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259B1 -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도로면에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전동 킥보드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도로면에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전동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259B1
KR102539259B1 KR1020220167114A KR20220167114A KR102539259B1 KR 102539259 B1 KR102539259 B1 KR 102539259B1 KR 1020220167114 A KR1020220167114 A KR 1020220167114A KR 20220167114 A KR20220167114 A KR 20220167114A KR 102539259 B1 KR102539259 B1 KR 10253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kickboard
driving
information
projec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성준
박종윤
Original Assignee
김민성
성준
박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성, 성준, 박종윤 filed Critical 김민성
Priority to KR1020220167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22Warning or information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electronic, e.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도로면에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야간에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면서 안전하게 네비게이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위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에게 전동 킥보드 주행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전동 킥보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도로면에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전동 킥보드{electric kickboard having beam projector capable of displaying navigation information and warning phrase on surface of road}
본 발명은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도로면에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를 구비한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공유형 전동 킥보드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 또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전동 킥보드는 아래와 같이 몇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안전 문제이다.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전동 킥보드에서 주행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시선을 내려 손잡이 앞에 달려있는 디스플레이 혹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보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 앞에 있는 보행자를 인지하지 못하고 부딪히는 사고가 충분히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전동 킥보드의 반납 위치 문제이다. 기존의 전동 킥보드의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주행 정보는 속도, 시간, 배터리 등으로 상당히 제한적이며, 실제로 주행에 큰 도움이 되는 않는다. 전동 킥보드로 주행시 불편한 부분이 더러 있는데, 공유 킥보드를 사용하고 난 뒤에 반납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 위치가 반납 가능한 위치인지 확인해야 한다. 만약 그 곳이 반납 불가능한 지역이라면 공유 킥보드 회사에서 패널티 요금을 부과한다. 이때는 주행을 멈추고 스마트폰 어플로 지도에서 반납 가능한 지역을 확인하고, 다시 그 장소로 가서 반납해야 한다. 그래서 주행을 멈추고 스마트폰을 확인하기를 반복해야 한다. 이 밖에도 전동킥보드를 이용하면 목적지에 가기 위해서 지도를 사용하기가 어렵고 위험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세 번째는 경제성 측면의 문제이다. 전동 킥보드는 여러 센서가 달려있어 주행 정보를 입력받고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나,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동킥보드에는 작은 스마트폰(컴퓨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는 전동 킥보드 자체의 가격이나 공유형 전동 킥보드 대여 비용 또는 운용 비용을 비싸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도로면에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야간에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면서 안전하게 네비게이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위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에게 전동 킥보드 주행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전동 킥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에 따라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가 도로면에 표시되는 위치가 조절되게 하여 전동 킥보드 운전자가 주행 속도에 따라 안전하게 출력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며, 빠른 속도로 주행시 먼 거리의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에게도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는 사용자가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을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설정된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단말기 장착부를 포함하는 전동 킥보드 본체; 상기 전동 킥보드 본체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주행 속도와 주행 방향을 지시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위험 경고 문구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프로젝터 빔으로 출력하여 도로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빔 프로젝터;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에서 제공하는 주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빔 프로젝터에서 상기 프로젝터 빔이 출력되도록 상기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는 상기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에 따라 상기 빔 프로젝터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프로젝터 빔의 방향 또는 상기 빔 프로젝터에 의해 출력되는 빔 프로젝트 영상에서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빔 방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방향 조절부는 상기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주행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 빔의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설정하여 상기 전동 킥보드로부터 전방으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도로면에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주행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 빔의 방향을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상향 조절하여 상기 전동 킥보드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제1 거리 보다 먼 제2 거리 만큼 이격된 도로면에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빔 프로젝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빔 방향 조절부는 상기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에 따라, 상기 빔 프로젝터에 의해 출력되는 빔 프로젝트 영상 중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출력 정보가 도로면에 표시되는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빔 방향 조절부는 상기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주행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빔 프로젝트 영상 중 하부 영역에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게 하여 상기 전동 킥보드로부터 전방으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도로면에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주행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빔 프로젝트 영상 중 상부 영역에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게 하여 상기 전동 킥보드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제1 거리 보다 먼 제2 거리 만큼 이격된 도로면에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도로면에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야간에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면서 안전하게 네비게이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위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에게 전동 킥보드 주행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에 따라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가 도로면에 표시되는 위치가 조절되게 하여 전동 킥보드 운전자가 주행 속도에 따라 안전하게 출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빠른 속도로 주행시 먼 거리의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에게도 위험을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를 구성하는 빔 프로젝터에 의해 도로면에 표시되는 출력 정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부', '~ 모델'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10)는 전동 킥보드 본체(20), 빔 프로젝터(50), 제어부(60), 및 빔 방향 조절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 킥보드 본체(20)는 사용자가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판(21)과 발판(21)을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 등의 구동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동 킥보드 본체(20)는 전동 킥보드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부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킥보드 기둥(30)과, 킥보드 기둥(3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핸들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핸들부(40)는 사용자가 양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동 킥보드 본체(20)의 핸들부(40) 및/도는 킥보드 기둥(30)에는 단말기 장착부(80)가 마련될 수 있다. 단말기 장착부(80)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설정된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말기 장착부(80)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단말기 장착부(80)에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배치 방향이 방향이 전동 킥보드의 정면과 나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단말기 장착부(8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 장착부(80)는 다양한 크기의 휴대 단말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이한 크기/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기 장착부(80)는 사각홈 내에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상면과 하면 중의 적어도 하나에 스프링을 매개로 완충 지지되는 조절판을 구비하여 다양한 크기의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를 구성하는 빔 프로젝터에 의해 도로면에 표시되는 출력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빔 프로젝터(50)는 전동 킥보드 본체(20)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주행 속도와 주행 방향을 지시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위험 경고 문구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52a)를 프로젝터 빔으로 출력하여 도로면(1)에 표시할 수 있다.
빔 프로젝터(5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정보는 전동 킥보드(10)의 주행 속도, 주행 시간, 현재 주행 방향, 전방 위치에서 좌회전/우회전/직진 등의 네비게이션 방향 정보 등과 같은 네이게이션 정보(92)와, 배터리 잔량 정보, 전동 킥보드의 반납 가능 지역 여부(반납 가능/불가능 문구) 정보, 현재 위치, 시간, 그리고 전동 킥보드(10)의 주행을 알리는 위험 문구(9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에서 제공하는 주행 정보를 기초로 출력 정보를 생성하여 빔 프로젝터(50)에서 프로젝터 빔(52)이 출력되도록 빔 프로젝터(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는 네비게이션 앱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앱을 활용함으로써, 전동 킥보드에 별도의 네비게이션 앱을 설치하여 운용할 필요가 없이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보지 않고 전방을 주시하면서 도로면(1)에 표시되는 출력 정보를 통해 네비게이션 정보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보는 동안에 교통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동 킥보드 전방 측의 도로면(1)에 "위험" 문구를 표시하여 전동 킥보드의 전방 측으로 다가가고 있는 보행자 또는 주변의 차량에 전동 킥보드의 이동을 알림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빔 방향 조절부(70)는 전동 킥보드(10)의 주행 속도에 따라 빔 프로젝터(50)에 의해 출력되는 프로젝터 빔(52, 54)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빔 방향 조절부(70)는 전동 킥보드(10)의 주행 속도를 기 설정된 기준 주행 속도와 비교하며, 전동 킥보드(10)의 주행 속도가 기준 주행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프로젝터 빔의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설정하여 빔 프로젝터(50)에서 제1 하향 각도로 제1 프로젝터 빔(52)이 출력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전동 킥보드로부터 전방으로 제1 거리(D1)만큼 이격된 도로면(1)에 출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달리, 전동 킥보드(10)의 주행 속도가 기준 주행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빔 방향 조절부(70)는 프로젝터 빔의 방향을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상향 조절하여 빔 프로젝터(50)에서 제2 하향 각도로 제2 프로젝터 빔(54)이 출력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전동 킥보드(10)로부터 전방으로 제1 거리(D1) 보다 먼 제2 거리 (D2) 만큼 이격된 도로면(1)에 출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동 킥보드(10)의 주행 속도가 빠른 경우 보다 전동 킥보드로부터 보다 먼 위치의 도로면(1)에 출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여 보행자 또는 차량과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빔 방향 조절부(70)는 기계적으로 빔 프로젝터(50)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구동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빔 방향 조절부(70)는 예를 들어 구동 모터, 구동 실린더, 윈치/와이어 구동 수단, 컨베이어 벨트 구동 수단 등으로 이루어져 프로젝터 빔의 출력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빔 방향 조절부(70)는 빔 프로젝터(50)에 의해 출력되는 빔 프로젝트 영상 중 출력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출력 정보가 도로면에 표시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빔 방향 조절부(70)는 전동 킥보드(10)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주행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빔 프로젝터에 의해 출력되는 빔 프로젝트 영상 중 하부 영역에 출력 정보가 표시되게 하여 전동 킥보드(10)로부터 전방으로 제1 거리(D1)만큼 이격된 도로면에 출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전동 킥보드(10)의 주행 속도가 기준 주행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빔 프로젝트 영상 중 상부 영역에 출력 정보가 표시되게 하여 전동 킥보드(10)로부터 전방으로 제1 거리(D1) 보다 먼 제2 거리(D2) 만큼 이격된 도로면에 출력 정보(52a)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빔 방향 조절부(70)는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에 따라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에 대응되는 프로젝터 빔(레이저 빔)의 방향(상하 각도)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빔 프로젝터(50)의 방향(상하 각도)을 기계적으로 조절하거나, 빔 프로젝터(50)에 의해 출력되는 빔 프로젝트 영상에서 출력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도로면에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야간에 전동 킥보드를 이용하면서 안전하게 네비게이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위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에게 전동 킥보드 주행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에 따라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가 도로면에 표시되는 위치가 조절되게 하여 전동 킥보드 운전자가 주행 속도에 따라 안전하게 출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빠른 속도로 주행시 먼 거리의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에게도 위험을 알릴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에 대해 부언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는 보행자와의 사고 예방 및 주행의 안전을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전동 킥보드 사용시의 안전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보행자와의 사고가 일어나는 원인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전동 킥보드의 디스플레이가 너무 아래에 있어 주행 중에 시선을 내려 보기에는 부담이 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전기로 구동되는 전동 킥보드는 소음이 없어 특히 야간에 앞이나 도로 교차 영역 주위에서 걷고 있는 보행자 혹은 도로 교차 영역에서 뒤에서 오거나 옆에서 오는 전동 킥보드를 쉽게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는 전동 킥보드에서 디스플레이를 제거하였으며, 전동 킥보드 앞쪽에 빔 프로젝터를 쏘아 전동 킥보드의 예상 경로와 주행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 킥보드의 주행자는 시선을 아래로 내릴 필요 없이 주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보행자는 뒤 혹은 옆에서 쏘는 전동 킥보드의 경로 혹은 위험 문구를 나타내는 빔을 도로면에서 인식하여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피하거나 멈추거나 보행 속도를 늦추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동 킥보드 사용시의 기능 확장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는 주행 정보에 내비게이션 기능과 반납 가능/불가능 여부를 알려주는 기능을 구비한다. 주행 전에 스마트폰 어플로 목적지를 입력하면 내비게이션으로 목적지와 가장 가까운 반납 가능한 장소로 안내하도록 하면, 사용자가 번거롭게 스마트폰으로 수시로 반납가능 지역을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동 킥보드 사용시의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다. 전동 킥보드에는 스마트폰과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정도의 최소한의 컴퓨터만 내장하고, 나머지 주행 정보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면, 많은 전자부품이 필요 없어지기 때문에 빔 프로젝터와 같은 장비를 추가하더라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빔 프로젝터는 고해상도를 필요로 하지는 않기 때문에 저가의 빔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동 킥보드 사용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어플에서 전동 킥보드의 QR 코드를 찍으면 전동킥보드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전동 킥보드 손잡이 부분 중앙에 장착/부착하여 전동 킥보드를 사용한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네비게이션 앱을 통해 목적지를 지정하면, 전동 킥보드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빔 프로젝터에 의해 목적지까지 갈 방향(주행 경로 안내 문구)을 도로면에 표시하며,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가 알 수 있게 위험 경고 문구를 표시한다.
전동 킥보드 손잡이 앞 부분에 스마트폰을 부착하면 스마트폰 내장 센서로 핸들의 각도를 알 수 있다. 전동 킥보드와의 근거리 통신으로 핸들 방향 정보를 전송하고, 빔 프로젝터에서 그게 맞는 경로를 출력할 수 있다. 속도가 빠르면 경로를 나타내는 선의 길이가 길어지고, 느리면 짧아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빔 프로젝터에서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에 따라 출력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즉, 빔 프로젝터는 기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지 않고, 전동 킥보드 속도가 빠르지 않을 때(기준 주행 속도보다 느릴 때)에는 빔 프로젝터 영상의 하부 영역에 출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여 전동 킥보드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의 도로면에 해당 출력 정보가 표시되게 하고, 반대로 전동 킥보드 속도가 빠를 때(기준 주행 속도보다 빠를 때)에는 빔 프로젝터 영상의 상부 영역에 출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여 전동 킥보드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의 도로면에 해당 출력 정보가 표시되게 함으로써,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에 따라 출력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가 전동 킥보드의 주행 방향을 따라 조절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주간에 전동 킥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양측 핸들에 진동 센서를 달아서 수십여 미터 이전에 미리 좌회전/우회전 등의 지시를 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도로 교차 영역을 지나가는 것으로 판단될 때에는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에 제한을 걸어 일정 속도 이상으로 달릴 수 없도록 하거나, 주위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가 들을 수 있도록 경고음을 자동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 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 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사용자가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을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설정된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단말기 장착부를 포함하는 전동 킥보드 본체;
    상기 전동 킥보드 본체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주행 속도와 주행 방향을 지시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위험 경고 문구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프로젝터 빔으로 출력하여 도로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빔 프로젝터;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에서 제공하는 주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빔 프로젝터에서 상기 프로젝터 빔이 출력되도록 상기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에 따라 상기 빔 프로젝터에 의해 출력되는 빔 프로젝트 영상에서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빔 방향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장착부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치 방향이 상기 전동 킥보드 본체의 정면과 나란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공되는 다수개의 삽입홈- 상기 다수개의 삽입홈은 다양한 크기의 휴대 단말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이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됨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앱에서 제공하는 주행 정보를 기초로 출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빔 프로젝터에서 상기 프로젝터 빔이 출력되도록 상기 빔 프로젝터를 제어하고,
    상기 빔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정보는 주행 속도, 주행 시간, 현재 주행 방향 및 전방 위치에서 네비게이션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네이게이션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전동 킥보드의 반납 가능 지역 여부 정보 - 상기 반납 가능 지역 여부 정보는 반납 가능 문구 또는 반납 불가능 문구를 포함함 - 현재 위치, 시간, 및 전동 킥보드의 주행을 알리는 위험 문구를 포함하고,
    상기 빔 방향 조절부는 상기 빔 프로젝터를 기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지 않고 상기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에 따라, 상기 빔 프로젝터에 의해 출력되는 빔 프로젝트 영상 중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출력 정보가 도로면에 표시되는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빔 방향 조절부는:
    상기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주행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빔 프로젝터를 기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지 않고 상기 빔 프로젝트 영상 중의 하부 영역에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게 하여 상기 전동 킥보드로부터 전방으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도로면에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전동 킥보드의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 주행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빔 프로젝터를 기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지 않고 상기 빔 프로젝트 영상 중의 상부 영역에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게 하여 상기 전동 킥보드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제1 거리 보다 먼 제2 거리 만큼 이격된 도로면에 상기 출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전동 킥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67114A 2022-12-02 2022-12-02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도로면에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전동 킥보드 KR102539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114A KR102539259B1 (ko) 2022-12-02 2022-12-02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도로면에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전동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114A KR102539259B1 (ko) 2022-12-02 2022-12-02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도로면에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전동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259B1 true KR102539259B1 (ko) 2023-06-02

Family

ID=8675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114A KR102539259B1 (ko) 2022-12-02 2022-12-02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도로면에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전동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2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30417A1 (en) * 2015-05-06 2016-11-10 Conary Enterprise Co., Ltd. Real-time data display device for bicycles
US20210155153A1 (en) * 2019-11-22 2021-05-27 Honda Motor Co., Ltd. Electric scooter lighting for improved conspicuity
US20210197914A1 (en) * 2019-12-27 2021-07-01 Lyft, Inc. Micro-mobility fleet vehicle cockpit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US20210341304A1 (en) * 2015-04-10 2021-11-04 Maxell, Ltd.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41304A1 (en) * 2015-04-10 2021-11-04 Maxell, Ltd. Vehicle
US20160330417A1 (en) * 2015-05-06 2016-11-10 Conary Enterprise Co., Ltd. Real-time data display device for bicycles
US20210155153A1 (en) * 2019-11-22 2021-05-27 Honda Motor Co., Ltd. Electric scooter lighting for improved conspicuity
US20210197914A1 (en) * 2019-12-27 2021-07-01 Lyft, Inc. Micro-mobility fleet vehicle cockpit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7280B2 (ja) 自動運転制御装置及び車両
JP6084598B2 (ja) 標識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標識情報表示方法
CA3015338C (en) Intention signaling for an autonomous vehicle
KR102024494B1 (ko) 주차 지원 방법 및 주차 지원 장치
JP2020038697A (ja) 自動運転制御装置及び車両
JP4967015B2 (ja) 安全運転支援装置
JP6429413B2 (ja) 画像表示装置
EP3251911A1 (en) Automated driving control device
WO2017022201A1 (ja) 自動運転支援装置、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自動運転支援プログラム
KR102339776B1 (ko)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0621551A (zh) 车辆的自动驾驶控制系统
WO2019188218A1 (ja) 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
JP2018193038A (ja) 自動走行制御装置
JP6633041B2 (ja) 車両、走行制御装置及び走行制御方法
JP2008120133A (ja) 車両用運転支援システム
JP2019128773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102539259B1 (ko) 네비게이션 정보 및 위험 경고 문구를 도로면에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전동 킥보드
US20230406355A1 (e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cessing program
KR20220079733A (ko) 차량의 안전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과, 차량 시스템
KR20220010316A (ko) 주행 환경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JP7051201B2 (ja) 自動運転車両
KR101763412B1 (ko) 자전거 안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단말기
JP6984117B2 (ja) 運転支援装置
CN113264030B (zh) 驾驶辅助系统
KR20180070206A (ko) IoT 기반의 자전거 주행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