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152B1 - 문신장치 - Google Patents

문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152B1
KR102540152B1 KR1020220166049A KR20220166049A KR102540152B1 KR 102540152 B1 KR102540152 B1 KR 102540152B1 KR 1020220166049 A KR1020220166049 A KR 1020220166049A KR 20220166049 A KR20220166049 A KR 20220166049A KR 102540152 B1 KR102540152 B1 KR 102540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injection hole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백선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백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백선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22016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작동공간에 상기 바늘이 전후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바늘의 전단이 출몰할 수 있도록 입구가 전방으로 관통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이 삽입되도록 내부의 결합공간이 후방으로 개방되고, 하우징의 전단이 돌출되도록 통과홀이 전방으로 관통되는 가이드와, 피부를 지지하도록 가이드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통과홀의 일측에 편심 위치되고, 하우징의 전단보다 길게 연장되어 바늘이 피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설정길이로 유지시키는 지지돌기 및, 가이드의 일측으로 개방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가이드의 후방으로 절개되어 하우징의 전단이 측방으로 통과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는 결합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문신장치{tattoo device}
본 발명은 문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늘이 삽입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잉크의 용량과 바늘이 삽입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문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신장치(핸드피스라고도 함)는 바늘(needle)을 사용하여 피부에 문신용 잉크를 침투시키거나 또는 피부의 환부에 도포한 액체나 겔(gel) 상태의 약품을 피부속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문신장치는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바늘이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며, 바늘이 반복해서 피시술자의 피부를 찌르는 동안에 문신용 잉크가 바늘을 타고 내려오도록 하여 피부로 침투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종래의 문신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고,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작동공간의 전방영역으로 잉크가 주입되도록 일측에 주입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작동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작동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단이 피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바늘 및,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문신장치는 문신 시술 과정에서 하우징의 전단과 피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어 바늘이 피부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경우 과다 출혈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었고, 문신 시술 과정에서 시술자가 바늘이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해야 하므로 시술자의 피로도가 증가하였으며,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지므로 문신 시술시 결과물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1124호(2018년 02월 14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문신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늘이 삽입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잉크의 용량과 바늘이 삽입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문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는 내부의 작동공간에 바늘이 전후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바늘의 전단이 출몰할 수 있도록 입구가 전방으로 관통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삽입되도록 내부의 결합공간이 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단이 돌출되도록 통과홀이 전방으로 관통되는 가이드와, 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통과홀의 일측에 편심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단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바늘이 상기 피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설정길이로 유지시키는 지지돌기 및, 상기 가이드의 일측으로 개방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가이드의 후방으로 절개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단이 측방으로 통과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는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홀은 폭방향이 상기 결합공간보다 좁은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결합홀의 폭방향으로 통과시키는 경우 탄성 변형되어 상기 결합홀의 간격을 확장시킨 후 탄성 복원되어 상기 결합홀의 간격을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제1주입홀과,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고, 상기 결합공간에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 상기 제1주입홀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제2주입홀 및, 상기 결합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주입홀의 가장자리에 편심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상기 결합공간에 삽입시 상기 제1주입홀의 내주면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주입홀과 상기 제2주입홀은 내주면이 원주를 이룰 수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주입홀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2주입홀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의 전방에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측면이 원주를 이루고, 일측에 상기 제1주입홀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1후방 몸체 및,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전방에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전단에 상기 입구가 형성되는 제1전방 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후방 몸체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측면이 원주를 이루고, 일측에 상기 제2주입홀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2후방 몸체 및, 상기 제1전방 몸체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제2후방 몸체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통과홀이 전방으로 관통되며, 전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돌기가 돌출되는 제2전방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작동공간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일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전방으로 절개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단을 측방으로 노출시키는 개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늘이 피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문신 시술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우징을 쉽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의 용량과 바늘이 삽입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과 문신 시술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토퍼에 의해 하우징이 걸림 위치되므로 하우징과 가이드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의 하우징과 가이드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의 하우징과 가이드가 분리된 상태를 배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의 하우징과 가이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의 가이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에 걸림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에 삽입홈과 삽입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배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에 삽입홈과 삽입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의 하우징과 가이드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의 하우징과 가이드가 분리된 상태를 배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의 하우징과 가이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의 가이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에 걸림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에 삽입홈과 삽입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배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에 삽입홈과 삽입돌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는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바늘(20)이 전후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문신장치로서, 하우징(100)과, 가이드(200)와, 지지돌기(300) 및, 결합홀(4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일정 넓이의 작동공간(110)이 형성되고, 작동공간(110)과 연통되도록 입구(120)가 전방으로 관통된다. 하우징(100)은 전후로 길이를 갖고, 측면이 원주를 이루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작동공간(110)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작동공간(110)의 내부에는 바늘(20)이 전후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작동공간(110)의 내주면에는 바늘(20)을 전후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늘(20)의 전단에는 시술 대상 피부(1)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바늘 날부가 형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100)은 측면이 원주를 이루고, 일측에 제1주입홀(130)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1후방 몸체(101) 및, 제1후방 몸체(101)의 전방에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전단에 입구(120)가 형성되는 제1전방 몸체(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주입홀(130)은 잉크(P)를 작동공간(110)의 전방영역으로 주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작동공간(110)의 전방영역과 입구(120)가 연통될 수 있고, 제1주입홀(130)의 내주면은 원주를 이룰 수 있으며, 제1주입홀(130)을 통해 잉크(P)를 주입시키는 경우 작동공간(110)의 전방영역에 잉크(P)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전방 몸체(102)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를 갖고, 잉크(P)가 수용되는 작동공간(110)의 전방영역은 제1전방 몸체(10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늘(20)이 전단에 형성된 바늘 날부는 작동공간(110)의 전방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늘(20)이 전진하는 경우 바늘 날부가 입구(120)를 통해 제1전방 몸체(102)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바늘(20)이 후퇴되는 경우 바늘 날부가 입구(120)를 통해 작동공간(110)의 전방영역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후방 몸체(101)의 외주면에는 후술될 제2후방 몸체(201)의 후단을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걸림턱(150)이 돌출될 수 있고, 걸림턱(150)은 제1후방 몸체(101)의 원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될 제2후방 몸체(20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후술 될 가이드(200)를 하우징(100)의 외부에 결합시키는 경우 제1후방 몸체(101)의 후단이 걸림턱(150)의 전단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후방 몸체(101)의 후단은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파지부의 내부에는 바늘(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후방 몸체(101)의 후단과 파지부의 전단에는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가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후단을 파지부의 전단에 결합시키는 경우 구동부와 바늘(20)의 후단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후방 몸체(101)를 파지부의 전단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바늘(2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될 수 있고, 제어부에는 구동부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시술자는 제어부를 이용해 구동부의 온(ON)/오프(OFF) 상태를 가변시킬 수 있다.
구동부를 구동 온(ON) 상태로 전환시키는 경우 구동부 구동력에 의해 바늘(20)이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바늘(20)이 전진하는 경우 바늘 날이 입구(120)를 통해 제1전방 몸체(102)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바늘 날이 시술 대상 피부(1)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면서 작동공간(110)으로 공급되는 잉크(A)를 피부(1)에 주입시킬 수 있다.
가이드(200)는 하우징(100)의 외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하우징(100)이 삽입되도록 내부의 결합공간(210)이 후방으로 개방되고, 하우징(100)의 전단이 돌출되도록 통과홀이 전방으로 관통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플라스틱(plastic) 소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결합공간(210)을 외부로 연통시키고, 결합공간(210)에 하우징(100)을 결합시 제1주입홀(130)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제2주입홀(220) 및, 결합공간(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주입홀(220)의 가장자리에 편심 위치되고, 하우징(100)을 결합공간(210)에 삽입시 제1주입홀(130)의 내주면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는 스토퍼(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30)는 제1주입홀(13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곡선을 이루고, 제2주입홀(220)을 기준으로 가이드(200)의 전방에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가이드(200)는 제1후방 몸체(101)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측면이 원주를 이루고, 일측에 제2주입홀(220)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2후방 몸체(201) 및, 전술한 제1전방 몸체(102)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제2후방 몸체(201)의 전방에 형성되고, 통과홀이 전방으로 관통되며, 전단으로부터 지지돌기(300)가 돌출되는 제2전방 몸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주입홀(220)은 잉크(P)를 작동공간(110)의 전방영역으로 주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후술될 결합홀(400)을 통해 결합공간(210)에 하우징(100)을 결합시키는 경우 제1주입홀(130)과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이때 스토퍼(230)가 제1주입홀(13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곡선으로 밀착되고, 스토퍼(230)가 제2주입홀(220)을 기준으로 가이드(200)의 전방에 편심되게 걸림 위치되므로 하우징(100)이 결합공간(210)의 후방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제2전방 몸체(202)는 제1전방 몸체(102)와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를 갖고, 제2전방 몸체(202)의 내부에는 제2전방 몸체(202)와 대응되는 결합공간(210)이 형성되며, 제2전방 몸체(202)의 전방에 형성된 통과홀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된다.
하우징(100)을 결합공간(210)에 결합시키는 경우 제1전방 몸체(102)의 전단이 통과홀을 통해 제2전방 몸체(202)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바늘(20)이 전진하는 경우 바늘 날부가 입구(120)를 통해 제1전방 몸체(102)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바늘(20)이 후퇴되는 경우 바늘 날부가 입구(120)를 통해 작동공간(110)의 전방영역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전방 몸체(202)의 일측으로 개방되고, 제2전방 몸체(202)의 전방으로 절개되어 하우징(100)의 전단을 측방으로 노출시키는 개방홀(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방홀(260)은 제2전방 몸체(202)의 전후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후술될 결합홀(400)과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을 결합공간(210)에 결합시키는 경우 제1전방 몸체(102)의 전단이 통과홀을 통해 제2전방 몸체(202)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제1전방 몸체(102)의 일측이 개방홀(260)을 통해 측방으로 노출된다. 즉 제1전방 몸체(102)의 내부에 형성된 작동공간(110)의 전방영역이 개방홀(260)을 통해 노출되므로 시술자는 작동공간(110)의 전방영역에 수용된 잉크(A)의 존재 유무, 용량, 색상 등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지지돌기(300)는 피부(1)를 지지하도록 가이드(200)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통과홀의 일측에 편심 위치되고, 하우징(100)의 전단보다 길게 연장되어 바늘(20)이 피부(1)에 삽입되는 길이를 설정길이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지지돌기(300)의 전단은 피부(1)와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복록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시술자가 파지부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지지돌기(300)의 전단을 피부(1)에 밀착시키고, 가이드(200)를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위치시킨다. 이때 지지돌기(300)가 제2전방 몸체(202)의 전단을 기준으로 전방에 편심되게 위치되고, 지지돌기(300)의 전단을 기준으로 가이드(200)가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위치되며, 제2전방 몸체(202)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1전방 몸체(102)의 전단이 피부(1)로부터 이격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부를 구동 온(ON) 상태로 전환시키는 경우 바늘(20)이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바늘(20)이 전진할 때 바늘 날부가 피부(1)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 후 후방으로 후퇴되는 동작을 반복하며, 바늘 날부가 출몰하는 과정에서 작동공간(110)의 전방영역에 수용된 잉크(A)가 바늘 날부에 도포된 상태로 피부(1)에 침투된다.
이후, 지지돌기(300)를 피부(1)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문신 시술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지지돌기(300)가 제1전방 몸체(102)의 전단을 피부(1)로부터 이격 위치시키므로, 바늘(20)이 전진할 때 바늘 날부가 피부(1)에 삽입되는 길이를 설정길이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바늘 날부가 삽입되는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문신 시술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돌기(300)의 양측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호간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사부(3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시술자가 지지돌기(300)의 전단을 시술 대상자의 피부(1)에 밀착시키는 경우 좁은 면적으로 피부(1)에 접촉되므로 지지돌기(300)를 슬라이드 이동시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300)의 전단이 좁은 좌우 폭을 가지므로, 지지돌기(300)의 전단이 피부(1)와 경사지게 접촉시 가이드(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바늘(20)의 바늘 날부가 지지돌기(300)의 전단과 제2전방 몸체(202)의 전단 사이를 통해 측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제1전방 몸체(102)의 입구(120)를 통해 출몰하는 바늘 날부의 위치와 시술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결합홀(400)은 가이드(200)의 일측으로 개방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가이드(200)의 후방으로 절개되어 하우징(100)이 측방으로 통과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고, 결합홀(400)은 전술한 제2주입홀(220)의 관통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홀(400)의 전방은 제2전방 몸체(202)의 후방영역까지 연장되어 제2전방 몸체(202)의 일측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고, 결합홀(400)의 후방은 제2후방 몸체(201)의 전후방향으로 절개되어 제2후방 몸체(201)의 일측을 모두 개방시킨다.
하우징(100)을 결합공간(210)에 결합시키는 경우 도 7에서처럼 제1전방 몸체(102)의 전단을 결합홀(400)을 통해 결합공간(210)으로 경사지게 삽입시킨 후, 제1전방 몸체(102)의 후방영역과 제1후방 몸체(101)를 결합홀(400)을 통해 삽입시켜 결합공간(210)의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삽입시킨다.
이 과정에서, 가이드(200)가 탄성 변형되어 결합홀(400)의 간격을 확장시킨 후 탄성 복원되어 결합홀(400)의 간격을 복귀시키고, 결합공간(210)의 내주면이 하우징(100)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밀착되며, 제1주입홀(130)과 제2주입홀(220)이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스토퍼(230)가 제1주입홀(130)의 내부로 삽입되고, 스토퍼(230)의 일면이 제1주입홀(13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곡선으로 밀착되며, 스토퍼(230)가 제2주입홀(220)을 기준으로 가이드(200)의 전방에 편심되게 걸림 위치되므로 하우징(100)이 결합공간(210)의 후방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제2전방 몸체(202)의 전방영역이 제1전방 몸체(102)의 가장자리를 감싸고, 제1전방 몸체(102)의 전단이 통과홀을 통해 제2전방 몸체(202)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전방 몸체(102)의 전단이 개방홀(260)을 통해 측방으로 노출된다.
즉, 제1전방 몸체(102)의 내부에 형성된 작동공간(110)의 전방영역이 개방홀(260)을 통해 노출되므로, 시술자는 작동공간(110)의 전방영역에 수용된 잉크(A)의 존재 유무, 용량, 색상 등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결합홀(400)을 통해서도 하우징(100)의 측부가 노출되므로 작동공간(110)의 내부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하우징(100)을 결합공간(21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제1후방 몸체(101)를 결합홀(400)을 통해 경사지게 통과시켜 가이드(200)의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스토퍼(230)가 제1주입홀(130)의 내부로부터 이탈되고, 가이드(200)가 탄성 변형되어 결합홀(400)의 간격을 확장시킨 후 탄성 복원되어 결합홀(400)의 간격을 복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는 도 9에서처럼 스토퍼(23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30)는 제2주입홀(220)을 기준으로 가이드(200)의 전방에 편심되게 위치되고, 걸림돌기(230)는 스토퍼(23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230)는 곡면(반구 형상 등)을 이루면서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100)을 결합공간(210)에 결합시키는 경우 도 9에서처럼 제1주입홀(130)과 제2주입홀(220)이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스토퍼(230)가 제1주입홀(130)의 내부로 삽입되며, 걸림돌기(230)가 제1주입홀(130)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작동공간(110)으로 슬라이드 이동됨과 동시에 스토퍼(230)가 가이드(200)의 후방으로 탄성 벤딩된다.
이때, 걸림돌기(230)가 제1주입홀(130)을 통과한 후 스토퍼(230)가 복귀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걸림돌기(230)가 작동공간(110)의 내부에 걸림 위치된다. 즉 걸림돌기(230)가 작동공간(110)의 내주면에 걸림 위치되므로 스토퍼(2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는 도 10과 11에서처럼 하우징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140) 및, 삽입홈(140)과 대응되게 암수로 결합될 수 있도록 작동공간(1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돌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기(250)는 곡면(반구 형상 등)을 이루면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고, 제2주입홀(220)이 관통되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양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을 결합홀(400)을 통해 결합공간(210)에 결합시키는 경우 삽입돌기(250)가 삽입홈(140)에 대응되게 삽입된다.
삽입홈(140)은 곡면(반구 형상 등)을 이루면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삽입돌기(250)가 대응되게 암수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1후방 몸체(10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을 결합공간(210)에 결합시키는 경우 삽입돌기(250)가 삽입홈(140)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므로, 하우징(100)이 외력에 의해 결합홀(400)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삽입돌기(250)와 삽입홈(140)의 암수 결합 구조와 스토퍼(230)의 걸림 구조가 복합적으로 적용되므로 하우징(100)과 가이드(20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바늘(20)이 피부(1)에 삽입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문신 시술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우징(100)을 쉽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잉크(A)의 용량과 바늘(20)이 삽입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과 문신 시술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토퍼(230)에 의해 하우징(100)이 걸림 위치되므로 하우징(100)과 가이드(2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피부 20: 바늘
100: 하우징 101: 제1후방 몸체
102: 제1전방 몸체 110: 작동공간
120: 입구 130: 제1주입홀
150: 걸림턱 160: 삽입홈
200: 가이드 201: 제2후방 몸체
202: 제2전방 몸체 210: 결합공간
220: 제2주입홀 230: 스토퍼
240: 걸림돌기 250: 삽입돌기
260: 개방홀 300: 지지돌기
310: 경사부 400: 결합홀
A: 잉크

Claims (5)

  1. 내부의 작동공간에 바늘이 전후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바늘의 전단이 출몰할 수 있도록 입구가 전방으로 관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삽입되도록 내부의 결합공간이 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단이 돌출되도록 통과홀이 전방으로 관통되는 가이드;
    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통과홀의 일측에 편심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단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바늘이 상기 피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설정길이로 유지시키는 지지돌기; 및
    상기 가이드의 일측으로 개방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가이드의 후방으로 절개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단이 측방으로 통과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는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홀은 폭방향이 상기 결합공간보다 좁은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결합홀의 폭방향으로 통과시키는 경우 탄성 변형되어 상기 결합홀의 간격을 확장시킨 후 탄성 복원되어 상기 결합홀의 간격을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제1주입홀과,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고, 상기 결합공간에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 상기 제1주입홀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제2주입홀 및,
    상기 결합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주입홀의 가장자리에 편심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상기 결합공간에 삽입시 상기 제1주입홀의 내주면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입홀과 상기 제2주입홀은,
    내주면이 원주를 이루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주입홀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2주입홀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의 전방에 편심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측면이 원주를 이루고, 일측에 상기 제1주입홀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1후방 몸체 및,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전방에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전단에 상기 입구가 형성되는 제1전방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후방 몸체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측면이 원주를 이루고, 일측에 상기 제2주입홀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2후방 몸체 및,
    상기 제1전방 몸체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제2후방 몸체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통과홀이 전방으로 관통되며, 전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돌기가 돌출되는 제2전방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작동공간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일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전방으로 절개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단을 측방으로 노출시키는 개방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KR1020220166049A 2022-12-01 2022-12-01 문신장치 KR102540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049A KR102540152B1 (ko) 2022-12-01 2022-12-01 문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049A KR102540152B1 (ko) 2022-12-01 2022-12-01 문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152B1 true KR102540152B1 (ko) 2023-06-05

Family

ID=8676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049A KR102540152B1 (ko) 2022-12-01 2022-12-01 문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1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411A (ko) * 2009-07-14 2011-01-20 봄텍전자 주식회사 문신 및 반영구문신용 색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문신장치
CN204502099U (zh) * 2015-02-15 2015-07-29 黄仲辉 纹身针筒
CN106902452A (zh) * 2017-01-12 2017-06-30 苏州市相城区棱峰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纹身装置
KR200495558Y1 (ko) * 2021-08-31 2022-06-22 이동민 바늘가이더가 설치된 문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411A (ko) * 2009-07-14 2011-01-20 봄텍전자 주식회사 문신 및 반영구문신용 색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문신장치
CN204502099U (zh) * 2015-02-15 2015-07-29 黄仲辉 纹身针筒
CN106902452A (zh) * 2017-01-12 2017-06-30 苏州市相城区棱峰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纹身装置
KR200495558Y1 (ko) * 2021-08-31 2022-06-22 이동민 바늘가이더가 설치된 문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0430B1 (en) Cannula for catgut-embedding therapy
KR101713939B1 (ko) 피부시술장치용 니들 유닛
CN111836661B (zh) 刺穿皮肤的装置和针组件
KR100452754B1 (ko) 카테터용 가이드 와이어 삽입장치
CN106902452B (zh) 一种纹身装置
US10729198B2 (en) Seam ripper
KR101765241B1 (ko) 피부 시술장치
KR101539664B1 (ko) 피부 시술용 약물 주입장치
KR10138374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멀티니들 조립체
KR101439228B1 (ko) 부작용과 통증을 예방할 수 있는 정밀 필러 주입 장치
KR20050119625A (ko) 공압식 약물주사용 건
GB2498772A (en) Lancing device moving lancet needle in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lancet needle and lancing device with anti-recocking means
KR102540152B1 (ko) 문신장치
TWI717419B (zh) 用於皮膚治療的藥物注射裝置
KR20190118460A (ko) 피부시술용 멀티니들모듈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KR102251026B1 (ko) 피부 시술용 주사장치
KR102496843B1 (ko) 피부시술용 주사 장치
CN209951937U (zh) 一种安全型静脉留置针
KR20180082756A (ko) 피부용 액체 투입장치
KR101763844B1 (ko) 피부시술용 멀티니들 조립체
KR20170137849A (ko) 안내 렌즈 삽입 기구
KR101639415B1 (ko) 피부 시술장치용 니들 조립체
KR101888876B1 (ko) 피부 시술용 니들 모듈
KR101992315B1 (ko) 매선실의 연속공급이 가능한 매선 시술기구
CN209967410U (zh) 皮肤施术用注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