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254B1 -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 Google Patents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254B1
KR102540254B1 KR1020220028512A KR20220028512A KR102540254B1 KR 102540254 B1 KR102540254 B1 KR 102540254B1 KR 1020220028512 A KR1020220028512 A KR 1020220028512A KR 20220028512 A KR20220028512 A KR 20220028512A KR 102540254 B1 KR102540254 B1 KR 102540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water
expand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상
유정식
정인수
Original Assignee
경영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영건설(주) filed Critical 경영건설(주)
Priority to KR1020220028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495Nozzles propelled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495Nozzles propelled by fluid jets
    • B08B9/0497Nozzles propelled by fluid jets provided with additional mechanical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9/05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being entrained discrete elements, e.g. balls, grinding elements, 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 F16L2101/12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 조정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 대상 시점 제수변과 종점 제수변을 각각 잠근 상태에서 상수도관 내부의 기존 수돗물 속에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설치된 고압수 분사장치를 분사하면서 회전시켜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한 후 세정하도록 구성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수도관 이음부 내면의 벌어진 틈새 통과와 곡관부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omitted}
본 발명은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 조정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 대상 시점 제수변과 종점 제수변을 각각 잠근 상태에서 상수도관 내부의 기존 수돗물 속에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설치된 고압수 분사장치를 분사하면서 회전시켜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한 후 세정하도록 구성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수도관 이음부 내면의 벌어진 틈새 통과와 곡관부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상수도관 세척공법으로는 상수도관의 외부로부터 물공급호스를 통해서 세척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세척용 노즐이나 세척장치를 진행방향으로 전체 구간을 진입시켜 수압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브러쉬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상수도관의 내면을 세척하는 직접 대면 세척공법들이 있으나, 세척을 위한 전진이나 세척장치의 회수를 위한 후진시 상수도관 사이의 벌어진 이음부 특히 곡관부의 벌어진 이음부 통과시에는 상수도관의 내면과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구르거나 빡빡한 상태로 구르거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축이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거나 평행하게 축경 또는 확경되는 구조여서 벌어진 이음부 속에 바퀴가 걸려서 진입이나 후진이 불가능하여 어려움이 있거나 이러한 공법의 적용을 기피하거나 바퀴가 파손되어 식수 공급상 지장을 초래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사례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B1)의 등록번호 10-2217529호의 상하수도관의 관로 세척장치에 의하면, 세척장치의 고정몸체 외부면에 방사방향으로 설치되는 수 개의 바퀴장치부가 하수관의 관로 내부에 고형물체를 포함한 침적물이 있는 경우에도 침적물을 넘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설치하되, 이 바퀴장치부가 세척장치의 몸체부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신축되게 구성하여 상·하수관의 내면과 바퀴가 항상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척장치의 전진이나 후진시 벌어진 이음부의 내부에 바퀴가 쉽게 빠져서 걸리는 구조로 구성되어 세척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B1)의 등록번호 10-2217529호
본 발명은 종래의 발명이 갖고 있는 상수도관의 내면과 접하는 전방부와 후방부에 위치하는 각각의 바퀴가 일정하게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평행하게 축경하거나 또는 확경하는 구조이거나 또는 양쪽 편의 바퀴가 항상 상수도관의 내면과 접하거나 중의 하나로 전진과 후진함으로써 상수도관의 벌어진 이음부 내부에 바퀴가 빠져서 끼게 되어 세척장치의 이동이 어렵거나 불가능하여 세척이 원활하게 실시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수도관 세척을 위한 바퀴축의 전·후방이 각각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로서 이의 진행과정에서는 바퀴축의 전방부가 축경되어 전진이 용이하도록 하고 세척 후 회수를 위한 후진과정에서는 바퀴축의 후방부가 축경되어 회수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상수도관의 벌어진 이음부 특히 곡관부의 벌어진 이음부 내부에 빠져서 끼지 않도록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상수도관 세척을 위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전진시 회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수도관 내의 수돗물이 난류로 변환되어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상기 상수도관 세척시 고압 분사수에 버블을 더 포함하여 혼입하여 세척시 살균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작동 원리는 세척 진행방향인 상수도관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바퀴 거치판 지지대의 외주면에 설치된 구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설치된 피스톤 로드의 한쪽 끝단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수축 및 팽창되어 전방부 및 후방부가 축경 또는 확경되도록 구성된 구조로서, 세척시 전진하면서 분사되는 고압 세척수의 작용시에는 전방부에 설치된 구동 중심축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바퀴 거치판의 외측에 설치된 바퀴들의 후방부가 확경되어 전진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좁아져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세척 후에는 후진하면서 고압 세척수의 분사를 작용시키지 않아서 전방부에 설치된 구동 중심축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바퀴 거치판의 외측에 설치된 바퀴들의 후방부가 스프링의 당김 작용으로 인해 축경되어 후진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후방부가 전방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좁아져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전·후진시 상수도관의 벌어진 이음부나 곡관부의 벌어진 이음부 내에 끼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수도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축에 해당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고 내부가 빈 통형관 형태의 고압수 공급 중심축과;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전방 끝단부 내부에 직각방향으로 통공되는 구조의 몸체인 피스톤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전방에 상수도관의 내경보다 다소 적은 원형판에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갯수로 등분한 가장자리 부분에 요철 홈을 형성하여 상수도관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수량 설치되는 바퀴 거치판 지지대와; 상기 바퀴 거치판 지지대의 가장자리 요철 홈의 돌출부 내부에 상수도관의 원주방향으로 천공하여 설치되는 구동 중심축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중간부 몸체 내의 고압수 공급 중심축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내부 통공과 이에 직각방향으로 연장하여 내설되며 소정 수량의 스프링 적치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에 설치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한쪽 끝단부가 바퀴 거치판과 만나는 곳에 설치되는 스프링 구동 중심축과; 상기 스프링 구동 중심축과 구동 중심축에 각각 직각방향으로 힌지 형태로 거치되어 상수도관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양쪽 끝단부가 상수도관의 중심부인 고압수 공급 중심축 쪽으로 다소 경사지고 소정의 단면적을 갖으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 수량으로 설치되는 바퀴 거치판과; 상기 바퀴 거치판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다소 외부로 돌출되도록 일렬로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바퀴와;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후방 끝단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과;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의 전방 외주면에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의 후방의 외주면에 고압수 공급 중심축에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회전 노즐과;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의 후방에 상수도관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거나 다소 외측을 향하도록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외주면에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수량 설치되는 전진 노즐과;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후방 끝단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물공급 호스와; 로 구성되어 세척 진행방향인 상수도관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바퀴 거치판 지지대의 외주면에 설치된 구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설치된 피스톤 로드의 한쪽 끝단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수축 및 팽창되어 전방부 및 후방부가 축경 또는 확경되도록 구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로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바퀴의 다소 내측 바퀴 거치판의 내부에 바퀴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또 다른 소정 수량의 바퀴와; 상기 바퀴 거치판의 외주면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된 외측 바퀴의 외주면과 외측 바퀴와 내측 바퀴 사이를 따라서 폐합하여 감싸도록 설치되는 무한 궤도형 벨트와; 를 각각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후방 끝단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과;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의 전방 외주면에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의 후방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외주면에 고압수 공급 중심축에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회전 노즐과;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의 후방에 상수도관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거나 다소 외측을 향하도록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외주면에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수량 설치되는 전진 노즐과; 를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후방 끝단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회전 노즐과; 상기 회전 노즐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브러쉬와; 상기 회전 노즐의 내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수도관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거나 다소 외측을 향하도록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외주면에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수량 설치되는 고압수 분사구와; 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로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후방 끝단부와 물공급 호스 사이에는 통공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 힌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바퀴 거치판 지지대의 전면에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로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에 있어서, 지반 내에 매설된 세척 대상 상수도관 시점부의 시점부 제수변과 종점부의 종점부 제수변을 각각 잠그는 공정과; 상기 시점부 제수변과 종점부 제수변을 각각 잠그는 공정 후 종점부 작업구 내의 종점부 수직관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배출 호스를 밀폐된 상태로 연결시켜 지반 상으로 연장하여 소정 길이의 투명관과 연결시켜 여과식 침전조를 경유하여 하수도 맨홀 내부로 배출 호스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하수도 맨홀 내부로 배출 호스를 설치하는 공정 후 시점부 작업구 내의 시점부 수직관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고압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전진시켜 세척 여과수가 하수도 맨홀로 배출되도록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과; 상기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 후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고압 세척수를 분사하지 않는 상태로 후진시켜 상수도관 내부로부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회수하는 공정과; 상기 상수도관 내부로부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회수하는 공정 후 상수도관 시점부의 시점부 제수변을 적당히 개방하여 수돗물을 상수도관 내부로 흐르게 하여 상수도관 내면을 세정하는 공정과; 상기 상수도관 내면을 세정하는 공정 후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와 배출 호스, 투명관, 여과식 침전조를 철수시키고 시점부 작업구 내의 시점부 수직관의 커버를 각각 닫은 후 시점부 제수변과 종점부 제수변을 각각 열어서 상수도관을 통수시키는 공정과;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시점부 작업구 내의 시점부 수직관의 커버를 개방한 후 상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고압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전진시켜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 이전이나 또는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 중이나 또는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 후 중에서 어느 하나에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수도관 내면의 상태를 촬영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상기 시점부 작업구 내의 시점부 수직관의 커버를 개방한 후 상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고압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전진시켜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 중에서 고압 세척수 내에 소정의 비율로 통상적인 버블수를 혼입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압 세척수를 통상적인 버블수로 치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수도관 세척을 위한 바퀴축의 전·후방이 각각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로서 이의 진행과정에서는 바퀴축의 전방부가 축경되어 전진이 용이하도록 하고 세척 후 회수를 위한 후진과정에서는 바퀴축의 후방부가 축경되어 회수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상수도관의 벌어진 이음부 특히 곡관부의 벌어진 이음부 내부에 빠져서 끼지 않도록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상기 상수도관 세척을 위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전진시 회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수도관 내의 수돗물이 난류로 변환되어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한편, 상기 상수도관 세척시 고압 분사수에 버블을 더 포함하여 혼입하여 세척시 살균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의 예시 단면도와 통상적인 상수도관의 벌어진 이음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예인 바퀴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3의 중앙 도시는 도 2의 단면도로서, 좌측의 도시는 후방부에 설치된 브러쉬와 전진 노즐 및 회전 노즐 부분의 횡단면도이며, 우측 도시는 전방부에 설치된 바퀴 부분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퀴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면서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상태로서 전진하는 과정에서 바퀴 구동형 구동장치의 전방부 구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부가 고압 세척수의 압력으로 확경되어 상수도관의 곡관부를 포함한 벌어진 이음부 내부에 끼어 걸리지 않는 구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퀴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서 후진하여 회수하는 과정에서 바퀴 구동형 구동장치의 전방부 구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부가 스프링의 당김 작용으로 인하여 축경되어 상수도관의 곡관부를 포함한 벌어진 이음부 내부에 끼어 걸리지 않는 구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예인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7의 중앙 도시는 도 6의 단면도로서, 좌측의 도시는 후방부에 설치된 브러쉬와 전진 노즐 및 회전 노즐 부분의 횡단면도이며, 우측 도시는 전방부에 설치된 무한궤도 부분의 횡단면도.
도 8은 도 6 내지 도 7의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면서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상태로서 전진하는 과정에서 무한궤도 구동형 구동장치의 전방부 구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부가 고압 세척수의 압력으로 확경되어 상수도관의 곡관부를 포함한 벌어진 이음부 내부에 끼어 걸리지 않는 구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서 후진하여 회수하는 과정에서 무한궤도 구동형 구동장치의 전방부 구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부가 스프링의 당김 작용으로 인하여 축경되어 상수도관의 곡관부를 포함한 벌어진 이음부 내부에 끼어 걸리지 않는 구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어 후방부는 확경되고 전방부는 축경되어 전진하면서 세척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이음부나 곡관부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원리도.
도 8은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되어 후방부는 축경되고 전방부는 확경되어 후진하면서 회수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이음부나 곡관부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원리도.
도 9는 본 발명의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구조도로서, 중앙의 도시는 단면도이고, 좌측의 도시는 후방부 브러쉬 부분의 횡단면도이며, 우측 도시는 전방부 바퀴 부분의 횡단면도.
도 10은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면서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상태로서 전진하는 과정에서 무한궤도 구동형 구동 장치의 전방부 구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부가 고압 세척수의 압력으로 확경되어 상수도관의 곡관부를 포함한 벌어진 이음부 내부에 끼어 걸리지 않는 구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 단면도.
도 11은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수의 공급이 중단되어 후방부는 축경되고 전방부는 확경되어 후진하면서 회수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이음부나 곡관부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예인 노즐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13의 중앙 도시는 도 12의 단면도로서, 좌측의 도시는 후방부에 설치된 회전 노즐에 설치된 브러쉬와 고압수 분사구 부분의 횡단면도이며, 우측 도시는 전방부에 설치된 바퀴 부분의 횡단면도.
도 14는 회전 노즐에 설치된 브러쉬와 고압수 분사구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 장치를 이용하여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도시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의 예시 단면도와 통상적인 상수도관의 벌어진 이음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인 바퀴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의 중앙 도시는 도 2의 단면도로서, 좌측의 도시는 후방부에 설치된 브러쉬와 전진 노즐 및 회전 노즐 부분의 횡단면도이며, 우측 도시는 전방부에 설치된 바퀴 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퀴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면서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상태로서 전진하는 과정에서 바퀴 구동형 구동장치의 전방부 구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부가 고압 세척수의 압력으로 확경되어 상수도관의 곡관부를 포함한 벌어진 이음부 내부에 끼어 걸리지 않는 구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퀴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서 후진하여 회수하는 과정에서 바퀴 구동형 구동장치의 전방부 구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부가 스프링의 당김 작용으로 인하여 축경되어 상수도관의 곡관부를 포함한 벌어진 이음부 내부에 끼어 걸리지 않는 구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예인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7의 중앙 도시는 도 6의 단면도로서, 좌측의 도시는 후방부에 설치된 브러쉬와 전진 노즐 및 회전 노즐 부분의 횡단면도이며, 우측 도시는 전방부에 설치된 무한궤도 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 내지 도 7의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면서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상태로서 전진하는 과정에서 무한궤도 구동형 구동장치의 전방부 구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부가 고압 세척수의 압력으로 확경되어 상수도관의 곡관부를 포함한 벌어진 이음부 내부에 끼어 걸리지 않는 구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서 후진하여 회수하는 과정에서 무한궤도 구동형 구동장치의 전방부 구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부가 스프링의 당김 작용으로 인하여 축경되어 상수도관의 곡관부를 포함한 벌어진 이음부 내부에 끼어 걸리지 않는 구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어 후방부는 확경되고 전방부는 축경되어 전진하면서 세척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이음부나 곡관부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원리도이며, 도 8은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되어 후방부는 축경되고 전방부는 확경되어 후진하면서 회수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이음부나 곡관부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원리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구조도로서, 중앙의 도시는 단면도이고, 좌측의 도시는 후방부 브러쉬 부분의 횡단면도이며, 우측 도시는 전방부 바퀴 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10은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면서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상태로서 전진하는 과정에서 무한궤도 구동형 구동장치의 전방부 구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부가 고압 세척수의 압력으로 확경되어 상수도관의 곡관부를 포함한 벌어진 이음부 내부에 끼어 걸리지 않는 구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 단면도이며, 도 11은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되어 후방부는 축경되고 전방부는 확경되어 후진하면서 회수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이음부나 곡관부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인 노즐형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3의 중앙 도시는 도 12의 단면도로서, 좌측의 도시는 후방부에 설치된 회전 노즐에 설치된 브러쉬와 고압수 분사구 부분의 횡단면도이며, 우측 도시는 전방부에 설치된 바퀴 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14는 회전 노즐에 설치된 브러쉬와 고압수 분사구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작동 원리는 세척 진행방향인 상수도관(2)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의 전방에 배치된 바퀴 거치판 지지대(1)의 외주면에 설치된 구동 중심축(3)을 기준으로 후방에 설치된 피스톤 로드(11)의 한쪽 끝단부에 설치된 스프링(13)이 수축 및 팽창되어 전방부 및 후방부가 축경 또는 확경되도록 구성된 구조로서, 세척시 전진하면서 분사되는 고압 세척수(32)의 작용시에는 전방부에 설치된 구동 중심축(3)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바퀴 거치판(9)의 외측에 설치된 바퀴(7)들의 후방부가 확경되어 전진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의 전방부가 후방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좁아져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세척 후에는 후진하면서 고압 세척수(32)의 분사를 작용시키지 않아서 전방부에 설치된 구동 중심축(3)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바퀴 거치판(9)의 외측에 설치된 바퀴(7)들의 후방부가 스프링(13)의 당김 작용으로 인해 축경되어 후진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의 후방부가 전방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좁아져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의 전·후진시 상수도관(2)의 벌어진 이음부(6)나 곡관부의 벌어진 이음부(6) 내에 끼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도관(2)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축에 해당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고 내부가 빈 통형관 형태의 고압수 공급 중심축(15)과;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15)의 전방 끝단부 내부에 직각방향으로 통공되는 구조의 몸체인 피스톤 하우징(5)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5)의 전방에 상수도관(2)의 내경보다 다소 적은 원형판에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갯수로 등분한 가장자리 부분에 요철 홈을 형성하여 상수도관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수량 설치되는 바퀴 거치판 지지대(1)와; 상기 바퀴 거치판 지지대(1)의 가장자리 요철 홈의 돌출부 내부에 상수도관(2)의 원주방향으로 천공하여 설치되는 구동 중심축(3)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5)의 중간부 몸체 내의 고압수 공급 중심축(15)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내부 통공과 이에 직각방향으로 연장하여 내설되며 소정 수량의 스프링 적치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스프링(13)과; 상기 스프링(13)의 외측 끝단부에 설치되는 피스톤 로드(11)와; 상기 피스톤 로드(11)의 한쪽 끝단부가 바퀴 거치판과 만나는 곳에 설치되는 스프링 구동 중심축(12)과; 상기 스프링 구동 중심축(12)과 구동 중심축(3)에 각각 직각방향으로 힌지 형태로 거치되어 상수도관(2)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양쪽 끝단부가 상수도관(2)의 중심부인 고압수 공급 중심축(15) 쪽으로 다소 경사지고 소정의 단면적을 갖으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 수량으로 설치되는 바퀴 거치판(9)과; 상기 바퀴 거치판(9)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다소 외부로 돌출되도록 일렬로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바퀴(7)와;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15)의 후방 끝단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19)과;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19)의 전방 외주면에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브러쉬(17)와;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19)의 후방의 외주면에 고압수 공급 중심축(15)에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회전 노즐(23)과;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19)의 후방에 상수도관(2)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거나 다소 외측을 향하도록 고압수 공급 중심축(15)의 외주면에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수량 설치되는 전진 노즐(21)과;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15)의 후방 끝단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물 공급 호스(26)와; 로 구성되어 세척 진행방향인 상수도관(2)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의 전방에 배치된 바퀴 거치판 지지대(1)의 외주면에 설치된 구동 중심축(3)을 기준으로 후방에 설치된 피스톤 로드(11)의 한쪽 끝단부에 설치된 스프링(13)이 수축 및 팽창되어 전방부 및 후방부가 축경 또는 확경되도록 구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고압 세척수(32)를 공급하는 세척 시점부 지반(55) 상의 차량(25)에는 발전기 또는 엔진(27)의 동력 공급원으로부터 워터펌프(29)를 작동시켜 물탱크(30)에 담긴 고압 세척수(32)를 호스견인장치(31)에 감긴 상태의 물공급 호스(26)를 통해서 상수도관(2) 내면을 세척하도록 구성하였고, 상기 물탱크(30) 내에는 물 흡입 호스(28)를 경유하여 통상적인 소화전(51)이나 또는 외부로부터 고압 세척수(32)를 공급받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물탱크(30) 내에는 버블발생장치(33)로부터 통상적인 버블수(36)를 고압 세척수(32) 내에 소정의 비율로 혼입하거나 또는 고압 세척수(32)를 버블수(36)로 치환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7)의 다소 내측 바퀴 거치판(9)의 내부에 바퀴(7)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또 다른 소정 수량의 바퀴(7)와; 상기 바퀴 거치판(9)의 외주면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된 외측 바퀴(7)의 외주면과 외측 바퀴(7)와 내측 바퀴(7) 사이를 따라서 폐합하여 감싸도록 설치되는 무한 궤도형 벨트(63)와; 를 각각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무한 궤도형 벨트(63)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팽팽한 상태로 폐합되어 회전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15)의 후방 끝단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19)과;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19)의 전방 외주면에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브러쉬(17)와;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19)의 후방 고압수 공급 중심축(15)의 외주면에 고압수 공급 중심축(15)에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회전 노즐(23)과;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19)의 후방에 상수도관(2)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거나 다소 외측을 향하도록 고압수 공급 중심축(15)의 외주면에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수량 설치되는 전진 노즐(21)과; 를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수 공급 중심축(15)의 후방 끝단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회전 노즐(23)과; 상기 회전 노즐(23)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브러쉬(17)와; 상기 회전 노즐(23)의 내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수도관(2)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거나 다소 외측을 향하도록 고압수 공급 중심축(15)의 외주면에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수량 설치되는 고압수 분사구(22)와; 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회전 노즐(23)과 브러쉬(17)는 통상적인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한편,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15)의 후방 끝단부와 물 공급 호스(26) 사이에는 통공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 힌지(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회전 힌지(14)는 통상적인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바퀴 거치판 지지대(1)의 전면에는 카메라(6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61)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유선의 동력 가동으로 실시간 상수도관(2) 내면의 촬영이 가능하거나, 밧데리나 건전지의 동력으로 저장하여 세척 후 확인하거나, 무선으로 촬영하는 것을 전부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에 있어서, 도 1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55) 내에 매설된 세척 대상 상수도관(2) 시점부의 시점부 제수변(47)과 종점부의 종점부 제수변(49)을 각각 잠그는 공정과; 상기 시점부 제수변(47)과 종점부 제수변(49)을 각각 잠그는 공정 후 종점부 작업구(59) 내의 종점부 수직관(45)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배출 호스(34)를 밀폐된 상태로 연결시켜 지반(55) 상으로 연장하여 소정 길이의 투명관(37)과 연결시켜 여과식 침전조(35)를 경유하여 하수도 맨홀(39) 내부로 배출 호스(34)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하수도 맨홀(39) 내부로 배출 호스(34)를 설치하는 공정 후 시점부 작업구(57) 내의 시점부 수직관(43)의 통상적인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를 이용하여 고압 세척수(32)를 분사하면서 전진시켜 세척 여과수(53)가 하수도 맨홀(39)로 배출되도록 상수도관(2)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과; 상기 상수도관(2)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 후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를 이용하여 고압 세척수(32)를 분사하지 않는 상태로 후진시켜 상수도관(2) 내부로부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를 회수하는 공정과; 상기 상수도관(2) 내부로부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를 회수하는 공정 후 상수도관(2) 시점부의 시점부 제수변(47)을 적당히 개방하여 수돗물을 상수도관(2) 내부로 흐르게 하여 상수도관(2) 내면을 세정하는 공정과; 상기 상수도관(2) 내면을 세정하는 공정 후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와 배출 호스(34), 투명관(37), 여과식 침전조(35)를 철수시키고 시점부 작업구(57) 내의 시점부 수직관(43)의 커버를 각각 닫은 후 시점부 제수변(47)과 종점부 제수변(49)을 각각 열어서 상수도관(2)을 통수시키는 공정과;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수도관(2)의 내부 수압은 3~5kg/cm2 정도로서, 고압 세척수(32)의 분사 압력은 안전상 최대 7kg/cm2 정도 이내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시점부 작업구(57) 내의 시점부 수직관(43)의 커버를 개방한 후 상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를 이용하여 고압 세척수(32)를 분사하면서 전진시켜 상수도관(2)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 이전이나 또는 상수도관(2)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 중이나 또는 상수도관(2)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 후 중에서 어느 하나에 통상적인 카메라(61)를 이용하여 상수도관(2) 내면의 상태를 촬영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61)를 이용하여 상수도관(2) 내면의 상태를 촬영하는 목적은 세척 전과 세척 후의 내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시점부 작업구(57) 내의 시점부 수직관(43)의 커버를 개방한 후 상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8, 10, 23)를 이용하여 고압 세척수(32)를 분사하면서 전진시켜 상수도관(2)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 중에서 고압 세척수(32) 내에 소정의 비율로 통상적인 버블수(36)를 혼입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압 세척수(32)에 대한 버블수(36)의 비율은 8~1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압 세척수(32)를 통상적인 버블수(36)로 치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버블수(36)는 도 1에 도시된 버블발생장치(33)를 더 포함하여 가동시켜 물탱크(30) 내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의 실시 예로부터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으므로 이는 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1 : 바퀴 거치판 지지대 2 : 상수도관
3 : 구동 중심축 5 : 피스톤 하우징
6 : 벌어진 이음부 7 : 바퀴
8 : 바퀴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
9 : 바퀴 거치판
10 : 무한궤도 구동형 상수도관 세척장치
11 : 피스톤 로드 12 : 스프링 구동 중심축
13 : 스프링 14 : 회전 힌지
15 : 고압수 공급 중심축 17 : 브러쉬
19 :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 20 : 노즐형 상수도관 세척장치
21 : 전진 노즐 22 : 고압수 분사구
23 : 회전 노즐 25 : 차량
26 : 물공급 호스 27 : 발전기 또는 엔진
28 : 물흡입 호스 29 : 워터펌프
30 : 물탱크 31 : 호스견인장치
32 : 고압 세척수 33 : 버블발생장치
34 : 배출 호스 35 : 여과식 침전조
36 : 버블수 37 : 투명관
39 : 하수도 맨홀 41 : 하수관
43 : 시점부 수직관 45 : 종점부 수직관
47 : 시점부 제수변 49 : 종점부 제수변
51 : 소화전 53 : 세척 여과수
55 : 지반 57 : 시점부 작업구
59 : 종점부 작업구 61 : 카메라
63 : 무한 궤도형 벨트

Claims (9)

  1. 상수도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축에 해당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고 내부가 빈 통형관 형태의 고압수 공급 중심축과;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전방 끝단부 내부에 직각방향으로 통공되는 구조의 몸체인 피스톤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전방에 상수도관의 내경보다 다소 적은 원형판에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갯수로 등분한 가장자리 부분에 요철 홈을 형성하여 상수도관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수량 설치되는 바퀴 거치판 지지대와; 상기 바퀴 거치판 지지대의 가장자리 요철 홈의 돌출부 내부에 상수도관의 원주방향으로 천공하여 설치되는 구동 중심축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중간부 몸체 내의 고압수 공급 중심축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내부 통공과 이에 직각방향으로 연장하여 내설되며 소정 수량의 스프링 적치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에 설치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한쪽 끝단부가 바퀴 거치판과 만나는 곳에 설치되는 스프링 구동 중심축과; 상기 스프링 구동 중심축과 구동 중심축에 각각 직각방향으로 힌지 형태로 거치되어 상수도관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양쪽 끝단부가 상수도관의 중심부인 고압수 공급 중심축 쪽으로 다소 경사지고 소정의 단면적을 갖으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 수량으로 설치되는 바퀴 거치판과; 상기 바퀴 거치판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다소 외부로 돌출되도록 일렬로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바퀴와;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후방 끝단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과;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의 전방 외주면에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의 후방의 외주면에 고압수 공급 중심축에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회전 노즐과; 상기 브러쉬 및 회전 노즐 거치판의 후방에 상수도관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거나 다소 외측을 향하도록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외주면에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수량 설치되는 전진 노즐과;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후방 끝단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물공급 호스를 포함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에 있어서,
    고압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 시점부 지반 상의 차량에는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 공급원으로부터 워터펌프를 작동시켜 물탱크에 담긴 고압 세척수를 호스견인장치에 감긴 상태의 물공급 호스를 통해서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물탱크 내에는 물 흡입 호스를 경유하여 통상적인 소화전이나 외부로부터 고압 세척수를 공급받도록 구성하며,
    상기 물탱크 내에는 버블발생장치로부터 통상적인 버블수를 고압 세척수 내에 소정의 비율로 혼입하거나 또는 고압 세척수를 버블수로 치환하여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후방 끝단부와 연결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세척 진행방향인 상수도관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상수도관 세척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바퀴 거치판 지지대의 외주면에 설치된 구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설치된 피스톤 로드의 한쪽 끝단부에 설치된 스프링이 수축 및 팽창되어 전방부 및 후방부가 축경 또는 확경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후방 끝단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회전 노즐과; 상기 회전 노즐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소정 수량의 브러쉬와; 상기 회전 노즐의 내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수도관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거나 다소 외측을 향하도록 고압수 공급 중심축의 외주면에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수량 설치되는 고압수 분사구로 치환되도록 구성하고,
    시점부 작업구 내의 시점부 수직관의 커버를 개방한 후 상기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고압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전진시켜 상수도관 내면을 세척하는 공정 중에서 고압 세척수 내에 소정의 비율로 통상적인 버블수를 상기 고압 세척수에 대한 버블수의 비율을 8~10% 정도로 혼입하도록 설치 구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28512A 2022-03-07 2022-03-07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KR102540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512A KR102540254B1 (ko) 2022-03-07 2022-03-07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512A KR102540254B1 (ko) 2022-03-07 2022-03-07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254B1 true KR102540254B1 (ko) 2023-06-08

Family

ID=8676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512A KR102540254B1 (ko) 2022-03-07 2022-03-07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2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739B1 (ko) * 2019-08-07 2019-10-17 주식회사 파워킹 수도관 세척 방법
KR102217529B1 (ko) 2020-10-20 2021-02-19 주식회사 비엠텍 상하수도관의 관로 세척장치
KR102335828B1 (ko) * 2021-07-13 2021-12-06 주식회사 대현이엔씨 클린볼을 이용한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공법
KR102351430B1 (ko) * 2021-05-14 2022-02-08 주식회사 경영엔지니어링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739B1 (ko) * 2019-08-07 2019-10-17 주식회사 파워킹 수도관 세척 방법
KR102217529B1 (ko) 2020-10-20 2021-02-19 주식회사 비엠텍 상하수도관의 관로 세척장치
KR102351430B1 (ko) * 2021-05-14 2022-02-08 주식회사 경영엔지니어링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방법
KR102335828B1 (ko) * 2021-07-13 2021-12-06 주식회사 대현이엔씨 클린볼을 이용한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095B1 (ko) 무동력 자전을 이용한 관로세척장치
KR100774153B1 (ko) 노후된 관로 세관용 자주차
KR101098889B1 (ko) 차량용 휠 세척장치
KR102351430B1 (ko)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방법
KR100848177B1 (ko) 세관 및 도장 겸용 센터링 디바이스
KR20090025881A (ko) 노후 관로의 콜타르 제거장치
KR101997651B1 (ko) 하수도관의 퇴적된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730374B1 (ko) 관로의 세척장치
KR102540254B1 (ko) 바퀴축의 전·후방 축경과 확경이 가능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JP6629104B2 (ja) 車輌泥落洗浄装置
KR200411714Y1 (ko) 무동력 자전을 이용한 관로의 건조 및 준설장치
CN211816875U (zh) 非开挖管道淤泥清理装置
CN211571939U (zh) 一种工业排污管道用快速稳定疏通清理装置
JPH01262976A (ja) 横臥状態の鋼管等の内壁に発生した錆又は附着したコンクリート等の剥離装置。
KR100807803B1 (ko) 노후된 비정원 관로 세관용 자주차
CN210847506U (zh) 一种铁路风动软管清洗装置
CN220908664U (zh) 一种市政工程用排水管道清理装置
CN220479638U (zh) 管道清理设备
CN215105957U (zh) 一种排污管道用淤泥清理装置
CN117779937B (zh) 一种给排水管道清理装置
CN220658610U (zh) 一种石油开采用油管内壁清洗机
CN218116597U (zh) 污水治理工程用淤泥清除装置
CN213625402U (zh) 一种节约型作业洗扫车
CN215031980U (zh) 一种用于管道硬质物破碎的设备
CN220565400U (zh) 一种管道清淤疏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