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976B1 - 자수 화장품 물품 - Google Patents

자수 화장품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976B1
KR102544976B1 KR1020217000737A KR20217000737A KR102544976B1 KR 102544976 B1 KR102544976 B1 KR 102544976B1 KR 1020217000737 A KR1020217000737 A KR 1020217000737A KR 20217000737 A KR20217000737 A KR 20217000737A KR 102544976 B1 KR102544976 B1 KR 10254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osmetic
composition
article
cosmetic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629A (ko
Inventor
장-마르끄 르브랑
오드리 테닌
줄리에트 발크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210016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2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for compacts, vanity boxe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8Papers containing cosmetic powder or other powdery toiletry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Landscapes

  • Woven Fabrics (AREA)
  • Cosmetics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C)을 도포, 제거 또는 살포하기 위한 표면(17)을 한정하는 패브릭(15)을 포함하는 화장품 물품(1)에 관한 것으로서, 패브릭(15)은, 직물 소재(30) 상에 회합된 양각 패턴(20)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 포인트(40), 특히 스티치를 포함하며, 패브릭(15)은 화장품 조성물(C)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과성이다.

Description

자수 화장품 물품
본 발명은 화장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이크업(make-up)을 위해 또는 사람의 케라틴 물질(keratinous materials), 특히 피부의 관리를 위해 의도된 화장품 물품(cosmetic article)에 관한 것이지만, 전적으로 그런 것은 아니다.
"화장품"은 화장품에 관한 2009년 11월 30일자 유럽 연합 의회 및 위원회의 규정 (EC) 1223/2009호에 정의된 바와 같은 임의의 제품을 의미한다.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상에 스크린(screen)을 배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다수의 특허 출원 공보는 이러한 유형의 화장품 물품을 다루고 있다.
상이한 도포 특성을 갖는 다수의 구역이 있는 스크린이 이미 제안되었다.
KR101380587 출원은 슬롯 및 개구부를 포함하는 스크린을 개시한다. 스크린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코튼, 실크, 양모, 아세테이트, 아크릴, 금속, 폴리에틸렌,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될 수 있다.
WO2016148371 출원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코튼, 실크, 아세테이트, 아크릴, 금속, 폴리에틸렌, 부직포 및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된 제1 스크린, 및 탄성 재료로 제조된 제2 스크린을 포함하는 이중 스크린을 개시한다. 제2 스크린은 제1 스크린 상에 배치된다; 이는 제1 스크린의 개구부에 대한 이의 개구부의 위치에 따라, 화장품의 확산을 조절한다.
상이한 도포 특성을 가진 다수의 구역을 갖는 와이프(wipe)도 제안되었다.
EP2039815 출원은 피부 세정 또는 관리 물품을 개시하며, 피부 세정 또는 관리 물품은 이들의 표면 상에 양각 패턴(raised pattern)을 포함한다. 양각 패턴은 0.2 내지 2.0 mm에 포함되는 높이(H)를 갖는 돌출부를 갖는다. 이는 제품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복수의 공동(cavity)을 한정한다. 물품은 코튼 섬유를 소재로 할 수 있다. 이는 물품의 표면 상에 양각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함께 접착된 흡수성 섬유질 재료의 2개의 외층, 및 외층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일련의 실(thread)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물품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다량의 조성물을 저장하고, 사용 동안 가능한 한 완전하게 그리고 점진적으로 이를 복원하는 능력, 및 형상 기억의 이점을 얻을 필요성, 및 대규모 마케팅 요건과 맞는 제조 비용으로 그리고 작은 공간에 다양한 점도의 조성물들을 모두 수용하는 기능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 간의 절충안을 찾는 것이다.
다른 문제는, 넓은 포집 표면에 걸쳐서 화장품의 확산을 제어하고, 상이한 점도의 화장품 조성물의 확산을 제어하기 위한, 화장품의 확산 조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게 기분 좋은 물품과의 피부 접촉으로 조성물이 포집, 살포 또는 도포될 수 있게 하는 화장품 물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을 수용하는 저장소를 포함하는 화장품 물품을 추가로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포기(applicator)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화장품 물품을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양태에 따라, 화장품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 물품은, 화장품 조성물을 도포, 포집 또는 살포하기 위한 표면을 한정하는 패브릭(fabric)을 포함하며, 패브릭은, 직물 소재(textile base material) 상에 회합된 양각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 스티치(thread stitch), 특히 자수 스티치(embroidery stitch)를 포함하고, 패브릭은 화장품 조성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과성이다.
본 발명은 상이한 도포 특성을 갖는 2개의 구역, 즉 특히 자수를 포함하는 양각 구역, 및 선택적으로, 자수 스티치가 없는 구역을 갖는 패브릭을 제공한다. 이는 기분 좋은 느낌을 부여하고, 조성물의 포집 및 주입을 원활하게 한다. 실제로, 포집형(collected) 제품은 손가락 또는 도포기를 통해 불균일하게 살포된다. 따라서, 바르거나 메이크업할 신체 부위 상에 제품이 더 잘 확산될 수 있으므로, 더 자연스러운 용모를 그 사람에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액즙(juice)으로도 지칭되는 조성물은 자수 스티치가 없는 구역에 축적되기 때문에, 표면 상에서 직접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액즙은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다. 이에 따라, 액즙의 더 양호한 살포를 보장한다. 특히 액체 조성물의 경우, 퍼들(puddle)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더 넓게 함침되도록 가볍게 가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액즙이 신체 표면에 걸쳐서 보다 균일하게 살포된다. 스크린과 비교하여, 후자는 함침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물품은 표면 저장 기능 및 액즙 통과 기능을 갖는다.
패브릭에 의해 한정된 표면은, 화장품 조성물이 도포될 수 있게 하지만, 대안적으로 또한 포집 또는 살포될 수 있게 하는 표면이다. 따라서, 이러한 표면은 도포 표면, 포집 표면, 또는 살포 표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패브릭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특정 형상 기억을 유지하면서, 제품이 포집될 때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패브릭은 바람직하게는 양면 겸용이 아니며(non-reversible), 즉 패브릭의 2개의 면 중 하나만이 도포, 포집 또는 살포 표면(즉, 패브릭의 겉면)을 형성한다. 안쪽면은 겉면과 구별될 수 있다.
직물 소재는 유리하게는 직조 또는 편직에 의해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패브릭을 구성하는 재료(들)는, 도포 표면에 실크 같은 느낌을 주고, 특히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느낌을 주도록 선택된다. 특히, 마이크로파이버(microfiber)가 존재함으로써, 이러한 감각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패브릭을 구성하는 재료(들)는 유리하게는 패브릭에 탄성을 부여하도록 선택된다. 특히, 엘라스테인(elastane)이 존재함으로써, 특히 조성물을 포집하기 위해 패브릭이 가압되는 경우 패브릭의 변형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형상 기억으로 인해 패브릭이 이의 초기 형상으로 즉시 복귀할 수 있다.
조성물에도 투과성일 수 있는 자수 양각 패턴은, 특히 도포기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되는 상기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양각 패턴이 없는 직물 구역으로의 접근은 덜 즉각적이다. 자수 양각 패턴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이버의 존재로 인해, 촉감이 좋은 감촉을 가질 수 있다.
물품이 화장품 조성물과 접촉되는 경우, 이는 프레임(frame)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조성물과 접촉되는 패브릭의 압력에 의해, 조성물이 패브릭을 통과할 수 있는 방식으로, 조성물의 저장소(reserve) 위의 프레임에 의해, 패브릭이 수용되고, 선택적으로 신장된다.
대안적으로, 화장품 조성물은 흡수성 지지물에 함침될 수 있다.
물품은, 화장품 조성물을 수용하는 격실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패브릭은 화장품 조성물 위에 배치되고, 케이스는, 케이스의 밀봉 폐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체와 연동되도록 배치된 커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화장품 물품은 화장품 조성물 도포기를 형성한다. 이 경우, 물품은 패드 또는 퍼프(puff)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은 세탁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포기가 손잡이 부분에 부착된다. 화장품 조성물은 액체 또는 분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액체일 수 있다.
주요 정의
"직물 소재"는,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적합한 섬유 또는 실로 분할될 수 있거나 이로 구성되는 재료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직물은 패브릭을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패브릭은 동일 평면으로 실을 섞어 짠 결과인 직조에 의해 수득된다.
직물 소재는,
- 천연 재료, 특히 양모, 코튼, 실크 또는 리넨(linen);
- 비스코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아크릴, 엘라스테인과 같은 인공 재료;
- 선택적으로 천연 재료와 혼합되는, 특히 탄화수소 또는 전분으로부터 비롯되는 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직물 소재는, 직포 재료, 부직포 재료, 코튼, 코튼 네팅(cotton netting), 자수, 레이스(lace), 네팅, 코튼 능직물, 니트, 플란넬(flannel), 코튼 피케(cotton piquι), 크레톤(cretonne), 저지(jersey), 포플린(poplin), 면직물, 리넨 직물(linen cloth), 실크, 양모, 캐시미어, 폴리에스테르 패브릭, 비스코스, 아크릴, 아세테이트, 캔버스(canvas), 튤(tulle), 플란넬, 라메(lamι), 무아레(moirι), 새틴(satin), 또는 태피터(taffeta)이다.
"자수"는 직물 소재에 실 패턴을 추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패턴은 수동으로 또는 기계로 제조되며, 특히 직물 소재의 씨실 및/또는 날실 사이에 자수 실을 통과시켜서 자수 스티치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한 세트의 자수 스티치가 자수 패턴을 형성한다.
날실과 씨실을 인터레이싱하는 방법에 따라, "직조물 (weave)"로 지칭되는 상이한 유형의 패브릭이 있다.
"실 스티치"는, 소재에서, 원칙적으로 소재의 2개의 스티치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바늘을 사용하여 형성된 2개의 스티치를 실 부분과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이는 재봉 스티치 또는 자수 스티치로 지칭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해지는, 이하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갖는다:
- 실 스티치는 바탕 패브릭(base fabric) 상에 재봉, 스티치, 편직되며, 바람직하게는 자수된다. 소재 상의 스티치 회합은 견고하다.
- 양각 패턴은, 조성물(C)을 도포, 포집 또는 살포하기 위한의 전체 표면을 기준으로, 조성물(C)을 도포, 포집 또는 살포하기 위한 표면의 10%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를 커버한다. 이러한 커버리지는, 케라틴 물질, 특히 피부 상에 제품을 양호하게 살포하기 위한 화장품 분야의 최적치이다.
- 직물 소재는 자수 씨실을 갖는다. 패브릭의 제조가 간단하다.
- 직물 소재는 씨실 및 날실로 구성된다. 자수는 윤곽이 더 뚜렷하다.
- 직물 소재는 캔버스, 능직물 또는 새틴의 직조물을 갖는다. 직조물의 선택에 따라, 물품은 특정 도포를 위해 보다 적합할 수 있다.
- 직물 소재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테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비스코스, 아세테이트, 실크, 양모, 코튼, 리넨, 삼(hemp)의 실로 구성된다. 이는 촉감이 좋다.
- 자수 스티치는, 필 스티치(fill stitch), 특히 스트레이트 플랫 패스 스티치(straight flat pass stitch), 또는 엔크로칭 스티치(encroaching stitch)를 포함한다. 느낌은 손가락에 따라 가변적이다.
- 자수 스티치는 루프 스티치(loop stitch)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티치는, 잎 또는 꽃 패턴의 생성을 위해 적합하다.
- 자수 스티치는 체인 스티치(chain stitch)를 포함한다. 더 두꺼운 라인은 윤곽이 더 뚜렷하다.
- 자수 스티치는 직물 실, 특히 코튼 또는 실크 실로 제조된다. 양각 패턴이 강조된다.
- 패브릭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실로 제조된다. 물품이 지지물 상에서 신장될 수 있다.
-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패브릭의 연신율은 10% 내지 200%에 포함된다. 이러한 연신율은 제품으로의 접근을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제한적이지 않은 구현예를 읽음으로써,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검토함으로써 나타날 것이며, 첨부된 도면으로서:
- 도 1은 제1 패브릭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제2 실시예의 패브릭의 도포, 포집 또는 살포 표면의 도면이다;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제3 실시예의 패브릭의 도포, 포집 또는 살포 표면의 도면이다;
- 도 4는 도 3의 패브릭의 개략적인 AA 단면도이다;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나머지 설명에서, 동일한 요소,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 표시를 갖는다. 본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이들은 각각의 도면과 비교하여 설명되지 않으며, 실시형태 간의 차이점만이 설명된다.
도 1은 본체(3)를 갖는 케이스(2)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물품(1)을 도시한다. 또한, 케이스(2)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본체(3) 상에 힌지로 연결된 커버(5)를 갖는다. 이는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이에 나사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커버(5)와 본체(3) 사이의 힌지의 회전축에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본체(3)에 힌지로 연결된 도포기 홀더(6)를 수용한다. 도포기는 본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케이스(2)의 본체(3)의 격실(8)에 컵(4)이 수용된다. 컵(4)은 화장품 조성물의 저장소를 수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에서, 직물 소재(30) 상에 회합된 자수의 양각 패턴(20)을 형성하는 자수 스티치(40)를 갖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패브릭(15)이 저장소 위에 놓인다. 패브릭(15)은 조성물의 도포, 포집 또는 살포를 위한 표면(17)을 한정하며, 표면(17)은 패브릭(15)의 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표면(17)은, 하부 저장소에 수용된 화장품 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해 의도된다. 직물 소재(30)는 조성물에 투과성이며, 구성된 메시(mesh)를 조성물이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자수의 양각 패턴(20)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패브릭(15) 전체에 걸쳐서 펼쳐진 잎과 꽃의 형상으로 기하학적 패턴을 형성한다. 이는 다른 방식일 수도 있다.
도 2는 제2 실시예의 패브릭(15)을 도시한다. 이는 튤로 제조된 소재(30) 상에 회합된 자수 스티치(40)를 포함한다. 패턴(20)은 다닝(darning) 스티치(25)로 둘러싸인 다음, 부르돈(bourdon) 또는 페스툰(festoon) 스티치(28)로 다시 자수되며, 이들은 소재(30) 상에 회합되지 않은 "바퀴 모양(wheel)"(26) 또는 "거미 모양(spider)"(27)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다닝 스티치의 높이(h1)는, 유리하게는 바탕 패브릭을 수용하는 정중면(median plane)에 수직으로 측정된 0.1 mm 내지 2 mm에 포함된다.
패턴(20)의 높이(h2)는, 유리하게는 바탕 패브릭을 수용하는 정중면에 수직으로 측정된 0.1 mm 내지 5 mm에 포함된다.
도 3은 제3 실시예의 패브릭(15)을 도시한다. 이는 캔버스 소재(30) 상에 회합된 자수 스티치(40)를 포함하며, 자수 스티치(40)는 꽃 패턴(20)을 형성한다. 꽃잎(49)은 패스-스루(pass-through) 스티치(48)로 이루어진다. 페스툰 스티치(41)는 꽃잎(49)의 가장자리(45)를 형성한다. 꽃의 중심부(46) 및 수술(47)은 부르돈 스티치(43 및 53)로 자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브릭이 이의 겉면 상에,
- 바탕 패브릭(30) 및 패스-스루 스티치로 형성되고, 페스툰 스티치(41)에 의해 한정되는 제1 구역(21);
- 바탕 패브릭(30)만으로 형성된 제2 구역(22);
- 바탕 패브릭(30) 및 부르돈 스티치(43)로 형성된 제3 구역(23);
- 바탕 패브릭(30)만으로 형성된 제4 구역(24);
- 바탕 패브릭(30) 및 패스-스루 스티치로 형성되고, 페스툰 스티치(41)에 의해 한정되는 제5 구역(25);
- 바탕 패브릭(30)만으로 형성된 제6 구역(27);
- 바탕 패브릭(30)만으로 형성된 제7 구역(28)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화장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도 1에 설명된 바와 같은 케이스에서, 패브릭의 안쪽면 상에 접촉될 수 있다.
나머지 부분에서, 패브릭(15)은 화장품 조성물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린의 역할을 한다. 또한, 자수들 사이에 위치된 구역(22, 24)은, 여러 번 사용 후에, 모세관 효과와 조합된 직물의 구조로 인해 화장품 조성물(C)의 축적 격실을 형성한다.
반면에, 자수 패턴(20)은 자수 스티치에 따라, 조성물의 통과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역(21, 23 및 25)은 화장품 조성물의 통과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한다.
사용 동안, 사용자가 표면(17) 상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두 가지 동시적인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으로는, 바탕 패브릭(30)의 신장된 메시가 개방됨으로써, 상향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성물(C)의 통과가 자유로워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패브릭이 신장됨으로써, 나머지 격실(22 및 24)에 한정되는 체적을 감소시켜서, 이러한 격실(22 및 24)에 수용된 조성물을 표면 상에서 방출시킨다. 조성물은 격실(22 및 24)에 의해서만 그리고 주변 구역(27 및 28)에 의해서도 방출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페스툰 지점(28)을 포함하는 패브릭(15)이 보이지 않는 하부 구조물에 접착됨으로써 부착되어, 조성물이 함침되지 않는 화장품 조성물 도포기를 형성한다. 이러한 도포기는 손잡이 부분(29)을 포함한다. 이는 조성물이 가득한 표면으로부터 또는 제품 케이크로부터 조성물을 포집하여, 손으로 파지하면서 이를 도포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대안적으로, 달리 도포된 조성물을 번지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은 파운데이션(foundation)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은, 바람직하게는 겔, 크림, 유액 또는 로션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파운데이션은, 수성 분산액, 유성 조성물, 또는 수중 유적형 에멀션(oil-in-water emulsion), 유중 수적형 에멀션과 같은 에멀션, 2상 또는 3상 조성물과 같은, 다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파운데이션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은, 용제, 특히 피부 또는 다른 케라틴 조직과 접촉 시에 증발하는 휘발성 용제, 왁스 및/또는 수지, 안료, 막 형성 폴리머, 충전제, 활성 물질, 예를 들어 보습제, 비타민, UV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두꺼운 크림과 같은 고점도 조성물의 경우, 25℃ 및 대기압에서 측정된 점도는, 200 s-1의 전단 속도에서 4.5 Pa.s 이상 및 50 Pa.s 이하이다(넘버 4 스핀들이 장착된 Brookfield Rheomat RM 180 점도계를 사용하여, 회전 속도 및 점도를 안정화하기 위해, 스핀들을 10분 동안 회전한 후에 측정이 수행됨).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예시된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Claims (18)

  1. 화장품 물품(1)으로서,
    화장품 조성물(C)을 도포, 포집 또는 살포하기 위한 표면(17)을 한정하는 하나의 패브릭(15)을 포함하며,
    상기 패브릭은, 직물 소재(30) 상에 회합된 양각 패턴(20)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 스티치(40), 또는 자수 스티치(40)를 포함하고,
    상기 패브릭(15)은 상기 화장품 조성물(C)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과성이고,
    상기 패브릭(15)은, 상기 패브릭(15)의 신장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을 상기 화장품 조성물을 수용하는 구획에서 상기 패브릭(15) 중 상기 양각 패턴(20)이 형성되지 않은 구획을 통해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화장품 물품(1)은 상기 화장품 조성물(C)을 수용하는 격실을 가진 본체(3)를 갖는 케이스(2)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브릭(15)은 상기 화장품 조성물(C) 위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2)는 상기 본체(3)와 연동되도록 배치된 커버(5)를 포함하는,
    화장품 물품(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 스티치(40)는, 바탕 패브릭(30) 상에 재봉, 스티치, 편직되며, 또는 자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물품(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패턴(20)은, 상기 조성물(C)을 도포, 포집 또는 살포하기 위한 상기 표면의 전체 표면을 기준으로, 상기 조성물(C)을 도포, 포집 또는 살포하기 위한 상기 표면의 10% 내지 95%를 커버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물품(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소재(30)는 자수 씨실을 갖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물품(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소재(30)는 씨실 및 날실을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물품(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소재(30)는 캔버스, 능직물 또는 새틴의 직조물을 갖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물품(1).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소재(30)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테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비스코스, 아세테이트, 실크, 양모, 코튼, 리넨, 삼의 실을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물품(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수 스티치(40)는, 필링(filling) 스티치, 또는 스트레이트 플랫 패스-스루(straight flat pass-through) 스티치 또는 엔크로칭 스티치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물품(1).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수 스티치(40)는 루프 스티치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물품(1).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수 스티치(40)는 체인 스티치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물품(1).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수 스티치(40)는, 직물 실, 또는 코튼 실 또는 실크 실로 제조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물품(1).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브릭(15)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실로 제조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물품(1).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상기 패브릭(15)의 연신율은 10% 내지 200%인, 화장품 물품(1).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C)과 접촉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물품(1).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40)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C)과 접촉되는 상기 패브릭(15)의 압력에 의해, 상기 조성물(C)이 상기 패브릭(15)을 통과할 수 있도록, 조성물(C)의 저장소(10) 위의 상기 프레임(40)에 의해, 상기 패브릭(15)이 수용되고, 신장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물품(1).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C)은 흡수성 지지물에 함침되는, 화장품 물품(1).
  17. 삭제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C) 도포기를 형성하는, 화장품 물품(1).
KR1020217000737A 2018-06-19 2019-06-18 자수 화장품 물품 KR102544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5353 2018-06-19
FR1855353A FR3082402B1 (fr) 2018-06-19 2018-06-19 Article cosmetique en broderie
PCT/EP2019/065950 WO2019243296A1 (fr) 2018-06-19 2019-06-18 Article cosmétique en broder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629A KR20210016629A (ko) 2021-02-16
KR102544976B1 true KR102544976B1 (ko) 2023-06-20

Family

ID=6396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737A KR102544976B1 (ko) 2018-06-19 2019-06-18 자수 화장품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1529021A (ko)
KR (1) KR102544976B1 (ko)
CN (1) CN112312794A (ko)
FR (1) FR3082402B1 (ko)
WO (1) WO20192432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4948B1 (fr) * 2019-12-23 2021-12-31 Oreal Article cosmétique et méthode d’application cosmétique associée
FR3132617A1 (fr) * 2022-02-14 2023-08-18 L'oreal Tamis pour contenant cosmétique et contenant cosmétique
WO2023120123A1 (en) * 2021-12-22 2023-06-29 L'oreal Screen for cosmetic container and cosmetic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3987A (ja) 2012-04-13 2015-05-18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スクリーンネットを含む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0483A (en) * 1926-11-20 1928-11-06 Maurice Levy Co Inc Method of finishing flat powder puffs and improved puff
GB373564A (en) * 1931-12-31 1932-05-26 Leopold Kahn Improvements in and in the manufacture of powder puffs
FR955044A (ko) * 1947-10-22 1950-01-07
AU2001269191A1 (en) * 2000-07-12 2002-01-21 L Oreal Device for packaging and/or applying a product containing fibres comprising at least a magnetised or magnetizable element
FR2920026B1 (fr) 2007-08-17 2009-10-09 Georgia Pacific France Soc Par Article de nettoyage et/ou de soin de la peau comportant un motif en relief a sa surfac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dit article
KR101380587B1 (ko) 2013-07-25 2014-04-01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유동성 화장료를 위한 탄성 토출마개
FR3015866B1 (fr) * 2013-12-31 2016-01-15 Lvmh Rech Assemblage cosmetique comprenant un produit coule
KR20160002588U (ko) * 2015-01-15 2016-07-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587332B1 (ko) * 2015-03-17 2023-10-12 (주)아모레퍼시픽 비투과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WO2016148371A1 (ko) * 2015-03-19 2016-09-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US10632049B2 (en) * 2015-06-12 2020-04-2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mprising low viscosity cosmetic ingredients
KR102037230B1 (ko) * 2016-08-04 2019-10-28 정재용 이탈방지부를 갖는 배출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JP6657050B2 (ja) * 2016-10-19 2020-03-04 ロレアル 化粧品のためのパッケージング/注出組立体
KR20180102736A (ko) * 2017-03-07 2018-09-18 펌텍코리아 (주) 배출망과 탄성망으로 이루어진 이중망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3987A (ja) 2012-04-13 2015-05-18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スクリーンネットを含む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82402B1 (fr) 2020-05-22
JP2021529021A (ja) 2021-10-28
WO2019243296A1 (fr) 2019-12-26
KR20210016629A (ko) 2021-02-16
FR3082402A1 (fr) 2019-12-20
CN112312794A (zh)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4976B1 (ko) 자수 화장품 물품
BRPI0616135A2 (pt) pano absorvente de umidade para um peça de vestuário, e, peça de vestuário formada de um pano absorvente de umidade
CN112334037B (zh) 花边化妆用品
JP2023021134A (ja) 化粧品
KR102534905B1 (ko) 코스메틱 장치
KR102440122B1 (ko) 파우더 퍼프와 같은 물품
CN110868888B (zh) 美容制品
JP2022081547A (ja) 化粧用品
CN111566279B (zh) 皮肤护理织物
KR20070016776A (ko) 미용 마스크 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6125158A (ja) 絡合不織布、これを用いた清拭シートおよび湿潤性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