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617A -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3617A
KR20220073617A KR1020210069128A KR20210069128A KR20220073617A KR 20220073617 A KR20220073617 A KR 20220073617A KR 1020210069128 A KR1020210069128 A KR 1020210069128A KR 20210069128 A KR20210069128 A KR 20210069128A KR 20220073617 A KR20220073617 A KR 20220073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energy
activities
block chain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천석
박재화
김홍민
양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플랫폼
Publication of KR2022007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소규모 재생에너지 사용 또는 에너지 효율 향상등의 활동을 구체화하여 재산권으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린에너지활동에 의해 공급된 재생에너지 또는 저감된 탄소배출량을 측정하여 탄소배출권으로 환산하는 복수의 센싱노드; 상기 복수의 센싱노드에 의한 탄소배출권을 합산하여 외부거래를 수행하는 관리노드를 포함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는 각 센싱노드 사이의 내부거래가 기록되는 거래정보리스트가 저장되는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RE100활동, 에너지 효율 향상 활동, 에너지 공유 및 거래 활동 등 에너지 자립을 위한 많은 포괄적인 활동들을 모두 수치화하여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탄소배출권 거래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Small scale carbon credit trading system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소규모 재생에너지 사용 또는 에너지 효율 향상등의 활동을 구체화하여 재산권으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부문은 전국 전체 전력 사용의 약 56%를 차지하며, 산업부문 중 산업단지는 에너지 사용의 약 83% 및 온실가스 배출도 약 77%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사용의 활성화를 위해 한국형 K-RE100 도입이 추진되고 있으며, 해외 고객사 요구 대응, 온실가스 감축, 기업 브랜드 제고 등을 위해 RE100 참여 및 인센티브 제고 방안이 요청되고 있다.
RE100 참여를 위해서는 ①녹색 프리미엄제, ②REC구매, ③제3자 전력거래계약(PPA), ④지분투자, ⑤자가발전의 5가지 이행수단이 마련되어 있는데, 중소기업이 RE100에 적극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RE100활동으로 인한 현실적인 보상방안이 제공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현재는 기업들의 적극적인 RE100 참여를 이끌만한 플랫폼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에너지 공유 및 거래 활동 등 에너지 자립을 위한 많은 포괄적인 활동들도 온실가스 저감에 필요한데, 이러한 활동에 대한 보상을 줄 수 있는 플랫폼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탄소배출권은 각 기업의 탄소배출량을 기준으로 배출 허용량을 배정한 뒤 이보다 많이 배출하면 다른 기업에서 남는 배출권을 사도록 하는 제도이다. 이것은 기후변화 대응 등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내연기관차의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을 마련하고,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에 미달한 경우 과징금 부과 대상이 되기 때문에 향후 3년간의 초과달성분으로 미달성분을 상환하거나 타 업체와의 실적거래를 통해 미달성분을 해소해야 한다. 또한, 내연기관차의 온실가스 배출기준은 점점 강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공개특허 제10-2015-0096013호(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와 온실가스 배출권을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에너지를 생산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부가 전력계통에 공급하는 상기 에너지의 에너지 공급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신재생에너지 발전부를 운영하는 발전사업자가 공급해야 하는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의 할당량을 획득하는 단계, 에너지 공급량을 기초로 상기 에너지 공급량을 기초로 인증받을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의 수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의 할당량을 초과하는 초과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의 수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의 판매 수익과 상기 에너지 공급량에 상응하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판매 수익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의 판매 수익과 온실가스 배출권의 판매 수익을 기초로 상기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 및 상기 온실가스 배출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발급받을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와 온실가스 배출권을 판매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이러한 탄소배출권을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 및 온실가스 배출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발급받을 것인지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한 기술은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는 주체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지는 않지만 탄소절감활동을 하는 기업들에게는 인센티브를 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다양한 공공에너지 사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과물을 RE100 인증과 탄소배출권으로 전환하고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및 실증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RE100활동, 에너지 효율 향상 활동, 에너지 공유 및 거래 활동 등 에너지 자립을 위한 많은 포괄적인 활동들을 모두 수치화하여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산업단지에서 에너지 자립량을 거래가능하도록 구체화하여 각 기업으로 하여금 에너지 자립을 위한 활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 실질적인 수익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린에너지활동에 의해 공급된 재생에너지 또는 저감된 탄소배출량을 측정하여 탄소배출권으로 환산하는 복수의 센싱노드; 상기 복수의 센싱노드에 의한 탄소배출권을 합산하여 외부거래를 수행하는 관리노드를 포함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는 각 센싱노드 사이의 내부거래가 기록되는 거래정보리스트가 저장되는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그린에너지활동은 RE100활동, 에너지 효율 향상 활동, 에너지 절감 활동 및 에너지 공유 및 거래 활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노드는 그린에너지활동으로 인해 환산된 탄소배출권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환산된 탄소배출권에 대응하는 탄소토큰이 생성되어 블록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노드는 외부거래를 수행하면 외부거래에 사용된 탄소배출권에 비례하여 에너지코인을 각 센싱노드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노드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탄소토큰의 총합을 산출하여 설정값 이상인 경우 외부거래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그린에너지활동에 의해 공급된 재생에너지 또는 저감된 탄소배출량을 측정하여 탄소배출권으로 환산하며, 상기 탄소배출권해 대응하는 탄소토큰을 생성하는 복수의 물리노드를 포함하는 물리량측정블록체인; 상기 복수의 물리노드에 의해 생성되는 탄소토큰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거래를 수행하는 거래블록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래블록체인은 상기 물리량측정블록체인의 각 물리노드에 대응하는 트윈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토큰 정보에 기초하여 각 트윈노드에 보상이 주어지는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RE100활동, 에너지 효율 향상 활동, 에너지 공유 및 거래 활동 등 에너지 자립을 위한 많은 포괄적인 활동들을 모두 수치화하여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탄소배출권 거래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산업단지에서 각 기업으로 하여금 에너지 자립을 위해 포괄적인 활동을 하도록 하는 자극제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센싱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센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1에서 블록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다른 실시예 의한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10)은 센싱노드(100), 관리노드(300), 외부투자노드(500)를 포함하는 탄소배출권 블록체인 및 관리노드와 외부기관 사이의 탄소배출권 거래를 위한 외부거래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싱노드(100)는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그린에너지활동으로 인한 물리량을 측정하여 탄소배출권으로 환산하여 주며, 이와 함께 탄소배출권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한 노드를 담당하게 된다. 상기 그린에너지활동은 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위한 RE100활동,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탄소배출을 저감하는 에너지효율향상활동, 에너지를 공유 및 거래함으로써 탄소배출을 저감시키는 에너지공유및거래활동을 포함하며, 센싱노드에서는 이러한 그린에너지활동을 수치적으로 측정하여 탄소배출권으로 환산하게 된다. 상기 센싱노드는 각 기업체 서버로 구비되거나 내연기관 차량에 통신가능한 단말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내연기관 차량은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차량배출목표를 만족시켜야 하며, 이를 준수하지 못할 시 상당한 벌금을 내야한다. 이러한 차량배출목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크레딧 구입, 풀링계약 등의 방법을 통해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레딧 구입은 자사의 힘으로 차량배출목표 달성이 어려운 기업들이 차량배출목표를 초과달성한 기업으로부터 규제크레딧을 구입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규제크레딧은 센싱노드에 의해 탄소배출권으로 환산될 수 있다.
상기 풀링계약은 공동의 차량배출목표풀을 형성할 수 있는 계약으로서, 두 개의 자동차 제조업체는 풀링계약을 맺음으로서 하나의 차량제조사로 간주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센싱노드(100)는 센싱부(120), 자립량산출부(130), 탄소배출환산부(140), 가치산정부(150), 암호인증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센싱부(120)는 RE100측정부(121), 에너지효율향상측정부(123), 에너지공유및거래측정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100측정부(121)는 산업단지 또는 공장에서 RE100활동, 에너지효율 향상, 에너지 공유 및 거래 등에 관련된 전력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RE100활동은 자가생산, PPA, REC, 지분투자 등의 방식으로 재생에너지를 생산 또는 조달하는 것을 포함하며, 센싱부에서는 각 방식에서 획득한 재생에너지를 측정하게 된다.
RE100은 기업이 소비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부터 공급받겠다는 자발적 약속을 유도하는 이니셔티브로 참여기업들은 전력사용을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구매 또는 자가 생산으로 조달하여야 한다.
본 탄소배출권 블록체인 참여기업들은 신재생에너지 전력인증서(REC) 구매, 신재생에너지 요금제가입, 자체건설 등을 통하여 신재생에너지를 조달할 수 있으며, RE100에서는 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 지열, 태양, 풍력, 수력 등 재생에너지원을 통해 생산되는 전력의 사용(Self-Generation or Purchase) 실적만을 인정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효율향상측정부(123)는 이전보다 얼마나 전력효율이 향상되었는지를 객관적인 지표로 측정하며, 예를 들어, 공장에서 장비를 고효율기기로 대체하였을 때 에너지효율향상측정부(123)는 상기 고효율기기에 의한 에너지 절감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공장에서 FEMS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였을 경우에도 FEMS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량을 측정하며, 제로에너지건물에서도 에너지 절감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공유 및 거래 측정부(125)는 고효율기기를 가진 공장과 저효율기기를 가진 공장과의 사이에 에너지를 공유한 양을 측정하거나, 잉여에너지를 보유한 공장과 에너지가 부족한 공장과의 사이에서 에너지를 공유한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효율 압축공기 컴프레서를 보유한 A공장과 저효율 압축공기 컴프레서를 보유한 B공장과의 사이에서 A공장이 고효율 압축공기 컴프레서를 사용하지 않을 때 B공장에서 A공장이 보유한 고효율 압축공기 컴프레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B공장에서 사용한 압축공기 또는 전력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에너지 공유거래를 위한 설비 통합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에너지 통합네트워크는 산단내 에너지 공유거래(F2F, Factory to Factory)를 위해 공장간 및 공용 에너지 공급/수요 설비를 배관을 통해 연결하고 VUP 플랫폼 연동을 위해 계량기 및 제어장치를 설치하는 개념이다. 이를 위해 에너지 공급설비 성능 진단, 통합에너지 네트워크 설계 및 구축 이후의 운영효율화를 위한 스마트유지보수 기술 개발해야 한다.
상기 자립량산출부(130)는 센싱부(120)에서 측정된 각 측정량들을 수신받아 종합하여 이를 전력량으로 산출한다.
또한, 탄소배출환산부(140)는 상기 자립량산출부(130)에서 산출된 전력량을 이산화탄소의 무게로 환산한다. 예를 들어, 1MWh = CO2 045941t으로 환산할 수 있다.
상기 가치산정부(150)에서는 탄소배출환산부(140)에서 환산된 탄소에 대하여 탄소가치에 따라 인증된 가치에 해당하는 탄소배출권을 발행하여 준다.
상기 암호인증부(160)에서는 보유한 탄소배출권을 탄소토큰으로 생성하고, 상기 탄소토큰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내부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외부기관과 거래를 하였을 경우 에너지코인으로 배분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탄소배출원 블록체인의 블록은 블록해쉬, 블록헤더, 블록바디, 기타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록해쉬는 블록헤더의 내용을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블록헤더는 버전, 시간, 이전해쉬, 머클해쉬, 블록종류, 종류해쉬를 포함한다.
상기 버전은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정보를 나타내고, 시간은 블록이 생성된 시간(Time stamp)을 나타낸다. 상기 이전해쉬는 본 블록의 바로 직전에 생성된 블록의 블록해쉬를 의미하며, 머클해쉬는 블록바디에 속한 거래들로 이루어진 머클트리의 머클루트를 해쉬한 값이다.
또한, 상기 블록종류는 블록의 종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블록은 2종류의 블록을 포함하며, 블록바디에 탄소토큰의 거래정보가 저장된 제1블록 및 블록바디에 에너지코인의 거래정보가 저장된 제2블록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종류해쉬는 동일한 종류의 블록 중 가장 최근의 블록의 블록해쉬를 나타낸다. 따라서, 가장 최근의 블록이 동일한 종류의 블록일 경우 이전해쉬와 종류해쉬는 동일하다.
상기 블록바디에는 거래정보가 저장되는데, 거래정보는 송신어드레스, 수신어드레스, 거래량이 저장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하였듯이 거래되는 대상의 종류에 따라 탄소토큰이 거래되는 제1블록 및 에너지코인이 거래되는 제2블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관리노드(300)에서는 블록의 생성을 전담할 수 있다. 즉, 관리노드에서는 일정 시간동안 탄소토큰거래리스트 또는 에너지코인거래리스트를 수집하고, 수집된 탄소토큰거래리스트 또는 에너지코인거래리스트를 기초로 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관리노드에서는 수집된 탄소토큰거래 또는 에너지코인거래의 개수가 일정 개수에 다다르면 블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센싱노드(100)는 그린에너지활동으로 인해 환산된 탄소배출권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상기 탄소배출권에 대응하는 탄소토큰이 생성되는 거래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관리노드에서는 이러한 거래들을 수집하여 블록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블록은 다시 각 센싱노드에서 검증을 거친 후 최종승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노드에서 블록을 생성시킬 때 블록헤더를 이용하여 블록해쉬를 생성시키며, 각 센싱노드에서는 전송된 블록헤더를 이용하여 블록해쉬를 산출한 후 관리노드에서 전송된 블록해쉬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블록의 생성을 최종승인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탄소토큰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내부거래에 이용되거나, 관리노드에 의해 합산되어 외부거래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투자노드(500)는 그린에너지활동을 하지 않아 탄소배출권을 생성하지는 않지만 각 센싱노드와의 거래를 통해 탄소토큰을 획득하고, 외부거래에 참가할 수 있는 노드이다. 이러한 외부투자노드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내부거래가 활성화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관리노드에서는 각 센싱노드 및 외부투자노드에서 보유중인 탄소토큰을 합산하여 총탄소토큰을 산출하고, 상기 총탄소토큰을 다시 총탄소배출권으로 환산한 후, 외부거래망을 통하여 외부기관과 거래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관은 본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탄소배출권을 필요로 하는 기업, 한국거래소와 같은 탄소배출권 거래소 등이 될 수 있다.
관리노드에서는 주기적으로 각 센싱노드에서 생성된 탄소토큰을 합산하여 총탄소토큰이 최소설정값 이상인 경우 외부거래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노드에서 외부거래 수행을 시작하면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각 센싱노드에 보유중인 탄소토큰이 관리노드로 이동되는 거래(transaction)가 발생된다. 이러한 거래는 모두 블록에 저장되고, 관리노드는 이동된 탄소토큰을 이용하여 탄소배출권을 외부기관에 판매하게 된다.
그리고, 관리노드에서는 외부기관에 판매한 대금에 대응하는 에너지코인을 생성시키는 거래를 발생시키고, 관리노드에 전송된 탄소토큰에 비례하여 에너지코인을 나누어 배분한 후 각 센싱노드로 배분된 에너지코인을 전송한다. 이러한 에너지코인은 암호화폐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현금으로 출금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탄소배출권 블록체인은 그린에너지활동에 따른 물리량을 측정하여 탄소배출권으로 환산하는 물리량측정블록체인(30) 및 상기 물리량측정블록체인(30)을 모사한 거래블록체인(50)을 포함한다.
상기 물리량측정블록체인(30)을 구성하는 물리노드(200)는 앞서 언급한 센싱부(120), 자립량산출부(130), 탄소배출환산부(140), 가치산정부(150), 암호인증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센싱부(120)는 RE100측정부(121), 에너지효율향상측정부(123), 에너지공유및거래측정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리노드(100)는 그린에너지활동으로 인해 환산된 탄소배출권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상기 탄소배출권에 대응하는 탄소토큰이 생성되는 거래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관리노드에서는 이러한 거래들을 수집하여 블록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블록은 다시 각 센싱노드에서 검증을 거친 후 최종승인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탄소토큰은 물리량측정블록체인 내에서 내부거래에 이용되거나, 제1관리노드에 의해 합산되어 제2관리노드로 전송됨으로써 외부거래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리량측정블록체인(30)에서 제1관리노드(400)에서는 각 물리노드가 보유한 탄소배출권 정보를 실시간으로 거래블록체인(50)의 제2관리노드로 전송하여 준다. 그러면, 제2관리노드(800)에서는 제1관리노드에서 전송된 탄소토큰의 총합을 기초로 하여 외부기관과 외부거래를 거래를 수행한다.
즉, 제2관리노드는 제1관리노드로부터 전송된 탄소토큰 정보를 이용하여 탄소배출권을 외부기관에 판매하게 된다.
제2관리노드에서는 외부기관에 판매한 대금에 대응하는 에너지코인을 생성시키는 거래를 발생시키고, 제1관리노드로부터 전송된 탄소토큰 정보에 기초하여 보상이 주어진다. 즉, 제2관리노드는 생성된 에너지코인을 나누어 배분한 후 각 트윈노드로 배분된 에너지코인을 전송할 수 있다.
물리량측정에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탄소토큰이 잘못 발행될 염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관리노드(400)에서 이러한 오류를 바로 잡고 문제가 없을 때에 제1관리노드에서 제2관리노드로 탄소토큰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거래 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제1관리노드에서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전 물리노드를 검증하고, 물리량측정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내부거래를 허가하거나 제2관리노드로 탄소토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물리량측정블록체인은 블록생성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릴 수 있으며,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물리노드의 정확한 측정을 검증할 수 있는 블록체인으로 구성되며, 거래블록체인은 빠른 블록생성으로 거래의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블록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100 : 센싱노드
120 : 센싱부 130 : 물리량산출부
140 : 탄소배출환산부 150 : 가치산정부
160 : 암호인증부 300 : 관리노드
500 : 외부투자노드 700 : 외부기관

Claims (6)

  1. 그린에너지활동에 의해 공급된 재생에너지 또는 저감된 탄소배출량을 측정하여 탄소배출권으로 환산하는 복수의 센싱노드;
    상기 복수의 센싱노드에 의한 탄소배출권을 합산하여 외부거래를 수행하는 관리노드를 포함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는 각 센싱노드 사이의 내부거래가 기록되는 거래정보리스트가 저장되는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에너지활동은 RE100활동, 에너지 효율 향상 활동, 에너지 절감 활동 및 에너지 공유 및 거래 활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활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노드는 그린에너지활동으로 인해 환산된 탄소배출권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환산된 탄소배출권에 대응하는 탄소토큰이 생성되어 블록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노드는 외부거래를 수행하면 외부거래에 사용된 탄소배출권에 비례하여 에너지코인을 각 센싱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노드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탄소토큰의 총합을 산출하여 설정값 이상인 경우 외부거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6. 그린에너지활동에 의해 공급된 재생에너지 또는 저감된 탄소배출량을 측정하여 탄소배출권으로 환산하며, 상기 탄소배출권해 대응하는 탄소토큰을 생성하는 복수의 물리노드를 포함하는 물리량측정블록체인;
    상기 복수의 물리노드에 의해 생성되는 탄소토큰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거래를 수행하는 거래블록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래블록체인은 상기 물리량측정블록체인의 각 물리노드에 대응하는 트윈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토큰 정보에 기초하여 각 트윈노드에 보상이 주어지는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KR1020210069128A 2020-11-26 2021-05-28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KR20220073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61675 2020-11-26
KR1020200161675 2020-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617A true KR20220073617A (ko) 2022-06-03

Family

ID=8198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128A KR20220073617A (ko) 2020-11-26 2021-05-28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36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020B1 (ko) * 2022-06-14 2023-06-13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
KR102573846B1 (ko) 2022-10-13 2023-09-01 주식회사 다오클 독립형 친환경 탄소제로 축전/발전 시스템
KR20240048300A (ko) 2022-10-06 2024-04-15 주식회사 부머스 다계층 탄소 배출권 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020B1 (ko) * 2022-06-14 2023-06-13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
WO2023243783A1 (ko) * 2022-06-14 2023-12-21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소비 인증 장치
KR20240048300A (ko) 2022-10-06 2024-04-15 주식회사 부머스 다계층 탄소 배출권 관리 시스템
KR102573846B1 (ko) 2022-10-13 2023-09-01 주식회사 다오클 독립형 친환경 탄소제로 축전/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3617A (ko)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Yan et al. Blockchain for transacting energy and carbon allowance in networked microgrids
Najafi et al. Medium-term energy hub management subject to electricity price and wind uncertainty
Xie et al. An economic feasibility assessment of decoupled energy storage in the UK: With liquid air energy storage as a case study
US20190164236A1 (en) Method of matching renewable energy production to end-user consumption via blockchain systems
KR102462089B1 (ko) 재생에너지 수익의 주민 배당 시스템
JP2006505027A (ja) 排出量削減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CN106374536B (zh) 新能源接入条件下电力容量市场的低碳电源投资决策方法
WO2022250186A1 (ko) 블록체인기반 소규모 탄소배출권 거래시스템
CN112053152A (zh) 一种基于绿色权益共识机制的分布式能源并网认证与交易方法
CN112132309B (zh) 可再生能源发电配额制下售电公司购售电优化方法和系统
CN115330433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配电网电力碳排放权联合交易方法
CN114626922A (zh) 一种基于区块链的自适应竞价多能源p2p交易平台
CN114219218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虚拟电厂需求响应业务系统及方法
CN116308445A (zh) 一种基于能源区块链的虚拟电厂多模式交易方法、设备及介质
Ntomaris et al. Optimal bidding of hybrid power stations in insular power systems
Johnathon et al. A proposed hedge-based energy market model to manage renewable intermittency
Liu et al. Implication of production tax credit on economic dispatch for electricity merchants with storage and wind farms
Goitia-Zabaleta et al. Two-stage centralised management of Local Energy Market for prosumers integration in a community-based P2P
Edmonds et al. Return to 1990: The cost of mitigating United States carbon emissions in the post-2000 period
Guo et al. Peer-to-peer energy trading and smart contracting platform of community-based virtual power plant
Boumaiza et al. Local energy marketplace agents-based analysis
Sani et al. Affine decision rule approximation to address demand response uncertainty in smart grids’ capacity planning
CN110994701A (zh) 一种金融输电权同时可行性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un et al. Nash–Cournot power market model with a high penetration of prosumers: A distributionally robust optimization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