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440B1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5440B1 KR102545440B1 KR1020200097113A KR20200097113A KR102545440B1 KR 102545440 B1 KR102545440 B1 KR 102545440B1 KR 1020200097113 A KR1020200097113 A KR 1020200097113A KR 20200097113 A KR20200097113 A KR 20200097113A KR 102545440 B1 KR102545440 B1 KR 1025454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cation
- data
- user
- information
- im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은 임상시험에 대한 고유식별정보가 수록된 이미지코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코드저장부; 사용자의 인적정보 및 상기 이미지코드의 인식에 의하여 추출된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기초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인 대상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기초정보수신부; 상기 수신된 기초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임상시험의 대상약품 및 상기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선별하는 파싱부; 상기 선별된 대상약품 및 인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해당하는 복약스케줄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대상단말로 전송하는 스케줄정보생성부; 상기 대상단말로부터 복약수행에 대한 피드백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피드백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메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험자의 복약에 관련된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상적 복약 여부에 대한 확인과정 등이 시공간적 제약 없이 이루어지며, 복약 이행 여부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 생성 및 공유를 기반으로 더욱 신뢰성 높은 복약 관리가 구현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시적인 투약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필요성이 크지 않을 수 있으나, 장기적인 투약이 필요한 만성 환자 또는 다수의 피험자 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임상 시험 등에서는 복약 시간, 방법, 회수 등과 같은 복약 지침이 정확히 수행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성 환자의 치료율을 높이거나 또는 임상 시험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하여 복약 순응도를 높임은 물론, 복약 순응도를 지속시킬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복약 관리는 기본적으로 의료진, 관리자, 코디네이터 등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험자 관리, 복약 스케줄 관리, 복약 여부 체크, 기록서 작성 등을 수행하는 인적(人的) 의존적 방법에 의하고 있어 복약 관리의 실효성이 확보되기에는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복약 관련 정보 및 복약 스케줄 등을 피험자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의 구동에 의하여 복약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등의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피험자 등에게 복약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고 복약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개선이라고 할 수 있으나 실제 피험자가 자신에게 해당하는 대상약품을 실제 복약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 과정이 피험자가 일방적으로 입력하는 정보에만 의존하고 있어 복약 여부에 대한 객관적인 확인이 어려우므로 임상 시험의 실효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 방법에서 활용되는 보상이나 인센티브의 지급 또한, 객관성에 기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비용 낭비만 초래될 뿐, 임상시험의 실질적인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종래 이러한 방법은 피험자의 인위적인 행위나 작동이 많이 요구됨은 물론, 모바일 단말 환경에 최적화된 환경으로 구현되지 않아 피험자 스스로의 자발적인 참여가 자연스럽게 유도되기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피험자(환자)의 행위 동작이 최소화됨은 물론, 모바일 단말에 특화된 방법을 적용하여 피험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임으로써 피험자의 자발적 참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피험자의 복약 여부에 대한 확인 과정이 더욱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확보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은 임상시험에 대한 고유식별정보가 수록된 이미지코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코드저장부; 상기 피험자의 인적정보 및 상기 이미지코드의 인식에 의하여 추출된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기초정보를 피험자의 모바일 단말인 대상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기초정보수신부; 상기 수신된 기초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임상시험의 대상약품 및 상기 피험자의 인적정보를 선별하는 파싱부; 상기 선별된 대상약품 및 인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에 해당하는 복약스케줄정보를 생성하는 스케줄정보생성부; 상기 복약스케줄정보를 상기 대상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대상단말로부터 복약수행에 대한 피드백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피드백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메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약스케줄정보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피드백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상단말로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알람정보전송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대상단말은, 상기 대상단말의 후면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후면카메라에서 촬영된 제1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제1처리단계; 화면전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대상단말의 전면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전면카메라에서 촬영된 제2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제2처리단계; 상기 제1영상과 제2영상을 머징하여 복약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생성단계; 상기 복약영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단계; 및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약스케줄정보에 기초한 복약 시간이 아닌 경우, 상기 제1준비단계를 비활성화시키는 구동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처리단계는 상기 대상약품에 대한 기준데이터와 상기 복약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약품 데이터를 대비하는 제1대비단계; 현재 영상인 n(n은 2이상의 자연수)번째 복약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피험자의 영상과 1부터 n-1번째 복약영상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복약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피험자의 영상을 대비하는 제2대비단계; 및 제1 및 제2대비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정상복약여부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수록한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는 결과생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처리단계는 피험자의 신체 기관을 표상하는 특징점의 변위 데이터를 이용하여 약품의 정상복용여부를 판단하는 제3대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결과생성단계는 상기 제3대비단계의 결과를 더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과생성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복약이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결과데이터만으로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피험자의 복약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복약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결과생성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복약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피험자의 동일성이 확인되면 상기 복약영상데이터를 다운사이징하여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다운사이징은 상기 피험자의 얼굴 부분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방법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복약관리시스템은 상기 피험자의 복약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로부터 상기 대상약품의 정상 복약 여부에 대한 확인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메인처리부는 상기 피드백데이터 또는 확인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에 대한 인센티브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방법은, 피험자로부터 피험자의 인적정보를 입력받는 인적정보입력단계; 이미지코드의 인식에 의하여 추출된 임상시험에 대한 고유식별정보 및 상기 인적정보를 포함하는 기초정보를 전송하는 기초정보전송단계; 상기 피험자에 해당하는 복약스케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약스케줄정보에 따라 복약스케줄을 설정하는 스케줄설정단계; 피험자의 모바일 단말인 대상단말의 후면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후면카메라에서 촬영된 제1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제1처리단계; 화면전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대상단말의 전면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전면카메라에서 촬영된 제2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제2처리단계; 상기 제1영상과 제2영상을 머징하여 복약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생성단계; 상기 복약영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단계; 및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피험자의 복약 여부에 대한 확인 과정이 더욱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이를 기반으로 더욱 실질적인 보상이나 인센티브가 제공되도록 구성되므로 임상시험 등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복약 이행 여부에 대한 피험자의 더욱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모바일 단말의 하드웨어 환경에 최적화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하여 복약여부에 대한 영상데이터 생성 등이 피험자의 행위 동작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피험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복약의 정상 여부에 따라 피험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와 용량 등을 자동적으로 다원화시킴으로써 개인정보 보호는 물론, 통신 데이터 사용을 더욱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험자마다 구분되는 복약스케줄정보가 피험자에 해당하는 모바일 단말은 물론, 서버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에 동시적으로 동기화되어 설정되므로 복약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더욱 입체적으로 관리하고 그 정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이원적으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피험자 및 피험자의 복용 행위에 대한 영상 데이터 생성은 물론, 복용행위의 대상이 되는 약품의 영상 데이터를 모두 확보할 수 있어 정상 복용 여부에 대한 더욱 신뢰성 있는 기초데이터를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복약관리시스템 및 관련 구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복약관리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복약관리가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반적인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대상 단말에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복약 여부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포함하는 피드백데이터가 생성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복약관리시스템 및 관련 구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복약관리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복약관리가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반적인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대상 단말에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복약 여부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포함하는 피드백데이터가 생성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이하 '복약관리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 및 관련 구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은 임상시험에 대한 다양한 정보, 데이터, 이력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함은 물론, 임상시험 대상자(피험자) 또는 지속적 복약이 요구되는 환자 등에 해당하는 주체(이하 '사용자'라 지칭한다)의 복약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은 임상시험자, 코디네이터, 연구자 등(이하 '관리자'라 지칭한다)의 단말인 관리자 단말(300)과도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 또는 데이터가 공유되도록 함으로써 복약 여부 등에 대한 확인이 더욱 정확하게 구현되도록 하며 사용자 등의 관리가 더욱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용자 측의 클라이언트 내지 단말을 대상 단말(200)로 지칭하며, 관리자 측 클라이언트 내지 단말을 관리자 단말(300)로 지칭한다.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필요한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면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대상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300)에 해당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성을 높이고, 영상데이터 생성 및 전송 등의 기능이 좀 더 편리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대상 단말(200)은 통신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및 해당 사용자가 참여하는 임상시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복약스케줄 정보를 대상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대상 단말(200)에 복약스케줄 정보가 전송되면 대상 단말(2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 등의 구동에 의하여 복약스케줄이 대상 단말(200)에서 GUI환경 등으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며, 설정된 복약스케줄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 정보가 자동적으로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대상 단말(2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하여 복약 대상이 되는 약품, 사용자(피험자) 및 복약 행위 동작 등에 대한 영상이 생성되도록 하고 이 생성된 영상을 로데이터로(raw date)로 딥러닝이나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 등으로 구현되는 인식엔진(인식 툴)을 통하여 복약 여부의 정상 또는 비정상이 판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식엔진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내지 소프트웨어는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에서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전송되는 데이터 용량이나 데이터 트래픽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정보 유출 등을 최소화시키며 나아가 사용자마다 개별화되는 데이터를 서버 등에 집중시키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인식엔진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등은 대상 단말(200)에서 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은 대상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정상 복약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추가적인 확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관리자 단말(300)로 관련 정보가 공유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객관적인 프로세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 임상시험이 이루어지는 동안 피험자의 정상 복약 또는 비정상 복약에 대한 데이터를 갱신 및 누적시켜 이에 상응하는 보상이나 인센티브가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은 병원 등과 같은 외부 서버(50)와도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가 송수신되도록 하거나 또는 위급 상황 등이 발생되는 경우 즉각적인 후속조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약관리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해당 구성의 프로세싱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복약관리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복약관리가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반적인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은 제1인터페이스부(105), 기초정보수신부(110), 코드저장부(120), 파싱부(130), 스케줄정보생성부(140), 데이터수신부(150), 메인처리부(160), 알람정보전송부(170) 및 제2인터페이스부(18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은 플랫폼 내지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복약관리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 내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구성이 수행하는 해당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 발명의 코드저장부(120)는 임상시험을 구분하는 고유식별정보가 수록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코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S300. 도 3 참조). 이미지코드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비롯하여 고유정보가 암호화된 형태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디지털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이미지코드는 해당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피험자에게 제공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대상 단말(200)을 소유 내지 휴대하는 자가 참여하는 임상시험을 구분 내지 식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만성 질환자와 같이 지속적인 투약이 필요한 경우도 이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사용자의 일 예로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피험자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피험자는 앱-스토어 등을 통하여 대상 단말(200)에 다운로딩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이하 '복약관리 앱'이라 지칭한다)을 구동하여(S310) 자신의 인적 정보(이름, ID, 전화번호, 성별, 직업, 병력 등) 등을 입력(S320)하는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한다.
인적정보 입력 등이 완료되면, 본 발명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인 복약관리 앱은 피험자에게 제공된 이미지코드가 스캔될 수 있도록 이미지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창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정해진 기준 시간 동안 이미지코드가 인식 내지 스캔되지 않는 경우(S330) 이에 대한 안내 정보가 표출되도록 하여 이미지코드 인식을 유도할 수 있고 설정된 시간 동안 후속적으로 이미지코드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해당 프로세싱이 종료(S335)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미지코드가 스캔되면 이미지코드 내 수록된 정보로서 임상시험에 대한 고유식별정보가 추출되고(S340) 추출된 고유식별정보, 피험자가 입력한 인적정보 및 대상 단말(200)의 전화번호 정보 등이 포함되는 기초정보가 대상 단말(200)에서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S345).
이와 같이 복약관리시스템(100)의 기초정보수신부(110)에서 대상 단말(200)에서 전송된 기초정보가 수신되면 본 발명의 파싱부(130)는 상기 수신된 기초정보를 분석(parsing)하여 해당하는 임상시험의 대상약품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피험자)의 인적정보를 선별한다(S350).
이와 같이 대상약품 및 인적정보가 선별되면 본 발명의 스케줄정보생성부(140)는 대상약품에 대한 정보 및 피험자의 나이, 성별, 병력 등에 대한 인적정보를 기초로 피험자에게 해당하는 복약스케줄정보를 생성하고(S360) 생성된 복약스케줄정보를 대상 단말(200)로 전송한다(S365).
복약스케줄 정보는 복약 기간, 복약 시간, 복약 횟수, 복약 대상 약품의 개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약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복약스케줄 정보가 대상 단말(200)로 수신되면 대상 단말(200)에 탑재된 복약관리 앱은 소정의 GUI환경으로 구현될 수 있는 카렌더 등을 이용하여 피험자의 복약 스케줄을 설정한다(S370).
복약 스케줄 설정은 대상 단말(200)에 구비된 인터페이싱 수단(스피커, 햅틱, 화면표시수단 등)의 구동을 통하여 복약 예정 시간에 알람이 구동되도록 하는 설정을 포함하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복약 이행에 따른 이벤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복약 카렌더 등에 이에 대한 복약 이행 여부에 대한 정보가 표출되도록 하는 설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약스케줄 등에 대한 기본 설정이 완료되어 피험자가 실제 복약을 하게 되는 경우 약품, 피험자 및 피험자의 복약 행위 등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약 수행 여부에 대한 피드백데이터가 대상 단말(200)에서 생성된다(S380). 이러한 피드백데이터의 생성 및 이와 관련된 프로세싱은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대상 단말(200)에서 피드백데이터가 생성되어 본 발명에 의한 복약관리시스템(100)의 일 구성인 데이터수신부(150)에 전송되면(S385)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60)는 수신된 피드백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며 나아가 인센티브정보 생성 등을 포함한 후속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대상 단말(200)에서 전송된 피드백데이터를 통하여 피험자의 복약이 정상 복약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60)는 상기 피드백데이터에 기반한 인센티브정보를 갱신/생성한다(S398).
한편, 이와는 달리 예를 들어, 약품이 임상시험에서 예정된 대상약품이 아니거나, 피험자의 영상이 임상시험에 참가하는 해당 당사자의 영상과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또는 복약 행위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졌다보기 어려운 경우와 같이 피험자의 복약이 비정상에 해당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정보공유부(180)는 대상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피드백데이터를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복약 여부의 정상 유무가 추가 확인되도록 요청한다(S392).
복약의 정상 유무를 추가 확인하는 프로세싱은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추후 관리자가 열람 및 확인하도록 하는 방법은 물론, 푸시 메시지 또는 알람 정보 등을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방법 및 관리자가 본 발명에 의한 복약관리시스템(100)이 구현된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팝업 등을 통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인지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피드백데이터가 수신되면 피드백데이터를 기초로 복약의 정상 유무를 편리하게 확인하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표출하는(S394)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관리자 단말(300)에 탑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과정을 통하여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대상약품의 정상 복약 여부에 대한 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면(S396)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60)는 대상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피드백데이터 또는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확인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피험자(사용자)에 대한 인센티브 정보를 갱신/생성한다(S398).
실시형태에 따라서 정상 복약인 경우 인센티브가 증가하도록 하고 비정상 복약이거나 이에 준하는 경우 정해진 만큼 인센티브가 차감되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임상시험 동안 지속적으로 갱신 생성되는 인센티브 정보는 대상 단말(200)로도 전송(S399)될 수 있으며 복약관리 앱의 초기 화면 등에 이에 대한 정보가 함께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피험자마다 구분되는 복약스케줄정보는 해당하는 피험자의 대상 단말(200)에서 설정됨은 물론, 서버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에서도 동기화되어 설정되므로 본 발명의 알람정보전송부(170)는 복약스케줄 정보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피드백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하는 대상 단말(200)로 알람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약스케줄정보가 대상 단말(200)과 복약관리시스템(100) 모두에 동시적으로 동기화되어 설정되므로 더욱 입체적이고 정확한 정보 관리가 가능하며 나아가 복약에 대한 알람 등이 대상 단말(200)과 복약관리시스템(100) 양자 모두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 더욱 실질적인 복약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1인터페이스부(105)는 서버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의한 복약관리시스템(100)과 대상 단말(200) 사이의 통신을 매개하는 입출력부(I/O)이며, 제2인터페이스부(185)는 본 발명에 의한 복약관리시스템(100)과 관리자 단말(300) 사이의 통신을 매개하는 입출력부에 해당한다.
도 4는 대상 단말(200)에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대상 단말(200) 즉, 피험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복약관리 앱의 구동을 통하여 복약 여부에 대한 입증 데이터로 기능하는 피드백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 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 단말(200)에는 복약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복약스케줄 정보에 기반하여 복약스케줄이 설정된다(도 3의 S370, S400).
피험자가 복약관리 앱을 실행시키면 복약관리 앱은 대상 단말(200)의 후면카메라의 구동을 개시하여(S420) 상기 후면카메라에서 촬영된 제1영상을 임시 저장하며(S440), 그 후 대상 단말(200)의 전면카메라가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전면카메라에서 촬영된 제2영상을 임시 저장한다(S450).
제1영상은 피험자가 현재 복용하는 약품에 대한 영상이며, 제2영상은 피험자 및 피험자의 복용 행위에 대한 영상에 해당한다. 후면카메라 및 전면카메라의 설정은 복약관리 앱의 초기 설정 환경 등을 통하여 수정 및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피험자가 약품을 복용하는 모습만을 영상 데이터로 생성하는 경우 복용되는 약품의 이미지가 전체 이미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 복용의 대상되는 약품을 영상 내에서 정확히 인식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피험자가 현재 복용하는 약품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우선 후면카메라의 구동이 먼저 개시되도록 하여 약품에 대한 영상이 선행적으로 확보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복약관리 앱은 사용자(피험자)가 복약관리 앱을 구동시키더라도 그 시간이 복약스케줄정보에 기초한 복약 시간이 아닌 경우(S410) 후면카메라에 의하여 영상이 생성되는 단계를 비활성화 시키도록(S415)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세싱을 통하여 정해진 복약스케줄에 따른 더욱 정확한 복약을 추가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상 단말(200)의 후면카메라가 구동된 후(S420) 정해진 시간 이내에 약품에 해당하는 객체가 영상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S430) 이에 대한 안내 정보가 출력되도록(S435) 하여 후면 카메라의 뷰(view) 내에 약품이 포함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후면카메라에서 생성된 제1영상 내에 약품에 상응하는 이미지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피험자)가 추가적인 화면 전환 버튼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전면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자동적으로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영상과 제2영상의 생성이 완료되면 본 발명에 의한 복약관리 앱은 제1영상과 제2영상을 머징하여 복약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S460).
이와 같이 복약영상데이터가 생성되면 본 발명에 의한 복약관리 앱은 복약영상데이터의 파싱, 복약영상데이터 내 수록된 객체들의 특징점 추출, 기준 이미지와의 대비, 학습된 인식 알고리즘에 의한 객체 판단 등의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복약 여부에 대한 최종 데이터인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고(S470) 이를 본 발명에 의한 복약관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도 3의 S385, 도 4의 S480).
도 5 및 도 6은 복약 여부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포함하는 피드백데이터가 생성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프로세싱은 도 4의 470단계를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프로세싱 과정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대상약품(해당 임상시험의 대상이 되는 약품)에 대한 기준데이터와 복약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약품 데이터를 대비하고(S471) 그에 대한 결과인 제1대비결과를 저장한다(S472).
상기 대상약품에 대한 기준데이터는 대상 약품의 크기, 색상, 복약스케줄에서 정해진 약품의 개수, 전체적 모양 등에 대한 특징 데이터로서 현재 피험자가 복용하는 약품이 대상약품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데이터를 의미한다. 이 기준데이터는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100)에서 대상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현재 영상인 n번째 복약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피험자의 영상과 첫 번째부터 현재 영상 이전 영상인 n-1번째 복약영상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복약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영상을 대비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하고(S473) 그 결과인 제2대비결과를 저장한다(S474).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다.
그 후 상기 제1 및 제2대비결과를 이용하여 정상복약여부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생성하고(S477) 이를 반영한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78).
실시형태에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 기관을 표상하는 특징점의 변위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약품의 정상복용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싱(S475)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은 예를 들어, 영상 내 피험자의 신체 기관인 입, 눈, 목젖 등의 움직임을 통하여 복약과 대응되는 행위 동작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싱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컵 등이 영상 내 포함되는 경우 해당 컵의 기울기 변화 등을 표상하는 데이터도 실질적 복약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추정 내지 판단하는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언급된 제1 및 제2대비결과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 기관을 표상하는 특징점의 변위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약품의 정상복용행위에 대한 제3대비결과를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최종적인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복약관리 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대비결과가 모두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S600) 정상 유무에 대한 결과데이터만으로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고(S610) 이를 본 발명에 의한 복약관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약품(영상에 포함된 객체)과 대상약품이 대응되며, 피험자의 동일성이 유지되며 또한, 복용 행위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정상복용이 이루어졌다는 간단한 정보만이 전송되도록 하여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피험자의 복약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S600)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관리자 등을 통한 추가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약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피드백데이터가 생성하도록 구성된다(S640).
더욱 바람직하게, 피험자의 복약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대비결과 즉, 영상 내 피험자가 임상시험의 대상이 되는 당사자와의 동일성이 유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S620) 개인정보를 보호함은 물론,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효율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복약영상데이터를 포함시켜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되, 복약영상데이터를 다운사이징하여(S630)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영상데이터가 다운사이징되는 경우, 피험자의 안면 식별은 어려워짐에 반해, 영상 내 객체의 실루엣이나 엣지 등에 대한 정보는 잔존하게 되므로 영상의 용량을 비약적으로 낮출 수 있음과 동시에 복용 행위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등은 관리자 등이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다운사이징은 영상의 RGB값 변화와 압축 프로세싱이 접목되는 방법, 필터링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피험자의 얼굴에 해당하는 픽셀 값들을 변화시켜 얼굴 부분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방법은 컴퓨터 및 컴퓨터에 준하는 장치에서 구동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자기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를 포함하며, 유무선 인터넷 전송을 위한 서버도 포함한다.
100 : 본 발명의 복약관리시스템
105 : 제1인터페이스부 110 : 기초정보수신부
120 : 코드저장부 130 : 파싱부
140 : 스케줄정보생성부 150 : 데이터수신부
160 : 메인처리부 170 : 알람정보전송부
180 : 정보공유부 185 : 제2인터페이스부
200 : 대상 단말 300 : 관리자 단말
105 : 제1인터페이스부 110 : 기초정보수신부
120 : 코드저장부 130 : 파싱부
140 : 스케줄정보생성부 150 : 데이터수신부
160 : 메인처리부 170 : 알람정보전송부
180 : 정보공유부 185 : 제2인터페이스부
200 : 대상 단말 300 : 관리자 단말
Claims (13)
- 임상시험에 대한 고유식별정보가 수록된 이미지코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코드저장부;
사용자의 인적정보 및 상기 이미지코드의 인식에 의하여 추출된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기초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인 대상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기초정보수신부;
상기 수신된 기초정보를 파싱하여 상기 임상시험의 대상약품 및 상기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선별하는 파싱부;
상기 선별된 대상약품 및 인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해당하는 복약스케줄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대상단말로 전송하는 스케줄정보생성부;
상기 대상단말로부터 복약수행에 대한 피드백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피드백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메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단말은,
상기 대상단말의 후면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후면카메라에서 촬영된 제1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제1처리단계, 상기 대상단말의 전면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전면카메라에서 촬영된 제2영상을 임시 저장하는 제2처리단계, 상기 제1영상과 제2영상을 머징하여 복약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생성단계, 상기 복약영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단계,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와, 상기 복약스케줄정보에 기초한 복약 시간이 아닌 경우, 상기 제1처리단계를 비활성화시키는 구동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처리단계는,
상기 대상약품에 대한 기준데이터와 상기 복약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약품 데이터를 대비하는 제1대비단계, 현재 영상인 n(n은 2이상의 자연수)번째 복약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영상과 1부터 n-1번째 복약영상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복약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영상을 대비하는 제2대비단계와, 제1 및 제2대비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정상복약여부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수록한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는 결과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단계는, 상기 후면카메라에서 촬영된 제1영상에 약품에 해당하는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에 한해 제1영상을 임시 저장하고,
상기 제2처리단계는, 제1처리단계에서 제1영상이 임시 저장되는 경우, 상기 전면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자동으로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고,
상기 결과생성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복약이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결과데이터만으로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복약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복약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스케줄정보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피드백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상단말로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알람정보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단계는,
사용자의 신체 기관을 표상하는 특징점의 변위 데이터를 이용하여 약품의 정상복용여부를 판단하는 제3대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과생성단계는 상기 제3대비단계의 결과를 더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복약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로부터 상기 대상약품의 정상 복약 여부에 대한 확인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공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처리부는 상기 피드백데이터 또는 확인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센티브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생성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복약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동일성이 확인되면 상기 복약영상데이터를 다운사이징하여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사이징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 부분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7113A KR102545440B1 (ko) | 2020-08-04 | 2020-08-04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7113A KR102545440B1 (ko) | 2020-08-04 | 2020-08-04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7538A KR20220017538A (ko) | 2022-02-14 |
KR102545440B1 true KR102545440B1 (ko) | 2023-06-22 |
Family
ID=8025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7113A KR102545440B1 (ko) | 2020-08-04 | 2020-08-04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544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778420A (zh) * | 2023-06-26 | 2023-09-19 | 潍坊医学院 | 基于大数据视频图像分析的药物使用监控反馈方法及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3877B1 (ko) | 2012-08-15 | 2017-04-06 |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 디지털 미디어 개인정보 보호 |
KR20160062664A (ko) | 2014-11-25 | 2016-06-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복약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복약 모니터링 지원 시스템, 및 복약 가이드 방법 |
KR20160146469A (ko) | 2015-06-11 | 2016-12-21 | 오동헌 | 임상시험 관리 장치 및 방법 |
KR101971695B1 (ko) | 2016-04-01 | 2019-04-2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
2020
- 2020-08-04 KR KR1020200097113A patent/KR10254544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7538A (ko) | 2022-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02723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medication adherence | |
US11901051B2 (en) | HIPAA-compliant computer security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visual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format relating to at least two individuals, at least one of whom is an individual under care, from a video camera,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of a user to the information, and initiating action to satisfy a need | |
US10095833B2 (en) | Mobile information gateway for use by medical personnel | |
US9763071B2 (en) | Mobile information gateway for use in emergency situations or with special equipment | |
US20230246989A1 (en) | Data processing terminals, icon badg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AU202320214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telemedicine into multimedia video visitation systems in correctional facilities | |
US2014020419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uidance for a procedure with a device | |
US20160012198A1 (en) | Medical Telecommunications System | |
US20150088547A1 (en) | Mobile Information Gateway for Home Healthcare | |
US2009013609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 Identification Using Mobile Face Recognition | |
US2012016621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ation | |
CN101176113A (zh) | 具有集成电子医疗记录的多功能远程医疗软件 | |
US20150061832A1 (en) | Directly observed thearpy using mobile technology | |
KR102545440B1 (ko)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 |
US20110107435A1 (en) | Storage medium hav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US20140108056A1 (en) | Complete consent | |
US20150235004A1 (en) | Platform, device and method for social medication management | |
JP7088441B1 (ja) | 服薬管理装置、服薬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TW201916061A (zh) | 智慧型健康管理系統 | |
CN116057921A (zh) | 程序和手术信息警示系统 | |
US20230057949A1 (en) | Technologies for efficiently producing documentation from voice data in a healthcare facility | |
KR102555157B1 (ko) |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이용한 통합 돌봄 시스템 및 방법 | |
WO2022085480A1 (ja) | 表示制御方法、遠隔医療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
US20230317228A1 (en) | Patient care management | |
US20240355462A1 (en) | Artificial intelligence patient intake and appointment book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