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753B1 - Elevator system and how to repair the elevator - Google Patents

Elevator system and how to repair the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753B1
KR102544753B1 KR1020237013555A KR20237013555A KR102544753B1 KR 102544753 B1 KR102544753 B1 KR 102544753B1 KR 1020237013555 A KR1020237013555 A KR 1020237013555A KR 20237013555 A KR20237013555 A KR 20237013555A KR 102544753 B1 KR102544753 B1 KR 102544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socket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5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58543A (en
Inventor
데츠로 세키
마사야 아베
료타 다마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5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5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7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1), 전구용의 소켓(17), 카메라 유닛(33), 및 휴대 단말(13)을 구비한다. 카메라 유닛(33)은 엘리베이터 칸(1)에 지지되고, 소켓(17)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카메라 유닛(33)은 카메라(41), 및 통신부(61)를 구비한다.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송신한다. 휴대 단말(13)의 표시 제어부(73)는, 통신부(61)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킨다. The elevator system includes an elevator car (1), a socket (17) for a light bulb, a camera unit (33), and a portable terminal (13). The camera unit 33 is supported on the car 1, and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socket 17. The camera unit 33 includes a camera 41 and a communication unit 61 .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video data represen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to the portable terminal 13 . Based on the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1, the display control unit 73 of the portable terminal 13 causes the display unit 71 to display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41.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Elevator system and how to repair the elevator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改修)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elevator system and a method for remodeling an elevator.

특허 문헌 1에 엘리베이터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에 카메라와 램프가 마련된다. 램프에 의해서 승강로의 내부가 비추어진다. 카메라에 의해서 승강로의 내부가 촬영된다. An elevator device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n the elevator devic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a camera and a lamp are provided in an elevator car. The interior of the hoistway is illuminated by the lamp. The inside of the hoistway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2-128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2-1289

일례로서, 기설(旣設)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승강로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장착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칸에 카메라를 장착할 때, 카메라를 위한 전원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고 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고려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신설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다. As an example, consider a case where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a hoistway is attached to an existing elevator device. Conventionally, when mounting a camera in an elevator car,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power source for the camera. In addition, in the elevator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such a problem is not considered. And, this problem may also occur when a new elevator device is installed.

본 개시는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개시의 목적은, 승강로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의 전원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승강로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설치할 때 카메라용의 전원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was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levator system capable of easily securing a power source for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a hoistwa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pairing an elevator capable of easily securing power for a camera when install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a hoistway.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에 마련된 전구용의 제1 소켓과,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되고, 제1 소켓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카메라 유닛과, 휴대 단말을 구비한다. 카메라 유닛은,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에 대해서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다. 휴대 단말은 제1 표시기와, 통신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제1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elevator car moving in a hoistway, a first socket for a light bulb provided outside the car, a camera unit supported by the car and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first socket, and a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The camera unit includes a camera capable of shooting with visible light, and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video data represen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to a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first display and first display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n the first display, based on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에 마련된 전구용의 제1 소켓과,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되고, 제1 소켓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카메라 유닛과,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된 감시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고 감시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외부 기기를 구비한다. 카메라 유닛은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감시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다. 감시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통신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송신한다. 외부 기기는 제1 표시기와,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제1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elevator car moving in a hoistway, a first socket for a light bulb provided outside the car, a camera unit supported by the car and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first socket, and an access point. is provided with a connected monitoring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onitoring device without going through an access point. The camera unit includes a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with visible light, and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video data represent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to a monitoring device via an access point. The monitoring device transmits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access point.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first display and first display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n the first display based on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은, 승강로의 내부를 비추기 위한 전구가 제1 소켓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엘리베이터를 개수하는 방법이다. 본 개수 방법은 전구를 제1 소켓으로부터 떼어내는 공정과, 전구를 떼낸 제1 소켓을 통해서 카메라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카메라 유닛을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 카메라 유닛은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다. A method of repairing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a method of repairing an elevator in which a light bulb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a hoistway is provided in an elevator car through a first socket. The repair method includes a step of removing the light bulb from the first socket and supporting the camera unit in an elevator car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unit through the first socket from which the light bulb is removed. The camera unit includes a camera capable of shooting with visible light, and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image data represen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본 개시에 의하면, 승강로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의 전원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easily secure a power supply for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a hoistway.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영상 유닛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어댑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램프 유닛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카메라 유닛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카메라 유닛이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영상 유닛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휴대 단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휴대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카메라 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어 장치 및 감시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외부 기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감시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외부 기기(11)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감시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감시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9는 카메라 유닛이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램프 유닛이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영상 유닛의 기본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2는 제어 장치 및 감시 장치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휴대 단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외부 기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휴대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6은 휴대 단말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7은 감시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8은 감시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9는 감시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0은 감시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1은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2는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levator system in Embodiment 1;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unit.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dapter.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lamp unit.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amera unit.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unctions of a camera unit.
7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an imaging unit.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9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amera unit.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device and a monitoring device.
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xternal device.
1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1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monitoring device.
1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11.
1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monitoring device.
Fig. 17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monitoring device.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numbering elevators.
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unctions of a camera unit.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unctions of a lamp unit.
21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basic operation of the imaging unit in Embodiment 2;
22 is a diagram showing functions of a control device and a monitoring device.
2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2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xternal device.
2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ig. 26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portable terminal.
Fig. 27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monitoring device.
28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monitoring device.
Fig. 29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monitoring device.
Fig. 30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monitoring device.
31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repairing elevators.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hardware resources of a control device.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hardware resources of a control device.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중복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Below, detailed explanation is given with reference to drawings. Redundant descriptions are simplified or omitted as appropriate. In each figure, the same code|symbol denotes the same part or a corresponding part.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 추(2)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1)은 승강로(3)를 상하로 이동한다. 균형 추(2)는 승강로(3)를 상하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 추(2)는, 주 로프(4)에 의해서 승강로(3)에 매달린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levator system in Embodiment 1;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1 includes a car 1 and a balance weight 2. The elevator car 1 moves up and down the hoistway 3 . The balance weight (2) moves up and down the hoistway (3). The car (1) and the balance weight (2) are suspended from the hoistway (3) by the main rope (4).

주 로프(4)는 권상기(5)의 구동 시브(6)에 감긴다. 엘리베이터 칸(1)은 구동 시브(6)의 회전에 따라 이동한다. 제어 장치(7)는 권상기(5)를 제어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은, 제어 장치(7)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 1은 권상기(5) 및 제어 장치(7)가 승강로(3)의 상방의 기계실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권상기(5) 및 제어 장치(7)는, 승강로(3)에 설치되어도 된다. The main rope (4) is wound around the driving sheave (6) of the hoisting machine (5). The car (1)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eave (6). The control device 7 controls the hoisting machine 5. That is, the movement of the car 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7 .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hoisting machine 5 and a control device 7 are installed in a machine room above the hoistway 3. The hoisting machine 5 and the control device 7 may be installed in the hoistway 3 .

감시 장치(8)는 제어 장치(7)에 접속된다. 감시 장치(8)는 제어 장치(7)와 통신한다. 감시 장치(8)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외부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감시 장치(8)는 네트워크(9)를 통해서 외부 기기(11)와 통신한다. 일례로서, 외부 기기(11)는 원격의 감시 센터(10)에 구비된다. The monitoring device 8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7 . The monitoring device 8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device 7 . The monitoring device 8 is a device for the elevator device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For example, the monitoring device 8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device 11 via the network 9 . As an example, the external device 11 is provided in the remote monitoring center 10 .

감시 장치(8)에 액세스 포인트(12)가 접속된다. 액세스 포인트(12)는 감시 장치(8)에 직접 접속되어도 되고, 다른 기기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감시 장치(8)에 접속되어도 된다. 액세스 포인트(12)는 특정 기기가 감시 장치(8)와 무선 통신을 행할 때 사용된다. 상기 특정 기기에는, 보수용의 휴대 단말(13)이 포함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특정 기기에는, 후술의 영상 유닛(18 및 19)이 포함된다. 휴대 단말(13)은 엘리베이터의 보수원에 의해서 소유된다. 보수원은 휴대 단말(13)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보수를 행한다. 또한, 감시 장치(8)는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하는 일 없이 외부 기기(11)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An access point 12 is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8 . The access point 1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8 or may be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8 indirectly through another device. The access point 12 is used when a specific device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ing device 8 . The specific equipment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13 for maintenance. As another example, the specific device includes imaging units 18 and 19 described later. The portable terminal 13 is owned by an elevator maintenance worker. A maintenance work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13 to perform elevator maintenance. In addition, the monitoring device 8 can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device 11 without passing through the access point 12 .

감시 장치(8)에 지진계(14)가 접속된다. 지진계(14)는 건물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지진계(14)에 의해서 검출된 가속도의 데이터는, 감시 장치(8)에 입력된다. 감시 장치(8)는 지진계(14)에 의해서 특정 레벨 이상의 가속도가 검출되면, 지진 관제 운전을 실시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 장치(7)에 송신한다. 지진계(14)는 제어 장치(7)에 접속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지진계(14)에 의해서 검출된 가속도의 데이터는, 제어 장치(7)에 입력된다. 제어 장치(7)는 지진계(14)에 의해서 특정 레벨 이상의 가속도가 검출되면, 지진 관제 운전을 실시한다. A seismometer 14 is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8 . The seismograph 14 detects the acceleration of the building. Acceleration data detected by the seismometer 14 is input to the monitoring device 8 . The monitoring device 8 transmits a signal for executing an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to the control device 7 when an acceleration of a specific level or higher is detected by the seismometer 14 . The seismometer 14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7 . In this case, acceleration data detected by the seismometer 14 is input to the control device 7 . The control device 7 performs an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when an acceleration of a specific level or higher is detected by the seismometer 14 .

지진계(14)는 특정 레벨 이상의 가속도를 검출했을 때 지진 검지 신호를 출력해도 된다. 지진계(14)가 감시 장치(8)에 접속되어 있으면, 지진계(14)로부터의 지진 검지 신호는 감시 장치(8)에 입력된다. 감시 장치(8)는 지진계(14)로부터 지진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지진 관제 운전을 실시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 장치(7)에 송신한다. 지진계(14)가 제어 장치(7)에 접속되어 있으면, 지진계(14)로부터의 지진 검지 신호는 제어 장치(7)에 입력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7)는 지진계(14)로부터 지진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지진 관제 운전을 실시한다. 지진계(14)는 승강로(3)의 피트(3a)에 마련되어도 된다. The seismometer 14 may output an earthquake detection signal when it detects an acceleration of a specific level or higher. If the seismograph 14 is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8, an earthquak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ismograph 14 is input to the monitoring device 8. Upon receiving an earthquak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ismometer 14, the monitoring device 8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7 for performing an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If the seismometer 1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7, an earthquak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ismometer 14 is input to the control device 7. In this case, upon receiving an earthquak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ismograph 14, the control device 7 performs an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The seismometer 14 may be provided in the pit 3a of the hoistway 3.

엘리베이터 칸(1)과 제어 장치(7)의 사이에, 제어 케이블(15)이 접속된다. 제어 케이블(15)은 엘리베이터 칸(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엘리베이터 칸(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어 케이블(15)은, 승강로(3)의 내부에서 방향 전환되어 상방으로 연장된다. 제어 케이블(15)은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승강로(3)의 내부에서 U자 모양으로 매달린다. Between the car 1 and the control device 7, a control cable 15 is connected. A control cable 15 extends downward from the car 1 . The control cable 15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ar 1 is turned inside the hoistway 3 and extends upward. The control cable 15 is suspended in a U shape inside the hoistway 3 so as not to hinder the movement of the car 1 .

엘리베이터 칸(1)에, 전구용의 소켓(16 및 17)이 마련된다. 소켓(16 및 17)은 특정 꼭지쇠를 가지는 시판의 전구를 장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소켓(16 및 17)은 엘리베이터 칸(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켓(16)은 엘리베이터 칸(1)의 상부에 마련된다. 소켓(17)은 엘리베이터 칸(1)의 하부에 마련된다. In the car 1, sockets 16 and 17 for light bulbs are provided. The sockets 16 and 17 are shaped to accommodate commercially available light bulbs having special clasps. The sockets 16 and 17 ar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r 1.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 the socket 16 is provided on top of the car 1 . The socket 17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r 1.

또,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영상 유닛(18 및 19)을 구비한다. 영상 유닛(18)은 엘리베이터 칸(1)의 상방의 영상을 얻기 위한 유닛이다. 영상 유닛(19)은 엘리베이터 칸(1)의 하방의 영상을 얻기 위한 유닛이다. 영상 유닛(18)에는 소켓(16)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영상 유닛(19)에는 소켓(17)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Moreover,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1 is provided with video units 18 and 19. The imaging unit 18 is a unit for obtaining an image of the upper side of the car 1 . The image unit 19 is a unit for obtaining an image of the lower side of the car 1 . Imaging unit 18 is supplied with power from socket 16 . Imaging unit 19 is supplied with power from socket 17 .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영상 유닛(18 및 19)의 쌍방을 구비하는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다. 본 시스템은 영상 유닛(18)을 구비하고, 영상 유닛(19)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시스템이 영상 유닛(19)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엘리베이터 칸(1)에 소켓(17)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시스템은 영상 유닛(19)을 구비하고, 영상 유닛(18)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본 시스템이 영상 유닛(18)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엘리베이터 칸(1)에 소켓(16)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Fig. 1 shows a preferred example in which the elevator system includes both imaging units 18 and 19. The present system includes the imaging unit 18, and does not need to include the imaging unit 19. If the present system does not have the imaging unit 19, the socket 17 need not be provided in the car 1. This system is provided with the imaging unit 19, and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the imaging unit 18. If the present system does not include the imaging unit 18, the car 1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the socket 16.

이하에 있어서는, 영상 유닛(19)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영상 유닛(18)의 구성, 기능, 및 동작은, 영상 유닛(19)의 구성, 기능, 및 동작과 같다. 이 때문에, 영상 유닛(18)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the video unit 1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imaging unit 18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imaging unit 19 . For this reason, description of the imaging unit 18 is omitted.

엘리베이터 칸(1)은 엘리베이터 칸 실(20), 도어(21), 에이프런(22), 프론트빔(23), 프레임(24), 조작반(25), 및 표시기(26)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 실(20)은 승객이 타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엘리베이터 칸 실(20)은 프레임(24)에 의해서 지지된다. 프레임(24)은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상하 좌우를 둘러싼다. 프레임(24)은 상부 부재(24a) 및 하부 부재(24b)를 구비한다. 상부 부재(24a)는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상방에서 엘리베이터 칸 실(20)을 횡단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된다. 하부 부재(24b)는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하방에서 엘리베이터 칸 실(20)을 횡단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된다.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상부 부재(24a)에 주 로프(4)가 연결된다. The car 1 includes a car compartment 20, a door 21, an apron 22, a front beam 23, a frame 24, a control panel 25, and an indicator 26. The car compartment 20 forms a space for passengers to board. The car compartment 20 is supported by a frame 24. The frame 24 surrounds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 compartment 20. Frame 24 has an upper member 24a and a lower member 24b. The upper member 24a is disposed horizontally above the car compartment 20 and across the car compartment 20 . The lower member 24b is disposed horizontally below the car compartment 20 to traverse the car compartment 20 . In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1:1 roping system, the main rope 4 is connected to the upper member 24a.

엘리베이터 칸 실(20)은 천정(27) 및 바닥(28)을 구비한다. 바닥(28)에는 도어(2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문턱이 포함된다. 에이프런(22)은 이 문턱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에이프런(22)은 프론트빔(23)에 지지된다. 프론트빔(23)은 엘리베이터 칸 실(20)에 지지된다. 프론트빔(23)은 바닥(28) 아래에 배치된다. Car compartment 20 has a ceiling 27 and a floor 28 . The floor 28 includes a threshold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oor 21 . The apron 22 is arranged to extend downward from this sill. The apron 22 is supported on the front beam 23. The front beam 23 is supported on the car compartment 20. A front beam (23) is placed below the floor (28).

영상 유닛(18)은 천정(27) 위에 배치된다. 영상 유닛(19)은 바닥(28) 아래에 배치된다. 영상 유닛(19)이 바닥(28)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 에이프런(22)은 투광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에이프런(22)은 투명한 수지 부재로 형성된다. 에이프런(22)은 전체가 투명한 수지 부재로 형성되어도 된다. 에이프런(22)은 일부가 투명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금속판에 중공부를 마련하고, 그 중공부를 투명한 수지 부재로 막음으로써 에이프런(22)이 형성되어도 된다. 에이프런(22)에 투명한 부재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에이프런(22)은 펀칭 프레스 가공 혹은 슬릿 가공이 실시된 금속판에 의해서 형성되어도 된다. The imaging unit 18 is placed above the ceiling 27 . The imaging unit 19 is placed below the floor 28 . When the imaging unit 19 is disposed under the floor 28, the apron 22 preferably has a light-transmitting property. As an example, the apron 22 is formed of a transparent resin member. The apron 22 may be entirely formed of a transparent resin member. A part of the apron 22 may be transparent. For example, the apron 22 may be formed by providing a hollow part in a metal plate and blocking the hollow part with a transparent resin member. The apron 22 does not have to include a transparent member. For example, the apron 22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subjected to punching press processing or slit processing.

조작반(25)은 행선 버튼, 열림 버튼, 및 닫힘 버튼 등을 구비한다. 표시기(26)는 엘리베이터 칸(1)에 타고 있는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경보기의 일례이다. The operation panel 25 includes a destination button, an open button, and a close button. The indicator 26 is an example of an alar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passengers in the car 1.

도 2는 영상 유닛(19)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영상 유닛(19)은 어댑터(30), 램프 유닛(31), 커버(32), 카메라 유닛(33), 및 낙하 방지 와이어(34)를 구비한다.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imaging unit 19 . The imaging unit 19 includes an adapter 30, a lamp unit 31, a cover 32, a camera unit 33, and a fall prevention wire 34.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켓(17)은 프론트빔(23)에 마련된다. 소켓(17)은,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론트빔(23)의 측면에 마련되어도 되고, 프론트빔(23)의 하면에 마련되어도 된다. 소켓(17)에 어댑터(30)가 고정된다. In the example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socket 17 is provided in the front beam 23. The socket 17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beam 23, as shown in FIG. 2, o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beam 23. An adapter 30 is fixed to the socket 17.

도 3은 어댑터(3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어댑터(30)는 본체(35), 및 꼭지쇠(36)를 구비한다. 꼭지쇠(36)는 본체(35)에 마련된다. 꼭지쇠(36)는 소켓(17)에 착탈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꼭지쇠(36)를 소켓(17)에 넣음으로써, 어댑터(30)를 소켓(17)에 고정할 수 있다. 본체(35)에 콘센트(37)와 전구용의 소켓(38)이 구비된다. 본체(35)에 복수의 콘센트(37)가 구비되어도 된다. 소켓(38)은 특정 꼭지쇠를 가지는 시판의 전구를 장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adapter 30 . The adapter 30 includes a main body 35 and a clasp 36 . The clasp 36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35 . The clasp 36 has a shape capable of attaching to and detaching from the socket 17 . That is, the adapter 30 can be fixed to the socket 17 by inserting the clasp 36 into the socket 17 . The main body 35 is provided with an outlet 37 and a socket 38 for a light bulb. The body 35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utlets 37 . The socket 38 is shaped to accommodate a commercially available light bulb having a special clasp.

램프 유닛(31)은 어댑터(30)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램프 유닛(31)은 어댑터(30)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1)에 지지된다. 램프 유닛(31)은 엘리베이터 칸(1)의 하방을 비추기 위한 것이다. 램프 유닛(31)은, 적어도, 가시광을 방사 가능하다. 램프 유닛(31)에는 소켓(17)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The lamp unit 31 is supported by the adapter 30 . Specifically, the lamp unit 31 is supported on the car 1 through the adapter 30 . The lamp unit 31 is for illuminating the lower side of the car 1 . The lamp unit 31 can emit visible light at least. Power is supplied to the lamp unit 31 through the socket 17 and the adapter 30 .

도 4는 램프 유닛(3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램프 유닛(31)은 본체(39), 및 꼭지쇠(40)를 구비한다. 일례로서, 램프 유닛(31)은 전구형의 LED 램프이다. 꼭지쇠(40)는 본체(39)에 마련된다. 꼭지쇠(40)는 소켓(38)에 착탈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꼭지쇠(40)를 소켓(38)에 넣음으로써, 램프 유닛(31)을 어댑터(30)의 소켓(38)에 고정할 수 있다.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lamp unit 31 . The lamp unit 31 includes a main body 39 and a clasp 40 . As an example, the lamp unit 31 is a light bulb type LED lamp. The clasp 40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39 . The clasp 40 has a shape capable of attaching to and detaching from the socket 38 . That is, by inserting the clasp 40 into the socket 38, the lamp unit 31 can be fixed to the socket 38 of the adapter 30.

커버(32)는 램프 유닛(31)을 보호한다. 커버(32)는 어댑터(30)의 본체(35)에 고정된다. 램프 유닛(31)은 커버(32)에 의해서 덮인다. The cover 32 protects the lamp unit 31 . The cover 32 is fixed to the body 35 of the adapter 30. The lamp unit 31 is covered by a cover 32 .

카메라 유닛(33)은 엘리베이터 칸(1)에 지지된다. 카메라 유닛(33)에는, 소켓(17)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카메라 유닛(33)은 소켓(17)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The camera unit 33 is supported by the car 1 .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unit 33 through a socket 17 . In the example shown in this embodiment,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unit 33 via the socket 17 and the adapter 30 .

도 5는 카메라 유닛(33)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카메라 유닛(33)이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메라 유닛(33)은 카메라(41), 커버(42), 자석(43), 전원선(44), 안테나(45), 및 제어 장치(46)를 구비한다.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amera unit 33. As shown in FIG.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s of the camera unit 33. As shown in FIG. The camera unit 33 includes a camera 41 , a cover 42 , a magnet 43 , a power line 44 , an antenna 45 , and a control device 46 .

카메라(41)는 적어도,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다. 카메라(41)에 커버(42)가 고정된다. 커버(42)에 자석(43)이 고정된다. 예를 들면, 자석(43)은 카메라(41)와 커버(42)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커버(42)에 접착 고정된다. The camera 41 is capable of taking pictures with at least visible light. A cover 42 is fixed to the camera 41 . A magnet 43 is fixed to the cover 42 . For example, the magnet 43 is adhesively fixed to the cover 42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camera 41 and the cover 42 .

도 2는 카메라(41)가 하부 부재(24b)의 면(24c)에 고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면(24c)은 하부 부재(24b)에 형성된 하향의 면이다. 하부 부재(24b)는 주 로프(4)가 끊어져 엘리베이터 칸(1)이 낙하했을 때 완충기(3b)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는 부재이다. 완충기(3b)는 안전 장치의 하나로서 피트(3a)에 마련되어 있다. 완충기(3b)는 엘리베이터 칸(1)의 하방,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부재(24b)의 직하(直下)에 배치된다. 카메라(41)는 완충기(3b)와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면(24c)에 고정된다.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amera 41 is fixed to the surface 24c of the lower member 24b. The face 24c is a downward face formed on the lower member 24b. The lower member 24b is a member that can contact the shock absorber 3b from above when the car 1 falls due to the break of the main rope 4. The shock absorber 3b is provided in the pit 3a as one of the safety devices. The shock absorber 3b is disposed below the car 1, more specifically, below the lower member 24b. The camera 41 is fixed to the surface 24c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hock absorber 3b.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카메라(41)는 자석(43)에 의해서 하부 부재(24b)에 흡착 고정된다. 카메라(41)가 면(24c)에 고정되면, 커버(42)는 카메라(41)의 상방을 덮도록 배치된다. 또, 카메라(41)가 면(24c)에 고정되면, 카메라(41)는 엘리베이터 칸(1)의 하방이 촬영되도록 그 방향이 설정된다. 카메라 유닛(33)에, 카메라(41)의 촬영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기구가 구비되어도 된다. In the example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camera 41 is suction-fixed to the lower member 24b by the magnet 43. When the camera 41 is fixed to the surface 24c, a cover 42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camera 41. Further, when the camera 41 is fixed to the surface 24c, the direction of the camera 41 is set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car 1 is photographed. The camera unit 33 may be provided with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41 .

전원선(44)은 카메라(41)로부터 연장된다. 전원선(44)에는 플러그(44a)가 포함된다. 전원선(44)은 어댑터(30)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44a)가 어댑터(30)의 콘센트(37)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41)는 전원선(44)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소켓(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A power line 44 extends from the camera 41 . The power line 44 includes a plug 44a. Power line 44 is connected to adapter 30 . Specifically, the plug 44a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37 of the adapter 30. With this, the camera 4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cket 17 via the power line 44 and the adapter 30.

전원선(44)은, 필요에 따라서, 프레임(24), 바닥(28), 및 프론트빔(23)에 고정된다. 전원선(44)은 카메라(41)가 하부 부재(24b)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카메라(41)의 하단이 에이프런(22)의 하단보다 상방에 배치되도록 엘리베이터 칸(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선(44)에는, 하부 부재(24b)와 소켓(17)의 거리에 따라 연장 케이블이 포함되어도 된다. The power line 44 is fixed to the frame 24, the floor 28, and the front beam 23 as needed. The power line 44 is preferably fixed to the car 1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camera 41 is dispos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apron 22 when the camera 41 is separated from the lower member 24b. . An extension cable may be included in the power line 44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member 24b and the socket 17 .

제어 장치(46)는 기억부(60), 및 통신부(61)를 구비한다. The control device 46 includes a storage unit 60 and a communication unit 61 .

낙하 방지 와이어(34)는 카메라(41)가 승강로(3)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낙하 방지 와이어(34)의 일방의 단부는 엘리베이터 칸(1)에 고정된다. 낙하 방지 와이어(34)의 다른 일방의 단부는, 카메라(41) 혹은 커버(42)에 고정된다. 낙하 방지 와이어(34)는, 필요에 따라서, 영상 유닛(19)에 구비되어도 된다. 카메라(41)의 고정이 자석(43)에 의해서 행해지는 경우, 영상 유닛(19)은 낙하 방지 와이어(3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all prevention wire 34 is a means for preventing the camera 41 from falling onto the hoistway 3 . One end of the fall prevention wire 34 is fixed to the car 1. The other end of the fall prevention wire 34 is fixed to the camera 41 or the cover 42 . The fall prevention wire 34 may be provided in the imaging unit 19 as needed. When the camera 41 is fixed by the magnet 43,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ing unit 19 is equipped with a fall prevention wire 34.

다음으로, 카메라(41)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것처럼, 영상 유닛(19)의 동작은, 영상 유닛(18)의 동작과 같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 및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영상 유닛(18)의 카메라 유닛에 구비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는 예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Next, an example of us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video unit 19 is the same as that of the video unit 18. For this reason, in this embodiment and other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examples using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included in the camera unit of the imaging unit 18 are omitted.

도 7은 영상 유닛(19)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례로서, 엘리베이터 칸(1)의 조작반(25)에, 소켓(17)으로의 급전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25a)가 구비된다. 스위치(25a)는 제어 장치(7) 혹은 감시 장치(8)에 구비되어도 된다. 스위치(25a)에 대해서 특정 조작이 행해지면, 소켓(17)에 전력이 공급된다. 예를 들면, 스위치(25a)는 수동으로 온 혹은 오프로 전한 가능하다. 스위치(25a)가 오프이면, 소켓(17)에 전력은 공급되지 않는다. 소켓(17)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램프 유닛(31)으로부터 광은 방사되지 않는다. 소켓(17)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은 행해지지 않는다.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imaging unit 19. As an example, the operating panel 25 of the car 1 is equipped with a switch 25a for supplying power to the socket 17 . The switch 25a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7 or the monitoring device 8. When a specific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switch 25a, power is supplied to the socket 17. For example, the switch 25a can be turned on or off manually. When the switch 25a is off,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socket 17. When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socket 17, no light is emitted from the lamp unit 31. If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socket 17, no photographing is performed by the camera 41.

스위치(25a)는 기본적으로 오프이다. 보수원은 엘리베이터의 점검시에 엘리베이터 칸(1) 내에서 스위치(25a)를 온으로 한다. 스위치(25a)가 온이 되면, 소켓(17)에 전력이 공급되어, 소켓(17)으로부터 영상 유닛(19)에 전력이 공급된다(S101). 즉, 소켓(17)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램프 유닛(31)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램프 유닛(31)으로부터 가시광이 방사된다(S102). 또, 소켓(17)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카메라 유닛(33)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개시된다(S103). 예를 들면, 카메라(41)에 의해서 피트(3a)의 영상이 촬영된다. Switch 25a is basically off. The maintenance worker turns on the switch 25a in the car 1 when inspecting the elevator. When the switch 25a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socket 17,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socket 17 to the imaging unit 19 (S101). That is, power is supplied to the lamp unit 31 through the socket 17 and the adapter 30 . As a result, visible light is emitted from the lamp unit 31 (S102). In addi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unit 33 through the socket 17 and the adapter 30 . Thereby,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1 is started (S103). For example, an image of the pit 3a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41 .

통신부(61)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스위치(25a)가 온이 되는, 즉 카메라 유닛(33)에 전력이 공급된 후에, 통신부(61)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카메라 유닛(33)에 전력이 공급되면, 통신부(61)는 안테나(45)로부터 통신용 전파를 송신한다. 제어 장치(46)에서는, 다른 기기와 접속했는지, 즉 다른 기기와 통신이 확립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4). The communication unit 61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video data. The image data is data represent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41 . After the switch 25a is turned on, i.e.,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unit 33, the communication unit 61 becomes capable of transmitting video data. For exampl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unit 33,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radio waves for communication from the antenna 45. In the control device 46, it is determined whether a connection with other devices has been established, that is,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devices has been established (S104).

보수원은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특정 인증 조작을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13)을 카메라 유닛(33)에 무선 접속한다. 도 8은 휴대 단말(13)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휴대 단말(13)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휴대 단말(13)은 입력 장치(70), 및 표시기(71)를 구비한다. 보수원은 입력 장치(7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 장치(70) 및 표시기(71)는, 터치 패널식의 일체형의 장치여도 된다. 입력 장치(70)는 키보드 혹은 마우스여도 된다. 휴대 단말(13)은 기억부(72), 표시 제어부(73), 및 통신부(74)를 더 구비한다. 표시 제어부(73)는 표시기(71)를 제어한다. The maintenance worker performs a specific authentication oper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13 to wirelessly connect the portable terminal 13 to the camera unit 33 .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portable terminal 13. As shown in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mobile terminal 13. As shown in FIG. The mobile terminal 13 includes an input device 70 and a display device 71 . The maintenance worker inputs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input device 70. The input device 70 and the display device 71 may be a touch panel type integrated device. The input device 70 may be a keyboard or a mouse. The mobile terminal 13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72, a display control unit 73, and a communication unit 74. The display control unit 73 controls the display unit 71 .

예를 들면, 안테나(45)로부터의 전파를 통신부(74)가 수신하면, 표시 제어부(73)는 카메라 유닛(33)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기(71)에 표시한다. 보수원은 입력 장치(70)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지정하여,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통신부(74)는 입력된 패스워드를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과 접속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1).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unit 74 receives a radio wave from the antenna 45, the display control unit 73 displays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camera unit 33 on the display unit 71. The maintenance worker designat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using the input device 70 and inputs the password. The communication unit 74 transmits the entered password to the camera unit 33. In the mobile terminal 1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33 (S201).

통신부(61)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정확한 패스워드를 수신하면, 카메라 유닛(33)과 휴대 단말(13)이 무선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S104에서 Yes로 판정된다. 또, S201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4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 즉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13)에 송신한다(S105). When the communication unit 61 receives the correct passwor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3, the camera unit 33 and the portable terminal 13 are connected wirelessly. By this, it is determined as Yes in S104. Moreover, it is determined as Yes in S201. If it is determined as Yes in S104,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data indica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that is, image data by the camera 41 to the portable terminal 13 (S105).

S201에서 Yes로 판정되면,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2). S105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통신부(74)에 의해서 수신된다(S202의 Yes). 표시 제어부(73)는, 통신부(7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킨다(S203). 이것에 의해,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1)에 타면서 피트(3a)의 리얼타임 영상을 볼 수 있다. If it is judged Yes in S201, the mobile terminal 13 determines whether or not video data has been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33 (S202). The video data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61 in S105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74 (Yes in S202). The display control unit 73 displays the video taken by the camera 41 on the display unit 71 based on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74 from the camera unit 33 (S203). Thereby, the maintenance worker can view the real-time video of the pit 3a while getting into the car 1.

휴대 단말(13)과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어 있지 않으면(S204의 No), 휴대 단말(13)의 처리는 S202로 돌아간다. 휴대 단말(13)과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면(S204의 Yes), 휴대 단말(13)은 처리를 종료한다. If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3 and the camera unit 33 is not disconnected (No in S204), the processing of the mobile terminal 13 returns to S202. W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3 and the camera unit 33 is disconnected (Yes in S204), the portable terminal 13 ends the process.

영상 유닛(19)에서는, 전력이 공급되고 있으면, S102 내지 S105에 나타내는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진다. 보수원이 스위치(25a)를 오프로 하면, 영상 유닛(19)으로의 전력이 차단된다(S106의 Yes). S106에서 Yes로 판정되면, 영상 유닛(19)은 처리를 종료한다. In the imaging unit 19, if power is being supplied, the processing shown in S102 to S105 is repeatedly performed. When the maintenance worker turns off the switch 25a, power to the imaging unit 19 is cut off (Yes in S106). If Yes is determined in S106, the imaging unit 19 ends the processing.

또한, 영상 유닛(19)에서는, S104에서 Yes로 판정된 후에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개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은, 카메라 유닛(33)과 휴대 단말(13)의 통신이 확립된 후, 휴대 단말(13)로부터 특정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개시되어도 된다. 이 때, 카메라 유닛(33)과 휴대 단말(13)의 통신 상황에 따라 카메라(41)의 화질이 설정되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imaging unit 19,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1 may be started after determining Yes in S104. For example,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1 may be started by receiving a specific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13 af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amera unit 33 and the portable terminal 13 is established. At this time, the image quality of the camera 41 may be set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conditions between the camera unit 33 and the portable terminal 13 .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영상 유닛(19)으로의 전력 공급이 소켓(17)을 통해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기설의 설비 혹은 설계를 이용하여, 영상 유닛(19)으로의 전력 공급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이면, 영상 유닛(19)을 위한 전원, 특히 카메라(41)를 위한 전원을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e example shown in this embodiment, power supply to the imaging unit 19 is performed through the socket 17.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the imaging unit 19 using existing facilities or designs. If it is the example shown in this embodiment, it becomes possible to ensure the power supply for the imaging unit 19, especially the power supply for the camera 41 easily.

이하에,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채용 가능한 다른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가능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을 조합하여 채용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개시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도 마찬가지로 후술의 기능을 채용 가능하다. Other functions employable by this elevator system will be described below. If possible, the present elevator system may be employ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unctions shown below. Elevator systems disclosed in other embodiments can also adopt functions described later.

먼저, 영상 유닛(19)이 채용 가능한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램프 유닛(31)이 없어도 촬영에 필요한 밝기를 확보할 수 있으면, 영상 유닛(19)은 램프 유닛(31)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 램프 유닛(31)의 기능을 카메라 유닛(33)이 구비해도 된다. First, functions employable by the imaging unit 19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if brightness necessary for photographing can be secured without the lamp unit 31, the imaging unit 19 does not need to include the lamp unit 31. Moreover, the function of the lamp unit 31 may be equipped with the camera unit 33.

다른 예로서, 어댑터(30)의 본체(35)에, 전구용의 복수의 소켓(38)이 구비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본체(35)는 콘센트(37)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1개의 소켓(38)에 램프 유닛(31)이 고정된다. 또 하나의 소켓(38)에 카메라 유닛(33)이 고정된다. 소켓(38)에 착탈 가능한 꼭지쇠가 전원선(44)에 포함되어 있으면, 카메라 유닛(33)을 소켓(38)에 고정할 수 있다. 플러그(44a)를 소켓(38)에 접속하기 위해서, 소켓(38)에 착탈 가능한 꼭지쇠와 플러그(44a)를 끼워넣는 것이 가능한 콘센트를 구비한 다른 어댑터를 더 이용해도 된다. As another example, the body 35 of the adapter 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ockets 38 for light bulbs. In this case, the body 35 does not need to include the outlet 37. For example, the lamp unit 31 is fixed to one socket 38. A camera unit 33 is fixed to another socket 38 . If a clasp detachable from the socket 38 is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line 44 , the camera unit 33 can be fixed to the socket 38 . In order to connect the plug 44a to the socket 38, another adapter having a clasp detachable from the socket 38 and a receptacle into which the plug 44a can be inserted may further be used.

다른 예로서, 카메라 유닛(33)은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선을 더 구비해도 된다. 보수원은 보수용의 기기를 이 통신선에 접속하여, 프로그램의 갱신 등을 행해도 된다. 보수원이 휴대 단말(13)에서 피트(3a)의 영상을 볼 때, 이 통신선은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경우, 통신선의 선단에 마련된 커넥터에, 방진용의 캡을 장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nother example, the camera unit 33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A maintenance worker may connect a maintenance equipment to this communication line to update a program or the like. When the maintenance worker views the video of the pit 3a on the mobile terminal 13, this communication line does not have to be used. In such a case, it is preferable to attach a dustproof cap to the connector provided at the tip of the communication line.

도 10은 카메라 유닛(33)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카메라 유닛(33)은 마이크(47), 스피커(48), 가속도계(49), 자이로 센서(50), 기압계(51), 온도계(52), 및 습도계(53)를 더 구비해도 된다. 마이크(47), 스피커(48), 가속도계(49), 자이로 센서(50), 기압계(51), 온도계(52), 및 습도계(53)는, 이것들 중 하나 혹은 복수가 필요에 따라서 카메라 유닛(33)에 구비되어도 된다. 10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amera unit 33. As shown in FIG. The camera unit 33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47, a speaker 48, an accelerometer 49, a gyro sensor 50, a barometer 51, a thermometer 52, and a hygrometer 53. The microphone 47, the speaker 48, the accelerometer 49, the gyro sensor 50, the barometer 51, the thermometer 52, and the hygrometer 53 are camera units (one or more of these as needed) 33) may be provided.

마이크(47)는 소리를 검출한다. 카메라 유닛(33)이 마이크(47)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통신부(61)는 마이크(47)에 의해서 검출된 소리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휴대 단말(13)에 송신해도 된다. A microphone 47 detects sound. When the camera unit 33 is provided with the microphone 47, the communication unit 61 may transmit the sound data detected by the microphone 47 to the portable terminal 13 together with the video data.

스피커(48)는 제어 장치(46)에 구비된 소리 제어부(62)에 의해서 제어된다. The speaker 48 is controlled by a sound controller 62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46.

가속도계(49)는 카메라 유닛(33)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카메라 유닛(33)이 가속도계(49)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통신부(61)는 가속도계(49)에 의해서 검출된 가속도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휴대 단말(13)에 송신해도 된다. The accelerometer 49 detects the acceleration of the camera unit 33 . When the camera unit 33 includes the accelerometer 49, the communication unit 61 may transmit acceleration data detected by the accelerometer 49 to the portable terminal 13 together with video data.

자이로 센서(50)는 카메라 유닛(33)의 각속도를 검출한다. 카메라 유닛(33)이 자이로 센서(50)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통신부(61)는 자이로 센서(50)에 의해서 검출된 각속도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휴대 단말(13)에 송신해도 된다. 보수원은 휴대 단말(13)에서 수신한 가속도의 데이터 또는 각속도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승차감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gyro sensor 50 detects the angular velocity of the camera unit 33 . When the camera unit 33 includes the gyro sensor 50, the communication unit 61 may transmit angular velocity data detected by the gyro sensor 50 to the portable terminal 13 together with video data. Based on the acceleration data or the angular velocity data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3, the maintenance worker can confirm whether there is no problem in riding comfort.

기압계(51)는 기압계(51)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의 기압을 검출한다. 카메라 유닛(33)이 기압계(51)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통신부(61)는 기압계(51)에 의해서 검출된 기압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휴대 단말(13)에 송신해도 된다. 휴대 단말(13)에도 기압계(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으면,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기압계(51)가 검출한 기압과 휴대 단말(13)에 구비된 기압계가 검출한 기압의 차를 이용하여, 보수원이 있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The barometer 51 detects the air pressure of the place where the barometer 51 is placed. When the camera unit 33 is provided with the barometer 51, the communication unit 61 may transmit air pressure data detected by the barometer 51 to the portable terminal 13 together with video data. If a barometer (not shown) is also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3, the barometric pressure detected by the barometer 51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ar 1 and the barometric pressure detected by the barometer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3 Using the difference in atmospheric pressure, the position where the maintenance source is located can be specified more accurately.

온도계(52)는 온도계(52)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의 온도를 검출한다. 카메라 유닛(33)이 온도계(52)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통신부(61)는 온도계(52)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휴대 단말(13)에 송신해도 된다. 습도계(53)는 습도계(53)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의 습도를 검출한다. 카메라 유닛(33)이 습도계(53)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통신부(61)는 습도계(53)에 의해서 검출된 습도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휴대 단말(13)에 송신해도 된다. 휴대 단말(13)에서 수신한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제어 장치(7) 등에 구비된 기판의 수명 예측을 행할 수 있다. The thermometer 52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place where the thermometer 52 is placed. When the camera unit 33 is provided with the thermometer 52, the communication unit 61 may transmit temperature data detected by the thermometer 52 to the portable terminal 13 together with video data. The hygrometer 53 detects the humidity of the place where the hygrometer 53 is placed. When the camera unit 33 includes the hygrometer 53, the communication unit 61 may transmit humidity data detected by the hygrometer 53 to the portable terminal 13 together with video data. By using the temperature data and humidity data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3, the lifetime of the substrate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7 or the like can be predicted.

상술한 예에서는, 영상 유닛(19)으로의 전력 공급이 스위치(25a)에 대한 수동 조작에 의해서 행해진다. 다른 예로서, 영상 유닛(19)으로의 전력 공급이 제어 장치(7) 및 감시 장치(8)의 기능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된다. 이하에, 도 11부터 도 16도 참조하여, 영상 유닛(19)에 대한 전력 공급 기능을 제어 장치(7) 및 감시 장치(8)가 실현하는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In the example described above, power supply to the imaging unit 19 is performed by manual operation of the switch 25a. As another example, power supply to the imaging unit 19 may be realized by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device 7 and the monitoring device 8 . Hereinafter, with reference also to FIGS. 11 to 16, a specific example in which the control device 7 and the monitoring device 8 realizes the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the imaging unit 19 will be described.

도 11은 제어 장치(7) 및 감시 장치(8)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장치(7)는 기억부(80), 급전부(81), 및 운전 제어부(82)를 구비한다. 급전부(81)는 소켓(17)으로의 급전을 제어한다.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7 and the monitoring device 8 . The control device 7 includes a storage unit 80, a power supply unit 81,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82. The power supply unit 81 controls power supply to the socket 17 .

운전 제어부(82)는 설정되어 있는 운전 모드에 따른 운전 제어를 행한다. 운전 모드에는, 예를 들면 자동 모드, 보수 모드, 진단 모드, 관제 모드, 및 복구 모드가 있다. 자동 모드에서는 자동 운전이 행해진다. 자동 운전은 등록된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을 차례로 응답시키는 운전이다. 보수 모드에서는, 수동 조작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1)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진단 모드에서는,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진단 운전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진단 운전은 정기적으로 행해진다. 관제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지진 관제 운전이 행해진다. 지진 관제 운전은 지진이 발생한 직후에 행해진다. 복구 모드에서는, 엘리베이터의 복구의 가부를 판정하기 위한 복구 운전이 행해진다. 복구 운전은 지진 관제 운전이 행해진 후에 행해진다.The driving control unit 82 performs driving control according to the set driving mode. The operation mode includes, for example, an automatic mode, a maintenance mode, a diagnosis mode, a control mode, and a recovery mode. In the automatic mode, automatic driving is performed. Automatic operation is operation in which the car 1 sequentially responds to a registered call. In the maintenance mode, it is possible to move the car 1 by manual operation. In the diagnostic mode, diagnostic operation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is performed. For example, diagnostic operation is performed periodically. In the control mode, for example,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Earthquake control operations ar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an earthquake occurs. In the recovery mode, recovery oper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levator is being restored is performed. The recovery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감시 장치(8)는 기억부(90), 조건 판정부(91), 및 통신부(92)를 구비한다. The monitoring device 8 includes a storage unit 90, a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91, and a communication unit 92.

도 12는 외부 기기(1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 기기(11)는 입력 장치(100), 및 표시기(101)를 구비한다. 감시 센터(10)의 감시원은, 입력 장치(10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 장치(100) 및 표시기(101)는 터치 패널식의 일체형의 장치여도 된다. 입력 장치(100)는 키보드 혹은 마우스여도 된다. 외부 기기(11)는 기억부(102), 표시 제어부(103), 및 통신부(104)를 더 구비한다. 표시 제어부(103)는 표시기(101)를 제어한다. 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xternal device 11 . The external device 11 includes an input device 100 and a display device 101 . A supervisor of the monitoring center 10 inputs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input device 100 . The input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101 may be integrated devices of a touch panel type. The input device 100 may be a keyboard or a mouse. The external device 11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102, a display control unit 103, and a communication unit 104. The display control unit 103 controls the display device 101 .

도 13은 제어 장치(7)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 승강로(3)의 내부가 빛나면, 이용자가 그 광을 의심스럽게 느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급전부(81)는 기본적으로 소켓(17)으로의 전력을 차단한다(S301). 상술한 것처럼, 소켓(17)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램프 유닛(31)으로부터 광은 방사되지 않는다. 소켓(17)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은 행해지지 않는다. 제어 장치(7)에서는,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을 요구하기 위한 제1 요구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2). S302에서 No로 판정되면, 급전부(81)는 소켓(17)으로의 전력 차단을 계속한다. 1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7. If the interior of the hoistway 3 is illuminated during automatic driving, users may feel the light suspiciously. For this reason, the power supply unit 81 basically blocks power to the socket 17 (S301). As described above, when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socket 17, no light is emitted from the lamp unit 31. If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socket 17, no photographing is performed by the camera 41. In the control device 7,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first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1 has been received (S302). If it is determined as No in S302, the power supply unit 81 continues cutting off power to the socket 17.

도 14는 감시 장치(8)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조건 판정부(91)는 촬영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401). 촬영 조건은 미리 설정된다. 촬영 조건으로서, 특정 시간대가 설정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현재 시각이 상기 시간대에 포함되어 있으면, S401에서 Yes로 판정된다. 1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device 8. The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91 determines whether or not shooting conditions are satisfied (S401). Shooting conditions are set in advance. As a shooting condition, a specific time period may be set. In this case, if the current time is included in the above time zone, it is determined as Yes in S401.

다른 예로서, 통신부(92)가 외부 기기(11)로부터 특정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 조건이 성립되어도 된다. 도 15는 외부 기기(11)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례로서, 감시 센터(10)의 감시원은,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기(101)에서 보고 싶을 때, 입력 장치(100)로부터 특정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 장치(100)로부터 해당 정보가 입력되면, 통신부(104)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제2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9)를 통해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S501).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unit 92 receives a specific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11, the photographing condition may be established. 1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11. As an example, a supervisor of the monitoring center 10 inputs specific information from the input device 100 when wanting to view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on the display device 101 . Whe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input device 100, the communication unit 104 transmits a second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video data by the camera 41 to the monitoring device 8 via the network 9 ( S501).

통신부(92)가 외부 기기(11)로부터 제2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 조건이 성립된다(S401의 Yes). S401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92)는 제어 장치(7)에 제1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S402). When the communication unit 92 receives the second request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11, the photographing condition is established (Yes in S401). If it is determined as Yes in S401,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a first request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7 (S402).

S402에서 통신부(92)가 송신한 제1 요구 신호를 제어 장치(7)가 수신하면, S302에서 Yes로 판정된다. S302에서 Yes로 판정되면, 급전부(81)는 소켓(17)에 전력을 공급한다(S303). When the control device 7 receives the first request signal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n S402, it is determined as Yes in S302. If yes is determined in S302, the power supply unit 81 supplies power to the socket 17 (S303).

영상 유닛(19)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진다. 즉, S303에서의 처리에 의해, 소켓(17)으로부터 영상 유닛(19)에 전력이 공급된다(S101). 이것에 의해, 램프 유닛(31)으로부터 가시광이 방사된다(S102). 또,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개시된다(S103). In the imaging unit 19, the operation shown in FIG. 7 is performed. That is, power is supplied from the socket 17 to the imaging unit 19 by the processing in S303 (S101). As a result, visible light is emitted from the lamp unit 31 (S102). Moreover,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1 is started (S103).

또, 카메라 유닛(33)에 전력이 공급되면, 통신부(61)는 안테나(45)로부터 통신용 전파를 송신한다. S402에서 통신부(92)가 제1 요구 신호를 송신한 후에 통신부(92)가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안테나(45)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면, 특정 인증 처리를 거친 후에 감시 장치(8)와 카메라 유닛(33)이 접속된다(S403의 Yes). 이것에 의해, S104에 있어서도 Yes로 판정된다. S104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S105). Also,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unit 33,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radio waves for communication from the antenna 45. If the communication unit 92 receives radio waves from the antenna 45 via the access point 12 after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the first request signal in S402, the monitoring device 8 and the monitoring device 8 go through specific authentication processing. The camera unit 33 is connected (Yes in S403). By this, it is determined as Yes also in S104. If it is determined as Yes in S104,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the video data by the camera 41 to the monitoring device 8 via the access point 12 (S105).

감시 장치(8)에서는, S403에서 Yes로 판정되면,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404). S105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감시 장치(8)에 있어서 통신부(92)가 수신한다(S404의 Yes). 감시 장치(8)가 제2 요구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S401에서 촬영 조건이 성립됐을 경우, 통신부(92)는 S404에서 통신부(61)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S405). In the monitoring device 8, if it is determined as Yes in S40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video data has been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33 (S404). The video data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61 in S105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n the monitoring device 8 (Yes in S404). When the shooting condition is established in S401 by the monitoring device 8 receiving the second request signal,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the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1 to the external device 11 in S404 (S405). .

외부 기기(11)에서는, S501에서 통신부(104)가 제2 요구 신호를 송신하면, 감시 장치(8)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502). S405에서 통신부(92)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외부 기기(11)에 있어서 통신부(104)가 수신한다(S502의 Yes). 표시 제어부(103)는, 통신부(104)가 감시 장치(8)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기(101)에 표시시킨다(S503). 이것에 의해, 감시원은, 감시 센터(10)에 있어서 피트(3a)의 리얼타임 영상을 볼 수 있다. In the external device 11,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04 transmits the second request signal in S501, it is determined whether video data has been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S502). The video data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n S405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4 in the external device 11 (Yes in S502). The display control unit 103 displays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41 on the display unit 101 based on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4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S503). In this way, the supervisor can view the real-time video of the pit 3a in the monitoring center 10 .

또, 감시 장치(8)에서는, S401에서 촬영 조건이 성립된 후, 촬영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406). 종료 조건은 미리 설정된다. 촬영 조건으로서 특정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현재 시각이 이 시간대에서 벗어나 있으면 종료 조건이 성립된다. 다른 예로서, 일정시간 계속하여 S403에서 No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종료 조건이 성립되어도 된다. 외부 기기(11)로부터 특정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종료 조건이 성립되어도 된다. S406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92)는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의 종료를 요구하기 위한 제3 요구 신호를 제어 장치(7)에 송신한다(S407). Further, in the monitoring device 8, after the shooting conditions are met in S40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ending conditions for ending the shooting have been met (S406). End conditions are set in advance. When a specific time zone is set as a photographing condition, the end condition is met if the current time is out of this time zone. As another example, the end condition may be satisfied when it is determined as No in S403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termination condition may be established when a specific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11. If it is determined as Yes in S406,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a third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termination of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1 to the control device 7 (S407).

제어 장치(7)에서는, S302에서 Yes로 판정된 후, 감시 장치(8)로부터 제3 요구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4). S304에서 No로 판정되면, 급전부(81)는 소켓(17)에 대한 전력 공급을 계속한다. S407에서 통신부(92)가 송신한 제3 요구 신호를 제어 장치(7)가 수신하면, S304에서 Yes로 판정된다. S304에서 Yes로 판정되면, 급전부(81)는 소켓(17)으로의 전력을 차단한다(S301). In the control device 7, after determining Yes in S30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hird request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S304). If it is determined as No in S304, the power supply unit 81 continues to supply power to the socket 17. When the control device 7 receives the third request signal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n S407, it is determined to be Yes in S304. If yes is determined in S304, the power supply unit 81 cuts off power to the socket 17 (S301).

다음으로, 감시 센터(10)의 감시원이,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과거의 영상을 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in which a supervisor of the monitoring center 10 views a past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will be described.

제어 장치(7)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진다. 상술한 것처럼,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 승강로(3)의 내부가 빛나면, 이용자가 그 광을 의심스럽게 느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급전부(81)는 기본적으로 소켓(17)으로의 전력을 차단한다(S301). 예를 들면, 급전부(81)는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소켓(17)으로의 전력을 차단한다. 제어 장치(7)에서는, 제1 요구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2). In the control device 7, the operation shown in FIG. 13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if the interior of the hoistway 3 is illuminated during automatic driving, the user may feel the light suspiciously. For this reason, the power supply unit 81 basically blocks power to the socket 17 (S301).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81 cuts off power to the socket 17 while autonomous driving is in progress. In the control device 7,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first request signal has been received (S302).

도 16은 감시 장치(8)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운전 제어부(82)가 자동 운전을 행하고 있는 동안, 조건 판정부(91)는 진단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601). 진단 조건은 미리 설정된다. 일례로서, 특정 날의 특정 시각이 되면, 진단 조건은 성립된다. 진단 조건이 성립된 것을 조건 판정부(91)가 판정하면(S601의 Yes), 통신부(92)는 운전 모드를 진단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1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에 송신한다(S602). 1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device 8. While the driving control unit 82 is performing automatic driving, the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9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iagnosis condition is met (S601). Diagnosis conditions are set in advance. As an example, when a specific time on a specific day comes, the diagnosis condition is established. If the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91 determines that the diagnosis condition is satisfied (Yes in S601),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a first mode signal for setting the driving mode to the diagnosis mode to the controller 7 (S602). ).

제어 장치(7)에서는, 감시 장치(8)로부터 제1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진단 운전을 개시한다. 즉, 운전 제어부(82)는 진단 조건이 성립되면 진단 운전을 행한다. 진단 운전에서는,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진단용 데이터가 취득된다. 제어 장치(7)는 진단 운전에서 취득한 진단용 데이터를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통신부(92)가 제어 장치(7)로부터 수신한 진단용 데이터는, 감시 장치(8)에 있어서 기억부(90)에 기억된다. When receiving the first mode signal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the control device 7 starts diagnostic operation. That is, the driving control unit 82 performs diagnostic driving when the diagnostic conditions are satisfied. In the diagnostic operation, diagnostic data necessary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is acquired. The control device 7 transmits diagnostic data obtained in the diagnostic oper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8 . The diagnostic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from the control device 7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90 in the monitoring device 8 .

또, 통신부(92)가 S602에서 송신하는 제1 모드 신호에는 제1 요구 신호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S602에서 통신부(92)가 송신한 제1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가 수신하면, S302에서 Yes로 판정된다. S302에서 Yes로 판정되면, 급전부(81)는 소켓(17)에 전력을 공급한다(S303). In addition, the first mod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n S602 includes the first request signal. For this reason, when the control apparatus 7 receives the 1st mod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part 92 in S602, it determines with Yes in S302. If yes is determined in S302, the power supply unit 81 supplies power to the socket 17 (S303).

영상 유닛(19)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진다. 즉, S303에서의 처리에 의해, 소켓(17)으로부터 영상 유닛(19)에 전력이 공급된다(S101). 이것에 의해, 램프 유닛(31)으로부터 가시광이 방사되어(S102),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개시된다(S103). In the imaging unit 19, the operation shown in FIG. 7 is performed. That is, power is supplied from the socket 17 to the imaging unit 19 by the processing in S303 (S101). As a result, visible light is emitted from the lamp unit 31 (S102), and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1 is started (S103).

도 16의 S603 및 S604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14의 S403 및 S404에 나타내는 처리와 같다. 즉, S602에서 통신부(92)가 제1 모드 신호를 송신한 후에 통신부(92)가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안테나(45)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면, 특정 인증 처리를 거친 후에 감시 장치(8)와 카메라 유닛(33)이 접속된다(S603의 Yes). 이것에 의해, S104에 있어서도 Yes로 판정된다. S104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S105). The processing shown in S603 and S604 in Fig. 16 is the same as the processing shown in S403 and S404 in Fig. 14 . That is, if the communication unit 92 receives radio waves from the antenna 45 via the access point 12 after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the first mode signal in S602, the monitoring device 8 goes through a specific authentication process. ) and the camera unit 33 are connected (Yes in S603). By this, it is determined as Yes also in S104. If it is determined as Yes in S104,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the video data by the camera 41 to the monitoring device 8 via the access point 12 (S105).

감시 장치(8)에서는, S603에서 Yes로 판정되면,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604). S105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감시 장치(8)에 있어서 통신부(92)가 수신한다(S604의 Yes). 진단 조건이 성립되는 것에 의해서 S602에서 제1 모드 신호(제1 요구 신호)가 송신되었을 경우, 통신부(92)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는 기억부(90)에 기억된다(S605). S605에 있어서, 통신부(92)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는, 진단 운전에서 취득된 진단용 데이터로서 기억부(90)에 기억된다. In the monitoring device 8, if it is determined as Yes in S60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video data has been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33 (S604). The video data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61 in S105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n the monitoring device 8 (Yes in S604). When the first mode signal (first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in S602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condition being established,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90 (S605). In S605,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90 as diagnostic data acquired in the diagnostic operation.

운전 제어부(82)에 의한 진단 운전이 종료되면(S606의 Yes), 통신부(92)는 운전 모드를 자동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2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에 송신한다(S607). 제어 장치(7)에서는, 감시 장치(8)로부터 제2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운전 제어부(82)가 자동 운전을 재개한다. When the diagnostic operation by the driving controller 82 is finished (Yes in S606),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a second mode signal for setting the driving mode to the automatic mode to the controller 7 (S607). In the control device 7, upon receiving the second mode signal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the operation control unit 82 resumes the automatic driving.

또, 통신부(92)가 S607에서 송신하는 제2 모드 신호에는 제3 요구 신호가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third request signal is included in the second mod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n S607.

이 때문에, S607에서 통신부(92)가 송신한 제2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가 수신하면, S304에서 Yes로 판정된다. S304에서 Yes로 판정되면, 급전부(81)는 소켓(17)으로의 전력을 차단한다(S301). 또, S304에서 Yes로 판정되면, S106에서 Yes로 판정된다. 이 예이면, 진단용 데이터에,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when the control device 7 receives the second mod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n S607, it is determined as Yes in S304. If yes is determined in S304, the power supply unit 81 cuts off power to the socket 17 (S301). Also, if it is determined as Yes in S304, it is determined as Yes in S106. In this example, image data by the camera 41 can be included in the diagnosis data.

도 17은 감시 장치(8)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동작과는 별개로 행해지는 동작의 예를 나타낸다. 17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monitoring device 8. FIG. 17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performed separately from the operation shown in FIG. 16 .

감시 장치(8)에서는, 진단용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제4 요구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701). 일례로서, 감시 센터(10)의 감시원은, 진단용 데이터를 취득하고 싶을 때, 입력 장치(100)로부터 특정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 장치(100)로부터 해당 정보가 입력되면, 통신부(104)는 제4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9)를 통해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다른 예로서, 통신부(104)는 제4 요구 신호를 정기적으로 감시 장치(8)에 송신해도 된다. In the monitoring device 8,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fourth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diagnostic data has been received (S701). As an example, a supervisor of the monitoring center 10 inputs specific information from the input device 100 when wanting to acquire diagnostic data. When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input device 100, the communication unit 104 transmits a fourth request signal to the monitoring device 8 through the network 9. 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04 may periodically transmit the fourth request signal to the monitoring device 8.

감시 장치(8)가 외부 기기(11)로부터 제4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S701에 있어서 Yes로 판정된다. S701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92)는 기억부(90)에 기억되어 있는 진단용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S702). S702에서 통신부(92)가 송신한 진단용 데이터는, 외부 기기(11)에 있어서 통신부(104)가 수신한다. When the monitoring device 8 receives the fourth request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11, it is determined as Yes in S701. If it is judged Yes in S701,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the diagnost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90 to the external device 11 (S702). The diagnostic data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n S702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4 in the external device 11 .

통신부(104)가 감시 장치(8)로부터 수신하는 진단용 데이터에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다. 표시 제어부(103)는, 통신부(104)가 감시 장치(8)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기(101)에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감시원은 진단 운전에서 취득된 과거의 영상을 감시 센터(10)에서 볼 수 있다. The diagnostic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4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includes video data obtained by the camera 41 . Based on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4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the display control unit 103 displays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41 on the display unit 101. In this way, the supervisor can view past images acquired in the diagnosis operation at the monitoring center 10 .

다음으로, 기설의 엘리베이터를 개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실현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개수 전의 엘리베이터에는, 승강로(3)의 내부를 비추기 위한 전구가 소켓(17)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1)에 마련되어 있다. 보수원은, 먼저, 소켓(17)에 장착되어 있는 기설의 전구를 소켓(17)으로부터 분리한다(S801). Next, an example of realizing the above elevator system by remodeling an existing elevator will be described.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numbering elevators. In the elevator before renovation, a light bulb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3 is provided in the car 1 via a socket 17. The maintenance worker first removes the existing light bulb attached to the socket 17 from the socket 17 (S801).

다음으로, 기설의 전구를 떼낸 소켓(17)에, 어댑터(30)를 장착한다(S802). 상술한 것처럼, 어댑터(30)에는 꼭지쇠(36)가 구비된다. 꼭지쇠(36)를 소켓(17)에 넣음으로써, 어댑터(30)를 소켓(17)에 고정시킬 수 있다. Next, the adapter 30 is attached to the socket 17 from which the existing light bulb was removed (S802). As described above, the adapter 30 is provided with a clasp 36 . By inserting the clasp 36 into the socket 17, the adapter 30 can be fixed to the socket 17.

다음으로, 카메라 유닛(33)을 엘리베이터 칸(1)에 지지시켜(S803), 소켓(17)을 통해서 카메라 유닛(33)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카메라 유닛(33)을 어댑터(30)에 접속한다(S804).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카메라 유닛(33)은 자석(43)을 구비한다. 자석(43)을 면(24c)에 흡착시킴으로써, 카메라 유닛(33)을 엘리베이터 칸(1)의 하부 부재(24b)에 고정시킨다. 또, 전원선(44)의 플러그(44a)를 어댑터(30)의 콘센트(37)에 끼워넣는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41)는 전원선(44)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소켓(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카메라 유닛(33)에 대한 전력 공급은, 소켓(17)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행해진다. Next, the camera unit 33 is supported on the car 1 (S803), and the camera unit 33 is connected to the adapter 30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unit 33 through the socket 17. (S804). In the example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camera unit 33 is equipped with the magnet 43. By attracting the magnet 43 to the surface 24c, the camera unit 33 is fixed to the lower member 24b of the car 1. Also, the plug 44a of the power supply line 44 is inserted into the outlet 37 of the adapter 30. With this, the camera 4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cket 17 via the power line 44 and the adapter 30. That is, power supply to the camera unit 33 is performed through the socket 17 and the adapter 30 .

또한, S803의 직후 혹은 S804의 직후에, 엘리베이터 칸(1)과 카메라(41) 혹은 커버(42)를 낙하 방지 와이어(34)에 의해서 연결하는 공정을 더 구비해도 된다. Further, immediately after S803 or S804, a step of connecting the car 1 and the camera 41 or the cover 42 with the fall prevention wire 34 may be provided.

다음으로, 램프 유닛(31)을 어댑터(30)에 장착한다(S805).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램프 유닛(31)은 꼭지쇠(40)를 구비한다. 꼭지쇠(40)를 어댑터(30)의 소켓(38)에 넣음으로써, 램프 유닛(31)을 소켓(38)에 고정시킬 수 있다. 램프 유닛(31)에 대한 전력 공급은, 소켓(17)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행해진다. 다음으로, 커버(32)를 어댑터(30)에 장착하고, 램프 유닛(31)을 커버(32)에 의해서 덮는다(S806). Next, the lamp unit 31 is mounted on the adapter 30 (S805). In the example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lamp unit 31 is provided with the clasp 40. By inserting the clasp 40 into the socket 38 of the adapter 30, the lamp unit 31 can be fixed to the socket 38. Power supply to the lamp unit 31 is performed through a socket 17 and an adapter 30 . Next, the cover 32 is attached to the adapter 30, and the lamp unit 31 is covered with the cover 32 (S806).

또한, S805 및 S806에 나타내는 절차는, S803 및 S804에 나타내는 절차보다 먼저 행해져도 된다. In addition, the procedures shown in S805 and S806 may be performed before the procedures shown in S803 and S804.

실시 형태 2.Embodiment 2.

실시 형태 1에서는,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필요한 때 영상 유닛(19)에 대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영상 유닛(19)에 대해서 항상 전력이 공급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In Embodiment 1, an exampl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imaging unit 19 when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1 has been described has been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power is always supplied to the imaging unit 19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1) 아래에 배치된 영상 유닛(19)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반복을 생략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1) 위에 배치된 영상 유닛(18)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 개시한 구성, 기능, 및 동작과 상위한 점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개시하지 않는 구성, 기능, 및 동작에 대해서는, 채용 가능하면, 실시 형태 1에서 개시한 어느 구성, 기능, 및 동작을 채용해도 된다.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deo unit 19 disposed below the car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omit repetition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of the imaging unit 18 disposed above the car 1 is omitted. Further, in this embodiment, differences from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disclosed in Embodiment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configurations, functions, and operations not dis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y configu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disclosed in Embodiment 1 may be employed, if applicable.

도 19는 카메라 유닛(33)이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도, 카메라 유닛(33)은,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카메라(41), 커버(42), 자석(43), 전원선(44), 안테나(45), 및 제어 장치(46)를 구비한다. 또, 제어 장치(46)는 기억부(60) 및 통신부(61)에 더하여, 촬영 조건 판정부(63) 및 통신 검출부(64)를 더 구비한다. 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s of the camera unit 33. Also in the example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era unit 33 includes a camera 41, a cover 42, a magnet 43, a power supply line 44, and an antenna 45 as shown in FIGS. 2 and 5 . , and a control device 46. In addition to the storage unit 60 and the communication unit 61, the control device 46 further includes a shooting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3 and a communication detection unit 64.

도 20은 램프 유닛(31)이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램프 유닛(31)은 가시광 램프(54), 적외선 램프(55), 및 제어 장치(56)를 더 구비한다. 제어 장치(56)는 선택부(110), 방사 제어부(111), 통신부(112), 및 전환 조건 판정부(113)를 구비한다. 램프 유닛(31)의 외관은,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예와 같다.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s of the lamp unit 31 . In the example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lamp unit 31 further includes a visible light lamp 54, an infrared lamp 55, and a control device 56. The control device 56 includes a selection unit 110, an emission control unit 111, a communication unit 112, and a switching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113.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lamp unit 31 is the same as the example shown in FIG. 4, for example.

가시광 램프(54)는 가시광을 방사한다. 가시광 램프(54)는 가시광을 방사 가능한 수단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가시광 램프(54)로서 백색 LED가 채용된다. 가시광 램프(54)로부터의 가시광은, 적어도 일부가 하방을 향해서 방사된다. 가시광 램프(54)는 방사 제어부(111)에 의해서 제어된다. The visible light lamp 54 emits visible light. The visible light lamp 54 is an example of means capable of emitting visible light. For example, a white LED is employed as the visible light lamp 54 . At least a part of the visible light from the visible light lamp 54 is emitted downward. The visible light lamp 54 is controlled by the emission controller 111.

적외선 램프(55)는 적외선을 방사한다. 적외선 램프(55)는 적외선을 방사 가능한 수단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적외선 램프(55)로서, 적외선 LED가 채용된다. 적외선 램프(55)로부터의 적외선은, 적어도 일부가 하방을 향해서 방사된다. 적외선 램프(55)는 방사 제어부(111)에 의해서 제어된다. The infrared lamp 55 emits infrared rays. The infrared lamp 55 is an example of means capable of emitting infrared rays. For example, as the infrared lamp 55, an infrared LED is employed. At least a part of the infrared rays from the infrared lamp 55 is radiated downward. The infrared lamp 55 is controlled by the emission controller 111.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카메라 유닛(33)의 카메라(41)는, 가시광에 의한 촬영과 적외선에 의한 촬영의 쌍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카메라(41)는 가시광 램프(54)로부터의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다. 카메라(41)는 적외선 램프(55)로부터의 적외선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다. The camera 41 of the camera unit 33 shown in this embodiment is capable of both visible light imaging and infrared imaging. For example, the camera 41 can take pictures with visible light from the visible light lamp 54 . The camera 41 is capable of imaging by infrared rays from the infrared lamp 55 .

선택부(110)는 광원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선택부(110)는 광원으로서 가시광 램프(54) 또는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방사 제어부(111)는 선택부(110)가 선택한 광원으로부터 전자파를 방사시킨다. 즉, 방사 제어부(111)는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면, 가시광 램프(54)로부터 가시광을 방사시킨다. 방사 제어부(111)는,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면, 적외선 램프(55)로부터 적외선을 방사시킨다. The selector 110 selects a light source. For example,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visible light lamp 54 or the infrared lamp 55 as a light source. The radiation controller 111 emits electromagnetic waves from the light source selected by the selector 110 . That is, when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visible light lamp 54, the emission controller 111 emits visible light from the visible light lamp 54. The radiation controller 111 emits infrared rays from the infrared lamp 55 when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

통신부(112)는 램프 유닛(31)의 통신 기능을 맡는다. 통신부(112)는 카메라 유닛(33)의 통신부(61)와 통신한다. 또한, 램프 유닛(31)과 휴대 단말(13)의 통신은, 직접 행해져도 되고, 카메라 유닛(33)을 통해서 행해져도 된다. 램프 유닛(31)과 감시 장치(8)의 통신은, 카메라 유닛(33) 및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행해져도 되고, 카메라 유닛(33)을 통하지 않고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행해져도 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2 is responsible for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lamp unit 31 . The communication unit 112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61 of the camera unit 33 . Further, communication between the lamp unit 31 and the portable terminal 13 may be performed directly or through the camera unit 33 . Communication between the lamp unit 31 and the monitoring device 8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amera unit 33 and the access point 12 or not through the camera unit 33 but through the access point 12. .

도 21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영상 유닛(19)의 기본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엘리베이터에서는, 통상, 자동 운전이 행해진다.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 승강로(3)의 내부가 빛나면, 이용자가 그 광을 의심스럽게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는 광원으로서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21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basic operation of the imaging unit 19 in the second embodiment. In an elevator, automatic operation is normally performed. If the interior of the hoistway 3 is illuminated during automatic driving, users may feel the light suspiciously. For this reason, if automatic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elevator,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as a light source (S901).

촬영 조건 판정부(63)는 촬영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902). 상술한 것처럼, 촬영 조건은 미리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S902에 있어서 항상 Yes로 판정되어도 된다. The shooting condition judging unit 63 determines whether the shooting conditions are met (S902). As described above, shooting conditions are set in advance. In the example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may always be Yes in S902.

S902에서 Yes로 판정되면, 방사 제어부(111)는 적외선 램프(55)로부터 적외선을 방사시킨다. 또, S902에서 Yes로 판정되면,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행해진다(S903). S903에서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개시되면, 제어 장치(46)에서는, 영상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신호를 통신부(61)가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904). If yes is determined in S902, the radiation control unit 111 emits infrared rays from the infrared lamp 55.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as Yes in S902,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1 is performed (S903). When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1 starts in S903, the control device 46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unit 61 has received a signal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video data (S904).

통신부(61)는 해당 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면(S904의 Yes), 요구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한다(S905). 통신부(61)가 해당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으면(S904의 No), 영상 데이터가 기억부(60)에 저장된다(S906). S905에 있어서 기억부(60)로의 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동시에 행해져도 된다. S906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의 저장은, 감시 장치(8) 혹은 다른 기기에서 행해져도 된다. If the communication unit 61 is receiving the signal (Yes in S904), it transmits the video data to the requesting destination (S905). If the communication unit 61 is not receiving the corresponding signal (No in S904), the video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S906). In S905, video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simultaneously. In S906, video data may be stored in the monitoring device 8 or other devices.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는 동안, 전환 조건 판정부(113)는 전환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907). 전환 조건은 미리 설정된다. 전환 조건으로서, 특정 시각이 설정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현재 시각이 해당 시각이 되면, S907에서 Yes로 판정된다. 다른 예로서, 통신부(112)가 특정 신호를 수신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되어도 된다. 다른 예로서,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에 따라 전환 조건이 성립되어도 된다.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전환 조건이 성립되면, 선택부(110)는 광원으로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S908). While the selecting unit 110 is selecting the infrared lamp 55, the switch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113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S907). Switching conditions are set in advance. As a switching condition, a specific time may be set. In this case, when the current time becomes the corresponding time, it is determined as Yes in S907.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2 receives a specific signal, a switching condition may be established. As another example, the switching condition may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vator. If the conversion condition is met while the selector 110 is selecting the infrared lamp 55,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visible light lamp 54 as a light source (S908).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면, 촬영 조건 판정부(63)는 촬영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909). 가시광으로 촬영하기 위한 촬영 조건은, 적외선으로 촬영하기 위한 촬영 조건과는 상이하다. 예를 들면, 통신부(61)가 특정 신호를 수신하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된다. 가시광으로 촬영하기 위한 촬영 조건은, 적외선으로 촬영하기 위한 촬영 조건과 같아도 된다. 예를 들면, S909에서는 항상 Yes로 판정되어도 된다. When the selection unit 110 selects the visible light lamp 54, the shoot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63 determines whether shooting conditions are met (S909). Shooting conditions for shooting with visible light are different from shooting conditions for shooting with infrared light. For example, if the communication unit 61 receives a specific signal, it is determined to Yes in S909. The photographing conditions for photographing with visible light may be the same as those for photographing with infrared light. For example, in S909, the determination may always be Yes.

S909에서 Yes로 판정되면, 방사 제어부(111)는 가시광 램프(54)로부터 가시광을 방사시킨다. 또, S909에서 Yes로 판정되면,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행해진다(S910). S910에서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개시되면, 제어 장치(46)에서는, 영상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신호를 통신부(61)가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911). If yes in S909, the emission controller 111 emits visible light from the visible light lamp 54. In addition, if it is judged as Yes in S909,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1 is performed (S910). When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1 starts in S910, the control device 46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unit 61 has received a signal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video data (S911).

통신부(61)는 해당 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면(S911의 Yes), 요구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한다(S912). 통신부(61)가 해당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으면(S911의 No), 기억부(60)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S913). S912에 있어서 기억부(60)로의 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동시에 행해져도 된다. S913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의 저장은, 감시 장치(8) 혹은 다른 기기에서 행해져도 된다. If the communication unit 61 is receiving the signal (Yes in S911), it transmits the video data to the requesting destination (S912). If the communication unit 61 does not receive the corresponding signal (No in S911), the image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S913). In S912, video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simultaneously. In S913, video data may be stored in the monitoring device 8 or other equipment.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고 있는 동안도, 전환 조건 판정부(113)는 전환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914). S914에서의 전환 조건과 S907에서의 전환 조건은 상이한 조건이어도 된다.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고 있을 때 전환 조건이 성립되면, 선택부(110)는 광원으로서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Even while the selection unit 110 is selecting the visible light lamp 54, the switch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11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S914). The switching condition in S914 and the switching condition in S907 may be different conditions. If the switching condition is met while the selector 110 is selecting the visible light lamp 54,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as a light source (S901).

도 22는 제어 장치(7) 및 감시 장치(8)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장치(7)는 기억부(80), 및 운전 제어부(82)에 더하여, 표시 제어부(83)를 더 구비한다. 표시 제어부(83)는 표시기(26)를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켓(17)에 대해서 항상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소켓(17)으로의 전력 공급과 전력 차단을 제어하는 급전부(81)의 기능은, 제어 장치(7)에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어 장치(7)는 급전부(81)를 구비하고, 급전부(81)에 의해서 소켓(17)으로의 전력 공급이 항상 행해져도 된다. 22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device 7 and the monitoring device 8. In addition to the storage unit 80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82, the control device 7 further includes a display control unit 83. The display control unit 83 controls the display device 26 . In the example shown in this embodiment, power is always supplied to the socket 17 . Therefore, the control device 7 does not have to have the func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81 that controls power supply to the socket 17 and power cutoff. The control device 7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81, and power supply to the socket 17 may be always performed by the power supply unit 81.

감시 장치(8)는 기억부(90), 조건 판정부(91), 및 통신부(92)에 더하여, 이상 검출부(93), 사람 검출부(94), 및 금지부(95)를 더 구비한다. In addition to the storage unit 90, the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91, and the communication unit 92, the monitoring device 8 further includes an abnormality detection unit 93, a person detection unit 94, and a prohibition unit 95.

도 23은 휴대 단말(13)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13)은, 도 8에 나타내는 예에 더하여, 신호 생성부(75)를 더 구비한다. 도 24는 외부 기기(1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 기기(11)는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 더하여, 신호 생성부(105)를 더 구비한다. 2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portable terminal 13. As shown in FIG. The portable terminal 13 further includes a signal generator 75 in addition to the example shown in FIG. 8 . 2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xternal device 11 . The external device 11 further includes a signal generator 105 in addition to the example shown in FIG. 12 .

다음으로, 카메라(41)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of us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will be described.

램프 유닛(31)에서는,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예를 들면,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S902에서는 Yes로 판정되고 S904에서는 No로 판정된다. 이러한 경우,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이 기억부(60)에 계속 저장된다.In the lamp unit 31, when automatic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elevator,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S901). For example, while automatic driving is being performed, it is determined Yes in S902 and No in S904. In this case, if the automatic driving is being performed, the infrar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41 is continu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

도 25는 휴대 단말(13)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과 무선 접속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1). 보수원이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특정 인증 조작을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13)이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된다(S1001의 Yes).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되면, 가시광 영상의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2). 2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3. In the mobile terminal 1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camera unit 33 has been established (S1001). When the maintenance worker performs a specific authentication oper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13, the portable terminal 13 is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33 (Yes in S1001). In the mobile terminal 13, when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3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a visible light video (S1002).

일례로서, 휴대 단말(13)의 표시기(71)에, 보수원이 승강로(3) 내의 가시광 영상을 보고 싶을 때 누르기 위한 제1 버튼이 표시된다. 제1 버튼은 입력 장치(70)의 일례이다. 제1 버튼이 눌리면, S1002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02에서 Yes로 판정되면, 신호 생성부(75)는 선택부(110)에 가시광 램프(54)를 선택시키기 위한 제1 신호를 생성한다(S1003). 통신부(74)는 신호 생성부(75)가 생성한 제1 신호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004). As an example, the display 71 of the portable terminal 13 displays a first button for maintenance personnel to press when they want to view a visible light image in the hoistway 3 . The first button is an example of an input device 70 . If the first button is pressed, it is determined as Yes in S1002. If yes is determined in S1002, the signal generator 75 generates a first signal for selecting the visible light lamp 54 in the selector 110 (S1003). The communication unit 74 transmits the first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on unit 75 to the lamp unit 31 and the camera unit 33 (S1004).

램프 유닛(31)에서는,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된 것을 전환 조건 판정부(113)가 판정한다(S907의 Yes). 이것에 의해, 선택부(110)는 S908에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되고, S911에서 Yes로 판정된다. S912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송신한다. In the lamp unit 31,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2 receives the first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13 while the selection unit 110 is selecting the infrared lamp 55, the switching condition judgment determines that the switching condition is established. The government 113 makes a decision (Yes in S907). By this,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visible light lamp 54 in S908. Also, when the communication unit 61 receives the first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13, it is determined as Yes in S909 and Yes in S911. In S912,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the video data by the camera 41 to the mobile terminal 13.

휴대 단말(13)에서는, S1004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면,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5). S912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통신부(74)에 의해서 수신된다(S1005의 Yes). 표시 제어부(73)는, 통신부(7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즉 가시광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킨다(S1006). In the mobile terminal 13, when the first signal is transmitted in S1004, it is determined whether video data has been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33 (S1005). The video data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61 in S912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74 (Yes in S1005). The display control unit 73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that is, a visible light image, on the display 71 based on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74 from the camera unit 33 (S1006) .

휴대 단말(13)과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어 있지 않으면(S1007의 No), 휴대 단말(13)의 처리는 S1002로 돌아간다. 휴대 단말(13)에서는, S1002에서 Yes로 판정되지 않으면, 적외선 영상의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8). If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3 and the camera unit 33 is not disconnected (No in S1007), the processing of the mobile terminal 13 returns to S1002. In the mobile terminal 13, if it is not determined as Yes in S10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an infrared image (S1008).

휴대 단말(13)의 표시기(71)에, 보수원이 승강로(3) 내의 적외선 영상을 보고 싶을 때 누르기 위한 제2 버튼이 표시된다. 제2 버튼은 입력 장치(70)의 일례이다. 휴대 단말(13)이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되어 있을 때 제2 버튼이 눌리면, S1008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08에서 Yes로 판정되면, 신호 생성부(75)는 선택부(110)에 적외선 램프(55)를 선택시키기 위한 제2 신호를 생성한다(S1009). 제2 신호는 상기 제1 신호와는 상이한 신호이다. 통신부(74)는, 신호 생성부(75)가 생성한 제2 신호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010). The display 71 of the portable terminal 13 displays a second button for maintenance personnel to press when they want to see an infrared image inside the hoistway 3 . The second button is an example of the input device 70 . If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while the portable terminal 13 is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33, a determination is made of Yes in S1008. If yes is determined in S1008, the signal generator 75 generates a second signal for selecting the infrared lamp 55 in the selector 110 (S1009). The second signal is a different signal from the first signal. The communication unit 74 transmits the second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on unit 75 to the lamp unit 31 and the camera unit 33 (S1010).

램프 유닛(31)에서는,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된 것을 전환 조건 판정부(113)가 판정한다(S914의 Yes). 이것에 의해, 선택부(110)는 S901에서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S902에서 Yes로 판정되고, S904에서 Yes로 판정된다. S905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송신한다.In the lamp unit 31,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2 receives the second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13 while the selector 110 is selecting the visible light lamp 54, the switching condition judgment determines that the switching condition is established. The government 113 makes a decision (Yes in S914). By this,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in S901. Also, when the communication unit 61 receives the second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13, it is determined as Yes in S902 and Yes in S904. In S905,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the video data by the camera 41 to the portable terminal 13.

휴대 단말(13)에서는, S1010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하면,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5). S905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통신부(74)에 의해서 수신된다(S1005의 Yes). 표시 제어부(73)는 통신부(7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즉 적외선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킨다(S1006). In the portable terminal 13, when the second signal is transmitted in S1010, it is determined whether video data has been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33 (S1005). The video data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61 in S905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74 (Yes in S1005). The display control unit 73 displays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41, that is, an infrared image, on the display 71 based on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74 from the camera unit 33 (S1006).

휴대 단말(13)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면(S1007의 Yes), 휴대 단말(13)은 처리를 종료한다. 램프 유닛(31)에서는, 휴대 단말(13)과의 통신이 단절되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W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3 and the lamp unit 31 and camera unit 33 is disconnected (Yes in S1007), the portable terminal 13 ends the process. In the lamp unit 31 , when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3 is disconnected,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

도 26은 휴대 단말(13)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휴대 단말(13)이 도 26에 나타내는 동작을 행하는 경우, 카메라 유닛(33)의 제어 장치(46)에는 통신 검출부(64)가 구비된다. 통신 검출부(64)는 통신부(61)와 특정 기기의 통신이 확립된 것을 검출한다. 26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portable terminal 13. When the portable terminal 13 performs the operation shown in FIG. 26 , the control device 46 of the camera unit 33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detection unit 64 . The communication detection unit 64 detects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61 and a specific device has been established.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과 무선 접속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01). 보수원이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특정 인증 조작을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13)이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된다(S1101의 Yes). 휴대 단말(13)이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되면,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02). In the portable terminal 1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camera unit 33 has been established (S1101). When the maintenance worker performs a specific authentication oper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13, the portable terminal 13 is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33 (Yes in S1101). When the portable terminal 13 is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33, the portable terminal 13 determines whether video data has been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33 (S1102).

램프 유닛(31)에서는,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일례로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이 기억부(60)에 저장된다. 또, 휴대 단말(13)이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되면, 통신부(61)와 휴대 단말(13)의 통신이 확립된 것이 통신 검출부(64)에 의해서 검출된다. In the lamp unit 31, when automatic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elevator,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S901). As an example, an infra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while autonomous driving is being performed. Further, when the mobile terminal 13 is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33, the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61 and the portable terminal 13 is detected by the communication detection unit 64.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61)와 휴대 단말(13)의 통신이 확립된 것이 통신 검출부(64)에 의해서 검출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된 것을 전환 조건 판정부(113)가 판정한다(S907의 Yes). 이것에 의해, 선택부(110)는, S908에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또, 통신 검출부(64)에 의한 상기 검출이 이루어지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되어 S911에서 Yes로 판정된다. S912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송신한다. When it is detected by the communication detection unit 64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61 and the portable terminal 13 is established when the selection unit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the switching condition indicates that the switching condition is established. The decision unit 113 makes a decision (Yes in S907). With this,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visible light lamp 54 in S908. Also, if the above detection by the communication detection unit 64 is made, it is determined as Yes in S909 and Yes in S911. In S912,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the video data by the camera 41 to the mobile terminal 13.

S912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휴대 단말(13)에 있어서 통신부(74)가 수신한다(S1102의 Yes). 표시 제어부(73)는, 통신부(7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가시광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킨다(S1103). The video data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61 in S912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74 in the portable terminal 13 (Yes in S1102). The display control unit 73 displays the visible light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on the display unit 71 based on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74 from the camera unit 33 (S1103).

다음으로, 휴대 단말(13)에서는, 적외선 영상의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04). 예를 들면, 제2 버튼이 눌리면, S1104에서 Yes로 판정된다. S1104에서 Yes로 판정되면, 신호 생성부(75)는 제2 신호를 생성한다(S1105). 통신부(74)는, 신호 생성부(75)가 생성한 제2 신호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106). Next, the portable terminal 13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an infrared image (S1104). For example, 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it is determined as Yes in S1104. If yes is determined in S1104, the signal generator 75 generates a second signal (S1105). The communication unit 74 transmits the second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on unit 75 to the lamp unit 31 and the camera unit 33 (S1106).

램프 유닛(31)에서는,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된 것을 전환 조건 판정부(113)가 판정한다(S914의 Yes). 이것에 의해, 선택부(110)는 S901에서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S902에서 Yes로 판정되고, S904에서 Yes로 판정된다. S905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송신한다.In the lamp unit 31,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2 receives the second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13 while the selector 110 is selecting the visible light lamp 54, the switching condition judgment determines that the switching condition is established. The government 113 makes a decision (Yes in S914). By this,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in S901. Also, when the communication unit 61 receives the second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13, it is determined as Yes in S902 and Yes in S904. In S905,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the video data by the camera 41 to the portable terminal 13.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과의 통신이 단절되어 있지 않으면(S1107의 No), S1106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한 후에,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02). S905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휴대 단말(13)에 있어서 통신부(74)가 수신한다(S1102의 Yes). 표시 제어부(73)는, 통신부(7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킨다(S1103). In the portable terminal 13, if communication with the camera unit 33 is not disconnected (No in S1107), after transmitting the second signal in S1106,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video data has been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33. It becomes (S1102). The video data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61 in S905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74 in the portable terminal 13 (Yes in S1102). The display control unit 73 displays the infra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on the display 71 based on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74 from the camera unit 33 (S1103).

휴대 단말(13)에서는, S1104에서 Yes로 판정되지 않으면, 가시광 영상의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08). 예를 들면, 제1 버튼이 눌리면, S1108에서 Yes로 판정된다. S1108에서 Yes로 판정되면, 신호 생성부(75)는 제1 신호를 생성한다(S1109). 통신부(74)는, 신호 생성부(75)가 생성한 제1 신호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110). 이것에 의해, 휴대 단말(13)의 표시기(71)에,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가시광 영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In the portable terminal 13, if it is not determined as Yes in S110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visible light video (S1108). For example, if the first button is pressed, it is determined as Yes in S1108. If yes is determined in S1108, the signal generator 75 generates a first signal (S1109). The communication unit 74 transmits the first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on unit 75 to the lamp unit 31 and the camera unit 33 (S1110). This makes it possible to display the visible light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on the display unit 71 of the portable terminal 13 .

휴대 단말(13)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면(S1107의 Yes), 휴대 단말(13)은 처리를 종료한다. 램프 유닛(31)에서는, 휴대 단말(13)과의 통신이 단절되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W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3 and the lamp unit 31 and camera unit 33 is disconnected (Yes in S1107), the portable terminal 13 ends the process. In the lamp unit 31 , when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3 is disconnected,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

다음으로, 카메라(41)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는 다른 예로서, 감시 센터(10)에 있는 감시원이, 카메라(41)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 기기(11)에서 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s another example of us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an example in which a supervisor in the monitoring center 10 view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through the external device 11 will be described.

램프 유닛(31)에서는,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예를 들면,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이 기억부(60)에 저장된다. In the lamp unit 31, when automatic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elevator,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S901). For example, an infra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while autonomous driving is being performed.

외부 기기(11)에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동작과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외부 기기(11)에서는, 카메라 유닛(33)과 접속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1). 감시 센터(10)의 감시원은,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기(101)에서 보고 싶을 때, 외부 기기(11)를 카메라 유닛(33)에 접속한다. 예를 들면, 외부 기기(11)와 감시 장치(8)는, 네트워크(9)를 통해서 유선 접속된다. 감시 장치(8)와 카메라 유닛(33)은,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무선 접속된다. In the external device 11, the same operation as shown in Fig. 25 is performed. For example, in the external device 1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33 (S1001). A supervisor of the monitoring center 10 connects the external device 11 to the camera unit 33 when wanting to view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41 on the display device 101 .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11 and the monitoring device 8 are wired connected via the network 9 . The monitoring device 8 and the camera unit 33 are wirelessly connected via the access point 12 .

외부 기기(11)에서는,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되면, 가시광 영상의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2). 일례로서, 외부 기기(11)의 표시기(101)에, 감시원이 승강로(3) 내의 가시광 영상을 보고 싶을 때 누르기 위한 제3 버튼이 표시된다. 제3 버튼은 입력 장치(100)의 일례이다. 제3 버튼이 눌리면, S1002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02에서 Yes로 판정되면, 신호 생성부(105)는 제1 신호를 생성한다(S1003). 통신부(104)는, 신호 생성부(105)가 생성한 제1 신호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004). In the external device 11, when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3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 request for visible light video (S1002). As an example, a third button for a supervisor to press when he or she wants to see a visible light image in the hoistway 3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101 of the external device 11 . The third button is an example of the input device 100 . If the third button is pressed, it is determined as Yes in S1002. If yes is determined in S1002, the signal generator 105 generates a first signal (S1003). The communication unit 104 transmits the first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on unit 105 to the lamp unit 31 and the camera unit 33 (S1004).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외부 기기(11)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S907에서 Yes로 판정되고, 선택부(110)는 S908에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외부 기기(11)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되고, S911에서 Yes로 판정된다. S912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대해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61)는 영상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감시 장치(8)는,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9)를 통해서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2 receives the first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11 while the selection unit 110 is selecting the infrared lamp 55, a decision is made as Yes in S907, and the selection unit 110 selects the visible light lamp in S908. Choose (54). Also, when the communication unit 61 receives the first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11, it is determined Yes in S909 and Yes in S911. In S912,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the video data by the camera 41 to the external device 11.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video data to the monitoring device 8 via the access point 12 . The monitoring device 8 transmits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33 via the access point 12 to the external device 11 via the network 9 .

외부 기기(11)에서는, S1004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면,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5). S912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통신부(104)에 의해서 수신된다(S1005의 Yes). 표시 제어부(103)는, 통신부(10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즉 가시광 영상을 표시기(101)에 표시시킨다(S1006). In the external device 11, when the first signal is transmitted in S1004, it is determined whether video data has been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33 (S1005). The video data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61 in S912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4 (Yes in S1005). Based on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4 from the camera unit 33, the display control unit 103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that is, a visible light image, on the display unit 101 (S1006). .

외부 기기(11)와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어 있지 않으면(S1007의 No), 외부 기기(11)의 처리는 S1002로 돌아간다. 외부 기기(11)에서는, S1002에서 Yes로 판정되지 않으면, 적외선 영상의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8). If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11 and the camera unit 33 is not disconnected (No in S1007), the processing of the external device 11 returns to S1002. In the external device 11, if it is not determined as Yes in S10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an infrared image (S1008).

일례로서, 외부 기기(11)의 표시기(101)에, 감시원이 승강로(3) 내의 적외선 영상을 보고 싶을 때 누르기 위한 제4 버튼이 표시된다. 제4 버튼은 입력 장치(100)의 일례이다. 외부 기기(11)가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되어 있을 때 제4 버튼이 눌리면, S1008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08에서 Yes로 판정되면, 신호 생성부(105)는 선택부(110)에 적외선 램프(55)를 선택시키기 위한 제2 신호를 생성한다(S1009). 통신부(104)는, 신호 생성부(105)가 생성한 제2 신호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010). As an example, the display 101 of the external device 11 displays a fourth button for the supervisor to press when he or she wants to view an infrared image inside the hoistway 3 . The fourth button is an example of the input device 100 . If the fourth button is pressed while the external device 11 is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33, a determination is made of Yes in S1008. If yes is determined in S1008, the signal generation unit 105 generates a second signal for selecting the infrared lamp 55 in the selection unit 110 (S1009). The communication unit 104 transmits the second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on unit 105 to the lamp unit 31 and the camera unit 33 (S1010).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외부 기기(11)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S914에서 Yes로 판정되고, 선택부(110)는 S901에서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외부 기기(11)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S902에서 Yes로 판정되고, S904에서 Yes로 판정된다. S905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대해서 송신한다.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2 receives the second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11 while the selector 110 is selecting the visible light lamp 54, a decision is made in S914 to Yes, and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ray in S901. Select Ramp 55. Also, when the communication unit 61 receives the second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11, it is determined as Yes in S902 and Yes in S904. In S905,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the video data by the camera 41 to the external device 11.

외부 기기(11)에서는, S1010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하면,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5). S905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통신부(104)에 의해서 수신된다(S1005의 Yes). 표시 제어부(103)는 통신부(10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즉 적외선 영상을 표시기(101)에 표시시킨다(S1006). In the external device 11, when the second signal is transmitted in S1010, it is determined whether video data has been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33 (S1005). The video data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61 in S905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4 (Yes in S1005). The display control unit 103 displays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41, that is, an infrared image, on the display 101 based on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4 from the camera unit 33 (S1006).

외부 기기(11)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면(S1007의 Yes), 외부 기기(11)는 처리를 종료한다. 램프 유닛(31)에서는, 외부 기기(11)와의 통신이 단절되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W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11, the lamp unit 31, and the camera unit 33 is disconnected (Yes in S1007), the external device 11 ends the processing. In the lamp unit 31 , when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11 is disconnected,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

외부 기기(11)에서는, 도 26에 나타내는 동작과 같은 동작이 행해져도 된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 유닛(33)의 제어 장치(46)에는 통신 검출부(64)가 구비된다. 즉,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61)와 외부 기기(11)의 통신이 확립된 것이 통신 검출부(64)에 의해서 검출되면, S907에서 Yes로 판정된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즉 가시광 영상이 표시기(101)에 표시된다(S1103). In the external device 11, the same operation as shown in Fig. 26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46 of the camera unit 33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detection unit 64. That is, if it is detected by the communication detection unit 64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61 and the external device 11 has been established while the selection unit 110 is selecting the infrared lamp 55, it is determined as Yes in S907. . As a result,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that is, the visible light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1 (S1103).

다음으로,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에 따라 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감시 장치(8)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진다. 즉, 운전 제어부(82)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조건 판정부(91)는 진단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601). S601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92)는 제1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602). Next, an example of us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elevator will be described. In the monitoring device 8, the operation shown in FIG. 16 is performed. That is, while the automatic driving is being performed by the driving control unit 82, the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9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iagnosis condition is satisfied (S601). If yes is determined in S601,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the first mode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7, lamp unit 31, and camera unit 33 (S602).

제어 장치(7)에서는, 감시 장치(8)로부터 제1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진단 운전을 개시한다. 진단 운전에서는, 진단용 데이터가 취득된다. 제어 장치(7)는 진단 운전에서 취득한 진단용 데이터를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When receiving the first mode signal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the control device 7 starts diagnostic operation. In diagnostic operation, diagnostic data is acquired. The control device 7 transmits diagnostic data obtained in the diagnostic oper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8 .

램프 유닛(31)에서는,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예를 들면,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이 기억부(60)에 저장된다. In the lamp unit 31, when automatic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elevator,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S901). For example, an infra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while autonomous driving is being performed.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감시 장치(8)로부터 제1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S907에서 Yes로 판정되고, 선택부(110)는 S908에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즉, 엘리베이터에서 진단 운전이 행해지면, 선택부(110)는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감시 장치(8)로부터 제1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되고, S911에서 Yes로 판정된다. S912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진단용 데이터로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2 receives the first mode signal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when the selection unit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the decision is made as Yes in S907, and the selection unit 110 selects visible light in S908. Select Ramp 54. That is, when diagnostic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elevator,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visible light lamp 54 . 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unit 61 receives the first mode signal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it is determined as Yes in S909 and Yes in S911. In S912,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the video data obtained by the camera 41 to the monitoring device 8 as diagnosis data.

감시 장치(8)에서는, S602에서 통신부(92)가 제1 모드 신호를 송신한 후, S604에 있어서 진단용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제어 장치(7)가 송신한 진단용 데이터는, 통신부(92)에 의해서 수신된다(S604의 Yes). 감시 장치(8)와 카메라 유닛(33)이 접속되어 있으면(S603의 Yes), S912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진단용 데이터)는, 통신부(92)에 의해서 수신된다(S604의 Yes). 통신부(92)가 수신한 진단용 데이터는, 기억부(90)에 기억된다(S605). In the monitoring device 8, after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the first mode signal in S602, it is determined in S604 whether diagnostic data has been received. The diagnostic data transmitted by the control device 7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Yes in S604). If the monitoring device 8 and the camera unit 33 are connected (Yes in S603), the video data (data for diagnosis)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61 in S912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Yes in S604). ). The diagnostic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90 (S605).

운전 제어부(82)에 의한 진단 운전이 종료되면(S606의 Yes), 통신부(92)는 운전 모드를 자동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2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607). 제어 장치(7)에서는, 감시 장치(8)로부터 제2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운전 제어부(82)가 자동 운전을 재개한다. When the diagnosis operation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82 is completed (Yes in S606),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a second mode signal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automatic mode to the control device 7, the lamp unit 31 and the camera. It is transmitted to unit 33 (S607). In the control device 7, upon receiving the second mode signal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the operation control unit 82 resumes the automatic driving.

램프 유닛(31)에서는,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감시 장치(8)로부터 제2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S914에서 Yes로 판정되고, 선택부(110)는 S901에서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이 예이면, 진단용 데이터에,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감시 장치(8)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동작이 별도로 행해져도 된다. In the lamp unit 31,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2 receives the second mode signal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while the selection unit 110 is selecting the visible light lamp 54, a decision is made as Yes in S914, and the selection unit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in S901. In this example, image data by the camera 41 can be included in the diagnosis data. In the monitoring device 8, the operation shown in FIG. 17 may be performed separately.

도 27은 감시 장치(8)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7은 도 16에 나타내는 동작 후에 행해지는 동작의 예를 나타낸다. 도 27은 진단 운전에서 취득된 진단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감시 장치(8)에 있어서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7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 감시 장치(8)에는 이상 검출부(93)가 구비된다. 27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monitoring device 8. FIG. 27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performed after the operation shown in FIG. 16 . Fig. 2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is determined in the monitoring device 8 based on the diagnostic data acquired in the diagnostic operation. When the operation shown in Fig. 27 is performed, the monitoring device 8 is equipped with an abnormality detection unit 93.

감시 장치(8)에서는, 이상 검출부(93)가 기억부(90)에 기억된 진단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201). 예를 들면, 이상 검출부(93)는 진단용 데이터와 대응하는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이상을 검출한다. 이상 검출부(93)에 의해서 이상이 검출되면(S120의 Yes), 통신부(92)는 이상이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S1202). In the monitoring device 8,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9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n abnormality based on the diagnost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90 (S1201). For example,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93 detects an abnormality by comparing the diagnostic data with the corresponding reference value.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b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93 (Yes in S120),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abnormality has been detected to the external device 11 (S1202).

도 28은 감시 장치(8)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는,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운전 모드에 따라 이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운전 제어부(82)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감시 장치(8)에서는, 지진이 발생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301). 지진계(14)로부터 특정 레벨을 나타내는 가속도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S1301에서 Yes로 판정된다. 지진계(14)가 지진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지진계(14)로부터 지진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S1301에서 Yes로 판정된다. S1301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92)는 운전 모드를 관제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3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에 송신한다(S1302).28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monitoring device 8. The operation flow shown in FIG. 28 shows another example of using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41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While automatic driving is being performed by the driving control unit 82, the monitoring device 8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earthquake has occurred (S1301). When data of acceleration representing a specific level is input from the seismograph 14, it is determined as Yes in S1301. When the seismograph 14 outputs an earthquake detection signal, when an earthquak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eismometer 14, it is determined as Yes in S1301. If yes is determined in S1301,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a third mode signal for setting the driving mode to the control mode to the control device 7 (S1302).

제어 장치(7)에서는, 감시 장치(8)로부터 제3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지진 관제 운전을 개시한다. 지진 관제 운전은 지진이 발생한 직후에, 엘리베이터 칸(1) 안에 있는 승객을 피난시키기 위한 운전이다. 지진 관제 운전에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이 최근처층에 정지되고, 도어(21)가 개폐된다. When the third mod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the control device 7 starts the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is operation for evacuating passengers in the car 1 immediately after an earthquake occurs. In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for example, the car 1 is stopped at the nearest floor and the door 21 is opened and closed.

감시 장치(8)에서는, S1302에서 제3 모드 신호를 송신하면, 조건 판정부(91)가, 복구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303). 복구 조건은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면, 지진계(14)에서 특정 레벨을 나타내는 가속도가 검출되고 또한 지진 관제 운전이 종료된 후에 엘리베이터 칸(1)이 무인이 되면, 복구 조건이 성립된다. 복구 조건이 성립된 것을 조건 판정부(91)가 판정하면(S1303의 Yes), 통신부(92)는 운전 모드를 복구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4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304). In the monitoring apparatus 8, when the 3rd mode signal is transmitted in S1302, the condition determination part 91 determines whether recovery conditions are satisfied (S1303). Recovery conditions are set in advance. For example, if acceleration representing a specific level is detected by the seismometer 14 and the car 1 becomes unattended after the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is finished, the recovery condition is established. If the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91 determines that the recovery condition is satisfied (Yes in S1303),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a fourth mode signal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recovery mode between the control device 7 and the lamp unit 31. ) and transmitted to the camera unit 33 (S1304).

제어 장치(7)에서는, 감시 장치(8)로부터 제4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복구 운전을 개시한다. 즉, 운전 제어부(82)는 복구 조건이 성립되면 복구 운전을 행한다. 복구 운전에서는, 엘리베이터의 복구의 가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복구용 데이터가 취득된다. 제어 장치(7)는 복구 운전에서 취득한 복구용 데이터를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When receiving the fourth mode signal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the control device 7 starts recovery operation. That is, the operation control unit 82 performs recovery operation when recovery conditions are established. In the restoration operation, data for restoration necessary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levator is to be restored is obtained. The control device 7 transmits the recovery data acquired in the recovery oper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8.

한편, 램프 유닛(31)에서는,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예를 들면,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이 기억부(60)에 저장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lamp unit 31, if automatic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elevator,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S901). For example, an infra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while autonomous driving is being performed.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감시 장치(8)로부터 제4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된 것을 전환 조건 판정부(113)가 판정한다(S907의 Yes). 이것에 의해, 선택부(110)는 S908에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즉, 엘리베이터에서 복구 운전이 행해지면, 선택부(110)는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감시 장치(8)로부터 제4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되고, S911에서 Yes로 판정된다. S912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복구용 데이터로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2 receives the fourth mode signal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when the selection unit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the switch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113 determines that the switching condition is established. (Yes in S907). By this,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visible light lamp 54 in S908. That is, when recovery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elevator,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visible light lamp 54 . 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unit 61 receives the fourth mode signal from the monitoring device 8, it is determined as Yes in S909 and Yes in S911. In S912,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the video data obtained by the camera 41 to the monitoring device 8 as restoration data.

감시 장치(8)에서는, S1304에서 통신부(92)가 제4 모드 신호를 송신하면, 복구용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305). 제어 장치(7)가 송신한 복구용 데이터는, 통신부(92)에 의해서 수신된다(S1305의 Yes). S912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복구용 데이터)는, 통신부(92)에 의해서 수신된다(S1305의 Yes). 통신부(92)가 수신한 복구용 데이터는, 기억부(90)에 기억된다(S1306). 이 예이면, 복구용 데이터에,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monitoring device 8, when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the fourth mode signal in S1304, it is determined whether recovery data has been received (S1305). The recovery data transmitted by the control device 7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Yes in S1305). The video data (data for restoration)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61 in S912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Yes in S1305). The recovery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90 (S1306). In this example, image data by the camera 41 may be included in the recovery data.

이상 검출부(93)는 기억부(90)에 기억된 복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307). 예를 들면, 이상 검출부(93)는 복구용 데이터와 대응하는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이상을 검출한다. 이상 검출부(93)에 의해서 이상이 검출되면(S1307의 Yes), 통신부(92)는 이상이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S1308).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9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n abnormality based on the recovery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90 (S1307). For example,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93 detects an abnormality by comparing the data for recovery with the corresponding reference value.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b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93 (Yes in S1307),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abnormality has been detected to the external device 11 (S1308).

이상 검출부(93)에 의해서 이상이 검출되는 일 없이 복구 운전이 종료되면(S1309의 Yes), 감시 장치(8)는 엘리베이터를 가(假)복구시킨다(S1310). 가복구에서는, 운전 제어부(82)는 속도 제한 등의 일정한 제한을 마련한 다음, 등록된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을 차례로 응답시키는 운전을 행한다. 또, 표시 제어부(83)는 완전한 복귀가 아니라는 취지를 표시기(26)에 표시시킨다. When the recovery operation ends without any abnormality being detected by the abnormality detector 93 (Yes in S1309), the monitoring device 8 temporarily restores the elevator (S1310). In the provisional recovery, the operation control unit 82 establishes a certain limit such as a speed limit, and then performs an operation in which the car 1 responds to a registered call in sequence. Further, the display control unit 83 displays on the indicator 26 that the restoration is not complete.

S1309에서 Yes로 판정되면, 감시 장치(8)는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종료 후 영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종료 후 영상 데이터는, 복구 운전이 종료된 후에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종료 후 영상 데이터는, 가시광 영상의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시 장치(8)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종료 후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면, 통신부(92)는 취득한 종료 후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S1311). If yes is determined in S1309, the monitoring device 8 acquires the video data after completion from the camera unit 33. The post-end video data is data representing a video taken by the camera 41 after the recovery operation is finished. The video data after completion is preferably visible light video data. When the monitoring device 8 acquires the post-video data from the camera unit 33,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the acquired post-video data to the external device 11 (S1311).

S1311에서 종료 후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하면, 감시 장치(8)에서는, 외부 기기(11)로부터 복구 허가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312). 감시 센터(10)에서는, 외부 기기(11)가 수신한 종료 후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본(本)복구시켜도 좋은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은, 예를 들면, 영상을 본 복수의 사람에 의해서 행해져도 된다. 엘리베이터를 본복구시켜도 좋다고 판정되면, 외부 기기(11)로부터 복구 허가 신호가 송신된다. When video data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11 after completion in S1311, the monitoring device 8 determines whether or not a recovery permission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11 (S1312). In the monitoring center 10, based on the post-video data received by the external device 1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elevator may be restored. This determination may be made, for example, by a plurality of people who have viewed the video.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vator may be restored, a recovery per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11 .

감시 장치(8)는 외부 기기(11)로부터 복구 허가 신호를 수신하면(S1312의 Yes), 엘리베이터를 본복구시킨다(S1313). 본복구에서는, 예를 들면, 통신부(92)가 제2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운전 제어부(82)가 통상 운전을 재개한다. 표시 제어부(83)는 완전한 복구가 아니라는 취지의 표시를 표시기(26)로부터 소거한다. 또, 램프 유닛(31)에서는,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Upon receiving the restoration permission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11 (Yes in S1312), the monitoring device 8 restores the elevator (S1313). In this restoration,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the second mode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7, the lamp unit 31, and the camera unit 33, for example. With this, the operation control unit 82 resumes normal opera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83 erases from the display unit 26 the display to the effect that restoration is not complete. In addition, in the lamp unit 31,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도 28에서는, 감시 장치(8)가 외부 기기(11)로부터 복구 허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엘리베이터가 본복구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은 일례이다. 다른 예로서, 현장에 찾아온 보수원이 특정 조작을 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수동으로 본복구시켜도 된다. 또, 지진계(14)가 제어 장치(7)에 접속되는 경우는, 도 28에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는 제어 장치(7)에서 행해져도 된다. In FIG. 28, an example in which the elevator is fully restored when the monitoring device 8 receives a restoration permission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11 has been described. This is an example. As another example, the elevator may be restored manually by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by a maintenance worker who has visited the site. In addition, when the seismograph 1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7, the operation flow shown in FIG. 28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7.

도 29는 감시 장치(8)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9에 나타내는 동작은 도 28에 나타내는 동작과 비교하여, S1303에서 No로 판정되었을 경우의 동작이 상위하다. 도 29는 S1303에서 No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Fig. 29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monitoring device 8. The operation shown in Fig. 29 differs from the operation shown in Fig. 28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as No in S1303. Fig. 29 shows an example of us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when it is determined as No in S1303.

상술한 것처럼, S1303에서는 복구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면, 지진 관제 운전이 종료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해도 S1303에서 Yes로 판정되지 않으면, 감시 장치(8)는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정지 후 영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정지 후 영상 데이터는, 지진 관제 운전이 종료된 후,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하고 있을 때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정지 후 영상 데이터는, 가시광 영상의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시 장치(8)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정지 후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면, 통신부(92)는 취득한 정지 후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S1314). As described above, in S130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recovery conditions have been established. For example, if yes is not determined in S1303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elapses after the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is finished, the monitoring device 8 acquires video data after the stop from the camera unit 33 . The post-stop image data is data represen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when the car 1 is stopped after the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is finished. The post-stop video data is preferably visible light video data. When the monitoring device 8 acquires the video data after the stop from the camera unit 33,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the acquired video data after the stop to the external device 11 (S1314).

S1314에서 정지 후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하면, 감시 장치(8)에서는, 외부 기기(11)로부터 개시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315). 감시 센터(10)에서는, 외부 기기(11)가 수신한 정지 후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복구 운전을 개시해도 좋은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은, 예를 들면, 영상을 본 복수의 사람에 의해서 행해져도 된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복구 운전을 개시해도 좋다고 판정되면, 외부 기기(11)로부터 개시 신호가 송신된다. When the video data after the stop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11 in S1314, the monitoring device 8 determines whether or not a start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11 (S1315). In the monitoring center 10, based on the post-stop video data received by the external device 11, it is determined whether recovery operation may be started in the elevator. This determination may be made, for example, by a plurality of people who have viewed the video. When it is determined that recovery operation may be started in the elevator, a star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11 .

감시 장치(8)에서는, S1303에서 No로 판정되었을 경우라도, 외부 기기(11)로부터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S1315의 Yes), 통신부(92)가 제4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304). 제4 모드 신호를 수신한 제어 장치(7)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서는, 도 28을 이용하여 설명한 동작과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지진계(14)가 제어 장치(7)에 접속되는 경우는, 도 29에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는 제어 장치(7)에서 행해져도 된다. In the monitoring device 8, even if it is determined as No in S1303, if a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11 (Yes in S1315), the communication unit 92 transmits a fourth mode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7 and the lamp. It is transmitted to the unit 31 and the camera unit 33 (S1304). In the control device 7, lamp unit 31, and camera unit 33 that have received the fourth mode signal, operations similar to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8 are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seismometer 1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7, the operation flow shown in FIG. 29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7.

도 30은 감시 장치(8)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0에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는,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운전 모드에 따라 이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30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device 8. The operation flow shown in FIG. 30 shows another example of using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41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운전 제어부(82)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감시 장치(8)에서는, 보수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401).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의 조작반(25)에, 운전 모드를 보수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25b)가 구비된다. 스위치(25b)는 운전 모드를 보수 모드로 설정하는 수단의 일례이다. 스위치(25b)는 제어 장치(7) 혹은 감시 장치(8)에 구비되어도 된다. 스위치(25b)에 대해서 특정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운전 모드가 보수 모드로 설정된다. 스위치(25b)에 의해서 보수 모드로 설정되면(S1401의 Yes), 사람 검출부(94)는 승강로(3)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402). While automatic driving is being performed by the driving control unit 82, the monitoring device 8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aintenance mode has been set (S1401). For example, the operating panel 25 of the car 1 is provided with a switch 25b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maintenance mode. The switch 25b is an example of means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maintenance mode. The switch 25b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7 or the monitoring device 8. By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on the switch 25b,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maintenance mode. When the maintenance mode is set by the switch 25b (Yes in S1401), the person detection unit 94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 person in the hoistway 3 (S1402).

한편, 램프 유닛(31)에서는,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예를 들면,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이 기억부(60)에 저장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lamp unit 31, if automatic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elevator,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infrared lamp 55 (S901). For example, an infra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1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 while autonomous driving is being performed.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운전 모드가 보수 모드로 설정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된 것을 전환 조건 판정부(113)가 판정한다(S907의 Yes). 이것에 의해, 선택부(110)는 S908에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또, 운전 모드가 보수 모드로 설정되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되고, S911에서 Yes로 판정된다. S912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If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maintenance mode while the selection unit 110 is selecting the infrared lamp 55, the switch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113 determines that the switching condition is established (Yes in S907). By this, the selector 110 selects the visible light lamp 54 in S908. Also, if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maintenance mode, it is determined Yes in S909 and Yes in S911. In S912, the communication unit 61 transmits video data from the camera 41 to the monitoring device 8.

통신부(61)로부터 송신된 영상 데이터는, 감시 장치(8)에 있어서 통신부(92)에 의해서 수신된다. 사람 검출부(94)는, 통신부(92)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승강로(3)에 사람이 있는 것을 검출한다(S1402의 Yes). 예를 들면, 사람 검출부(94)는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승강로(3)의 피트(3a)에 사람이 있는 것을 검출한다. 사람 검출부(94)는 영상 유닛(18)의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 위에 사람이 있는 것을 검출한다. The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1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in the monitoring device 8 . The person detection unit 94 detects that there is a person in the hoistway 3 based on the video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92 (Yes in S1402). For example, the person detection unit 94 detects that there is a person in the pit 3a of the hoistway 3 based on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33 . The person detection unit 94 detects that there is a person on top of the car 1 based on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of the imaging unit 18 .

승강로(3)에 사람이 있는 것이 사람 검출부(94)에 의해서 검출되면, 금지부(95)는 자동 운전이 행해지는 것을 금지한다(S1403). 예를 들면, 자동 운전에서의 엘리베이터 칸(1)의 가동 범위는, 보수 모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1)의 가동 범위보다 넓다. 도 30에 나타내는 예이면, 승강로(3)에 사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동 운전이 개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cted by the person detection unit 94 that there is a person in the hoistway 3, the prohibition unit 95 prohibits the automatic operation from being performed (S1403). For example, the movable range of the car 1 in automatic operation is wider than the movable range of the car 1 in maintenance mode. If it is the example shown in FIG. 30, it can prevent automatic operation from starting despite the presence of people in the hoistway 3.

승강로(3)에 사람이 있는 것이 사람 검출부(94)에 의해서 검출되었을 경우는, 승강로(3)에 있는 사람을 향해서,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에 따른 알림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승강로(3)에 사람이 있는 것이 사람 검출부(94)에 의해서 검출되면, 방사 제어부(111)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에 따라서, 가시광 램프(54)로부터의 가시광의 방사 모드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방사 제어부(111)는 엘리베이터 칸(1)이 피트(3a)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점멸 속도가 빨라지도록 가시광 램프(54)를 제어한다. 방사 제어부(111)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에 따라서, 가시광 램프(54)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색을 변화시켜도 된다. When the presence of a person in the hoistway 3 is detected by the person detection unit 94, a notification may be given to the person in the hoistway 3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r 1. For example, when it is detected by the person detection unit 94 that there is a person in the hoistway 3, the emission control unit 111 determines the emission mode of visible light from the visible light lamp 54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r 1. Change the For example, the emission control unit 111 controls the visible light lamp 54 so that the flashing speed increases as the car 1 approaches the pit 3a. The emission control unit 111 may change the color of light emitted from the visible light lamp 54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r 1 .

다른 예로서, 승강로(3)에 사람이 있는 것이 사람 검출부(94)에 의해서 검출되면, 소리 제어부(62)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에 따라 스피커(48)로부터 소리를 출력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소리 제어부(62)는, 엘리베이터 칸(1)이 어느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면, 스피커(48)로부터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3)에 있는 사람에게 주의를 촉구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it is detected by the person detection unit 94 that there is a person in the hoistway 3, the sound control unit 62 may output a sound from the speaker 48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r 1. For example, the sound controller 62 generates a warning sound from the speaker 48 when the car 1 is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a certain height. Thereby, attention can be urged to people in the hoistway 3.

다음으로, 기설의 엘리베이터를 개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실현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1은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1의 S801부터 S806에 나타내는 절차는, 도 18의 S801로부터 S806에 나타내는 절차와 같다. Next, an example of realizing the above elevator system by remodeling an existing elevator will be described. 31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repairing elevators. The procedures shown in S801 to S806 in Fig. 31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S801 to S806 in Fig. 18 .

상술한 것처럼, 개수 전의 엘리베이터에는, 승강로(3)의 내부를 비추기 위한 전구가 소켓(17)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1)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수 전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소켓(17)에 대한 전력 공급이 항상 행해지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보수원은, S807에 있어서,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대해서 소켓(17)을 통해서 전력이 상시 공급되도록 설정을 변경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levator before renovation, a light bulb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3 is provided in the car 1 through the socket 17. For this reason, it cannot be said that power supply to the socket 17 is always performed in the elevator before repair. In S807, the maintenance worker changes the setting so that electric power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lamp unit 31 and the camera unit 33 via the socket 17.

다음으로, 보수원은, 카메라 유닛(33)이 영상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할 수 있도록, 통신부(61)와 액세스 포인트(12)의 통신을 확립한다(S808). 또, 필요에 따라서, 통신부(112)와 액세스 포인트(12)의 통신을 확립한다. Next, the maintenance worker establishe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61 and the access point 12 so that the camera unit 33 can transmit video data to the monitoring device 8 via the access point 12 ( S808). Furth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access point 12 is established as necessary.

도 31의 S809에 나타내는 절차 및 S810에 나타내는 절차는, 필요에 따라서 채용된다. 엘리베이터 칸(1)에 금속제의 에이프런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는, 금속제의 기설의 에이프런을 투광성을 가지는 에이프런(22)으로 교환하는 공정을 더 구비해도 된다(S809). 이것에 의해, 에이프런(22)에 덮여 있는 부분의 영상을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할 수 있다. The procedure shown in S809 and S810 in FIG. 31 is adopted as needed. If the car 1 is provided with a metal apron, a step of replacing the existing metal apron with a light-transmitting apron 22 may be further included (S809). Thereby, the video of the part covered by the apron 22 can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41.

보수원의 휴대 단말(13)에, 신호 생성부(75)를 새롭게 추가하는 공정을 더 구비해도 된다(S810). 이것에 의해, 휴대 단말(13)로부터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부(110)에 가시광 램프(54)를 선택시켜, 카메라(41)에 의한 가시광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 기기(11)에, 신호 생성부(105)를 새롭게 추가하는 공정을 더 구비해도 된다(S810). 이것에 의해, 외부 기기(11)로부터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부(110)에 가시광 램프(54)를 선택시켜, 카메라(41)에 의한 가시광 영상을 표시기(101)에 표시시킬 수 있다. A step of newly adding the signal generator 75 to the mobile terminal 13 of the maintenance worker may be further provided (S810). This makes it possible to select the visible light lamp 54 in the selector 110 through an oper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3, and display a visible light image by the camera 41 on the display unit 71. Similarly, a step of newly adding the signal generator 105 to the external device 11 may be further provided (S810). In this way, the visible light image by the camera 41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1 by causing the selector 110 to select the visible light lamp 54 by oper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11 .

S808에 나타내는 절차 및 S809에 나타내는 절차는, 실시 형태 1에서 개시한 예에 있어서 채용되어도 된다. The procedure shown in S808 and the procedure shown in S809 may be employed in the example disclosed in Embodiment 1.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60~64에 나타내는 각부는, 제어 장치(46)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도 32는 제어 장치(46)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장치(46)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121)와 메모리(122)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120)를 구비한다. 기억부(60)가 가지는 기능은 메모리(122)에 의해서 실현된다. 제어 장치(46)는 메모리(12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121)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부호 61~66에 나타내는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In this embodiment, each part indicated by the numerals 60 to 64 indicates the function that the control device 46 has. 3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hardware resources of the control device 46. The control device 46 includes a processing circuit 120 including, for example, a processor 121 and a memory 122 as hardware resources. The functions of the storage unit 60 are realized by the memory 122 . The control device 46 realizes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part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61 to 66 by executing the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22 by the processor 121.

도 33은 제어 장치(46)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 장치(46)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121), 메모리(122), 및 전용 하드웨어(123)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120)를 구비한다. 도 33은 제어 장치(46)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123)에 의해서 실현하는 예를 나타낸다. 제어 장치(46)가 가지는 기능의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123)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3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hardware resources of the control device 46.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3 , the control device 46 includes a processor 121 , a memory 122 , and a processing circuit 120 including dedicated hardware 123 , for example. 33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art of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device 46 are realized by the dedicated hardware 123. All of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device 46 may be realized by the dedicated hardware 123 .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110~113에 나타내는 각부는, 제어 장치(56)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제어 장치(56)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32 혹은 도 33에 나타내는 예와 같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56)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56)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제어 장치(56)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제어 장치(56)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In this embodiment, each part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s 110 to 113 indicates the function that the control device 56 has. The hardware resources of the control device 56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32 or FIG. 33 .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56 includes a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a processor and a memory as hardware resources. The control device 56 realizes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parts by execut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by the processor. The control device 56 may include a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a processor, memory, and dedicated hardware as hardware resources.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device 56 may be realized by dedicated hardwar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80~83에 나타내는 각부는, 제어 장치(7)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제어 장치(7)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32 혹은 도 33에 나타내는 예와 같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7)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7)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제어 장치(7)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제어 장치(7)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In this embodiment, each part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s 80 to 83 indicates the function that the control device 7 has. The hardware resources of the control device 7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32 or FIG. 33 .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7 includes, as hardware resources, a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a processor and a memory. The control device 7 realizes the functions of each part by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a memory by a processor. The control device 7 may include a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a processor, memory, and dedicated hardware as hardware resources.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device 7 may be realized by dedicated hardwar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90~95에 나타내는 각부는, 감시 장치(8)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감시 장치(8)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32 혹은 도 33에 나타내는 예와 같다. 예를 들면, 감시 장치(8)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감시 장치(8)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감시 장치(8)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감시 장치(8)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In this embodiment, each part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s 90 to 95 indicates the function that the monitoring device 8 has. The hardware resources of the monitoring device 8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32 or FIG. 33 . For example, the monitoring device 8 includes a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a processor and a memory as hardware resources. The monitoring device 8 realizes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parts by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a memory by a processor. The monitoring device 8 may include a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a processor, memory, and dedicated hardware as hardware resources.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monitoring device 8 may be realized by dedicated hardwar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72~75에 나타내는 각부는, 휴대 단말(13)이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휴대 단말(13)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32 혹은 도 33에 나타내는 예와 같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3)은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휴대 단말(13)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휴대 단말(13)은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휴대 단말(13)이 가지는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respective parts indicated by numerals 72 to 75 indicate functions that the portable terminal 13 has. The hardware resources of the portable terminal 13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32 or FIG. 33 .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3 includes a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a processor and a memory as hardware resources. The mobile terminal 13 realizes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parts by execut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by the processor. The mobile terminal 13 may include a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a processor, memory, and dedicated hardware as hardware resources.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13 may be realized by dedicated hardwar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102~105에 나타내는 각부는, 외부 기기(11)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외부 기기(11)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32 혹은 도 33에 나타내는 예와 같다. 예를 들면, 외부 기기(11)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외부 기기(11)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외부 기기(11)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외부 기기(11)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In this embodiment, each part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102 to 105 indicates the function that the external device 11 has. The hardware resources of the external device 11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32 or FIG. 33 .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11 includes a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a processor and a memory as hardware resources. The external device 11 realizes the functions of each part by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by a processor. The external device 11 may include a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a processor, memory, and dedicated hardware as hardware resources.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external device 11 may be realized by dedicated hardware.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에 전구용의 소켓이 마련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to a system in which a socket for a light bulb is provided in an elevator car.

1: 엘리베이터 칸 2: 균형 추
3: 승강로 3a: 피트
3b: 완충기 4: 주 로프
5: 권상기 6: 구동 시브
7: 제어 장치 8: 감시 장치
9: 네트워크 10: 감시 센터
11: 외부 기기 12: 액세스 포인트
13: 휴대 단말 14: 지진계
15: 제어 케이블 16~17: 소켓
18~19: 영상 유닛 20: 엘리베이터 칸 실
21: 도어 22: 에이프런
23: 프론트빔 24: 프레임
24a: 상부 부재 24b: 하부 부재
24c: 면 25: 조작반
25a: 스위치 25b: 스위치
26: 표시기 27: 천정
28: 바닥 30: 어댑터
31: 램프 유닛 32: 커버
33: 카메라 유닛 34: 낙하 방지 와이어
35: 본체 36: 꼭지쇠
37: 콘센트 38: 소켓
39: 본체 40: 꼭지쇠
41: 카메라 42: 커버
43: 자석 44: 전원선
44a: 플러그 45: 안테나
46: 제어 장치 47: 마이크
48: 스피커 49: 가속도계
50: 자이로 센서 51: 기압계
52: 온도계 53: 습도계
54: 가시광 램프 55: 적외선 램프
56: 제어 장치 60: 기억부
61: 통신부 62: 소리 제어부
63: 촬영 조건 판정부 64: 통신 검출부
70: 입력 장치 71: 표시기
72: 기억부 73: 표시 제어부
74: 통신부 75: 신호 생성부
80: 기억부 81: 급전부
82: 운전 제어부 83: 표시 제어부
90: 기억부 91: 조건 판정부
92: 통신부 93: 이상 검출부
94: 사람 검출부 95: 금지부
100: 입력 장치 101: 표시기
102: 기억부 103: 표시 제어부
104: 통신부 105: 신호 생성부
110: 선택부 111: 방사 제어부
112: 통신부 113: 전환 조건 판정부
120: 처리 회로 121: 프로세서
122: 메모리 123: 전용 하드웨어
1: elevator car 2: counterweight
3: hoistway 3a: pit
3b: buffer 4: main rope
5: traction machine 6: drive sheave
7: control device 8: monitoring device
9: Network 10: Surveillance Center
11: external device 12: access point
13: mobile terminal 14: seismometer
15: control cable 16 to 17: socket
18~19: video unit 20: elevator car room
21: door 22: apron
23: front beam 24: frame
24a: upper member 24b: lower member
24c: surface 25: operating panel
25a: switch 25b: switch
26: indicator 27: ceiling
28: bottom 30: adapter
31: lamp unit 32: cover
33: camera unit 34: fall prevention wire
35: body 36: clasp
37: outlet 38: socket
39: body 40: clasp
41: camera 42: cover
43: magnet 44: power line
44a: plug 45: antenna
46: control unit 47: microphone
48: speaker 49: accelerometer
50: gyro sensor 51: barometer
52: thermometer 53: hygrometer
54 visible light lamp 55 infrared lamp
56: control device 60: storage unit
61: communication unit 62: sound control unit
63 shooting condition judgment unit 64 communication detection unit
70: input device 71: indicator
72: storage unit 73: display control unit
74: communication unit 75: signal generation unit
80: storage unit 81: power supply unit
82: driving control unit 83: display control unit
90: storage unit 91: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92: communication unit 93: abnormality detection unit
94: human detection unit 95: prohibition unit
100: input device 101: indicator
102: storage unit 103: display control unit
104: communication unit 105: signal generation unit
110: selection unit 111: radiation control unit
112: communication unit 113: convers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120: processing circuit 121: processor
122: memory 123: dedicated hardware

Claims (18)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에 마련된 전구용의 제1 소켓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소켓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카메라 유닛과,
휴대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은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해서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제1 표시기와,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1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An elevator car moving through the hoistway;
A first socket for a light bulb provided outside the elevator car;
a camera unit supported by the car and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first socket;
Equipped with a mobile terminal,
The camera unit
A camera capable of shooting with visible light;
Equipped with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video data represen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a first indicator;
and a first display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on the first display unit based on the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청구항 1에 있어서,
특정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스위치에 대해서 상기 특정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witch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socket when a specific operation is performed;
The elevator system in which the communication means is capable of transmitting the video data when the specific oper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switch.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에 마련된 전구용의 제1 소켓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소켓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카메라 유닛과,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된 감시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고 상기 감시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외부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은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상기 감시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는
제1 표시기와,
상기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1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An elevator car moving through the hoistway;
A first socket for a light bulb provided outside the elevator car;
a camera unit supported by the car and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first socket;
a monitoring device to which the access point is connected;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onitoring device without going through the access point,
The camera unit
A camera capable of shooting with visible light;
a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video data represen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to the monitoring device via the access point;
The monitoring device transmits the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access point;
The external device
a first indicator;
and a first display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on the first display unit based on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특정 제1 조건이 성립되면, 상기 제1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급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소켓에 대해서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n a specific first condition is establishe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socket is further provided;
The communication means is capable of transmitting the image data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socket by the power supply uni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켓에 고정된 어댑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제1 소켓 및 상기 어댑터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comprising an adapter fixed to the first socket,
The camera unit is an elevator system in which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socket and the adapt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 지지되고, 가시광을 방사 가능한 램프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소켓 및 상기 어댑터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A lamp unit supported by the adapter and capable of emitting visible light is further provided;
The lamp unit is an elevator system in which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socket and the adapt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전구용의 제2 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소켓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adapter has a second socket for a light bulb,
The elevator system of claim 1 , wherein the lamp unit is fixed to the second socke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은
가시광을 방사 가능한 제1 방사 수단과,
적외선을 방사 가능한 제2 방사 수단과,
상기 제1 방사 수단 또는 상기 제2 방사 수단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제1 방사 수단을 선택하면 상기 제1 방사 수단으로부터 가시광을 방사시키고,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제2 방사 수단을 선택하면 상기 제2 방사 수단으로부터 적외선을 방사시키는 방사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 방사 수단으로부터의 적외선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lamp unit
a first radiating means capable of emitting visible light;
a second radiating means capable of radiating infrared rays;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the first radiation means or the second radiation means;
and emission control means for emitting visible light from the first emission means when the selection means selects the first emission means, and emitting infrared rays from the second emission means when the selection means selects the second emission means. do,
The elevator system of claim 1 , wherein the camera is capable of taking pictures by infrared rays from the second radiating mean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하방에 배치된 완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낙하했을 때 상기 완충기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부재에 형성된 하향의 면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hock absorber disposed below the elevator car,
The car includes a member that can contact the shock absorber from above when the car falls,
The elevator system of claim 1 , wherein the camera is fixed to a downward surface formed on the memb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자석과,
상기 어댑터에 접속된 전원선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자석에 의해서 상기 면에 고정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문턱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에이프런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선은 상기 카메라가 상기 면으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상기 카메라의 하단이 상기 에이프런의 하단보다 상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camera unit
magnet and
A power line connected to the adapter,
the camera is fixed to the surface by the magnet;
The elevator car has an apr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hreshold,
The elevator system of claim 1 , wherein the power line is fixed to the car such that a lower end of the camera is disposed above a lower end of the apron when the camera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승강로의 내부를 비추기 위한 전구가 제1 소켓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엘리베이터를 개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구를 상기 제1 소켓으로부터 떼어내는 공정과,
상기 전구를 떼낸 상기 제1 소켓을 통해서 카메라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카메라 유닛을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은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A method of repairing an elevator in which a light bulb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a hoistway is provided in an elevator car through a first socket,
removing the light bulb from the first socket;
A step of supporting the camera unit in the elevator car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unit through the first socket from which the light bulb is removed;
The camera unit
A camera capable of shooting with visible light;
A method for repairing an elevator having a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image data represen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구를 떼낸 상기 제1 소켓에 어댑터를 장착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제1 소켓 및 상기 어댑터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 step of attaching an adapter to the first socket from which the light bulb is removed;
The method of repairing an elevator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unit through the first socket and the adapter.
청구항 12에 있어서,
가시광을 방사 가능한 램프 유닛을 상기 어댑터에 장착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소켓 및 상기 어댑터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A step of attaching a lamp unit capable of emitting visible light to the adapter;
The number method of the elevator in which the lamp unit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first socket and the adapter.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전구용의 제2 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소켓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adapter has a second socket for a light bulb,
The number method of the elevator wherein the lamp unit is fixed to the second socket.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은
가시광을 방사 가능한 제1 방사 수단과,
적외선을 방사 가능한 제2 방사 수단과,
상기 제1 방사 수단 또는 상기 제2 방사 수단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제1 방사 수단을 선택하면 상기 제1 방사 수단으로부터 가시광을 방사시키고,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제2 방사 수단을 선택하면 상기 제2 방사 수단으로부터 적외선을 방사시키는 방사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 방사 수단으로부터의 적외선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or claim 14,
The lamp unit
a first radiating means capable of emitting visible light;
a second radiating means capable of radiating infrared rays;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the first radiation means or the second radiation means;
and emission control means for emitting visible light from the first emission means when the selection means selects the first emission means, and emitting infrared rays from the second emission means when the selection means selects the second emission means. do,
The method of repairing an elevator in which the camera is capable of taking pictures by infrared rays from the second radiating means.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낙하했을 때 완충기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부재에 형성된 하향의 면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The car has a member that can contact the shock absorber from above when the car falls,
The number method of the elevator in which the camera is fixed to the downward surface formed on the member.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에 상기 제1 소켓을 통해서 전력이 상시 공급되도록 설정을 변경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The method of repairing an elevator further comprising a process of changing a setting so that power is always supplied to the camera unit through the first socket.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을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시킨 후, 상기 통신 수단과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을 확립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감시 장치에 접속된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means and the access point after supporting the camera unit in the car;
The number of elevators in which the access point is connected to a monitoring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KR1020237013555A 2020-09-25 2020-09-25 Elevator system and how to repair the elevator KR10254475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36322 WO2022064642A1 (en) 2020-09-25 2020-09-25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543A KR20230058543A (en) 2023-05-03
KR102544753B1 true KR102544753B1 (en) 2023-06-20

Family

ID=8084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555A KR102544753B1 (en) 2020-09-25 2020-09-25 Elevator system and how to repair the eleva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26667B2 (en)
KR (1) KR102544753B1 (en)
CN (1) CN116323462A (en)
WO (1) WO2022064642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1289A (en) 2010-06-14 2012-01-05 Hitachi Ltd Control system for remotely operating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9869U (en) * 1977-08-24 1979-03-16
FI117010B (en) * 2004-11-01 2006-05-15 Kone Corp Elevator remote control
JP2009171143A (en) * 2008-01-15 2009-07-30 Sharp Corp Monitor system and photography device
US9143741B1 (en) * 2012-08-17 2015-09-22 Kuna Systems Corporation Internet protocol security camera connected light bulb/system
JP5951684B2 (en) * 2014-06-09 2016-07-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monitoring device
US20160261824A1 (en) * 2014-11-06 2016-09-08 SkyBell Technologies, Inc. Light socket surveillance systems
JP2016098063A (en) * 2014-11-19 2016-05-30 株式会社東芝 Elevator hoistway inner shape measurement device, elevator hoistway inner shape measurement method, and elevator hoistway inner shape measurement program
US9661713B2 (en) * 2015-02-26 2017-05-23 Intel Corporation Intelligent LED bulb and v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7117519A (en) * 2017-05-12 2017-09-01 长沙慧联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levator and its method for monitoring operation states
WO2020208687A1 (en) * 2019-04-08 2020-10-1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Camera unit,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elevator refurbish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1289A (en) 2010-06-14 2012-01-05 Hitachi Ltd Control system for remotely operating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543A (en) 2023-05-03
CN116323462A (en) 2023-06-23
JP7226667B2 (en) 2023-02-21
WO2022064642A1 (en) 2022-03-31
JPWO2022064642A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733B1 (en)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KR101772806B1 (en)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of automatically transforming escape direction according to fire located, and system of the same
KR100632823B1 (en) Elevator maintenance system
JP7052583B2 (en) Monitoring system
KR102248180B1 (en) A wireless emergency bell and an accident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527353B1 (en) elevator system
JP6681981B2 (en) LED lighting system with disaster warning and disaster training functions
CN113825715B (e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modification method
KR102544753B1 (en) Elevator system and how to repair the elevator
KR20160054350A (en) Disaster signal Device
KR100750651B1 (en) Floor detecting apparatus and Floor dis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10008331U (en) Escape exit guidance lights
JP2021077325A (en) Method for inspecting emission for notification
JP7145691B2 (en) Elevator, information equipment, elevator system, elevator recovery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KR102321015B1 (en) System for controlling skywalk
JP2018002402A (en) Recorded video reproduction system of elevator and method thereof
TWI841683B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modification of elevator
JP2022180786A (en) Elevator work notification method and elevator work notification system
JP6173070B2 (en) Elevator ca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ar control method
JP2008105845A (en) Earthquake emergency operation system of elevator
JP6188878B1 (en) Maintenance work support apparatus and maintenance work support method
JP7396553B2 (en) elevator system
KR102637802B1 (en) IoT-based intelligent elevator evacuation guidance system
KR102618715B1 (en) Intelligent lighting device for elevator power failure
KR20160022626A (en) System for monitoring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