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360B1 -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360B1
KR102542360B1 KR1020180008439A KR20180008439A KR102542360B1 KR 102542360 B1 KR102542360 B1 KR 102542360B1 KR 1020180008439 A KR1020180008439 A KR 1020180008439A KR 20180008439 A KR20180008439 A KR 20180008439A KR 102542360 B1 KR102542360 B1 KR 102542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user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637A (ko
Inventor
박영인
임성민
김수민
김영현
박한진
심석영
이태훈
최창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360B1/ko
Priority to US16/961,129 priority patent/US20200344517A1/en
Priority to PCT/KR2018/016178 priority patent/WO2019146916A1/ko
Publication of KR2019008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대기 화면은, 복수의 컨텐츠가 분류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대기 화면에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포함된 정보의 변화에 따라 대기 화면을 변경 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기능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히 방송 컨텐츠를 재생할 뿐만 아니라, 미적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명화, 풍경 사진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그림 및 사진이 정적으로 존재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는 없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 모드에서 동작하는 대기 화면을 표시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화면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가 분류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변경된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변경된 대기 화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컨텐츠 모드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컨텐츠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엘리먼트의 변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의 삭제, 새로운 엘리먼트의 추가, 상기 엘리먼트의 크기 또는 색상의 변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배경 영상 레이어 및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오브젝트 레이어에 외부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날씨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화면은,상기 복수의 컨텐츠가 분류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변경된 대기 화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컨텐츠 모드에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컨텐츠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엘리먼트의 변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의 삭제, 새로운 엘리먼트의 추가, 상기 엘리먼트의 크기 또는 색상의 변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배경 영상 레이어 및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오브젝트 레이어에 외부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날씨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 화면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대기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다양한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자 장치는 셋톱 박스(Settop-Box), OTT 장치(Over the Top device)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영상 신호를 수신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양한 컨텐츠 화면을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이해를 위해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동작 모드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 모드 중 하나인 제1 동작 모드는 일반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1 동작 모드는 전자 장치에 기 저장된 컨텐츠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방송을 전자 장치의 전체 화면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모드이다. 설명의 편의상 제1 동작 모드로 명명하였으나, 다르게는, 노멀 모드나, 컨텐츠 모드 등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컨텐츠 모드라 한다.
한편, 제1 동작 모드 시에는, 일반 영상을 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특정의 컨텐츠 오브젝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의 컨텐츠 오브젝트는 일반 영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으며, 시청 가능한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또 다른 동작 모드인 제2 동작 모드는 대기 화면에서의 영상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2 동작 모드는 엠비언트 모드, 대기 화면 모드, 대기 모드 등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대기 모드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개시에 다른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서버(200) 및 외부 전자 장치(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대기 화면은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TV,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Digital Video Disk player),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0)는 서버(200)로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외부 전자 장치(30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엑세서리 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텍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 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외부 전자 장치(300)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Digital Video Disk player),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외부 전자 장치(300)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외부 전자 장치(300)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으로부터 수신한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대기 화면을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단일 서버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에서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300)가 서로 통신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300)는 서버(200)를 통하지 않고 통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전자 장치(100), 서버(200) 및 외부 전자 장치(30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자 장치(100) 혼자서 전자 장치(100) 및 서버(20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전자 장치(100)가 전자 장치(100),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서버(200)로부터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특히, 전자 장치(100)가 컨텐츠 모드로 동작되는 동안 디스플레이(120)는 외부 소스(예를 들어, 방송국, 서버, DVD 등)로부터 획득된 영상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되는 동안 디스플레이(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대기 화면 정보에 대응되는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2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대기 화면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00)에 기 저장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대기 화면 정보를 바탕으로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대기 화면은, 복수의 컨텐츠가 분류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카테고리는 스포츠 카테고리,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 음악 카테고리 등 다양할 수 있으며, 복수의 엘리먼트는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데이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데이터는, 외부 전자 장치(300)에서 입력된 북마크 정보, 스케줄 정보, 메모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외부 전자 장치(300) 가 IoT로 연결된 다양한 장치인 경우, 다양한 장치에서 감지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300)가 도어락인 경우, 데이터는 문이 열린 상태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조명인 경우, 데이터는 조명이 켜지거나 꺼진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시청 예약 정보에 대한 데이터, 관심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 등일 수 있다.
또는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한 데이터 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데이터는 주로 북마크 데이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상술한 다양한 데이터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술한 다양한 데이터가 입력되어 복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데이터의 변경에 따라 복수의 엘리먼트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엘리먼트 중 하나의 엘리먼트가 스포츠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엘리먼트이고, 스포츠 카테고리에 100개의 스포츠 URL에 대한 북마크 정보가 포함된 경우, 스포츠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엘리먼트는 100개의 북마크 정보에 대응되는 크기(또는 색상, 질감, 이미지 등)일 수 있다.
이때, 엘리먼트의 변경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먼트의 크기가 변하거나, 색상이 변하거나, 질감이 변하거나, 새로운 이펙트(애니메이션 효과, 다양한 필터의 적용)가 추가될 수 있다.
이때,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변경된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변경된 대기 화면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엘리먼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300)가 복수의 북마크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 경우, 서버(200)는 수신한 북마크 정보를 복수의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대기 화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변경된 대기 화면 정보에 따라 복수의 엘리먼트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전송한 복수의 북마크 정보가 스포츠 카테고리 및 음악 카테고리에 관한 북마크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스포츠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엘리먼트 및 음악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엘리먼트의 크기(또는 (또는 색상, 질감, 이미지 등)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엘리먼트의 변경이란,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의 삭제, 새로운 엘리먼트의 추가, 상기 엘리먼트의 크기 또는 색상의 변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대기 화면은 대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대기 모드에서 상술한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모드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30)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서버(200)로부터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대기 모드로 동작하거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엘리먼트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20)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200)로부터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20)에 전원이 인가되는 조건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서버(200)로부터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대기 모드에서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 주변에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서버(200)로부터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대기 모드에서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20)가 컨텐츠 모드에서 동작하다가 대기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20)가 컨텐츠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서버(200)로부터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동작 모드가 대기 모드로 변경될 때 서버(200)로부터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 외에도 프로세서(130)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4시간)을 주기로 서버(200)로부터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예를 들어, 새벽 시간대, 또는 사용자 행동을 바탕으로 결정된 시간)에 서버(200)로부터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배경 영상 레이어 및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프로세서(130)는 오브젝트 레이어에 외부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날씨 그래픽 오브젝트 또는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시계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120), 메모리(140), 프로세서(130), 방송 수신부(150), 신호 분리부(155), A/V 처리부(160), 오디오 출력부(165), 영상 신호 생성부(170), 센서(175), 조작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 생략, 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신호 분리부(155), A/V 처리부(160), 영상 신호 생성부(170)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후술하는 A/V 처리부(160), 영상 신호 생성부(170)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1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단말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 리모컨)로부터 제어 명령 또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10)는 서버(200)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하여 대기 화면 정보, 날씨 정보등을 취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취득한 날씨 정보를 이용하여 배경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통신부(110)는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120)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감지 센서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백라이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백라이트는 복수의 광원으로 구성되는 점광원으로, 로컬 디밍을 지원한다.
여기서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광원은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백라이트를 발광 다이오드와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나, 구현시에는 LED 이외에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다양한 로컬 디밍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는 복수의 광원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액정화면 전체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일 수 있다. 이 경우, 백라이트는 Full-Array 로컬 디밍 또는 Direct 로컬 디밍으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Full-Array 로컬 디밍은 LCD 화면 뒤에 전체적으로 광원이 고르게 전체적으로 배치되며, 각 광원별 휘도 조절을 수행하는 디밍 방식이다. 그리고 Direct 로컬 디밍은 Full-Array 로컬 디밍 방식과 유사하나 보다 작은 광원의 개수로 각 광원별 휘도 조절을 수행하는 디밍 방식이다.
또한, 백라이트는 LCD의 테두리 부분에만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는 엣지형(Edge type) 백라이트일 수 있다. 이 경우, 백라이트는 Edge-lit 로컬 디밍으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Edge-lit 로컬 디밍은 복수의 광원이 패널의 가장자리에만 배치되며, 좌/우에만 배치되거나, 상/하에만 배치되거나, 좌/우/상/하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디스플레이(120)는 배경 영상을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대기 화면은 대기 화면 레이어 및 그래픽 오브젝트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컨텐츠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주파수(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로 디스플레이(120)를 구동할 수 있으며,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2 주파수(예를 들어, 60Hz)로 디스플레이(12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낮은 주파수로 디스플레이(120)를 구동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부(150)는 안테나 또는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복조하여 디지털 전송 스트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 분리부(155)는 방송 수신부(150)에서 제공된 전송 스트림 신호를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부가정보 신호로 분리한다. 그리고 신호 분리부(155)는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A/V 처리부(160)로 전송한다.
A/V 처리부(160)는 방송 수신부(150) 및 메모리(14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비디오 스케일링,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A/V 처리부(160)는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생성부(170)로 출력하고,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165)로 출력한다. 이때, 영상 신호 생성부(17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컨텐츠 모드에 의한 컨텐츠 영상일 수 있다.
반면, 수신된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메모리(140)에 저장하는 경우, A/V 처리부(160)는 영상과 오디오를 압축된 형태로 메모리(140)에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5)는 A/V 처리부(16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하여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외부 출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로 출력한다.
영상 신호 생성부(170)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생성부(170)는 생성된 GUI를 A/V 처리부(160)에서 출력된 영상에 부가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생성부(170)는 GUI가 부가된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12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 및 영상 신호 생성부(170)에서 전달된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생성부(17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화면을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신호 생성부(170)에 의해 생성된 영상이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경우, 영상 신호 생성부(170)는 복수의 레이어를 그대로 출력하거나 복수의 레이어를 합성(또는 머징)하여 디스플레이(120)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40)는 A/V 처리부(160)로부터 영상과 오디오가 압축된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A/V 처리부(160)에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40)는 배경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4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80)는 터치 스크린, 터치패드, 키 버튼, 키패드 등으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조작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조작부(180)를 통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조작부(180)는 외부 제어 장치(예를 들어, 리모컨)로부터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센서(175)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랙션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175)로부터 감지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서, 센서(175)는 전자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30)은 감지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주변의 제1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1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 주변의 제2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2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2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 주변의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모두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1 대기 화면 및 제2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2 대기 화면을 합성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센서(175)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예로, 센서(175)는 조도 센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조도 센서를 통해 주변 조도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조도에 따라 대기 화면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 밖에 센서(175)는 IR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1 동작 모드 시에는 조작부(180)를 통하여 입력받은 제어 명령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 신호 생성부(170),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ROM(131), RAM(132), GPU(Graphic Processing Unit)(133), CPU(134) 및 버스를 포함하는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ROM(131), RAM(132), GPU(Graphic Processing Unit)(133), CPU(134)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34)는 메모리(14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된 운영체제(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CPU(134)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ROM(131)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34)는 ROM(131)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40)에 저장된 O/S를 RAM(132)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34)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32)에 복사하고, RAM(132)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133)는 전자 장치(100)의 부팅이 완료되면,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GPU(133)는 전자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배경 영상에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GPU(133)에서 생성된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은 영상신호 생성부(170)을 통해 출력 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GPU 구성은 영상 신호 생성부(170)와 같은 별도의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 내의 CPU와 결합된 SoC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롬, 램, GPU 등과 구분되는 별개의 부품으로 구현되어, 다른 프로세서 및 메모리들과 연동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와 대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서로 다른 방법으로 전자 장치(100)의 각각의 구성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모든 구성에 대하여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대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일부 구성에 전원을 인가하고, 나머지 구성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120), 메모리(140), 방송 수신부(150), 신호 분리부(155), A/V 처리부(160), 오디오 출력부(165), 영상 신호 생성부(170), 센서(175), 조작부(18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120), 메모리(140), 센서(175)에는 전원을 인가하고, 그외 나머지 구성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구성에만 전원을 인가하고,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구성에 대하여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130)가 대기 모드에서 통신부(110), 디스플레이(120), 메모리(140), 센서(175)에는 전원을 인가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는 구성이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대기모드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특정 구성의 전원을 인가하거나 인가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30)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통신부(1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프로세서(13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통신부(1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서버(200)로부터 대기 화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30)는 기 설정된 시간에만 통신부(110)에 전원을 인가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만, 서버(200)로부터 대기 화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경우라면, 프로세서(130)는 항상 통신부(110)에 전원을 인가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주변에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에는 통신부(110)에 전원을 인가하고, 전자 장치(100) 주변에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부(11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방법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대기 모드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구성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대기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9b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8b의 대부분의 실시예에서는, 좌측의 대기 화면은 현재 대기 화면을 나타내고, 우측 대기 화면은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변경된 대기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은 복수의 블록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 엘리먼트 각각은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되는 엘리먼트일 수 있다. 도 4a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은 일곱개의 블록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블록 엘리먼트는 예를 들어, 스포츠 카테고리, 음식 카테고리, 음악 카테고리, 경제 카테고리, 자동차 카테고리, 건강 카테고리 및 게임 카테고리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엘리먼트(410)이 스포츠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엘리먼트라고 할 때, 블록 엘리먼트(410)의 크기는 스포츠와 관련된 북마크의 개수에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다. 이때, 스포츠와 관련된 북마크가 추가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새로운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도 4a의 우측에 도시된 블록 카테고리(410)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스포츠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북마크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스포츠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블록 엘리먼트(420)의 크기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블록 엘리먼트들의 크기는 각각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북마크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블록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특정 조건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케쥴과 관련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이 입력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스케줄의 시작 시간 전후로, 블록 엘리먼트(410)을 빨간색 블록 엘리먼트(420)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블록 엘리먼트가 빨간색으로 변경된 것을 보고, 지금 해야할 스케줄이 존재한다고 생각할 수 있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특정 시간(정각, 매시 30분 등)에는 블록 엘리먼트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매시 29분~매시31분 사이에는 블록 엘리먼트의 색상을 파란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블록 엘리먼트의 색상 변화를 보고, 현재 시간을 대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록 엘리먼트는 카테고리와 관련된 썸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썸네일은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썸네일일 수 있으며, 기존 그림의 패턴과 질감의 효과를 적용한 썸네일일 수 있다. 이때, 썸네일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화면은 평소에는 도 4c의 좌측과 같이 블록 엘리먼트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 대기 화면은 도 4c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엘리먼트에 썸네일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주변에 없거나 멀리 있는 경우에는 블록 엘리먼트만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근처로 접근한 경우 썸네일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은 일반 풍경 사진일 수 있다. 도 5와 같은 경우에도 도 4a 내지 도 4c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대기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는 풍경 사진 속의 건물, 나무 등일 수 있다. 이때,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변경된 대기 화면의 정보를 수신하여 도 5의 우측과 같이 대기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변경된 데이터에 따라 건물 및 나무 엘리먼트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조건을 만족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프레임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기 저장된 사용자 스케줄의 시작 시간에 프레임을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기 저장된 방송 예약 시간에 프레임을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내에 접근한 경우, 프레임을 노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프레임의 색상 뿐만 아니라 프레임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특정 조건을 만족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프레임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IoT 시스템의 일부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의 변화에 따라 프레임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는 IoT시스템의 일부인 도어락이 열리는 동작을 감지한 경우, 프레임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IoT 시스템의 일부인 조명이 켜지는 동작을 감지한 경우, 프레임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대기 화면에 새로운 엘리먼트가 추가되거나 새로운 대기 화면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주변에 있음을 감지하고, 제1 사용자와 관련된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주변에 제1 사용자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주변에 접근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 7a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에 대한 엘리먼트를 축소하고,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에 대한 엘리먼트를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도 7a의 실시예와 같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내지 제3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를 통해 전자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는 주변의 사용자의 신원을 파악하지는 않고, 사용자의 숫자만을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전자 장치(100)주변의 사용자가 1명인 경우, 도 7a의 좌측과 같이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전자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가 3명인 경우, 도 7a의 우측과 같이 세개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새로운 데이터에 따라 대기 화면을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전자 장치(100)가 도 7b의 좌측과 같은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여행과 관련된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7b의 우측과 같이, 여행과 관련된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전자 장치가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엘리먼트(좌측 엘리먼트) 및 제2 사용자에 대응되는 엘리먼트(우측 엘리먼트)는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엘리먼트 및 제2 사용자에 대응되는 엘리먼트는 각각 제1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대기 화면이 도 8a의 좌측과 같은 상태에서 제1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8a의 우측과 같이 제1 사용자에 대한 엘리먼트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엘리먼트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 주변에 제3 사용자가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8b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사용자에 대응되는 엘리먼트(우측 하단 엘리먼트)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화면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다양한 대기 화면에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추가로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시계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지정한 다양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는 별도의 그래픽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배경 영상 레이어(910) 및 그래픽 오브젝트 레이어(92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래픽 오브젝트 레이어(920)는 배경 영상 레이어(910) 앞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b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배경 영상 레이어(910) 및 그래픽 오브젝트 레이어(920) 만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외 다양한 레이어가 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그림자에 대한 그림자 레이어 등을 더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1010). 이때,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는 각각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데이터의 양, 각각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데이터의 양에 대응되는 엘리먼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1020). 이대, 대기 화면은 상술한 다양한 방법에 의해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 (예: 모듈들 또는 전자 장치(100)) 또는 방법 (예: 동작들)은, 예컨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유지되는(maintain)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instructions)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예: 프로세서 12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예: 프로세서 13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110)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로,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 (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 (예: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저장 매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구성의 일부로 포함되나, 전자 장치(100)의 포트(port)를 통하여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기기(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다른 전자 기기)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복수의 저장 매체에 나누어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 때, 복수의 저장 매체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 기기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통신부
120: 디스플레이 130: 프로세서

Claims (16)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화면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가 분류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1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제1 대기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제2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제1 엘리먼트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크기가 감소된 복수의 제1 엘리먼트와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2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대기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대기 화면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컨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대기 화면 상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의 크기는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관련된 컨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변경된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변경된 대기 화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컨텐츠 모드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컨텐츠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의 변경은,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의 삭제, 새로운 엘리먼트의 추가, 상기 엘리먼트의 크기 또는 색상의 변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배경 영상 레이어 및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오브젝트 레이어에 외부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날씨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화면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가 분류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방법은,
    제1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1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대기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제2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제1 엘리먼트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크기가 감소된 복수의 제1 엘리먼트와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제2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대기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대기 화면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컨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 화면 상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의 크기는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관련된 컨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대기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변경된 대기 화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컨텐츠 모드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컨텐츠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대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의 변경은,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의 삭제, 새로운 엘리먼트의 추가, 상기 엘리먼트의 크기 또는 색상의 변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배경 영상 레이어 및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오브젝트 레이어에 외부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날씨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80008439A 2018-01-23 2018-01-23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42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39A KR102542360B1 (ko) 2018-01-23 2018-01-23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6/961,129 US20200344517A1 (en) 2018-01-23 2018-12-19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8/016178 WO2019146916A1 (ko) 2018-01-23 2018-12-19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39A KR102542360B1 (ko) 2018-01-23 2018-01-23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637A KR20190089637A (ko) 2019-07-31
KR102542360B1 true KR102542360B1 (ko) 2023-06-13

Family

ID=67395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439A KR102542360B1 (ko) 2018-01-23 2018-01-23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44517A1 (ko)
KR (1) KR102542360B1 (ko)
WO (1) WO201914691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001B1 (ko) 2006-02-10 2007-08-08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쉬형 멀티미디어 콘텐츠정보서비스방법
JP2009140509A (ja) 2009-01-14 2009-06-25 Intromobile Co Ltd 移動通信端末装置、移動通信端末装置を用いた待ち画面のリソース制御及び運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201B1 (ko) * 2004-04-27 2006-04-03 (주)인트로모바일 이동통신 단말 장치를 위한 대기화면 리소스 제어 및 운용장치와 방법
KR100665851B1 (ko) * 2004-10-05 2007-01-10 주식회사 엑스씨이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31093A (ko) * 2009-06-05 2010-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KR20160019448A (ko) * 2013-06-14 2016-02-19 톰슨 라이센싱 사용자 행동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윈도우의 크기를 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001B1 (ko) 2006-02-10 2007-08-08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쉬형 멀티미디어 콘텐츠정보서비스방법
JP2009140509A (ja) 2009-01-14 2009-06-25 Intromobile Co Ltd 移動通信端末装置、移動通信端末装置を用いた待ち画面のリソース制御及び運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6916A1 (ko) 2019-08-01
KR20190089637A (ko) 2019-07-31
US20200344517A1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89732B (zh) 通过虚拟环境共享信息的设备和方法
CN110036365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920065B (zh) 资讯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5019910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8007560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06060B1 (ko) 전자 장치의 효과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80174555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2620073B1 (ko)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0832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JP2020513581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方法
KR20160094078A (ko)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5005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2014012752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추천정보 제공 방법
KR102373170B1 (ko)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동시에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18030112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thereof
EP3817394B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13630569B (zh) 显示设备及显示设备的控制方法
KR20180071873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3148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eb service
KR20160039864A (ko) 미리보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254236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35649A (ko)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의 선호도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20942B1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45101A (ko) 콘텐트를 외부 장치와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콘텐트 공유 방법
CN112399235A (zh) 一种智能电视的摄像头拍照效果增强方法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