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413B1 - 포토 키오스크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포토 키오스크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413B1
KR102539413B1 KR1020230028255A KR20230028255A KR102539413B1 KR 102539413 B1 KR102539413 B1 KR 102539413B1 KR 1020230028255 A KR1020230028255 A KR 1020230028255A KR 20230028255 A KR20230028255 A KR 20230028255A KR 102539413 B1 KR102539413 B1 KR 102539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ll image
user
difference
props
photo kio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웜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웜브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웜브로
Priority to KR1020230028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 G03B17/53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livering a finished picture after a signal causing exposure has been given, e.g. by pushing a button, by inserting a co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exhibiting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pictur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포토 키오스크가 개시된다. 포토 키오스크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순간 모습을 나타내는 스틸 이미지 및 촬영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촬영부, 스틸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스틸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및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을 분석하고,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들 중에서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스틸 이미지와 유사한 구도를 갖는 추천 스틸 이미지를 결정하고, 추천 스틸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토 키오스크 및 이의 동작 방법{PHOTO KIOSK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포토 키오스크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진 촬영은 사진사가 자신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을 직접 인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 및 비대면화의 확산에 따라, 사진사 없이 사진기가 탑재된 장치(즉, 포토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사진을 촬영하고(셀피), 장치가 촬영된 사진을 직접 인화하는 방식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위 방식(포토 키오스크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포토 키오스크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어, 사용자 본인이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여 인화하는 데 시간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포토 키오스크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포토 키오스크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순간 모습을 나타내는 스틸 이미지 및 촬영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촬영부, 스틸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스틸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및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을 분석하고,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들 중에서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스틸 이미지와 유사한 구도를 갖는 추천 스틸 이미지를 결정하고, 추천 스틸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포토 키오스크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순간 모습을 나타내는 스틸 이미지 및 촬영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스틸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동영상을 분석하고,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들을 추출하는 단계, 프레임들 중에서 스틸 이미지와 유사한 구도를 갖는 추천 스틸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추천 스틸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포토 키오스크의 작동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포토 키오스크 및 이의 동작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포토 키오스크는 사용자의 촬영 명령에 따라 사진을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촬영 활동을 나타내는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포토 키오스크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과 유사한 구도를 갖는 스틸 컷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 촬영된 사진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이와 유사한 구도를 갖는 스틸 컷을 대안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포토 키오스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포토 키오스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포토 키오스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포토 키오스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추천 스틸 이미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추천 스틸 이미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포토 키오스크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포토 키오스크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포토 키오스크(100)는 사물을 촬영하여 사진(즉, 스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촬영부(110), 촬영된 사진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촬영부(110) 및 디스플레이(120)는 포토 키오스크(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케이스(10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1)에는 인화된 사진이 배출될 수 있는 사진 배출구(102)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사물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소자(예컨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110)는 카메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120)는 촬영된 사진 및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사용자는 포토 키오스크(100) 전방에 위치하여 자세를 취할 수 있고, 포토 키오스크(100)로 촬영 명령을 전달할 수 있고, 촬영 명령에 응답하여 포토 키오스크(100)의 촬영부(110)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포토 키오스크(100)의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된 자신의 사진을 확인하고, 인화를 원하는 사진을 선택할 수 있다. 포토 키오스크(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을 인화하여 사진 배출구(102)를 통해 인화된 사진을 배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포토 키오스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포토 키오스크 시스템(10)은 포토 키오스크(100), 사용자 단말(200) 및 촬영 소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토 키오스크(100)와 소정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포토 키오스크(100)가 설치된 스튜디오(또는 매장)에서 사용자에게 임시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촬영 소품(300)은 사용자가 촬영 시 활용하는 소품으로서,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착용 소품 또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소지 소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 소품은 모자, 장갑, 안경 등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소품을 의미할 수 있고, 소지 소품은 토퍼, 지팡이, 풍선, 인형 등 사용자가 손에 쥐고 위치를 변화시키는 소품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 촬영 소품(300)이 착용 소품인지 또는 소지 소품인지는 사전에 정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촬영 소품(300)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그(TAG)가 부착될 수 있고, 태그(TAG)는 포토 키오스크(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포토 키오스크(100)는 사용자 단말(200) 및 촬영 소품(의 태그(TAG))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 및 촬영 소품(3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또는 초광대역(ultra-wideband (UWB)) 통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이 블루투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 및 촬영 소품(의 태그(TAG))는 주기적인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beacon)일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이 UWB 통신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 및 촬영 소품(의 태그(TAG))는 UWB 태그이고, 포토 키오스크(100)는 UWB 앵커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포토 키오스크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포토 키오스크(100)는 촬영부(110), 디스플레이(120), 저장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 및 인화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사물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소자(예컨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110)는 카메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촬영부(110)는 스틸 이미지(즉, 사진) 및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촬영된 사진 및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저장부(130)는 촬영부(110)에 의해 생성된 스틸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이외에도 포토 키오스크(100)의 동작과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포토 키오스크(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일련의 명령들을 리드함으로써, 포토 키오스크(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외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촬영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40)는 스틸 이미지 생성을 지시하는 제1촬영 개시 명령 및 동영상 생성을 지시하는 제2촬영 개시 명령을 촬영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제1촬영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스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부(110)는 제1촬영 개시 명령이 수신된 직후 또는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사용자를 촬영하여 스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제2촬영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촬영 개시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별도의 종료 명령이 수신될 때 까지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촬영부(110)는 스틸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제1촬상 소자와,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촬상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촬영부(110)는 하나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고, 하나의 촬상 소자를 통해 동영상을 생성하되, 제1촬영 개시 명령에 대응하는 시점의 동영상의 프레임을 상기 스틸 이미지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촬영부(110)에 의해 생성된 스틸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40)는 스틸 이미지들 중에서 이후 인화될 최종 스틸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최종 스틸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최종 스틸 이미지를 선택할 시간을 일정 시간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카운터를 실행하고 카운터 값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최종 스틸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종료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촬영부(110)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촬영부(110)에 의해 생성된 스틸 이미지와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천 스틸 이미지로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40)는 동영상으로부터 프레임을 추출하고, 추출된 프레임 각각과 스틸 이미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추천 스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동영상의 각 프레임 및 스틸 이미지에 포함된 촬영 소품들의 구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스틸 이미지와 유사한 구도를 갖는 프레임을 추천 스틸 이미지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촬영한 스틸 이미지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스틸 이미지와 구도가 비슷한 이미지를 동영상에서 쉽게 찾아 선택하여 인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포토 키오스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포토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에 대한 촬영을 개시할 수 있고(촬영 시작), 촬영 동안 복수의 스틸 이미지들(SI1~SI3) 및 동영상(MOV)을 생성할 수 있고, 이후, 촬영을 종료할 수 있다(촬영 종료).
포토 키오스크(100)는 특정 시점에서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에 따라 스틸 이미지(SI1~SI3)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스틸 이미지(SI1~SI3)은 특정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모습을 나타내는 이미지로서, 사진일 수 있다.
또한, 포토 키오스크(100)는 촬영 시작 시점으로부터 촬영 종료 시점까지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동영상(MOV)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동영상(MOV)은 촬영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모습을 나타내는 동영상일 수 있다. 동영상(MOV)은 복수의 프레임들(FR)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프레임들(FR) 중에서는 스틸 이미지(SI1~SI3)과 동일한 프레임이 있을 수 있다.
생성된 스틸 이미지(SI1~SI3)는 포토 키오스크(100)의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될 수 있어, 사용자는 스틸 이미지(SI1~SI3) 중에서 사진으로 인화될 추천 스틸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생성된 동영상(MOV)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포토 키오스크(100)는 동영상(MOV)의 프레임들(FR) 중에서 스틸 이미지(SI1~SI3)와 유사한 구도를 갖는 프레임을 추천 스틸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스틸 이미지(SI1~SI3)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에, 스틸 이미지(SI1~SI3)와 유사한 구도를 갖는 추천 스틸 이미지를 선택하여 인화할 수 있다. 특히, 촬영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MOV)을 일일이 살펴보지 않더라도, 손쉽게 스틸 이미지(SI1~SI3)와 유사한 구도를 갖는 추천 스틸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추천 스틸 이미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포토 키오스크(100) 또는 제어부(140)는 동영상(MOV)의 프레임들(FR) 중에서 기 촬영된 스틸 이미지(SI)와 유사한 구도를 갖는 프레임을 추천 스틸 이미지(TSI)로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포토 키오스크(100)는 스틸 이미지(SI) 상에서 소품들(WI, HI)의 구도 및 동영상의 프레임들(FR) 상에서 소품들(WI, HI)의 구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추천 스틸 이미지(TSI)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 이미지(SI)에서 사용자는 모자 소품(WI)을 착용하고, 우산 소품(HI)을 소지하고 있다. 따라서, 포토 키오스크(100)는 동영상의 프레임들(FR) 중에서 사용자가 모자 소품(WI)을 착용하고 우산 소품(HI)을 소지한 프레임을 추천 스틸 이미지(TSI)로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추천 스틸 이미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포토 키오스크(100)는 스틸 이미지(SI)/프레임(FR) 내 소품들(WI, HI)의 위치, 및 소품들(WI, HI)과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거리 등에 기초하여, 추천 스틸 이미지(TSI)를 결정할 수 있다.
포토 키오스크(100)는 소품들(WI, HI) 및 사용자 단말(20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따라 소품들(WI, HI) 및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 키오스크(100)는 UWB 통신에서의 UWB 앵커로서 기능하고, 소품들(WI, HI) 및 사용자 단말(200)은 UWB 태그로서 기능할 수 있고, 포토 키오스크(100)는 소품들(WI, HI) 및 사용자 단말(200)과의 무선 신호 송수신 결과에 따라 소품들(WI, HI) 및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포토 키오스크(100)는 소품들(WI, HI) 및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를 통해 소품들(WI, HI) 각각과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소품들(WI, HI) 각각에는 포토 키오스크(100)와의 UWB 통신이 가능한 UWB 태그(TAG1, TAG2)가 부착될 수 있고, UWB 통신을 통해 파악되는 WB 태그(TAG1, TAG2)의 위치가 곧 소품들(WI, HI) 각각의 위치로 간주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포토 키오스크(100)는 소품들(WI, HI)의 스틸 이미지(SI)에서의 위치와 동영상의 프레임들(FR)에서의 위치 사이의 제1차이, 그리고, 스틸 이미지(SI)에서의 소품들(WI, HI)과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거리와 동영상의 프레임들(FR)에서의 소품들(WI, HI)과 사용자 단말(200)의 사이의 거리의 제2차이에 기초하여, 스틸 이미지(SI)와 동영상의 프레임들(FR) 사이의 구도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포토 키오스크(100)는 계산된 구도 유사도에 기초하여, 동영상의 프레임들(FR) 중에서 스틸 이미지(SI)와 구도가 유사한 프레임을 결정하고, 결정된 프레임을 추천 스틸 이미지(TSI)로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포토 키오스크(100)는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구도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23024503991-pat00001
여기서, CSIMi는 스틸 이미지와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 i번째 프레임(i는 자연수) 사이의 구도 유사도이고, si 1,j는 N개의 소품들 중 j번째 소품(j는 자연수)의 해당 스틸 이미지에서의 위치와 i번째 프레임에서의 위치 사이의 차이인 제1차이이고, si 2,j는 해당 스틸 이미지에서의 j번째 소품과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거리와, i번째 프레임에서의 j번째 소품과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거리와 사이의 차이인 제2차이이고, f는 단조 감소 함수이다.
예컨대, 포토 키오스크(100)는 아래 수학식 2에 따라 구도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23024503991-pat00002
여기서, w1는 제1차이에 대한 가중치이고, w2는 제2차이에 대한 가중치이다.
한편, 포토 키오스크(100)는 착용 소품(WI)에 대해서는, 상기 제1차이에 대해 상기 제2차이보다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도 유사도를 계산하고, 소지 소품(HI)에 대해서는, 상기 제2차이에 대해 상기 제1차이보다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도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착용 소품(WI)은 사용자에게 착용이 되어 있으면 되므로, 사용자(또는 사용자 단말(200)) 과의 상대적인 거리가 더 중요하고, 소지 소품(HI)은 사용자에게 소지되어 변화하는 소지 소품(HI) 자체의 위치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실시 예들에 따라, 포토 키오스크(100)는 제1차이를 계산할 때, 해당 스틸 이미지 상에서의 소품(WI, HI)과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거리를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예컨대, 포토 키오스크(100)는 아래 수학식 3에 따라 구도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23024503991-pat00003
여기서, Lj는 해당 스틸 이미지에서 j번째 소품과 사용자 단말(200) 사이의 거리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포토 키오스크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동작 방법은 포토 키오스크(100)의 제어부(14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포토 키오스크(100)는 스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110). 실시 예들에 따라, 포토 키오스크(100)는 사용자가 촬영을 개시함에 따라, 사용자의 순간 모습을 나타내는 스틸 이미지 및 사용자의 촬영 시간 동안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포토 키오스크(100)는 생성된 동영상으로부터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S120). 실시 예들에 따라, 포토 키오스크(10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동영상을 분석함으로써, 동영상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
포토 키오스크(100)는 스틸 이미지 및 프레임 상에서의 소품(WI, HI) 및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130). 실시 예들에 따라, 포토 키오스크(100)는 촬영 시간 동안의 소품(WI, HI) 및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포토 키오스크(100)는 스틸 이미지 및 각 프레임이 생성된 시점(즉, 타임 스탬프)에서의 소품(WI, HI) 및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스틸 이미지 및 프레임 상에서의 소품(WI, HI) 및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포토 키오스크(100)는 각 스틸 이미지 및 프레임 상에서의 소품(WI, HI) 및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각 스틸 이미지 및 프레임 사이의 구도를 비교하고 구도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S140). 실시 예들에 따라, 포토 키오스크(100)는 상술한 제1차이 및 제2차이에 기초하여 각 스틸 이미지 및 프레임 사이의 구도를 비교하고 구도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포토 키오스크(100)는 구도 유사도에 기초하여, 프레임 중에서 스틸 이미지와 구도가 유사한 추천 스틸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추천 스틸 이미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포토 키오스크(100)는 포토 키오스크(100)와 스틸 이미지(SI)와 동영상의 프레임들(FR) 사이의 깊이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포토 키오스크(100)는 깊이 유사도에 더 기초하여, 프레임 중에서 스틸 이미지와 깊이가 유사한 추천 스틸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포토 키오스크(100)는 스틸 이미지(SI)에서 사물들(200, WI, HI) 각각에 대한 제3차이에 기초하여, 스틸 이미지(SI)와 동영상의 프레임들(FR) 사이의 깊이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사물들(200, WI, HI) 각각에 대한 제3차이는, 스틸 이미지(SI)에서의 사물들(200, WI, HI)과 포토 키오스크(100) 사이의 거리(즉, 깊이; D1, D2, D3)와 동영상의 프레임들(FR)에서의 소품들(WI, HI) 각각과 포토 키오스크(100) 사이의 거리(D1, D2, D3) 사이의 차이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소품들(WI, HI) 각각과 포토 키오스크(100) 사이의 거리는 태그들(TAG1, TAG2) 각각과 포토 키오스크(100) 사이의 거리로 취급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포토 키오스크(100)는 아래 수학식 4에 따라 깊이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23024503991-pat00004
여기서, DSIMi는 스틸 이미지와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 i번째 프레임(i는 자연수) 사이의 깊이 유사도이고, si 3,0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제3차이이고, si 3,j는 N개의 소품들 중 j번째 소품(j는 자연수)에 대한 제3차이이고, g는 단조 감소 함수이다.
이 때, 수학식 1의 함수 f와 수학식 4의 함수 g는 아래 수학식 5를 만족한다.
Figure 112023024503991-pat00005
여기서, k는 1 이상의 자연수이다.
예컨대, 포토 키오스크(100)는 아래 수학식 6에 따라 깊이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23024503991-pat00006
여기서, w3,j는 j번째 소품에 대한 제3차이에 대한 가중치로서, 예를 들어, 아래 수학식 7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3024503991-pat00007
여기서, w3,j는 j번째 소품에 대한 제3차이에 대한 가중치이고, kj는 j번째 소품에 대한 계수로서, 소지 소품에 대한 계수는 착용 소품에 대한 계수보다 크게 결정될 수 있고, Zj는 j번째 소품의 크기(예컨대, 세로 길이 또는 가로 길이 등)일 수 있다.
종합적으로, 포토 키오스크(100)는 구도 유사도 및 깊이 유사도에 기초하여, 추천 스틸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 키오스크(100)는 구도 유사도 및 깊이 유사도의 가중 평균 또는 평균을 계산함으로써 종합 유사도를 계산하고, 종합 유사도에 따라 추천 스틸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포토 키오스크에 있어서,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순간 모습을 나타내는 스틸 이미지 및 촬영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촬영부;
    상기 스틸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스틸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및
    상기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스틸 이미지와 유사한 구도를 갖는 추천 스틸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추천 스틸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촬영 시 사용한 소품들 각각에 대해,
    상기 스틸 이미지 상에서 상기 소품들의 구도 및 상기 동영상의 프레임들 상에서 상기 소품들의 구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추천 스틸 이미지를 생성하되,
    상기 소품들의 상기 스틸 이미지에서의 위치와 상기 프레임들에서의 위치 사이의 제1차이, 그리고, 상기 스틸 이미지에서의 상기 소품들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와 상기 프레임들에서의 상기 소품들과 사용자 단말의 사이의 거리 사이의 제2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스틸 이미지와 상기 프레임들 사이의 구도 유사도를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고,
    Figure 112023041615927-pat00016

    (상기 수학식에서 CSIMi는 스틸 이미지와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 i번째 프레임(i는 자연수) 사이의 구도 유사도이고, si 1,j는 N개의 소품들 중 j번째 소품(j는 자연수)의 해당 스틸 이미지에서의 위치와 i번째 프레임에서의 위치 사이의 차이인 상기 제1차이이고, si 2,j는 해당 스틸 이미지에서의 j번째 소품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와, i번째 프레임에서의 j번째 소품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 사이의 차이인 상기 제2차이이고, w1는 상기 제1차이에 대한 가중치이고, w2는 상기 제2차이에 대한 가중치이며, Lj는 해당 스틸 이미지에서 j번째 소품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임)
    계산된 상기 구도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스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소품들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된 착용 소품 및 상기 사용자가 쥐고 있는 소지 소품을 포함하는,
    포토 키오스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 소품에 대해서, 상기 제1차이에 대해 상기 제2차이보다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유사도를 계산하고,
    상기 소지 소품에 대해서, 상기 제2차이에 대해 상기 제1차이보다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유사도를 계산하는,
    포토 키오스크.
KR1020230028255A 2023-03-03 2023-03-03 포토 키오스크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39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255A KR102539413B1 (ko) 2023-03-03 2023-03-03 포토 키오스크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255A KR102539413B1 (ko) 2023-03-03 2023-03-03 포토 키오스크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413B1 true KR102539413B1 (ko) 2023-06-02

Family

ID=8675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255A KR102539413B1 (ko) 2023-03-03 2023-03-03 포토 키오스크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4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416B1 (ko) * 2018-01-10 2018-09-10 문성웅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20035086A (ja) * 2018-08-28 2020-03-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015268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와 촬영룸 키오스크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사용자 취향의 사진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416B1 (ko) * 2018-01-10 2018-09-10 문성웅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20035086A (ja) * 2018-08-28 2020-03-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015268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와 촬영룸 키오스크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사용자 취향의 사진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1106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US98073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in camer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JP4519708B2 (ja)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599251B2 (en) Camera
CN101213828B (zh) 将虹膜颜色结合到红眼修正中的方法和设备
CN107743191B (zh) 终端及其防抖拍照方法、存储装置
CN106664366B (zh) 图像处理装置、摄像装置以及图像处理方法
JP4605039B2 (ja) 自動撮影方法及び自動撮影装置並びに自動撮影プログラム
CN112702521B (zh) 图像拍摄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125734B2 (ja) 撮像装置、画像選択方法及び画像選択プログラム
JP2007324965A (ja) デジタルカメラ、撮影制御方法および画像出力システム
JP2006229682A (ja) プリント推奨画像選択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754212A (zh) 电子装置以及通过使用该电子装置捕获移动对象的方法
CN110381247B (zh) 摄像装置以及摄像装置的控制方法
JP5024028B2 (ja) 画像変換装置、画像提供システム、撮影編集装置、画像変換方法、画像変換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43614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102539413B1 (ko) 포토 키오스크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40061226A (ko)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668803B2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KR20110023081A (ko) 한정된 공간을 갖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상기 방법에 따라 동작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JP5380833B2 (ja) 撮像装置、被写体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55369A (ko) 이미지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5218687B2 (ja) 画像変換装置、画像提供システム、撮影編集装置、画像変換方法、画像変換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733302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88409A (ja) 画像データ分類機能を備えた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