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753B1 -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 Google Patents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753B1
KR102543753B1 KR1020180019993A KR20180019993A KR102543753B1 KR 102543753 B1 KR102543753 B1 KR 102543753B1 KR 1020180019993 A KR1020180019993 A KR 1020180019993A KR 20180019993 A KR20180019993 A KR 20180019993A KR 102543753 B1 KR102543753 B1 KR 102543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upling
sub
waist support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9919A (en
Inventor
남보현
박규태
손정규
유선일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9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753B1/en
Publication of KR2019009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9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7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 지지 구조가 개선된 근력 보조 로봇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은, 사용자의 골반을 감싸도록 형성된 메인 프레임 유닛, 메인 프레임 유닛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하는 서브 프레임 유닛, 메인 프레임 유닛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하는 보조력을 발생시키는 레그 유닛 및 레그 유닛의 하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신발 고정 유닛을 포함하되, 서브 프레임 유닛은, 사용자의 뒤허리를 지지하는 메인 허리 지지부와, 메인 허리 지지부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일측 허리를 지지하고 말단에 결합 홈이 형성된 제1 서브 허리 지지부와, 메인 허리 지지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타측 허리를 지지하는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와,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를 통해 결합 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벨트의 일단이 결합되는 벨트 결합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cle assist robot having an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In addition, a muscle assis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unit formed to surround the user's pelvis, a sub-frame uni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unit to fix the user's waist, and both ends of the main frame unit, respectively. It includes a leg unit installed to extend downward along the user's leg and generating an auxiliary force to assist the user's muscle strength, and a shoe fixing unit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eg unit to support the user's feet, The unit includes a main waist support that supports the user's back waist, a first sub-waist support that is hinged to one end of the main waist support and supports one side of the user's waist and has a coupling groove formed at th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waist support. It includes a second sub-waist support that is hinged to support the user's other waist, and a belt coupling portion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oupling groove through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end portion and to which one end of the belt is coupled.

Description

허리 지지 구조가 개선된 근력 보조 로봇{POWER ASSISTING ROBOT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Muscular assist robot with improved back support structure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허리 지지 구조가 개선된 근력 보조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cle assist robot having an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최근 로봇 관련 기술의 폭넓은 적용에 따라, 장애나 노화 등으로 근력이 저하되어 보행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보행 보조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according to the wide application of robot-related technologies, walking assistance devices for people who have difficulty walking due to reduced muscle strength due to disabilities or aging have been widely used.

일반적으로 보행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탑승한 후 전동식으로 구동되는 탑승식 장치와, 사용자가 착용하고 보행 등의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착용식 장치가 있다.In general, walking assistance devices include a boarding device that is electrically driven after a user rides on the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that is worn by a user and assists in rehabilitation training such as walking.

착용식(wearable type) 장치는 다관절의 골격 구조를 갖는 일종의 로봇으로,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착용식 장치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즉, 보조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근력을 보조한다.A wearable type device is a kind of robot having a multi-joint skeletal structure, and serves to assist the user's muscle strength when worn by the user. The wearable device assists muscle strength by providing a driving force (ie, assisting force) generated from 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to the user.

여기에서, 일본 특허(JP2006-087533A)를 참조하면, 종래의 보행 보조 장치(즉, 근력 보조 로봇)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보행 보조 장치를 살펴보도록 한다. Here, referring to Japanese Patent (JP2006-087533A), a conventional walking assistance device (ie, a muscle power assist robot) is shown. Referring to this, a conventional walking assistance device will be reviewed.

도 1은 종래의 보행 보조 장치의 허리 부분 지지구(즉, 요부 지지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ist support device (ie, a waist support device) of a conventional walking assistance device.

참고로, 도 1은 일본 특허(JP2006-087533A)에 도시된 도면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본 특허(JP2006-087533A)에 기재된 도면 번호를 일부 변경하여 사용하도록 한다.For reference, FIG. 1 is a view shown in Japanese patent (JP2006-087533A),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eference number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JP2006-087533A) are partially changed and us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행 보조 장치의 요부 지지구(11)는 C형으로 형성되고, 우측 및 좌측 개폐부(11b, 11c)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며, 그 사이가 개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waist support 11 of the conventional walking assistance device is formed in a C shape, and the right and left opening and closing parts 11b and 11c ar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nd the gap between them is open. has been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우측 및 좌측 개폐부(11b, 11c)에 힘을 가해 A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요부 지지구(11)에 자신의 허리를 넣을 만큼 우측 및 좌측 개폐부(11b, 11c)를 충분히 개방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apply force to the right and left opening and closing parts 11b and 11c to elastically deform them in the A direction, thereby sufficiently opening the right and left opening and closing parts 11b and 11c to put his or her waist in the waist support 11. can

즉, 사용자 허리의 폭이 우측 및 좌측 개폐부(11b, 11c) 사이의 폭보다 넓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우측 및 좌측 개폐부(11b, 11c)에 힘을 가함으로써 자신의 허리에 요부 지지구(11)를 장착할 수 있다. That is, even when the width of the user's waist is wid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right and left opening and closing parts 11b and 11c,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right and left opening and closing parts 11b and 11c to hold the waist support 11 on his/her waist. can be fitted

다만, 이 경우 사용자의 배 부분이 개방된 상태에서 허리가 고정되는바, 보행 보조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대로 고정되지 않고 흔들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user's waist is fixed while the stomach is open,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may be shaken without being properly fixed to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보행 보조 장치를 벗으려고 할 때 우측 및 좌측 개폐부(11b, 11c)를 A 방향으로 다시 탄성 변형시켜서 벗어야 하는바, 이미 우측 및 좌측 개폐부(11b, 11c)가 사용자 허리를 탄성력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실제로 보행 보조 장치를 벗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ries to take off the walking aid, the right and left opening and closing parts 11b and 11c must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A to take off.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tually take off the walking aid because it is in the state.

그리고 허리가 제대로 고정되어야 고관절 아래에서 발생되는 보행 보조 장치의 보조력이 제대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바, 종래의 요부 지지구(11)로는 허리 고정이 불완전하여 제대로된 보조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불완전하게 전달되는 보조력으로 인해 사용자의 보행이 불가능하거나 사용자가 불안정한 상태로 보행을 하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aist is properly fixed, the assistive force of the walking aid device generated under the hip joint can properly play a role,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proper assistive force to the user due to incomplete waist fixation with the conventional lumbar support (11). there is a problem.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walk due to the incompletely transmitted assisting force or the user walks in an unstable state.

그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허리 사이즈 및 형상이 남녀노소마다 다르기 때문에 전면이 개방된 형상의 종래의 요부 지지구(11)로는 다양한 허리 사이즈 및 형상에 유동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이로 인해 개인 맞춤형 보행 보조 장치에만 종래의 요부 지지구(11)가 적용 가능하고, 범용 보행 보조 장치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s waist size and shape are different for men and women of all ages,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lexibly respond to various waist sizes and shapes with the conventional waist support 11 having an open front shape. Due to this,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lumbar support 11 can be applied only to a personalized walking assistance device,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a general-purpose walking assistance device.

한편 최근에는 전술한 요부 지지구(11)와 다른 허리 지지 구조(즉, 벨트 및 벨크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하는 구조)가 고안되었다. 즉, 벨트로 사용자의 허리 및 배를 감은 후 고리를 통과시켜 벨크로로 고정하는 방식이다.Meanwhile, recently, a waist support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lumbar support 11 (ie, a structure for fixing a user's waist using a belt and Velcro) has been devised. That is, the belt is wrapped around the user's waist and stomach, passed through a loop, and then secured with Velcro.

다만, 이러한 방식의 경우, 벨크로 부위와 벨트의 길이 및 위치를 사전에 정리한 후 보행 보조 장치를 착용해야 하는바, 사전 준비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벨크로 고정 방식으로 인해 보행 보조 장치를 입거나 벗을 때 벨트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벨트에 대해 별도의 정리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 벨트가 하방으로 늘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행 보조 장치 사용 후에는 항상 벨트 및 벨크로 부위를 정리해야 한다는 부담도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is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eparation time is required because the walking aid must be worn after arranging the length and position of the Velcro part and the belt in advance. 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asten or separate the belt when putting on or taking off the walking aid due to the Velcro fixing method. In addition, if the user does not clean the belt separately, the belt may slack down. Therefore, there is a burden of having to always clean up the belt and Velcro parts after using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할 수 있는 근력 보조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cle assist robot capable of fixing a user's waist while minimizing shak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허리 지지 구조를 용이하게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하거나 사용자의 허리에서 제거할 수 있는 근력 보조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cle assist robot capable of easily fixing a waist support structure to a user's waist or removing it from the user's wais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허리 사이즈 및 형상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 가능한 근력 보조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cle power assist robot that can flexibly respond to various waist sizes and shape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의 정리 및 사용이 용이한 근력 보조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cle power assist robot that is easy to organize and use a belt.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은 벨트 결합부에 결합되어 벨트 인입출 홀을 통해 제1 서브 허리 지지부 외부로 인출 가능한 벨트와 제1 서브 허리 지지부의 말단에서 탈착되어 삽입홀을 통해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의 말단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 권취 구조체에 결합 가능한 벨트 결합부를 포함함으로써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할 수 있다.The muscle strength assist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belt coupling part and can be drawn out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through a belt lead-out hole, and a belt that is detached from the end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and is detachable from the end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through an insertion hole to the second sub-waist support. It is possible to fix the user's waist while minimizing shaking by including a belt coupling part that can be coupled to the wire winding structure installed inside the end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은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에서 돌출되도록 와이어 권취 바디의 상면에 구비되고, 인입출 가능한 버튼식 다이얼을 포함함으로써 허리 지지 구조를 용이하게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하거나 사용자의 허리에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 winding body so as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ub-waist support unit, and includes a button-type dial that can be drawn in and out to easily fix the waist support structure to the user's waist or to the user's waist. can be removed fro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은 메인 허리 지지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제1 서브 허리 지지부의 힌지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제1 힌지 결합부와 메인 허리 지지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의 힌지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제2 힌지 결합부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허리 사이즈 및 형상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uscle strength assist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ain lumbar support to enable hinge coupling of the first sub-lumbar support and a first hinge coupling unit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lumbar support to enable hinge coupling of the 2nd sub-lumbar support It is possible to respond flexibly according to various waist sizes and shapes by including a second hinge coupling part enabling coup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은 말단에 결합 홈이 형성된 제1 서브 허리 지지부와 단부(이하에서, 단부는 말단과 혼용하도록 한다)에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를 통해 결합 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벨트의 일단이 결합되는 벨트 결합부를 포함함으로써 벨트를 용이하게 정리 및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oupling groove through the first sub-waist support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at the end and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nd (hereinafter, the end will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end), and a belt By including a belt coupling portion to which one end is coupled, the belt can be easily arranged and used.

본 발명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은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할 수 있는바, 안정적인 보조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조력의 도움을 받아 안정적이게 보행을 할 수 있다. The muscle assist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the user's waist while minimizing shaking, and thus can provide a stable assisting force to the user. Through this, the user can walk stably with the help of the assisting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에서는 허리 지지 구조가 용이하게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되거나 사용자의 허리에서 제거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용이하게 근력 보조 로봇을 입거나 벗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근력 보조 로봇을 입거나 벗는 시간이 저감되는바, 동일한 시간 동안 더 많은 환자가 근력 보조 로봇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근력 보조 로봇이 사용되는 병원의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uscular assist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ist support structure can be easily fixed to or removed from the user's waist, the user can easily put on or take off the muscular assist robot. In addition, through this, the time to put on or take off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is reduced, so that more patients can use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during the same amount of time. Therefore, the profitability of hospitals where muscle assist robots are used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은 다양한 허리 사이즈 및 형상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 가능한바, 남녀노소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사용 편의성도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근력 보조 로봇을 개인 맞춤형이 아닌 범용으로 설계 가능한바, 근력 보조 로봇이 사용되는 병원의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uscle strength assist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lexibly respond to various waist sizes and shapes, it can be used universally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and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Furthermore, since the strength assist robot can be designed for general use rather than individual customization, the profitability of the hospital in which the strength assist robot is used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에서는 벨트의 정리 및 사용이 용이한바, 사용자가 근력 보조 로봇의 착용 전 또는 후에 벨트를 별도로 정리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벨트 처짐 현상 등으로 인해 근력 보조 로봇이 지저분해 보이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는바, 외관도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elt is easy to organize and use in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oes not need to separately organize the belt before or after wearing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and thus,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in which the muscle assist robot looks messy due to a belt sagging phenomenon, and the like, so that the appearance can be improv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보행 보조 장치의 허리 부분 지지구(즉, 요부 지지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근력 보조 로봇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서브 프레임 유닛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서브 프레임 유닛의 일부 구성을 생략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서브 프레임 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서브 프레임 유닛의 일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서브 프레임 유닛의 타측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서브 프레임 유닛을 E-E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벨트 결합부의 탈부착 모습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서브 프레임 유닛의 일부 구성을 생략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서브 프레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4의 서브 프레임 유닛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벨트 착용 및 착용 해제에 따른 다이얼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ist support device (ie, a waist support device) of a conventional walking assistance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scle power assis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of FIG. 2 .
FIG.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subframe unit of FIG. 2 .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subframe unit of FIG. 4 with some components omitted.
6 is a rear view of the sub frame unit of FIG. 5;
FIG. 7 is a side view of the sub frame unit of FIG. 5 .
FIG. 8 is another side view of the sub frame unit of FIG. 5 .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bframe unit of FIG. 4 taken along line EE.
Figure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explaining the detachable state of the belt coupling portion of Figure 9.
FIG. 11 is a plan view in which some components of the subframe unit of FIG. 4 are omitted.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b frame unit of FIG. 11;
13 and 14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fixing a user's waist with the subframe unit of FIG. 4 .
15 to 17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dial according to wearing and unwearing a bel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최근 장애나 노화 등으로 근력이 저하되어 보행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타입(wearable type)의 근력 보조 로봇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 wearable type muscle strength assisting robot worn on the body has been developed and used for people who have difficulty walking due to reduced muscle strength due to disability or aging.

이하에서는, 하체 근력이 저하된 사용자를 위한 하체 착용식 근력 보조 로봇을 예로 들어 그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이하에서, 사용자는 근력 보조 로봇을 착용하는 사람, 보조자는 근력 보조 로봇의 착용을 돕거나 근력 보조 로봇을 이송하는 사람으로 정의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will be briefly described by taking a lower body wearable muscle strength assist robot for a user with reduced lower body muscle strength as an example (hereinafter, the user is a person wearing a muscle power assist robot, and the assistant wears a muscle power assist robot). It is defined as a person who assists or transports a muscle-assisted robo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근력 보조 로봇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scle power assis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of FIG. 2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보행 등의 재활 훈련을 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1)을 하체에 착용할 수 있으며, 근력 보조 로봇(1)은 사용자의 하체 근력을 보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user may wear the muscle assist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lower body when performing rehabilitation training such as walking, and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is the user's It can support lower body strength.

이러한 근력 보조 로봇(1)은 크게 기능 제어를 위한 메인 컨트롤 유닛(2)과 서브 컨트롤 유닛(3), 사용자의 골반과 허리에 각각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 유닛(4)과 서브 프레임 유닛(5), 사용자의 다리에 장착되는 레그 유닛(6)과, 신발을 고정하기 위한 신발 고정 유닛(7)을 포함할 수 있다.This muscular assist robot (1)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2) and a sub-control unit (3) for function control, a main frame unit (4) and a sub-frame unit (5) mounted on the user's pelvis and waist,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leg unit 6 mounted on a user's leg and a shoe fixing unit 7 for fixing shoes.

메인 컨트롤 유닛(2)은 메인 프레임 유닛(4) 상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허리 뒷측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메인 프레임 유닛(4)의 폭을 좌우 방향(즉, 가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은 근력 보조 로봇(1)의 동작을 위해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팩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 유닛(2)의 전면에는 서브 프레임 유닛(5)이 결합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2 is provided on the main frame unit 4, is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user's waist, and adjusts the width of the main frame unit 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ize. can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2 may include a battery pack that provides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 Also, a sub frame unit 5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control unit 2 .

서브 프레임 유닛(5)은 메인 프레임 유닛(4)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하는 부분이다. 또한 서브 프레임 유닛(5)은 원터치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벨트를 통해 사용자의 허리를 근력 보조 로봇(1)에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허리와 접촉되는 부분은 충격 흡수가 가능한 소재(예를 들어, 소프트 폼 재질)가 부착되어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브 프레임 유닛(5)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sub frame unit 5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unit 4 to fix the user's waist. In addition, the sub frame unit 5 can fix the user's waist to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through a belt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in a one-touch manner. In particular,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shock (for example, a soft foam material) is attached to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ser's waist, thereby improving the user's wearing comfort. Details of the sub frame unit 5 will be described later.

메인 프레임 유닛(4)은 메인 컨트롤 유닛(2)을 지지하며, 사용자의 골반 일측에서 타측까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 유닛(4)은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된 부분에 메인 컨트롤 유닛(2)이 장착되며, 이러한 메인 프레임 유닛(4)의 절곡된 부분은 사용자의 허리 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 유닛(4)의 양단부는 사용자의 다리를 향해 하향 배치되는바, 메인 프레임 유닛(4)의 양측에는 경사진 부분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부분에 서브 컨트롤 유닛(3)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frame unit 4 supports the main control unit 2 and may have a shape that surrounds the user's pelvi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addition, the main frame unit 4 has a substantially 'U' shape, and the main control unit 2 is mounted on the bent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of the main frame unit 4 is located at the user's waist.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main frame unit 4 are disposed downward toward the user's legs, and inclined portions exist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unit 4, in which the sub control units 3 are respectively provided. can

서브 컨트롤 유닛(3)은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하는 보조력의 강약을 조절하는 유닛이다. 이러한 서브 컨트롤 유닛(3) 내부에는 보조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보조력은 회전 다이얼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컨트롤 유닛(3)에는 보조력의 정도를 램프로 표시하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될 수 있고, 서브 컨트롤 유닛(3)의 하측에는 레그 유닛(6)이 결합될 수 있다.The sub control unit 3 is a unit that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assisting force to assist the user's muscular strength. A driving means for providing an auxiliary force may be provided inside the sub control unit 3, and the corresponding auxiliary force may be adjusted in a rotary dial manner. In addition, the sub control unit 3 may be provided with an indicator indicating the degree of assisting force by means of a lamp, and a leg unit 6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b control unit 3 .

레그 유닛(6)은 메인 프레임 유닛(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하는 보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leg units 6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ain frame unit 4 to extend downward along the user's legs, and generate an auxiliary force to assist the user's muscle strength.

구체적으로, 레그 유닛(6)은 사용자의 양쪽 다리에 각각 착용되어야 하므로 한 쌍으로 구비되고, 사용자의 허벅지에 장착되는 어퍼 레그 프레임(6a)과, 사용자의 종아리에 장착되는 로어 레그 프레임(6d)과, 어퍼 레그 프레임(6a) 및 로어 레그 프레임(6d) 사이에 구비되어 보조력을 제공하는 레그 구동부(6b)와, 사용자의 다리를 감싸는 벨트(6c)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since the leg units 6 must be worn on both legs of the user, they are provided as a pair and include an upper leg frame 6a mounted on the user's thigh and a lower leg frame 6d mounted on the user's calf and a leg driving unit 6b provided between the upper leg frame 6a and the lower leg frame 6d to provide an auxiliary force, and a belt 6c surrounding the user's leg.

어퍼 레그 프레임(6a) 및 로어 레그 프레임(6d), 레그 구동부(6b)는 사용자의 보행 시 관절 부위의 원활한 굽힘 운동을 위해 사용자의 다리 측면에 배치된다. The upper leg frame 6a, the lower leg frame 6d, and the leg driving unit 6b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ser's leg for smooth bending of the joint during walking.

여기에서, 어퍼 레그 프레임(6a) 및 로어 레그 프레임(6d)에는 원터치 다이얼 방식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벨트(6c)가 각각 구비될 수 있고, 벨트(6c)를 통해 사용자의 다리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어퍼 레그 프레임(6a) 및 로어 레그 프레임(6d)은 레그 구동부(6b)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무릎 관절 운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Here, the upper leg frame 6a and the lower leg frame 6d may each be provided with a belt 6c whose length is adjusted in a one-touch dial method, and the user's legs may be fixed through the belt 6c. . In addition, the upper leg frame 6a and the lower leg frame 6d are rotatabl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user's knee joint with respect to the leg driving unit 6b.

그리고 어퍼 레그 프레임(6a)의 상측은 메인 프레임 유닛(4)의 고관절 구조에 의해 바깥쪽으로 소정 각도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어퍼 레그 프레임(6a) 및 로어 레그 프레임(6d)은 사용자의 다리 각도에 대응하여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다관절 구조를 가질 수 있다.Als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leg frame 6a may be widened out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due to the hip joint structure of the main frame unit 4 . In addition, the upper leg frame 6a and the lower leg frame 6d may have a multi-joint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angles inward or outward in response to the user's leg angle.

또한 레그 구동부(6b)는 모터와 기어 세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리를 움직일 때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하는 보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물론 레그 구동부(6b)는 적절한 보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기어 세트 이외에 다른 구성품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로어 레그 프레임(6d)의 하단에 신발 고정 유닛(7)이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g driving unit 6b may include a motor and a gear set, and may generate an assisting force to assist the user's muscle strength when the user moves the leg. Of course, the leg drive unit 6b may be replaced with components other than a motor and a gear set capable of generating an appropriate auxiliary force. Also, the shoe fixing unit 7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leg frame 6d.

신발 고정 유닛(7)은 레그 유닛(6)의 하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예를 들어, 신발을 신은 상태의 사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다. 참고로, 신발 고정 유닛(7)은 사용자의 신발이 삽입되는 부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바, 신발 사이즈에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의 신발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shoe fixing unit 7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eg unit 6 to support the user's feet (eg, the user's feet in a state of wearing shoes). For reference, the shoe fixing unit 7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user's shoes are inserted, and thus can fix all users' shoes regardless of shoe size.

전술한 바와 같이, 근력 보조 로봇(1)은 각종 구성품을 구비하므로 수 kg 내지 수십 kg의 무게가 나갈 수 있다. 따라서, 근력 보조 로봇(1)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장소에 보관되며, 필요시 보관 장소로부터 이송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includes various components, it may weigh several to several tens of kg. Therefore,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is generally stored in a separate place, and can be transported from the storage place and provided to the user if necessary.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1)은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미도시)에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는 사용자가 근력 보조 로봇(1)을 착용하고 보행할 때 사용자의 보행 보조기 역할을 할 수 있고, 사용자가 근력 보조 로봇을 착용할 때 앉아서 착용할 수 있는 의자 기능도 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For reference,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a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not shown). This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can serve as a user's walking aid when the user wears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and walks, and can also function as a chair that can be worn while sitting when the user wears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Bar, the specific details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1)은 전술한 특징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As such,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above-described features and configuration.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전술한 근력 보조 로봇(1)에 구비된 서브 프레임 유닛(5)의 특징 및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2, the characteristics and configuration of the sub-frame unit 5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muscular assist robot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도 2의 서브 프레임 유닛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서브 프레임 유닛의 일부 구성을 생략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서브 프레임 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서브 프레임 유닛의 일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서브 프레임 유닛의 타측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서브 프레임 유닛을 E-E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벨트 결합부의 탈부착 모습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서브 프레임 유닛의 일부 구성을 생략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서브 프레임 유닛의 단면도이다.FIG.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subframe unit of FIG. 2 .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subframe unit of FIG. 4 with some components omitted. 6 is a rear view of the sub frame unit of FIG. 5; FIG. 7 is a side view of the sub frame unit of FIG. 5 . FIG. 8 is another side view of the sub frame unit of FIG. 5 .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bframe unit of FIG. 4 taken along line E-E. Figure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explaining the detachable state of the belt coupling portion of Figure 9. FIG. 11 is a plan view in which some components of the subframe unit of FIG. 4 are omitted.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b frame unit of FIG. 11;

참고로, 도 5 내지 도 8, 도 11, 12에서 생략된 일부 구성은 예를 들어, 핸들부(1150), 지지 모듈(1120) 등일 수 있다. For reference, some components omitted in FIGS. 5 to 8, 11 and 12 may be, for example, the handle unit 1150 and the support module 1120.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 유닛(5)은 메인 허리 지지부(1100),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 제1 힌지 결합부(1210, 1210'), 제2 힌지 결합부(1310, 1310'), 핸들부(1150), 벨트 결합부(1230), 와이어 권취 구조체(1330)를 포함할 수 있다.4 to 12, the sub frame unit 5 includes a main waist support part 1100, a first sub waist support part 1200, a second sub waist support part 1300, and first hinge coupling parts 1210 and 1210. '), second hinge coupling parts 1310 and 1310', a handle unit 1150, a belt coupling unit 1230, and a wire winding structure 1330.

메인 허리 지지부(1100)는 사용자의 뒤허리를 지지할 수 있다.The main waist support part 1100 may support the user's back waist.

구체적으로, 메인 허리 지지부(1100)는 제1 및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200, 1300)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중심 모듈(1110)과, 중심 모듈(11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뒤허리와 직접 접촉되는 지지 모듈(112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waist support unit 1100 includes a central module 1110 hinged to the first and second sub-waist support units 1200 and 1300, respectively, and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ral module 1110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the back waist of the user. It may include a support module 1120 in direct contact.

여기에서, 중심 모듈(1110)의 일단에는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와의 힌지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제1 힌지 결합부(1210, 1210’)가 설치되고, 중심 모듈(1110)의 타단에는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와의 힌지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제2 힌지 결합부(1310, 1310’)가 설치될 수 있다.Here, at one end of the central module 1110, first hinge coupling parts 1210 and 1210' enabling hinge coupling with the first sub-lumbar support 1200 are installed, and at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module 1110, a first Second hinge coupling parts 1310 and 1310' enabling hinge coupling with the 2 sub-waist support units 1300 may be installed.

참고로, 지지 모듈(112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뒤허리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프트 폼 재질로 이루어진 충격 흡수부가 부착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a shock absorber made of a soft foam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module 1120 to minimize impact on the user's back and waist.

또한 메인 허리 지지부(1100) 내부(즉, 중심 모듈(11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벨트(1250) 및 와이어(1350)가 수납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통로(즉, 제1 가이드 통로(1105))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belt 1250 and a wire 13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accommodated and moved inside the main waist support 1100 (that is, inside the central module 1110) (ie, the first guide passage 1105). can be formed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는 메인 허리 지지부(11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일측 허리를 지지하고, 말단에 결합 홈(1229, 1229')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ub-waist support 1200 is hinged to one end of the main waist support 1100 to support the waist of one side of the user, and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may be formed at the ends.

구체적으로,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는 중심 모듈(111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일측 허리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프트 폼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충격 흡수부(1220)가 부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ub-lumbar support 1200 may be hinged to one end of the central module 1110, and a first shock absorber made of soft foam material ( 1220) may be attached.

즉,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는 중심 모듈(1110)의 일단에 설치된 제1 힌지 결합부(1210, 1210’)에 힌지 결합되고, 제1 충격 흡수부(1220)는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의 내측면에 세척 및 교환이 용이하게 벨크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sub-waist support 1200 is hinged to the first hinge coupling parts 1210 and 121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entral module 1110, and the first shock absorber 1220 is the first sub-waist support It can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1200 in a Velcro manner to facilitate cleaning and replacement.

또한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 내부에는, 후술하는 벨트(1250) 및 와이어(1350)가 수납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통로(즉, 제2 가이드 통로(1205))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guide passage (ie, a second guide passage 1205) through which a belt 1250 and a wire 13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accommodated and moved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sub-waist support 1200.

그리고,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는 내구성과 경량성을 확보하기 위해 예를 들어, 듀랄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또는 카본파이버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first sub-waist support 1200 may be made of, for example, duraluminum alloy, titanium alloy, or carbon fiber material to secure durability and lightn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의 말단에는 벨트 결합부(1230)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제2 가이드 통로(1205)에 수납된 벨트(1250)의 일단을 벨트 결합부(1230)에 결합하기 위해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의 말단에는 벨트 인입출 홀(12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벨트 결합부(1230)에 결합된 벨트(1250)는 벨트 인입출 홀(1232)을 통해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 외부로 인출 가능하다.In addition, a belt coupling part 123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part 1200 . In addition, a belt lead-out hole 123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1200 to couple one end of the belt 1250 stored in the second guide passage 1205 to the belt coupling part 1230. It can be. That is, the belt 1250 coupled to the belt coupling part 1230 can be drawn out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1200 through the belt lead-out hole 1232 .

그뿐만 아니라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의 말단에는 결합 홈(1229, 1229')이 음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may be engraved at the ends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1200.

구체적으로, 벨트 인입출 홀(1232)은 결합 홈(1229, 1229')의 중간에 형성되고, 벨트 인입출 홀(1232)을 기준으로 벨트 인입출 홀(1232)의 양 옆에 제1 및 제2 결합 홈(1229, 1229')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elt lead-out hole 123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and the first and second belt lead-out holes 1232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elt lead-out hole 1232. Two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may be formed.

즉, 결합 홈(1229, 1229')은 후술하는 제1 결합 돌기(1234)와 결합되는 제1 결합 홈(1229)과, 후술하는 제2 결합 돌기(1234')와 결합되고 제1 결합 홈(1229)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 결합 홈(1229')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벨트 결합부(1230)의 결합 돌기(1234, 1234')가 결합 홈(1229, 1229')에 파지됨으로써 벨트 결합부(1230)가 결합 홈(1229, 1229')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are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groove 1229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34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coupling projection 1234′ described later,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 1229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groove 1229' formed to face. That is, as the coupling protrusions 1234 and 1234' of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described later are gripped in the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is attachable and detachable to the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can be installed

또한, 결합 홈(1229, 1229')은 벨트 결합부(1230)의 좌우 유동(즉, 좌우 움직임)에 상관없이 결합 돌기(1234, 1234')가 자연스럽게 결합 홈(1229, 1229')에 안착 또는 형합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가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allow the coupling protrusions 1234 and 1234' to naturally sit in the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regardless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belt coupling part 1230 (ie, left and right movement). It can be processed into a curved surface so that it can be molded.

한편,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는 메인 허리 지지부(110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타측 허리를 지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sub waist support 1300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waist support 1100 to support the user's other waist.

구체적으로,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는 중심 모듈(111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타측 허리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프트 폼 재질로 이루어진 제2 충격 흡수부(1320)가 부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may be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module 1110, and on the inner surface there is a second shock absorber made of soft foam material to minimize impact on the user's other waist. 1320) may be attached.

즉,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는 중심 모듈(1110)의 타단에 설치된 제2 힌지 결합부(1310, 1310’)에 힌지 결합되고, 제2 충격 흡수부(1320)는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의 내측면에 세척 및 교환이 용이하게 벨크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is hinged to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s 1310 and 131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module 1110, and the second shock absorber 1320 is the second sub-waist support It can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1300 in a Velcro manner to facilitate cleaning and replacement.

또한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 내부에는 후술하는 벨트(1250) 및 와이어(1350)가 수납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통로(즉, 제3 가이드 통로(1305))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guide passage (ie, a third guide passage 1305) through which a belt 1250 and a wire 13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accommodated and moved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그리고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의 말단 내부에는 벨트(1250)의 타단에 연결된 와이어(1350)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체(133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와이어 권취 구조체(1330)에 벨트 결합부(1230)를 결합하기 위해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의 말단에는 삽입홀(1332)이 형성될 수 있다.A wire winding structure 1330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135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elt 125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end of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 In addition, an insertion hole 1332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to couple the belt coupling part 1230 to the wire winding structure 1330 therein.

참고로,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는 내구성과 경량성을 확보하기 위해 예를 들어, 듀랄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또는 카본파이버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reference,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duralumin alloy, a titanium alloy, or a carbon fiber material to secure durability and lightn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힌지 결합부(1210, 1210’)는 메인 허리 지지부(1100)의 일단에 설치되어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의 힌지 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first hinge coupling parts 1210 and 1210' ar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ain waist support part 1100 to enable hinge coupling of the first sub waist support part 1200.

구체적으로, 제1 힌지 결합부(1210, 121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중심 모듈(1110)의 일단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hinge coupling parts 1210 and 1210′ are configured as a pair,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entral module 1110, respectively, and the first sub-lumbar support 1200 can be hinged.

또한 제1 힌지 결합부(1210, 1210’)에는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의 후방 회동 가능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1 스토퍼(1211)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는 제1 스토퍼(1211)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 가능한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stopper 1211 for limiting a rearward rotation range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1200 may b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first hinge coupling parts 1210 and 1210′. That is, the range in which the first sub-waist support 1200 can rotate backward can be limited by the first stopper 1211 .

또한,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는 전방으로 회동시 중심 모듈(1110)의 일단에 걸려서 전방 회동 가능 범위도 제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sub-lumbar support 1200 rotates forward, it is caught on one end of the central module 1110, so that the forward rotation range may be limited.

즉,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는 제1 힌지 결합부(1210, 1210’)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바, 사용자가 근력 보조 로봇(1)을 착용하고자 서브 프레임 유닛(5)에 자신의 허리를 고정할 때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가 사용자의 허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전후방으로 틸팅(tilting)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ub-waist support 1200 can be rota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by the first hinge coupling parts 1210 and 1210', so that the user wants to wear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the sub-frame unit. When the user's waist is fixed at (5), the first sub-waist support 1200 can be naturally tilted forward and backward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waist.

이에 따라,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는 다양한 허리 사이즈 및 형상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 가능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first sub-waist support 1200 can flexibly respond to various waist sizes and shapes.

한편, 제2 힌지 결합부(1310, 1310’)는 메인 허리 지지부(1100)의 타단에 설치되어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의 힌지 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s 1310 and 1310′ may be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waist support part 1100 to enable the second sub waist support part 1300 to be hinged.

구체적으로, 제2 힌지 결합부(1310, 131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중심 모듈(1110)의 타단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s 1310 and 1310′ are configured as a pair,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module 111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can be hinged.

또한 제2 힌지 결합부(1310, 1310’)에는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의 후방 회동 가능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2 스토퍼(1311)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는 제2 스토퍼(1311)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 가능한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stopper 1311 for limiting a rearward pivotable range of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may b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at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s 1310 and 1310′. That is, the range in which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can rotate backward can be limited by the second stopper 1311 .

또한,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는 전방으로 회동시 중심 모듈(1110)의 타단에 걸려서 전방 회동 가능 범위도 제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sub-lumbar support 1300 rotates forward, it is caught on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module 1110, so that the forward rotation range may be limited.

즉,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는 제2 힌지 결합부(1310, 1310’)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바, 사용자가 근력 보조 로봇(1)을 착용하고자 서브 프레임 유닛(5)에 자신의 허리를 고정할 때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가 사용자의 허리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전후방으로 틸팅(tilting)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is capable of rotat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by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s 1310 and 1310', so that the user wants to wear the muscle strength assist robot 1, the sub-frame unit. When the user's waist is fixed at (5),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can be naturally tilted forward and backward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according to the user's waist.

이에 따라,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는 다양한 허리 사이즈 및 형상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 가능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can flexibly respond to various waist sizes and shapes.

핸들부(1150)는 메인 허리 지지부(1100)의 상단에 설치되고, 포물선 형태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part 115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ain waist support part 1100 and may be formed to be bent in a parabolic shape.

구체적으로, 핸들부(1150)는 상방으로 포물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보조자가 사용자의 근력 보조 로봇(1) 착용을 돕거나 근력 보조 로봇(1)을 이송할 때 이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andle portion 1150 is formed to form a parabola upward, and may be used when an assistant assists the user to wear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or transports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벨트 결합부(1230)는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1234, 1234')를 통해 결합 홈(1229, 1229')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벨트(125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through coupling protrusions 1234 and 1234' protruding from the ends, and one end of the belt 1250 may be coupled thereto.

구체적으로, 벨트 결합부(1230)는 일단이 벨트(1250)와 결합되는 벨트 결합 바디(1233)와, 벨트 결합 바디(1233)의 타단에서 일부가 돌출되도록 벨트 결합 바디(1233)의 타단에 결합되고, 래치 고리(1237)가 형성된 벨트 결합 플레이트(1236)와, 벨트 결합 바디(1233)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1234, 1234')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is coupled to the belt coupling body 1233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elt 1250 and the other end of the belt coupling body 1233 so that a portion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belt coupling body 1233. It may include a belt coupling plate 1236 having a latch ring 1237 and coupling protrusions 1234 and 1234'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elt coupling body 1233.

여기에서, 벨트 결합 플레이트(1236)의 경우, 일부는 벨트 결합 바디(1233)의 타단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는 벨트 결합 바디(1233)의 타단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래치 고리(1237)는 벨트 결합 플레이트(1236)의 상기 나머지 일부(즉, 벨트 결합 바디(1233)의 타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the belt coupling plate 1236, a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elt coupling body 1233, and the remaining portion may protrude from the other end of the belt coupling body 1233 to the outside. And the latch ring 1237 may be formed 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belt coupling plate 1236 (ie,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belt coupling body 1233).

또한 벨트 결합부(1230)의 단부(즉, 벨트 결합부(1230)의 일단)에는 벨트(1250)의 일단을 벨트 결합부(1230)에 결합하기 위한 벨트 결합 홀(1235)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belt coupling hole 1235 for coupling one end of the belt 1250 to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ie, one end of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

구체적으로, 벨트 결합 홀(1235)은 결합 돌기(1234, 1234')의 중간에 형성되고, 벨트(1250)의 일단은 벨트 결합 홀(1235)을 통해 벨트 결합부(123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벨트 결합 홀(1235)을 기준으로 벨트 결합 홀(1235)의 양 옆에 제1 및 제2 결합 돌기(1234, 1234')가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elt coupling hole 1235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234 and 1234', and one end of the belt 1250 may be coupled to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through the belt coupling hole 1235. . In addition,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234 and 1234'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elt coupling hole 1235 based on the belt coupling hole 1235 .

즉, 결합 돌기(1234, 1234')는 전술한 제1 결합 홈(1229)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돌기(1234)와, 제1 결합 돌기(1234)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제2 결합 홈(1229')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돌기(1234')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coupling protrusions 1234 and 1234' are formed to face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34 coupled to the aforementioned first coupling groove 1229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34,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 1229')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1234'.

이를 통해, 벨트 결합부(1230)의 결합 돌기(1234, 1234')가 결합 홈(1229, 1229')에 파지됨으로써 벨트 결합부(1230)가 결합 홈(1229, 1229')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Through this, the coupling protrusions 1234 and 1234' of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are gripped in the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so that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It can be.

또한, 결합 돌기(1234, 1234')는 벨트 결합부(1230)의 좌우 유동(즉, 좌우 움직임)에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결합 홈(1229, 1229')에 안착 또는 형합될 수 있도록 결합 홈(1229, 1229')의 형상을 토대로 곡면으로 가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s 1234 and 1234' ar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so that they can be naturally seated or molded into the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regardless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belt coupling part 1230 (ie, left and right movement). 1229'), it can be processed into a curved surface.

참고로, 제1 결합 돌기(1234)는 제2 결합 돌기(1234')로부터 제1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고, 제1 결합 홈(1229)은 제2 결합 홈(1229')으로부터 제2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23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234' by a first distance,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1229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29' by a second interval. can be separated

여기에서, 제2 간격은 예를 들어, 제1 간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제1 간격은 벨트(125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interval may be, for exampl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interval, and the first interval may b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belt 1250 .

또한 벨트(1250)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체(1330)에 의해 벨트(1250)에 장력이 작용하는바, 벨트 결합부(1230)가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의 말단에 설치될 때 결합 돌기(1234, 1234')가 결합 홈(1229, 1229')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벨트(1250)의 장력, 벨트(1250)의 무게, 벨트 인입출 홀(1232) 및 벨트 결합 홀(1235)의 수직 구조(즉, 벨트(1250)의 상하 유동이 어려운 구조) 등을 통해 벨트 결합부(1230)가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의 말단에 결합될 때 벨트(1250)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ension is applied to the belt 1250 by the wire winding structure 1330 that automatically winds the belt 1250, when the belt coupling part 123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part 1200 The coupling protrusions 1234 and 1234' may be stably fixed to the coupling grooves 1229 and 1229'. Furthermore, the belt through the tension of the belt 1250, the weight of the belt 1250,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belt lead-in/out hole 1232 and the belt coupling hole 1235 (that is, the structure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the belt 1250 to move up and down), etc. When the coupling part 123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sub-waist support part 1300, the belt 1250 may be prevented from sagging.

참고로, 벨트(1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통로(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가이드 통로(1105, 1205))에 수납될 수 있고, 인장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벨트 결합부(1230)에 결합된 벨트(1250)가 벨트 인입출 홀(1232)을 통해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벨트(1250) 중 일부만이 제2 가이드 통로(1205)에 남을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belt 12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passages (eg,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ssages 1105 and 1205)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tensile force. However, when the belt 1250 coupled to the belt coupling part 1230 is pulled out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part 1200 through the belt lead-out hole 1232, only a part of the belt 1250 is in the second guide passage. (1205) may remain.

또한 벨트 결합부(1230)의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배 부분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프트 폼 재질로 이루어진 제3 충격 흡수부(1238)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제3 충격 흡수부(1238)는 벨트 결합부(1230)의 내측면에 세척 및 교환이 용이하게 벨크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shock absorbing part 1238 made of a soft foam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coupling part 1230 to minimize impact on the user's stomach. That is, the third shock absorbing portion 1238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in a Velcro manner to facilitate cleaning and replacement.

한편, 와이어 권취 구조체(1330)는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의 말단 내부에 설치되어 벨트(1250)의 타단에 연결된 와이어(1350)를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 winding structure 133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end of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to wind or unwind the wire 135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elt 1250 .

구체적으로, 와이어 권취 구조체(1330)는 와이어(1350)가 권취되는 판 스프링(1339)이 구비된 와이어 권취 바디(1338)와,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의 말단 근처에 위치한 와이어 권취 바디(1338)의 단부에 구비되고, 래치 걸이(1337)가 형성된 벨트 결합부재(1336)와,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에서 돌출되도록 와이어 권취 바디(1338)의 상면에 구비되고 인입출 가능한 버튼식 다이얼(134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re winding structure 1330 includes a wire winding body 1338 equipped with a plate spring 1339 around which the wire 1350 is wound, and a wire winding body located near the end of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 1338), a belt coupling member 1336 on which a latch hook 1337 is formed, and a button typ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 winding body 1338 so as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300 and capable of being drawn in and out. Dial 1340 may be included.

여기에서, 와이어(13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통로(예를 들어, 제1 및 제3 가이드 통로(1105, 1305))에 수납될 수 있고, 금속 재질 또는 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벨트 결합부(1230)에 결합된 벨트(1250)가 벨트 인입출 홀(1232)을 통해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벨트(1250)에 연결된 와이어(1350) 역시 와이어 권취 구조체(1330)에서 권출되는바, 와이어(1350)가 제1 내지 제3 가이드 통로(1105, 1205, 1305)에 걸쳐서 존재할 수도 있다. Here, the wire 13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passages (eg, the first and third guide passages 1105 and 1305)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reel wire. However, when the belt 1250 coupled to the belt coupling part 1230 is pulled out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part 1200 through the belt lead-in/out hole 1232, the wire 1350 connected to the belt 1250 also As it is unwound from the wire winding structure 1330 , the wire 1350 may be present across the first to third guide passages 1105 , 1205 , and 1305 .

또한 와이어 권취 바디(1338)에 구비된 판 스프링(1339)은 원형으로 말려있는 형태로 구성되고, 와이어(1350)를 당기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권취 바디(1338)는 버튼식 다이얼(1340)의 인입출에 따라 버튼식 다이얼(1340)과 연결 또는 분리되고, 버튼식 다이얼(1340)과 연결된 경우, 버튼식 다이얼(134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te spring 1339 provided in the wire winding body 1338 is configured in a circularly rolled shape and may serve to pull the wire 1350. In addition, the wire winding body 1338 is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button dial 1340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button type dial 1340, and when connected to the button type dial 1340,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utton type dial 1340. can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보조자가 버튼식 다이얼(1340)을 일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버튼식 다이얼(1340)에 결합된 와이어 권취 바디(1338) 역시 일 방향으로 돌아가게 되고, 이를 통해, 와이어 권취 바디(1338)에 구비된 판 스프링(1339)이 수축되면서 와이어(1350)가 권취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or assistant turns the button-type dial 1340 in one direction (eg, clockwise), the wire winding body 1338 coupled to the button-type dial 1340 also turns in one direction. Through this, the wire 1350 may be wound while the plate spring 1339 provided in the wire winding body 1338 is contracted.

물론, 사용자 또는 보조자가 버튼식 다이얼(1340)을 일 방향과 반대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버튼식 다이얼(1340)에 결합된 와이어 권취 바디(1338) 역시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게 되고, 이를 통해, 와이어 권취 바디(1338)에 구비된 판 스프링(1339)이 확장되면서 와이어(1350)가 권출될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user or assistant turns the button-type dial 1340 in one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eg, counterclockwise), the wire winding body 1338 coupled to the button-type dial 1340 also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is, the wire 1350 can be unwound while the plate spring 1339 provided in the wire winding body 1338 is extended.

또한 사용자 또는 보조자가 버튼식 다이얼(1340)을 하방(즉, 'L' 방향)으로 인입시키거나 상방(즉, 'UL' 방향)으로 인출시키는 경우, 래치 걸이(1337)가 래치 고리(1237)에 체결 또는 이탈될 수 있다. 참고로, 버튼식 다이얼(1340)은 상방(즉, 'UL' 방향)으로 단계별 인출(즉, 1단계 인출 및 2단계 인출(1단계 보다 더 상방으로 인출된 단계))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or assistant draws the button-type dial 1340 downward (ie, 'L' direction) or withdraws it upward (ie, 'UL' direction), the latch hook 1337 is attached to the latch hook 1237. can be engaged or disengaged. For reference, the button-type dial 1340 can be withdrawn upward (ie, in the 'UL' direction) step by step (ie, one-step withdrawal and two-step withdrawal (a step more upward than the first step)).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하기 위해 벨트 결합부(1230)가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의 말단으로부터 탈착되어 삽입홀(1332)에 삽입되는 경우, 벨트 결합부(1230)에 결합된 벨트(1250)는 벨트 인입출 홀(1232)을 통해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 외부로 인출되고, 벨트 결합부(1230)는 삽입홀(1332)을 통해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의 말단 내부에 설치된 와이어 권취 구조체(1330)에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12 , when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is detached from the end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1200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32 to fix the user's waist, the belt coupling portion The belt 1250 coupled to 1230 is drawn out of the first sub waist support 1200 through the belt lead-in/out hole 1232, and the belt coupling part 1230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1332 into the second sub-waist support 1200. It may be coupled to the wire winding structure 1330 installed inside the end of the waist support 1300 .

보다 구체적으로, 벨트 결합 플레이트(1236)는 삽입홀(1332)을 통해 벨트 결합부재(1336)에 결합되되, 벨트 결합 플레이트(1236)의 래치 고리(1237)가 벨트 결합부재(1336)의 래치 걸이(1337)에 체결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belt coupling plate 1236 is coupled to the belt coupling member 1336 through the insertion hole 1332, and the latch ring 1237 of the belt coupling plate 1236 is the latch hook of the belt coupling member 1336. (1337).

즉, 사용자가 버튼식 다이얼(1340)을 상방(즉, 'UL' 방향)으로 1단계 인출시키는 경우, 버튼식 다이얼(1340)과 와이어 권취 바디(1338)의 연결이 풀리면서 와이어 권취 바디(1338)에 구비된 판 스프링(1339)이 풀리게 되고, 판 스프링(1339)에 권취된 와이어(1350)가 권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벨트 결합부(1230)를 잡아당길 수 있게 되고, 잡아 당겨진 벨트 결합부(1230)를 삽입홀(1332)에 삽입하면 벨트 결합 플레이트(1236)에 의해 벨트 결합부재(1336)가 틸팅되면서 래치 걸이(1337)가 래치 고리(1237)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user withdraws the button-type dial 1340 upward (ie, in the 'UL' direction) by one step, the button-type dial 1340 and the wire winding body 1338 are disconnected and the wire winding body 1338 The plate spring 1339 provided in ) is released, and the wire 1350 wound around the plate spring 1339 is unwound. Accordingly, the user can pull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and when the pulled belt coupling portion 12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32, the belt coupling member 1336 is moved by the belt coupling plate 1236. While being tilted, the latch hook 1337 can be fastened to the latch ring 1237.

이를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자신의 허리를 근력 보조 로봇(1)에 고정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fix his/her waist to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

또한 벨트 결합 플레이트(1236)가 벨트 결합부재(1336)에 결합된 상태에서 버튼식 다이얼(1340)이 하방(즉, 'L' 방향)으로 인입된 후 와이어(1350)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벨트(1250)의 인장력 범위 내에서 와이어(1350)가 판 스프링(1339)으로 권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utton type dial 1340 is drawn downward (ie, 'L'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belt coupling plate 1236 is coupled to the belt coupling member 1336, and then rotates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wire 1350 , the wire 1350 may be wound into the leaf spring 1339 within the tension range of the belt 1250.

즉, 사용자가 버튼식 다이얼(1340)을 하방(즉, 'L' 방향)으로 인입시키는 경우, 버튼식 다이얼(1340)과 와이어 권취 바디(1338)가 연결되고, 버튼식 다이얼(1340)과 와이어 권취 바디(1338)가 연결된 상태에서 버튼식 다이얼(1340)을 와이어(1350)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와이어(1350)가 판 스프링(1339)으로 권취되면서 벨트(1250)가 더 타이트하게 조일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pulls the button-type dial 1340 downward (ie, in the 'L' direction), the button-type dial 1340 and the wire winding body 1338 are connected, and the button-type dial 1340 and the wire When the button-type dial 1340 is rotated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wire 1350 while the winding body 1338 is connected, the belt 1250 is tightened more tightly as the wire 1350 is wound by the leaf spring 1339. can

이를 통해, 사용자는 벨트(1250)를 풀지 않고도 벨트(125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user can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of the belt 1250 without loosening the belt 1250 .

반면에, 벨트 결합 플레이트(1236)가 벨트 결합부재(1336)에 결합된 상태에서 버튼식 다이얼(1340)이 상방(즉, 'UL'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벨트 결합부재(1336)의 래치 걸이(1337)는 벨트 결합 플레이트(1236)의 래치 고리(1237)로부터 이탈되면서 와이어(1350)가 판 스프링(1339)으로 다시 권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utton type dial 1340 is withdrawn upward (ie, in the 'UL' direction) while the belt coupling plate 1236 is coupled to the belt coupling member 1336, the latch of the belt coupling member 1336 As the hook 1337 is separated from the latch ring 1237 of the belt coupling plate 1236, the wire 1350 may be wound around the plate spring 1339 again.

즉, 사용자가 버튼식 다이얼(1340)을 상방(즉, 'UL' 방향)으로 2단계 인출시키는 경우, 벨트 결합부재(1336)를 고정하는 축이 버튼식 다이얼(1340)과 연동되어 상방(즉, 'UL'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래치 걸이(1337)가 래치 고리(1237)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래치 걸이(1337)가 래치 고리(1237)로부터 이탈되면서 벨트 결합부(1230)도 삽입홀(1332)로부터 탈착되고, 와이어 권취 바디(1338)에 구비된 판 스프링(1339)의 복원력에 의해 권출되었던 와이어(1350)가 다시 자동으로 판 스프링(1339)으로 권취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withdraws the button-type dial 1340 upward (ie, in the 'UL' direction) in two stages, the axis for fixing the belt coupling member 1336 interlocks with the button-type dial 1340 to move upward (ie, in the 'UL' direction). , 'UL' direction) while the latch hook 1337 is separated from the latch ring 1237. In addition, as the latch hook 1337 is separated from the latch hook 1237, the belt coupling part 1230 is also detached from the insertion hole 1332, and is unwoun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af spring 1339 provided in the wire winding body 1338. The wire 1350 that has been removed can be automatically wound around the leaf spring 1339 again.

이를 통해, 사용자는 벨트(1250)를 용이하게 풀 수 있다. 또한 벨트(1250)가 자동으로 감겨서 서브 프레임 유닛(5) 내부에 수납되는바, 사용자 또는 보조자는 별도의 정리 작업 없이 바로 다음 착용을 준비할 수도 있다.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loosen the belt 1250. In addition, since the belt 1250 is automatically wound and stored inside the subframe unit 5, the user or an assistant may prepare for the next wearing without separate cleaning work.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1)의 서브 프레임 유닛(5)은 전술한 특징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As such, the subframe unit 5 of the muscle assist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above-described features and configuration.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전술한 근력 보조 로봇(1)의 서브 프레임 유닛(5)을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7, a process of fixing the subframe unit 5 of the above-described muscle strength assist robot 1 to the user's wais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3 및 도 14는 도 4의 서브 프레임 유닛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벨트 착용 및 착용 해제에 따른 다이얼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들이다.13 and 14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fixing a user's waist with the subframe unit of FIG. 4 . 15 to 17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dial according to wearing and releasing a belt.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200, 1300)는 각각 제1 및 제2 힌지 결합부(1210, 1210’, 1310, 1310’)에 의해 전후방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한바, 사용자는 자신의 허리 사이즈 및 모양에 맞게 제1 및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200, 1300)를 자신의 허리에 피팅(fitting)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3 , the first and second sub-waist support parts 1200 and 1300 ar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first and second hinge coupling parts 1210, 1210', 1310 and 1310', respectively. Since it is rotatable within the range, the user can fit the first and second sub-waist supporters 1200 and 1300 to his or her waist to suit the size and shape of the user's waist.

피팅 과정이 완료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벨트 결합부(1230)를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의 말단으로부터 탈착시켜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의 말단에 형성된 삽입홀(도 9의 1332)에 삽입시킬 수 있고, 이 때 벨트 결합 플레이트(1236)가 삽입홀(도 9의 1332)을 통해 벨트 결합부재(1336)에 결합될 수 있는바, 사용자의 허리가 서브 프레임 유닛(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fitting process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4 , the user detaches the belt coupling part 1230 from the end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part 1200 to insert the hole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sub-waist support part 1300. (1332 in FIG. 9), and at this time, the belt coupling plate 1236 can be coupled to the belt coupling member 1336 through the insertion hole (1332 in FIG. It can be fixed by unit 5.

여기에서, 도 9,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벨트(1250) 착용 및 착용 해제에 따른 다이얼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 referring to FIGS. 9 and 15 to 17, a method of using a dial according to wearing and releasing the belt 1250 is as follows.

먼저, 도 13에서 살펴보았던 피팅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USER)는 버튼식 다이얼(1340)을 상방(즉, 'UL' 방향)으로 1단계 인출시킨 상태에서 벨트 결합부(1230)를 제1 서브 허리 지지부(1200)로부터 탈착시킴으로써 서브 프레임 유닛(5)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벨트(1250)를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First, when the fitting process reviewed in FIG. 13 is completed, the user (USER) pulls out the button-type dial 1340 one step upward (ie, in the 'UL' direction), and then inserts the belt coupling part 1230 in the first By detaching from the sub waist support 1200, the belt 1250 accommodated inside the sub frame unit 5 can be drawn out.

또한 사용자(USER)는 외부로 인출된 벨트(1250)가 자신의 허리 전면을 감싸도록 조절한 후 벨트 결합부(1230)의 벨트 결합 플레이트(1236)를 제2 서브 허리 지지부(1300)의 말단에 형성된 삽입홀(1332)에 삽입하여 래치 걸이(1337)를 래치 고리(1237)에 체결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USER) adjusts the belt 1250 pulled out to cover the front of his or her waist, and then attaches the belt coupling plate 1236 of the belt coupling portion 1230 to the end of the second sub-waist support portion 1300. The latch hook 1337 may be fastened to the latch ring 1237 by being inserted into the formed insertion hole 1332 .

이 후 사용자(USER)는 버튼식 다이얼(1340)을 하방(즉, 'L' 방향)으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와이어(1350)의 권취 방향(예를 들어, 'WD' 방향)으로 버튼식 다이얼(1340)을 돌림으로써 벨트(1250)를 자신의 허리 사이즈에 맞추어 더 타이트하게 조일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r (USER) moves the button-type dial 1340 downward (ie, 'L' direction)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wire 1350 (eg, 'WD' direction) with the button-type dial ( 1340), the belt 1250 can be tightened more tightly according to one's own waist size.

물론, 사용자(USER)는 와이어(1350)의 권출 방향(예를 들어, 'WD'의 반대 방향)으로 버튼식 다이얼(1340)을 돌림으로써 벨트(1250)를 자신의 허리 사이즈에 맞추어 더 느슨하게 풀 수도 있다.Of course, the user loosens the belt 1250 according to his/her waist size by turning the button-type dial 1340 in the unwinding direction of the wire 1350 (eg, the opposite direction of 'WD'). may be

근력 보조 로봇(1)의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USER)는 버튼식 다이얼(1340)을 상방(즉, 'UL' 방향)으로 2단계 인출시킴으로써 래치 걸이(1337)를 래치 고리(1237)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래치 걸이(1337)가 래치 고리(1237)로부터 이탈되면, 벨트(1250)와 연결된 와이어(1350)가 다시 자동으로 와이어 권취 바디(1338)에 구비된 판 스프링(1339)으로 권취되면서 벨트(1250) 역시 서브 프레임 유닛(5) 내부로 자동으로 수납된다. When the use of the muscular assist robot 1 is completed, the user (USER) withdraws the button-type dial 1340 upward (ie, in the 'UL' direction) in two steps to remove the latch hook 1337 from the latch ring 1237. can get away In addition, when the latch hook 1337 is separated from the latch hook 1237, the wire 1350 connected to the belt 1250 is automatically re-wound by the leaf spring 1339 provided in the wire winding body 1338, and the belt 1250 ) is also automatically accommodated into the sub frame unit 5.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1)은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할 수 있는바, 안정적인 보조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조력의 도움을 받아 안정적이게 보행을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uscular assist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the user's waist while minimizing shaking, and thus can provide a stable assisting force to the user. Through this, the user can walk stably with the help of the assisting for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1)에서는 허리 지지 구조가 용이하게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되거나 사용자의 허리에서 제거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용이하게 근력 보조 로봇(1)을 입거나 벗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근력 보조 로봇(1)을 입거나 벗는 시간이 저감되는바, 동일한 시간 동안 더 많은 환자가 근력 보조 로봇(1)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근력 보조 로봇(1)이 사용되는 병원의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uscular assist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ist support structure can be easily fixed to or removed from the user's wais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ear the muscular assist robot 1. Or you can take it off. In addition, through this, the time to put on or take off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is reduced, so that more patients can use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during the same time. Therefore, the profitability of the hospital in which the muscle assist robot 1 is used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1)은 다양한 허리 사이즈 및 형상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 가능한바, 남녀노소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사용 편의성도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근력 보조 로봇(1)을 개인 맞춤형이 아닌 범용으로 설계 가능한바, 근력 보조 로봇(1)이 사용되는 병원의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uscle power assist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lexibly respond to various waist sizes and shapes, it can be used universally regardless of age or gender, and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Furthermore, since the strength assist robot 1 can be designed for general purpose rather than personalized, the profitability of the hospital in which the strength assist robot 1 is used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 보조 로봇(1)에서는 벨트(1250)의 정리 및 사용이 용이한바, 사용자가 근력 보조 로봇(1)의 착용 전 또는 후에 벨트(1250)를 별도로 정리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벨트 처짐 현상 등으로 인해 근력 보조 로봇(1)이 지저분해 보이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는바, 외관도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uscular assist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easy to arrange and use the belt 1250, the user does not need to separately organize the belt 1250 before or after wearing the muscular assist robot 1. Therefore, convenience of use may be improve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that the muscular assist robot 1 looks messy due to a belt sagging phenomenon, and the like, so that the appearance can be improved.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is not limited by

5: 서브 프레임 유닛 1100: 메인 허리 지지부
1150: 핸들부 1200: 제1 서브 허리 지지부
1230: 벨트 결합부 1300: 제3 서브 허리 지지부
1330: 와이어 권취 구조체
5: subframe unit 1100: main waist support
1150: handle part 1200: first sub waist support part
1230: belt coupling part 1300: third sub waist support part
1330: wire winding structure

Claims (18)

사용자의 골반을 감싸도록 형성된 메인 프레임 유닛;
상기 메인 프레임 유닛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하는 서브 프레임 유닛;
상기 메인 프레임 유닛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하는 보조력을 발생시키는 레그 유닛; 및
상기 레그 유닛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신발 고정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 프레임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뒤허리를 지지하는 메인 허리 지지부와, 상기 메인 허리 지지부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일측 허리를 지지하고 말단에 결합 홈이 형성된 제1 서브 허리 지지부와, 상기 메인 허리 지지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타측 허리를 지지하는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와,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를 통해 상기 결합 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벨트의 일단이 결합되는 벨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허리 지지부는,
상기 메인 허리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 측면 부위와 접촉하여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상기 서브 프레임 유닛에 고정시키는,
근력 보조 로봇.
A main frame unit formed to surround a user's pelvis;
a sub-frame uni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unit to fix the user's waist;
leg unit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ain frame unit to extend downward along the user's leg and generating auxiliary force to assist the user's muscle strength; and
A shoe fixing unit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eg unit to support the user's feet,
The subframe unit,
A main waist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waist, a first sub-waist support that is hinged to one end of the main waist support to support the user's one side waist and has a coupling groove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waist support A second sub-waist support portion hinged to and supporting the user's other waist, and a belt coupling portion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oupling groove through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end portion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belt,
The first and second sub waist supports,
I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waist support and fixes the user's waist to the subframe unit in contact with the user's waist side portion.
A power-assisted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제1 서브 허리 지지부의 말단에 음각 형성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메인 허리 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통로에 수납되며,
상기 제1 서브 허리 지지부의 말단에는 상기 가이드 통로에 수납된 상기 벨트의 일단을 상기 벨트 결합부에 결합하기 위한 벨트 인입출 홀이 형성되는
상기 벨트 인입출 홀은 상기 결합 홈의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벨트는 상기 벨트 인입출 홀을 통해 상기 제1 서브 허리 지지부 외부로 인출 가능한
근력 보조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taglio at the end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The belt is accommodated in guide passages formed inside the main waist support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sub-waist support parts,
A belt lead-out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part to couple one end of the belt stored in the guide passage to the belt coupling part.
The belt lead-out hol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oupling groove,
The belt coupled to the belt coupling part is withdrawabl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unit through the belt lead-in/out hole.
A power-assisted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결합부의 단부에는 상기 벨트의 일단을 상기 벨트 결합부에 결합하기 위한 벨트 결합 홀이 형성되는
상기 벨트 결합 홀은 상기 결합 돌기의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의 일단은 상기 벨트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벨트 결합부에 결합되는
근력 보조 로봇.
According to claim 1,
At the end of the belt coupling portion, a belt coupling hole for coupling one end of the belt to the belt coupling portion is formed.
The belt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oupling protrusion,
One end of the belt is coupled to the belt coupling part through the belt coupling hole.
A power-assisted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은 곡면으로 가공되고,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 홈의 형상을 토대로 곡면으로 가공되는
근력 보조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groove is machined into a curved surface,
The coupling protrusion is processed into a curved surface based on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A power-assisted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제1 결합 돌기와, 상기 제1 결합 돌기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돌기로부터 제1 간격만큼 이격된 제2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제1 결합 돌기와 결합되는 제1 결합 홈과, 상기 제2 결합 돌기와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 홈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홈으로부터 제2 간격만큼 이격된 제2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벨트의 두께와 동일한
근력 보조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a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formed to face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by a first distance,
The coupling groove includes a first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rojection,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rojection, formed to face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groove by a second distance. Including a coupling groove,
The second interv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interval,
The first interval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belt.
A power-assisted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결합부는,
일단이 상기 벨트와 결합되는 벨트 결합 바디와,
상기 벨트 결합 바디의 타단에서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벨트 결합 바디의 타단에 결합되고, 래치 고리가 형성된 벨트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벨트 결합 바디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belt coupling part,
A belt coupling body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elt;
A belt coupling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elt coupling body so tha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belt coupling body and having a latch ring formed thereon;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elt coupling body
A power-assisted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허리 지지부의 내측면에는 소프트 폼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충격 흡수부가 부착되고,
상기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의 내측면에는 소프트 폼 재질로 이루어진 제2 충격 흡수부가 부착되며,
상기 벨트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소프트 폼 재질로 이루어진 제3 충격 흡수부가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충격 흡수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의 내측면에 벨크로 방식으로 부착되고, 상기 제3 충격 흡수부는 상기 벨트 결합부의 내측면에 벨크로 방식으로 부착되는
근력 보조 로봇.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hock absorbing part made of a soft foam material i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part,
A second shock absorber made of a soft foam material i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b-waist support,
A third shock absorber made of a soft foam material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coupling part,
The first and second shock absorbers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waist supporters in a Velcro manner, and the third shock absorbers are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belt coupling part in a Velcro manner.
A power-assisted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 유닛은,
상기 메인 허리 지지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서브 허리 지지부의 힌지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제1 힌지 결합부와,
상기 메인 허리 지지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의 힌지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제2 힌지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허리 지지부는 상기 제1 힌지 결합부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서브 허리 지지부는 상기 제2 힌지 결합부에 의해 상기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근력 보조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subframe unit,
a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ain waist support portion to enable hinge coupling of the first sub-waist support portion;
A second hinge coupling part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waist support unit to enable hinge coupling of the second sub waist support unit;
The first sub-waist support portion is rotatabl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by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The second sub-waist support is rotat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in the predetermined angular range by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
A power-assisted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 유닛은,
상기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의 말단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타단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벨트와 상기 와이어는 상기 메인 허리 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통로에 수납되고,
상기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의 말단에는 상기 와이어 권취 구조체에 상기 벨트 결합부를 결합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권취 구조체는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판 스프링이 구비된 와이어 권취 바디와, 상기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의 말단 근처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 권취 바디의 단부에 구비되고, 래치 걸이가 형성된 벨트 고정부재와, 상기 제2 서브 허리 지지부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와이어 권취 바디의 상면에 구비되고 인입출 가능한 버튼식 다이얼을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subframe unit,
Further comprising a wire winding structure installed inside the end of the second sub-waist support and winding or unwinding a wi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elt,
The belt and the wire are accommodated in guide passages formed inside the main waist support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sub-waist support parts,
An insertion hole for coupling the belt coupling part to the wire winding structure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sub-waist support part,
The wire winding structure includes a wire winding body having a plate spring around which the wire is wound, a belt fixing member provided at an end of the wire winding body located near an end of the second sub-waist support unit and having a latch hook,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 winding body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ub-waist support and includes a button-type dial that can be withdrawn.
A power-assisted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 유닛은,
상기 메인 허리 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되고, 포물선 형태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subframe unit,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waist support and further comprises a handle formed to be bent in a parabolic shape.
A power-assisted robo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19993A 2018-02-20 2018-02-20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KR1025437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93A KR102543753B1 (en) 2018-02-20 2018-02-20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93A KR102543753B1 (en) 2018-02-20 2018-02-20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919A KR20190099919A (en) 2019-08-28
KR102543753B1 true KR102543753B1 (en) 2023-06-15

Family

ID=6777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993A KR102543753B1 (en) 2018-02-20 2018-02-20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753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203A (en) * 1994-07-27 1996-02-13 Takata Kk Seat belt taking-up device
KR100380938B1 (en) * 2000-12-19 2003-04-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Center Seat belt of a rear seat
KR101099521B1 (en) * 2009-12-24 2011-12-27 한국산재의료원 Wearable walking assistance robot suit
KR101290173B1 (en) * 2011-10-26 2013-07-3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Wearable robot to assist muscular str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919A (en)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54915A1 (en) Wearable assistive device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US11202934B2 (en) Upper and lower limb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US20190274912A1 (en) Wearable assistive device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CN110179636A (en) The efficiently wearable auxiliary device of transmitting auxiliary force
US20190254914A1 (en) Leg belt to effectively support the leg and wearable assistive device having the same
WO2021010129A1 (en) Waist assistance device
JP2007111382A (en) Walking training implement
JP2011529364A (en) Patient lifting device
WO2017006322A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xoskeleton attachment
KR102547246B1 (en)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KR20190108861A (en) Fixing unit for thigh, fixing unit for calf and wearable robot having the same
KR102543753B1 (en)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KR102543756B1 (en)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KR102609740B1 (en) Fixing unit for thigh, fixing unit for calf and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the same
KR20190108862A (en) Wearable robot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KR20190107314A (en) Wearable robot having improved waist support structure
KR101594170B1 (en) Wheelchair seat back structure with a position auxiliary functions
CN217123169U (en) Ankle auxiliary exoskeleton support
CN217123170U (en) Ankle auxiliary exoskeleton support
KR102549443B1 (en) Fixing unit for thigh, fixing unit for calf and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the same
JP5578031B2 (en) Leg orthosis
CN216124772U (en) Walking assisting device for rehabilitation of old people in orthopedics department
KR20190109191A (en) Belt fixing part for effective wearing and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the same
KR102522652B1 (en) Pillow for posture maintenance for handicapped person
JP6051196B2 (en) X-ray support chair for care recip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