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034B1 -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 - Google Patents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034B1
KR102546034B1 KR1020200168897A KR20200168897A KR102546034B1 KR 102546034 B1 KR102546034 B1 KR 102546034B1 KR 1020200168897 A KR1020200168897 A KR 1020200168897A KR 20200168897 A KR20200168897 A KR 20200168897A KR 102546034 B1 KR102546034 B1 KR 102546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rantine
lighting
space
power
rechargeab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9281A (ko
Inventor
고락곤
Original Assignee
(주) 시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엘케이 filed Critical (주) 시엘케이
Priority to KR102020016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0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방역장치를 가지고 건물 내부 각각의 공간을 돌아다니면서 방역하지 않고도 센서 공유를 통해 공간을 사람이 없는 시기에 상시적, 반복적으로 자동 방역할 수 있는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의 상시 방역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Space constant quarantine system and quarantine lighting equipment by sensor sharing}
본 발명은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가 방역장치를 가지고 건물 내부 각각의 공간을 돌아다니면서 방역하지 않고도 센서 공유를 통해 공간을 사람이 없는 시기에 상시적, 반복적으로 자동 방역할 수 있는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0506호(발명의 명칭 : 소독 및 방역장치 ; 이하 '인용발명1'이라 함) 발명과 같은 휴대 가능한 소독 및 방역장치를 작업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공간을 방역하고 있으나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방역하기가 어렵고, 인건비가 포함되어 방역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1838호(발명의 명칭 :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이용한 공기 오염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 이하 '인용발명2'라 함) 등과 같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특정 공간 내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살균하거나 공기 오염을 공간적으로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2는 도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간 내의 공기의 오염을 감시하는 공기 오염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며, 공기의 유동 경로 상의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부로 유입하는 복수 개의 흡기 관통홀과, 상기 내부 공간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배기 관통홀이 형성된 챔버; 상기 내부 공간부에 수용되어 자외선을 출사함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부에 유입된 공기 중의 미생물을 살균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광원; 상기 챔버의 내벽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자외선 광원에서 출사되는 자외선을 산란 및 반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자외선 광원에서 출사된 자외선의 에너지를 상기 내부 공간부 내에 가둠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부의 자외선 조사량을 높이고 균일하게 하는 반사판; 및 상기 자외선 광원을 제어하는 살균기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공간과 연결된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되는 자외선 살균기를 포함하는 공기 오염 감시 시스템이다.
이러한 인용발명2는 흡기 관통홀을 통해 공기를 챔버 내부로 흡입하여 챔버 내부에서 자외선 광원으로 공기를 살균하고, 살균된 공기를 배기 관통홀을 통해 배출하여 특정 공간 내의 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용발명2는 각 공간마다 이러한 별도의 시스템을 설치해야 하며, 공기를 흡입하여 살균함에 따라 공기와 함께 이동되는 균에 대해서는 살균이 가능하나 공간 내부의 벽이나 물건 등에 붙어 있는 균에 대해서는 살균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인용발명1과 같이 작업자가 방역장치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방역하는 수동 방역을 병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050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18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방역하지 않고 공간 내부를 직접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시 방역할 수 있는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기존의 건물에 설치된 등기구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공간의 상시 방역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의 방역등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원을 입력받아 발광하는 조명부와, 감지센서가 구성되고, 상기 조명부가 꺼진 상태에서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데이터에 따라 방역을 실시하는 자외선방역모듈이 포함된 방역등기구와,
상기 방역등기구의 감지센서를 공유하여 연동된 다른 방역등기구를 제어하는 방역제어부와,
상기 방역등기구들과 통신하며, 방역등기구들을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권한이 있는 관리자의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관리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관리서버의 관리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표시하고 알림을 실시하는 방역앱이 구성되되,
상기 자외선방역모듈은 중량부가 내장되고, 충전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발광하면서 권취롤의 작동으로 방역등기구로부터 방역등기구의 외부로 돌출되어 이동하면서 공간에 음영이 없이 공간 전체를 직접 자외선으로 조사하여 방역하는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의 상시 방역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을 입력받아 발광하는 조명부와, 감지센서가 구성되고, 상기 조명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전원을 DC로 변환하는 DC컨버터 및 상기 DC컨버터가 변환한 DC전원을 저장하는 충전배터리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역제어부와,
상기 방역제어부에 의해 상기 조명부가 꺼진 상태에서 사람이 없는 경우 상기 충전배터리로부터 DC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여 방역하는 자외선방역모듈과,
상기 자외선방역모듈에 내장되는 중량부와,
상기 충전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방역모듈을 승강/하강시키는 권취롤이 구성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의 방역등기구를 제공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방역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별도의 시스템을 설치하거나 건물에 전원 공사를 새로 하지 않고도 상시 방역을 하고자 하는 공간의 등기구를 방역등기구로 교체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방역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방역등기구가 서로 감지센서를 공유하여 연동된 방역등기구 중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가 사람을 감지하면 연동된 모든 방역등기구의 자외선방역모듈이 작동을 중지하므로 안전한 방역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관리서버는 이러한 방역등기구들을 모두 관리할 뿐만 아니라 건물의 출입통제시스템과 연동되어 방역데이터와 출입관리데이터를 공유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권한이 인증된 관리자의 휴대단말기에 방역앱이 설치되어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므로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방역데이터를 제공하고, 이상이나 사고를 실시간으로 알림할 수 있어서 실시간 상시 방역 및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순환시키고 흡입하여 공기를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것이 아니라 방역을 실시하고자 하는 공간 전체를 자외선으로 직접 조사하여 방역하는 것이어서 소음 없이 직접적으로 방역할 수 있으며, 이 때 방역등기구의 자외선방역모듈이 방역등기구로부터 돌출되어 이동하면서 자외선을 직접 조사할 수 있어서 음영을 최소활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방역율을 높이고, 별도의 수동 방역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명이 꺼져 있는 상태라도 사람이 없을 때 상시 방역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인용발명2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의 방역등기구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실시예의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의 방역등기구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2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은 전원(201)을 입력받아 발광하는 조명부(210)와, 감지센서(220)가 구성되고, 상기 조명부(210)가 꺼진 상태에서 상기 감지센서(220)의 감지데이터에 따라 사람이 없는 경우 방역을 실시하는 자외선방역모듈(250)이 포함된 방역등기구(200)와,
상기 방역등기구(200)들의 감지센서(220)를 공유하여 연동된 방역등기구(200)를 제어하는 방역제어부(300)와,
상기 방역등기구(200)들과 통신하며, 방역등기구(200)들을 관리하는 관리서버(400)와,
권한이 있는 관리자의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관리서버(400)와 통신하고, 관리서버(400)의 방역데이터를 포함한 관리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표시하고 알림을 실시하는 방역앱(500)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방역등기구(200)는 도 3에서 구체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전원(201)을 입력받아 발광하는 조명부(210)와, 감지센서(220)가 구성되고,
상기 조명부(210)에 전원(201)이 공급되는 동안 전원(201)을 DC로 변환하는 DC컨버터(230) 및 상기 DC컨버터(230)가 변환한 DC전원(201)을 charger(241)에 의해 충전하여 저장하는 충전배터리(240)와,
상기 감지센서(220)의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사람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역제어부(300)와,
상기 방역제어부(300)에 연결되며, 연동된 다른 방역등기구(200)와 통신하여 감지센서(220)를 공유하는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260)와,
상기 방역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조명부(210)가 꺼진 상태에서 사람이 없는 경우 상기 충전배터리(240)로부터 DC전원(201)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발광하여 자외선 직접 조사로 방역하는 자외선방역모듈(250)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감지센서(220)는 생체를 직접 감지하는 IR센서일 수 있고, 움직임을 감지하는 레이더센서나 모션센서일 수 있고, 열원으로 사람을 감지하는 열화상 카메라일 수 있으며, 공기 중 오염을 감지하는 공기 오염 감지 센서일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으로 된 감지센서(220)일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방역등기구(200)에 구성되거나 방역등기구(200)들이 설치된 공간의 입구, 출입문 또는 출입문 인근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60)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RF통신 등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성일 수 있고, 전력통신일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감지센서(220) 또는 통신부(260)는 작동을 표시하는 indicate(221)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210)는 기존의 등기구와 교체될 수 있도록 소켓(2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건물의 콘센트 또는 USB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콘넥터가 구성된 것일 수 있고, 자외선방역모듈(250)과 같은 방역등기구(200)에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조명부(210)는 조명 제어를 위한 스위치가 온 되면, 방역등기구(200)가 설치된 건물의 전원(201)을 공급받아 EMI filter(212)를 통과시켜 누전이나 과전류를 차단하고, 정류기(213)를 통해 전원(201)을 정류하여 조명부(210)가 사용할 수 있는 전원(201)으로 변환하여 flyback LED driver에 의해 조도가 조절되면서 LED가 발광되어 공간을 조명하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외선방역모듈(250)은 바이러스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것이고, 방역등기구(200)에 구성되지만 방역등기구(200)의 조명부(210)에 공급되는 전원(201)을 직접 전원(201)으로 사용하여 작동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조명부(210)에 전원(201)이 공급되는 동안 배터리 charger(241)에 의해 충전된 충전배터리(240)로부터 DC전원(201)을 공급받으므로 전원(201)이 끊긴 상태에서도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역제어부(300)는 각각의 방역등기구(200)에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연동된 방역등기구(200)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될 수 있으며, 방역등기구(200)와 별도로 구성되거나 관리서버(400)에 구성되어 연동된 방역등기구(200)들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어서 방역등기구(200) 내에 구성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방역등기구(200)가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화장실 등과 같이 용도에 따라 고성능의 프로세서가 포함된 방역제어부(300)가 아닌 단순 스위치와 타이머만으로 조명부(210)에 전원(201)이 끊기고 일정시간 후에 충전배터리(240) 용량만큼 자외선방역모듈(250)이 작동되도록 간단하게 구성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역제어부(300)는 연동된 방역등기구(200)의 조명부(210)가 발광 중일 때 자외선방역모듈(250)이 사용하는 충전배터리(240)를 충전시키고, 상기 조명부(210)의 소등 시 감지센서(220)의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사람이 없으면 상기 충전배터리(240)의 DC전원(201)이 자외선방역모듈(250)로 공급되도록 하여 자외선이 방역 공간에 직접 조사되어 상시 방역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연동된 방역등기구(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220)에서 사람이 감지되면 연동된 방역등기구(200) 모두의 자외선방역모듈(250)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역등기구(200)는 도 4에서 대략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전원(201)을 입력받아 발광하는 조명부(210)와, 감지센서(220)가 구성되고, 상기 조명부(210)에 전원(201)이 공급되는 동안 전원(201)을 DC로 변환하는 DC컨버터(230) 및 상기 DC컨버터(230)가 변환한 DC전원(201)을 저장하는 충전배터리(240)와,
상기 감지센서(220)의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사람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역제어부(300)와,
상기 방역제어부(300)에 연결되며, 연동된 다른 방역등기구(200)와 통신하여 감지센서(220)를 공유하는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260)와,
상기 방역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조명부(210)가 꺼진 상태에서 사람이 없는 경우 상기 충전배터리(240)로부터 DC전원(201)을 공급받아 발광하면서 권취롤(251)의 작동으로 방역등기구(200)로부터 돌출되어 이동하면서 공간에 음영이 없이 공간 전체를 직접 조사하여 방역하는 중량부가 내장된 자외선방역모듈(250)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역등기구(200)는 상시 방역하는 공간의 가구 또는 물건에 의해 음영이 일어나는 부분까지도 자외선방역모듈(250)이 이동하면서 직접 자외선을 조사하여 방역할 수 있어서 방역율을 높이고, 별도의 수동 방역이 불필요하게 되며, 이와 같은 자외선방역모듈(250)의 움직임이 사람의 눈에 띄기 쉬우므로 방역 공간에 남아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회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400)는 방역등기구(200)들과 통신하여 각 방역등기구(200)들의 사람감지, 자외선방역모듈(250)의 방역, 점등 이상 유무, 충전배터리(240)의 충전량/사용량, 방역등기구(200)들의 무선통신 연결망, 감지센서(220) 등의 관리 및 데이터, 이력을 관리할 수 있으며, 각 방역등기구(200)들의 이상을 판단하여 방역앱(500)을 통해 관리자에게 실시간 정보 제공 및 이상 알림을 실시하여 신속한 문제 해결 및 유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상기 관리서버(400)는 건물의 출입통제시스템과 연동되어 방역데이터와 출입관리데이터를 공유하여 관리할 수 있어서 출입관리데이터에 재실 중인 사람이 있는 경우 해당 공간에 방역등기구(200)들의 방역 작동이 차단되도록 관리할 수 있고, 관리서버(400)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건물의 적합한 방역 시기와 방역 계획을 수립하는 인공지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200:방역등기구 201:전원 210:조명부
211:소켓 212:EMI filter 213:정류기
220:감지센서 221:indicate 230:DC컨버터
240:충전배터리 241:charger 250:자외선방역모듈
251:권취부 260:통신부 300:방역제어부
400:관리서버 500:방역앱

Claims (5)

  1. 전원을 입력받아 발광하는 조명부와, 감지센서가 구성되고, 상기 조명부가 꺼진 상태에서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데이터에 따라 방역을 실시하는 자외선방역모듈이 포함된 방역등기구와,
    상기 방역등기구의 감지센서를 공유하여 연동된 다른 방역등기구를 제어하는 방역제어부와,
    상기 방역등기구들과 통신하며, 방역등기구들을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권한이 있는 관리자의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관리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관리서버의 관리 데이터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표시하고 알림을 실시하는 방역앱이 구성되되,
    상기 자외선방역모듈은 중량부가 내장되고, 충전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발광하면서 권취롤의 작동으로 방역등기구로부터 방역등기구의 외부로 돌출되어 이동하면서 공간에 음영이 없이 공간 전체를 직접 자외선으로 조사하여 방역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제어부는 연동된 방역등기구의 조명부가 발광 중일 때 자외선방역모듈이 사용하는 충전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상기 조명부의 소등 시 감지센서의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사람이 없으면 상기 충전배터리의 DC전원이 자외선방역모듈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시 방역이 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3. 삭제
  4. 전원을 입력받아 발광하는 조명부와, 감지센서가 구성되고,
    상기 조명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전원을 DC로 변환하는 DC컨버터 및 상기 DC컨버터가 변환한 DC전원을 저장하는 충전배터리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역제어부와,
    상기 방역제어부에 의해 상기 조명부가 꺼진 상태에서 사람이 없는 경우 상기 충전배터리로부터 DC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여 방역하는 자외선방역모듈과,
    상기 자외선방역모듈에 내장되는 중량부와,
    상기 충전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방역모듈을 승강/하강시키는 권취롤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의 방역등기구.
  5. 삭제
KR1020200168897A 2020-12-04 2020-12-04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 KR102546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897A KR102546034B1 (ko) 2020-12-04 2020-12-04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897A KR102546034B1 (ko) 2020-12-04 2020-12-04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281A KR20220079281A (ko) 2022-06-13
KR102546034B1 true KR102546034B1 (ko) 2023-06-22

Family

ID=8198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897A KR102546034B1 (ko) 2020-12-04 2020-12-04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0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481B1 (ko) * 2015-11-13 2017-04-11 주식회사 파나시아 자외선 살균시스템
KR102022314B1 (ko) * 2017-11-28 2019-11-04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스템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KR102066567B1 (ko) * 2019-10-02 2020-01-15 주식회사 인터넷플러스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6902B1 (en) * 2011-04-15 2021-07-21 Samuel Richard Trapani Room sterilization system
KR101820506B1 (ko) 2016-07-22 2018-01-19 (주)에이스잡 소독 및 방역장치
KR101990846B1 (ko) 2017-03-06 2019-06-19 에이치디에스 주식회사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이용한 공기 오염 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481B1 (ko) * 2015-11-13 2017-04-11 주식회사 파나시아 자외선 살균시스템
KR102022314B1 (ko) * 2017-11-28 2019-11-04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스템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KR102066567B1 (ko) * 2019-10-02 2020-01-15 주식회사 인터넷플러스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281A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9686A1 (en) Using Light Fixtures For Disinfection
KR20220123683A (ko) 소독 시스템 및 방법
US11883546B2 (en) Luminaire with disinfection light exposure and dosage limit control protocol and sensor integration
US20210379222A1 (en) Lighting device with integral uv disinfection
KR20200093186A (ko) 자외선엘이디 공간살균기
KR20110050035A (ko) 무인 자동 살균 장치 및 방법
WO2015189615A1 (en) Uv-c light automated disinfection system
WO2016081959A2 (en) Air sterilizer
US20220202984A1 (en) Germicidal devices and applications of same
KR10199084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이용한 공기 오염 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US20220096683A1 (en) Bimodal ultraviolet disinfec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190130722A (ko) Usb충전식 자외선엘이디 살균장치
KR20210132516A (ko) Iot 살균 스마트 화장실 시스템
KR102546034B1 (ko)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
KR20200076077A (ko)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 자외선 살균장치
KR102398579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조명 살균시스템
NL1044229B1 (en) Uv disinfection device
JP7331292B1 (ja) 照明デバイスのセンサの状態を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230248860A1 (en) Inactivation device for bacteria and/or viruses and method of inactivation treatment for bacteria and/or viruses
KR102577495B1 (ko) 안티 바이러스 센서등 모듈
CN213099587U (zh) 一种移动杀菌装置
KR20220071804A (ko) 배터리를 내장하여, 소등 시 자동 작동하는 자외선살균장치를 포함한 조명장치
TW202203987A (zh) 殺菌系統及具有該殺菌系統的電梯設備
KR20200094596A (ko) 자외선 엘이디 램프 제어 시스템
US20220096693A1 (en) Enclosed space ultraviolet disinfec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