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265B1 - 건축물 내장재 - Google Patents

건축물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265B1
KR102542265B1 KR1020200180153A KR20200180153A KR102542265B1 KR 102542265 B1 KR102542265 B1 KR 102542265B1 KR 1020200180153 A KR1020200180153 A KR 1020200180153A KR 20200180153 A KR20200180153 A KR 20200180153A KR 102542265 B1 KR102542265 B1 KR 102542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uilding interior
less
interior material
cati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474A (ko
Inventor
이석봉
정승문
윤삼훈
서주환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180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26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24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C03C25/26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 C03C25/32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3C25/321Starch; Starch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4Minerals of vulcanic origin
    • C04B14/18Per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6Rock wool ; Ceramic or silicate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는 무기계 섬유 및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양이온기와 음이온기를 모두 포함하며, 양이온기와 음이온기의 비율(양이온기/음이온기)이 1 초과 20 이하인 양쪽성 전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난연 성능을 갖고, 경량성을 통해 우수한 흡음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이와 동시에, 개선된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내장재{INTERIOR MATERIOR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나 바닥 또는 천장의 내장 시공을 위한 건축용 패널들은 화재 발생시 불에 잘 타지 않고 유독 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는 난연성 재료를 이루어진다. 이러한 난연성 재료 중 대표적인 것이 석고 패널이다. 이러한 석고 패널 중에서 보드류의 석고 패널은 보드에 별도의 마감재를 덧대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감재로는 페인트나 벽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최근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쾌적한 실내 생활이 점차 요구되면서, 실내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을 흡음시켜 실내의 소음을 억제시키도록 흡음성을 갖는 방음 패널이 요구된다. 실내의 소음을 최소화 해야하는 특성상, 이러한 패널은 우수한 통기성을 가져야 하므로, 소재 내 높은 공극률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공극률이 우수할수록, 경량성 및 흡음성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기공이 많아지므로 하중에 저항하는 능력인 제품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시공 과정에서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제품의 강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는데, 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내장재의 주성분인 다공성 섬유 자체의 강도를 높이거나, 강화 섬유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난연성을 만족해야하는 건축물 내장재의 특성상 경량화하면서도 강도를 개선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난연 성능을 가지면서, 경량성을 유지하여 우수한 흡음성을 가지면서도 개선된 강도를 갖는 건축물 내장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난연 성능을 갖고, 경량성을 통해 우수한 흡음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이와 동시에, 개선된 강도를 갖는 건축물 내장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축물 내장재를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건축물 내장재는 무기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계 섬유는 수많은 미세 구멍이나 가는 틈을 가짐으로써 통기성을 갖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무기계 섬유는 미네랄 울(mineral wool), 글라스 울(glass wool), 락 울(rock wool), 스톤 울(stone wool), 슬래그 울(slag wo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공성 섬유에 음이 입사되면 음파는 구멍이나 틈 속의 공기로 전달되어 재료의 내부로 침투되고, 이 때, 입사된 음 에너지의 일부는 재료의 틈 속에서 공기의 마찰에 의하여, 다공성 섬유는 흡음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무기계 섬유는 건축물 내장재를 기준으로 2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건축물 내장재를 기준으로 무기계 섬유의 하한은 22 중량% 이상, 24 중량% 이상, 26 중량% 이상, 28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2 중량% 이상, 34 중량% 이상, 36 중량% 이상, 38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2 중량% 이상, 44 중량% 이상, 46 중량% 이상, 48 중량% 이상, 또는 50 중량%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78 중량% 이하, 76 중량% 이하, 74 중량% 이하, 72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8 중량% 이하, 66 중량% 이하, 64 중량% 이하, 62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8 중량% 이하, 56 중량% 이하, 또는 54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무기계 섬유를 상기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는 우수한 흡음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건축물 내장재는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바인더는 양이온기와 음이온기를 모두 포함하며, 양이온기와 음이온기의 비율, 즉, 양이온기/음이온기가 1 초과이면서 20 이하인 양쪽성 전분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양이온기와 음이온기의 비율(양이온기/음이온기)의 하한이 1.1 이상, 1.2 이상, 1.3 이상, 1.5 이상, 1.7 이상, 1.9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이 19 이하, 18 이하, 17 이하, 16 이하, 15 이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또는 5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는 양이온기와 음이온기의 비율이 특정 범위를 만족하는 바인더를 포함함으로써, 경량성을 유지하여 우수한 흡음성을 가질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성들 간의 결합을 방해받지 않을 정도로 건축물 내장재의 전하가 우수한 밸러스를 유지하면서도, 건축물 내장재를 이루는 무기계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 및 점토 등의 조성들과 바인더 간 응집력이 보다 향상되어 개선된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양쪽성은 전분의 전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분이 양이온기와 음이온기를 동시에 함유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양쪽성 전분은 일반 전분 또는 변성 전분을 음이온 화합물 및 양이온 화합물을 이용하여 치환 반응을 통해 음이온기와 양이온기가 동시에 도입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양쪽성 전분은 일반 전분 또는 변성 전분을 음이온 화합물을 이용하여 습식 치환 반응시킨 후, 양이온 화합물을 이용하여 건조 치환 반응 시켜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양쪽성 전분에 있어서, 음이온 화합물 및 음이온 화합물로의 치환은, 양이온기 치환도 0.01 내지 0.09, 음이온기 치환도 0.001 내지 0.03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치환도는 전분을 에스테르화 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영어로, 예를 들어, 치환도가 0.01이라 함은 100개의 글루코스 단위 중 평균 1개의 수산기가 다른 작용기로 에스테르화 되었다는 의미이다. 일 예로서, 양쪽성 전분의 치환도를 계산하는 식은 전분 1몰 분자량을 전분 함량으로 나눈 후, 양이온 화합물과 음이온 화합물 분자량의 합으로 나눈 값이다.
본 발명에서 양이온 화합물이란 일반 전분 또는 변성 전분에 양이온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분자의 한쪽 끝은 전분 분자 내의 하이드록시기와 결합할 수 있는 반응기를 갖고 다른 한쪽 끝은 양이온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양이온 화합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양이온 화합물은 아민기 또는 암모늄 기를 포함하는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아민기는 특히 3차 아민기일 수 있고, 양이온 화합물은 예를 들어, 2-디알킬아미노클로로알칸 히드로클로라이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 및 이들의 할로히드린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양이온 화합물로 3-클로로-2-히드록시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CHPTAC), 2,3-에폭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EPTAC) 등의 4차 암모늄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전분 또는 변성 전분에 음이온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음이온 화합물로는 푸마르산, 아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비닐아세트산, 및 이들의 알칼리 토금속염 및 금속염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나아가, 일반전분은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및 밀 전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고, 변성전분은 일반전분에 산화, 에스테르, 에테르, 그라프트 또는 효소로 처리된 전분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바인더는 건축물 내장재를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건축물 내장재를 기준으로 바인더의 하한은 5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9.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또는 10.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9.5 중량% 이하, 19 중량% 이하, 18.5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7.5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6.5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5.5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4.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5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5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또는 11.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인더를 상기 특정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난연성을 가지면서도 흡음성이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바인더는 하기에서 후술하는 셀룰로오스 섬유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 내지 2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셀룰로오스 섬유 100 중량부 대비 바인더는 110 중량부 이상, 115 중량부 이상, 120 중량부 이상, 125 중량부 이상, 130 중량부 이상, 135 중량부 이상, 140 중량부 이상, 145 중량부 이상, 150 중량부 이상, 155 중량부 이상, 157 중량부 이상, 160 중량부 이상, 163 중량부 이상, 165 중량부 이상, 167 중량부 이상, 170 중량부 이상, 173 중량부 이상, 175 중량부 이상, 177 중량부 이상, 180 중량부 이상, 또는 183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고, 또한, 207 중량부 이하, 205 중량부 이하, 203 중량부 이하, 200 중량부 이하, 197 중량부 이하, 195 중량부 이하, 193 중량부 이하, 190 중량부 이하, 187 중량부 이하, 또는 18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바인더와 셀룰로오스가 상기 특정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는 충분한 결합력을 가짐으로써, 보다 우수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건축물 내장재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는 상기 바인더와 더불어 결합제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 섬유는 건축물 내장재의 강도를 열화시키지 않는 것이라면,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정제된 종이 섬유 및 목재 섬유로부터 얻어진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셀룰로오스 섬유는 건축물 내장재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건축물 내장재를 기준으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하한은 2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또는 6 중량%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9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또는 7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건축물 내장재의 물리적 물성이 향상되며, 난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건축물 내장재는 퍼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퍼라이트는 일 예로서 팽창된 퍼라이트 일 수 있다. 특히, 퍼라이트는 비중 0.15 내지 0.25 로서 건축물 내장재 자체의 중량을 낮추어 경량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와 동시에 소음 흡수 특성을 더욱 개선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퍼라이트는 건축물 내장재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건축물 내장재를 기준으로 퍼라이트의 하한은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29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7 중량% 이하, 26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3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21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9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또는 1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퍼라이트는 상기 특정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의 경량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흡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건축물 내장재는 점토를 포함할 수 있다. 비섬유 충전제는 고령토(kaolinite), 규조토(diatomite), 헥토라이트(hectorite),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파이로필라이트(pyrophyllite), 라포나이트(laponite), 몬트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운모(mica), 일라이트(illite), 질석(vermiculite), 벤토나이트(bentonite), 활석(talc), 스멕타이트(smectite), 아타풀자이트(attapulgite), 세피올라이트(sepoilite), 칼사이트(calcite), 석고(gypsum),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토는 화염에 노출되어도 타지 않는 대신, 소결되는 것으로 우수한 난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토는 건축물 내장재를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건축물 내장재를 기준으로 점토의 하한은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6 중량% 이상, 17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19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 일 수 있고, 그 하한은 29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7 중량% 이하, 26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3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또는 2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건축물 내장재의 난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는 특정 기능을 부여할 목적으로 여러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수력 및 백색도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물로 발수제, 응집제, 응결제, 탄산칼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첨가제를 목적에 적합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내장재 총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의 굴곡 강도는 0.6 MPa 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서, 건축물 내장재 굴곡강도의 하한은 0.61 MPa 이상, 0.62 MPa 이상, 0.63 MPa 이상, 0.64 MPa 이상, 0.65 MPa 이상, 0.66 MPa 이상, 0.67 MPa 이상, 0.68 MPa 이상, 0.69 MPa 이상, 0.7 MPa 이상, 0.75 MPa 이상, 0.8 MPa 이상, 0.85 MPa 이상, 0.9 MPa 이상, 0.95 MPa 이상, 1 MPa 이상, 1.05 MPa 이상, 1.1 MPa 이상, 1.15 MPa 이상, 1.2 MPa 이상, 또는 1.3 MPa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100 MPa 이하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의 굴곡 파괴 하중은 150 N 이상일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건축물 내장재의 굴곡 파괴 하중의 하한은 155 N 이상, 160 N 이상, 165 N 이상, 170 N 이상, 200 N 이상, 230 N 이상, 250 N 이상, 270 N 이상, 300 N 이상, 또는 330 N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제한되지 않으나, 1000 N 이하일 수 있다.
이 때, 굴곡 파괴하중 및 굴곡 강도는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nsile machine)를 이용하여 25˚C 및 상대 습도 50 ± 10 %에서 측정한 것일 수 있으며, 건축물 내장재를 길이 150mm x 너비 50 mm x 두께 35mm 크기의 시편으로 준비하고, 상기 시편을 지지대 위에 올려 놓은 뒤, 시편의 지지 간격을 100 mm로 고정하여 50 mm/min의 하중 속도로 수직으로 하중을 가하여 상기 시편이 파단되는 시점에서의 최대 하중(N) 및 강도(MPa)을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는 경량화를 충분히 구현하면서도, 상기 특정 조성을 포함함으로써 그 강도가 우수하므로, 시공 과정에서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는 습식 펠트, 건식 펠트 등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에 제하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는 무기계 섬유, 바인더 등을 물에 묽게 희석하여 펠트로 성형하는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충분히 해면된 무기계 섬유와 배합된 조성물을 장망의 펠트에 쏟아 붓고 자연 탈수 시킨 후, 진공 펌프의 압력으로 조성물 내에 포함된 자유 수분을 강제로 탈수시키고, 이후 두께를 조정하기 위한 프레스에서 상부 및 하부에서 진공 압력을 가하여 추가적으로 탈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스된 생판은 가공판의 규격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재단된 후,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는 무기계 섬유, 바인더 등 특정 조성을 포함함으로써, 제조 과정에서 생산성의 저하 등의 문제 없이, 충분한 난연성 및 경량화를 만족하고 기존의 고밀도 제품과 동등한 수준의 강도를 갖는 것으로, 건물 천장이나 내벽의 마감재, 일 예로서, 천장판 또는 바닥재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는 난연 성능을 갖고, 경량성을 통해 우수한 흡음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이와 동시에, 개선된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굴곡 파괴 하중 및 굴곡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example)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들; Examples]
실시예 1
무기계 섬유로 미네랄 울 53 중량%, 바인더로 양이온기와 음이온기의 비율(양이온기/음이온기)이 5인 양쪽성 전분 11 중량%, 펄프 6 중량%, 퍼라이트로 팽창된 퍼라이트 10 중량%, 점토로 카올리나이트 2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각 중량%는 건축재 내장물을 기준으로 함) 350 g을 4 L의 물에 투입한 후 약 30분간 교반한 다음, 여과지를 통해 물을 제거한 후 120˚C의 오븐에서 충분히 건조시켜 수분을 휘발시켜 건축물 내장재를 얻었다.
실시예 2
바인더로 양이온기와 음이온기의 비율(양이온기/음이온기)이 10인 양쪽성 전분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3
바인더로 양이온기와 음이온기의 비율(양이온기/음이온기)이 1.33인 양쪽성 전분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비교예 1
바인더로 양쪽성 전분이 아닌 비이온성 전분인 식용 타피오카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여기서, 비이온성 전분이란 일반전분 또는 변성전분을 별도로 음이온 화합물 및 양이온 화합물로 치환시키는 반응을 수행하지 않아, 음이온기와 양이온기가 도입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비교예 2
무기계 섬유로 미네랄 울 53 중량%, 바인더로 양이온기와 음이온기의 비율(양이온기/음이온기)이 5인 양쪽성 전분 6 중량%, 펄프 11 중량%, 퍼라이트로 팽창된 퍼라이트 10 중량%, 점토로 카올리나이트 20 중량%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실험예>
1. 굴곡 파괴하중 및 굴곡 강도
굴곡 파괴하중 및 굴곡 강도는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nsile machine)를 이용하여 25˚C 및 상대 습도 50 ± 10 %에서 측정하였으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건축물 내장재를 길이 150mm x 너비 50 mm x 두께 35mm 크기의 시편으로 준비하고, 상기 시편을 지지대 위에 올려 놓은 뒤, 시편의 지지 간격을 100 mm로 고정하고 50 mm/min의 하중 속도로 수직으로 하중을 가하여 상기 시편이 파단되는 시점에서의 최대 하중(N) 및 강도(MPa)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굴곡 파괴 하중
(N)
335.2 320 170 68.5 145.3
굴곡 강도(MPa) 1.38 1.30 0.69 0.28 0.59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무기계 섬유, 바인더, 셀룰로오스 섬유, 퍼라이트, 및 점토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양이온기와 음이온기를 모두 포함하며, 양이온기와 음이온기의 비율(양이온기/음이온기)이 1 초과 20 이하인 양쪽성 전분을 포함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를 1 내지 20 중량%, 상기 퍼라이트를 5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점토를 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건축물 내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굴곡강도가 0.6 MPa 이상인 건축물 내장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양이온기와 음이온기의 비율(양이온기/음이온기)이 2 이상 10 이하인 양쪽성 전분을 포함하는 건축물 내장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양이온기와 음이온기의 비율(양이온기/음이온기)이 3 이상 7 이하인 양쪽성 전분을 포함하는 건축물 내장재.
  5.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계 섬유는 미네랄울, 글라스울, 락울, 스톤울, 슬래그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건축물 내장재.
  6.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계 섬유는 3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건축물 내장재.
  7.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계 섬유는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건축물 내장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양쪽성 전분은 일반 전분 또는 변성 전분을 음이온 화합물 및 양이온 화합물을 이용하여 치환 반응을 통해 음이온기와 양이온기가 동시에 도입된 건축물 내장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양이온 화합물은 아민기 또는 암모늄기를 포함하는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건축물 내장재.
  10. 제 8 항에 있어서,
    음이온 화합물은 푸마르산, 아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비닐아세트산, 및 이들의 알칼리 토금속염 및 금속염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건축물 내장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바인더는 7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건축물 내장재.
  12. 제 1 항에 있어서,
    바인더는 8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건축물 내장재.
  13. 제 1 항에 있어서,
    바인더는 9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건축물 내장재.
  14. 제 1 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섬유, 퍼라이트, 및 점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건축물 내장재.
  15. 삭제
KR1020200180153A 2020-12-21 2020-12-21 건축물 내장재 KR102542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153A KR102542265B1 (ko) 2020-12-21 2020-12-21 건축물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153A KR102542265B1 (ko) 2020-12-21 2020-12-21 건축물 내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474A KR20220089474A (ko) 2022-06-28
KR102542265B1 true KR102542265B1 (ko) 2023-06-12

Family

ID=8226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153A KR102542265B1 (ko) 2020-12-21 2020-12-21 건축물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2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5583A (ja) * 2003-12-10 2007-12-06 イノベイティブ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アンド ビルディング マテリアルズ, エルエルシー 有機・無機複合材
JP4761567B2 (ja) * 2006-12-28 2011-08-31 ニチアス株式会社 無機繊維質成形体
JP2018535906A (ja) * 2015-09-25 2018-12-06 ユーエスジー・インテリアズ・エルエルシー 吸音天井タイ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96B1 (ko) * 2010-12-17 2013-04-08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양쪽성 전분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5583A (ja) * 2003-12-10 2007-12-06 イノベイティブ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アンド ビルディング マテリアルズ, エルエルシー 有機・無機複合材
JP4761567B2 (ja) * 2006-12-28 2011-08-31 ニチアス株式会社 無機繊維質成形体
JP2018535906A (ja) * 2015-09-25 2018-12-06 ユーエスジー・インテリアズ・エルエルシー 吸音天井タイ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474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28737B (zh) 使用壳聚糖的声学建材
US8062565B2 (en) Low density non-woven material useful with acoustic ceiling tile products
KR102143447B1 (ko) 미네랄 섬유계 천장 타일
EP3353132B1 (en) Acoustical ceiling tile
RU2550385C2 (ru) Бесформальдегидное покрытие для панелей, включающее сополимер поликислот и порошок алюмосиликата кальция
ES2675366T3 (es) Placa acústica a base de lana mineral mejorada por fibra de vidrio
KR102542265B1 (ko) 건축물 내장재
KR20140075641A (ko) 천장타일 기초매트
JP7426175B2 (ja) 疎水剤で表面処理されたウールおよびそれから作製された音響パネル
KR101677847B1 (ko) 흡음 천장재
CN111549563B (zh) 一种扬声器用阻燃纸盆及其制备方法
KR20220022309A (ko) 흡음천장재
JPH0647826A (ja) 建築用繊維板の製造方法
JP2003011259A (ja) 無機質ボード
KR101475315B1 (ko) 친환경 건축재
KR102649370B1 (ko) 암면 보드
US20230035178A1 (en) High Acoustic and Low Density Basemat
RU2771545C2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влаги из акустических панелей
JPS6054440B2 (ja) 鉱物質繊維板の製造方法
JPH09328837A (ja) 剛性不燃石膏ボード
CN117844265A (zh) 隔离材料及其制备方法
JP5623945B2 (ja) 調湿パネル
JP2002255615A (ja) 調湿性建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