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129B1 - Emergency evacuation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Emergency evacuation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129B1
KR102542129B1 KR1020210058802A KR20210058802A KR102542129B1 KR 102542129 B1 KR102542129 B1 KR 102542129B1 KR 1020210058802 A KR1020210058802 A KR 1020210058802A KR 20210058802 A KR20210058802 A KR 20210058802A KR 102542129 B1 KR102542129 B1 KR 102542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disaster
route
evacuation route
centr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1490A (en
Inventor
곽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스트컨트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스트컨트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스트컨트롤
Priority to KR102021005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129B1/en
Publication of KR20220151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4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1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구조물의 구획된 구분구역별로 출입통제를 위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출입통제 단말기로부터 출입자의 출입 정보가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B) 건물 내부에 분산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재난감지 센서가 재난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중앙 제어 서버가 구조물의 구획 정보, 출입문 위치, 계단 위치, 완강기 위치를 포함하는 기존의 구조물 정보와, 상기 출입자의 출입 정보 및 상기 재난 발생 위치 및 종류를 고려하여 최적대피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설정된 최적대피경로에 따라 대피 경로 안내수단을 통하여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재난발생 시 대피 인원의 유동량을 고려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선정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대피 경로를 안내하고 대피 인원의 집중으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of a visitor to a central control server from a plurality of access control terminals installed for access control for each divided zone of a structure; (B)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by a plurality of disaster detection sensors distributed inside the building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occurrence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C) The central control server sets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n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structure information including the structure's division information, door position, stair position, descending station position, access information of the visitor, and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and type. doing; And (D) guiding an evacuation route through an evacuation route guide means according to the set optimal evacuation route. By selecting an evacuation route, there is an effect of effectively guiding an evacuation route and preventing secondary damage due to concentration of evacuation personnel.

Figure 112021052717896-pat00002
Figure 112021052717896-pat00002

Description

재난대피 통제 방법{EMERGENCY EVACUATION CONTROL METHOD}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EMERGENCY EVACU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재난대피 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출입통제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재실 인원 및 위치 정보와 재난발생 정보, 기존의 구조물 정보를 기초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선정하여 효과적으로 안내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select and effectively guide an optimal evacuation route based on occupancy and lo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a plurality of access control controllers, disaster occurrence information, and existing structure information It is about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s.

최근 복잡한 내부 구조를 띠고 있는 대형 복합건물들이 신축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 건물들은 한 층에서도 비상대피로 및 계단이 복수 개일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보안 시설 및 유휴 공간이 많다.Recently, large complex buildings with complex internal structures are being built. These complex buildings not only have multiple emergency escape routes and stairs on one floor, but also have many security facilities and idle spaces.

이에, 복합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되면, 해당 건물을 처음 방문하는 사람들은 건물 내부의 지리에 익숙하지 않아 비상 대피로를 통해 출구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Accordingly, whe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s in a complex building, it is very difficult for first-time visitors to the building to find an exit through an emergency evacuation route because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interior geography of the building.

또한, 건물 내 상주하는 사람들이라 하더라도 연기와 소음 등으로 당황한 상태에서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고 신속히 비상 대피로를 찾지 못하거나, 재난발생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잘못된 대피 경로로 이동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In addition, even people residing in the building frequently fail to secure visibility in a state of panic due to smoke and noise and cannot quickly find an emergency evacuation route, or move to the wrong evacuation route because they cannot quickly identify the location of a disaster. is happening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화재 등의 재난 발생 시 피난 경로를 신속하게 안내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various systems for promptly guiding evacuation rout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fire have been developed and provided.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의 재실 인원 및 이동 시 이동량을 고려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대피 경로만은 제공하여 이동 인원의 집중에 의한 2차 피해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was a problem such as secondary damage caused by the concentration of moving personnel by providing only a preset evacuation route as shown in FIG.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9322호(2016.02.19)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19322 (2016.02.19)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8327호(2019.11.18)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28327 (2019.11.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출입통제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재실 인원 및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재난발생 시 대피 인원의 유동량을 고려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선정하여 효과적으로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timize the evacuation considering the flow of evacuation personnel in case of a disaster based on the number of occupants and lo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a plurality of access control terminal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that can effectively guide an evacuation route by selecting a route.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기 설치된 출입통제 장치와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부가설비 없이 사용자에게 최적의 대피 경로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that can intuitively provide an optimal evacuation route to a user without additional facilities using a pre-installed access control device and lighting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A) 구조물의 구획된 구분구역별로 출입통제를 위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출입통제 단말기로부터 출입자의 출입 정보가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B) 건물 내부에 분산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재난감지 센서가 재난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중앙 제어 서버가 구조물의 구획 정보, 출입문 위치, 계단 위치, 완강기 위치를 포함하는 기존의 구조물 정보와, 상기 출입자의 출입 정보 및 상기 재난 발생 위치 및 종류를 고려하여 최적대피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설정된 최적대피경로에 따라 대피 경로 안내수단을 통하여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of a visitor from a plurality of access control terminals installed for access control for each divided zone of a structure to a central control server; ; (B)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by a plurality of disaster detection sensors distributed inside the building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occurrence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C) The central control server sets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n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structure information including the structure's division information, door position, stair position, descending station position, access information of the visitor, and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and type. doing; And (D) guiding an evacuation route through an evacuation route guidance means according to the set optimum evacuation rout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재난대피 통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최적대피경로 설정은, (a) 구분구역별 재실 인원을 파악하는 단계; (b) 재난 발생에 따른 이동 불가 구역을 설정하는 단계; (c) 구분구역별 대피 수단 및 대피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대피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of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comprises: (a) determining the number of occupants in each section; (b) setting a non-movable zon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c) setting evacuation means and evacuation destinations for each zone; And (d) setting a movement path to the evacuation destina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이동 경로는, 구분구역을 통과하는 경로를 포함하여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ement path may be set including a path passing through the division area.

그리고, 상기 최적대피경로 설정은, (e) 이동 경로상에 포함된 보안구역에 재실 인원이 없는 경우, 경로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optimum evacuation route may further include (e) resetting the route when there are no occupants in the security area included in the movement route.

또한, 상기 최적대피경로 설정은, (f) 전체 구분구역별 통합된 이동 경로상 중첩된 이동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및 (g) 상기 이동 경로 중첩 구역의 이동 인원이 제한값 이상인 경우, 중첩 경로에 포함된 구분구역 중 최소 재실 인원을 갖는 구분구역의 이동 경로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ting of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may include (f) calculating a movement route overlapped with an integrated movement route for each section; and (g) resetting the movement path of the divisional area having the minimum number of occupants among the divisional areas included in the overlapping route when the number of moving persons in the movement route overlapping reg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imit value.

그리고, 상기 재난감지 센서는, 화재감지 센서 및 유독가스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fire detection sensor and a toxic gas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대피 수단은, 도보 이동, 엘리베이터 이동 및 완강기 이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cuation mean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walking movement, elevator movement, and descending movement.

그리고, 상기 대피 목적지는, 지상, 피난 안전층 및 옥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And, the evacuation destina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round, an evacuation safety floor, and a rooftop.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최적대피경로에 포함되는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may automatically open the door included in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최적대피경로에 포함되는 보안구역에 재실 인원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보안구역의 출입문은 자동 개방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central control server may exclude doors of the security area from being automatically open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no occupants in the security area included in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또한, 상기 대피 경로 안내는, 상기 중앙 제어 서버가, 대피 경로 구간의 조명을 점등시키고, 상기 대피 경로 구간 이외 구간의 조명을 소등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may be made by the central control server turning on lights in an evacuation route section and turning off lights in sections other than the evacuation route section.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대피 경로 구간의 조명을 이동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시킴으로써 대피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evacuation route guidance by sequentially flickering lights in an evacuation route section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대피 경로에 포함되지 않은 구분구역에 대하여 재실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재실자가 인식된 구분구역의 조명을 기 설정된 주기 및 간격으로 점멸시켜, 구조 대상자 재실이 확인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when an occupant is recognized in a sectioned area not included in an evacuation route, blinks lights in the sectioned area where the occupant is recogniz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intervals so that the occupancy of the person to be rescued is confirmed. it could be

그리고, 상기 기 설정된 주기 및 간격은, 모스부호 상의 구조 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And, the predetermined period and interval may be set according to a distress signal on Morse code.

또한, 상기 대피 경로 안내는, 모바일 ID 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a mobile ID app.

그리고, 상기 대피 경로 안내는, 출입통제 단말기에 설치된 LCD 디스플레이(LCD display)를 통하여 대피 경로가 안내되는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may be guidance of an evacuation route through an LCD display installed in the access control terminal.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재난대피 훈련시 설정되어 제공된 대피 경로별 재실 인원에 따른 대피 결과를 누적 저장하고, 상기 누적 저장된 대피 경로별 대피 결과를 학습하여 상기 (d) 단계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accumulates and stores evacuation results according to occupants for each evacuation route set and provided during disaster evacuation training, and sets the movement route in step (d) by learning the accumulated and stored evacuation results for each evacuation route. it may b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통제 방법은 각 구분구역별로 설치된 복수의 출입통제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재실 인원 및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재난발생 시 대피 인원의 유동량을 고려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선정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대피 경로를 안내하고 대피 인원의 집중으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n optimal evacuation route considering the flow of evacuees in case of a disaster based on the number of occupants and lo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a plurality of access control terminals installed for each section. By selecting, there is an effect of effectively guiding an evacuation route and preventing secondary damage caused by concentration of evacuation personne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구역에 재실 인원이 없는 경우 보안구역을 우회하여 대피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재난발생을 이용한 기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an evacuation route by bypassing the security area when there are no occupants in the security area,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confidential leakage us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설치된 출입통제 장치와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부가설비 없이 사용자에게 최적의 대피 경로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ntuitively providing an optimal evacuation route to a user without additional facilities by using a pre-installed access control device and a ligh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피 경로 이외의 구역에서 재실 인원이 확인된 경우, 구조가 필요한 구분구역의 위치를 구조자에게 기 설정된 방식으로 알림으로써 신속하게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ccupant is confirmed in an area other than an evacuation route, a rescuer is notified of the location of a section area requiring rescue in a preset manner, thereby enabling rapid rescue of a human lif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재난대피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통제 방법에 적용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통제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통제 방법 있어서, 최적대피경로 설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상기 최적대피경로 설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상기 최적대피경로 설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saster evac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applied to the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setting an optimal evacuation route in the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setting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setting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implementation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본 발명은 복수의 출입통제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재실 인원 및 위치 정보와 재난발생 정보, 기존의 구조물 정보를 기초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선정하여 효과적으로 안내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for selecting and effectively guiding an optimal evacuation route based on occupant and lo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a plurality of access control terminals, disaster occurrence information, and existing structure inform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재난대피 통제 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통제 방법에 적용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Hereinafter, the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regar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applied to the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재난대피 통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크게 출입통제 단말기(100)와. 출입인증 수단(200)과, 재난감지 센서(300) 및 중앙 제어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n access control terminal 1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ccess authentication means 200, a disaster detection sensor 300, and a central control server 400.

상기 출입통제 단말기(100)는 관공서나 대기업 등이 입주하고 있는 대형 건물이나 백화점 등과 같은 구조물에 있어서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물의 구획된 구분구역별로 각각의 출입문에 설치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terminal 100 is for controlling the access of users in a structure such as a department store or a large building in which government offices or large corporations are located, and may be installed at each door for each divided zone of the struc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입통제 단말기(100)에는 블루투스나 NFC 통신 등을 이용하는 모바일 카드 리더기가 구비되어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control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mobile card reader using Bluetooth or NFC communication, so that access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출입인증 수단(200)은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소지하면서 상기 출입통제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조물 내외로의 출입을 인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카드 리더기에 적용 가능한 모바일 ID 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ss authentication means 200 is for authenticating access to and from the structure through the access control terminal 100 while being individually possessed by the user, preferably using a mobile ID app applicable to the mobile card reader. can

상기 재난감지 센서(300)는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재난의 종류와 재난발생 위치 등을 상기 중앙 제어 서버(4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재난감지 센서(300)로는 화재감지 센서 및 유독가스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조물 내의 적정 위치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300 is for transmitting the type of disaster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when a disaster occur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3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e detection sensor and a toxic gas detection sensor, and may be installed in multiple units at appropriate locations in the structure.

여기에서, 상기 화재감지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열감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의 열을 감지하는 경우, 이를 중앙 제어 서버(40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독가스감지 센서는 염소 가스 등과 같은 독성 가스가 구조물 내부에서 누출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중앙 제어 서버(400)로 전송하게 된다.Here, the fire detection sensor may preferably use a heat detection sensor, and when heat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is detected, it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 In addition, the toxic gas detection sensor detects when toxic gas such as chlorine gas leaks from the inside of the structure and transmits it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상기 중앙 제어 서버(400)는 재난발생시 그 규모 및 위치 등을 파악하여 구조물 내의 모든 시설을 제어하고,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여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controls all facilities in the structure by grasping the scale and loca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sets and guides an optimal evacuation route,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통제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난대피 통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은 출입통제 단말기(100)로부터 출입자의 출입 정보가 중앙 제어 서버(400)로 전송된다(S100). 이에 의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서버(400)는 구조물 내의 구획된 구분구역별로 재실 인원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게 된다.First,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visitor is transmitted from the access control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S100). As a result,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grasps the number of occupants in real time for each divided zone in the structure.

이어서, 구조물 내에서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건물 내부에 분산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재난감지 센서(300)가 재난발생을 감지하여 중앙 제어 서버(400)로 전송하게 된다(S200). 이때 중앙 제어 서버(400)로 전송되는 재난발생 정보로는 재난발생 위치 및 종류, 재난발생 규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s in the structure, a plurality of disaster detection sensors 300 distributed inside the building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and transmit the result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S200). At this time, disaster occurrenc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may include the location and type of disaster occurrence, the scale of disaster occurrence,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재난발생 정보를 수신한 중앙 제어 서버(400)는, 구조물 내부의 각각의 구분구역에 대한 구획 정보, 출입문 위치, 계단 위치, 완강기 위치 등을 포함하는 기존의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된 구조물 정보와, 상기와 같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출입자의 출입 정보 및 재난발생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대피경로'를 설정하게 된다(S300).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receiving the disaster occurrenc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s structure information input to the existing database including division information for each division area inside the structure, door location, stair location, descending station lo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visitor and the disaster occurrence information input in real time as described above (S300).

이어서, 상기와 같이 '최적대피경로'가 설정되면, 중앙 제어 서버(400)는 상기 설정된 '최적대피경로'에 따라 대피 경로 안내수단을 통하여 대피 경로를 안내하게 된다(S400).Subsequently, when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guides the evacuation route through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means according to the set 'optimal evacuation route' (S400).

이하에서는 상기 '최적대피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 내지 도 6은 '최적대피경로'를 설정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setting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is regard, FIGS. 4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setting an 'optimal evacuation route'.

다시 도 3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재난발생 정보를 수신한 중앙 제어 서버(400)는, 구조물 내의 각 구분구역별 재실 인원을 파악하고(S310), 이어서 상기 재난발생 정보에 의거하여 재난이 발생한 구역에 대하여 이동 불가 구역을 설정하게 된다(S320). 상기와 같이 이동 불가 구역을 설정한 후, 중앙 제어 서버(400)는 이를 고려하여 각 구분구역별 대피 수단 및 대피 목적지를 설정한 후(S33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분구역별로 대피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S340). 이때 상기 대피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는 대피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3 and 4 to 6 ,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that has received disaster information first identifies the number of occupants in each section in the structure (S310), and then based on the disaster information Thus, a non-movable area is set for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S320). After setting the non-movable zone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sets the evacuation means and evacuation destination for each zone in consideration of this (S330), and then for each zone as shown in FIG. A movement route to the evacuation destination is set (S340). At this time, the movement path to the evacuation destination may be set as the shortest path to the evacuation destin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피 수단은, 예를 들어 도보 이동이나,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이동 또는 완강기를 이용한 이동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 목적지는, 지상으로의 대피 또는 피난 안전층으로의 대피 또는 옥상으로의 대피를 포함하여 고려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피난 안전층이란, 건축법상 일정 층수 이상 고층 빌딩의 경우 빌딩 중간에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대피 지역을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cuation means,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walking or using an elevator is possible, movement using an elevator or movement using a descending machine may be considered. In addition, the evacuation destination may include evacuation to the ground, evacuation to an evacuation safety floor, or evacuation to a rooftop. Here, the evacuation safety floor refers to an evacuation area that must be installed in the middle of a building in the case of a high-rise building having a certain number of floors or more according to the Building Act.

이와 같이 각각의 구분구역별로 대피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가 설정되면, 중앙 제어 서버(400)는 전체 구분구역별 통합된 이동 경로상 중첩된 이동 경로를 산출하게 된다(S350). In this way, when the movement route to the evacuation destination is set for each divisional area,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calculates the movement route overlapped with the integrated movement route for each divisional region (S350).

이에 의하여 상기 이동 경로상 중첩 구역의 이동 인원이 제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중첩 구간의 이동 가능 제한 인원이 100명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 A 구역에는 이동경로 RA, RB, RD가 중첩되어 110명의 인원이 집중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중첩 경로에 포함된 구분구역 중 최소 재실 인원을 갖는 구분구역 D의 이동 경로 RD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설정하게 된다(S380). 이와 같이 하여 비상구 A 구역에는 대피인원이 100명, 비상구 B 구역에는 대피인원이 80명으로 분산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number of people moving in the overlapping area on the movement route exceeds the limit value,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move in the overlapping section is limited to 100, as shown in FIG . , R D overlap, resulting in a concentration of 110 personnel. In this case, the movement path R D of the section D having the minimum occupancy among the section areas included in the overlapping route is reset as shown in FIG. 5 (S380). In this way, the number of evacuees is distributed to 100 people in emergency exit area A and 80 people in emergency exit area B.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구분구역별로 설치된 복수의 출입통제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실시간 재실 인원 및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한 경우 대피 인원의 유동량을 고려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대피 인원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비상 계단 등과 같은 병목 지점에 대피 인원이 집중되어 부상 등이 발생하는 등과 같은 2차 피해를 방지할 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real-time number of occupants and lo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plurality of access control terminals 100 installed for each section as described above, optimal considering the flow of evacuees in case of a disaster such as fire. By setting the evacuation rout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perse the evacuation personnel and prevent secondary damage such as injury due to concentration of evacuation personnel at bottleneck points such as emergency stair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복도를 통과하는 경로뿐만 아니라 각 구분구역의 내부를 통과하는 경로를 포함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경로상에 포함된 보안구역에 재실 인원이 없는 경우에는, 굳이 보안구역의 출입문을 개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보안구역을 우회하는 방식으로 경로를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setting the movement path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set including a path passing through the hallway as well as a path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each division area. At this time, if there are no occupants in the security area included in the movement route, it is not necessary to open the door of the security area, so it is preferable to reset the route in a way to bypass the security area.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구역에 재실 인원이 없는 경우 보안구역을 관통하는 이동 경로 RC의 경로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구역을 우회하여 대피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재난발생을 이용하여 보안구역에 담당자 이외의 인원이 진입하여 기밀 사항이 누출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no occupant in the security area, the path of the movement path RC passing through the security area is set as an evacuation route by bypassing the security area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in which confidential information is leaked due to a person other than the person in charge entering the security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앙 제어 서버(400)는, 재난대피 훈련시 설정되어 제공된 대피 경로별 재실 인원에 따른 대피 결과를 누적 저장하고, 상기 누적 저장된 대피 경로별 대피 결과를 학습하여 상기 (d) 단계의 이동 경로를 설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accumulates and stores evacuation results according to occupants for each evacuation route set and provided during disaster evacuation training, and learns the accumulated and stored evacuation results for each evacuation route. ) steps may be set.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최적대피경로'가 설정된 후, 구조물 내의 재실 인원에게 상기 '최적대피경로'를 안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fter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s set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guiding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to occupants in th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먼저, '최적대피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중앙 제어 서버(400)는, '최적대피경로'에 포함되는 출입문(600)을 자동으로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최적대피경로'에 포함되는 보안구역에 재실 인원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보안 유지를 위하여 상기 보안구역의 출입문은 자동 개방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when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s set,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automatically opens the door 600 included in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no occupants in the security area included in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exclude the door of the security area from the automatic opening target in order to maintain security.

이와 동시에 상기 중앙 제어 서버(400)는, 대피 경로 구간의 조명(500)을 점등시키고, 상기 대피 경로 구간 이외 구간의 조명을 소등시킴으로써 구조물 내의 재실 인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이때 중앙 제어 서버(400)는, 대피 경로 구간의 조명(500)을 이동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시킴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대피 경로 안내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guides the occupants in the structure to the evacuation route by turning on the lighting 500 in the evacuation route section and turning off the lighting in sections other than the evacuation route section. At this time,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makes it possible to guide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more effectively by sequentially flickering the lighting 500 of the evacuation route sec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 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출입통제 장치와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대피 경로 안내를 위한 별도의 부가설비 없이 사용자에게 최적의 대피 경로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provide an optimal evacuation route to a user without additional facilities for guiding an evacuation route, using an access control device and a lighting device already installed in a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앙 제어 서버(400)는, 대피 경로에 포함되지 않은 구분구역에 대하여 재실자가 인식되는 경우, 재실자가 인식된 구분구역의 조명을 기 설정된 주기 및 간격으로 점멸시켜, 구조 대상자가 구조물 내부에 존재함이 확인되도록, 소방관 등 외부의 구조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주기 및 간격은, 모스부호 상의 구조 신호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when an occupant is recognized for a sectioned area not included in an evacuation route, blinks lights in the sectioned area where the occupant is recogniz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intervals,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subject exists inside the structure, an external rescuer such as a firefighter may be notified.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period and interval may be set according to a distress signal on Morse code.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대피 경로 이외의 구역에서 재실 인원이 확인된 경우, 구조가 필요한 구분구역의 위치를 구조자에게 기 설정된 방식으로 알림으로써 신속하게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ccupant is confirmed in an area other than an evacuation route, the rescuer is notified of the location of the section area requiring rescue in a preset manner, thereby having an effect of quickly rescuing a person. can

상기와 같이 구조물 내에서 조명을 이용한 대피 경로 안내 이외에, 상기 중앙 제어 서버(400)는, 모바일 ID 앱을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대피 경로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구조물 내부 지리에 익숙한 상시 거주자는 즉각적으로 대피 경로를 인식하여 신속하게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대피 경로 안내와 병행하여 중앙 제어 서버(400)는 사내 방송(700)을 통하여 재난발생 및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In addition to evacuation route guidance using lighting i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may transmit an evacuation route to each user through a mobile ID app. As a result, it is possible for permanent residents who are accustomed to the internal geography of the structure to immediately recognize an evacuation route and evacuate quickly. In addition, in parallel with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control server 400 can of course guide disaster occurrence and evacuation routes through the in-house broadcasting 700.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대피 경로 안내는, 얼굴 인식기, 홍채 인식기, 지문 인식기 등과 같은 출입통제 단말기(100)에 설치된 LCD 디스플레이(LCD display)를 통하여 대피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LCD 디스플레이에 대피 경로를 점멸식으로 안내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may be provided through an LCD display installed in the access control terminal 100, such as a face recognizer, an iris recognizer, or a fingerprint recognizer. That is, by guiding the evacuation route on the LCD display in a flickering manner, it is possible to guide the evacuation route to users in a variety of way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e lik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은 복수의 출입통제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재실 인원 및 위치 정보와 재난발생 정보, 기존의 구조물 정보를 기초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선정하여 효과적으로 안내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설치된 출입통제 장치와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부가설비 없이 사용자에게 최적의 대피 경로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for selecting and effectively guiding an optimal evacuation route based on occupant and lo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a plurality of access control controllers, disaster occurrence information, and existing structure information. There is an effect of intuitively providing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without additional facilities by using the pre-installed access control device and lighting device.

100 : 출입통제 단말기 200 : 출입인증 수단
300 : 재난감지 센서 400 : 중앙 제어 서버
500 : 대피 조명 600 : 출입문 도어락
700 : 스피커 1000 : 재난대피 통제 시스템
100: access control terminal 200: access authentication means
300: disaster detection sensor 400: central control server
500: evacuation lighting 600: door lock
700: speaker 1000: disaster evacuation control system

Claims (16)

(A) 구조물의 구획된 구분구역별로 출입통제를 위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출입통제 단말기로부터 출입자의 출입 정보가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B) 건물 내부에 분산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재난감지 센서가 재난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중앙 제어 서버가 구조물의 구획 정보, 출입문 위치, 계단 위치, 완강기 위치를 포함하는 기존의 구조물 정보와, 상기 출입자의 출입 정보 및 상기 재난 발생 위치 및 종류를 고려하여 최적대피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설정된 최적대피경로에 따라 대피 경로 안내수단을 통하여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최적대피경로 설정은,
(a) 구분구역별 재실 인원을 파악하는 단계;
(b) 재난 발생에 따른 이동 불가 구역을 설정하는 단계;
(c) 구분구역별 대피 수단 및 대피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대피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며:
상기 이동 경로는, 구분구역을 통과하는 경로를 포함하여 설정되되,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최적대피경로에 포함되는 보안구역에 재실 인원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보안구역의 출입문은 자동 개방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상기 이동 경로상에 포함된 보안구역에 재실 인원이 없는 경우, 상기 보안구역을 우회하는 경로로 경로를 재설정하며:
상기 대피 경로 안내는,
상기 중앙 제어 서버가, 대피 경로 구간의 조명을 이동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시킴으로써 대피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대피 경로 구간 이외 구간의 조명을 소등시킴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대피 경로에 포함되지 않은 구분구역에 대하여 재실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재실자가 인식된 구분구역의 조명을 기 설정된 주기 및 간격으로 점멸시켜, 구조 대상자 재실이 구조자에게 확인되도록 하되, 상기 기 설정된 주기 및 간격은, 모스부호 상의 구조 신호에 따라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
(A)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of a visitor to a central control server from a plurality of access control terminals installed for access control for each divided zone of the structure;
(B)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by a plurality of disaster detection sensors distributed inside the building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occurrence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C) The central control server sets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in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structure information including the structure's division information, door position, stair position, descending station position, access information of the visitor, and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and type. doing; and
(D) guiding an evacuation route through an evacuation route guidance means according to the set optimal evacuation route; and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setting is,
(a) identifying the number of occupants in each zone;
(b) setting a non-movable zon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c) setting evacuation means and evacuation destinations for each zone; and
(d) setting a movement route to an evacuation destination; and is performed including:
The movement path is set including a path passing through the division area,
The central control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no occupants in the security area included in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the door of the security area is excluded from the automatic opening target;
If there are no occupants in the security area included in the movement route, the route is reset to a route bypassing the security area: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The central control server causes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to be made by sequentially blinking lights in the evacuation route sectio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urns off the lights in sections other than the evacuation route sec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When an occupant is recognized in a sectioned area not included in the evacuation route, the lighting of the sectioned area in which the occupant is recognized is blinked at a preset cycle and interval so that the rescuer can confirm the occupancy of the person to be rescued.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is set according to the rescue signal on Morse c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감지 센서는,
화재감지 센서 및 유독가스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isaster detection sensor,
A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fire detection sensor and a toxic gas detection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수단은,
도보 이동, 엘리베이터 이동 및 완강기 이동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vacuation means,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walking movement, elevator movement and descending mo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목적지는,
지상, 피난 안전층 및 옥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vacuation destination is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cluding the ground, evacuation safety floor and roofto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최적대피경로에 포함되는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control server,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by automatically opening the door included in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통제 단말기는,
모바일 카드 리더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ccess control terminal,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mobile card read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자 출입 정보는,
상기 모바일 카드 리더기를 통하여 인식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visitor,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recognized through the mobile card rea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경로 안내는,
모바일 ID 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mobile ID ap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경로 안내는,
출입통제 단말기에 설치된 LCD 디스플레이(LCD display)를 통하여 대피 경로가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vacuation route is guided through an LCD display installed in the access control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재난대피 훈련시 설정되어 제공된 대피 경로별 재실 인원에 따른 대피 결과를 누적 저장하고,
상기 누적 저장된 대피 경로별 대피 결과를 학습하여 상기 (d) 단계의 이동 경로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피 통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control server,
Accumulated and stored the evacu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occupants for each evacuation route set and provided during disaster evacuation training,
Disaster evacuatio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route of the step (d) is set by learning the evacuation result for each of the accumulated and stored evacuation routes.
KR1020210058802A 2021-05-06 2021-05-06 Emergency evacuation control method KR1025421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802A KR102542129B1 (en) 2021-05-06 2021-05-06 Emergency evacuation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802A KR102542129B1 (en) 2021-05-06 2021-05-06 Emergency evacuation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490A KR20220151490A (en) 2022-11-15
KR102542129B1 true KR102542129B1 (en) 2023-06-12

Family

ID=8404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802A KR102542129B1 (en) 2021-05-06 2021-05-06 Emergency evacuation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1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661B1 (en) * 2023-04-14 2023-10-23 (주)백두기연 Descending device positioning system for evacuation in case of building fi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465B1 (en) * 2016-12-23 2017-06-29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Digital Door-Lock control system for a fire shelter
KR101890709B1 (en) * 2017-12-14 2018-08-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evacuating of disaster considering evacuation capac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658B1 (en) * 2013-01-15 2014-09-2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Evacuation providing Evacuation Simulation
KR101638972B1 (en) 2014-08-11 2016-07-12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Built-in structures smart for safe emergency evacu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KR102019438B1 (en) * 2017-11-28 2019-09-06 사단법인 지식융합원 Escaping direc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102049087B1 (en) 2018-05-08 2019-11-26 주식회사 씨지에스티앤에프 Disaster alarm system with evacuation guidance function using las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465B1 (en) * 2016-12-23 2017-06-29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Digital Door-Lock control system for a fire shelter
KR101890709B1 (en) * 2017-12-14 2018-08-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evacuating of disaster considering evacuation capac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490A (en)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883B1 (en)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for evacuee guidance
US8839914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fire evacuation priority
CN107851349B (en) Sequence of floors to be evacuated in a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JP4675890B2 (en) Elevator fire control equipment
US6873256B2 (en) Intelligent building alarm
KR101079735B1 (en) System for controling intelligence direction escape
MXPA03011688A (en)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of building occupants and a method for modernisation of an existing building with said system.
KR102019438B1 (en) Escaping direc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20180315150A1 (en) A control system for optimising emergency multi-storey building stairwell evacuation
JP6372851B2 (en) Evacuation support equipment
KR20190087719A (en) Location-based smart mask and smart mask system
JP5088362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KR20200013218A (en) Early fire detection system, server and method using image proces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deep learning
KR102325565B1 (en) method for drawing optimal escape route from fire
JP2003151057A (en) Escape guiding system at disaster in limited facilities
KR102226183B1 (en) Monitoring system for building occupant density using cctv,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542129B1 (en) Emergency evacuation control method
KR101650774B1 (en) Meht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Shelter Course
JP2005104630A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KR102081712B1 (en) Disaster safety integration system
KR102101815B1 (en) Evacuation path guidandce system using bluetooth
KR102233045B1 (e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618950B1 (en) System for guiding usage of evacuation route
KR20210080145A (en) Intelligent apparatus for dealing with fire and application of mobile terminal therewith
KR102673334B1 (en) Intelligent Evacuation Guide M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