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559B1 - 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using Raker - Google Patents

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using R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559B1
KR102542559B1 KR1020230015984A KR20230015984A KR102542559B1 KR 102542559 B1 KR102542559 B1 KR 102542559B1 KR 1020230015984 A KR1020230015984 A KR 1020230015984A KR 20230015984 A KR20230015984 A KR 20230015984A KR 102542559 B1 KR102542559 B1 KR 102542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r
layer
support
uppermost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9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환
Original Assignee
이기환
주식회사 지디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환, 주식회사 지디컨설턴트 filed Critical 이기환
Priority to KR1020230015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5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5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으로 경사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복수개 레이커의 하단을 지반고정 지지체에 고정시켜서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되 레이커의 하단이 기초슬래브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반고정 지지체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더 나아가 복수개의 레이커 하단에 통합결합부재를 설치하여 복수개의 레이커 하단이 모두 통합결합부재에 의해 하나로 일체화되어 지반고정지지체에 고정하게 만들므로써, 다층의 레이커가 연직방향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게 즉, 동일한 수직 열(列)에 위치하게 만들고, 레이커 및 통합결합부재가 기초슬래브에 매립되는 것을 억제하여 사장(死藏)되는 강재량을 최소화시키고, 기초슬래브의 철근 배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며, 중간층 슬래브의 개구부(開口部)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레이커가 차지하는 연직 평면 상의 면적과 영역을 줄여서 굴착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기둥 등의 구조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복층 레이커의 동일 수직 열 지지구조를 가지는 레이커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lower ends of a plurality of rakers installed at different inclines in multiple layers to the ground fixing support to transmit the load to the ground, but configures the lower end of the rakers to be coupled to the ground fixing support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lab, and further Furthermore, by installing an integrated coupling member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rakers, all of the bottoms of the plurality of rakers are integrated into one by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and fixed to the ground support, so that the multi-layer rakers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t is located in the same vertical row, minimizes the amount of dead steel by suppressing rakers and integrated coupling members from being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minimizes interference with the reinforcement of the foundation slab, and minimizes interference with the reinforcement of the foundation slab.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opening of the slab, reduce the area and area on the vertical plane occupied by the raker to efficiently use the excavation area, and minimize interference with structural members such as columns. It relates to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having the same vertical column support structure and a method of reinforcing a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Description

레이커 보강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보강방법{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using Raker}Raker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It {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using Raker}

본 발명은 레이커(Raker/경사버팀보)를 이용하여 구축됨으로써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여 보강하는 "레이커 보강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다층으로 경사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복수개 레이커의 하단을 지반고정 지지체에 고정시켜서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되 레이커의 하단이 기초슬래브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반고정 지지체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더 나아가 복수개의 레이커 하단에 통합결합부재를 설치하여 복수개의 레이커 하단이 모두 통합결합부재에 의해 하나로 일체화되어 지반고정지지체에 고정시켜서 다층의 레이커가 연직방향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게 즉, 동일한 수직 열(列)에 위치하게 만들고, 이를 통해서 기초슬래브의 철근 배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복수개 레이커의 하단, 그리고 통합결합부재가 기초슬래브에 매립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하여 사장(死藏)되는 강재량을 최소화시키며, 중간층 슬래브의 개구부(開口部)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레이커가 차지하는 연직 평면 상의 면적과 영역을 줄여서 굴착 영역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둥 등의 타 구조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레이커 통합결합부재를 이용한 복층 레이커의 동일 수직 열 지지구조를 가지는 레이커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ker reinforcement structure" that supports and reinforces a retaining wall by being built using a Raker (Raker/inclined beam) and "a method of reinforcing a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specifically, by varying the inclination in multiple layers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rakers to be installed are fixed to the ground fixing support to transmit the load to the ground, but the lower end of the raker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ground fixing support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lab, and furthermore, an integrated coupling member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rakers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raker bottoms are all integrated into one by an integrated coupling member and fixed to the ground fixing support so that the multi-layer raker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located in the same vertical row, Through this, the interference with the reinforcement of the foundation slab is minimized, the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rakers, and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are prevented or suppressed from being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thereby minimizing the amount of dead steel material, and the opening of the middle slab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opening part, reduce the area and area on the vertical plane occupied by the raker to efficiently use the excavation area, and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other structural members such as columns. It relates to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having the same vertical column support structure of the used multi-layer raker and a method of reinforcing a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터파기 작업에 의해 만들어진 영역(굴착영역)을 둘러싸서 설치되는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여 흙막이 기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경사버팀보 즉, 레이커(raker)를 이용하는 매우 유용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64430호에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reinforce the retaining function by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s installed by surrounding the area (excavation area) created by the excavation work, a very useful technology using an inclined brace, that is, a rak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364430 is disclosed in

터파기가 깊어서 흙막이 벽체의 높이가 상당히 큰 경우에는 연직방향으로 볼 때 경사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레이커가 다단(다층)으로 배치되도록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고 보강하기 위한 용도의 레이커 보강구조물이 설치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레이커 보강구조물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연직방향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종래기술의 레이커 보강구조물이 설치된 상태에서 굴착영역에 시공될 건축물의 기초슬래브(300)와 중간층 슬래브(310)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도 2a),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도 2b) 및 개략적인 연직방향 평면도(도 2c)이다. 도 2d는 레이커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2b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행(行)"은 흙막이 벽체의 폭방향(횡방향)을 나타내며, "열(列)"은 연직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흙막이 벽체에서 굴착영역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後方)"이라고 기재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 즉, 굴착영역에서 흙막이 벽체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前方)"이라고 기재한다. 그리고 각각의 레이커는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레이커의 전방 단부는 "상단"이라고 기재하고, 후방 단부는 "하단"이라고 기재한다. When the excavation is deep and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s quite large,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for supporting and reinforcing th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rakers having different inclines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multi-layer). Figure 1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1b is a schematic transverse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ure 1a, Figure 1c is a schematic vertical for the state shown in Figure 1a It is a plan view. 2a to 2c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FIG. 2a)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undation slab 300 and the intermediate slab 310 of a building to be constructed in an excavation area ar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a prior art raker reinforcing structure is installed, respectively. is a horizontal side view (FIG. 2B) and a schematic vertical plan view (FIG. 2C). Figure 2d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ure 2b showing a state where the raker is removed. In this specification, "row" refers to the width direction (transverse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column" refers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direction from the retaining wall toward the excavation area is described as "rear", and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from the excavation area toward the retaining wall is described as "front". And since each raker is installed obliquely, the front end of the raker is described as "top" and the rear end is described as "lower".

종래기술에서는 흙막이 벽체(200)를 시공하면서 흙막이 벽체(200)에서부터 지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굴착영역을 단계적으로 굴착하면서 다층의 레이커를 복수개로 설치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우선 최상층 레이커(1층 레이커)(S1)를 경사지게 설치한다. 각 층의 레이커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횡방향으로 복수개(도면의 예에서는 2개)의 경사진 강재빔(beam)이 이웃한 위치에서 나란하게 배치하여 1개의 "레이커 세트(set)"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레이커 세트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면에서 최상층 레이커(S1)는 3개의 레이커 세트로 설치되어 있다. 최상층 레이커(S1)의 상단은 흙막이 벽체(200)에 밀착 고정되고 하단은 하단 지지말뚝(31)에 횡방향으로 연장 배치된 빔 부재로 이루어진 하단 횡띠장(32)에 결합된다. 하단 횡띠장(32)은 하단 지지말뚝(31)에 결합되고, 하단 지지말뚝(31)은 굴착영역에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 지지블록(33)에 연직하게 박힌 상태로 세워져 고정된다. 다층의 복수개 레이커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은 하단 횡띠장(32)과 하단 지지말뚝(31), 그리고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을 통해서 지반으로 전달된다. In the prior art, while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200, a plurality of multi-layer rakers are installed while excavating the excavation area step by step so that the ground slopes downward from the retaining wall 200. In the prior art, first, the uppermost raker (first layer raker) (S1) is installed at an angle. In installing the raker of each floor, a plurality of inclined steel beam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wo in the example of the drawing)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adjacent positions to form one "raker set", It is common that a plurality of such raker sets are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uppermost raker (S1) is installed as a set of three raker.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is tightly fixed to the retaining wall 200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made of a beam member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lower support pile 31. The lower transverse strip 32 is coupled to the lower support pile 31, and the lower support pile 31 is erected and fixed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embedded in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fixedly installed in the excavation area. The load applied from the plurality of multi-layer rakers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lower transverse strip 32, the lower support pile 31, and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최상층 레이커(S1)의 설치 후에는 흙막이 벽체(200)에서부터 지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굴착영역을 소정 높이로 추가 굴착하고, 굴착된 부분에 흙막이 벽체(200)를 더 구축하면서 중간층 레이커(2층 레이커)(S2)를 설치한다. 중간층 레이커(S2) 역시 횡방향으로 복수개(도면의 예에서는 2개)의 강재빔이 나란하게 위치하여 1개의 레이커 세트를 이루고, 이러한 레이커 세트가 복수개로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중간층 레이커(S2)의 상단은 최상층 레이커(S1)의 상단 보다 낮은 위치에서 흙막이 벽체(200)에 밀착 고정되고 하단은 최상층 레이커(S1)와 마찬가지로 하단 횡띠장(32)에 결합되어 지지되지만, 중간층 레이커(S2)는 횡방향으로 최상층 레이커(S1)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중간층 레이커(S2)는 그 상단이 최상층 레이커(S1)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그 하단은 최상층 레이커(S1)와 동일하게 하단 횡띠장(32)에 결합되어 기울어진 경사가 최상층 레이커(S1)와 상이하지만, 도 1c에 예시된 것처럼 연직하게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평면 형상에서는 최상층 레이커(S1)의 1개 레이커 세트의 횡방향 측면에 이웃하여 중간층 레이커(S2)의 1개 레이커 세트가 나란하게 위치하는 방식으로 최상층 레이커(S1)와 중간층 레이커(S2)는 서로 다른 수직 열(列)에서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uppermost raker (S1), the excavation area is additionally excav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ground slopes downward from the retaining wall 200, and the retaining wall 200 is further built in the excavated part while middle layer raker (2nd layer raker) Install (S2). The middle layer raker (S2) is also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two in the example of the drawing) steel beams are positioned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one raker set, and these raker sets are arranged in plurality. The upp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is closely fixed to the retaining wall 200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top of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lower transverse strip 32 like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but the middle layer Raker (S2)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uppermost raker (S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is located below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and its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transverse band 32 in the same way as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so that the inclined slope is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Although different, as illustrated in FIG. 1C, in the planar shape viewed vertically from top to bottom, one raker set of middle layer raker (S2) is located side by side next to the transverse side of one raker set of top layer raker (S1) In such a way, the top layer raker (S1) and the middle layer raker (S2)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in different vertical columns.

위에서 중간층 레이커(S2)를 설치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굴착영역의 지면을 경사지게 단계적으로 굴착하면서 추가적인 중간층 레이커(S2)의 아래쪽에 복수개 층의 레이커를 순차적으로 더 설치할 수도 있지만, 편의상 도면에서는 중간층 레이커(S2)에 후속하여 최하층 레이커(S3)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면에 예시된 종래기술에서는 중간층 레이커(S2)의 설치 후에 흙막이 벽체(200)에서부터 평평하게 굴착영역의 지면을 굴착하고 최하층 레이커(S3)를 설치하였다. 특히, 도면의 종래기술에서 최하층 레이커(S3)의 상단은 중간층 레이커(S2)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흙막이 벽체(200)에 밀착 고정되지만, 하단은 중간 지지말뚝(34)에 지지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While excavating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in stages in an inclined manner in the same manner as when installing the intermediate layer raker (S2) from above, a plurality of layers of raker may be sequentially installed below the additional intermediate layer raker (S2), but for convenience, in the drawing, the intermediate layer raker ( It is shown that the lowest raker (S3) is installed following S2). In the prior art illustrated in the drawing, after installing the middle layer raker (S2),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was excavated flat from the retaining wall 200 and the lowest layer raker (S3) was installed. In particular, in the prior art of the drawing, the upper end of the lowermost raker (S3) is closely fixed to the retaining wall 200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raker (S2), but the lower end is shown as being supported by the intermediate support pile (34) .

종래기술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중간층 레이커(S2)는 기울어진 경사가 최상층 레이커(S1)와 상이하지만, 그 하단이 최상층 레이커(S1)와 동일하게 하단 횡띠장(3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최상층 레이커(S1)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중간층 레이커(S2)가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즉, 연직 평면의 배열상태를 보면, 최상층 레이커(S1)와 중간층 레이커(S2)는 서로 다른 수직 열에 놓이는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다층 레이커의 횡방향 평행 배치형태(다른 층의 레이커들이 서로 다른 수직 열에 위치하도록 평면 상에서 이웃하게 나란하게 배치되는 형태)로 인하여 도 1c에 예시된 것처럼 연직방향의 평면 배치에서 볼 때, 흙막이 벽체(200)와 하단 지지말뚝(31) 사이에는 빈 공간이 별로 없게 된다. 이로 인하여 충분한 작업공간의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굴착영역에 구축될 건축구조물의 기둥 등과 같은 구조부재와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middle layer raker (S2) is different from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in inclined inclination, but since its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transverse band 32 in the same way as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 The intermediate layer raker (S2) is located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at is, looking at the arrangement of the vertical plane,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and the middle layer raker (S2) are placed in different vertical columns. In the prior art, due to the horizontal parallel arrangement of the multi-layer rakers (a form in which rakers of different layers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a plane so that they are located in different vertical rows), as illustrated in FIG. 1C, when viewed from a plane arrang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re is not much empty spa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200 and the lower support pile 31. Due to this, not only is it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working spac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terference with structural members such as pillars of building structures to be built in the excavation area occurs.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이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소위 "줄기초"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다층의 레이커로부터의 종방향 힘이 하단 횡띠장(32)과 하단 지지말뚝(31)을 통해서 콘크리트 지지블록(33)에 집중된 상태로 가해지므로,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이 전도(overturning)될 위험이 상존한다.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서 레이커의 하단이 존재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의 종방향 폭을 증가시킬 수밖에 없는데, 줄기초 형태로 이루어진 기존의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의 경우, 종방향으로의 수평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작용하는 부분(레이커 세트 사이의 간격)에서는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의 종방향 폭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콘크리트의 사용 및 그에 따른 비용 증가의 단점이 존재한다.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S. 1A to 1C,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is exten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so-called "stem base" form, and the longitudinal force from the multi-layer raker ) and the lower support pile 31, since it is applied in a concentrated state to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there is a risk that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will be overturned. In order to prevent overturning, there is no choice but to increase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raker exists. In the case of the existing concrete support block 33 formed in the form of a stem,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becomes excessively large in the part where the horizontal force of is relatively small (the gap between the raker sets), which causes the use of unnecessary concrete and the consequent increase in cost. .

종래기술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필요한 층의 레이커가 모두 설치된 후에는 도 2a 내지 도 2c에 예시된 것처럼 굴착영역에 건축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굴착영역의 저면에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 기초슬래브(300)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 때,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S1, S2)의 하단 일부와 최하층 레이커(S3)의 하단 일부는 기초슬래브(300)에 매설된다. 따라서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S1, S2), 그리고 최하층 레이커(S3)를 철거할 때, 기초슬래브(300)에 매설된 하단 일부는 결국 콘크리트에 매립된 채로 남아서 사장(死藏)된다. 다층 레이커가 순차적으로 철거되더라도 대부분의 다층 레이커의 하단 일부는 기초슬래브(300)의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희생되며, 그만큼 많은 양의 강재가 사장(死藏)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것처럼 종래기술에서는 다층 레이커의 횡방향 평행 배치형태가 만들어지고 상당히 넓은 횡방향 면적에서 다층 레이커의 하단 일부가 기초슬래브(300)에 매립되므로, 기초슬래브(300)에 배치되는 철근 배근과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기초슬래브(300)의 시공이 매우 어렵거나 불편해진다. In the prior art, after all the rakers of the necessary layers are install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a concrete foundation slab 30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poured on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area to build a building structure in the excavation area, as illustrated in FIGS. 2A to 2C. At this time,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and middle rakers (S1 and S2) and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raker (S3) are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Therefore, when the uppermost and middle layer raker (S1, S2) and the lowermost layer raker (S3) are removed, a part of the bottom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eventually remains buried in concrete and is dead. Even if the multi-layer rakers are sequentially removed, most of the bottom part of the multi-layer rakers is buried in the concrete of the foundation slab 300 and sacrificed, which cause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steel materials are kill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since the horizontal parallel arrangement of the multi-layer raker is made and the lower part of the multi-layer raker is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in a fairly large transverse area, the foundation slab 300 is disposed Interference with reinforcement occurs, and accordingly, construction of the foundation slab 300 becomes very difficult or inconvenient.

기초슬래브(300)의 구축과 함께 그 위쪽으로는 건축구조물의 중간층 슬래브(310)가 시공되는데, 이 때,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구조물의 벽체가 시공되면서 최하층 레이커(S3)는 철거되고, 중간층 슬래브(310)에는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S1, S2)가 지나갈 수 있는 개구부(311)가 중간층 슬래브(310)에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종래기술에서는 다층 레이커의 횡방향 평행 배치형태가 만들어지므로, 횡방향으로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는 다층 레이커가 모두 통과하게 만들려면 개구부(311)는 상당히 넓은 크기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넓은 면적의 개구부(311)가 중간층 슬래브(310)에 존재함에 따라 중간층 슬래브(310)의 공간 활용이 그만큼 어려워지고, 추후 개구부(311)의 되메움 시공면적이 넓어져서 현장 작업량이 증가하고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개구부(311)에서의 방수 불량 발생 우려도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foundation slab 300, the middle layer slab 310 of the building structure is constructed above it.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2A to 2C, the lowest layer raker S3 is removed while the walls of the structure are constructed. And, in the middle layer slab 310, an opening 311 through which the uppermost and middle layer rakers S1 and S2 can pass is formed in the middle layer slab 310. As described above, since multi-layer raker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prior art, the opening 311 has to have a fairly wide size in order to allow all of the multi-layer rakers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pass through. As such a large-area opening 311 exists in the middle layer slab 310, it becomes difficult to utilize the space of the middle layer slab 310, and the backfilling construction area of the opening 311 becomes wider in the future, increasing the amount of on-site work Not only the cost increases, but also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waterproof failure in the opening 311 increases.

종국적으로는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S1, S2)는 철거되고 개구부(311)도 메꾸어지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S1, S2)를 설치할 때,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S1, S2) 모두 그 하단 일부가 기초슬래브(300)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도 2d에 예시된 것처럼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S1, S2)는 기초슬래브(300)에 매립되어 있는 부분(도 2d에서 D로 표시된 부분)은 남겨둔 채로 철거된다. 즉, 최상층 레이커(S1) 뿐만 아니라 중간층 레이커(S2)에서도 도 2d에서 D로 표시된 부분만큼이 기초슬래브(300)에 매립되어 사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각 층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레이커에서 하단 일부가 기초슬래브(300)에 매립되어 결국에는 사장되므로 상당한 강재량이 버려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또한 기초슬래브(300)에 매립되는 부분을 남겨둔 채로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S1, S2)를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 이에 따른 시공효율 저하 및 인건비 등의 추가 비용 발생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Ultimately, the top and middle layer rakers (S1, S2) are removed and the opening 311 is also filled. In the prior art, when installing the top and middle layer rakers (S1, S2), both the top and middle layer rakers (S1, S2) Since a part of the lower part is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as illustrated in FIG. 2D, the uppermost and middle layer rakers S1 and S2 are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the portion indicated by D in FIG. 2D) is left. being demolished That is, not only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but also the middle layer raker (S2) is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as much as the portion indicated by D in FIG. 2D. In this way, in the prior art,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a plurality of rakers located on each floor is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resulting in a considerable amount of steel being discar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cumbersome task of cutting the top and middle layer rakers (S1, S2) while leaving the buried portion in the foundation slab 300,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efficiency and incurring additional costs such as labor costs. do.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64430호(2022. 02. 16.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364430 (2022. 02. 16. Notic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흙막이 벽체를 시공하면서 흙막이 벽체에서부터 지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굴착영역을 단계적으로 굴착하면서 다층 레이커를 설치함으로써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고 보강할 수 있는 "레이커 보강구조물"을 구축하되, 다층 레이커의 하단을 통합결합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다층 레이커가 연직방향으로 동일한 수직 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연직방향으로 바라볼 때 다층 레이커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여서 굴착영역에서 더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기초슬래브의 철근 배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while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the excavation area is excavated step by step so that the ground slopes downward from the retaining wall, and a multi-layer raker is installed to support and reinforce the retaining wall. The "Raker Reinforcement Structure" is built, but the bottom of the multi-layer rakers is integrally combined and fixed by an integrated coupling member, and at the same time, the multi-layer rakers are arranged in the same vertical row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multi-layer rakers occupy th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securing a wider working space in an excavation area by reducing the area and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reinforcement of a foundation slab.

또한 본 발명은 다층 레이커를 설치하고 건축구조물의 중간층 슬래브를 시공할 때, 레이커가 통과하게 될 중간층 슬래브의 개구부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직 평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기타 구조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installing a multi-layer raker and constructing an intermediate layer slab of a building structure, the size of the opening of the intermediate layer slab through which the raker will pass can be minimized, and the vertical plane can be efficiently used, so that other structural member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minimizing the interference of

특히 본 발명은 다층 레이커로부터 통합결합부재를 통해서 가해지는 종방향의 수평력을 굴착영역의 지면에 설치된 지반고정 지지체에 의해 지면으로 전달하되, 통합결합부재가 기초슬래브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반고정 지지체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레이커 및 통합결합부재가 기초슬래브에 매립되지 않게 하거나 또는 매립되는 부분이 최소화되게 만들고, 이를 통해서 레이커 및 통합결합부재의 철거 시에 기초슬래브에 매립되어 사장(死藏)되는 강재량이 발생되지 않게 하거나 최소화시켜서 시공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horizontal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pplied from the multi-layer raker through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to the ground by the ground fixation support installed on the ground in the excavation area, but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is the ground fixation support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lab By configuring to be coupled to, the raker and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are not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or the buried portion is minimized, and through this, when the raker and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are removed, they are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and buri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improve construction economics by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지반고정 지지체를 구축함에 있어서, 지반고정 지지체를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의 전도 위험성을 제거하거나 최소화시키면서도 불필요한 콘크리트 사용을 억제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되도록 만드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enables economical and efficient construction by suppressing unnecessary use of concrete while eliminating or minimizing the risk of overturning of concrete blocks constituting the ground anchoring support in constructing a ground anchoring support. to be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흙막이 벽체에서 그 후방의 지면까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레이커에 의하여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여 보강하는 레이커 보강구조물로서, 레이커는 각각 경사를 달리하여 상단이 흙막이 벽체에 밀착 고정되는 최상층 레이커 및 중간층 레이커를 포함하는 다층 레이커로 구성되고; 최상층 레이커의 하단 및 중간층 레이커의 하단은, 굴착영역의 지면에 설치된 지반고정 지지체에 결합되어 흙막이 벽체로부터의 힘을 지반고정 지지체에 전달하는데; 지반고정 지지체는 굴착영역의 지면에 매립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지지블록, 상기 콘크리트 지지블록에 고정 설치된 전방 지지말뚝, 상기 전방 지지말뚝의 후방에서 전방 지지말뚝을 지지하도록 콘크리트 지지블록에 고정 설치되는 후방 지지부재, 및 최상층 레이커의 하단과 중간층 레이커의 하단이 결합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된 빔 부재로 이루어진 하단 횡띠장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단 횡띠장은 지면에 타설될 기초슬래브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방 지지말뚝에 결합 설치되어서, 기초슬래브가 타설되었을 때, 최상층 레이커의 하단 및 중간층 레이커의 하단이 기초슬래브에 매설되지 않고 기초슬래브의 위쪽에 위치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커 보강구조물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that supports and reinforces a retaining wall by a raker disposed inclined downward from the retaining wall to the rear ground, the raker each has a different inclination so that the upper end is attached to the retaining wall It is composed of a multi-layer raker including an uppermost layer raker and an intermediate layer raker that are tightly fixed;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raker are coupled to the ground fixation support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to transmit the force from the retaining wall to the ground fixation support; The ground fixing support is a concrete support block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embedded in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a front support pile fixed to the concrete support block, and a front support pile fixed to the concrete support block to support the front support pile from the rear of the front support pi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ar support member, and a lower horizontal band made of a beam member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are coupled; The lower transverse strip is coupled to the front support pil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lab to be cast on the ground, so when the foundation slab is poured,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raker are not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but the upper side of the foundation slab There is provided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located in.

또한 본 발명에서는 흙막이 벽체 후방의 굴착영역을 단계적으로 경사지게 굴착하면서, 각각의 굴착 단계마다 각각 경사를 달리하는 최상층 레이커 및 중간층 레이커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레이커 보강구조물을 구축함으로써,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여 보강하는데; 최상층 레이커 및 중간층 레이커를 설치할 때, 각각의 레이커의 상단은 흙막이 벽체에 밀착 고정되게 만들고; 최상층 레이커의 하단 및 중간층 레이커의 하단을 굴착영역의 지면에 설치된 지반고정 지지체에 결합하여 흙막이 벽체로부터의 힘이 지반고정 지지체에 전달되게 만드는데; 지반고정 지지체는 굴착영역의 지면에 매립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지지블록, 상기 콘크리트 지지블록의 전방 위치에 고정 설치된 전방 지지말뚝, 상기 전방 지지말뚝의 후방에서 전방 지지말뚝을 지지하도록 콘크리트 지지블록에 고정 설치되는 후방 지지부재, 및 최상층 레이커의 하단과 중간층 레이커의 하단이 결합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된 빔 부재로 이루어진 하단 횡띠장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하단 횡띠장은 지면에 타설될 기초슬래브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방 지지말뚝에 결합 설치되어서, 기초슬래브가 타설되었을 때, 최상층 레이커의 하단 및 중간층 레이커의 하단이 기초슬래브에 매설되지 않고 기초슬래브의 위쪽에 위치하는 구성을 가지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의 보강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excavating the excavation area at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in an inclined manner in stages, by sequentially installing the uppermost raker and the middle layer raker, each having a different inclination for each excavation step, to build a raker reinforcement structure, thereby supporting and reinforcing the retaining wall. to do; When installing the top layer raker and the middle layer raker, the top of each raker is tightly fixed to the retaining wall;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raker are coupled to the ground anchoring support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to make the force from the retaining wall transmitted to the ground anchoring support; The ground fixing support is a concrete support block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embedded in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a front support pile fixed to the front position of the concrete support block, and a concrete support block to support the front support pile at the rear of the front support pile It is installed to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rear support member fixed to, and a lower horizontal strip made of a beam member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are coupled; The lower transverse strip is coupled to the front support pil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lab to be cast on the ground, so when the foundation slab is poured,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raker are not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but the upper side of the foundation slab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inforcing a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located in.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레이커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보강방법에 있어서, 중간층 레이커의 상단은 최상층 레이커의 상단과 동일한 수직 열에서 최상층 레이커의 상단 아래에 위치하고, 중간층 레이커의 하단이 최상층 레이커의 하단과 동일한 수직 열에서 최상층 레이커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여, 최상층 레이커의 하단과 중간층 레이커의 하단이 모두 통합결합부재에 일체로 결합되어 최상층 레이커와 중간층 레이커가 동일한 수직 열에 배치되어 있으며; 통합결합부재의 후방 단부는 지반고정 지지체의 하단 횡띠장에 결합되어 통합결합부재가 기초슬래브에 매설되지 않고 기초슬래브의 위쪽에 위치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In the raker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method of reinforcing a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the top of the middle layer raker is located under the top of the top layer raker in the same vertical row as the top of the top layer raker, and the bottom of the middle layer raker is the bottom of the top layer raker. Located under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in the same vertical row,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raker are integrally coupled to an integrated coupling member, so that the uppermost raker and the intermediate raker are arranged in the same vertical row; The rea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band of the ground fixing support so that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is positioned above the foundation slab without being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방 지지말뚝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는, 전방 지지말뚝의 후방으로 종방향 간격을 두고 일직선 위치에서 콘크리트 지지블록에 고정 설치된 후방 지지말뚝 및 상기 전,후방 지지말뚝 사이에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 구비된 종방향 수평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중간층 레이커의 아래에는 최하층 레이커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때 최하층 레이커의 상단은 중간층 레이커의 상단과 동일한 수직 열에서 중간층 레이커의 상단 아래에 위치하고; 최하층 레이커의 하단도 통합결합부재에 일체로 결합되는데, 통합결합부재의 전방 단부에서 최하층 레이커의 하단은 중간층 레이커의 하단과 동일한 수직 열에서 중간층 레이커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front support pile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support pile fixed to the concrete support block and the front and rear support piles in a straight position at a longitudinal interval to the rear of the front support pil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ngitudinal horizontal support integrally coupled, and a lowermost raker may be further provided below the intermediate raker. located below the top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raker is also integrally coupled to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raker at the front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is position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raker in the same vertical column as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raker to be coupled. .

또한 본 발명의 레이커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보강방법에 있어서, 통합결합부재는 빔 부재로 이루어지고, 통합결합부재의 전방 단부에는 접합판이 연직방향 상하로 복수개 구비되고, 최상층 레이커의 하단과 중간층 레이커의 하단 각각에도 접합판이 구비되며; 최상층 레이커의 하단에 구비되는 접합판은 통합결합부재에 구비된 복수개의 접합판 중에서 위쪽에 구비된 접합판과 일체 결합되고, 중간층 레이커의 하단에 구비되는 접합판은 통합결합부재에 구비된 복수개의 접합판 중에서 아래쪽에 구비된 접합판과 일체 결합되는 구조로, 다층 레이커 각각의 하단과 통합결합부재의 전방 단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특히 최하층 레이커의 상단은 중간층 레이커의 상단과 동일한 수직 열에서 중간층 레이커의 상단 아래에 위치하고, 최하층 레이커의 하단에도 접합판이 구비되어서, 통합결합부재에 구비된 복수개의 접합판 중에서 중간층 레이커의 하단이 접합된 위치의 아래쪽에 위치한 접합판과 최하층 레이커의 하단에 구비된 접합판이 일체화되어서, 최하층 레이커의 하단도 통합결합부재의 전방 단부에 일체화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raker reinforcing structure and the method of reinforcing a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is made of a beam member, and a plurality of joint plates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ottom and bottom of the uppermost raker A bonding plate is also provided at each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layer raker; The bonding plat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layer raker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bonding plate provided at the upper part among the plurality of bonding plates provided on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and the bonding plat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is a plurality of bonding plates provided on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It is a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coupled with a joint plate provided below among the joint plates, and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wer end of each multi-layer raker and the front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are integrated. 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top of the lowest layer raker is located below the top of the middle layer raker in the same vertical row as the top of the middle layer raker, and a joint plat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owest layer raker, so that among the plurality of joint plates provided in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the bottom of the middle layer raker The joint plate located below the joined position and the joint plat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raker may be integrat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raker may also be integrated with the front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다층 레이커로부터의 종방향 힘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지지블록은, 횡방향으로 연속되어 있지 않고 레이커 세트가 존재하는 위치에만 단속적으로 존재하되, 각각의 콘크리트 지지블록에는 전방 하단 지지말뚝과 후방 지지말뚝이 종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이격된 위치에 연직하게 관입 설치되고, 전방 하단 지지말뚝과 후방 지지말뚝 사이에는 종방향 수평지지대가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support blocks supporting the longitudinal force from the multi-layer raker are not continuou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ntermittently exist only at the location where the raker set exists, but each concrete support block has a lower front support The pile and the rear support pile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ngitudinal horizontal support is integrally installed between the front bottom support pile and the rear support pile, and is installed vertically in a spaced position while forming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서는 다층의 레이커를 설치하여 레이커 보강구조물을 구축할 때, 다층의 레이커가 동일한 수직 열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연직방향의 평면 배치에서 볼 때 최상층 레이커만이 평면에 배치된 형태로 보이게 되며, 그에 따라 흙막이 벽체에 인접한 굴착영역에서는 비어 있는 공간 및 연직 면적이 종래기술보다는 월등히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러한 굴착영역에서의 넓은 공간 및 연직면적 확보가 이루어지므로, 굴착영역에서 기둥 등의 구조부재를 시공할 때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is built by installing multiple layers of raker, the multiple layers of raker are located in the same vertical row, and therefore, when viewed from a plane arrang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ly the top layer raker is visible as arranged on the plane, Accordingly, in the excavation area adjacent to the retaining wall, the empty space and vertical area a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prior art. Since a wide space and vertical area are secured in the excavation area, interference when constructing structural members such as columns in the excavation area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굴착영역의 지면에 콘크리트에 의해 건축구조물의 기초슬래브를 시공할 때, 각 층의 레이커 하단이 기초슬래브에 매립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말뚝의 일부만이 기초슬래브에 매립되는 바, 기초슬래브의 시공 시에 철근 배근과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시공 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설치된 레이커들을 철거할 때 기초슬래브에는 지지말뚝의 일부만이 매립되어 사장되기 때문에 버려지는 강재량이 크게 절감되고, 강재의 절단 작업량도 줄어들게 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the foundation slab of a building structure by concrete on the ground in the excavation area, the bottom of the raker of each floor is not embedded in the foundation slab, but only a part of the support pile is embedded in the foundation slab, foundation slab During construction, interference with reinforcement is minimized to improve construction efficiency, and when the installed rakers are removed, only a part of the support pile is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so the amount of discarded steel is greatly reduced, and the steel is cut. The amount of work is also reduced,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economic feasibility.

특히 본 발명에서는 중간층 슬래브가 시공되고, 중간층 슬래브에 다층 레이커가 지나갈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연직방향의 평면 배치에서 볼 때 최상층 레이커만이 평면에 배치된 형태가 되므로, 중간층 슬래브에 형성되어야 할 개구부의 크기를 종래기술보다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중간층 슬래브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추후 개구부의 되메움 시공면적도 줄어들게 되어 현장 작업량 및 비용 감소, 그리고 개구부에서의 방수 불량 가능성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장점이 발휘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ntermediate layer slab is constructed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multi-layer rakers can pass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layer slab,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uppermost layer raker is arranged on a plane when viewed from a vertical plane arrangement, so the intermediate layer slab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of the opening to be formed in the prior art, and accordingly, the space of the intermediate slab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and the backfill construction area of the opening later is reduced, reducing the amount of work and cost at the site, and The very useful advantage of being able to greatly reduce the possibility of waterproof failure is demonstrated.

또한 본 발명은 다층의 복수개 레이커로부터 통합결합부재를 통해서 가해지는 종방향의 수평력을 굴착영역의 지면에 설치된 지반고정 지지체에 의해 지면으로 전달하되, 통합결합부재가 기초슬래브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반고정 지지체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레이커 및 통합결합부재가 기초슬래브에 매립되지 않게 하거나 또는 매립되는 부분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레이커 및 통합결합부재의 철거 시에 기초슬래브에 매립되어 사장(死藏)되는 강재량이 발생되지 않게 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시공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horizontal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pplied through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from the plurality of multi-layer rakers to the ground by the ground fixing support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but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is groun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lab By configuring it to be coupled to the fixed support, the raker and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are not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or the buried portion is minimized, and through this, when the raker and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are removed, they are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and buried (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minimize the amount of steel material that is destroyed, and thu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conomic efficiency of construction is exerted.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다층의 복수개 레이커로부터 통합결합부재를 통해서 가해지는 종방향 수평력을 지지하는 지반고정 지지체를 구축함에 있어서, 지반고정 지지체를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을, 종래기술의 줄기초 형태가 아니라 횡방향으로 연속되어 있지 않고 레이커 세트가 존재하는 위치에만 단속적으로 존재하는 형태로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지지블록을 위한 콘크리트 사용 물량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콘크리트 지지블록의 전도 위험성 없이 다층의 복수개 레이커로부터의 종방향 수평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tructing a ground fixation support that supports the longitudinal horizontal force applied from a plurality of multi-layer rakers through an integrated coupling member, the concrete block constituting the ground fixation support is transverse, not in the form of a stem foundation in the prior art. By installing in a form that is intermittently present only in the location where the raker set exists, the amount of concrete used for the concrete support block is reduced and economic efficiency is improved, while preventing the overturn risk of the concrete support block from multiple rakers in multiple layers.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tably support the longitudinal and horizontal forces.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라 설치된 레이커 보강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연직방향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상태에 후속하여 굴착영역에 건축구조물의 기초슬래브와 중간층 슬래브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연직방향 평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의 상태에 후속하여 레이커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2b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커 보강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1단계 굴착 후 최상층 레이커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연직방향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의 상태에 후속하여 2단계 굴착 후 중간층 레이커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연직방향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상태에 후속하여 최하층 레이커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연직방향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지지블록의 연직 평면형상을 달리하여 변형시킨 예를 보여주는 도 3c에 대응되는 연직방향의 평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서 전방 지지말뚝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가 경사빔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3a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3b의 원 E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8b 및 도 8c는 각각 도 8a의 상태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결합부재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4b의 원 F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도 10a의 상태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흙막이 벽체의 보강구조물에 대한 도 5b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실시예에 대한 도 5c에 대응되는 연직방향 평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서 도 5a의 상태에 후속하여 굴착영역에 건축물의 기초슬래브와 중간층 슬래브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연직방향 평면도이다.
도 12d는 도 12a의 상태에 후속하여 레이커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2b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결합부재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10a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결합부재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10a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결합부재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10a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커 보강구조물에 본 발명의 지반고정 지지체를 사용한 것을 도 12b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다.
Figure 1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1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state of Fig. 1a;
Fig. 1c is a schematic vertical plan view of the state of Fig. 1a.
2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undation slab and an intermediate slab of a building structure are constructed in an excavation area following the state of FIG. 1a.
Fig. 2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state of Fig. 2a;
Figure 2c is a schematic vertical plan view of the state of Figure 2a.
Fig. 2d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2b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ker is removed subsequent to the state in Fig. 2a.
Figure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p raker is installed after the first stage excavation in order to construct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state of Fig. 3a;
Fig. 3c is a schematic vertical plan view of the state of Fig. 3a.
Figure 4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raker is installed after the second stage excavation following the state of Figure 3a.
Fig. 4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state of Fig. 4a;
Fig. 4c is a schematic vertical plan view of the state of Fig. 4a.
Figure 5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st raker is installed following the state of Figure 4a.
Fig. 5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state of Fig. 5a;
Fig. 5c is a schematic vertical plan view of the state of Fig. 5a.
Figures 6a to 6c is a plan view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Figure 3c showing an example of deformation by changing the vertical plane shape of the concrete support block in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ure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ure 3a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ar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front support pil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inclined beam.
Figure 8a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circle E portion of Figure 3b.
8b and 8c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ate of FIG. 8a in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9a and 9b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n integrated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ifferent directions.
10A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circle F in FIG. 4B.
10b and 10c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ate of FIG. 10a in different directions.
11A is a schematic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5B of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retaining wall construc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B is a vertical plan view corresponding to FIG. 5C for the embodiment of FIG. 11A.
12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undation slab and an intermediate slab of a building are constructed in an excavation area following the state of FIG. 5a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2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state of Fig. 12a;
Fig. 12c is a schematic vertical plan view of the state of Fig. 12a.
Fig. 12d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12b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ker is removed subsequent to the state in Fig. 12a.
13A is a schematic transverse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10A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ntegrated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3a.
Figure 14a is a schematic transverse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ure 10a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14a.
15A is a schematic transverse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10A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ntegrated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15a.
16 is a schematic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12B of using the ground anchoring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서술하는 본 발명의 여러 구성 및 특징은 흙막이 벽체 및 이를 위한 레이커 보강구조물에 전부 구비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 구성 및 특징만을 선별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described as one embodiment, and there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In particular, various configur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provided in all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raker reinforcing structure therefor, but only some configurations and characteristics may be selected and provided if necessary.

도 3a 내지 도 5c에는 각각 흙막이 벽체를 시공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커 보강구조물"을 시공하여 구축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굴착영역의 1단계 굴착 후 본 발명에 따라 최상층 레이커(S1)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도 3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c에는 도 3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연직방향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굴착영역의 2단계 굴착 후 본 발명에 따라 중간층 레이커(S2)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며,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굴착영역의 3단계 굴착 후 본 발명에 따라 최하층 레이커(S3)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a 및 도 5a는 각각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b 및 도 5b는 각각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며, 도 4c 및 도 5c는 각각 개략적인 연직방향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는 각각 지반고정 지지체(30)를 이루는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의 연직 평면형상을 달리하여 변형시킨 예를 보여주는 도 3c에 대응되는 연직방향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s 3a to 5c show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constructing the "Raker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respectively. Figure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most raker (S1)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first step of excavation in the excavation area, Figure 3b is a schematic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of Figure 3a is shown 3c shows a schematic vertical plan view of the state of FIG. 3a. Figures 4a to 4c show a state in which the middle layer raker (S2)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econd stage excavation of the excavation area, respectively, and Figures 5a to 5c show the lowest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hird stage excavation of the excavation area, respectively. Shows the installed state of Laker (S3). 4A and 5A are respectively schematic perspective views, FIGS. 4B and 5B are respectively schematic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s, and FIGS. 4C and 5C are respectively schematic vertical plan views. 6a to 6c show a plan view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FIG. 3c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vertical plane shape of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constituting the ground fixation support 30 is varied and deformed.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서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기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축약하였으며, 종래기술과 구별되고 차별화는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서는 중점적으로 상세히 서술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given for the same parts as those described in the prior art, and the descriptions are omitted or briefly abbreviated. Describe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레이커 보강구조물은 흙막이 벽체(200)를 시공하면서 흙막이 벽체(200)에서부터 지면이 하향 경사져서 기울어지도록 굴착영역을 소정 높이로 단계적 굴착하면서 다층의 복수개 레이커를 설치함으로써 구축된다. 구체적으로 굴착영역에 대해 도 3a 내지 도 3c에 예시된 것처럼 제1단계 굴착 후 최상층 레이커(최상층 레이커)(S1)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후속하여 도 4a 내지 도 4c에 예시된 것처럼 최상층 레이커(S1)의 아래쪽에서 흙막이 벽체(200)에서부터 지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굴착영역을 소정 높이로 제2단계 굴착하고 굴착된 부분에 흙막이 벽체(200)를 더 구축하면서 중간층 레이커(S2)를 경사지게 설치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중간층 레이커(S2)의 아래쪽에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굴착영역의 추가적인 굴착 및 추가적인 복수개 층의 레이커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작업을 반복하고, 최종적으로는 도 5a 내지 도 5c에 예시된 것처럼 흙막이 벽체(200)에서부터 평평하게 굴착영역의 지면을 굴착하는 최종 굴착작업 후 최하층 레이커(S3)를 설치한다. 편의상 아래에서 설명에 참조하는 본 발명에 대한 도면에서는 최상층, 중간층 및 최하층 레이커(S1, S2, S3)가 존재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본 발명에서도 최상층, 중간층 및 최하층 레이커(S1, S2, S3)를 각각 설치함에 있어서, 각 층에서는 복수개(도면의 예에서는 2개)의 경사진 강재빔(beam)이 횡방향으로 이웃하여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1개의 레이커 세트(set)"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레이커 세트"가 흙막이 벽체의 폭에 맞추어서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필요한 개수로 복수개 위치에 설치는 구성을 가진다. The raker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multi-layered rakers while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200 while stepwise excavating the excavation area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ground slopes downward from the retaining wall 200.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S. 3A to 3C for the excavation area, the uppermost raker (uppermost raker) (S1) is installed obliquely after the first stage excavation, and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S. 4A to 4C, the uppermost raker (S1) The second step excavates the excavation area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ground slopes downward from the retaining wall 200 at the bottom of the retaining wall 200, and further builds the retaining wall 200 at the excavated part while installing the intermediate raker S2 at an angle. If necessary, repeat the additional excavation of the excavation area and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multiple layers of rakers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t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layer raker (S2), and finally, as illustrated in FIGS. 5a to 5c, the retaining wall After the final excavation work of excavating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flat from (200), the lowest raker (S3) is installed. For convenience,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below, it is illustrated that the uppermost layer, the middle layer, and the lowest layer raker (S1, S2, S3) exis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installing the uppermost, middle, and lowermost raker (S1, S2, S3), respectively, in each layer, a plurality of inclined steel beams (two in the example of the drawing) are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being arranged, “one raker set” is formed, and this “raker se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quired number of raker sets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at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retaining wall.

본 발명에서 최상층 레이커(S1)를 경사지게 설치함에 있어서, 최상층 레이커(S1)의 상단은 종래기술처럼 흙막이 벽체(200)에 밀착 고정되지만,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은 통합결합부재(1)에 일체 결합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것처럼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 자체가 통합결합부재(1)가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installing the uppermost raker (S1) inclined, the top of the uppermost raker (S1) is tightly fixed to the retaining wall 200 as in the prior art, but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is attached to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itself becomes an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s integrally coupled or described later.

굴착영역의 지면에는 지반고정 지지체(30)가 고정 설치되고, 통합결합부재(1)의 후방 단부는 지반고정 지지체(3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에 따라 최상층 레이커(S1)로부터 가해지는 종방향 수평력과 연직방향의 수직력은 통합결합부재(1)를 통해서 지반고정 지지체(30)에 가해져서 지반고정 지지체(30)를 통해서 지반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 지반고정 지지체(30)는 콘크리트 지지블록(33), 전방 지지말뚝(37), 상기 전방 지지말뚝(37)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전방 지지말뚝(37)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 및 하단 횡띠장(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은 굴착영역의 지면에 매립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로서, 콘크리트 지지블록(33)에는 전방 지지말뚝(37)이 연직하게 고정 설치되고, 전방 지지말뚝(37)의 후방으로는 전방 지지말뚝(37)을 지지하기 위한 말뚝지지 부재가 콘크리트 지지블록(33)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The ground fixation support 3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and the rea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firmly coupled to the ground fixation support 30. Accordingly, the vertical horizontal force and the vertical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pplied from the uppermost raker S1 are applied to the ground fixation support 30 through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nd transmit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ground fixation support 3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fixing support 30 is a concrete support block 33, a front support pile 37, a rear support member that is fixed to the rear of the front support pile 37 to support the front support pile 37,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transverse band (32).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is a concrete structure embedded in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and the front support pile 37 is vertically fixed to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and the front support pile 37 is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front support pile 37. A pile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upport pile 37 is provided in a fixed state to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전방 지지말뚝(37)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는, 전방 지지말뚝(37)과 종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후방에서 전방 지지말뚝(37)과 소정 간격을 두고 콘크리트 지지블록(33)에 고정 설치되는 후방 지지말뚝(38), 및 전방 지지말뚝(37)과 후방 지지말뚝(38) 사이에서 전,후방 지지말뚝(37, 38)과 일체를 이루어 배치되는 종방향 지지대(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전방 지지말뚝(37)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의 구성은, 이와 같이 후방 지지말뚝(38)과 종방향 지지대(39)로 이루어진 것 이외에도, 단순히 전방 지지말뚝(37)을 지지하도록 후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하단이 콘크리트 지지블록(33)에 매립되는 경사빔(37a)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에는 전방 지지말뚝(37)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가 이와 같이 경사빔(37a)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3a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전방 지지말뚝(37)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는 도면에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rear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front support pile 37 supports concre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support pile 37 at the rear forming a straight line with the front support pile 3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ear support pile 38 fixed to the block 33, and a longitudinal support integrally disposed with the front and rear support piles 37 and 38 between the front support pile 37 and the rear support pile 38 It is composed of (39).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front support pile 37, in addition to the rear support pile 38 and the longitudinal support 39, is simply rear to support the front support pile 37. It may also consist of only inclined beams 37a that are inclined and the lower end is buried in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3a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ar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front support pile 37 is made of an inclined beam 37a in this way. However, the rear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front support pile 37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may be made of various other forms.

전방 지지말뚝(37)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빔 부재로 이루어진 하단 횡띠장(32)이 설치되고, 통합결합부재(1)의 후방 단부는 하단 횡띠장(32)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면부호 32a로 표시된 것은 전방 지지말뚝(37)에 일체로 구비되어 하단 횡띠장(32)이 놓이게 되는 띠장받침부재(32a)이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전방 지지말뚝(37)은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의 상면에서 연직 위쪽으로 솟아 있도록 도출되어 있다. 하단 횡띠장(32)은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의 상면에서부터 후술하는 기초 슬래브(300)의 두께 이상의 높은 위치에서 전방 지지말뚝(37)에 결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통합결합부재(1)의 후방 단부가 하단 횡띠장(32)에 결합되는 위치가 기초 슬래브(300)의 상면보다 높게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슬래브(300)를 시공하였을 때, 통합결합부재(1) 및 이에 결합된 다층 레이커의 하단은 모두 기초슬래브(300)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어 기초슬래브(300)에 매립되는 강재가 전혀 존재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기초슬래브(300)에 매립되어 사장되는 부분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서 버려지는 강재량의 감소, 강재 절단 업무의 배제, 및 그에 따른 상당한 비용 절감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A lower horizontal wale 32 made of a beam member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front support pile 37, and the rea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firmly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wale 32.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32a is a wale support member 32a integrally provided on the front support pile 37 and on which the lower horizontal wale 32 is placed.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pport pile 37 is led out so as to rise vertically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front support pile 37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oundation slab 300 to be described lat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In this configuration, the position where the rea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coupled to the lower transverse band 32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lab 300. Therefore, when the foundation slab 300 is constructed by pouring concrete,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nd the lower end of the multi-layer raker coupled thereto are all located above the foundation slab 300 and embedd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Steel materials do not exist at all,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occurrence of dead parts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discarded steel materials, excluding the work of cutting steel materials, and Significant cost savings can be achieved.

지반고정 지지체(30)의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을 형성함에 있어서, 도 3c에 예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은 다층 레이커 하단이 모이게 되는 위치에만 단속적으로 소정 횡방향 폭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레이커 세트를 개별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소정 횡방향 폭을 가지는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을 각각의 레이커 세트가 존재하는 위치에만 설치함에 있어서,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개별적인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의 연직 평면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개별적인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이 사다리꼴 연직 평면형상을 가지면서도 줄기초의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도 6c에 예시된 형태의 연직 평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예시한 연직 평면형상을 가지도록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을 형성함으로써 종방향 수평력에 대해 전도되지 않고 안정적인 형태를 이루게 하면서도 종방향 수평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작용하는 부분에서는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이 불필요하게 과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서 콘크리트의 사용 물량 절감 및 그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In forming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of the ground fixation support 30, as illustrated in FIG. 3c,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is intermittently formed only at the position where the bottom of the multi-layer raker is gathered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transverse width may be In order to individually support a plurality of raker sets spaced a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is way, in installing concrete support blocks 33 having a predetermined transverse width only at locations where each raker set exists, as shown in FIG. 6A, each The vertical plane shape of the individual concrete support block 33 of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However, if necessary, as shown in FIG. 6B, individual concrete support blocks 33 may have a trapezoidal vertical plane shape and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a stem sheath, and the vertical plane shape of the form illustrated in FIG. 6C may ha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to have the vertical plane shape exemplified above,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is formed in a stable form without being inverted against the longitudinal horizontal force, while the longitudinal horizontal force acts relatively little.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formed unnecessarily, and through this, the amount of concrete used can be reduced and the effect of cost reduction can be exerted accordingly.

특히, 위에서 설명한 지반고정 지지체(30)의 구성 및 특징은, 앞서 도 1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기술 즉, 다층 레이커가 서로 다른 수직 열(列)에서 이웃하게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기술에 따라 다층 레이커의 하단을 각각 하단 횡띠장(32)에 결합하여 고정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지반고정 지지체(30)의 구성 즉, 콘크리트 지지블록(33), 전방 지지말뚝(37), 상기 전방 지지말뚝(37)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전방 지지말뚝(37)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 및 하단 횡띠장(32)을 포함하는 형태로 지반고정 지지체(30)을 구성하고, 이러한 지반고정 지지체(30)의 하단 횡띠장(32)에 다층 레이커의 하단을 각각 결합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기초슬래브(300)에 매립되어 사장되는 강재량의 발생 억제 내지 감소, 강재 절단 업무의 배제, 및 그에 따른 상당한 비용 절감효과, 더 나아가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의 과대형성 방지를 통한 콘크리트의 사용 물량 절감 및 그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anchoring support 30 described above are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2D, even when multi-layer rakers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y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in different vertical columns.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2D, in fixing the lower end of the multi-layer raker to the lower transverse strip 32, the configuration of the new ground fixing support 3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concrete A form comprising a support block 33, a front support pile 37, a rear support member that is fixed to the rear of the front support pile 37 to support the front support pile 37, and a lower horizontal band 32 Thus, the ground fixation support 30 is constituted, and the lower end of the multi-layer raker can be coupled and fixed to the horizontal band 32 at the bottom of the ground fixation support 30, respectively. Through this, suppression or reduction of the amount of steel material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elimination of steel cutting work, and consequently significant cost reduction effect, furthermore, concrete support block 33 through prevention of excessive forma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use and reducing the cost accordingly.

다시 최상층 레이커(S1)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면, 필요에 따라서는 최상층 레이커(S1)를 설치하면서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흙막이 벽체(200)와 하단 지지말뚝(31) 사이에는 중간 지지말뚝(34)을 연직하게 설치하고, 중간 지지말뚝(34)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중간 받침빔(35)과 받침부재(36)를 설치하여 중간 받침빔(35)과 받침부재(36)에 의해 최상층 레이커(S1)가 추가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uppermost raker (S1) inclined again,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while installing the uppermost raker (S1), if necessary, between the retaining wall 200 and the lower support pile 31 is intermediate The support pile 34 is installed vertically,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beam 35 and the support member 36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installed on the intermediate support pile 34 to install the intermediate support beam 35 and the support member 36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uppermost raker (S1) is additionally supported by.

도 8a에는 도 3b에 표시된 원 E부분 즉,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결합부재(1)에 결합된 부분을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b 및 도 8c에는 각각 도 8a에 도시된 구성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는 각각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통합결합부재(1)만을 발췌하여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다층으로 배치되는 레이커의 각 하단에 1개의 통합결합부재(1)가 일체로 결합되어서, 다층 레이커의 각 하단을 통해서 가해지는 지지력을 1개의 통합부재(1)가 굴착영역의 지면에 설치된 지반고정 지지체(30)에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통합결합부재(1)의 전방 단부에는 다층 레이커의 각 하단이 통합되어 일체로 결합되며, 통합결합부재(1)의 후방 단부는 굴착영역의 지면에 설치된 지반고정 지지체(30)에 결합된다.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반고정 지지체(30)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콘크리트 지지블록(33), 전방 지지말뚝(37), 후방 지지부재 및 하단 횡띠장(32)을 포함하여 구성을 가지며, 통합결합부재(1)의 후방 단부는 하단 횡띠장(32)에 밀착되어 용접이나 볼트결합 등의 기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Figure 8a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side view showing in detail the part of the circle E shown in Figure 3b, that is, the part where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is coupled to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b and 8c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8a in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9A and 9B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only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shown in FIGS. 8A to 8C and showing different viewing dire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integrally coupled to each lower end of the multi-layered raker,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applied through each lower end of the multi-layered raker is one integrated member (1) to the ground in the excavation area It is delivered to the installed ground fixation support (30). To this end, each lower end of the multi-layer raker is integrated and integral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nd the rea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coupled to the ground fixing support 30 installed on the ground in the excavation area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8A and 8B, the ground fixation support 30 includes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the front support pile 37, the rear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horizontal strip 32 as described above.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nd the rea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and can be integrated by various other methods such as welding or bolting.

도 8a 내지 도 8c, 도 9a, 및 도 9b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통합결합부재(1)는 상,하부 플랜지와 웨브를 가지는 I형 단면의 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통합결합부재(1)의 전방 단부에는 소위 "마구리판"이라고 불리는 접합판(11)이 연직방향 상하로 복수개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다층 레이커의 각 하단에도 접합판이 구비되어서, 다층 레이커 각각의 하단에 구비된 각각의 접합판과 통합결합부재(1)의 접합판(11)이 마주 접한 상태에서 볼트 결합, 용접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의 결합에 의해 다층 레이커 각각의 하단과 통합결합부재(1)의 전방 단부가 일체화될 수 있다. 하나의 통합결합부재(1)에 다층 레이커 즉,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레이커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접합판(11)은 결합될 레이커의 개수에 맞추어서 복수개로 통합결합부재(1)에 구비된다. 특히, 각 층의 레이커는 경사가 상이하므로 후방 단부가 통합결합부재(1)에 결합되는 각도 역시 상이하며, 이에 맞추어서 통합결합부재(1)에는 복수개의 접합판(11)이 경사를 달리하여 연직방향 상,하로 구비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통합결합부재(1)는 후방 단부로 가면서 그 단면 크기가 줄어드는 변단면 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통합결합부재(1)의 강재량 추가적인 감소, 그에 따른 제작 및 취급비용 절감 등의 잇점을 얻을 수 있다. 통합결합부재(1)의 후방 단부가 하단 횡띠장(32)에 용이하게 결합되게 만들기 위하여, 하단 횡띠장(32)과 결합되는 단부판(15)이 통합결합부재(1)의 후방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8A to 8C, 9A, and 9B,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may be formed of an I-shaped cross-section beam member having upper and lower flanges and webs. At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member 1, a plurality of bonding plates 11, so-called "maguri plates," are provid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rrespondingly, bonding plates are provided at each lower end of the multi-layer rak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each multi-layer raker. In a state where each joint plate and the joint plate 11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ottom of each multi-layer raker and the front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re combin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bolt coupling and welding coupling. The ends may be integral. Since multi-layer rakers, that is, a plurality of rakers located on different layers can be coupled to on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the bonding plate 11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to a plurality of integrated coupling members 1 according to the number of rakers to be combined. ) is provided. In particular, since the raker of each layer has a different inclination, the angle at which the rear end is coupled to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also different, and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joint plates 11 are vertically inclined by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t is provid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If necessary,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may be made of a tapered cross-section beam member whose cross-sectional size decreases toward the rear end, through which the amount of steel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further reduced, thereby Advantages such as reduced manufacturing and handling costs can be obtained. In order to make the rea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easily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the end plate 15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t can be.

앞서 설명한 것처럼 횡방향으로 복수개(도면의 예에서는 2개)의 강재빔이 나란하게 위치하여 "1개의 레이커 세트"를 이루고, 이러한 "레이커 세트"가 횡방향으로 복수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형태로 최상층 레이커(S1)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1개의 레이커 세트를 이루는 각각의 강재빔에 대해 1개의 통합결합부재(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최상층 레이커(S1)의 1개 강재빔에 1개의 통합결합부재(1)가 대응되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비록 도면에는 예시하지 않았지만, 1개의 레이커 세트 전체에 대해 1개의 통합결합부재(1)가 대응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1개의 레이커 세트가 2개의 강재빔으로 이루어진 경우, 통합결합부재(1)의 횡방향 크기를 키워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1개 레이커 세트의 2개 강재빔이 모두 1개의 통합결합부재(1)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teel beams (two in the example of the drawing) are placed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one raker set", and such a "raker set" is arranged at intervals in a plurality of transverse directions. An uppermost raker (S1) may be installed. At this time,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on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may be provided for each steel beam constituting one raker set. That is, on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can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one steel beam of the uppermost raker (S1). However,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on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entire raker set. That is, if necessary, for example, if one raker set consists of two steel beams, the size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increased to two steel beams of one raker set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l of these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on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다시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중간층 레이커(S2)의 설치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최상층 레이커(S1)를 설치한 후에는 흙막이 벽체(200)에서부터 지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굴착영역을 소정 높이로 추가 굴착하고 흙막이 벽체(200)를 연직하향으로 더 구축하면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층 레이커(S2)를 설치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중간층 레이커(S2)가 최상층 레이커(S1)와 동일한 수직 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중간층 레이커(S2) 역시 횡방향으로 복수개(도면의 예에서는 2개)의 강재빔이 나란하게 위치하여 1개의 레이커 세트를 이루고, 이러한 레이커 세트가 복수개로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데, 중간층 레이커(S2)의 레이커 세트 각각에서 레이커를 이루는 강재빔의 상단은 흙막이 벽체(200)에 밀착 고정되지만 그 위치는 최상층 레이커(S1)의 연직 아래가 되는 것이다. Again referring to FIGS. 4A to 4C , the installation steps of the intermediate layer raker (S2) will be described. After installing the uppermost raker (S1), the excavation area is additionally excav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ground slopes downward from the retaining wall 200, and the retaining wall 200 is further built vertically downward, as shown in FIGS. 4a to 4c Install the intermediate layer raker (S2) as shown.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dle layer raker (S2) is installed to be located in the same vertical column as the top layer raker (S1). In the middle layer raker (S2), a plurality of (two in the example of the drawing) steel beams are positioned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one raker set, and these raker sets can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rrangements. In each of the raker sets of (S2), the upper end of the steel beam constituting the raker is closely fixed to the retaining wall 200, but its position is vertically below the uppermost raker (S1).

중간층 레이커(S2)의 레이커 세트 각각에서 레이커를 이루는 강재빔의 하단은 최상층 레이커(S1) 하단의 연직 아래에서 통합결합부재(1)에 일체 결합된다. 도 10a에는 도 4b에 표시된 원 F부분 즉,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과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 모두가 통합결합부재(1)에 결합된 부분을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b 및 도 10c에는 각각 도 10a에 도시된 구성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예시된 것처럼 통합결합부재(1)의 전방 단부에서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은 위쪽에 위치하고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은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형태로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과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이 통합결합부재(1)의 전방 단부에서 동일한 수직 열의 상,하로 위치하면서 동시에 통합결합부재(1)에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최상층 레이커(S1)의 아래에 중간층 레이커(S2)가 경사를 달리하여 배치되어 있되, 그 하단이 동일한 통합결합부재(1)에 결합됨으로써, 최상층 레이커(S1)과 중간층 레이커(S2)는 동일한 수직 열(列)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중간층 레이커(S2)를 설치할 때, 필요에 따라서는 중간 지지말뚝(34)의 중간 받침빔(35)에 추가적인 받침부재(36)를 설치하여 최상층 레이커(S1)과 마찬가지로 중간층 레이커(S2)도 받침부재(36)에 의해 추가적으로 더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lower end of the steel beam constituting the raker in each of the raker sets of the intermediate raker (S2)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vertically below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Figure 10a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in detail the part of the circle F shown in Figure 4b, that is, the part where both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are coupled to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10b and 10c each show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0a in a different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ures 10a to 10c, at the front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layer raker (S2)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most raker (S1)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and the lower end of the raker (S2) are positioned up and down in the same vertical row at the front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while being coupled to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nd integrated.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dle layer raker (S2) is disposed under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with a different inclination, but the low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sam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so that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and the middle layer raker ( S2) is located on the same vertical column. When installing the middle layer raker (S2), if necessary, an additional support member 36 is installed on the intermediate support beam 35 of the intermediate support pile 34 to support the middle layer raker (S2) as well as the top layer raker (S1)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additionally supported by the member 36.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층 레이커(S2)의 설치 후에는, 굴착영역의 3단계 굴착 후 최하층 레이커(S3)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최하층 레이커(S3)는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S1, S2)와 동일한 수직 열에서 중간층 레이커(S2)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최하층 레이커(S3)의 상단 및 하단이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최하층 레이커(S3)의 상단은 중간층 레이커(S2)의 연직 아래에서 흙막이 벽체(200)에 밀착 고정된다. 최하층 레이커(S3)의 하단을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중간 지지말뚝(34)에도 횡방향으로 배치된 빔 부재로 이루어진 하단 횡띠장(32)을 설치하여, 최하층 레이커(S3)의 하단이 횡띠장(32)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또다른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을 지반에 설치하여 중간 지지말뚝(34)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최하층 레이커(S3)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S1, S2)의 아래쪽에 작업 및 설치공간이 충분히 존재하므로, 최하층 레이커(S3)는 최상층 레이커(S1) 또는 중간층 레이커(S2)의 연직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최하층 레이커(S3)는 최상층 레이커(S1) 또는 중간층 레이커(S2)와 동일한 수직 열(列)에 놓일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ures 5a to 5c,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after the third stage of excavation in the excavation area, the lowest layer raker (S3) may be installed. At this time, the lowest layer raker (S3)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middle layer raker (S2) in the same vertical row as the uppermost and middle layer raker (S1, S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ures 5a to 5c, it is shown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owermost raker (S3) are fix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lowermost raker (S3) is tightly fixed to the retaining wall 200 under the vertical layer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In order to fix and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raker (S3), in the embodiment of the drawing, a lower horizontal band 32 made of a beam member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intermediate support pile 34, so that the lowermost raker (S3)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wer end of is coupled to the transverse band 32. If necessary, another concrete support block 33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so that the intermediate support pile 34 is fixed. In installing the lowest layer raker (S3), since there is enough work and installation space below the top and middle layer raker (S1, S2), the lowest layer raker (S3) is vertically below the top layer raker (S1) or middle layer raker (S2) It can be installed so that it is located in That is, the lowermost raker (S3) can be placed in the same vertical column as the uppermost raker (S1) or the middle layer (S2).

그러나 최하층 레이커(S3)도 중간층 레이커(S2)와 마찬가지로 그 하단을 통합결합부재(1)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는 각각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뿐만 아니라, 최하층 레이커(S3)의 하단도 통합결합부재(1)에 함께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도 5b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도 11a)와 도 11a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연직방향의 평면도(도 11b)가 도시되어 있다. However, the lowest layer raker (S3) can also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like the middle layer raker (S2). 11a and 11b are schematic transverse side views corresponding to FIG. 5b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not only the uppermost and middle layer raker, but also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layer raker (S3) are coupled together to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FIG. 11A) and a schematic vertical plan view (FIG. 11B) of the state of FIG. 11A are shown.

위의 설명에서는 중간층 레이커(S2)의 설치 후 최하층 레이커(S3)를 설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중간층 레이커(S2)를 설치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굴착영역의 지면을 경사지게 단계적으로 굴착하면서 중간층 레이커(S2)의 아래쪽에서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S1, S2)와 동일한 수직 열에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추가 적인 중간층 레이커를 순차적으로 더 설치한 후에 최종적으로 최하층 레이커(S3)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최하층 레이커(S3)의 설치 전에 추가되는 중간층 레이커는 앞서 설명한 중간층 레이커(S2)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통합결합부재(1)에 그 하단이 결합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installation of the lowest layer raker (S3)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has been exemplified, but if necessary, the middle layer is excavated step by step in an inclined manner in the same manner as when installing the middle layer raker (S2). A plurality of additional intermediate layer rakers are sequentially installed below the raker S2 to be located in the same vertical row as the uppermost and intermediate layer rakers S1 and S2, and finally the lowermost layer raker S3 can be installed. At this time, the middle layer raker added before installation of the lowermost layer raker (S3)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n the same way as the above-described intermediate layer raker (S2).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에서는 복수개 층의 레이커는 각각 서로 다른 수직 열에 위치하도록 평면 상에서 이웃하게 나란하게 배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최상층 레이커(S1)와 중간층 레이커(S2)가 동일한 수직 열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복수개 층의 레이커 하단이 하나의 통합결합부재(1)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며, 그에 따라 복수개 층의 레이커는 동일한 수직 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비록 레이커가 경사를 달리하여 복수개의 층으로 배치되어 있더라도, 도 5c 및 도 11b에 예시된 것처럼 연직방향의 평면 배치에서 볼 때 최상층의 레이커 즉, 최상층 레이커(S1)만이 평면에 배치된 형태로 보이게 되며, 그에 따라 흙막이 벽체(200)와 하단 지지말뚝(31) 사이의 공간에서는 비어 있는 공간 및 연직 면적이 종래기술보다는 월등히 증가하게 된다.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대하여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S1, S2)가 설치된 것을 비교해 볼 때, 종래기술의 도 1c에 비하여 본 발명의 도 5c 및 도 11b에 도시된 것이 연직방향 평면 구성에 있어서, 비어 있는 공간 즉, 레이커 사이의 비어 있는 공간이 월등히 넓은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보다도 더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그만큼 굴착영역에 구축될 구조물의 기둥 등과 같은 구조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layers of rakers were arranged side by side on a plane so as to be located in different vertical columns, respectively. However, unlike the prior ar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and the middle layer raker (S2) are located in the same vertical column.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rakers of the plurality of layers is coupled to on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nd thus the rakers of the plurality of layers are located in the same vertical row. Therefore, even if the raker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layers with a different inclination, as illustrated in FIGS. 5c and 11b, only the uppermost raker, that is, the uppermost raker S1 is arranged on the plane when viewed from the vertical plane arrangement. It is visible, and accordingly, in the spa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200 and the lower support pile 31, the empty space and vertical area a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prior art. When comparing the installation of the uppermost and middle layer raker (S1, S2) with respect to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FIG. 1c of the prior art, shown in FIGS. 5c and 11b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rtical plane configuration, via That is, the empty space between the rakers is much wider.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r working space than in the prior art,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structural members such as pillars of structures to be built in the excavation area.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최하층 레이커(S3)가 설치된 후에는 굴착영역의 저면에 콘크리트 기초슬래브(300)를 타설하여 시공하고, 그 상층에는 구조물의 중간층 슬래브(310)를 시공하게 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벽체의 보강구조물을 구축한 후, 굴착영역에 건축물의 기초슬래브(300)와 중간층 슬래브(310)를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인데, 도 12a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b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며, 도 12c는 개략적인 연직방향 평면도이다. 도 12d는 레이커를 제거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12b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이다. As in the prior art, after the lowest raker (S3) is installed, the concrete foundation slab 300 is poured and constructed on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area, and the middle layer slab 310 of the structure is constructed on the upper layer. 12a to 12c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undation slab 300 and the intermediate slab 310 of the building are constructed in the excavation area after constructing th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t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12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Figure 12c is a schematic vertical direction plan view. Fig. 12d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12b showing the state after removing the raker.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서는 전방 지지말뚝(37)은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의 상면에서 솟아 있도록 연직 위쪽으로 도출되어 존재하고, 하단 횡띠장(32)은 이와 같이 연직방향으로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의 상면에서 소정 길이만큼 높은 위치에서 전방 지지말뚝(37)에 결합되어 기초 슬래브(300)의 상면 위쪽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하단 횡띠장(32)에 결합되는 통합결합부재(1)의 후방 단부는 기초 슬래브(30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도 12b에 명확하게 예시된 것처럼 통합결합부재(1) 및 이에 결합된 다층 레이커의 하단이 모두 기초슬래브(300)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고 기초슬래브(300)에는 매립되지 않는다. 즉,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레이커의 하단은 물론이고 통합결합부재(1)도 전혀 기초슬래브(300)에 매립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레이커들을 철거할 때 레이커를 절단된 형태가 아니라 온전한 상태로 철거하여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합결합부재(1) 역시 절단 없이 온전하게 철거하여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통합결합부재(1)를 지지하였던 하단 횡띠장(32)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pport pile 37 is derived vertically upward so as to ris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and the lower transverse wale 32 is vertically in this way Concrete support block 33 Since it is coupled to the front support pile 37 at a position as high as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upper surface of and is provid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lab 300, the rea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is It exists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lab 300. Therefore, as clearly illustrated in FIG. 12B, both the lowe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nd the multi-layer raker coupled thereto are located above the foundation slab 300 and are not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That i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neither the lower end of the raker nor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at all. Therefore, when the rakers are removed, the rakers can be removed and recovered in an intact state rather than in a cut form, and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can also be completely removed and recovered without cutting. Furthermore,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supporting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can also be recovered.

종래기술에서는 최상층 레이커(S1) 뿐만 아니라 중간층 레이커(S2) 역시 그 하단의 일부가 기초슬래브(300)에 매립되는 등 각 층의 레이커들 하단 일부, 그리고 하단 횡띠장(32)이 기초슬래브(300)에 매립되며 그에 따라 강재의 절단 작업을 해야 하고, 기초슬래브에는 사장되는 강재 부분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이 통합결합부재(1)가 기초슬래브(300) 위에 존재하는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기초슬래브(300)의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사장되는 강재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레이커 및 통합결합부재(1)의 절단 작업 생략 및 매립 사장되는 강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시공효율 향상은 물론이고 시공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레이커와 통합결합부재(1) 그리고 하단 횡띠장(32)이 손상 없이 온전하게 회수될 수 있으므로 재활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레이커의 하단과 통합결합부재(1)가 기초슬래브(300)에 전혀 매립되지 않으므로 기초슬래브(300)에 배치되는 철근 배근과의 간섭도 발생하지 않게 되어 시공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도 발휘된다. In the prior art, not only the uppermost raker (S1) but also the lower part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is embedd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 the steel had to be cut accordingly, and there was a part of the steel that was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present on the foundation slab 300 as described above, the steel material buried in the concrete of the foundation slab 300 does not occur at all.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mit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raker and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uried steel materials, thereby improving construction efficiency and significantl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 In addition, since the raker,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nd the lower transverse strip (32) can be recovered intact without damage, not only is it easy to recycle, but also the bottom of the raker and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re completely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Since it is not, interference with the reinforcement arranged on the foundation slab 300 does not occur, and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construction efficiency is also exhibited.

위와 같이 하단 횡띠장(32)이 기초 슬래브(30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존재하게 되어 하단 횡띠장(32)에 결합되는 통합결합부재(1)의 후방 단부 및 통합결합부재(1)에 결합되는 다층 레이커 하단이 모두 기초슬래브(300) 위에 위치하는 경우, 통합결합부재(1)를 통해서 가해지는 레이커로부터의 종방향 수평력에 의해 콘크리트 지지블록(33)에는 종래기술의 경우보다 더 큰 전도모멘트가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방 지지말뚝(37)이 콘크리트 지지블록(33)에 고정 설치되고, 전방 지지말뚝(37)은 후방 지지부재에 의해 그 후방이 지지되어 있으며, 이에 맞춰서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은 더 증가된 종방향 폭을 가지고 있고 하단 횡띠장(32)은 이러한 전방 지지말뚝(37)에 고정 설치되므로, 본 발명의 지반고정 지지체(30)는 전도모멘트에 대하여 매우 큰 저항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레이커로부터 가해지는 종방향 수평력에 의해 큰 전도 모멘트가 작용하더라도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은 전도되지 않고 매우 안정적으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하단 횡띠장(32) 및 이에 결합된 통합결합부재(1) 역시 후방으로 밀리지 않은 채 안정적인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transverse wale 32 is present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lab 300, so that the rea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coupled to the lower transverse wale 32 and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re coupled to When the lower ends of the multi-layer raker are all located on the foundation slab 300,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has a greater overturning moment tha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by the longitudinal horizontal force from the raker applied through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may 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pport pile 37 is fixedly installed to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and the front support pile 37 is supported at its rear by a rear support member, and in accordance with this,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is further Since it has an increased longitudinal width and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is fixed to the front support pile 37, the ground anchoring suppor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very large resistance to the overturning moment. Therefore, even if a large overturning moment is applied by the longitudinal horizontal force applied from the raker,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does not overturn and can maintain a very stable installation state, and the lower transverse strip 32 and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coupled thereto ( 1) It also maintains a stable state firmly without being pushed backward.

중간층 슬래브(310)가 시공되고, 중간층 슬래브(310)에 복수개 층의 레이커 즉, 최상층 및 중간층 레이커(S1, S2)가 지나갈 수 있는 개구부(311)가 형성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층의 레이커가 동일한 수직 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단지 최상층 레이커(S1)만이 배치된 형태로 보이게 되므로, 개구부(311)의 크기가 종래기술보다 크게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중간층 슬래브(310)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추후 개구부(311)의 되메움 시공면적도 줄어들게 되어 현장 작업량 및 비용 감소 그리고 개구부(311)에서의 방수 불량 가능성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장점이 발휘된다. When the middle layer slab 310 is constructed and the opening 311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layers of rakers, that is, the uppermost and middle layer rakers S1 and S2 can pass, is formed in the middle layer slab 310,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ayers of rakers Since are arranged in the same vertical column, when viewed from above, only the uppermost raker (S1) is seen as arranged, so the size of the opening 311 i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space of the middle layer slab 310 be used more efficiently, but also the backfilling construction area of the opening 311 is reduced, reducing the amount of on-site work and costs, and the possibility of poor waterproofing in the opening 311. A very useful advantage is exhibited that can also greatly reduce.

도 13a 및 도 13b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통합결합부재(1)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와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일반 I빔으로 이루어져서 최상층 레이커(S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부재(12)를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에 일체 결합하고,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에 접속부재(10)를 추가로 일체 연결하고, 접속부재(10)를 연장부재(12)와 동일한 수직 열에서 연장부재(12)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예를 들면, 용접, 볼트 등을 이용한 결합)함으로써, 접속부재(10)와 연장부재(12)에 의해 통합결합부재(1)가 만들어지는 구성을 가진다. 즉, 통합결합부재(1)는 I빔으로 이루어져서 최상층 레이커(S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방 단부는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에 일체 결합되는 연장부재(12)와, 전방 단부는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에 일체 결합되며 상면은 연장부재(12)와 동일한 수직 열에서 연장부재(12)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접속부재(1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연장부재(12)의 하단은 지반고정 지지체(30)의 하단 횡띠장(32)에 결합된다. 연장부재(12)의 후방 단부가 하단 횡띠장(32)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단 횡띠장(32)과 결합되는 단부판(15)이 연장부재(12)의 후방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13a and 13b respectively show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schematic transverse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13A and 13B, an extension member 12 made of a general I-beam and exten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most raker S1 extends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and the middle layer raker ( S2) further integrally connect the connection member 10 to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12, and integrally combine the connection member 1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member 12 in the same vertical row as the extension member 12 (for example, welding , coupling using bolts, etc.)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made by the connecting member 10 and the extension member 12. That is,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composed of an I-beam and extends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most raker S1 extends, and the front end is an extension member 12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and the front end I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layer raker (S2) and the upper surface is made of a connecting member (10)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ding member (12) in the same vertical column as the extending member (12).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12 is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of the ground fixing support 30. In order to easily couple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12 to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an end plate 15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12 .

도 14a 및 도 14b에도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통합결합부재(1)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와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 예시된 실시예는 도 13a 및 도 13b의 실시예를 변형한 것인데,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이 길게 연장된 상태에서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에 접속부재(10)를 추가로 일체 연결하고, 접속부재(10)가 최상층 레이커(S1)와 동일한 수직 열에서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이 길게 연장부분에 결합(예를 들면, 용접, 볼트 등을 이용한 결합)됨으로써 통합결합부재(1)가 만들어지는 구성을 가진다. 이 경우에도 하단 횡띠장(32)과 결합되는 단부판(15)이 최상층 레이커(S1)의 길게 연장된 부분의 끝단에 구비될 수 있다.14a and 14b also show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schematic transverse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14A and 14B is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S. 13A and 13B, and the connection member 10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is extended. Further integrally connected, and the connecting member 1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in the same vertical row as the uppermost raker (S1) extended (for example, by welding, coupling using bolts, etc.)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made. Even in this case, the end plate 15 coupled to the lower transverse band 32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ongated part of the uppermost raker S1.

도 15a 및 도 15b에도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통합결합부재(1)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와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통합결합부재(1)는 접속연결부(13), 지지봉(14) 및 단부판(15)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접속연결부(13)의 전방에는 복수개의 접합판(11)이 구비되어 있어서 앞서 설명한 것처럼 다층 레이커 각각의 후방 단부가 접합판(11)에 일체로 결합된다. 접속연결부(13)의 후방에는 후방결합판(130)이 구비되어 있고, 후방결합판(130)에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지지봉(14)이 결합된다. 지지봉(14)은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며 지지봉(14)의 후방 단부는 지반고정 지지체(30)의 하단 횡띠장(32)에 결합된다. 하단 횡띠장(32)과 지지봉(14)의 후방 단부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단 횡띠장(32)과 결합되는 단부판(15)이 지지봉(14)의 후방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봉(14)으로는 원형 강봉이거나 다각 단면 파이프, 또는 절곡 형강 등 다양한 단면 형상과 재질의 봉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15a and 15b also show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schematic transverse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15A and 15B ,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13 , a support rod 14 and an end plate 15 . A plurality of bonding plates 11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connecting portion 13 so that the rear ends of each of the multi-layer rakers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bonding plate 11 as described above. A rear coupling plate 13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portion 13, and one or a plurality of support rods 14 are coupled to the rear coupling plate 130. The support bar 14 extends to the rear, and the rear end of the support bar 14 is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of the ground fixing support 30. In order to easily couple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and the rear end of the support bar 14, an end plate 15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upport bar 14. As the support rod 14, rod members having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and materials, such as circular steel rods, polygonal cross-section pipes, or bent beams, may be us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최상층, 중간층 및 최하층 레이커(S1, S2, S3)가 모두 그 하단이 통합결합부재(1)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최상층 레이커(S1)와 중간층 레이커(S2)만 그 하단이 통합결합부재(1)에 결합될 수도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most layer, the middle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raker (S1, S2, S3) are all illustrated as having their lower ends coupled to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but if necessary,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and the middle layer raker ( Only the lower end of S2 may be coupled to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반고정 지지체(30)의 구성 및 특징은 다양한 형태의 레이커 보강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6에는 통합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형태의 레이커 보강구조물(예를 들면, 다층 레이커가 서로 다른 수직 열(列)에서 이웃하게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는 레이커 보강구조물)에 본 발명에 따른 지반고정 지지체(30)를 사용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2b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6에서 기초슬래브, 중간층 슬래브 등으로 이루어진 건축구조물은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Th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anchoring suppor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raker reinforcing structures. 16 shows a ground anchoring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for example,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multi-layer rakers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in different vertical columns) without using an integrated coupling member.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12B showing an embodiment using (30) is shown. For convenience, in FIG. 16, a building structure composed of a foundation slab, an intermediate slab, etc. is shown as a dotted line.

1: 통합결합부재
S1: 최상층 레이커
S2: 중간층 레이커
S3: 최하층 레이커
1: integrated coupling member
S1: Top Raker
S2: Intermediate Raker
S3: Bottom Raker

Claims (9)

흙막이 벽체에서 그 후방의 지면까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레이커에 의하여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여 보강하는 레이커 보강구조물로서,
레이커는 각각 경사를 달리하여 상단이 흙막이 벽체에 밀착 고정되는 최상층 레이커(S1) 및 중간층 레이커(S2)를 포함하는 다층 레이커로 구성되고;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 및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은, 굴착영역의 지면에 설치된 지반고정 지지체(30)에 결합되어 흙막이 벽체로부터의 힘을 지반고정 지지체(30)에 전달하는데;
지반고정 지지체(30)는 굴착영역의 지면에 매립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지지블록(33), 상기 콘크리트 지지블록(33)에 고정 설치된 전방 지지말뚝(37), 상기 전방 지지말뚝(37)의 후방에서 전방 지지말뚝(37)을 지지하도록 콘크리트 지지블록(33)에 고정 설치되는 후방 지지부재, 및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과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이 결합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된 빔 부재로 이루어진 하단 횡띠장(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단 횡띠장(32)은 지면에 타설될 기초슬래브(30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방 지지말뚝(37)에 결합 설치되어서, 기초슬래브(300)가 타설되었을 때,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 및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이 기초슬래브(300)에 매설되지 않고 기초슬래브(300)의 위쪽에 위치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커 보강구조물.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that supports and reinforces a retaining wall by a raker disposed inclined downward from the retaining wall to the ground behind it,
The rakers are composed of multi-layer rakers including an uppermost raker (S1) and an intermediate raker (S2), each of which has a different inclination and the upper end is tightly fixed to the retaining wall;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are coupled to the ground fixation support 30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to transmit the force from the retaining wall to the ground fixation support 30;
The ground fixing support 30 includes a concrete support block 33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embedded in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a front support pile 37 fixed to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and the front support pile 37 The rear support member fixedly installed to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to support the front support pile 37 at the rear of,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are coupled transversely extend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transverse band 32 made of a beam member;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is coupled to the front support pile 37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lab 300 to be cast on the ground, so that when the foundation slab 300 is poured, the lower end of the top raker S1 And Raker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layer raker (S2) is located above the foundation slab 300 without being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제1항에 있어서,
중간층 레이커(S2)의 상단은 최상층 레이커(S1)의 상단과 동일한 수직 열에서 최상층 레이커(S1)의 상단 아래에 위치하고,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이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과 동일한 수직 열에서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여,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과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이 모두 통합결합부재(1)에 일체로 결합되어 최상층 레이커(S1)와 중간층 레이커(S2)가 동일한 수직 열에 배치되어 있으며;
통합결합부재(1)의 후방 단부는 지반고정 지지체(30)의 하단 횡띠장(32)에 결합되어 통합결합부재(1)가 기초슬래브(300)에 매설되지 않고 기초슬래브(300)의 위쪽에 위치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커 보강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top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is located below the top of the top layer raker S1 in the same vertical column as the top of the top layer raker S1, and the bottom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is in the same vertical column as the bottom of the top layer raker S1.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to form the uppermost raker (S1) and the middle layer raker ( S2) are arranged in the same vertical column;
The rea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wale 32 of the ground fixing support 30 so that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not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but above the foundation slab 300 Raker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ositioning configu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레이커(S2)의 아래에는 최하층 레이커(S3)가 더 구비되는데;
최하층 레이커(S3)의 상단은 중간층 레이커(S2)의 상단 아래에 위치하여 흙막이 벽체에 밀착 고정되고;
최하층 레이커(S3)의 하단은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여 통합결합부재(1)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최하층 레이커(S3) 역시 최상층 레이커(S1) 및 중간층 레이커(S2)가 동일한 수직 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커 보강구조물.
According to claim 2,
A lowermost layer raker (S3)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middle layer raker (S2);
The upper end of the lowermost raker (S3) is locat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and tightly fixed to the retaining wall;
The lower end of the lowest layer raker (S3) is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and integrally coupled to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so that the lowest layer raker (S3) also has the same upper layer raker (S1) and intermediate layer raker (S2). Raker reinforcement structure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vertical row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말뚝(37)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는, 전방 지지말뚝(37)의 후방으로 종방향 간격을 두고 일직선 위치에서 콘크리트 지지블록(33)에 고정 설치된 후방 지지말뚝(38) 및 상기 전,후방 지지말뚝(37, 38) 사이에 일체로 결합 구비된 종방향 지지대(39)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커 보강구조물.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ar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front support pile 37 is a rear support pile 38 fixed to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in a straight position at a longitudinal interval to the rear of the front support pile 37 and the front support pile 38 , Raker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longitudinal support 39 integrally coupled between the rear support piles 37 and 3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통합결합부재(1)는,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에 일체 결합되는 연장부재(12)와, 전방 단부는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에 일체 결합되며 상면은 연장부재(12)와 동일한 수직 열에서 연장부재(12)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접속부재(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재(12)는 최상층 레이커(S1)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I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재(12)의 전방 단부가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커 보강구조물.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has an extension member 12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and a front end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and the upper surface is the same vertical as the extension member 12 It consists of a connecting member 10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ding member 12 in a row;
The extension member 12 is made of an I-beam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most raker S1 extends;
Raker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member 1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통합결합부재(1)는 빔 부재로 이루어지고;
통합결합부재(1)의 전방 단부에는 접합판(11)이 연직방향 상하로 복수개 구비되고;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과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 각각에도 접합판이 구비되며;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에 구비되는 접합판은 통합결합부재(1)에 구비된 복수개의 접합판(11) 중에서 위쪽에 구비된 접합판(11)과 일체 결합되고,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에 구비되는 접합판은 통합결합부재(1)에 구비된 복수개의 접합판(11) 중에서 아래쪽에 구비된 접합판(11)과 일체 결합되는 구조로, 다층 레이커 각각의 하단과 통합결합부재(1)의 전방 단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커 보강구조물.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made of a beam member;
At the front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 plurality of bonding plates 11 are provid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onding plates are also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respectively;
The bonding plat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bonding plate 11 provided on the upper side among the plurality of bonding plates 11 provided in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nd the middle layer raker (S2) The bonding plate provided at the bottom has a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bonding plate 11 provided at the bottom among the plurality of bonding plates 11 provided in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nd the lower end of each multi-layer raker and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 Raker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1) is integrated.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통합결합부재(1)는 접속연결부(13), 지지봉(14) 및 단부판(1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접속연결부(13)의 전방에는 연직방향 상하로 복수개의 접합판(11)이 구비되어 있고,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은 통합결합부재(1)에 구비된 복수개의 접합판(11) 중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접합판(11)과 일체화되고,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은 통합결합부재(1)에 구비된 복수개의 접합판(11) 중에서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이 접합된 위치의 아래쪽에 위치한 접합판(11)과 일체화되고, 접속연결부(13)의 후방에는 후방결합판(130)이 구비되어 있으며, 후방결합판(130)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지지봉(14)이 결합되는 구조로, 최상층 레이커(S1)와 중간층 레이커(S2) 각각의 하단과 통합결합부재(1)의 전방 단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커 보강구조물.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composed of a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13, a support bar 14 and an end plate 15;
A plurality of bonding plates 11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ront of the connecting portion 13,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is the largest among the plurality of bonding plates 11 provided in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t is integrated with the bonding plate 11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is of the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layer raker S1 is joined among the plurality of bonding plates 11 provided in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t is integrated with the junction plate 11 located at the bottom, and a rear coupling plate 13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portion 13, and the rear coupling plate 130 has one or a plurality of support rods 14 extending rearward. ), Raker reinforce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top layer raker (S1) and the middle layer raker (S2) and the front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are integrated.
흙막이 벽체 후방의 굴착영역을 단계적으로 경사지게 굴착하면서, 각각의 굴착 단계마다 각각 경사를 달리하는 최상층 레이커(S1) 및 중간층 레이커(S2)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레이커 보강구조물을 구축함으로써,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여 보강하는데;
최상층 레이커(S1) 및 중간층 레이커(S2)를 설치할 때, 각각의 레이커의 상단은 흙막이 벽체에 밀착 고정되게 만들고;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 및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을 굴착영역의 지면에 설치된 지반고정 지지체(30)에 결합하여 흙막이 벽체로부터의 힘이 지반고정 지지체(30)에 전달되게 만드는데;
지반고정 지지체(30)는 굴착영역의 지면에 매립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지지블록(33), 상기 콘크리트 지지블록(33)의 전방 위치에 고정 설치된 전방 지지말뚝(37), 상기 전방 지지말뚝(37)의 후방에서 전방 지지말뚝(37)을 지지하도록 콘크리트 지지블록(33)에 고정 설치되는 후방 지지부재, 및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과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이 결합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된 빔 부재로 이루어진 하단 횡띠장(3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하단 횡띠장(32)은 지면에 타설될 기초슬래브(30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방 지지말뚝(37)에 결합 설치되어서, 기초슬래브(300)가 타설되었을 때,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 및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이 기초슬래브(300)에 매설되지 않고 기초슬래브(300)의 위쪽에 위치하는 구성을 가지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커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보강방법.
While excavating the excavation area at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step by step, the upper layer raker (S1) and the middle layer raker (S2), which have different inclines for each excavation step, are sequentially installed to build a raker reinforcement structure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to reinforce;
When installing the top layer raker (S1) and the middle layer raker (S2), the top of each raker is tightly fixed to the retaining wall;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raker (S2) are coupled to the ground fixation support 30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so that the force from the retaining wall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fixation support 30;
The ground fixing support 30 includes a concrete support block 33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embedded in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area, a front support pile 37 fixed to the front position of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and the front support pile The rear support member fixedly installed to the concrete support block 33 to support the front support pile 37 at the rear of (37),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and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are coup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is installed to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lower transverse band 32 made of a beam member extending to;
The lower horizontal band 32 is coupled to the front support pile 37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lab 300 to be cast on the ground, so that when the foundation slab 300 is poured, the lower end of the top raker S1 And the reinforcement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raker reinforc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has a configuration located above the foundation slab 300 without being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제8항에 있어서,
최상층 레이커(S1)를 설치한 후 중간층 레이커(S2)를 설치할 때, 중간층 레이커(S2)의 상단을 최상층 레이커(S1)의 상단과 동일한 수직 열에서 최상층 레이커(S1)의 상단 아래에 위치시키고,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은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과 동일한 수직 열에서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 아래에 위치시키며, 최상층 레이커(S1)의 하단과 중간층 레이커(S2)의 하단을 모두 통합결합부재(1)에 일체로 결합하여 최상층 레이커(S1)와 중간층 레이커(S2)가 동일한 수직 열에 배치되게 만들며;
통합결합부재(1)의 후방 단부는 지반고정 지지체(30)의 하단 횡띠장(32)에 결합되어 통합결합부재(1)가 기초슬래브(300)에 매설되지 않고 기초슬래브(300)의 위쪽에 위치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커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보강방법.
According to claim 8,
When installing the middle layer raker (S2) after installing the top layer raker (S1), place the top of the middle layer raker (S2) under the top of the top layer raker (S1) in the same vertical row as the top of the top layer raker (S1), The lower end of the middle raker (S2) is located under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in the same vertical row as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aker (S1)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raker (S2) are integrated. I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1 to make the top layer raker (S1) and the middle layer raker (S2) disposed in the same vertical row;
The rear end of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wale 32 of the ground fixing support 30 so that the integrated coupling member 1 is not buried in the foundation slab 300 but above the foundation slab 300 A method of reinforcing a retaining wall using a Raker reinforc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KR1020230015984A 2023-02-07 2023-02-07 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using Raker KR1025425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984A KR102542559B1 (en) 2023-02-07 2023-02-07 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using R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984A KR102542559B1 (en) 2023-02-07 2023-02-07 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using R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559B1 true KR102542559B1 (en) 2023-06-14

Family

ID=8674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984A KR102542559B1 (en) 2023-02-07 2023-02-07 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using R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5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5480A (en) * 2023-07-13 2023-08-11 中国建筑第六工程局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for supporting steel pipe of deep foundation pit penetrating through basement floor slab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241B1 (en) * 2006-09-07 2007-07-06 주식회사 백산종합개발 Gradual Bottom-up Slice and Gradual Infilling Method for Removing Underground Retaining Wall
KR102064982B1 (en) * 2019-03-29 2020-01-10 장영상 Retaining Wall using Raker combined with Horizontal Supporting Beam,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200029075A (en) * 2018-09-07 2020-03-18 주식회사 도건이엔텍 Pile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double I beam
KR102364430B1 (en) 2021-05-12 2022-02-16 이기환 Retaining wall having rak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241B1 (en) * 2006-09-07 2007-07-06 주식회사 백산종합개발 Gradual Bottom-up Slice and Gradual Infilling Method for Removing Underground Retaining Wall
KR20200029075A (en) * 2018-09-07 2020-03-18 주식회사 도건이엔텍 Pile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double I beam
KR102064982B1 (en) * 2019-03-29 2020-01-10 장영상 Retaining Wall using Raker combined with Horizontal Supporting Beam,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364430B1 (en) 2021-05-12 2022-02-16 이기환 Retaining wall having rak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5480A (en) * 2023-07-13 2023-08-11 中国建筑第六工程局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for supporting steel pipe of deep foundation pit penetrating through basement floor slab
CN116575480B (en) * 2023-07-13 2023-10-10 中国建筑第六工程局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for supporting steel pipe of deep foundation pit penetrating through basement floor slab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373B1 (en) Soil retaining method using two rows pile
JP4812324B2 (en)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234513B1 (en)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KR102542559B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using Raker
JP4333801B2 (en) Construction method of wall structure with permanent anchor construction, Wall structure with permanent anchor construction
KR100831332B1 (en) Underground retaining wall for public wor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18270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d structure using PHC pile
JP4568766B2 (en) Rock fall prevention fence
KR102362257B1 (en) Top-down construction method
KR20120109418A (en) Inclined earth retaining structure method
KR101198286B1 (en) Non-wale strut system for top-down construction and top-down construction method thereby
KR101529319B1 (en) Reinforcement of arch type structure with beveled/skewed ends
KR102542558B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using Raker
KR102649098B1 (en) Soil retaning structure for two rows pile using prestressed wale
JP4108690B2 (en) Rock fall prevention fence
JP2006207317A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JP2715867B2 (en) Simple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KR101218825B1 (en) Method of land-side protection wall using bracing
KR101787368B1 (en)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108456B2 (en) Civil engineering structure with planting pa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787591B1 (en) Steel frame retaining wall for curved line
JP3135495B2 (en) Construction method of avalanche and rock fall protection fence and avalanche and rock fall protection fence
KR102016974B1 (en) Retaining Wall using Continuous Precast Panel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JP7110015B2 (en) Road lining unit for width change
JP7284621B2 (en)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