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368B1 -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368B1
KR101787368B1 KR1020170024313A KR20170024313A KR101787368B1 KR 101787368 B1 KR101787368 B1 KR 101787368B1 KR 1020170024313 A KR1020170024313 A KR 1020170024313A KR 20170024313 A KR20170024313 A KR 20170024313A KR 101787368 B1 KR101787368 B1 KR 101787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retaining wall
installing
binding
p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우현
우상백
Original Assignee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3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옹벽을 시공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으로서, 옹벽을 시공할 지반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천공구를 형성하고, 말뚝을 삽입하는 1단계; 상기 말뚝들의 전면과 배면 일부를 굴착하여 굴착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말뚝들의 하부 상호간을 연결하는 결속빔을 설치하는 3단계; 상기 굴착부의 배면 지반까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설치하는 4단계; 지지망을 설치하는 5단계; 거름망을 포설하는 6단계; 상기 결속빔의 상측으로 상기 말뚝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속빔을 추가로 설치하는 7단계; 배수재를 채우는 8단계;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를 설치하는 9단계;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 배수관을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0단계;를 포함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옹벽을 시공함으로써, 옹벽 배면에 건물 등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공사를 할 수 있고, 절취면의 붕괴 방지를 위한 가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약되며,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xisting pile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in a top-down manner by using an established pile,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plurality of cloth too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ground to which a retaining wall is to be installed; A second step of excavating the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piles to form excavation portions;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binding beam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piles; A plurality of support bars inserted into a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unit; Step 5 to establish a support network; Step 6 to establish the filter network; A plurality of binding beams for connecting the piles to the upper side of the bundle beam; 8 steps to fill the drainage material; Nine steps to install nailing or earth anchor; And installing a drain pipe at a lower side of the excavating section and installing a foundation concrete.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xisting pile.
By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in a top-down manner by using the constructed pil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onstruction safely even when there is a building or the like on the back wall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rebuke for preventing collapse of the cut surface, Can be shortene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saved,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using a conventional pile,

본 발명은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utilizing an established pil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산악 지형이 많은 우리나라 특성상 도로나 철도, 산업단지나 택지 등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사면을 절취하고, 절취 사면의 하부에 옹벽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옹벽은 배면의 토압을 지지하면서 옹벽 전면의 공간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일종의 토류구조물로써 통상 기초판, 벽체 및 기둥부재로 제작된다.Due to the nature of our country, which has a lot of mountainous terrain, there are many cases where slopes are cut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roads, railways, industrial complexes and residential land, and a retaining wall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cut slopes. Such a retaining wall is a kind of soil structure which can safely use the spac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while supporting the earth pressure on the rear surface, and is usually made of a base plate, a wall and a pillar member.

이러한 옹벽은 일반으로 L형 옹벽, 역L형 옹벽, 역T형 옹벽 등과 같은 형태로 주로 시공되고, 현장에서 거푸집을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거나, 옹벽용 프리캐스트 부재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 운반한 후, 상기 부재를 조립, 설치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데, 어느 경우이건 옹벽을 설치하기 위하여 기초터파기를 하고, 기초터파기로 인하여 형성된 공간에 기초판 및 벽체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se retaining walls are generally constructed in the form of an L-shaped retaining wall, an inverted L-shaped retaining wall, an inverted T-shaped retaining wall, etc., and concrete is directly placed in a predetermined shape by using a form in the field, In the case of a construction in which the base plate and the wall are installed in a space formed by the foundation treader, It is common.

그러나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배면에 건물이나 송전탑 등 시설물이 있는 경우에는 배면토를 지나치게 절취할 경우, 배면 시설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가능한 한 수직하게 절취해야 하는데, 절취 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직 절취면 붕괴 방지용 가시설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절취면 붕괴 방지용 가시설의 설치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며, 절취면을 전부 굴착한 후에야 비로소 옹벽을 아래로부터 축조해가게 되므로 공사기간의 증가를 피할 수 없게 된다.However, if there is a building or a transmission tower on the back of the location where the retaining wall is to be installed, if the backing soil is excessively cut, the stability of the backing facility is lowered and it should be cut vertically as much as possib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install the cutting surface for preventing the cut surface from collapsing. In this case, the cost associated with the provision of the rebar for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cut surface is increased, and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only from the bottom until the cut surface is entirely excavated, so that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period can not be avoided.

또한, 절취 사면 전면에 설치되는 옹벽의 경우,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미관을 가진 옹벽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시공방법에서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옹벽의 벽체가 시공되기 때문에 미관을 갖춘 옹벽을 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taining wall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cut slope, a retaining wall having a beauty that can be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required. 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since the wall of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using the cast concret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또한, 콘크리트 옹벽의 경우 배면 지하수가 콘크리트 벽면을 통해 스며들게 되고, 더욱이 콘크리트 벽체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 지하수가 누출되고 벽면이 더럽혀져 미관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concrete retaining wall, the ground groundwater permeates through the concrete wall surface, and further, when cracks occur in the concrete wall, the groundwater leaks and the wall surface is dirty,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is poor.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관 말뚝이나 PHC 말뚝 등의 기성 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echniques for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tilizing a steel pile pile or a PHC pile or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2107호 "원형 PHC 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 및 그 시공공법"이 개시되어 있다.(도 11a 내지 도 11c 참조) 이 종래기술은 옹벽(1)의 설치위치를 따라 지중(100)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설치된 원형 PHC말뚝(2); 상기 PHC말뚝(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 형성되어 상기 PHC말뚝(2)을 감싸는 소정폭의 원형 띠형태 강재밴드(21); 상기 PHC말뚝(2)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일면이 상기 PHC말뚝(2)의 외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판상형 바형태의 플레이트(22); 상기 PHC말뚝(2)에 형성된 상기 강재밴드(21)와 상기 플레이트(22) 사이를 서로 연결고정하는 소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판상형태 스토퍼(3); 상기 각각의 인접한 PHC말뚝(2)의 상기 스토퍼(3) 사이로 끼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감벽체(4); 상기 마감벽체(4) 내면 중앙에 일체로 수직연장형성된 집수구(6); 상기 스토퍼(3)가 연결고정된 부위의 상기 플레이트(22)를 관통하여 상기 마감벽체(4)를 상기 플레이트(22)에 고정하는 고정볼트(5); 및 상기 PHC말뚝(2) 상부를 마감하는 캡콘크리트(7)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청구항 1 참조)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 PHC말뚝을 소정거리 이격하여 지중에 복수 매립하여 자립식 옹벽을 제공하고, 마감벽체로 PC패널을 이용하고 연결부를 모르타르로 마감처리 하여 옹벽의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하며, PHC말뚝들 사이에 적층 설치되는 마감벽체 PHC말뚝에 고정하는 스토퍼를 옹벽의 높이에 따라 시공현장에서 바로 설치하여 옹벽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옹벽의 적층된 마감벽체의 내측을 따라 수직으로 집수구를 형성하여 마감벽체 배면의 우수를 배제시켜 옹벽에 수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112107 discloses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collecting port using a circular PHC pil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ee Figs. 11A to 11C). A plurality of circular PHC piles 2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circular band-shaped steel bands 21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HC pile 2 so as to surround the PHC pile 2; A plate-shaped bar plate 22 spaced apart from the PHC pile 2 and having one surfac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HC pile 2; A plurality of plate-shaped stoppers (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teel band (21) formed on the PHC pile (2) and the plate (22); At least one closed wall body (4) sandwiched between said stoppers (3) of each adjacent PHC pile (2); A collecting hole 6 vertically extending integrally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d wall body 4; A fixing bolt 5 for fixing the closed wall body 4 to the plate 22 through the plate 22 at a portion where the stopper 3 is fixedly connected; And a cap concrete (7) for finis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HC pile (2). The retaining wall (1) includes a circular PHC pile. The circular PHC pile is separated from the circular PHC pi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retaining wall is embedded in the ground to provide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The PC panel is used as the finishing wall. The connecting part is finished with mortar to form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retaining wall. The finishing wall is laminated between PHC piles. The stopper is directly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to provide convenience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vertical wall is form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wall of the built up wall of the retaining wall to eliminate the excellentness of the back wall of the finished wall, So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a problem.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PHC말뚝(2)만으로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것이어서, PHC말뚝(2)의 시공개수가 과다하게 많아지고, 또한 옹벽의 높이 높아질수록 PHC말뚝(2)의 삽입깊이도 깊어져야 하므로, 공사비용과 공사기간이 증가하고, 일정한도 이상의 높이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supports the back soil pressure only by the PHC pile 2, so that the number of PHC piles 2 is increased excessively, and as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s increased,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PHC pile 2 is also increased ,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increase,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height over a certain degree.

또한, 말뚝과 말뚝 사이에 결합력을 부여할만한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고, 상부에 캡콘크리트를 타설하기는 하지만 말뚝 상부만을 구속할 뿐 말뚝 전체길이에 대한 구속효과는 현저히 떨어져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deteriorates due to the absence of a structure for imparting a bonding force between the pile and the pile. Although the cap concrete is laid on the upper part, the restraint effect on the entire length of the pile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unstable.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9931호 "강재띠 PHC 말뚝과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급속시공 옹벽,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도 12a 내지 도 12d 참조) 이 종래기술은 현장타설 PHC 말뚝(1)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되어 후방의 배면토사(400)를 지지하는 PC 패널(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PHC 말뚝(1)은, 중공(11)의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진 말뚝 본체(10)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말뚝 본체(10)에 일체 구비되는 강재띠(2)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웨브(34)와 플랜지(32)로 이루어져서 플랜지(32)가 전방을 향하도록 웨브(34)가 강재띠(2)에 결합 설치된 전방 강재빔(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말뚝 본체(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강재띠(2)에서 전방 강재빔(3)의 웨브(34)가 결합되는 위치에는 제1결합공(21)이 형성되어 있고; 강재띠(2)의 제1결합공(21)이 형성된 위치에서는 후방으로 말뚝 본체(10)를 관통하는 제1통공(101) 및 제2통공(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강재빔(3)에서, 강재띠(2)의 제1결합공(2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천공홀(31)이 플랜지(32)에 관통 형성되어 있고, 웨브(34)에 관통부(33)가 형성되어 있어서; PHC 말뚝(1)에서 후면에서 전면방향으로 제2결합공(22), 제2통공(102), 중공(11), 제1통공(101), 제1결합공(21), 관통부(33) 및 천공홀(31)로 이어지는 일직선의 관통되어 있는 수평구멍에 의해, PHC 말뚝(1)에는 전후방으로 관통하는 전후방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PHC 말뚝(1)은, 말뚝 본체(10)의 하단이 지반에 관입되어 직립한 상태로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PC 패널(4)은, 말뚝 본체(10)의 전면과 전방 강재빔(3)의 플랜지(32) 사이의 간격에 그 횡방향 가장자리가 끼워지도록 연직 삽입되어 설치되며; PHC 말뚝(1)의 후방에는 배면토사(400)에 후방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인장재(37)가 배치되어 있고, 인장재(37)의 전방 단부는 PHC 말뚝(1)의 전후방 관통공을 관통하여 PHC 말뚝(1)의 전면에 고정됨으로써, 인장재(37)에 의해서도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발휘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청구항 1 참조)에 관한 것으로서, 공장에서 생산되는 PHC 말뚝과 PC 패널을 이용하여 옹벽을 구축함으로써, 기초를 위한 터파기가 필요하지 않게 하여, 도심지 등에서 기존 구조물에 인접해서도 안전하게 옹벽을 시공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 내에 옹벽을 시공하여, 옹벽 시공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lso, Korean Patent No. 10-1599931 discloses " Rapid construction retaining wall using steel band PHC pile and precast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refer to FIGS. 12A to 12D) And a PC panel 4, which is made of a precast concrete member and supports the rear gypsum 400 at the rear side. The PHC pile 1 comprises a pile body 10 made of a concrete member of a hollow 11, a steel band 2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pile body 10 with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spaced apart members, A front steel beam 3 extending from the web 34 and flange 32 and having a web 34 coupled to the steel strip 2 with the flange 32 facing forward; A first engaging hole 21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web 34 of the front steel beam 3 is engaged with at least one steel strip 2 provided on the pile main body 10; A first through hole 101 and a second through hole 102 passing through the pile body 10 are formed rearwar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engaging hole 21 of the steel strip 2 is formed; In the front steel beam 3, a perforation hole 31 is formed through the flange 3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hole 21 of the steel strip 2, 33 are formed; The second through hole 102, the hollow 11, the first through hole 101, the first coupling hole 21, the penetrating portion 33, and the through hole 33 in the PHC pile 1 from the rear surface to the front direction. ) And a perforation hole (31), the PHC pile (1) is formed with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holes penetrat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PHC piles (1)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ransversely spaced lower ends of the pile body (10) in a state where they penetrate into the ground and stand upright; The PC panel 4 is vertically inserted and installed such that its lateral edge is sandwich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pile body 10 and the flange 32 of the front steel beam 3; A tensile material 37 having a rear end fixed to the backsided gravel 40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PHC pile 1. The front end of the tensile material 37 passes through the front and rear through holes of the PHC pile 1, A retaining wall (see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ile (1) so that a supporting force for supporting the back earth pressure is exhibited by the tensile material (37) By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by using the panel,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safely even in the vicinity of the existing structure in the city center by not needing the foundation for the foundation and by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within a short time, the efficienc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말뚝상호간을 연결하는 결합장치가 부재하여 말뚝이 개별적으로 거동하게 하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ile is structurally unstable because the pile is made to behave individually due to the absence of a coupling device connecting the piles.

또한, 기존의 PHC 말뚝에 강재빔을 결합한 형태이고, 말뚝삽입을 위한 천공홀 형성 시 기존의 PHC 말뚝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천공하여야 할 뿐 아니라, PC 패널(4)을 삽입하는 공간을 함께 천공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어렵고 공사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forming a perforation hole for pile insertion, it is required not only to drill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a conventional PHC pile, but also to insert a space for inserting the PC panel 4 into a hole There is a problem that construction is difficult and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또한, PHC 말뚝(1)의 제작시 튜브부재(28)가 설치된 강재띠(2)를 미리 매설하여야 하므로, 통상의 기성말뚝인 PHC 말뚝을 사용할 수 없고, 별도의 PHC 말뚝을 제작 준비하여야 하므로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PHC pile 1 is to be buried in advance with the steel strip 2 provided with the tube member 28, it is not possible to use a PHC pile, which is a conventional pi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ncreases.

또한, 협소한 제1통공(101) 및 제2통공(102)을 통해 인장재(37)를 시공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nsile material 37 must be applied through the narrow first through holes 101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10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is not easy.

또한, 배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지하수 등을 처리할 수 없어 토압이 증가하고, PC패널(4)의 이음부 또는 PC패널(4)과 전방 강재빔(3)의 연결지점을 통해 지하수가 누출되고 외관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round water or the like flowing out from the back surface can not be treated, the earth pressure increases and groundwater leaks through the joint of the PC panel 4 or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PC panel 4 and the front steel beam 3, There is a problem that it gets worse.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2107호Patent 1: Korean Patent No. 10-1112107 특허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9931호Patent 2: Korean Patent No. 10-1599931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옹벽을 시공함으로써, 옹벽 배면에 건물 등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공사를 할 수 있고, 절취면의 붕괴 방지를 위한 가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약되며, 시공성이 향상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in a top-down manner by using an established pile, even when there is a building or the like on the back wall of a retaining wall, work can be carried out safely,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the construction cost is saved, and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pile for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또한, 말뚝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결속빔을 설치함으로써, 말뚝 상호간의 강성이 증대되어 옹벽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lso,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ing a standing pile in which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between the piles by providing a coupling beam connecting the piles.

또한, 결속빔을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로 지반에 고정함으로써, 옹벽의 시공높이가 증대되고, 말뚝의 삽입깊이를 최소화 하며, 말뚝의 횡방향 설치 간격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by retaining the bundle beam on the ground with nailing or earth ancho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minimize the insertion depth of the pile, increase the lateral installation distance of the pile, And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또한, 배수재를 통해 옹벽 배면의 지하수를 효율적으로 배출함으로써, 배면토압의 증가가 방지되어 옹벽의 안정성이 증대되고, 지하수가 전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옹벽의 미관이 우수한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By efficiently discharging the groundwater at the back of the retaining wall through the drainage material, the back earth pressure is prevented from increasing and the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is increased. By completely blocking the leakage of the groundwater to the front, A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또한, 옹벽의 전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벽체의 강성이 증대되어 중차량 등의 충격하중에 대해 한정성이 확보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taining wall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using castable piles which are easy to construct and have increased rigidity of the wall by providing shotcrete on the whole of the retaining wall.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옹벽을 시공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옹벽을 시공할 지반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천공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천공구에 말뚝을 삽입하는 1단계; 상기 말뚝들의 전면과 배면 일부를 굴착하여 굴착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말뚝들의 하부 상호간을 연결하는 결속빔을 설치하는 3단계; 상기 결속빔을 관통하고 상기 굴착부의 배면 지반까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설치하는 4단계; 상기 지지바들의 상측에 지지망을 설치하는 5단계; 상기 지지망의 상측 또는/및 상기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에 거름망을 포설하는 6단계; 상기 결속빔의 상측으로 상기 말뚝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속빔을 추가로 설치하는 7단계; 상기 지지망의 상측에 배수재를 채우는 8단계; 상기 결속빔들 중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굴착부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를 설치하는 9단계;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 배수관을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0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xisting p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xisting pile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in a top-down manner using an existing pile, A step of forming a cloth tool of the plurality of cloth tools and inserting a pile into the plurality of cloth tools; A second step of excavating the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piles to form excavation portions;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binding beam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piles;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 bars through the binding beams and inserted into a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unit; Installing a support network above the support bars; 6) placing a sieve net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net and / o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part; A plurality of binding beams for connecting the piles to the upper side of the bundle beam; Fil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net with the drainage material; A ninth step of installing a nail ring or an earth anchor which penetrates a part of the binding beams and is coupled to a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part; And installing a drain pipe on the lower side of the excavating unit and installing the foundation concrete.

또한, 상기 7단계는 상기 결속빔의 전면 또는 배변에 방수시트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7 may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a waterproof sheet on the front surface or the bowel movement of the binding beam.

또한, 상기 9단계는, 상기 결속빔에 수직철근망 고정용 수직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가이드에 상기 수직철근망을 설치하고, 상기 결속빔과 수직철근망을 결속타이로 연결하고, 상기 결속빔에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10단계 후, 상기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이 매설되도록 상기 수직철근망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숏크리트 타설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9, a vertical guide for fixing a vertical reinforcing net is installed on the binding beam,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guide, the binding beam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are connected by a binding tie, And a step of placing the shotcrete in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so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after the step 10, where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shotcrete comprises placing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in the beams.

또한, 상기 숏크리트 타설단계 후, 상기 숏크리트의 전면에 수평으로 2열 이상의 수평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2열 이상의 수평가이드 사이에 마감벽체판넬을 설치하는 마감벽체판넬 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installing a closed wall panel by horizontally arranging two or more horizontal guide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hotcrete after the shotcrete pouring step and installing a closed wall panel between the two or more horizontal guides .

또한, 상기 9단계는, 상기 결속빔에 수직철근망 고정용 수직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가이드에 상기 수직철근망을 설치하고, 상기 결속빔과 수직철근망을 결속타이로 연결하고, 상기 결속빔에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9단계와 상기 10단계 사이에,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서 상기 말뚝의 전면부와 배면부 일부를 굴착하여 추가로 굴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3단계 내지 9단계를 추가로 시행하는 추가단계;를 한번 이상 시행하고, 상기 10단계 후, 상기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이 매설되도록 상기 수직철근망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숏크리트 타설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9, a vertical guide for fixing a vertical reinforcing net is installed on the binding beam,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guide, the binding beam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are connected by a binding tie, A step of drilling a front portion and a back portion of the pile at a lower side of the excavation portion between the step 9 and the step 10 to further form an excavation portion, A step of placing a shotcrete in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so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are buried after the step 10 is further carried out; have.

또한, 상기 숏크리트 타설단계 후, 상기 숏크리트의 전면에 수평으로 2열 이상의 수평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2열 이상의 수평가이드 사이에 마감벽체판넬을 설치하는 마감벽체판넬 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installing a closed wall panel by horizontally arranging two or more horizontal guide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hotcrete after the shotcrete pouring step and installing a closed wall panel between the two or more horizontal guides .

또한, 상기 말뚝들의 중공부는 시멘트페이스트, 몰탈, 또는 콘크리트로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hollow portion of the piles may be filled with cement paste, mortar, or concrete.

또한, 상기 결속빔은 상기 말뚝과 말뚝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말뚝의 일부를 감싸는 감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undling beam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pile and the pile, and a wrapp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surrounding a part of the pile.

또한, 상기 결속빔은 상기 감쌈부에서 상기 말뚝의 외측으로 절곡되고 볼트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공에는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결속빔은 상기 말뚝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the binding beam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bent to the outside of the pile and formed with a bolt hole in the wrapp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beam is coupled to the pile by fastening the bolt to the bolt hole.

또한, 상기 결속빔은 상기 연결부의 하측, 또는 상기 연결부와 감쌈부의 하측에 배면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결속빔 상호간의 지지력이 증가하고, 지하수의 전면 누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binding beam includes a bending portion bent down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wrapping portion,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between the binding beams is increased and the leakage of the groundwater is prevented .

또한, 상기 방수시트는 상하측의 결속빔을 번갈아 배면과 전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결속빔에 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waterproof sheet may be fixed to the binding beams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upper and lower binding beams on the back and front surfaces thereof.

또한, 상기 배수재는 쇄석, 잡석, 고운자갈, 모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age material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crushed stone, rubble, fine gravel, and sand.

또한, 상기 복수의 결속빔 중 일부의 연결부의 단면은 ㄷ자형, 또는 H자형이고, 상기 ㄷ자형, 또는 H자형의 양 플랜지는 상기 감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a cross-section of a part of the plurality of binding beams may be a U-shaped or H-shaped cross section, and both the U-shaped or H-shaped flanges may be coupled to the reinforcing portion.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은, 전술한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utilizing the pre-formed pil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by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above-described ready-made pile.

본 발명을 통해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옹벽을 시공함으로써, 옹벽 배면에 건물 등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공사를 할 수 있고, 절취면의 붕괴 방지를 위한 가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약되며,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By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in a top-down manner by using the constructed pil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onstruction safely even when there is a building or the like on the back wall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rebuke for preventing collapse of the cut surface, Can be shortene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saved,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말뚝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결속빔을 설치함으로써, 말뚝 상호간의 강성이 증대되어 옹벽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lso, by providing a coupling beam connecting the piles, the stiffness between the piles can be increased and the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increased.

또한, 결속빔을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로 지반에 고정함으로써, 옹벽의 시공높이가 증대되고, 말뚝의 삽입깊이를 최소화 하며, 말뚝의 횡방향 설치 간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by fixing the binding beams to the ground with nailing or earth ancho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s increased, the insertion depth of the pile is minimized, and the lateral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pile is increased.

또한, 배수재를 통해 옹벽 배면의 지하수를 효율적으로 배출함으로써, 배면토압의 증가가 방지되어 옹벽의 안정성이 증대되고, 지하수가 전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옹벽의 미관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efficiently discharging the groundwat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through the drainage material, the increase of the back earth pressure is prevented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leakage of the groundwater to the front is completely prevented. .

또한, 옹벽의 전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벽체의 강성이 증대되어 중차량 등의 충격하중에 대해 한정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shotcrete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the rigidity of the wall is increased, thereby ensuring confinement against impact loads such as heavy vehicles.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12는 종래기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S. 1 to 10 are diagrams showing steps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 conventional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diagrams showing a conventional techniqu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 coupled "or" connected ".

이하 도면 1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전면은 옹벽의 앞쪽 즉, 굴착한 후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공간으로 이용되는 쪽을 지칭하고, 배면은 전면의 반대쪽 즉, 굴착하지 않은 쪽을 지칭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stablished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Hereinafter, the front side refers to the front side of the retaining wall, that is, the side where the facility is installed or used as a space after the excavation, and the back side refer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side, that is, the side not to be excavated.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강관 말뚝이나 PHC 말뚝 등과 같은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자립식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옹벽을 구성하는 기초판이 없어 기초를 위한 터파기가 필요하지 아니하여 기존 구조물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옹벽의 시공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xisting p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self 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by using an existing pile such as a steel pipe pile or a PHC pile or the like and there is no base plate constituting a retaining wall, It can be very usefully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adjacent to an existing structure.

본 실시예는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공법으로 옹벽을 시공하는 것으로서, 옹벽을 시공할 지반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천공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천공구에 말뚝(10)을 삽입하는 1단계; 상기 말뚝(10)들의 전면과 배면 일부를 굴착하여 굴착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말뚝(10)들의 하부 상호간을 연결하는 결속빔(20)을 설치하는 3단계; 상기 결속빔(20)을 관통하고 상기 굴착부의 배면 지반까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바(30)를 설치하는 4단계; 상기 지지바(30)들의 상측에 지지망(32)을 설치하는 5단계; 상기 지지망(32)의 상측 또는/및 상기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에 거름망(34)을 포설하는 6단계; 상기 결속빔(20)의 상측으로 상기 말뚝(10)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속빔(20)을 추가로 설치하는 7단계; 상기 지지망(32)의 상측에 배수재(40)를 채우는 8단계; 상기 결속빔(20)들 중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굴착부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50)를 설치하는 9단계;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 배수관(62)을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60)를 타설하는 10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a top-down method using an established pile. A plurality of cloth tools are formed on a ground to be used as a retaining wall, and piles 10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cloth tools step; A second step of excavat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of the piles 10 to form an excavation part;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coupling beam 20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piles 10;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 bars (30) through the binding beams (20) and inserted into the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unit; Installing a support network (32) above the support bars (30); A step (6) of laying a screen (34)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network (32) and / o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part; A plurality of binding beams (20) connecting the piles (10) to the upper side of the binding beam (20); Filling the drainage material (40)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network (32); (C) installing a nailing or earth anchor (50) through a part of the binding beams (20) to be coupled to the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part; And installing a drain pipe (62) on the lower side of the excavating unit and installing the foundation concrete (60).

1단계는 옹벽을 시공할 지반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천공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천공구에 말뚝(10)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즉, 옹벽의 벽체가 세워지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구를 형성하고 말뚝(10)을 삽입하는 단계이다.Step 1 is a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cloth tool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ground where the retaining wall is to be installed, and inserting the piles 10 into the plurality of cloth tools. That is, the step of forming a cloth tool and inserting the pile 1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of the wall of the retaining wall.

상기 천공구는 말뚝(10)이 삽입되는 최소한의 직경으로 천공함으로써, 즉, 말뚝(10)의 직경과 잘 일치하게 천공함으로써 말뚝(10)이 천공구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또한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말뚝(10)간의 이격거리는 후술할 말뚝(10)이나 결속빔(20)의 강성,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50)의 성능, 지반의 종류, 옹벽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갖출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The pile tool 10 can be firmly fixed to the cloth tool by piercing the pile 10 with a minimum diameter to which the pile 10 is inserted, Can be reduce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iles 10 is determined by the stiffness of the pile 10 or the binding beam 20 to be described below, the performance of the nailing or earth anchor 50, the type of the ground,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determined so as to be provided.

본 실시예는 상기 천공구에 삽입되는 말뚝(10)을 강관 말뚝 또는 PHC 말뚝 등과 같은 기성말뚝을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말뚝을 제조하거나 준비함에 따르는 비용, 시간 등을 절약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ile 10 inserted in the cloth tool can be used as a steel pipe pile or a PHC pile or the like to save the cost, time, and the like of preparing or preparing a new pile.

강관 말뚝과 PHC 말뚝의 경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말뚝(10) 설치 후 중공부에 시멘트페이스트, 몰탈, 콘크리트 등을 채워 말뚝(10)의 내구성과 강성을 증대시키고, 결과적으로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말뚝(10)의 경우 H형강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Since the hollow portion of the steel pipe pile and the PHC pile are formed, the durability and rigidity of the pile 10 are increased by filling the hollow portion with the cement paste, mortar, and concrete after the pile 10 is installed. As a result, The stability can be increased. Further, in the case of the pile 10,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H-shaped steel.

2단계는 상기 천공구에 삽입한 상기 말뚝(10)들의 전면과 배면의 일부를 굴착하는 단계이다. 배면의 일부를 굴착하는 것은 후술하는 단계에서의 배수재(40)를 채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배면의 굴착은 배수재(40)를 잘 채워 배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지하수를 유도 배출할 수 있는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tep 2 is a step of excavat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iles 10 inserted into the cloth tool. Excavating a part of the back surface is to secure a space for filling the drainage material 40 in a step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excavation of the back surface should be such that the drainage material 40 is well filled and the groundwater flowing out from the backside can be induced and discharged.

2단계에서의 굴착은 옹벽 시공구간을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다단으로 분할한 후 상측에서부터 탑다운 방식으로 시공하기 위해 하는 첫 단계의 굴착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옹벽의 높이가 높지 아니하거나 배면 토질이 양호한 경우 등과 같이 분할하여 다단으로 할 필요가 없는 경우 한 번의 굴착으로 끝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2단계 굴착으로 굴착은 종료될 수 있다.The excavation in the second stage is the first stage excavation to divide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ection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n multiple stages and then to construct from the upper side to the top down method. However, if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s not high or if the backing soil is good,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excavation once it is not necessary to divide it into multiple stages. In this case, the excavation can be finished by the two-stage excavation.

이와 같이 옹벽을 다단으로 분할한 후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탑다운 공법을 시행하는 경우, 옹벽 배면의 수평변위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시공 안정성과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When the tower-down method is appli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fter dividing the retaining wall into the multi-stages,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back wall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remarkably reduced, thus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construction and convenience.

3단계는 상기 말뚝(10)들의 하부 상호간을 연결하는 결속빔(2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즉, 굴착부에 노출된 말뚝(10)의 하부 상호간을 연결하여 결속빔(20)을 설치한다. 이 결속빔(20)들은 말뚝(10) 상호간을 연결함으로써, 말뚝(10)간의 결속력을 높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배면토의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빔(20)들이 복수의 말뚝(10)들과 결합되어, 전체 말뚝(10)들이 하나의 구조체로 거동함으로써,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말뚝(10)과 함께 배면토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Step 3 is a step of installing a coupling beam 20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piles 10. [ That is, the binding beams 20 are installed by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piles 10 exposed in the excavation portion. The coupling beams 20 connect the piles 10 to each oth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iles 10, thereby secur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preventing collapse of the back soil. In other words, the binding beams 20 are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piles 10 so that the entire piles 10 behave as a single structure, so that a firm supporting force can be ensured and the piles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apse.

상기 결속빔(20)에는 후술하게 될 지지바(30)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홀과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50)를 설치할 수 있는 지반보강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beam 20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upport bar 30 can be inserted and a ground reinforcement hole through which a nail or earth anchor 50 can be installed.

4단계는 상기 결속빔(20)을 관통하고 상기 굴착부의 배면 지반까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바(3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지지바(30)는 후술하는 지지망(32), 거름망(34), 배수재(40) 등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Step 4 is a step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 bars 30 penetrating the binding beam 20 and inserted into the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unit. The supporting bar 3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 supporting net 32, a filtering net 34, a drainage material 40, et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지지바(30)는 결속빔(20)의 관통홀로 삽입한 후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원지반에 그 일부를 삽입한 후 결속빔(20)의 외측에서 너트로 체결하거나, 용접하는 등의 방법으로 결속빔(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지지바(30)는 배수재(40) 등의 상부하중을 원지반과 결속빔(20)을 통해 지지할 수 있게 한다. The supporting bar 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binding beam 20 and is then hammered with a hammer or the like to insert a part of the supporting bar 30 into the base paper and then fastened with a nut at the outside of the binding beam 20 or welded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beam (20). This supporting bar 30 enables the upper load of the water discharger 40 and the like to be supported through the ground plate and the binding beam 20.

즉, 지지바(30)는 탑다운 공법에서 굴착된 부분에 채워지는 후술할 배수재(40)를 지지함으로써, 다음 굴착 시 배수재(40)가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support bar 30 supports the drainage material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ch is filled in the excavated portion in the tower-down method, thereby preventing the drainage material 40 from flowing downward during the next excavation.

지지바(30)의 재질은 강재가 절절하나, 플라스틱, 목재 등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바(30)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어느 것도 가능하며, 속이 빈 것 또는 속이 찬 것 모두 가능하다. 통상 쉽게 구할 수 있는 원형, 또는 이형 철근을 사용할 수 있다. The material of the support bar 30 is made of steel,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plastic or wood. The shape of the support bar 30 may be either a rectangular shape or a circular shape, and may be hollow or hollow. A circular or deformed reinforcing bar, which is usually easily obtainable, can be used.

5단계는 상기 지지바(30)들의 상측에 지지망(32)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지지망(32)은 후술하는 단계의 배수재(40)를 지지하지 위한 것으로써, 지지바(30)의 간격과 배수재(4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지지망(32)의 눈의 크기는 통상 지지바(30)의 간격보다 크고 배수재(4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다만 지지망(32)의 상측에 후술하는 거름망(34)을 포설하는 경우, 반드시 배수재(40)보다 작을 필요는 없고, 클 수도 있다. Step 5 is a step of installing a supporting network 32 above the support bars 30. As shown in FIG. The supporting network 32 is provided not to support the drainage material 40 in a step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ing bars 30 and the size of the drainage material 40. [ In other words, the size of the eye of the supporting net 32 is generally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ing bars 30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ter discharger 40. However, in the case of placing a filtering net 34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net 32, it is not necessari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discharging net 40 and may be larger.

지지망(32)은 망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바(30)의 상측에서 후술하는 배수재(4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면 적절하다. 예컨대 철근망, 플라스틱망 등 그 재질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철근망의 경우에도 철사를 엮거나, 용접하거나, 꼬거나 하여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메탈라스(metal lath) 등도 가능하다.The support net 32 is formed in a net shape and is suitable for supporting the drainage material 4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support bar 30. For example, there are no particular restrictions on the materials such as a reinforcing net or a plastic net. Also, in the case of a reinforcing net, the wire can be manufactured by weaving, welding, or twisting the wire, or a metal lath.

6단계는 상기 지지망(32)의 상측 또는/및 상기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에 거름망(34)을 포설하는 단계이다. 즉, 거름망(34)은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에만 설치하거나, 지지망(32)의 상측에만 설치하거나, 또는 지지망(32)의 상측과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 모두에 설치할 수 있다. Step 6 is a step of laying a screen 34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net 32 and / o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part. That is, the screen 34 may be provided on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aperboard of the excavation unit,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network 32, or on both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network 32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paperboard of the excavation unit.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에 설치하는 거름망(34)은 원지반과 배수재(40)를 분리하는 토목섬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원지반에서 물만 통과하도록 하여 원지반과 배수재(40)를 분리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 sieve screen 34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cavation part performs the function of geosynthetics for separating the paper sheet and the drainage material 40. The water sieve 34 has the effect of separating the paper sheet and the drainage material 40 have.

또한, 지지망(32)의 상측에 설치되는 거름망(34)은 지지망(32)으로 지지할 수 없는 작은 직경의 배수재(40)를 잘 지지하고, 동시에 상측으로부터 내려온 토사 등을 걸러서 하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ieve 34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net 32 supports the small diameter of the drainage material 40 which can not b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net 32 and at the same time, .

거름망(34)은 그 상측에 포설되는 배수재(40)를 지지함으로써, 그 하측에 형성되는 굴착부로 배수재(4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탑다운 공법의 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By supporting the drainage material 40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34, the drainage material 4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to the excavation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thereof,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enabling the construction of the tower-down method .

상기 거름망(34)은 부직포, 직포 등 어느 것도 무방하고, 그 재질에도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거름망(34)의 경우 옹벽이 존치하는 동안 배면 토사와 배수재(40)를 분리하고, 배수재(40)를 상측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부식에 강한 재질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filtering net 34, the drainage material 40 is separated from the backing gypsum while the retaining wall is present, and the drainage material 40 is separated from the drainage material 4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is resistant to corrosion.

7단계는 3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결속빔(20)의 상측으로 상기 말뚝(10)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속빔(20)을 추가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즉, 3단계에서 설치된 결속빔(20)의 상측으로 결속빔(20)을 계획고까지 다단 설치하는 단계이다. Step 7 is a step of additionally providing a plurality of binding beams 20 connecting the piles 10 to the upper side of the bundling beam 20 installed in the third step. That is, in step 3, the bundle beam 20 is installed up to the upper side of the bundle beam 20 installed up to the planned height.

3단계와 7단계에서 설치된 결속빔(20)들이 말뚝(10) 상호간을 결합함으로써, 옹벽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들에서 시행되던 말뚝(10)상부의 캡콘크리트 등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말뚝(10)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더라도, 견고한 결속빔(20)에 의해 배면 토사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binding beams 20 installed in the third and seventh step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entire retaining wal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mit installation of the cap concrete on the pile 10, which is performed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even if the piles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collapse of the rear soil gravel can be prevented by the rigid binding beam 20, and stability can be ensured.

8단계는 상기 지지망(32)의 상측에 배수재(40)를 채우는 단계이다. 배수재(40)는 옹벽 배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지하수 등을 하측으로 유도 배출함으로써, 옹벽 전면으로 지하수의 유출을 방지하고, 지하수에 의한 토압의 증가를 방지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배수재(40)로는 쇄석, 잡석, 고운자갈, 모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수재(40)는 결속빔(20)과 원지반의 사이에 채워져 배면의 지반을 잘 지지하여 전면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tep 8 is a step of filling the drainage material 40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network 32. [ The drainage material 40 induces and discharges the underground water or the like flowing out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to the lower side,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the groundwater to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and preventing the increase of the earth pressure caused by the groundwater, thereby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As the drainage material 40 for this purpose, any one of crushed stone, rubble, fine gravel and sand may be used,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In addition, the drainage material 40 is filled between the bundling beam 20 and the paperboard, so that the ground on the backside is well supported and can be prevented from collapsing to the front side.

9단계는 상기 결속빔(20)들 중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굴착부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5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결속빔(20)에는 관통하는 지반보강홀이 형성되고 이 지반보강홀을 관통하여 상기 굴착부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50)를 설치할 수 있다. Step 9 is a step of installing a nailing or earth anchor 50 which penetrates a part of the binding beams 20 and is coupled to the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part. A nailing or earth anchor (50) may be provided to the coupling beam (20) through which a ground reinforcement hole is formed and which penetrates the ground reinforcement hole and is coupled to the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portion.

굴착부에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50)를 통하여 지반을 보강함으로써, 말뚝(10)간 횡방향 간격을 증대시킬 수 있어 말뚝(10) 수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공사비 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piles 10 can be increased by reinforcing the ground through the nailing or the earth anchor 50 to the excavation part, so that the number of the piles 10 can be reduced, have.

또한,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50) 공법은 횡방향 토압작용 방향에 대응하여 말뚝(10) 배면 원지반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옹벽의 횡방향 토압에 대한 지지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nailing or earth anchor (50) method can maximize the support effect on the transverse earth pressure of the retaining wall by providing the direc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pile 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transverse earth pressure.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50)가 설치되는 결속빔(20)은 결속빔(20)의 단면을 두껍게 하거나, 또는 단면 형상을 ㄷ자형, H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옹벽의 안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에 의해 말뚝(10)의 수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빔(20)에 형성되는 지반보강홀에는 지반보강 정착구를 형성하여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50)의 두부가 결속빔(20)과 일체화 될 수 있게 함으로써, 결속빔(20)과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binding beam 20 on which the nailing or earth anchor 50 is mounted may be made thicker in cross section or may have a U-shaped or H-shaped cross-sectional shape. In this case, not only the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further increased, but also the number of the piles 10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The ground reinforcing fixing port is formed in the ground reinforcement hole formed in the coupling beam 20 so that the head portion of the nail ring or the earth anchor 50 can be integrated with the coupling beam 20, Can be increased.

10단계는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 배수관(62)을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60)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즉, 굴착부의 하측에 기초콘크리트(60)를 타설하고, 이 기초콘크리트(60) 속에 배수관(62)을 설치함으로써, 옹벽 배면에서 유출되는 지하수를 배수재(40)를 통해 옹벽하부 측구로 유도 배수하여 옹벽 배면에 수압이 작용하지 않게 하고, 기초지반을 안정시킴으로써, 옹벽의 안정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In step 10, a drain pipe 62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excavation unit, and a foundation concrete 60 is installed. That is, by installing the foundation concrete 60 under the excavating portion and installing the drain pipe 62 in the foundation concrete 60, the groundwater flowing out from the back wall of the retaining wall is guided and drained through the drainage material 4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by preventing hydraulic pressure from acting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nd stabilizing the foundation ground.

또한, 상기 7단계는 결속빔(20)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방수시트(36)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방수시트(36)는 결속빔(20)의 전면인 외부에 설치하거나, 결속빔(20)의 배면인 내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배면과 전면을 번갈아 가면서 엇갈리게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7 may include the step of installing the waterproof sheet 36 on the front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binding beam 20. That is, the waterproof sheet 36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inding beam 20, the in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binding beam 20, or may be staggered while alternating between the back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엇갈리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결속빔(20) 하나마다 엇갈리게 하거나, 둘마다 엇갈리게 하거나, 가장 아래쪽과 가장 위쪽은 전면에 설치하고 그 외는 배면에 설치하는 등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 방수시트(36)를 엇갈리게 설치하는 것은 방수시트(36)가 결속빔(20)에 끼워져 설치됨으로서, 특별히 방수시트(36)를 고정하지 아니하더라도 잘 고정될 수 있게 한다. In the case of staggered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stagger the bundling beams 20 one by one, to stagger the bundling beams 20 one by one, or to install the bundling beams 20 at the lower and upper sides on the front side and others on the back side. The stiffening of the waterproof sheet 36 allows the waterproof sheet 36 to be fixed even if the waterproof sheet 36 is not fixed.

방수시트(36)는 배수재(40) 내부에 침투된 물이 결속빔(20)의 전면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7단계에서의 방수시트(36)의 설치는 7단계에서 설치되는 결속빔(20)만이 아닌 상기3단계에서 설치된 결속빔(20)에도 동일하게 설치한다. 또한 방수시트(36)는 탑다운 방식에서 하측에 설치되는 방수시트(36)와 연속되게 설치하거나, 또는 각 단계별로 별도로 설치한 후 서로 접착할 수 있다.The waterproof sheet 36 may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water infil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drainage material 40 from leaking to the front portion of the binding beam 20. [ The waterproof sheet 36 in step 7 is installed not only in the bundle beam 20 installed in step 7 but also in the bundle beam 20 installed in step 3 above. Further, the waterproof sheet 36 may be installed continuously with the waterproof sheet 36 installed on the lower side in a top-down manner, or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or each step and then adher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9단계는 상기 결속빔(20)에 수직철근망(72) 고정용 수직가이드(70)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가이드(70)에 상기 수직철근망(72)을 설치하고, 상기 결속빔(20)과 수직철근망(72)을 결속타이(74)로 연결하며, 상기 결속빔(20)에 수평철근(76)과 수직철근(78)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9, the vertical guide 70 for fixing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72 is installed on the binding beam 20,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72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guide 70, Connecting the beams 20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72 with binding ties 74 and installing horizontal reinforcing bars 76 and vertical reinforcing bars 78 on the binding beams 20. [

수직철근망(72) 고정용 수직가이드(70)는 상기 결속빔(20)의 감쌈부(24) 전면 방향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철근망(72)은 후술하게 될 숏크리트(80)를 타설하기 위한 것이다. 수직철근망(72)은 상기 결속빔(20)에 결합되는 결속타이(74)와 연결함으로써 흔들림이 방지되고, 동시에 타설된 숏크리트(80)가 움직임 없이 잘 경화되어 결과적으로 숏크리트(80)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The vertical guide 70 for fixing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72 may be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and 24 of the binding beam 20.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72 is for installing a shotcrete 80 to be described later.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72 is prevented from shaking by being connected to the binding tie 74 coupled to the binding beam 20 and the shotcrete 80 placed at the same time is hardened without movement and consequently the rigidity of the shotcrete 80 Can be increased.

수직철근망(72)은 후술하게 되는 수평철근(76)과 수직철근(78)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써, 타설되는 숏크리트(80)의 후방 한계선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수직철근망(72) 눈의 크기는 숏크리트(80)가 원활하게 타설될 수 있도록 숏크리트의 입자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성을 갖추어 숏크리트(80) 타설 후 숏크리트(80)의 내구성 증진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The vertical reinforcing net 72 is formed behind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76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78 and can be seen as a rear limit line of the shotcrete 80 to be laid. The size of the eye of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72 is preferably such that the shotcrete particle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so that the shotcrete 80 can be smoothly pushed in. The rigidity of the shotcrete 80 enhances the durability of the shotcrete 80 after the shotcrete 80 is laid .

상기 10단계 후에는, 상기 수평철근(76)과 수직철근(78)이 매설되는 정도로 상기 수직철근망(72)에 숏크리트(80)를 타설하는 숏크리트(80) 타설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fter step 10, the method may include a step of placing a shotcrete 80 into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72 so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76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78 are embedded.

수평철근(76)은 상기 결속빔(20)의 양측 체결부에 용접 결합되거나, 또는 체결부에 형성되는 철근홀에 삽입되어 배근될 수 있다. 또한, 수직철근(78)은 상기 수평철근(76)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용접 결합하거나. 결속선으로 묶어서 배근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76 may be welded to the fastening portions of the binding beams 20 or may be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holes formed in the fastening portions. Further,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78 are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76 and welded together. It can be put together by binding line.

상기 수평철근(76)과 수직철근(78)은 숏크리트(80) 타설 시 숏크리트(80)의 내부에 매설되게 함으로써, 숏크리트(80)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 숏크리트(80)의 전면은 후술할 수평가이드(82) 설치를 위한 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rigidity of the shotcrete 80 can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76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78 to be embedded in the shotcrete 80 when the shotcrete 80 is laid. The front surface of the shotcrete 80 can be used as a surface for installing a horizontal guide 82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숏크리트(80) 타설단계 후, 숏크리트(80)의 전면에 수평으로 2열 이상의 수평가이드(82)를 설치하고, 상기 2열 이상의 수평가이드(82) 사이에 마감벽체판넬(90)을 설치하는 마감벽체판넬(90)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casting of the shotcrete 80, two or more horizontal guides 82 are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hotcrete 80 and a closed wall panel 90 is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guides 82 of the two or more columns. And installing a finishing wall panel 90 to be installed.

수평가이드(82)는 마감벽체판넬(9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결속빔(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사각프레임(84), 상기 사각프레임(84)의 절개부에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볼트 및 너트, 상기 볼트 및 너트에 결합되는 ㄴ자브라켓(86), 상기 ㄴ자브라켓(86)의 수평플랜지에 설치된 고정핀(88)을 포함하고, 상기 마감벽체판넬(90)은 상기 고정핀(88)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horizontal guide 82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frame 84 for mounting the closed wall panel 90 and coupled to the binding beam 20 and having a cut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 bolt and a nut that are inserted into the incision and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racket 86 coupled to the bolt and the nut, and a fixing pin 88 installed on a horizontal flange of the bracket 86, The panel 90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88.

또한, 마감벽체판넬(90)은 PC판넬 등 다양한 것이 가능하, PC판넬의 경우 다양한 문양과 색으로 제조된 기성제품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옹벽의 상부는 원지반 면과 마감벽체 사이를 수평으로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평가이드(82)와 상기 수평가이드(82)에 결합되는 상기 마감벽체판넬(90)을 통하여 옹벽의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nished wall panel 90 can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 PC panel, and in the case of a PC panel, a finished product manufactured in various patterns and colors can be utiliz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is horizontally closed between the side surface and the closed wall. Therefore,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formed through the finishing wall panel 90 coupled to the horizontal guide 82 and the horizontal guide 82.

상기 결속빔(20)은 상기 말뚝(10)과 말뚝(10)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말뚝(10)의 일부를 감싸는 감쌈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쌈부(24)가 이격 설치되는 말뚝(10)의 일부를 감싼 후 인접한 감쌈부(24)와 결합됨으로써, 결속빔(20)은 말뚝(10)에 결합되게 된다.The bundling beam 2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22 provided between the pile 10 and the pile 10 and a reinforcing portion 24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22 and surrounding a part of the pile 10. [ ). The bundled bundle 20 is coupled to the pile 10 by wrapping a portion of the pile 10 spaced apart from the wrapping portion 24 and then engaging the adjacent wrapping portion 24.

전술한 바와 같이 결속빔(20)의 단면을 ㄷ자형, 또는 H자형으로 하는 경우, 전체를 ㄷ자형, 또는 H자형으로 할 수도 있으나, 결속빔(20)의 연결부(22)의 단면만을 ㄷ자형, 또는 H자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ㄷ자형, 또는 H자형의 양 플랜지는 상기 감쌈부(24)에 결합됨으로써, 결속빔(20)의 강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결속빔(20)에 결합되는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50)의 지지력이 증가하고, 또한 옹벽 자체의 강성도 증가될 수 있다.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bundling beam 20 is a U-shape or an H-shape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beam may be U-shaped or H-shaped. However, only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2 of the bundling beam 20 may be U- , Or H-shaped. In this case, both the U-shaped or H-shaped flanges are coupled to the wrapping portion 24, so that the rigidity of the binding beam 20 can be remarkably increased. Therefore, the holding force of the nailing or earth anchor 50 coupled to the coupling beam 20 can be increased, and the rigidity of the retaining wall itself can also be increased.

또한, 결속빔(20)은 상기 감쌈부(24)에서 상기 말뚝(10)의 외측으로 절곡되고 볼트공이 형성된 체결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6)는 볼트공을 통해 인접한 체결부(26)와 볼트 체결됨으로써 상기 결속빔(20)은 말뚝(10)에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bundle beam 20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26 bent outwardly from the pile 10 and formed with a bolt hole in the inserting portion 24. The fastening part 26 is bolted to the adjacent fastening part 26 through the bolt hole so that the fastening beam 20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combined with the pile 10. [

또한, 결속빔(20)은 상기 연결부(22)의 하측, 또는 상기 연결부(22)와 감쌈부(24)의 하측에 배면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절곡부(28)는 연결부(22)의 하측에만 설치되거나, 또는 연결부(22)와 감쌈부(24)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The bundling beam 20 may include a bent portion 28 bent down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22 or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2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wrapping portion 24 have. That is, the bent portion 28 may be provided only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22, or on both the connection portion 22 and the wrap portion 24.

이 절곡부(28)는 그 하측에 설치되는 결속빔(20)의 상측에 설치됨으로써, 결속빔(20) 상호간의 상하전후의 지지력이 증가하고, 지하수가 전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부(28)가 형성된 결속빔(20)을 사용하는 경우 방수시트(36)가 불필요할 수 있고, 방수시트(36)를 사용하는 경우 더욱 완벽하게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The bent portion 28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inding beam 20 provided below the binding beam 28,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binding beams 20 in the up-and-down direction increases and the leakage of the groundwater to the front side can be prevented. When the binding beam 20 having the bent portion 28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waterproof sheet 36 can be unnecessary, and when the waterproof sheet 36 is used, leakage can be more completely prevented.

또한, 상기 9단계와 상기 10단계 사이에,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서 상기 말뚝(10)의 전면부와 배면부 일부를 굴착하여 추가로 굴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3단계 내지 9단계를 추가로 시행하는 추가단계를 한번 이상 더 시행하고, 상기 10단계 후 상기 수평철근(76)과 수직철근(78)이 매설되도록 상기 수직철근망(72)에 숏크리트(80)를 타설하는 숏크리트(80) 타설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between the steps 9 and 10, a front part and a back part of the pile 10 are excavated from below the excavation part to further form an excavation part, and the steps 3 to 9 are additionally performed And a step of placing a shotcrete (80) into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72) so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76)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78) are embedded after the step (10) can do.

즉, 탑다운 방식인 본 실시예는 통상 여러 구간으로 분할한 후 상측에서 하측으로 단계적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옹벽을 여러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탑다운 공법으로 시공함으로써, 옹벽 배면에 건물 등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공사를 할 수 있고, 절취면 붕괴 방지를 위한 가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약되며,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is a top-down type, is generally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and then stepwise from top to bottom. In this way, by dividing the retaining wall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applying the top down metho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securely construct the building even if there is a building on the back side of the retaining wall,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saved,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은, 전술한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utilizing the preformed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by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metho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nstituted or operated selectively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말뚝
20: 결속빔
22: 연결부
24: 감쌈부
26: 체결부
28: 절곡부
30: 지지바
32: 지지망
34: 거름망
36: 방수시트
40: 배수재
50: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
60: 기초콘크리트
62: 배수관
70: 수직가이드
72: 수직철근망
74: 결속타이
76: 수평철근
78: 수직철근
80: 숏크리트
82: 수평가이드
84: 사각프레임
86: ㄴ자브라켓
88: 고정핀
90: 마감벽체판넬
10: Stake
20: Coupling beam
22: Connection
24:
26:
28:
30: Support bar
32: Support network
34: Filter
36: Waterproof sheet
40: Drainage
50: Nailing or earth anchor
60: foundation concrete
62: Water pipe
70: Vertical guide
72: vertical reinforcing net
74: Tied Ties
76: horizontal reinforcement
78: vertical reinforcement
80: Shotcrete
82: Horizontal guide
84: Square frame
86: Bracket bracket
88: Fixing pin
90: Finish wall panel

Claims (15)

기성말뚝을 활용하여 탑다운 방식으로 옹벽을 시공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옹벽을 시공할 지반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천공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천공구에 말뚝을 삽입하는 1단계;
상기 말뚝들의 전면과 배면 일부를 굴착하여 굴착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말뚝들의 하부 상호간을 연결하는 결속빔을 설치하는 3단계;
상기 결속빔을 관통하고 상기 굴착부의 배면 지반까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설치하는 4단계;
상기 지지바들의 상측에 지지망을 설치하는 5단계;
상기 지지망의 상측 또는/및 상기 굴착부의 원지반의 전면에 거름망을 포설하는 6단계;
상기 결속빔의 상측으로 상기 말뚝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결속빔을 추가로 설치하는 7단계;
상기 지지망의 상측에 배수재를 채우는 8단계;
상기 결속빔들 중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굴착부 배면 지반에 결합되는 네일링 또는 어스앵커를 설치하는 9단계;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 배수관을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0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말뚝들의 중공부는 시멘트페이스트, 몰탈, 또는 콘크리트로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xisting pile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in a top-down manner using an existing pile,
A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cloth tool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ground to which the retaining wall is to be installed, and inserting piles into the plurality of cloth tools;
A second step of excavating the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piles to form excavation portions;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binding beam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piles;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 bars through the binding beams and inserted into a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unit;
Installing a support network above the support bars;
6) placing a sieve net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net and / o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ground of the excavation part;
A plurality of binding beams for connecting the piles to the upper side of the bundle beam;
Fil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net with the drainage material;
A ninth step of installing a nail ring or an earth anchor which penetrates a part of the binding beams and is coupled to a back ground of the excavation part;
And installing a drain pipe on the lower side of the excavating unit and installing a foundation concrete,
Wherein the hollow portion of the piles is filled with cement paste, mortar, or concr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7단계는 상기 결속빔의 전면 또는 배변에 방수시트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c) includes a step of installing a waterproof sheet on the front surface or the defecation of the binding beam.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9단계는,
상기 결속빔에 수직철근망 고정용 수직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가이드에 상기 수직철근망을 설치하고, 상기 결속빔과 수직철근망을 결속타이로 연결하고, 상기 결속빔에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10단계 후,
상기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이 매설되도록 상기 수직철근망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숏크리트 타설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step 9,
A vertical reinforcing net is fixed to the vertical beam, a vertical reinforcing net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guide, a vertical reinforcing ne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by a binding tie, And a step of installing,
After step 10,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placing a shotcrete in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so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the reinforcing ne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숏크리트 타설단계 후,
상기 숏크리트의 전면에 수평으로 2열 이상의 수평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2열 이상의 수평가이드 사이에 마감벽체판넬을 설치하는 마감벽체판넬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fter the shotcrete pouring step,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installing two or more horizontal guides horizontal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hotcrete and installing a finished wall panel between the two or more horizontal guides. Construction method.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9단계는,
상기 결속빔에 수직철근망 고정용 수직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가이드에 상기 수직철근망을 설치하고, 상기 결속빔과 수직철근망을 결속타이로 연결하고, 상기 결속빔에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9단계와 상기 10단계 사이에,
상기 굴착부의 하측에서 상기 말뚝의 전면부와 배면부 일부를 굴착하여 추가로 굴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3단계 내지 9단계를 추가로 시행하는 추가단계;를 한번 이상 시행하고,
상기 10단계 후,
상기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이 매설되도록 상기 수직철근망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숏크리트 타설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step 9,
A vertical reinforcing net is fixed to the vertical beam, a vertical reinforcing net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guide, a vertical reinforcing ne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by a binding tie, And a step of installing,
Between step 9 and step 10,
A step of excavating a front part and a back part of the pile at a lower side of the excavating part to further form an excavating part and further performing the steps 3 to 9;
After step 10,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placing a shotcrete in the vertical reinforcing net so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the reinforcing ne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숏크리트 타설단계 후,
상기 숏크리트의 전면에 수평으로 2열 이상의 수평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2열 이상의 수평가이드 사이에 마감벽체판넬을 설치하는 마감벽체판넬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5,
After the shotcrete pouring step,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installing two or more horizontal guides horizontal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hotcrete and installing a finished wall panel between the two or more horizontal guides. Construction method.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결속빔은 상기 말뚝과 말뚝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말뚝의 일부를 감싸는 감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inding beam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pile and the pile, and a wrapp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surrounding a part of the pil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속빔은 상기 감쌈부에서 상기 말뚝의 외측으로 절곡되고 볼트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공에는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결속빔은 상기 말뚝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inding beam is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pile and has a bolt hole formed therein, and the binding beam is coupled to the pile by fastening bolts to the bolt hole. Construction metho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속빔은 상기 연결부의 하측, 또는 상기 연결부와 감쌈부의 하측에 배면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결속빔 상호간의 지지력이 증가하고, 지하수의 전면 누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binding beams include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r a bent portion bent back to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wrapping portion,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between the binding beams increases and the leakage of the groundwater is prevent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n existing pi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는 상하측의 결속빔을 번갈아 배면과 전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결속빔에 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aterproof sheet is fixed to the binding beams by being alternate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binding beams.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배수재는 쇄석, 잡석, 고운자갈, 모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rainage material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crushed stone, rubble, fine gravel, and san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속빔 중 일부의 연결부의 단면은 ㄷ자형, 또는 H자형이고, 상기 ㄷ자형, 또는 H자형의 양 플랜지는 상기 감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connecting portion of a part of the plurality of binding beams has a U-shaped or H-shaped cross section, and both the U-shaped or H-shaped flanges are coupled to the reinforcing portion.
청구항 3의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A retaining wall utilizing a built-in pile constructed by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formed pile of claim 3.
청구항 5의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A retaining wall utilizing a built-in pile constructed by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pile of claim 5.
KR1020170024313A 2017-02-23 2017-02-23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87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313A KR101787368B1 (en) 2017-02-23 2017-02-23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313A KR101787368B1 (en) 2017-02-23 2017-02-23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368B1 true KR101787368B1 (en) 2017-10-18

Family

ID=6029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313A KR101787368B1 (en) 2017-02-23 2017-02-23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36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5817A (en) * 2022-05-08 2022-08-05 吉力此且 Be used for native system and device of strutting of deep foundation ditch inter-pile of swelling soi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139B1 (en) * 2015-10-27 2017-01-09 하영판 Construction method using soil retaining wa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139B1 (en) * 2015-10-27 2017-01-09 하영판 Construction method using soil retaining wa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5817A (en) * 2022-05-08 2022-08-05 吉力此且 Be used for native system and device of strutting of deep foundation ditch inter-pile of swelling soi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795B1 (en) Furlable earth retaining structure for provisional faciliti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866162B1 (en) Chair-type self-supported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KR101274974B1 (en)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90032B1 (en) Column wall using pile a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101244257B1 (en) Method for digging tunnel
KR100831332B1 (en) Underground retaining wall for public wor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200124949A (en) Anchor Tension way sheathing structure and sheathing method of construction
KR100726984B1 (en) Temporary system for land-side protection wall
KR10118270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d structure using PHC pile
KR100562158B1 (en) Steel pipe roof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 roof structure therefor, and structure of steel pipe therefor
KR101787366B1 (en)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86275B1 (en) Reformed sheet plate and the method of installation of the same
KR101061516B1 (en) Temporary wall structure using arched steel pile
JP2008101467A (en) Rockfall preventive fence
KR101787368B1 (en)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20109418A (en) Inclined earth retaining structure method
KR102490872B1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ensile force of steel rod piles
KR200370107Y1 (en) Forms for edge girder construction
KR102617795B1 (en)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599931B1 (en)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anels and PHC Piles having Steel Bands,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Retaining Wall
KR102476068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multidirectional anchor fix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768473B1 (en)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vailable of guided drainage and straight moving
KR101881577B1 (en) Retaining Wall Using Pile With Center Ho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40031451A (en) Prestressed scaffolding method
KR101787365B1 (en)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