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556A -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556A
KR20170033556A KR1020150131418A KR20150131418A KR20170033556A KR 20170033556 A KR20170033556 A KR 20170033556A KR 1020150131418 A KR1020150131418 A KR 1020150131418A KR 20150131418 A KR20150131418 A KR 20150131418A KR 20170033556 A KR20170033556 A KR 20170033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m
adhesive
protective cov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342B1 (ko
Inventor
송병학
박관호
고호준
정미선
Original Assignee
솔브레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브레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브레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3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보호커버는, 곡면영역과 평탄영역을 가지는 피부착 물질 중 상기 평탄영역의 적어도 일부영역을 덮는 평면 영역을 포함하는 유리, 및 상기 유리와 오버랩되는 영역 없이 상기 유리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곡면영역에 맞도록 밴딩되는 밴딩 영역을 포함하는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영역에는 유리가 위치하고 밴딩영역에는 필름이 위치하여 피부착 물질의 곡면 부분과 평면부분을 모두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면영역에는 유리가 위치하고 밴딩 영역에는 필름이 위치하여 피부착 물질의 곡면 부분과 평면부분을 모두 보호할 수 있는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 카메라, VTR, 휴대폰 등 영상 및 광학장비, 자동차 등 운송장비,각종 식기류, 건축시설 등 폭넓은 기술 및 산업분야에 있어서 유리제품은 필수 구성요소로 다루어 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산업분야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물성을 갖는 유리가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 터치패널 디스플레이의 경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아크릴 등의 수지 기판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수지 기판은 영률이 낮기 때문에 펜이나 사람의 손가락 등으로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눌렸을 경우에 휘기 쉽고, 시인성이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기판은 액정화면등의 모니터 파손을 위해 화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게 배치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두께가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고, 터치패널 디스플레이는 점점 얇아져가는 추세이기 때문에 얇으면서 강한 강도 및 경도를 가지는 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평면영역에는 유리가 위치하고 밴딩영역에는 필름이 위치하여 피부착 물질의 곡면 부분과 평면부분을 모두 보호할 수 있는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곡면영역과 평탄영역을 가지는 피부착 물질 중 상기 평탄영역의 적어도 일부영역을 덮는 평면 영역을 포함하는 유리, 및 상기 유리와 오버랩되는 영역 없이 상기 유리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곡면영역에 맞도록 밴딩되는 밴딩 영역을 포함하는 필름을 포함하는 보호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유리의 제1 측면이, 상기 제1 측면에 대응된 상기 필름의 제2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유리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 대응된 상기 필름의 제2 측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유리는 상호 대향된 제1,2 장변과 상기 제1,2 장변을 연결하는 제1,2 단변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은 상기 제1,2 장변 중 하나의 장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는 상호 대향된 제1,2 장변과 상기 제1,2 장변을 연결하는 제1,2 단변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은 상기 제1,2 장변과 상기 제1,2 단변 중 적어도 두 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측면은 제 1 점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리와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피부착 물질과 제 2 점착제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 1 점착제와 상기 제 2 점착제는 결합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1 점착제의 결합력은 상기 제 2 점착제의 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점착제는 상기 피부착 물질과 결합하는 면의 결합력이 상기 유리 및 상기 필름과 결합하는 면의 결합력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은 측면이 쐐기형상 또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상기 평탄영역 중 적어도 다른영역을 덮는 수평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와 상기 피부착 물질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필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필름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유리에 접하고, 상기 제2 필름의 적어도 다른 영역은 상기 필름에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평면영역에는 유리가 위치하고 밴딩 영역에는 필름이 위치하여 피부착 물질의 곡면 부분과 평면부분을 모두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와 피부착 물질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호커버(10)는 모바일(휴대폰, PDA), LCD TV, LCD 모니터, 네비게이션, MP3, 노트북과 같은 피부착 물질(8)에 사용될 수 있다. 보호커버(10)는 피부착 물질(8)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피부착 물질(8)은 예를 들어 피부착 물질일 수 있다. 보호커버(10)는 피부착 물질(8)에서 나타내는 영상 또는 사진을 외부로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피부착 물질(8)은 적어도 일부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즉, 피부착 물질(8)은 적어도 일부가 밴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피부착 물질(8)에 부착되는 보호커버(10)는 적어도 일부가 밴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호커버(10)를 통해 피부착 물질(8)에 터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커버(10)는 터치 민감도 때문에 두께가 얇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호커버(10)는 밴딩 영역(BA)과 평면 영역(FA)를 포함할 수 있다. 밴딩 영역(BA)은 피부착 물질(8)에 부착할 때 보호커버(10)가 밴딩되는 영역일 수 있다. 평면 영역(FA)은 피부착 물질(8)에 부착할 때 보호커버(10)가 밴딩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10)는 밴딩 영역(BA)과 평면 영역(FA)이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밴딩 영역(BA)은 굽힘강도가 약한 물질을 포함하고, 평면 영역(FA)은 경도가 강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커버(10)는 내열성 경도 등이 뛰어나며 밴딩되는 부분까지 보호해줄 수 있다.
밴딩 영역(BA)은 필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130)은 PC, COP, TAC, 폴리이미드(PI), PMMA, PO(폴리올레핀), PET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다. 평면 영역(FA)은 유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120)는 화학 강화된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 강화는 유리에 포함된 나트륨 이온과 칼륨이온을 서로 치환시켜 유리 표면에 압축응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유리(120)는 상호 대향된 제 1,2 장변과 제 1,2 장변을 연결하는 제 1,2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2 장변은 제 1,2 단변보다 길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1,2 장변과 제 1,2 단변의 길이는 동일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평면 영역(FA)의 일 측에 밴딩 영역(BA)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밴딩 영역(BA)이 제 1,2 장변 중 하나의 장변을 따라 형성됨을 의미한다. 본 도면에서는 밴딩 영역(BA)이 평면 영역(FA)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만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밴딩 영역(BA)은 평면 영역(FA)의 좌측, 또는 상하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평면 영역(FA)의 두 측에 밴딩 영역(BA)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밴딩 영역(BA)이 제 1,2 장변과 제 1,2 단변 중 적어도 두변에 형성됨을 의미한다. 본 도면에서는 밴딩 영역(BA)이 평면 영역(FA)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것만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밴딩 영역(BA)은 평면 영역(FA) 네 측면 중 두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평면 영역(FA)을 밴딩 영역(BA)이 둘러쌀 수 있다. 이 경우, 밴딩 영역(BA)은 각 측면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밴딩 영역(BA)과 평면 영역(FA)이 서로 다른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경도 내열성이 강하면서 피부착 물질의 모양과 유사하게 밴딩되는 보호커버(10)를 얻을 수 있다. 필름(130)과 유리(120)의 자세한 결합관계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필름(130)이 유리(120)의 서로 연결되는 두 변을 따라 위치할 때, 필름(130)은 유리(120)의 꼭지점 부분에서 서로 소정 간격(FM) 이격될 수 있다. 즉 밴딩 영역(BA)이 하나로 이어져 있지 않고 분리됨을 의미한다.
보호커버의 꼭지점 부분에서 필름(130)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면 피부착 물질에 밴딩할 때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 생겨 외관이 깔끔하지 않고 시인성이 나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는 꼭지점 부분의 필름(130)이 소정 간격(FM) 이격되어 있어 피부착 물질에 부착되었을 때 외관이 깔끔하고 시인성이 좋아 사용자가 편리하게 피부착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리(120)의 양 측면에 필름(130)이 부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유리(120)는 평면 영역(FA)에 위치하며 필름(130)은 밴딩 영역(BA)에 위치할 수 있다.
보호커버(10)는 밴딩 영역(BA)에 위치한 필름(130)을 피부착 물질의 형상에 맞게 밴딩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필름(130)이 유리(120)의 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필름(130)과 유리(120)의 경계에 단차가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관상 더 깔끔하다고 인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리(120)와 필름(130)의 하부면에 제 2 필름(132)이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적어도 일부의 밴딩 영역(BA)과 평면 영역(FA)의 하부면에 제 2 필름(132)이 위치할 수 있다. 제 2 필름(132)은 필름(13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필름(132)은 필름(130)과 유리(120) 모두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130)과 유리(120)는 제 2 필름(132)에 의해 부족한 결합력을 보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리(120)와 필름(130)은 소정의 간격(PD) 이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유리(120)는 제 2 필름(132)의 중심부에 결합되며 필름(130)은 제 2 필름(132)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필름(130)은 제 2 필름(132)의 밴딩 영역(BA) 중 일부에만 결합될 수 있다.
피부착 물질에 부착되도록 밴딩될 때 유리(120)와 필름(130)이 소정 간격(PD) 이격되어 있는 부분부터 밴딩될 수 있다. 이 경우, 필름(130)은 제 2 필름(132)과 결합된 부분이 유리(120)와 필름(130)이 결합되는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130)은 밴딩될 때 유리(120)와 필름(130)이 결합되는 경우보다 곡률이 작을 수 있다. 필름(130)은 밴딩될 때 곡률이 작기 때문에 제 2 필름(132)에서 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유리(120)와 필름(13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리(120)는 측면이 지면으로부터 제 1 각도(AE)를 가지며 경사질 수 있다. 이 경우, 필름(130)이 밴딩되어도 경사에 의해 유리(120)와 필름(130)의 결합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120)와 필름(130)이 수직으로 결합하는 경우보다 더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의 (b)와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리(120)는 측면에 쐐기(127) 또는 돌출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으로 결합하는 경우보다 유리(120)와 필름(130)의 접촉 면적이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120)와 필름(130)의 결합력이 더 클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필름(130)이 밴딩 영역(BA)뿐만 아니라 평면 영역(FA)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필름(130)은 전부가 아닌 일부만이 피부착 물질에 밴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평면 영역(FA)에 연장된 필름(130)은 수평 영역에 위치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밴딩 영역(BA)과 평면 영역(FA)의 경계가 필름(130)과 유리(120)의 경계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120)와 필름(130)의 경계면에 외력이 적게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130)과 유리(120)가 파손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9및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를 제작하기 위하여 우선, 제 1 PET(110) 상에 제 1 점착제(115)를 코팅할 수 있다(S10). 상세하게, 제 1 PET(110)에 제 1 점착제(115)를 코팅하여 50 ~ 70℃의 각각 다른 온도를 가지는 챔버를 지날 수 있다. 챔버의 온도는 점점 올라가다가 다시 내려올 수 있다. 제 1 점착제(115)는 챔버를 지남에 따라 휘발성이 제거되어 안정화될 수 있다.
제 1 점착제(115)는 OCA, OC, 에폭시 수지, 경화제, 충진제, 희석제, 폴리올(디올류), 디아소시아네이트, 용제, UV중합성 올리고머, 반응성 희석제, 첨가제, 광중합 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점착제(115) 상에 필름(130) 및 유리(120)를 전사코팅할 수 있다(S20). 즉, 복수개의 챔버를 통과한 제 1 점착제(115) 상에 필름(130) 및 유리(120)가 코팅됨을 의미한다.
상세하게, 필름(130)을 제 1 점착제(115) 상의 밴딩 영역(BA)에 코팅한 후, 측면에 제 1 점착체(115)를 코팅할 수 있다. 제 1 점착체(115)를 측면에 코팅한 후에 유리(120)를 제 1 점착제(115) 상의 평면 영역(FA)에 코팅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필름(130)과 유리(120)가 결합된 결합체 상에 제 1 점착제(115) 및 제 2 PET(140)를 합지할 수 있다(S30). 상세하게, 필름(130)과 유리(120)가 결합된 결합체를 상술한 복수개의 챔버를 지나게 한 후 제 1 점착제(115) 및 제 2 PET(140)를 합지할 수 있다. 제 2 PET(140)는 제 1 PET(1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공정까지 진행되었을 때의 보호커버(10)의 형상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1 점착제(115)와 글래스가 결합할 수 있다(S40). 상세하게, 제 1 PET(110)를 제거한 후에 글래스 상에 제 1 점착제(115)를 부착할 수 있다. 글래스는 상술한 피부착 물질(도 1의 8)일 수 있다.
글래스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면 보호커버(10)가 회전하며 글래스와 합쳐질 수 있다. 이 때, 제 1 PET(110)는 벗겨져 제거되고 제 1 점착제(115)와 글래스가 결합할 수 있다. 벗겨진 제 1 PET(110)는 다른 롤러에 다시 감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글래스와 결합된 보호커버(10)를 세척한 후 제 2 PET(140) 및 제 1 점착제(115)를 제거할 수 있다. 제 2 PET(140)로 인하여 세척할 때 보호커버(10)끼리 서로 붙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제 2 PET(140)의 장력에 의해 글래스가 깨지지 않을 수 있다.
세척이 끝난 후에 제 2 PET(140) 및 제 1 점착제(115)를 제거하여 글래스와 결합된 보호커버(10)의 제작 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각각의 제 1 점착제(115)가 모두 동일한 것으로 표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제 1 점착제(115)는 서로 접착력이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PET(110) 상에 위치한 제 1 점착제(115)와 제 2 PET(140) 하부에 위치한 제 1 점착제(115)는 접착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유리(120)와 필름(130) 사이에 제 1 점착제(115)가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필름(130)의 우레탄 성분 그 자체만으로도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120)와 필름(130) 사이에 제 1 점착제(115)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유리(120)와 필름(130)의 하부면에도 제 1 점착제(115)가 위치하기 ?문에 우레탄 성분에 의한 결합력만으로도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2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를 제작하기 위하여 우선, 제 1 PET(110) 상에 제 2 점착제(112)를 코팅할 수 있다(S120). 제 2 점착제(112)는 필름(130) 및 유리(1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점착제(115)와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점착제(112)는 제 1 점착제(115)와 접착력이 다를 수 있다.
제 1 PET(110) 상에 제 2 점착제(112)를 코팅하여 50 ~ 70℃의 각각 다른 온도를 가지는 챔버를 지날 수 있다. 챔버의 온도는 점점 올라가다가 다시 내려올 수 있다. 제 2 점착제(112)는 챔버를 지남에 따라 휘발성이 제거되어 안정화될 수 있다.
제 2 점착제(112)는 OCA, OC, 에폭시 수지, 경화제, 충진제, 희석제, 폴리올(디올류), 디아소시아네이트, 용제, UV중합성 올리고머, 반응성 희석제, 첨가제, 광중합 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점착제(112) 상에 필름(130) 및 유리(120)를 전사코팅할 수 있다(S120). 즉, 복수개의 챔버를 통과한 제 2 점착제(112) 상에 필름(130) 및 유리(120)가 코팅됨을 의미한다.
상세하게, 필름(130)을 제 2 점착제(112) 상의 밴딩 영역(BA)에 코팅한 후, 측면에 제 1 점착체(115)를 코팅할 수 있다. 제 1 점착체(115)를 측면에 코팅한 후에 유리(120)를 제 2 점착제(112) 상의 평면 영역(FA)에 코팅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필름(130)과 유리(120)가 결합된 결합체 상에 제 3 점착제(114) 및 제 2 PET(140)를 합지할 수 있다(S130). 제 3 점착제(114)는 제 1 점착제(115) 및 제 2 점착제(112)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점착제(114)는 제 1 점착제(115) 및 제 2 점착제(112)와 접착력이 다를 수 있다. 상세하게, 필름(130)과 유리(120)가 결합된 결합체를 상술한 복수개의 챔버를 지나게 한 후 제 1 점착제(115) 및 제 2 PET(140)를 합지할 수 있다. 제 2 PET(140)는 제 1 PET(1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는 공정과정에서 제 1 PET(110) 및 제 2 PET(140)를 분리하지 않고 사용자가 보호커버에 글래스를 부착할 때 제 1 PET(110) 및 제 2 PET(140)를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이 간단해져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글래스가 공정과정에서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소유하고 있는 다양한 글래스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와 피부착 물질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의 (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우선 제 1 PET(110)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력을 가하여 제 1 PET(110)를 제 2 점착제(11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 1 PET(110)만을 제 2 점착제(112)로부터 분리해야하기 ?문에 제 2 점착제(112)는 필름(130) 및 유리(120)와 결합하는 면의 결합력이 제 1 PET(110)와 결합하는 면의 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 제 1 PET(110)만 분리하기 위하여 제 2 점착제(112)의 결합력은 제 1 점착제(115) 또는 제 3 점착제(114)의 결합력보다 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피부착 물질(8) 상에 보호커버를 부착할 수 있다. 즉, 보호커버 하부면의 제 2 점착제(112)와 피부착 물질(8)이 부착됨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보호커버를 원할 때 부착 분리하기 쉽도록 제 2 점착제(112)는 필름(130) 및 유리(120)와 결합하는 면의 결합력이 피부착 물질(8)과 결합하는 면의 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의 (c)에 나타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외력을 가하여 제 3 점착제(114)와 제 2 PET(140)를 분리할 수 있다. 제 2 PET(140)와 제 3 점착제(114)가 모두 분리되어야하기 때문에 제 3 점착제(114)는 제 2 PET(140)와 결합하는 면의 결합력이 제 3 점착제(114)와 유리(120)와 결합되는 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 제 2 PET(140)와 제 3 점착제(114)를 같이 분리하기 위하여 제 3 점착제(114)의 결합력은 제 2 점착제(112)의 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
이런 과정을 거쳐 도 14의 (d)에 나타난 것과 같이 피부착 물질(8)에 보호커버의 부착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보호커버 120: 유리
130: 필름 FA: 평면 영역 BA: 밴딩 영역

Claims (12)

  1. 곡면영역과 평탄영역을 가지는 피부착 물질 중 상기 평탄영역의 적어도 일부영역을 덮는 평면 영역을 포함하는 유리; 및
    상기 유리와 오버랩되는 영역 없이 상기 유리의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곡면영역에 맞도록 밴딩되는 밴딩 영역을 포함하는 필름을 포함하는 보호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제1 측면이, 상기 제1 측면에 대응된 상기 필름의 제2 측면에 접촉된 보호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 대응된 상기 필름의 제2 측면은 서로 이격된 보호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상호 대향된 제1,2 장변과,
    상기 제1,2 장변을 연결하는 제1,2 단변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은,
    상기 제1,2 장변 중 하나의 장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보호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상호 대향된 제1,2 장변과,
    상기 제1,2 장변을 연결하는 제1,2 단변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은,
    상기 제1,2 장변과 상기 제1,2 단변 중 적어도 두 변에 형성된 보호커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측면은,
    제 1 점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보호커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은,
    상기 피부착 물질과 제 2 점착제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 1 점착제와 상기 제 2 점착제는 결합력이 서로 다른 보호커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제의 결합력은,
    상기 제 2 점착제의 결합력보다 큰 보호커버.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점착제는,
    상기 피부착 물질과 결합하는 면의 결합력이,
    상기 유리 및 상기 필름과 결합하는 면의 결합력보다 작은 보호커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측면이 쐐기형상 또는 돌출부를 가지는 보호커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평탄영역 중 적어도 다른영역을 덮는 수평 영역을 더 포함하는 보호커버.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와 상기 피부착 물질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필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필름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유리에 접하고, 상기 제2 필름의 적어도 다른 영역은 상기 필름에 접하는 보호커버.
KR1020150131418A 2015-09-17 2015-09-17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46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18A KR102463342B1 (ko) 2015-09-17 2015-09-17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18A KR102463342B1 (ko) 2015-09-17 2015-09-17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556A true KR20170033556A (ko) 2017-03-27
KR102463342B1 KR102463342B1 (ko) 2022-11-07

Family

ID=5849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18A KR102463342B1 (ko) 2015-09-17 2015-09-17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3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481A1 (en) * 2018-07-09 2020-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glass plate
WO2023018063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윈도우 글래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41703B1 (ko) * 2021-12-28 2023-06-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5682A (ja) * 1997-10-22 1999-05-11 Seiko Epson Corp 太陽電池付電子機器
KR20150044763A (ko) * 2013-10-17 2015-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530520B1 (ko) * 2014-12-10 2015-06-24 주식회사 클라우시스 휴대기기 보호커버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5682A (ja) * 1997-10-22 1999-05-11 Seiko Epson Corp 太陽電池付電子機器
KR20150044763A (ko) * 2013-10-17 2015-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530520B1 (ko) * 2014-12-10 2015-06-24 주식회사 클라우시스 휴대기기 보호커버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481A1 (en) * 2018-07-09 2020-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glass plate
KR20200005834A (ko) * 2018-07-09 2020-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글래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819381B2 (en) 2018-07-09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glass plate
CN112384877A (zh) * 2018-07-09 2021-02-19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玻璃板的电子装置
CN112384877B (zh) * 2018-07-09 2024-05-28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玻璃板的电子装置
WO2023018063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윈도우 글래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80244B2 (en) 2021-08-10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ndow glas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41703B1 (ko) * 2021-12-28 2023-06-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의 화면 송출 영역 확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342B1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930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088700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and rollable device
TWI457880B (zh) 曲面顯示模組與顯示裝置
AU201230510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surface display
KR101990537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KR20180052810A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809991B1 (ko) 플렉서블 패널 곡면 합착 방법
KR102062918B1 (ko) 라미네이션 장치 및 그 방법
CN109873020B (zh) 贴合膜材、显示面板、显示装置、显示面板的制备方法
KR102408492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40136596A (ko)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KR20150108991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510982B (zh) 具觸控屏的電子裝置及其組裝方法
KR20170033556A (ko)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1530520B1 (ko) 휴대기기 보호커버 및 그 제작방법
US20160001521A1 (en) Curv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810599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투명패널 보호용 필름
US1152215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7167944B (zh) 显示装置
KR102391880B1 (ko)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5194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40022321A (ko) 디스플레이/터치 패널용 보호 필름
TWI534665B (zh) 觸控面板
KR200485672Y1 (ko) 곡면 액정 이동 단말기용 액정 보호 강화 유리
KR20140117179A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