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774B1 -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 - Google Patents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774B1
KR102541774B1 KR1020210082778A KR20210082778A KR102541774B1 KR 102541774 B1 KR102541774 B1 KR 102541774B1 KR 1020210082778 A KR1020210082778 A KR 1020210082778A KR 20210082778 A KR20210082778 A KR 20210082778A KR 102541774 B1 KR102541774 B1 KR 10254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unit
height adjusting
ceiling
ex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549A (ko
Inventor
서병수
김민기
Original Assignee
서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수 filed Critical 서병수
Priority to KR1020210082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7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59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th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풍부와 간접조명의 조명부를 보이지 않게 배치하여 심미성을 높이고, 기존에 유통되는 제품들과도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여 높은 확장성을 가지며, 기계식 환풍구와 자연 송풍구를 배치하여 욕실의 문 개폐시 발생하는 풍압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풍압으로 인한 점검구의 이탈시 발생하는 덜컹거리는 소음 억제 및 파손 등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System ceiling structure of bathroom}
본 발명은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풍부와 간접조명의 조명부를 보이지 않게 배치하여 심미성을 높이고, 기존에 유통되는 제품들과도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여 높은 확장성을 가지며, 기계식 환풍구와 자연 송풍구를 배치하여 욕실의 문 개폐시 발생하는 풍압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풍압으로 인한 점검구의 이탈시 발생하는 덜컹거리는 소음 억제 및 파손 등을 방지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천장은 여러 가지 소재로 만들지만 이중에서 열가소성수지(ABS) 욕실천장은 강성보강을 위하여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후면을 철재의 보강대를 부착하여 고정한 후 욕실 천장에 설치하고, 욕실벽체와 접촉되는 선형인 끝부분을 실리콘으로 코킹하여 마무리한다.
이때 천장 내부시설을 점검하거나 보수하기 위해서는 욕실천장 일부를 타공하고, 이 타공규격에 대응하는 크기이며, 개폐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욕실 점검구를 설치하는 것이 사용상에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는 유리한 점이 있다.
더하여 욕실 점검구는 욕실천장과 강하게 밀착되어 욕실문 개폐시에 발생하는 풍압으로 욕실 점검구가 들썩거리지 않아야 하므로 자석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나, 이런 구성은 욕실 천장재에 구비된 자석의 위치와 형상의 철편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으면 욕실 점검구와 욕실천장의 밀착도가 현저하게 떨어져 욕실 점검구가 들썩거림과 이때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한 민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밀착도가 떨어진 욕실 점검구가 순간적인 풍압을 견디지 못하고 탈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열경화성수지(SMC) 욕실 천장재의 경우 문 개폐시 발생하는 풍압에 의해 점검구가 들썩거림과 이때 발생하는 소음 및 지속적인 충격으로 인해 욕실천장 및 벽타일면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28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며 기능적으로 진보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환풍부와 간접조명의 조명부를 보이지 않게 배치하여 심미성을 높이고, 기존에 유통되는 제품들과도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여 높은 확장성을 가지며, 기계식 환풍구와 자연 송풍구를 배치하여 욕실의 문 개폐시 발생하는 풍압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풍압으로 인한 점검구의 이탈시 발생하는 덜컹거리는 소음 억제 및 파손 등을 방지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기존 욕실 천장재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혼용으로 사용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에 있어서,
기존 욕실 천장재의 가장자리 중 일측에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어 욕실의 환기 및 조명 기능이 있는 시스템부와;
기존의 욕실 벽면에 부착된 타일에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시스템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 타측이 연결되어 시스템부를 기존의 욕실 벽면에서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동시에 기존 욕실 천장 높이에 맞춰 상,하로 이동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부는, 상기 기존 욕실 천장재의 가장자리 중 일측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에 상기 높이 조절부와 연결되어 높이 조절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1 연결돌기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수직면 중 중단부에 설치되어 욕실 내에 심미성의 조명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거치대의 수직면 중 조명부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설치되어 욕실 내의 풍압저감 및 환기시키는 환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대의 수직면에는 조명부와 환풍부가 설치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환풍부는 덕트형 몸통으로 형성되어 설치홈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형 몸통의 전면에는 욕실 내에 발생하는 풍압을 저감시키도록 압력이 관통하는 다수개의 송풍구와, 상기 욕실 내에 발생하는 냄새를 강제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다수개의 환풍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부는 상측부에 상기 높이 조절부와 연결되어 높이 조절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연결돌기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높이 조절부는 수직 단면상 "┏┓" 형태로 형성되어 양끝단부가 각각 거치대의 제 1 연결돌기와 연결부의 제 2 연결돌기에 연결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양끝단부에는 거치대의 제 1 연결돌기와 연결부의 제 2 연결돌기에 연결되도록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어 제 1 연결돌기 또는 제 2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은 환풍부와 간접조명의 조명부를 보이지 않게 배치하여 심미성을 높이고, 기존에 유통되는 제품들과도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여 높은 확장성을 가지며, 기계식 환풍구와 자연 송풍구를 배치하여 욕실의 문 개폐시 발생하는 풍압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풍압으로 인한 점검구의 이탈시 발생하는 덜컹거리는 소음 억제 및 파손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은 기존 욕실 천장재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혼용으로 사용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로써, 시스템부(10)와, 연결부(20)와, 높이 조절부(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은 기존 욕실 천장재(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데, 가장자리 전체에 설치되거나 기존 욕실 천장재(1)의 가장자리 중 한 곳 또는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부(1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욕실 천장재(1)의 가장자리 중 일측에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어 욕실의 환기 및 조명 기능이 있도록 거치대(11)와, 조명부(12)와, 환풍부(13)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11)는 기존 욕실 천장재(1)의 가장자리 중 일측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11)는 높이 조절부(3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11)는 금속, 알루미늄, ABS, SMC, 스테인리스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되는데, 상기 거치대(11)는 기존 욕실 천장재(1) 및 높이 조절부(30)와 피스, 볼트, 못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11)의 수직면에는 조명부(12)와, 환풍부(13)가 설치되도록 설치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5)은 조명부(12) 또는 환풍부(13)의 형태, 크기, 길이 등에 맞춰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15)의 후면에는 설치되는 조명부(12) 또는 환풍부(13)가 욕실 천장 속과 연통되도록 연통구(미도시)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연통구를 통해 조명부(12)의 전선 등이 관통되어 욕실 천장 속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통구는 덕트형 몸통으로 형성된 환풍부(13)에 연결되는 연결관(미도시)이 관통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11)의 일단부에는 상기 높이 조절부(30)와 연결되어 높이 조절부(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1 연결돌기(14)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돌기(14)의 외부에 높이 조절부(30)가 위치한 상태에서 측면을 통해 피스, 볼트, 못 등의 고정부재가 관통되어 높이 조절부(30)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조명부(12)는 거치대(11)의 설치홈(15)에 설치되는데, 상기 거치대(11)의 수직면 중 중단부에 형성된 설치홈(15)에 설치되어 욕실 내에 심미성의 조명 빛을 조사한다. 이때, 상기 조명부(12)는 간접조명등으로 욕실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조명 빛을 조사하지 않고 욕실 벽면에 빛을 조사하여 인테리어적인 심미성이 높아진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12)는 내부에 LED 등이 설치된 모듈화된 조명부로써, 일체형이기에 거치대(11)의 설치홈(15)에 설치한 뒤, 조명용 전선 등은 설치홈(15)의 연통구를 통해 욕실 천장 속으로 구비한 뒤, 기존 욕실 조명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환풍부(13)는 거치대(11)의 설치홈(15)에 설치되는데, 상기 설치홈(15)의 형태에 맞춰 설치되도록 덕트형 몸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11)의 수직면 중 조명부(12)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형성된 설치홈(15)에 설치되어 욕실 내의 풍압저감 및 환기시킨다.
여기서, 상기 환풍부(13)의 덕트형 몸통 전면에는 욕실 문을 열고 닫을 때 발생하는 풍압을 저감시키도록 압력이 관통하는 다수개의 송풍구(16)와, 상기 욕실 내에 발생하는 냄새를 강제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다수개의 환풍구(1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형 몸통으로 형성된 환풍부(13)는 풍압의 압력 또는 냄새를 기존에 설치된 환풍장치로 이송시키는 연결관(미도시)이 연통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관은 주름관, 플렉시블관 등으로 형성되어 환풍부(13)의 후면 또는 측면에 연통되고, 상기 연결관은 환풍부(13)와 연통된 상태에서 거치대(11)의 연통구를 통해 욕실 천장으로 구비되어 욕실에 설치된 기존 환풍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환풍장치의 흡입력에 의해 환풍구(17)가 작동된다.
한편, 상기 송풍구(16)와 환풍구(17)를 나눠놨지만 평상시에 기존 환풍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욕실 문을 열고 닫을 때 발생하는 풍압은 송풍구(16)와 환풍구(17)를 통해 압력이 관통하여 저감되고, 상기 기존 환풍장치를 작동시키면 송풍구(16)와 환풍구(17)를 통해 욕실 내의 냄새 등이 유입되어 제거하는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욕실 벽면에 부착된 타일(2)에 연결되어 높이 조절부(30)의 일측을 지지해준다. 이때, 상기 연결부(20)는 금속, 알루미늄, ABS, SMC, 스테인리스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0)는 상측부에 상기 높이 조절부(30)와 연결되어 높이 조절부(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연결돌기(21)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돌기(21)의 외부에 높이 조절부(30)가 위치한 상태에서 측면을 통해 피스, 볼트, 못 등의 고정부재가 관통되어 높이 조절부(30)의 위치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20)의 끝단부는 욕실 벽면에 부착된 타일(2)의 상부측에 연결되도록 수평으로 절곡 형성되어 실리콘,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높이 조절부(3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부(1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20)에 높이 조절부(30)의 타측이 연결되어 시스템부(10)를 기존의 욕실 벽면에서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동시에 기존 욕실 천장 높이에 맞춰 상,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부(30)는 금속, 알루미늄, ABS, SMC, 스테인리스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부(30)는 수직 단면상 "┏┓" 형태로 형성되어 양끝단부가 각각 거치대(11)의 제 1 연결돌기(14)와 연결부(20)의 제 2 연결돌기(2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부(30)의 양끝단부에는 거치대(11)의 제 1 연결돌기(14)와 연결부(20)의 제 2 연결돌기(21)에 연결되도록 삽입홈(31)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홈(31)에 제 1 연결돌기(14) 또는 제 2 연결돌기(21)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렇듯, 상기 높이 조절부(30)는 도 6의 (a),(b)에서처럼, 양끝단부의 삽입홈(31)에 거치대(11)의 제 1 연결돌기(14)와 연결부(20)의 제 2 연결돌기(21)가 삽입된 상태로 거치대(11)와 연결부(20)에 지지되는데,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이 설치되는 욕실 천장과 욕실 천장재 사이 또는 욕실 천장 내에 설치되는 구조물 높이에 따라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뒤, 고정부재가 높이 조절부(30)의 측면을 관통하여 제 1,2 연결돌기(14,21)에 박힘으로써, 높이 조절부(30)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연결에 사용되는 고정부재가 구조물의 내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처리한다.
10 : 시스템부 11 : 거치대
12 : 조명부 13 : 환풍부
14 : 제 1 연결돌기 15 : 설치홈
16 : 송풍구 17 : 환풍구
20 : 연결부 21 : 제 2 연결돌기
30 : 높이 조절부 31 : 삽입홈

Claims (5)

  1. 기존 욕실 천장재(1)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에 있어서,
    기존 욕실 천장재(1)의 가장자리 중 일측에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어 욕실의 환기 및 조명 기능이 있는 시스템부(10)와;
    기존의 욕실 벽면에 부착된 타일(2)에 수직으로 연결 형성되는 연결부(20)와;
    상기 시스템부(1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20)에 타측이 연결되어 시스템부(10)를 기존의 욕실 벽면에서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동시에 기존 욕실 천장 높이에 맞춰 상,하로 이동되는 높이 조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부(10)는, 상기 기존 욕실 천장재(1)의 가장자리 중 일측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에 상기 높이 조절부(30)와 연결되어 높이 조절부(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1 연결돌기(14)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거치대(11)와;
    상기 거치대(11)의 수직면 중 중단부에 설치되어 욕실 내에 심미성의 조명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12)와;
    상기 거치대(11)의 수직면 중 조명부(12)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설치되어 욕실 내의 풍압저감 및 환기시키는 환풍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1)의 수직면에는 조명부(12)와 환풍부(13)가 설치되도록 설치홈(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부(13)는 덕트형 몸통으로 형성되어 설치홈(15)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형 몸통의 전면에는 욕실 내에 발생하는 풍압을 저감시키도록 압력이 관통하는 다수개의 송풍구(16)와, 상기 욕실 내에 발생하는 냄새를 강제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다수개의 환풍구(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는 상측부에 상기 높이 조절부(30)와 연결되어 높이 조절부(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연결돌기(21)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30)는 수직 단면상 "┏┓" 형태로 형성되어 양끝단부가 각각 거치대(11)의 제 1 연결돌기(14)와 연결부(20)의 제 2 연결돌기(21)에 연결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30)의 양끝단부에는 거치대(11)의 제 1 연결돌기(14)와 연결부(20)의 제 2 연결돌기(21)에 연결되도록 삽입홈(31)이 각각 형성되어 제 1 연결돌기(14) 또는 제 2 연결돌기(21)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
KR1020210082778A 2021-06-25 2021-06-25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 KR102541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778A KR102541774B1 (ko) 2021-06-25 2021-06-25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778A KR102541774B1 (ko) 2021-06-25 2021-06-25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49A KR20230000549A (ko) 2023-01-03
KR102541774B1 true KR102541774B1 (ko) 2023-06-12

Family

ID=8492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778A KR102541774B1 (ko) 2021-06-25 2021-06-25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7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521A (ja) * 2005-01-13 2006-07-27 Royal Electric Co Ltd 浴室空調装置
JP2017084745A (ja) * 2015-10-30 2017-05-18 株式会社Lixil 照明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313U (ja) * 1993-08-31 1995-03-31 道雄 野口 間接照明用壁面部材
KR101012282B1 (ko) 2010-11-08 2011-02-08 주식회사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벽체에 형성된 환기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521A (ja) * 2005-01-13 2006-07-27 Royal Electric Co Ltd 浴室空調装置
JP2017084745A (ja) * 2015-10-30 2017-05-18 株式会社Lixil 照明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49A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2814B2 (en) Water deflection apparatus for use with a wall mounting bracket
US10634298B2 (en) Bar hanger system for recessed fixtures
US6708457B1 (en) Concealed retaining channel for storm shutter attachment
US9683378B2 (en) Mounting bracket
US7117548B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KR102428669B1 (ko) 시공이 편리한 우물천장 조립체
KR102541774B1 (ko) 욕실의 시스템 천장재 구조물
KR20160001736U (ko)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AU2005208014A1 (en) Built-in light
EP1865277A2 (en) Refrigerator with an electronic panel support
KR101815043B1 (ko) 자동차의 보조 손잡이용 지지 브래킷
KR20180003249U (ko) 평면등용 프레임 설치장치
US20100107548A1 (en) Cover for siding trim member
JP2007212001A (ja) 換気装置
KR200480445Y1 (ko) 욕실 천장용 조명장치
EP1624149A3 (en) Mounting bracket
JP2010070984A (ja) 手摺およびその連結構造
JP2009191549A (ja) 屋外ユニットを備えた建具及びその屋外ユニットの取付方法
CN109372848A (zh) 装配装置和板式家具以及板材的装配方法
JP4369829B2 (ja) 軒先の換気構造
JP7183109B2 (ja) 換気装置の化粧グリルおよび換気装置
KR100845212B1 (ko) 콜드캐소드램프용 경관조명장치
JP2005282147A (ja) 玄関備品の取付装置
JP3822018B2 (ja) 軒樋補強構造
KR100663724B1 (ko) 공동주택의 천연무늬목 욕실 도어용 방수커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