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601B1 -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601B1
KR102544601B1 KR1020220165676A KR20220165676A KR102544601B1 KR 102544601 B1 KR102544601 B1 KR 102544601B1 KR 1020220165676 A KR1020220165676 A KR 1020220165676A KR 20220165676 A KR20220165676 A KR 20220165676A KR 102544601 B1 KR102544601 B1 KR 102544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terval
request
balance
amount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바이엇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엇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엇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06Q20/1085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invol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제 1 국가의 오프라인 현금 입출금기를 통해 입금된 금액에 대해서 입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금된 금액에 대한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프린트된 이미지에 대한 인증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입금된 금액에 대한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잔고 증액에 따라 갱신된 잔고 중 일부 또는 전부인 환전 요청 금액에 대해 제 2 국가 통화로의 환전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환전 요청에 따라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currency exchange service}
본 개시의 기술 분야는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계정, 결제 서버, 가맹점 서버 사이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환전이 수행되도록 하는 전자 지갑 방식의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바일 결제가 널리 사용되면서, 신용카드나 은행 계좌와 연결된 핀테크 서비스 또는 사전 충전된 페이 포인트를 이용한 핀테크 서비스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핀테크는 금융과 기술의 합성어로, 금융과 IT의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을 의미한다. 금융서비스의 변화로는 모바일, SNS, 빅데이터 등 새로운 IT 기술 등을 활용하여 기존 금융기법과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기반 금융서비스를 들 수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IT와 금융의 융합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경간 상거래가 급증하고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한 금융거래 또한 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핀테크 서비스 영역의 일종인 지급 결제 서비스로서, 페이팔, 애플페이,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알리페이 등 각종 페이 서비스가 출시 및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페이 서비스에서는, 페이 포인트를 사전 충전하거나, 페이 서비스를 이용한 결제 시 페이 포인트를 적립해 주는 등, 충전 또는 적립된 페이 포인트를 사용해 결제할 수 있다. 페이 서비스는 현금이나 신용카드를 갖고 다니지 않아도 스마트폰만 있으면 사용할 수 있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모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페이 서비스에서는 환전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해외여행 시에는 편리한 환전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핀테크사 서버 간 이동 통신하여 환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여행 시 편리한 방법으로 환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환전 및 송금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2245084호(2021.04.21) 해외송금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국가에서의 입금 요청에 따라 잔고 증액을 수행하고 제 2 국가에서의 환전 요청에 따라 제 2 국가로의 환전이 수행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디바이스가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은 제 1 국가의 오프라인 현금 입출금기를 통해 입금된 금액에 대해서 입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금된 금액에 대한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프린트된 이미지에 대한 인증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입금된 금액에 대한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잔고 증액에 따라 갱신된 잔고 중 일부 또는 전부인 환전 요청 금액에 대해 제 2 국가 통화로의 환전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환전 요청에 따라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트된 이미지는 바코드 및 큐알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한 제 1 시점과 상기 인증 요청을 획득한 제 2 시점 간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간격이 제 1 시간 간격 이하인 경우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간격이 제 2 시간 간격 초과인 경우 상기 잔고 증액을 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보다 상기 제 2 시간 간격이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제 1 시간 간격 초과이고, 상기 제 2 시간 간격 이하인 경우, 상기 입금된 금액의 입력을 요구하는 입금액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입금액 입력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회신되는 입력 금액과 상기 입금된 금액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제 1 시간 간격 초과이고 상기 제 2 시간 간격 이하인 경우,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제 1 시간 간격을 초과한 정도, 상기 입금된 금액의 크기, 상기 입금 요청이 수신된 시점이 영업 시간에서 벗어난 정도 및 상기 프린트된 이미지의 보안 레벨에 기초하여 인증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증 레벨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추가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는 제 1 국가의 오프라인 현금 입출금기를 통해 입금된 금액에 대해서 입금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입금된 금액에 대한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프린트된 이미지에 대한 인증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입금된 금액에 대한 잔고 증액을 승인하고, 상기 잔고 증액에 따라 갱신된 잔고 중 일부 또는 전부인 환전 요청 금액에 대한 환전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환전 요청에 따라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가맹점 중 원하는 가맹점에서 환전에 대한 금액을 바로 현금으로 수령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 은행간의 환전이나 환전소 이용 시 한정된 환전 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해외 오프라인 현금 입출금기를 통한 입금 요청에 따라 국내 가맹점에서 환전이 가능하여 환전 시 위험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환전 수행 시 제 1 시간 및 제 2 시간을 고려하여 환전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위험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환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때문에 온라인 상에서 환전 거래가 수행되어 사용자에게 부가되는 환전 수수료가 최소화될 수 있어 사용자의 금액 부담감이 감소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맹점에서 환전 금액 수령 시 수령용 바코드, 수령용 큐알 코드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환전에 대한 안정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복수의 서버와 이동통신함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국가에서의 입금 요청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2 국가에서의 환전 요청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고, 해당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수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10)는 제 1 국가의 오프라인 현금 입출금기를 통해 입금된 금액에 대해서 입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입금된 금액에 대한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프린트된 이미지에 대한 인증 요청을 수신부(1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입금된 금액에 대한 잔고 증액을 승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잔고 증액에 따라 갱신된 잔고 중 일부 또는 전부인 환전 요청 금액에 대한 환전 요청을 수신부(1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환전 요청에 따라 환전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증 요청 및 환전 요청은 수신부(110)로 수신됨에 따라 프로세서(120)에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100)는 수신부(110)에서 입금 요청, 인증 요청 및 환전 요청을 수신하며 프로세서(120)에서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잔고 증액을 승인하고,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과정에서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네트워크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더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가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입금 요청에 대한 금액, 환전 요청에 대한 금액, 프린트된 이미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에 포함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100)는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미도시) 및 관련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100)가 독립적으로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하지만, 전술한 것처럼,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100)와 서버는 그 기능의 측면에서 통합 구현될 수 있고, 서버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와 서버는 연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 계정 및 가맹점 서버와 이동통신하여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은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서버로서 동작 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디바이스(100)로 통일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100)가 동작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국가의 오프라인 현금 입출금기를 통해 입금된 금액에 대해서 입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제 1 국가에서 오프라인 현금 입출금기를 통해 입금하고자 하는 금액을 입금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는 제 1 국가 가맹점 서버로부터 제 1 국가에서 사용자로부터 입금된 금액에 대한 입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2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입금된 금액에 대한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린트된 이미지는 바코드 및 큐알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트된 이미지는 사용자가 오프라인 입출금기를 통해 일정 금액을 입금하였을 경우 출력되는 영수증일 수 있다.
단계 S23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프린트된 이미지에 대한 인증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제 1 국가 가맹점 서버로부터 입금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프린트된 이미지에 대한 인증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입금 금액에 대한 바코드 및 큐알 코드를 인증 정보로써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린트된 이미지는 사용자 계정과 제 1 국가 가맹점 서버 간의 이동통신함에 따라 제 1 국가 가맹점 서버로부터 디바이스(100)에 송신될 수도 있고, 사용자 계정과 디바이스(100) 간의 이동통신함에 따라 송수신될 수도 있다.
단계 S24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입금된 금액에 대한 잔고 증액을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입금된 금액에 대한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것으로, 인증이 완료되는 것은 사용자계정으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입금 금액에 따라 제공된 바코드 또는 큐알 코드에 대응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25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잔고 증액에 따라 갱신된 잔고 중 일부 또는 전부인 환전 요청 금액에 대해 제 2 국가 통화로의 환전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국가는 제 1 국가와 상이한 나라를 의미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잔고 증액 승인에 따라 갱신된 잔고에서 전체 금액 또는 일부 금액을 환전 요청에 따라 제 2 국가 통화로의 환전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환전 요청에 대한 전체 금액 또는 일부 금액은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요청되는 환전하고자 하는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한 제 1 시점과 인증 요청을 획득한 제 2 시점 간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잔고 증액을 승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시점은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계정으로 프린트된 이미지 제공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시점을 의미할 수 있고, 제 2 시점은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프린트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시간 간격이 제 1 시간 간격 이하인 경우 잔고 증액을 승인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시간 간격이 제 2 시간 간격 초과인 경우 잔고 증액을 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시간 간격보다 제 2 시간 간격이 클 수 있다. 제 1 시간 간격은 제 1 시점에서 기설정 시간이 경과된 시점까지의 간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한 제 1 시점에서 너무 오랜 시간이 지났을 경우 인증하는데 있어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제 2 시점에 있어 정확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시점까지의 간격일 수 있다. 또한, 제 2 시간 간격은 제 1 시점에서 너무 오랜 시간이 지나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제 2 시점에 있어 정확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시점까지의 간격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시간 간격보다 제 2 시간 간격이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시간 간격이 제 1 시간 간격 이하인 경우는 정확도가 높은 구간이라고 판단함에 따라 잔고 증액을 승인하고 시간 간격이 제 2 시간 간격 초과인 경우 정확도가 낮은 구간이라고 판단함에 따라 잔고 증액을 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시간 간격이 제 1 시간 간격 초과이고, 제 2 시간 간격 이하인 경우, 입금된 금액의 입력을 요구하는 입금액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입금액 입력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회신되는 입력 금액과 입금된 금액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잔고 증액을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시간 간격 내에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인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는 정확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일 수 있고, 제 2 시간 간격 이후에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인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는 정확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일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시간 간격이 제 1 시간 간격을 초과하고 제 2 시간 간격 이하인 경우 사용자 계정으로 오프라인 현금 입출금기에 입금한 금액에 대한 입금액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회신되는 입금 금액과 제 1 국가 가맹점 서버로부터 수신된 입금 요청에 따른 입금 금액을 비교함에 따라 두 입금 금액이 동일한 경우 잔고 증액을 승인할 수 있고 두 입금 금액이 상이할 경우 잔고 증액을 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시간 간격이 제 1 시간 간격 초과이고 제 2 시간 간격 이하인 경우, 시간 간격이 제 1 시간 간격을 초과한 정도, 입금된 금액의 크기, 입금 요청이 수신된 시점이 영업 시간에서 벗어난 정도 및 프린트된 이미지의 보안 레벨에 기초하여 인증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인증 레벨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추가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잔고 증액을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시간 간격이 제 1 시간 간격을 초과한 정도, 입금된 금액의 크기, 입금 요청이 수신된 시점이 영업 시간에서 벗어난 정도 및 프린트된 이미지의 보안 레벨의 순서로 점차 낮아지도록 부여되는 가중치에 기초하여 인증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인증 레벨은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요청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결정되는 요소로 인증 레벨이 높을 경우 추가 인증 요청에 대한 난이도가 상승할 수 있고 인증 레벨이 낮을 경우 추가 인증 요청에 대한 난이도가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서 인증 레벨은 1 내지 4에 대응될 수 있다. 인증 레벨 1의 경우 추가 인증 요청을 별도로 하지 않을 수 있고, 인증 레벨이 2에 대응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생일에 대한 정보 입력 요청을 사용자 계정에 송신할 수 있고, 인증 레벨이 3에 대응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1 국가(나라 명), 제 2 국가(여행 예정 나라 명), 입금 금액, 사용자 생일에 대한 정보 입력 요청을 사용자 계정에 송신할 수 있고, 인증 레벨이 4에 대응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1 국가(나라 명), 제 2 국가(여행 예정 나라 명), 입금 금액, 사용자 생일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계정으로 소액의 금액을 송신한 이후 송신 금액에 대한 회신 입력 요청을 사용자 계정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간 간격이 제 1 시간 간격을 초과하는 경우, 정확도가 높은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 인증 요청이 수신되는 것이기 때문에 제 1 시간 간격 내에 인증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우선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제 1 시간 간격을 초과하는 경우 이후에 경과 시간에 따라 정확도가 계속해서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제 1 시간 간격에서 얼마나 지난 시점에 인증 요청이 수신되었는지가 인증 레벨을 결정하는데 있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제 1 시간 간격을 초과한 정도에 가장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입금된 금액의 크기는 중요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제 1 국가에서 제 2 국가로의 환전에 대한 금액은 여행 등에 필요한 금액을 환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평균 기준 자체가 높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제 1 시간 간격을 초과한 정도보다는 다소 덜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시간 간격 이내에 인증 요청이 수신되었을 경우 인증 요청에 대한 신뢰성이 있으나, 이후에 인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는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 때, 입금된 금액의 크기가 클 경우 인증 난이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입금된 금액의 크기에 2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입금 요청이 수신된 시점이 영업 시간(예를 들면,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에서 벗어났을 경우 제 1 국가 가맹점 서버로부터 입금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는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고 새벽 3시와 같이 영업 시간을 벗어난 정도가 클수록 위험도가 상승할 수 있어 영업 시간에서 벗어난 정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제 1 국가에서 제 2 국가로의 환전, 즉, 해외 간 거래의 경우 유동성이 클 수 있다는 점에서 상술한 두 요소보다는 다소 중요도가 낮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입금 요청이 수신된 시점이 영업 시간에서 벗어난 정도에 3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프린트된 이미지의 보안 레벨은 인증 요청으로 수신되는 이미지의 훼손 정도가 대응될 수 있는데, 훼손 정도가 클 경우 프린트된 이미지 제공 요청 시점에서 시간이 많이 흘렀음을 예측할 수 있고, 사용자 이외의 사람이 소지하고 있을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프린트된 이미지로부터 인증 확인이 가능하기만하면 문제 없는 수준일 수 있다는 점에서 프린트된 이미지의 보안 레벨에 4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각 요소에 부여되는 가중치의 크기를 상이하도록 하여 인증 레벨을 결정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성 높은 환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시간 간격이 제 2 시간 간격 초과인 경우 잔고 증액을 거절하기 이전에 심화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심화 인증에 기초하여 잔고 증액을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시간 간격이 제 2 시간 간격 초과인 경우, 입금된 금액의 크기, 시간 간격이 제 2 시간 간격을 초과한 정도, 입금 요청이 수신된 시점이 영업 시간에서 벗어난 정도 및 프린트된 이미지의 보안 레벨의 순서로 낮아지도록 부여되는 가중치에 기초하여 잔고 증액을 승인할 수 있다. 시간 간격이 제 2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는 이미 정확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구간에 인증 요청이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시간 간격을 초과한 이후의 시간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입금된 금액의 크기가 클 경우 인증 난이도를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입금된 금액에 가장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제 2 시간 간격을 초과한 정도는 정확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구간에 인증 요청이 수신된 것이라 고려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으나, 제 2 시간 간격은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인증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에 관련되는 것으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요소일 수 있고, 입금 요청이 수신된 시점은 제 1 국가 가맹점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시점 및 제 1 국가에서의 영업 시간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용자와는 직접적으로 대응되는 요소가 아니라는 점에서 관련도가 적을 수 있어 시간 간격이 제 2 시간 간격을 초과한 정도에 입금 요청이 수신된 시점이 영업 시간에서 벗어난 정도보다 높은 2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에 따라 입금 요청이 수신된 시점이 영업 시간에서 벗어난 정도에 3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프린트된 이미지의 보안 레벨에 4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00)는 상황에 따라 각 요소에 부여되는 가중치의 크기를 상이하도록 하여 인증 레벨 결정 이외의 심화 인증을 더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단계 S26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환전 요청에 따라 환전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잔고 증액을 승인할 수 있고, 갱신된 잔고 중 일부 또는 전부인 환전 요청 금액에 따라 환전 금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고객)는 제 1 국가 가맹점에서 현지화를 지불할 수 있고 제 1 국가 가맹점에서 디바이스(100)로 입금 금액을 송금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입금된 금액을 환전하여 사용자 계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2 국가의 제 2 국가 가맹점에서 환전 요청에 대한 금액을 환전 받을 수 있고, 교통카드, 카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결제 포인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복수의 서버와 이동통신함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서버와 연동되는 것으로, 메인 서버에 대응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계정, 제 1 국가 가맹점 서버 및 제 2 국가 가맹점 서버와 이동통신함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계정 및 제 1 국가 가맹점 서버 간의 이동통신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국가 가맹점에서 오프라인 현금 입출금기를 통해 금액을 입금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결제 방식에 따라 제 1 국가 가맹점 서버로 입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1 국가 가맹점 서버는 지불 정보 및 바코드/인증 번호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계정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제 1 국가 가맹점 서버로부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지불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인증 요청에 대응되는 바코드 촬영/번호(상술한 프린트된 이미지에 대응될 수 있음)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바코드 정보와 제 1 국가 가맹점 서버로부터 획득된 지불 정보를 비교함에 따라 충전 성공 여부를 사용자 계정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국가에서의 현지화 형식의 금액 충전이 완료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포인트 전환 신청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포인트 전환률 및 수수료를 산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승낙에 따라 포인트 전환을 완료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포인트 전환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계정으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포인트 형식의 금액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 2 국가에서의 환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환전 요청에 대한 정보를 제 2 국가 가맹점 서버로 송신할 수 있고 환전 가능 여부에 따라 환전 확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예약 확정 및 바코드/인증 번호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계정 및 제 2 국가 가맹점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2 국가에서의 제 2 국가 가맹점 서버와 바코드/인증 번호를 송신함에 따라 환전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국가에서의 입금 요청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제 1 국가 가맹점으로부터 수신된 지불 정보와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바코드 일치 여부에 따라 일치하는 경우 제 1 국 화폐 형태의 금액을 충전할 수 있고 불일치하는 경우 추가 자료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2 국가에서의 환전 요청에 따라 수행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환전 요청에 대한 정보를 제 2 국가 가맹점 서버로 송신할 수 있고 제 2 국가에서의 환전 가능 여부에 따라 환전이 가능한 경우 환전 확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예약 확정 및 바코드/인증 번호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계정 및 제 2 국가 가맹점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2 국가에서의 제 2 국가 가맹점 서버와 바코드/인증 번호를 송신함에 따라 바코드/ 인증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환전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가맹점 중 원하는 가맹점에서 환전에 대한 금액을 바로 현금으로 수령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 은행간의 환전이나 환전소 이용 시 한정된 환전 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해외 오프라인 현금 입출금기를 통한 입금 요청에 따라 국내 가맹점에서 환전이 가능하여 환전 시 위험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환전 수행 시 제 1 시간 및 제 2 시간을 고려하여 환전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위험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고, 모바일 환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때문에 온라인 상에서 환전 거래가 수행되어 사용자에게 부가되는 환전 수수료가 최소화될 수 있어 사용자의 금액 부담감이 감소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120)(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하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이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바이스
110: 수신부 120: 프로세서

Claims (7)

  1.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부가 제 1 국가의 오프라인 현금 입출금기를 통해 입금된 금액에 대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입금된 금액에 대한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프린트된 이미지에 대한 인증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입금된 금액에 대한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잔고 증액에 따라 갱신된 잔고 중 일부 또는 전부인 환전 요청 금액에 대해 제 2 국가 통화로의 환전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환전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요청한 제 1 시점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요청을 획득한 제 2 시점 간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간격이 제 1 시간 간격 이하인 경우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시간 간격이 제 2 시간 간격 초과인 경우 상기 잔고 증액을 거절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제 1 시간 간격 초과이고 상기 제 2 시간 간격 이하인 경우,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제 1 시간 간격을 초과한 정도, 상기 입금된 금액의 크기, 상기 입금 요청이 수신된 시점이 영업 시간에서 벗어난 정도 및 상기 프린트된 이미지의 보안 레벨에 기초하여 인증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인증 레벨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추가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보다 상기 제 2 시간 간격이 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된 이미지는 바코드 및 큐알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제 1 시간 간격 초과이고, 상기 제 2 시간 간격 이하인 경우, 상기 입금된 금액의 입력을 요구하는 입금액 입력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금액 입력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입력 금액과 상기 입금된 금액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삭제
  7.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국가의 오프라인 현금 입출금기를 통해 입금된 금액에 대해서 입금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입금된 금액에 대한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프린트된 이미지에 대한 인증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입금된 금액에 대한 잔고 증액을 승인하고,
    상기 프린트된 이미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한 제 1 시점과 상기 인증 요청을 획득한 제 2 시점 간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간격이 제 1 시간 간격 이하인 경우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고,
    상기 시간 간격이 제 2 시간 간격 초과인 경우 상기 잔고 증액을 거절하고,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제 1 시간 간격 초과이고 상기 제 2 시간 간격 이하인 경우,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제 1 시간 간격을 초과한 정도, 상기 입금된 금액의 크기, 상기 입금 요청이 수신된 시점이 영업 시간에서 벗어난 정도 및 상기 프린트된 이미지의 보안 레벨에 기초하여 인증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인증 레벨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추가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잔고 증액을 승인하고,
    상기 잔고 증액에 따라 갱신된 잔고 중 일부 또는 전부인 환전 요청 금액에 대한 환전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환전 요청에 따라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 간격보다 상기 제 2 시간 간격이 큰, 디바이스.
KR1020220165676A 2022-12-01 2022-12-01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544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676A KR102544601B1 (ko) 2022-12-01 2022-12-01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676A KR102544601B1 (ko) 2022-12-01 2022-12-01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601B1 true KR102544601B1 (ko) 2023-06-20

Family

ID=8699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676A KR102544601B1 (ko) 2022-12-01 2022-12-01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6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638B1 (ko) * 2013-12-31 2015-02-05 주식회사 우리은행 스마트 카드 인증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80125722A (ko) * 2017-05-16 2018-11-26 주식회사 부트페이 메시지의 잔액정보를 이용한 입출금 자동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KR102070541B1 (ko) * 2019-03-21 2020-01-28 이동현 현금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KR102245084B1 (ko) 2017-05-18 2021-04-28 소다크루 주식회사 해외송금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220046009A (ko) * 2020-10-06 2022-04-14 (주)캐시멜로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638B1 (ko) * 2013-12-31 2015-02-05 주식회사 우리은행 스마트 카드 인증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80125722A (ko) * 2017-05-16 2018-11-26 주식회사 부트페이 메시지의 잔액정보를 이용한 입출금 자동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KR102245084B1 (ko) 2017-05-18 2021-04-28 소다크루 주식회사 해외송금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70541B1 (ko) * 2019-03-21 2020-01-28 이동현 현금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KR20220046009A (ko) * 2020-10-06 2022-04-14 (주)캐시멜로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50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yment at a point of sale
US1000235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ducting transactions
US201401294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ssuing mobile payment cards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ternet-connected devices
US201102827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fees and foreign exchange rates for a value transfer transaction
KR101754759B1 (ko) 송수금을 중개하는 메신저 서버
US20130253956A1 (en) Chargeback insurance
MX2014011114A (es) Sistemas y metodos para el acceso a cuentas en tiempo real.
US119724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int of sale deposits
CN111819825B (zh) 用于使用单向令牌提供数据安全性的方法
US112324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tender steering
KR101134685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선불 가상계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50262166A1 (en) Real-Time Portable Device Update
JP2019023776A (ja) 金融決済システム、金融決済方法、及び金融決済プログラム
CN111213172A (zh) 通过数字钱包访问ach交易功能
US20240073022A1 (en) Virtual access credential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KR102544601B1 (ko) 환전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7788174B1 (en) Method for facilitating a value exchange in a mobile payments network
EP3825940A1 (en) Electronic money mediation system and electronic money mediation method
KR102510990B1 (ko) 환전 및 송금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huja Challenges for Indian E-Payment System
KR20170062429A (ko) 메신저 서버를 이용한 송수금 방법
US107431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eckout line utility payments
KR20230146169A (ko) 데이터 기반의 최적화된 휴대폰 머니 충전을 수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30159778A (ko) 결제 과정에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202100900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present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 check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