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023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023B1
KR102542023B1 KR1020210064512A KR20210064512A KR102542023B1 KR 102542023 B1 KR102542023 B1 KR 102542023B1 KR 1020210064512 A KR1020210064512 A KR 1020210064512A KR 20210064512 A KR20210064512 A KR 20210064512A KR 102542023 B1 KR102542023 B1 KR 102542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flow path
chamber
cover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7016A (ko
Inventor
이종섭
김민규
박주언
조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06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023B1/ko
Priority to EP22805005.0A priority patent/EP4340655A1/en
Priority to PCT/KR2022/007179 priority patent/WO2022245152A1/en
Priority to CN202280034688.8A priority patent/CN117320574A/zh
Publication of KR2022015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액체를 저장하는 제1 챔버;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연통하는 삽입공간;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제2 챔버; 상기 제2 챔버와 외부를 연통하는 카트리지유입구; 상기 제2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연결되는 심지; 및 상기 심지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마주하고,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컬럼을 포함하고, 상기 컬럼과 상기 카트리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유입구와 외부를 연통하는 제1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부품 간 결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저장된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기체 유동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공기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액체 저장 공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액체를 저장하는 제1 챔버;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연통하는 삽입공간;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제2 챔버; 상기 제2 챔버와 외부를 연통하는 카트리지유입구; 상기 제2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연결되는 심지; 및 상기 심지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마주하고,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컬럼을 포함하고, 상기 컬럼과 상기 카트리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유입구와 외부를 연통하는 제1 유로가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부품 간 결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저장된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체 유동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액체 저장 공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 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바디(100), 카트리지(200) 및 캡(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로워바디(110)와 어퍼바디(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로워바디(110)는 내부에 배터리, 제어부 등 전력 공급이나 제어에 필요한 각종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다. 로워바디(11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어퍼바디(120)는 로워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어퍼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100)는 본체바디(100)라 명명될 수 있다.
어퍼바디(120)는 마운트(130)와 컬럼(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130)는 로워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카트리지(20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는 마운트공간(135)을 제공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측에 마운트공간(135)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운트(130)는 마운트공간(135)에 삽입된 카트리지(200)의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마운트(130)는 카트리지(200)를 체결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카트리지(2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컬럼(140)은 로워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컬럼(140)은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컬럼(140)은 마운트(13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의 일측벽을 마주할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의 일측벽을 덮거나 지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바디(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삽입공간(214)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상단이 개방되어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개구는, 삽입공간(214)의 일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컨테이너(205)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205)는 카트리지(20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컨테이너(205)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테이너(205)는 상측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214)을 제공할 수 있다. 스틱(400, 도 31 참조)은 삽입공간(214)에 삽입될 수 있다.
캡(300)은 바디(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300)은 카트리지(200)를 덮을 수 있다. 캡(300)은 바디(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캡(30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바디(100)의 적어도 일부는 캡(30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캡(300)은 외부로부터 카트리지(200) 및/또는 바디(100)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캡(300)을 바디(100)로부터 분리하여 카트리지(200)를 교체할 수 있다.
캡(300)은 바디(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캡(300)은 로워바디(11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캡(300)은 어퍼바디(120)를 덮을 수 있다. 어퍼바디(120)는 캡(30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캡(300)의 측벽(301)은 카트리지(200)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캡(300)의 측벽(301)은 어퍼바디(120)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캡(300)의 상벽(303)은 카트리지(2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캡(300)의 상벽(303)은 컬럼(14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캡(300)은 삽입구(304)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구(304)는 캡(300)의 상벽(303)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304)는 삽입공간(2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304)는 삽입공간(214)의 상단에 연통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구(30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구(304)를 개폐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카트리지(200)는 제1 파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제2 파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제3 파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220)는 제1 파트(210) 및 제3 파트(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210)의 일부는 제2 파트(2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210)는 제2 파트(2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파트(230)는 제2 파트(2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파트(230)는 제2 파트(220)와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205)는 제1 파트(210), 제2 파트(220) 및 제3 파트(23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트(210)는 카트리지(2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파트헤드(213)는 제2 파트(22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제1 파트헤드(213)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제1 파트헤드(213)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이 일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22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220)는 내부 공간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파트(220)의 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220)의 상단 둘레는, 제1 파트헤드(213)의 하단 둘레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파트(220)의 하단 둘레는, 제3 파트(230)의 상단 둘레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파트(230)는 제2 파트(2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에 심지(246, 도 18 참조) 및 히터(247, 도 18 참조)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파트(230)는 카트리지(200)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컨테이너(205)의 외벽의 일측은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205)의 외벽의 타측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함몰부(226, 236)는 컨테이너(205)의 외벽의 타측이 삽입공간(214)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컬럼(140)의 일측은 함몰부(226, 236)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파트(220)의 외벽(221)의 일측은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트(220)의 외벽(221)의 타측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일부가 함몰되어 제1 함몰부(226)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부(229)는 제1 함몰부(226)의 상부에서, 제2 파트(220)의 외벽(221)이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제3 파트(230)의 측벽(231)의 일측은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파트(230)의 측벽(231)의 타측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일부가 함몰되어 제2 함몰부(236)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함몰부(226)와 제2 함몰부(236)는 연속될 수 있다. 제2 함몰부(236)는 상단은 개방되어 제1 함몰부(226)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함몰부(236)의 하단은 개방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34)는 카트리지(200)의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의 외부의 공기는 카트리지유입구(234)를 통해 카트리지(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34)는 제3 파트(230)의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파트(210)는 삽입공간(214)을 형성하는 파이프(211)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211)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파이프(211)는 삽입공간(214)을 둘러쌀 수 있다. 파이프(211)의 양단은 개방될 수 있다. 파이프(211)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이프(211)는 제1 파트헤드(213)와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211)는 제1 파트헤드(213)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파트헤드(213)는 개방되어 삽입공간(214)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112)는 파이프(2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112)는 파이프(211)의 일단이 삽입공간(214)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112)는 파이프(211)의 내주면이 삽입공간(214)을 향하여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도 16 참조). 걸림부(2112)는 파이프(211) 및 리세스부(211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112)는 파이프(21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2112)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세스부(2113)는 파이프(2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2113)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세스부(2113)는 파이프(211)의 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리세스부(2113)는 파이프(211)의 하단부가 삽입공간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2113)는 파이프(21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리세스부(211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의 일단 또는 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파이프(211)의 상단이 삽입공간(214)의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이 일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제1 파트헤드(213)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트헤드(213)의 일부는 커버홈(215)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제2 파트(220)는 중공 형상으로서, 내부에 제2 파트공간(225)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파트(220)는 상하로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트(220)의 외벽(221)은 제2 파트공간(225)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파이프(211)는 제2 파트공간(225)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파트헤드(213)는 제2 파트공간(225)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파트헤드(213)는 제2 파트(22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림(227)은 제2 파트(220)의 외벽(22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림(227)은 제2 파트(220)의 외벽(22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림그루브(218)는 제1 파트헤드(213)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1 림그루브(218)는 제1 파트헤드(213)의 가장자리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림그루브(218)는 제1 림(227)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림(227)은 제1 림그루브(218)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림(227)은 제1 림그루브(218)에 삽입되어 제1 파트헤드(213)와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파트(210)와 제2 파트(2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파트(220)는 제1 파트(210)에 의해 하측을 제외한 모든 방향에 지지될 수 있다.
제3 파트(230)는 내부에 제3 파트공간(235)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파트공간(235)은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제3 파트(230)는 제3 파트공간(235)의 측부 및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34)는 제3 파트(230)의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34)는 제3 파트공간(235)과 연통될 수 있다. 2
제2 림(237)은 제3 파트(230)의 측벽(23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림(237)은 제3 파트(230)의 측벽(23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림그루브(228)는 제2 파트(220)의 외벽(221)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2 림그루브(228)는 제2 파트(220)의 외벽(22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림그루브(228)는 제2 림(237)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림(237)은 제2 림그루브(228)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림(237)은 제2 림그루브(228)에 삽입되어 제2 파트(220)의 외벽(221)과 접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제3 파트(2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파트(230)는 프레임(240)을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내부에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심지(246)는 프레임(2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심지(246)를 가열하는 히터(247)는 프레임(2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챔버유입구(2414)와 연결구(2424)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제1 파트(210)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파이프(211)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240)은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제1 프레임(241)과 제2 프레임(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41)과 제2 프레임(242)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42)은 제1 프레임(241)을 덮을 수 있다. 심지(246)는 제1 프레임(241)과 제2 프레임(2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241)은 로어프레임(241)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42)은 어퍼프레임(242)이라 명명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14)는 제1 프레임(241)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14)는 프레임(240)의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연결구(2424)는 제2 프레임(242)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2424)는 프레임(240)의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공기는 챔버유입구(2414)를 통해 프레임(240)의 내부로 유입되어, 연결구(2424)를 통해 프레임(2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연결구(2424)는 삽입공간(214)과 연통될 수 있다. 파이프(211)의 하단은, 연결구(2424)에 삽입될 수 있다. 리세스부(2113)는 연결구(2424)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42)은 연결구(2424)의 주변에서 파이프(211)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서포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250)는 프레임(240)과 파이프(2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250)는 제2 프레임(242)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서포터(250)는 관통홀(254)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구(2424)는 관통홀(254)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254)은 연결구(2424)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연결구(2424)를 형성하는 제2 프레임(242)의 일부는 관통홀(254)에 삽입될 있다. 서포터(250)의 하면은 프레임(240)을 지지할 수 있다. 서포터(250)의 상면은 제1 파트(210)를 지지할 수 있다. 걸림부(2112)는 서포터(25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관통홀(254)은 서포터홀(254)이라 명명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가스켓(26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260)은 서포터(250)와 파이프(2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스켓(260)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걸림부(2112)에 밀착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리세스부(2113)에 밀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바디(2411)의 상면은 제2 프레임바디(2421)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바디(2411)의 상면은 하측으로 함몰되어 제1 프레임공간(2415)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공간(2415)은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14)는 제1 프레임바디(2411)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14)는 제1 프레임공간(2415)과 연통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14)는 제1 프레임공간(2415)의 바닥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포트(2413)는 챔버유입구(2414)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챔버유입포트(2413)는 챔버유입구(2414)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유입포트(2413)는 제1 프레임공간(2415)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챔버유입포트(2413)의 상단은 제1 프레임공간(2415)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심지홈(2416)은 제1 프레임공간(2415)의 주변에서, 제1 프레임바디(2411)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심지홈(2416)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심지(246)의 양단은 각각, 한 쌍의 제1 심지홈(2416)의 각각에 삽입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히터삽입구(2417)는 제1 프레임바디(2411)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히터삽입구(2417)는 제1 프레임공간(2415)의 바닥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14)와 히터삽입구(2417)는 이격될 수 있다. 히터삽입구(2417)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247)는 심지(246)를 권선할 수 있다. 히터(247)의 단부는 히터삽입구(2417)에 삽입되어, 제1 프레임(24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히터(247)의 양단부 각각은, 한 쌍의 히터삽입구(2417)의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포지셔닝홈(2418)은 제1 프레임바디(2411)의 하부가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포지셔닝홈(2418)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포지셔닝홈(2418)은 챔버유입구(24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바디(2421)의 하면은 제1 프레임바디(2411)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바디(2421)의 두께는 제1 프레임바디(2411)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제2 프레임바디(2421)의 하면은 상측으로 함몰되어 제2 프레임공간(2425)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프레임공간(2425)은 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공간(2425)은 제1 프레임공간(2415)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레임공간(2425)과 제1 프레임공간(2415)은 서로 연결되어 제2 챔버(C2)를 형성할 수 있다(도 17 참조).
프레임커버(2422)는 제2 프레임바디(2421)가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커버(2422)는 제2 프레임바디(2421)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커버(2422)는 제2 프레임공간(2425)의 일측을 감싸거나 덮을 수 있다. 프레임커버(2422)는 챔버커버(2422)라 명명할 수 있다.
연결구(2424)는 프레임커버(2422)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2424)는 제2 프레임공간(2425)과 연통될 수 있다. 연결구(2424)는 제2 프레임공간(2425)의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포트(2423)는 연결구(2424)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프레임포트(2423)는 프레임커버(242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포트(2423)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포트(2423)는 상하로 개방될 수 있다.
제2 심지홈(2426)은 제2 프레임공간(2425)의 주변에서, 제2 프레임바디(2421)가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심지홈(2426)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심지홈(2426)은 제1 심지홈(24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심지(246)의 양단은 각각, 한 쌍의 제2 심지홈(2426)의 각각에 삽입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제2 심지홈(2426)과 제1 심지홈(2416)은 연결되어,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심지(246)의 단부는, 제1 심지홈(2416)과 제2 심지홈(2426)이 형성하는 홀을 관통하여,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서포터(250)는 프레임(24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서포터바디(251)는 제2 프레임바디(242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서포터커버(252)는 프레임커버(2422)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서포터커버(252)는 서포터바디(251)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커버(252)는 서포터바디(25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서포터커버(252)는 서포터공간(255)의 일측을 감쌀 수 있다. 서포터커버(252)는 프레임커버(2422)를 감쌀 수 있다.
서포터공간(255)은 서포터바디(251)가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공간(255)은 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서포터공간(255)은 서포터커버(25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프레임커버(2422)는 서포터공간(255)에 배치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서포터포트(253)는 서포터커버(25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포터포트(253)는 서포터홀(254)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서포터포트(253)는 상하로 개방될 수 있다. 서포터포트(253)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포터홀(254)은 서포터공간(255)과 연통될 수 있다.
프레임포트(2423)는 서포터포트(253)의 내측에 형성된 서포터홀(254)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구(2424)는 서포터포트(253) 및 서포터홀(254)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포트(253)의 직경은 프레임포트(2423)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서포터포트(253)의 내주면은 프레임포트(2423)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내측이 개방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스켓(260)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가스켓홀(264)은 가스켓(260)의 개방된 내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가스켓홀(264)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가스켓홀(264)은 상하로 개방될 수 있다.
서포터포트(253)는 가스켓홀(264)을 관통할 수 있다. 가스켓(260)은 서포터포트(253)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서포터포트(253)의 둘레에 밀착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서포터커버(252)의 상측에 밀착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서포터포트(253)와 서포터커버(252)가 연결되는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제3 심지홈(256)은 서포터공간(255)의 주변에서, 서포터바디(251)가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심지홈(256)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심지(246)의 양단은 각각, 한 쌍의 제3 심지홈(256)에 밀착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프레임(240)은 제3 파트공간(235)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파트공간(235)은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제3 파트(230)의 측벽(231)은 제3 파트공간(235)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3 파트(230)의 바닥(232)은 제3 파트공간(235)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프레임(240)은 제3 파트공간(235)에 하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서포트월(233)은 제3 파트(230)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포트월(233)은 제3 파트공간(235)을 프레임배치공간(2351)과 심지노출공간(235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서포트월(233)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서포트월(233)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트월(233)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배치공간(2351)은 한 쌍의 서포트월(23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심지노출공간(2352)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배치공간(2351)은 한 쌍의 심지노출공간(2352)의 사이에 배치될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배치공간(2351)은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심지노출공간(2352)은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241)은 한 쌍의 서포트월(233)의 사이의 프레임배치공간(2351)에 삽입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월(233)은 제1 프레임(241)의 측부를 덮거나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월(233)은 제1 프레임(241)의 양 측부를 덮거나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월(233)은 제1 프레임(241)의 측부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파트(230)의 바닥(232)은 프레임배치공간(2351)에서 제1 프레임(241)의 하부를 덮거나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월(233)의 상단은, 서포터(250)의 가장자리의 하단과 밀착될 수 있다. 서포터(250)는 심지노출공간(2352)의 상측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제4 심지홈(2336)은 서포트월(233)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심지홈(2336)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 심지홈(2336)은 각각, 한 쌍의 서포트월(233)의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 심지홈(2336) 각각은, 한 쌍의 제3 심지홈(256, 도 11 참조)의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심지홈(2336)과 제3 심지홈(256)은 연결되어,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심지(246)의 단부는, 제3 심지홈(256)과 제4 심지홈(2336)이 형성하는 홀을 관통하여, 심지노출공간(2352)에 배치되거나 노출될 수 있다. 심지(246)의 양 단부는, 한 쌍의 심지노출공간(2352)에 배치되거나 노출될 수 있다. 심지(246)의 중심은 한 쌍의 서포트월(233)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34)는 제3 파트(230)의 바닥(232)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34)는 한 쌍의 서포트월(23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34)는 프레임배치공간(2351)과 연통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포트(2343)는 카트리지유입구(234)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포트(2343)는 제3 파트(230)의 바닥(23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포트(2343)의 상단은 제3 파트(230)의 바닥(232)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포트(2343)는 챔버유입구(2414)에 삽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포트(2343)의 외주면은, 챔버유입포트(2413)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34)는 챔버유입구(24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34)는 챔버유입구(2414)와 연통될 수 있다.
포지셔닝돌기(238)는 제3 파트(230)의 바닥(232)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포지셔닝돌기(238)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포지셔닝돌기(238)는 포지셔닝홈(2418)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포지셔닝돌기(238)는 카트리지유입포트(2343)와 연결될 수 있다. 포지셔닝돌기(238)는 포지셔닝홈(2418)에 삽입되고, 제1 프레임(241)에 밀착될 수 있다.
히터단자부(239)는 제3 파트(230)의 바닥(232)에 형성될 수 있다. 히터단자부(239)는 프레임배치공간(2351)으로 노출될 수 있다. 히터단자부(239)는 제3 파트(23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히터단자부(239)는 히터(247)와 접촉할 수 있다. 히터단자부(239)는 배터리(190) 또는 제어장치(미도시)와 히터(247)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림(237)은 제3 파트(230)의 측벽(23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 제2 림(237)은 제3 파트(230)의 측벽(23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림(237)은 제3 파트(230)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림(237)은 제3 파트공간(235)의 상단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2 파트(220)는 제1 파트(2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파트(220)는 제3 파트(2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파트(220)의 제1 림(227)은 제1 파트(210)의 제1 림그루브(218)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파트(210)는, 제1 림그루브(218)의 주변에서 제1 림(227)을 둘러싸며 밀착될 수 있다. 제1 파트(210)는, 제1 림그루브(218)의 주변에서, 제1 림(227)의 내주면, 외주면 및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림(227)은 제1 파트헤드(213)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림(227)은 제1 림그루브(218)에서 제1 파트헤드(213)와 접착될 수 있다.
제3 파트(230)의 제2 림(237)은 제2 파트(220)의 제2 림그루브(228)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파트(220)는, 제2 림그루브(228)의 주변에서, 제2 림(237)을 둘러싸며 밀착될 수 있다. 제2 파트(230)는, 제2 림그루브(228)의 주변에서, 제2 림(237)의 내주면, 외주면 및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림(237)은 제2 파트(220)의 외벽(221)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림(237)은 제2 림그루브(228)에서 제2 파트(220)의 외벽(221)과 접착될 수 있다.
컨테이너(205)는 제1 파트(210), 제2 파트(220) 및 제3 파트(23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205)는 내부에 제1 챔버(C1)와 삽입공간(214)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챔버(C1)와 삽입공간(214)은 파이프(211)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파이프(21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파이프(21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틱(400, 도 31)은 삽입공간(214)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제1 파트(210), 제2 파트(220) 및 제3 파트(2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파트헤드(213)는 제1 챔버(C1)의 상단을 덮을 수 있다. 파이프(211)는 제1 챔버(C1)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파트(220)의 외벽(221)은 제1 챔버(C1)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파트(210), 제2 파트(220) 및 제3 파트(230)가 결합되면, 심지노출공간(2352)은, 제1 챔버(C1)의 하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제1 프레임공간(2415)과 제2 프레임공간(2425)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제1 프레임바디(2411) 및 제2 프레임바디(242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챔버유입구(2414)는 제2 챔버(C2)와 연통될 수 있다. 연결구(2424)는 제2 챔버(C2)와 연통될 수 있다.
심지(246)는 제2 챔버(C2)에 설치될 수 있다. 심지(246)는 제1 챔버(C1)에 연결될 수 있다. 심지(246)는 제1 챔버(C1)에 저장된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액체를 제공받은 심지(246)가 히터(247)에 의해 가열되면, 제2 챔버(C2)에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공기는 카트리지유입구(234) 및 챔버유입구(2414)를 통해 제2 챔버(C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챔버(C2)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챔버(C2)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동반하여, 연결구(24242)를 통과한 뒤 삽입공간(214)에 공급될 수 있다.
제1 파트(210), 제2 파트(220) 및 제3 파트(230)가 결합되면, 서포터(250)는 파이프(211)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가스켓(260)은 파이프(211)의 하단과 서포터(250)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파이프(211)는 서포터(250)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걸림부(2112)는 파이프(211)의 하단부로부터 삽입공간(214)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2112)는 파이프(211)의 내주면으로부터 삽입공간(214)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2112)는 파이프(211)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2112)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부(2112)는 서포터포트(253)의 상단과 접촉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서포터포트(253)는 걸림부(2112)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파트(210), 제2 파트(220) 및 제3 파트(230)가 결합되면, 걸림부(2112)는 서포터포트(253)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리세스부(2113)는 걸림부(2113)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세스부(2113)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세스부(2113)는 서포터포트(253)의 외주면과 접촉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리세스부(2113)는 가스켓(260)의 상부에 접촉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리세스부(2113)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파트(210), 제2 파트(220) 및 제3 파트(230)가 결합되면, 리세스부(2113)는 가스켓(260)과 서포터커버(252)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스켓(260)은 서포터커버(252), 서포터포트(253) 및 리세스부(2113)의 하단에 밀착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리세스부(2113)의 내주면과 서포터포트(253)의 외주면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41)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42)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을 가진 소재는 고무일 수 있다.
파이프(211)의 하단은 가스켓(260)을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스켓(260)이 가압되면, 가스켓(260)은 탄성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가스켓(260)은, 복원력에 의하여 서포터(250)에 하측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파이프(211)의 하단 및 가스켓(260)은, 서포터포트(253)의 주변에서, 서포터커버(252)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서포터커버(252)는, 서포터포트(253)의 주변에서, 서포터공간(255, 도 11 참조) 및 제2 프레임(242)의 상측을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서포터(250)는 제1 프레임(241)에 압착되며, 제1 프레임(241) 및 제2 프레임(242)은 하측으로 가압되어 서로 압착될 수 있다. 서포터(250)는 서포트월(233)의 상단에 압착될 수 있다. 서포트월(233)은 서포터(250)를 지지할 수 있다. 심지(246)의 단부가 제1 심지홈(2416), 제2 심지홈(2426), 제3 심지홈(256) 및 제4 심지홈(2336)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가 저장되는 제1 챔버(C1)가 스틱(400, 도 31 참조) 및/또는 스틱(40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14)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스틱(400)으로부터, 제1 챔버(C1)와 연결되는 심지(246) 및 히터(247)로부터 거리가 가깝게 배치될 수 있어, 에어로졸의 열전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C1)에 저장된 액체가, 조립 부위의 틈을 통하여 제2 챔버(C2) 및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위를 최소화하고, 부품 수가 감소되며, 조립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0) 결합 부위에서 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카트리지유입구(234)와 챔버유입구(2414)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심지(246)는 연결구(2424)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구(2424)와 삽입공간(214)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14)는 심지(246)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14)는 연결구(24242)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14)는 삽입공간(214)과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14)는 제2 챔버(C2)에 대하여, 일측으로 치우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14)는 컬럼(140)이 배치되는 측으로 치우칠 수 있다.
챔버유입포트(2413)는 제2 챔버(C2)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챔버유입포트(2413)의 상단은 제2 챔버(C2)의 바닥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챔버(C2) 내에서 발생된 액적이 카트리지유입구(234)를 통해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흡입 모션을 취하며 카트리지(20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기울이더라도, 액적이 심지(246)로부터 제2 챔버(C2)의 바닥으로 향하여 낙하되어 고일 수 있고, 챔버유입구(2414)로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를 참조하면,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의 상단 개구에 인접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 및 파이프(211)가 제1 챔버(C1)를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으로부터, 삽입공간(214)의 둘레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과 연결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으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1 파트헤드(213) 또는 파이프(211)는 커버홈(215)의 일측을 감쌀 수 있다. 커버홈(215)은 제1 파트헤드(213)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을 개방하면서, 커버홈(215)에 수용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도 27 참조).
제1 가이드(216)는 커버홈(215)의 바닥과 접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홈(215)의 바닥과 접하는 위치에서, 파이프(211)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홈(215)의 바닥과 삽입공간(21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홈(21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홈(215)의 바닥으로부터 삽입공간(214)의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삽입공간(214)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파이프(211)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스틱(400)의 단부에 접촉하여,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도 30 참조).
제2 가이드(217)는 파이프(21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217)는 삽입공간(214)을 기준으로 제1 가이드(216)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217)는 파이프(211)의 내주면이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217)는 제1 파트헤드(213)의 일측으로부터 삽입공간(214)의 하측을 항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217)의 일단은, 제1 가이드(216)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217)는 삽입공간(214)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217)는 파이프(211)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216)는 스틱(400)의 단부에 접촉하여,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도 29 참조).
스틱스토퍼(219)는, 삽입공간(214)의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삽입공간(214)의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9)는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9)는 파이프(211)의 내주면으로부터 삽입공간(214)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9)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9)는 세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9)는 삽입공간(214)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9)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9)는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9)는 삽입공간(214)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형상 또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틱(400)은 스틱스토퍼(219)의 둘레에 걸쳐질 수 있다(도 31 참조).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카트리지(200)는 어퍼바디(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바디(120)는 로워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바디(120)는 마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바디(120)는 컬럼(14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상부가 개방된 마운트공간(135)을 제공할 수 있다. 마운트(130)의 내측면(131)과 바닥(133)은 마운트공간(135)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컬럼(140)의 내측벽(141)은 마운트공간(135)의 일측을 마주하거나 덮을 수 있다. 제3 파트(230)는 마운트공간(135)에 삽입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마운트공간(135)에 삽입된 제3 파트(230)를 둘러쌀 수 있다. 제3 파트(230)가 마운트(130)와 결합되면, 제1 파트(210) 및 제2 파트(220)는 마운트(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마운트(130)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3 파트(230)는 마운트(130)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3 파트(230)가 마운트공간(135)에 삽입되면, 제3 파트(230)에 형성된 결합홈(231a)과 마운트(130)에 형성된 결합돌기(131a)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결합홈(231a)은 제3 파트(230)의 측벽(231)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31a)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파트(230)의 측벽(23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31a)는 마운트(130)의 내측면(13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31a)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마운트(130)의 내측면(13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31a)는 결합홈(2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카트리지(2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제3 파트(230)의 측벽(231)과 바닥(232)을 지지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제2 파트(220)의 외벽(221)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컬럼(140)은 마운트(13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컬럼(140)은 마운트공간(135)의 일측을 마주하거나 덮을 수 있다. 컬럼(140)의 외측면(142)은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에 대응되는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컬럼(140)의 상벽(143)은 카트리지(200)의 상단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컬럼(140)의 내측벽(141)은 카트리지(200)의 일측벽을 마주하거나 지지할 수 있다.
센서수용부(145)는 컬럼(140)의 내측벽(141)으로부터 카트리지(200) 또는 마운트공간(135)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센서수용부(145)는 마운트의 바닥으로부터 컬럼(140)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센서수용부(145)의 상부는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다. 센서수용부(145)는 함몰부(226)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수용부(145)의 상부는 경사부(229)를 마주할 수 있다.
광원(153, 도 26 참조)은 컬럼(1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153)은 컬럼(140)의 내측벽(141)으로부터 카트리지(200)를 향할 수 있다. 광원(153)은 센서수용부(14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컬럼(1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센서수용부(145)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센서수용부(145)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수용부(145)는 제1 센서(155)를 감쌀 수 있다. 제2 센서(157, 도 26 참조)는 센서수용부(145)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컬럼(1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센서수용부(145)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도 26 참조). 센서수용부(145)는 제2 센서(157)를 감쌀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34)는 마운트홀(134)과 연통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34)를 형성하는 카트리지유입포트(2343)는 제3 파트(230)의 바닥(232)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포트(2343)는 마운트홀(13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200)가 바디(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0)가 바디(100)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유로홈(141a)은 컬럼(140)의 내측벽(141)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홈(141a)은 컬럼(14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홈(141a)은 컬럼(140)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홈(141a)은 컬럼(140)의 상벽(143)으로부터 마운트(130)의 바닥(133)의 밑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홈(141a)의 상측은 개방될 수 있다.
제1 유로홈(141a)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홈(141a)은 센서수용부(145)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홈(141a)은 센서수용부(145)를 회피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홈(141a)은 센서수용부(145)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유로홈(141a)은 센서수용부(145)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가 어퍼바디(120)에 결합되면, 제1 유로홈(141a)은, 카트리지(200)의 일측벽과 컬럼(140)의 내측벽(141)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카트리지(200)의 일측벽과 컬럼(140)의 내측벽(141) 사이에서, 제1 유로홈(141a)에 형성되는 통로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카트리지(200)와 컬럼(14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컬럼(14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카트리지유입구(234) 및 마운트홀(134)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외부와 카트리지유입구(234)를 연통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을 참조하면, 캡(300)은 바디(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300)은 바디(100)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캡(300)은 카트리지(200)와 바디(100)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캡(300)을 바디로부터 분리하여 카트리지(200)를 교체할 수 있다.
어퍼바디(120)의 외측면(132, 142)에는 결합돌기(132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32a)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기(132a)는 어퍼바디(12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32a)는 볼록하거나 라운드지게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돌기(132a) 중 어느 하나는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32a)는 컬럼(140)의 외측면(142)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02a)은 캡(300)의 내측면(302)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02a)은 캡(30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02a)은 볼록하거나 라운드지게 함몰될 수 있다. 결합홈(302a)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02a)은 결합돌기(132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32a)는 결합홈(302a)에 삽입될 수 있다. 캡(300)이 카트리지(200)와 어퍼바디(120)를 덮으면, 결합돌기(132a)와 결합홈(302a)은 서로 체결되어, 캡(300)과 어퍼바디(12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132a)가 결합홈(302a)에 삽입될 때, 결합돌기(132a)와 결합홈(302a)은 캡(300)이 정위치로 배치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상단둘레(113)는 어퍼바디(120)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상단둘레(113)는 어퍼바디(12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상단둘레(113)는 어퍼바디(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캡(300)이 바디(100)에 결합되면, 캡(300)의 측벽(301)의 하단은 로워바디(110)의 상단둘레(113)에 접촉될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상단둘레(113)는 캡(300)이 어퍼바디(120)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카트리지(200)는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액체를 저장하는 제1 챔버(C1)를 제공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제1 챔버(C1)와 구획되는 삽입공간(214)을 제공할 수 있다. 파이프(211)는 컨테이너(205)의 내부의 공간을 제1 챔버(C1)와 삽입공간(214)으로 구획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삽입공간(214)은 일단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는 삽입공간(214)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로워바디(110)는 내부에 배터리(190)를 수용할 수 있다. 로워바디(110)는 내부에 각종 제어장치들을 수용할 수 있다. 배터리(19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각종 구성요소들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로워바디(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어장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각종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카트리지(20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마운트(1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카트리지유입구(234)와 제1 유로(P1)의 하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카트리지유입구(234)와 제1 유로(P1)의 하단을 연결할 수 있다.
심지(246)는 제2 챔버(C2)에 설치될 수 있다. 심지(246)는 제1 챔버(C1)와 연결될 수 있다. 심지(246)는 제1 챔버(C1)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히터(247)는 심지(246)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247)는 제2 챔버(C2)에 설치될 수 있다. 히터(247)는 심지(246)를 복수회 권선할 수 있다. 히터(247)는 배터리(190) 및/또는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히터(247)는 저항성 코일일 수 있다. 히터(247)가 발열되어 심지(246)를 가열하면, 심지(246)에 공급된 액체가 무화되어 제2 챔버(C2) 내에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PCB(Printed Circuit Board) 어셈블리(150)는 컬럼(1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PCB(151)를 포함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광원(153)을 포함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제1 센서(155)를 포함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제2 센서(157)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53)은 PCB(151)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PCB(151)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PCB(151)에 장착될 수 있다. 광원(153), 제1 센서(155) 및 제2 센서(157)는 단일의 PCB(151)에 장착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컬럼(14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광원(153)은 컬럼(1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153)은 컬럼(140)의 내측벽(141)으로부터 카트리지(200)를 향할 수 있다. 광원(153)은 제1 챔버(C1)를 향할 수 있다. 광원(153)은 센서수용부(14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153)은 제1 챔버(C1)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153)은 LED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두운 환경에서도, 카트리지(200)에 저장되는 액체의 잔량이나, 스틱(400, 도 31 참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광원(153)이 제공하는 빛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다양한 디자인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컬럼(140) 및 센서수용부(145)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센서수용부(145)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광원(15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삽입공간(214)을 향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상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55)는, 카트리지(200)의 제1 챔버(C1) 저장된 액체의 잔량의 변화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제1 챔버(C1)에 저장된 액체의 종류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스틱(400, 도 31 참조)이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의 종류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이 사용된 정도 혹은 사용 가능한 정도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카트리지(200)가 바디(10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결합된 카트리지(200)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센서(155)는, 카트리지(200)에 대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인접한 물체에 의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55)는 커패시턴스 센서(capacitance sensor)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55)는 자기형 근접센서(magnetic proximity sensor)일 수 있다. 제1 센서(155)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스틱(400)이 삽입되거나, 제1 챔버(C1)에 저장된 액체의 용량에 변화가 생기면, 제1 센서(155)가 감지하는 전자기적 특성에 변화가 나타나고, 제1 센서(155)는 이를 측정하여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컬럼(140) 및 센서수용부(145)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센서수용부(145)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제1 센서(15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공기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카트리지유입구(234)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압력센서 또는 공기흐름센서일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카트리지(200)의 일측을 향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제2 유로(P2)와 연통되는 제3 유로(P3)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제2 챔버(C2) 및 카트리지유입구(234)보다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을 개폐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의 개구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의 상단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파트(2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캡(30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피봇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을 개폐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의 내측 또는 하측을 향하여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을 개방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개방하도록 피봇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명명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의 외측 또는 상측을 향하여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을 폐쇄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폐쇄하도록 피봇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 명명할 수 있다.
커버(310)는 캡(300)의 삽입구(304)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캡(300)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피봇되어 삽입구(304)를 개폐할 수 있다. 커버(310)는 제1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구(304)를 개방할 수 있다. 커버(310)는 제2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구(304)를 폐쇄할 수 있다.
스프링(312)은, 제2 방향으로 커버(3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프링(312)의 일단은 커버(310)를 지지하고, 스프링(312)의 타단은 제1 파트(210) 또는 캡(300)을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312)은 커버(310)의 피봇축(311)에 권선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스틱(400)의 끝단이 커버(310)에 접촉하여 커버(310)를 밀어내면, 커버(310)는 제1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을 개방할 수 있다. 스틱(400)은 커버(310)를 밀어내고, 삽입공간(214)에 삽입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으로부터 이탈되면, 커버(310)는 제2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을 폐쇄할 수 있다.
스틱(400)은 캡(300)의 삽입구(304)를 통과하여 삽입공간(214)에 삽입될 수 있다. 스틱(400)의 일단이 커버(310)에 접촉하여 커버(310)를 밀어내면, 커버(310)는 제1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공간(214)과 삽입구(304)를 개방할 수 있다. 스틱(400)은 커버(310)를 밀어내면서 삽입구(304)를 통과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으로부터 이탈되면, 커버(310)는 제2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공간(214)과 삽입구(304)를 폐쇄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면, 스틱(400)의 일단은 캡(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스틱(400)의 타단은 제2 챔버(C2)에 인접하며, 제2 챔버(C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출된 스틱(400)의 일단부를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캡(300)은 삽입구(304)의 둘레를 구성하는 삽입구벽(305)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구벽(305)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구벽(305)의 내주면은 삽입구(304)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삽입구벽(305)의 내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벽(305)의 내주면은 삽입구(304)를 향하여 내측으로 볼록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벽(305)의 내주면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삽입구(304)를 좁히다가, 다시 넓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310)의 단부 또는 둘레는 삽입구벽(305)의 하측에 걸릴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구(304)를 폐쇄하면, 삽입구벽(305)은, 커버(310)와 접촉되어 커버(3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삽입구벽(305)은 커버(310)의 단부 또는 둘레에 접촉하여 커버(310)가 삽입구(304)의 상측으로 피봇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구(304)보다 클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스틱(400)의 단부가 삽입구(304)를 통과할 때, 스틱(400)의 단부는 삽입구벽(305)에 접촉될 수 있다. 스틱(400)의 단부가 삽입구벽(305)에 접촉되면, 삽입구벽(305)은 스틱(400)을 삽입구(304)의 정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구(304)를 통과하면, 스틱(400)의 단부는 커버(310)를 밀어내어 커버(310)를 제1 방향으로 피봇시킬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스틱(400)이 삽입구(304)를 통과하면, 커버(310)는 제1 방향으로 피봇되어 커버홈(215)에 수용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커버(310)는 파이프(211)와 오버랩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스틱(400)은 커버(310)의 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삽입공간(214)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가이드(217)는 삽입구(304)를 중심으로, 커버(310)의 피봇 축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217)는 커버홈(215)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으로 삽입될 때, 스틱(400)의 단부는 제2 가이드(217)와 접촉될 수 있다. 스틱(400)의 단부가 제2 가이드(217)에 접촉되면, 제2 가이드(217)는 스틱(400)을 삽입공간(214)의 정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제2 가이드(217)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제2 가이드(217)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홈(21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3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파이프(211)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으로 삽입될 때, 스틱(400)의 단부는 제1 가이드(216)에 접촉될 수 있다. 스틱(400)의 단부는 제2 가이드(217)에 먼저 접촉되어 위치가 안내된 이후에 제1 가이드(216)에 접촉될 수 있다. 스틱(400)의 단부가 제1 가이드(216)에 접촉되면, 제1 가이드(216)는 스틱(400)을 삽입공간(214)의 정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면, 스틱(400)의 단부는 스틱스토퍼(219)에 접촉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9)는 스틱(400)의 단부에 접촉되어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의 하측 또는 제2 챔버(C2)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400)을 삽입공간(214)에 삽입하는 동작을 통해 커버(310)를 피봇시켜,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틱(400)을 통해 커버(310)를 밀어낼 때, 스틱(400)의 위치가 삽입구(304)를 부드럽게 통과하도록 정확한 위치로 안내되어 커버(310)를 밀어낼 수 있고, 커버(310)가 제2 방향으로 스틱(400)의 단부에 외력을 가하더라도,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정확히 삽입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스틱(400)이 커버(310)를 밀어내어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의 내측에 배치되더라도, 커버(310)가 커버홈(215)에 수용됨으로써,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을 구획하는 벽에 밀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스틱(40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할 때, 삽입공간(214)과 스틱(400)의 사이에서 불필요하게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틱(400)이 제2 챔버(C2)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스틱(400)을 삽입공간(214)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동작과 동시에, 커버(310)가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삽입공간(214)의 내부를 외부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어퍼바디(120)는 로워바디(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로워바디(1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마운트(130)의 하부는 로워바디(110)의 측벽(111)의 상부에 둘러싸일 수 있다. 마운트(130)는 로워바디(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로워바디(110)에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로워바디(1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리브홈(136)은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에 형성될 수 있다. 리브홈(136)은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브홈(136)은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리브(116)는 로워바디(110)의 측벽(111)의 내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리브(116)는 로워바디(110)의 측벽(111)의 내둘레면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리브(116)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리브(116)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바디리브(116)는 마운트(130)의 리브홈(136)에 삽입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바디리브(116)는 리브홈(136)에 밀착되어 마운트(130)의 위치를 로워바디(11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어퍼바디(120)가 로워바디(110)로부터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컬럼(140)은 마운트(13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컬럼(140)은 마운트공간(135)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컬럼(140)은 내부에 설치공간(144)을 제공할 수 있다. 설치공간(144)은 컬럼(140)을 따라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설치공간(144)은 마운트공간(135)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설치공간(144)은 컬럼(140)의 내측벽(141), 외측벽(142) 및 상벽(14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컬럼(140)은 전술한 PCB 어셈블리(150)를 수용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설치공간(144)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공간(144)은 어셈블리수용공간(145)이라 명명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PCB(151), 광원(153), 제1 센서(155) 및 제2 센서(15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컬럼(14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컬럼(140)의 내부에서 카트리지(200)가 배치되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의 일단에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152)가 형성될 수 있다.
PCB(151)는 컬럼(140)을 따라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PCB(151)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커넥터(152)는 PCB(151)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광원(153)은 PCB(151)에 장착될 수 있다. 광원(153)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PCB(151)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PCB(151)에 장착될 수 있다. 광원(153), 제1 센서(155) 및 제2 센서(157)는 단일의 PCB(151)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광원(153)은 PCB(151)에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광원(153)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제2 센서(157)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제1 챔버(C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삽입공간(214)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마운트공간(135)을 향할 수 있다. 제1 센서(155)는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 센서(155)가 스틱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활용될 경우, 감도가 증대될 수 있다.
컬럼(140)의 내측벽(141)은 설치공간(144)과 마운트공간(135)을 구획할 수 있다. 내측벽(141)은 설치공간(144)의 일측을 덮을 수 있다. 내측벽(141)은 PCB 어셈블리(150)를 덮을 수 있다. 내측벽(141)은 설치공간(144)의 내에 있는 나사홀(146)을 통해 컬럼(140)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내측벽(141)은 컬럼커버(141)라 명명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컬럼커버(14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유로홈(141a)은 컬럼커버(141)가 설치공간(144)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윈도우(1531)는 컬럼커버(1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윈도우(1531)는 광원(153)을 덮거나 마주할 수 있다. 광원(153)이 출사하는 광은 제1 윈도우(1531)를 투과할 수 있다.
제2 윈도우(1551)는 컬럼커버(1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윈도우(1551)는 제1 윈도우(15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윈도우(1551)는 센서수용부(145)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윈도우(1551)는 제1 센서(155)를 덮거나 마주할 수 있다. 제2 윈도우(1551)는 전자기파를 투과할 수 있다.
도 34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마운트(130)의 바닥(133)은 제1 바닥(1331)과 제2 바닥(1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닥(1331)은 제2 바닥(1332)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2 바닥(1332)을 덮을 수 있다. 제1 바닥(1331)은 마운트공간(135)을 마주할 수 있다. 제1 바닥(1331)은 마운트공간(13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운트홀(134)은 제1 바닥(1331)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홀(134)은 마운트공간(135)을 향할 수 있다. 제1 유로홈(141a)이 형성하는 제1 유로(P1)는 제1 바닥(1331)보다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컬럼(140)의 상벽(143)으로부터 제2 바닥(1332)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유로(P1)는 센서수용부(145)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제1 바닥(1331) 및 제2 바닥(133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제1 바닥(1331) 및 제2 바닥(13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제2 바닥(1332)이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제1 바닥(1331)과 제2 바닥(133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닥(1331)은 제2 유로(P2)를 덮을 수 있다. 제2 유로(P2)의 일단과 제1 유로(P1)의 일단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P2)와 제1 유로(P1)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제1 유로(P1)와 마운트홀(134)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제2 유로일측(P21)과 제2 유로타측(P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유로일측(P21)은 제1 유로(P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일측(P21)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유로일측(P21)은 각각 한 쌍의 제1 유로(P1)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유로일측(P21)은 센서수용부(145)의 하단을 주변을 둘러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유로일측(P21)은 합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유로일측(P21)은 센서수용부(145)에 인접한 위치에서 합지될 수 있다.
제2 유로타측(P22)은 마운트홀(134)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타측(P22)은 한 쌍의 제2 유로일측(P21)이 합지되는 지점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타측(P22)은 제2 유로일측(P21)과 마운트홀(134)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유로타측(P22)은 한 쌍의 제2 유로일측(P21)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유로(P3)는 제2 유로(P2)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유로(P3)는 제2 유로(P2)와 컬럼(140)의 내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유로(P3)는, 한 쌍의 제2 유로일측(P21)이 합지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제2 유로타측(P22)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로(P3)는 제2 유로일측(P21)이 합지되는 지점으로부터 센서수용부(145)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유로(P3)는 센서수용부(145)의 하단을 통과할 수 있다.
제3 유로(P3)의 어느 일부는 제2 바닥(1332)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로(P3)의 어느 일부는 제2 바닥(1332)이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로(P3)의 어느 일부는 한 쌍의 제2 유로일측(P21)이 합지되는 지점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유로(P3)의 다른 일부는 센서수용부(145)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센서수용부(145)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는 제1 바닥(1331)과 제2 바닥(13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의 가장자리는 제1 바닥(1331)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의 가장자리는 제2 바닥(1332)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는 제1 바닥(1331)과 제2 바닥(1332)에 밀착될 수 있다.
개방부(1374)는 제2 유로(P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유로밀봉부(137)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374)는 제2 유로(P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는 제2 유로(P2)의 주변을 덮을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의 가장자리는 마운트(130)의 내측면(131)에 밀착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의 가장자리 중 일부는, 컬럼(140)의 내측벽(141) 및 센서수용부(145)에 밀착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는 제1 바닥(1331)과 마운트(130)의 내측면(131)의 사이의 틈을 밀봉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는 제1 바닥(1331)과 컬럼(140)의 내측벽(141)의 사이의 틈을 밀봉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는 제1 바닥(1331)과 센서수용부(145)의 사이의 틈을 밀봉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는 제2 유로(P2)와 제1 바닥(1331)의 사이의 틈을 밀봉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는 제2 바닥(1332)과 마운트(130)의 내측면(131)의 사이의 틈을 밀봉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는 제2 바닥(1332)과 컬럼(140)의 내측벽(141)의 사이의 틈을 밀봉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는 제2 바닥(1332)과 센서수용부(145)의 사이의 틈을 밀봉할 수 있다. 유로밀봉부(137)는 제2 바닥(1332)에 형성된 제3 유로(P3)의 어느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유로밀봉포트(1373)는 유로밀봉부(137)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밀봉포트(1373)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로밀봉포트(1373)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유로밀봉포트(1373)는 제2 유로타측(P2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운트홀(134)은 유로밀봉포트(137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밀봉포트(1373)는 제1 바닥(1331)이 개방되어 형성된 제1 바닥홀(1343)을 관통할 수 있다. 유로밀봉포트(1373)는 제1 바닥홀(1343) 및 마운트홀(134)의 주변에서 제1 바닥(1331)과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유로(P1, P2, P3)를 유동할 때, 공기가 결합 구조들의 틈 사이로 누설되지 않고 유로(P1, P2, P3)를 통과할 수 있다.
단자홀(139a)은 제1 바닥(1331)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자홀(139a)은 제2 바닥(1332)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자홀(139a)은 유로밀봉부(137)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자홀(139a)은 제1 바닥(1331)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단자홀(139a)은 제2 바닥(1332)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단자홀(139a)은 유로밀봉부(137)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단자홀(139a)은 제2 유로(P2) 및 제3 유로(P3)를 회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나사홀(1338)은 제2 바닥(1332)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홀(1338)은 단자홀(139a)을 회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나사홀(1338)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나사홀(1338)은 제2 유로(P2) 및 제3 유로(P3)를 회피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연결단자(139)는 단자홀(139a)을 관통하여 제1 바닥(1331)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연결단자(139)는 히터단자부(239, 도 4 참조)와 접촉되고, 배터리(190)나, 제어장치(미부호)를 히터(247)와 연결할 수 있다.
제2 나사홀(1335)은 제1 바닥(133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사홀(1335)은 제1 바닥(1331)의 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나사산은, 제2 나사홀(1335)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사홀(1335)은 제1 나사홀(133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나사(138)는 로워바디(110)로부터 제1 나사홀(1338)을 관통할 수 있다. 나사(138)는 제1 나사홀(1338)을 관통하여 제2 나사홀(1335)에 체결되어, 마운트(130)와 로워바디(11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카트리지(200)는 마운트공간(135)에 삽입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마운트공간(135)에 삽입된 카트리지(200)의 제3 파트(230)를 둘러싸며 지지할 수 있다. 마운트(130)의 제1 바닥(1331)은 제3 파트(230)의 바닥(232)을 지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포트(2343)는 마운트홀(134)에 삽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포트(2343)는 유로밀봉포트(1373)에 밀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34)는 마운트홀(134)과 연통될 수 있다.
제3 유로(P3)는 제2 유로(P2)로부터 컬럼(140)의 내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유로(P3)는 제2 센서(157)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제3 유로(P3)를 향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제3 유로(P3)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제2 유로(P2)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유로(P3)는 제2 유로(P2)로부터 제2 센서(157)를 향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157)는 마운트홀(134)보다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챔버(C2)에서 생성된 액체나, 누설된 액체가 제2 센서(157)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 센서(157)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틱을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하면,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로 유입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캡(300)의 삽입구벽(305)과 스틱(400)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유로(P1), 제2 유로(P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뒤, 마운트홀(134) 및 카트리지유입구(234)를 통해 카트리지(200)로 유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로 유입된 공기는 챔버유입구(2414)를 통해 제2 챔버(C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챔버(C2)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챔버(C2)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동반하여 연결구(2424)를 통과한 뒤, 삽입공간(214)의 스틱(400)으로 공급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제2 유로(P2)에 공기가 유동하면, 제2 센서(157)는, 제2 유로(P2)와 연결된 제3 유로(P3)의 공기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전술한 스틱(400)은, 매질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틱(400)은 냉각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틱(400)은 필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420)는 매질부(410)와 필터부(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틱(400)은 래퍼(440)를 포함할 수 있다. 래퍼(440)는 매질부(410)를 감쌀 수 있다. 래퍼(440)는 냉각부(420)를 감쌀 수 있다. 래퍼(440)는 필터부(430)를 감쌀 수 있다. 스틱(400)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매질부(410)는 매질(411)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부(410)는 제1 매질커버(413)를 포함할 수 있다. 매질부(410)는 제2 매질커버(415)를 포함할 수 있다. 매질(411)은 제1 매질커버(413)와 제2 매질커버(41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매질커버(413)는 스틱(4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매질부(410)의 길이는 24mm 일 수 있다.
매질(411)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매질(411)은 복수의 과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과립 각각은, 0.4mm 내지 1.12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매질(411)은 내부에 과립이 70% 정도로 채워질 수 있다. 매질(411)의 길이(L2)는 10mm 일 수 있다.제1 매질커버(413)는 아세테이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매질커버(415)는 아세테이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매질커버(413)는 종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매질커버(415)는 종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매질커버(413)와 제2 매질커버(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어 주름진 형상으로 뭉쳐지고, 그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복수의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틈은 매질(411)의 각 과립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매질커버(413)의 길이(L1)는 매질(411)의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 제2 매질커버(413)의 길이(L3)는 매질(411)의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매질커버(413)의 길이(L1)는 7mm 일 수 있다. 제2 매질커버(413)의 길이(L2)는 7mm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질(411)의 각 과립은 매질부(410) 및 스틱(4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냉각부(420)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냉각부(420)는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냉각부(420)는 매질부(410) 및 필터부(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부(420)는 제2 매질커버(415)와 필터부(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부(420)는, 내부의 냉각패스(424)를 둘러싸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부(420)는 래퍼(440)보다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냉각부(420)는 래퍼(440)보다 두꺼운 종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부(420)의 길이(L4)는 매질(411)의 길이(L2)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냉각부(420) 및 냉각패스(424)의 길이(L4)는 10mm 일 수 있다. 스틱(400)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에 삽입되면(도 3 참조), 냉각부(420)의 적어도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부(420)는 매질부(410)와 필터부(430)를 지지하며, 스틱(40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420)는 매질부(410)와 필터부(430)의 사이에서, 래퍼(440)를 지지하고, 래퍼(440)가 접착될 수 있는 부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열된 공기 및 에어로졸은, 냉각부(420) 내부의 냉각패스(424)를 통과하며 냉각될 수 있다.
필터부(430)는 아세테이트 재질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부(430)는 스틱(40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스틱(400)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에 삽입되면(도 3 참조), 필터부(43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부(430)를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필터부(430)의 길이(L5)는 14mm 일 수 있다.
래퍼(440)는 매질부(410), 냉각부(420) 및 필터부(430)를 감싸거나 둘러쌀 수 있다. 래퍼(440)는 스틱(40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래퍼(440)는 종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부(441)는 래퍼(44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래퍼(440)는 매질부(410), 냉각부(420) 및 필터부(430)를 감싸며,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접착부(441)와 타측 가장자리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매질부(410), 냉각부(420) 및 필터부(430)를 감싼 래퍼(440)는, 스틱(400)의 일단과 타단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래퍼(440)는 매질부(410), 냉각부(420) 및 필터부(430)를 고정하고, 스틱(400)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박막(443)은 제1 매질커버(4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박막(443)은 래퍼(440)와 제1 매질커버(413)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래퍼(44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박막(443)은 제1 매질커버(413)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박막(443)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박막(443)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박막(443)은 래퍼(440)에 밀착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제2 박막(445)은 제2 매질커버(41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박막(445)은 래퍼(440)와 제2 매질커버(415)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래퍼(44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박막(445)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박막(445)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박막(445)은 래퍼(440)에 밀착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에 스틱을 인식하는 커패시턴스 센서(capacitance sensor)가 설치된 경우, 커패시턴스 센서가 스틱(400)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바디(100); 및 상기 바디(100)에 결합되는 카트리지(200); 로서, 상기 카트리지(200)는, 액체를 저장하는 제1 챔버(C1); 상기 카트리지(200)의 외부를 연통하는 삽입공간(214); 상기 삽입공간(214)과 연통되는 제2 챔버(C2); 상기 제2 챔버(C2)와 외부를 연통하는 카트리지유입구(234); 상기 제2 챔버(C2)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챔버(C1)와 연결되는 심지(246); 및 상기 심지(246)를 가열하는 히터(247)를 포함하는 카트리지(20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100)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카트리지(200)를 마주하고, 상기 카트리지(200)를 지지하는 컬럼(140)을 포함하고, 상기 컬럼(140)과 상기 카트리지(20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유입구(234)와 외부를 연통하는 제1 유로(P1)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유로(P1)는, 상기 카트리지(200)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기 컬럼(140)의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유로(P1)는, 상기 컬럼(14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컬럼(14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서(157)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유로(P1)는, 상기 센서(157)를 사이에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100)는, 상기 카트리지(200)의 하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일측에 상기 컬럼(140)이 연장되는 마운트(130)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130)는,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유입구(234)와 연통되는 마운트홀(134); 및 상기 마운트(130)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P1)와 상기 마운트홀(134)을 연결하는 제2 유로(P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130)는, 상기 카트리지(200)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마운트홀(134)이 형성된 제1 바닥(1331); 및 상기 제1 바닥(1331)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바닥(1331)과의 사이에 상기 제2 유로(P2)가 형성되는 제2 바닥(13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유로(P2)는, 상기 제1 바닥(1331) 및 상기 제2 바닥(13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130)는, 상기 제1 바닥(1331)과 상기 제2 바닥(1332)의 사이에 밀착되며, 상기 제2 유로(P2)의 주변을 밀봉하는 유로밀봉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로밀봉부(137)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200)는, 상기 카트리지유입구(234)를 둘러싸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카트리지유입포트(2343)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밀봉부(137)는, 상기 제1 바닥(1331)을 관통하여 밀착되고, 상기 마운트홀(134)을 둘러싸며, 상기 카트리지유입포트(2343)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유로밀봉포트(1373)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컬럼(14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서(157); 및 상기 제2 유로(P2)로부터 상기 컬럼(140)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센서(157)와 연결되는 제3 유로(P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센서(157)는, 상기 제2 유로(P2)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200)는, 상기 제2 챔버(C2)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챔버(C2)와 상기 카트리지유입구(234)를 연통하는 챔버유입구(2414)를 형성하는 챔버유입포트(24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챔버유입구(2414)는, 상기 심지(246)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5)

  1.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액체를 저장하는 제1 챔버;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연통하는 삽입공간;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제2 챔버; 상기 제2 챔버와 외부를 연통하는 카트리지유입구; 상기 제2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챔버와 연결되는 심지; 및 상기 심지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벽을 마주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벽을 지지하는 컬럼을 포함하고,
    상기 컬럼과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벽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유입구와 외부를 연통하는 제1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벽을 지지하는 상기 컬럼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컬럼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벽을 지지하는 상기 컬럼의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센서를 사이에 두고 복수로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일측에 상기 컬럼이 연장되는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는,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유입구와 연통되는 마운트홀; 및
    상기 마운트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마운트홀을 연결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상기 카트리지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마운트홀이 형성된 제1 바닥; 및
    상기 제1 바닥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바닥과의 사이에 상기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제2 바닥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1 바닥 및 상기 제2 바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함몰되어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상기 제1 바닥과 상기 제2 바닥의 사이에 밀착되며, 상기 제2 유로의 주변을 밀봉하는 유로밀봉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밀봉부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유입구를 둘러싸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카트리지유입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밀봉부는,
    상기 제1 바닥을 관통하여 밀착되고, 상기 마운트홀을 둘러싸며, 상기 카트리지유입포트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유로밀봉포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제2 유로로부터 상기 컬럼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센서와 연결되는 제3 유로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유로보다 상측에 배치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2 챔버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챔버와 상기 카트리지유입구를 연통하는 챔버유입구를 형성하는 챔버유입포트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유입구는,
    상기 심지와 어긋나게 배치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0210064512A 2021-05-20 2021-05-20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2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512A KR102542023B1 (ko) 2021-05-20 2021-05-20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22805005.0A EP4340655A1 (en) 2021-05-20 2022-05-19 Aerosol-generating device
PCT/KR2022/007179 WO2022245152A1 (en) 2021-05-20 2022-05-19 Aerosol-generating device
CN202280034688.8A CN117320574A (zh) 2021-05-20 2022-05-19 气溶胶生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512A KR102542023B1 (ko) 2021-05-20 2021-05-20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16A KR20220157016A (ko) 2022-11-29
KR102542023B1 true KR102542023B1 (ko) 2023-06-12

Family

ID=8414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512A KR102542023B1 (ko) 2021-05-20 2021-05-20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40655A1 (ko)
KR (1) KR102542023B1 (ko)
CN (1) CN117320574A (ko)
WO (1) WO202224515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3453A (ja) * 2013-03-07 2016-05-16 アール・ジエイ・レイノルズ・タバコ・カンパニー 電子喫煙具に対する使用済カートリッジ検出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4071B (zh) * 2014-12-15 2019-10-1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系統及用於在電熱式氣溶膠產生系統內導引氣流的方法
GB201610220D0 (en) * 2016-06-13 2016-07-27 Nicoventures Holdings Ltd Aerosol delivery device
KR102116961B1 (ko) * 2017-07-21 2020-06-02 주식회사 아모센스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
GB201719867D0 (en) * 2017-11-29 2018-01-10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pparatus for heating aerosolisable
KR102135804B1 (ko) * 2018-06-05 2020-07-20 주식회사 이엠텍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발생기용 카토마이저
KR102203852B1 (ko) * 2018-11-16 2021-01-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
KR102325183B1 (ko) * 2019-10-11 2021-11-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액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3453A (ja) * 2013-03-07 2016-05-16 アール・ジエイ・レイノルズ・タバコ・カンパニー 電子喫煙具に対する使用済カートリッジ検出方法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16A (ko) 2022-11-29
EP4340655A1 (en) 2024-03-27
WO2022245152A1 (en) 2022-11-24
CN117320574A (zh)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02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583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57015A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33270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2022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173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2024518559A (ja) 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2024518563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545834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48607A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5832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579820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5831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589100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57981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5830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2014860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56525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2024518744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2024518731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2023005652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2024518734A (ja) 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2023010567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56557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