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252B1 -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252B1
KR102538252B1 KR1020230024048A KR20230024048A KR102538252B1 KR 102538252 B1 KR102538252 B1 KR 102538252B1 KR 1020230024048 A KR1020230024048 A KR 1020230024048A KR 20230024048 A KR20230024048 A KR 20230024048A KR 102538252 B1 KR102538252 B1 KR 102538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passage
passage
indoo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0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1870A (en
Inventor
진원재
한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3002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252B1/en
Publication of KR20230031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8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2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08Rotary wheel comprising a by-pass chan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24Rotary wheel combined with a humidif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모드 및 환기모드 운전중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내유입 공기유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출 공기유로;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2개의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착하거나 방출하는 제습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는, 상기 제습로터의 적어도 2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통과하는 제1배출유로와, 상기 제습로터를 통과하지 않는 제2배출유로로 이루어진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adjusting humidity during operation in a cooling mode and a ventilation mod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 air conditioner for realizing this includes an indoor inflow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an outdoor discharge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and a dehumidifying rotor provided with at least two regions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or outdoor air passes, and adsorbing or releasing moisture while the indoor air or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regions, wherein the outdoor discharge air passage includes: It includes a first discharge passage passing through one of at least two regions of the dehumidifying rotor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not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Description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환기 및 냉방시 실내의 습도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in a room during ventilation and cooling of the roo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adjusts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or ventilates indoor air to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에 제습, 가습, 공기 정화, 환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add various functions such as dehumidification, humidification, air purification, ventilation, and the like to air conditioners so that indoor air can be maintained comfortably according to seasonal changes according to a user's choice.

이러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88846호 "제습냉방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such an air conditione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88846 entitled "Dehumidifying Cooling System" has been disclosed.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 냉방 시스템은 하절기 냉방운전시 제습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장시간 운전시 실내 상대습도가 30% 이하로 떨어지며 실내공기가 필요 이상으로 건조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제습 냉방시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필요성이 제기된다.The dehumidifying coo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performs dehumidification at the same time during cooling operation in the summer, and has a problem in that the indoor relative humidity drops below 30% and the indoor air becomes drier than necessary during long-term ope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humidity of indoor air during dehumidification and cooling.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 냉방 시스템은 환기모드시 실내 공기의 습도조절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환기모드시 환기와 동시에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필요성이 제기된다.In addition, the dehumidifying coo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humidity of indoor air is not controlled in the ventilation mod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humidity of indoor air at the same time as ventilation in the ventilation mode.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방모드 운전중 습도를 조절하여 실내 공기가 필요 이상으로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vides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eventing indoor air from drying out more than necessary and maintaining appropriate humidity by controlling humidity during operation in a cooling mod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t has a purpose.

또한, 환기모드 운전시 실내공기를 가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humidifying indoor air during ventilation mode oper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환기모드 운전시 실내공기를 가습하거나 가습하지 않는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by enabling a user to select a mode in which indoor air is humidified or not humidified during ventilation mode operation.

또한, 실내 가습시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기만을 이용하여 가습을 함으로써 열에너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improving heat energy by humidifying using only the air inside the air conditioner during indoor humidific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다양한 제어모드를 하나의 공기조화기에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by implementing various control modes in one air conditioner.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내유입 공기유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출 공기유로;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2개의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착하거나 방출하는 제습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는, 상기 제습로터의 적어도 2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통과하는 제1배출유로와, 상기 제습로터를 통과하지 않는 제2배출유로로 이루어진다.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various problems includes an indoor inlet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an outdoor discharge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and a dehumidifying rotor provided with at least two regions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or outdoor air passes, and adsorbing or releasing moisture while the indoor air or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regions, wherein the outdoor discharge air passage includes: It includes a first discharge passage passing through one of at least two regions of the dehumidifying rotor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not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이 경우 실내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1공기유로와 실외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2공기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습로터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1영역과, 상기 제2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2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건채널과, 상기 제1공기유로에서 분기된 제4공기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건채널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습채널과, 상기 습채널을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는 증발냉각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 first air passag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s and a second air passag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doors are provided; The dehumidifying rotor includes a first region provided on the first air passage and a second region provided on the second air passage; a dry channel provided on the first air channel and a wet channel connected to a fourth air channel branched off from the first air channel and exchanging heat with air passing through the dry channel; and It may further include an evaporative cooler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flowing air.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1영역의 전단에서 상기 제1공기유로에 연결되어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3공기유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door air flow passage may include the first air passage through which indoor air flows, and a third air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air passage at a front end of the first region and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상기 제1배출유로는 상기 제2공기유로와 습채널과 상기 습채널의 출구측에서 상기 제습로터를 통과한 후 실외로 연결되는 제6공기유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배출유로는 상기 제4공기유로와 습채널과 상기 습채널의 출구측에서 실외로 연결된 제5공기유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passage includes the second air passage, a wet channel, and a sixth air passage connected to the outdoors afte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at an outlet of the wet channel;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may include the fourth air passage, a wet channel, and a fifth air passage connected to the outdoors from an outlet of the wet channel.

상기 제5공기유로와 상기 제6공기유로의 연결부에는 제6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6댐퍼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습채널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5공기유로 또는 제6공기유로를 선택적으로 유동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A sixth damper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fth air passage and the sixth air passage,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is selectively passed through the fifth or sixth air pa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sixth damper. It can flow and be discharged to the outdoors.

상기 제5공기유로와 상기 제6공기유로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제6댐퍼에 의해 상기 제5공기유로와 상기 제6공기유로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습채널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5공기유로와 제6공기유로를 동시에 유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opening degrees of the fifth air passage and the sixth air passage may be adjusted by a sixth dampe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fth air passage and the sixth air passage; Air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may flow simultaneously through the fifth air passage and the sixth air passage.

제어부는 실내공기의 가습이 많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6공기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비율이 높아지고, 실내공기의 가습이 적게 필요한 경우 상기 제6공기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비율이 낮아지도록 상기 제6댐퍼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ixth damper so that the ratio of air flowing into the sixth air passage increases when indoor air needs to be humidified a lot, and the ratio of air flowing into the sixth air passage decreases when indoor air needs less humidification. opening can be adjusted.

상기 제습로터에는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과 분리된 제3영역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6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3영역을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The dehumidifying roto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area separated from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air flowing through the sixth air passage passes through the third area.

상기 증발냉각기의 습채널 입구측에는 상기 제4공기유로에 연통하는 제7공기유로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7공기유로의 타측은 상기 제5공기유로와 제6공기유로 및 실외에 연결되는 제4실외개구부에 연결되어 4방향 유로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4방향 유로 연결부는 댐퍼에 의해 유로 방향이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One side of a seventh ai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ourth air passage is connected to the inlet side of the wet channel of the evaporative cooler, and the other side of the seventh air passage is connected to the fifth air passage, the sixth air passage, and the outdoors. It is connected to the 4 outdoor openings to form a 4-way flow passage connection portion,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4-way flow passage connection portion may be set by a damper.

상기 제6공기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공기유로에서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실외개구부 측에 연결되는 제8공기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6공기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9댐퍼와, 상기 제6공기유로와 상기 제8공기유로의 연결부를 개폐하는 제7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7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제8공기유로를 폐쇄하여 제6공기유로의 일측과 타측이 연통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8공기유로를 개방함과 동시에 제6공기유로의 일측과 타측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an eighth air passage branched off from the sixth air passage and connected to a first outdoor opening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in from the second air passage; a ninth dam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ixth air passage and a seventh damper for opening and closing a connection between the sixth air passage and the eighth air passage; By controlling the seventh damper, the eighth air passage is closed so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xth air passage communicate, or the eighth air passage is opened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xth air passage are blocked. it may be

상기 제1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냉각부; 상기 제1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 상기 제2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한 후 상기 제2영역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t least one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at least one heating unit for heating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and then flowing it to the second region.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filter may be provided on the indoor air flow path.

상기 제4공기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1댐퍼, 상기 제1영역의 전단인 제1공기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2댐퍼, 상기 제3공기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3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A first dam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ourth air passage, a second dam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ir passage that is a front end of the first region, and a third dam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ird air passage may be provided.

상기 제1공기유로에는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1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에는 일측 실외의 공기를 유입시켜 타측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제2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증발냉각기의 출구측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3송풍기가 구비될 수 있다.a first blower for introducing outdoor air or indoor air into the room is provided in the first air passage; a second blower is provided in the second air passage to introduce air from one outdoor side and discharge it to the other outdoor side; A third blower for discharging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to the outdoors may be provided at an outlet of the evaporative cooler.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내유입 공기유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출 공기유로;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2개의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착하거나 방출하는 제습로터;를 포함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가 상기 제습로터의 적어도 2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통과하는 제1배출유로와, 상기 제습로터를 통과하지 않는 제2배출유로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제1배출유로와 제2배출유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air flow path for introducing air into a room; an outdoor discharge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A control method for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dehumidifying rotor having at least two areas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or outdoor air passes, and adsorbing or releasing moisture while the indoor air or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areas; When the outdoor discharge air passage is composed of a first discharge passage passing through any one of at least two regions of the dehumidifying rotor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not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discharge passag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s controll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rough one of the second discharge passages.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를 제습하고 냉방하는 제습냉방모드시,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로 유입된 실내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습로터의 제1영역을 통과한 후 증발냉각기의 건채널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증발냉각기의 습채널과 상기 제습로터의 제1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을 순차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되고, 상기 제습로터의 다른 영역에서 흡착된 수분은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에 방출되어 상기 건채널을 통과한 후 실내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desiccant cooling mode in which indoor air is dehumidified and cooled, a part of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air passage passes through the first area of the desiccant rotor and then flows into the room through the dry channel of the evaporative cooler. The rest of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inlet air passage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wet channel of the evaporative cooler and other areas except for the first area of the dehumidifying rotor, and is then discharged to the outdoors. Moisture adsorbed in the region may be controlled to be released in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region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after passing through the dry channel.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를 제습하고 냉방하는 제습냉방모드시,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습로터의 제1영역을 통과한 후 증발냉각기의 건채널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증발냉각기의 습채널과 제5공기유로를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dehumidifying cooling mode for dehumidifying and cooling indoor air, the control unit,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area of the dehumidifying rotor, introduces a portion of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air flow passage into the room through the dry channel of the evaporative cooler. and the rest of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inlet air passage passes through the wet channel and the fifth air passage of the evaporative cooler and is then discharged to the outdoors.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를 제습하고 냉방하는 제습냉방모드시,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로 유입된 실내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습로터의 제1영역을 통과한 후 증발냉각기의 건채널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증발냉각기의 습채널을 통과한 후, 상기 제습로터의 제1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을 통과하는 경로와, 상기 제습로터를 통과하는 경로와 병렬로 연결된 제5공기유로로 나뉘어진 후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desiccant cooling mode in which indoor air is dehumidified and cooled, a part of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air passage passes through the first area of the desiccant rotor and then flows into the room through the dry channel of the evaporative cooler. After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of the evaporative cooler, the remainder of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inlet air passage passes through a path that passes through areas other than the first area of the dehumidifying rotor and the dehumidifying rotor It may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doors after being divided into a fifth air flow path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ath to be discharged.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환기시키는 환기모드시, 상기 실외공기를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와 상기 제습로터의 제1영역을 통과한 후 실내로 유입시키고, 상기 실내공기를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증발냉각기의 습채널을 통과한 후, 상기 제습로터의 제1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을 통과하는 경로와, 상기 제습로터의 다른 영역을 통과하는 경로와 병렬로 연결되어 제습로터를 통과하지 않는 제5공기유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In a ventilation mode in which indoor air is ventilated with outdoor air, the control unit introduces the outdoor air into the room after passing through the indoor intake air passage and the first area of the dehumidifying rotor, and converts the indoor air into the outdoor exhaust air. After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of the evaporative cooler provided on the flow path, a path passing through areas other than the first area of the dehumidifying rotor and a path passing through other areas of the dehumidifying rotor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form a dehumidifying rotor. It may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rough any one of the fifth air passages that do not pass through.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환기시키는 경우 실내공기를 가습하는 환기가습모드시, 상기 습채널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습로터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습채널에 구비된 수분공급부를 통해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고, 상기 제습로터를 회전시켜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in a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mode in which indoor air is humidified when indoor air is ventilated with outdoor air, whe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et channel passes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through a moisture supply unit provided in the wet channel Moisture may be supplied to air passing through the damp channel, and moisture may be supplied to air flowing through the indoor air passage by rotating the dehumidifying rotor.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습로터의 회전여부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가습량 또는 제습량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or dehumidification by controlling whether or not to rotate the desiccant rotor and its rotational speed.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냉방모드 운전중 습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가 필요 이상으로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proper humidity by controlling the humidity during operation in a cooling mode and preventing indoor air from drying out more than necessary.

또한, 환기모드 운전시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can be provided by controlling the humidity of indoor air during ventilation mode operation.

또한, 환기모드 운전은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실내 습도조절을 위해 제습로터를 통과하도록 하거나, 제습로터를 통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모드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ventilation mode operation allows indoor air to pass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to control indoor humidity or does not pass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to the outdoors, so that the user can select various operation modes, improving user convenience. can make it

또한, 실내 가습시 실외 공기를 이용하지 않고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기만을 이용하여 가습을 함으로써 실외의 차가운 공기로 인한 열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humidifying indoors, heat energy loss due to cold air outside can be prevented by humidifying only the air inside the air conditioner without using outdoor air.

또한, 다양한 제어모드를 하나의 공기조화기 내부에 모두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모드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mplementing various control modes in one air conditioner,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implementing various control modes desired by the user.

또한, 증발냉각기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이용하여 냉방 및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가습을 위한 별도의 In addition, since cooling and humidif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moisture supplied from the evaporative cooler, a separate 수분공급부를hydration unit 구비할 필요가 없어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from being complicated.

또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In addition, heat exchange occurs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환기모드와ventilation mode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no heat exchange 환기모드를ventilation mode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ecause the user can select it.

또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In addition, heat exchange occurs between outdoor air and indoor air. 환기모드로in ventilation mode 가동을 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Operation can improve thermal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습냉방모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습냉방 습도조절모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환기모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환기 가습모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환기 바이패스모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순환 가습모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ying cooling mo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ying cooling humidity control mo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bypass mo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irculation humidific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air cleaning mod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 공기조화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내유입 공기유로(11,13)와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출 공기유로(14,15;14,16),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2개의 영역(410,420,430)이 구비되고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영역(410,420,430)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착하거나 방출하는 제습로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14,15;14,16)는 상기 제습로터(400)의 적어도 2개의 영역(410,420,43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통과하는 제1배출유로(16; 제6공기유로)와, 상기 제습로터를 통과하지 않는 제2배출유로(15; 제5공기유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conditio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door intake air passages 11 and 13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room and outdoor exhaust air passages 14, 15; 14 and 16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doors. At least two regions 410, 420, and 430 through which outdoor air passes, and a dehumidification rotor 400 adsorbing or releasing moisture while the indoor air or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regions 410, 420, and 430. In this case, the outdoor air The discharge air passages 14, 15; 14, 16 include a first discharge passage 16 (sixth air passage) passing through one of the at least two regions 410, 420, and 430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cond discharge flow path (15; fifth air flow path)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상기 공기조화기(1)에는, 실내로 통하는 제1실내개구부(111)와 제2실내개구부(112), 실외로 통하는 제1실외개구부(121)와 제2실외개구부(122)와 제3실외개구부(123) 및 제4실외개구부(124)가 형성되어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공기조화기(1) 내부에 출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제2실내개구부(111,112)는 합쳐져 하나의 유로에서 분기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실외개구부(121,122,123,124)도 합쳐져 하나 이상의 유로에서 분기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air conditioner (1), a first indoor opening 111 and a second indoor opening 112 leading to the inside, a first outdoor opening 121 leading to the outside, a second outdoor opening 122 and a third outside opening 121 leading to the outside An opening 123 and a fourth outdoor opening 124 are formed to allow indoor air or outdoor air to enter and exit the air conditioner 1 .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indoor openings 111 and 112 may be combined and branched from one flow path, and the first to fourth outdoor openings 121, 122, 123 and 124 may also be combined and branched from one or more flow paths. .

상기 복수의 개구부(111,112,121,122,123,124)는 상기 공기조화기(1) 내부에 구비되는 제1공기유로(11)와 제2공기유로(12), 제3공기유로(13), 제4공기유로(14), 제5공기유로(15), 제6공기유로(16), 제7공기유로(17) 및 제8공기유로(18)를 통해 연통된다.The plurality of openings 111 , 112 , 121 , 122 , 123 , and 124 include a first air passage 11 , a second air passage 12 , a third air passage 13 , and a fourth air passage 14 provid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1 . , communicated through the fifth air passage 15, the sixth air passage 16, the seventh air passage 17, and the eighth air passage 18.

상기 제1공기유로(11)는 제1실내개구부(111), 제1영역(410), 증발냉각기(300)의 건채널(310), 제2실내개구부(112)를 순차 연결하는 유로이다.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는 제1공기유로(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RA)가 유입되고, 상기 제2실내개구부(112)는 상기 제1공기유로(11)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증발냉각기(300)의 건채널(310)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된다(SA).The first air passage 11 is a passage sequentially connecting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the first area 410, the dry channel 310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and the second indoor opening 112.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11 to allow indoor air RA to flow in, and the second indoor opening 11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11.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gun channel 310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is discharged into the room (SA).

상기 제2공기유로(12)는 제1실외개구부(121), 제2영역(420), 제2실외개구부(122)를 순차 연결하는 유로이다.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는 상기 제2공기유로(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외 공기(OA)가 유입되고,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는 상기 제2공기유로(12)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2공기유로(12)를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EA).The second air passage 12 is a passage sequentially connecting the first outdoor opening 121 , the second region 420 , and the second outdoor opening 122 . The first outdoor opening 12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air passage 12 to allow outdoor air OA to flow in, and the second outdoor opening 12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air passage 12.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12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EA).

상기 제3공기유로(13)는 실외 공기(OA)가 유입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제3실외개구부(123)가 구비되고, 타측단은 제1공기유로(11)에 연결된다. The third air passage 13 is one through which outdoor air OA is introduced, has a third outdoor opening 123 on one sid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passage 11 .

상기 제4공기유로(14)는 일측이 제1공기유로(11)에 연결되고, 타측이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입구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인 추기 공기가 제4공기유로(14)를 통해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로 유입된다.The fourth air passage 14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inlet side of the wet channel 320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 Accordingly, the extracted air, which is part of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flows into the wet channel 320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through the fourth air passage 14.

상기 제5공기유로(15)는 일측이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출구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4실외개구부(124)에 연결된다(EA). 또한, 상기 제6공기유로(16)는 일측이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출구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4실외개구부(124)에 연결되며, 제습로터(400)의 제3영역(430)을 통과하는 유로이다.One side of the fifth air passage 15 is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wet channel 320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EA). In addition, the sixth air passage 16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wet channel 320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and the first side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It is a passage passing through the third region 430.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는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의 일측 연결부에 상기 제7공기유로(17)의 일측이 더 연결된다. The fifth air passage 15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seventh air passage 17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fth air passage 15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One side of is further connected.

상기 제8공기유로(18)는 일측이 제6공기유로(16)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실외개구부(121)이 구비된 제2공기유로(12)에 연결된다. The eighth air passage 18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assage 12 provided with the first outdoor opening 121 .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와 제7공기유로(17)의 연결부에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가 구비되어 4방향 유로 연결부가 형성된다.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is provid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fth air passage 15,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seventh air passage 17 to form a four-way flow passage connection part.

상기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출구측과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의 연결부가 연결되어, 3방향 유로 연결부가 형성된다.The outlet side of the wet channel 320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s of the fifth air passage 15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to form a three-way passage connection.

또한, 상기 제4공기유로(14)의 타측과 상기 제7공기유로(17)의 타측은 서로 연통하되,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입구측에 인접하게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air passage 14 and the other side of the seventh air passage 17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adjacent to the inlet side of the wet channel 320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

상기 공기조화기(1)에는 증발냉각기(300)가 더 포함된다.The air conditioner 1 further includes an evaporative cooler 300.

상기 증발냉각기(300)는, 서로 격리된 건채널(310)과 습채널(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건채널 (310)을 유동하는 공기와 습채널(320)을 유동하는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The evaporative cooler 300 is composed of a dry channel 310 and a wet channel 320 that are isolated from each other, and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flowing in the dry channel 310 and the air flowing in the wet channel 320 configured to occur.

상기 증발냉각기(300)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층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교대로 습채널(320)과 건채널(310)을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건채널(310)과 습채널(320)을 서로 격리시키는 동시에 상기 건채널(310)과 습채널(320) 사이의 열교환을 발생시키는 매개체가 된다.The evaporative cooler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stacked, and at this time, the spaces spaced between the plates alternately form wet channels 320 and dry channels 310 do. That is, the plate serves as a medium for isolating the dry channels 310 and the wet channels 320 from each other and generat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dry channels 310 and the wet channels 320 .

상기 습채널(320)에는 습채널(320)을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수분공급부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주수펌프와 상기 주수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The wet channel 32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water to the air flow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 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water injection pump for supplying water and an injection nozzle for injecting th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injection pump.

상기 습채널(320)을 유동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면, 분사된 물이 증발되면서 상기 습채널(320)을 둘러싸는 플레이트를 냉각시켜 상기 건채널(310)을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When water is sprayed o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the sprayed water evaporates and cools the plate surrounding the wet channel 320, thereby cool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dry channel 310.

또한, 상기 습채널(320)을 유동하여 수분을 머금은 공기는 실내의 가습에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주수펌프의 가동에 의해 분사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실내 가습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the air containing moisture flow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can be used for humidifying the room, and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room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prayed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injection pump. The above indoor humidific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효율적인 열교환을 위해 상기 건채널(310)을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습채널(320)을 유동하는 공기가 서로 십자 방향의 대향류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습채널(320)에서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fficient heat exchange, the air flowing in the dry channel 310 and the air flowing in the wet channel 320 may be configured to flow in a crosswise direction, and moisture is removed from the wet channel 320. The contained air can flow from the top to the bottom.

상기 건채널(310)은 제1공기유로(11)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건채널(310)을 통과한 후 제1실내개구부(112)를 통해 배출되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key channel 310 is provided on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after the indoor or outdoor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11 passes through the key channel 310, the first indoor opening It can be discharged through 112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7공기유로(17)는 상기 습채널(320)의 입구측에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4공기유로(14) 또는 제7공기유로(17)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후 상기 습채널(320)의 출구측에 연결된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ourth air passage 14 and the seventh air passage 17 are connected at the inlet side of the wet channel 320, and the fourth air passage 14 or the seventh air passage 17 flows After the air passes through the wet channel 320 , the air may flow into the fifth air passage 15 or the sixth air passage 16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wet channel 320 .

상기 제습로터(400)는, 중앙에 구비된 축을 중심으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재를 포함한다. The dehumidifying rotor 400 is provided to be rotated by a driving unit (not shown) around an axis provided in the center, and includes an adsorbent for adsorbing moisture in the air.

상기 제습로터(400)는 제1영역(410)과 제2영역(420)과 제3영역(430)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상기 제2공기유로(12)와 상기 제6공기유로(16)의 경로 상에 상기 제1영역(410)과 제2영역(420)과 제3영역(430)이 각각 위치한다. The dehumidifying rotor 4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410, a second region 420, and a third region 430, and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second air passage 12 The first region 410, the second region 420, and the third region 430 are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path of the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이때 상기 제1영역(410)은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3공기유로(13)의 연결부와 상기 건채널(310)의 입구측 사이의 상기 제1공기유로(11)상에 위치한다.At this time, the first region 410 is located on the first air passage 11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third air passage 13 and the inlet side of the key channel 310. do.

제습냉방운전에서, 상기 제습로터(400)는, 상기 제1영역(410)에서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한다. 이때 상기 수분을 흡착한 제습로터(400)의 일부가 회전하여 상기 제2영역(410)에 도달하면 상기 제2공기유로(12)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건조 재생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한다.In the desiccant cooling operation, the desiccant rotor 400 adsorbs moisture from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11 in the first region 410 . At this time, when a part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that has absorbed the moisture rotates and reaches the second area 410, the process of drying and regenerating b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12 is repeated so that the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room. dehumidify the air

가습운전에서, 상기 제습로터(400)는, 상기 제3영역(410)에서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여 수분을 머금고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한다. 이때 상기 수분을 흡착한 상기 제습로터(400)의 일부가 회전하여 상기 제1영역(410)에 도달하면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수분을 흡착한 제습로터(400)를 통과하며 수분을 머금게 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한다.In the humidification operation, the dehumidifying rotor 400 passes through the wet channel 320 in the third region 410 to contain moisture and adsorbs moisture from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ixth air passage 16. . At this time, when a part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adsorbing the moisture rotates and reaches the first region 410,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11 absorbs the moisture. It humidifies the air entering the room by repeating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and retaining moisture.

상기 흡착재로는 실리카겔(silicagel)이나 제올라이트(zeolite) 등의 제습제가 사용될 수 있고, 벌집 패턴과 같은 소정의 형태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A dehumidifying agent such as silica gel or zeolite may be used as the adsorbent, and may be configur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such as a honeycomb pattern.

상기 흡착재의 표면에는 고분자 제습제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제습제(Desiccant Polymer)는 전해질 고분자 물질로 수분과 접촉시 이온화가 되는데, 흡착재에 수분이 접촉하게 되면 이온 농도차에 의한 삼투압 현상으로 세균이 흡착제로부터 제거되므로, 항균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악취를 발생시키는 암모니아나 황화수소등도 극성 분자로 이온화된 고분자 제습제에 달라붙어 탈취효과를 발생시킨다. 즉,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코팅되는 고분자 제습제로는 실리카(silica) 또는 지올라이트(zeolite)가 사용될 수 있다. A polymer desiccant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absorbent. The polymeric dehumidifier (Desiccant Polymer) is an electrolyte polymer material that is ionized upon contact with moisture. When moisture contacts the adsorbent, bacteria are removed from the adsorbent by osmotic pressure due to a difference in ion concentration, resulting in an antibacterial effect. In addition, ammonia or hydrogen sulfide, which generate odor, also adheres to the ionized polymeric dehumidifying agent with polar molecules to generate a deodorizing effect. That is, it can act as a filter to purify air, and silica or zeolite can be used as the coated polymer desiccant.

상기 복수 개의 유로(11,12,13,14,15,16,17,18)상에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210)와, 상기 압축기(21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응축기(220; 가열부)와, 상기 응축기(220)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저압의 상태를 만드는 팽창밸브(미도시)와,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증발되며 공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230; 냉각부)로 이루어지는 냉동 싸이클이 구비될 수 있다. On the plurality of passages 11, 12, 13, 14, 15, 16, 17, and 18, a compressor 210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the refrigerant compressed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210 A condenser 220 (heater) that dissipates heat from the condenser 220,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that expands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220 to create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state, an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evaporates and a refrigeration cycle consisting of an evaporator 230 (cooling unit) absorbing air heat may be provided.

상기 압축기(210)와 응축기(220)는 상기 제2공기유로(12)상의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와 상기 제2영역(4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210)와 응축기(220)는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를 통해 상기 제2영역(420)에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가열된 실내공기는 상기 제2영역(420)을 통과하며 제습냉방운전 중 상기 제습로터(400)를 재생시킨다.The compressor 210 and the condenser 2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outdoor opening 121 on the second air passage 12 and the second area 420 . That is, the compressor 210 and the condenser 220 may serve to heat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area 420 through the first outdoor opening 121, and the heated indoor air It passes through the second area 420 and regenerates the dehumidifying rotor 400 during the dehumidifying cooling operation.

상기 증발기(230)는 건채널(310)의 출구측인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상기 건채널(310)을 지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실내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The evaporator 23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which is an outlet side of the gun channel 310,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gun channel 310 to flow into the room. By cooling the air,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can be lowered.

상기 복수 개의 유로(11,12,13,14,15,16,17,18)상에는, 한 개 이상의 가열부(510,520,5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One or more heating units 510 , 520 , and 53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passages 11 , 12 , 13 , 14 , 15 , 16 , 17 , and 18 .

상기 제1공기유로(11)상에 구비되는 제1가열부(510)는,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3공기유로(13)의 연결부와 상기 제1영역(4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여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즉, 상기 제1영역(410)을 가열하여 상기 제습로터(400)의 습도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실내 공기의 온도를 높인다.The first heating part 510 provided on the first air passage 11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third air passage 13 and the first region 410.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rea 410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is heated. That is, by heating the first region 410, the humidity control capability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is improved and the temperature of indoor air is increased.

상기 제2공기유로(12)상에 구비되는 제2가열부(520)는, 상기 제1실외개구부 (121)와 상기 제2영역(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2영역(420)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한다. 즉, 상기 제2영역(420)을 가열하여 상기 재생로터(400)를 재생시킨다.The second heating unit 520 provided on the second air flow path 12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outdoor opening 121 and the second area 420, so that the first outdoor opening 121 The air introduced through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region 420 is heated. That is, the regeneration rotor 400 is regenerated by heating the second region 420 .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에 구비되는 제3가열부(530)는,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상기 건채널(310)을 지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 공기의 온도를 신속하게 높인다. The third heating unit 530 provided in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heat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dry channel 310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raise it quickly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열부(510,520,530)는 전기 히터 또는 온수가 내부를 유동하는 온수배관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히트펌프의 응축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one or more heating units 510 , 520 , and 530 may be composed of an electric heater or a hot water pipe through which hot water flows, or may be composed of a condenser of a heat pump.

상기 복수의 유로(11,12,13,14,15,16,17,18)상에는 한 개 이상의 송풍기(31,32,33)와 한 개 이상의 댐퍼(21,22,23,24,25,26,27,28,29)가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One or more blowers 31, 32, 33 and one or more dampers 21, 22, 23, 24, 25, 26 , 27, 28, 29) is provided to set the flow direction of air.

상기 제1공기유로(11)상에 구비되는 제1송풍기(31)는, 상기 제1영역(410)과 건채널(310)의 입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 또는 상기 제3실외개구부(123)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여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도록 흡인한다.The first blower 31 provided on the first air passage 11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rea 410 and the inlet of the gun channel 310,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Introduced indoor air or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ird outdoor opening 123 flows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is absorbed to pass through the first region 410 .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건채널(310)을 통과한 후 실내로 유입되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3공기유로(13)를 실내유입 공기유로라 한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rea 410 is introduced into the room after passing through the key channel 310, and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third air passage 13 through which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flows. ) is called the indoor inlet air flow path.

상기 제2공기유로(12)상에 구비되는 제2송풍기(32)는, 상기 제2영역(420)과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 또는 상기 제8공기유로(18)를 유동하는 실내공기가 상기 제2영역(12)을 유동하여 상기 제2영역(420)을 통과하고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흡인한다.The second blower 32 provided on the second air passage 12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region 420 and the second outdoor opening 122, and is provided to remove the first outdoor opening 121.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or indoor air flowing through the eighth air passage 18 flows through the second area 12 , passes through the second area 420 ,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outdoor opening 122 . Suction to be discharged outdoors.

상기 습채널(320)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제3송풍기(33)는, 상기 제4공기유로(14) 또는 상기 제7공기유로(17)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여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로 유동하도록 흡인한다.The third blower 33 provided at the outlet side of the wet channel 320 allow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ourth air passage 14 or the seventh air passage 17 to pass through the wet channel 320. and sucked to flow into the fifth air passage 15 or the sixth air passage 16.

상기 제8공기유로(18)와 제2공기유로(12)는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실외배출 공기유로라 한다.The eighth air passage 18 and the second air passage 12 are referred to as outdoor discharge air passages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to the outdoors flows.

상기 제4공기유로(14)로부터 상기 습채널(320)을 지나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4공기유로와 제5공기유로(15) 또는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6공기유로(16)도 실외배출 공기유로라 한다.The air flowing from the fourth air passage 14 through the wet channel 320 to the fifth air passage 15 or the sixth air passage 16 is direct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In this case, the fourth air passage and the fifth air passage 15 or the fourth air passage 14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are also referred to as outdoor discharge air passages.

또한, 상기 제7공기유로(17)로부터 상기 습채널(320)을 지나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하는 공기는 다시 상기 제7공기유로(17)를 지나 상기 습채널(320)과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7공기유로(17)와 습채널(320)과 제5공기유로(15) 및 제7공기유로(17)로 순환하는 유로와, 제7공기유로(17)와 습채널(320)과 제6공기유로(16) 및 제7공기유로(17)로 순환하는 유로를 순환유로라 한다.In addition, the air flowing from the seventh air passage 17 through the wet channel 320 to the fifth air passage 15 or the sixth air passage 16 passes through the seventh air passage 17 again. It can flow through the wet channel 320 and the fifth air passage 15 or the sixth air passage 16. In this case, the seventh air flow path 17 and the wet channel 320, the flow path circulating to the fifth air flow path 15 and the seventh air flow path 17, the seventh air flow path 17 and the wet channel 320 ) and the passages circulating to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seventh air passage 17 are referred to as circulation passages.

상기 제4공기유로(14)상에 구비되는 제1댐퍼(21)는, 상기 제4공기유로(14)를 개폐한다.The first damper 21 provided on the fourth air passage 14 opens and closes the fourth air passage 14 .

상기 제1공기유로(11)상에 구비되는 제2댐퍼(22)는,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4공기유로(14)의 연결부와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3공기유로(13)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개폐한다.The second damper 22 provided on the first air passage 11 is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fourth air passage 14 and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third air passage 11. It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of the air passages 13 and opens and closes the first air passage 11 through which indoor air flows.

상기 제2공기유로(12)상에 구비되는 제3댐퍼(23)는, 상기 제2공기유로(12)와 상기 제8공기유로(18)의 연결부와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를 개폐한다.The third damper 23 provided on the second air passage 12 is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air passage 12 and the eighth air passage 18 and the first outdoor opening 121. provided, and opens and closes the first outdoor opening 121.

상기 제3공기유로(13)상에 구비되는 제4댐퍼(24)는 제3실외개구부(123)를 개폐한다.The fourth damper 24 provided on the third air passage 13 opens and closes the third outdoor opening 123 .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와 제7공기유로(17)와 제4실외개구부(124)의 4방향 유로 연결부에 구비되는 제5댐퍼(25)는, 상기 제7공기유로(17) 또는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를 개폐한다. 즉, 상기 제7공기유로(17)를 폐쇄하고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를 개방하여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로부터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를 폐쇄하고 상기 제7공기유로(17)를 개방하여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로부터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7공기유로(17)를 통해 상기 습채널(320)로 유동하도록 한다.The fifth damper 25 provided in the 4-way flow passage connecting parts of the fifth air passage 15, the sixth air passage 16, the seventh air passage 17, and 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7Opens and closes the air flow path 17 or 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That is, by closing the seventh air passage 17 and opening 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the air flowing from the fifth air passage 15 or the sixth air passage 16 flows through 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or by closing 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and opening the seventh air passage 17, from the fifth air passage 15 or the sixth air passage 16. The flowing air is allowed to flow into the wet channel 320 through the seventh air passage 17 .

상기 습채널(320)의 출구측과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상기 제6공기유로(16)가 만나는 3방향 유로 연결부에 구비되는 제6댐퍼(26)는,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개폐한다. 즉, 상기 제5공기유로(15)를 폐쇄하고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개방하여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상기 제6공기유로(16)로 유동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하고 상기 제5공기유로(15)를 개방하여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5공기유로(15)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댐퍼(26)가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개방하면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상기 제3영역(430)을 통과하여 실내 공기 가습이 이루어진다.The sixth damper 26 provided in the three-way passage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outlet side of the wet channel 320 and the fifth air passage 15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meet is the fifth air passage ( 15) Alternatively, the sixth air passage 16 is opened and closed. That is, the fifth air passage 15 is closed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is opened so that the air containing moisture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flows into the sixth air passage 16, or , The sixth air passage 16 may be closed and the fifth air passage 15 may be opene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flows into the fifth air passage 15 . At this time, when the sixth damper 26 opens the sixth air passage 16, the moisture-laden air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passes through the third area 430 to humidify indoor air. .

또한, 상기 제6댐퍼(26)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일부씩 동시에 개방하고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를 모두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댐퍼(26)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6공기유로(16) 상에 구비된 제3영역(430)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에 의해 실내 습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sixth damper 26, the fifth air passage 15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are simultaneously partially opened, and the moist air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may flow through both the fifth air passage 15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At this time,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fifth air passage 15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sixth damper 26,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ixth air passage 16 Indoor humidity can be controlled by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area 430 provided in the room.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하고 상기 제5공기유로(15)를 개방하면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5공기유로(15)를 유동한다.When the sixth air passage 16 is closed and the fifth air passage 15 is opene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flows through the fifth air passage 15 .

상기 제6공기유로(16)와 상기 제8공기유로(18)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제7댐퍼(27)는, 상기 제8공기유로(18)를 폐쇄하여 제6공기유로(16)의 일측과 타측이 연통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8공기유로(18)를 개방함과 동시에 제6공기유로(16)의 일측과 타측이 차단되도록 한다.The seventh damper 27 provided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eighth air passage 18 closes the eighth air passage 18 to one side of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the eighth air passage 18 is opened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xth air passage 16 are blocked.

상기 제8댐퍼(28)는, 상기 제2송풍기(32)와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 사이의 제2공기유로(12)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를 개폐한다.The eighth damper 28 is provided on the second air passage 12 between the second blower 32 and the second outdoor opening 122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outdoor opening 122 .

상기 제6공기유로(16)상에 구비되는 제9댐퍼(29)는, 상기 제6공기유로(16)와 제8공기유로(18)의 연결부와 상기 제3영역(4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개폐한다.The ninth damper 29 provided on the sixth air passage 16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eighth air passage 18 and the third region 430, , Opens and closes the sixth air flow path (16).

상기한 바와 같이, 습채널(320)의 출구측에서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로 택일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면, 제습냉방모드 및 환기모드시,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를 제4실외개구부(124)를 통해 곧바로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제습로터(400)를 통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냉방모드 운전 시 습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가 필요 이상으로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고, 환기모드 운전시에도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outlet side of the wet channel 320 is configured to be alternatively connected to the fifth air passage 15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in the dehumidifying cooling mode and the ventilation mode, the wet channel 320 ) is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doors through 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or passed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400, thereby controlling the humidity during the cooling mode operation and preventing the indoor air from drying out more than necessary.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appropriate humidity by preventing ventilation, and by allowing the humidity of indoor air to be adjusted even during ventilation mode operation,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can be provided.

상기 복수의 유로(11,12,13,14,15,16,17,18)상에는 한 개 이상의 필터(710,720,730)가 구비되어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One or more filters 710 , 720 , and 730 may be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passages 11 , 12 , 13 , 14 , 15 , 16 , 17 , and 18 to perform an air cleaning function.

상기 공기 청정 기능은,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3공기유로(13)의 연결부와 상기 제1영역(410) 사이에 제1필터(710)와 제2필터(7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영역(410)과 상기 제1송풍기(31) 사이에 상기 제3필터(730)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air cleaning function, a first filter 710 and a second filter 720 are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third air passage 13 and the first region 410. , The third filter 7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region 410 and the first blower 31 .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와 상기 제3실외개구부(113)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상기 제1필터(710)와 제2필터(720)와 상기 제1영역(410)과 상기 제3필터(730)를 순차로 통과하며 정화되어 상기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and the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ird outdoor opening 113 pass through the first filter 710, the second filter 720 and the first area ( 410) and the third filter 730 to be purified,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indoor opening 112.

상기 제1필터(710)와 제2필터(720)와 제3필터(730)는 각각 PRE 필터, 탈취 필터 및 HEPA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710, the second filter 720, and the third filter 730 may be composed of a PRE filter, a deodorization filter, and a HEPA filter, respectively.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에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온도와 습도 등의 실내 공기의 상태 및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제습로터(400)와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 냉동싸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210)와 응축기(220)와 증발기(230), 한 개 이상의 가열부(510,520,530)와 송풍기(31,32,33) 등의 온오프와 속도 및 작동 세기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댐퍼(21,22,23,24,25,26,27,28,29)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dehumidifying rotor 400 and the evaporative cooler 300 according to conditions of indoor air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 setting mode. Water supply unit, compressor 210, condenser 220, evaporator 230, one or more heating units 510, 520, 530 and blowers 31, 32, 33 constituting the refrigeration cycle, etc. and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lurality of dampers 21, 22, 23, 24, 25, 26, 27, 28, and 29.

상기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 제어로 실내유입 공기유로를 통해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냉방, 난방, 제습, 가습, 환기 및 공기청정이 이루어져 쾌적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제어모드를 하나의 공기조화기 내부에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공기유로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모드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trol of the air conditio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cools, heats, dehumidifies, humidifies, ventilates, and purifies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air flow path, so that comfortable air can be supplied to the room.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air flow path so that various control modes can be implemented inside one air conditioner,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implementing various control modes desired by the user.

이때 실내의 온도와 습도는 온도센서(미도시)와 습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실내의 온도와 습도 정보는 제어부로 송출된다.At this time, th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may be measured by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and a humidity sensor (not shown), and the measured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제습냉방모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dehumidifying cooling mod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상기 제습냉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댐퍼(22)와 제1댐퍼(21)와 제4댐퍼(24)를 제어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4공기유로(14)와 제3공기유로(13)를 개방한다. 또한, 상기 제5댐퍼(25)는 제7공기유로(17)를 폐쇄하고, 제6댐퍼(26)는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하고, 제7댐퍼(27)는 제8공기유로(18)를 폐쇄하며, 제9댐퍼(29)는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한다.When the dehumidifying cooling mode is operat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econd damper 22, the first damper 21, and the fourth damper 24 to form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fourth air passage 14. ) and the third air passage 13 are opened. In addition, the fifth damper 25 closes the seventh air passage 17, the sixth damper 26 closes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seventh damper 27 closes the eighth air passage (18) is closed, and the ninth damper (29) closes the sixth air passage (16).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송풍기(31)와 제3송풍기(33)와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와 압축기(210)와 응축기(220)와 증발기(230)를 온(on) 하고 상기 제1가열부(510)와 제3가열부(530)를 오프(off)상태로 한다.In this state, the first blower 31, the third blower 33,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the compressor 210, the condenser 220, and the evaporator 230 are turned on, and the first The heating unit 510 and the third heating unit 530 are turned off.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댐퍼(23)와 제8댐퍼(28)를 제어하여 상기 제2공기유로(12)를 개방하고 상기 제2송풍기(32)와 상기 제2가열부(520)를 온(on)시키며, 상기 제습로터(400)를 회전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hird damper 23 and the eighth damper 28 to open the second air passage 12 and to operate the second blower 32 and the second heating unit 520. It is turned on, and the dehumidifying rotor 400 is rotated.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제1공기유로(11)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일부는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여 제습로터(400)의 제1영역(410)을 통과하고,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한 공기는 증발냉각기(300)의 건채널(310)을 통과한 후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Accordingly, a part of the indoor air flowing into the first air passage 11 through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flows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11 to clean the first area 410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area 410, the air passes through the gun channel 310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and then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interior opening 112.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상기 제1공기유로(11)로 유입된 실내공기의 나머지 일부는 제4공기유로(14)를 통해 상기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을 통과한 후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습채널(320)의 수분공급부에서 분사되는 물이 증발하며 열을 흡수하여 상기 습채널(320)과 상기 건채널(310)의 경계를 이루는 플레이트를 냉각시키고, 상기 플레이트의 냉각에 의해 상기 건채널(310)을 유동하는 공기가 냉각되게 된다.The remaining part of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11 through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passes through the wet channel 320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through the fourth air passage 14 After that, it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fifth air passage 15 and 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At this time, water inject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wet channel 320 evaporates and absorbs heat to cool the plate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wet channel 320 and the dry channel 310, and the cooling of the plate Air flowing through the gun channel 310 is cooled.

또한,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를 통해 상기 제2공기유로(12)에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상기 압축기(210) 및 응축기(220)를 통과하며 1차 가열되고 상기 제2가열부(520)에 의해 2차 가열된다. 가열된 높은 온도의 공기는 상기 제2영역(420)을 통과하며 상기 제습로터(400)를 건조 재생시키고, 상기 제습로터(400)의 건조 재생된 부분은 회전하여 상기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second air passage 12 through the first outdoor opening 121 passes through the compressor 210 and the condenser 220 and is primarily heated, and the second heating unit 520 ) is secondarily heated by The heated high-temperature air passes through the second area 420 to dry and regenerate the dehumidifying rotor 400, and the dry and regenerated part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rotates to reach the first area 410. will be located

따라서,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와 제3실외개구부(123)를 통해 상기 제1공기유로(11) 및 제3공기유로(13)에 유입되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는, 건조하게 재생된 상기 제습로터(400)의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며 건조 재생된 상기 제습로터(400)에 공기중의 수분을 흡착시키고, 상기 건채널(310)과 증발기(230)를 통과하며 이중으로 냉각되므로, 상기 제2실내개구부(111)를 통해 건조하고 냉각된 공기가 실내에 유입되어 제습 냉방이 이루어진다. Therefore, indoor air and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third air passage 13 through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and the third outdoor opening 123 are dry and regenerated. Passing through the first area 410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the dried and regenerated dehumidifying rotor 400 adsorbs moisture in the air, passes through the dry channel 310 and the evaporator 230, and , the dried and cool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interior opening 111 to perform dehumidification and cooling.

이 경우 증발냉각기(400)의 수분공급부를 통한 수분 공급을 중단하고, 증발기(230)의 동작을 정지시킨 경우에는 냉방작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제습작용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evaporative cooler 400 is stopped and the operation of the evaporator 230 is stopped, the cooling action is not performed and only the dehumidifying action may be performed.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제습냉방모드 중 습도조절 모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of the humidity control mode among the dehumidifying and cooling modes of the air conditio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상기 제습냉방모드 중 습도조절 모드가 가동되면, 제습냉방모드시와 비교하여 제6댐퍼(26)와 제9댐퍼(29)의 개폐 위치가 변경되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들의 동작은 도 2에서 설명한 제습냉방모드시와 동일하다.When the humidity control mode is operated in the dehumidifying cooling mode, there is a difference only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ositions of the sixth damper 26 and the ninth damper 29 are changed compared to the dehumidifying cooling mode, and the operation of the other components is shown in FIG. It is the same as in the dehumidifying cooling mode described in 2.

상기 제6댐퍼(26)는 제5공기유로(15)를 폐쇄하여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가 제6공기유로(16)로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9댐퍼(29)는 제6공기유로(16)를 개방시킨다.The sixth damper 26 closes the fifth air passage 15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flows into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ninth damper 29 closes the sixth The air passage 16 is opened.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상기 제4공기유로(14)에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일부는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함유한 습공기 상태가 된다.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하여 제습로터(400)의 제3영역(430)을 통과하면서 제3영역(430)의 흡착재에 수분이 흡착되고, 상기 제습로터(400)의 수분이 흡착된 부분이 회전하여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3영역(430)을 통과한 공기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한 후 상기 제4실외개구부(11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Accordingly, part of the indoor air flowing into the fourth air passage 14 through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passes through the wet channel 320 and becomes wet air containing moistur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flows through the sixth air flow path 16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area 430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while moisture is adsorbed to the adsorbent in the third area 430, The moisture adsorbed part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is rotated to be located in the first region 410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area 430 flows through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fourth outdoor opening 114 .

상기 제3영역(430)에서 수분을 흡착한 제습로터(400)는 회전하여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되면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한 공기는 건채널(310)을 통과한 후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되어 실내 공기의 습도 조절 및 냉방이 이루어진다.The dehumidifying rotor 400 adsorbing moisture in the third area 430 is rotated to be located in the first area 410, and when the part adsorbing the moisture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410, the first Moisture is released into the air passing through region 410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rea 410 passes through the dry channel 310 and then flows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indoor opening 112 to control the humidity of the indoor air and cool it.

상기 제습로터(400)는 상기 제2영역(420)으로부터 상기 제3영역(430)을 지나 상기 제1영역(410)에 위치하도록 회전방향을 설정하거나, 제1 내지 제3영역(410,420,430)을 배치하면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2영역(420)에서 재생이 이루어진 후 건조한 상태가 된 제습로터(400)의 부분이 제3영역(430)에 위치하면 수분을 흡착량이 증가할 수 있고, 그 후 제1영역(410)에 위치하면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와 반대방향인 제3영역(430), 제2영역(420), 제1영역(410)의 순으로 회전시키면, 수분 공급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과 함께 수분공급부의 수분공급량을 조절하면, 상기 제3영역(430)에서 흡착되는 수분량과 제1영역(410)에서 방출되는 수분량을 조절할 수 있어 실내 가습량의 조절이 가능하다.The dehumidifying rotor 400 sets the rotation direction to be located in the first area 410 from the second area 420 passing through the third area 430, or the first to third areas 410, 420 and 430. When placed, the amount of moisture supplied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rea 410 can be increased. That is, when the part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that has been regenerated in the second area 420 and becomes dry is located in the third area 430, the moisture adsorption amount may increase, and then the first area 410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moisture supplied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region 410 . Of course, if the third region 430, the second region 420, and the first region 410 are rotated in the order opposite to the abov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may be reduced. With this configuration, if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unit is adjusted, the amount of moisture adsorbed in the third area 430 and the amount of water released from the first area 410 can be adjusted, so that the amount of indoor humidification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제습냉방모드 중 냉방 습도조절 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6댐퍼(26)를 조절하여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상기 제6공기유로(16)의 개방 정도는 실내공기의 습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oling/humidity control mode is operated in the dehumidifying/cooling mode, the control unit may simultaneously open the fifth air passage 15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by adjusting the sixth damper 26.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ifth air passage 15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umidity of indoor air.

즉, 실내공기가 건조할수록 상기 제6공기유로(16)가 넓게 개방되고,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여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높은 비율로 상기 제3영역(430)을 통과하여, 상기 제습로터(400)가 흡착한 습기의 양이 많아지고,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에 방출되는 습기의 양이 많아짐으로써, 상기 제2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높아지고 강한 가습이 이루어진다. That is, as the indoor air dries, the sixth air passage 16 opens wider, and the air containing moisture passes through the wet channel 320 at a high rate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area 430, thereby dehumidifying The amount of moisture adsorbed by the rotor 400 increases and the amount of moisture released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region 410 increases,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indoor opening 111 humidity is high and strong humidification is achieved.

반대로, 실내공기가 습할수록 상기 제5공기유로(15)가 넓게 개방되고,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여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낮은 비율로 상기 제3영역(430)을 통과하여, 상기 제습로터(400)가 흡착한 습기의 양이 적어지고,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에 방출되는 습기의 양이 적어짐으로써, 상기 제2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낮아지고 약한 가습이 이루어진다.Conversely, as the indoor air becomes humid, the fifth air passage 15 opens wider, and the air containing moisture passes through the wet channel 320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region 430 at a low rate, thereby dehumidifying The amount of moisture adsorbed by the rotor 400 decreases and the amount of moisture released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rea 410 decreases,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indoor opening 111 Humidity is lowered and weak humidification is achieved.

이와 같은 제어방법에 의하면 제습냉방 중에도 실내 공기의 가습을 구현할 수 있어 실내공기를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습냉방모드 시 실내 가습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is control metho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humidification of indoor air even during dehumidification and cooling, so that indoor air can be maintained in a more comfortable state. In addition,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as the user can select whether or not to humidify the room in the dehumidifying cooling mode.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환기모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ventilation mod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상기 환기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댐퍼(21)와 제4댐퍼(24)를 제어하여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3공기유로(13)를 개방한다. 상기 제5댐퍼(25)는 제7공기유로(17)를 폐쇄하고, 제6댐퍼(26)는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하고, 제7댐퍼(27)는 제8공기유로(18)를 폐쇄하며, 제9댐퍼(29)는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한다.When the ventilation mode is activat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damper 21 and the fourth damper 24 to open the fourth air passage 14 and the third air passage 13 . The fifth damper 25 closes the seventh air passage 17, the sixth damper 26 closes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seventh damper 27 closes the eighth air passage 18. ), and the ninth damper 29 closes the sixth air passage 16.

상기 제1송풍기(31)와 제3송풍기(33)를 온(on)시키고, 상기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와 상기 제1가열부(510)와 제3가열부(510) 및 압축기(210)와 응축기(220)와 증발기(230)를 오프(off)시킨다.The first blower 31 and the third blower 33 are turned on, and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the first heating unit 510, the third heating unit 510 and the compressor ( 210), the condenser 220, and the evaporator 230 are turned off.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댐퍼(23)와 제8댐퍼(28)를 제어하여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와 제2실외개구부(122) 및 제2공기유로(12)를 폐쇄하고, 상기 제2송풍기(32)와 상기 제2가열부(520)를 오프(off)하며, 상기 제습로터(400)는 회전시키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hird damper 23 and the eighth damper 28 to close the first outdoor opening 121, the second outdoor opening 122, and the second air passage 12, The second blower 32 and the second heating unit 520 are turned off, and the dehumidifying rotor 400 is not rotated.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상기 제4공기유로(14)에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을 통과한 후 상기 제5공기유로(15)를 유동하여 상기 제4실외개구부(11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Accordingly, the indoor air flowing into the fourth air passage 14 through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passes through the wet channel 320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ifth air passage 15 flow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fourth outdoor opening 114.

또한, 상기 제3실외개구부(123)를 통해 상기 제3공기유로(13)를 유동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에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상기 제1영역(410)과 상기 건채널(320)을 유동하여 상기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된다. In addition, outdoor air flowing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13 through the third outdoor opening 123 and flowing into the first air passage 11 flows through the first area 410 and the dry channel 320. ) flows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indoor opening 112.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의 환기가 이루어지며, 이 경우 상기 건채널(310)을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습채널(320)을 통과하는 실내공기 사이에 현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Ventilation is performed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through this process, and in this case, sensible heat can be exchanged between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dry channel 310 and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환기모드중 가습모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mode among the ventilation modes of th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상기 환기모드 중 가습모드가 가동되면, 환기모드시와 비교하여 제6댐퍼(26)와 제9댐퍼(29)의 개폐 위치가 변경되고,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에서 수분이 공급되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들의 동작은 도 4에서 설명한 환기모드시와 동일하다.When the humidification mode is operated in the ventilation mode, the opening and closing positions of the sixth damper 26 and the ninth damper 29 are changed compared to the ventilation mode, and moisture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There is a difference only in , and the opera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is the same as in the ventilation mode described in FIG. 4 .

상기 제6댐퍼(26)는 제5공기유로(15)를 폐쇄하여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가 제6공기유로(16)로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9댐퍼(29)는 제6공기유로(16)를 개방시킨다.The sixth damper 26 closes the fifth air passage 15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flows into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ninth damper 29 closes the sixth The air passage 16 is opened.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상기 제4공기유로(14)에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일부는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함유한 습공기 상태가 된다.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하여 제습로터(400)의 제3영역(430)을 통과하면서 제3영역(430)의 흡착재에 수분이 흡착되고, 상기 제습로터(400)의 수분이 흡착된 부분이 회전하여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3영역(430)을 통과한 공기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한 후 상기 제4실외개구부(11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Accordingly, part of the indoor air flowing into the fourth air passage 14 through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passes through the wet channel 320 and becomes wet air containing moistur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flows through the sixth air flow path 16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area 430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while moisture is adsorbed to the adsorbent in the third area 430, The moisture adsorbed part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is rotated to be located in the first region 410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area 430 flows through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fourth outdoor opening 114 .

상기 제3영역(430)에서 수분을 흡착한 제습로터(400)는 회전하여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되면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한 공기는 건채널(310)을 통과한 후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되어 실내 공기의 습도 조절 및 환기가 이루어진다.The dehumidifying rotor 400 adsorbing moisture in the third area 430 is rotated to be located in the first area 410, and when the part adsorbing the moisture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410, the first Moisture is released into the air passing through region 410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rea 410 passes through the dry channel 310 and then flows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indoor opening 112 to control humidity and ventilate the indoor air.

한편, 이 경우 제1가열부(510)를 온(On)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실외개구부(123)를 통해 상기 제3공기유로(13)를 유동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에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상기 제1가열부(510)를 통해 가열되어 내포 가능한 수분량을 높인 후 상기 제습로터(400)의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며 상기 제습로터(400)로부터 수분을 건네받고, 상기 건채널(310)을 통과하며 냉각되어 수분을 포함한 공기가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된다. Meanwhile, in this case, the first heating unit 510 may be turned on. In this case, outdoor air flowing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13 through the third outdoor opening 123 and flowing into the first air passage 11 is heated through the first heating unit 510, After increasing the amount of moisture that can be contained, air passes through the first area 410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receives moisture from the dehumidifying rotor 400, passes through the dry channel 310, and is cooled and contains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indoor opening 112.

이와 같은 제어방법에 의하면 환기모드 시에도 실내 공기의 가습을 구현할 수 있어 실내공기를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환기모드 시 실내 가습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이용하여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가습을 위한 별도의 수분공급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증발냉각기(300)에서 1차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제습로터(400)에서 2차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을 이용할 수 있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trol metho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humidification of indoor air even in the ventilation mode, so that indoor air can be maintained in a more pleasant state. In addition,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as the user can select whether or not to humidify the room in the ventilation mode. In addition, since humidif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water supply unit for humidification, thereby preventing the air conditioner from becoming complicat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heat exchange is performed in the evaporative cooler 300 between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is performed in the dehumidifying rotor 400, the heat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doors can be used to improve thermal efficiency. there is.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환기모드중 바이패스모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bypass mod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상기 바이패스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댐퍼(21)와 제4댐퍼(24)를 제어하여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3공기유로(13)를 개방한다. When the bypass mode is activat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damper 21 and the fourth damper 24 to open the fourth air passage 14 and the third air passage 13 .

또한, 상기 제5댐퍼(25)는 제4실외개구부(124)를 폐쇄하고, 제6댐퍼(26)는 제5공기유로(15)를 폐쇄하고, 제7댐퍼(27)와 제9댐퍼(29)는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하여 제8공기유로(18)가 개방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ifth damper 25 closes 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the sixth damper 26 closes the fifth air passage 15, and the seventh damper 27 and the ninth damper ( 29) closes the sixth air passage 16 so that the eighth air passage 18 is opened.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송풍기(31)와 상기 제2송풍기(32)를 온(on)시키고, 제3송풍기(33)와 상기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와 상기 제1가열부(510)와 제3가열부(510) 및 압축기(210)와 응축기(220)와 증발기(230)를 오프(off)시킨다.In this state, the first blower 31 and the second blower 32 are turned on, and the third blower 33 and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and the first heating unit 510 and the third heating unit 510, the compressor 210, the condenser 220, and the evaporator 230 are turned off.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댐퍼(23)를 제어하여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를 폐쇄하며, 상기 제8댐퍼(28)을 제어하여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 및 제2공기유로(12)를 개방하고, 상기 제2송풍기(32)를 온(on)시키며, 상기 제2가열부(520)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습로터(400)는 회전시키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hird damper 23 to close the first outdoor opening 121, and controls the eighth damper 28 to close the second outdoor opening 122 and the second air passage. 12 is opened, the second blower 32 is turned on, the second heating unit 520 is turned off, and the dehumidifying rotor 400 is not rotated.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상기 제4공기유로(14)에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제3송풍기(33)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제2송풍기(32)에 의해 흡인되므로,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7공기유로(17)의 연결부인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입구측의 공간을 통해 제7공기유로(17)와 제8공기유로(18)와 제6공기유로(16)의 일부 및 제2공기유로(12)로 순차 연결되는 바이패스유로를 유동하여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Accordingly, the indoor air flowing into the fourth air passage 14 through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is not affected by the third blower 33 and is sucked by the second blower 32. The seventh air passage 17 and the eighth air passage ( 18), a portion of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bypass passag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assage 12, and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second outdoor opening 122.

또한, 상기 제3실외개구부(123)를 통해 상기 제3공기유로(13)를 유동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에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상기 제1영역(410)과 상기 건채널(310)을 유동하여 상기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된다. In addition, outdoor air flowing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13 through the third outdoor opening 123 and flowing into the first air passage 11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region 410 and the dry channel ( 310) and flows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indoor opening 112.

이때, 상기 제습로터(400)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At this time, since the dehumidifying rotor 400 does not rotate, the humidity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rea 410 does not change.

특히, 본 바이패스 모드의 특징은 상기 건채널(310)을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실내유입 공기유로와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7공기유로(17)의 연결부를 통해 제7공기유로(17)와 제8공기유로(18) 및 제2공기유로(12)를 유동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실외배출 공기유로 사이에 열교환과정 없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eature of this bypass mode is that the seventh air is suppli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indoor air flow path flowing into the room through the key channel 310 and the fourth air flow path 14 and the seventh air flow path 17. Ventilation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flow passage 17, the eighth air passage 18, and the outdoor exhaust air passage that flows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12 and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without a heat exchange process.

즉, 증발냉각기(300)에서 제4공기유로(14)을 통과한 공기는 습채널(320)을 통과하지 않고 곧바로 제7공기유로(17)로 유동하므로 건채널(310)과의 사이에 일어나는 현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제습로터(40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제습로터(400)가 회전하는 경우 일측 영역과 다른 영역 사이에 이루어지는 전열교환도 일어나지 않는다.That is, sinc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ourth air passage 14 in the evaporative cooler 300 flows directly to the seventh air passage 17 without 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No sensible heat exchange takes place. In addition, since the dehumidifying rotor 400 does not rotate, when the dehumidifying rotor 400 rotates, total heat exchange between one region and the other region does not occur.

따라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 과정 없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환기모드와 환기모드중 가습모드를 포함하여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바이패스모드를 통해 다양한 환기모드를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이용하여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가습을 위한 별도의 수분공급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ventilation can be performed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without a heat exchange process, various ventilation modes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bypass mode in which heat exchange does not occur, including the humidification mode among the ventilation mode and ventilation mode described abov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can improve In addition, since humidif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water supply unit for humidification, thereby preventing the air conditioner from becoming complicated.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순환 가습모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irculation humidification mod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여기서 순환 가습모드라 함은, 실내공기를 가습하는 경우 실내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기유로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순환하는 경로를 갖는 경우를 의미한다.Here, the circulation humidification mode means a case where an air flow path for supplying moisture to indoor air when humidifying indoor air has a circulation path inside the air conditioner.

상기 순환 가습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댐퍼(22)와 제9댐퍼(29)를 제어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6공기유로(16)를 개방하고, 상기 제1댐퍼(21)와 제4댐퍼(24)와 제5댐퍼(25)와 제6댐퍼(26)와 제7댐퍼(27)가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3공기유로(13)와 제4실외개구부(124)와 제5공기유로(15)와 제8공기유로(18)를 각각 폐쇄한다. When the circulation humidification mode is activat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econd damper 22 and the ninth damper 29 to open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first damper (21), the fourth damper (24), the fifth damper (25), the sixth damper (26), and the seventh damper (27) are connected to the fourth air passage (14) and the third air passage (13). and 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the fifth air passage 15, and the eighth air passage 18 are respectively closed.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송풍기(31)와 제3송풍기(33)와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와 상기 제1가열부(510)를 온(on)시키고, 상기 압축기(210)와 응축기(220)와 증발기(230) 및 상기 제3가열부(530)를 오프(off)시킨다.In this state, the first blower 31, the third blower 33,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and the first heating unit 510 are turned on, and the compressor 210 and the condenser ( 220), the evaporator 230, and the third heating unit 530 are turned off.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댐퍼(23)와 제8댐퍼(28)를 제어하여 상기 제2공기유로(12)를 폐쇄하고 상기 제2송풍기(32)와 상기 제2가열부(520)를 오프(off)시키며, 상기 제습로터(400)를 회전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hird damper 23 and the eighth damper 28 to close the second air passage 12 and to operate the second blower 32 and the second heating unit 520. It is turned off and the dehumidifying rotor 400 is rotated.

이때, 상기 제3송풍기(33)에 작동에 의해 상기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습채널(320), 제6공기유로(16), 제7공기유로(17), 습채널(320)로 이루어지는 순환유로를 따라 반복 유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ir inside the wet channel 320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is moved through the wet channel 320,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seventh air passage 17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blower 33. ), it repeatedly flows along the circulation passage consisting of the wet channel 320.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여 수분공급부에 의해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하며 상기 제습로터(400)의 상기 제3영역(430)을 통과하며 상기 제습로터(400)에 수분을 흡착시키고, 상기 제습로터(400)의 수분이 흡착된 부분이 회전하여 상기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된다.Passing through the wet channel 320 and containing moisture by the water supply unit, the air flows through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area 430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and the dehumidifying rotor ( 400) is adsorbed, and the moisture adsorbed part of the dehumidifying rotor 400 is rotated to be located in the first region 410.

따라서,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제1가열부(510)를 통해 가열되어 내포 가능한 수분량을 높인 후, 상기 제습로터(400)의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며 상기 제습로터(400)로부터 수분을 전달받고, 상기 건채널(310)을 통과한 후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된다. Accordingly,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and flowing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11 is heated through the first heating unit 510 to increase the amount of moisture it can contain, and then dehumidified. It passes through the first area 410 of the rotor 400, receives moisture from the dehumidifying rotor 400, passes through the dry channel 310, and then flows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indoor opening 112. .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조화기(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하며 상기 실내공기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순환 및 가습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외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실내 가습시 실외 공기가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열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indoor air is circulated and humidified by supplying moisture to the indoor air while the air inside the air conditioner 1 circulates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Therefore, even when the temperature of outdoor air is low, outdoor air does not flow into the air conditioner 1 during indoor humidification, so thermal energy efficiency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에서는 순환유로가 제3영역(430)을 통과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제습로터(400)가 제1영역(410)과 제2영역(420) 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순환유로가 제2영역(420)을 통과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the circulation passage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third region 430, but when the dehumidifying rotor 400 consists of only the first region 410 and the second region 420, the circulation passage passes through the second region 420. ) can also be configured.

즉, 제습로터(400)는 제1영역(410)과 제2영역(420)으로 이루어지고, 제6공기유로(16)의 일측이 제2영역(420)의 일측(도 7에서 좌측)의 제2공기유로(12)에 연결되며, 제6공기유로(16)에서 제3영역(430)을 통과하는 부분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순환유로는 습채널(320), 제6공기유로(16)의 일측, 제2공기유로(12)의 일측, 제2영역(420), 제2공기유로(12)의 타측, 제8공기유로(18), 제6공기유로(16)의 타측, 제7공기유로(17), 습채널(320)을 반복 순환하는 유로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dehumidifying rotor 400 is composed of a first area 410 and a second area 420, and one side of the sixth air flow path 16 is one side of the second area 420 (left side in FIG. 7).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assage 12 and passing through the third region 430 in the sixth air passage 16 is removed. In this configuration, the circulation passage includes the wet channel 320, one side of the sixth air passage 16, one side of the second air passage 12, the second region 420,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air passage 12, The eighth air passage 18 , the other side of the sixth air passage 16 , the seventh air passage 17 , and the wet channel 320 may be repeatedly circulated.

이 경우에도 차가운 실외공기가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나, 제2공기유로(12)는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구성이므로 겨울철에는 제3영역(430)을 통과하는 제6공기유로(16) 내부의 공기에 비해 온도가 낮으므로, 도 7의 경우에 비해 열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Even in this case, it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n that cold outdoor air does not flow into the air conditioner 1, but the second air passage 12 is configured to allow outdoor air to flow, so in winter, the third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sixth air passage 16 passing through the region 430 is lower than that of the air, thermal efficiency may be lower than that of FIG. 7 .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공기청정모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above in the air cleaning mode will be described.

상기 공기청정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댐퍼(22)를 제어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개방하고, 상기 제1댐퍼(21)와 제4댐퍼(24)와 제5댐퍼(25)와 제6댐퍼(26)와 제7댐퍼(27)와 제9댐퍼(29)가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3공기유로(13)와 제4실외개구부(124)와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와 제8공기유로(18)를 폐쇄한다. When the air cleaning mode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damper 22 to open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first damper 21, the fourth damper 24 and the fifth The damper (25), the sixth damper (26), the seventh damper (27), and the ninth damper (29) form the fourth air passage (14), the third air passage (13), and the fourth outdoor opening (124). and the fifth air passage 15, the sixth air passage 16, and the eighth air passage 18 are closed.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송풍기(31)를 온(on)시키고, 상기 제3송풍기(33)와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와 상기 제1가열부(510)와 상기 제3가열부(530)와 상기 압축기(210)와 응축기(220) 및 증발기(230)를 오프(off)한다.In this state, the first blower 31 is turned on, and the third blower 33,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evaporative cooler 300, the first heating unit 510, and the third heating unit 530 ) and the compressor 210, the condenser 220, and the evaporator 230 are turned off.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댐퍼(23)와 제8댐퍼(28)를 제어하여 상기 제2공기유로(12)를 폐쇄하고, 상기 제2송풍기(32)와 상기 제2가열부(520)를 오프(off)시키며, 상기 제습로터(400)는 회전시키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hird damper 23 and the eighth damper 28 to close the second air passage 12, and the second blower 32 and the second heating unit 520 is turned off, and the dehumidifying rotor 400 does not rotate.

따라서,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상에 위치하는 제1필터(710)와 제2필터(720)와 제1영역(410)과 제3필터(730)를 순차로 통과하며 여과가 이루어져, 실내 공기의 순환 및 공기 정화가 이루어진다. Therefore,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door opening 111 flows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11 and the first filter 710 and the second filter positioned on the first air passage 11 720, the first area 410, and the third filter 730 are sequentially filtered, and indoor air is circulated and air is purified.

한편, 실내 난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3가열부(530)가 온(on) 되고, 상기 제2실내개구부(12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가 가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난방모드는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난 환기모드와 순환모드 및 공기청정모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ndoor heating is required, the third heating unit 530 is turned on, and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indoor opening 122 is heated to achieve heating.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ventilation mode, circulation mode, and air cleaning mode shown in FIGS. 4 to 8.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by doing, and thi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 : 공기조화기 11 : 제1공기유로
12 : 제2공기유로 13 : 제3공기유로
14 : 제4공기유로 15 : 제5공기유로
16 : 제6공기유로 17 : 제7공기유로
18 : 제8공기유로 21 : 제1댐퍼
22 : 제2댐퍼 23 : 제3댐퍼
24 : 제4댐퍼 25 : 제5댐퍼
26 : 제6댐퍼 27 : 제7댐퍼
28 : 제8댐퍼 29 : 제9댐퍼
31 : 제1송풍기 32 : 제2송풍기
33 : 제3송풍기 111 : 제1실내개구부
112 : 제2실내개구부 121 : 제1실외개구부
122 : 제2실외개구부 123 : 제3실외개구부
124 : 제4실외개구부 210 : 압축기
220 : 응축기 230 : 증발기
300 : 증발냉각기 310 : 건채널
320 : 습채널 400 : 로터
410 : 제1영역 420 : 제2영역
430 : 제3영역 510 : 제1가열부
520 : 제2가열부 530 : 제3가열부
710 : 제1필터 720 : 제2필터
730 : 제3필터
1: air conditioner 11: first air flow path
12: second air passage 13: third air passage
14: 4th air flow path 15: 5th air flow path
16: 6th air flow path 17: 7th air flow path
18: 8th air flow path 21: 1st damper
22: second damper 23: third damper
24: 4th damper 25: 5th damper
26: 6th damper 27: 7th damper
28: 8th damper 29: 9th damper
31: first blower 32: second blower
33: third blower 111: first indoor opening
112: second indoor opening 121: first outdoor opening
122: second outdoor opening 123: third outdoor opening
124: fourth outdoor opening 210: compressor
220: condenser 230: evaporator
300: evaporative cooler 310: gun channel
320: wet channel 400: rotor
410: first area 420: second area
430: third region 510: first heating unit
520: second heating unit 530: third heating unit
710: first filter 720: second filter
730: 3rd filter

Claims (1)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내유입 공기유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출 공기유로;
상기 실내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 또는 상기 실외로부터 유입된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2개의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착하거나 방출하는 제습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는, 상기 제습로터의 적어도 2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통과하는 제1배출유로와, 상기 제습로터를 통과하지 않는 제2배출유로로 이루어지고,
실내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1공기유로와 실외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2공기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습로터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1영역과, 상기 제2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2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건채널과, 상기 건채널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습채널과, 상기 습채널을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는 증발냉각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n indoor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an outdoor discharge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a dehumidifying rotor having at least two regions through which indoor air introduced from the room or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doors passes, and absorbs or releases moisture while the indoor air or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region; ,
The outdoor discharge air passage includes a first discharge passage passing through one of at least two regions of the dehumidifying rotor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not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a first air passag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s and a second air passag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doors are provided;
The dehumidifying rotor includes a first region provided on the first air passage and a second region provided on the second air passage;
An evaporative cooler comprising a dry channel provided on the first air passage, a wet channel in which heat is exchanged between air passing through the dry channel, and a moisture supply unit supplying moisture to the air flowing through the wet channel.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KR1020230024048A 2017-08-31 2023-02-23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KR1025382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048A KR102538252B1 (en) 2017-08-31 2023-02-23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352A KR102504908B1 (en) 2017-08-31 2017-08-31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KR1020230024048A KR102538252B1 (en) 2017-08-31 2023-02-23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352A Division KR102504908B1 (en) 2017-08-31 2017-08-31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870A KR20230031870A (en) 2023-03-07
KR102538252B1 true KR102538252B1 (en) 2023-05-31

Family

ID=658009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352A KR102504908B1 (en) 2017-08-31 2017-08-31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KR1020230024048A KR102538252B1 (en) 2017-08-31 2023-02-23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352A KR102504908B1 (en) 2017-08-31 2017-08-31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49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0450B (en) * 2019-04-29 2022-03-29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Refrigerant recovery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KR102190905B1 (en) * 2020-02-03 2020-12-1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191B1 (en) * 2004-10-28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Ventilating apparatus
KR101782839B1 (en) * 2015-11-18 2017-10-2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Air-conditioner capable of cooling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KR101782838B1 (en) * 2016-02-12 2017-10-2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870A (en) 2023-03-07
KR102504908B1 (en) 2023-03-02
KR20190024394A (en)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194B1 (en) Air-conditioner capable of heating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KR101782839B1 (en) Air-conditioner capable of cooling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KR101664791B1 (en) Air-conditioner capable of ventilation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KR102538252B1 (en)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JP4816267B2 (en) Humidity control device
KR102180663B1 (en)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JP4857901B2 (en) Desiccant air conditioning system
JP3992051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9508656A (en)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JP2011089665A (en) Humidity conditioner
KR10060710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of outer-air induction type for full season, and air conditioning method
JP2003139350A (en) Dehumidifying air conditioner
KR20060037583A (en) Ventilating apparatus
KR102287900B1 (en) Air conditioner
KR102421244B1 (en)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CN108885023B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210130A (en) Cooling dehumidification system
CN215001975U (en) Fresh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506022B1 (en)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JPH0727366A (en) Air quality regulator
KR102335411B1 (en)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JPH1194298A (en) Air-conditioning equipment
KR100688209B1 (en) Air conditioner
JPH05168841A (en) Air conditioner with humidifying and dehumidifying function
JP2015021622A (en) Dehumidif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