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843B1 -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 Google Patents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843B1
KR102539843B1 KR1020200124548A KR20200124548A KR102539843B1 KR 102539843 B1 KR102539843 B1 KR 102539843B1 KR 1020200124548 A KR1020200124548 A KR 1020200124548A KR 20200124548 A KR20200124548 A KR 20200124548A KR 102539843 B1 KR102539843 B1 KR 102539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fingers
handheld device
replaces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405A (ko
Inventor
오주혜
정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락토마이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락토마이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락토마이스터
Priority to KR1020200124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84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7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일 양상에 따른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는,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인출된 상태에서 제2 형상을 유지하는 손가락 대체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Handheld device to replace fingers}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체가 인간이나 동물에 침입하여 그 장기에 자리잡고 증식하는 것을 총칭하여 감염이라고 하며, 전염병은 감염병 중에서도 그 전염력이 강하여 소수의 병원체로도 쉽게 감염되고 많은 사람들에게 쉽게 옮아가는 질병을 말한다.
엘리베이터 버튼 등 공공 장소에 설치된 버튼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버튼은 많은 사람들과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버튼을 통해 전염병에 감염될 위험이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장갑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장갑의 경우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은 날을 제외하고 평소에 사용하는 사람이 많지 않으며, 필요한 상황에 썼다 벗어다 하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더군다나 여름과 같이 기온이 높고 습한 날에 장갑을 사용하면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손가락을 대체하여 공공 장소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를 동작시키는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는,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인출된 상태에서 제2 형상을 유지하는 손가락 대체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형상은 스틱 형상이고, 상기 제2 형상은 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버튼 안내 슬릿; 및 상기 측벽에 상기 버튼 안내 슬릿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대체 부재는 상기 버튼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대체 부재는, 2개의 뼈대; 상기 2개의 뼈대의 일단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2개의 뼈대의 타단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2개의 뼈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감싸는 외부 커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뼈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제1 뼈대가 연결되는 제1 연결 부재; 제2 뼈대가 연결되는 제2 연결 부재; 및 소정의 복원력을 가지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관절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절 부재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커버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 내부에 상기 2개의 뼈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대체 부재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는,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착탈되는 뚜껑;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는,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끈이 삽입되는 홀; 을 포함할 수 있다.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를 이용하여 공공 장소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접촉에 의한 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다.
친숙하고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소지 및 사용에 불편하지 않고 휴대가 간편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의 제1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상태에서의 손가락 대체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의 제2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상태에서의 손가락 대체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뼈대(221a), 제1 연결 부재(222a) 및 관절 부재(223)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기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일측", "타측", "상부", "하부"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 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하다. 즉,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의 제1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 상태에서의 손가락 대체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의 제2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 상태에서의 손가락 대체 부재의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이하, 휴대용 장치)는 손가락을 대신하여 공공 장소의 물건을 터치하거나 작동시킬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장치는 손가락을 대신하여 엘리베이터 등의 버튼을 누르거나, 각 종 레버(예컨대, 문고리 등)에 걸어 레버의 작동을 수행하는 용도 등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용 장치는 본체(110) 및 뚜껑(120)을 포함하며, 본체(110)는 본체 케이스(210) 및 손가락 대체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케이스(210)는 휴대용 장치를 넘어지지 않고 세울 수 있도록 하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케이스(210)는 내부에 손가락 대체 부재(2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케이스(210)는 일측 단부가 개방된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 케이스(210)의 측벽(211)의 어느 한 측면에는 버튼 안내 슬릿(213)이 형성될 수 있다. 버튼 안내 슬릿(213)은 본체 케이스(210)의 측벽(21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케이스(210)의 측벽(211)의 외측면에는 버튼(212)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즉 버튼 안내 슬릿(213)에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버튼(212)은 손가락 대체 부재(214)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214)와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212)의 수직 이동을 통해 지지 부재(214)와 손가락 대체 부재(214)를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손가락 대체 부재(214)가 본체 케이스(210)에 삽입되거나 본체 케이스(2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본체 케이스(210)의 측벽(211)의 내측면은 손가락 대체 부재(214)의 수직 이동이 용이하도록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면 처리가 될 수 있다.
한편, 손가락 대체 부재(220)는 지지 부재(214)에 연결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대체 부재(220)는 지지 부재(214)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손가락 대체 부재(220)는 개별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손가락 대체 부재(220)는 2개의 뼈대(221a, 221b), 제1 연결부(224), 제2 연결부(227) 및 외부 커버(228)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뼈대(221a, 221b)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뼈대(221a, 221b)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변형시킬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24)는 2개의 뼈대(221a, 221b)의 일단들 사이에 배치되어 2개의 뼈대(221a, 221b)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연결부(224)는 제1 연결 부재(222a), 제2 연결 부재(222b) 및 제1 연결 부재(222a)와 제2 연결 부재(222b)를 연결하는 관절 부재(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222a)의 일측에는 제1 뼈대(221a)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관절 부재(223)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연결 부재(222b)의 일측에는 제2 뼈대(221b)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관절 부재(223)가 연결될 수 있다.
관절 부재(223)는 소정의 복원력을 가지고, 제1 연결 부재(222a)와 제2 연결 부재(22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절 부재(223)는 힘이 가해지면 변형되고 힘이 제거되면 복원되는 스프링(예컨대, 비틀림 스프링)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27)는 2개의 뼈대(221a, 221b)의 타단들 사이에 배치되어 2개의 뼈대(221a, 221b)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연결부(227)는 제1 연결 부재(225a), 제2 연결 부재(225b) 및 제1 연결 부재(225a)와 제2 연결 부재(225b)를 연결하는 관절 부재(2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225a)의 일측에는 제1 뼈대(221a)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관절 부재(226)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연결 부재(225b)의 일측에는 제2 뼈대(221b)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관절 부재(226)가 연결될 수 있다.
관절 부재(226)는 소정의 복원력을 가지며, 제1 연결 부재(225a)와 제2 연결 부재(225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절 부재(226)는 힘이 가해지면 변형되고 힘이 제거되면 복원되는 스프링(예컨대, 비틀림 스프링)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커버(228)는 2개의 뼈대(221a, 221b), 제1 연결부(224) 및 제2 연결부(227)를 포함하는 결합체(이하, 결합체)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커버(228)는 중심부(229)가 비어있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전술한 결합체를 수용할 수 있다. 전술한 결합체는 외부 커버(228)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다르면, 외부 커버(228)는 전술한 결합체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커버(228)는 터치 센서(예컨대, 정전용량 방식 터치 센서)에 터치 입력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커버(228)는 휴대용 장치의 물 세척이 가능하도록 방수 처리가 될 수 있다.
손가락 대체 부재(220)는 스틱 형상의 제1 상태(P1, 도 2 및 도 3 참조)와, 링 형상의 제2 상태(P2, 도 4 및 도 5 참조)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링 형상은 반경이 동일한 오링 뿐만 아니라 장축 반경 및 단축 반경이 유사한 타원링 등을 포함하며, 스틱 형상은 어느 한쪽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장축 반경 및 단축 반경의 차이가 큰 타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손가락 대체 부재(220)는 본체 케이스(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상태(P1) 즉, 스틱 형상을 유지하고, 본체 케이스(210)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제2 상태(P2) 즉, 링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손가락 대체 부재(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부가 본체 케이스(2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가락 대체 부재(220)는 손가락 대체 부재(2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제2 상태(P2)를 유지하고, 손가락 대체 부재(220)의 양 측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상태(P1)를 유지할 수 있다. 손가락 대체 부재(220)가 본체 케이스(210)에 삽입되면, 손가락 대체 부재(220)의 외측면은 본체 케이스(210)의 측벽(211)과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손가락 대체 부재(220)에 측벽(211)으로부터의 외력이 가해지고 손가락 대체 부재(220)의 내측면은 손가락의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서로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되어 손가락 대체 부재(220)는 제1 상태(P1)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손가락 대체 부재(220)가 본체 케이스(210)에서 인출되면 측벽(211)으로부터의 외력이 사라지고 손가락 대체 부재(220)는 관절 부재(223) 및 관절 부재(226)의 복원력에 의해 서로 접촉되거나 근접한 내측면이 멀어져 제2 상태(P2)로 변화하고, 제2 상태(P2)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는 제1 상태(P1) 및 제2 상태(P2)의 손가락 대체 부재(220)를 이용하여 공공 장소의 물건을 터치하거나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상태(P1)의 손가락 대체 부재(220)를 이용하여 각 종 버튼(예컨대 엘리베이터 버튼 등)을 누르거나, 제2 상태(P2)의 손가락 대체 부재(220)를 이용하여 각 종 레버(예컨대, 문고리 등)를 동작시킬 수 있다.
뚜껑(120)은 본체 케이스(210)로부터 착탈되어 본체(110)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120)의 하부 내주면에는 착탈홈이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210)의 외주면에는 착탈돌기가 형성되어 뚜껑(120)와 본체 케이스(21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케이스(210)의 하부에는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끈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홀에 끈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홀에 삽입된 끈을 이용하여 휴대용 장치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휴대용 장치를 목걸이 형식, 열쇠 고리 형식 등으로 휴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는 본체 케이스(210)의 측벽(211)에 형성된 버튼(212)을 버튼 안내 슬릿(212)에 따라 수직 이동함으로써 손가락 대체 부재(220)가 수직 이동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장치는 본체 케이스(210)의 하단부를 돌려 손가락 대체 부재(220)가 수직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제1 뼈대(221a), 제1 연결 부재(222a) 및 관절 부재(223)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연결 부재(222a)의 일측에는 제1 뼈대(221a)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제1 연결 부재(222a)의 타측에는 관절 부재(223)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222a)의 일측에 형성된 공간에 제1 뼈대(221a)가 삽입되고 제1 연결 부재(222a)의 타측에 형성된 공간에 관절 부재(223)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222a)에 삽입된 제1 뼈대(221a) 및 관절 부재(223)는 제1 연결 부재(222a)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연결 방법은 제2 뼈대(221b), 제2 연결 부재(222b) 및 관절 부재(223)의 연결과, 제1 뼈대(221a), 제1 연결 부재(225a) 및 관절 부재(226)의 연결과, 제2 뼈대(221b), 제2 연결 부재(225b) 및 관절 부재(226)의 연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본체 120: 뚜껑
210: 본체 케이스 220: 손가락 대체 부재
211: 측벽 212: 버튼 안내 슬릿
213: 버튼 221a: 제1 뼈대
221b: 제2 뼈대 222a, 225a: 제1 연결 부재
222b, 225b: 제2 연결 부재 223, 226: 관절 부재
224: 제1 연결부 227: 제2 연결부
228: 외부 커버

Claims (11)

  1.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인출된 상태에서 제2 형상을 유지하는 손가락 대체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대체 부재는,
    2개의 뼈대;
    상기 2개의 뼈대의 일단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2개의 뼈대의 타단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2개의 뼈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감싸는 외부 커버; 를 포함하는,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은 스틱 형상이고, 상기 제2 형상은 링 형상인,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버튼 안내 슬릿; 및
    상기 측벽에 상기 버튼 안내 슬릿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대체 부재는 상기 버튼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뼈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벤딩되어 형성되는,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제1 뼈대가 연결되는 제1 연결 부재;
    제2 뼈대가 연결되는 제2 연결 부재; 및
    소정의 복원력을 가지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관절 부재; 를 포함하는,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부재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는,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 내부에 상기 2개의 뼈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수용하는,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대체 부재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착탈되는 뚜껑; 을 더 포함하는,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끈이 삽입되는 홀; 을 포함하는,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KR1020200124548A 2020-09-25 2020-09-25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KR102539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548A KR102539843B1 (ko) 2020-09-25 2020-09-25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548A KR102539843B1 (ko) 2020-09-25 2020-09-25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405A KR20220041405A (ko) 2022-04-01
KR102539843B1 true KR102539843B1 (ko) 2023-06-08

Family

ID=8118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548A KR102539843B1 (ko) 2020-09-25 2020-09-25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8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152B1 (ko) * 2010-02-22 2010-09-28 배종현 도전성 터치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304B1 (ko) * 2019-01-14 2020-11-20 주식회사 마르시끄 화장용 스펀지의 길이가변 및 교체가 가능한 메이크업 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152B1 (ko) * 2010-02-22 2010-09-28 배종현 도전성 터치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405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11966A1 (en) Case assembly with an expandable device
US6433777B1 (en) Apparatus for extending a cursor control stick
US8111506B2 (en) Electronic device
US10606376B2 (en) Retractable stylus
KR101234453B1 (ko) 스타일러스 터치펜
TW201730722A (zh) 觸控筆
KR102539843B1 (ko) 손가락을 대체하는 휴대용 장치
CN112638204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可伸展设备
US20130154927A1 (en) Hand integrated operations platform
EP1348156A1 (en) A portable device for inputting control signals to a peripheral unit, and use of such a device
JP2005524897A (ja) 人間工学的形状のコンピュータポインティング装置
US7604264B2 (en) Hook shaft balance connection structure
US7221360B2 (en) Computer stylus and computer adapted to be used therewith
KR101620008B1 (ko) 터치펜
KR20190142818A (ko) 터치펜 홀더 유닛
JP4812598B2 (ja) 握り押しボタン用アタッチメント
US20020167491A1 (en) Input apparatus with supporting arm
US20020044072A1 (en) Key input device used for portable equipment
KR200448016Y1 (ko) 스타일러스 펜
JP2020106865A (ja) キャップ
KR200267980Y1 (ko) 미니마우스용 케이스
KR100470219B1 (ko) 전자기기용 스타일러스 착탈장치
CN117651592B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控制器
JP2018118139A (ja) ペンケース
KR101413201B1 (ko)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