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327B1 -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 Google Patents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327B1
KR102539327B1 KR1020210037057A KR20210037057A KR102539327B1 KR 102539327 B1 KR102539327 B1 KR 102539327B1 KR 1020210037057 A KR1020210037057 A KR 1020210037057A KR 20210037057 A KR20210037057 A KR 20210037057A KR 102539327 B1 KR102539327 B1 KR 102539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container
sample
frame
ho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2150A (ko
Inventor
고창욱
김봉윤
정중환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10037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327B1/ko
Priority to PCT/KR2022/003500 priority patent/WO2022203255A1/ko
Publication of KR20220132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4Retort stands; Retor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1Adjust spacings in an array of wells, pipettes or holders, format transfer between arrays of different size or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8Transport of container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09Holders integrated in container to position an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3Disc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Packag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체보존용기를 홀딩할 수 있는 홀딩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검체보존용기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검체보존용기를 홀딩하는 홀딩프레임; 상기 홀딩프레임이 외부에 대하여 격리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바디; 및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시켜주는 하우징커버;를 포함하므로 다른 크기의 사이즈를 갖춘 검체보존용기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홀딩하여 수용할 수 있으므로 검체보존용기에 대한 보관의 안전성과 이송 및 취급의 편의성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Accommodating Container for Clinical Specimen Vessel}
본 발명은 검체보존용기를 수용하는 수용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된 검체가 수용되는 검체보존용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다수개의 검체보존용기를 함께 운반할 수 있는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술의 발전에 따라 질병의 원인을 발견하여 그에 따라 치료하기 위한 검진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검진은 피검사자로부터 혈액이나 타액 또는 신체기관의 조직등으로부터 검체를 채취한 후 채취된 검체에 대하여 생화학적 검사, 면역혈청검사, 혈액학 검사 등 다양한 종류의 검사를 실시하여 피검사자의 건강상태 및 질환여부를 검진하게 된다.
따라서, 검진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는 외부로부터 오염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채취된 검체에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채취되는 검체는 포르말린과 같은 검체보존액이 들어있는 검체보존용기에 수용되어 보존되거나 검체보존용기를 통해 운반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검체보존용기에서는 내부에 수용된 검체 및 검체보존액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한 편, 채취된 검체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검체보존용기는 검체의 종류 또는 검사항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혈액이나 타액과 같은 검체를 보존하기 위해서 튜브형상의 검체보존용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튜브형상의 검체보존용기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편이므로 운반시 분실의 위험이 있으므로 검체보존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에 담겨져서 운반된다.
그리고 하나의 검체보존용기는 하나의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에 수용하여 운반하는 것이 권장되었으나, 대규모 전염병이 유행하는 경우에는 빠른 시간내에 검사해야할 검체의 수가 너무 많으므로 하나의 수용컨테이너에 다수개의 검체보존용기를 수용하여 운반하는 것이 예외적으로 허용되기도 한다.
기존에는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에 수용시킬 수 있는 검체보존용기의 크기가 정해지면 그 크기에 맞게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가 제작되기 때문에 크기가 다른 검체보존용기에 대해서는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에 수용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61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시킬 검체보존용기의 크기가 변경된 경우에도 검체보존용기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체보존용기를 홀딩할 수 있는 홀딩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검체보존용기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검체보존용기를 홀딩하는 홀딩프레임; 상기 홀딩프레임이 외부에 대하여 격리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바디; 및 상기 하우징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시켜주는 하우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바디의 외면 또는 상기 하우징커버의 외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이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커버 및 상기 홀딩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홀딩프레임에 홀딩되는 상기 검체보존용기로 충격의 전달을 억제하거나 상기 검체보존용기의 흔들림을 억제시키는 완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프레임은, 제1 검체보존용기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제1 홀딩슬롯이 다수 마련된 제1 홀딩플레이트; 상기 제1 검체보존용기의 외경과 다른 크기의 외경을 갖춘 제2 검체보존용기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제2 홀딩슬롯이 다수 마련된 제2 홀딩플레이트; 및 일측단이 상기 제1 홀딩플레이트와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 홀딩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홀딩플레이트와 상기 제2 홀딩플레이트를 이격시켜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홀딩슬롯의 직경이 상기 제1 검체보존용기의 뚜껑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 홀딩슬롯(551)의 직경이 상기 제2 검체보존용기의 뚜껑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상기 제1 홀딩슬롯이 상기 제1 홀딩플레이트에서 회전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거나, 다수개의 상기 제2 홀딩슬롯이 상기 제2 홀딩플레이트에서 회전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바디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홀딩프레임을 상기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받쳐주는 받침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홀딩프레임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납시키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일측단이 상기 홀딩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트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는 내측에 수용시킬 검체보존용기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다른 크기의 사이즈를 갖춘 검체보존용기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홀딩하여 수용할 수 있으므로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활용도를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보존용기에 대한 보관의 안전성과 이송 및 취급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일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홀딩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홀딩프레임에서 제1 홀딩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홀딩프레임에서 제2 홀딩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홀딩프레임에서 제1 홀딩플레이트의 일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일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완충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일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여 설명하고 이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일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10)는, 홀딩프레임(500), 하우징바디(200) 및 하우징커버(100)를 포함한다. 아울러, 완충재(400) 또는 리프트핸들(3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홀딩프레임(5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체보존용기(20)를 홀딩할 수 있는 홀딩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검체보존용기(20)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검체보존용기(20)를 홀딩한다.
그리고 하우징바디(200)는 상기 홀딩프레임(500)이 외부에 대하여 격리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250)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우징커버(100)는 하우징바디(2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용공간(250)을 개방 또는 폐쇄시켜준다.
먼저 하우징바디(200)와 하우징커버(100)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바디(200)는 일측으로 개방된 원통형 형태로서 내측에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하우징바디(200)의 상측으로 하우징커버(1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바디(200)의 상측으로 하우징커버(1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바디(200) 내의 수용공간(250)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커버(100)를 하우징바디(200)로부터 분리시켜서 하우징바디(200) 내의 수용공간(250)을 개방시키어 홀딩프레임(500)을 하우징바디(200) 내의 수용공간(250)으로 배치시키거나 반대로 수용공간(250)에서 홀딩프레임(500)을 꺼낼 수 있다.
또한 하우징커버(100)를 하우징바디(200)에 결합시킴으로써 하우징바디(200) 내의 수용공간(250)에 배치된 홀딩프레임(500)과, 홀딩프레임(500)에 홀딩되는 검체보존용기(20)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커버(100)가 하우징바디(200)에 결합됨으로써 수용공간(250)이 폐쇄되며, 홀딩프레임(500)과 검체보존용기(20)를 외부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바디(200)와 하우징커버(100) 사이의 착탈가능한 결합형태의 예로서, 하우징바디(200)의 일측 외면 둘레와 하우징커버(100)의 내측면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우징바디(200)에 하우징커버(100)가 볼팅결합될 수 있는 것을 도면에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결합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바디(200)의 외면 또는 하우징커버(100)의 외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끄럼방지수단으로서,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바디(200)의 외면 또는 하우징커버(100)의 외면상에 요철형태로 형성된 미끄럼방지턱(110, 210)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하우징바디(200)의 외면 일부 부분과 하우징커버(100)의 외면 일부 부분에 요철의 형태로 미끄럼방지턱(110, 210)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또는 미끄럼방지수단으로서, 고분자재질로 된 논슬립패드가 하우징바디(200)의 외면 또는 하우징커버(100)의 외면의 일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응용적인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우징바디(200)의 외면 또는 하우징커버(100)의 외면에 미끄럼방지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면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10)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10)를 운반하거나 취급함에 있어서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바디(200)와 하우징커버(100)의 사이에 실링(sealing)부재(230)이 마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하우징바디(200)와 하우징커버(100) 사이에 실링부재(230)가 마련되면, 혹시라도 하우징바디(200) 내에서 외부로 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여 홀딩프레임(500)에 대한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홀딩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홀딩프레임에서 제1 홀딩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홀딩프레임에서 제2 홀딩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홀딩프레임(5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체보존용기(20)를 홀딩할 수 있는 홀딩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검체보존용기(20)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검체보존용기(20)를 홀딩한다.
여기서 홀딩수단의 예로서, 후술할 제1 홀딩슬롯(511)이 형성된 제1 홀딩플레이트(510)와 제2 홀딩슬롯(551)이 형성된 제2 홀딩플레이트(550)를 들을 수 있다.
그리고, 조금 더 구체적으로 검체보존용기(20)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검체보존용기(20)를 홀딩할 수 있도록 홀딩프레임(500)이 하우징바디(200) 내에 수용되는 자세가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검체보존용기(20)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홀딩프레임(500)의 자세가 전환되어 검체보존용기(20)를 홀딩할 수 있으며 하우징바디(200)의 수용공간(250)에 홀딩프레임(500)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검체보존용기(20)의 사이즈로서,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검체보존용기(20)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횡단면이 원형의 형태를 갖춘 튜브형태의 검체보존용기(20)의 직경 또는 외경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홀딩프레임(500)은 제1 홀딩플레이트(510), 제2 홀딩플레이트(550) 및 필러(pillar)(530)를 포함한다. 홀딩프레임(500)은 제1 홀딩플레이트(510)와 제2 홀딩플레이트(550) 사이에 필러(530)가 배치된 형태로서 필러(530)의 일측단이 제1 홀딩플레이트(510)와 결합되고, 필러(530)의 타측단이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결합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홀딩프레임(500)에서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는 제1 검체보존용기(2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제1 홀딩슬롯(511)이 다수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검체보존용기(20)의 사이즈에 따라 구별하여 제1 검체보존용기(20)와 제2 검체보존용기로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사이즈에 따라 구별된다는 것은 좀 더 구체적인 예로서, 직경 또는 외경의 크기차이에 따라 구별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제1 검체보존용기(20)의 직경과 제2 검체보존용기의 직경이 서로 다르다. 즉, 검체보존용기(20)는 직경의 크기에 따라 제1 검체보존용기(20)와 제2 검체보존용기로 구별될 수 있으며, 제1 검체보존용기(20)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진 검체보존용기를 제2 검체보존용기라고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서 제1홀딩슬롯의 직경은 제1 검체보존용기(20)의 뚜껑(21)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홀딩슬롯(511)의 직경이 제1 검체보존용기(2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서 제1 검체보존용기(20)의 뚜껑(21)의 외경보다 작고 제1 검체보존용기(20)의 튜브용기(23)의 외경과 동등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에 제1 검체보존용기(20)가 제1 홀딩슬롯(511)에 삽입되어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 검체보존용기(20)의 뚜껑(21)이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 걸쳐지는 형태가 되어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 제1 검체보존용기(20)가 홀딩될 수 있다.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서, 제1 홀딩슬롯(511)이 다수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상기 제1 홀딩슬롯(511)이 상기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서 회전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서 다수개의 제1 홀딩슬롯(511)이 회전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되면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 마련되는 제1 홀딩슬롯(511)의 개수를 최대한의 개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 홀딩되는 검체보존용기(20)의 개수를 최대한으로 확보 가능하다.
그리고 제2 홀딩플레이트(550)는 제1 검체보존용기(20)의 외경과 다른 크기의 외경을 갖춘 제2 검체보존용기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제2 홀딩슬롯(551)이 다수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홀딩슬롯(551)의 직경은 제2 검체보존용기의 뚜껑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서 제2 검체보존용기의 튜브용기의 외경과 동등한 크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검체보존용기가 제2 홀딩슬롯(551)에 삽입되어 제2 검체보존용기의 뚜껑이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걸쳐지는 형태가 되어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제2 검체보존용기가 홀딩될 수 있다.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서, 제2 홀딩슬롯(551)이 다수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수개의 제2 홀딩슬롯(551)이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서 회전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서 다수개의 제2 홀딩슬롯(551)이 회전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되면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마련되는 제2 홀딩슬롯(551)의 개수를 최대한의 개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홀딩되는 제2 검체보존용기의 개수를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필러(530)는 일측단이 제1 홀딩플레이트(510)와 결합되고 타측단이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결합되어 제1 홀딩플레이트(510)와 제2 홀딩플레이트(550)를 이격시켜준다. 이러한 필러(5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홀딩프레임(500)에 포함된다. 즉 홀딩프레임(500)에 다수개의 필러(530)가 마련되어 있다.
필러(530)의 일측단과 타측단에는 제1 홀딩플레이트(510) 또는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마련된 필러결합홀(515, 555)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러(530)의 양 측단에는 끼움결합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끼움결합부의 형태는 특정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만 끼움결합부가 필러결합홀(515, 555)에 삽입되면서 탄력적으로 움츠러 들었다가 필러결합홀(515, 555)내에서 또는 필러결합홀(515, 555)을 통과하면서 탄력적으로 형태를 복원함으로써 필러(530)가 제1 홀딩플레이트(510) 또는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서 빠지지 않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끼움결합방식과 형태는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필러(530)의 길이는, 제1 검체보존용기(20)의 길이 및 제2 검체보존용기의 길이 중에서 가장 긴 길이에 맞추어서 형성될 수 있다. 필러(530)가, 상대적으로 더 긴 검체보존용기(20)의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의 길이를 갖추면 홀딩프레임(500)에 검체보존용기(20)가 안정적으로 홀딩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필러(530)는 다수개로서 홀딩프레임(500)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3개가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 형태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지면에 세워진 삼각대가 쉽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3개의 필러(530)가 서로에 대하여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제1 홀딩플레이트(510) 및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결합되면 홀딩프레임(500)의 구조적 안정성을 일정 수준이상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홀딩플레이트(510), 제2 홀딩플레이트(550) 및 필러(530)를 포함하는 홀딩프레임(500)은 검체보존용기(20)를 홀딩한다.
사용자가 제1 검체보존용기(20)를 홀딩프레임(500)에 홀딩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1, 도 2 또는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 홀딩플레이트(510)가 상측에 위치하고 제2 홀딩플레이트(550)가 하측에 위치하는 자세에서 제1 홀딩슬롯(511)에 제1 검체보존용기(20)를 삽입하여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 제1 검체보존용기(20)를 홀딩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검체보존용기를 홀딩프레임(500)에 홀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홀딩프레임(500)의 자세를 전환시킨다. 즉, 제2 홀딩플레이트(550)가 상측에 위치하고 제1 홀딩플레이트(510)가 하측에 위치하는 자세가 되도록 홀딩프레임(500)을 뒤집음으로써 자세를 전환시킨다는 것이다. 이렇게 자세를 전환시키면 제2 홀딩플레이트(550)가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2홀딩슬롯에 제2 검체보존용기를 삽입하여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제2 검체보존용기를 홀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검체보존용기(20) 또는 제2 검체보존용기를 홀딩프레임(500)에 홀딩시킨 후 홀딩프레임(500)을 그대로 들어서 하우징바디(200) 내의 수용공간(250)으로 수용시킨다. 그리고 하우징커버(100)를 하우징바디(200)의 상측에 결합시킴으로써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10) 내에 검체보존용기(20)가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10)에 수용시키고자 하는 검체보존용기(20)를 수용하기 위하여, 홀딩프레임(500)의 자세를 전환하고 제1 홀딩플레이트(510) 또는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마련된 제1 홀딩슬롯(511) 또는 제2 홀딩슬롯(551)에 검체보존용기(20)를 삽입하여 홀딩시킴으로써 검체보존용기(20)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10)에 수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10)는 리프트핸들(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핸들(3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홀딩프레임(500)을 수용공간(250)으로 수납시키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홀딩프레임(5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도 7을 더 참조하여 리프트핸들(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홀딩프레임(500)에서 제1 홀딩플레이트(510)의 일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리프트핸들(30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홀딩프레임(500)을 하우징바디(200)의 수용공간(250) 내측으로 위치시키거나 반대로 수용공간(250)으로부터 꺼내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리프트핸들(300)은 핸들부(310), 핸들샤프트부(320) 및 홀더부(330)을 포함한다.
핸들부(31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핸들부(310)는 소정의 길이를 갖춘 핸들샤프트부(320)의 일측단에 위치한다.
홀더부(300)는 핸들샤프트부(320)의 타측단에 위치하며, 리프트핸들(300)이 제1 홀딩플레이트(510) 또는 제2 홀딩플레이트(55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리프트핸들(300)의 타측단에 위치하는 홀더부(330)를 통해 홀딩프레임(500)의 제1 홀딩플레이트(510) 또는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홀딩플레이트(510)와 제2 홀딩플레이트(550) 각각에는 핸들결합홀(513, 55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 형성된 핸들결합홀(513)에 리프트핸들(300)의 타측단이 삽입되면서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 리프트핸들(300)이 결합될 수 있다.
홀더부(300)는 핸들결합홀(513, 553)를 통과하여 핸들샤프트부(320)의 일부분이 핸들결합홀(513, 55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태변형이 가능하다.
즉, 홀더부(300)는 핸들결합홀(513, 553)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갖추고 있으나 핸들결합홀(513, 553)에 삽입되면서 형태가 변형된다. 홀더부(300)가 핸들결합홀(513,553)에 삽입되면서 홀더부(300)의 크기가 핸들결합홀(513, 553)의 직경에 대응하여 축소되는 변형이 되며 핸들결합홀(513, 553)을 통과하면 다시 원래의 크기로 복원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구멍에 삽입된 화살촉이 역방향으로는 쉽게 빠지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변형을 위해 홀더부(300)는 탄성복원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홀더부(300)가 핸들결합홀(513, 553)으로부터 이탈되어 리프트핸들(300)이 제1 홀딩플레이트(510) 또는 제2 홀딩플레이트(5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바람직하다.
핸들샤프트부(320)는 일정한 길이를 갖추고 있으며, 일측단에 핸들부(310)가 위치하고 있으며, 타측단에는 홀더부(300)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핸들샤프트부(320)는 핸들결합홀(513, 553)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추고 있으며, 핸들결합홀(513, 553)을 관통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310)가 제1 홀딩플레이트(5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핸들샤프트부(320)의 일부 부분(323)에는 핸들결합홀(513, 553)의 직경보다 큰 걸림턱(323)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부(310)가 제1 홀딩플레이트(510)의 표면 또는 제2 홀딩플레이트(55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손쉽게 핸들부(310)을 잡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핸들부(310)를 잡고 일측으로 잡아당기면 도 7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310)와 핸들샤프트부(320)이 일측으로 이동되어 홀더부(330)가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사용자가 리프트핸들(300)을 일측으로 당기면 홀더부(330)가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홀딩프레임(500)이 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프트핸들(300)을 이용하여 홀딩프레임(500)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하우징바디(200)의 내측 수용공간(250)으로 홀딩프레임(500)을 수용시키거나 반대로 홀딩프레임(500)을 수용공간(250)으로부터 인출해 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 리프트핸들(300)이 결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리프트핸들(300)이 결합되는 방식도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형성된 핸들결합홀(553)에 리프트핸들(300)의 일부분인 홀더부(530)가 삽입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10)에 완충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과 도 9를 더 참조하여 완충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일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완충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완충재(400)는 상기 하우징커버(100) 및 상기 홀딩프레임(500)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재(400)는 상기 홀딩프레임(500)에 홀딩되는 상기 검체보존용기(20)로 충격의 전달을 억제하거나 상기 검체보존용기(20)의 흔들림을 억제시킨다.
검체보존용기(20)의 일측단인 뚜껑 부분(21)이 완충재(400)의 일면에 접하고, 검체보존용기(20)의 튜브용기(23) 일부분이 제1 홀딩플레이트(510)에 홀딩되어 있으므로 검체보존용기(20)가 하우징바디(200) 내에서 흔들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재(40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검체보존용기(20)로의 충격전달이 억제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완충재(400)의 가운데 중심부분에 리프트핸들(300)의 핸들부(310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통홀을 통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리프트핸들(300)의 핸들부(310)를 잡고 리프트핸들(300)을 들어올릴 수 있다.
또는, 도 9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완충재(400)에 관통홀 대신에 핸들보관홈(430)이 마련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바람직하다. 즉, 완충재(400)에 리프트핸들(300)을 홀딩하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리프트핸들(300)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핸들보관홈(430)이 마련되어 있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이 또한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홀딩프레임(500)으로부터 분리된 리프트핸들(300)을 완충재(400)의 핸들보관홈(430) 내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홀딩프레임(500)을 하우징바디(200)의 수용공간(250)으로부터 인출해 내기 위해 핸들보관홈(430)에 배치되어 있는 리프트핸들(300)을 꺼내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프트핸들(300)을 홀딩프레임(5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 편 추가적으로, 하우징바디(200)의 내측에는 홀딩프레임(500)을 받쳐줄 수 있는 받침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0을 참조하여 받침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일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바디(200)의 내측 벽(203)면 또는 바닥(201)면에는, 상기 수용공간(250)에 수용되는 상기 홀딩프레임(500)을 상기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받쳐주는 받침턱(205)이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내측 벽(203)면과 바닥(201)면 사이에 받침턱(205)이 마련된 예시적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수용되는 홀딩프레임(500)의 제1 홀딩플레이트(510) 또는 제2 홀딩플레이트(550)의 일부분이 받침턱(205)에 접하면서 홀딩프레임(500)이 하우징바디(200)의 내측 바닥(201)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딩프레임(500)이 하우징바디(200)의 내측 바닥(201)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면 검체보존용기(20)로의 충격전달이 좀 더 억제될 수 있으며, 열전달의 또한 억제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검체보존용기(20)의 보호에 좀 더 유리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홀딩프레임(500)의 일측에서 제1 검체보존용기(20)를 홀딩할 수 있으며, 타측에서 제2 검체보존용기를 홀딩할 수 있다.
홀딩프레임(500)에 제1 검체보존용기(20)를 홀딩시키는 경우 도 2 또는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 홀딩플레이트(510)가 일측인 상측을 향하는 자세에서 제1 검체보존용기(20)가 제1 홀딩슬롯(511)에 삽입되어 홀딩된다.
제1 검체보존용기(20)를 홀딩하고 있는 제1 홀딩프레임(500)이 상측을 향하는 상태로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바디(200) 내에 삽입배치되고, 하우징커버(100)에 의해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형태로 수용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 검체보존용기를 홀딩프레임(500)에 홀딩시킬 경우, 홀딩프레임(500)의 제1 홀딩플레이트(510)가 하측을 향하고 제2 홀딩플레이트(550)가 상측을 향하도록 자세를 잡아준다. 즉, 도 4에서 볼 때 홀딩프레임(500)의 상측과 하측이 위치를 서로 바꾼 자세가 되도록 뒤집어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측을 향하는 제2 홀딩플레이트(550)의 제2 홀딩슬롯(551)에 제2 검체보존용기를 삽입시키어 제2 홀딩플레이트(550)에 제2 검체보존용기가 홀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한 편,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프레임, 하우징바디 및 하우징커버가 원형의 형태를 갖춘 수용컨테이너의 형태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홀더프레임, 하우징바디 및 하우징커버가 사각의 육면체 형태를 갖춘 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앞서 설명한 홀딩프레임의 제1 홀딩플레이트 및 제2 홀딩플레이트도 하우징바디의 크기에 따라 사각의 형태로서 가로 세로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는 내측에 수용시킬 검체보존용기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다른 크기의 사이즈를 갖춘 검체보존용기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홀딩하여 수용할 수 있으므로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의 활용도를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보존용기에 대한 보관의 안전성과 이송 및 취급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20 : 검체보존용기
100 : 하우징커버 200 : 하우징바디
110, 210 : 미끄럼방지턱 230 : 실링부재
250 : 수용공간 300 : 리프트핸들
400 : 완충재 430 : 핸들보관홈
500 : 홀딩프레임 510 : 제1 홀딩플레이트
530 : 필러 550 : 제2 홀딩플레이트

Claims (6)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체보존용기를 홀딩할 수 있는 홀딩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검체보존용기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검체보존용기를 홀딩하는 홀딩프레임;
    상기 홀딩프레임이 외부에 대하여 격리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바디; 및
    상기 하우징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시켜주는 하우징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프레임은,
    제1 검체보존용기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제1 홀딩슬롯이 다수 마련된 제1 홀딩플레이트;
    상기 제1 검체보존용기의 외경과 다른 크기의 외경을 갖춘 제2 검체보존용기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제2 홀딩슬롯이 다수 마련된 제2 홀딩플레이트; 및
    일측단이 상기 제1 홀딩플레이트와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 홀딩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홀딩플레이트와 상기 제2 홀딩플레이트를 이격시켜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검체보존용기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검체보존용기를 홀딩하는 상기 홀딩프레임은,
    검체보존용기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검체보존용기를 홀딩할 수 있도록 상기 홀딩프레임이 상기 하우징바디 내에 수용되는 자세가 전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검체보존용기를 상기 홀딩프레임에 홀딩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홀딩플레이트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홀딩플레이트가 하측에 위치하는 자세가 되거나,
    상기 제2 검체보존용기를 상기 홀딩프레임에 홀딩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 홀딩플레이트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홀딩플레이트가 하측에 위치하는 자세가 되도록 상기 홀딩프레임을 뒤집음으로써 상기 홀딩프레임의 자세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홀딩프레임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납시키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홀딩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리프트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 및 상기 홀딩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홀딩프레임에 홀딩되는 상기 검체보존용기로 충격의 전달을 억제하거나 상기 검체보존용기의 흔들림을 억제시키는 완충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재에는 상기 리프트핸들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핸들보관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딩슬롯의 직경이 상기 제1 검체보존용기의 뚜껑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 홀딩슬롯의 직경이 상기 제2 검체보존용기의 뚜껑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6. 제 5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제1 홀딩슬롯이 상기 제1 홀딩플레이트에서 회전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거나,
    다수개의 상기 제2 홀딩슬롯이 상기 제2 홀딩플레이트에서 회전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KR1020210037057A 2021-03-23 2021-03-23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KR102539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057A KR102539327B1 (ko) 2021-03-23 2021-03-23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PCT/KR2022/003500 WO2022203255A1 (ko) 2021-03-23 2022-03-14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057A KR102539327B1 (ko) 2021-03-23 2021-03-23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150A KR20220132150A (ko) 2022-09-30
KR102539327B1 true KR102539327B1 (ko) 2023-06-02

Family

ID=8339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057A KR102539327B1 (ko) 2021-03-23 2021-03-23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9327B1 (ko)
WO (1) WO2022203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3342A (en) * 2022-10-13 2024-04-17 Johnson Matthey Plc Accessory for a microwave diges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6413A (zh) * 2015-09-29 2018-06-08 株式会社久保田制作所 离心机的管架
CN207521052U (zh) * 2017-11-08 2018-06-22 柳河 一种内分泌科用旋转试管架
CN208695067U (zh) * 2018-08-08 2019-04-05 郑州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内分泌科试管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187B1 (ko) 2000-10-24 2002-10-18 주식회사 코젠바이오텍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KR101215203B1 (ko) * 2011-03-09 2012-12-24 홍광섭 슬라이드 개폐식 식품용기
CN108499631A (zh) * 2018-06-22 2018-09-07 广东氪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技术开发用转动式试管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6413A (zh) * 2015-09-29 2018-06-08 株式会社久保田制作所 离心机的管架
CN207521052U (zh) * 2017-11-08 2018-06-22 柳河 一种内分泌科用旋转试管架
CN208695067U (zh) * 2018-08-08 2019-04-05 郑州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内分泌科试管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3255A1 (ko) 2022-09-29
KR20220132150A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6146A (en) Vial transporter
ES2920382T3 (es) Gradilla para tubos de muestras y sistema de análisis de tubos de muestras
JP5127646B2 (ja) 検体ラック
JP4573243B2 (ja) 試験管用トレイ
US5366088A (en) Stackable pipette tip rack
KR102539327B1 (ko) 검체보존용기 수용컨테이너
WO2004093604A1 (en) Tube rack accommodating a range of tube diameters
US20070286775A1 (en) Transporter
JP5318746B2 (ja) 採集容器アッセンブリ
CN107444756B (zh) 固体废物袋单元和包括固体废物袋单元的分析仪
US6599482B1 (en) Centrifuge container rack with balancing feature
JP4191616B2 (ja) ディスク付検査器具
KR20120008600A (ko) 미생물 수송배지 용기
KR101000830B1 (ko) 검체용 수송배지용기
JP2014518742A (ja) 滅菌工程または洗浄工程を検査するための検査試料保持デバイス
JP2010162542A (ja) 試験管用トレイ
US20080113425A1 (en) Container for samples of organic tissue
KR102199428B1 (ko) 검체 용기
JP5631190B2 (ja) 内視鏡用キャリングケース
KR100604145B1 (ko) 배지용기
JP4672855B2 (ja) 採便容器
JP6836235B2 (ja) 細胞搬送用容器
EP1457261A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ing evacuated blood collection tubes
JP7291783B2 (ja) 物品を保持して物品から包装を取り除く装置
CN219097317U (zh) 用于盖玻片的存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