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815B1 -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 Google Patents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815B1
KR102542815B1 KR1020220029120A KR20220029120A KR102542815B1 KR 102542815 B1 KR102542815 B1 KR 102542815B1 KR 1020220029120 A KR1020220029120 A KR 1020220029120A KR 20220029120 A KR20220029120 A KR 20220029120A KR 102542815 B1 KR102542815 B1 KR 10254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clip
user
clip band
ped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규화
Original Assignee
임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규화 filed Critical 임규화
Priority to KR102022002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나 재활 목적의, 페달을 이용하는 실내 운동용 기구에서 클립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이 전후 방향으로 가장 이상적인 부위(발바닥 중족골 부위)에서 페달몸체의 페달축 위에 대응하고, 좌우 페달 간 거리는 골반 크기와 고관절 특성에 대응하며, 페달의 외전 각도는 고관절 형태에 따른 보행시 발 정렬 특성에 대응하여 결합 고정하게 구성하므로 좌우 대칭 페달링 등 바람직한 페달링 자세확립 및 교정을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고, 나아가 당김 페달링 및 회전 페달링, 뒤로 페달링, 페달면과 지면이 다양한 각도를 이루는 페달링을 가능케 함으로써 다양한 근육 사용 및 균형적 신체 발달, 그 외 관절 및 근육 신장과 근 피로도 감소 등 다양한 긍정적 부수 효과를 제공하도록, 실내 운동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구름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성하되, 운동장치의 회전요소에 연결된 크랭크축으로 연결되게 크랭크암의 일단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답인력을 받는 페달에 있어서, 전후로 연장 형성하되 사용자의 발바닥 면을 접촉 지지하는 페달상면부를 형성하는 페달몸체와, 상기 페달몸체 상에 결속 결합하고 상기 크랭크암의 일단에 대응하여 연결 결합하게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페달축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페달부와; 상기 페달부 중 상기 페달몸체의 상부에 장착하되, 상기 페달몸체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페달축을 기준으로 전후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대응하여 토클립밴드, 인스텝클립밴드 및 힐클립밴드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상기 페달몸체의 후면부에서 힐클립밴드와 인스텝클립밴드를 "V"자 또는 "Y"자 또는 "X" 형태로 상호 연장 또는 교차 형성 설치하여 사용자의 발을 착용 상태로 고정하는 클립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부의 페달축은, 상기 페달몸체의 전방 전면부 및 후면부의 경계 구간에서 사용자의 발 앞쪽 중족골에 대응하도록 배치 구성하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Clip Pedal for Indoor Exercise}
본 발명은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헬스나 재활 목적의, 페달을 이용하는 실내 운동용 기구에서, 클립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이 전후 방향으로 가장 이상적인 부위(발바닥 중족골 부위)에서 페달몸체의 페달축 위에 대응하고, 좌우 페달 간 거리는 골반 크기와 고관절 특성에 대응하며, 페달의 외전 각도는 고관절 형태에 따른 보행 시 발 정렬 특성에 대응하여 결합 고정하게 구성하므로 좌우 대칭 페달링 등 바람직한 페달링 자세 확립 및 교정을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고, 나아가 당김 페달링 및 회전 페달링, 뒤로 페달링, 페달면과 지면이 다양한 각도를 이루는 페달링을 가능케 함으로써 다양한 근육 사용 및 균형적 신체 발달, 그 외 관절 및 근육 신장과 근 피로도 감소 등 다양한 긍정적 부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차량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걷거나 움직이는 시간이 점차 줄어 신체의 운동량이 부족하게 되므로, 근육의 노화현상과 경직현상을 발생하게 하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며, 이는 현대인들의 성인병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적당한 운동을 하여 근육을 단련시키고 땀을 흘림으로써 인체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한편 근육의 노화현상과 경직현상을 완화하고 고혈압 및 당뇨병, 심장병, 비만 등의 성인병을 예방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 많은 헬스 활동이 주로 실외보다는 다양한 운동기구가 비치된 헬스클럽이나 헬스 운동기구를 구비한 가정에서 행해지고 있는바, 이중 실내자전거 등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그 크기가 작아 헬스클럽은 물론 가정에서도 좁은 공간만 있으면 용이하게 비치 사용할 수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페달 운동기구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31279호(2006.11.10.)에는 사용자가 안장에 착석한 상태로 사용하는 싸이클형 헬스기구의 바퀴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페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의 일측 및 타측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한쌍의 고정부 타단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체부를 포함하는 한쌍의 크랭크부; 및, 상기 한쌍의 교체부 타단 일측에 상기 교체부에 직각방향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페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교체부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 다수의 교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장착시켜 상기 크랭크부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함에 따라 양쪽 다리의 길이가 다른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페달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8634호(2011.02.22.)에는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회전요소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회전요소에 연결되어 크랭크 축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크랭크 아암 및 이들 각 크랭크 아암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답력을 받는 것으로 가변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페달요소를 구비한 운동기구용 페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달요소는, 상기 크랭크 아암의 단부에 페달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재형의 부재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구멍 및 측부를 통해 상기 수직구멍에 교차 연결 형성되는 수평구멍을 구비하는 고정 스텝과; 상기 고정 스텝의 일측에 위치되어 가변적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으로 일면에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가변 스텝과; 상기 가변 스텝의 하측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연장되어 상기 수직구멍을 통과하는 것으로 등 간격을 두고 위치결정 구멍이 형성된 길이조절 샤프트와; 상기 수평구멍을 통해 상기 수직구멍을 통과하는 길이조절 샤프트의 위치결정 구멍에 삽입되어 체결시키는 핀을 구비한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 및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용 페달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중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31279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8634호는 양자 모두 운동기구에 페달을 연결하는 페달축(액슬)이 페달의 중심(페달 전체길이 기준 1/2 지점)을 기준으로 전후가 대칭되게 연결되기 때문에 페달과 발 간 전후 방향의 이상적 위치에 연결 고정을 담보하지 못하므로 힘 전달 효율이 낮고 운동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페달에 (신)발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부재하여 발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고, 당김 페달링이 극히 비효율적이어서 다양한 근육 사용이 어려우며, 일방적으로 밟기만 하는 토크(파워)형 페달링에 익숙해지게 함으로써 올바른 페달링 자세 확립을 어렵게 할 뿐 아니라 무릎 관절에 무리가 가는 페달링 습관에 빠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외에 시판 중인 실내 운동 기구용 페달 중 미끄럼 방지를 위한 단순한 형태의 토 클립 페달은 물론, 토 캡을 비롯한 다소 복잡한 구성으로 발과 페달 간 결합, 특히 앞 밀림 방지 기능을 강화한 고급형 토 클립 페달의 경우에도 효율적 페달링을 위한 발과 페달 간 전후 방향 최적점 결합 고정에 필요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뒤꿈치를 감싸는 구성’이나 페달 사이즈의 다양화, 페달축과 페달 몸체 간 또는 발과 페달 간 연결 시 좌우 페달 중심 간 거리와 외전각을 다양하게 가지거나 사용자 조정을 위한 구성이 부재하여 효율적인 페달링을 위한 올바른 자세 확립 교정 및 운동 효과 증대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고급형 토 클립 페달의 경우 주로 착화 상태에서 타는 것을 전제로 고안되어 있어 실효성이 클럽용으로 제한되며 가정용(개인용)으로 이용되는 경우 맨발로 타는 경우의 주요 장점 중 하나인 땀 챔 현상으로부터 자유로움 등이 무의미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외에 뒤 밀림 방지를 위한 구성이 존재하는 일부 재활기구용 페달의 경우에서도 길이조절수단이 미비한데다 주요 소재도 신축성이 없는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어 효율적 페달링을 위한 구성이라기보다는 수술 등으로 인해 하체 근력이 극도로 약화된 재활 운동자를 위한 단순 발 빠짐 방지 기능에 한정된 장치라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클립 페달과 같은 풀 바인딩 페달이면서, 현재 출시 중인 페달 제품 중 본 발명에 의한 클립 페달과 기능적으로 가장 유사한 제품으로서, 자전거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로드 자전거용 부품 또는 보조용품으로 클립리스 페달(clipless pedal)(국내에서는 클릿 페달(cleat pedal) 또는 단순히 클릿 또는 클리트(cleat)라고도 함)이 있는 바, 실내에서는 한동안 전문 선수나 일부 마니아(mania) 그룹에서 동계 훈련용으로, 로라(roller, 전문 사이클 선수나 일부 마니아층의 실내 훈련용 사이클 보조기구) 를 이용하여 페달링 하는 로드용 사이클에 장착하여 사용되어오다가 최근 홈트레이닝의 유행으로 일부 실내자전거용으로 진입하였다. 그러나 클립리스 페달은 자세 확립.교정, 주행 성능 향상 및 다양한 근육 사용을 통한 근육의 고른 발달 등, 풀 바인딩 페달이 가지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착화 상태로 타는 것을 전제로 한다는 점과 주행 성능 극대화를 추구한다는 점 및 응급상황 시 탈착 용이성 등 실내자전거에서는 불필요한 기능을 위한 구성에 따라 적지 않는 제약 요인이나 단점들이 존재한다. 착화를 전제로 하고 이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말미암아 전용 페달, 클릿, 전용 슈즈로 구성되는 복잡성과 높은 가격, 땀 챔, 피팅의 복잡성 등의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로라를 이용하여 로드용 자전거에 장착하여 실내에서 페달링 훈련을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실내자전거 자체에 클립리스 페달을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로드용과 별도로 실내자전거용으로 클립리스 페달을 추가로 구입하는 경우에는 웬만한 보급형 실내자전거 가격을 초과하는 가격 부담이 발생하며, 로드용과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매번 이용 시마다 페달을 크랭크 암으로부터 탈착을 반복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수용하기 힘들 정도의 극도의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또, 주행 성능의 극대화(실내자전거는 주행 성능 극대화가 아닌 운동 효과 극대화가 주된 목적이다.)를 위한 전용 신발과 발 간 과도한 밀착, 슈즈에 비탄력적인 소재 사용, 슈즈와 페달 간 유격 최소화, 주로 뒤꿈치를 외측으로 비트는 이탈 방식 및 부정확한 피팅 가능성과 더불어 피팅값 변경의 불편성에 따른 페달과 발의 특정 부위 결합 장기 고착화 등으로 인한 혈행 압박, 일부 특정 근육이나 관절에 대한 부담 누적 및 이에 따른 부상 위험성 등의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279호 (2006.11.10.) KR 등록특허공보 제10-1018634호 (2011.02.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 운동기구의 페달에 있어서 페달 상부를 구간별 클립밴드를 구비한 샌들형 내지 슈즈형으로 구성하고, 길이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클립밴드, 다양한 사이즈의 페달몸체 및 다양한 전후, 좌우 거리와 외전각을 가지거나, 각각에 사용자 조정을 위한 유격을 구비하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발 크기와 형태, 골반 크기 및 고관절 구조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발이 전후 방향으로는 발바닥 중족골 부위가 페달축 위에서 페달과 대응하고, 좌우 페달 간 이상적인 간격과 발 벌림 각도로 페달과 결합하는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구성하여 좌우 대칭 페달링을 비롯한 올바른 페달링 자세를 확립 교정하고 다양한 근육 사용을 통한 운동 효과의 극대화와 관절 이완, 피로도 감소, 부상 방지 등 긍정적 부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은 실내 운동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구름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되, 운동장치의 회전요소에 연결된 크랭크축으로 연결되게 크랭크암의 일단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답인력을 받는 페달에 있어서, 전후로 연장 형성하되 사용자의 발바닥 면을 접촉 지지하는 페달상면부를 형성하는 페달몸체와, 상기 페달몸체 상에 결속 결합하고 상기 크랭크암의 일단에 대응하여 연결 결합하게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페달축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페달부와; 상기 페달부 중 상기 페달몸체의 상부에 장착하되, 상기 페달축을 기준으로 전후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하거나, 상기 페달몸체의 후면부에서 "V"자 또는 "Y"자 또는 "X"자 형태로 상호 연장 또는 교차 형성 설치하여 사용자의 발을 착용 상태로 고정하는 클립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부의 페달축은, 상기 페달몸체의 전방 전면부 및 후면부의 경계 구간에서 사용자의 발 앞쪽 중족골에 대응하도록 배치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페달부의 페달몸체는, 전체적으로 목재를 소재로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페달부에는, 상기 페달몸체의 페달상면부에 대응하여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요철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페달부에는, 상기 페달몸체의 페달상면부에 대응하여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자체적으로 또는 상기 페달몸체의 페달상면부와 호응하여 특정 패턴을 형성하는 패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페달부에는, 상기 페달몸체의 전면부에서 사용자의 발가락을 접촉 지지하게 전방으로 연장 형성하는 토페달연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페달부에는, 상기 페달몸체의 후면부에서 사용자 발의 뒤꿈치를 접촉 지지하게 후방으로 연장 형성하는 힐페달후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페달부의 페달몸체는, 상기 페달축을 일측에 결속 결합하게 구비하는 하부페달과, 상기 하부페달의 상부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클립밴드부를 구비하는 상부페달을 포함하고, 상기 페달몸체는 상기 하부페달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페달을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속 고정하는 페달고정수단을 포함하여 분리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페달부는, 상기 페달몸체 상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상기 페달축을 교체 적용하거나 상기 페달몸체와 상기 페달축 간 좌우 방향 연결점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상기 크랭크암과 상기 페달몸체 중심 간 좌우 간격을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페달부는, 상기 페달몸체 중 상기 하부페달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페달의 결속 고정위치를 좌우 측 방향으로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조정 설정하여 결합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페달부는, 상기 페달축에 대하여 상기 페달몸체 상이나 상기 하부페달 상에 결속 고정 각도를 상기 페달몸체의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0~10°의 각도범위 내에서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외전각을 조정 설정하여 결합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페달부는, 상기 페달몸체 중 상기 하부페달 상에 상기 상부페달의 결속 고정각도를 상기 페달몸체의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0~10°의 각도범위 내에서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외전각을 조정 설정하여 결합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클립밴드부는, 상기 페달몸체의 전방 전면부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게 형성하는 토클립밴드와, 상기 페달몸체의 후방 후면부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감싸게 형성하는 힐클립밴드와, 상기 페달몸체의 후방 후면부에서 상기 토클립밴드 및 상기 힐클립밴드의 사이에 배치하고 사용자의 발등을 재차 감싸게 형성하는 인스텝클립밴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인스텝클립밴드는 상기 페달몸체 상에 연결 설치하되 적어도 1개 이상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독립 밴드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인스텝클립밴드와 상기 힐크립밴드는 상호 연장 또는 교차 형성하여 일체로 구성하는 연결 밴드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클립밴드부에는, 상기 토클립밴드 및 상기 힐클립밴드, 상기 인스텝클립밴드의 길이를 가변 가능하게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클립밴드부에는, 상기 힐클립밴드와 상기 인스텝클립밴드는 페달몸체의 페달면과 이루는 각도를 가변 가능하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에 의하면 페달 전방에 위치한 페달축의 배치와 함께 페달축의 전후 부분, 인스텝 부분 및 인스텝 부분과 힐 클립밴드 후면부와의 사이에 대응하면서 상호 연장 형성 가능한 클립밴드를 구성하므로, 페달로부터 사용자의 발 이탈을 방지하고 페달축과 발 간 전후, 좌우 방향 최적점 결합 및 최적 외전 각도로 결합 고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발 앞쪽 중족골 부위가 전후 방향으로 페달축에 대응하고, 페달 좌우 중심 간 거리는 사용자의 골반 너비 및 고관절 구조에 대응하며, 페달의 전후 중심선이 전방을 향하여 이루는 각도는 골반 형태에 따른 보행 시 좌우 발 벌림 각도에 상응하게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므로 좌우 대칭 페달링을 비롯 바람직한 페달링 자세를 위한 기초 확립, 자세 교정 및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은 당김 페달링, 회전 페달링, 고케이던스(고속) 페달링, 뒤로 페달링, 발과 지면이 다양한 각도를 이루는 페달링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사할 수 있게 클립밴드, 특히 힐클립밴드를 구성하므로, 다양한 근육 사용을 통한 근육의 균형 발달, 근육과 관절 신장, 근육과 관절 피로 저감 및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은 페달몸체의 소재로 목재를 적용하므로, 전 지구적인 친환경, 친인체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동일한 풀 바인딩 페달로서 최근 실내자전거에 진입한 클립리스 페달(페달, 클리트, 슈즈) 대비 간소한 구성과 압도적인 가성비로 기존의 토 클립 페달이나 클립리스 페달을 빠르게 대체할 뿐 아니라, 올바른 페달링 자세를 위한 트레이닝이나 청소년기 성장판 자극 운동을 위한 수요 창출로 실내자전거 시장의 성장 견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페달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페달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페달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페달부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페달부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클립밴드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일반적인 페달링의 운동효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본 발명은 실내 운동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구름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성하되, 운동장치의 회전요소에 연결된 크랭크축으로 연결되게 크랭크암의 일단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답인력을 받는 페달에 있어서, 전후로 연장 형성하되 사용자의 발바닥 면을 접촉 지지하는 페달상면부를 형성하는 페달몸체와, 상기 페달몸체 상에 결속 결합하고 상기 크랭크암의 일단에 대응하여 연결 결합하게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페달축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페달부와; 상기 페달부 중 상기 페달몸체의 상부에 장착하되, 상기 페달축을 기준으로 전후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하거나, 상기 페달몸체의 후면부에서 "V"자 또는 "Y"자 또는 "X"자 형태로 상호 연장 또는 교차 형성 설치하여 사용자의 발을 착용 상태로 고정하는 클립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부의 페달축은, 상기 페달몸체의 전방 전면부 및 후면부의 경계 구간에서 사용자의 발 앞쪽 중족골에 대응하도록 배치 구성하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 운동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구름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성하되, 운동장치의 회전요소에 연결된 크랭크축으로 연결되게 크랭크암(A)의 일단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답인력을 받는 페달(P)에 있어서, 페달부(10)와, 클립밴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P)은 주로 가정용이나 개인용 실내자전거에 적용하는 비착화형(맨발용) 페달과 주로 클럽용을 포함한 공용 실내자전거에 적용하는 착화형 페달로 구분되며, 비착화형 페달은 다시 샌들형에서 슈즈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클립 페달(P)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P)은 대표적으로 입식 및 좌식 실내 자전거(좌식의 경우 입식에 비해 페달이 안장보다 더 앞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힐클립밴드를 이용한 당김 페달링이 더욱 유효하다.)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 페달이 적용되는 다른 모든 실내 운동장치(예를 들면, 스피닝머신, 실내 훈련용 고정로라(평로라는 로드용 자전거와 동일하게 발동작만으로 페달에서 이탈하여야 하며, 또한 자전거가 로라 위에서 균형을 잃거나 로라에서 이탈 시 긴급히 발을 페달로부터 이탈하여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클립 페달(P)을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음), 의료(재활)용 자전거 등)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페달부(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 운동장치의 회전요소에 연결된 크랭크암(A)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자의 (신)발을 안착시킨 채 답인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페달몸체(11) 및 페달축(15)을 구성한다.
상기 페달몸체(11)는 전후로 연장 형성하되 사용자의 발바닥 면을 접촉 지지하는 페달상면부(13)를 형성한다. 즉, 상기 페달몸체(11)는 상기 페달상면부(13)의 상부 표면에 사용자의 발바닥 면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촉할 수 있는 형상과 면적을 가지며, 상기 페달몸체(11)의 전방에 위치한 페달축(15)을 기준으로 전방을 이루는 전면부(a) 및 후방을 이루는 후면부(b)를 구비하고, 상기 페달몸체(11)의 전면부(a) 및 후면부(b)에 각각 상기 클립밴드부(20)가 적용되게 형성한다.
상기 페달부(10)의 페달몸체(11)는 전체적으로 목재를 소재로 사용한다. 즉, 상기 페달몸체(11)는 가혹한 환경에 상대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클립밴드부(20)가 부하를 분담함에 따라 로드용 자전거에 비해 내마모성이 상대적으로 적게 요구되는 실내자전거용 페달의 특성상, 주 소재를 플라스틱이나 금속 일변도에서 벗어나 친환경, 친인체 소재인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이 가능하며(로드용 자전거의 경우 맨발로 타는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친인체 소재인 목재를 사용하는 실익이 없음), 동시에 생산에서 폐기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생애 전주기에 걸쳐 탄소발자국 저감과 플라스틱 사용 감소를 통해 전지구적인 환경 보호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목재 소재의 페달몸체(11)를 적용함에는 비착화형의 경우에 특히 유효한 효과가 있다.
상기 페달몸체(11)의 페달상면부(13)는 발바닥 형상에 대응한 신발 안창 형상으로 곡면 가공하여 구성하므로, 사용자의 발바닥 면과의 접촉면을 극대화하고 페달링 시 자연스러운 발 형상을 유지하여 발 피로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페달몸체(11)의 페달상면부(13)에 대응하여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요철 형태의 특정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부(도면에 미도시)를 구성하므로, 사용자의 미끄럼 방지 및 발바닥 지압 효과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페달몸체(11)에는 상기 페달상면부(13)에 대응하여 연성을 갖는 실리콘 소재 등의 연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요철 형태의 특정 패턴을 가지는 패드부(14)를 구성하므로, 결합감 및 밀착감을 극대화하고, 발바닥 지압 효과를 도모하면서, 상기 클립밴드부(20)의 부하를 분담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패드부(14)는 상기 페달상면부(13)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부분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페달축(15)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달몸체(11) 상에 결속 결합하고, 상기 페달몸체(11)의 좌우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상기 페달축(15)은 상기 페달몸체(11)의 폭보다 한쪽이 외측으로 연장 형성하며, 운동장치의 회전 요소에 연결된 상기 크랭크암(A)의 일단에 대응하여 한쪽이 연결 결합하게 구성한다.
상기 페달축(15)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달몸체(11)의 전후로 연장된 전체 길이 범위에서 전후 즉 상기 페달몸체(11)의 전면부(a) 및 후면부(b)를 구분하는 기준선 상에 배치하여 상기 페달몸체(11)의 전방 전면부(a) 및 후면부(b)의 경계 구간에서 사용자의 발 앞쪽 중족골에 대응하도록 배치 구성한다.
즉, 상기 페달축(15)은 상기 페달몸체(11)의 중간지점(전체길이의 1/2지점)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하되 사용자의 신체(발) 중 토(toe) 부분 또는 토(toe) 부분과 인스텝(instep) 부분과의 사이 구간에서 사용자의 발 중 앞쪽 중족골에 대응되게 구성한다.
상기 페달몸체(11)는 상기 페달축(15)에 의하여 상기 크랭크암(A)에 연결 결합하게 탈착 가능한 구조로서, 다양한 사이즈를 구비토록 구성하므로, 사용자의 발 크기에 맞게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발과 페달축(15)과의 전후 방향 최적점 연결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페달부(10)의 제1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달몸체(11)가 단층 단일구조로 상기 페달축(15)이 장착된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즉, 상기 페달부(10)는 상기 페달몸체(11)가 단층 단일 구조를 이루며, 상기 페달축(15)에 대하여 상기 페달몸체(11) 상에 직접 결속 결합하게 형성된 일체형으로 이루도록 상기 페달몸체(11)의 측단에 상기 페달축(15)이 직접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페달부(10)의 제2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달몸체(11)의 전면부(a)에서 사용자 발의 발가락을 접촉 지지하게 전방으로 연장 형성하는 토페달연장부(1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토페달연장부(17)는 상기 페달몸체(11)에서 상기 페달축(15)을 기준으로 전면부(a)에서 전방으로 길이를 연장하여 구성하므로, 페달링 시 발가락을 포함한 발 전면부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토페달연장부(17)는 상기 페달몸체(11)의 전방을 향하여 상향 굴곡진 곡면으로 형성하므로, 발가락의 효율적인 접촉 지지와 함께 발 전면부 형상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페달부(10)의 제3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달몸체(11)의 후면부(b)에서 사용자 발의 뒤꿈치를 접촉 지지하게 후방으로 연장 형성하는 힐페달후면부(1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힐페달후면부(18)는 사용자 발과의 접촉면 간에 틈이 생겨 발과 상기 클립밴드부 간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발바닥보다 넓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달부(10)의 제4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달몸체(11)가 복층 구조로 상기 페달축(15)이 장착되고 상기 페달몸체(11)가 상하 분리 가능한 분리형으로 구성한다. 즉, 상기 페달부(10)는 상기 페달몸체(11)가 복층 구조로 상기 페달축(15)이 장착되고 상기 페달몸체(11)가 분리 가능한 분리형 구조로서, 상기 페달몸체(11)는 하부페달(11a) 및 상부페달(11b)을 구분하여 이분된 구조를 이루게 구성한다.
상기 페달몸체(11) 중 상기 하부페달(11a)은 일반적인 육면체의 페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페달축(15)을 일측에 결속 결합하게 구비한다.
상기 상부페달(11b)은 상기 하부페달(11a)의 상부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클립밴드부(20)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상부페달(11b)에도 상기 하부페달(11a)의 나사공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나사공을 형성한다.
상기 페달부(10)에는 상기 하부페달(11a)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페달(11b)을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속 고정하는 페달고정수단(12)을 구비한다.
상기한 제4실시예와 같이 페달부(10)를 구성하게 되면,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된 페달몸체(11)를 탄력적으로 교체 적용함은 물론 세탁 및 피팅을 위한 탈착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페달부(10)는 상기 크랭크암(A)과 상기 페달몸체(11) 간 간격을 다양하게 조정 설정하여 결합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페달축(15)에 대하여 상기 페달몸체(11) 상(일체형의 경우)이나 상기 하부페달(11a) 상(분리형의 경우)에 결합 시 상기 페달몸체(11)의 사이즈별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상기 페달축(15)을 교체 적용하거나, 상기 페달축(15)과 상기 페달몸체(11)(일체형) 또는 상기 하부페달(분리형) 간, 또는 상기 페달축(15)이 일측에 결속된 상기 하부페달(11a)과 상기 상부페달(11b) 간(분리형) 결합 시 좌우 방향 연결점을 달리함으로써 크랭크암(A)과 상기 페달몸체(11) 중심 간 몇 가지 다른 좌우 간격을 가지도록 제작하거나, 단계적 또는 연속적인 좌우 방향 연결점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좌우값(크랭크암(A)과 페달(P) 중심 간 거리) 을 스스로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골반 크기 및 고관절 구조(Q-angle)에 따른 다양한 무릎 간격 및 스탠스 너비에 대응하여 페달을 선택 구입하거나, 스스로 좌우값을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페달링 시 힘 전달 극대화 및 자세 확립과 교정, 부상 방지를 기할 수 있다.
상기 페달부(10)는 상기 페달축(15)과 직각을 이루는 상기 페달몸체(1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한 외전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 설정하여 결합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페달축(15)에 대하여 상기 페달몸체(11) 상(일체형)이나 상기 하부페달(11a) 상(분리형)에 결속 시, 또는 도 7 제 5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달축(15)이 일측에 결속된 상기 하부페달(11a)과 상기 상부페달 간 결합 시(분리형) 상기 페달축(15)과 직각을 이루는 상기 페달몸체(1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0~10°의 회전각도(α1) 범위 내에서 몇 단계 다른 외전각을 가지도록 제작하거나, 상기 회전각도(α1)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외전각을 조정 설정하여 결속 고정 가능하도록 단계적 또는 연속적인 유격을 마련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보행 시 양발의 정렬 형태에 대응하여 제품을 선택 구입하거나, 스스로 외전각을 조정 가능하게 되므로 페달링 시 힘 전달 극대화, 자세 확립 교정 및 부상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클립밴드부(20)는 상기 페달부(10)에 사용자의 발을 샌들이나 슈즈 착용과 같은 상태로 고정(비착화형)하거나 슈즈를 결속(착화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클립밴드부(20)는 상기 페달부(10) 중 상기 페달몸체(11)의 상부에 장착하되 상기 페달부(10)와 함께 샌들형태 및 슈즈형태, 그리고 이 사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립밴드부(20)는 상기 페달몸체(11)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페달축(15)을 기준으로 전후의 전면부(a) 및 후면부(b)에 각각 대응하여 밴드 형태의 클립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클립밴드부(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로 간격을 두고 구간별로 구분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페달몸체(11)의 전방 전면부(a)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게 형성하는 토클립밴드(21)와, 상기 페달몸체(11)의 후방 후면부(b)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감싸게 형성하는 힐클립밴드(22)와, 상기 페달몸체(11)의 후방 후면부(b)에서 상기 토클립밴드(21) 및 상기 힐클립밴드(22)의 사이에 배치하고 사용자의 발등을 재차 감싸게 형성하는 인스텝클립밴드(23)를 구성한다.
상기 토클립밴드(21)는 상기 클립밴드부(20)의 기본적인 기능인 결합력 외에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와 함께 앞 밀림을 제한하고, 상기 힐클립밴드(22) 및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와 호응하여 발과 페달과의 최적점 연결을 담보하며 좌우 비틀림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토클립밴드(21)는 소재 자체의 신축성과 함께 길이 조절을 통한 자체 회전값 유격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토클립밴드(21)는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와 서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결합력 및 내구성을 증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힐클립밴드(22)는 상기 페달부(10) 중 상기 페달몸체(11)의 후방에서 발뒤꿈치(신발 뒤축)를 감싸도록 형성하므로 상기 클립밴드부(20)의 기본적인 기능인 결합력 외에 발과 페달 간 전후 방향 최적점 결합에 있어 뒤 밀림을 제한하고, 특히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와 상호 연장 또는 교차 형성하여 "V"자 또는 "Y"자 또는 "X"자 형태로 구성하거나 상기 연결밴드(27)를 통하여 서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경우 결합력이 극대화됨에 따라 페달링 시 발놀림을 최소화하여 당김 페달링 및 반대 방향 페달링, 발과 지면이 다양한 각도를 이루면서 하는 페달링을 효과적으로 구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클립밴드부(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달몸체(11)의 후면부(b)에서,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와 상기 힐클립밴드(22)를 상호 연장 또는 교차 형성하여 일체로 구성하는 연결 밴드형을 이루어 "V"자 또는 "Y"자 또는 "X"자 형태로 사용자의 발목 근처 부위 발등을 감싸게 구성함으로써, 발과 페달 간 결합력 외에 앞 밀림과 좌우 비틀림을 제어하며 발과 페달 간 전후 방향 최적점 결속.고정 및 자체 전후값과 회전값 유격 조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V"자 또는 "Y"자 또는 "X"자 형태의 연결 밴드와 토클립밴드(21) 사이에 인스텝클립밴드(23)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클립밴드부(20)에서 상기 힐클립밴드(22)와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 사용자에 따라 발과 클립 페달(P) 간 최적 결합력을 가지는 각도로 연결하고, 접촉면의 수시 변경을 통한 상기 클립밴드부(20) 결합 부위 발 압박 분산 및 상기 페달몸체(11) 길이를 발보다 짧게 구성하는 경우, 페달링 시 뒤꿈치 쳐짐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착화형의 경우 신발 형상에 대응하여 최적 결합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페달몸체(11) 상에 연결 설치하되 적어도 1개 이상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독립 밴드형으로 단독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를 구비토록 구성하되 상기 힐클립밴드(22)와 일체로 구성된 연결 밴드형과 함께 상기 토클립밴드(21)와 상기 힐클립밴드(22)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단독 구성된 독립 밴드형으로 복합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클립밴드부(20)에는 상기 토클립밴드(21) 및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 상기 힐클립밴드(22)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하거나, 일부 연결하거나, 전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밴드(27)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클립밴드부(20)에 연결밴드(27)를 구성하게 되면, 발과 페달 간 결합력을 증대하고 클립 밴드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에서는 평페달을 이용한 일반적인 페달링의 운동효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밈 페달링 구간(파워구간)과 당김 페달링 구간(회복구간) 간에 사용되는 근육들이 상이하며, 특히 당김 페달링 구간에서 페달링이 근육에 주는 영향과 발달 정도가 밈 페달링 구간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힐클립밴드(22)를 통해 당김 페달링을 더욱 역동적으로 구사함으로써 한층 효과적인 운동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클립밴드부(20)에는 상기 토클립밴드(21) 및 상기 힐클립밴드(22),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의 길이를 각각 또는 전체적으로 가변 가능하게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25)을 구비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25)은 트랙 시스템, 벨크로, 버클, 다이얼, 지퍼, 스토퍼, 원터치 클립 등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 적용하여 구성하되 상기 클립밴드부(20) 각각의 특성과 역할에 최적으로 부합하며 조작이 용이한 방식으로 상기 길이조절수단(25)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발과 상기 페달축(15) 간 접점 및 자체 회전 유격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힐클립페달에서 상기 토클립밴드(21)와 상기 힐클립밴드(22)는 최초 사용 시 사용자가 자신의 발 크기나 페달링 특성에 대응하여 조정한 후, 매 사용 시에는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를 통하여 착탈을 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클립밴드부(20)에서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의 길이조절 용이성 및 내구성이 특별히 크게 요구된다.
상기와 같이 길이조절수단(25)을 구성하게 되면, 페달과 발 간 전후 방향 최적점 연결 즉 사용자 발의 중족골 부위가 페달축(15) 위에서 페달몸체(11)와 결속 고정 및 최적의 자체 회전 유격을 위한 사용자 미세 조정이 가능하며, 특히 수시 조정이 대단히 간편하므로 잘못된 피팅 또는 특정 위치나 각도에 대한 장기 고착화에서 초래하는 부정적인 효과를 크게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클립밴드부(20)는 결합감이나 발 압박 등을 감안한 최적의 유격을 위해 적정 탄성 또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하므로, 기존의 클립리스 페달의 주행 성능 극대화를 위한 비신축성 슈즈 소재 사용 및 발과 슈즈 간 유격 최소화에서 연유하는 혈행 압박이나 근골격계 부상 위험성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클립밴드부(20) 중 상기 힐클립밴드(22)는 뒤 밀림 방지를 통한 당김 페달링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 상기 토클립밴드(21) 및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보다 상대적으로 비신축적인 소재를 적용하여 구성하고, 상기 토클립밴드(21) 및 상기 인스텝클립밴드(23)는 상기 힐클립밴드(22) 보다 상대적으로 신축적인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결합력과 발 압박을 동시에 감안한 적정 유격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밴드부(20)는 적정 신축성과 탄성을 갖는 소재를 단독으로 적용하거나, 특정 형상으로 직조하거나, 또는 신축성이나 탄성, 인장강도 등 물성이 서로 다른 소재를 혼합 적용하는 구조로 비연속적인 신축성을 가지게 하여 페달링 시 사용자에 따른 최적의 자체 유격(클립 페달에서 복수의 전후값, 외전각 규격을 정하여 제작한 제품을 선택 구입하거나, 자가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품에 대하여 사용자가 자가 조정을 완료한 후, 페달링 시 발이 전후 방향 및 좌우 회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최대 가동 범위를 말하며, 자체 전후 유격은 클립 페달에 발을 결속한 상태에서, 페달링 전과 페달링 시 최대 인장치 간 전후 방향 차이이며, 자체 회전 유격은 피팅 후 발이 발뒤축을 축으로 좌우로 회전 가능한 최대 각도)을 갖게 함으로써 발 압박 완화, 운동 효과 및 관절 및 근육 신장 효과를 극대화하고, 추가로 내구성을 중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에 의하면, 발의 전후 방향으로는 최대의 답인력을 전달할 수 있게 사용자의 발 앞쪽 중족골 부근에 페달축(15)이 대응하고, 좌우 페달 간 거리는 사용자의 골반 크기와 Q-angle에 따른 자연스런 스탠스 너비에 대응하여 각각의 자전거가 갖는 주어진 Q-factor를 보정하게 구성하고, 페달몸체 전후 중심선이 페달축과 이루는 각도는 사용자의 고유한 관절 구조에 따른 보행 특성에 대응하게 구성하므로, 좌우 대칭 페달링을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바람직한 페달링 자세를 위한 기초 확립 및 기존에 잘못 형성된 자세 교정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페달몸체(11)의 페달축(15) 전후 부근 즉 전면부(a) 및 후면부(b)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독립적이거나, 서로 연장 형성하거나,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연결된 형태의 클립밴드(20)를 구성하므로, 페달과 발 간 최효율점 결합.고정 및 수시 미세 조정이 가능하며, 당김 페달링, 회전 페달링, 고 케이던스 페달링 시 페달로부터 사용자의 발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그 외 반대 방향 페달링 및 발과 지면 간에 다양한 각도를 이루면서 하는 페달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근육 사용을 통한 운동 효과 증대, 관절 및 근육 신장 효과, 근골격계 피로도 저감 및 부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 양발이 동일한 전후 위치와 좌우 간격 및 발 벌림 각도로 페달과 결합한 상태에서 완벽에 가까운 좌우 대칭 페달링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체의 균형적인 발달 및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한다. 이는 성장이 완성되기 전 단계에 있는 아동이나 청소년에 있어 특히 더 유용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클립 페달로 학습한 당김 페달링을 가미한 회전 페달링, 고 케이던스 페달링의 습관은 실외 라이딩 시 클립리스 페달이 아닌 평페달이 장착된 자전거에서도 여전히 유용하며, 이는 최근 대부분의 평페달에 적용된 접지력 향상을 위한 페달 상의 돌기 구조를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한결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당김 페달링을 가능케 하는 힐클립밴드(22)를 설치함으로써 분당 회전수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는 케이던스(회전,고속)형 페달링을 통하여 무거운 기어에서 밟는 위주로 하는 토크(파워)형 페달링에 따르는 무릎관절 부담을 완화하고, 신축성 있는 클립밴드(20) 소재는 관절과 근육 신장 효과를 증대시키며 이는 성장 단계에 있는 청소년기 사용자에게 성장판 자극에 긍정적인 효과로 이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힐클립밴드(22)는 페달링 중 발(페달면)과 지면과의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더욱 다양한 근육 사용 및 향상된 운동 효과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힐클립밴드(22)는 뒤로 페달링을 효과적으로 구사할 수 있게 하므로(뒤로 페달링 시 구동계에 연결되지 않은 일반 로드용 자전거와 달리 실내자전거는 대부분 뒤로 페달링 시에도 부하가 동일하게 걸리게 되어 있음) 장시간 운동 시 중간중간 뒤로 페달링을 통해 스트레칭 효과를 비롯, 더욱 다양한 운동 효과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페달부 11 : 페달몸체
11a : 하부페달 11b : 상부페달
12 : 페달고정수단 13 : 페달상면부
14 : 패드부 15 : 페달축
17 : 토페달연장부 18 : 힐페달후면부
20 : 클립밴드부 21 : 토클립밴드
22 : 힐클립밴드 23 : 인스텝클립밴드
24 : 보조밴드 25 : 길이조절수단
27 : 연결밴드
A : 크랭크암 P : 페달
a : 전면부 b : 후면부
C1 : 페달몸체의 중심선 α1 : 페달몸체의 회전각

Claims (15)

  1. 실내 운동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구름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성하되, 운동장치의 회전요소에 연결된 크랭크축으로 연결되게 크랭크암의 일단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답인력을 받는 페달에 있어서,
    전후로 연장 형성하되 사용자의 발바닥 면을 접촉 지지하는 페달상면부를 형성하는 페달몸체와, 상기 페달몸체 상에 결속 결합하고 상기 크랭크암의 일단에 대응하여 연결 결합하게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페달축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페달부와;
    상기 페달부 중 상기 페달몸체의 상부에 장착하되, 상기 페달축을 기준으로 전후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대응하여 토클립밴드, 인스텝클립밴드 및 힐클립밴드를 독립적으로 설치하거나, 상기 힐클립밴드와 상기 인스텝클립밴드는 상기 페달몸체의 후면부에서 "V"자 또는 "Y"자 또는 "X"자 형태로 상호 연장 또는 교차 형성 설치하여 사용자의 발을 착용 상태로 고정하는 클립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부의 페달축은, 상기 페달몸체의 전방 전면부 및 후면부의 경계 구간에서 사용자의 발 앞쪽 중족골에 대응하도록 배치 구성되며,
    상기 페달부의 페달몸체는, 상기 페달축을 일측에 결속 결합하게 구비하는 하부페달과, 상기 하부페달의 상부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클립밴드부를 구비하는 상부페달을 포함하고,
    상기 페달몸체는 상기 하부페달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페달을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속 고정하는 페달고정수단을 포함하여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페달의 결속 고정위치를 상기 하부페달에 대응하여 좌우 측 방향으로 조정 설정하여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페달의 상기 하부페달 상의 결속 고정각도는 상기 페달몸체의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0~10°의 각도범위 내에서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외전각을 조정 설정하여 결합 가능하게 구성하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에는, 상기 페달몸체의 페달상면부에 대응하여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요철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에는, 상기 페달몸체의 페달상면부에 대응하여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요철형태의 패턴을 가지는 패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에는, 상기 페달몸체의 전면부에서 사용자 발의 발가락을 접촉 지지하게 전방으로 연장 형성하는 토페달연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에는, 상기 페달몸체의 후면부에서 사용자 발의 뒤꿈치를 접촉 지지하게 후방으로 연장 형성하는 힐페달후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는, 상기 페달몸체 상에 상기 페달몸체의 크기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상기 페달축을 교체 적용하거나 상기 페달몸체와 상기 페달축 간 좌우 방향 결속 고정 위치를 다양화하여 상기 크랭크암과 상기 페달몸체 중심 간의 좌우 간격을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밴드부는, 상기 페달몸체의 전방 전면부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게 형성하는 토클립밴드와, 상기 페달몸체의 후방 후면부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감싸게 형성하는 힐클립밴드와, 상기 페달몸체의 후방 후면부에서 상기 토클립밴드 및 상기 힐클립밴드의 사이에 배치하고 사용자의 발등을 재차 감싸게 형성하는 인스텝클립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힐클립밴드와 상기 인스텝클립밴드, 또는 상기 인스텝클립밴드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인스텝클립밴드 중 최후방 인스텝클립밴드는 상호 연장 또는 교차 형성하여 “V”자형이나 “Y”자형 또는 “X”자형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클립밴드부에는, 상기 토클립밴드 및 상기 힐클립밴드, 상기 인스텝클립밴드의 길이를 가변 가능하게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클립밴드부에는, 상기 힐클립밴드와 상기 인스텝클립밴드는 상기 페달몸체와 이루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KR1020220029120A 2022-03-08 2022-03-08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KR102542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120A KR102542815B1 (ko) 2022-03-08 2022-03-08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120A KR102542815B1 (ko) 2022-03-08 2022-03-08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815B1 true KR102542815B1 (ko) 2023-06-14

Family

ID=8674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120A KR102542815B1 (ko) 2022-03-08 2022-03-08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81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279Y1 (ko) 2006-08-11 2006-11-2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기구의 페달장치
KR100853610B1 (ko) * 2007-11-16 2008-08-22 김정철 좌식 하체운동기구
JP3160377U (ja) * 2010-03-16 2010-06-24 昇 高坂 リハビリ用自転車補助具
KR101018634B1 (ko) 2008-09-02 2011-03-04 윤창로 운동기구용 페달장치
KR101350559B1 (ko) * 2013-09-13 2014-01-13 최진영 신발고정장치
KR20190037662A (ko) * 2017-09-29 2019-04-0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재활운동용 에르고미터
KR102056134B1 (ko) * 2018-10-31 2019-12-16 주식회사 로잉 자전거용 페달
KR102059662B1 (ko) * 2019-09-05 2019-12-26 서울대학교병원 재활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279Y1 (ko) 2006-08-11 2006-11-2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기구의 페달장치
KR100853610B1 (ko) * 2007-11-16 2008-08-22 김정철 좌식 하체운동기구
KR101018634B1 (ko) 2008-09-02 2011-03-04 윤창로 운동기구용 페달장치
JP3160377U (ja) * 2010-03-16 2010-06-24 昇 高坂 リハビリ用自転車補助具
KR101350559B1 (ko) * 2013-09-13 2014-01-13 최진영 신발고정장치
KR20190037662A (ko) * 2017-09-29 2019-04-0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재활운동용 에르고미터
KR102056134B1 (ko) * 2018-10-31 2019-12-16 주식회사 로잉 자전거용 페달
KR102059662B1 (ko) * 2019-09-05 2019-12-26 서울대학교병원 재활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5788B2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Sanner et al. The biomechanics, etiology, and treatment of cycling injuries
AU776603B2 (en) Footwear for a dynamic, rolling walking-action
US7500324B1 (en) Convertible therapeutic sandals
US7101330B2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US9788597B2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US20100304937A1 (en) Speed doctor speed builder
US7549948B2 (en) Postural support and exercise jacket
US20060026740A1 (en) Pilates sock with tactile posture feedback
AU2010348928B2 (en) Sole for a shoe and shoe
US5728032A (en) Weighted footwear garment for exercise, training and/or therapy
MXPA05001955A (es) Aparato y metodo propioceptivo/cinestesico.
US20100299969A1 (en) Layered footwear assembly with an arcuate undersurface
CA2592010A1 (en) Rear balance walking shoes
GB2492587A (en) Footwear with rotatable sole portion
KR102542815B1 (ko) 실내 운동 기구용 클립 페달
EP1258201A1 (en) A footware for health
KR100510165B1 (ko) 운동량이 향상된 자전거
CN205409943U (zh) 不易变形且能够增加脚后跟包裹度的鞋子
WO2022188529A1 (zh) 负跟健身运动鞋
JP4005946B2 (ja) エクササイズシューズの靴底
JP4982700B2 (ja) 身体機能向上具
CN110547538A (zh) 一种儿童0型腿矫正鞋及其制作方法
CN116723780A (zh) 用于增强和放松足部及小腿肌肉的鞋类物品
JP3146286U (ja) 縦締め式靴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