향파쇄블록(31)과, 공급라인이 서로 연통되고 배출라인이 각각 폐쇄된 바이패스파쇄블록(32)과, 디텐트스폴(8)이 연결구성되고 역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역방향파쇄블록(33)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4/3-ray 밸브구조로써, 파쇄 작업을 위해서는 파쇄결정밸브(30)를 중립에 적용시킨 상태에서 파쇄결정밸브(30)를 작동하여 유압펌프(P)에서 토출되는 가압유가 파쇄모터(M2)를 회전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결정밸브(30)의 작동방향에 따라 파쇄모터(M2)의 회전방향이 달라지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즉, 도 5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7)를 조작하여 정방향파쇄블록(31)이 토출관로(1)와 파쇄관로(5)가 연통 되도록 작동하면, 유압펌프(P)에서 토출되는 가압유가 정방향파쇄블록(31)을 통해 파쇄관로(5)를 거쳐 파쇄모터(M2)를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파쇄하고자하는 나뭇가지 등을 파쇄하게 된다.
나뭇가지가 파쇄날에 걸리거나 필요에 의해서 파쇄날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7)를 조작하여 역방향파쇄블록(33)이 토출관로(1)와 파쇄관로(5)가 연통 되도록 작동하면, 유압펌프(P)에서 토출되는 가압유가 역방향파쇄블록(33)을 통해 파쇄관로(5)를 거쳐 파쇄모터(M2)를 역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방향제어부(C)의 이동방향설정밸브(20) 또한 한쪽에서부터 작동레버(7)로 연결되는 정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정방향이동블록(21)과, 공급라인이 연통되고 배출라인이 폐쇄된 바이패스이동블록(22)과, 디텐트스폴(8)이 연결구성되고 역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역방향이동블록(23)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4/3-ray밸브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유압펌프(P)에서 토출된 가압유가 이동방향설정밸브(20)에 의해 상기 이동제어부(E)에 구성되는 복수의 회전모터(M1)의 회전방향을 용이하고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용소임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이 파쇄작업이 완료되면 다른 장소에 있는 나뭇가지 등을 파쇄하기 위해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는 이동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파쇄모터(M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이동방향설정밸브(20)의 작동레버(7)를 작동하여 정방향이동블록(21)이 토출관로(1)와 연통하도록 하여 토출관로(1)의 가압유가 정방향이동블록(21)을 통해 공급관로(3)를 유입되어 이동제어부(E)에 복수로 구성된 좌측이동제어장치(D1)와 우측이동제어장치(D2)의 회전모터(M1)가 모두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휠(40)을 회전시켜서 파쇄기가 전진이동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도 2 참조)
뿐만 아니라 필요에 의해 이동방향설정밸브(20)의 작동레버(7)를 작동하여 역방향이동블록(23)이 토출관로(1)와 연통하도록 하여 토출관로(1)의 가압유가 역방향이동블록(23)을 통해 공급관로(3)를 유입되어 이동제어부(E)에 복수로 구성된 좌측이동제어장치(D1)와 우측이동제어장치(D2)의 회전모터(M1)가 모두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휠(40)을 회전시켜서 파쇄기가 후진이동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도 3 참조)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이동블록(23)이 토출관로(1)와 연통하도록 하여 토출관로(1)의 가압유가 역방향이동블록(23)을 통해 공급관로(3)를 유입되어 이동제어부(E)에 복수로 구성된 이동제어장치 중 좌측이동제어장치(D1)의 이동제어밸브(10)의 작동레버(7)를 작동하여 공급관로(3)가 역방향구동블록(11)으로 연통 되도록 하면 공급관로(3)를 통해 가압유가 구동관로(6)로 유입되어 회전모터(M1)를 정회전시키도록 하고, 우측이동제어장치(D2)의 이동제어밸브(10) 작동레버(7)를 작동하지 않고 공급관로(3)가 바이패스구동블록(13)과 연결되도록 하여 우측이동제어장치(D2)의 회전모터(M1)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하도록 하여 이동제어부(E)의 좌측구동휠(40)이 역회전하여 후진할 때 우측구동휠(40)이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여 파쇄기가 좌측만 후진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이동방향설정밸브(20)와 파쇄결정밸브(30)에 구성되는 디텐트스폴(8)은 작동레버(7)의 작동에 이해 이동되는 블록들이 작동레버(7)가 멈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이동방향설정밸브(20)와 파쇄결정밸브(30)의 작동이 작동레버(7)가 작동시킨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본원발명의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를 이용한 구동제어장치는 상기에 기술한 유압공급부(A)와 파쇄제어부(B) 및 이동방향제어부(C)와 이동제어부(E)로 구분되는 각각의 구성만으로 필요한 파쇄기의 파쇄작업뿐만 아니라 전진 후진 및 회전이 용이하고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즉, 과도기구동블록(12)의 유로가 전부 오픈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특수구조로 구성하여, 작동시 과도기과정에서 유압이 해지되어 이동제어밸브는 물론 엔진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를 제공하여, 좌우구동바퀴에 개별적으로 구동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파쇄기의 이동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파쇄기의 구동클러치를 작동시에만 구동할 수 있게 하여 파쇄기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파쇄기 작동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좌우구동바퀴에 개별적으로 구동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파쇄기의 전 후진은 물론 좌우회전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보장되고, 이동제어밸브 작동시 과도기과정에서 유압이 해지되어 엔진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파쇄기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에 따라 파쇄기의 이동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는 발명이다.
뿐만 아니라 파쇄기의 기본구성을 간략하게 하면서도 구동력과 내구성이 강한 소형 이동식 유압파쇄기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수농가에 안전하면서고 내구성이 강하고, 사용과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파쇄기를 농가에서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고효율의 파쇄기를 구입하여 안전하고 용이하게 파쇄작업을 진행하도록 하는 농가에 경제적으로나 시간상으로 도움이 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구성이 간결하고, 취급이 쉬어 종래 파쇄기에 비해 작용 및 효과가 우수하므로 기능적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상당하다.
A: 유압공급부 B: 파쇄제어부
C: 이동방향제어부 D1: 좌측이동제어장치
D2: 우측이동제어장치 E: 이동제어부
M1: 회전모터 M2: 파쇄모터
P: 유압펌프 1: 토출관로
2: 인입관로 3: 공급관로
4: 배출관로 5: 파쇄관로
6: 구동관로 7: 작동레버
8: 디텐트스폴 9: 스프링스폴
10: 이동제어밸브 11: 역방향구동블록
12: 과도기구동블록 13: 바이패스구동블록
20: 이동방향설정밸브 21: 정방향이동블록
22: 바이패스이동블록 23: 역방향이동블록
30: 파쇄결정밸브 31: 정방향파쇄블록
32: 바이패스파쇄블록 33: 역방향파쇄블록

Claims (4)

  1. 한쪽에서부터 작동레버(7)로 연결되는 역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역방향구동블록(11)과,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이 모두 연통되는 과도기구동블록(12)과, 스프링스폴(9)을 연결하되 공급라인이 연통되고 배출라인이 폐쇄된 바이패스구동블록(13)이 순차적으로 구성하여;
    작동레버(7)를 작동하여 바이패스구동블록(13)에서 역방향구동블록(11)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중심부에 구성된 과도기구동블록(12)을 지나감에 따라, 과도기구동블록(12)으로 유입되는 가압유는 회전모터(M1)의 가동을 하지 않고 배출되어 이동제어밸브(10)의 작동과정에서 회전모터(M1)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동제어밸브(10) 자체의 과부하도 방지함에 따라 가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P)에도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밸브 자체의 가압을 방지하기 위핸 특수구조로 구성된 별도의 밸브바디가 필요하지 않아 밸브구성을 위한 별도의 생산비용이 추가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밸브의 회로연결방향에 구애받지 않아 현장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
  2. 저장탱크(T)에서 인입관로(2)를 통해 유체를 흡입한 유압펌프(P)가 토출관로(1)를 통해 토출하는 유압공급부(A)와;
    상기 유압펌프(P)에서 토출되는 토출관로(1)를 통해 유입된 가압유가 정역방향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파쇄결정밸브(30)를 통해 유입방향이 결정된 파쇄관로(5)에 따라 파쇄모터(M2)의 회전방향이 결정되도록 하여 파쇄 날의 회전방향이 결정되도록 구성하는 파쇄제어부(B)와;
    상기 유압펌프(P)에서 토출관로(1)를 통해 토출된 가압유를 유입하여 정역방향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이동방향설정밸브(20)를 통해 유입방향이 결정되어 공급관로(3)에 따라 공급하거나, 배출관로(4)를 따라 저장탱크(T)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이동방향제어부(C)와;
    상기 이동방향설정밸브(20)에서 공급방향이 결정되어 공급관로(3)를 통해 유입되는 가압유를 이동제어밸브(10)의 작동상태에 따라 구동관로(6)를 통해 회전모터(M1)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이동제어장치를 좌측이동제어장치(D1)와 우측이동제어장치(D2)로 구분하여 대칭으로 구비하되 각각의 회전모터(M1)가 개별작동하도록 구성하여 회전모터(M1)에 직접 연결된 각각의 구동휠(40)을 개별제어하도록 하는 이동제어부(E)를 각각 구성하되;
    상기의 파쇄제어부(B)에 구성되는 파쇄결정밸브(30)는 한쪽에서부터 작동레버(7)로 연결되는 정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정방향파쇄블록(31)과, 공급라인이 서로 연통되고 배출라인이 각각 폐쇄된 바이패스파쇄블록(32)과, 디텐트스폴(8)이 연결구성되고 역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역방향파쇄블록(33)을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이동방향제어부(C)에 구성되는 이동방향설정밸브(20) 또한 한쪽에서부터 작동레버(7)로 연결되는 정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정방향이동블록(21)과, 공급라인이 연통되고 배출라인이 폐쇄된 바이패스이동블록(22)과, 디텐트스폴(8)이 연결구성되고 역방향 공급라인이 구성된 역방향이동블록(23)을 순차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과도기구동블록(12)의 유로가 전부 오픈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특수구조로 구성하여, 작동시 과도기과정에서 유압이 해지되어 이동제어밸브는 물론 엔진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를 제공하여, 좌우구동바퀴에 개별적으로 구동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파쇄기의 이동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파쇄기의 구동클러치를 작동시에만 구동할 수 있게 하여 파쇄기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파쇄기 작동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를 이용한 구동제어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20132954A 2022-10-17 2022-10-17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구동제어장치 KR10254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954A KR102546488B1 (ko) 2022-10-17 2022-10-17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구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954A KR102546488B1 (ko) 2022-10-17 2022-10-17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구동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488B1 true KR102546488B1 (ko) 2023-06-22

Family

ID=8698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954A KR102546488B1 (ko) 2022-10-17 2022-10-17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구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4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9041A1 (fr) * 1992-12-11 1994-06-17 Huard Sa Machine agricole de travail du sol avec un dispositif de retournement perfectionné.
KR0167855B1 (ko) * 1995-05-02 1999-01-15 안자키 사토루 이동식 파쇄기의 제어회로
KR19990047629A (ko) 1997-12-05 1999-07-05 추호석 유압파쇄기의 증속밸브용 스톱장치
KR20060121792A (ko) 2006-11-08 2006-11-29 오헌식 유압을 이용한 수목파쇄기
KR100920711B1 (ko) 2009-03-25 2009-10-09 박우군 수목가지 파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9041A1 (fr) * 1992-12-11 1994-06-17 Huard Sa Machine agricole de travail du sol avec un dispositif de retournement perfectionné.
KR0167855B1 (ko) * 1995-05-02 1999-01-15 안자키 사토루 이동식 파쇄기의 제어회로
KR19990047629A (ko) 1997-12-05 1999-07-05 추호석 유압파쇄기의 증속밸브용 스톱장치
KR20060121792A (ko) 2006-11-08 2006-11-29 오헌식 유압을 이용한 수목파쇄기
KR100920711B1 (ko) 2009-03-25 2009-10-09 박우군 수목가지 파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0642A (en) Wood chipper with infeed chute safety device
US7644580B2 (en) Control coupling for changing the feeding speed of feeding members in a delimbing and cutting apparatus
US5988539A (en) Wood chipper with infeed chute safety device
RU2546859C2 (ru) Силос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US7857017B2 (en) Land clearing apparatus
US4129258A (en) Automatic hydraulic series-parallel shift device for implement
CN103657807B (zh) 一种移动式切碎机
KR102546488B1 (ko) 파쇄기용 이동제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구동제어장치
WO2010032505A1 (ja) コンバイン
JP2023544744A (ja) 切り株破砕機
AU2013232166B2 (en) Safety and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a waste processing system
JP5225031B2 (ja) 破砕機
US20080173483A1 (en) Implement having a hydraulic traction driv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60121792A (ko) 유압을 이용한 수목파쇄기
US10245592B2 (en) Safety and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a waste processing system
JP5209532B2 (ja) コンバイン
JP5564017B2 (ja) 農作業機の走行伝動装置
JP5749526B2 (ja) コンバイン
KR200237888Y1 (ko) 파쇄기의 변속장치
JPS5851689Y2 (ja) 根菜類の収穫機
CN215618743U (zh) 基于液压系统的碎木装置
US20050132702A1 (en) Continuously variable torque shredder drive
KR200222218Y1 (ko) 수목파쇄기를 겸하는 톱밥제조기
KR200260149Y1 (ko) 잔가지파쇄기
CN205105588U (zh) 双盘式果园开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