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703B1 -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703B1
KR102541703B1 KR1020210189346A KR20210189346A KR102541703B1 KR 102541703 B1 KR102541703 B1 KR 102541703B1 KR 1020210189346 A KR1020210189346 A KR 1020210189346A KR 20210189346 A KR20210189346 A KR 20210189346A KR 102541703 B1 KR102541703 B1 KR 102541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area
display
curved portion
light ref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환
박강우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89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는, 광 투과성을 가지며, 모니터의 전면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확장 플레이트에 있어서,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커버부 및 모니터의 베젤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각적으로 상기 베젤 영역까지 확장되어 보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발산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 굴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 Monitor Screen Transmission Area Expansion Plate and Monitor Screen Transmission Area Expans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전면에 장착된 상태로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각적으로 베젤 영역까지 확장되어 보이도록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발산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 굴절부를 포함하는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정 이상의 크기로 제작하는 경우 비용 및 노력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내구도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대형의 영상을 송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로 및 세로로 배열하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연동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큰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구동되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형태는 비디오 월(Video Wall)이라 불리고 있다.
다만,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둘레부에 베젤(Bezel) 영역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비디오 월에 송출되는 영상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의해 영상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의 구획이 필연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사들은 이와 같은 베젤의 두께를 줄여 제품을 고급화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제조 공법 상의 기술적 이유로 베젤의 두께를 최소화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며, 베젤의 두께가 얇을수록 생산·판매 가격이 높이지는 단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또한 아무리 베젤이 최소화된다고 하더라도, 비디오 월에 송출되는 영상에 구획이 나타나는 것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948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각적으로 베젤 영역까지 확장되어 보이도록 함에 따라 시청자에게 모니터의 베젤 영역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는, 광 투과성을 가지며, 모니터의 전면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확장 플레이트에 있어서,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커버부 및 모니터의 베젤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각적으로 상기 베젤 영역까지 확장되어 보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발산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 굴절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광 굴절부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소정 패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 굴절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부에 연결되며, 제1곡률을 가지는 제1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광 굴절부는, 상기 제1곡면부의 후방 측으로 평탄면을 가지도록 소정 길이 연장되는 평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굴절부는, 상기 제1곡면부 및 상기 평탄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곡률과 반대 방향의 제2곡률을 가지는 제2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 굴절부는, 상기 제1곡면부의 후방 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제1곡률보다 큰 제3곡률을 가지는 제3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상기 광 굴절부에는 무반사 필름이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은, 광 투과성을 가지고, 모니터의 전면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커버부와, 모니터의 베젤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각적으로 상기 베젤 영역까지 확장되어 보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발산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 굴절부를 포함하는 확장 플레이트 및 상기 광 굴절부에서 빛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송출되는 화면이 상기 확장 플레이트의 전체 영역에서 왜곡되지 않는 상태로 보이도록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처리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는 복수 개가 배열되며, 상기 확장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 개의 모니터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어 1:1 대응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는, 모니터의 베젤 영역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커버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각적으로 베젤 영역까지 확장되어 보이도록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발산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 굴절부를 포함함에 따라, 모니터의 베젤 영역이 전면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복수 개의 모니터가 연동되어 단일의 영상을 송출하는 경우 각 모니터의 베젤 영역에 의한 구획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처리 제어부가 확장 플레이트의 광 굴절부에서 빛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에 송출되는 화면이 확장 플레이트의 전체 영역에서 왜곡되지 않는 상태로 보이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시청자가 느끼는 위화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를 모니터에 적용한 결과를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를 비디오 월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를 비디오 월에 적용한 결과를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100)는 전체적으로 광 투과성을 가지며, 모니터(10)의 전면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확장 플레이트(100)는 일정 이상의 투명도를 가지는 아크릴판, 유리 등의 다양한 소재로부터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모니터(10)는 영상을 송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12)과,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영역(12)을 감싸는 베젤 영역(11)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확장 플레이트(100)는, 모니터(10)의 디스플레이 영역(12)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커버부(110)와, 모니터(10)의 베젤 영역(11)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커버부(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광 굴절부(12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12)의 폭과 디스플레이 커버부(110)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베젤 영역(11)의 폭과 광 굴절부(120)의 폭은 역시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된 형태로, 디스플레이 영역(12)의 폭과 디스플레이 커버부(110)의 폭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을 수도 있으며, 베젤 영역(11)의 폭과 광 굴절부(120)의 폭 역시 서로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광 굴절부(120)는 전면 방향에서 바라볼 때 모니터(10)의 디스플레이 영역(12)이 시각적으로 베젤 영역(11)까지 확장되어 보이도록, 디스플레이 영역(12)에서 발산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니터(10)의 베젤 영역(11)이 전면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10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확장 플레이트(100)의 광 굴절부(120)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소정 패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광학적으로 빛을 굴절시키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광 굴절부(120)는, 디스플레이 커버부(110)에 연결되며, 제1곡률을 가지는 제1곡면부(121)와, 이와 같은 제1곡면부(121)의 후방 측으로 평탄면을 가지도록 소정 길이 연장되는 평탄부(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광 굴절부(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이아 컷팅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 커버부(110) 및 광 굴절부(120)에 무반사 필름(130)이 코팅되며, 이는 광 굴절부(120) 부분에서 난반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와는 달리, 무반사 필름(130)은 광 굴절부(120) 측에만 코팅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플레이트(100)의 각 변 부분에 위치되는 광 굴절부(120)가 만나는 굴곡 지점에는, 각 변의 광 굴절부(120)가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라운드 가공되는 라운드 가공면(12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100)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은, 확장 플레이트(100)와 함께 디스플레이 처리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처리 제어부는 확장 플레이트(100)의 광 굴절부(120)에서 빛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모니터(10)의 디스플레이 영역(12)에 송출되는 화면이 확장 플레이트(100)의 전체 영역에서 왜곡되지 않는 상태로 보이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확장 플레이트(100)는 모니터(10)의 베젤 영역(11)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커버부(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영역(12)이 시각적으로 베젤 영역(11)까지 확장되어 보이도록 디스플레이 영역(12)에서 발산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 굴절부(120)를 포함함에 따라, 시청자가 전면 방향에서 바라볼 때 모니터(10)의 베젤 영역(11)이 전면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100)를 모니터(10)에 적용한 결과를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확장 플레이트(100)가 적용된 부분에서는 모니터(10)의 베젤 영역(11)이 전방 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처리되며, 광 굴절부(120) 부분에 처리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 커버부(110)에 처리되는 영상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100)를 비디오 월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10)는 복수 개가 배열되어 비디오 월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확장 플레이트(100)는 복수 개의 모니터(1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어 각각 1:1 대응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처리 제어부는 각 확장 플레이트(100)의 광 굴절부(120)에서 빛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전체 모니터(10)의 디스플레이 영역(12)에 송출되는 화면이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비디오 월의 전방 측에서는 각 모니터(10)의 베젤 영역(11)에 의해 나타나는 구획선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100)를 비디오 월에 적용한 결과를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š 도 7의 위쪽 부분에서는 확장 플레이트(100)를 적용하지 않아 각 모니터(10)의 디스플레이 영역(12) 사이에 베젤 영역(11)에 의한 구획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7의 아래쪽 부분에서는 확장 플레이트(100)를 적용함에 따라 광 굴절부(120)에 의해 모니터(10)의 디스플레이 영역(12) 사이에 베젤 영역(11)에 의한 구획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도 복수 개의 모니터(10)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한 비디오 월이 예시되나, 각각의 모니터(10)에 장착되는 확장 플레이트(100)에 의해 베젤 영역(11)으로 인한 구획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 굴절부(120)의 세부적인 형태가 변형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10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광 굴절부(1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 커버부(110)에 연결되며, 제1곡률을 가지는 제1곡면부(121)와, 이와 같은 제1곡면부(121)의 후방 측으로 평탄면을 가지도록 소정 길이 연장되는 평탄부(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광 굴절부(120)는, 이와 같은 제1곡면부(121) 및 평탄부 사이에 구비되며, 제1곡면부(121)가 형성하는 제1곡률과 반대 방향의 제2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곡면부(121)와의 사이에 변곡점을 형성하는 제2곡면부(124)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10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광 굴절부(120)는 디스플레이 커버부(110)에 연결되며, 제1곡률을 가지는 제1곡면부(121)를 포함하며, 평탄부(122)는 생략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광 굴절부(120)는, 이와 같은 제1곡면부(121)의 후방 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제1곡면부(121)의 제1곡률보다 큰 제3곡률을 가지는 제3곡면부(125)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각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10)의 디스플레이 영역(12) 및 베젤 영역(11)의 폭, 송출되는 영상의 빛 세기, 설치 위치의 특수 상황 등을 고려하여, 대하여 곡면의 가공모양의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모니터
11: 베젤 영역
12: 디스플레이 영역
100: 확장 플레이트
110: 디스플레이 커버부
120: 광 굴절부
121: 제1곡면부
122: 평탄부
123: 라운드 가공면
124: 제2곡면부
125: 제3곡면부
130: 무반사 필름

Claims (9)

  1. 광 투과성을 가지며, 모니터의 전면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확장 플레이트에 있어서,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커버부; 및
    모니터의 베젤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각적으로 상기 베젤 영역까지 확장되어 보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발산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 굴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부의 각 변 부분에 위치되는 광 굴절부가 만나는 굴곡 지점에는, 각 변의 광 굴절부가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라운드 가공되는 라운드 가공면이 형성되고,
    상기 광 굴절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부에 연결되며, 제1곡률을 가지는 제1곡면부;
    상기 제1곡면부의 후방 측으로 평탄면을 가지도록 소정 길이 연장되는 평탄부; 및
    상기 제1곡면부 및 상기 평탄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곡률과 반대 방향의 제2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곡면부와의 사이에 변곡점을 형성하는 제2곡면부;
    를 포함하는,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굴절부는,
    상기 제1곡면부의 후방 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제1곡률보다 큰 제3곡률을 가지는 제3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광 굴절부에는 무반사 필름이 코팅되는,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8. 광 투과성을 가지고, 모니터의 전면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커버부와, 모니터의 베젤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각적으로 상기 베젤 영역까지 확장되어 보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발산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 굴절부를 포함하는 확장 플레이트; 및
    상기 광 굴절부에서 빛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송출되는 화면이 상기 확장 플레이트의 전체 영역에서 왜곡되지 않는 상태로 보이도록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처리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부의 각 변 부분에 위치되는 광 굴절부가 만나는 굴곡 지점에는, 각 변의 광 굴절부가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라운드 가공되는 라운드 가공면이 형성되고,
    상기 광 굴절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부에 연결되며, 제1곡률을 가지는 제1곡면부;
    상기 제1곡면부의 후방 측으로 평탄면을 가지도록 소정 길이 연장되는 평탄부; 및
    상기 제1곡면부 및 상기 평탄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곡률과 반대 방향의 제2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곡면부와의 사이에 변곡점을 형성하는 제2곡면부;
    를 포함하는,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복수 개가 배열되며,
    상기 확장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 개의 모니터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어 1:1 대응되도록 장착되는,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
KR1020210189346A 2021-12-28 2021-12-28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 KR102541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346A KR102541703B1 (ko) 2021-12-28 2021-12-28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346A KR102541703B1 (ko) 2021-12-28 2021-12-28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703B1 true KR102541703B1 (ko) 2023-06-13

Family

ID=8676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346A KR102541703B1 (ko) 2021-12-28 2021-12-28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7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485B1 (ko) 2014-01-08 2014-04-15 주식회사 엘디케이 접철과 전후 화면제공이 가능한 병렬형 다중모니터
KR101426726B1 (ko) * 2013-11-22 2014-08-05 방채원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를 구비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33556A (ko) * 2015-09-17 2017-03-27 솔브레인 주식회사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2339A (ko) * 2017-02-08 2018-08-20 희성전자 주식회사 베젤리스 구현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09232A (ko) * 2017-03-27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반사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90024270A (ko) * 2017-08-31 2019-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726B1 (ko) * 2013-11-22 2014-08-05 방채원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를 구비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79485B1 (ko) 2014-01-08 2014-04-15 주식회사 엘디케이 접철과 전후 화면제공이 가능한 병렬형 다중모니터
KR20170033556A (ko) * 2015-09-17 2017-03-27 솔브레인 주식회사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2339A (ko) * 2017-02-08 2018-08-20 희성전자 주식회사 베젤리스 구현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09232A (ko) * 2017-03-27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반사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90024270A (ko) * 2017-08-31 2019-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9355B2 (en) Curve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the forming and installation of reflective plate/sheet for curve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KR101426726B1 (ko)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를 구비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CN103988118B (zh) 边框隐藏的显示器盖和显示设备
TWI556034B (zh) 顯示裝置
US8472114B2 (en) Display device
EP2395496A1 (en) Display device
US9612468B1 (en) Display apparatus
US10782457B2 (en) Grating for dual vision display and dual vision display apparatus
US10885875B2 (en) Seamless or frameless display device having lens layer
JP2008145778A (ja) 湾曲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US10620365B2 (en) Overlay panel with light guides for a display device
US20180313981A1 (e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devices with structured surfaces
CN109377892A (zh) 一种实现多屏幕无缝拼接显示的光学系统
JP6183413B2 (ja) 表示装置
TWI534503B (zh) 顯示裝置
KR20180051116A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용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
KR101589959B1 (ko) 평판 투광커버와 평판 투광커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베젤 프리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1703B1 (ko)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
US20160139460A1 (en) Display device
JP2009042407A (ja) 表示装置
TW201508714A (zh) 具有無邊框顯示效果的顯示器及電視牆
CN113327520A (zh) 一种全面显示屏
KR20170000096A (ko) 투광커버 및 투광커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베젤 프리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US10602130B2 (e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composite image
CN216957312U (zh) 一种全面显示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