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682B1 - Gang foam assembly for both inside and outside insulation - Google Patents

Gang foam assembly for both inside and outside insu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682B1
KR102537682B1 KR1020200180510A KR20200180510A KR102537682B1 KR 102537682 B1 KR102537682 B1 KR 102537682B1 KR 1020200180510 A KR1020200180510 A KR 1020200180510A KR 20200180510 A KR20200180510 A KR 20200180510A KR 102537682 B1 KR102537682 B1 KR 102537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plates
connecting rods
construction state
insulation
we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9877A (en
Inventor
조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보메탈
조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보메탈, 조영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보메탈
Priority to KR102020018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682B1/en
Publication of KR2022008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8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6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hich are collapsible, foldable, or able to be rolled 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동일한 규격으로 설계 및 제작되는 동시에 단열재의 배치 방식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한 내외단열 겸용 갱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갱폼 어셈블리는 외단열 시공 상태와 내단열 시공 상태를 가지는 복수의 면판; 상기 복수의 면판 각각의 후방에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웰라; 상기 복수의 면판 중 이웃하는 면판의 적어도 일부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면판 중 이웃하는 면판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웰라는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를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면판 중 이웃하는 면판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웰라는 단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the same standard, and at the same time, a gangform assembly for both internal and external insulation that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insulation is provided.
The gangform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face plates having an out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and an inn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a plurality of wellas formed at the rea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so as to have variable length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formed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at least some of adjacent face 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and whe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exist between adjacent face 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the A plurality of wellas may extend to support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nd whe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do not exist between adjacent face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the plurality of wellas may be shortened.

Description

내외단열 겸용 갱폼 어셈블리{GANG FOAM ASSEMBLY FOR BOTH INSIDE AND OUTSIDE INSULATION}GANG FOAM ASSEMBLY FOR BOTH INSIDE AND OUTSIDE INSULATION}

본 발명은 내외단열 겸용 갱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ngform assembly for both internal and external insulation.

최근 친환경 및 제로에너지 건축물 등과 관련하여, 건축물의 단열 방식이 에너지 효율이 낮은 기존의 내단열 방식(단열재가 외벽의 내측에 배치)에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외단열 방식(단열재가 외벽의 외측에 배치)으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in relation to eco-friendly and zero-energy buildings, the insulation method of buildings has been changed from the existing internal insulation method with low energy efficiency (insulation material plac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wall) to the energy efficient external insulation method (insulation material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It is currently being converted to.

갱폼은 주로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 상ㆍ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골조(외부 벽체, 내력제)의 거푸집 기능을 하는 복수의 면판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을 의미한다.Gang form refers to a large formwork manufactured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face plates and a cage for scaffolding, which function as formwork for the frame (exterior wall, load-bearing material) in a cross-sectional structure with the same upper and lower parts on a plane, such as a high-rise apartment building.

한편, 고층 아파트나 주상복합건물의 경우, 저층은 석재 등 외벽재가 부착되기 때문에 외단열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고, 고층은 마감재 없이 건립됨에 따라 내단열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igh-rise apartments or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the lower floors can be constructed in an external insulation method because external wall materials such as stone are attached, and the high floors can be constructed in an internal insulation method as they are built without finishing materials.

즉, 고층 아파트의 경우, 각각의 층마다 동일한 평면을 가지므로 골조를 형성하기 위한 갱폼을 동일한 규격으로 설계 및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저층은 외단열 방식으로 시공하는 경우 갱폼과 골조 사이가 쉬프트(Shift)되고 고층은 내단열 방식으로 시공하는 경우 갱폼과 골조 사이가 접촉되기 때문에,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저층용 갱폼과 고층용 갱폼을 독립적인 규격으로 설계 및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a high-rise apartment building, since each floor has the same plane, the gang form for forming the frame can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the same standard and used. When is shifted and the high-rise is constructed in an internal insulation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gangform for the low-rise and the gangform for the high-rise must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in independent standard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material because the gang form and the frame are in cont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일한 규격으로 설계 및 제작되는 동시에 단열재의 배치 방식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한 내외단열 겸용 갱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ngform assembly for both interior and exterior insulation that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the same standard and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insulation material.

또한, 단열재가 아닌 다른 디자인의 변경시에도 입면이 확정된 경우 커넥팅 로드를 이용하여 골조타설의 거푸집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design other than the insulation material is changed, the size of the formwork for framing can be changed using the connecting rod when the elevation is confirm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는 외단열 시공 상태와 내단열 시공 상태를 가지는 복수의 면판; 상기 복수의 면판 각각의 후방에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웰라; 상기 복수의 면판 중 이웃하는 면판의 적어도 일부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면판 중 이웃하는 면판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웰라는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를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면판 중 이웃하는 면판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웰라는 단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gangfor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plurality of face plates having an out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and an inn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a plurality of wellas formed at the rea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so as to have variable length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formed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at least some of adjacent face 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and whe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exist between adjacent face 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the A plurality of wellas may be extended to support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nd whe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do not exist between adjacent face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the plurality of wellas may be shortened.

상기 복수의 웰라 각각은 웰라 본체와 상기 웰라 본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의 수평 방향 위상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wells may include a wella body and a variable part slidably coupled to the wella body, and may have a variable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depending on a phase of the variable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가변부는 상기 웰라 본체에 삽입되는 제1포션과, 상기 웰라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포션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의 제1포션은 수평 방향 위상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웰라 본체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variable portion includes a first portion inserted into the Wella body and a second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ella body, and the first portion of the variable portion is bolted to the Wella body in a state in which a horizontal phase is set, It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fixed.

외단열 시공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는 복수의 면판 중 제1코너에서 이웃하는 면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단열 시공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는 복수의 면판 중 제1코너와 반대 방향의 제2코너의 제1방향과 제2방향을 따라 상호 이웃하는 면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out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re disposed between adjacent face plates at the first corner of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and in the inn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re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corner of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between mutually adjacent face plates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econd corner.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 각각은 중공의 로드 본체와 상기 로드 본체에 수용되어 보강하는 리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may include a hollow rod body and a rib member received and reinforced by the rod body.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는 복수의 면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커넥터에 의해 외단열 시공 상태와 내단열 시공 상태에 맞추어 조립되어, 동일한 규격으로 설계 및 제작되는 동시에 단열재의 배치 방식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동시에 설계 및 시공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The gangfor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ccording to the out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and the inn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by a plurality of connectors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face plates, and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the same standard and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insulation material. Because of thi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conomical and simple in design and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는 단열과 관련없는 입면의 변경시에도 커넥팅 로드를 이용하여 변경 치수만큼 거푸집의 크기를 변화시켜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ngfor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pond to a change in elevation not related to insulation by changing the size of the formwork by the size of the change using a connecting ro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의 외단열 시공 상태에서 웰라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의 내단열 시공 상태에서 웰라가 단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의 외단열 시공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의 내단열 시공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lla is extended in an out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of a gangfor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lla is shortened in the internal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of the gangfor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portions of FIGS. 1 and 2 .
4 is a plan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external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of the gangfor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conceptually showing a heat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of the gangfor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you flip a component that is shown in a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There may be.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10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의 외단열 시공 상태에서 웰라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의 내단열 시공 상태에서 웰라가 단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과 도 2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의 외단열 시공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의 내단열 시공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Hereinafter, the gangform assembl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lla is extended in the out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of the gangfor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wella is shortened in the inn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of the gangfor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n which parts of FIGS. 1 and 2 are enlarged, FIG. 4 is a plan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out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of the gangfor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the inn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of the gangfor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plan view.

이하, 골조(1)는 건물의 외벽에 해당하는 내력재이며, 단열재(2)는 건물의 단열을 위해 배치되는 비내력재로 정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frame 1 is a load-bear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may be defined as a non-load-bearing material disposed for thermal insulation of the buil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1000)는 외단열 시공 상태(도 1과 도 4 참조; 일 예로, 고층 아파트의 저층부)와 내단열 시공 상태(도 2와 도 5 참조; 일 예로, 고층 아파트의 고층부)를 가질 수 있다.The gangform assembl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ternal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see FIGS. 1 and 4; for example, a low-rise portion of a high-rise apartment building) and an internal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see FIGS. 2 and 5; for example, a high-rise portion of a high-rise apartment building) can hav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1000)는 고층 아파트 각층의 동일한 평면에 맞추어 동일한 규격(동일한 크기와 두께 등)으로 설계 및 제작되며, 단열재의 배치에 맞추어 조립되어 고층 아파트의 저층부와 고층부 모두를 커버할 수 있다(내외단열 겸용 갱폼).Accordingly, the gangform assembl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the same standard (same size and thickness, etc.) according to the same plane of each floor of the high-rise apartment, and is assembl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insulation material to cover both the lower and upper floors of the high-rise apartment. can be covered (gang foam for both internal and external insulation).

나아가 단열재가 아닌 다른 디자인의 변경시에도 입면이 확정된 경우 커넥터를 이용하여 골조타설의 거푸집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Furthermore, even when the design other than the insulation material is changed, the size of the formwork for framing can be changed using the connector when the elevation is confirmed.

조금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1000)는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에 의해 외단열 시공 상태와 내단열 시공 상태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열재(2)의 배치에 의해 달라지는 골재(1)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gangform assembl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in an out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and an inn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00, and accordingly, the The distance with the aggregate 1 can be adjusted.

일 예로,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1000)의 외단열 시공 상태에서의 복수의 면판(100)과 골조(1) 사이의 간격(평면도 상에서의 최단거리 간격)은 내단열 시공 상태에서의 복수의 면판(100)과 골조(1) 사이의 간격(평면도 상에서의 최단거리 간격)보다 클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and the frame 1 in the out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of the gangform assembl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est distance on the plan view) is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in the inn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It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100) and the frame (1) (the shortest distance distance on the plan view).

나아가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1000)의 외단열 시공 상태에서의 복수의 면판(100)과 골조(1) 사이의 간격은 단열재(2)의 두께일 수 있으며, 내단열 시공 상태에서의 복수의 면판(100)과 골조(1) 사이의 간격은 "0(접촉)"일 수 있다. Furthermore,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and the frame 1 in the out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of the gangform assembl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material 2, and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in the inn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The distance between 100 and the framework 1 may be “0 (contact)”.

즉, 외단열 시공 상태에서는 단열재(2)가 복수의 면판(100)과 골조(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내단열 시공 상태에서는 단열재(2)가 복수의 면판(100)과 골조(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in the outer heat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and the frame 1, and in the inner heat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is between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and the frame ( 1) can be placed inside.

나아가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1000)는 단열재(2)가 복수의 면판(100)과 골조(1)의 사이에 배치되는 외단열 구조의 경우 단열재(2)가 복수의 면판(100)과 골조(1)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단열 구조와 비교하여 단열재(2)의 두께만큼 간격 차이를 만들어 조립되기 때문에, 내외단열 겸용 갱폼으로 이용될 수 있다(도 4와 도 5 참조).Furthermore, in the gangform assembl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n outer heat insu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and the frame 1,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and the frame ( Compared to the inner insulation structure disposed inside 1), since it is assembled by making a gap difference by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material 2, it can be used as a gang foam for both internal and external insulation (see FIGS. 4 and 5).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1000)는 복수의 면판(100)과 복수의 웰라(200)와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gangform assembl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a plurality of wellas 200,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00.

복수의 면판(100)은 시공 시 골조(1)의 양생을 위한 거푸집(틀) 기능을 하는 복수의 플레이트로서,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강철)로 이뤄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are a plurality of plates that function as a formwork (frame) for curing the frame 1 during construction, and may generall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tee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면판(100)은 단열재(2)의 배치에 따라, 외단열 시공 상태로 조립될 수도 있고 내단열 시공 상태로 조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may be assembled in an outer heat insulating state or an inner heat insulating stat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 .

복수의 웰라(200)는 복수의 면판(100) 각각의 후방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수평재)되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부재일 수 있다. 복수의 웰라(200)는 복수의 면판(100)이 타설된 콘크리트의 유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1000)에서는 복수의 웰라(200)가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ellas 200 may be members that a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material) behind each of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wells 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to stably support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poured concrete. In the gangform assembl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ellas 200 may be formed to have a variable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는 복수의 면판(100) 중 이웃하는 면판의 적어도 일부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수직재)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는 단열재(2)가 배치 상태에 따라서 복수의 면판(100) 중 이웃하는 면판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갱폼 어셈블리(1000)는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에 의해 복수의 면판(100)을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하더라도 내외단열 시공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00 may be formed (vertical member)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adjacent face 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00 are for compensating for gaps that occur between adjacent face 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insulator 2, and the gangform assembl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00 Even if a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are manufactured to the same standard by the rod 300, both internal and external insulation construction can be covered.

이 경우, 복수의 면판(100) 중 이웃하는 면판 사이에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가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웰라(200)는 연장되어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를 지지할 수 있다(도 1과 도 3의 (a) 참조).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도 복수의 면판(100)과 마찬가지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유압을 받기 때문에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해서 복수의 웰라(200)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를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하였다.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00 exist between adjacent face 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the plurality of wellas 200 may extend to support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00 (FIG. 1 and see (a) of FIG. 3). Sinc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00 also receiv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poured concrete like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00, the plurality of wells 200 are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connecting rod 300 was supported from the rear.

이와 달리, 복수의 면판(100) 중 이웃하는 면판 사이에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웰라(200)는 단축될 수 있다(도 2와 도 3의 (b) 참조). 복수의 면판(100) 사이의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로서, 이 경우에도 복수의 웰라(200)가 연장상태에 있다면, 이웃하는 면판 각각의 복수의 웰라(200)가 상호 저촉되기 때문에 복수의 웰라를 단축시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In contrast, when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00 do not exist between adjacent face 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the plurality of wellas 200 may be shortened (see FIGS. 2 and 3(b)). .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even in this case, if the plurality of wells 200 are in an extended state, the plurality of wells 200 of each of the adjacent face plates collide with each other. shortened to solve this problem.

이를 위해, 복수의 웰라(200) 각각은 웰라 본체(210)와 웰라 본체(210)에 슬라이딩 결합된느 가변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변부(220)의 수평 방향 위상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To this end, each of the plurality of wells 200 may include a wella body 210 and a variable part 220 slidably coupled to the wella body 210, and the variable part 220 may be horizontally leveled by the horizontal phase. It is prepared so that the length can be changed in the direction.

또한, 가변부(220)는 웰라 본체(210)에 삽입되는 제1포션(221)과 웰라 본체(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포션(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포션(221)은 수평 방향 위상이 설정된 상태에서 웰라 본체(210)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portion 22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221 inserted into the Wella body 210 and a second portion 22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ella body 210 . The first portion 221 may be bolted and fixed to the Wella body 210 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phase is set.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 각각은 중공의 로드 본체(310)와 로드 본체(310)에 수용되어 보강하는 리브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의 내구성과 지지력을 위함이며, 일 예로, 로드 본체(310)는 후면이 개방된 "ㄷ" 형태일 수 있으며 리브 부재(320)는 로드 본체(310)의 양측 말단에 배치되는 블록과 양측 블록 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웰라(200)의 제2포션(222)을 지지하는 중공의 사각 컬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리브 부재(320)의 중공의 사각 컬럼은 블록에 의해 양측이 고정된 고정단 상태로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웰라(200)의 제2포션(222)으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구조적 안정성 확보).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00 may include a hollow rod body 310 and a rib member 320 received and reinforced by the rod body 310 . This is for the durability and bearing capacity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00. For example, the rod body 310 may have a "c" shape with an open rear surface, and the rib member 32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d body 310.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llow square column that is disposed on the disposed block and the blocks on both sides to support the second portion 222 of the plurality of wellas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the hollow square column of the rib member 320 is stably arranged in a fixed end state with both sides fixed by blocks, so that external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portions 222 of the plurality of wells 200. Yes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한편, 외단열 시공 상태에서 복수의 커넥팅 로드(300)는 복수의 면판(100) 중 제1코너에서 이웃하는 면판의 사이(일 예로, 각 면판의 말단에 1개씩 총 2개)에 배치될 수 있고(도 4 참조), 내단열 시공 상태에서 복수의 면판(100) 중 제1코너와 반대 방향의 제2코너의 제1방향과 제2방향을 따라 상호 이웃하는 면판의 사이(일 예로, 이웃하는 면판의 사이에 1개씩)에 배치될 수 있지만(도 5 참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in the out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00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face plates at the first corner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for example, one at the end of each face plate, two in total). (see FIG. 4), between the face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econd corne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corner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100 in the heat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for example, It may be disposed (see FIG. 5),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5)

평면 상에서 제1코너와 제1코너와 반대 방향의 제2코너가 형성되어 있고 골재의 배치가 동일한 외단열층과 내단열층에서, 단열재가 골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단열층 시공 시 조립되는 외단열 시공 상태와 단열재가 골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단열층 시공 시 조립되는 내단열 시공 상태를 모두 가지는 갱폼 어셈블리에 있어서,
외단열 시공 상태에서는 단열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단열 시공 상태에서는 골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면판;
상기 복수의 면판 각각의 후방에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웰라; 및
상기 복수의 면판 중 이웃하는 면판의 적어도 일부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면판 중 이웃하는 면판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웰라는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를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면판 중 이웃하는 면판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웰라는 단축되고,
상기 복수의 웰라 각각은 웰라 본체와 상기 웰라 본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의 수평 방향 위상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웰라 본체에 삽입되는 제1포션과, 상기 웰라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포션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의 제1포션은 수평 방향 위상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웰라 본체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고,
외단열 시공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는 복수의 면판 중 제1코너에서 이웃하는 면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단열 시공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는 복수의 면판 중 제1코너와 반대 방향의 제2코너의 제1방향과 제2방향을 따라 상호 이웃하는 면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커넥팅 로드 각각은 중공의 로드 본체와 상기 로드 본체에 수 용되어 보강하는 리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어셈블리.
In an outer insulation layer and an inner insulation layer in which a first corner and a second corne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corner are formed on a plane and have the same arrangement of aggregate, the external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assembl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outer insulation layer in which the insulation material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aggregate In the gang form assembly having both the internal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assembl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inner insulation layer in which the insulation material is disposed inside the aggregate,
A plurality of face plate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or in the outer heat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and on the outer side of the aggregate in the inner heat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a plurality of wellas formed at the rea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so as to have variable length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formed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at least some of the adjacent face 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Whe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re present between adjacent face 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the plurality of wellas extend to support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nd between adjacent face 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the plurality of wellas are extended. When the connecting rod does not exist, the plurality of wells are shortened,
Each of the plurality of wells includes a wella body and a variable part slidingly coupled to the wella body, and the length is vari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the horizontal phase of the variable part,
The variable part includes a first portion inserted into the Wella body and a second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ella body,
The first portion of the variable part is bolted and fixed to the Wella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phase is set,
In the outer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re disposed between adjacent face plates at a first corner of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In the heat insulation construction stat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re disposed between mutually adjacent face plates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f a second corner opposite to the first corner of the plurality of face plates,
Gang form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include a hollow rod body and a rib member accommodated in the rod body to reinforc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80510A 2020-12-22 2020-12-22 Gang foam assembly for both inside and outside insulation KR1025376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10A KR102537682B1 (en) 2020-12-22 2020-12-22 Gang foam assembly for both inside and outside ins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10A KR102537682B1 (en) 2020-12-22 2020-12-22 Gang foam assembly for both inside and outside insu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877A KR20220089877A (en) 2022-06-29
KR102537682B1 true KR102537682B1 (en) 2023-05-30

Family

ID=8227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510A KR102537682B1 (en) 2020-12-22 2020-12-22 Gang foam assembly for both inside and outside insu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682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266B1 (en) * 2010-04-13 2012-10-12 주식회사 공간이동 supporting beam possible sliding.
KR20130092760A (en) * 2012-02-13 2013-08-21 (주)에이원알폼 Reinforcement panel and form assembly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877A (en)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3830A (en) Structual ele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0438913Y1 (en) Earthquake-proof apparatus for constructing earthquake-proof wall consisting of reinforcement brackets and quakeproof bricks
KR101598692B1 (en) A light weight brick wall structure with enhansed heat and sound insulation
CN110158853A (en) A kind of prefabricated sandwich heat preservation wallboard
KR20120087640A (en) Remodelling Construction Method by Inserting External Precast Concrete Wall Panel into the Internal Area of Beam-column Frame of Building and that Precast Concrete Panel
CN105350703A (en) Lightweight-aggregate cell-concrete large prefabricated externally-hung wallboar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KR102537682B1 (en) Gang foam assembly for both inside and outside insulation
CN212948324U (en) Heat-preservation, fireproof and sound-insulation concrete assembled wallboard
KR20200076117A (en) Architectural Middle Insula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is
EP2766536B1 (en) Modular system for precise construction of walls
EP0072839A4 (en) Variable building construction.
WO2020034172A1 (en) Building compon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07859403B (en) Assembled building structure
EP1012415B1 (en) Arrangement at wall support
KR102249058B1 (en) Prefabricated wall
CN210117806U (en) Interlayer connecting node of wall body, prefabricated member and assembly type building
KR2022015715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of prefabricated super concrete house
EP3004468B1 (en) Method of constructing passive foundations that reduce heat loss of a building, as well as the costs and consumption of materials
CN115262852B (en) Clear water brick wall bearing structure
KR20000050637A (en) Sandwich type concrete pannel
KR102639742B1 (en) PC earthquake-resistant reinforc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with improved constructability
RU129535U1 (en) LARGE BUILDING BLOCK FOR FRAME-BLOCK CONSTRUCTION AND BUILDING MODULE FOR BUILDING BLOCK
CN213509048U (en) Single-face superposed prefabricated part node
KR102573824B1 (en) Brick
CN219931396U (en) Composite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