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373B1 - Plant planting structure utilizing plants planting soil bag - Google Patents

Plant planting structure utilizing plants planting soil b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373B1
KR102542373B1 KR1020230032995A KR20230032995A KR102542373B1 KR 102542373 B1 KR102542373 B1 KR 102542373B1 KR 1020230032995 A KR1020230032995 A KR 1020230032995A KR 20230032995 A KR20230032995 A KR 20230032995A KR 102542373 B1 KR102542373 B1 KR 102542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ing
bars
bag
bar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임
Original Assignee
에스와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와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와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2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3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3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식생토(114)가 충전된 다수의 녹화 토낭(110)을 녹화 대상 구조물(10)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적층하여 녹화 구조물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nag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plurality of greening tongs 110 filled with vegetation soil 114 therein in the greening target structure 10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greening structure by stacking.

Description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Plant planting structure utilizing plants planting soil bag}Greening structure using greening tonnage {Plant planting structure utilizing plants planting soil bag}

본 발명은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화 토낭을 옹벽과 같은 다양한 녹화 대상 구조물에 설치하여 효율적으로 녹화 구조물을 조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n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nage of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efficiently create a greening structure by installing the greening tonnage on various greening target structures such as a retaining wall. will be.

도로, 철도의 사면, 공원지역의 비탈면이나 하천제방, 해안도로 등의 옹벽을 공사함에 있어서, 토양안정과 경사면보호라는 측면을 최우선으로 중요시하여 전면 전체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콘크리트제 블록 또는 콘크리트제 패널로 마감한 옹벽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In constructing retaining walls such as slopes of roads, railways, slopes of park areas, river embankments, and coastal roads, the aspect of soil stability and slope protection is given top priority, and the entire front i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oncrete blocks, or concrete panels Retaining walls finished with .

이때, 콘크리트면으로 전면벽 전체를 마감하고 있는 종래의 옹벽은 주변 자연환경과 전혀 조화되지 않는 회색빛 외관을 제공하여 도회경관을 크게 해치고 있으며, 원래의 자연 생태계와는 이질적이어서 식물이나 미생물, 소동물 등의 자연 생태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which finishes the entire front wall with a concrete surface, provides a gray exterior that does not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t all, greatly damaging the urban landscape, and is heterogeneous with the original natural ecosystem, so plants, microorganisms, and cattle It is becoming a factor that deteriorates the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such as animals.

그래서, 옹벽이나 도로나 철도 주위의 사면에 식물을 식재하여 자라도록 함으로써 녹화를 할 수 있는 녹화 구조물 내지 녹화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 실정이다. 즉, 전면 전체를 콘크리트로 마감하고 있는 옹벽과 같은 구조물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녹화 옹벽을 제안한 경우가 많다.Therefore, a vegetation structure or a vegetation method capable of greening by planting and growing plants on a retaining wall or a slope around a road or railroad has been proposed. That is, in many cases, green retaining walls are proposed to solve various problems that appear in structures such as retaining walls whose entire front surfaces are finished with concrete.

한국등록특허 제10-0788934호(2007년12월18일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88934 (registered on December 18, 2007) 한국등록특허 제10-0838276호(2008년06월09일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38276 (registered on June 9, 2008)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3984호(2009년11월03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13984 (published on November 03, 2009) 한국등록특허 제10-0968518호(2010년06월30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68518 (registered on June 30, 2010)

본 발명의 목적은 녹화 토낭을 옹벽이나 경사지의 법면 등의 다양한 녹화 대상 구조물에 다수층으로 적층 설치하여 효율적으로 녹화 구조물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nage of a new configuration, which can efficiently create a greening structure by stacking and installing greening tongs in multiple layers on various greening target structures such as retaining walls or slopes of slopes. .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식생토(114)가 충전된 다수의 녹화 토낭(110)을 녹화 대상 구조물(10)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적층하여 녹화 구조물을 조성하는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soil bag is provided in which a plurality of greening soil bags 110 filled with vegetation soil 114 are stacked on a greening target structure 10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form a greening structure. .

상기 녹화 토낭(110)은, 내부에 충전 공간부를 구비하고 내외표면으로 관통된 다수의 식생홀을 구비한 톤백(112), 상기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채워진 식생토(114)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토(114)에는 녹화용 식물 종자가 심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톤백(112)은 백거치대(120)에 거치되어 톤백(112) 상단부의 투입구가 열린 상태에서 톤백(112) 내부의 열려있는 투입구를 통해서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충전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백거치대(120)는 다수의 바아가 육면체 프레임 형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톤백(112) 거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백거치대(120) 내부의 상기 백수용부에 상기 톤백(112)을 수용하여 톤백(112)의 상단 투입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투입하여 충전한 상태에서 상기 식생토(114)에 녹화용 식물 종자를 심어서 녹화 토낭(110)을 형성하고, 상기 녹화 토낭(110)을 옹벽과 같은 구조물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를 적층하고, 다수개의 녹화 토낭(110)의 식생토(114)에 심어진 식물 종자가 발아하여 톤백(112)의 다수개의 식생홀을 통해서 식물이 자라나오면서 구조물에 녹화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eening tonang 110 includes a tone bag 112 having a filling space inside and having a plurality of vegetation 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nd the vegetation soil 114 filled in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Including, the vegetation soil 114 is configured so that plant seeds for greening are planted, and the tone bag 112 is mounted on the bag holder 120 and the inside of the tone bag 112 with the inlet at the top of the tone bag 112 open. The planting soil 114 is filled in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through the open inlet, and the bag holder 120 has a number of bars connected in a hexahedron frame shape to form a tone bag 112 inside. The carrying space is formed so that the tone bag 112 is accommodated in the bag accommodating part inside the bag holder 120, and the top inlet of the tone bag 112 is opened, and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is opened. Plant seeds for greening are planted in the vegetation soil 114 in a state where the vegetation soil 114 is injected and charged to form a greening soil bag 110, and the greening soil bag 110 is placed on a structure such as a retaining wall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plurality of plants are stacked, and the plant seeds planted in the vegetation soil 114 of the plurality of greening soil bags 110 germinate and the plants grow through the plurality of vegetation holes of the tone bag 112 to form a greening structure on the structure characterized by

상기 백거치대(120)는,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X축 하부 바아(122), 상기 X축 가로 바아에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Y축 하부 바아(123), 상기 X축 하부 바아(122)에 직립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포지션 직립 바아(126), 상기 Y축 하부 바아(123)에 직립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포지션 직립 바아(126)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2포지션 직립 바아(127), 상기 제1포지션 직립 바아(126)에 제1상부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X축 상부 바아(124), 상기 제2포지션 직립 바아(127)에 제2상부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Y축 상부 바아(125)를 포함하며, 상기 백거치대(120)의 내부에 톤백(112)을 수용하고, 톤백(112)의 상부쪽 둘레부를 상기 X축 상부 바아(124)와 Y축 상부 바아(125)에 고정되도록 지지하여 톤백(112)의 상단 개방부를 열어준 상태에서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충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g holder 120 is made of plastic or concrete, and at least two or more X-axis lower bars 122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X-axis horizontal bars through a connector and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At least two or more Y-axis lower bars 123 and X-axis lower bars 122 are connected to the upright connectors and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two or more first position upright bar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126), at least two or more second position erecting bar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Y-axis lower bar 123 through an upright connector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position erecting bar 126 (127), at least two or more X-axis upper bars 124 arranged side by side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upright bar 126 via a first upper connector, and to the second position upright bar 127 It includes at least two Y-axis upper bars 125 connected via the second upper connector and disposed side by side, and accommodates the tone bag 112 inside the bag holder 120, Vegetation soil ( 114)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harge.

상기 톤백(112)의 상단부에는 전후 좌우 네 군데의 거치 지지 플랩(112FL)이 구비되고, 상기 거치 지지 플랩(112FL)은 거치 그립퍼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백거치대(120)에 고정되어, 상기 톤백(112)의 상단 투입구가 벌려지도록 한 상태에서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투입하여 충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our supporting flaps 112FL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tone bag 112, and the supporting flaps 112FL are fixed to the bag holder 120 by a mounting gripper assembly, and the tone bag 11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harge the vegetation soil 114 by injecting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in a state where the upper inlet of the ) is opened.

상기 그립퍼 어셈블리는, 서로 나란한 두 개의 X축 상부 바아(124)에 기단부가 힌지(HG)를 매개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하단부와 선단부로 관통된 그립 지지 채널홈이 구비된 X축 그립퍼(152), 서로 나란한 두 개의 Y축 상부 바아(125)에 기단부가 힌지(HG)를 매개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하단부와 선단부로 관통된 그립 지지 채널홈이 구비된 Y축 그립퍼(154)를 포함하며, 상기 톤백(112)의 네 군데의 거치 지지 플랩(112FL) 중에서 두 개의 거치 지지 플랩(112FL)과 두 개의 나란한 X축 상부 바아(124)의 일부를 두 개의 X축 그립퍼(152) 내부의 그립 지지 채널홈에 동시에 삽입하여 톤백(112)의 두 개의 거치 지지 플랩(112FL)을 백거치대(120)의 두 개의 X축 상부 바아(124)에 고정하고, 톤 백의 나머지 두 개의 거치 지지 플랩(112FL)과 두 개의 나란한 Y축 상부 바아(125)의 일부를 두 개의 나란한 Y축 그립퍼(154) 내부의 그립 지지 채널홈에 동시에 삽입하여 톤백(112)의 나머지 두 개의 거치 지지 플랩(112FL)을 백거치대(120)의 두 개의 Y축 상부 바아(125)에 고정하여 톤백(112)의 상부 투입구를 안정적으로 벌려준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충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ipper assembly includes an X-axis gripper 152 having a base end coupled to two X-axis upper bars 124 parallel to each other via a hinge HG and a grip support channel groove penetrating the lower end and the front end inside the gripper 152, The base end is coupled to two Y-axis upper bars 125 parallel to each other through a hinge (HG), and a Y-axis gripper 154 having a grip support channel groove penetrating through the lower end and the front end is included, and the tone bag Among the four supporting flaps 112FL of (112), the two supporting flaps 112FL and parts of the two parallel X-axis upper bars 124 are gripped inside the two X-axis grippers 152. at the same time to fix the two support flaps 112FL of the tone bag 112 to the two X-axis upper bars 124 of the bag holder 120, and the other two support flaps 112FL and the two support flaps 112FL of the tone bag. Some of the two parallel Y-axis upper bars 125 are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grip support channel grooves inside the two parallel Y-axis grippers 154 to mount the remaining two support flaps 112FL of the tone bag 112 to the bag holder 120. ) is fixed to the two Y-axis upper bars 125 to fill the vegetation soil 114 in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while maintaining the upper inlet of the tone bag 112 in a stable open st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상기 구조물의 기저 지반(10SE)에는 바텀 지지 구조물을 더 설치하여 상하 좌우 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녹화 토낭(110) 중에서 최하층의 녹화 토낭(110)을 상기 바텀 지지 구조물에 의해 더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ottom support structur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base ground (10SE) of the structure to more firmly support the greening tongs 110 of the lowest layer among the plurality of greening tongs 110 stack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by the bottom support structure. characterized by

상기 바텀 지지 구조물은, 바텀 프레임(162), 상기 바텀 프레임(162)에 힌지(HG)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바텀 프레임(162)의 내측 영역에 배치된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 상기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에 기단부가 연결되어 바텀 프레임(162)의 바깥쪽 영역에 배치된 복수개의 바텀 그립 바아(165)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 위에 녹화 토낭(110)이 올려지기 이전에는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의 상단부쪽이 바텀 프레임(162)의 위쪽으로 돌출되고, 동시에 복수개의 바텀 그립 바아(165)는 바텀 프레임(162)의 바깥쪽에서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 위에 녹화 토낭(110)이 얹혀지면 녹화 토낭(110)의 무게에 의해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가 바텀 프레임(162)과 연결된 힌지(HG)를 기준으로 동시에 하향 회동되고, 동시에 복수개의 바텀 그립 바아(165)는 녹화 토낭(110)의 외주면 쪽으로 상향 회동되어 복수개의 바텀 그립 바아(165)에 의해 최하층의 녹화 토낭(110)을 구조물의 기저 지반(10SE)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support structure includes a bottom frame 162, a plurality of bottom support actuation bars 163 connected to the bottom frame 162 through a hinge HG and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bottom frame 162, The base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pport operation bar 163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disposed in the outer area of the bottom frame 162, and the plurality of bottom support operation bars 163 are green tongs ( 110) is raised,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bottom support actuating bars 163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frame 162, an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spread out from the outside of the bottom frame 162. When the greening tonang 110 is placed on the plurality of bottom support operation bars 163 in the present state, the plurality of bottom support operation bars 163 are connected to the bottom frame 162 by the weight of the greening tonang 110 Hinge (HG ), an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are rotated upward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eening toe bag 110, and the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hold the greening toe bag 110 on the lowest layer of the 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so as to be firmly fixed to the base ground (10SE).

본 발명은 녹화 토낭을 옹벽과 같은 다양한 녹화 대상 구조물에 상하 좌우 방향으로 적층 설치함으로써, 옹벽이나 도로변의 경사지와 같은 지역에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자연 녹화 구조물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creating a safe and efficient natural greening structure in an area such as a retaining wall or a roadside slope by installing the greening tona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various greening target structures such as a retaining wal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서 이용되는 녹화 토낭을 형성하기 위한 톤백을 백거치대에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 의해 녹화 구조물을 조성지를 조성하기 위한 녹화 토낭을 적층 상태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로서 녹화 토낭에서 식물이 자라나온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 의해 녹화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녹화 대상 조성지의 일례인 옹벽의 앞쪽에 다수의 녹화 토낭을 적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녹화 토낭을 서포트 밴드에 의해 지지하여 설치한 상태의 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서 이용되는 녹화 토낭을 형성하기 위한 톤백을 백거치대에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X축 그립퍼에 의해 녹화 토낭의 톤백에 구비된 거치 지지 플랩을 백거치대에 걸쳐지도록 지지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서 이용되는 녹화 토낭을 형성하기 위한 톤백을 백거치대에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Y축 그립퍼에 의해 녹화 토낭의 톤백에 구비된 거치 지지 플랩을 백거치대에 걸쳐지도록 지지한 상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서 이용되는 녹화 토낭 중에서 최하층의 녹화 토낭을 바텀 지지 구조물에 얹어놓기 이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12에 도시된 최하층의 녹화 토낭을 바텀 지지 구조물에 얹어놓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n bag for forming a greening tonang used in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a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ag hold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laminated state of greening tonnage for forming a greening structure by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n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2,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plants have grown in the greening tonang;
Figure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greening tonnages are loaded in front of a retaining wall, which is an example of a greening target construction site, in order to construct a greening structure by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n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shown in Figure 4;
6 is a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5;
7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a state in which the greening tonang shown in FIG. 6 is supported by a support band and installed;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n bag for forming a greening tonang used in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a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ag holder;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lap provided in the tone bag of the greening tonang is supported so as to span the bag holder by the X-axis gripper shown in FIG. 8;
10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n bag for forming a greening tonang used in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a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ag holder;
11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lap provided in the tone bag of the greening tonang is supported so as to span the bag holder by the Y-axis gripper shown in FIG. 8;
Figure 1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placing the greening tonnage of the lowest layer among the greening tonnages used in the greening structure using the greening ton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ottom support structure;
1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eening tonnage of the lowest layer shown in 12 is placed on the bottom support structure;
Fig. 14 is a plan view of Fig. 1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is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In addition,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may be implemented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서 이용되는 녹화 토낭을 형성하기 위한 톤백을 백거치대에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 의해 녹화 구조물을 조성지를 조성하기 위한 녹화 토낭을 적층 상태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로서 녹화 토낭에서 식물이 자라나온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n bag for forming a greening tonang used in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a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ag holder, Figure 2 is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a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laminated state of greening tonnage for constructing a structure,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은 내부에 식생토(114)가 충전된 다수의 녹화 토낭(110)을 녹화 대상 구조물(10)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적층하여 녹화 구조물을 조성하는 방법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reening structure using the greening tonnag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reening structure by stacking a plurality of greening tongs 110 filled with vegetation soil 114 on the greening target structure 10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ay to do it

본 발명에서 녹화 토낭(110)은, 내부에 충전 공간부를 구비하고 내외표면으로 관통된 다수의 식생홀(다수의 기공)을 구비한 톤백(112), 상기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채워진 식생토(114)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식생토(114)에는 녹화용 식물 종자가 심어지도록 구성한다. 녹화 토낭(110)에 채워진 식생토(114)에 식물 종자가 식재되어, 다수의 녹화 토낭(110)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다수의 녹화 토낭(110)에서 식물(VE)이 자라서 녹화 대상 구조물(10)에 자연 녹화 조성지가 형성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eening tonang 110 has a filling space inside and a tone bag 112 having a plurality of vegetation holes (multiple pores) penetra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nd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filled vegetation soil 114, and the vegetation soil 114 is configured so that plant seeds for greening are planted. Plant seeds are planted in the vegetation soil 114 filled in the greening tongs 110, and a plurality of greening tongs 110 are stack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grows so that a natural greening composition is formed in the structure 10 to be greened.

상기 톤백(112)은 백거치대(120)에 거치된다. 톤백(112)이 백거치대(120)에 걸쳐져서 거치됨으로써, 톤백(112) 상단부의 투입구가 열린 상태에서 톤백(112) 내부의 열려있는 투입구를 통해서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충전하도록 구성한다.The tone bag 112 is mounted on the bag holder 120. As the tone bag 112 is placed over the bag holder 120, the vegetation soil in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through the open inlet inside the tone bag 112 in the state where the inlet at the top of the tone bag 112 is open. (114) is configured to charge.

이때, 백거치대(120)는 다수의 바아가 육면체 프레임 형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톤백(112) 거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백거치대(120) 내부의 백수용부에 톤백(112)을 수용하여 톤백(112)의 투입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투입하여 충전하고, 상기 식생토(114)에 녹화용 식물 종자를 심어서 녹화 토낭(110)을 형성하고, 상기 녹화 토낭(110)을 옹벽과 같은 구조물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를 적층하고, 다수개의 녹화 토낭(110)의 식생토(114)에 심어진 식물 종자가 발아하여 톤백(112)의 다수개의 식생홀을 통해서 식물이 자라나오면서 구조물에 녹화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bag holder 120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bars are connected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frame to form a space for holding the tone bag 112 therein, and the bag holder 120 is accommodated in the bag receiving portion to accommodate the tone bag 112. In a state where the inlet of the tone bag 112 is opened, vegetation soil 114 is injected into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and filled, and plant seeds for greening are planted in the vegetation soil 114 to green the soil bag 110 )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the greening tonang 110 is stack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n a structure such as a retaining wall, and the plant seeds planted in the vegetation soil 114 of the plurality of greening tonang 110 germinate to tone bag 112 ) through a plurality of vegetation holes to form a greening structure on the structure as plants grow.

본 발명에서 녹화 구조물이라 함은 옹벽이나 도로변의 법면과 같은 구조물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로 적층되며 내부의 식생토(114)에 심어진 식물 종자가 성장되어 나오는 녹화 토낭(110) 적층 구조물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eening structure refers to a laminated structure of greening tonang 110, which is stacked in a plurality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n a structure such as a retaining wall or a roadside slope, and in which plant seeds planted in the vegetation soil 114 grow out. .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백거치대(120)는,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X축 하부 바아(122), 상기 X축 가로 바아에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Y축 하부 바아(123), 상기 X축 하부 바아(122)에 직립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포지션 직립 바아(126), 상기 Y축 하부 바아(123)에 직립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포지션 직립 바아(126)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2포지션 직립 바아(127), 상기 제1포지션 직립 바아(126)에 제1상부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X축 상부 바아(124), 상기 제2포지션 직립 바아(127)에 제2상부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Y축 상부 바아(1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구들은 브라켓과 볼트와 같은 공지의 연결구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연결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bag holder 12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plastic or concrete and is connected to at least two or more X-axis lower bars 122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X-axis horizontal bars through a connector to each other. At least two or more Y-axis lower bars 123 arranged side by side, connected to the X-axis lower bar 122 via an upright connector,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two or more object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one-position upright bar 126, connected to the Y-axis lower bar 123 via an upright connector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two or more first position upright bars 126 and parallel to the first position upright bar 126. 2-position erecting bar 127, at least two or more X-axis upper bars 124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erecting bar 126 via a first upper connector and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the second position erecting bar It includes at least two Y-axis upper bars 125 connected to (127) via a second upper connector and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ors may employ known connectors such as brackets and bolt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nectors will be omitted.

상기 백거치대(120)의 내부에 톤백(112)을 수용하고, 톤백(112)의 상부쪽 둘레부를 X축 상부 바아(124)와 Y축 상부 바아(125)에 고정되도록 지지하여 톤백(112)의 상단 개방부를 열어준 상태에서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충전하게 된다. 물론,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충전된 식생토(114)에 식물 종자를 식재하여 식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톤백(112)의 바깥으로 자라 나오도록 구성된다. 톤백(112)은 식생토(114) 입자가 빠지지 않을 정도의 사이즈를 가진 다수의 구멍이 내외표면으로 형성된 백으로서, 식생토(114)에 식재된 식물 종자가 시간이 지나면서 톤백(112)의 다수의 구멍을 통해서 식물이 자라 나와서 자연 녹화가 되도록 구성된다.The tone bag 112 is accommodated inside the bag holder 120, and the upp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tone bag 112 is supported so as to be fixed to the X-axis upper bar 124 and the Y-axis upper bar 125, so that the tone bag 112 Vegetation soil 114 is filled in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while the upper opening is opened. Of course, plant seeds are planted in the vegetation soil 114 filled in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so that the plants grow out of the tone bag 112 over time. The tone bag 112 is a bag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size that does not allow the vegetation soil 114 particles to fall out are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It is configured so that plants grow out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and allow natural greening.

따라서, 본 발명은 녹화 토낭(110)을 옹벽과 같은 다양한 구조물에 상하 좌우 방향으로 적층 설치함으로써, 옹벽이나 도로변의 경사지와 같은 녹화 대상 구조물(10)에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녹화 구조물의 조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reating a safe and efficient greening structure for a greening target structure 10 such as a retaining wall or a roadside slope by stacking and installing the greening tonang 110 o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retaining wall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re is.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 의해 녹화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녹화 대상 조성지의 일례인 옹벽의 앞쪽에 다수의 녹화 토낭을 적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녹화 토낭을 서포트 밴드에 의해 지지하여 설치한 상태의 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서 이용되는 녹화 토낭을 형성하기 위한 톤백을 백거치대에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X축 그립퍼에 의해 녹화 토낭의 톤백에 구비된 거치 지지 플랩을 백거치대에 걸쳐지도록 지지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서 이용되는 녹화 토낭을 형성하기 위한 톤백을 백거치대에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Y축 그립퍼에 의해 녹화 토낭의 톤백에 구비된 거치 지지 플랩을 백거치대에 걸쳐지도록 지지한 상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에서 이용되는 녹화 토낭 중에서 최하층의 녹화 토낭을 바텀 지지 구조물에 얹어놓기 이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12에 도시된 최하층의 녹화 토낭을 바텀 지지 구조물에 얹어놓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greening tongs are loaded in front of a retaining wall, which is an example of a greening target composition in order to construct a greening structure by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shown in FIG. 4,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5, and FIG. 7 is a part of a state in which the greening tonang shown in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n bag for forming a greening tonang used in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a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ag holder, FIG. 9 is shown in FIG.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flap provided in the tonbag of the greening tonbag is supported so as to span the bag holder by the shown X-axis gripper, Figure 10 is used in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a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nbag for forming a green tonang is mounted on a bag cradle, and FIG. 11 is a Y-axis gripper shown in FIG. 12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Figure 1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before placing the lowest layer of greening tonnage on the bottom support structure among the greening tonnages used in the greening structure using the greening ton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eening tongs of the lowest layer shown in FIG. 12 are placed on the bottom support structure, and FIG. 14 is a plan view of FIG. 13 .

본 발명에서는 옹벽과 같은 녹화 조성을 요하는 녹화 대상 구조물(10)의 지중(10ET)에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천공홀(10DH)을 형성하고, 천공홀(10DH)에는 앵커링 지지체를 결합하고, 앵커링 지지체에는 녹화 토낭(110)을 앞쪽에서 감싸서 지지하는 서포트 밴드(142)를 결합함으로써 옹벽과 같은 구조물의 앞쪽에 다수개의 녹화 토낭(110)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적층 설치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rilling hole 10DH is formed by using a drilling device in the underground 10ET of a greening target structure 10 requiring a greening composition such as a retaining wall, an anchoring support is coupled to the drilling hole 10DH, and the anchoring support is configured to stably stack and install a plurality of greening tongs 110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n front of a structure such as a retaining wall by combining a support band 142 that wraps and supports the greening tonang 110 from the front.

상기 앵커링 지지체는, 옹벽과 같은 녹화 대상 구조물(10)의 지중(10ET)에 형성된 천공홀(10DH)에 매입되는 앵커링 슬리브(132), 상기 앵커링 슬리브(1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132CP), 상기 나선형 돌기(132CP)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앵커링 슬리브(132)의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앵커링 관통홀(132AH), 상기 앵커링 슬리브(132)의 내주면에 형성된 슬리브측 나사부에 외주면의 캡측 나사부가 결합되며 전면에는 지지 고리(136)가 구비된 마감캡(134)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링 슬리브(132)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콘크리트 몰탈의 일부가 천공홀(10DH) 쪽으로 토출되어 녹화 대상 구조물(10)의 지중(10ET)에 침투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하고, 상기 앵커링 슬리브(132)에 결합된 마감캡(134)의 지지 고리(136)에 상기 녹화 토낭(110)을 앞에서 감싸서 지지하는 서포트 밴드(142) 양단부의 밴드측 고리부재(144)를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천공홀(10DH)은 녹화 대상 구조물(10)의 전면에서 지중(10ET)으로 하향 경사지게 천공되고, 상기 앵커링 슬리브(132)는 하향 경사진 천공홀(10DH)에 매입되도록 한다.The anchoring support includes an anchoring sleeve 132 embedded in a drilling hole 10DH formed in the ground 10ET of a structure to be recorded 10 such as a retaining wall, and a spiral protrusion 132CP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choring sleeve 132 , An anchoring through-hole 132AH disposed at a position outside the spiral protrusion 132CP and passing through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anchoring sleeve 132, the sleeve-sid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choring sleeve 132, the cap-side screw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combined and includes a closing cap 134 equipped with a support ring 136 on the front, and concrete mortar is poured into the anchoring sleeve 132, and a part of the concrete mortar is discharged toward the drilling hole 10DH to record It is hardened in a state of penetrating into the ground 10ET of the target structure 10, and the greening tongang 110 is wrapped around the support ring 136 of the closing cap 134 coupled to the anchoring sleeve 132 from the front to be suppor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uple the band-side ring members 144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and 142 to do. Preferably, the drilling hole 10DH is slanted down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tructure 10 to be recorded to the ground 10ET, and the anchoring sleeve 132 is embedded in the downward inclined drilling hole 10DH.

상기 서포트 밴드(142)는 양단부에 마감캡(134)의 지지 고리(136)에 결합되는 밴드측 고리부재(144)가 구비된다. 밴드측 고리부재(144)는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밴드측 고리부재(144)에는 힌지(HG)를 매개로 결합 지지핀(144CP)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 지지핀(144CP)은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44EL)에 의해 밴드측 고리부재(144)의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결합 지지핀(144CP)의 타단부는 밴드측 고리부재(144)의 내주면에 걸려지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band 142 is provided with a band-side ring member 144 coupled to the support ring 136 of the closing cap 134 at both ends. The band-side ring member 144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passing through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surfaces, and one end of the coupling support pin 144CP is coupled to the band-side ring member 144 via a hinge HG, and the coupling The support pin (144CP) is elastically rotated outward of the band-side ring member 144 by an elastic member (144EL) such as a leaf spring,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support pin (144CP) is the band-side ring member 144 It is configured to be caugh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상기 밴드측 고리부재(144)의 결합 지지핀(144CP)을 마감캡(134)의 지지 고리(136)의 옆쪽에 대고 지지 고리(136) 쪽으로 밀어주면, 상기 결합 지지핀(144CP)이 힌지(HG)는 기준으로 밴드측 고리부재(144)의 내부로 회동되면서 밴드측 고리부재(144)의 결합홀이 열리게 되는 한편 탄성부재(144EL)는 탄성 복원력을 보유(탄성부재(144EL)가 판스프링인 경우 판스프링이 휘어지면서 탄성력을 보유하고 탄성부재(144EL)가 코일 스프링인 경우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보유)하고, 상기 밴드측 고리부재(144)의 결합홀은 열린 상태가 되고, 이처럼 결합홀이 열린 상태에서 밴드측 고리부재(144)를 마감캡(134) 전면의 지지 고리(136)에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상기 녹화 토낭(110)의 앞쪽에 배치된 서포트 밴드(142)를 옹벽과 같은 구조물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oupling support pin (144CP) of the band-side ring member 144 is push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ring 136 of the closing cap 134 and pushed toward the support ring 136, the coupling support pin (144CP) hinges ( HG) is rotated into the inside of the band-side ring member 144 as a reference,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band-side ring member 144 is opened, while the elastic member 144EL ha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e elastic member 144EL is a leaf spring). When the plate spring is bent, it retains elastic force, and when the elastic member 144EL is a coil spring, the coil spring compresses and retains elastic force),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band-side ring member 144 is open,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and 142 disposed in front of the greening tonang 110 is connected to the retaining wall by inserting the band-side ring member 144 into the support ring 136 on the front side of the closing cap 134 with the coupling hole open. can be joined to the same structure.

본 발명에서는 옹벽 등의 옹벽과 같은 녹화 대상 구조물(10)의 지중(10ET)에 형성된 천공홀(10DH)에 앵커링 슬리브(132)를 매입하고, 상기 앵커링 슬리브(132)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콘크리트 몰탈의 일부가 천공홀(10DH) 쪽으로 토출되어 녹화 대상 구조물(10)의 지중(10ET)(녹화 대상 구조물(10)이 옹벽인 경우, 옹벽의 내부 지층)에 침투한 상태에서 경화됨으로써, 상기 앵커링 슬리브(132)가 옹벽 등의 구조물의 지중(10ET)에 붙은 콘크리트층(10CL)을 형성하고, 상기 앵커링 슬리브(132) 외주면의 나선형 돌기(132CP)는 구조물와 붙어 있는 콘크리트층(10CL)에 걸려진 상태가 되므로, 상기 앵커링 슬리브(132)가 옹벽과 같은 녹화 대상 구조물(10)의 지중(10ET)에 형성된 천공홀(10DH)에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매설된 상태로 유지된다. 물론, 앵커링 슬리브(132)의 전단부쪽의 내부 공간부는 마감캡(134)이 결합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상태로 유지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choring sleeve 132 is embedded in the drilling hole 10DH formed in the underground 10ET of the structure 10 to be recorded, such as a retaining wall, and concrete mortar is poured into the anchoring sleeve 132 Thus, a part of the concrete mortar is discharged toward the drilling hole 10DH and hardened in a state in which it penetrates into the ground 10ET of the greening target structure 10 (when the greening target structure 10 is a retaining wall, the internal stratum of the retaining wall) , The anchoring sleeve 132 forms a concrete layer 10CL attached to the underground 10ET of a structure such as a retaining wall, and the spiral projection 132CP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choring sleeve 132 forms a concrete layer 10CL attached to the structure Since the anchoring sleeve 132 does not fall out of the drilling hole 10DH formed in the ground 10ET of the structure 10 to be recorded, such as a retaining wall, it remains firmly buried. Of course, the inner space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anchoring sleeve 132 remains empty so that the closing cap 134 can be coupled.

이러한 상태에서 마감캡(134)을 돌려서 앵커링 슬리브(132)의 내주면에 형성된 슬리브측 나사부에 마감캡(134) 외주면의 캡측 나사부를 결합하여 구조물의 앞쪽에 마감캡(134)을 견고하게 고정한다.In this state, by turning the closing cap 134, the cap-side thread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osing cap 134 is coupled to the sleeve-side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choring sleeve 132 to firmly fix the closing cap 134 to the front of the structure.

다음, 상기 녹화 토낭(110)의 앞쪽에 배치된 서포트 밴드(142)의 양단부의 밴드측 고리부재(144)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마감캡(134)의 지지 고리(136)에 끼워주어서 서포트 밴드(142)가 녹화 토낭(110)을 앞에서 지지하여 옹벽 등의 구조물 앞쪽에 녹화 토낭(110)을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다. 즉, 서포트 밴드(142)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개의 녹화 토낭(110)을 옹벽 등의 구조물에 상하 좌우 방향으로 적층하여 녹화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Next, the band-side ring members 144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and 142 disposed in front of the greening tonang 110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rings 136 of the closing cap 134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the support band 142 supports the greening tongang 110 from the front so that the greening tongang 110 can be stably stacked in front of a structure such as a retaining wall. That is, it is possible to form a greening structure by stacking a plurality of greening tongangs 110 supported by the support band 142 on a structure such as a retaining wall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서포트 밴드(142)와 앵커링 지지체를 이용하여 서포트 밴드(142)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다수개의 녹화 토낭(110)을 적층 시공할 수 있으므로, 옹벽이나 경사지와 같은 구조물에 보다 더 안정적이면서 안전성이 높은 녹화 구조물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laminate construction of a plurality of greening tongs 110 supported more stably by the support band 142 using the support band 142 and the anchoring support, There is an effect of creating a greening structure that is more stable and has higher safety.

한편, 상기 톤백(112)의 상단부에는 전후 좌우 네 군데의 거치 지지 플랩(112FL)이 구비되고, 상기 거치 지지 플랩(112FL)은 거치 그립퍼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백거치대(120)에 고정되어, 상기 톤백(112)의 상단 투입구가 벌려지도록 한 상태에서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투입하여 충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op of the tone bag 112 is provided with four supporting flaps 112FL in front, rear, right and left, and the supporting flaps 112FL are fixed to the bag holder 120 by a gripper assembly, and the tone ba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harge the vegetation soil 114 by injecting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in a state where the upper inlet of 112 is opened.

상기 그립퍼 어셈블리는, 서로 나란한 두 개의 X축 상부 바아(124)에 기단부가 힌지(HG)를 매개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하단부와 선단부로 관통된 그립 지지 채널홈이 구비된 X축 그립퍼(152), 서로 나란한 두 개의 Y축 상부 바아(125)에 기단부가 힌지(HG)를 매개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하단부와 선단부로 관통된 그립 지지 채널홈이 구비된 Y축 그립퍼(154)를 포함하며, 상기 톤백(112)의 네 군데의 거치 지지 플랩(112FL) 중에서 두 개의 거치 지지 플랩(112FL)과 두 개의 나란한 X축 상부 바아(124)의 일부를 두 개의 X축 그립퍼(152) 내부의 그립 지지 채널홈에 동시에 삽입하여 톤백(112)의 두 개의 거치 지지 플랩(112FL)을 백거치대(120)의 두 개의 X축 상부 바아(124)에 고정하고, 톤 백의 나머지 두 개의 거치 지지 플랩(112FL)과 두 개의 나란한 Y축 상부 바아(125)의 일부를 두 개의 나란한 Y축 그립퍼(154) 내부의 그립 지지 채널홈에 동시에 삽입하여 톤백(112)의 나머지 두 개의 거치 지지 플랩(112FL)을 백거치대(120)의 두 개의 Y축 상부 바아(125)에 고정하여 톤백(112)의 상부 투입구를 안정적으로 벌려준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충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ipper assembly includes an X-axis gripper 152 having a base end coupled to two X-axis upper bars 124 parallel to each other via a hinge HG and a grip support channel groove penetrating the lower end and the front end inside the gripper 152, The base end is coupled to two Y-axis upper bars 125 parallel to each other through a hinge (HG), and a Y-axis gripper 154 having a grip support channel groove penetrating through the lower end and the front end is included, and the tone bag Among the four supporting flaps 112FL of (112), the two supporting flaps 112FL and parts of the two parallel X-axis upper bars 124 are gripped inside the two X-axis grippers 152. at the same time to fix the two support flaps 112FL of the tone bag 112 to the two X-axis upper bars 124 of the bag holder 120, and the other two support flaps 112FL and the two support flaps 112FL of the tone bag. Some of the two parallel Y-axis upper bars 125 are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grip support channel grooves inside the two parallel Y-axis grippers 154 to mount the remaining two support flaps 112FL of the tone bag 112 to the bag holder 120. ) is fixed to the two Y-axis upper bars 125 to fill the vegetation soil 114 in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while maintaining the upper inlet of the tone bag 112 in a stable open st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이처럼, 백거치대(120)에 톤백(112)의 상단 투입구가 상기 그립퍼 어셈블리에 의해 안정적으로 벌어짐과 동시에 백거치대(120)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채워 넣을 수 있으므로, 톤백(112)에 식생토(114)를 채워 넣는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톤백(112)의 내부에 식생토(114)가 채워지고, 식생토(114)에는 식물 종자가 식재된 녹화 토낭(110)을 옹벽이나 도로변의 경사지인 법면 등의 구조물에 시공하여 구조물를 조성하는 작업이 더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에 더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top inlet of the tone bag 112 in the bag holder 120 is stably opened by the gripper assembly, and at the same time,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bag holder 120, the vegetation soil in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 114) can be filled, so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filling the tone bag 112 with the vegetation soil 114, and the inside of the tone bag 112 is filled with the vegetation soil 114, and the vegetation soil 114 ) has an effect that can further contribute to making the work of constructing a structure more smoothly and quickly by constructing a greening tonang 110 in which plant seeds are planted on a structure such as a retaining wall or a slope, which is a slope along a road.

이때, 두 개의 X축 그립퍼(152)와 Y축 그립퍼(154)를 각각 힌지(HG)를 기준으로 두 개의 X축 상부 바아(124)와 두 개의 X축 상부 세로 바아의 위쪽으로 회동시키면, X축 그립퍼(152)와 Y축 그립퍼(154)가 톤백(112)의 네 개의 거치 지지 플랩(112FL)을 두 개의 X축 상부 바아(124)와 두 개의 Y축 상부 바아(125)에 그릭하여 고정한 상태가 해제되므로, 식생토(114)가 충전된 톤백(112)을 백거치대(120)에서 들어낼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two X-axis grippers 152 and the Y-axis grippers 154 are rotated upward of the two X-axis upper bars 124 and the two X-axis upper vertical bars based on the hinge (HG), X The axis gripper 152 and the Y-axis gripper 154 fix the four mounting support flaps 112FL of the tone bag 112 to the two X-axis upper bars 124 and the two Y-axis upper bars 125 Since the state is released, the tone bag 112 filled with vegetation soil 114 can be lifted from the bag holder 120.

또한, 본 발명에서는 녹화 대상 구조물(10)의 기저 지반(10SE)에는 바텀 지지 구조물을 더 설치하여 상하 좌우 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녹화 토낭(110) 중에서 최하층의 녹화 토낭(110)을 상기 바텀 지지 구조물에 의해 더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support structure is further installed in the base ground 10SE of the structure 10 to be recorded, so that among a plurality of greening tongs 110 stack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 greening tongs 110 of the lowest layer are bottom suppor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more firmly supported by the structure.

예를 들어, 녹화 대상 구조물(10)이 옹벽인 경우에는 옹벽 앞쪽의 기저 지반(10SE)에 바텀 지지 구조물을 더 설치한다.For example, when the structure 10 to be recorded is a retaining wall, a bottom support structur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ground 10SE in front of the retaining wall.

이때, 상기 바텀 지지 구조물은, 바텀 프레임(162), 상기 바텀 프레임(162)에 힌지(HG)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바텀 프레임(162)의 내측 영역에 배치된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 상기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에 기단부가 연결되어 바텀 프레임(162)의 바깥쪽 영역에 배치된 복수개의 바텀 그립 바아(165)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 위에 녹화 토낭(110)이 올려지기 이전에는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의 상단부쪽이 바텀 프레임(162)의 위쪽으로 돌출되고, 동시에 복수개의 바텀 그립 바아(165)는 바텀 프레임(162)의 바깥쪽에서 벌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 위에 최하층의 녹화 토낭(110)이 얹혀지면 녹화 토낭(110)의 무게에 의해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가 바텀 프레임(162)과 연결된 힌지(HG)를 기준으로 동시에 하향 회동되고, 동시에 복수개의 바텀 그립 바아(165)는 녹화 토낭(110)의 외주면 쪽으로 상향 회동되어 복수개의 바텀 그립 바아(165)에 의해 최하층의 녹화 토낭(110)을 구조물의 기저 지반(10SE)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ottom support structure includes a bottom frame 162, a plurality of bottom support actuation bars 163 connected to the bottom frame 162 through a hinge HG and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bottom frame 162 ),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disposed in an outer region of the bottom frame 162 with a proximal end connected to the bottom support operation bar 163, and recorded on the plurality of bottom support operation bars 163. Before the tonang 110 is lifted,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bottom support actuating bars 163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frame 162, an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extend outside the bottom frame 162. When the lowermost greening tonang 110 is placed on the plurality of bottom support operation bars 163, the plurality of bottom support operation bars 163 are moved to the bottom frame ( 162) and the hinge (HG) connected to it, an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are pivoted upward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eening tonang 110, and the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It is characterized by supporting the tonang 110 so as to be firmly fixed to the base ground 10SE of the structure.

상기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는 수직 바아부(163A)와 수평 바아부(163B)를 구비한 기역자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가 녹화 토낭(110)에 의해 눌려져서 하향 회동되고 복수개 바텀 그립 바아(165)는 수직 방향으로 상향 회동되는데, 녹화 대상 구조물(10) 앞쪽의 지중(10ET)에는 케이스(166)가 설치되어, 상기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수평 바아부(163B)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수직 바아부(163A)는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는 한편, 수평 바아부(163B)는 상기 케이스(166)에 들어가서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가 하향 회동될 때에 수평 바아부(163B)가 녹화 대상 구조물(10) 앞쪽의 지반(10SE)에 걸려서 제대로 회동되지 못하는 경우는 방지될 수 있다.The bottom support operation bar 163 is composed of a bar shape having a vertical bar portion 163A and a horizontal bar portion 163B, so that the bottom support operation bar 163 is pressed by the greening tonang 110 It rotates downward and the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rotate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ase 166 is installed in the ground 10ET in front of the structure to be recorded 10 so that the bottom support operation bar 163 rotates downward. In the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bar part 163B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bar part 163A is laid d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bar part 163B enters the case 166 and the bottom support operation bar 163 When is rotated downward, the case where the horizontal bar portion 163B is caught on the ground 10SE in front of the structure to be recorded 10 and is not properly rotated can be prevent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녹화 대상 구조물(10)에 상하 좌우 방향으로 다수개가 적층 설치되는 복수개의 녹화 토낭(110) 중에서 최하층의 녹화 토낭(110)을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 위에 최하층의 녹화 토낭(110)이 얹어 놓으면, 녹화 토낭(110)의 무게에 의해 복수개의 바텀 그립 바아(165)가 상향 회동되어 최하층의 녹화 토낭(110)을 보다 견고하게 그립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녹화 대상 구조물(10)에 녹화 구조물을 보다 더 견고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plurality of greening tongs 110 stacked and install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n the structure 10 to be recorded, the lowest layer of the greening tongs 110 is placed on the plurality of bottom support operation bars 163 to form the lowest layer of greening tongs 163. When the greening bag 110 is placed on top of it, the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are rotated upward by the weight of the greening bag 110 to more firmly grip and fix the greening bag 110 on the lowest layer. 10)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install the greening structure more firmly and safely.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in all respects,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 녹화 대상 구조물 10SE. 지반
10ET. 지중 10DH. 천공홀
10CL. 콘크리트층 110. 녹화 토낭
112. 톤백 112FL. 거치 지지 플랩
114. 식생토 120. 백거치대
122. X축 하부 바아 123. Y축 하부 바아
124. X축 상부 바아 125. Y축 상부 바아
126. 제1포지션 직립 바아 127. 제2포지션 직립 바아
132. 앵커링 슬리브 132CP. 나선형 돌기
132AH. 앵커링 관통홀 134. 마감캡
136. 지지 고리
142. 서포트 밴드 144. 밴드측 고리부재
144CP. 결합 지지핀 144EL. 탄성부재
152. X축 그립퍼 HG. 힌지
154. Y축 그립퍼
162. 바텀 프레임 163. 바텀 지지 작동 바아
163A. 수직 바아부 163B. 수평 바아부
165. 바텀 그립 바아 166. 케이스
10. Recording structure 10SE. ground
10ET. Underground 10DH. perforation hole
10CL. Concrete layer 110. Greening tonnage
112. Tone Bag 112FL. Mounting Support Flap
114. Vegetation soil 120. Bag stand
122. X-axis lower bar 123. Y-axis lower bar
124. X-axis upper bar 125. Y-axis upper bar
126. First position upright bar 127. Second position upright bar
132. Anchoring sleeve 132CP. spiral turning
132AH. Anchoring through hole 134. Finishing cap
136. Support rings
142. Support band 144. Band side ring member
144 CP. Combined support pin 144EL. elastic member
152. X-axis gripper HG. hinge
154. Y-axis gripper
162. Bottom frame 163. Bottom support actuation bar
163A. Vertical baubu 163B. horizontal bar
165. Bottom grip bar 166. Case

Claims (3)

내부에 식생토(114)가 충전된 다수의 녹화 토낭(110)을 녹화 대상 구조물(10)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적층하여 녹화 구조물을 조성하고,
상기 녹화 토낭(110)은, 내부에 충전 공간부를 구비하고 내외표면으로 관통된 다수의 식생홀을 구비한 톤백(112), 상기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채워진 식생토(114)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토(114)에는 녹화용 식물 종자가 심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톤백(112)은 백거치대(120)에 거치되어 톤백(112) 상단부의 투입구가 열린 상태에서 톤백(112) 내부의 열려있는 투입구를 통해서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충전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백거치대(120)는 다수의 바아가 육면체 프레임 형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톤백(112) 거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백거치대(120) 내부의 백수용부에 상기 톤백(112)을 수용하여 톤백(112)의 상단 투입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투입하여 충전한 상태에서 상기 식생토(114)에 녹화용 식물 종자를 심어서 녹화 토낭(110)을 형성하고, 상기 녹화 토낭(110)을 옹벽과 같은 구조물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를 적층하고, 다수개의 녹화 토낭(110)의 식생토(114)에 심어진 식물 종자가 발아하여 톤백(112)의 다수개의 식생홀을 통해서 식물이 자라나오면서 구조물에 녹화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백거치대(120)는,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X축 하부 바아(122), 상기 X축 가로 바아에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Y축 하부 바아(123), 상기 X축 하부 바아(122)에 직립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포지션 직립 바아(126), 상기 Y축 하부 바아(123)에 직립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포지션 직립 바아(126)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2포지션 직립 바아(127), 상기 제1포지션 직립 바아(126)에 제1상부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X축 상부 바아(124), 상기 제2포지션 직립 바아(127)에 제2상부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Y축 상부 바아(125)를 포함하며, 상기 백거치대(120)의 내부에 톤백(112)을 수용하고, 톤백(112)의 상부쪽 둘레부를 상기 X축 상부 바아(124)와 Y축 상부 바아(125)에 고정되도록 지지하여 톤백(112)의 상단 개방부를 열어준 상태에서 톤백(112)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식생토(114)를 충전하도록 구성되고,
녹화 대상 구조물(10)의 기저 지반(10SE)에는 바텀 지지 구조물을 더 설치하여 상하 좌우 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녹화 토낭(110) 중에서 최하층의 녹화 토낭(110)을 상기 바텀 지지 구조물에 의해 더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텀 지지 구조물은, 바텀 프레임(162), 상기 바텀 프레임(162)에 힌지(HG)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바텀 프레임(162)의 내측 영역에 배치된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 상기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에 기단부가 연결되어 바텀 프레임(162)의 바깥쪽 영역에 배치된 복수개의 바텀 그립 바아(165)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 위에 녹화 토낭(110)이 올려지기 이전에는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의 상단부쪽이 바텀 프레임(162)의 위쪽으로 돌출되고, 동시에 복수개의 바텀 그립 바아(165)는 바텀 프레임(162)의 바깥쪽에서 벌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 위에 최하층의 녹화 토낭(110)이 얹혀지면 녹화 토낭(110)의 무게에 의해 복수개의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가 바텀 프레임(162)과 연결된 힌지(HG)를 기준으로 동시에 하향 회동되고, 동시에 복수개의 바텀 그립 바아(165)는 녹화 토낭(110)의 외주면 쪽으로 상향 회동되어 복수개의 바텀 그립 바아(165)에 의해 최하층의 녹화 토낭(110)을 구조물의 기저 지반(10SE)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는 수직 바아부(163A)와 수평 바아부(163B)를 구비한 기역자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가 녹화 토낭(110)에 의해 눌려져서 하향 회동되고 복수개 바텀 그립 바아(165)는 수직 방향으로 상향 회동되는데, 녹화 대상 구조물(10) 앞쪽의 지중(10ET)에는 케이스(166)가 설치되어, 상기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수평 바아부(163B)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수직 바아부(163A)는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는 한편, 수평 바아부(163B)는 상기 케이스(166)에 들어가서 바텀 지지 작동 바아(163)가 하향 회동될 때에 수평 바아부(163B)가 녹화 대상 구조물(10) 앞쪽의 지반(10SE)에 걸려서 제대로 회동되지 못하는 경우가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토낭을 이용한 녹화 구조물.
A plurality of greening soil bags 110 filled with vegetation soil 114 are stacked on the greening target structure 10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form a greening structure,
The greening tonang 110 includes a tone bag 112 having a filling space inside and having a plurality of vegetation 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nd the vegetation soil 114 filled in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Including, the vegetation soil 114 is configured so that plant seeds for greening are planted, and the tone bag 112 is mounted on the bag holder 120 and the inside of the tone bag 112 with the inlet at the top of the tone bag 112 open. The planting soil 114 is filled in the fill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through the open inlet, and the bag holder 120 has a number of bars connected in a hexahedron frame shape to form a tone bag 112 inside.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mounting space is formed, and the tone bag 112 is accommodated in the bag accommodating part inside the bag holder 120, and vegetation grows in the charging space inside the tone bag 112 in a state in which the top inlet of the tone bag 112 is opened. Plant seeds for greening are planted in the vegetation soil 114 in a state in which the soil 114 is charged and filled to form a greening soil 110, and the greening soil 110 is placed on a structure such as a retaining wall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plurality of them are stacked, and plant seeds planted in the vegetation soil 114 of the plurality of greening soil bags 110 germinate and plants grow through the plurality of vegetation holes of the tone bag 112 so that a greening structure is formed on the structure,
The bag holder 120 is made of plastic or concrete, and at least two or more X-axis lower bars 122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X-axis horizontal bars through a connector and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At least two or more Y-axis lower bars 123 and X-axis lower bars 122 are connected to the upright connectors and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two or more first position upright bar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126), at least two or more second position erecting bar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Y-axis lower bar 123 through an upright connector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position erecting bar 126 (127), at least two or more X-axis upper bars 124 arranged side by side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upright bar 126 via a first upper connector, and to the second position upright bar 127 It includes at least two Y-axis upper bars 125 connected via the second upper connector and disposed side by side, and accommodates the tone bag 112 inside the bag holder 120, Vegetation soil ( 114) is configured to charge,
A bottom support structure is further installed in the base ground 10SE of the structure to be recorded 10 so that the greening tongs 110 of the lowest layer among the plurality of greening tongs 110 stack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re made more solid by the bottom support structure. constructed to support
The bottom support structure includes a bottom frame 162, a plurality of bottom support actuation bars 163 connected to the bottom frame 162 through a hinge HG and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bottom frame 162, The base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pport operation bar 163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disposed in the outer area of the bottom frame 162, and the plurality of bottom support operation bars 163 are green tongs ( 110) is raised,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bottom support actuating bars 163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frame 162, an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spread out from the outside of the bottom frame 162. is maintained, and when the lowest layer of the greening bag 110 is placed on the plurality of bottom support operation bars 163, the plurality of bottom support operation bars 163 are moved to the bottom frame 162 by the weight of the greening bag 110.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are rotated upward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eening tonang 110, and the bottom grip bar 165 rotates downward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hinge (HG) connected to 110) is configured to be firmly fixed to the base ground (10SE) of the structure,
The bottom support operation bar 163 is composed of a bar shape having a vertical bar portion 163A and a horizontal bar portion 163B, so that the bottom support operation bar 163 is pressed by the greening tonang 110 It rotates downward and the plurality of bottom grip bars 165 rotate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ase 166 is installed in the ground 10ET in front of the structure to be recorded 10 so that the bottom support operation bar 163 rotates downward. In the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bar part 163B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bar part 163A is laid d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bar part 163B enters the case 166 and the bottom support operation bar 163 A greening structure using a greening tonna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vent a case in which the horizontal bar portion 163B is caught on the ground 10SE in front of the target structure 10 and cannot rotate properly when is rotated downw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32995A 2023-03-14 2023-03-14 Plant planting structure utilizing plants planting soil bag KR1025423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995A KR102542373B1 (en) 2023-03-14 2023-03-14 Plant planting structure utilizing plants planting soil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995A KR102542373B1 (en) 2023-03-14 2023-03-14 Plant planting structure utilizing plants planting soil b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373B1 true KR102542373B1 (en) 2023-06-13

Family

ID=8676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995A KR102542373B1 (en) 2023-03-14 2023-03-14 Plant planting structure utilizing plants planting soil b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373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718U (en) * 1990-03-20 1991-12-10
JP2006076694A (en) * 2004-09-08 2006-03-23 節雄 ▲菅▼野 Support stand of garbage bag
KR100753214B1 (en) * 2006-05-10 2007-08-30 신승종 Bag for mending incline plane, block of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reof
KR100788934B1 (en) 2007-03-16 2007-12-27 주식회사 보강테크 Greening segmental retaining wall
KR100838276B1 (en) 2007-06-12 2008-06-17 (주)대한지오이엔씨 Green retaining wall using vegetation ma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90113984A (en) 2008-04-29 2009-11-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A method of revegetation for retaining wall using field-flowers
KR100968518B1 (en) 2010-01-28 2010-07-0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green retaining wall
KR20140004197U (en) * 2012-12-26 2014-07-09 장성군 Apparatus for supporting a collecting bag of grass sod
JP2020101028A (en) * 2018-12-25 2020-07-02 有限会社ビーネクスト Open bag holding devic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718U (en) * 1990-03-20 1991-12-10
JP2006076694A (en) * 2004-09-08 2006-03-23 節雄 ▲菅▼野 Support stand of garbage bag
KR100753214B1 (en) * 2006-05-10 2007-08-30 신승종 Bag for mending incline plane, block of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reof
KR100788934B1 (en) 2007-03-16 2007-12-27 주식회사 보강테크 Greening segmental retaining wall
KR100838276B1 (en) 2007-06-12 2008-06-17 (주)대한지오이엔씨 Green retaining wall using vegetation ma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90113984A (en) 2008-04-29 2009-11-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A method of revegetation for retaining wall using field-flowers
KR100968518B1 (en) 2010-01-28 2010-07-0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green retaining wall
KR20140004197U (en) * 2012-12-26 2014-07-09 장성군 Apparatus for supporting a collecting bag of grass sod
JP2020101028A (en) * 2018-12-25 2020-07-02 有限会社ビーネクスト Open bag holding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19718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7880A (e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blocks therefor
US6695544B2 (en) Environment resistant retaining wall planter block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0813236B1 (en) The structure for a slope reinforcement and eco slope reinforcement method
KR102542373B1 (en) Plant planting structure utilizing plants planting soil bag
KR100536620B1 (en) A block for a retaining wall and a residences of fishes
KR101137323B1 (en) Plant germination bag with plant germination pocke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packing plate for fixing plant germination bag
KR100481160B1 (en) The retaining wall for a block
KR100935176B1 (en) A road slope keeping for ecological planting and method
KR100631379B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JP2000087397A (en) Structural body having hollow part
KR200442424Y1 (en) The block for a breast wall with grass growing structure
BR112016005019B1 (en) APPLIANCES AND METHODS TO DENSIFY AND COMPACT GRANULAR MATERIALS
KR101017979B1 (en) Environment garden-stone retaining wall
KR20210021212A (en) Green sloping ground eco-friendly Gavion structure
KR200420342Y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JP307429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greening retaining wall block
KR101183539B1 (en) Plant growing block
JP6915800B2 (en) Construction method of crushed stone structure and crushed stone structure
KR101073972B1 (en) External member, retaing wall for planting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H0325123A (en) Construction of built-up type retaining wall
FI90490B (en) Planting box for street trees
JP4540032B2 (en) Slope greening method
KR100736827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hexahedron burlap bag using linkage unit
KR100892080B1 (en) Slope block capable of vegetation, and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the same
KR20140094376A (en) Retaining wal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