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846B1 - 외장 케이블들용 용접 슬리브 - Google Patents

외장 케이블들용 용접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846B1
KR102544846B1 KR1020177021576A KR20177021576A KR102544846B1 KR 102544846 B1 KR102544846 B1 KR 102544846B1 KR 1020177021576 A KR1020177021576 A KR 1020177021576A KR 20177021576 A KR20177021576 A KR 20177021576A KR 102544846 B1 KR102544846 B1 KR 102544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leeve portion
sleeve part
welding
arm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7047A (ko
Inventor
안데르스 한손
안드레아스 튀르베리
요한 헤드룬드
Original Assignee
엔케이티 에이치브이 케이블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케이티 에이치브이 케이블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엔케이티 에이치브이 케이블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1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085Cable junctions for coaxial cables or hollow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1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ables or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pairing insulation or armouring of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7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incorporating transformers, loading coils or amplifiers
    • H02G15/14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incorporating transformers, loading coils or amplifiers specially adapted for submarine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외장 케이블들용 용접 슬리브 (7) 에 관한 것이다. 용접 슬리브 (7) 는,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 1 슬리브 부분 (9) 으로서,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9) 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를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 (9a) 을 가진,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9);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 2 슬리브 부분 (11) 으로서,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를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 (11a) 을 가지며, 제 1 슬리브 부분 (9) 은 제 2 슬리브 부분 (11) 을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공통의 중심축 (C) 을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 (9) 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며, 후퇴 위치에서 제 1 슬리브 부분 (9) 이 연장 위치에서보다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더 큰 부분을 수용하는,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 (11); 및 제 2 슬리브 부분 (11) 에 대하여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회전 방지 배열체 (13)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장 케이블들용 용접 슬리브 {WELDING SLEEVE FOR ARMOURED CABLES}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외장 케이블들 (armoured cables) 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케이블들용 용접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외장 케이블들의 코일링 (coiling) 은 고정된 코일 패드상에 또는 고정된 코일 탱크에 케이블을 놓는, 즉 회전 턴테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저장 방법을 말한다. 코일 패드는 예를 들어 지면상의 원형 또는 장방형 영역일 수 있다. 케이블이 위로부터 하강되고 고정된 코일 패드 또는 고정된 코일 탱크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turns) 을 형성한다.
케이블이 고정된 코일 패드/탱크 주위에 놓이는 동안, 이 케이블에는 종축을 중심으로 하는 비틀림이 가해진다. 고정된 코일 패드/탱크를 중심으로 하는 완전한 회전마다, 내부 트위스트는 360°가 된다. 케이블이 코일 패드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마다 360°비틀림을 수용할 수 없다면, 필연적으로 나사, 루프 또는 꼬임이 형성된다. 비틀림은 케이블의 변형을 유발하고, 이러한 변형은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폭과 특성은 코일링될 케이블 능력에 결정적이다. 코일링 파라미터들은 최종 설치 동안에 모든 변형이 사라지도록 되어야 한다. 중요한 문제는 코일링하에서 외장 와이어들의 거동이다.
도 1 은 외장 케이블의 종방향 케이블 축 및 2 개의 단면 평면들 (3, 5) 을 도시한다. 하나의 외장 와이어 (1) 는 단면 평면 (3) 에 대해 측정된 외장 각 (armour angle; α) 으로 볼 수 있다. 외장 와이어 층은 직경 (DA) 을 가진다. 코일링 동안, 2 개의 단면 평면들 (3, 5) 은 서로에 대해 작은 각 (β) 만큼 회전된다. 외장 와이어 (1) 는 α에서 α' 로 α' > α 로 하여 레이 각 (lay angle) 을 변경시킨다. 외장 와이어 (1) 그 자체는 종축 (A) 에 더 근접하게 정렬된다. 결과적으로, 외장 와이어 (1) 는 케이블의 더 긴 길이 (ℓ') 를 차지하고, 그리하여 이 케이블은 추가의 길이 (△ℓ = ℓ'-ℓ) 를 흡수해야 한다. △ℓ 의 크기는, 무엇보다도, 케이블에서의 유도 비틀림, 외장 피치 길이 및 외장 층의 직경 (DA) 에 의존한다.
외장 와이어의 생성된 추가 길이는 다음 중 하나 또는 조합을 초래할 수 있다: 1) 외장 와이어들이 제 1 직경을 가진 나선형에서부터 제 2 직경을 가진 더 큰 나선형으로 케이블의 폴리프로필렌사의 유지력에 대하여 외부로 확장된다. 직경이 너무 크게 되면, 사 (yarn) 는 파괴될 수 있다. 2) 와이어들과 다른 케이블 구성요소들 사이의 마찰이 거의 없으면, 와이어들이 이 케이블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와이어들의 압축력들은 와이어와 폴리프로필렌사 사이의 힘 균형에 있어서 불균일성이 있을 때까지 축적된다. 사는 파괴되어, 소위 새장 (bird cage) 을 형성하는 외장 와이어의 반경방향 돌출부의 형성을 유발한다.
대안으로서, 사가 손상되지 않고 외장 와이어들의 압축 응력이 너무 커지면, Euler 좌굴을 유발할 수 있고 와이어들은 Z-꼬임을 형성한다. 3) 케이블은 전도체의 유지력에 대하여 사실상 연신을 경험하게 된다.
최선의 경우에, 코일링으로부터 얻은 비틀림은 케이블을 따라서 균등하게 분포된다. 하지만, 케이블의 기계적 특성들이 균일하지 않으면, 용접 또는 수리와 같이 외장 와이어들에서 불연속성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취약한 지점들은 더 민감하게 되고 그리하여 기계적으로 과도하게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용접 슬리브는 외장 와이어를 수리하거나 2 개의 케이블 길이를 연결할 때 외장 층들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슬리브는 강성 강 링이고, 각 길이로부터의 외장 와이어들은 이 강성 강 링에 용접된다. 링은 와이어들이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이 비틀림을 받을 때 용접 주위의 영역에서의 응력을 증가시킨다.
변형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해서, 코일링된 케이블의 직경은, 예를 들어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를 수리하거나 2 개의 케이블들을 연결하기 위해서, 용접 슬리브를 포함하는 섹션을 따라서 증가되어야 한다. 이는 코일링 작업을 복잡하게 만들고, 시간을 증가시키며, 또한 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제한된 크기의 이용가능한 공간을 가진 용기에 코일링 또는 반코일링을 실시하면 상황이 보다 더 복잡해진다.
본 개시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또는 적어도 완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 1 양태에 따라서 외장 케이블들용 용접 슬리브가 제공되고, 상기 용접 슬리브는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 1 슬리브 부분으로서,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들을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을 가지는,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 2 슬리브 부분으로서,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들을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을 가지고,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및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은 기계식으로 연결되고 동축으로 배열되는,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은 제 1 반경방향 표면과 제 2 반경방향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반경방향 표면은 상기 제 2 반경방향 표면으로부터 반대로 배열되고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제 1 반경방향 표면 및 상기 제 2 반경방향 표면은 그 사이의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의 축방향 섹션을 한정하며,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은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차단 부분을 가지며, 상기 차단 부분은 상기 제 1 반경방향 표면 및 상기 제 2 반경방향 표면과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차단 부분은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의 축방향 섹션에 배열되며, 상기 차단 부분이 상기 제 1 반경방향 표면 및 상기 제 2 반경방향 표면 중 상기 제 1 반경방향 표면에 대해서만 지지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차단 부분이 상기 제 1 반경방향 표면 및 상기 제 2 반경방향 표면 중 상기 제 2 반경방향 표면에 대해서만 지지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은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이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예를 들어 코일링 작업 동안 용접 슬리브에 용접된 외장 와이어들에 압축 응력이 발생할 때, 제 1 슬리브 부분과 제 2 슬리브 부분이 서로 쪽으로 밀려져서 압축 응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좌굴의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는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이 인장을 받을 때, 제 2 슬리브 부분에 대하여 제 1 슬리브 부분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회전 방지 배열체를 포함한다. 회전 방지 배열체는 용접 슬리브의 비틀림을 제한하고 그에 따라서 제 2 슬리브 부분의 축방향 변위에 의해 얻어지는 압축 응력 저감의 보다 양호한 제어를 제공한다. 그 결과, 케이블은 용접 슬리브를 포함하는 섹션을 따라서 보다 작은 직경으로 코일링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 중 하나는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수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은 제 2 슬리브 부분에 대해서만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 중 하나는 제 1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가진 외주 (outer perimeter) 를 가지며,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 중 다른 하나는 제 1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가진 내주 (inner perimeter) 를 가져,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 중 제 1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가진 내주를 가진 것이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하여, 회전 방지 배열체를 형성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2 슬리브 부분은 각각의 축방향 슬롯의 제 1 단부 벽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제 1 반경방향 표면들, 각각의 축방향 슬롯의 제 2 단부 벽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제 2 반경방향 표면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축방향 슬롯은 제 2 슬리브 부분의 주변을 따라 분포되고, 제 1 슬리브 부분은 그 주변을 따라 분포된 복수의 탭을 포함하고, 각각의 탭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 부분 중 하나를 규정하며, 각각의 탭은 각각의 축방향 슬롯에 의해 수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모든 탭은 제 1 슬리브 부분의 제 1 단면 평면에 배열되고, 모든 축방향 슬롯은 제 2 슬리브 부분의 제 2 단면 평면에 배열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각각의 축방향 슬롯은 동일한 축방향 길이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은 탭들을 포함하고, 제 2 슬리브 부분은 축방향 슬롯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은 주변을 따라 분포된 복수의 리세스를 가진 제 1 슬리브 부분 단부를 가지며, 제 2 슬리브 부분은 주변을 따라 분포된 복수의 치형부를 가진 제 2 슬리브 부분 단부를 가지고, 제 2 슬리브 부분의 각각의 치형부는 각각의 리세스 내에 배열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2 슬리브 부분의 각각의 치형부에는 축방향 슬롯들의 각각의 축방향 슬롯이 제공되고, 제 1 슬리브 부분의 각각의 리세스는 탭들의 각각의 탭이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축방향 슬롯들 및 탭들은 회전 방지 배열체의 일부를 형성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의 리세스들 및 제 2 슬리브 부분의 치형부는 회전 방지 배열체의 일부를 형성한다.
일 실시형태는,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이 서로 멀리 편향되는 제 2 위치 쪽으로 제 2 슬리브 부분을 편향시키도록 배열된 복수의 에너지 축적 부재들을 포함한다.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은 그럼으로써 안정화될 수 있다. 에너지 축적 부재는 또한 용접 슬리브에 부착된 케이블이 코일링해제될 때 외장 와이어들을 그 원래 위치로 미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각각의 에너지 축적 부재는 스프링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각각의 스프링은 다이 스프링, 디스크 스프링 또는 웨이브 스프링 중 하나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본 개시의 제 2 양태에 따라서, 외장 케이블들용 용접 슬리브가 제공되고, 용접 슬리브는 복수의 축방향 개구를 가지고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 1 슬리브 부분으로서, 제 1 슬리브 부분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들을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을 가지는,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복수의 개구를 가지고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 2 슬리브 부분으로서,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들을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을 가지는,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 복수의 종방향 부재들; 및 복수의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종방향 부재는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의 각각의 개구로부터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의 각각의 개구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및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은 서로 동축으로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종방향 부재에는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의 축방향 변위를 한정하기 위해서 일 단부에 제 1 스토퍼가 제공되며, 각각의 상기 종방향 부재의 대향 단부는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의 축방향 변위를 한정하기 위해서 제 2 스토퍼를 형성하고, 상기 종방향 부재는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과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이 상기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2 스토퍼 사이에서 상기 종방향 부재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종방향 연장부를 가져,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의 축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용접 슬리브는 제 1 양태에 의해 해결된 동일한 문제에 대한 다소 다른 방안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는 제 1 슬리브 부분을 제 2 슬리브 부분으로부터 멀리 축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열된 복수의 에너지 축적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각각의 에너지 축적 부재는 각각의 종방향 부재 둘레에 제공된다.
본 개시의 제 3 양태에 따라서, 외장 케이블들용 용접 슬리브가 제공되고, 용접 슬리브는: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 1 슬리브 부분으로서,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를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을 가진,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 2 슬리브 부분으로서,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를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을 가지며, 제 1 슬리브 부분은 제 2 슬리브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제 2 슬리브 부분은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공통의 중심축을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며, 후퇴 위치에서 제 1 슬리브 부분이 연장 위치에서보다 제 2 슬리브 부분의 더 큰 부분을 수용하는,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에 대하여 제 1 슬리브 부분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회전 방지 배열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 중 하나는 그 주변을 따라 분포된 복수의 축방향 슬롯들을 포함하고,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 중 다른 하나는 그 주변을 따라 분포된 복수의 탭을 포함하고, 각각의탭은 각각의 축방향 슬롯에 의해 수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각각의 축방향 슬롯은 제 1 단부 벽 및 제 1 단부 벽 반대편의 제 2 단부 벽을 가지며, 각각의 탭은 제 2 슬리브 부분의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단부 벽과 제 2 단부 벽 사이의 각각의 축방향 슬롯에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모든 탭은 제 1 슬리브 부분의 제 1 단면 평면에 배열되고, 모든 축방향 슬롯은 제 2 슬리브 부분의 제 2 단면 평면에 배열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각각의 축방향 슬롯은 동일한 축방향 길이를 가진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은 탭들을 포함하고, 제 2 슬리브 부분은 축방향 슬롯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은 주변을 따라 분포된 복수의 리세스를 가진 제 1 슬리브 부분 단부를 가지며, 제 2 슬리브 부분은 주변을 따라 분포된 복수의 치형부를 가진 제 2 슬리브 부분 단부를 가지고, 제 2 슬리브 부분의 각각의 치형부는 각각의 리세스내에 배열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2 슬리브 부분의 각각의 치형부에는 축방향 슬롯들의 각각의 축방향 슬롯이 제공되고, 제 1 슬리브 부분의 각각의 리세스는 탭들의 각각의 탭이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축방향 슬롯들 및 탭들은 회전 방지 배열체의 일부를 형성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의 리세스들 및 제 2 슬리브 부분의 치형부는 회전 방지 배열체의 일부를 형성한다.
일 실시형태는 제 2 슬리브 부분을 연장 위치 쪽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열된 복수의 에너지 축적 부재들을 포함한다.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은 그럼으로써 안정화될 수 있다. 에너지 축적 부재는 또한 용접 슬리브에 부착된 케이블이 코일링해제될 때 외장 와이어들을 그 원래 위치로 미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각각의 에너지 축적 부재는 스프링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각각의 스프링은 다이 스프링, 디스크 스프링 또는 웨이브 스프링 중 하나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다르게 명시적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등" 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다르게 명시적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등의 적어도 하나의 예를 언급하는 것으로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 개념의 특정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코일링 동안 케이블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 는 용접 슬리브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 는 용접 슬리브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 는 작동시 도 2a 및 도 2b 에서의 용접 슬리브를 도시한다.
도 5 는 용접 슬리브의 제 3 실시예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 는 도 5 에서의 용접 슬리브의 단면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7a 는 용접 슬리브의 제 4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7b 는 도 7a 의 용접 슬리브의 정면도이다.
본원의 개념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이 도시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보다 더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본원의 개념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 있고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이러한 실시형태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하며 당업자에게 본원의 개념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된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설명 전반에 걸쳐 동일한 요소들을 말한다.
본원에 개시된 용접 슬리브들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층을 수리하거나 또는 2 개의 외장 케이블을 연결하여 단일의 외장 케이블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용접 슬리브는 그에 따라 용접 슬리브 조인트이다. 용접 슬리브와 함께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외장 케이블들은, 예를 들어 AC 또는 DC 인가를 위해 중전압 외장 케이블들 또는 고전압 외장 케이블들일 수 있다. 용접 슬리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외장 케이블의 일 특정 실시예는 선박 케이블, 예를 들어 해저 적용 전원 케이블이다.
일반적으로, 용접 슬리브는 제 1 슬리브 부분과 제 2 슬리브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슬리브 부분은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특히, 제 1 슬리브 부분은 전도성 코어, 즉 전도체(들)와 전도성 절연체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제 2 슬리브 부분은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특히, 제 2 슬리브 부분은 전도성 코어, 즉 전도체(들)와 전도성 절연체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이를 위해,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 둘 다는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직경을 가진 환형이다.
제 1 슬리브 부분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들을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을 가진다.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의 주변 표면은 외장 와이어들을 주변 표면에 용접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제 2 슬리브 부분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들을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을 가진다. 따라서, 제 2 슬리브 부분의 주변 표면은 외장 와이어들을 주변 표면에 용접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은 기계식으로 연결되고 동축으로 배열된다. 제 2 슬리브 부분은 공통의 중심축을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제 2 슬리브 부분은 제 1 슬리브 부분에 대하여 제 1 위치와 제 1 슬리브 부분에 대하여 제 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제 1 위치에서, 용접 슬리브는 개방 또는 연장된 상태에 있는 반면, 제 2 위치에서 용접 슬리브는 압축된 상태에 있다.
용접 슬리브는, 적어도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이 인장을 받을 때, 제 2 슬리브 부분에 대하여 제 1 슬리브 부분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회전 방지 배열체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은 2 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반면, 제 1 슬리브 부분과 제 2 슬리브 부분 사이의 상대 회전은 제한된다.
설치 동안, 제 2 슬리브 부분은 제 1 위치에 설정되어, 제 2 슬리브 부분이 제 1 슬리브 부분으로부터 더 멀리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용접 슬리브는 개방 또는 확장된 상태로 설정된다. 따라서, 외장 와이어들이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에 용접되면, 용접 슬리브는 인장 상태로 설정된다. 용접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강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이제, 도 2a 및 2b 를 참조하여 용접 슬리브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용접 슬리브 (7) 는 제 1 슬리브 부분 (9) 및 제 2 슬리브 부분 (11) 을 포함한다. 제 1 슬리브 부분 (9) 은 제 2 슬리브 부분 (11) 을 수용한다. 제 1 슬리브 부분 (9) 및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배열된다.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제 1 슬리브 부분 (9) 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제 1 슬리브 부분 (9) 및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공통의 중심축 (C) 을 따라서 2 개의 단부 위치들, 즉 연장 또는 제 1 위치와 압축, 후퇴 또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후퇴 위치에서, 제 1 슬리브 부분 (9) 은 제 2 슬리브 부분 (11) 이 연장 위치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더 큰 부분을 수용한다.
도 2a 에서, 용접 슬리브 (7) 는 제 2 슬리브 부분 (11) 이 제 1 슬리브 부분 (9) 에 대하여 연장 위치에 있는 개방 상태로 도시된다. 도 2b 에서, 용접 슬리브 (7) 는 제 2 슬리브 부분 (11) 이 제 2 슬리브 부분 (11) 에 대하여 후퇴 위치에 있는 압축 상태로 도시된다.
제 1 슬리브 부분 (9) 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가 용접될 수 있는 주변 표면 (9a) 을 가진다. 주변 표면 (9a) 은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 또는 내주를 규정할 수 있다.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가 용접될 수 있는 주변 표면 (11a) 을 가진다. 주변 표면 (11a) 은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 또는 내주를 규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변 표면 (9a, 11a) 둘 다는 외장 와이어들을 용접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도 2a 및 도 2b 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 (9) 은 제 2 슬리브 부분 (11) 에 대하여 그 원위 단부에서 그 주변 표면 (9a) 을 가지며, 제 2 슬리브 부분은 제 1 슬리브 부분 (9) 에 대하여 그 원위 단부에서 그 주변 표면 (11a) 을 가진다. 주변 표면 (9a, 11a) 은, 예를 들어 평활하거나 본질적으로 평활할 수 있거나, 각각의 외장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그루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용접 슬리브 (7) 는 제 2 슬리브 부분 (11) 에 대하여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배열체 (13) 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용접 슬리브 (7) 는 제 1 슬리브 부분 (9) 에 대하여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축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하고 제 1 슬리브 부분 (9) 에 대한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회전 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변 표면들 (9a, 11a) 에 용접된 외장 와이어들의 압축 응력이 저감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장 와이어들의 좌굴 위험이 저감될 수 있다.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쌍이 대향하여 배열되고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복수의 제 1 반경방향 표면 및 제 2 반경방향 표면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반경방향 표면과 제 2 반경방향 표면의 쌍은 축방향 슬롯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그 원주 또는 주변 둘레에 분포된 복수의 축방향 슬롯 (11b) 을 가진다. 제 1 슬리브 부분 (9) 은, 복수의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 부분들을 가지고, 각각은 각각의 슬롯과 연관되어 있다. 각각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 부분은 본 실시예에 따라서 고정 배열된 탭이다. 따라서, 예시된 제 1 슬리브 부분 (9) 은 그 원주 또는 주변 둘레에 분포된 복수의 고정 배열된 탭들, 즉 돌출 부재들 (15) 을 가진다. 각각의 탭 (15) 은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내부 표면상에 제공된다. 각각의 탭 (15) 은 각각의 축방향 슬롯 (11b) 에 의해 수용된다. 따라서, 축방향 슬롯 (11b) 의 개수는 탭 (15) 의 개수와 동일하다. 각각의 축방향 슬롯 (11b) 은 동일한 축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탭들 (15) 은 그 축방향 슬롯들 (11b)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열되고, 그에 따라서 각각의 축방향 슬롯들 (11b) 에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이를 위해, 각각의 축방향 슬롯 (11b) 은 제각각의 제 1 단부 벽 (13a), 즉 제 1 반경방향 표면 및 제 2 단부 벽 (13b), 즉 제 2 반경방향 표면을 가지며, 이는 해당 축방향 슬롯 (11b) 의 축방향 단부 벽들을 규정한다. 각각의 탭 (15) 은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제 1 또는 연장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단부 벽 (13a) 과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제 2 또는 후퇴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단부 벽 (13b)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그에 따라서, 축방향 슬롯들 (11b) 과 탭들 (15) 사이의 상호협력은 제 1 슬리브 부분 (9) 에 대한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최대 축방향 변위를 규정한다. 따라서, 제 1 반경 방향 표면 및 제 2 반경 방향 표면은 그 사이의 축방향 섹션을 한정하여, 이는 제 1 슬리브 부분 (9) 과 제 2 슬리브 부분 (11)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의 거리를 규정한다.
일 변형예에 따라서, 모든 탭들 (15) 은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제 1 단면 평면에 배열된다. 제 1 단면 평면은 공통의 중심축 (C) 에 직교한다. 탭들 (15) 은 예를 들어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주변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 따라서, 모든 축방향 슬롯 (11b) 은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제 2 단면 평면에 배열된다. 제 2 단면 평면은 공통의 중심축 (C) 에 직교하고 제 1 단면 평면에 평행하다. 축방향 슬롯 (11b) 은 바람직하게는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주변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축방향 슬롯들을 가진 제 1 슬리브 부분과 탭들을 가진 제 2 슬리브 부분을 구성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제 1 슬리브 부분 (9) 은 접선방향으로 그 내주를 따라서 분포된 복수의 리세스들 (17) 이 제공된 제 1 슬리브 단부를 가진다. 제 1 슬리브 단부는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근위 단부이다. 리세스들은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내주를 따라서 분포된 복수의 치형부 (19) 를 규정하는 패턴을 형성하며, 각각의 치형부 (19) 는 2 개의 인접한 리세스들 (17) 사이에 규정된다.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제 1 슬리브 단부로 이어지는 제 2 슬리브 단부를 가진다. 제 2 슬리브 단부는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근위 단부이다. 제 2 슬리브 단부는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주변을 따라서 분포된 복수의 치형부 (21) 를 포함한다.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각각의 치형부 (21) 는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인접한 치형부 (19) 사이의 각각의 리세스 (17) 에 배열된다. 더욱이,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각각의 치형부 (19) 는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인접한 치형부 (21) 사이에 배열된다.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각각의 치형부 (21) 는 각각의 리세스들 (17) 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배열된다.
일 변형예에 따라서, 각각의 리세스에는 탭들 (15) 중 각각의 탭 (15) 이 제공되고,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각각의 치형부 (21) 에는 축방향 슬롯들 (11b) 중 각각의 축방향 슬롯 (11b) 이 제공된다. 따라서,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치형부 (21) 는, 축방향 슬롯들 (11b) 과 탭들 (15)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축방향 이동이 한정된 상태에서,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리세스들 (17) 내에서 진행한다.
각각의 탭 (15) 은 접선방향을 따라서 한정된 축방향 슬롯들 (11b) 의 폭 치수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제 2 슬리브 부분 (11) 에 대한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회전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탭들 (15) 및 축방향 슬롯들 (11b) 은 회전 방지 배열체 (13) 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이 회전 방지 배열체 (13) 를 보다 규정할 수 있다.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리세스들 (17) 및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치형부 (21) 는 바람직하게는 접선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최소한이 되도록 제한된다는 점에서 작은 공차 (tolerances) 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리세스 (17) 및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치형부 (21) 는 회전 방지 배열체 (13) 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이 회전 방지 배열체 (13) 를 더 규정한다.
따라서, 탭들 (15) 및 축방향 슬롯들 (11b) 만이 회전 방지 배열체를 형성하는 반면,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리세스들 (17) 및 치형부 (21) 만이 회전 방지 배열체를 또한 형성한다. 이와 함께, 2 개의 별개의 회전 방지 배열체들은 강화 회전 방지 배열체를 형성한다.
도 3a 는 용접 슬리브 (7') 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용접 슬리브 (7') 는 제 1 실시예의 용접 슬리브 (7) 와 유사하지만, 용접 슬리브 (7') 는 또한 복수의 에너지 축적 부재들 (23) 을 또한 포함한다. 따라서, 용접 슬리브 (7') 는 제 1 슬리브 부분 (9') 및 제 1 슬리브 부분 (9') 에 의해 수용되는 제 2 슬리브 부분 (11) 을 포함한다. 도 3a 에서, 용접 슬리브 (7') 는 개방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즉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제 1 슬리브 부분 (9') 에 대하여 연장 위치에 있으며, 도 3b 는 압축 상태의 용접 슬리브 (7') 를 도시하고, 즉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제 1 슬리브 부분 (9') 에 대하여 후퇴 위치에 있다.
에너지 축적 부재들 (23) 은 제 2 슬리브 부분 (11') 을 연장 위치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배열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에너지 축적 부재 (23) 는 제 1 단부를 제 1 슬리브 부분 (9') 쪽으로 그리고 제 1 단부 반대의 제 2 단부를 제 2 슬리브 부분 (11') 쪽으로 하여 배열되고,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에너지 축적 부재를 압축할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이 에너지 축적 부재 (23) 의 단부들을 규정한다.
도 3a 및 3b 의 실시예에 따라서, 에너지 축적 부재들 (23) 은 용접 슬리브 (7') 의 주변을 따라서 접선방향으로 분포된다. 특히, 각각의 에너지 축적 부재 (23) 는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2 개의 인접한 치형부 (21) 사이에 배열되어,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대응하는 절취부안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절취부는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실시예의 리세스들 (17) 에 대응하는 인접한 리세스들 사이의 제 1 슬리브 단부에 형성된다.
에너지 축적 부재 (23) 는 스프링들, 예컨대 다이 스프링들, 디스크 스프링들 또는 웨이브 스프링들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에너지 축적 부재는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중합 재료로 제조된 인레이 (inlay) 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 는 사용시의 용접 슬리브 (7) 를 도시한다. 용접 슬리브 (7') 는, 에너지 축적 부재들 (23) 이 제 1 슬리브 부분 (9') 과 제 2 슬리브 부분 (11') 을 서로 멀어지도록 밀려고 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다.
도 4a 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장 케이블 (25a) 및 제 2 외장 케이블 (25b) 이 용접 슬리브 (7) 에 부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외장 와이어들 (27, 29) 은 외부 시스 (sheath) 아래에 노출되고, 반경방향 외부로 절단 및 굴곡진다. 제 1 외장 케이블 (25) 은 외장 와이어들 (27) 을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주변 표면 (9a) 에 용접함으로써 용접 슬리브 (7) 에 부착되고, 제 2 외장 케이블 (25) 은 외장 와이어들 (29) 을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주변 표면 (11a) 에 용접함으로써 용접 슬리브 (7) 에 부착된다. 따라서, 용접 슬리브 (7) 는 제 1 고전압 외장 케이블 (25a) 과 제 2 외장 케이블 (25b) 이 연결되는 용접 슬리브 조인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외장 케이블 (25a) 과 제 2 외장 케이블 (25b) 은 단일의 외장 케이블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 따라서, 단일의 외장 케이블은 코일링되어 있고, 비틀림력 (FT) 은 단일의 케이블에 작용하여, 외장 와이어 (27, 29) 에 압축 응력을 유발한다.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 (9) 및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공통의 중심축을 따라서 서로 쪽으로 밀려지고,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그 후퇴 위치에 있고 용접 슬리브는 그 압축 상태에 있다. 그럼으로써, 외장 와이어들 (27, 29) 의 압축 응력은 저감될 수 있고, 따라서 외장 와이어들 (27, 29) 의 좌굴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 는 용접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용접 슬리브 (7") 는 제 1 슬리브 부분 (9") 및 제 2 슬리브 부분 (11") 을 가진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다. 제 1 슬리브 부분 (9") 및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동축으로 배열되고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슬리브들 (9", 11") 둘 다는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들을 용접하기 위해 각각의 주변 표면들 (9a, 11a) 을 가진다. 제 1 슬리브 부분 (9") 및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 (9") 은 제 2 슬리브 부분 (11") 을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즉 용접 슬리브 (7") 의 조립 상태에서 제 1 슬리브 부분 (9") 은 제 2 슬리브 부분 (11") 을 수용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 중 하나는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 중 다른 하나를 동축으로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축방향으로 변위되고 대향 배열되는, 즉 서로 대면하는 제 1 및 제 2 반경방향 표면들 (31a, 31b) 을 가진다. 제 1 슬리브 부분 (9") 은, 이 제 1 슬리브 부분 (9") 에 고정 배열되고 제 1 반경방향 표면 (31a) 과 제 2 반경방향 표면 (31b) 사이에 배열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차단 부분 (33) 을 가진다. 제 1 슬리브 부분 (9") 및 제 2 슬리브 부분 (11") 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 부분 (33) 이 2 개의 대향 배열된 반경방향 표면들 (31a, 31b) 중 제 1 반경방향 표면 (31a) 에 대해서만 지지하는 제 1 위치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 부분 (33) 이 2 개의 대향 배열된 표면들 (31a, 31b) 의 제 2 반경방향 표면 (31b) 에 대해서만 지지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배열된다. 제 1 반경방향 표면 (31a) 과 제 2 반경방향 표면 (31b) 은 제 1 슬리브 부분 (9") 과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을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 부분은 대안으로서 제 1 슬리브 부분 대신에 제 2 슬리브 부분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제 1 반경방향 표면 및 제 2 반경방향 표면은 제 1 슬리브 부분 상에 제공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용접 슬리브 (7") 는 또한 제 2 슬리브 부분 (11") 에 대하여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회전 이동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배열체를 가진다. 회전 방지 배열체는, 예를 들어 제 1 슬리브 부분과 제 2 슬리브 부분이 인장 상태에 있을 때 또는 용접 슬리브가 완전히 압축되고 압축이 가해지면, 상대 회전을 방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방지 배열체는, 제 1 슬리브 부분이 제 1 위치에 있고 2 개의 슬리브 부분들이 인장상태이거나 제 2 위치에 있으며 2 개의 슬리브 부분들이 압축상태에 있으면, 상대 회전을 방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일 변형예에 따라서, 축방향 변위 동안 회전이 허용될 수 있지만,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이 인장력 또는 압축력으로 인해 서로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동안은 아니다.
실시예로서, 각각의 슬롯들의 제 1 단부 벽 및 제 2 단부 벽을 형성하는 제 1 반경방향 표면들 및 제 2 반경방향 표면들의 복수의 쌍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슬롯들은 축방향에 대해, 예를 들어 외장 와이어들의 나선형 형상과 동일한 각도로 약간 각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용접 슬리브에 용접된 외장 케이블들로부터의 인장력으로 인해 대응하는 탭들이 슬롯들 내의 고정 위치에 배열되는 동안 회전이 방지된다. 하지만, 제 1 슬리브 부분이 제 2 슬리브 부분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 탭들이 각진 슬롯들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2 개의 슬리브 부분들 사이에서는 회전이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 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라서, 회전 방지 배열체는 제 1 슬리브 부분 (9") 및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단면 형상들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외부 표면 또는 외주는 제 1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제 1 슬리브 부분 (9") 의 내부 표면 또는 내주는 또한 동일한 제 1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는 제 1 슬리브 부분 (9") 및 제 2 슬리브 부분 (11") 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를 허용하지만, 구성요소들에 대한 이들 사이의 회전을 방지한다.
제 1 비원형 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다각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 는 제 1 비원형 단면 형상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6a 에서, 제 1 단면 형상은 타원형이고, 도 6b 에서 제 1 단면 형상은 다각형, 특히 육각형이다.
수용된 슬리브 부분의 내주의 단면 형상 및 수용 슬리브 부분의 외주의 단면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다.
실시예로서, 일 변형예에 따라서, 축방향 변위 동안에만 제 1 슬리브 부분과 제 2 슬리브 부분 사이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2 개의 제 1 비원형 단면 형상들 중 하나는 축방향으로 비틀어질 수 있다.
도 7a 는 용접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용접 슬리브 (35) 는,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 1 슬리브 부분 (37) 을 가지고,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들을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 (38) 을 가진다. 용접 슬리브 (35) 는,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 2 슬리브 부분 (39) 을 가지고,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들을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 (40) 을 가진다.
제 1 슬리브 부분 (37) 은 그 주변을 따라서 분포된 복수의 축방향 개구들을 가지고, 제 2 슬리브 부분 (39) 은 그 주변을 따라 분포된 대응하는 축방향 개구를 가진다. 더욱이, 용접 슬리브 (35) 는, 축방향 개구들에 수용되고 제 1 슬리브 부분 (37) 과 제 2 슬리브 부분 (39) 사이에서 연장되어, 제 1 슬리브 부분 (37) 을 제 2 슬리브 부분 (39) 에 동축 방식으로 기계식 연결을 제공하는 복수의 종방향 부재들 (41) 을 포함한다.
더욱이, 용접 슬리브 (35) 는 제 1 스토퍼 (44) 및 제 2 스토퍼 (46) 를 포함한다. 제 1 스토퍼 (44) 는 종방향 부재들 (42) 의 일 단부에 장착되고, 제 2 스토퍼 (46) 는 종방향 부재 (42) 의 헤드들에 의해 규정되거나 종방향 부재들 (42) 의 다른 단부에 장착된다. 종방향 부재들 (42) 은 용접 슬리브 (35) 의 장착 상태에서 제 1 슬리브 부분 (37) 과 제 2 슬리브 부분 (39) 이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축방향 연장 또는 길이를 가진다.
제 1 스토퍼들 (44) 및 제 2 스토퍼들 (46) 은 제 1 슬리브 부분 (37) 과 제 2 슬리브 부분 (39) 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축방향 거리를 한정한다. 제 1 스토퍼들 (42) 은 예를 들어 너트들일 수 있고, 제 2 스토퍼들은 예를 들어 종방향 부재들 (42) 의 헤드들일 수 있다. 종방향 부재들 (42) 은 예를 들어 볼트들일 수 있다.
용접 슬리브 (35) 는 제 1 슬리브 부분 (37) 을 제 2 슬리브 부분 (39) 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열된 에너지 축적 부재들 (48)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에너지 축적 부재 (48) 는 예를 들어 각각의 종방향 부재 (42) 둘레에 장착될 수 있다. 에너지 축적 부재들 (48) 은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들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어떠한 변형예에 따라서,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 각각은 케이블 둘레에 용접 슬리브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여러 개의 원형 섹터들 또는 서클 섹터들 (circle sectors)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은, 예를 들어 용접 슬리브에 의해서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들을 수리하기 위해, 손상된 외장 와이어들을 가진 케이블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둘레에 배열된 서클 섹터들은 용접 슬리브를 형성하도록 서로 용접될 수 있으며, 이 외장 와이어들은 용접 슬리브에 용접된다. 대안으로서, 제 1 슬리브 부분 및 제 2 슬리브 부분 각각은 단일의 원형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이들은 설치 과정 동안 케이블 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원의 개념은 몇몇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주로 전술되었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형태와는 다른 실시형태들은 첨부된 청구범위들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본원의 개념의 범위 내에서 균등하게 가능하다.

Claims (20)

  1. 외장 케이블들용 용접 슬리브 (35) 로서,
    상기 용접 슬리브는,
    복수의 축방향 개구를 가지고 외장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 1 슬리브 부분 (37) 으로서,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37) 은 외장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들을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 (38) 을 가지는,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37),
    복수의 축방향 개구를 가지고 외장 케이블 (25b) 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 2 슬리브 부분 (39) 으로서,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 (39) 은 외장 케이블 (25b) 의 외장 와이어들 (29) 을 용접하기 위한 주변 표면 (40) 을 가지는,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 (39),
    복수의 종방향 부재들 (42), 및
    복수의 제 1 스토퍼 (44) 및 제 2 스토퍼 (46) 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종방향 부재 (42) 는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37) 의 각각의 축방향 개구로부터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 (39) 의 각각의 축방향 개구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37) 및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 (39) 은 서로 동축으로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종방향 부재 (42) 에는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37) 의 축방향 변위를 한정하기 위해서 일 단부에 제 1 스토퍼 (44) 가 제공되며, 각각의 상기 종방향 부재의 대향 단부는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 (39) 의 축방향 변위를 한정하기 위해서 제 2 스토퍼 (46) 를 형성하고,
    상기 종방향 부재 (42) 는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37) 과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 (39) 이 상기 제 1 스토퍼 (44) 와 상기 제 2 스토퍼 (46) 사이에서 상기 종방향 부재 (42) 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종방향 연장부를 가져,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 (39) 에 대하여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37) 의 축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용접 슬리브는 상기 제 1 슬리브 부분 (37) 을 상기 제 2 슬리브 부분 (39) 으로부터 멀리 축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열된 복수의 에너지 축적 부재 (48) 를 포함하는, 용접 슬리브 (35).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에너지 축적 부재 (48) 는 각각의 상기 종방향 부재 (42) 둘레에 제공되는, 용접 슬리브 (35).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 (44) 는 너트들이고, 상기 종방향 부재 (42) 는 볼트들이며, 상기 제 2 스토퍼 (46) 는 상기 볼트들의 헤드들인, 용접 슬리브 (35).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7021576A 2015-02-19 2016-02-19 외장 케이블들용 용접 슬리브 KR102544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5053530 2015-02-19
EPPCT/EP2015/053530 2015-02-19
PCT/EP2016/053567 WO2016131965A1 (en) 2015-02-19 2016-02-19 Welding sleeve for armoured cab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047A KR20170117047A (ko) 2017-10-20
KR102544846B1 true KR102544846B1 (ko) 2023-06-16

Family

ID=5257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576A KR102544846B1 (ko) 2015-02-19 2016-02-19 외장 케이블들용 용접 슬리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224704B2 (ko)
EP (1) EP3259814B1 (ko)
JP (1) JP6764869B2 (ko)
KR (1) KR102544846B1 (ko)
AU (1) AU2016221634B2 (ko)
BR (1) BR112017014977A2 (ko)
CA (1) CA2976588A1 (ko)
CL (1) CL2017002125A1 (ko)
WO (1) WO201613196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7725A1 (en) * 2002-07-26 2005-04-14 Anton Hummel Verwaltungs Gmbh Terminal connection comprising a threaded sleeve, a counter-sleeve and a terminal insert
US20140044489A1 (en) * 2012-08-13 2014-02-13 Chevron U.S.A. Inc. Conduit displacement mitigatio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use with subsea conduits
JP2014087201A (ja) * 2012-10-25 2014-05-12 Viscas Corp 鉄線外装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及び外装鉄線接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8148C (de) 1931-05-01 1934-06-06 Aeg Verfahren zum Aufbringen der Panzerdraehte bei Pupinseekabeln
JPS519293U (ko) * 1974-07-09 1976-01-23
US4416061A (en) * 1980-08-26 1983-11-22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ic Corporation Method for jointing cables
GB2106336B (en) * 1981-09-04 1985-07-24 Bicc Plc Electric cable glands
GB2183402B (en) * 1985-11-22 1989-11-15 Pirelli General Plc Armoured cables
JPH06225437A (ja) 1993-01-25 1994-08-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海底布設長尺体の修理接続部及び海底布設長尺体の修理方法
DE19921311B4 (de) 1999-05-07 2008-05-15 Pflitsch Gmbh & Co. Kg Kabelverschraubung
DE102006043217C5 (de) 2006-09-11 2010-07-29 Bimed Teknik A.S., Büyükcekmece Kabel- oder Schlauchverschraubung
KR20100088831A (ko) 2009-02-02 2010-08-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의 외장 철선 연결 장치
EP2449641B1 (en) 2009-07-03 2014-10-15 ABB Technology AG A joint for a submarine cable
JP2013150370A (ja) * 2012-01-17 2013-08-01 Viscas Corp 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とそれを用いた外装鉄線接続方法及び接続部
JP2013162634A (ja) 2012-02-06 2013-08-19 Viscas Corp 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とそれを用いた外装鉄線接続方法及び接続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7725A1 (en) * 2002-07-26 2005-04-14 Anton Hummel Verwaltungs Gmbh Terminal connection comprising a threaded sleeve, a counter-sleeve and a terminal insert
US20140044489A1 (en) * 2012-08-13 2014-02-13 Chevron U.S.A. Inc. Conduit displacement mitigatio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use with subsea conduits
JP2014087201A (ja) * 2012-10-25 2014-05-12 Viscas Corp 鉄線外装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及び外装鉄線接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221634A1 (en) 2017-07-13
US10224704B2 (en) 2019-03-05
EP3259814A1 (en) 2017-12-27
JP2018509125A (ja) 2018-03-29
WO2016131965A1 (en) 2016-08-25
AU2016221634B2 (en) 2020-04-23
US20180034255A1 (en) 2018-02-01
CA2976588A1 (en) 2016-08-25
JP6764869B2 (ja) 2020-10-07
EP3259814B1 (en) 2021-09-01
KR20170117047A (ko) 2017-10-20
BR112017014977A2 (pt) 2018-03-20
CL2017002125A1 (es)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1139A1 (en) High voltage power cable for ultra deep waters applications
EP3644326B1 (en) Reinforced submarine power cable
EP3210269B1 (en) Electric energy transmission tether for an airborne wind power station
CN115602363A (zh) 具有轻质拉伸元件的线缆
KR102544846B1 (ko) 외장 케이블들용 용접 슬리브
EP3059808B1 (en) Cable strain relief
NZ201636A (en) Optical cable:fibres and plastics strength members helically laid in common layer
US11424051B2 (en) Armoured power cable
US10083778B2 (en) Dynamic submarine power cable
AU2014201687B2 (en) Cable including reinforcement elements
JP2018512715A5 (ko)
CN112102994B (zh) 一种具有抗挤压和驱虫功能的复合式架空电缆线
SE1400399A1 (sv) Subsea cable tensioner structure and a tension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