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270B1 -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270B1
KR102538270B1 KR1020230016060A KR20230016060A KR102538270B1 KR 102538270 B1 KR102538270 B1 KR 102538270B1 KR 1020230016060 A KR1020230016060 A KR 1020230016060A KR 20230016060 A KR20230016060 A KR 20230016060A KR 102538270 B1 KR102538270 B1 KR 102538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range
patient
data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림
Original Assignee
김재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림 filed Critical 김재림
Priority to KR102023001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7Upper parts of the skin, e.g. skin peeling or treatment of wri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42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with feedback, i.e. closed loop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은, 레이저 시술시 환자의 피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에 있어서 열화상 카메라 모듈은, 열상 검출부, 열상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보정 처리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고,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는 환자 피부 데이터 및 피부 구획별 온도 데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 {Surgical Operation System for Lifting with Thermal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술자로 하여금 환자의 피부 상태 및 엔드 포인트를 정확히 인지하면서 레이저 시술을 가능케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리프팅 시술은 피시술자의 노화된 피부의 주름을 들어올려서 팽팽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레이저를 사용하여 시술한다.
리프팅 시술을 위한 피부 치료용 레이저는 적응증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레이저 파장 및 레이저 펄스 폭의 조절을 달리해야 하며, 레이저의 빔의 조사 방법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 이러한 레이저 조사에 있어서, 레이저 시술을 멈추는 시점을 엔드 포인트(endpoint)라고 하며, 적응증, 레이저의 타입 및 레이저 빔의 조사방법에 따라 엔드 포인트가 달라진다.
이러한, 엔드 포인트는 레이저 시술 중 다양하게 나타나며, 특히 홍반은 서서히 동반되므로 즉시 나오지 않아 적절한 엔드 포인트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적절한 엔드 포인트를 놓치는 경우 화상으로 인한 통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시술 후 부작용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절한 엔드 포인트를 인지하는 것이 레이저 시술에서 중요하다. 엔드 포인트를 인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통증을 물어보거나, 의사가 손으로 만져가며 온도를 직접 체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정확한 엔드 포인트를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엔드 포인트를 정확히 인지하면서 레이저 시술을 진행할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KR 10-1574951호(2015.12.01 등록)
본 발명은 시술자가 환자의 피부 상태 및 엔드 포인트를 정확히 인지하면서 레이저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은, 레이저 시술시 환자의 피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에 있어서 열화상 카메라 모듈은, 열상 검출부, 열상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보정 처리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고,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는 환자 피부 데이터 및 피부 구획별 온도 데이터를 포함한다.
카메라 제어부는 감지된 환자의 피부 온도에 기반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의 구획 범위를 설정하되, 구획범위는, 제1피부 온도에 따라 구획되는 제1구획범위, 제1피부 온도보다 더 높은 제2피부 온도에 따라 구획되는 제2구획범위 및 제2피부 온도보다 더 높은 제3피부 온도에 따라 구획되는 제3구획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획범위는 제1구획범위의 50%이하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제3구획범위는 제2구획범위의 50%이하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는, 제1구획범위 내지 제3구획범위를 기반으로 중첩범위를 추출하되, 중첩범위의 중첩 횟수에 따른 중첩범위의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모듈을 더 포함하고, 레이저 모듈은, 환자의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 열화상 카메라 모듈로부터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를 수신 받는 레이저 통신부 및 수신 받은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이저 조사 순서를 분석하여 시술자에 안내하는 레이저 제어부를 포함하고,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는 구획범위 및 중첩범위 정보를 포함하고, 레이저 제어부는 구획범위를 기준으로 중첩범위를 참조하여 레이저 조사 순서를 결정하는 열화상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에 의하면 시술자는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에 의하면 레이저 시술의 엔드 포인트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리프팅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에 의하면 환자의 리프팅 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제어부에 의한 제1 내지 제3구획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제어부에 의한 제1 내지 제3구획범위 및 중첩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 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 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모듈(100)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10)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모듈(100)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10)에 의하면 시술자는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시술자는 이를 통해 레이저 시술의 엔드 포인트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리프팅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고, 환자의 리프팅 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모듈(100)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제어부(230)에 의한 제1 내지 제3구획범위(1301)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제어부(230)에 의한 제1 내지 제3구획범위(1301) 및 중첩범위(131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모듈(100)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10)은 환자의 피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 모듈(100) 및 환자 피부의 리프팅 시술을 위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모듈(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모듈(100)은 환자의 피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레이저 모듈(200)에 소정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열상 검출부(110), 데이터 변환부(120), 카메라 제어부(130), 영상 출력부(140) 및 카메라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 모듈(100)은 환자의 피부 온도에 기반하여 데이터의 구획범위(1301)를 설정하여 설정된 구획범위(1301) 관련 데이터를 레이저 모듈(200)에 제공할 수 있다. 구획범위(1301)는 서로 다른 피부 온도에 기반한 복수의 구획범위(130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범위(1301)는 구획되는 면적이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열상 검출부(110)는 환자의 피부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검출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열상 검출부(110)는 환자 피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시술부위의 열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발열량을 검출하고, 발열량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센서는 시술부위의 열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외선을 검출하는 자외선 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자의 피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공지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120)는 열상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환자의 피부 데이터 및 피부 데이터에 해당되는 온도 데이터를 포함한다.
데이터 변환부(120)는 열상 검출기로부터 전달받은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는 공지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30)는 환자의 피부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전술한 열상 검출부(110) 및 데이터 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30)는 데이터 변환부(12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보정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30)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보정 처리하여, 단순히 온도 정보만 출력하는 것이 아닌 온도를 기반으로 한 부작용 발생 위험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30)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여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는 후술할 환자 피부 데이터, 각 구획범위(1301) 관련 정보, 각 중첩범위(1311) 관련 정보, 피부 등고선 데이터 관련 정보, 꼭지점 데이터 관련 정보 또는 꼭지점 영역 데이터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구획별 온도 데이터는 환자 피부 데이터 및 온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구획된 환자의 피부 데이터와 구획된 환자의 피부 데이터에 대응하는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값이다. 피부 구획별 온도 데이터는 환자의 피부 데이터를 서로 다른 범위로 구획된 복수의 구획범위(1301)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30)는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환자의 피부 온도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범위로 구획된 복수의 구획범위(1301)를 생성한다. 카메라 제어부(130)는 환자의 피부 온도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범위로 구획된 복수의 구획범위(1301)를 생성하여, 해당 정보를 시술자에 안내함으로써 환자의 피부 온도에 따른 레이저 시술의 엔드 포인트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획범위(1301)는, 제1피부 온도에 따라 구획되는 제1구획범위(1301a), 제2피부 온도에 따라 구획되는 제2구획범위(1301b), 제3피부 온도에 따라 구획되는 제3구획범위(1301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는 제1피부 온도, 제2피부 온도 및 제3피부 온도 순으로 제1피부 온도가 가장 낮고 제3피부 온도가 가장 높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의 순서로 온도가 상이할 수 있다.
구획범위(1301)는, 제1구획범위(1301a), 제2구획범위(1301b) 및 제3구획범위(1301c) 순으로 제1구획범위(1301a)가 가장 넓고 제3구획범위(1301c)가 가장 좁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의 순서로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범위(1301)는, 도 2와 같이, 제2구획범위(1301b)는 제1구획범위(1301a)의 50%이하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제3구획범위(1301c)는 제2구획범위(1301b)의 50%이하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3구획범위(1301c)는 제1구획범위(1301a)의 25%이하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피부 온도가 가장 높은 제3피부 온도에 대응하는 제3구획범위(1301c)는 환자의 피부 온도가 가장 낮은 제1피부 온도에 대응하는 제1구획범위(1301a)의 25%이하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제어부(130)는 제1구획범위(1301a) 내지 제3구획범위(1301c)를 기반으로 각 구획범위(1301)의 중첩범위(1311)를 분석 및 추출할 수 있다. 중첩범위(1311)는 환자의 피부 상에 제1구획범위(1301a) 내지 제3구획범위(1301c)가 중첩되는 영역이다. 카메라 제어부(130)는 중첩범위(1311)를 구획범위(1301)의 중첩의 횟수에 따라 중첩범위(1311)의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중첩범위(1311)는, 각 구획범위(1301)가 1 내지 5회 중첩되는 제1레벨의 중첩범위(1311), 6 내지 10회 중첩되는 제2레벨의 중첩범위(1311), 11회 내지 15회 중첩되는 제3레벨의 중첩범위(1311) 및 16회 이상 중첩되는 제4레벨의 중첩범위(1311)를 포함할 수 있다. 중첩되는 횟수 및 이에 따른 레벨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카메라 제어부(130)는 중첩되는 구획범위(1301)의 종류에 따라 중첩범위(1311)의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중첩범위(1311)는, 제1 구획범위(1301a)가 중첩되는 제1레벨의 중첩범위(1311), 제2구획범위(1301b)가 중첩되는 제2레벨의 중첩범위(1311), 제3구획범위(1301c)가 중첩되는 제3레벨의 중첩범위(1311)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메라 제어부(130)는 구획범위(1301)의 중첩의 횟수 및 구획범위(1301)의 종류에 따라 중첩범위(1311)의 레벨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카메라 제어부(130)는 구획범위(1301) 및 중첩범위(1311)를 기반으로 피부 등고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피부 등고선 데이터는 환자의 피부 데이터 상에 구획범위(1301) 및 중첩범위(1311)에 따른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표현한 데이터일 수 있다. 피부 등고선 데이터는 제1구획범위(1301a)의 높이가 가장 낮으며, 제3구획범위(1301c)의 높이가 가장 높도록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피부 등고선 데이터는 제1레벨의 중첩범위(1311)의 높이가 가장 낮으며, 제4레벨의 중첩범위(1311)의 높이가 가장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피부 등고선 데이터는 구획범위(1301) 및 중첩범위(1311)를 동시에 반영한 데이터로, 시술자에 엔드 포인트에 대한 즉각적인 인지를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이다.
카메라 제어부(130)는 피부 등고선 데이터를 기반으로 꼭지점 데이터를 추출 및 생성할 수 있다. 꼭지점 데이터는 피부 등고선 데이터 중 높이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끝단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각 등고선마다 존재하는 끝점 데이터이다. 카메라 제어부(130)는 꼭지점 데이터를 생성하여, 구획범위(1301) 및 중첩범위(1311)를 기반으로 시술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영역을 시술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30)는 꼭지점 데이터를 기반으로 꼭지점 영역 데이터를 추출 및 생성할 수 있다. 꼭지점 영역 데이터는 꼭지점을 중심으로 한 원형의 영역으로, 레이저 조사를 지양해야 하는 영역에 대응된다. 즉, 꼭지점 영역 데이터는 환자의 후유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과 일치한다.
영상 출력부(140)는 카메라 제어부(130)로부터 환자의 피부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또는 사진 데이터로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140)는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는 환자 피부 데이터, 각 구획범위(1301) 관련 정보, 각 중첩범위(1311) 관련 정보, 피부 등고선 데이터 관련 정보, 꼭지점 데이터 관련 정보 또는 꼭지점 영역 데이터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40)는 LED, LCD, OLED 등 화면을 표시하는 모든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 출력부(140)는 터치 디스플레이나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카메라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예: 레이저 모듈(200), 사용자 단말기 등)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카메라 통신부(15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통신부(150)는 레이저 모듈(200)에 연결되어 열화상 카메라 모듈(100)에서 생성, 분석 또는 추출한 정보를 레이저 모듈(200)에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 통신부(150)는 환자 피부 데이터, 각 구획범위(1301) 관련 정보, 각 중첩범위(1311) 관련 정보, 피부 등고선 데이터 관련 정보, 꼭지점 데이터 관련 정보 또는 꼭지점 영역 데이터 관련 정보를 레이저 모듈(200)에 전송할 수 있다.
레이저 모듈(200)은 열화상 카메라 모듈(100)에 연결되어 열화상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엔드 포인트에 해당하는 영역의 레이저 조사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레이저 조사부(210), 레이저 통신부(220) 및 레이저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210)는 레이저를 발생시켜 피부의 타겟 영역으로 레이저를 출력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210)는 레이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레이저 조사부(210)는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 방출원에서 전자를 방출하고, 전기장에 따라 전자가 이동하여 전극에 충돌하게 되면서 레이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210)의 레이저 발생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레이저가 발생될 수 있다.
레이저 통신부(220)는 열화상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레이저 제어부(230)에 전달한다. 레이저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열화상 카메라 모듈(100)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전술한 Wifi, BT, NFC, GPS 또는 cellular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제어부(230)는 레이저 조사부(210) 및 레이저 통신부(220)의 동작을 제어하며, 레이저 조사부(210)의 제어를 통해 서로 다른 파장의 레이저 펄스를 생성한다. 또한, 레이저 제어부(230)는 수신 받은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이저 조사 순서를 분석한다. 레이저 제어부(230)는 환자 피부 데이터, 각 구획범위(1301) 관련 정보, 각 중첩범위(1311) 관련 정보, 피부 등고선 데이터 관련 정보, 꼭지점 데이터 관련 정보 또는 꼭지점 영역 데이터 관련 정보 등을 기반으로 레이저 조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레이저 제어부(230)는 환자의 피부 온도에 따라 구획되는 제1구획범위(1301a) 내지 제3구획범위(1301c)를 기반으로 레이저 조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레이저 제어부(230)는 구획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제1 내지 제3구획범위(1301) 순으로 조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레이저 제어부(230)는 구획범위(1301)에 해당하지 않는 영역을 1순위, 제1구획범위(1301a)를 2순위, 제2구획범위(1301b)를 3순위, 제3구획범위(1301c)를 4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제어부(230)는 구획범위(1301)를 기준으로 중첩범위(1311)를 참조하여 레이저 조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레이저 제어부(230)는 제1 내지 제3구획범위(1301) 순으로 조사 순서를 결정하되, 중첩범위(1311)는 제외하고 중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레이저 조사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제어부(230)는 중첩되지 않는 범위의 조사 순서를 확정하고, 그 이후의 순위는 카메라 제어부(130)에 의해 설정된 중첩범위(1311)의 레벨에 따라 레이저 조사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예로, 레이저 제어부(230)는 제1레벨의 중첩범위(1311)를 제2레벨의 중첩범위(1311) 보다 우선하여 레이저 조사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제어부(230)는 구획범위(1301)를 기준으로 피부 등고선 데이터를 참조하여 레이저 조사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레이저 제어부(230)는 제1 내지 제3구획범위(1301) 순으로 조사 순서를 결정하되, 피부 등고선 데이터를 참조하여 낮은 등고선을 갖는 영역에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제어부(230)는 구획범위(1301)를 기준으로 꼭지점 영역 데이터를 참조하여 레이저 조사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레이저 제어부(230)는 제1 내지 제3구획범위(1301) 순으로 조사 순서를 결정하되, 꼭지점 영역 데이터는 제외한 범위 내에서 레이저 조사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제어부(230)는 꼭지점 영역 데이터에 해당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사 순서를 확정하고, 그 이후의 순위는 꼭지점 영역 데이터 내에서 제1 내지 제3구획범위(1301) 순으로 레이저 조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레이저 제어부(230)는 분석한 레이저 조사 순서를 기반으로, 시술자에 레이저 조사 순서를 안내할 수 있다. 레이저 제어부(230)는 진동, 빛 또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해 레이저 조사 순서를 안내할 수 있다.
레이저 제어부(230)는 서로 다른 색의 빛을 통해 조사 순서를 안내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순위에 해당하는 레이저 조사범위는 빨간색, 제2순위에 해당하는 레이저 조사범위는 주황색, 제3순위에 해당하는 레이저 조사범위는 노란색, 제4순위에 해당하는 레이저 조사범위는 초록색 등의 순서로 안내할 수 있다. 레이저 제어부(230)를 통해 안내되는 조사 순서는 환자의 피부 온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으며, 전술한 순위에 따른 색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
100: 열화상 카메라 모듈, 110: 열상 검출부,
120: 데이터 변환부, 130: 카메라 제어부,
140: 영상 출력부, 150: 카메라 통신부,
200: 레이저 모듈, 210: 레이저 조사부,
220: 레이저 통신부, 230: 레이저 제어부

Claims (5)

  1. 레이저 시술시 환자의 피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에 있어서,
    열화상 카메라 모듈은,
    열상 검출부;
    열상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보정 처리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고,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는 환자 피부 데이터 및 피부 구획별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카메라 제어부는 감지된 환자의 피부 온도에 기반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의 구획 범위를 설정하되,
    구획범위는, 제1피부 온도에 따라 구획되는 제1구획범위, 제1피부 온도보다 더 높은 제2피부 온도에 따라 구획되는 제2구획범위 및 제2피부 온도보다 더 높은 제3피부 온도에 따라 구획되는 제3구획범위를 포함하고,
    제2구획범위는 제1구획범위의 50%이하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제3구획범위는 제2구획범위의 50%이하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 제어부는,
    제1구획범위 내지 제3구획범위를 기반으로 중첩범위를 추출하되, 중첩범위의 중첩 횟수에 따른 중첩범위의 레벨을 설정하는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열화상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모듈을 더 포함하고,
    레이저 모듈은,
    환자의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
    열화상 카메라 모듈로부터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를 수신 받는 레이저 통신부; 및
    수신 받은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레이저 조사 순서를 결정하여 시술자에 안내하는 레이저 제어부를 포함하고,
    보정 처리된 환자 영상 데이터는 구획범위 및 중첩범위 정보를 포함하고,
    레이저 제어부는 구획범위를 기준으로 중첩범위를 참조하여 레이저 조사 순서를 결정하는 열화상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
KR1020230016060A 2023-02-07 2023-02-07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 KR102538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060A KR102538270B1 (ko) 2023-02-07 2023-02-07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060A KR102538270B1 (ko) 2023-02-07 2023-02-07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270B1 true KR102538270B1 (ko) 2023-05-30

Family

ID=8652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060A KR102538270B1 (ko) 2023-02-07 2023-02-07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2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3969A (ko) * 2012-05-30 2013-12-10 주식회사 센바이텍 영상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시술영역 및 조사강도가 조절되는 레이저 시술장치
KR101574951B1 (ko) 2015-08-13 2015-12-07 김유인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장치
KR101580075B1 (ko) * 2015-01-23 2016-01-21 김용한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병변 영상 분석에 의한 병변 위치 검출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110881A (ko) * 2015-03-11 2016-09-22 주식회사 하이로닉 피부 미용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시술 방법
KR20190023781A (ko) *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이루다 온도추정함수 및 통합 영상분석을 이용한 레이저 치료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64273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루트로닉 의료용 레이저 장치 및 의료용 레이저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3969A (ko) * 2012-05-30 2013-12-10 주식회사 센바이텍 영상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시술영역 및 조사강도가 조절되는 레이저 시술장치
KR101580075B1 (ko) * 2015-01-23 2016-01-21 김용한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병변 영상 분석에 의한 병변 위치 검출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110881A (ko) * 2015-03-11 2016-09-22 주식회사 하이로닉 피부 미용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시술 방법
KR101574951B1 (ko) 2015-08-13 2015-12-07 김유인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장치
KR20190023781A (ko) *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이루다 온도추정함수 및 통합 영상분석을 이용한 레이저 치료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64273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루트로닉 의료용 레이저 장치 및 의료용 레이저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9693B2 (en) Imaging apparatus, endoscope apparatus, and microscope apparatus
US9338379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an image of a person's skin
EP2772182B1 (en) Scanning endoscope system
EP2506573A3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projec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116384B2 (en) Endoscope system capable of image alignment, processor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endoscope system
US8144341B2 (en) Making method of sample for evaluation of laser irradiation position and making apparatus thereof and evaluation method of stability of laser irradiation position and evaluation apparatus thereof
EP3530179A1 (en) Obtaining images for use in determining one or more properties of skin of a subject
JP2015230229A (ja) 非接触レーザスキャニング分光画像取得装置及び分光画像取得方法
JP2010532018A (ja) 多色自動焦点装置および方法
US20190087970A1 (en) Endoscope system, processor device, and endoscope system operation method
US11399698B2 (en) Light source system,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2538270B1 (ko)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리프팅 시술 시스템
US20180330659A1 (en) Light source device and imaging system
CN109414160B (zh) 观察设备和控制观察设备的方法
CN110945380B (zh) ToF模块以及使用ToF模块的对象识别装置
US11061139B2 (en) Ranging sensor
JP2013013481A (ja) 画像取得装置および集積回路
KR101515177B1 (ko) 로봇에서의 시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로봇
US10884235B2 (en) Drawing apparatus and drawing method
US2022029499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958329B2 (en) Photoelectric switch
JP2005127869A (ja) 色識別装置
US20230410548A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US11892350B2 (en) Device for measuring two-dimensional flicker
WO2023044856A1 (en)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image captured by image sensor having image plane phase-difference pixels, electronic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