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416B1 - 검수가 용이한 판금 도장방법 - Google Patents

검수가 용이한 판금 도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416B1
KR102542416B1 KR1020220175575A KR20220175575A KR102542416B1 KR 102542416 B1 KR102542416 B1 KR 102542416B1 KR 1020220175575 A KR1020220175575 A KR 1020220175575A KR 20220175575 A KR20220175575 A KR 20220175575A KR 102542416 B1 KR102542416 B1 KR 10254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painting
sheet metal
hexadec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도선
Original Assignee
박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도선 filed Critical 박도선
Priority to KR102022017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05Repairing damage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18Pretreatment, e.g. heating th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수가 용이한 판금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장실에 판금 부품이 배치되는 배치 단계, 도료가 판금 부품에 분사되어 도장되는 도장 단계, 상기 도장실에 구비되는 가열장치가 도장 부위를 가열하는 가열 단계 및 상기 도장 부위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후처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장 단계에서 도장 상태가 육안으로 검수될 수 있도록 상기 도장실의 내측벽면에는 조명기구가 구비된다.

Description

검수가 용이한 판금 도장방법{METHOD FOR COATING SHEET METAL WITH IMPROVED HARDENABILITY}
본 발명은 검수가 용이한 판금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행하다 보면 접촉사고나 충돌 등으로 인하여 출고당시 차체의 외관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차량의 접촉사고나 충돌로 인하여 그 외관에 흠집이 생기거나 하는 경우에는 정비소에서 도장장비를 사용하여 판금도장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판금도장을 비롯한 도장작업은 대부분이 컴프레서에 연결된 스프레이건을 활용하고 있으며, 온도 및 습도가 도장의 색상 및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보고가 있다.
이에, 판금도장을 비롯한 도장작업은 차량의 외관 향상 및 그 유지를 위해 높은 수준이 요구되는 작업이라 할수 있으며, 특히 차체를 출고 상태로 회복시키거나 도막의 광택이나 색채를 유지하여 미관을 보유토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상기 차량의 판금도장은 차량의 접촉사고나 충돌시 그 훼손 부분에 대한 수리를 위해 실시하는 작업으로서, 출고된 차량의 본래 상태로 판금 가공하고 차량의 본래 색상에 따라 최대한으로 조색(調色)을 맞추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 판금도장에 있어 차체를 원래 상태로 회복시키는 판금은 정밀한 작업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도장은 유기용제가 사용되는 유용성 도료가 많이 사용되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유기화합물에 대한 규제가 전세계적으로 강화되는 추세에 있어 유기용제 대신 물을 사용하는 수용성 도료의 사용이 점차 확대되는 실정에 있고, 작업자의 안정과 건강은 물론 환경보호를 위해 친환경 수용성 도료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물을 용제로 사용하는 수용성 도료는 그 특성상 유용성 도료에 비해 사용조건 및 도장 환경에 따라 색상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어 차량의 도장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4756호(2020.06.19.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판금도장 이후 후처리시 판금도장의 검수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하는 검수가 용이한 판금 도장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장실에 판금 부품이 배치되는 배치 단계, 도료가 판금 부품에 분사되어 도장되는 도장 단계, 상기 도장실에 구비되는 가열장치가 도장 부위를 가열하는 가열 단계 및 상기 도장 부위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후처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장 단계에서 도장 상태가 육안으로 검수될 수 있도록 상기 도장실의 내측벽면에는 조명기구가 구비된다.
상기 조명기구는 복수의 광원 그룹으로 구성된 조명모듈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내측벽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구비될 수 있다.
각 그룹을 구성하는 광원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내측벽면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법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육안으로 판금부품의 도장 검사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수가 용이한 판금 도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적재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성이 개선된 판금 도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수가 용이한 판금 도장방법은 배치단계(S110), 도장단계(S120), 가열단계(S130) 및 후처리 단계(S140)를 포함한다.
먼저, 배치단계(S110)는 도장실 내부로 판금 부품이 배치된다. 이때, 판금 부품은 자동차 및 트럭의 차체 비행기 동체와 날개, 의료 체이블, 건물 지붕 및 기타 용도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알루미늄, 황동, 구리, 강철, 주석, 니켈 및 티타늄등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판금부품은 사용되는 위치 및 현장에 따라 제작되는 두께는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판금 부품은 자동차 및 트럭의 차체에 설치되는 부품을 의미하며, 자동차 및 트럭의 차체 위치에 따라 서로다른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치단계(S110)는 적출된 판금 부품(3)이나 부품사로부터 구매한 판금 부품(3) 중에서 도장이 안된 부품을 부품 적재대(1)에 올린 상태에서 도장실(2)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부품 적재대(1)를 이용하여 판금 부품(3)을 도장실(2)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장실(2)에는 복수의 가열장치(21)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가열장치(21)는 소정의 간격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며, 2개 이상의 내측벽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이때, 가열장치(21)는 후술할 도장단계(S120)에서 도장을 빠르게 진행시키기 위해 도장실(2)의 내부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가열장치(21)는 도장실(2)의 각각의 벽면에 다수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장실(2)의 내부 온도에 따라 동작시키는 가열장치(21)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장단계(S120)는 도료를 판금 부품(3에 분사한다. 이때, 도료는 복수의 색을 가질 수 있으며, 수용성 도료 또는 유용성 도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료는 자동차의 표면에 도장하여 판금 부품(3)이 녹이나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제작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도장단계(S120)는 전처리, 전착, 실러, 언더코팅, 중도, 상도 및 마무리 공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이용하여 판금 부품(3)에 도료를 도장할 수 있다. 이때, 전처리 공정은 판금 부품(3의 방청을 위해 진행하는 공정이며, 전착공정은 차체의 부식을 방지하는 공정이다. 이때, 전착공정은 판금 부품(3)을 전착도료가 담긴 탱크에 담가 판금 부품(3)의 내부와 외부를 균일하게 도장하는 것으로 판금 부품(3)의 방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착공정에 사용되는 도료는 착색용으로 산화티탄, 카본블랙, 산화절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체질안료에는 크레이 바리다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도 공정은 솔리드계, 메탈릭계 또는 마이카 도료를 이용하여 도장을 진행한다. 여기서, 솔리드계 도료는 알루미늄 분을 포함하지 않고 착색안료로만 구성되어 있어 색상이 도막 표면의 반사광만 발하게 되며, 일반적인 적색, 청색등 착색안료가 나타내는 원색이 그대로 표현하는 도료이고, 메탈릭계 도료는 반투명 에나멜에 알루미늄 분을 혼합한 것으로 도막중에 있는 알루미늄 붐의 부상 또는 진열방향에 의해 에나멜 층을 통과하여 금속의 독특한 빛을 나타내는 도료이고 마이카 도료는 메탈릭 도료의 알루미늄 분 대신에 티타니아즈드 마이카 안료가 함유된 것으로 펄 입자의 특징을 가져 사용자가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경되는 도료를 의미한다. 즉, 도장단계(S120)는 판금부품(3)에 색상을 입히기 위해 사용한다.
다음으로, 가열단계(S130)는 도장단계(S120)에서 도장시 도료가 판금 부품(3)의 표면에 도포된 상태에서 도포된 도료를 건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도료에 따라 온도를 달리하여 도장실(2) 내부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때, 가열단계(S130)는 도장실(2)의 내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가열장치(21)를 이용하여 도장실(2)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증가시킨다. 이때, 가열장치(21)는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도장실(2)의 내측벽면에 소정의 간격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내측벽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내측벽면 중 상부에 구비된 가열장치(21)는 열 발산부위가 하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며, 내측벽면 중 하부에 구비된 가열장치(21)는 열 발산부위가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이렇게 가열장치(21)가 구비됨에 따라 판금부품(3)의 도장면의 온도를 더욱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장실(2)의 내부에는 조명기구(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기구(22)는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광원 그룹으로 구성된 조명모듈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내측 벽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그룹을 구성하는 광원은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램프로 구성되며, 광원은 도장실(2)의 내측벽면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 배치된다. 그리고 광원은 빛을 발생시키는 형태에 따라 서로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높이 방향으로 수직배치되는 광원 대신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후처리 단계(S140)는 도장 부위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후처리 작업은 도장이 완료된 판금부품(3)에 광택을 내기위한 작업을 의미한다.
이때, 후처리 작업은 도장이 완료된 판금부품(3)을 부품 적재대(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명기구(22)가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부품 적재대(1)는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하나 이상의 바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부(11), 이동부(11)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12), 수직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 및 수직부(12)의 상측에 형성되어 판금부품(3)을 적재하는 적재부(14)를 포함한다.
먼저, 이동부(11)는 부품 적재대(1)가 도장실(2)의 내부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바퀴는 부품 적재대(1)의 무게를 분산하기 위해 서로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부(11)에 설치된 바퀴는 이동부(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후술할 적재부(14)에 적재되는 판금부품(3)의 무게를 분산시켜 사용자가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직부(12)는 이동부(11)의 중심에 바닥면에 수직으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며, 연결부(13)의 양측면은 각각의 이동부(11)에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13)가 결합됨으로써, 이동부(11)의 이동을 더욱 견고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부(12)의 일측에는 판금부품(3)이 적재되는 적재부(14)가 포함되며, 적재부(14)는 서로다른 충격에 판금부품(3)이 깨지거나 망가지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스티로폼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부품 적재대(1)를 이용함으로써, 판금 부품(3)의 이동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장실의 내측벽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내측벽면에 도포되고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후술하는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 대비)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우레탄을 포함하여 내측벽면에 방수성을 부가한다.
기능성첨가재(G)는 알루미늄 0.2 중량부를 포함하는(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재(G1),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완충재(G2), 폴리에스터를 0.3 중량부를 포함하는(또는 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이루어지는) 흡음재(G3),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2 중량부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 스프링강 0.2 중량부를 포함하는(또는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G5)를 포함한다.
기능성첨가재(G)의 각 성분의 비율은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였다.
상기 내피재(G1)는 상기 열완충재(G2)를 감싸는 구형이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내피재(G1)를 감싸되 외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고,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상기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되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탄성체(G5)의 내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마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5)는 코일 형상이며 상기 삽입홈에 내측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흡음재(G3)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이란 상기 기능성첨가재(G)의 후술하는 단위체(GU)의 중심측을 의미하며, 외측은 상기 중심측에서 방사상 방향을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여, 기능성첨가재(G)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내피재(G1)는 구 형상이며, 알루미늄 재질이고, 내측에 후술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방수재(GS)에 혼합되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내피재(G1)는 알루미늄이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알루미늄이 0.2 중량부를 초과 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키며,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 후술하는 열완충재(G2)를 충분히 감싸지 못해 열완충재(G2)가 소실될 우려가 있다.
흡음재(G3)는 상기한 내피재(G1) 외부에 구비되어 내피재(G1)를 감싸는 것으로,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어 방수재(GS)에서 분산 배치된다.
흡음재(G3)는 폴리에스터를 포함하여 소리 음파를 흡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음재(G3)는 외면(표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어서, 소리 음파와 접촉 면적이 많기 때문에 흡음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흡음재(G3)는 폴리에스터가 0.3 중량부 포함되는데, 폴리에스터가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 흡음 성능이 떨어지고 0.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피재(G1)가 상기한 흡음재(G3)의 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흡음재(G3)를 통과하는 소리 음파가 내피재(G1)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한 흡음재(G3)의 내측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내피재(G1)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헥사데케인을 포함할 수 있다.
헥세데케인(C16H34)는 융점이 약 18.2℃인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다.
상변화물질은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Phase)이 변할 때, 온도의 변화 없이 잠열(Latent heat)의 형태로 외부 요인 없이 능동적으로 열을 저장·방출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상변화가 일어날 때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Latent heat)은,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온도변화를 보이며 출입하는 열인 현열(Sensible heat)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열량을 갖는다. 이 특징을 이용해서 높은 양의 열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유지 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융점을 변화시키기 위해 헥세데케인 이외에 운데칸(Undecane), 도데칸(Dodecane), 트리데칸(Tridecane), 테트라데칸(Tetradecane), 펜타데칸(Pentadecane), 헥사데칸(Hexadecane), 헵타데칸(Heptadecane), 옥타데칸(Octadecane), 노나데칸(Nonadecane) 및 에이코산(Eicosane), 트라이아콘테인(Triacontane)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완충재(G2)의 융점은 상온인 15~25℃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내피재(G1)의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라서 열완충재(G2)가 고온에서 팽창하거나 또는 저온에서 수축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내피재(G1)의 균열에 따른 열완충재(G2)의 소실 억제와, 소리 음파 반사능의 저하를 억제하여 기능성첨가재(G)의 흡음 성능을 온도 변화에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피재(G1) 및 상기한 흡음재(G3)가 상기한 열완충재(G2)와 연교환을 하여 결과적으로 열완충재(G2)와 방수재(GS)가 열교환을 이루도록 하여, 방수재(GS)의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따른 균열, 손상, 변형 발생 등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열완충재(G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헥사데케인 0.1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헥사데케인이 0.1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내피재(G1)가 특정 온도(예시적으로 15~25℃ 또는 약 18.2℃)에서 벗어나는 걸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으며, 헥사데케인이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술한 내피재(G1)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티렌술포닉산을 포함 할 수 있는데, 더하여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피-스티렌술포닉산과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혼합(1:19 비율)하고 UV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흡음재(G3) 외측에 구비된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2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음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0.2 중량부가 초과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방수재(GS)에 기능성첨가재(G)의 단위체(GU)가 다수 포함될 수 있는데, 도포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단위체(GU)간 정전기적 척력에 의해 상호 밀어내어 본 조성물(방수재(G) 및 기능성첨가재(G)의 혼합물)에서 다수의 단위체(GU)들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이웃하는 단위체(GU)간의 충돌 또는 본 조성물의 다른 물질과의 충돌을 억제하여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G5)는 상기한 흡음재(G3)의 외부(외면, 표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스프링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음재(G3)는 마루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3)는 내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구조적을 안정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G3)는 코일 형상이며 흡음재(G3)의 마루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단위체(GU)의 탄성을 부가한다.
따라서 다수의 단위체(GU)가 포함된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를 교반하는 과정에서 이웃하는 단위체(GU)가 충돌함에 따라 단위체(GU)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고, 코일 형상의 탄성체(G5)가 압축되어 탄성 복원됨에 따라 이웃하는 단위체(GU)가 상호 멀어지도록 하여 방수재(GS)에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부품 적재대
11: 이동부
12: 수직부
13: 연결부
14: 적재부
2: 도장실
21: 가열장치
22: 조명장치
3: 판금 부품

Claims (4)

  1. 도장실에 판금 부품이 배치되는 배치 단계;
    도료가 판금 부품에 분사되어 도장되는 도장 단계;
    상기 도장실에 구비되는 가열장치가 도장 부위를 가열하는 가열 단계; 및
    상기 도장 부위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후처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장 단계에서 도장 상태가 육안으로 검수될 수 있도록 상기 도장실의 내측벽면에는 조명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벽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재(GS)는 상기 내측벽면의 외면에 도포되고,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완충재(G2);
    상기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 대비, 알루미늄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완충재(G2)를 감싸고 구형인 내피재(G1);
    상기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 대비, 폴리에스터 0.3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1)를 감싸되 외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흡음재(G3);
    상기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 대비,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 및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 대비, 스프링강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루에 구비되는 코일 형상의 탄성체(G5);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G3)는 마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5)는 내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방수재(GS)는 상기 헥사데케인(hexadecane) 0.1 중량부 대비,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하는 판금 도장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복수의 광원 그룹으로 구성된 조명모듈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내측벽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구비되는 판금 도장 방법.
  3. 청구항2에 있어서,
    각 그룹을 구성하는 광원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내측벽면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 배치되는 판금 도장 방법.
  4. 삭제
KR1020220175575A 2022-12-15 2022-12-15 검수가 용이한 판금 도장방법 KR102542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575A KR102542416B1 (ko) 2022-12-15 2022-12-15 검수가 용이한 판금 도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575A KR102542416B1 (ko) 2022-12-15 2022-12-15 검수가 용이한 판금 도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416B1 true KR102542416B1 (ko) 2023-06-13

Family

ID=86762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575A KR102542416B1 (ko) 2022-12-15 2022-12-15 검수가 용이한 판금 도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4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3215A (en) * 1995-03-22 1998-12-29 Lowery; Robert S. Mobile spraybooth workstation
KR100678654B1 (ko) * 2005-12-27 2007-02-06 주식회사 지씨남원 적외선히터를 이용한 자동차 바디 도장건조부스
KR101944707B1 (ko) * 2018-09-28 2019-02-01 박도선 차량의 판금도장방법
KR102462946B1 (ko) * 2022-07-01 2022-11-04 강한일 유리 제품 제조용 금형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3215A (en) * 1995-03-22 1998-12-29 Lowery; Robert S. Mobile spraybooth workstation
KR100678654B1 (ko) * 2005-12-27 2007-02-06 주식회사 지씨남원 적외선히터를 이용한 자동차 바디 도장건조부스
KR101944707B1 (ko) * 2018-09-28 2019-02-01 박도선 차량의 판금도장방법
KR102462946B1 (ko) * 2022-07-01 2022-11-04 강한일 유리 제품 제조용 금형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8153B2 (ja) 着色塗料組成物
JP2004174469A (ja) 遮熱性機能を有する塗膜形成方法とこの方法で形成された積層塗膜及び該塗膜により被覆された塗装物品。
EP2331638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dark-color multi-layer coating
AU2011325325A1 (en)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sheet silicate pigment and process for the generation of a clear or translucent emissive coating
BRPI0408739A (pt) composições de revestimento, substrato revestido, processo de aplicação e processos de reacabamento de revestimento danificado
JPH02225035A (ja) 塗装された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191858A (zh) 动车水系统箱体喷涂工艺
US20200216683A1 (en) Protective coating for central tower receiver in solar power pla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542416B1 (ko) 검수가 용이한 판금 도장방법
US20010018467A1 (en) Method of priming SMC parts
KR102542414B1 (ko) 경화성이 개선된 판금 도장방법
CN101844128A (zh) 一种改进的电动车涂装件喷漆工艺
WO2015030934A1 (en) Vehicle body and method for coating a vehicle body
KR20080070853A (ko) 기판 상의 내흠집성 및/또는 내긁힘성 코팅의 형성 시간을감소시키는 방법
WO2015026602A1 (en) Waterborne shop primer
CN101629030A (zh) 一种高耐候性、自修复性涂层
JP4422260B2 (ja) 熱遮蔽方法および塗装物
ES2365509T3 (es) Procedimiento de revestimiento en polvo de sustratos soldables.
MX2013002033A (es) Metodo para formar revestimiento multicapa.
JP6895270B2 (ja) 塗膜形成方法
CN105797942B (zh) 一种氟碳金属漆的喷涂方法
CN109266152B (zh) 一种修补用涂料组合物及其使用方法
CN105860752A (zh) 交通工具外壳、交通工具外壳表面处理方法及交通工具
CN105385328A (zh) 一种耐候防水汽车涂料
Kurata et al. Development of High Appearance Water Born Primer Surfacer Coating for Short Process Body Pa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