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567B1 -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 - Google Patents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567B1
KR102066567B1 KR1020190122488A KR20190122488A KR102066567B1 KR 102066567 B1 KR102066567 B1 KR 102066567B1 KR 1020190122488 A KR1020190122488 A KR 1020190122488A KR 20190122488 A KR20190122488 A KR 20190122488A KR 102066567 B1 KR102066567 B1 KR 102066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electrically connected
power
smps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넷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넷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넷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2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 및 이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 및 이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방법은 조명 램프; 살균 램프;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에 의해 상기 조명 램프 또는 상기 살균 램프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전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구 회로는 상기 전원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상기 SMPS로부터 제공되는 직류전원이 충전되는 축전기; 상기 SMPS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따라 상기 전구 회로를 스위칭하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와 접촉되어 상기 조명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 접점; 및 상기 릴레이와 접촉되어 상기 살균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 접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BULBS FOR STERILIZATION USING UV L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와 관련된다.
아파트나 집합건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는 화장실 겸 욕실이 대부분 밀폐 구조로 구획 구비되어 있으며, 화장실의 특성상 채광을 크게 만들 수 없으므로 대부분 창호가 없거나 있더라도 협소한 작은 크기의 창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화장실 내부에 오염된 공기가 잔존하거나 습기가 제거되지 못하고 잔류됨에 따라 화장실의 청결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2799호를 통해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는 단순히 조명장치에 공기청정을 위한 청정부재를 부가설치한 구성으로, 실제로 공기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오염균을 제거하기 위한 UV램프 즉, 자외선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자외선)을 직접 육안으로 바라보는 경우 급성결막염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닿게 되는 경우에는 피부노화와 착색 등의 부작용을 초래함에 따라 인체에 유해하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는 UV램프인 자외선램프의 빛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되어 있어야 하므로 자외선에 의한 살균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42799호 (2011.04.2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입실시에는 조명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퇴실하면서 조명을 끄면 자외선램프를 점등시켜 살균 기능을 수행하여 쾌적한 환경의 유지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장실이나 욕실 등과 같은 폐쇄 실내 공간에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기존 백열등 소켓에 교체 설치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램프; 살균 램프;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에 의해 상기 조명 램프 또는 상기 살균 램프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전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구 회로는 상기 전원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상기 SMPS로부터 제공되는 직류전원이 충전되는 축전기; 상기 SMPS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따라 상기 전구 회로를 스위칭하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와 접촉되어 상기 조명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 접점; 및 상기 릴레이와 접촉되어 상기 살균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 접점을 포함하는 살균용 전구가 제공된다.
상기 전구 회로는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하여 외부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릴레이와 상기 제1 연결 접점이 접촉되어 상기 외부 전원, 상기 SMPS, 상기 축전기 및 상기 조명 램프를 연결하는 조명 회로; 및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하여 외부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릴레이와 상기 제2 연결 접점이 접촉되어 상기 축전기 및 상기 살균 램프를 연결하는 살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용 전구는 상기 외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상기 조명 회로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공급되는 외부 전원에 의해 상기 조명 램프가 점등되고, 상기 축전기가 상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살균용 전구는 상기 외부 전원의 차단에 의해 상기 살균 회로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축전기에 충전된 전원에 의해 상기 살균 램프가 점등될 수 있다.
상기 SMPS는 입력단이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출력단은 양극단 및 접지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전기는 일단이 상기 SMPS의 출력단 양극단 및 상기 살균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SMPS의 출력단 접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명 램프는 일단이 상기 SMPS의 출력단 양극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연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살균 램프는 일단이 상기 축전기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는 일단이 상기 SMPS의 출력단 양극단, 상기 축전기, 상기 조명 램프 및 상기 살균 램프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하여 외부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 연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하여 외부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2 연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구 회로는 상기 릴레이가 상기 제1 연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외부 전원, 상기 SMPS, 상기 축전기 및 상기 조명 램프를 연결하는 조명 회로를 형성하며, 상기 릴레이가 상기 제2 연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축전기 및 상기 살균 램프를 연결하는 살균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실시에는 조명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퇴실하면서 조명을 끄면 자외선램프를 점등시켜 살균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의 유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장실이나 욕실 등과 같은 폐쇄 실내 공간에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기존 백열등 소켓에 교체 설치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의 전구 회로가 조명 회로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의 전구 회로가 살균 회로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100)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20)에 의하여 조명 램프(230) 또는 살균 램프(240)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살균용 전구(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20)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살균용 전구(100)는 일반적인 백열등 전구와 동일한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기존의 백열등 소켓을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외부 전원(10)은 살균용 전구(100)에 AC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상용 AC 전원이 입력될 수 있으며, 상용 AC 전원을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부가적인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 스위치(20)는 사용자로부터 온오프 조작력을 받을 수 있으며, 온오프에 따라 살균용 전구(100)에 외부 전원(10)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살균용 전구(100)는 SMPS(210), 축전기(220), 조명 램프(230), 살균 램프(240) 및 릴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210)는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SMPS(210)는 직류 전원으로 전환시킨 후 조명 램프(230) 및 살균 램프(240)의 조건에 맞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공급할 수 있다. SMPS(210)는 입력전압에 변동이 있더라도 일정한 출력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전압변동에 따른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축전기(220)는 SMPS(21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전기(220)는 사용자로부터 전원 스위치(20)가 온(ON)되어 외부 전원(10)이 연결되는 경우, SMPS(21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축전기(220)는 기 공지된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켈-카드뮴계열의 2차 전지나 슈퍼콘덴서(EDLC)와 같은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축전기(220)는 충전된 직류전원을 전구 회로(200)에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전기(220)는 사용자로부터 전원 스위치가 오프(OFF)되어 외부 전원(10)이 차단되는 경우, 축전기(220)가 방전되면서 충전된 직류전원을 전구 회로(200)에 공급할 수 있다.
조명 램프(230)는 SMPS(21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의하여 점등 또는 소등되는 조명 요소로, 예를 들어, 가시광선 LED가 사용될 수 있다. 조명 램프(230)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20)가 온(ON)되어 외부 전원(10)이 연결되는 경우, 외부 전원(10)을 공급받아 점등될 수 있다.
살균 램프(240)는 축전기(22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의하여 점등 또는 소등되는 100nm~28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요소로, 예를 들어, 자외선 LED가 사용될 수 있다. 살균 램프(2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20)가 오프(OFF)되어 외부 전원(10)이 차단되는 경우, 축전기(200)가 방전되면서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릴레이(250)는 SMPS(21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따라 전구 회로(200)를 스위칭할 수 있다. 릴레이(250)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20)가 온(ON)되어 외부 전원(10)이 연결되는 경우, 외부 전원(10), SMPS(210), 축전기(220) 및 조명 램프(230)를 연결하는 조명 회로를 형성하도록 전구 회로(200)를 스위칭하여 릴레이(250)와 제1 연결 접점(251)이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250)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20)가 오프(OFF)되어 외부 전원(10)이 차단되는 경우, 축전기(220) 및 살균 램프(240)를 연결하는 살균 회로를 형성하도록 전구 회로(200)를 스위칭하여 릴레이(250)와 제2 연결 접점(252)이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는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명이 켜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살균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없이 화장실을 사용하는 동안 충전된 축전기(220)에 의하여 살균 램프(240)가 작동함으로써, 전원 스위치(20)를 오프하는 경우 살균 램프(240)가 작동하며,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하는 동안 충전된 전원만큼 살균 램프(240)가 작동하고 자동으로 살균 램프(240)가 오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의 전구 회로(200)가 조명 회로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20)에 의하여 조명 램프(230) 또는 살균 램프(240)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형성되는 전구 회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의 전구 회로(200)는 SMPS(210), 축전기(220), 조명 램프(230), 살균 램프(240) 및 릴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SMPS(210)는 입력단이 외부 전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전원(10)과 SMPS(210) 사이에는 전원 스위치(2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SMPS(210)의 출력단은 양극단 및 접지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전기(220)는 일 단이 SMPS(210)의 출력단 양극단 및 살균 램프(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SMPS(210)의 출력단 접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축전기(220)는 SMPS(210)의 출력단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조명 램프(230)는 일 단이 SMPS(210)의 출력단 양극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연결 접점(2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살균 램프(240)는 일 단이 축전기(22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연결 접점(2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릴레이(250)는 릴레이 코일(253) 및 릴레이 스위치(254)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코일(253)은 일단이 SMPS(210)의 출력단 양극단, 축전기(220), 조명 램프(230) 및 살균 램프(240)의 일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이 릴레이 스위치(254)와 연결될 수 있다. 릴레이 스위치(254)는 릴레이 코일(253)에 외부 전원(10)이 인가되는 경우, 제1 연결 접점(251)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스위치(254)는 릴레이 코일(253)로 인가되는 외부 전원(10)이 차단되는 경우, 제2 연결 접점(252)과 접촉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20)가 온(ON)되어 외부 전원(10)이 연결되는 경우, 릴레이(250)와 제1 연결 접점(251)이 접촉되어 외부 전원(10), SMPS(210), 축전기(220) 및 조명 램프(230)를 연결하는 조명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조명 회로는 전원 스위치(20)가 온되어 외부 전원(10)이 연결되는 경우, 릴레이(250)와 제1 연결 접점(251)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릴레이(250)와 제2 연결 접점(252)은 단락될 수 있다. 조명 회로는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SMPS(210)를 통하여 조명 램프(230)의 조건에 맞는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공급되어 조명이 켜질 수 있다. 또한, 조명 회로는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축전기(220)를 충전할 수 있다. 이에, 살균용 전구(100)는 기존의 백열등 전구와 같이,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하기 위하여 전원 스위치(20)를 온하여 조명을 사용할 수 있으며, 조명이 사용되는 동안 축전기(22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의 전구 회로(200)가 살균 회로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20)가 오프(OFF)되어 외부 전원(10)이 차단되는 경우, 릴레이(250)와 제2 연결 접점(252)이 접촉되어 축전기(220) 및 살균 램프(240)를 연결하는 살균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살균 회로는 전원 스위치(20)가 오프되어 외부 전원(10)이 차단되는 경우, 릴레이(250)와 제2 연결 접점(252)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릴레이(250)와 제1 연결 접점(251)은 단락될 수 있다. 살균 회로는 외부 전원(10)이 차단되는 경우 축전기(220)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면서 살균 램프(240)에 공급되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축전기(220)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면서 살균 램프(240)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조명을 사용하는 동안 충전된 전원만큼 살균 램프(240)가 작동할 수 있다. 이에, 살균용 전구(100)는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을 완료하고 전원 스위치(20)를 오프하는 경우, 조명이 사용되는 동안 충전된 축전기(220)에 의하여 일정 시간동안(축전기(220)가 완전히 방전되는 동안) 살균 램프(240)가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없이 화장실을 사용하는 동안 충전된 축전기(220)에 의하여 살균 램프(240)가 작동함으로써, 전원 스위치(20)를 오프하는 경우 살균 램프(240)가 작동하며,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하는 동안 충전된 전원만큼 살균 램프(240)가 작동하고 자동으로 살균 램프(240)가 오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는 오염 측정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염 측정 센서는 화장실 내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오염 측정 센서는 축전기(220)에 저장된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살균 램프(240)가 오프된 후, 화장실 내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이상 오염도가 측정되는 경우에 오프된 살균 램프(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염 측정 센서에 의하여 화장실 내의 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축전기(220)에 저장된 전원으로 화장실이 살균되지 않는 경우에도 추가적으로 살균 램프(240)를 작동하여 화장실이 살균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하기 위하여 전원 스위치(20)를 온하면 외부 전원(10)이 살균용 전구(100)에 인가된다(S401). 이 때, 전구 회로(200)에 전원이 인가되면, SMPS(210)를 통하여 직류전원으로 전환된 전압에 의하여 릴레이(250)와 제1 연결 접점(251)이 접촉된다. 한편, 릴레이(250)와 제1 연결 접점(251)이 접촉됨으로써, 릴레이(250)와 제2 연결 접점(252)은 단락되어 살균 램프(240)가 오프된다(S402). 따라서, 전구 회로(200)는 외부 전원(10), SMPS(210), 축전기(220) 및 조명 램프(230)를 연결하는 조명 회로를 형성하여 외부 전원(10)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SMPS(210)를 통하여 직류 전원으로 전환시킨 후 공급되어 조명 램프(230)가 온되며(S403), 축전기(220)가 충전된다(S404).
그 다음,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하고 전원 스위치(20)를 오프하면 외부 전원(10)이 차단된다(S405). 이 때, 전구 회로(200)에 전원이 차단되면, 릴레이(250)와 제2 연결 접점(252)이 접촉된다. 한편, 릴레이(250)와 제1 연결 접점(251)은 단락되어 조명 램프(230)가 오프된다(S406). 따라서, 전구 회로(200)는 축전기(220) 및 살균 램프(240)를 연결하는 살균 회로를 형성하여 축전기(220)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면서(S407) 살균 램프(2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살균 램프(240)가 온된다(S408).
그 다음, 축전기(220)에 충전된 전원이 완전히 방전되면 살균 램프(24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살균 램프(240)가 오프된다(S409).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는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명이 켜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살균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용 전구(100)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없이 화장실을 사용하는 동안 충전된 축전기(220)에 의하여 살균 램프(240)가 작동함으로써, 전원 스위치(20)를 오프하는 경우 살균 램프(240)가 작동하며,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하는 동안 충전된 전원만큼 살균 램프(240)가 작동하고 자동으로 살균 램프(240)가 오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외부 전원
20 : 전원 스위치
100 : 살균용 전구
200 : 전구 회로
210 : SMPS
220 : 축전기
230 : 조명 램프
240 : 살균 램프
250 : 릴레이
251 : 제1 연결 접점
252 : 제2 연결 접점

Claims (6)

  1. 살균용 전구로서,
    조명 램프;
    살균 램프;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에 의해 상기 조명 램프 또는 상기 살균 램프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전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구 회로는,
    상기 전원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상기 SMPS로부터 제공되는 직류전원이 충전되는 축전기;
    상기 SMPS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따라 상기 전구 회로를 스위칭하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와 접촉되어 상기 조명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 접점; 및
    상기 릴레이와 접촉되어 상기 살균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SMPS는, 입력단이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출력단은 양극단 및 접지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전기는, 일단이 상기 SMPS의 출력단 양극단 및 상기 살균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SMPS의 출력단 접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명 램프는, 일단이 상기 SMPS의 출력단 양극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연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살균 램프는, 일단이 상기 축전기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는, 일단이 상기 SMPS의 출력단 양극단, 상기 축전기, 상기 조명 램프 및 상기 살균 램프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하여 외부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 연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하여 외부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2 연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구 회로는,
    상기 릴레이가 상기 제1 연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외부 전원, 상기 SMPS, 상기 축전기 및 상기 조명 램프를 연결하는 조명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릴레이가 상기 제2 연결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축전기 및 상기 살균 램프를 연결하는 살균 회로를 형성하며,
    상기 살균용 전구는,
    상기 외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상기 조명 회로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공급되는 외부 전원에 의해 상기 조명 램프가 점등되고, 상기 축전기가 상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며,
    상기 외부 전원의 차단에 의해 상기 살균 회로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축전기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면서 상기 살균 램프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살균 램프가 점등되되, 상기 축전기가 상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된 전원이 완전히 방전될때까지 상기 살균 램프가 점등되는, 살균용 전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22488A 2019-10-02 2019-10-02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 KR102066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88A KR102066567B1 (ko) 2019-10-02 2019-10-02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88A KR102066567B1 (ko) 2019-10-02 2019-10-02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567B1 true KR102066567B1 (ko) 2020-01-15

Family

ID=6915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488A KR102066567B1 (ko) 2019-10-02 2019-10-02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281A (ko) *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시엘케이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799A (ko) 2009-10-20 2011-04-27 홍명기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
KR101590045B1 (ko) * 2015-05-27 2016-01-29 (주)비츠로 엘이디 등기구 정전류 제어장치
KR20170030166A (ko) * 2015-09-09 2017-03-17 (주)엘이디마스터 살균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101924119B1 (ko) * 2018-05-16 2018-11-30 루멘전광(주) 살균기능이 구비된 led 조명등기구용 전원공급장치
KR20190061472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스템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799A (ko) 2009-10-20 2011-04-27 홍명기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
KR101590045B1 (ko) * 2015-05-27 2016-01-29 (주)비츠로 엘이디 등기구 정전류 제어장치
KR20170030166A (ko) * 2015-09-09 2017-03-17 (주)엘이디마스터 살균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190061472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스템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KR101924119B1 (ko) * 2018-05-16 2018-11-30 루멘전광(주) 살균기능이 구비된 led 조명등기구용 전원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281A (ko) *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시엘케이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
KR102546034B1 (ko) * 2020-12-04 2023-06-22 (주) 시엘케이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9686A1 (en) Using Light Fixtures For Disinfection
CN202554545U (zh) 紫外线消毒灯智能控制器及消毒系统
KR102066567B1 (ko)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
EP3012515B1 (en) Led lamp with dual mode operation
US20110254444A1 (en) High-voltage circuit insertion-type discharge element
KR20120126079A (ko) 태양광 패널들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US20060120915A1 (en) Ster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surfaces
CN212608863U (zh) 电梯智能消毒装置
CN111351014A (zh) 多功能杀菌照明灯
US20120176046A1 (en) Lighting device
US20220072186A1 (en) Disinfecting Circadian Lighting Device
KR20030095377A (ko) 유에스비 포트를 내장한 휴대용 칫솔 살균 장치
CN103463651A (zh) 一种消毒灭菌灯
CN109429410B (zh) 具有漏电保护功能的led电子驱动器
JP2021023529A (ja) シンク用殺菌装置
RU174109U1 (ru) Бактерицид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здуха в помещениях в присутствии людей
CN210792976U (zh) 具有杀菌功能的汽车内饰氛围灯、组件及包括其的汽车
RU1106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здуха и поверхностей
KR20220071804A (ko) 배터리를 내장하여, 소등 시 자동 작동하는 자외선살균장치를 포함한 조명장치
RU136719U1 (ru) Бактерицидный облучатель
RU130850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питания и управления бактерицидного облучателя
RU139907U1 (ru) Бактерицидный облучатель
CN219349547U (zh) 用于消毒检测的门禁装置
RU136720U1 (ru) Бактерицидный облучатель
CN212970180U (zh) 照明杀菌一体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