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282B1 - 분류 출수 장치 - Google Patents

분류 출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282B1
KR102544282B1 KR1020220026425A KR20220026425A KR102544282B1 KR 102544282 B1 KR102544282 B1 KR 102544282B1 KR 1020220026425 A KR1020220026425 A KR 1020220026425A KR 20220026425 A KR20220026425 A KR 20220026425A KR 102544282 B1 KR102544282 B1 KR 102544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outlet
passag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4114A (ko
Inventor
링광 옌
Original Assignee
저지앙 선믹서 세니테리 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저지앙 선믹서 세니테리 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저지앙 선믹서 세니테리 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4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provisions against scalding, e.g. temperature limiting devices, external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spout or the outlet nozz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Nozzles (AREA)
  • Paper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류 출수 장치를 공개하였으며, 위생 기구 기술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스위치로 2개의 파이프 라인에 개별적으로 동시에 공급하는 분류 출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방안은, 물 흐름을 각각 제1 출수 부재 및 제2 출수 부재로 유도하기 위한 분류 출수 장치에 있어서, 장치 본체의 내부를 제1 출수 챔버, 제2 출수 챔버, 수용 챔버 및 도입 챔버로 분할하는 분류 시트가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 본체가 포함되며; 수용 챔버와 도입 챔버 사이에 입수 통로가 설치되고; 입수구, 제1 출수구와 제2 출수구를 갖는 밸브 바디; 및 적어도 일단의 일부분이 밸브 바디 내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회동을 통해 제1 출수구 또는 제2 출수구를 개별적으로 개방하는 밸브 스템;을 적어도 구비하는 분수 밸브 코어를 더 포함하는 분류 출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류 출수 장치 {FLOW DIVISION WATER OUTLET DEVICE}
본 발명은 위생 기구 기술분야에 속하며, 특히는 분류 출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식품 위생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컵에 대한 세척도 점점 세밀해지고 있다. 특히 위생 기구 설비의 업계에서, 컵 세척기의 응용은 점점 광범위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컵 세척기의 구조를 공개한, 특허번호가 2018112269178인 특허와 같이, 컵 세척기에 관련된 많은 특허가 있다.
하지만 실제 사용 과정에서, 청결 시 컵 세척기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종종 하나의 수도꼭지를 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수도꼭지와 컵 세척기는 모두 2개의 파이프 라인로 나뉘어지지만, 실제 사용 과정에서, 상기 수도 꼭지와 상기 컵 세척기는 종종 결합하여 사용되며, 2개의 파이프 라인로 나뉠 경우 파이프 라인의 복잡성이 증가되고, 장착 비용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스위치로 개별적으로 2개의 파이프 라인에 공급하는 분류 출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실현한다:
물 흐름을 각각 제1 출수 부재 및 제2 출수 부재로 유도하기 위한 분류 출수 장치에 있어서,
장치 본체의 내부를 제1 출수 챔버, 제2 출수 챔버, 수용 챔버 및 도입 챔버로 분할하는 분류 시트가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 본체가 포함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출수 챔버는 물 흐름을 제1 출수 부재로 유도하고, 제1 출수 챔버와 수용 챔버 사이에 제1 유로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출수 챔버는 물 흐름을 제2 출수 부재로 유도하고, 제2 출수 챔버와 수용 챔버 사이에 제2 유로가 설치되며; 및
수용 챔버와 도입 챔버 사이에 입수 통로가 설치되고;
또한, 수용 챔버 내에 배치되고, 물 흐름을 각각 상기 제1 유로와 제2 유로로 유도하기 위한 분수 밸브 코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수 밸브 코어는 적어도,
상기 입수 통로에 대응되는 입수구, 및 상기 제1 유로와 제2 유로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출수구와 제2 출수구를 갖는 밸브 바디; 및
적어도 일단의 일부분이 밸브 바디 내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회동을 통해 제1 출수구 또는 제2 출수구를 개별적으로 개방하는 밸브 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분류 출수 장치가 적어도,
제1 출수구가 개방될 경우, 물 흐름은 입수구, 제1 출수구를 거쳐 상기 제1 유로로 흐르거나; 또는
제2 출수구가 개방될 경우, 물 흐름은 입수구, 제2 출수구를 거쳐 상기 제2 유로로 흐르는 두가지 상태를 갖게 하는 분류 출수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류 시트는,
상기 수용 챔버와 제1 출수 챔버를 분할하기 위한 분류 상부벽; 및
상기 도입 챔버와 제2 출수 챔버를 분할하기 위한 분류 하부벽;을 구비하며,
상기 분류 상부벽과 장치 본체 내벽면 사이에 제1 유로가 설치되고,
물 흐름이 도입 챔버로부터 유입된 후 분류 하부벽을 통과한 다음 수용 챔버 내에 유입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류 시트는 상기 분류 시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출수 챔버와 제2 출수구와 상호 연통되는 제2 유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수 통로는 분류 시트 내에 설치되고, 상기 입수 통로에는 온수 유로 및 냉수 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입수구에는,
상기 냉수 유로 중의 일단과 연통되는 냉수 입구; 및
상기 온수 유로 중의 일단과 연통되는 온수 입구;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수 유로 및/또는 냉수 유로는 직각 코너를 갖는 유로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 스템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장치 본체에서 돌출되며;
상기 분류 출수 장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하고, 손잡이 내부에는 구동 홀이 형성되며, 손잡이가 회동할 경우 밸브 스템은 구동 홀을 통해 구동되어 회동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출수 부재는 수도꼭지이며, 그 출수단은 컵 세척기의 상측까지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2 출수 부재는 컵 세척기이며, 수도꼭지의 출수단이 컵 세척기의 상측까지 회동될 경우, 컵 세척기와 수도꼭지는 그릇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각각 세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컵 세척기는,
공급되는 물이 트레이로 유출되게 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트레이;
제2출수 챔버내의 물을 피세척물에 분무하기 위한 복수의 스프레이 암을 구비하는 탄성 출수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 본체의 일단은 컵 세척기의 장착 자리를 구비하며, 장착 자리의 상단은 수분이 상기 출구를 거쳐 유출되게 하기 위한 경사면이며,
또는, 상기 트레이내 하단면은 경사면을 구비하여, 수분이 상기 출구를 거쳐 흐르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레이 위에는 체결부재가 더 배치되고, 체결부재는 상기 트레이와 컵 세척기의 장착 자리를 동시에 관통한다.
기존의 기술과 비교할 경우 본 발명의 돌출하고 유익한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에서 2개의 출수 부재를 각각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심지어 별도로 2개의 출수 부재 중의 임의의 하나에 냉수, 온수 및 냉온 혼합수의 3가지 상태를 공급할 수 있는 출수 장치이다. 특히는, 제1 출수부재를 수도꼭지로 설치하고, 제2 출수부재를 컵 세척기로 설치하여, 수도꼭지 또는 컵 세척기에 대한 별도의 물 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물의 상태는 냉수, 온수 및 냉온 혼합수의 3가지 출수 상태를 가지고, 하나의 스위치로 2개의 출수 부재의 출수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2. 본 발명은 출수 부재에 대한 요구가 낮아, 다양한 출수 부재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임의로 조합할 수 있어, 기존의 출수기에 비해, 더 집적화되고, 더 편리하다.
3. 본 발명의 컵 세척기의 윗면은 장착된 후 경사면을 가지며, 경사면은 수분을 출구로 배출하게 하여,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컵 세척기는 장치 본체와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이렇게 하면 컵 세척기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컵 세척기와 수도꼭지가 결합되는 분류 출수 장치 중의 하나이고;
도 2는 컵 세척기와 수도꼭지가 결합되는 분류 출수 장치 중의 다른 하나이고;
도 3은 장치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장치 본체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A-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B-B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C-C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장치 본체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D-D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컵 세척기 및 수도꼭지를 숨긴 후의 분해도 중의 하나이고;
도 11은 도 1의 컵 세척기 및 수도꼭지를 숨긴 후의 분해도 중의 다른 하나이고;
도 12는 손잡이 및 분수 밸브 코어의 분해도이고;
도 13은 변형예 2의 구조의 예시도 중 하나이고;
도 14는 변형예 2의 구조의 예시도 중 다른 하나이고;
도 15는 분수 밸브 코어의 사시도이며; 및
도 16은 수도꼭지에 분수 밸브 코어를 적용한 예시도이다.
아래는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배경기술에서 언급되는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하나의 장치에서 2개의 출수 부재를 각각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심지어 어느 한 출수 부재에 별도로 냉수, 온수 및 냉온 혼합수를 제공할 수도 있는 출수 장치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서로 다른 분류 출수 장치의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는 모두 컵 세척기(4)와 수도꼭지(5)가 결합되는 분류 출수 장치이다. 도 1과 도 2의 차이점은 수도꼭지(5)의 스타일이 서로 다른 것이다.
상기 두개의 도면에서 알수 있다시피,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분류 출수 장치는 장치 본체(1)를 구비한다. 아울러 도 3을 결합하면, 도 3은 본 실시예에서, 장치 본체(1)의 사시도이고, 도 1 내지 도 3에서 알수 있다시피, 장치 본체(1)는 전체적으로 기둥체로 구성되고, 실제 적용에서는 수평으로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의 시각에서 볼때, 장치 본체(1)의 중부에서 위로 향하는 위치에는 하나의 제1 출수부재가 연결되는바, 본 실시예에서 제1 출수부재는 하나의 수도꼭지(5)이다. 윗문장에서 알수 있는바, 도 1 및 도 2에서 수도꼭지(5)의 외관은 서로 다르다. 이렇게 하면 실제 적용 장면 및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1)의 중부에서 아래로 향하는 위치에는 외부에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접속부가 있으며, 상기 접속부는 외부에 도시의 수돗물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냉온물을 실현해야 하므로, 상기 접속부는 실제 사용에서 온수도 연결되어야 한다.
또한, 장치 본체(1)의 좌측에는 하나의 제2 출수부재가 연결되는바, 본 실시예에서는 컵 세척기(4)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출수부재는 수도꼭지(5)이고, 제2 출수부재는 컵 세척기(4)이다. 물론 실제 사용에서는 다른 조합의 방식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래문장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수도꼭지(5)는 회동 가능한 설계로서, 수도꼭지(5)의 출수단은 컵 세척기(4)의 윗쪽까지 회동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컵 세척기(4)를 결합하여 사용됨으로써, 수도꼭지(5)의 출수단이 컵 세척기(4)의 윗쪽까지 이동하여 회동될 경우, 컵 세척기(4)와 수도꼭지(5)는 그릇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각각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면 그릇을 세척하는 효율을 증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에서 알수 있다시피, 장치 본체(1)의 좌측에는 하나의 손잡이(3)가 장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가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효과는 분류 출수 장치를 통해 제1 출수부재와 제2 출수부재 각각으로 물 흐름을 유도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실현 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는 공급되는 물의 유입을 위한 도입 챔버(11)를 구비하며, 상기 도입 챔버(11)는 도입 유로에 상당하며, 물을 제1 출수부재의 제1 출수 챔버(12)로 유도하고, 물을 제2 출수부재의 제2 출수 챔버(13)와 손잡이(3)에 연결되는 하나의 포트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장치 본체(1)의 저면도이고, 장치 본체(1)의 저부를 볼수 있다.
다음 도 4에서 알수 있다시피, 상기 장치 본체(1)는 도입 챔버(11)의 끝단에 도입 챔버(11)를 막는 하나의 평면을 갖고, 상기 평면위에는 총 3개의 홀이 있으며, 그 중 비교적 큰 2개의 홀은 각각 온수 유로(143)와 냉수 유로(144)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 윗측에 위치하는 홀을 온수 유로(143)로 정의하고, 아래측에 위치하는 홀을 냉수 유로(144)로 정의한다. 도 4에서 알수 있다시피, 상기 평면은 분류 하부벽(147)이다.
다음 도 5를 보면, 도 5는 도 4에서 A-A 방향의 단면도이고; 구체적으로 말하면 온수 유로(143)의 중심에서 수평으로 절단하여 얻은 단면도이다.
다음 도 6을 보면, 도 6은 도 4에서 B-B 방향의 단면도이고; 구체적으로 말하면 냉수 유로(144)의 중심에서 수평으로 절단하여 얻은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와 도 6을 결합하면, 상기 장치 본체(1)의 내부는 도입 챔버(11)를 구비하며, 상기 도입 챔버(11)는 물을 제1 출수부재의 제1 출수 챔버(12)로 유도하고, 물을 제2 출수부재의 제2 출수 챔버(13), 손잡이(3)에 연결되는 하나의 포트 및 하나의 분류 시트(14)로 유도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분류 시트(14)는 상기 제1 출수 챔버(12), 제2 출수 챔버(13) 및 도입 챔버(11)의 교차부분에 위치한다.
도 5 및 도 6에서 알수 있다시피, 분류 시트(14) 내에는 냉수 유로(144) 및 온수 유로(143)가 형성된다. 또한 도 5에서 알수 있다시피, 상기 온수 유로(143)는 직각 코너를 갖는 하나의 유로이고, 도 6에서 알수 있다시피, 상기 냉수 유로(144)는 직각 코너를 갖는 하나의 유로이다.
다음 도 7을 보면, 도 7은 도 4에서 C-C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7에서 알수 있다시피, 냉수 유로(144)와 온수 유로(143)는 각각 도입 챔버(11)와 연통되고, 또한 냉수 유로(144)와 온수 유로(143)가 도입 챔버(11)에 근접하는 일측 표면은 장치 본체(1)와 연결되며, 이렇게 하면 물 흐름은 냉수 유로(144)와 온수 유로(143)로부터 유입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본 분류 출수 장치의 자체는 물 흐름을 가열하지 않으므로, 온수 유로(143)는 전문적으로 뜨거운 수돗물이 유입되어야 한다.
또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 유로(143)와 냉수 유로(144)는 모두 도입 챔버(11) 중 물 흐름을 분류 시트(14)의 좌측 챔버로 유도한다. 좌측의 챔버 내부는 하나의 분수 밸브 코어(2)를 넣기 위한 것이며, 상기 분수 밸브 코어(2)는 물 흐름을 상기 제1 출수 챔버(12)와 제2 출수 챔버(13)로 각각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것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도 10은 도 1의 컵 세척기(4) 및 수도꼭지(5)를 숨긴 후의 분해도 중의 하나이고, 다음 도 11을 결합하면, 도 11은 도 1의 컵 세척기(4) 및 수도꼭지(5)를 숨긴 후의 분해도 중의 다른 하나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알수 있다시피, 분수 밸브 코어(2)는 분류 시트(14)의 좌측 챔버 내 즉 아래에서 설명되는 수용 챔버(16) 내에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분수 밸브 코어(2)는 아래와 같은 부재를 구비한다.
밸브 바디(21)는, 공급되는 물이 도입 챔버(11) 내에 유입되는 입수구, 및 상기 제1 출수 챔버(12)와 제2 출수 챔버(13)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출수구(22)와 제2 출수구(23)를 구비한다.
밸브 스템(26)은, 밸브 바디(21) 내에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어 설치되며, 회동을 통해 제1 출수구(22) 또는 제2 출수구(23)를 독립적으로 개방한다.
상기 분류 출수 장치는 적어도 아래의 두가지 상태를 갖게 된다.
제1 출수구(22)가 개방될 경우, 물 흐름은 입수구, 제1 출수구(22)를 거쳐 상기 제1 유로(15)로 흐르거나, 또는
제2 출수구(23)가 개방될 경우, 물 흐름은 입수구, 제2 출수구(23)를 거쳐 상기 제2 유로(142)로 흐른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스템(2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장치 본체(1)에서 돌출된다. 다음 이어서 도 11을 보면, 상기 분류 출수 장치는 손잡이(3)를 더 구비하며, 손잡이(3) 내부에는 구동 홀(31)이 형성되고, 손잡이 외부에는 구동 로드(32)가 형성된다. 손잡이(3)를 회동할 경우 밸브 스템(26)은 구동 홀(31)을 통해 회동하도록 구동되어, 서로 다른 상태 사이의 전환을 실현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스템(26)의 표면에는 랙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홀(31)의 내면에는 톱니홈 있어, 톱니와 랙의 결합을 통해 손잡이(3)의 밸브 스템(26)에 대한 구동을 실현한다.
특히, 다음 도 12를 결합하면, 도 12는 손잡이(3) 및 분수 밸브 코어(2)의 분해도이다.
도 12에서 알수 있다시피,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수구는 아래와 같은 부재를 포함한다.
냉수 입구(24)는, 상기 냉수 유로(144) 중의 일단과 연통된다.
온수 입구(25)는, 상기 온수 유로(143) 중의 일단과 연통된다.
또한 도 12에서 알수 있다시피, 상기 제2 출수구(23)의 개수는 하나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2 출수구(23)의 개수는 4개이고, 밸브 바디의 가장자리에 둘러싸여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분수 밸브 코어(2)의 관련 구조는, 특허번호가 201320125523X인 중국발명특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특허는 구체적으로 세라믹 밸브 코어를 공개하였다. 여기서 상기 밸브 스템(26)의 기능은 상기 특허문에서의 레버와 유사하다.
또는, 특허번호가 2012204650397인 중국발명특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특허는 구체적으로 세라믹 밸브 코어를 공개하였다.
또는, 특허번호가 2011104497537인 중국발명특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특허는 구체적으로 세라믹 밸브 코어를 공개하였다.
또는, 특허 번호가 2019203557068인 중국발명특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특허는 구체적으로 신형 분수 스위치 세라믹 밸브 코어를 공개하였다. 여기서 상기 밸브 스템(26)의 기능은 상기 특허 문장에서의 회전 레버와 유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분수 밸브 코어(2)의 기능은 7가지 상태, 구체적으로는 냉수, 온수 또는 냉온 혼합수가 제1 출수구(22)로부터 유출되는 3가지 상태, 냉수, 온수 또는 냉온 혼합수가 제2 출수구(23)로부터 유출되는 3가지 상태, 및 마지막으로 제1 출수구(22)와 제2 출수구(23)가 동시에 폐쇄되는 상태를 제공하는 것을 실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수 밸브 코어(2)가 이중 분수 및 냉수, 온수 또는 냉온 혼합수의 3가지 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구조는 상기 2개의 특허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 대응되는 상기 분류 출수 장치도 7가지 상태를 갖는다. 상기 7가지 상태는 각각 냉수, 온수 또는 냉온 혼합수가 제1 출수부재로부터 유출되는 경우의 3가지 상태, 냉수, 온수 또는 냉온 혼합수가 제2 출수부재로부터 유출되는 경우의 3가지 상태, 및 제1 출수부재와 제2 출수부재가 모두 폐쇄되는 상태인 총 7가지 상태이다.
하지만, 상태 전환의 과정은 도 1, 도 2,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손잡이(3)를 통해, 손잡이(3)로 분수 밸브 코어(2)의 밸브 스템(26)을 회동시켜 전환을 실현한다.
아울러, 도 5,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 본체(1)의 일단에는 수용 챔버(16)가 형성되고, 상기 분수 밸브 코어(2)가 상기 수용 챔버(16) 내에 배치되며, 좌측으로 회전할 경우 컵 세척기(4)의 출수를 제어하고, 우측으로 회전할 경우 수도꼭지(5)의 출수를 제어하며, 또는 반대로도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물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있을 경우, 컵 세척기(4)와 수도꼭지(5)는 모두 출수가 폐쇄된 상태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2에서 알 수 있다시피, 상기 분수 밸브 코어(2)의 밸브 바디(21)는 냉수 입구(24) 및 온수 입구(25)를 갖는다. 중점적으로 도 10을 보면, 상기 냉수 입구(24)는 상기 냉수 유로(144)의 타단과 연통되고, 구체적으로 냉수 유로(144)의 끝단과 상호 연통되며, 추가적으로는 상대적으로 설치하는바, 즉 도 6에서, 냉수 유로(144)의 우측 단부와 상호 연통된다.
또한 상기 온수 입구(25)는 상기 온수 유로(143)의 타단과 연통되고, 구체적으로 온수 유로(143)의 끝단과 상호 연통되며, 추가적으로는 상대적으로 설치하는바, 즉 도 5에서, 온수 유로(143)의 우측 단부와 상호 연통된다.
다음 도 8을 보면, 도 8은 장치 본체(1)의 측면도이고, 다시말하면 도 4에서의 우측면도이다. 도 8에서 알수 있다시피 수용 챔버(16)의 일측으로부터 볼 경우, 분류 시트(14)에는 총 5개의 홀 자리와 하나의 틈이 분포된다.
여기서, 위측 2개는 각각 냉수 유로(144)와 온수 유로(143)의 단면이고, 제일 아래측 2개는 분수 밸브 코어(2)를 장착하기 위한 포지셔닝 홀(145)이며, 대응하는 분수 밸브 코어(2)에는 포지셔닝 홀(145)과 적합한 2개의 포지셔닝 돌출 기둥(28)을 갖는다.
또한 도 8에서 알수 있다시피, 상기 분류 시트(14)는 중간에 제2 유로(142)를 더 갖는다. 다음 도 9를 결합하면, 도 9는 도 8에서 D-D 방향의 단면도이고, 다시말하면 제2 유로(142)의 중부에서 수평으로 절단하여 얻은 단면도이다
도 9에서 알수 있다시피 아래에서 위까지 순서대로 수용 챔버(16), 분류 시트(14) 및 제2 출수 챔버(13)가 구비된다. 상기 분류 시트(14)의 중부에는 상기 제2 유로(142)가 있고, 제2 유로(142)의 위측은 각각 냉수 유로(144)와 온수 유로(143)의 횡단면이며, 또한 냉수 유로(144)의 횡단면과 분류 시트(14)의 내측 벽 사이에는 배수 간극(146)이 있다. 아울러 온수 유로(143)의 횡단면과 분류 시트(14)의 내측 벽 사이에도 배수 간극(146)이 있다.
따라서 물 흐름은 제2 출수구(23)를 거쳐 유출된 후, 제2 유로(142) 및 상기 배수 간극(146)을 거쳐 상기 제2 출수 챔버(13) 내에 유입됨으로써, 컵 세척기(4)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유로(142)는 상기 분류 시트(14)를 관통하여 각각 상기 제2 출수 챔버(13) 및 제2 출수구(23)와 상호 연통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알수 있다시피, 상기 분류 시트(14)는 분류 상부벽(141)을 더 갖는다. 상기 분류 상부벽(141)과 상기 제1 출수 챔버(12)의 헤드단 사이에는 제1 유로(15)가 형성되고, 제1 유로(15)의 양측은 각각 상기 제1 출수 챔버(12) 및 제1 출수구(22)와 상호 연통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더 알수 있다시피, 상기 설명에서 언급되는 분류 하부벽(147)은 도 5와 도 6에도 동시에 나타난다. 또한 상기 분류 하부벽(147)은 상기 도입 챔벼(11)와 제2 출수 챔버(13)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 흐름이 도입 챔버(11)로부터 유입된 후 분류 하부벽(147)을 통과하여 수용 챔버(16) 내에 유입되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분류 상부벽(141)과 분류 하부벽(147)의 조합은 물 흐름이 도입 챔버(11)로부터 유입된 후의 흐름 방향을 추가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말하면 먼저 물 흐름을 모두 분수 밸브 코어(2)가 위치하는 수용 챔버(16) 일측으로 모두 집중시키고, 다음 분수 밸브 코어(2)의 상태에 따라 다시 제1 출수부재 또는 제2 출수부재에 대응되게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물 흐름은 제1 출수구(22)를 거쳐 유출된 후, 제1 유로(15)를 거쳐 상기 제1 출수 챔버(12) 내에 유입됨으로써, 수도꼭지(5)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알수 있다시피, 상기 컵 세척기(4)는 아래와 같은 부재를 구비한다.
트레이(41)는, 공급되는 물이 트레이(41)에서 유출되는 출구(42)를 갖는다.
탄성 출수기(43)는, 복수의 스프레이 암(44)을 구비하며, 스프레이 암(44)은 제2 출수 챔버(13) 내의 물을 피세척물로 분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알수 있다시피 상기 장치 본체(1)의 좌측 상단 표면에는 하나의 나사 홀이 있고, 또한 상기 장치 본체(1)의 일단에는 컵 세척기의 장착 자리(17)가 있으며, 컵 세척기의 장착 자리(17)는 나사 홀이 있는 위치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장착 자리의 상단은 경사면이고, 트레이(41) 내의 수분이 상기 출구(42)를 통해 유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트레이(41) 위에는 체결부재가 더 배치된다. 체결부재는 상기 트레이(41)와 컵 세척기의 장착 자리(17)를 동시에 관통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나사 홀을 관통한다.
분수 밸브 코어의 구조 특점을 추가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상기 4편의 특허문 및 도면을 참조하는 외에, 도 15 및 도 16을 추가적으로 더 참조할 수 있다. 도 15는 분수 밸브 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분수 밸브 코어를 수도꼭지에 적용한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15에서 알수 있다시피 분수 밸브 코어의 위에서부터 아래로는 각각 밸브 스템(26), 밸브 스템(26)의 아래측의 밸브 바디(21)가 있다. 또한 밸브 바디에는 2개의 홀이 있으며, 상기 2개의 홀은 제1 출수구(22)이다. 제1 출수구(22) 하단에는 포지셔닝 돌출 기둥(28)이 있다.
또한 구체적인 것은 도 16을 참조하며, 도 16은 분수 밸브 코어를 수도꼭지에 적용한 경우의 예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수 있다시피, 분수 밸브 코어는 수도꼭지 내부에 장착되고, 분수 밸브 코어의 밸브 스템(26)은 수도꼭지의 회전식 손잡이에 연결된다. 도면에서의 "C"는 냉수를 나타내고, "H"는 온수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22로 표기된 곳에는 하나의 윈도우가 있고, 이와 대응되는 우측에도 하나의 윈도우가 있으며, 상기 2개의 윈도우는 모두 제1 출수구(22)이다. 따라서 도 16에서 알수 있다시피 제1 출수구(22)에서 출수되어 수도꼭지의 우측 단부로 유출된다.
또한 상기 제1 출수구(22)의 하단에는 하나의 포지셔닝 돌출 기둥(28)이 있으며, 포지셔닝 돌출 기둥(28)의 우측에는 하나의 제2 출수구(23)가 있고, 제2 출수구(23)의 일측에는 화살표가 위로 향하는 입수구가 있다. 투영 관계로, 여기의 입수구는 온수 입구(25) 및 냉수 입구(24)로 나뉜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 알수 있다시피 온수 입구(25), 냉수 입구(24), 제1 출수구(22) 및 제2 출수구(23)는 모두 냉수, 온수 및 냉온 혼합수를 유출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도 16은 단지 본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분수 밸브 코어 중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다.
이어서 실시예 1의 동작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장치 본체(1) 하단의 도입 챔버(11)에 냉수 배관 및 온수 배관이 연결되고, 냉수 배관 및 온수 배관에 각각 냉수 유로(144) 및 온수 유로(143)가 연결된다. 따라서 냉수는 각각 냉수 배관으로부터 냉수 유로(144)로 유입되고, 온수는 각각 온수 배관으로부터 온수 유로(143)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온수 유로(143) 및 냉수 유로(144)는 직각으로 회전한 후 각각 수용 챔버(16)에 진입한다. 이때 수용 챔버(16) 내의 분수 밸브 코어(2) 위의 냉수 입구(24) 및 온수 입구(25)는 각각 냉수 유로(144) 및 온수 유로(143)에 대응하여 연통된다.
다음으로, 밸브 스템(26)에 대한 손잡이(3)의 작용에 따라, 이때 분수 밸브 코어(2)에는 상기에서 언급되는 7가지 상태가 존재한다. 여기서, 제1 출수부재 다시말하면 수도꼭지(5)로 물을 공급해야 할 경우, 이때 밸브 바디(21) 위의 제1 출수구(22)는 개방 상태이지만, 제2 출수구(23)는 폐쇄 상태이다. 다음 제1 출수구(22)의 개방으로 인해, 이때 물 흐름은 제1 유로(15)를 통과하여 제1 출수 챔버(12) 내에 유입됨으로써, 제1 출수부재 다시말하면 수도꼭지(5)로의 물 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출수부재 다시 말하면 컵 세척기(4)로 물을 공급해야 할 경우, 이때 밸브 바디(21) 위의 제2 출수구(23)는 개방 상태이지만, 제1 출수구(22)는 폐쇄 상태이다. 다음 제2 출수구(23)의 개방으로 인해, 이때 물 흐름은 제2 유로(142), 배수 간극(146)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제2 출수 챔버(13) 내에 유입됨으로써, 제2 출수부재 다시말하면 컵 세척기(4)로의 물 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변형예 1
실시예 1에서는, 컵 세척기의 장착 자리(17) 윗면에 경사면을 배치하여 배수 성능을 증가하는 것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레이(41) 내의 하단면은 경사면을 가져, 수분이 상기 출구(42)를 통해 유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이렇게 하면 트레이(41)가 플라스틱 부품일 경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변형예 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은 변형예 2의 구조의 예시도 중 하나이고, 도 14는 변형예 2의 구조의 예시도 중 다른 하나이다. 상기 2개의 도면에서 알수 있다시피, 도 1 및 도 2와 비교할 경우, 상기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 서로 다른 스타일의 2가지 수도꼭지(5)의 형태가 공개되었다.
물론 본 발명은 다른 수도꼭지(5)의 형태로 교체하는 것을 통해, 서로 다른 사용 장면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를 실시예 1과 비교할 경우, 아래와 같은 차이점을 갖는다.
상기 제1 출수부재는 컵 세척기(4)이고;
상기 제2 출수부재는 수도꼭지(5)이다.
이렇게 설계할 경우 그 장점은, 컵 세척기(4)의 고빈도 사용 수요에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출수부재 및 상기 제2 출수부재는 교체 가능함도 증명할 수 있다. 심지어 2개의 출수 부재는 모두 컵 세척기(4)이거나, 또는 2개의 출수 부재는 모두 수도꼭지(5)일 수도 있다.
상호 배척하는 특징 및/또는 단계를 제외하고, 본 명세서에서 공개되는 모든 특징, 또는 공개되는 모든 방법 또는 과정에서의 단계는 모두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임의의 추가적인 청구항, 요약 및 도면에서 공개되는 임의의 특징을 포함하며,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모두 다른 등가 또는 유사한 목적을 갖는 대체 특징으로 교체될 수 있다. 즉,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각 특징은 단지 일련의 등가 또는 유사한 특징 중의 일예일 뿐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이해해야 할 것은, 용어 "일단", "타단", "외측", "위", "내측", "수평", "동축", "중앙", "단부", "길이", "외측 단부" 등 표시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기반하여 도시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이며, 단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 및 설명의 간편화를 위한 것일 뿐이며,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특정되는 방위를 갖고, 특정되는 방위로 구성되고 작동되어야 함을 표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다른 명확하고 구체적인 한정이 없는 한, "복수"는, 예를 들면, 2개, 3개 등 적어도 2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예를 들면, "위", "윗측", "아래", "아래측" 등 공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목적으로,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는 하나의 유닛 또는 특징이 다른 하나의 유닛 또는 특징에 대한 상대적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공간의 상대적인 위치의 용어는 기기가 사용 또는 동작 중 도면에 도시되는 방위를 제외하는 서로 다른 방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서의 기기가 반전할 경우, 다른 유닛 또는 특징의 "아래측"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된 유닛은 다른 유닛 또는 특징의 "윗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 "아래측"은 윗측 및 아래측의 2가지 방위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는 다른 방식으로 90도 또는 다른 방향으로 지향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본문에서 사용되는 공간과 관련되는 설명어구를 상응하게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른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없는 한, 용어 "설치", "커버 연결", "연결", "관통" 및 "플러깅(plugging)" 등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다른 명확한 한정이 없는 한, 고정 연결일 수 있고, 탈부착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기계적인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인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인 상호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인 상호 연결일 수 있으며, 2개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2개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서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뜻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 형태, 원리에 따라 진행되는 등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1: 장치 본체
2: 분수 밸브 코어
3: 손잡이
4: 컵 세척기
5: 수도꼭지
11: 도입 챔버
12: 제1 출수 챔버
13: 제2 출수 챔버
14: 분류 시트
15: 제1 유로
16: 수용 챔버
17: 장착 자리
21: 밸브 바디
22: 제1 출수구
23: 제2 출수구
24: 냉수 입구
25: 온수 입구
26: 밸브 스템
28: 포지셔닝 돌출 기둥
31: 구동 홀
32: 구동 로드
41: 트레이
42: 출구
43: 탄성 출수기
44: 스프레이 암
141: 분류 상부벽
142: 제2 유로
143: 온수 유로
144: 냉수 유로
145: 포지셔닝 홀
146: 배수 간극
147: 분류 하부벽

Claims (10)

  1. 물 흐름을 각각 제1 출수 부재 및 제2 출수 부재로 유도하기 위한 분류 출수 장치에 있어서,
    장치 본체(1)의 내부를 제1 출수 챔버(12), 제2 출수 챔버(13), 수용 챔버(16) 및 도입 챔버(11)로 분할하는 분류 시트(14)가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 본체(1)가 포함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출수 챔버(12)는 물 흐름을 제1 출수 부재로 유도하고, 제1 출수 챔버(12)와 수용 챔버(16) 사이에 제1 유로(15)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출수 챔버(13)는 물 흐름을 제2 출수 부재로 유도하고, 제2 출수 챔버(13)와 수용 챔버(16) 사이에 제2 유로(142)가 설치되며; 및
    수용 챔버(16)와 도입 챔버(11) 사이에 입수 통로가 설치되고;
    또한, 수용 챔버(16) 내에 배치되고, 물 흐름을 각각 상기 제1 유로(15) 또는 제2 유로(142)로 유도하기 위한 분수 밸브 코어(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출수 부재는 수도꼭지(5)이며, 그 출수단은 컵 세척기(4)의 상측까지 회동 가능하고; 및
    상기 제2 출수 부재는 컵 세척기(4)이며; 수도꼭지(5)의 출수단이 컵 세척기(4)의 상측까지 회동될 경우, 컵 세척기(4)와 수도꼭지(5)는 그릇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각각 세척할 수 있고;
    상기 분류 시트(14)는,
    상기 수용 챔버(16)와 제1 출수 챔버(12)를 분할하기 위한 분류 상부벽(141); 또한 상기 분류 상부벽(141)과 장치 본체(1) 내벽면 사이에 제1 유로(15)가 설치되고; 및
    상기 도입 챔버(11)와 제2 출수 챔버(13)를 분할하여, 물 흐름을 상기 도입 챔버(11)로부터 유입된 후 통과하여 수용 챔버(16) 내에 유입되게 하는 분류 하부벽(147);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 챔버(16)의 바닥부에는 포지셔닝 홀(145)이 개설되고, 상기 분수 밸브 코어(2)에는 포지셔닝 홀(145)과 적합한 2개의 포지셔닝 돌출 기둥(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출수 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분수 밸브 코어는 적어도,
    상기 입수 통로에 대응되는 입수구, 및 상기 제1 유로(15)와 제2 유로(142)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출수구(22)와 제2 출수구(23)를 갖는 밸브 바디(21); 및
    적어도 일단의 일부분이 밸브 바디(21) 내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회동을 통해 제1 출수구(22) 또는 제2 출수구(23)를 개별적으로 개방하는 밸브 스템(26);을 구비하여,
    상기 분류 출수 장치가 적어도,
    제1 출수구(22)가 개방될 경우,
    물 흐름은 입수구, 제1 출수구(22)를 거쳐 상기 제1 유로(15)로 흐르거나; 또는
    제2 출수구(23)가 개방될 경우, 물 흐름은 입수구, 제2 출수구(23)를 거쳐 상기 제2 유로(142)로 흐르는 두가지 상태를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출수 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템(2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장치 본체(1)에서 돌출되며;
    상기 분류 출수 장치는 손잡이(3)를 더 구비하고, 손잡이(3) 내부에는 구동 홀(31)이 형성되며, 손잡이(3)가 회동할 경우 밸브 스템(26)은 구동 홀(31)을 통해 구동되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출수 장치.
  4.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입수 통로는 분류 시트(14) 내에 설치되고, 상기 입수 통로에는 온수 유로(143) 및 냉수 유로(144)가 포함되며,
    상기 입수구에는,
    상기 냉수 유로(144) 중의 일단과 연통되는 냉수 입구(24); 및
    상기 온수 유로(143) 중의 일단과 연통되는 온수 입구(25);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출수 장치.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온수 유로(143) 및/또는 냉수 유로(144)는 직각 코너를 갖는 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출수 장치.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컵 세척기(4)는,
    공급되는 물이 트레이(41)로 유출되게 하는 출구(42)를 구비하는 트레이(41);
    제2출수 챔버(13)내의 물을 피세척물에 분무하기 위한 복수의 스프레이 암(44)을 구비하는 탄성 출수기(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출수 장치.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41) 위에는 체결부재가 더 배치되고, 체결부재는 상기 트레이(41)와 컵 세척기의 장착 자리(17)를 동시에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출수 장치.
  8.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1)의 일단은 컵 세척기의 장착 자리(17)를 구비하며, 장착 자리(17)의 상단은 수분이 상기 출구(42)를 거쳐 유출되게 하기 위한 경사면이거나;
    또는, 상기 트레이(41)내 하단면은 경사면을 구비하여, 수분이 상기 출구(42)를 거쳐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출수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26425A 2021-09-25 2022-02-28 분류 출수 장치 KR102544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2328263.3 2021-09-25
CN202122328263 2021-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114A KR20230044114A (ko) 2023-04-03
KR102544282B1 true KR102544282B1 (ko) 2023-06-16

Family

ID=7923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425A KR102544282B1 (ko) 2021-09-25 2022-02-28 분류 출수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101515A1 (ko)
EP (1) EP4155470B1 (ko)
KR (1) KR102544282B1 (ko)
CN (2) CN216975870U (ko)
AU (1) AU2022200374B2 (ko)
ES (1) ES2972176T3 (ko)
GB (1) GB2611125A (ko)
TW (1) TWI808643B (ko)
WO (1) WO2023046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6975870U (zh) * 2021-09-25 2022-07-15 浙江盛美洁具有限公司 一种分流出水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2095A1 (en) * 2006-12-06 2008-06-19 Van Der Linden Wilhelmus Ludov Faucet
CN205592430U (zh) * 2016-03-09 2016-09-21 翰优企业有限公司 浴缸水龙头
WO2018191079A1 (en) * 2017-04-10 2018-10-18 Emerson Electric Co. Faucet with magnetic handle stop
CN110274050A (zh) * 2019-07-25 2019-09-24 路达(厦门)工业有限公司 横梁式两用龙头
CN110836276A (zh) 2019-10-29 2020-02-25 厦门方特卫浴有限公司 一种龙头出水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149Y1 (ko) * 1990-08-31 1994-03-07 아메리칸 스탠다아드 인코포레이팃드 수도꼭지의 분출구 분리용 밸브
DE19648114A1 (de) * 1996-11-21 1998-05-28 Grohe Armaturen Friedrich Eingriffmischventil
KR100880032B1 (ko) * 2007-12-27 2009-01-22 박상태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온냉수혼합꼭지
CN102037268B (zh) * 2008-05-21 2015-09-02 印第安纳马斯科公司 一体式厨用龙头侧喷射器和分水器
HUP0800431A2 (en) * 2008-07-14 2010-04-28 Kerox Ipari Es Kereskedelmi Kf Single-lever mixing faucet operated by turning
CN101718353B (zh) * 2009-11-02 2012-01-18 黎东亮 一种多功能不锈钢水龙头
CN202371216U (zh) * 2011-11-14 2012-08-08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水龙头分水器
CN202790689U (zh) * 2012-09-12 2013-03-13 广东汉特科技有限公司 一种陶瓷阀芯
US9376790B2 (en) * 2013-01-11 2016-06-28 Waxman Consumer Products Group Inc. Flow diverter and operation of same
CN204153220U (zh) * 2014-09-24 2015-02-11 乔登卫浴(江门)有限公司 压差式分水洗杯龙头
KR20180088205A (ko) * 2017-01-26 2018-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대
CA3067165A1 (en) * 2017-06-12 2018-12-20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Combination emergency wash and faucet unit
CN207437834U (zh) * 2017-08-09 2018-06-01 厦门倍杰特科技股份公司 一种三通阀
CN208381463U (zh) * 2018-06-25 2019-01-15 柳荣来 一种带口腔清洗功能的面盆水龙头
US10914056B2 (en) * 2018-09-14 2021-02-09 Delta Faucet Company Vessel rinsing apparatus
CN209839227U (zh) * 2019-03-20 2019-12-24 开平市格莱美卫浴配件有限公司 新型分水开关陶瓷阀芯
CN210562435U (zh) * 2019-06-27 2020-05-19 佛山市顺德洛基特水暖洁具产品有限公司 一种吧台龙头
CA3090252A1 (en) * 2019-08-19 2021-02-19 Delta Faucet Company Vessel rinsing apparatus, drain receptacle, interchangeable nozzle assembly, and faucet system including same
CN216519762U (zh) * 2021-09-25 2022-05-13 浙江盛美洁具有限公司 一种一体式分流出水装置
CN216975870U (zh) * 2021-09-25 2022-07-15 浙江盛美洁具有限公司 一种分流出水装置
CN216715318U (zh) * 2021-12-30 2022-06-10 温州市圣雪卫浴有限公司 一种按压互切分体式洗杯龙头
CN216715317U (zh) * 2021-12-30 2022-06-10 温州市圣雪卫浴有限公司 一种互切分体式洗杯龙头
CN216590101U (zh) * 2021-12-30 2022-05-24 温州市圣雪卫浴有限公司 一种互切一体式洗杯龙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2095A1 (en) * 2006-12-06 2008-06-19 Van Der Linden Wilhelmus Ludov Faucet
CN205592430U (zh) * 2016-03-09 2016-09-21 翰优企业有限公司 浴缸水龙头
WO2018191079A1 (en) * 2017-04-10 2018-10-18 Emerson Electric Co. Faucet with magnetic handle stop
CN110274050A (zh) * 2019-07-25 2019-09-24 路达(厦门)工业有限公司 横梁式两用龙头
CN110836276A (zh) 2019-10-29 2020-02-25 厦门方特卫浴有限公司 一种龙头出水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55470A1 (en) 2023-03-29
US20230101515A1 (en) 2023-03-30
GB202202451D0 (en) 2022-04-06
TW202312929A (zh) 2023-04-01
AU2022200374B2 (en) 2024-02-08
TWI808643B (zh) 2023-07-11
EP4155470C0 (en) 2023-12-20
EP4155470B1 (en) 2023-12-20
CN216975870U (zh) 2022-07-15
ES2972176T3 (es) 2024-06-11
CN115875478A (zh) 2023-03-31
GB2611125A (en) 2023-03-29
KR20230044114A (ko) 2023-04-03
AU2022200374A1 (en) 2023-04-13
WO2023046124A1 (zh)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9563B1 (ko) 식기 세척기
KR100905629B1 (ko) 진동 충격 분사장치
KR102544282B1 (ko) 분류 출수 장치
KR920002884Y1 (ko) 분류 마사아지 장치
KR102334614B1 (ko) 식기세척기
CN113117909B (zh) 出水装置及厨房花洒
JP3816332B2 (ja) シャワーヘッド
CN100371636C (zh) 卫生洁具用混水器
JP2009121205A (ja) シャワーヘッド
CN203214942U (zh) 两功能出水器水路切换结构
CN212284500U (zh) 一种出水装置及厨房花洒
CN209810454U (zh) 一种出水装置
CN210372135U (zh) 一种旋钮控制的出水装置
JP3138904U (ja) シャワーヘッド
JP4260943B2 (ja) 止水機能付き吐水ヘッド
WO2020078035A1 (zh) 洗碗机
CN219680529U (zh) 一种水槽式清洗机
KR20080105452A (ko) 광각분사용 비데 노즐팁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CN213855150U (zh) 一种多功能顶喷
CN111229487A (zh) 一种防滴水花洒
CN218031573U (zh) 一种冲洗器切换结构
CN216539013U (zh) 一种片状水花出水结构
CN215720984U (zh) 一种多路出水的磁吸式水龙头
CN209953076U (zh) 一种一键控制多个出水口的花洒头
WO2021215136A1 (ja) 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