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020B1 -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020B1
KR102542020B1 KR1020220072328A KR20220072328A KR102542020B1 KR 102542020 B1 KR102542020 B1 KR 102542020B1 KR 1020220072328 A KR1020220072328 A KR 1020220072328A KR 20220072328 A KR20220072328 A KR 20220072328A KR 102542020 B1 KR102542020 B1 KR 102542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ption
renewable energy
data
blockchain
energy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인
이재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72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020B1/ko
Priority to PCT/KR2022/018306 priority patent/WO202324378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건물 내에서 소비되는 전기에너지, 열에너지, 또는 물사용량 등과 같은 복수의 신재생에너지의 소비량을 통합적으로 연산하여 소비데이터를 생성하고, 소비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여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한 대가를 인정받고 이를 자산화까지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BLOCKCHAIN- BASED RENEWABLE ENERGY CONSUMPTION AUTHENT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건물 내에서 소비되는 전기에너지, 열에너지, 또는 물사용량 등과 같은 복수의 신재생에너지의 소비량을 통합적으로 연산하여 소비데이터를 생성하고, 소비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여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한 대가를 인정받고 이를 자산화까지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가 탄소 중립에 주목하고 있다. 탄소 중립은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탄소 중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 방법은 탄소 배출량이 제로 또는 제로에 가까운 신재생에너지를 개인이나 기업에 공급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탄소 상쇄를 이루는 것이다. 탄소 상쇄는 기존에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양만큼 온실가스 감축활동을 하는 것, 환경기금에 투자하는 것, 나무를 심는 행위 하는 것, 또는 기존에 소비되던 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 소비하여 탄소의 양을 상쇄시키는 것을 말한다.
한편, 정부와 단체는 상기 두 방법으로 탄소 중립을 수행한 기업 또는 개인에게 많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지만, 적절한 검증과 인증 방법이 이루어지지 않고, 개인보다는 기업에 초점을 두어 만들어진 방법이기에 아직까지 탄소 중립이 대중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탄소 중립의 효과까지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인 문제의 예로, 기업이 힘들게 신재생에너지를 소비한다 하여도 소비한 행위를 인증 및 검증해주는 절차가 복잡하고 비용 또한 만만치 않으며, 인증 및 검증되는 대상의 신재생에너지가 전기에너지에 국한되어 있어 전기에너지 이외의 신재생에너지가 소외되거나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는 선택의 기회가 박탈될 수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소비에 대한 인증 및 검증이 이루어진다 한들 이에 대한 보안성 및 호환성에 대한 대처가 아직까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고안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함에 있어서 전기에너지만을 한정하여 측정하지 않고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들의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통합적인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을 연산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의 소비량을 통합적으로 정밀히 분석 및 연산하기 위하여 학습된 AI와 빅테이터가 활용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연산된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것만으로도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가 생성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는 소비된 신재생에너지의 양을 측정 및 분석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신재생에너지 소비를 인증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실시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재생에너지의 소비량을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미터; 실시간으로 주변 현상 변화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측정된 값과 상기 스마트 미터들로부터 생성된 측정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소비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부; 외부 장치로부터 또 다른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비데이터를 하나의 프로토콜로 취합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하나의 프로토콜로 취합된 소비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여 소비 상쇄 인증서가 생성되도록 하는 블록체인 RTU;를 포함하고, 상기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는, 상기 소비데이터가 검증 및 인증됨으로써 생성된 인증서로서, 탄소배출을 상쇄하는 값을 상기 소비데이터 내에 포함된 신재생에너지 소비량과 동일한 값으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미터는, 전기에너지, 열에너지, 또는 물사용량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재생에너지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소비데이터를 기 지정된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소비데이터에 대한 과금데이터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태양광 인버터, 전기 자동차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장치로서, 사용된 태양광 에너지, 전기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는, 사용자간에 거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RTU는, 상기 소비 상쇄 인증서를 기반으로 거래용 토큰을 생성하며, 상기 거래용 토큰은, 블록체인 형태로 마련된 것으로서 사용자간에 거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가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법은, 측정데이터, 및 주변 현상 변화로부터 측정된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측정데이터와 값을 기반으로 소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가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법은,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소비 상쇄 인증서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형태의 거래용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의 스마트 미터가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들의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신재생에너지를 선택하여도 이에 대한 소비량을 측정 받을 수 있어, 신재생에너지 소비 대중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의 연산부가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의 소비량을 통합적으로 분석 및 연산할 때에 학습된 AI와 빅테이터가 활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의 블록체인 RTU가 연산된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것만으로도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국가기관의 검증절차 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상기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가 보안이 확실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으로 생성되기에 이를 자산화 시켜 또 다른 경제 시장을 구축시킬 수 있는 효과까지 불러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탄소 배출 감축량 측정 방법을 그래프를 통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을 정의하기 위하여 그래프를 통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얘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를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의 연산부의 역할 수행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의 통신부의 역할 수행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의 블록체인 RTU의 역할 수행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활용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활용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건물 내에서 소비되는 전기에너지, 열에너지, 수력에너지, 풍력에너지 등과 같은 복수의 신재생에너지의 소비량을 통합적으로 연산하여 소비데이터를 생성하고, 소비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여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한 대가를 인정받고 이를 자산화까지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이하 소비 인증 장치(100)로 약칭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100)에 대하여 살펴보기 이전에,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신재생에너지 소비량과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도록 한다.
[신재생에너지 소비량]
앞서 발명의 배경에서 설명하였듯이, 우리나라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 중 하나로, 탄소 배출 양을 감축한 기업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까지 도입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우리나라는 상기 방안을 실시하기 위하여 기업의 탄소 감축량을 측정하고 있으며, 탄소 감축량 측정을 위하여 이하 두 가지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첫 번째 방법(도1의 A)은 과거의 탄소 배출량과 현재의 탄소 배출량의 차이를 계산하여 탄소 감축량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도 1의 B)은 측정 대상 건물의 요인(건물의 면적, 거주자 수, 냉/난방 평균 사용시간 등)을 분석하여 표준탄소배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표준탄소배출량에 현재의 탄소 배출량을 차감하여 탄소 감축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상기 언급된 종래의 탄소 감축량 계산 방법들은, 일일이 하나의 건물에 대한 탄소 감축량을 연산하고 분석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표준탄소배출량을 산출할 때에는 검증된 국가기관이 개입되어야 하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산출되는 과정에서 많은 비용까지도 소모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탄소 감축량을 ‘신재생에너지 소비량’과 동일한 값으로 하여 보다 간단히 탄소 감축량을 산출하도록 한다.
도 2 를 참고하면, 어느 한 건물이 일반에너지(소비 되었을 때에 탄소가 배출되는 에너지)와 신재생에너지를 혼용하여 사용한다고 할 때, 일반에너지의 소비량와 신재생에너지의 소비량을 합한 값은 당연 ‘총 에너지 소비량’일 것이다. 이 때, 일반에너지는 소비되면 탄소가 배출되는 반면, 신재생에너지는 소비되어도 탄소가 배출되지 않을 것이므로 ‘총 에너지 소비량’에서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을 차감한 값이 상기 건물의 ‘총 탄소 배출량’이 될 것이며, 마찬가지로 ‘총 에너지 소비량’에서 ‘총 탄소 배출량’차감한 값이 탄소 감축량이 될 것이며, 이 값은 ‘신재생에너지 소비량’과 동일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 있어서 본 발명은 탄소 감축량을 신재생에너지 소비량과 동일한 값으로 치환한다. 또한, 한 건물의 ‘총 에너지 소비량’은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총 탄소배출량’이 상쇄되므로 본 발명은 탄소 배출량을 감축한다는 표현뿐만 아니라 탄소 배출량을 상쇄한다는 표현도 혼용되어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일부 국가들에서는 탄소 배출 양을 상쇄한 기업에게 인센티브를 주고 있지만, 기업이 그 인센티브를 제공받으려면 탄소 배출 양을 상쇄하였다는 증거를 국가 기관이나 단체에 제출해야 한다.
다만, 아직까지 우리나라를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는 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와 같이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 사업자가 주체인 인증서에만 초점을 두고 있고, 신재생에너지의 소비에 관한 인증서 발급에 대해서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발명은 인증서를 발급받는 주체가 개인이나 기업이 되도록 하는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이하, 소비 상쇄 인증서라고 약칭함)를 제공하고자 한다.
소비 상쇄 인증서는 개인이나 기업이 탄소 배출을 상쇄하여 국제적인 기후 변화를 막고 환경보전에 얼마나 기여 하였는지에 대한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기관 또는 단체로부터 다양한 혜택과 인센티브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인증서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러한 소비 상쇄 인증서를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보안성 및 확장성을 극대화 시키고, 새로운 인증자산으로서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신재생에너지 소비량과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100)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제 1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100)를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소비 인증 장치(100)]
도 3을 참고하면, 소비 인증 장치(100)는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는 스마트 미터(110),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부(120), 복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을 통합하여 소비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부(130), 생성된 소비데이터를 하나의 프로토콜로 취합하는 통신부(140) 및 상기 소비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 상쇄 인증서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RTU(150)를 포함한다.
[스마트 미터(110)]
먼저, 스마트 미터(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새쟁에너지를 소비하는 건물에 설치될 수 있는 단말형태의 장치이다. 여기서 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재생에너지는 전기 에너지, 수력에너지, 풍력에너지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연료전지. 석탄가스화, 수소에너지, 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및 폐기수력에너지 등을 포함한다.
스마트 미터(110)는 상기 나열된 신재생에너지 종류 중 어느 하나만 측정하는 것에 그치지 않으며, 이종 에너지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미터(110)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스마트 미터(110)가 하나의 신재생에너지를 담당하여 측정할 수 있고, 단일의 스마트 미터(110)가 복수의 신재생에너지를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스마트 미터(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재생에너지의 소비량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인 예로, ⅰ) 전기에너지(kWh)에 대한 측정데이터는 신재생에너지 생산량(태양광 생산량)에 기존 외부기관(예: 한국 전력 공사)으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에너지 소비량을 차감하여 생성되고, ⅱ) 열에너지(kCal)에 대한 측정데이터는 지열(신재생에너지)을 통해 공급된 원천의 열에너지량(kCal)을 kWh로 단위 변환하여 생성되며, ⅲ) 물 사용량(m3)에 대한 측정데이터는 물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료전지(신재생에너지) 에너지 소비량 중에서 사용자가 소비한 물을 양만큼을 생산하는 데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량을 추정하여 생성된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한 건물에 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100kWh의 연료전지가 투입되고, 이 100kWh의 연료전지가 10L의 물을 생산하려면 1kWh의 에너지를 소비한다고 가정하였을 때에 사용자가 10L의 물을 사용하였으면 스마트 미터(110)는 물 사용량 10L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1kWh로 추정하여 생성한다는 것이다.
한편, 외부 장치(200)는 불가피하게 건물 외부에 위치해야만 신재생에너지의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주차장 또는 외부에 위치한 전기차 충전기, 건물의 옥상 밑 외벽에 위치한 태양광 인버터를 말할 수 있으며, 전기차가 충전되면서 발생되는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고, 태양광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고 소비되면서 발생되는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부(120)]
센싱부(120)는 에너지 자원을 소비하는 반대급부로 변동되는 현상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센싱부(120)로부터 측정된 주변온도는 후술할 연산부(130)가 소비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소비량 대비 온도 증감량)을 측정하는 수치로도 활용될 수 있다. 참고로, 센싱부(120)는 주변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로만 국한되지 않으며,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 대기질을 판단하는 센서 등 에너지 자원을 소비하는 대가로 변동되는 데이터(온도, 조도, 대기질)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라면 본 발명의 센싱부(120)가 될 수 있다.
[연산부(130)]
연산부(130)는 센싱부(120)로부터 측정된 값 및 스마트 미터(110)로부터 측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소비데이터는 주변온도와 복수의 측정데이터를 통합시킨 데이터이며. 기 지정된 시간(예: 15분) 동안 변화된 주변온도와 복수 개의 측정데이터를 분석하여 탄소 상쇄값이 연산된 데이터라고도 할 수 있다.
연산부(130)는 복수 개의 측정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습된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데이터 내에 포함된 이종(異種) 에너지들은 소비되는 양에 대비하여 각각의 탄소 상쇄값이 상이할 수 있으며, 측정데이터가 생성될 때에 여러 요인(이종의 에너지들이 동시에 측정, 외부 온도에 따른 주변 온도 급변화 등)들에 의하여 변동 사항이 발생될 수 있고, 획득된 원천의 측정데이터만으로는 탄소 상쇄값을 추정하여 소비데이터를 생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에, 레퍼런스 데이터들이 포함되어 있는 빅데이터와 여러 가지의 상황과 조건이 달라지더라도 결과 값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학습된 AI가 같이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로, 측정데이터 내에 포함된 이종(異種) 에너지들이 소비되는 양에 대비하여 각각의 탄소 상쇄값이 상이한 이유는, 태양열 에너지와 같이 소비되어도 탄소가 배출되지 않는 에너지는 소비되는 양 그 자체가 탄소 상쇄값이 될 수 있지만, 석탄가스화 에너지는 같은 경우 소량의 탄소가 배출될 수 있으므로 탄소가 배출되는 양까지 고려하여 연산되기 때문이다.
[통신부(140)]
통신부(140)는 장치의 구성요소 또는 외부 서버(예: 써드파티 서버(400), ESS 서버 등) 와의 데이터 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또한, 통신부(140)는 외부장치(200)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미터(110)와 연산부(130)는 소비 인증 장치(100) 내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요소들이기에 스마트 미터(110)가 굳이 연산부(130)에 측정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아도 두 구성요소 간의 연동에 의하여 연산부(130)에 전달되지만, 건물 외부에 위치한 외부 장치(200)는 위치적으로 연산부(130)와의 연동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외부 장치(200)는 측정데이터를 연산부(130)에 전달하기 위하여 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되어 측정데이터를 통신부(140)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외부 장치(200)가 소비 인증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술한 통신부(140)의 데이터 전달 역할 필요 없이 소비 인증장치(1)의 구성요소들과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40)는 연산부(130)가 생성한 소비데이터를 하나의 프로토콜로 취합하여, 후술할 블록체인 RTU(150)가 상기 소비데이터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블록체인 RTU(150)]
블록체인 RTU(150)는 각 세대 또는 건물에 배치된 소비 인증 장치(100)를 하나의 블록체인 노드로 하여, 복수 개의 블록체인 노드 즉, 복수 개의 소비 인증 장치(100)들이 서로의 통신망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블록체인 RTU(150)는 통신부(140)가 소비데이터를 하나의 프로토콜로 취합하면, 소비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한다. 이렇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소비데이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것 만으로도 복수 개의 블록체인 노드 즉, 복수 개의 소비 인증 장치(100)들이 서로의 소비데이터를 확인 및 검증함으로써 소비 상쇄인증서를 생성한다.
한편, 블록체인 RTU(150)는 소비데이터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되기 이전에 블록체인 RTU(150)가 자체적으로 소비 상쇄인증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RTU(150)는 상기 하나의 프로토콜로 취합된 소비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 상쇄 인증서를 생성하고, 상기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구축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블록체인 RTU(150)와 연동되는 검증 서버(500)는, 시스템상으로 부가적으로 포함되어 소비데이터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되기 이전에, 기존의 국가기관 및 단체가 행하였던 인증 및 검증에 비하여 비교적 간소한 인증 및 검증을 거쳐 소비 상쇄인증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검증 서버가 실시하는 인증 및 검증은 소비데이터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호환가능한지에 대한 검증, 소비데이터의 오류 여부, 소비데이터에 대한 조작/해킹 가능성에 대한 여부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소비 상쇄인증서는, 자체적으로 거래화폐가 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들 간의 소비 상쇄 인증서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RTU(150)는 소비 상쇄인증서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형태의 거래용 토큰을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거래용 토큰을 가지고 소비 상쇄인증서에 대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거래용 토큰은 블록체인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므로 외부 기관(UN, 정부기관 또는 검증기관)을 거치지 않아 검증 및 중계 수수료 없이 사용자들 간의 소비 상쇄인증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탄소 상쇄를 할 수 있도록 고무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또 다른 경제 시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모식도를 통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상술한 구성요소들의 역할을 설명하자면, 스마트 미터(110)로부터 생성된 측정데이터는 RS485 통신을 통해 Modus라는 프로토콜로 취합되고, 취합된 데이터들은 OBIX라는 국제웹표준 XML언어로 구현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된다. 참고로, 외부 장치(200)와의 데이터 교환 또한 TCP/IP 혹은 직접적인 RS485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되, 태양광 인버터 같은 경우에는, TCP/IP 통신을 통해 별도의 SunSpec 프로토콜로 취합되어 상술한 OBIX 언어로 구현되어 저장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소비 인증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은 상기 언급된 구성요소와 도시된 구성요소로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도 5는 연산부(130)가 소비데이터 및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연산부(130)는 스마트 미터(110)와 외부장치(200)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전달받고, 센싱부(120)로부터 주변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이 측정데이터와 주변 온도를 기반으로 신재생에너지 소비량과 예상되는 과금량(이용 요금)을 추정하여 소비데이터 및 과금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과금데이터는 연산부(130)가 소비데이터를 기 지정된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소비데이터에 대한 이용 요금을 연산하여 추정한 데이터이다.
이 과정에서 연산부(130)는 다양한 요인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소비량과 예상되는 과금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학습된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산부(130)는 소비되는 신재생에너지의 종류, 신재생에너지의 소비량 대비 탄소 배출량, 신재생에너지 혼합 사용시 상쇄되는 탄소 배출량 등과 같은 요인과 더불어 건물의 면적, 거주자 수, 거주자의 에너지 소비 패턴 등의 다양한 요인에 대하여 소비데이터 및 과금데이터를 연산하기에는 어려울 수 있기에, 빅데이터의 방대한 레퍼런스 데이터, 학습된AI활용하여 상기 나열된 다양한 요인들을 토대로 신재생에너지 소비량과 예상되는 과금량을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연산부(130)는 신재생에너지 소비량과 예상되는 과금량을 추정할 때에 써드파티 서버(400)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써드파티 서버(400)는 에너지의 시세를 예측 분석하는 서버로서, 날씨, 기후, 온도 및 현재 에너지 공급량, 여러 가지의 사건/사고 등으로 변동될 수 있는 에너지의 시세를 예측 분석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 미터(110)로부터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분석하여 에너지 소비량, 소비 패턴 등을 분석해주어 써드파티 데이터를 생성시킨 뒤 본 발명의 통신부(140)에 전송한다. 나아가 써드파티 서버(400)는 건물의 위치, 건물의 면적 등 해당 건물에 소비되기 적합한 에너지를 추천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통신부(140)가 연산부(130)로부터 생성된 소비데이터와 과금데이터를 하나의 프토토콜로 취합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모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통신부(140)는 연산부(130)로부터 생성된 소비데이터와 과금데이터를 전달 받으며, 이 두 데이터를 하나의 프로토콜로 취합하고, 그 이후에 통신부(140)는 하나의 프로토콜로 취합된 데이터를 블록체인 RTU(150)에 전송한다.
한편, 통신부(14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 스마트 폰, PC 등과 같은 단말장치)로 하여금 소비데이터 및 과금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에 소비데이터 및 과금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블록체인 RTU(150)가 통신부(140)로부터 취합된 데이터들을 전달받고, 취합된 데이터들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함으로써 소비 상쇄 인증서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블록체인 RTU(150)는 단일의 소비 인증 장치(10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내의 하나의 노드가 될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통신부(140)로부터 취합된 소비데이터는 블록체인 RTU(150)로 하여금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되고, 소비데이터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내의 복수 개의 노드들이 서로의 소비데이터를 검증 및 확인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된 소비데이터 자체가 소비 상쇄 인증서가 되도록 한다(도 7의 A).
한편, 소비 상쇄 인증서는, 소비데이터가 블록체인 네트워트(300)에 저장되기 이전에 블록체인 RTU(150)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도 7의 B).
또 다른 한편, 소비데이터가 블록체인 네트워트(300)에 저장되기 이전에 소비 인증 장치(100)와 연동된 검증 서버(500)가 소비데이터를 검증하여 소비 상쇄 인증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도 7의 C).
이렇게 생성된 소비 상쇄 인증서는 자체적으로 거래화폐로 활용되거나, 블록체인 RYU(150)로 하여금 블록체인 형태의 거래용 토큰으로 생성되어 사용자들 간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100)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활용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도록 한다. 참고로, 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활용방법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소비 인증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역할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기에 중복서술을 방지하고자 단계별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소비 인증 장치(10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소비 인증 장치(10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마트 미터(110)와 외부장치(200)로부터 측정데이터를 획득하고, 센싱부(120)로부터 주변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시작한다(S101).
S101 단계 이후, 연산부(130)는 학습된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획득된 측정데이터와 주변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데이터를 생성한다(S102).
S102 단계 이후, 통신부(140)는 생성된 소비데이터를 하나의 프로토콜로 취합하며, 블록체인 RTU(150)는 소비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여 소비 상쇄 인증서가 생성되도록 한다(S103).
도 9를 참고하면, S102 단계 이후에는 블록체인 RTU(150)는 통신부(130)로부터 취합된 소비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 상쇄 인증서를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단계(S103a-1)가 포함될 수 있다.
S103a-1 단계 이후, 블록체인 RTU(150)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소비 상쇄 인증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하는 단계(S103a-2)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S102 단계 이후에는, 블록체인 RTU(150)는 통신부(130)로부터 취합된 소비데이터를 검증 서버(500)로부터 검증 받는 단계(S103b-1)를 포함할 수 있다.
S103b-1 단계 이후, 블록체인 RTU(150)는 검증 서버(500)가 소비데이터를 검증함으로써 생성된 소비 상쇄 인증서를 수신하고, 수신된 소비 상쇄 인증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저장하는 단계(S103b-2)가 포함될 수 있다.
S103 단계 이후, 블록체인 RTU(150)는 소비 상쇄 인증서를 토대로 블록체인 형태의 거래용 토큰을 생성할 수 있으며(S104), 생성된 거래용 토큰을 통하여 사용자들간의 소비 상쇄 인증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활용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활용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제 2 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활용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사용자가 신재생에너지를 소비한 행위에 대한 기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여도에 따라 사용자가 납부해야하는 과금을 할인해주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활용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10)이 본인의 기여도를 산출해달라는 요청을 소비 인증 장치(100)에 전송하는 단계(S201)부터 시작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은 본인의 건물에 소비 인증 장치(100)가 설치된 사용자의 단말이며, 이 때의 사용자 단말(10)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와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기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할 수 있다.
S201 단계 이후, 소비 인증 장치(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부터 기 저장된 기간 동안의 소비 상쇄 인증서를 조회한다(S202). 여기서, 기 저장된 기간 동안은 에너지를 소비함으로써 발생되는 월별 납입 기간이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기간일 수도 있다.
S202 단계 이후, 소비 인증 장치(100)는 학습된 AI, 빅데이터 및 써드파티 서버(400)를 활용하여 S201단계에서 조회된 소비 상쇄 인증서의 기여도를 산출한다(S203). 기여도 산출에 대한 예를 들면, 재해, 재난 또는 여러 사건 사고에 의하여 신재생에너지 공급이 어려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소비하였다면 탄소 배출 절감에 대한 기여도 가중치를 높게 측정할 수 있으며, 정부가 환경보호를 위하여 특별히 지정한 기간 동안 신재생에너지를 소비하였을 때에도 탄소 배출 절감에 대한 기여도 가중치가 높게 부여될 수 있다.
S203 단계 이후, 소비 인증 장치(100)는 산출한 기여도를 기 저장된 기간 동안의 소비 상쇄 인증서에 매칭시킨다(S204). 참고로, 산출된 기여도는 기 저장된 기간 동안의 소비 상쇄 인증서들에 매칭될 뿐만 아니라, 소비 상쇄 인증서 각각에 매칭될 수도 있어 사용자가 하나의 소비 상쇄 인증서에 대한 기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204 단계 이후, 소비 인증 장치(100)는 기여도가 매칭된 소비 상쇄 인증서를 과금 징수 서버(600)에 전송한다(S205).
S205 단계 이후, 과금 징수 서버(600)는 인증서에 매칭된 기여도에 따라 과금 할인액을 산출(S206)하고 산출된 과금 할인액을 사용자 단말(10)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전달(S207)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활용방법이 마무리된다.
참고로, 앞서에서는 제 2실시 예가 사용자 단말(10)이 기여도 산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부터 시작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10)의 기여도 산출 요청 단계(S201) 없이도 생성된 소비데이터와 소비 상쇄 인증서에 대한 기여도를 즉각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소비 상쇄 인증서에 산출된 기여도를 매칭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활용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제 3 실시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활용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10) 간의 인증서 거래가 가능하도록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의 실시 예이다. 참고로 제 3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에서 여러 단계들이 진행되는 것으로 언급이 될 것이나, 실제 이 단계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를 구성하는 하나의 노드, 또는 소비 인증 장치(100), 또는 연산 능력을 갖춘 서버장치에 의해 실행이 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는 먼저, 제 1 사용자 단말(10A)과 제 2 사용자 단말(10B)이 소비 상쇄 인증서 구매/판매 조건을 설정 하고, 상기 조건을 기반으로 한 구매/판매 요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전송하는 단계(S301)로부터 시작한다. 여기서, 제 1 사용자 단말(10A)은 소비 상쇄 인증서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것이며, 제 2 사용자 단말(10B)은 소비 상쇄 인증서를 판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것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구매/판매 조건이란, 사용자가 인증서를 구매/판매 하기 원하는 희망 구매/판매가, 기여도, 인증서가 생성된 날짜 등과 같이 사용자가 거래를 통하여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조건을 말한다. 참고로, 이 때의 제 1 사용자 단말(10A)와 제 2사용자 단말(10B)의 소유자인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의 건물에는 소비 인증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을 것이며, 특히 제 2 사용자의 건물에 설치된 소비 인증 장치(100)로 하여금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제 2 사용자의 소비 상쇄 인증서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할 것이다.
참고로, 이 사용자 간의 소비 상쇄 인증서 거래는 앞서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거래용 토큰을 통해서 거래가 진행될 수 있다.
S301 단계 이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제1 사용자 단말(10A)과 제 2 사용자 단말(10B)로부터 수신 받은 구매/판매 조건에 맞는 거래를 매칭한다(S302). 이 때 매칭되는 거래는 구매 조건과 판매 조건이 완벽하게 일치된 것을 매칭시킬 뿐만 아니라 구매 조건과 판매 조건이 서로 가장 근접한 거래를 매칭시킬 수 있다.
S302 단계 이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거래 대상이 되는 소비 상쇄 인증서 즉, 거래가 매칭된 소비 상쇄 인증서에 대한 가치를 산출 한다(S303). 여기서, 소비 상쇄 인증서의 가치를 산출하는 이유는 해당 거래를 처음 하는 사용자가 불공정한 거래를 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함, 다시 말해 거래의 공정성을 다시 한번 상기 시키기 위함이다.
참고로, 소비 상쇄 인증서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학습된 AI와 빅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다. 이 때, 소비 상쇄 인증서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한 요인으로 현재 시세, 소비 하였을 당시의 신재생에너지 공급량, 기여도 등이 고려될 수 있다.
S303 단계 이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제 1 사용자 단말(10A)과 제 2 사용자 단말(10B)로부터 거래 정상 여부가 확인되면 거래를 정산한다(S304).
S304 단계 이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거래가 정산되면, 소비 상쇄 인증서의 소유권을 변동시킨다(S304). 구체적으로, 제 2 사용자의 소유권으로 저장되어 있던 소비 상쇄 인증서를 제 1 사용자가 구매하였으므로 제 1사용자의 소유권으로 변동시킨다는 것이다.
S305 단계 이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판매한 제 2 사용자 단말(10B)에 정산액(S203단계에서 산출된 가치)을 지급하면서(S306)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활용방법이 마무리된다.
이상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모두 살펴보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사용자 단말(10)
제 1 사용자 단말(10A)
제 2 사용자 단말(10B)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100)
제 1 소비 인증 장치(110A)
스마트 미터(110)
센싱부(120)
연산부(130)
통신부(140)
블록체인 RTU(150)
외부 장치(200)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써드파티 서버(400)
검증 서버(500)
과금 징수 서버(600)

Claims (8)

  1. 소비된 신재생에너지의 양을 측정 및 분석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신재생에너지 소비를 인증해주는 장치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전기에너지 소비량, 열에너지 소비량, 및 물 소비량을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미터;
    실시간으로 주변 현상 변화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측정된 값과 상기 스마트 미터들로부터 생성된 측정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소비데이터를 연산하고, 또한 상기 소비데이터를 기 지정된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상기 소비데이터에 대한 과금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부;
    외부 장치 - 상기 외부 장치는, 태양광 인버터 및 전기 자동차 충전기를 포함하고, 사용된 태양광 에너지, 및 전기 에너지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함 - 로부터 또 다른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비데이터를 하나의 프로토콜로 취합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하나의 프로토콜로 취합된 소비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여 소비 상쇄 인증서가 생성되도록 하는 블록체인 RTU;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미터는, i)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에서 외부기관으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에너지 소비량을 차감하여 상기 전기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ii) 지열을 통해 공급된 열에너지량을 전기에너지 단위로 변환하여 열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며, iii) 물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재생에너지 소비량 중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 물의 양만큼을 생산하는 데 소비되는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을 추정하여 물 소비량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블록체인 RTU는, 상기 소비 상쇄 인증서를 기반으로 거래용 토큰을 생성하며, 상기 거래용 토큰은 블록체인 형태로 마련된 것으로서 임의의 사용자들 간에 거래가 가능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사용자가 신재생에너지를 소비한 행위에 대한 기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기여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납부하여야 할 비용을 할인하고,
    상기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는,
    상기 소비데이터가 검증 및 인증됨으로써 생성된 인증서로서, 탄소배출을 상쇄하는 값을 상기 소비데이터 내에 포함된 신재생에너지 소비량과 동일한 값으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신재생에너지 소비 상쇄 인증서는, 사용자간에 거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72328A 2022-06-14 2022-06-14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 KR102542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28A KR102542020B1 (ko) 2022-06-14 2022-06-14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
PCT/KR2022/018306 WO2023243783A1 (ko) 2022-06-14 2022-11-18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28A KR102542020B1 (ko) 2022-06-14 2022-06-14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020B1 true KR102542020B1 (ko) 2023-06-13

Family

ID=8676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328A KR102542020B1 (ko) 2022-06-14 2022-06-14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2020B1 (ko)
WO (1) WO20232437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14952A (zh) * 2023-10-23 2023-11-24 江苏省星霖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节能降碳价值交换系统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925B1 (ko) * 2020-01-20 2020-11-13 영남이공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량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210154618A (ko) * 2020-06-12 2021-12-21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 배출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7571A (ko)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세수 재생 에너지 공급 플랫폼을 이용하는 재생에너지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220037581A (ko)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세수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력 소비 내역을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073617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테라플랫폼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925B1 (ko) * 2020-01-20 2020-11-13 영남이공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량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210154618A (ko) * 2020-06-12 2021-12-21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 배출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7571A (ko)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세수 재생 에너지 공급 플랫폼을 이용하는 재생에너지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220037581A (ko)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세수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력 소비 내역을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073617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테라플랫폼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14952A (zh) * 2023-10-23 2023-11-24 江苏省星霖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节能降碳价值交换系统及方法
CN117114952B (zh) * 2023-10-23 2024-02-02 江苏省星霖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节能降碳价值交换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3783A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09358B (zh) 能源的结算方法、装置和系统
Hahn et al. Smart contract-based campus demonstration of decentralized transactive energy auctions
Khan et al. A compendium of optimization objectives, constraints, tools and algorithms for energy management in microgrids
US20190295193A1 (en) Energy resource network
US20130253973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JP6996746B2 (ja) 電力取引プラットフォーム
CN112053152B (zh) 一种基于绿色权益共识机制的分布式能源并网认证与交易方法
JP2003324850A (ja) 電力需給調整システムおよび電力需要家制御装置
Li et al. Blockchain technology based decentralized energy trading for multiple-microgrid systems
US20100023337A1 (en) Local Power Generation Business Method
CN105846464B (zh) 一种分布式电源对配电网的影响评估方法及系统
JP2007295650A (ja) 仮想電力貯蔵二次電池を用いた集合住宅戸別の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料金課金方法
JP2023534593A (ja) デジタル支払い財布及びブロックチェーンに基づく電気エネルギーと炭素排出の統計決済方法
EP3906601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real time guarantees of origin and determining the operative state of an electricity network
KR10254202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
CN116308445A (zh) 一种基于能源区块链的虚拟电厂多模式交易方法、设备及介质
Kuleshov et al. Assessment of economic benefits of battery energy storage application for the PV‐equipped households in Finland
CN110189223B (zh) 基于储能系统用户对用户的交易方法及系统
Hajizadeh et al. Blockchain in decentralized demand-side control of microgrids
Lai et al. Blockchain applications in microgrid clusters
US20120095813A1 (en) Local power generation business method
Li et al. Operation cost optimization method of regional integrated energy system in electricity market environment considering uncertainty
JP2021112078A (ja) 電力供給システム、サーバ及び発電設備
CN117391718A (zh) 一种基于动态减排因子的绿电-ccer互认交易系统
JP2009048536A (ja) 燃料電池の燃料費の徴収方法、燃料電池の維持費の賦課方法、及び、燃料電池の燃料使用料金徴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