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739B1 -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739B1
KR102545739B1 KR1020220127436A KR20220127436A KR102545739B1 KR 102545739 B1 KR102545739 B1 KR 102545739B1 KR 1020220127436 A KR1020220127436 A KR 1020220127436A KR 20220127436 A KR20220127436 A KR 20220127436A KR 102545739 B1 KR102545739 B1 KR 102545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display device
smart terminal
restaura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황
Original Assignee
큐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큐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7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에 있어서,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에 있어서, 외식주문 앱이 설치되어, 복수의 외식메뉴 및 상기 복수의 외식메뉴에 대한 주문 현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QR코드를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각 외식매장에 배치된 키오스크 및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Restaurant ordering system using through QR code}
본 발명은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주문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외식매장으로 하여금 주문자에게 픽업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QR코드는 사각형의 가로세로 격자무늬에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매트릭스) 형식의 코드로, ‘QR’이란, ‘Quick Response’의 머리글자이며, 기존의 1차원 바코드가 20자 내외의 숫자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는 반면, QR코드는 숫자 최대 7,089자, 문자(ASCII) 최대 4,296자, 이진(8비트) 최대 2,953바이트, 한자 최대 1,817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일반 바코드보다 인식속도와 인식률, 복원력이 뛰어나다. 바코드가 주로 계산이나 재고관리, 상품확인 등을 위해 사용된다면 QR코드는 마케팅이나 홍보, PR 수단으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기존 바코드를 읽을 수 있는 전용단말기는 상품 판매자만 소유할 수 있어 소비자들이 바코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했지만, QR코드의 경우 스마트 단말기만 있으면 소비자들이 직접 상품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QR코드는 스마트 단말기가 보급되면서 활용도가 높아졌다. 스마트 단말기 사용자들은 무료로 제공되는 QR코드 스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은 후, 스마트 단말기로 광고판, 홍보지, 포스터, 잡지, 인터넷 등에 게재된 QR코드를 스캔하기만 하면 각종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한편, QR코드를 이용하여 외식매장 및 매장 내의 테이블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대기시간 없이 주문접수가 이루어지도록 외식매장 주문접수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서버를 통해 QR코드를 생성하고, 스마트단말기 및 키오스크를 통해 주문이 되도록 하여 외식매장을 이용하는 주문자 또는 소비자와 업주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식주문 앱이 설치되어, 복수의 외식메뉴 및 상기 복수의 외식메뉴에 대한 주문 현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QR코드를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각 외식매장에 배치된 키오스크 및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제1출력장치를,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제2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키오스크 또는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식메뉴 중 제1외식메뉴에 대한 제1주문정보를 포함한 제1사용자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상기 제1주문에 관한 제1식별정보를 포함한 제2사용자입력를 수신하면, 상기 제1출력장치가 상기 제1주문정보가 포함된 제1인쇄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버는 수신된 상기 제1주문정보 및 제1식별정보를 제1QR코드로 저장하고, 상기 제2출력장치가 상기 제1QR코드가 포함된 제2인쇄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QR코드의 정보를 추출하는 QR코드데이터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QR코드데이터추출부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상된 상기 제2인쇄지의 상기 제1QR코드에 포함된 상기 제1식별정보를 추출하면, 상기 제1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제1스마트단말기로 제1호출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외식매장 내의 복수의 테이블에 설치된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외식주문 앱의 웹 사이트 URL정보와 상기 복수의 테이블 각각에 대한 테이블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QR코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2QR코드를 식별한 제2스마트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식메뉴 중 제2외식메뉴에 대한 제2주문정보 및 테이블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2주문정보 및 상기 테이블식별정보를 제3QR코드로 저장하고, 상기 제2출력장치로부터 상기 제3QR코드가 포함된 제3인쇄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QR코드데이터추출부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상기 제3인쇄지의 제3QR코드에 포함된 상기 테이블식별정보를 추출하면, 상기 테이블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테이블의 상기 표시장치에 제2호출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장치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장치 케이스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체결하여 상기 표시장치를 내부에 구비하며, 중앙에 통공을 포함하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된 고정리브; 상기 고정리브에 끼움체결되는 제1방수러버; 및 상기 제1방수러버에 끼움체결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주문자에게 외식매장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QR코드를 통해 키오스크에서 주문이 되도록 하는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을 제공하여 주문자와 외식매장을 운영하는 업주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의 스마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케이스의 단면도 및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케이스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 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의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은, 복수의 외식메뉴 및 상기 복수의 외식메뉴에 대한 주문 현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와 QR코드를 스캔하는 카메라 모듈(110)을 포함하는 스마트단말기(100) 및 각 매장에 배치된 키오스크(30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200), 각 매장에 배치되어 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키오스크(300)를 포함한다.
외식매장은 한식당, 중식당, 서양음식 전문점, 프랜차이즈 치킨집, 커피가맹점 등을 포함하며, 외식메뉴는 외식매장의 업종별로 각각 판매되고 있는 모든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문 현황이란, 각 외식매장에서 복수의 주문자 각각이 주문한 외식메뉴의 리스트와 외식매장 내에 복수의 테이블이 마련된 경우 각각의 테이블마다 주문된 외식메뉴 리스트 및 이들에 대한 가격정보 등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스마트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스마트단말기(100)는 QR코드를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110), 촬상된 QR코드를 디코딩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QR코드데이터추출부(120),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30)와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며, 스마트단말기(100)와 서버(200) 및 키오스크(300)는 상호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다.
카메라 모듈(110)은 스마트단말기(100)에 내장된 것으로 전제하여 기재하나,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거나, 자체전원수단을 구비하여 스마트단말기(100)와 웹카메라의 형태로, 유선연결 또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는 카메라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부(130)는 다른 스마트단말기(100) 또는 다른 외부서버 및 키오스크(300) 등과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통신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통신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Radio Control,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BLE(Bluetooth Low Energy), SPP(Serial Port Profile), Wi-Fi Direct, 적외선 통신,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DMA 어댑터 또는 ieee 801.11g 또는 11n 규격에 의한 Wi-Fi(Wireless Lan) 어댑터이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통신을 시도하거나, Wi-Fi를 통한 무선인터넷 접속을 통해 서버(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r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 방식인 경우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백라이트유닛 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에 터치를 통해 사용자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서버(200)는 스마트단말기(100) 및 키오스크(30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며,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각각의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외부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의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서버(200)의 제조 시에 제공하는 서버(2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프로그램은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키오스크(300)는 매장 내에 설치되어, 주문자의 사용자입력을 통해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메뉴를 주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주문자의 사용자입력을 통해 주문자가 사용하는 스마트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수집 및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키오스크(300)는 인쇄지를 출력할 수 있는 제1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마트단말기(100)는 인쇄지를 출력할 수 있는 제2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장치는 열에 반응하는 염료를 함유한 감열지나 리본에 열을 가하여 인쇄하는 프린팅 장치를 의미하며, 이때 출력장치는 감열지 뿐만 아닌 잉크 분사 또는 잉크를 고체화하여 인쇄하는 잉크젯, 솔리드, 레이저 프린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키오스크(300) 또는 스마트단말기(100)로부터 복수의 외식메뉴 중 제1외식메뉴에 대한 제1주문정보를 포함한 제1사용자입력과 키오스크(300)로부터 제1주문에 관한 제1식별정보를 포함한 제2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키오스크(300)의 제1출력장치가 제1주문정보가 포함된 제1인쇄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서버(200)는 수신된 제1주문정보 및 제1식별정보를 제1QR코드로 저장하고, 스마트단말기(100)의 제2출력장치가 제1QR코드가 포함된 제2인쇄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단말기(100)는 QR코드데이터추출부(120)가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촬상된 제2인쇄지의 제1QR코드에 포함된 제1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인식하면 제1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주문자의 제1스마트단말기로 제1호출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단말기(100)는 제1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인식하였다는 것을 서버(200)에 알림으로써, 서버(200)가 주문자의 제1스마트단말기로 제1호출신호를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통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문자는 외식매장의 업주 또는 주문을 받는 종업원 등에게 구두로 복수의 외식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주문할 수 있으며, 이때 주문을 받은 업주 또는 종업원은 스마트단말기(100)를 통해 주문자가 주문한 제1외식메뉴에 대한 제1사용자입력을 한다. 이때 주문자는 구두로 메뉴를 주문하는 것이 아닌 외식매장 내에 설치된 키오스크(300)를 통해 주문을 진행할 수 있다. 키오스크(300)를 통해 주문자가 복수의 외식메뉴 중 하나 이상의 메뉴를 주문하는 제1사용자입력을 하면, 이를 수신한 키오스크(300)는 외식매장의 업주 또는 종업원이 보유한 스마트단말기(100)로 주문자가 주문한 제1외식메뉴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직접 송신하는 것뿐만 아닌 서버(200)를 통해서 스마트단말기(100)로 제1외식메뉴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외식메뉴를 주문한 주문자는 키오스크(300)를 통해 주문에 관한 식별정보에 관한 제2사용자입력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문자는 구두 또는 키오스크(300)를 통해 제1외식메뉴를 제1주문을 하면, 제1주문에 관한 알림 등을 수신할 수 있는 주문자 소유의 스마트단말기(100)의 식별정보, 예컨대, 식별정보는 카카오톡과 같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ID 또는 스마트단말기(100)의 휴대폰번호일 수 있다. 즉, 별도의 외식주문 앱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고,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존 스마트단말기(100)의 기능을 이용하여 주문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서버(200)는 이와 같이 주문자의 제1외식메뉴에 대한 제1주문정보를 포함한 제1사용자입력과 제1주문에 대한 제1식별정보를 포함한 제2사용자입력이 끝나면, 이들을 수신하여, 키오스크(300)의 제1출력장치가 주문자가 주문한 외식메뉴의 주문정보를 알 수 있도록 제1주문정보를 포함한 제1인쇄지를 출력하여 제공하도록 하며, 스마트단말기(100)의 제2출력장치가 외식매장의 업주 또는 종업원이 주문한 외식메뉴의 주문정보를 알 수 있도록 제1주문정보와 제1식별정보에 대한 제1QR코드가 포함된 제2인쇄지를 출력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식별정보를 제1QR코드로 출력하는 것은 식별정보에는 주문자의 개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것이 불필요하게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주문자는 자신의 주문내역과 결제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외식매장의 업주 또는 종업원은 주문자의 주문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외식매장의 업주 또는 종업원은 주문내역에 기초하여 해당 외식메뉴를 제조 또는 요리한다. 해당 외식메뉴가 완성되면, 업주 또는 종업원은 스마트단말기(100)에 제1QR코드가 포함된 제2인쇄지를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인식시키면, QR코드데이터추출부(120)가 제1QR코드로부터 추출한 제1식별정보에 기초한 주문자의 제1스마트단말기로 외식메뉴가 완성되었고, 이를 픽업하라는 호출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호출신호는 스마트단말기(100)의 기본 어플리케이션 또는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카카오톡과 같은 메시지 전달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문자는 별도의 외식매장 어플 등을 제1스마트단말기에 설치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외식메뉴가 완성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종래 NFC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일정 거리 내에서만 확인할 수 있던 종래 알림벨과 대비하여 외식매장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거리에 상관없이 외식메뉴가 완성됨을 알 수 있어, 주문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400) 및 표시장치 케이스(500)의 단면도 및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400) 및 표시장치 케이스(500)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은 테이블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표시장치(400)와 표시장치 케이스(500)를 더 포함한다.
표시장치(400)는 서버(20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외식매장 내의 복수의 테이블에 설치된다. 이때 표시장치(400)는 외식매장의 키오스크(300), 업주 또는 종업원을 통해 주문을 하는 것이 아닌, 외식주문 앱의 웹 사이트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제2QR코드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이때 제2QR코드는 서버(200), 키오스크(300) 또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각각의 복수의 테이블의 테이블식별정보와 외식주문 앱의 웹 사이트 URL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으며, 표시장치(400)는 수신된 제2QR코드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표시장치(400)에 표시된 제2QR코드를 이용하여 주문을 접수하는 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테이블에 착석한 주문자가 소유한 제2스마트단말기가 제2QR코드를 식별하고, 외식주문 앱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복수의 외식메뉴 중 제2외식메뉴에 대한 제2주문정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하고, 제2주문정보 및 테이블식별정보를 서버(200)에 송신한다. 이때 서버(200)는 이와 같은 제2주문정보와 테이블식별정보를 제3QR코드로 저장하고, 업주 또는 종업원의 스마트단말기(100)의 제2출력장치가 제3QR코드를 포함한 제3인쇄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서 주문자는 본인 소유의 제2스마트단말기를 통해서 테이블에 착석한 상태로 주문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업주 또는 종업원은 제3인쇄지를 통해 제2주문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주문과 동시에 제2외식메뉴를 조리 또는 요리할 수 있다. 이후 제2호출신호는 상기의 설명한 제1호출신호와 같이 스마트단말기(100)의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촬상된 제3인쇄지의 제3QR코드에 포함된 테이블식별정보를 추출하면, 스마트단말기(100)는 테이블의 표시장치(400)에 제2호출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표시장치(400)는 제2호출신호를 알릴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제3QR코드가 아닌 호출완료를 알 수 있는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문자는 제2외식메뉴가 완료됨을 알 수 있어 매장의 조리대에서 완성된 음식을 픽업할 수 있다.
표시장치 케이스(500)는 전면부(510)와 전면부(510)와 체결하여 표시장치(400)를 내부에 구비하며, 표시장치(400)의 디스플레이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중앙에 통공(520a)이 형성된 후면부(520)와, 후면부(520)의 상하좌우 내측면(520b)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된 복수의 고정리브(521)와, 통공(520a)을 통해서 유입되는 습기, 음식물, 먼지 등을 차단하도록 고정리브(521)에 끼움체결되는 제1방수러버(530)와 제1방수러버(530)에 끼움체결되어 표시장치(400)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며, 가시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투명재질의 강화유리 또는 강화아크릴로 구현되는 보호부(540)를 포함한다.
제1방수러버(530)는, 보호부(540)가 끼움 체결되도록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현되는 내고정부(531)와, 내고정부(531)와 대칭 형성되어 고정리브(521)에 끼움 체결되는 외고정부(532)를 포함한다. 고정리브(521)는 상하좌우의 내측면을 따라서 형성되고, 제1방수러버(530)는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내측면을 커버하도록 원형 또는 사각 등 표시장치 케이스(500)의 형태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케이스(500)는 전면부(510)와 후면부(520)가 밀착되도록 하는 경계면에는 러버삽입부(550)를 포함하며, 러버삽입부(550)는 전면부(510)와 후면부(520)의 경계면으로 유입되는 습기, 음식물, 먼지 등을 차단하기 위한 제2방수러버(560)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러버삽입부(550)는 커버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형성된 후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직 절곡하도록 형성되며, 커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재차 수직 절곡하도록 형성되며, 제2방수러버(560)는 러버삽입부(550)에 밀착되어 압축 고정될 수 있도록, 커버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직교하도록 수직 절곡 형성되며, 다시 커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510)와 후면부(520)는 제2방수러버(560)를 관통하는 볼트(561)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2방수러버(560)는 전면부(510)와 후면부(520)의 경계면에 결합한 후, 이와 같은 결합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볼트(561)를 체결함으로써 제2방수러버(560)를 압착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후면부(520)는 QR코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400)에 테이블의 이동을 통해 전해지거나, 사용자가 외식매장 내에서 테이블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충격흡수부(600)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충격흡수부(600)는 지지막대(610), 탄성구조(630), 활구조부(620)를 포함한다. 지지막대(610)는 표시장치(400)를 직접 지지하거나 표시장치(400)와 결합된 후면부(520) 또는 전면부(51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막대(610)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충격흡수를 보다 원활히 하도록 탄성력을 가진 고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무뿐만이 아닌 다른 탄성력을 가진 플라스틱 구조물도 사용할 수 있다.
탄성구조(630)는 지지막대(610)와 전면부(510)를 연결하여 상호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막대(610)의 일단면과 전면부(510)의 일 영역에 고정되어 지지막대(610) 또는 전면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탄성구조(630)는 스프링과 같은 구조로 될 수 있으나, 내부에 유압을 발생시키는 기체 또는 액체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원통형 구조와 표시장치(40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피스톤형태로 탄성력을 재현하도록 한 구조일 수 있다.
활구조부(620)는 지지막대(610)를 전면부(510)와 연결하여, 탄성구조(630)와 함께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다. 이때 활구조부(620)의 재질은 휘어짐에 있어서 일정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이와 유사한 철제로 구성될 수 있다. 활구조부(620)는 충격에 의해 일정부분 휘어진 후 원래 위치로 재차 돌아가려는 복원력으로 인해 표시장치(400)를 지지하고 있는 후면부(520)가 전면부(5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주저 앉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생하는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여 표시장치(400)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스마트단말기 110: 카메라 모듈
120: QR코드데이터추출부 130: 통신부
140: 디스플레이부 200: 서버
300: 키오스크 400: 표시장치
500: 표시장치 케이스 510: 전면부
520: 후면부 520a: 통공
520b: 내측면 521: 고정리브
530: 제1방수러버 531: 내고정부
532: 외고정부 540: 보호부
550: 러버삽입부 560: 제2방수러버
561: 볼트 600: 충격흡수부
610: 지지막대 620: 활구조부
630: 탄성구조

Claims (4)

  1.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에 있어서,
    외식주문 앱이 설치되어, 복수의 외식메뉴 및 상기 복수의 외식메뉴에 대한 주문 현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QR코드를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각 외식매장에 배치된 키오스크 및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키오스크는 제1출력장치를,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제2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키오스크 또는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식메뉴 중 제1외식메뉴에 대한 제1주문정보를 포함한 제1사용자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상기 제1주문에 관한 제1식별정보를 포함한 제2사용자입력를 수신하면, 상기 제1출력장치가 상기 제1주문정보가 포함된 제1인쇄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버는 수신된 상기 제1주문정보 및 제1식별정보를 제1QR코드로 저장하고, 상기 제2출력장치가 상기 제1QR코드가 포함된 제2인쇄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QR코드의 정보를 추출하는 QR코드데이터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QR코드데이터추출부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상된 상기 제2인쇄지의 상기 제1QR코드에 포함된 상기 제1식별정보를 추출하면, 상기 제1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제1스마트단말기로 제1호출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외식매장 내의 복수의 테이블에 설치된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외식주문 앱의 웹 사이트 URL정보와 상기 복수의 테이블 각각에 대한 테이블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QR코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2QR코드를 식별한 제2스마트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외식메뉴 중 제2외식메뉴에 대한 제2주문정보 및 테이블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2주문정보 및 상기 테이블식별정보를 제3QR코드로 저장하고, 상기 제2출력장치로부터 상기 제3QR코드가 포함된 제3인쇄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QR코드데이터추출부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상기 제3인쇄지의 제3QR코드에 포함된 상기 테이블식별정보를 추출하면, 상기 테이블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테이블의 상기 표시장치에 제2호출신호를 송신하며,
    표시장치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장치 케이스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체결하여 상기 표시장치를 내부에 구비하며, 중앙에 통공을 포함하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된 고정리브; 상기 고정리브에 끼움체결되는 제1방수러버; 및 상기 제1방수러버에 끼움체결되는 보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수러버는, 상기 보호부가 끼움 체결되도록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현되는 내고정부; 상기 내고정부와 대칭 형성되어 상기 고정리브에 끼움 체결되는 외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리브는 상하좌우의 내측면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제1방수러버는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내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표시장치 케이스의 형태에 대응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가 밀착되도록 하는 경계면에는 러버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러버삽입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경계면으로 유입되는 습기, 음식물, 먼지 등을 차단하기 위한 제2방수러버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장치 케이스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표시장치를 직접 지지하며 상기 표시장치와 결합된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는 지지막대; 상기 지지막대와 상기 전면부를 상호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막대의 일단면과 상기 전면부의 일 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막대 및 상기 전면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흡수하는 탄성구조; 상기 지지막대를 상기 전면부와 연결하며 휘어짐에 있어서 일정 강도를 유지하는 재질로 마련되어 충격에 의해 휘어진 후 원래 위치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활구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127436A 2022-10-05 2022-10-05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 KR102545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436A KR102545739B1 (ko) 2022-10-05 2022-10-05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436A KR102545739B1 (ko) 2022-10-05 2022-10-05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739B1 true KR102545739B1 (ko) 2023-06-21

Family

ID=8698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436A KR102545739B1 (ko) 2022-10-05 2022-10-05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7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204B1 (ko) * 2011-02-07 2012-05-04 전화성 큐알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접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9397A (ko) * 2011-04-21 2012-10-31 김기범 Qr코드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및 주문 방법
KR200468049Y1 (ko) * 2013-05-03 2013-07-19 우양섭 휴대단말기용 방수케이스
KR101627757B1 (ko) * 2014-12-29 2016-06-08 (주)유아이 방수방진 및 충격방지가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케이스
KR102230956B1 (ko) * 2020-10-28 2021-03-23 (주)성진이오스 비접촉식 주문 및 결제 시스템
JP2021114185A (ja) * 2020-01-20 2021-08-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204B1 (ko) * 2011-02-07 2012-05-04 전화성 큐알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접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9397A (ko) * 2011-04-21 2012-10-31 김기범 Qr코드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및 주문 방법
KR200468049Y1 (ko) * 2013-05-03 2013-07-19 우양섭 휴대단말기용 방수케이스
KR101627757B1 (ko) * 2014-12-29 2016-06-08 (주)유아이 방수방진 및 충격방지가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케이스
JP2021114185A (ja) * 2020-01-20 2021-08-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30956B1 (ko) * 2020-10-28 2021-03-23 (주)성진이오스 비접촉식 주문 및 결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80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two-dimensional barcodes
US76862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quely associating a bar code reading terminal to a cash register in a retail store network
KR101130201B1 (ko)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로그인 방법 및 그 단말기
CN106559388B (zh) 绑定设备的方法和装置
CN101152809A (zh) 一种二维信息菜单和基于二维码识别的点菜系统
CN104903843B (zh) 支持近场通信功能的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装置中显示菜单的方法
JP2012027558A (ja) 2次元コードおよび該2次元コードを利用した個人認証システム
US10594485B2 (en) System,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authentication
US83028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scanner
US201800330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ccess to product information
CN105825120A (zh) 一种计算机与移动终端之间交互认证的方法及系统
KR102545739B1 (ko) Qr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 시스템
JP4906534B2 (ja) 電子広告掲示板の表示内容を更新する携帯端末、電子広告掲示板及びプログラム
JP2008217738A (ja) 電子値札システムおよび電子値札装置
US9571783B2 (en) Portab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0800681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rinsic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200140453A (ko) Qr코드 생성을 통한 주문 시스템
KR101326593B1 (ko)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모바일 쿠폰의 처리 방법
US10223626B2 (en) High ambient light electronic screen communication method
CN102385681A (zh) 依据标签元件的数据进行处理的信息服务系统及方法
JP570234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CN102257521A (zh) 服务供应方法、相关服务供应系统、相关服务供应服务器以及相关事件注册服务器
JP5963307B2 (ja) 非接触型カードのカード識別子と携帯端末の端末情報とを対応付ける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216118795U (zh) 一种福利彩票图像识别设备
CN103874007A (zh) 移动互联网媒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