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819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9819B1 KR102579819B1 KR1020210082964A KR20210082964A KR102579819B1 KR 102579819 B1 KR102579819 B1 KR 102579819B1 KR 1020210082964 A KR1020210082964 A KR 1020210082964A KR 20210082964 A KR20210082964 A KR 20210082964A KR 102579819 B1 KR102579819 B1 KR 102579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stick
- wall
- insertion space
- cartridg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UHCLFIWDCYOTOL-UHFFFAOYSA-N 1,2,4,5-tetrachloro-3-(2,5-dichloro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l)C(C=2C(=C(Cl)C=C(Cl)C=2Cl)Cl)=C1 UHCLFIWDCYOTO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SNICXCGAKADSCV-JTQLQIEISA-N (-)-Nicotine Chemical compound CN1CCC[C@H]1C1=CC=CN=C1 SNICXCGAKADSCV-JTQLQIEI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44 Gore-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15 nicot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SNICXCGAKADSCV-UHFFFAOYSA-N nicotine Natural products CN1CCCC1C1=CC=CN=C1 SNICXCGAKADSC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4—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extraction; Tobacco extracts
- A24B15/241—Extraction of specific substances
- A24B15/243—Nicotine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24B15/303—Plant extracts other than tobacco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로서, 챔버와 삽입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삽입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된 카트리지; 상기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커버의 피봇 축에 대향되며, 상기 개구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오버랩되는 스틱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기체 유동의 효율을 개선하고, 흡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부품 간 결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틱 삽입을 위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액체 저장 공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로서, 챔버와 삽입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삽입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된 카트리지; 상기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커버의 피봇 축에 대향되며, 상기 개구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오버랩되는 스틱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체 유동의 효율을 개선하고, 흡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부품 간 결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틱 삽입을 위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액체 저장 공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81을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바디(100), 카트리지(200) 및 캡(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로워바디(110)와 어퍼바디(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로워바디(110)는 내부에 배터리, 제어부 등 전력 공급이나 제어에 필요한 각종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다. 로워바디(11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어퍼바디(120)는 로워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어퍼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100)는 본체바디(100)라 명명될 수 있다.
어퍼바디(120)는 마운트(130)와 컬럼(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130)는 로워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카트리지(20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134)을 제공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측에 공간(134)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운트(130)는 공간(134)에 삽입된 카트리지(200)의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마운트(130)는 카트리지(200)를 체결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카트리지(2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컬럼(140)은 로워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컬럼(140)은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컬럼(140)은 마운트(13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의 일측벽을 마주할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의 일측벽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의 일측벽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삽입공간(214)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부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컬럼(14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컬럼(140)은, 삽입공간(214)이 형성된 제1 컨테이너(210)의 내부의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바디(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삽입공간(214)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일단이 개방되어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개구는, 삽입공간(214)의 일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제1 컨테이너(210)와 제2 컨테이너(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제1 컨테이너(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제2 컨테이너(2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상측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삽입공간(214)을 제공할 수 있다. 스틱(400, 도 3 참조)은, 삽입공간(214)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일측벽은 컬럼(140)을 마주할 수 있다. 컬럼(140)은 제1 컨테이너(210)의 일측벽을 감쌀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마운트(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제1 컨테이너(21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내부에 심지(261, 도 2 참조) 및 히터(262, 도 2 참조)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마운트(130)가 제공하는 공간(134)에 삽입될 수 있다. 마운트(130)의 공간(134)은 카트리지수용공간(134)이라 명명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제2 컨테이너(220)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마운트(130)에 결합될 수 있다.
캡(300)은 바디(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300)은 카트리지(200)를 덮을 수 있다. 캡(300)은 바디(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캡(300)은 외부로부터 카트리지(200) 및/또는 바디(100)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캡(300)을 바디(100)로부터 분리하여 카트리지(200)를 교체할 수 있다.
캡(300)은 바디(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캡(300)은 로워바디(11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캡(300)은 어퍼바디(120)를 덮을 수 있다. 캡(300)은 카트리지(200)를 덮을 수 있다. 캡(300)의 측벽(301)은 카트리지(200)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캡(300)의 측벽(301)은 어퍼바디(120)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캡(300)의 상벽(303)은 카트리지(2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캡(300)의 상벽(303)은 컬럼(14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캡(300)은 삽입구(304)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구(304)는 캡(300)의 상벽(303)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304)는 삽입공간(2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304)는 삽입공간(214)의 일단 또는 상단에 연통될 수 있다.
캡(300)은 캡유입구(304a)를 구비할 수 있다. 캡유입구(304a)는 캡(300)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유입구(304a)는 캡(300)의 상벽(303)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유입구(304a)는 캡(300)의 측벽(301)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캡유입구(304a)는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공기는 캡유입구(304a)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카트리지(200)는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액체를 저장하는 제1 챔버(C1)를 제공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제1 챔버(C1)와 구획되는 삽입공간(214)을 제공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삽입공간(214)은 일단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는 삽입공간(214)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내부의 공간을 둘러싸는 외벽(2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외벽(211)이 둘러싸는 공간을 분리하여 일측에 제1 챔버(C1)를 구획하고, 타측에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214)을 구획하는 내벽(212)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스틱(400, 도 3 참조)은 삽입공간(214)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제1 컨테이너(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삽입공간(214)과 연통되는 제2 챔버(C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제2 컨테이너(2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삽입공간(214)의 타단 또는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카트리지(200)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제2 컨테이너(220)의 외벽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삽입공간(214)과 연통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제2 챔버(C2)와 연통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제2 컨테이너(210)의 측벽(221)에 형성될 수 있다.
심지(261)는 제2 챔버(C2)에 설치될 수 있다. 심지(261)는 제1 챔버(C1)와 연결될 수 있다. 심지(261)는 제1 챔버(C1)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히터(262)는 심지(261)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262)는 제2 챔버(C2)에 설치될 수 있다. 히터(262)는 심지(261)를 복수회 권선할 수 있다. 히터(262)는 배터리(190) 및/또는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히터(262)는 저항성 코일일 수 있다. 히터(262)가 발열되어 심지(261)를 가열하면, 심지(261)에 공급된 액체가 무화되어 제2 챔버(C2) 내에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가 저장되는 제1 컨테이너(210)의 제1 챔버(C1)가 스틱(400, 도 3 참조) 및/또는 스틱(40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14)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스틱(400)으로부터, 제1 챔버(C1)와 연결되는 심지(261) 및 히터(262)로부터 거리가 가깝게 배치될 수 있어, 에어로졸의 열전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PCB(Printed Circuit Board) 어셈블리(150)는 컬럼(1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153)과 센서(154) 중 적어도 하나는 PCB 어셈블리(150)의 PCB(151)에 장착될 수 있다(도 24 참조). PCB 어셈블리(150)는 카트리지(200)의 측부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의 광원(153)은 카트리지(200)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의 센서(154)는 카트리지(200) 내외부의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에 장착된 센서(154)는 제1 센서(154)라 명명될 수 있다.
센서(180)는 로워바디(110)의 상부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180)는 로워바디(110)의 분리벽(112)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180)는 카트리지(2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180)는 공기흐름센서 또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센서(180)는 제2 센서(180)라 명명될 수 있다.
센서(180)는 마운트(1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180)는 측부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센서(180)는 카트리지유입구(224)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센서(180)는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로워바디(110)는 내부에 배터리(190)를 수용할 수 있다. 로워바디(110)는 내부에 각종 제어장치들을 수용할 수 있다. 배터리(19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각종 구성요소들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90)는 로워바디(110)의 일측 또는 하부에 형성된 충전포트(119)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분리벽(112)은 배터리(19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분리벽(112)은 마운트(130) 및/또는 컬럼(14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바디프레임(114)은 배터리(190)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바디프레임(114)은 배터리(190)가 수용되는 공간과 제어장치들이 수용되는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틱(400)은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틱(400)은 내부에 매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틱(400)은 삽입공간(214)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을 개폐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의 개구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의 일단 또는 상단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컨테이너(2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에 인접한 위치에서, 캡(30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피봇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을 개폐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의 내측을 향하여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을 개방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개방하도록 피봇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명명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의 외측을 향하여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을 폐쇄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폐쇄하도록 피봇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 명명할 수 있다.
스틱(400)의 끝단이 커버(310)에 접촉하여 커버(310)를 밀어내면, 커버(310)는 제1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을 개방할 수 있다. 스틱(400)은 커버(310)를 밀어내고, 삽입공간(214)에 삽입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으로부터 이탈되면, 커버(310)는 제2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을 폐쇄할 수 있다.
스프링(312, 도 12 참조)은, 제2 방향으로 커버(3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프링(312)의 일단은 커버(310)를 지지하고, 스프링(312)의 타단은 제1 컨테이너(210)의 상단 또는 캡(300)을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312)은 커버(310)의 피봇 축에 권선될 수 있다.
커버(310)는 캡(300)의 삽입구(304)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캡(300)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피봇되어 삽입구(304)를 개폐할 수 있다. 커버(310)는 제1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구(304)를 개방할 수 있다. 커버(310)는 제2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구(304)를 폐쇄할 수 있다.
스틱(400)은 캡(300)의 삽입구(304)를 통과하여 삽입공간(214)에 삽입될 수 있다. 스틱(400)의 일단이 커버(310)에 접촉하여 커버(310)를 밀어내면, 커버(310)는 제1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공간(214)과 삽입구(304)를 개방할 수 있다. 스틱(400)은 커버(310)를 밀어내고, 삽입구(304)를 통과하여 삽입공간(214)에 삽입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으로부터 이탈되면, 커버(310)는 제2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공간(214)과 삽입구(304)를 폐쇄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면, 스틱(400)의 일단은 캡(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스틱(400)의 타단은 제2 챔버(C2)에 인접하여 제2 챔버(C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출된 스틱(400)의 일단부를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공기는 캡유입구(304a)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캡유입구(304a)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카트리지유입구(224)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는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통과하여 카트리지(200)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통과한 공기는 제2 챔버(C2)로 유입되어 삽입공간(214)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공기는 제2 챔버(C2)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동반하여 스틱(400)을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400)을 삽입공간(214)에 삽입하는 동작을 통해 커버(310)를 피봇시켜,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스틱(400)을 삽입공간(214)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동작과 동시에, 커버(310)가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삽입공간(214)의 내부를 외부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카트리지(200)는 어퍼바디(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바디(120)는 로워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바디(120)는 마운트(130) 및 컬럼(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상부가 개방된 공간(134)을 제공할 수 있다. 마운트(130)의 내측면(131)과 바닥(133)은 공간(134)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컬럼(140)의 내측벽(141)은 공간(134)의 일측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마운트(130)가 제공하는 공간(134)에 삽입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공간(134)에 삽입된 제2 컨테이너(220)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200)는 마운트(130)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마운트(130)와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마운트(130)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가 마운트(130)의 공간(134)에 삽입되면, 제2 컨테이너(220)에 형성된 함몰부(221a)와 마운트(130)에 형성된 돌출부(131a)가 체결될 수 있다.
함몰부(221a)는 제2 컨테이너(220)의 측벽(221)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21a)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컨테이너(220)의 측벽(22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1a)는 마운트(130)의 내측면(13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1a)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마운트(130)의 내측면(13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1a)는 함몰부(2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가 마운트(130)와 결합되면, 제1 컨테이너(210)는 마운트(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제2 컨테이너(220)보다 측부 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마운트(130)가 둘러싸는 공간(134)에 삽입되고, 제1 컨테이너(210)는 마운트(13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마운트(130)는 카트리지(2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제2 컨테이너(220)의 측부와 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제1 컨테이너(210)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컬럼(140)은 마운트(13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컬럼(140)은 마운트(130)의 공간(134)의 일측을 둘러쌀 수 있다. 컬럼(140)의 내측벽(141)은 마운트(130)의 내측면(131)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컬럼(140)의 외측벽(142)은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에 대응되는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컬럼(140)의 상벽(143)은 카트리지(200)의 상단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은 카트리지(200)의 일측벽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컬럼(140)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컬럼(140)은 삽입공간(214)이 형성된 카트리지(200)의 일측벽을 감쌀 수 있다. 카트리지(200)의 일측벽은 컬럼(140)의 내측벽(141)에 슬라이드되어 마운트(130)에 삽입될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의 일측벽을 지지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 도 3 참조)를 보호하는 윈도우(170)는 컬럼(140)의 내측벽(141)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70)는 카트리지(200) 및 컬럼(1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70)는 컬럼(14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윈도우(170)는 삽입공간(214)이 형성된 카트리지(200)의 일측벽을 감쌀 수 있다. 윈도우(170)는 카트리지(200)의 일측벽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200)가 바디(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0)가 바디(100)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캡(300)은 바디(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300)은 카트리지(200)와 바디(100)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캡(300)을 바디로부터 분리하여 카트리지(200)를 교체할 수 있다.
어퍼바디(120)의 외측면(132, 142)에는 결합돌기(132a, 132b)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32a, 132b)는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32a, 132b)는 컬럼(140)의 외측벽(142)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32a, 132b)는 제1 결합돌기(132a) 및 제2 결합돌기(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32a)와 제2 결합돌기(132b)는 서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32a)는 어퍼바디(120)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32a)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결합돌기(132a) 중 어느 하나는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돌기(132a)는 컬럼(140)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결합돌기(132a) 중 다른 하나는, 컬럼(140)의 외측벽(14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32a)는 제2 결합돌기(132b)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32a)는 제2 결합돌기(132b)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32a)는 제2 결합돌기(132b)보다 더 폭이 좁을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32a)는 측부 방향으로 폭이 좁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32a)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할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32b)는 어퍼바디(120)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32b)는 볼록하거나 라운드지게 돌출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32b)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결합돌기(132b) 중 어느 하나는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돌기(132b)는 컬럼(140)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돌기(132b)는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의 둘레를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결합돌기(132b) 중 다른 하나는 컬럼(140)의 외측벽(14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돌기(132b)는 컬럼(140)의 외측벽(142)의 둘레를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홈(302a, 302b)은 캡(300)의 내측면(302)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02a, 302b)은 결합돌기(132a, 132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캡(300)이 카트리지(200)와 어퍼바디(120)를 덮으면, 결합돌기(132a, 132b)와 결합홈(302a, 302b)은 서로 체결되어, 캡(300)과 어퍼바디(12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홈(302a, 302b)은 제1 결합홈(302a) 및 제2 결합홈(30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홈(302a)과 제2 결합홈(302b)은 서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홈(302a)은 캡(300)의 내측면(302)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홈(302a)은 캡(300)의 내측면(302)에서 제1 결합돌기(132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홈(302a)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홈(302a)은 상측으로 향할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32a)는 제1 결합홈(302a)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32a)가 제1 결합홈(302a)에 삽입될 때, 제1 결합돌기(132a)와 제1 결합홈(302a)은 캡(300)이 정위치로 배치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2 결합홈(302b)은 캡(300)의 내측면(302)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홈(302b)은 볼록하거나 라운드지게 함몰될 수 있다. 제2 결합홈(302b)은 캡(300)의 내측면(302)에서 제2 결합돌기(132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홈(302b)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홈(302b)은 캡(300)의 내측면(302)의 둘레를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32b)는 제2 결합홈(302b)에 삽입되어 스냅핏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32b)와 제2 결합홈(302b)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상단둘레(113)는 어퍼바디(120)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상단둘레(113)는 어퍼바디(12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상단둘레(113)는 어퍼바디(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캡(300)이 바디(100)에 결합되면, 캡(300)의 측벽(301)의 하단은 로워바디(110)의 상단둘레(113)에 접촉될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상단둘레(113)는 캡(300)이 어퍼바디(120)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캡(300)은, 캡바디(320), 하부헤드(330) 및 상부헤드(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10)는 캡(300)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구(304)를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구의 둘레를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된 둘레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11)는 커버(31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311)는 커버(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311)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310)는 샤프트(311)가 연장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피봇될 수 있다. 샤프트(311)는 커버(310)의 피봇 축이 될 수 있다. 샤프트(311)는 커버(310)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샤프트(311)는 커버샤프트(311)라 명명할 수 있다.
스프링(312)은 커버(31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312)의 일단은 커버(310)를 지지하고, 스프링(312)의 타단은 캡(30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도 17 및 도 18 참조). 스프링(312)의 타단은 상부헤드(340)를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312)은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통하여 커버(31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310)는 스프링(312)을 통하여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공간(214, 도 17 참조) 및/또는 삽입구(304)를 폐쇄할 수 있다. 스프링(312)은 샤프트(311)에 권선될 수 있다. 샤프트(311)에 권선된 스프링(312)의 일단은 커버(310)를 향하여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캡바디(320)는 캡(300)의 측벽(301)을 구성할 수 있다. 캡바디(320)는 상하로 개방되며,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캡바디(320)는 카트리지(200)의 측부와 어퍼바디(120)의 측부를 덮을 수 있다. 캡바디(320)는 체결리브(32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리브(322)는 캡바디(320)의 내측면(30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리브(322)는 캡바디(320)의 측벽(30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리브(322)는 캡바디(3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리브(322)는 제1 리브홈(323) 및 제2 리브홈(3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브홈(323)은 체결리브(322)가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홈(323)은 체결리브(32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브홈(324)은 체결리브(322)의 하부가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브홈(324)은 복수로 구비되어 체결리브(322)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하부헤드(330)와 상부헤드(340)는 상하로 결합되어 캡(300)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하부헤드(330)는 상부헤드(340)의 하측에서 상부헤드(340)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헤드(330)는 삽입구(304)의 하측을 둘러쌀 수 있다.
하부헤드(330)는 샤프트홈(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홈(331)은 하부헤드(33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홈(331)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311)는 샤프트홈(33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샤프트(311)의 양측 단부는 각각 한쌍의 샤프트홈(331)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헤드(330)는 헤드리브(33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리브(332)는 하부헤드(33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헤드리브(332)는 체결리브(32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리브(332)는 체결리브(322)의 하부에 걸릴 수 있다.
하부헤드(330)는 제1 헤드래치(333)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래치(333)는 헤드리브(33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헤드리브(332)가 체결리브(322)의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면, 헤드래치(333)는 체결리브(322)의 상부에 걸릴 수 있다.
하부헤드(330)는 가이드바(33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바(335)는 헤드리브(33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바(335)는 상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헤드리브(332)가 체결리브(322)의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면, 가이드바(335)는 제1 리브홈(323)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바(335)는 제1 리브홈(323)에 삽입되어 하부헤드(330)의 배치를 안내할 수 있다.
스크류(334)는 하부헤드(330)와 상부헤드(340)를 체결할 수 있다. 스크류(334)는 하부헤드(330)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부헤드(340)에 고정될 수 있다.
캡(300)은 제2 가이드(3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는 하부헤드(33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는 삽입구(304)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는 삽입구(304)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는 삽입구(304) 및 삽입공간(21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는 캡(300)의 삽입구(304)의 주변으로부터 삽입공간(214)의 일단 또는 상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도 17 참조). 제2 가이드(306)는 제2 스틱가이드(306)로 명명될 수 있다.
상부헤드(340)는 캡바디(3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캡(300)의 상벽(303)을 구성할 수 있다. 캡(300)의 상벽(303)은 헤드상벽(303)이라 명명할 수 있다. 상부헤드(340)는 하부헤드(330)의 상측에서 하부헤드(330)와 결합될 수 있다. 헤드상벽(303)의 둘레는 체결리브(322)의 상측에 걸릴 수 있다.
상부헤드(340)는 제2 헤드래치(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헤드래치(343)는 헤드상벽(303)의 둘레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헤드상벽(303)의 둘레가 체결리브(322)에 걸리면, 제2 헤드래치(343)는 체결리브(322)에 형성된 제2 리브홈(324)에 체결될 수 있다.
캡(300)은 삽입공간(214)의 일단에 연통되는 삽입구(304)를 구비할 수 있다. 캡(300)은 삽입구(304)의 둘레를 구성하는 삽입구벽(305)을 구비할 수 있다. 캡(300)의 삽입구(304)는 헤드상벽(303)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벽(305)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구벽(305)의 내주면은 삽입구(304)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삽입구벽(305)의 내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벽(305)의 내주면은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벽(305)의 내주면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삽입구(304)를 좁히다가, 다시 넓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310)의 단부 또는 둘레는 삽입구벽(305)의 하측에 걸릴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구(304)를 폐쇄하면, 삽입구벽(305)은, 커버(310)와 접촉되어 커버(3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삽입구벽(305)은 커버(310)의 단부 또는 둘레에 접촉하여 커버(310)가 삽입구(304)의 상측으로 피봇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구(304)보다 클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면, 카트리지(200)는 커버홈(215)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의 개구에 인접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으로부터 삽입공간(214)의 둘레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으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으로부터 제1 챔버(C1)를 향해 함몰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커버(310)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제1 컨테이너(210)에서, 삽입공간(214)의 일단 또는 상단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삽입공간(214)의 일단부에서, 삽입공간(214)의 둘레가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310)는 커버홈(215)에 수용될 수 있다(도 17 및 도 18 참조).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의 개구를 개방하면서, 커버홈(215)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310)는, 제1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의 개구를 개방하면서, 커버홈(215)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일단부 또는 상단부가 삽입공간(214)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홈(215)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이 삽입공간(214)으로부터 제1 챔버(C1)를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은 커버홈(215)을 구획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은 커버홈(215)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은 커버홈(215)의 바닥에 접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은 커버홈(215)의 측부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삽입공간(214)의 상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삽입공간(214)의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가이드(21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제1 스틱가이드(216)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홈(215)의 바닥과 접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홈(215)의 바닥과 접하는 위치에서,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홈(215)의 바닥과 삽입공간(21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홈(21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홈(215)의 바닥으로부터 삽입공간(214)의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삽입공간(214)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스틱(400, 도 3 참조)의 단부에 접촉하여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카트리지(200)는 제1 컨테이너(210), 제2 컨테이너(220), 실링부재(250), 심지(261) 및 히터(2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20)는 하부케이스(230) 및 프레임(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제1 챔버(C1)와 삽입공간(214)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은,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이 둘러싸는 공간을 분리하여, 일측에 제1 챔버(C1)를 구획하고, 타측에 삽입공간(214)을 구획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내벽(212)은 제1 챔버(C1)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내벽(212)은 연결되어, 제1 챔버(C1)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상벽(213)은 제1 챔버(C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상벽(213)은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내벽(2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내벽(212)은 삽입공간(214)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스틱(400, 도 3)의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내벽(212)은 연결되어, 삽입공간(214)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상하로 개방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제2 챔버(C2)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삽입공간(2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삽입공간(214)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하부케이스(230) 및 프레임(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제2 컨테이너(22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 또는 둘레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프레임(240)을 지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하부케이스(230)의 측벽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하부케이스(230)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챔버(C2)로부터 액체가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통해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수용부(231)와 연장부(2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3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부(231)는 수용공간을 둘러쌀 수 있다. 수용부(231)는 내부에 프레임(2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231)의 측벽은 제2 컨테이너(220)의 측벽(221, 도 4 참조)일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수용부(231)의 측벽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32)는 수용부(231)의 일측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232)는 프레임(24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수용부(231)는 케이스부(231)라 명명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하부케이스(2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제2 챔버(C2)를 구획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제2 챔버(C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제2 챔버(C2)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프레임(240)은 제1 챔버(C1)의 바닥을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제1 프레임부(241) 및 제2 프레임부(2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는 제1 챔버(C1)의 바닥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 내벽(212), 상벽(213) 및 제1 프레임부(24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는 제1 프레임(241)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는 제2 프레임(242)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는 제2 챔버(C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는 제2 챔버(C2)를 구획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은 제2 챔버(C2)의 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의 바닥은 제2 챔버(C2)의 바닥을 구성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챔버(C2)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챔버(C2)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와 제2 프레임부(24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는, 제2 프레임부(242)로부터 제1 챔버(C1)의 바닥을 덮도록 연장될 수 있다.
수용부(231)는 내부에 제2 프레임부(242)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231)는 제2 프레임부(242)의 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수용부(231)는 제2 프레임부(242)와 함께 제2 챔버(C2)를 구획할 수 있다. 연장부(232)는 제1 프레임부(241)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는 수용부(231)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프레임부(242)는 연장부(23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유로(2314)는 수용부(23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40)은, 하부케이스(230)의 내부에서, 연결유로(2314)를 구획할 수 있다. 연결유로(2314)는 카트리지유입구(224)와 챔버유입구(2424)의 사이에 형성되어, 카트리지유입구(224)와 챔버유입구(2424)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는 연결유로(2314)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는 연결유로(2314)의 측부를 덮을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연결유로(2314)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카트리지유입구(224)와 챔버유입구(242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단벽(2317)은 하부케이스(230)의 바닥 또는 프레임(240)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카트리지유입구(224)보다 높게 연장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챔버유입구(2424)보다 높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챔버(C2)로부터 액체가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통과하여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제1 챔버(C1) 및 제2 컨테이너(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제1 챔버(C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재(250)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제1 챔버(C1)에 저장된 액체가 제1 챔버(C1)로부터 구성들 간의 틈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제1 실링부(251) 및 제2 실링부(2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의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프레임(240)의 사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제1 프레임부(241)의 사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챔버(C1) 내에 저장된 액체가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프레임(240)의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1 실링부(251)로부터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밀착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과 프레임(240)의 사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과 제2 프레임부(242)의 사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프레임(24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2 프레임부(242)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하단은, 프레임(240)을 향하여 제2 실링부(252)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챔버(C1) 내에 저장된 액체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과 프레임(240)의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센서수용부(137)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수용부(137)는 마운트(130)의 일측벽의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센서수용부(13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센서수용부(137)를 덮을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센서수용부(137)의 일측을 감쌀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의 수용부(231)의 일측벽은 센서수용부(137)의 측부를 마주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의 연장부(232)는 센서수용부(137)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센서수용부(137)와 하부케이스(230)의 사이에 공기 유동할 수 있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는 센서수용부(137)와 하부케이스(230)의 사이를 통과하여 카트리지유입구(224)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센서수용부(137)와 하부케이스(230)의 사이를 통과하여 카트리지유입구(224)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카트리지(200)는, 삽입공간(214)의 타단 또는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삽입공간(214)의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스틱스토퍼(217)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7)는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7)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 및/또는 내벽(212)에 형성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7)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7)는 세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7)는 삽입공간(214)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7)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7)는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7)는 삽입공간(214)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형상 또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틱(400)은 스틱스토퍼(217)의 둘레에 걸쳐질 수 있다. 스틱스토퍼(217)는 상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삽입될 때, 스틱스토퍼(217)는, 스틱(400)의 단부에 접촉하여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을 넘어 제2 챔버(C2)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2 챔버(C2)에서 삽입공간(214)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양이 저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틱스토퍼(217)는 제2 챔버(C2)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스틱(400)의 매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커버(310)의 피봇 축 또는 샤프트(311)는 삽입공간(21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310)의 피봇 축 또는 샤프트(311)는 삽입공간(214) 및 삽입구(30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의 내측을 향하여 피봇되어 삽입공간(214) 및/또는 삽입구(304)를 개방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의 내측을 향하여 피봇되는 방향은 제1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커버(310)가 제1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을 개방하면, 커버(310)는 커버홈(215)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개방하면, 커버(310)는 커버홈(215)에 수용되며, 커버홈(215)의 하측에 배치된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에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개방하면, 커버(310)는 커버홈(215)의 하측에 위치한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홈(215)의 바닥으로부터 삽입공간(214)의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하측으로 향할수록 삽입공간(214)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개방하면, 제1 가이드(216)는 커버(310)의 하측에서 커버(310)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개방하면, 제1 가이드(216)는 커버(310)의 끝단보다 삽입공간(214)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310)는 삽입공간(214)의 외측을 향하여 피봇되어 삽입공간(214) 및/또는 삽입구(304)를 폐쇄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의 외측을 향하여 피봇되는 방향은 제2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스프링(312)의 일단은 커버(310)를 지지하고, 스프링(312)의 타단은 캡(300)을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312)은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커버(3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310)는 스프링(312)을 통하여 제2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는 하측으로 향할수록 내측 공간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는 커버(310)의 피봇 반경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는 커버(310)의 피봇 반경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는 커버(310)의 피봇 반경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의 일단은 삽입구(304)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의 일단은 삽입구(30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의 일단은 삽입구벽(30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구벽(305)은 제2 가이드(306)의 일단보다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310)가 제2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을 폐쇄하면, 커버(310)는 삽입구벽(305)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의 타단은 삽입공간(214)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의 타단은, 삽입공간(214)의 둘레를 구성하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의 타단은 삽입공간(214)을 구획하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는 제2 가이드(306)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경사지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스틱(400)은 커버(310)를 삽입공간(214)의 내측방향 또는 제1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스틱(400)이 커버(310)를 밀어내어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면, 커버(310)는 삽입공간(214) 및/또는 삽입구(304)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스틱(400)의 단부가 삽입구(304)를 통과할 때, 스틱(400)의 단부는 삽입구벽(305)에 접촉될 수 있다. 스틱(400)의 단부가 삽입구벽(305)에 접촉되면, 삽입구벽(305)은 스틱(400)을 삽입구(304)의 정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구(304)를 통과하면, 스틱(400)의 단부는 커버(310)를 밀어내어 커버(310)를 제1 방향으로 피봇시킬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스틱(400)이 삽입구(304)를 통과하면, 커버(310)는 커버홈(215)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310)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에 오버랩되어,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과 함께 삽입공간(214)의 일측벽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스틱(400)은 커버(310)의 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삽입공간(214)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는 삽입구(304)를 중심으로, 커버(310)의 피봇 축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06)는 커버홈(215)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으로 삽입될 때, 스틱(400)의 단부는 제2 가이드(306)와 접촉될 수 있다. 스틱(400)의 단부가 제2 가이드(306)에 접촉되면, 제2 가이드(306)는 스틱(400)을 삽입공간(214)의 정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제2 가이드(306)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제2 가이드(216)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홈(21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커버(3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216)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으로 삽입될 때, 스틱(400)의 단부는 제1 가이드(216)에 접촉될 수 있다. 스틱(400)의 단부는 제2 가이드(306)에 먼저 접촉되어 위치가 안내된 이후에 제1 가이드(216)에 접촉될 수 있다. 스틱(400)의 단부가 제1 가이드(216)에 접촉되면, 제1 가이드(216)는 스틱(400)을 삽입공간(214)의 정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면, 스틱(400)의 단부는 스틱스토퍼(217)에 접촉될 수 있다. 스틱스토퍼(217)는 스틱(400)의 단부에 접촉되어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의 하측 또는 제2 챔버(C2)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틱(400)을 통해 커버(310)를 밀어낼 때, 스틱(400)의 위치가 삽입구(304)를 부드럽게 통과하도록 정확한 위치로 안내되어 커버(310)를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스틱(400)이 커버(310)를 밀어내어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의 내측에 배치되더라도, 커버(310)가 커버홈(215)에 수용됨으로써,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을 구획하는 벽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을 구획하는 벽에 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스틱(40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할 때, 삽입공간(214)과 스틱(400)의 사이에서 불필요하게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낭비되는 흡인력을 줄여 공기 유동의 효율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틱(400)을 통해 커버(310)를 밀어내면서, 커버(310)가 제2 방향으로 스틱(400)의 단부에 외력을 가하더라도,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정확히 삽입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스틱(400)이 제2 챔버(C2)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어퍼바디(120)는 로워바디(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로워바디(1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마운트(130)의 하부는 로워바디(110)의 측벽(111)의 상부에 둘러싸일 수 있다. 마운트(130)는 로워바디(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로워바디(110)와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로워바디(110)에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로워바디(110)의 상부에서,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지지부(185)는 로워바디(110)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센서지지부(185)는 제2 센서(18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센서지지부(185)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센서지지부(185)에 결합되어 측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운트(130)의 센서수용부(137)는, 제2 센서(180) 및 센서지지부(185)를 수용하여 덮을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체결구(135)는 마운트(13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135)는 마운트(130)의 하부의 측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135)는 복수로 구비되어 마운트(130)의 하부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상부에 배치된 바디래치(115)는 체결구(135)에 삽입되어 마운트(130)와 로워바디(110)를 체결할 수 있다(도 28 및 도 29 참조).
리브홈(136)은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에 형성될 수 있다. 리브홈(136)은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브홈(136)은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상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된 바디리브(116)는 리브홈(136)에 삽입되어 마운트(130)와 로워바디(110)를 체결할 수 있다. 바디리브(116)는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리브(116)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리브(116)는 리브홈(136)에 밀착되어 마운트(130)의 위치를 로워바디(11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어퍼바디(120)가 로워바디(110)로부터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28 및 도 29 참조).
제1 고정부(138)는 마운트(13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38)는 마운트(130)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거나,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38)는 마운트(130)의 하부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38)는 복수로 구비되어 마운트(130)의 하부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고정부(118)는 제1 고정부(138)와 결합되어 마운트(130)의 위치를 로워바디(11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어퍼바디(120)가 로워바디(110)로부터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28 및 도 29 참조).
어퍼바디(120)는 상측으로 연장된 컬럼(140)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럼(140)은 마운트(13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컬럼(140)의 측벽(141, 142)은 마운트(130)의 측벽(131, 132)과 연결될 수 있다. 컬럼(140)은 마운트(130)가 제공하는 공간(134)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컬럼(140)의 내측벽(141)은 외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의 측부를 마주할 수 있다(도 6 참조).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의 일측부를 감쌀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의 일측부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컬럼(140)은 PCB 어셈블리(150)를 수용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카트리지(200)에 빛을 제공하거나,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는, 카트리지(200)의 제1 챔버(C1) 저장된 액체의 잔량의 변화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제1 챔버(C1)에 저장된 액체의 종류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스틱(40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의 종류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이 사용된 정도 혹은 사용 가능한 정도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카트리지(200)가 바디(10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결합된 카트리지(200)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는, 상기 언급한 것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컬럼(140)은 빛을 제공하는 광원(153)을 수용할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는 제1 센서(154)를 수용할 수 있다.
컬럼(140)은 내부에 설치공간(144)을 제공할 수 있다. 설치공간(144)은 컬럼(140)을 따라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컬럼(140)의 내측벽(141)은 설치공간(144)을 둘러쌀 수 있다. 설치공간(144)은 마운트(130)의 공간(134)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설치공간(144)은 카트리지(200)의 일측부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설치공간(144)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60)는 PCB 어셈블리(150)를 덮고, 설치공간(14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70)는 PCB 어셈블리(150)와 설치공간(144)을 덮을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 플레이트(160) 및 윈도우(170)는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설치공간(144)은 어셈블리수용공간(144)이라 명명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PCB(Printed circuit board)(151), 광원(153) 및 제1 센서(1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53)은 PCB(151)에 장착될 수 있다. 광원(153)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1 센서(154)는 PCB에 장착될 수 있다. 광원(153)과 제1 센서(154)는 단일의 PCB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센서(154)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53)을 회피하는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컬럼(140)의 내부에서 카트리지(200)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제1 챔버(C1)와 삽입공간(214)이 구비된 제1 컨테이너(210)를 향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컬럼(14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의 일단에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152)가 형성될 수 있다.
PCB(151)는 컬럼(140)을 따라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PCB(151)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커넥터(152)는 PCB(151)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광원(153)은 PCB(151)에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센서(154)는 PCB(151)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153)은 제1 센서(154)를 사이에 두고 양 옆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53)은 PCB(151)를 따라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53)은 컬럼(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센서(154)는 삽입공간(214)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153)은 삽입공간(214)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153)은 삽입공간(214)의 외측을 향하여, 제1 챔버(C1)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153)은 LED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53)은 제1 챔버(C1)에 균일하게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에 의해 광원(153)이 제공하는 빛의 경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센서(154)는 PCB(15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센서(154)는 제1 컨테이너(210) 또는 삽입공간(214)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센서(154)는 삽입공간(214)을 마주할 수 있다. 제1 센서(154)는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54)는, 카트리지(200)의 제1 챔버(C1) 저장된 액체의 잔량의 변화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제1 챔버(C1)에 저장된 액체의 종류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스틱(40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의 종류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이 사용된 정도 혹은 사용 가능한 정도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카트리지(200)가 바디(10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결합된 카트리지(200)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센서(154)는, 카트리지(200)에 대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154)는 인접한 물체에 의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54)는 커패시턴스 센서(capacitance sensor)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54)는 자기형 근접센서(magnetic proximity sensor)일 수 있다. 제1 센서(154)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스틱(400)이 삽입되거나, 제1 챔버(C1)에 저장된 액체의 용량에 변화가 생기면, 제1 센서(154)가 감지하는 전자기적 특성에 변화가 나타나고, 제1 센서(154)는 이를 측정하여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170)는 컬럼(140)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17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70)는 빛을 투과할 수 있다. 윈도우(170)는 컬럼(140)에 결합되어 PCB 어셈블리(150)를 덮을 수 있다(도 26 참조). 윈도우(170)는 컬럼(140)을 따라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170)는 컬럼(140)과 카트리지(2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70)는 컬럼(140)의 내측벽(14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70)는 카트리지(200)의 일측부를 감쌀 수 있다. 윈도우(170)는 카트리지(200)의 측부를 마주할 수 있다. 윈도우(170)는 PCB 어셈블리(150)가 카트리지(200)에 인접하도록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70)의 일면(171a)은 카트리지(200)의 측부에 접촉되어 카트리지(200)를 지지할 수 있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윈도우(170)의 타면(171b)은 PCB 어셈블리(150)에 밀착될 수 있다(도 27 참조). 윈도우(170)의 일면(171a)은 윈도우(170)의 전면이라 명명될 수 있다. 윈도우(170)의 타면(171b)은 윈도우(170)의 후면이라 명명될 수 있다.
윈도우(170)의 일면(171a)은 삽입공간(214)의 둘레를 구성하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컬럼(140) 및 PCB 어셈블리(150)에 인접할 수 있다(도 15 참조). 삽입공간(214)은 제1 챔버(C1)와 컬럼(14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의 둘레를 둘러싸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은 삽입공간(214)의 둘레를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170)의 일면(171a)은 삽입공간(214)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170)의 일면(171a)은 삽입공간(214)의 둘레를 구성하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을 둘러싸도록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170)의 일면(171a)은 카트리지(200)에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170)의 일면(171a)은 카트리지(200)의 일측벽을 지지할 수 있다.
윈도우(170)의 타면(171b)은 광원(153)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17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74)은 광원홈(174) 또는 윈도우홈(174)이라 명명할 수 있다. 광원홈(174)은 윈도우(170)의 타면(171b)으로부터 일면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홈(174)의 각각은, 복수의 광원(153)의 각각을 수용하여 덮을 수 있다. 복수의 광원홈(174) 각각은, 복수의 광원(153)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홈(174)은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홈(174)은 제1 센서(154)를 사이에 두고 양 옆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70)의 타면(171b)은 평평하게 형성된 평면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172)는 PCB 어셈블리(150)에 밀착될 수 있다. 평면부(172)는 컬럼(140)의 설치공간(144, 도 24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광원홈(174)은 평면부(172)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복수의 관통홀(151a)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51a)은 PCB(151)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51a)은 PCB(15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51a)은 광원(153) 및/또는 제1 센서(154)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51a)은 PCB(15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70)는 복수의 관통돌기(172a)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돌기(172a)는 윈도우(170)의 타면(171b)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돌기(172a)는 관통홀(151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돌기(172a)는 관통홀(151a)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관통돌기(172a)는 관통홀(151a)을 관통할 수 있다. 관통돌기(172a)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돌기(172a) 각각은, 복수의 관통홀(151a) 각각을 관통할 수 있다. 관통돌기(172a)는 관통홀(151a)을 관통하여, PCB 어셈블리(150)와 윈도우(170)가 서로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70)는 걸림돌기(17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173)는 윈도우(170)의 타면(171b)에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73)는 평면부(172)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73)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돌기(173) 각각은 플랜지측부(1451)에 대응되어 상하로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컬럼(140)은 플랜지(14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45)는 컬럼(140)의 내측벽(14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145)는 컬럼(140)의 내측벽(141)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플랜지(145)는 컬럼(14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45)는 컬럼(14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플랜지(145)는 어셈블리수용공간(144)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145)는 중앙이 개방되어, 어셈블리수용공간(144)과 카트리지수용공간(134)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플랜지(145)는 플랜지측부(1451), 플랜지하부(1452) 및 플랜지상부(14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45)는 플랜지측부(1451), 플랜지하부(1452) 및 플랜지상부(1453)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측부(1451)는 컬럼(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측부(1451)는 컬럼(140)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하부(1452)와 플랜지상부(1453)는 한쌍의 플랜지측부(145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플랜지측부(1451), 플랜지하부(1452) 및 플랜지상부(1453)는 서로 연결되어 플랜지(145)의 둘레를 구성할 수 있다. 플랜지측부(1451), 플랜지하부(1452) 및 플랜지상부(1453)의 사이는 개방되어 어셈블리수용공간(144)과 카트리지수용공간(134)이 연통될 수 있다.
윈도우(170)의 타면(171b)은 플랜지(145)에 부착될 수 있다. 윈도우(170)의 타면의 가장자리는 플랜지(145)에 부착될 수 있다. 윈도우(170)의 타면(171b)은, 플랜지(145)에 접착부재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재는 테이프나 본드 등일 수 있다. 접착부재는, 상기 언급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걸림돌기(173)는 플랜지(145)에 걸리며, 윈도우(170)와 플랜지(145)를 체결할 수 있다. 걸림돌기(173)는 플랜지측부(1451)에 걸릴 수 있다. 플랜지(145)는 윈도우(170)의 테두리에 인접한 윈도우(170)의 타면(171b)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하부(1452) 및 플랜지상부(1453)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PCB 어셈블리(150)가 외부로부터 보호되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PCB 어셈블리(150)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카트리지(2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170), 카트리지(200) 및 PCB 어셈블리(15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160)는 PCB 어셈블리(150)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153)을 회피하는 영역을 덮을 수 있다. 플레이트(160)는 PCB 어셈블리(150)에 부착되어 제1 센서(154)를 덮을 수 있다. 플레이트(160)는 전자기파를 투과할 수 있다. 플레이트(160)는 전자기파를 투과하되, 가시광선은 투과하지 않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PCB(151)에 광원(153)과 연결되는 인쇄회로가 광원(153)의 주변에 인쇄될 수 있다. 플레이트(160)는 광원(153)의 주변에서 PCB(151)에 인쇄된 인쇄회로를 덮을 수 있다. 플레이트(160)는 제1 센서(154)를 따라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이로부터 인쇄회로가 인쇄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160)는 광원(153)을 덮지않고 노출시킬 수 있다. 광원(153)은, 제1 센서(154)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플레이트(160)는 광원(153)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가 개방될 수 있다. 플레이트(160)가 PCB 어셈블리(150)에 부착되면, 광원(153)은 플레이트(160)가 개방되어 형성된 영역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53)이 출사하는 빛을 차단하지 않으며, 제1 센서(154) 및/또는 PCB(151)에 인쇄된 인쇄회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154)는 플레이트(160)에 덮힌 상태에서, 주변의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PCB 어셈블리(150)는 컬럼(140)의 내부에서, 컬럼(140)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PCB(151)는 컬럼(140)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의 일단에 형성된 커넥터(152)는 어퍼바디(12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커넥터(152)는 컬럼(14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커넥터(152)는 마운트(13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컬럼(140)의 하단은 개방되어 틈(146)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152)는 틈(146)을 통해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틈(146)은 설치공간(144, 도 24)과 연통될 수 있다.
마운트(130)는 센서수용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수용부(137)는 마운트(130)의 일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수용부(137)는 마운트(130)의 일측벽에서 하부로 개방되어 내부에 제2 센서(180)가 삽입되는 공간(137b)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수용부(137)가 제공하는 상기 공간(137b)은 센서수용공간(137b)이라 명명할 수 있다. 센서수용부(137)의 내측면은 마운트(130)의 내측면(131)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센서수용부(137)의 외측면은 마운트(130)의 외측면(13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센서수용부(137)는 카트리지수용공간(134)을 중심으로 컬럼(140)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컬럼(140)은 마운트(13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센서수용부(137)는 마운트(13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센싱홀(137a)은 센서수용부(137)의 내측면(131)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싱홀(137a)은 센서수용공간(137b) 및 카트리지수용공간(134)의 사이에 형성되어 센서수용공간(137b) 및 카트리지수용공간(134)을 연결할 수 있다. 센싱홀(137a)은 카트리지유입구(224, 도 15 참조)에 인접할 수 있다. 센싱홀(137a)은 카트리지유입구(224)를 마주할 수 있다.
센싱홀(137a)은 측부를 향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제2 컨테이너(220)의 측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센싱홀(137a)은 측부가 개방되어 카트리지유입구(224)를 마주할 수 있다(도 15 참조).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로워바디(110)의 분리벽(112)은 배터리(19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분리벽(112)은 로워바디(110)의 상부에서 로워바디(110)의 측벽(111)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분리벽(112)은 로워바디(110)의 내부 구성부품들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분리벽(112)은 로워바디(110)의 내부 구성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과 어퍼바디(120)가 결합되는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분리벽(112)은 어퍼바디(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로워바디(110)의 측벽(111)은 분리벽(112)보다 상측으로 연장되며, 분리벽(112)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분리벽(112)의 상측으로 연장된 로워바디(110)의 측벽(111)의 내둘레면은 마운트(130)의 하부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로워바디(1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분리벽(1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마운트(130) 센서수용부(137)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지지부(185)는 분리벽(112)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2 센서(18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측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퍼바디(120)는 로워바디(11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래치(115)는 로워바디(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래치(115)는 분리벽(112)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래치(115)는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래치(115)는 마운트(130)의 체결구(135)에 삽입되어 마운트(130)와 로워바디(110)를 체결할 수 있다.
바디리브(116)는 로워바디(110)의 측벽(111)의 내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리브(116)는 로워바디(110)의 측벽(111)의 내둘레면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리브(116)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리브(116)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바디리브(116)는 분리벽(112)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리브(116)는 마운트(130)의 리브홈(136)에 삽입 및 밀착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18)는 로워바디(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18)는 제1 고정부(138)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18)는 분리벽(112)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18)는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고정부(118)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18)는 마운트(130)의 제1 고정부(138)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바디(120)는 로워바디(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마운트(130)의 위치는 로워바디(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어퍼바디(120)가 로워바디(110)로부터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단자홀(133a)은 마운트(130)의 바닥(133)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홀(133a)은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속단자홀(133a)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27 참조). 제1 접속단자(191)는 분리벽(112)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속단자(191)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접속단자(191)와 접속단자홀(133a)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바디(120)가 로워바디(110)에 결합되면, 제1 접속단자(191)는 접속단자홀(133a)을 관통하여 카트리지수용공간(134)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카트리지(200)가 어퍼바디(120)에 결합되면, 히터(262, 도 15 참조)는 제1 접속단자(191)와 접촉되어 배터리(190) 및 제어장치(193) 등의 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PCB 어셈블리(150)는 어퍼바디(120)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커넥터(152)를 통해 로워바디(110) 내부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분리벽(112)의 일측은 개방되어 커넥터삽입구(117)를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삽입구(117)는 컬럼(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삽입구(117)는 상부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접속단자(192)는 로워바디(110)의 내부에서, 커넥터삽입구(117)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바디(120)가 로워바디(110)에 결합되면, 커넥터(152)는 커넥터삽입구(117)에 삽입되어 제2 접속단자(192)에 접촉될 수 있다. 커넥터(152)가 제2 접속단자(192)에 접촉되면, PCB 어셈블리(150)의 커넥터(152)를 통하여 배터리(190) 및 제어장치(193) 등의 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어퍼바디(120)가 로워바디(110)에 결합되면, 제2 센서(180)는 센서수용부(137)가 제공하는 공간(137b)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수용부(137)는 제2 센서(180)를 감쌀 수 있다. 마운트(130)가 로워바디(110)에 결합될 때, 제2 센서(180)는 센서수용공간(137b)의 하측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센서수용부(137)가 개방되어 형성된 센싱홀(137a)은 카트리지(200)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센서수용부(137)의 내부에서 센싱홀(137a)을 향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센서수용부(137)의 내부에서 카트리지유입구(224, 도 15 참조)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센싱홀(137a)의 주변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2을 참조하면, 카트리지(200)는 제1 컨테이너(210), 제2 컨테이너(220), 심지(261) 및 히터(2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실링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은 내부의 공간을 둘러쌀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는 제1 챔버(C1)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일측 또는 하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스틱(400)이 삽입가능한 삽입공간(21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챔버(C1)와 스틱(400)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부에서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양단이 개방되고,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고,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의 둘레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1 컨테이너(210) 내부의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은,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이 둘러써는 공간의 일측에 제1 챔버(C1)를 구획하고, 타측에 삽입공간(214)을 구획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삽입공간(214)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를 저장하는 공간의 효율이 개선되며, 사용자의 흡입동작에 대한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제1 컨테이너(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제1 컨테이너(210)의 일측 또는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제1 챔버(C1)의 개방된 일측을 막을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내부에 삽입공간(214)과 연통되는 제2 챔버(C2)를 제공할 수 있다. 심지(261)는 제2 컨테이너(2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제2 챔버(C2)와 카트리지(200)의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제2 컨테이너(220)의 외벽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제2 컨테이너(220)의 측벽(221)에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측부 방향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제2 컨테이너(220)의 바닥(22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유로(2314) 내에 존재하는 액적이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통하여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하부케이스(230)와 프레임(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제2 컨테이너(22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제1 컨테이너(2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제1 컨테이너(210)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결합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의 둘레는 제1 컨테이너(210)의 둘레와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하부케이스(230)의 외벽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하부케이스(230)의 측벽(2311)에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하부케이스(230)의 바닥(231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내부에 수용공간(2310)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수용공간(2310) 내에 프레임(2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프레임(240)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수용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31)는 내부에 수용공간(2310)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공간(2310)은 수용부(231)가 상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31)는 수용공간(2310)의 측부와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수용부(231)의 측벽(2311)은 수용공간(2310)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수용부(231)의 바닥(2312)은 수용공간(2310)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수용공간(2310)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31)는 제2 챔버(C2)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수용부(231)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수용부(231)의 외벽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수용부(231)의 일측 측벽(2311)에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연장부(232)의 하측에 인접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수용부(231)의 바닥(231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31)는 내부에 연결유로(2314)를 제공할 수 있다. 연결유로(2314)는 카트리지유입구(224)와 연통될 수 있다. 연결유로(2314)는 수용부(231)와 프레임(24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2314)는 수용부(231)와 프레임(24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연결유로(2314)는 카트리지유입구(224) 및 챔버유입구(242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유로(2314)는 카트리지유입구(224) 및 챔버유입구(2424)를 연결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연결유로(231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연결유로(2314)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벽(2317) 차단벽(2317)은 수용부(231)의 바닥(2312) 또는 프레임(240)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2314)는 차단벽(2317)을 둘러쌀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카트리지유입구(224) 및 챔버유입구(24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수용부(231)의 일측 측벽(2311)과 제2 프레임부(242)의 일측 측벽(242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수용부(231)의 일측 측벽(2311)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수용부(231)의 일측 측벽(2311)을 마주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제2 프레임부(242)의 일측 측벽(2421)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제2 프레임부(242)의 일측 측벽(2421)을 마주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카트리지유입구(224) 및/또는 챔버유입구(2424)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연장부(232) 및/또는 바닥부(2411)의 높이보다 낮게 연장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카트리지유입구(224) 및/또는 챔버유입구(2424)가 개방된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차단벽(2317)을 마주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차단벽(2317)을 마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챔버(C2)에서 발생된 액적이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통하여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수용부(23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32)는 수용부(231)의 일측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232)는 카트리지유입구(224)가 형성된 수용부(231)의 측벽(231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232)는 제1 챔버(C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연장부(232)는 제1 프레임부(241)를 지지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제1 컨테이너(210)의 둘레와 결합되는 둘레부(2322)를 포함할 수 있다. 둘레부(2322)는 하부케이스(230)의 상단에서, 하부케이스(230)의 둘레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둘레부(2322)는 수용부(231) 및 연장부(23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둘레부(2322)는 연속된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둘레부(2322)는 하부케이스(230)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둘레부(2322)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의 하단은, 상측으로 함몰되어 둘레부(2322)가 삽입될 수 있다. 둘레부(2322)와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은, 접착부재를 통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재는 테이프나 본드 등일 수 있다. 접착부재는, 상기 언급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둘레부(2322)는 하부케이스림(2322)이라 명명될 수 있다.
프레임(240)은 하부케이스(230) 및 제1 컨테이너(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40)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공간(2310)에 수용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수용공간(2310) 내에서 하부케이스(230)와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제1 챔버(C1)의 개방된 일측 또는 하측을 막을 수 있다. 프레임(240)은 제1 챔버(C1)의 바닥을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하부케이스(230)의 내부를 구획하여 제2 챔버(C2)를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제2 챔버(C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챔버(C2)는 프레임(240)과 수용부(231)의 외벽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삽입공간(214)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삽입공간(214)의 하단에 연통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프레임(240)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챔버(C2)와 연통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제1 챔버(C1)의 바닥을 구성하는 제1 프레임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는 제1 챔버(C1)의 개방된 일측을 막을 수 있다. 프레임(240)은 하부케이스(230)의 내부를 구획하여 제2 챔버(C2)를 제공하는 제2 프레임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는 하부케이스(2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는 제1 프레임부(24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는 제2 챔버(C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는 수용공간(2310)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은 제2 챔버(C2)의 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의 바닥(2422)은 제2 챔버(C2)의 바닥을 구성할 수 있다. 수용부(231)는 제2 프레임부(242)를 지지할 수 있다. 수용부(231)의 바닥(2312)은 제2 프레임부(242)의 바닥(2422)을 지지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측부방향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챔버(C2)의 바닥 또는 제2 프레임부(242)의 바닥(242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챔버(C2)에서 발생된 액적이 챔버유입구(2424)를 통해 제2 챔버(C2)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는 제2 프레임부(242)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는 수용공간(2310)의 상부로부터 연장부(232)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는 하부케이스(230)의 상측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제1 프레임부(241)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의 바닥부(2411)는 제1 챔버(C1)의 바닥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의 바닥부(2411)는 제2 프레임부(242)의 일측 측벽(2421)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의 바닥부(2411)는 연장부(232)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의 바닥부(2411)는 연장부(232)와 연결유로(2314)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의 바닥부(2411)는 연장부(2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은 제2 프레임부(242)의 바닥(2422)의 둘레의 일측으로부터 제1 프레임부(241)의 바닥부(241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은 제1 프레임부(241)의 바닥부(2411)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은 바닥부(2411)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에 인접한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일부는 수용공간(2310)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231)의 측벽(2311)은 제2 프레임부(242)에 인접한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은 프레임림(2412)이라 명명할 수 있다.
수용부(231)의 측벽(2311)과 바닥(2312)은 연결유로(2314)의 일측을 감쌀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의 바닥부(2411)와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은 연결유로(2314)의 타측을 감쌀 수 있다. 라운딩면(2418)은 제1 프레임부(241)와 제2 프레임부(242)의 사이에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라운딩면(2418)은 연결유로(2314)의 일측을 마주할 수 있다. 라운딩면(2418)은 제1 프레임부(241)로부터 챔버유입구(2424)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라운딩면(2418)은 제1 프레임부(241)의 바닥부(2411)로부터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라운딩면(2418)은 연결유로(231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라운딩면(2418)은 차단벽(2317)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라운딩면(2418)과 차단벽(2317)의 사이에 연결유로(2314)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후크(2415)는 제1 프레임부(241)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2415)는 제1 프레임부(241)의 둘레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후크(2415)는 제1 프레임부(241)의 바닥부(24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크(2415)는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에 인접하거나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후크(2415)의 끝단은 외측으로 벤딩되며,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2415)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후크(2415)는 제1 프레임부(24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후크(2415)는 세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후크(2415)에 체결될 수 있다. 후크(2415)는 실러후크(2415) 또는 실링후크(2415)라 명명될 수 있다.
심지(261)는 제2 챔버(C2)에 설치될 수 있다. 심지(261)는 제1 챔버(C1)와 연결될 수 있다. 심지(261)는 제1 챔버(C1)로부터, 제1 챔버(C1)에 저장된 액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히터(262)는 제2 챔버(C2)에 설치될 수 있다. 히터(262)는 심지(261)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262)는 심지(261)를 권선할 수 있다. 히터(262)는 액체를 제공받은 심지(261)를 가열하여 제2 챔버(C2) 내에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심지(261)는 제2 프레임부(242)에 고정될 수 있다. 심지삽입홈(2426)은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이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심지삽입홈(2426)은 양측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심지(261)의 양단은 양측의 심지삽입홈(2426)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공기는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통해 카트리지(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연결유로(2314), 챔버유입구(2424), 제2 챔버(C2) 및 삽입공간(214)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연결유로(2314)를 통과하는 공기는, 차단벽(2317)과 라운딩면(2418)의 사이에서, 라운딩면(2418)을 따라 유동하여 챔버유입구(2424)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챔버(C2)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2 챔버(C2)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동반하여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유로(2314) 내에서의 공기 유동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은 삽입공간(214) 및/또는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에 제공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제1 컨테이너(210)와 제2 컨테이너(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일측이 개방된 제1 챔버(C1)와 제1 챔버(C1)의 개방된 일측을 막는 제2 컨테이너(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제1 챔버(C1)와 프레임(240)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제1 챔버(C1)의 하부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제1 컨테이너(210)와 프레임(240)에 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의 일부는 제2 컨테이너(220)와 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연속된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챔버(C1)에 저장된 액체가 제1 챔버(C1)를 구획하는 부재들간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틈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제1 실링부(251) 및 제2 실링부(2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 및 제1 프레임부(241)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1)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제1 프레임부(241)에 형성된 후크(2415)에 체결될 수 있다. 복수의 후크(2415)는 제1 실링부(25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의 적어도 일부는 후크(2415)의 끝단과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1 실링부(25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 및 제2 프레임부(2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1 실링부(251)로부터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과 제2 프레임부(242)의 상단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은 제2 실링부(252)의 상부를 제2 프레임부(242)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의 일부는 제2 프레임부(24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프레임(240)은 하부케이스(23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40)은 하부케이스(230)의 수용공간(2310)에서, 하부케이스(230)와 스냅핏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프레임(240)과 하부케이스(230)는 분리 가능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수용부(231)의 측벽(2311)은 수용공간(2310)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체결홈(2315)은 수용공간(2310)을 마주하는 수용부(231)의 측벽(2311)의 내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2315)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홈(2315)은 수용부(231)의 측벽(231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2315)은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체결홈(2315)의 상단은 경사지지 않고 수평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은 제2 챔버(C2)의 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의 바닥(2422)은 제2 챔버(C2)의 바닥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은 제2 프레임부(242)의 바닥(242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은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과 연결될 수 있다.
체결돌기(2425)는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 및/또는 수용공간(2310)에 삽입되는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2425)는 수용부(231)의 체결홈(23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2425)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돌기(2425)는 프레임(24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2425)는 체결홈(231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돌기(2425)는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체결돌기(2425)의 상단은 경사지지 않고 수평할 수 있다. 체결돌기(2425)는 체결홈(2315)에 삽입되거나 체결될 수 있다.
프레임(240)이 하부케이스(230)에 체결되면, 연장부(232)의 바닥부(2321)는 제1 프레임부(241)의 바닥부(2411)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240)이 하부케이스(230)에 체결되면, 수용부(231)의 바닥(2312)은 제2 프레임부(242)의 바닥부(2422)를 지지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의 체결홈(2315)은 프레임(240)의 체결돌기(2425)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케이스(230)와 프레임(240)은 서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챔버(C1)의 주변에서, 하부케이스(230)의 둘레부(2322)는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챔버(C1)의 주변에서, 하부케이스(230)의 둘레부(2322)와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은 연속된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챔버(C1)의 주변에서, 하부케이스(230)의 둘레부(2322)와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32)의 바닥부(2321)는 하부케이스(230)의 둘레부(2322)와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마주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부(241)는 심지(261)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2416)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2416)는 제1 챔버(C1)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의 바닥부(2411)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경사부(2416)는 제1 챔버(C1)의 바닥으로부터 제2 챔버(C2)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416)는 제1 챔버(C1)의 바닥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심지(261)의 단부는 경사부(2416)의 끝단에 위치하여, 제1 챔버(C1)와 연결될 수 있다. 경사부(2416)의 경사는 바닥부(2411) 및/또는 심지(261)의 단부를 향할수록 점차 완만해질 수 있다.
경사부(2416)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경사부(2416) 제2 챔버(C2)를 구획하는 제2 프레임부(242)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심지(261)의 중심은 제2 챔버(C2)에 배치되고, 심지(261)의 양단 각각은, 한 쌍의 경사부(2416) 각각의 끝단에 위치하여, 제1 챔버(C1)와 연결될 수 있다. 경사부(2416)는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과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챔버(C1)에 저장된 액체가 심지(261)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C1)에 액체의 잔량이 남지 않고 심지(261)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6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실링부재(250)는 제2 컨테이너(2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하부케이스(230)의 가장자리 주변에 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프레임(240)의 가장자리에 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프레임(240)에 결합되거나 체결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제1 챔버(C1) 하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제1 실링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제1 프레임부(24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외측에서,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을 감싸며 밀착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하부케이스(230)의 둘레부(2322)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하부케이스(230)의 둘레부(2322)와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사이에서, 연장부(232)의 바닥(2321)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의 내주면은 제1 프레임부(241)의 가장자리 또는 측벽(2412)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의 내주면은,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외주면과,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제1 파트(2511)와 제2 파트(25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2511)는 제1 프레임부(241)의 가장자리의 측부 또는 측벽(2412)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파트(2511)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제1 프레임부(241)의 가장자리의 측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251)의 제1 파트(2511)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의 제2 파트(2512)는 제1 실링부(251)의 제1 파트(2511)로부터 벤딩되어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파트(2512)는 제1 파트(2511)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2512)는 제1 프레임부(241)의 가장자리의 상부 또는 측벽(2412)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제1 요철(25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철(2515)은 제1 실링부(25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요철(2515)은 제1 실링부(251)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요철(2515)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요철(2515)은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요철(2515)은, 제1 실링부(251)의 제1 파트(2511)와 제2 파트(2512) 각각에 대응되는 높이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제1 요철(2515) 중 어느 하나는, 제1 파트(2511)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제2 파트(2512)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후크(2415)에 체결될 수 있다. 복수의 후크(2415)는 제1 프레임부(24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제1 실링부(251)의 둘레를 체결할 수 있다. 후크(2415)의 끝단은 외측으로 벤딩되며,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2415)의 끝단은 외측으로 벤딩되어, 제1 실링부(251)의 둘레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의 제2 파트(2512)는 후크(2415)의 끝단과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다. 후크(2415)의 끝단은 제2 파트(2512)의 상부를 가압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제2 실링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1 실링부(251)로부터 제2 프레임부(24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2 챔버(C2)의 상단의 둘레를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삽입공간(214)의 하단의 둘레를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도 41 참조). 제2 실링부(252)와 제1 실링부(251)는 서로 연결되어 연속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2 프레임부(242)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실링부바디(2521)는 제2 프레임부(242)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2 프레임부(242)의 상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실링돌기(2527)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돌기(2527)는 제2 실링부(252)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실링돌기(2527)는 제2 실링부(252)의 형상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링돌기(2527)는 제2 실링부바디(252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링돌기홈(2427)은 제2 프레임부(242)의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링돌기홈(2427)은 실링돌기(252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돌기홈(2427)은 제2 실링부(252)의 형상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실링돌기(2527)는 실링돌기홈(2427)에 삽입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실링돌기(2527)가 실링돌기홈(2427)에 삽입되면, 제2 실링부바디(2521)는 실링돌기홈(2427)의 주변을 덮을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은 제2 챔버(C2)의 측부를 둘러싸며,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42 참조). 실링돌기홈(2427)은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의 상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링돌기홈(2427)은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돌기(2527)가 실링돌기홈(2427)에 삽입되면, 제2 실링부바디(2521)는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2 요철(25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요철(2525)은 실링돌기(2527)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도 43 참조). 실링돌기(2527)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요철(2525)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요철(2525)은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 실링돌기(2427)가 실링돌기홈(2427)에 밀착되면, 제2 요철(2525)은 실링돌기홈(2427)의 측부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부재(250)는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하부지지면(2522)과 측부지지면(25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지지면(2522)과 측부지지면(2523)은, 제2 실링부(252)의 상부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지지면(2522)과 측부지지면(2523)은 제2 실링부바디(2521)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지지면(2522)의 면은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측부지지면(2523)의 면은 측부를 마주할 수 있다. 하부지지면(2523)과 측부지지면(2523)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심지고정대(2526)는 제2 실링부(252)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심지고정대(2526)의 하단은, 심지(261)의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될 수 있다. 심지고정대(2526)는 심지삽입홈(242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심지고정대(2526)와 심지삽입홈(2426)은 각각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심지고정대(2526)는 제2 실링부바디(252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는 지지부(242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428)는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의 상단으로부터 제2 챔버(C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2428)는 심지삽입홈(2426)에 인접할 수 있다. 지지부(2428)는 챔버유입구(242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35 참조). 지지부(2428)는 챔버유입구(2424)가 형성된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428)는 실링부재(25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428)는 제2 실링부(252)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428)는 제2 실링부바디(2521)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심지고정대(2526)는 심지삽입홈(2426)에 삽입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심지고정대(2526)는 심지삽입홈(2426)에 삽입된 심지(261)의 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쌍의 심지고정대(2526) 각각은, 한쌍의 심지삽입홈(2426) 각각에 삽입된 심지(261)의 양단부 각각을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심지고정대(2526)는 심지(261) 및 심지삽입홈(2426)을 형성하는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지(261)가 안정적으로 결합되거나 고정되며, 심지(261)로 공급되는 액체가 심지(261)의 주변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연결공간(2417)은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공간(2417)은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의 사이에 형성되거나, 제2 챔버(C2)에 인접한 제1 챔버(C1)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공간(2417)은 챔버연결공간(2417)이라 명명할 수 있다.
심지(261)의 단부는 연결공간(2417)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261)의 단부는 심지삽입홈(2426) 및 심지고정대(2526)의 사이를 통과하여 연결공간(2417)으로 노출될 수 있다. 연결공간(2417)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공간(2417)은 심지(261)의 양측 단부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공간(2417)은 제1 실링부(251)와 제2 실링부(25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416)는 연결공간(2417)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경사부(2416) 각각은, 한 쌍의 연결공간(2417) 각각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1 및 도 42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은 제2 챔버(C2)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하부지지면(2522)과 측부지지면(2523)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하단 가장자리를 감싸며, 밀착될 수 있다. 하부지지면(2522)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하단면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지지면(2522)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측부지지면(2523)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측부지지면(2523)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하단면에 인접한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428)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2428)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연장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제2 컨테이너(2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은 하부케이스(230)의 둘레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의 하단은, 상측으로 함몰되어 둘레부(2322)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은 둘레부(2322)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가 하부케이스(230)와 결합되면, 제1 실링부(251)는 제1 프레임부(241)와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가 하부케이스(230)와 결합되면,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은 제2 프레임부(242)를 향하여 제2 실링부(252)를 가압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이 제2 실링부(252)를 가압하면, 제2 실링부(252)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과 제2 프레임부(242)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으로부터 받는 힘을, 제1 실링부(251) 및 제2 프레임부(24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부재를 통하여 결합되는 부위를 줄일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한 부품 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카트리지(200) 내부 결합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작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250)는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거나 고정되고, 주변에 밀착되어 실링할 수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제1 요철(2515)은 제1 실링부(251)의 외주면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가 제2 컨테이너(220)에 결합되면, 제1 요철(2515)은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요철(251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실링부(251)의 제1 파트(2511)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은 제1 파트(2511)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제1 요철(2512)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실링부(251)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의 내측으로 힘을 받아,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측부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제1 요철(2515)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실링부(251)의 제2 파트(2512)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은 제2 파트(2512)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제1 요철(2512)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이 하부케이스(230)에 결합되면, 제1 실링부(251)의 제2 파트(2512)는, 내하측으로 힘을 받아 제1 프레임부(241)의 측벽(2412)의 상부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링부(251)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제1 프레임부(241)에 완전히 밀착되어 액체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4 및 도 45를 참조하면, 캡(300)은 바디(100)에 결합되며, 카트리지(200)를 덮을 수 있다. 캡(300)은 바디(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유입구(304a)는 캡(3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캡유입구(304a)는 캡(30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캡유입구(304a)는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유입유로(P)는 캡(300)과 카트리지(2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P)는 캡유입구(304a)와 카트리지유입구(224)를 연결할 수 있다. 유입유로(P)는 캡(300)의 측부와 카트리지(200)의 측부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유로(P)는 캡유입구(304a)로부터, 캡(300)의 측부와 카트리지(200)의 측부 사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입유로(P)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유입유로(P)는 캡(300)의 측부와 카트리지(200)의 측부 사이에서, 캡유입구(304a)에 인접한 제1 챔버(C1)로부터 제2 챔버(C2)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유입유로(P)는 캡(300)의 측벽(301)과 카트리지(200)의 측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P)는 캡바디(320)와 카트리지(200)의 측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P)는 제1 챔버(C1)의 측부를 둘러싸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캡(3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P)는 제1 유로(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마운트(130)와 카트리지(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마운트(130)와 제2 컨테이너(2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하부케이스(230)와 센서수용부(137)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카트리지유입구(224)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제2 유로(P2)와 카트리지유입구(224)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제1 컨테이너(210) 및 제1 챔버(C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센서수용부(137)와 연장부(23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2323)는 연장부(232)의 바닥(2321)이 센서수용부(137)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2323, 도 37 참조)는 센서수용부(137)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어 제1 유로(P1)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232)는 센서수용부(13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2323)는 센서수용부(137)와 연장부(232)의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센서수용부(137)와 연장부(232)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로상부(P11)와, 제1 유로상부(P11)로부터 카트리지유입구(224)까지 연장된 제1 유로측부(P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부(2323, 도 37 참조)는 제1 유로상부(P1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로측부(P12)는 센서수용부(137)와 제2 컨테이너(220)의 측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측부(P12)는 센서수용부(137)와 케이스부(23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측부(P12)는 센서수용부(137)의 측부와 하부케이스(230)의 측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P)는 제2 유로(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캡(300)의 측부와 제1 컨테이너(210)의 측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캡(300)의 측부와 제1 챔버(C1)의 측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캡유입구(304a)와 제1 유로(P1)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캡유입구(304a)로부터, 캡(300)의 측부와 제1 컨테이너(210)의 측부 사이를 따라 제1 유로(P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캡유입구(304a)로부터, 캡(300)의 측부와 제1 챔버(C1)의 측부 사이를 따라 제1 유로(P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센서수용부(137)에 수용될 수 있다. 센서수용부(137)는 제2 센서(180)를 감쌀 수 있다. 센서수용부(137)는 카트리지(200)를 향하여 개방된 센싱홀(137a)을 구비할 수 있다. 센싱홀(137a)은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센싱홀(137a)은 제2 센서(180)와 카트리지(2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센싱홀(137a)은 제2 센서(180)와 카트리지유입구(22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센싱홀(137a)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카트리지유입구(22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방수필름(181)은 제2 센서(180)와 센싱홀(137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필름(181)은 제2 센서(180)의 일측에 결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방수필름(181)은 제2 센서(180)의 감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방수필름(181)은 제2 센서(180)와 카트리지유입구(2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필름(181)은 제2 센서(180)와 제1 유로(P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에 예를 들어, 방수필름(181)은 고어텍스(GORE-TEX)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방수필름(181)은 액체가 제2 센서(180)의 감지면에 에어로졸 또는 액체가 접촉되거나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유로(2314)는, 제2 컨테이너(220)의 내부에서 제2 챔버(C2)와 구획될 수 있다. 프레임(240)은 하부케이스(230)의 내부를 제2 챔버(C2)와 연결유로(2314)로 구획할 수 있다. 프레임(240)은 챔버유입구(2424)를 구비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챔버(C2)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프레임(240)의 측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카트리지유입구(224)가 개방된 방향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챔버(C2)와 연결유로(2314)를 연통할 수 있다. 연결유로(2314)는 카트리지유입구(224)와 제2 챔버(C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유로(2314)는 카트리지유입구(224)와 챔버유입구(2424)를 연결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연결유로(2314)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상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연결유로(2314)의 하부를 폐쇄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카트리지유입구(224)와 챔버유입구(24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카트리지유입구(224)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챔버유입구(2424)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는 제1 챔버(C1)와 연결유로(2314)를 구획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는 제1 챔버(C1)와 연결유로(231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 일측은 연결유로(2314)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41)의 타측은 연장부(2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는 하부케이스(230)의 내부를 제2 챔버(C2)와 연결유로(2314)로 구획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는 제2 챔버(C2)와 연결유로(231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의 측벽(2421)은 연결유로(2314)의 측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프레임부(242)의 바닥(2422)은 하부케이스(230)의 바닥(23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라운딩면(2418)은 차단벽(2317)의 상단에 인접할 수 있다. 라운딩면(2418)은 제1 프레임부(241)와 제2 프레임부(24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라운딩면(2418)은 연결유로(2314)의 상단으로부터 챔버유입구(2424)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연결유로(2314)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케이스부(231)의 측벽(2311)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케이스부(231)의 바닥(231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차단벽(2317)이 돌출된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차단벽(2317)은 상측으로 돌출되고,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측면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차단벽(2317)의 면을 마주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센싱홀(137a) 및 제2 센서(180)를 마주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틱(40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면, 외기는 캡유입구(304a)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캡유입구(304a)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유로(P2)와 제1 유로(P1)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뒤,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통해 카트리지(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제1 유로(P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통과한 공기는 연결유로(2314)를 거치고, 챔버유입구(2424)를 통해 제2 챔버(C2)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연결유로(2314)를 유동하는 공기는 라운딩면(2418)을 타고 챔버유입구(2424)로 향할 수 있다. 제2 챔버(C2)에 유입된 공기는 제2 챔버(C2)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동반하여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챔버(C2) 내에 고인 액체가 카트리지유입구(224)를 통해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 또는 카트리지(200)의 내부의 액체가 센서(18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센서(18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0) 외부에서 공기 유동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센서(180)의 감지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0)의 내부에서 공기 유동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전술한 스틱(400)은, 매질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틱(400)은 냉각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틱(400)은 필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420)는 매질부(410)와 필터부(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틱(400)은 래퍼(440)를 포함할 수 있다. 래퍼(440)는 매질부(410)를 감쌀 수 있다. 래퍼(440)는 냉각부(420)를 감쌀 수 있다. 래퍼(440)는 필터부(430)를 감쌀 수 있다. 스틱(400)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매질부(410)는 매질(411)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부(410)는 제1 매질커버(413)를 포함할 수 있다. 매질부(410)는 제2 매질커버(415)를 포함할 수 있다. 매질(411)은 제1 매질커버(413)와 제2 매질커버(41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매질커버(413)는 스틱(4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매질부(410)의 길이는 24mm 일 수 있다.
매질(411)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매질(411)은 복수의 과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과립 각각은, 0.4mm 내지 1.12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매질(411)은 내부에 과립이 70% 정도로 채워질 수 있다. 매질(411)의 길이(L2)는 10mm 일 수 있다.제1 매질커버(413)는 아세테이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매질커버(415)는 아세테이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매질커버(413)는 종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매질커버(415)는 종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매질커버(413)와 제2 매질커버(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어 주름진 형상으로 뭉쳐지고, 그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복수의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틈은 매질(411)의 각 과립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매질커버(413)의 길이(L1)는 매질(411)의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 제2 매질커버(413)의 길이(L3)는 매질(411)의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매질커버(413)의 길이(L1)는 7mm 일 수 있다. 제2 매질커버(413)의 길이(L2)는 7mm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질(411)의 각 과립은 매질부(410) 및 스틱(4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냉각부(420)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냉각부(420)는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냉각부(420)는 매질부(410) 및 필터부(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부(420)는 제2 매질커버(415)와 필터부(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부(420)는, 내부의 냉각패스(424)를 둘러싸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부(420)는 래퍼(440)보다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냉각부(420)는 래퍼(440)보다 두꺼운 종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부(420)의 길이(L4)는 매질(411)의 길이(L2)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냉각부(420) 및 냉각패스(424)의 길이(L4)는 10mm 일 수 있다. 스틱(400)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에 삽입되면(도 3 참조), 냉각부(420)의 적어도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부(420)는 매질부(410)와 필터부(430)를 지지하며, 스틱(40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420)는 매질부(410)와 필터부(430)의 사이에서, 래퍼(440)를 지지하고, 래퍼(440)가 접착될 수 있는 부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열된 공기 및 에어로졸은, 냉각부(420) 내부의 냉각패스(424)를 통과하며 냉각될 수 있다.
필터부(430)는 아세테이트 재질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부(430)는 스틱(40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스틱(400)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에 삽입되면(도 3 참조), 필터부(43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부(430)를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필터부(430)의 길이(L5)는 14mm 일 수 있다.
래퍼(440)는 매질부(410), 냉각부(420) 및 필터부(430)를 감싸거나 둘러쌀 수 있다. 래퍼(440)는 스틱(40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래퍼(440)는 종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부(441)는 래퍼(44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래퍼(440)는 매질부(410), 냉각부(420) 및 필터부(430)를 감싸며,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접착부(441)와 타측 가장자리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매질부(410), 냉각부(420) 및 필터부(430)를 감싼 래퍼(440)는, 스틱(400)의 일단과 타단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래퍼(440)는 매질부(410), 냉각부(420) 및 필터부(430)를 고정하고, 스틱(400)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박막(443)은 제1 매질커버(4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박막(443)은 래퍼(440)와 제1 매질커버(413)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래퍼(44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박막(443)은 제1 매질커버(413)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박막(443)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박막(443)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박막(443)은 래퍼(440)에 밀착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제2 박막(445)은 제2 매질커버(41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박막(445)은 래퍼(440)와 제2 매질커버(415)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래퍼(44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박막(445)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박막(445)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박막(445)은 래퍼(440)에 밀착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에 스틱을 인식하는 커패시턴스 센서(capacitance sensor)가 설치된 경우, 커패시턴스 센서가 스틱(400)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내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6에 개시된 구성과 공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6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한 명칭을 가지되, 부호가 다른 구성의 경우, 상기 구성의 서로 다른 실시예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면, 카트리지(200')는 제1 컨테이너(210), 제2 컨테이너(220'), 심지(261) 및 히터(2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실링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제1 컨테이너(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220')는 하부케이스(230')와 프레임(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수용부(231')와 연장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벽(2313)은 수용부(231')의 측벽(2311) 중 어느 한 측벽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경사벽(2313)은 연결유로(2314)의 일측을 덮을 수 있다. 제1 경사벽(2313)은 수용부(231')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확장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제1 경사벽(2313)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1b)은 수용부(231')의 측벽(2311)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1b)는 상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홈(221b)의 하단은, 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가이드홈(221b)은 함몰부(221a)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32')는 제1 경사벽(2313)의 상단으로부터 수용부(231')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연장부(23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제1 프레임(241)에 형성된 걸림홈(2419)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하부케이스후크(2329)라 명명할 수 있다. 걸림홈(2419)은 프레임홈(2419)이라 명명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제1 실링부(251)와 제2 실링부(252)를 연결하는 실링링크(253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링크(253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실링링크(2531)는 제2 실링부(252)로부터 제1 실링부(251)까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실링링크(2531)는 제2 실링부(252)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수용부(23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수용부(231')의 측벽(2311)이 수용공간(2310)으로부터 외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수용공간(2310)에 접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카트리지유입구(224)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제1 경사부(2313)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8 및 도 49를 참조하면, 서포트바(2316)는 하부케이스(230')의 바닥(231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포트바(2316)는 하부케이스(230')의 측벽(2311)으로부터 수용공간(2316)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서포트바(2316)는 수용공간(2310)에 접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트바(2316)는 하부케이스(230')의 양 측벽(2311)들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바(2316)는 상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경사벽(2423)은 제2 프레임(242')의 측벽(2421) 중 어느 한 측벽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경사벽(2423)은 연결유로(2314)의 일측을 덮을 수 있다. 제2 경사벽(2423)은 제2 프레임(242')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넓어지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경사벽(2423)은 서포트바(231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경사벽(2423)은 제1 경사벽(231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바(2316)는 제2 경사벽(2423)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240')이 수용공간(2310)에 삽입될 때, 제2 경사벽(2423)은 서포트바(2316)에 슬라이드되어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연장부(232')의 바닥부(232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바닥부(232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삽입공간(2310)이 위치한 방향으로 벤딩되어 후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0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241')의 일측에 걸림홈(2419)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419)은 제1 프레임(241')의 가장자리 또는 측벽(2412)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419)은 제1 프레임(241')이 연장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419)은 제2 프레임(242')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홈(2419)은 챔버유입구(2424)가 개방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수용공간(2310)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카트리지유입구(224)가 개방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48 내지 도 51을 참조하면, 프레임(240')은 하부케이스(230')의 수용공간(231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프레임(241')의 바닥부(2411)는 연장부(2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걸림홈(2419)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걸림홈(2419)의 하부에 걸릴 수 있다. 프레임(240')이 수용공간(2310)에 삽입될 때, 제2 경사벽(2423)은 서포트바(2316)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제2 경사벽(2423)은 서포트바(2316)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42')의 측벽(2421)은 하부케이스(230')의 측벽(23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42')의 바닥(2422)은 하부케이스(230')의 바닥(23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체결돌기(2425)는 체결홈(2315)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도 52 내지 도 54를 참조하면, 제1 실링부(251)와 제2 실링부(25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52)는 제1 실링부(25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의 끝단과 제2 실링부(252)의 끝단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실링부재(250')는 실링링크(253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링크(2531)는 제1 실링부(251)의 끝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제2 실링부(252)의 끝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실링링크(2531)는 제2 실링부바디(2521)와 제1 실링부(251)의 제1 파트(2511)를 연결할 수 있다.
실링링크(253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실링링크(2531)는 제1 프레임(241')의 바닥부(241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링링크(2531)는 제2 실링부바디(2521)를 중심으로 제1 실링부(251)를 향하여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실링링크(2531)는 서로 이격되며, 복수의 실링링크(2531)의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후크(2415)는 복수의 실링링크(253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링크(2531)는 4개이고, 실링후크(2415)는 3개로 구비되어 4개의 실링링크(2531)의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한 쌍의 실링링크(2531)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실링링크(2531)는, 제2 프레임(242')으로부터 제1 프레임(241')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크(2415)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실링링크(2531)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실링부(251)에 체결될 수 있다.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함몰부(221a)를 잇는 방향을 좌우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전후방향은 좌우방향에 수직할 수 있다. 전후방향은 상하방향에 수직할 수 있다.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링링크(2531)는 제2 실링부(252)로부터 제1 실링부(251)를 향하여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링링크(2531)는 제2 실링부(252)로부터 제1 실링부(251)를 향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실링링크(2531)의 길이방향으로 실링링크(2531)에 장력이 작용될 수 있다. 실링링크(2531)는, 실링링크(2531)가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제1 실링부(251)와 제2 실링부(252)를 지지할 수 있다.
끼움부(255)는 제1 실링부(251)의 제2 파트(2512)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끼움부(255)는 제1 실링부(251)의 제2 파트(2512)의 내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끼움부(255)와 제1 실링부(251)의 제1 파트(2511)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끼움부(255)는 후크(2415)에 인접할 수 있다. 끼움부(255)는 복수의 실링링크(253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끼움부(255)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끼움홈(254)은 끼움부(255)와 제1 실링부(251)의 제1 파트(2511)의 사이에 헝성될 수 있다. 끼움홈(254)은 실링부재(250')의 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의 제2 파트(2512)는, 끼움홈(254)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프레임림(2412)은 끼움홈(254)에 삽입되어 제1 실링부(251)에 끼워질 수 있다. 프레임림(2412)은 끼움홈(254)에 억지끼움(force-fitting)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1)는 프레임림(2412)을 덮을 수 있다. 프레임림(2412)은 끼움부(255), 제1 실링부(251)의 제1 파트(2511) 및 제2 파트(2512)에 밀착될 수 있다. 프레임림(2412)의 외주면은 제1 실링부(251)의 제1 파트(2511)와 밀착될 수 있다. 프레임림(2412)의 상면은 제1 실링부(251)의 제2 파트(2512)에 밀착될 수 있다. 프레임부(241')의 내주면의 일부는 끼움부(255)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부재(250')가 프레임(240')에 밀착 고정되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4 및 도 55를 참조하면,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은 제2 실링부(252)를 하측으로 가압하며 밀착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이 제2 실링부(252)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제2 실링부(252)에 반경방향으로 변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제2 실링부(252)에 가해지는 변형력은 실링링크(2531)에 전달될 수 있다. 실링링크(2531)는 제2 실링부(252)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실링후크(2415)는 실링링크(2531)의 주변에서 제1 실링부(251)를 잡아줄 수 있다. 실링후크(2415)는 제1 실링부(251)의 내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200')의 구성이 결합될 때, 실링부재(250')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실링부재(250')가 결합부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면, 챔버유입구(2424)는 제2 챔버(C2)의 일측에서 삽입공간(214)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삽입공간(214)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챔버(C2)의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카트리지유입구(224)와 제2 챔버(C2)를 연통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연결유로(2314)와 제2 챔버(C2)를 연통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제2 챔버(C2)를 기준으로, 챔버유입구(2424)에 대향되는 제2 챔버(C2)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제2 챔버(C2)의 타측을 덮을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제2 챔버(C2)의 타측에 접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제2 챔버(C2)의 외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하부케이스(230')의 측벽(2311)이 제2 챔버(C2)로부터 외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삽입공간(214)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2318)는 제2 챔버(C2)의 바닥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둥근 형상을 가지며, 제2 챔버(C2)의 타측을 감쌀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의 형상은, 구 형상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제2 챔버(C2)의 하부와 측부를 감쌀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의 하부는 챔버유입구(2424)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의 내면은, 삽입공간(214)의 외주면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의 내면은, 제2 챔버(C2)의 하부로부터 삽입공간(214)의 외주면의 일측 하단을 향하여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심지(261)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심지(261)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경사벽(2423)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심지(261)를 마주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심지(261)와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심지(261)는 챔버유입구(2424)와 제1 유동가이드(2318)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261)는 삽입공간(2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261)는 삽입공간(214)에 오버랩될 수 있다. 심지(261)는 챔버유입구(2424)가 개방된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되고, 심지(261)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심지(261)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차단벽(2314)은 제1 경사벽(2313)과 제2 경사벽(242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트바(2316)은 차단벽(2314)과 제2 경사벽(242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트바(2316)는 제2 경사벽(2423)을 지지할 수 있다.
수용부(231')의 측벽(2311)은 제2 프레임(242')의 측벽(2421)을 지지할 수 있다. 수용부(231')의 바닥(2312)은 제2 프레임(242')의 바닥(2421)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은, 하부케이스(230)의 둘레부(23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은, 하부케이스(230)를 향하여 제2 프레임(242)을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제2 프레임(242)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41)의 바닥부(2411)의 일부분은 연장부(232')의 바닥부(23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연장부(232')는 걸림후크(2329)와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 사이에서 제1 프레임(241)의 바닥부(2411)를 지지할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걸림홈(2419)에 삽입되어 제1 프레임(241)에 걸릴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연장부(232')의 바닥부(232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연장부(232')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연장부(232')의 바닥부(232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일측으로 벤딩된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프레임(241)과 걸림후크(2329)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지지력을 받을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이 하부케이스(230)를 향하여 제2 프레임(242)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제2 프레임(242)과 연결된 제1 프레임(241)은, 제1 프레임(241)을 지지하는 연장부(232')를 축으로 하여 걸림홈(2419)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변형력을 받을 수 있다. 제1 프레임(241)은, 걸림후크(2329)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제1 프레임(241)을 지지할 수 있다. 걸림후크(2329)는 제1 프레임(241)을 하측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200') 조립 시, 프레임(240)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고, 카트리지(200')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00')의 조립 시 접착부재를 사용하는 부위를 최소화하여 조립성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파이프(212a)는 삽입공간(214)을 둘러싸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과 외벽(21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파이프(212a)를 구비할 수 있다. 파이프(212a)는 삽입공간(214)을 둘러쌀 수 있다. 파이프(212a)는 상하로 개방될 수 있다. 파이프(212a)의 하단 중 일부분은 제2 실링부재(252)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파이프(212a)의 하단 중 일부분은 하부케이스(2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파이프(212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의 내면은, 파이프(212a)의 내주면의 일부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7 및 도 58을 참조하면,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제2 챔버(C2)를 기준으로 챔버유입구(2424)에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제2 챔버(C2)의 외측으로 오목하며, 삽입공간(214)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제2 챔버(C2)의 타측을 덮을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의 내면은, 삽입공간(214)의 외주면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의 내면과 삽입공간(214)의 외주면은, 접촉하는 부분에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의 내면과 삽입공간(214)의 외주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의 하부는 챔버유입구(2424)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의 상부는 삽입공간(214)을 둘러싸는 일측 외벽(2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가 감싸는 제2 챔버(C2)의 타측 부분은 삽입공간(21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경사벽(2423)은 제2 챔버(C2)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경사벽(2423)은 제2 챔버(C2)의 일측부를 덮을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경사벽(2423)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심지(261)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심지(261)와 완전히 오버랩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심지(261)를 마주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의 중심과 심지(261)의 중심 사이의 높이 차(W0)는 1mm 이하일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의 중심과 심지(261)의 중심 사이의 높이차(W0)는 0.5mm 일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챔버(C2)의 바닥보다 높을 수 있다. 심지(261)는 제2 챔버(C2)의 바닥보다 높을 수 있다. 제2 챔버(C2)의 바닥으로부터 챔버유입구(2424)의 하단까지의 높이(H)는, 제2 챔버(C2)의 바닥으로부터 심지(261)의 하단까지의 높이(H)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제2 챔버(C2)의 바닥으로부터 심지(261)의 중심까지의 높이는, 제2 챔버(C2)의 바닥으로부터 챔버유입구(2424)의 중심까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제2 챔버(C2)의 바닥으로부터 심지(261)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제2 챔버(C2)의 바닥으로부터 챔버유입구(2424)의 상단까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심지(261)의 직경(W1)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의 폭(W2)은 심지(261)의 직경(W1)보다 좁을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는 제2 챔버(C2) 또는 심지(261)를 향할수록 점차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심지(261)와 챔버유입구(2424) 사이의 거리는, 챔버유입구(2424)의 폭(W2)과 대략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중심선(L)은, 삽입공간(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공간(214)의 중심을 이은 가상의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심지(261)는 중심선(L)과 챔버유입구(24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와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중심선(L)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심지(261)와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중심선(L)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심지(261)는 중심선(L)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심지(261)는 챔버유입구(2424) 및 삽입공간(214)에 오버랩되되, 중심선(L)에는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심지(261)는 챔버유입구(2424)에 인접할 수 있다. 심지(261)는 제1 유동가이드(2318)보다 챔버유입구(2424)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단면은 기준으로, 심지(261)는, 삽입공간(214)을 감싸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보다 삽입공간(214)을 감싸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틱(40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면, 공기는 챔버유입구(2424)로부터 제2 챔버(C2)로 유입될 수 있다. 액체는 제1 챔버(C1)로부터 심지(261)로 공급되어 흡수될 수 있다. 히터(262)가, 액체를 흡수한 심지(261)를 가열하면,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챔버유입구(2424)로부터 제2 챔버(C2)로 유입되는 공기는 심지(261)의 주변으로 확산되며, 심지(261)에 접촉되거나 심지(261)를 통과할 수 있다.
심지(261)에 접촉되거나 심지(261)를 통과하여 에어로졸을 동반하는 공기는, 심지(261)의 상측과 심지(261)의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심지(261)의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삽입공간(214)으로 유입될 수 있다. 심지(261)의 하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제1 유동가이드(2318)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를 향하여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는, 바로 삽입공간(214)을 향하여 유동하고, 나머지 공기는 제1 유동가이드(2318)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제1 유동가이드(2318)에 접촉되는 공기를 삽입공간(2318)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챔버유입구(2424)로부터 심지(261)로 균일하게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챔버유입구(2424)로부터 제2 챔버(C2)로 유입되는 공기가 심지(261)를 통과하며, 에어로졸을 동반하는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챔버유입구(2424)로부터 제2 챔버(C2)로 유입되어 삽입공간(214)을 향하여 유동할 때, 제1 유동가이드(2318)는, 공기가 정체되거나,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동가이드(2318)는, 접촉된 공기를 삽입공간(214)으로 안내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을 감싸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의 하부 내주면은, 상측으로 향할수록 반경 외측방향으로 점차 넓어지는 외벽경사면(218)을 포함할 수 있다. 외벽경사면(218)은, 제2 챔버(C2)로부터 삽입공간(214)을 향할수록 확장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외벽경사면(218)은 제1 유동가이드(2318)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챔버(C2)로부터 삽입공간(214)으로 유입되는 공기 및 에어로졸은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의 하단면으로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도 59 및 도 60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어퍼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바디(120')는 마운트(130')를 구비할 수 있다. 어퍼바디(120')는 컬럼(140')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6에 개시된 어퍼바디(120)와 공통된 부분은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컬럼(140')은 PCB 어셈블리(150')를 수용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카트리지(200)에 빛을 제공하거나,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는, 카트리지(200)의 제1 챔버(C1) 저장된 액체의 잔량의 변화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제1 챔버(C1)에 저장된 액체의 종류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스틱(40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의 종류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이 사용된 정도 혹은 사용 가능한 정도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200)의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카트리지(200)가 바디(10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결합된 카트리지(200)의 종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는, 상기 언급한 것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컬럼(140')은 빛을 제공하는 광원(153)을 수용할 수 있다. 컬럼(140')은 카트리지(200)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는 제3 센서(155)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카트리지(200)는 다른 실시예의 카트리지(200')를 포함할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PCB(151), 광원(153) 및 제3 센서(1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센서(155)는 PCB(15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센서(155)는 광원(153)을 회피하는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제3 센서(155)는 삽입공간(214)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센서(155)는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제3 센서(155)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PCB 어셈블리(150')는 ??럼(140') 내의 설치공간(144)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윈도우(170')는 PCB 어셈블리(150')를 덮도록 컬럼(140')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170')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윈도우(170')는 흰색 기반의 반투명한 재질 또는 밀키(milky) 색상 기반의 반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윈도우림(1701, 1702, 1703)은 윈도우(17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윈도우림(1701, 1702, 1703)은 컬럼(140')의 플랜지(1451, 1452, 1453)를 덮을 수 있다. 윈도우림(1701, 1702, 1703)은 걸림돌기(173)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70')의 전면(171a) 및 후면(172)은, 윈도우림(1701, 1702, 170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윈도우(170')의 전면(171a)은 후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림(1701, 1702, 1703)은 윈도우(170')의 전면(171a) 및 후면(172)의 사이에서, 윈도우(17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윈도우림측부(1701)는 윈도우(17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림측부(1701)는 윈도우(170')의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림측부(1701)의 상단은 윈도우림상부(1703)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윈도우림하부(1702)는 윈도우(17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림하부(1702)는 윈도우(17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윈도우림하부(1702)는 한 쌍의 윈도우림측부(1701) 각각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윈도우림상부(1703)는 윈도우(170')의 상부(171b)에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림상부(1703)는 윈도우(170')의 상부(171b)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윈도우림상부(1703)는 윈도우(170')의 전면(171a)의 형상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윈도루임상부(1703)의 양단은, 한 쌍의 윈도우림측부(1701)의 상단에 연결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160')은 윈도우(170')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160')은 컬럼(140')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160')은 윈도우(17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160')의 중심은 개방될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16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170')는 윈도우프레임(160')과 컬럼(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70')의 전면(171a)은 윈도우프레임(160')의 개방된 중심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쌍의 윈도우프레임측부(161)는 윈도우프레임(16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측부(161)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하부(162)는 윈도우프레임(16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하부(162)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하부(162)의 양단은 한 쌍의 윈도우프레임측부(161)의 각각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상부(163)는 윈도우프레임(16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상부(163)는 양단은 한 쌍의 윈도우프레임측부(161)의 각각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0 및 도 61을 참조하면, PCB 어셈블리(150')는 윈도우(170')의 후면(17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홀딩암(151b)은 PCB(151)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홀딩암(151b)은 PCB(15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딩암(151b)은 제3 센서(15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딩암(151b)은 윈도우(170')의 후면(172) 상부의 틈에 걸릴 수 있다. 제2 홀딩암(151c)은 PCB(15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홀딩함(151c)은 PCB(151)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홀딩암(151c)은 윈도우(170')의 후면(172) 하부의 틈에 걸릴 수 있다. 제1 홀딩암(151b) 및 제2 홀딩암(151c)은 윈도우(170')의 위치를 PCB(151)에 고정할 수 있다.
윈도우(170')는 걸림돌기(17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173)는 윈도우(170')의 타면(171b)에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73)는 후면부(172)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73)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돌기(173) 각각은 플랜지측부(1451)에 대응되어 상하로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2 내지 도 64를 참조하면, 걸림돌기(173)는 윈도우림측부(170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틈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돌기(173)는 컬럼(140')의 내부에서, 플랜지측부(1451)의 후방에 형성된 틈(1454)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돌기(173)는 플랜지측부(1451)에 걸릴 수 있다. 플랜지측부(1451)는 걸림돌기(173)와 윈도우림측부(1701)의 사이의 틈으로 삽입될 수 있다. 걸림돌기(173)는 플랜지측부(1451) 및 틈(1454)에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걸림돌기(173)는 윈도우(170')가 컬럼(1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윈도우림측부(1701)는 플랜지측부(1451)를 덮을 수 있다. 윈도우림하부(1702)는 플랜지하부(1452)를 덮을 수 있다. 윈도우림상부(1703)는 플랜지상부(1453)를 덮을 수 있다. 윈도우림(1701, 1702, 1703)은, 컬럼(140')의 플랜지(1451, 1452, 1453)와 접착부재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양면 접착성 테이프일 수 있다. 윈도우(170')가 컬럼(140')에 결합되면, 제1 홀딩암(151b) 및 제2 홀딩암(151c)은 윈도우(170')의 후면에 걸림으로써, PCB 어셈블리(150')가 윈도우(170')에 정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윈도우(170')의 일면(171a) 또는 전면(171a)은 카트리지수용공간(134)을 향할 수 있다. 윈도우(170')의 타면(172) 또는 후면은 컬럼(140')의 내부를 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170')는 컬럼(140')에 스냅핏 방식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170')를 컬럼(140')에 조립하는 방식이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윈도우(170')가 컬럼(1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5 및 도 66을 참조하면, 윈도우프레임(160')은 윈도우림(1701, 1702, 1703)의 형상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160')은 중앙이 개방되어 윈도우(170')의 전면(171a)을 노출시킬 수 있다.
윈도우(170')의 전면(171a)은 컬럼(140')에 접착될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160')은 윈도우(170')의 테두리에 접착되며, 윈도우(170')의 테두리를 덮을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측부(161)는 윈도우림측부(1701)의 전면에 접착되어 윈도우림측부(1701)를 덮을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하부(162)는 윈도우림하부(1702)의 전면에 접착되어 윈도우림하부(1702)를 덮을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상부(163)는 윈도우림상부(1703)의 상부에 접착되어 윈도우림상부(1703)를 덮을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상부(163)는 컬럼(140')의 상벽(143)을 형성할 수 있다.
윈도우(170')의 전면(171a)의 가장자리는 윈도우림(1701, 1702, 1703)보다 전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160')은 윈도우림(1701, 1702, 1703)에 접촉되어 윈도우(170')의 전면(171a)과 컬럼(140')의 측벽(141, 142)에 끼워질 수 있다.
도 66 및 도 67을 참조하면, 센서커버(137')는 마운트(130')의 내측벽(131)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커버(137')는 마운트(130')의 공간(134)의 일측과 접할 수 있다. 센서커버(137')는 마운트(130')에 결합되어 마운트(130')의 내측벽(131)에 연결되고, 마운트(130')의 측벽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마운트(1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커버(137')는 제2 센서(180)를 덮을 수 있다.
센서커버(137')의 상벽(1371)은 마운트(130')의 상측을 마주할 수 있다. 센서커버(137')의 상벽(1371)은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은 마운트(130')의 공간(134)을 마주할 수 있다.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은 센서커버(137')의 상벽(1371)과 연결되며,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은 센서커버(137')의 상벽(1371)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은 마운트(130')의 내측벽(131)과 함께 마운트(130')의 공간(134)을 감쌀 수 있다.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은 하측으로 향할수록 마운트(130')의 공간(134)이 좁아지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센싱홀(137a)은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싱홀(137a)은 제2 센서(180)와 연통될 수 있다. 센싱홀(137a)은 마운트(130')의 공간(134)을 마주할 수 있다.
제2 유동가이드(1373)는, 센싱홀(137a)의 주변에서,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으로부터 마운트(130')의 공간(134)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2 유동가이드(1373)는 센싱홀(137a)의 주변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으로부터 제2 유동가이드(1373)가 돌출된 폭은 일정할 수 있다. 제2 유동가이드(1373)는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에 나란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유로(P1)는 하류측에서 센싱홀(137a) 및 카트리지유입구(224)와 연결될 수 있다(도 74 참조). 제2 유동가이드(1373)는 제1 유로(P1)의 하류측을 감싸고, 제1 유로(P1)의 상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도 74 참조).
제2 유동가이드(1373)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동가이드(1373)는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동가이드(1373)의 하부는 센싱홀(137a)의 하측 주변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동가이드(1373)의 양 측부는 센싱홀(137a)의 양 측부 주변에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커버함몰면(1374)은,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이 함몰되어 형성할 수 있다. 커버함몰면(1374)은 센싱홀(137a)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센싱홀(137a)은 커버함몰면(1374)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함몰면(1374)은 제2 유동가이드(137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커버함몰면(1374)의 상단은 센서커버(137')의 상벽(1371)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함몰면(1374)은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에 나란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커버함몰면(1374)의 양측과 하측은 제2 유동가이드(1373)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커버함몰면(1374)의 상측은 제2 유동가이드(1373)에 의해 덮히지 않고, 센서커버(137')의 상벽(1371)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커버함몰면(1374)은 마운트(130')의 공간(134)을 마주할 수 있다.
센싱프레임(183)은 제2 센서(180)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센싱프레임(183)은 마운트(130')의 내측벽(13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커버(137')는 센싱프레임(183)에 결합되고 고정될 수 있다. 센싱프레임(183)은 내측이 개방되어 공간(18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센서(180)는 센싱프레임(183)의 공간(183a)을 향할 수 있다.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은 센싱프레임(183)과 센싱프레임(183)의 공간(183a)을 덮을 수 있다.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은 센싱프레임(183)과 마운트(130')의 공간(13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7 내지 도 69를 참조하면,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의 전면은 마운트(130')의 공간(134)을 마주할 수 있다.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의 후면은 마운트(130')의 제2 센서(180) 및 센싱프레임(183)을 마주할 수 있다.
센서커버바(1375)는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센서커버바(1375)는 센싱홀(137a)의 양 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센서커버바(1375)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센서커버바(1375)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센서커버후크(1376)는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커버후크(1376)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센서커버후크(1376)는, 한 쌍의 센서커버바(1375) 각각으로부터, 센서커버바(1375)가 돌출된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센서커버바(1375)는 센싱프레임(183) 내측의 공간(183a)에 삽입되어 센싱프레임(18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센서커버바(1375)와 센싱프레임(183)의 공간(183a)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커버후크(1376)는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센서커버후크(1376)는 센싱프레임(183)에 걸릴 수 있다. 센서커버후크(1376)는 센싱프레임(183)에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의 후면은 센싱프레임(183)의 전면에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커버(137')가 마운트(130')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2 센서(18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70 내지 도 72를 참조하면, 하부케이스(230')는 카트리지수용공간(134)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의 측벽(2311)은 카트리지수용공간(134) 내에서, 마운트(130')의 내측벽(131)에 접촉되어 덮힐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마운트(130')에 둘러싸여 지지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는 마운트(130')에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232')의 바닥부(2321)는 센서커버(137')의 상벽(1371)을 덮을 수 있다. 연장부(232')의 바닥부(2321)는 센서커버(137')의 상벽(1371)와 접촉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2323)는 센서커버(137')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로상부(P11, 도 74 참조)는 유로형성부(2323)와 센서커버(137')의 상벽(137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의 제1 경사벽(2313)은,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을 덮을 수 있다. 제1 경사벽(2313)과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은 서로 대응되는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다. 마운트(130')의 일측부 또는 센서커버(137')는 제1 경사벽(2313)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경사벽(2313)과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유동가이드(1373)는 센서커버(137')로부터 카트리지(200')를 향하여 돌출되어 밀착될 수 있다. 제2 유동가이드(1373)는 제1 경사벽(2313)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유동가이드(1373)는 제1 경사벽(2313)에 접촉되어, 제1 경사벽(2313)을 커버함몰면(1374)과 센싱홀(137a)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제2 유동가이드(1373)는 스페이서(spacer, 1373)라 명명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제2 유동가이드(137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센싱홀(137a)을 마주할 수 있다. 제1 유로측부(P12, 도 74 참조)는 센싱홀(137a)과 카트리지유입구(22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측부(P12, 도 74 참조)는 커버함몰면(1374)과 제1 경사벽(231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동가이드(1373)는, 카트리지유입구(224) 및 센싱홀(137a)과 연결되는 제2 유로측부(P12, 도 74)의 하류측을 감싸고, 제2 유로측부(P12)의 상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31b)는 마운트(130')의 내측벽(131)으로부터 카트리지수용공간(134)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31b)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돌기(131b) 각각은, 한 쌍의 돌출부(131a) 각각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31b)는 돌출부(131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31b)는 상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돌기(131b)는 마운트(130')의 바닥(132)에 접촉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홈(221b)은 수용부(231')의 측벽(2311)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1b)는 상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홈(221b)은 가이드돌기(13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가이드홈(221b)의 하단은, 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가이드홈(221b)은 함몰부(221a)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21b)은 수용부(231')의 양 측벽(2311)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홈(221b) 각각은, 한 쌍의 함몰부(221a) 각각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홈(221b)은 함몰부(221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31a)는 함몰부(221a)에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131a)는 함몰부(221b)에 스냅핏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31b)는 가이드홈(221b)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31b)와 가이드홈(221b)은 서로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카트리지(200')가 마운트(130')의 공간(134)에 삽입될 때, 제1 경사벽(2313)은,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 또는 제2 유동가이드(1373)에 슬라이드 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30')가 카트리지수용공간(134)에 삽입될 때, 가이드홈(221b)은 가이드돌기(131b)에 접촉되며,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컬럼(140') 또는 윈도우(170')의 전면(171a)은 카트리지(200')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가 마운트(130')의 공간(134)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200')의 일면은 윈도우(170')의 전면(171a)에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31a)와 함몰부(221a)가 서로 체결되는 위치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230')를 마운트(130')의 공간(134)에 삽입하여 체결하기 용이할 수 있다.
도 73 및 도 74를 참조하면, 제1 유로(P1)는 제1 유로상부(P11) 및 제1 유로측부(P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상부(P11)는 센서커버(137')의 상벽(1371)과 연장부(23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상부(P11)는 센서커버(137')의 상벽(1371)과 유로형성부(232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상부(P11)는 제2 유로(P2)와 제1 유로측부(P1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측부(P12)는 제2 유로(P2)에 직교할 수 있다. 제1 유로측부(P12)는 제2 유동가이드(1373, 도 66 참조)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유로측부(P12)는 센서커버(137')의 측벽(1372)과 제1 경사부(231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측부(P12)는 커버함몰면(1374)과 제1 경사부(231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로측부(P12)는 제1 유로상부(P11)와 카트리지유입구(224)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유로측부(P12)는 제1 유로상부(P11)와 센싱홀(137a)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유로측부(P12)는 센싱홀(137a)과 카트리지유입구(224)를 연결할 수 있다. 센싱홀(137a)과 카트리지유입구(224)는, 제1 유로측부(P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유로측부(P12)는 제1 유로상부(P11)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공기를 흡입하면, 공기는 캡유입구(304a)를 통해 제2 유로(P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유로(P2)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1 유로상부(P11) 및 제1 유로측부(P12)로 유동할 수 있다. 공기는 제1 유로상부(P11)로부터 제1 유로측부(P12)로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다. 제2 유동가이드(1373, 도 66 참조)는 제1 유도상부(P11)로부터 제1 유로측부(P12)로 유동하는 공기를, 센싱홀(137a)과 카트리지유입구(224)로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센싱홀(137a)과 카트리지유입구(224)의 외부로 유동하거나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유동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180)의 정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5 및 도 76을 참조하면, 샤프트(311)는 커버(3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311)는 커버(310)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310)는 샤프트(311)를 축으로 하여 피봇될 수 있다.
커버(310)의 일면(313)은 스틱(400, 도 80 참조)과 접촉될 수 있다. 커버(310)의 일면(313)은, 커버전면(313) 또는 접촉면(313)이라 명명될 수 있다. 커버(310)의 타면(314)은 커버(310)의 일면(313)에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310)의 타면(314)은, 커버후면(314) 또는 지지면(314)이라 커버지지대(317)는 커버(310)의 후면(314)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커버지지대(317)는 샤프트(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커버림(315)은 커버(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커버림(315)은 커버전면(313)의 단부 및 커버후면(314)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림(315)의 적어도 일부는 상측삽입구(304, 도 78 참조) 및 하측삽입구(3040, 도 78 참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림(315)의 적어도 일부는 활 형상 또는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토우(toe)(315a)는 커버(310) 또는 커버림(315)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토우(315a)는 커버(310)를 기준으로 샤프트(311)에 대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커버토우(315a)는 커버전면(313)으로부터 후면(314)까지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토우(315a)는 상측삽입구(304, 도 78 참조) 및 하측삽입구(3040, 도 78 참조)의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토우(315a)는 삽입공간(214, 79 참조)의 상단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틱그랩(316)은 커버(310)의 피봇 축에 연결되어 커버(310)와 함께 피봇될 수 있다. 스틱그랩(316)과 샤프트(311)의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틱그랩(316)은 샤프트(311)의 일측 면을 구성할 수 있다. 스틱그랩(316)은 커버전면(313)에 접할 수 있다. 스틱그랩(316)은 커버전면(313)보다 돌출될 수 있다. 스틱그랩(316)은 스틱(400, 도 3 참조)의 외주면의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틱그랩(316)은 샤프트(311)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틱그랩(316)은 삽입공간(214, 도 2 참조)의 외주면의 일측 또는, 카트리지(200, 200') 내벽(212, 도 2 참조)의 내주면의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랩홈(316a)은 샤프트(311)의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틱그랩(316)은 그랩홈(316a)의 일측을 감쌀 수 있다. 그랩홈(316a)은 샤프트(311)와 커버전면(313)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랩홈(316a)은 샤프트(311)가 커버(310)의 전면으로부터 샤프트(311)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랩홈(316a)은 일측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지지면(312a)은 커버후면(314)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지지면(312a)은 커버후면(314)의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지지면(312a)은 샤프트(311)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스프링(312, 도 12 참조)은, 샤프트(311)에 권선될 수 있다. 스프링(312, 도 12 참조)의 일측은, 스프링지지면(312a)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7을 참조하면, 커버(310)는 일측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전면(313)은 일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커버전면(313)은 활 형상 또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전면(313)은 샤프트(311)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다.
커버전면(313)은 볼록부(313a)와 주변부(313b)를 구비할 수 있다. 볼록부(313a)는, 아치 형상을 가진 커버전면(313)의 높은 부분에 대응될 수 있고, 주변부(313b)는, 볼록부(313a)를 제외한 커버전면(313)의 나머지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커버전면(313)은 연속된 면으로 구성되며, 볼록부(313a)로부터 주변부(313b)까지 라운드진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313a)는 주변부(313b)보다 일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볼록부(313a)는 한 쌍의 주변부(313b)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313a)는 스틱그랩(316)과 그랩홈(316a)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볼록부(313a)는 샤프트(311)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다.
주변부(313b)는 볼록부(313a)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주변부(313b) 중 어느 하나는 샤프트(311)에 인접할 수 있다. 주변부(313b) 중 어느 하나는 볼록부(313a)보다 샤프트(311)에 더 인접할 수 있다. 주변부(313b) 중 어느 하나는 스틱그랩(316)과 그랩홈(316a)에 접할 수 있다. 주변부(313b) 중 다른 하나는 커버토우(315a)에 인접할 수 있다.
기준선(Ls)은 볼록부(313a)의 끝단과 스틱그랩(316)의 끝단을 이은 가상의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주변부(313b)는 기준선(Ls)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틱(400)의 일측 외주면은 기준선(Ls)에 나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스틱(400)의 일측 외주면은 그랩홈(316a)을 통과할 수 있다. 스틱(400)이 기준선(Ls)에 밀착되면, 스틱(400)의 일측 외주면은 커버전면(313)과 샤프트(311)에 접촉될 수 있다. 스틱(400)이 기준선(Ls)에 밀착되면, 스틱(400)은 볼록부(313a)와 스틱그랩(316)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스틱(400)이 기준선(Ls)에 밀착될 때, 스틱(400)은 주변부(313b)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틱(400)이 기준선(Ls)에 밀착되면, 스틱그랩(316)은 스틱(400)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고 지지할 수 있다.
도 78을 참조하면, 하측삽입구(3040)는 캡(300)의 삽입구(30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구(304)는 상측삽입구(304)라 명명할 수 있다. 상측삽입구(304)는 상부헤드(340)에 형성될 수 있다. 하측삽입구(3040)는 하부헤드(330)에 형성될 수 있다. 하측삽입구(3040)는 상측삽입구(304)와 연통될 수 있다. 하측삽입구(3040)는 상측삽입구(304) 및 삽입공간(214, 도 79 참조)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둘레면(306b)은 하측삽입구(304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하측삽입구(3040)는 상하로 개방될 수 있다. 삽입둘레면(306b)은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둘레면(306b)은 커버림(315, 도 7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310) 및 샤프트(311)는 하측삽입구(304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틱가이드(306)는 삽입둘레면(306b)으로부터 하측삽입구(304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2 스틱가이드(306)는 하측삽입구(3040)를 기준으로 커버(310)의 샤프트(311)에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틱가이드(306)는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틱가이드(306)는 샤프트(311)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스틱(400)이 상측삽입구(304) 및 하측삽입구(3040)를 통과할 때, 스틱(400)은 제2 스틱가이드(306)에 접촉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스틱지지돌기(306a)은 제2 스틱가이드(306)의 하측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스틱지지돌기(306a)은 제2 스틱가이드(306)에서 가장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스틱지지돌기(306a)은 활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틱지지돌기(306a)은 삽입구(304)의 외주면의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틱지지돌기(306a)은 스틱(400, 도 80 참조)의 외주면의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구(304) 및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면, 스틱지지돌기(306a)은 스틱(400)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고 지지할 수 있다(도 80 참조). 스틱(400, 도 80)이 상측삽입구(304) 및 하측삽입구(3040)를 통과하여 고정되면, 스틱(400)은 삽입둘레면(306b)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79 및 도 80을 참조하면, 커버(310)는 샤프트(311)를 축으로 피봇되어 삽입구(304) 및 삽입공간(214)을 개폐할 수 있다. 커버(310)는 제1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구(304) 및 삽입공간(214)을 개방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구(304)를 개방하면, 커버(310)는 커버홈(215)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310)는 제2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구(304) 및 삽입공간(214)을 폐쇄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구(304)를 폐쇄하면, 커버(310)는 커버홈(215)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커버(310)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부터 제2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312)일 수 있다.
스틱(400)은 상측삽입구(304) 및 하측삽입구(3040)를 통과하여 삽입공간(214)에 삽입될 수 있다. 스틱(400)의 하단이 삽입구(304)를 통과하여 삽입공간(214)으로 이동하며 커버(310)를 밀면, 커버(310)는 제1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 및 삽입구(304)로부터 이탈되면, 커버(310)는 제2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커버(310)가 제1 방향으로 피봇되면, 샤프트(311) 및 스틱그랩(316)도 같은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스틱지지돌기(306a)는 커버(310)에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스틱지지돌기(306a)는 커버(3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스틱지지돌기(306a)는 삽입공간(214)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커버(310)는 스틱지지돌기(306a)를 향하여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면, 커버(310)는, 스틱지지돌기(306a)를 향하여 스틱(400)을 가압할 수 있다. 스틱(400)의 양측은 커버(310)와 스틱지지돌기(306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커버(310)가 제1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공간(214)의 개구를 개방하면, 커버(310)의 볼록부(313a)는, 스틱지지돌기(306a)를 향하여 볼록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의 개구를 개방하면, 볼록부(313a)는 삽입공간(214)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스틱(400)이 커버(310)를 밀어 삽입공간(214)을 개방할 때, 스틱(400)의 단부는, 커버(310)의 주변부(313b)로부터 볼록부(313a)를 따라 슬라이드 되며 커버(310)를 밀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면, 스틱(400)은 볼록부(313a)에 접촉되고, 주변부(313b)에는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스틱(400)의 양측은 볼록부(313a)와 스틱지지돌기(306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스틱그랩(316)은 커버(310)의 피봇 축 또는 샤프트(311)에 연결되어 커버(310)와 함께 피봇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폐쇄하면, 스틱그랩(316)는 상측을 향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폐쇄하면, 스틱그랩(316)은 삽입공간(214)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개방하면, 스틱그랩(316)은 스틱지지돌기(316a)를 향하여 돌출되며, 삽입공간(214)에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을 향하며 삽입구(304)를 통과할 때, 스틱그랩(316)은 스틱(400)에 걸리거나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면, 스틱그랩(316)은 스틱(400)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스틱그랩(316)은 삽입공간(214)의 외주면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75 참조). 스틱그랩(316)은 스틱(400)의 외주면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214)의 외주면은 스틱(4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개방하면, 스틱그랩(316)의 형상은 삽입공간(214)의 외주면의 일부분과 나란하거나 일치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의 내주면과 스틱그랩(316)은,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하거나 감쌀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개방하면, 스틱지지돌기(306a)는, 볼록부(313a)와 스틱그랩(316)의 사이를 마주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개방하면, 스틱지지돌기(306a)는, 볼록부(313a)와 스틱그랩(316)의 사이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은 볼록부(313a), 스틱그랩(316) 및 스틱지지돌기(306a)에 동시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공간(214)을 개방하면, 볼록부(313a), 스틱그랩(316) 및 삽입공간(214)의 하부 외주면은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삽입공간(214)에 삽입된 스틱(400)은 볼록부(313a), 스틱그랩(316) 및 삽입공간(214)의 하부 외주면에 동시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커버지지벽(307)은 커버(310)에 인접하여 캡(300)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지지벽(307)은 하부삽입구(3040)를 기준으로 스틱지지돌기(306a)에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커버지지벽(307)은 하부삽입구(3040)를 마주할 수 있다. 커버지지벽(307)은 샤프트(311)의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310)가 제1 방향으로 피봇되어 삽입구(304)를 개방하면, 커버지지대(317)는 커버지지벽(307)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커버지지대(317)가 커버지지벽(307)에 접촉되면, 커버(310)는, 제1 방향으로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커버지지대(317)가 커버지지벽(307)에 지지되면, 커버(310)는 커버홈(215)을 감싸는 제1 컨테이너(210)의 내벽(212)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의 하단부의 폭(W10) 또는 직경(W10)은 삽입구(304)의 폭(W20) 또는 직경(W10)보다 좁을 수 있다. 폭방향은, 삽입공간(214)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구(304)를 개방하면, 스틱그랩(316)와 스틱지지돌기(306a) 사이의 폭방향 거리(W10)는, 삽입공간(214)의 폭(W10) 또는 직경(W10)과 대략 동일 할 수 있다. 커버(310)가 삽입구(304)를 개방하면, 커버전면(313)의 볼록부(313a)와 스틱지지돌기(306a) 사이의 폭방향 거리(W10)는, 삽입공간(214)의 폭(W10) 또는 직경(W10)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하측으로 향할수록 폭이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삽입공간(214)은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214)의 하단부의 폭(W10) 또는 직경(W10)은 삽입공간(214)의 상단부의 폭(W30) 또는 직경(W30)보다 좁을 수 있다. 삽입공간(214)을 둘러싸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내벽(212)은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214)의 하단부의 직경(W10)은 스틱(400)의 외주면의 직경(W10)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삽입구(304)의 직경(W20)은 스틱(400)의 외주면의 직경(W10)보다 넓을 수 있다. 삽입공간(214)의 상단부의 직경(W30)은 스틱(400)의 외주면의 직경(W10)보다 넓을 수 있다. 폭방향을 기준으로, 스틱그랩(316)와 스틱지지돌기(306a) 사이의 거리(W10)는, 스틱(400)의 외주면의 직경(W10)과 대략 동일 할 수 있다. 폭방향을 기준으로, 커버전면(313)의 볼록부(313a)와 스틱지지돌기(306a) 사이의 거리(W10)는, 스틱(400)의 외주면의 직경(W10)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스틱(400)을 삽입공간(214)에 삽입할 때, 스틱(400)은 삽입구(304)를 통과하며, 삽입구벽(305), 샤프트(311), 스틱그랩(316), 커버전면(313), 제2 스틱가이드(306) 및 스틱지지돌기(306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어 하측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스틱(400)을 삽입공간(214)에 삽입할 때, 스틱(400)은 삽입공간(214)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드 되며 삽입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면, 커버전면(313)의 볼록부(313a)는 스틱(400)의 외주면의 일측에 접촉되어 지지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면, 스틱그랩(316, 도 75 및 도 77 참조)는 스틱(400)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며 지지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면, 스틱지지돌기(306a, 도 78 참조)는 스틱(400)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고 지지할 수 있다.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삽입되면, 삽입공간(214)의 하단부를 둘러싸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과 내벽(211)은 스틱(400)의 하단부를 둘러싸며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400)을 삽입공간(214)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스틱(400)이 삽입공간(214)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스틱(40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81을 참조하면, 빛(LT)은 PCB 어셈블리(150')의 광원(153, 도 59 참조)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빛(LT)이 투과되는 투명한 재질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캡(300)의 측벽(301)은 빛(LT)이 투과되는 투명한 재질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153)으로부터 출사된 빛(LT)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을 향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외벽(211)을 향하는 빛(LT)은, 제1 빛(LT)으로 정의될 수 있다. 광원(153)으로부터 출사된 빛(LT)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컨테이너(210)의 상벽(212) 및 캡유입구(304a)를 향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의 상벽(212) 및 캡유입구(304a)를 향하는 빛(LT)은, 제2 빛(LT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캡유입구(304a)는 캡(300)의 일측 상단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캡유입구(304a)는 제1 캡유입구(3041)를 구비할 수 있다, 캡유입구(304a)는 제2 캡유입구(3042)를 구비할 수 있다. 캡유입구(304a)는 제3 캡유입구(304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캡유입구(3041)는 제2 캡유입구(304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캡유입구(3042)는 제1 캡유입구(3041)와 제3 캡유입구(304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캡유입구(3043)는 제2 캡유입구(304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캡유입구(3042)는 제1 캡유입구(3041)와 제3 캡유입구(3043)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캡유입구(3041)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제3 캡유입구(3043)는 제2 유로(P2)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유입구벽(308)은 캡유입구(304a)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벽(308)은 캡(300)의 헤드(330, 340)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벽(308)은 캡유입구(304a)의 일측을 덮거나 감쌀 수 있다. 캡(300)의 측벽(301)의 상부는 캡유입구(304a)의 타측을 덮거나 감쌀 수 있다. 캡유입구(304a)는 캡(300)의 측벽(301)의 상부 및 유입구벽(308)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10)는 캡유입구(304a) 및 광원(15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유입구벽(3083)은 제1 유입구벽(3081), 제2 유입구벽(3082) 및 제3 유입구벽(308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유입구벽(3081)은 제1 캡유입구(3041)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입구벽(3081)는 제1 캡유입구(3041)의 일측을 덮거나 감쌀 수 있다. 제2 유입구벽(3082)은 제1 유입구벽(308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입구벽(3082)은 제1 유입구벽(3081) 및 제3 유입구벽(308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입구벽(3082)은 제1 유입구벽(3081) 및 제3 유입구벽(3083)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입구벽(3082)은 제2 캡유입구(3042)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구벽(3082)은 제2 캡유입구(3042)의 일측을 덮거나 감쌀 수 있다. 제3 유입구벽(3083)은 제2 유입구벽(308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유입구벽(3083)은 제3 캡유입구(3043)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입구벽(3083)은 제3 캡유입구(3043)의 일측을 덮거나 감쌀 수 있다.
라이트쉴드(307)는 캡(300)의 측벽(301)으로부터 캡유입구(304a)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라이트쉴드(307)는 제2 유로(P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트쉴드(307)는 캡유입구(304a)와 제2 유로(P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트쉴드(307)는 제1 컨테이너(210)의 상벽(213)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트쉴드(303)는 빛을 투과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라이트쉴드(307)는 제3 캡유입구(3043) 및 제3 유입구벽(308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라이트쉴드(307)는 캡(300)의 측벽(301)의 상부로부터 제3 캡유입구(3043)로 돌출될 수 있다. 라이드쉴드(307)는 제2 캡유입구(3042) 및 제2 유로(P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트쉴드(307)의 측면은 제3 캡유입구(3043) 및 제3 유입구벽(3083)를 마주할 수 있다. 제3 캡유입구(3043)는 라이트쉴드(307) 및 제3 유입구벽(308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라이트쉴드(307)는 제1 캡유입구(3041) 및 제2 캡유입구(3042)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1 캡유입구(3041) 및 제2 캡유입구(3042)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라이트쉴드(307)가 제3 캡유입구(3043)를 향하여 돌출된 폭은, 제1 캡유입구(3041)의 폭과 대략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캡유입구(3041)는 라이트쉴드(307)와 상하방향으로 완전히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유입구벽(3082) 및 제3 유입구벽(3083)은 라이트쉴드(307)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라이트쉴드(307)의 단부와 제1 유입구벽(3081)의 단부는 상하방향으로 교차되거나 오 버랩될 수 있다.
제1 유입구벽(3081)은 제2 유입구벽(3082)보다 캡유입구(304a)를 향하여 더 돌출될 수 있다. 제2 유입구벽(3082)은 제3 유입구벽(3083)보다 캡유입구(304a)를 향하여 더 돌출될 수 있다. 제1 캡유입구(3041), 제2 캡유입구(3042) 및 제3 캡유입구(3043)는 중심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입구벽(3082)은 제3 캡유입구(3043)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3 캡유입구(3043)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3 캡유입구(3043)는 제2 유입구벽(3042)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3 캡유입구(3043)와 제2 캡유입구(3042)는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입구벽(3081)은 제3 캡유입구(3043) 및 제2 캡유입구(3042)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3 캡유입구(3043)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3 캡유입구(3043)는 제1 유입구벽(3081)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3 캡유입구(3043)는 제1 유입구벽(3081) 및 제2 유입구벽(3082)와 상하방향으로 완전히 오버랩될 수 있다.
제1 빛(LT1)은 광원(153)으로부터 출사되어, 제1 컨테이너(210) 및 캡(300)의 측벽(301)을 통과하여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빛(LT2)은 광원(153)으로부터 출사되고, 제1 컨테이너(210)를 통과하여 캡유입구(304a)를 향할 수 있다. 제2 빛(LT2)의 일부는 제3 캡유입구(3083)를 통과하지 않고 라이트쉴드(307)의 하단에 충돌하고, 라이트쉴드(307) 하측으로 흡수되거나 반사되어 캡(300)의 측벽(301)을 통해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빛(LT2)의 일부는 제3 캡유입구(3083)를 통과하고, 라이트쉴드(307)에 충돌하여 흡수되거나 유입구벽(3081, 3082, 3083)으로 반사될 수 있다. 라이트쉴드(307)의 높이나 폭 등의 사이즈는, 광원(153)으로부터 출사되는 제2 빛(LT2)이 충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53)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제1 컨테이너(210) 및 캡(300)의 측벽(301)을 통과하여 외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광원(153)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캡유입구(304a)를 통과하여서 외부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에 결합되는 카트리지(200, 200'); 로서, 챔버(C1, C2)와 삽입공간(214)을 제공하고, 상기 삽입공간(214)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된 카트리지(200, 200'); 상기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310); 및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커버(310)의 피봇 축에 대향되며, 상기 개구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삽입공간(214)에 오버랩되는 스틱지지돌기(306a)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10)의 일면은, 일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313a)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310)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볼록부(313a)는, 상기 스틱지지돌기(306a)를 향하여 볼록하여 상기 삽입공간(214)과 오버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10)의 피봇 축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310)와 함께 피봇되고, 상기 커버(310)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스틱지지돌기(306a)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삽입공간(214)에 오버랩되는 스틱그랩(3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틱그랩(316)은, 상기 삽입공간(214)의 외주면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310)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삽입공간(214)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10)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볼록부(313a), 상기 스틱그랩(316) 및 상기 삽입공간(214)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나란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10)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스틱지지돌기(306a)는, 상기 볼록부(313a)와 상기 스틱그랩(316) 사이를 마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10)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볼록부(313a)로부터 상기 스틱지지돌기(306a)까지의 폭방향 거리와, 상기 스틱그랩(316)으로 부터 상기 스틱지지돌기(306a) 까지의 폭방향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틱지지돌기(306a)의 끝단은, 상기 삽입공간(214)의 외주면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틱지지돌기(306a)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스틱가이드(3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삽입공간(214)은, 상기 개구에 대향되는 하측방향으로 점차 좁아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10)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커버(310)와 상기 스틱지지돌기(306a) 사이의 폭방향 거리(W10)는, 상기 삽입공간(214)의 하부의 폭(W10)과 동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10)는, 상기 스틱지지돌기(306a)를 향하여 피봇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며,상기 커버(31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3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구의 주변에서 상기 스틱지지돌기(306a)에 대향되며, 상기 커버(310)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커버(310)의 타면을 지지하는 커버지지벽(3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200, 200')를 덮고, 상기 바디(100)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와 연통되는 삽입구(304)를 구비한 캡(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10)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커버(310)와 상기 스틱지지돌기(306a) 사이의 폭방향 거리(W10)는 상기 삽입구(304)의 폭(W20)보다 짧을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310)와 상기 스틱지지돌기(306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삽입구(304)의 하측 주변에서 상기 캡(300)에 설치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6)
-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카트리지; 로서, 챔버와 삽입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삽입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된 카트리지;
상기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커버의 피봇 축에 대향되며, 상기 개구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오버랩되는 스틱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면은,
일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볼록부는, 상기 스틱지지돌기를 향하여 볼록하여 상기 삽입공간과 오버랩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피봇 축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와 함께 피봇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스틱지지돌기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오버랩되는 스틱그랩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그랩은,
상기 삽입공간의 외주면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삽입공간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볼록부, 상기 스틱그랩 및 상기 삽입공간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나란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스틱지지돌기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스틱그랩 사이를 마주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스틱지지돌기까지의 폭방향 거리와, 상기 스틱그랩으로 부터 상기 스틱지지돌기까지의 폭방향 거리는 서로 동일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지지돌기의 끝단은,
상기 삽입공간의 외주면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지지돌기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스틱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은,
상기 개구에 대향되는 하측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커버와 상기 스틱지지돌기 사이의 폭방향 거리는, 상기 삽입공간의 하부의 폭과 동일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스틱지지돌기를 향하여 피봇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며,
상기 커버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주변에서 상기 스틱지지돌기에 대향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커버의 타면을 지지하는 커버지지벽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덮고,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와 연통되는 삽입구를 구비한 캡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면, 상기 커버와 상기 스틱지지돌기 사이의 폭방향 거리는 상기 삽입구의 폭보다 짧은 에어로졸 생성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스틱지지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삽입구의 하측 주변에서 상기 캡에 설치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2964A KR102579819B1 (ko) | 2021-06-25 | 2021-06-25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PCT/KR2022/008895 WO2022270920A1 (en) | 2021-06-25 | 2022-06-22 | Aerosol-generating device |
US18/566,977 US20240260657A1 (en) | 2021-06-25 | 2022-06-22 | Aerosol-generating device |
JP2023574223A JP2024520614A (ja) | 2021-06-25 | 2022-06-22 | エアロゾル生成装置 |
EP22828767.8A EP4358762A1 (en) | 2021-06-25 | 2022-06-22 | Aerosol-generating device |
CN202280043414.5A CN117561006A (zh) | 2021-06-25 | 2022-06-22 | 气溶胶生成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2964A KR102579819B1 (ko) | 2021-06-25 | 2021-06-25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0630A KR20230000630A (ko) | 2023-01-03 |
KR102579819B1 true KR102579819B1 (ko) | 2023-09-15 |
Family
ID=8454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2964A KR102579819B1 (ko) | 2021-06-25 | 2021-06-25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60657A1 (ko) |
EP (1) | EP4358762A1 (ko) |
JP (1) | JP2024520614A (ko) |
KR (1) | KR102579819B1 (ko) |
CN (1) | CN117561006A (ko) |
WO (1) | WO202227092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41201A1 (en) * | 2022-12-30 | 2024-07-04 | Philip Morris Products S.A. |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modular housing concep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6808665U (zh) | 2017-03-27 | 2017-12-29 | 深圳市艾维普思科技股份有限公司 | 电子烟盒盖防晃动结构及电子烟 |
WO2020182755A1 (en) | 2019-03-11 | 2020-09-17 |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 Aerosol provis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R002035A1 (es) * | 1995-04-20 | 1998-01-07 | Philip Morris Prod | Un cigarrillo, un cigarrillo y encendedor adaptados para cooperar entre si, un metodo para mejorar la entrega de aerosol de un cigarrillo, un material continuo de tabaco, un cigarrillo operativo, un metodo para manufacturar un material continuo, el material asi obtenido, un calentador, un metodo para formar un calentador y un sistema electrico para fumar |
GB201805263D0 (en) * | 2018-03-29 | 2018-05-16 | Nicoventures Trading Ltd |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from an aerosolisable medium, an article of aerosolisable medium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WO2019188782A1 (ja) * | 2018-03-30 | 2019-10-03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たばこ加熱器用開閉機構 |
KR102199797B1 (ko) * | 2018-12-14 | 2021-01-07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N113301816B (zh) * | 2019-01-15 | 2024-06-25 |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 具有可封闭腔的气溶胶生成装置 |
-
2021
- 2021-06-25 KR KR1020210082964A patent/KR10257981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6-22 WO PCT/KR2022/008895 patent/WO202227092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6-22 US US18/566,977 patent/US20240260657A1/en active Pending
- 2022-06-22 CN CN202280043414.5A patent/CN117561006A/zh active Pending
- 2022-06-22 EP EP22828767.8A patent/EP4358762A1/en active Pending
- 2022-06-22 JP JP2023574223A patent/JP2024520614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6808665U (zh) | 2017-03-27 | 2017-12-29 | 深圳市艾维普思科技股份有限公司 | 电子烟盒盖防晃动结构及电子烟 |
WO2020182755A1 (en) | 2019-03-11 | 2020-09-17 |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 Aerosol provis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4520614A (ja) | 2024-05-24 |
US20240260657A1 (en) | 2024-08-08 |
WO2022270920A1 (en) | 2022-12-29 |
KR20230000630A (ko) | 2023-01-03 |
EP4358762A1 (en) | 2024-05-01 |
CN117561006A (zh) | 2024-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9819B1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KR102545833B1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KR102533270B1 (ko) |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KR102579820B1 (ko) |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KR102545834B1 (ko) |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KR102621736B1 (ko) |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KR102621735B1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KR102542022B1 (ko) |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KR102621734B1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KR102542023B1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KR102589103B1 (ko) |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