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081B1 -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081B1
KR102543081B1 KR1020210186748A KR20210186748A KR102543081B1 KR 102543081 B1 KR102543081 B1 KR 102543081B1 KR 1020210186748 A KR1020210186748 A KR 1020210186748A KR 20210186748 A KR20210186748 A KR 20210186748A KR 102543081 B1 KR102543081 B1 KR 102543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ackaging box
main body
folded
fres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헌
Original Assignee
이수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헌 filed Critical 이수헌
Priority to KR1020210186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2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to the flaps or by sta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전면부,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가 구비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의 본체와, 상기 전면부,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하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서로 절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단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중첩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를 폐쇄하는 바닥부와, 상기 전면부,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상단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단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중첩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덮개부와, 내부공간이 밀폐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측면에 형성되는 주름라인의 신축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는 신축부재 및, 상기 신축부재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복수 개의 제1다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재는, 일면이 개방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져 개방면이 상기 본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냉기가 상기 제1다공홀을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신축부재의 개방면에 탈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고, 상기 제1다공홀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다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신축부재와 상기 본체를 내통시키는 냉기조절부재, 상기 신축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방면이 형성되는 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절개면과, 상기 절개면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단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냉기조절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개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개방면을 폐쇄시키며, 상기 제1다공홀에 대응되는 상기 제2다공홀이 형성되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의 상측 양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턱에 억지끼움을 통하여 삽착되는 장착부재로 이루어지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One-touch packaging box with a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freshness}
본 발명은 포장상자의 선도 유지가 가능하고 한 번의 터치를 통하여 바닥면 또는 덮개면을 접을 수 있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포장상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함과 동시에 운반의 편의성, 제품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판형 상태의 포장상자를 입체적인 장방형 형태로 접어 공간을 형성한 뒤, 상기 공간에 제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포장용 테이프로 포장상자의 중앙부 및 테두리부를 테이핑하는 마감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위와 같이, 포장상자를 이용한 제품 포장 작업은, 박스를 접는 작업과정과 테이핑하는 작업 과정이 요구된다.
동일한 제품을 대량으로 양산하고 출하하는 제조 현장에서는 상기 작업과정이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나,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제품이나 상품을 취급하는 현장에서는 상기 작업과정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에 따른 인건비가 상승되고, 제품의 생산 공정도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택배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편의점이나 우체국에서도 사용자가 직접 포장상자를 구매하여 택배를 보내고 있다. 그러나, 편의점이나 우체국에서도 접혀진 판형 상태의 포장상자를 장방형 형태로 접어 조립하는 과정과 테이핑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숙련된 작업자에 비하여 일반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포장 작업이 더디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신선식품을 택배로 배송시 상온에서 장시간 보관되면 신선도가 떨어져 상품성이 낮아지게 됨에 따라 포장상자 내부의 보냉을 통한 선도유지 기능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4584호 (2009.12.03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도유지를 위한 보냉성능을 가지는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송거리에 따른 보냉 강도 및 보냉 유지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포장상자의 접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원터치로 포장상자 형태로 접을 수 있으며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통하지 않고도 포장상자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도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전면부,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가 구비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의 본체와, 상기 전면부,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하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서로 절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단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중첩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를 폐쇄하는 바닥부와, 상기 전면부,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상단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단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중첩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덮개부와, 내부공간이 밀폐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측면에 형성되는 주름라인의 신축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는 신축부재 및, 상기 신축부재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복수 개의 제1다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재는, 일면이 개방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져 개방면이 상기 본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냉기가 상기 제1다공홀을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신축부재의 개방면에 탈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고, 상기 제1다공홀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다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신축부재와 상기 본체를 내통시키는 냉기조절부재, 상기 신축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방면이 형성되는 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절개면과, 상기 절개면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단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냉기조절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개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개방면을 폐쇄시키며, 상기 제1다공홀에 대응되는 상기 제2다공홀이 형성되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의 상측 양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턱에 억지끼움을 통하여 삽착되는 장착부재로 이루어지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1다공홀의 직경(L1)은 상기 제2다공홀의 직경(L2)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냉기조절부재의 장착 또는 탈거에 따른 냉기 이동량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장착부재의 양단부는 하향 절곡되어 상기 신축부재의 외측면에 밀착형성되어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고정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바닥부재와 상기 좌측면부와 상기 우측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바닥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바닥부재는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배면부의 내면에서부터 하향으로 선회되어 접혀지고, 상기 제2바닥부재는,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내면에서부터 하향으로 선회되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바닥부재는,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배면부의 하단측 일단에서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라인과, 상기 제1경사라인의 선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라인 및 상기 수평라인의 선단에서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배면부의 하단측 타단과 연결되는 제2경사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바닥부재는,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하단측 일단에서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경사라인과, 상기 제3경사라인의 선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라인과, 상기 제2수평라인의 선단에서 경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하단측 타단과 연결되는 제4경사라인 및 상기 제2수평라인의 길이방향 중간 부위에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수평라인이 형성된 상기 제2바닥부재의 영역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수평라인의 길이방향 중간부위에서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절개라인과, 상기 제1절개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2수평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절개라인과, 상기 제2절개라인에서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3절개라인과, 상기 제2절개라인에서 상기 제2수평라인을 항햐여 연장되는 제4절개라인과, 상기 제3절개라인에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와 상기 제4절개라인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라인이 형성된 상기 제1바닥부재의 부위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경사라인의 길이방향 전체와 상기 제2수평라인의 길이방향 일부는 상기 한 쌍의 제1바닥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제1바닥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수평라인의 길이방향 나머지 일부와 상기 제4경사라인의 길이방향 전체는 한 쌍의 제1바닥부재 중에서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1바닥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또 다른 상기 결합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상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1덮개부재와, 상기 제1덮개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좌측면부와 상기 우측면부의 상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2덮개부재; 및 상기 제1덮개부재의 양측부에서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덮개부재와 연결되는 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1덮개부재가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배면부의 상단에서 접혀지면, 상기 날개부재와 상기 제2덮개부재가 순차적으로 상기 제1덮개부재의 외면을 향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바닥부재는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배면부의 하단 변부에 형성된 접힘라인을 기준으로 선회되어 접혀지고, 상기 제2바닥부재는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하단 변부에 형성된 접힙라인을 기준으로 선회되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덮개부재는,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배면부의 상단 변부에 형성된 접힘라인을 기준으로 선회되어 접혀지고, 상기 제2덮개부재는,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상단 변부에 형성된 접힘라인을 기준으로 선회되어 접혀지고, 상기 날개부재는, 삼각형 형태를 가지는 제1덮개부재의 경사 변부에 형성된 접힘라인을 기준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선도유지를 위한 보냉성능을 가지는 포장상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송거리에 따른 보냉 강도 및 보냉 유지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거리별 보냉 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장상자의 접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원터치로 포장상자 형태로 접을 수 있으며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통하지 않고도 포장상자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포장상자 결합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축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축부재에 냉기조절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제1다공홀과 제2다공홀의 직경의 크기를 비교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의 신축부재가 생략된 본체, 바닥부,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영역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의 제1바닥부재 및 제2바닥부재가 서로 결속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닥부의 제1바닥부재 및 제2바닥부재가 서로 결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부가 접혀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가 본체의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포장상자의 선도 유지가 가능하고 한 번의 터치를 통하여 바닥면 또는 덮개면을 접을 수 있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선도유지를 위한 보냉성능을 가지며, 배송거리에 따른 보냉 강도 및 보냉 유지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거리별 보냉 성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포장상자의 접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원터치로 포장상자 형태로 접을 수 있고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통하지 않고도 포장상자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의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축부재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축부재에 냉기조절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제1다공홀과 제2다공홀의 직경의 크기를 비교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의 신축부재가 생략된 본체, 바닥부,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의 제1바닥부재 및 제2바닥부재가 서로 결속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닥부의 제1바닥부재 및 제2바닥부재가 서로 결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부가 접혀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가 본체의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10)는 크게 본체(100), 바닥부(200), 덮개부(300), 신축부재(500) 및, 냉각부(600)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10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면부(110), 배면부(110'), 좌측면부(120), 우측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00)는 상기 전면부(110), 배면부(110'), 좌측면부(120) 및 우측면부(120')의 하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서로 절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하단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중첩되어 상기 본체(100)의 하부를 폐쇄하여 내부의 물품을 지지하게 된다.
덮개부(300)는 상기 전면부(110), 배면부(110'), 좌측면부(120) 및 우측면부(120')의 상단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단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중첩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신축부재(500)는 내부공간이 밀폐된 상태로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구비되고, 측면에 형성되는 주름라인(510)의 신축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냉각부(600)는 상기 신축부재(500)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냉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와 상기 신축부재(500)의 접촉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와 상기 신축부재(50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다공홀(700)을 통하여 냉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본체(100) 내부의 공기가 냉각되어 선도유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원 발명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신축부재(50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신축부재(500)는 내부에 낮은 온도 상태를 유지하여 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각부(600)가 수용하게 되는데, 이때 냉각부(600)는 아이스팩, 드라이아이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피를 가지는 냉매제일 수 있고, 또는 냉기와 같은 냉매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장상자(10)의 이동 거리에 따라 장거리, 단거리, 중거리로 구분할 경우 신축부재(500)의 주름라인(510)의 신장 또는 압축을 통한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장거리일 시 주름라인(510)을 최대로 신장시켜 내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냉매제를 투입하고, 중거리일 시 주름라인(510)을 원거리보다는 상대적으로 짧게 신장시켜 내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냉매제를 투입하고, 단거리일 시 주름라인(510)을 중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신장시켜 내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냉매제를 투입함으로써 포장상자(10)의 이동 거리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신축부재(500) 내부공간의 냉기는 본체(100) 내부와 연통시키는 다공홀(700)을 통하여 이동되게 되는데, 다공홀(700)의 배치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다공홀(700)은, 본체(100)의 일측면에 복수 개의 제1다공홀(7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신축부재(500)는 일면이 개방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져 개방면(520)이 상기 본체(100)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냉기가 상기 제1다공홀(710)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즉, 신축부재(500)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방면(520)이 본체(10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내부가 폐쇄되는데, 본체(100)의 제1다공홀(710)을 통하여 냉기가 본체(100) 내부로 이동하여 냉각시키게 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일측면이 개방된 'ㄷ' 형태의 신축부재(500)의 개방면(52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냉기조절부재(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냉기조절부재(800)는 신축부재(500)의 개방면(520)에 탈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면(520)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고, 제1다공홀(710)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다공홀(720)이 형성되어 신축부재(500)와 본체(100)를 내통시킨다.
즉,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1다공홀(710)과 냉기조절부재(800)에 형성되는 제2다공홀(720)이 서로 연통하게 위치되어 신축부재(500) 내부의 냉기가 제2다공홀(720)과 제1다공홀(710)을 순차적으로 거쳐 본체(100) 내부로 이동된다.
이때, 제1다공홀(710)의 직경(L1)은 제2다공홀(720)의 직경(L2)보다 크게 형성되어 냉기조절부재(800)의 장착 또는 탈거에 따른 냉기 이동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가령, 장거리 이동(X1), 중거리 이동(X2), 단거리 이동(X3)에 따라 제2다공홀(720)의 직경을 X1 < X2 < X3 순으로 크게 형성함으로써 냉기 배출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냉기조절부재(800)는 신축부재(500)에 장착되는 것으로, 신축부재(500)에 형성되는 지지부(530)와 냉기조절부재(800)에 형성되는 장착부(810)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지지부(530)는 신축부재(500)에 형성되는 것으로, 개방면(520)이 형성되는 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절개면(531)과, 절개면(531)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단턱(532)으로 이루어진다.
장착부(810)는 냉기조절부재(800)에 형성되는 것으로, 절개면(531)을 통하여 삽입되어 개방면(520)을 폐쇄시키며, 제1다공홀(710)에 대응되는 제2다공홀(720)이 형성되는 차폐부재(811)와, 차폐부재(811)의 상측 양단에 연장 형성되어 걸림단턱(532)에 억지끼움을 통하여 삽착되는 장착부(810)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장착부재(812)의 양단부는 하향 절곡되어 상기 신축부재(500)의 외측면에 밀착형성되어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고정구(8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포장상자(10) 내부의 보냉을 유지하되 장거리, 중거리, 단거리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선도유지기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첫째로 신축부재(500)의 주름라인(510)의 신장 또는 압축으로 내부공간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내부공간의 크기에 대응되는 냉매제를 투입 또는 충진하는 것과, 둘째로 다양한 크기의 제2다공홀(720)이 형성되는 냉기조절부재(800)의 변경을 통하여 신축부재(500) 내부공간의 냉기 배출량을 조절하여 냉기 소진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발명의 본체(100), 바닥부(200), 덮개부(300)를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100)는 좌측면부(120), 전면부(110), 우측면부(120'), 배면부(110')가 서로 연결된 채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좌측면부(120)와 그 상부에 배치된 제2덮개부재(330) 일측에는 접합부(400)가 마련되는바, 상기 접합부(400)는, 배면부(110')와 그 상부에 배치된 날개부재(320)와 접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의 포장상자(10)는 접합부(40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포장상자(10)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접합부(40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포장상자(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형의 형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도 6에는 후술할 바닥부(200)의 제1바닥부재(210, 도5참조) 및 제2바닥부재(220, 도5참조)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왜냐하면, 제1바닥부재(210) 및 제2바닥부재(220)가 본체(100)를 구성하는 전면부(110), 배면부(110'), 좌측면부(120), 우측면부(120')의 내면을 향하여 접혀진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에서 '내면'이라 함은, 물품이 수납되는 공간과 마주하는 면이라 할 수 있고, '외면'이라 함은 물품이 수납되는 공간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면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00)는, 전면부(110)와 배면부(110')에 각각 마련되는 제1바닥부재(210)와 좌측면부(120)와 우측면부(120')에 각각 마련되는 제2바닥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닥부재(210)는, 제1접힘라인(L1)을 기준으로 전면부(110) 또는 배면부(110')를 향하여 접혀질 수 있다. 제2바닥부재(220)는, 제1접힙라인(L1)을 기준으로 좌측면부(120) 또는 우측면부(120')를 향하여 접혀질 수 있다. 참고로, 제1접힘라인(L1)은, 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전면부(110), 배면부(110'), 좌측면부(120), 우측면부(120')의 하단변부라 할 수 있다.
제1바닥부재(210)와 제2바닥부재(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를 구성하는 4면부의 내면을 향해 각각 접혀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0)가 사각통의 형태를 가지기 위하여 변형되면, 제1바닥부재(210)와 제2바닥부재(220)는 하향으로 선회되면서 서로 결속될 수 있다.
본체를 구성하는 전면부(110), 배면부(110'), 좌측면부(120), 우측면부(120')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각통의 형태로 접혀져 변형되면, 제1바닥부재(210)와 제2바닥부재(220)는 본체(100)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하향 선회되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한 쌍의 제1바닥부재(210)와 한 쌍의 제2바닥부재(220)는 물품이 놓여질 수 있는 바닥면을 형성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0)의 내면과 접촉되었던 제1바닥부재(210)가 제1접힘라인(L1)을 기준으로 하향 선회되고, 배면부(110')의 내면과 접촉되었던 제1바닥부재(210)도 제1접힘라인(L1)을 기준으로 하향 선회될 수 있다.
동시에, 좌측면부(120)의 내면과 접촉되었던 제2바닥부재(220)가 제1접힘라인(L1)을 기준으로 하향 선회되고, 우측면부(120')의 내면과 접촉되었던 제2바닥부재(220)도 제1접힘라인(L)을 기준으로 하향 선회될 수 있다. 그러면, 제1바닥부재(210) 및 제2바닥부재(220)가 사각통 형태를 가지는 본체(100)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면서 물품이 놓여질 수 있는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제1바닥부재(210)는, 전면부(110) 또는 배면부(110')의 하단측 일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라인(211), 상기 제1경사라인(211)의 길이방향 타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라인(212) 및 상기 제1수평라인(212)의 길이방향 타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경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면부(110) 또는 배면부(110')의 하단측 타단과 연결되는 제2경사라인(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경사라인(211)과 제2경사라인(213)은, 제1바닥부재(210)가 제1접힘라인(L1)을 기준으로 선회되는 과정에서, 제1바닥부재(210)가 본체(100)의 내면 또는 제2바닥부재(22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제1경사라인(211)과 제2경사라인(213)은, 제1바닥부재(210)가 선회될 때 기타 부재들과 비접촉되도록 하고, 더불어, 제2바닥부재(220)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제2바닥부재(220)는, 좌측면부(120) 또는 우측면부(120')의 하단측 일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경사라인(221), 상기 제3경사라인(221)의 길이방향 타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라인(222), 상기 제2수평라인(222)의 길이방향 타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경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측면부(120) 또는 우측면부(120')의 하단측 타단과 연결되는 제4경사라인(223) 및 상기 제2수평라인(222)의 길이방향 중간 부위에 마련되는 결합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경사라인(221)과 제4경사라인(223)은, 제2바닥부재(220)가 제1접힘라인(L1)을 기준으로 선회되는 과정에서, 제2바닥부재(220)가 본체(100)의 내면 또는 제1바닥부재(2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제3경사라인(221)과 제4경사라인(223)은, 제2바닥부재(220)가 선회될 때 기타 부재들과 비접촉되도록 하고, 더불어, 제1바닥부재(210)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결합부(244)는, 서로 결속된 상태를 이루는 제1바닥부재(210) 및 제2바닥부재(220)가 외력에 의해 결속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2수평라인(222)이 형성된 제2바닥부재(220)의 영역을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44)는, 제2수평라인(222)의 길이방향 중간부위에서 좌측면부(120) 또는 우측면부(120')의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절개라인(224a), 상기 제1절개라인(224a)과 연결되며 상기 제2수평라인(222)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절개라인(224b), 상기 제2절개라인(224b)에서 좌측면부(120) 또는 우측면부(120')의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3절개라인(224c), 상기 제3절개라인(224c)에서 상기 제2수평라인(222)을 항햐여 연장되는 제4절개라인(224d); 상기 제3절개라인(224c)에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결속부재(224e) 및 상기 결속부재(224e)와 상기 제4절개라인(224d)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라인(213)이 형성된 상기 제1바닥부재(210)의 부위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홈(224f)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개라인(224a)과 제2절개라인(224b)에 의해 구획되는 대략 'ㄴ'자 형상의 홈은, 한 쌍의 제1받침부재(210)와 한 쌍의 제2받침부재(220)가 서로 근접한 방향으로 모여져 결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속부재(224e)가 경유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즉, 제1절개라인(224a)과 제2절개라인(224b)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받침부재(220)가 서로 근접한 방향으로 모여지는 과정에서 제2받침부재(220)에 마련된 결속부재(224e)가 마찰저항 없이 매끄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제1절개라인(224a)과 제2절개라인(224b)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 쌍의 제2받침부재(220)가 서로 근접한 방향으로 모여지면, 제2받침부재(220)에 마련된 결속부재(224e)가 마주하게 배치된 제2받침부재(220)의 제2수평라인(222)과 마찰되어 변형 또는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1절개라인(224a)과 제2절개라인(224b)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홈을 형성하여 한 쌍의 제2받침부재(220)가 서로 결속되기 위하여 오므려지는 과정을 원활하게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속부재(224e)는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태를 가진 채 제3절개라인(224c)에 마련되며, 그 길이방향 일부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결속부재(224e)는, 서로 결속된 상태를 이루는 한 쌍의 제1받침부재(210) 및 한 쌍의 제2받침부재(220)가 결속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받침부재(210) 및 한 쌍의 제2받침부재(22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면, 한 쌍의 제2받침부재(220)에 각각 마련된 결속부재(224e)는 그 단턱에 각각 접촉된 채 걸림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결속부재(224e)는 제3절개라인(224c)을 기준으로 접혀져 세워지는 것이 결속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걸림홈(224f)은, 결속부재(224e)에 형성된 단턱과 제4절개라인(224d)에 의해 구획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24f)은, 제2경사라인(213)이 형성된 제1바닥부재(210)의 단부 부위와 결합될 수 있다.
걸림홈(224f)에 삽입된 제1바닥부재(210)의 단부 부위는 결속부재(224e)와 제4절개라인(224d) 사이에 고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4절개라인(224d)은 경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바닥부재(210)의 단부 부위는 제4절개라인(224d)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걸림홈(224d)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바닥부(2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바닥부재(210) 및 한 쌍의 제2바닥부재(220)가 서로 결속되기 위하여 본체(100)의 내면에서부터 서로 근접한 방향으로 오므려지면, 제2바닥부재(220)의 제3경사라인(221)의 길이방향 전체와 제2수평라인(222)의 길이방향 일부는 한 쌍의 제1바닥부재(2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바닥부재(2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수평라인(222)의 길이방향 나머지 일부와 상기 제4경사라인(223, 도5참조)의 길이방향 전체는 한 쌍의 제1바닥부재(210) 중에서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1바닥부재(2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결합부(224)의 결속부재(224e)는 또 다른 결속부재(224e)와 서로 결합되고, 결합부(224)의 결합홈(224d)에는 제1받침부재(210)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위와 같이, 결속부재(224e)와 결합홈(224d)에 의해 한 쌍의 제1바닥부재(210) 및 한 쌍의 제2바닥부재(220)가 서로 결속된 상태를 이루면, 본체(100)의 개방된 하부가 차단되면서 물품이 놓여질 수 있는 바닥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포장상자(10)는, 포개진 상태의 본체(100)를 접어서 사각통의 형태로 변형만 시키면, 바닥부(2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바닥부재(210) 및 한 쌍의 제2바닥부재(220)가 자연스럽게 선회 및 오므려지면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간편하게 판형 형태의 박스를 장방형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바닥부재(210) 및 한 쌍의 제2바닥부재(220)는 결속부재(224e) 및 결합홈(224d)에 의하여 서로 견고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테이핑 작업을 수행할 필요도 없다.
상기 덮개부(300)는, 전면부(110)와 상기 배면부(110')의 상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1덮개부재(310), 상기 제1덮개부재(310)와 연결되며, 상기 좌측면부(120)와 상기 우측면부(120')의 상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2덮개부재(330) 및 상기 제1덮개부재(310)의 양측부에서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덮개부재(330)와 연결되는 날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덮개부재(310)는, 제2접힘라인(L2)을 기준으로 전면부(110) 또는 배면부(110')의 내면을 향해 접혀질 수 있다.
제2덮개부재(320)는, 제2접힘라인(L2)을 기준으로 좌측면부(120) 또는 우측면부(120')의 내면을 향해 접혀질 수 있다.
날개부재(330)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태를 가진 채 제1덮개부재(3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제3접힘라인(L3)을 기준으로 제1덮개부재(310)의 내면을 향해 접혀질 수 있다.
참고로, 제2접힘라인(L2)은, 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전면부(110), 배면부(110'), 좌측면부(120), 우측면부(120')의 상단 변부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접힘라인(L3)은, 대략 삼각형 형태를 가지는 제1덮개부재(310)의 경사 변부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덮개부(300)는,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기 위하여 제1덮개부재(310)가 제2접힘라인(L2)을 기준으로 전면부(110) 또는 배면부(110')의 상단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접혀지면, 이에 연동하여 날개부재(320) 및 제2덮개부재(320)가 순차적으로 접혀지는 구조를 가진다.
즉, 제1덮개부재(310)가 접혀지면, 한 쌍의 날개부재(320)는 제1덮개부재(310)의 외면을 향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아울러, 날개부재(320)와 연결된 제2덮개부재(330)가 날개부재(320)의 선회동작과 연동되면서 화살표 C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가 차단될 수 있다. 날개부재(320)는 제1덮개부재(310)의 선회 동작과 연동하여 제2덮개부재(330)가 선회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덮개부(300)가 이중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외력으로부터 덮개부(300)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덮개부(300)를 구성하는 제1덮개부재(310)를 간단히 선회시키는 동작만으로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 포장상자 100 : 본체
110 : 전면부 110' : 배면부
120 : 좌측면부 120' : 우측면부
200 : 바닥부 210 : 제1바닥부재
220 : 제2바닥부재 300 : 덮개부
310 : 제1덮개부재 320 : 날개부재
330 : 제2덮개부재 400 : 접합부
500 : 신축부재 510 : 주름라인
520 : 개방면 530 : 지지부
531 : 절개면 532 : 걸림단턱
600 : 냉각부 700 : 다공홀
710 : 제1다공홀 720 : 제2다공홀
800 : 냉기조절부재 810 : 장착부
811 : 차폐부재 812 : 장착부재
813 : 이탈고정구

Claims (15)

  1. 전면부,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가 구비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의 본체;
    상기 전면부,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하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서로 절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단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중첩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를 폐쇄하는 바닥부;
    상기 전면부,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상단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단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중첩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덮개부;
    내부공간이 밀폐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측면에 형성되는 주름라인의 신축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는 신축부재;
    상기 신축부재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복수 개의 제1다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재는, 일면이 개방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져 개방면이 상기 본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냉기가 상기 제1다공홀을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신축부재의 개방면에 탈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고, 상기 제1다공홀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다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신축부재와 상기 본체를 내통시키는 냉기조절부재;
    상기 신축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방면이 형성되는 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절개면과, 상기 절개면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단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냉기조절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개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개방면을 폐쇄시키며, 상기 제1다공홀에 대응되는 상기 제2다공홀이 형성되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의 상측 양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턱에 억지끼움을 통하여 삽착되는 장착부재로 이루어지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공홀의 직경(L1)은 상기 제2다공홀의 직경(L2)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냉기조절부재의 장착 또는 탈거에 따른 냉기 이동량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양단부는 하향 절곡되어 상기 신축부재의 외측면에 밀착형성되어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고정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바닥부재와 상기 좌측면부와 상기 우측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바닥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바닥부재는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배면부의 내면에서부터 하향으로 선회되어 접혀지고,
    상기 제2바닥부재는,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내면에서부터 하향으로 선회되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부재는,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배면부의 하단측 일단에서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라인;
    상기 제1경사라인의 선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라인; 및
    상기 제1수평라인의 선단에서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배면부의 하단측 타단과 연결되는 제2경사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닥부재는,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하단측 일단에서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경사라인;
    상기 제3경사라인의 선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평라인;
    상기 제2수평라인의 선단에서 경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하단측 타단과 연결되는 제4경사라인; 및
    상기 제2수평라인의 길이방향 중간 부위에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수평라인이 형성된 상기 제2바닥부재의 영역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수평라인의 길이방향 중간부위에서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절개라인;
    상기 제1절개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2수평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절개라인;
    상기 제2절개라인에서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3절개라인;
    상기 제2절개라인에서 상기 제2수평라인을 항햐여 연장되는 제4절개라인;
    상기 제3절개라인에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와 상기 제4절개라인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라인이 형성된 상기 제1바닥부재의 부위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경사라인의 길이방향 전체와 상기 제2수평라인의 길이방향 일부는 상기 한 쌍의 제1바닥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제1바닥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수평라인의 길이방향 나머지 일부와 상기 제4경사라인의 길이방향 전체는 한 쌍의 제1바닥부재 중에서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1바닥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또 다른 상기 결합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상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1덮개부재;
    상기 제1덮개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좌측면부와 상기 우측면부의 상단에 각
    각 마련되는 제2덮개부재; 및
    상기 제1덮개부재의 양측부에서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덮개부재와 연결되는 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1덮개부재가 상기 전면
    부 또는 상기 배면부의 상단에서 접혀지면, 상기 날개부재와 상기 제2덮개부재가 순차적으로 상기 제1덮개부재의 외면을 향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부재는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배면부의 하단 변부에 형성된 접힘라인을 기준으로 선회되어 접혀지고,
    상기 제2바닥부재는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하단 변부에 형성된 접힙라인을 기준으로 선회되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15. 제13항에 있어서,
    제1덮개부재는,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배면부의 상단 변부에 형성된 접힘라인을 기준으로 선회되어 접혀지고,
    상기 제2덮개부재는, 상기 좌측면부 또는 상기 우측면부의 상단 변부에 형성된 접힘라인을 기준으로 선회되어 접혀지고,
    상기 날개부재는, 삼각형 형태를 가지는 제1덮개부재의 경사 변부에 형성된 접힘라인을 기준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KR1020210186748A 2021-12-24 2021-12-24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KR102543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748A KR102543081B1 (ko) 2021-12-24 2021-12-24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748A KR102543081B1 (ko) 2021-12-24 2021-12-24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081B1 true KR102543081B1 (ko) 2023-06-13

Family

ID=8676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748A KR102543081B1 (ko) 2021-12-24 2021-12-24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0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261A (ja) * 1997-09-08 1999-03-23 Hideyasu Shimizu 保冷バッグ
KR20090124584A (ko) 2008-05-30 2009-12-03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원터치 조립식 포장 상자
KR101692832B1 (ko) * 2016-02-16 2017-01-05 주식회사 박스코리아 절첩이 용이한 포장박스
KR20180038776A (ko) * 2016-10-07 2018-04-17 현헌식 원터치 접이형 과일박스
JP2021162261A (ja) * 2020-04-01 2021-10-11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却システム
KR20210123085A (ko) * 2020-04-02 2021-10-13 임영빈 친환경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261A (ja) * 1997-09-08 1999-03-23 Hideyasu Shimizu 保冷バッグ
KR20090124584A (ko) 2008-05-30 2009-12-03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원터치 조립식 포장 상자
KR101692832B1 (ko) * 2016-02-16 2017-01-05 주식회사 박스코리아 절첩이 용이한 포장박스
KR20180038776A (ko) * 2016-10-07 2018-04-17 현헌식 원터치 접이형 과일박스
JP2021162261A (ja) * 2020-04-01 2021-10-11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却システム
KR20210123085A (ko) * 2020-04-02 2021-10-13 임영빈 친환경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16610A1 (fr) Meuble refrigere d&#39;exposition de produits alimentaires ou similaires
US20160046404A1 (en) Packaging System
CA2508954A1 (en) Combination shipping/display container
JP2018510100A (ja) 箱を組み立て、その箱に複数の品物を梱包する方法及び装置、及び、複数の品物を入れるための再利用可能な枠
KR102543081B1 (ko) 선도유지용 구조체가 구비된 원터치 포장상자
US20120091191A1 (en) Packaging box
US20110269367A1 (en) Expandable Packaging Assembly
CN102887279A (zh) 冰箱搁板保持件及冰箱搁板的保持结构
JP6231712B2 (ja) 折り畳み式包装箱
JP3763317B2 (ja) 折り畳み式保冷容器
JP2005335814A (ja) 折り畳み式保冷容器
KR200491906Y1 (ko) 상자
CN104203763A (zh) 包装用保鲜膜盒
JP2005265012A (ja) 真空断熱材および折り畳み式保冷容器
KR101735937B1 (ko) 포장용 박스
KR102089211B1 (ko) 과일 포장용 상자 완충재
KR200491046Y1 (ko) 칸막이가 구비된 제품 포장용 박스
KR101860723B1 (ko) 드론용 제품상자
KR102075650B1 (ko) 배송용 포장 상자
KR200489029Y1 (ko) 상품 포장용 상자
US6360893B1 (en) Carton sleeve with interlock
JP3711997B2 (ja) 折り畳み式保冷容器
KR102244462B1 (ko) 식품 포장상자
KR20150065459A (ko) 회수용 박스 파렛트
JP3056881U (ja) 果物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