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473B1 -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 - Google Patents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473B1
KR102537473B1 KR1020200175508A KR20200175508A KR102537473B1 KR 102537473 B1 KR102537473 B1 KR 102537473B1 KR 1020200175508 A KR1020200175508 A KR 1020200175508A KR 20200175508 A KR20200175508 A KR 20200175508A KR 102537473 B1 KR102537473 B1 KR 102537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amper
elastic member
bobbin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0727A (ko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주)에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보소닉 filed Critical (주)에보소닉
Publication of KR2022005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61H15/0085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1/00Massage devices for cavities of the body, e.g. nose, ears and anus ; Vibration or percussion related aspects A61H23/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61H7/005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hand-h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023/0209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powered with frequencies not related to mains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7Constructive details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4Layer between the skin and massage elements, e.g. fluid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6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몸체부, 몸체부의 제1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댐퍼 및 몸체부의 제2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하고, 제1 댐퍼는 제1 지점으로부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부분, 제1 내측 부분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부분 및 제1 연결 부분으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부분을 포함하는 탄성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ELASTRIC MEMBER AND VIBRATING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에 음파 진동을 전달함에 있어서 강한 안정적인 진동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체에 진동을 제공하여 자극하거나 마사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인체에 진동을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모터 등을 이용하는 기계적 진동, 미세한 떨림을 제공하는 초음파 진동,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는 음파 진동이 있으며, 이 중 인체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음파 진동에 대한 연구가 특히 주목받고 있다.
다만, 이러한 음파 진동은 인체에 대한 부담은 적지만 기계적 진동만큼 강한 진동을 발생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 파손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기 위해 진동 효율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서도 크기가 작은 진동 모듈 또는 진동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진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강화시키면서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음파 진동 모듈 또는 진동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종래의 진동 모듈과 관련된 특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3-008982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2003-0089822호에 개시된 진동 모듈은 제1 지지체, 제2 지지체, 코어 및 보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진동 모듈은 탄성체에 의한 진동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음향 압력을 이용하여 진동할 수 있는 진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과제는, 휘어지는 지점을 다수 포함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과제는, 부분별로 곡률 반경이 달라지는 댐퍼를 포함하는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과제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과제는, 음향 압력을 이용하여 진동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과제는, 진동 주파수 조절 및 냉온 기능을 수행하는 음파 진동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댐퍼; 및 상기 몸체부의 제2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부분, 상기 제1 내측 부분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부분 및 상기 제1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 부분, 상기 제2 내측 부분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부분 및 상기 제2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탄성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프로브를 진동시키는 진동 모듈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 상기 자석의 중심축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자석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프로브가 연결되는 보빈; 상기 보빈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코일; 및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에 의한 상기 보빈의 위치 이동에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댐퍼 및 상기 몸체부의 제2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부분, 상기 제1 내측 부분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부분 및 상기 제1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 부분, 상기 제2 내측 부분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부분 및 상기 제2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진동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음향 압력을 이용하는 진동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부드럽고 시원한 마사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모듈에서 진동 기능을 수행하는 탄성부재의 댐퍼가 휘어지는 지점을 다수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진동의 세기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모듈에서 진동 기능을 수행하는 탄성부재의 댐퍼가 부분적으로 곡률 반경을 달리하여 사용기간에 따른 진동 모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주파수 조절과 함께 냉온 기능을 수행하여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피부 미용 제품을 흡수시키거나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 기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효과 의자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의 헤드부 형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 기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 기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수행하는 일련의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별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휘어지는 댐퍼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별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휘어지는 댐퍼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탄성부재의 구조해석에 따른 응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진동 발생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진동 발생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진동 장치의 진동 전달부의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진동 장치의 진동 전달부의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진동 장치의 진동 전달부의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진동 전달부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는 진동 전달부의 종류 및 진동 전달부와 진동 모듈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진동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어플리케이션의 진동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어플리케이션의 진동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어플리케이션의 진동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마사지 장치의 진동 수용부 내에 진동 모듈이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운동 보조 기구 내에 진동 모듈이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진동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진동 모듈의 배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진동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진동 모듈의 배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기능 및 진동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진동 증폭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주파수에 따른 피부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댐퍼 및 상기 몸체부의 제2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부분, 상기 제1 내측 부분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부분 및 상기 제1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 부분, 상기 제2 내측 부분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부분 및 상기 제2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탄성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분은 적어도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분은 적어도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곡률 반경 보다 큰 값을 가지는 탄성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3 부분의 곡률 반경 보다 큰 값을 가지는 탄성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제1 외측 부분은 상기 제2 댐퍼의 상기 제2 연결 부분과 이격되는 탄성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는 제1 댐퍼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댐퍼 결합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제1 연결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탄성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360/n°(n은 자연수)의 사이각을 가지는 탄성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 부분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휘어지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 부분은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 방향으로 볼록한 부분 및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 방향으로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중심 및 상기 제1 외측 부분의 일점을 연결하는 제1 가상선이 상기 제1 내측 부분과 만나는 제1 교점 및 상기 제1 외측 부분의 일점 사이의 거리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 및 상기 제1 외측 부분의 다른 일점을 연결하는 제2 가상선이 상기 제1 내측 부분과 만나는 제2 교점 및 상기 제1 외측 부분의 다른 일점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탄성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프로브를 진동시키는 진동 모듈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 상기 자석의 중심축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자석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프로브가 연결되는 보빈, 상기 보빈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코일 및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에 의한 상기 보빈의 위치 이동에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댐퍼 및 상기 몸체부의 제2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부분, 상기 제1 내측 부분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부분 및 상기 제1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 부분, 상기 제2 내측 부분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부분 및 상기 제2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진동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는 제1 댐퍼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댐퍼는 제2 댐퍼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댐퍼 결합홀 및 상기 제2 댐퍼 결합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진동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돌출되는 제1 및 제2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댐퍼 결합홀 및 상기 제1 결합 돌기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댐퍼 결합홀 및 상기 제2 결합 돌기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진동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돌기의 반경은 상기 제1 댐퍼 결합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댐퍼의 상기 제2 연결 부분까지의 거리 보다 짧은 진동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자석, 상기 자석으로부터 상기 자석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코일 및 상기 보빈의 일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보빈과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진동 증폭부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 및 상기 하우징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되, 상기 프로브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에 대한 외력의 분산을 유도하는 진동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는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증폭되도록 미리 정해진 무게를 갖도록 구비되는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부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된 형상인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부는 상부 영역이 폐쇄된 형상인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부의 높이는, 상기 프로브에 가해지는 외력의 상기 진동 전달부로의 분산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보빈의 중심축에 수직한 가상의 기준 평면으로부터 상기 보빈의 진동에 따라 상기 보빈의 위치가 최대로 낮아진 상태에서의 상기 프로브의 일단까지의 거리 보다 상기 기준 평면으로부터 상기 진동 전달부의 상기 상부의 일단까지의 거리가 길도록 설정되는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부의 높이는, 상기 프로브에 의한 간접적인 진동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빈의 중심축에 수직한 가상의 기준 평면으로부터 상기 보빈의 진동에 따라 상기 보빈의 위치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에서의 상기 프로브 일단까지의 거리 보다 상기 기준 평면으로부터 상기 진동 전달부의 상기 상부의 일단까지의 거리가 길도록 설정되는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부의 높이는, 상기 프로브에 의한 직접적인 진동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빈의 중심축에 수직한 가상의 기준 평면으로부터 상기 보빈의 진동에 따라 상기 보빈의 위치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에서의 상기 프로브 일단까지의 거리 보다 상기 기준 평면으로부터 상기 진동 전달부의 상기 상부의 일단까지의 거리가 짧도록 설정되는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부의 높이는, 상기 프로브에 의한 간접적인 진동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빈의 중심축에 수직한 가상의 기준 평면으로부터 상기 보빈의 진동에 따라 상기 보빈의 위치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에서의 상기 프로브 일단까지의 거리 보다 상기 기준 평면으로부터 상기 진동 전달부의 상기 상부의 일단까지의 거리가 길도록 설정되는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부는, 상기 프로브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진동 전달부 및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진동 전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진동 전달부는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일부 영역과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진동 전달부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 전달부의 복수의 결합 부재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원기둥 형상의 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결합부와 나사결합이 되도록 나사 홈을 포함하는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제2 진동 전달부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2 진동 전달부의 복수의 결합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결합부와 결합하되, 상기 제2 진동 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의 몸체부와 이격 배치되는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 전달부는 상기 제2 진동 전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진동 전달부가 상기 진동 발생부와 접촉되지 않되,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제2 진동 전달부를 통해 상기 제1 진동 전달부에 전달되는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을 이용한 마사지 장치로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자석, 상기 자석으로부터 상기 자석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코일 및 상기 보빈의 일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보빈과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진동 증폭부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 상기 하우징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되, 상기 프로브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에 대한 외력의 분산을 유도하는 진동 전달부 및 상기 진동 전달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진동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브는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증폭되도록 미리 정해진 무게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진동 전달부는 상기 진동 수용부와 접촉하여 상기 진동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진동을 상기 진동 수용부 전체에 전달하되, 상기 진동 수용부와 상기 진동 증폭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마사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수용부는 방석 형상인 마사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진동 수용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되, 상기 프로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진동 수용부의 높이 방향과 대응되도록 상기 프로브가 상기 진동 수용부에 배치되는 마사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사지 장치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진동 수용부 또는 상기 진동 전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는 마사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을 이용한 운동 보조 기구로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자석, 상기 자석으로부터 상기 자석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코일 및 상기 보빈의 일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보빈과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진동 증폭부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 상기 하우징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되, 상기 프로브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에 대한 외력의 분산을 유도하는 진동 전달부 및 상기 진동 전달부의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진동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브는 상기 진동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증폭되도록 미리 정해진 무게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진동 전달부는 상기 진동 수용부와 접촉하여 상기 진동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진동을 상기 진동 수용부 전체에 전달하되, 상기 진동 수용부와 상기 진동 증폭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상기 진동 전달부는 상기 진동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탄성 부재, 상기 보빈, 상기 자석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연결 사프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 사프트의 하측에는 프로브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 샤프트의 하측에 구비된 프로브는 상기 보빈에 대응하여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인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와이어가 방사상으로 퍼지는 형상인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수용부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수용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프로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진동 수용부의 높이 방향과 직교되도록 상기 진동 수용부에 배치되는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프로브의 진동 방향이 상기 진동 수용부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진동 수용부에 배치되는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수용부의 재질은 EVA 또는 EPP인 것인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프로브를 진동시키는 진동 모듈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 상기 자석의 중심축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자석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프로브가 연결되는 보빈; 상기 보빈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코일; 및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에 의한 상기 보빈의 위치 이동에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 결합홀을 포함하는 제1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댐퍼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홀에 대응하는 제2 결합홀을 포함하는 제2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1 결합홀 및 상기 제2 결합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되,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보빈의 이동에 따라 상호간에 부분적으로 이격되는, 진동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제1 두께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제2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제1 두께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제2 두께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제1 두께 및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제2 두께의 합은 0.5mm 내지 1.2mm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음파 진동 기기를 설명한다.
실시예들은 인체에 음파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진동 모듈(1000), 상기 진동 모듈(1000)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20)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효율적인 진동 전달을 위해 음향 압력을 기초로 발생되는 진동을 제공할 수 있는 진동 모듈(1000) 및 상기 진동 모듈(1000)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20)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음향 압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에 적절한 무게를 갖는 프로브(1210)를 연결시킴으로써 프로브(1210)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고, 진동 모듈(10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진동 모듈(1000)과 연결된 진동 전달부(200)를 통해 인체에 간접적으로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음파의 파동을 몸 속으로 부드럽고 깊게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모듈(1000)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20)은 자연스럽고 편안한 느낌의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음파 진동이란, 공기나 물과 같은 매질이 발음체의 진동을 받아서 발생되는 파동을 말한다. 즉, 음파 진동은 음향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의미한다. 이때, 음향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은 소리(sound)가 액체, 기체 또는 고체를 매질로 하여 전달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의미할 수도 있고, 소리(sound)를 발생시키는 기계적 구조(예를 들면, 콘지댐퍼, 판스프링, 탄성 부재 등)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기계적 구조 자체의 진동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에 적용되는 주파수 범위는 인체에 안전하고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가청주파수 대역을 활용할 수 있다. 즉, 20Hz 이하 범위를 초저주파(Infrasound), 20Hz~20KHz 범위를 가청주파수(Acoustic), 20KHz 이상을 고주파(Ultrasound)로 정의할 때,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가청주파수 대역인 약 20Hz~20KHz 범위의 음파를 음향 진동으로 출력함으로써, 인체에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자극, 마사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에 적용되는 주파수는 80~300Hz 범위일 수 있다. , 일 예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음악을 이용한 힐링 분야에서 선호하는 440Hz (라음)와 옥타브 관계에 있는 주파수, 즉, 440Hz (라음)의 1/4인 110Hz 또는 1/2인 220Hz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음파 진동 기기(100)는 진동 모듈(1000) 및 제어 모듈(2000)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듈(1000)은 후술할 하우징(1170), 브라켓(1150), 자석(1110), 보빈(1120), 코일(1130), 탄성 부재(1140) 및 프로브(1210)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2000)은 상기 진동 모듈(1000)을 제어하는 것으로, 입력부(2300), 출력부(2400), 통신부(2200) 및 제어부(210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주파수를 갖는 음원 소스의 입력 및 해당 음원 소스의 진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진동 모듈(10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각 실시예들에 기재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진동 모듈(1000)의 실시예들로 명시된 사항 외에, 이하에서 설명될 여러가지 구성을 조합한 실시예들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 기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음파 진동 발생부(1100) 및 음파 진동 증폭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음파 진동 발생부(1100)는 자석(1110), 보빈(1120), 코일(1130) 및 탄성 부재(1140)를 포함할 수 있고,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음파 진동 증폭부(1200)는 프로브(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음파 진동 발생부(1100) 및 음파 진동 증폭부(1200)의 각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자석(1110)을 포함한다.
자석(1110)은 후술할 하우징(1170) 또는 하부 브라켓(1150a)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우징(117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자석(1110)은 코일(1130)을 둘러싸는 외자형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자석(1110)은 후술할 코일(1130)과 상호 작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진동 모듈(1000)은 코일(1130)에 흐르는 전류와 자석(11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도되는 힘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이때, 자석(1110)이 하우징(1170)의 내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우징(1170) 내부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자석(1110)과 하우징(1170)의 내면 사이의 공간은 자석(11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석(1110)은 N극 및 S극의 자극면을 가지며, 자석(1110)의 S극이 하우징(1170)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자석(1110)이 하우징(1170) 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자석(1110)은 자석(1110)의 N극이 하우징(1170)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우징(117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석(1110)의 형상은 하우징(117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석(1110)의 형상은 하우징(1170) 내에 구비된 고정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자석(1110)의 형상은 원기둥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자석(1110)은 지름 25mm, 두께 20T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도 2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자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자석(1110) 밑면에 실리콘 패드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석(1110)의 밑면이 접촉되는 커버를 통해 자력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자석(1110)은 네오디움 자석 등과 같은 강자성체의 영구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보빈(1120)을 포함한다.
보빈(1120)은 후술할 코일(1130)을 감기 위한 것으로서, 자석(1110)과 코일(1130)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자기력이 발생되는 경우, 자기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1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하우징(117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빈(1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하우징(1170) 내에 배치되되, 하우징(1170)의 내면과 자석(1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보빈(1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하우징(1170)의 내면 및 자석(1110)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자석(1110)과 코일(1130)의 상호 작용에 따라 보빈(1120)이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보빈(1120)이 하우징(1170) 및 자석(1110)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보빈(1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하우징(1170)의 내면 및 자석(1110)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보빈(1120)은 상기 자석(1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빈(112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본체부(1121)와 상기 본체부(11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면(1122) 및 상기 본체부(112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면(1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21)의 내부 공간에는 상술한 자석(1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자석(1110) 두께의 1/4 영역이 보빈(1120) 본체부(112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21)의 내부 공간은 자석(1110)이 본체부(1121)의 내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체부(1121)의 내부 공간의 반경은 자석(1110)의 반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21)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후술할 코일(113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체부(1121)의 외주면을 따라 코일(1130)이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체부(1121)의 측면 모든 영역에 코일(1130)이 권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체부(1121)의 측면에 코일(1130)이 적어도 1회 이상 중첩적으로 겹겹이 설치될 수 있다. 결국, 코일(1130)이 전류를 공급받은 후 자석(111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하 진동을 하는 경우, 보빈(1120) 또한 코일(1130)과 함께 상하 진동이 일어날 수 있다.
한편, 보빈(1120)의 상부면(1122)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되어 있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보빈(1120)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개구부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개구부는 결합홀(1124) 또는 방열홀(1125)일 수 있다.
상기 결합홀(1124)은 보빈(1120)의 상부면(112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프로브(1210)는 보빈(1120)의 상부면(1122)에 형성된 결합홀(1124)을 통해 보빈(112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프로브(1210)가 상부면(11122)의 결합홀(1124)을 통해 보빈(1120)과 결합하는 방식은 나사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진동 모듈(1000)의 진동에 따라 인체 자극 시 진동 모듈(1000)에 발생할 수 있는 편심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결합홀(1124)은 보빈(1120)의 상부면(1122) 중앙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방열홀(1125)은 보빈(1120)의 상부면(1122)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홀(1125)은 상기 결합홀(1124)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보빈(1120)의 상부면(112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홀(1125)이 형성됨으로써, 코일(1130)에서 발생되는 열은 방열홀(1125)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고, 진동 시 발생되는 소음 또한 줄어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 모듈(1000)이 연속적으로 가동되는 경우 코일(1130) 주변 영역에서 많은 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진동 모듈(1000)의 사용 시 불쾌감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거나 진동 모듈(1000)의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결국, 보빈(1120)에 설치되어 있는 방열홀(1125)을 통해 코일(1130) 주변 영역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출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보빈(1120)의 상부면(1122)의 외경은 본체부(1121)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면(1122)의 반경이 본체부(1121)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면(1122)은 본체부(1121)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면(1122)의 외곽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본체부(11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부면(1122)의 외곽 영역 중 본체부(11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정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1130) 두께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부(1121)의 측면에 설치된 코일(1130)이 진동 모듈(1000)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상부면(1122)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을 정도로, 상부면(1122)의 외곽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본체부(11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빈(1120)의 하부면(1123)은 본체부(1121)의 하측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보빈(1120)의 하부면(1123)은 본체부(1121)의 하측 영역의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빈(1120)의 하부면(1123)의 돌출 정도는 상부면(1122)이 본체부(1121)의 외측으로 돌출된 정도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121)의 측면에 설치된 코일(1130)은 상부면(1122) 및 하부면(1123)의 돌출 부분에 의해 가이드되어 진동 모듈(1000)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코일(1130)을 포함한다.
코일(1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빈(1120)의 본체부(1121)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코일(113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130)은 자석(1110)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하로 진동할 수 있다. 이때,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세기를 크게 하기 위해 코일(1130)의 두께가 굵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코일(1130)을 보빈(1120)에 여러 번 반복하여 감아서 설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코일(1130)은 보빈(1120)의 본체부(1121)의 측면 모든 영역에 2겹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1130)은 상부면(1122) 및 하부면(1123)의 돌출 부분에 의해 가이드되어 진동 모듈(1000)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탄성 부재(1140)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1140)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부와(bp) 상기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댐퍼(d)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140)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부(bp)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140)의 몸체부(bp)의 형상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몸체부(bp)의 형상은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지는 곡선형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탄성 부재(1140)의 몸체부(bp)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빈(1120)의 상부면(1122)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140)는 보빈(1120)의 상부면(1122)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1140)의 몸체부(bp)는 보빈(1120)의 상부면(112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몸체부(bp)에는 보빈(1120)의 상부면(1122)과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결합홀을 구비할 수 있는데, 탄성 부재(1140)는 상기 복수의 결합홀을 통해 보빈(1120)의 상부면(1122)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방법은 나사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탄성 부재(1140)의 몸체부(bp)는 프로브(1210)와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몸체부(bp)의 중앙에 프로브(1210)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홀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몸체부(bp)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을 통해 탄성 부재(1140)는 프로브(1210)와 나사 결합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몸체부(bp)의 중앙에 형성된 자성체에 의해 프로브(1210)가 몸체부(bp)와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1140)는 코일(1130)과 자석(1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프로브(1210)에 전달할 수 있다.
탄성 부재(1140)는 상기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댐퍼(d)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d)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부재(1140)의 댐퍼(d)는 몸체부(bp)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bp)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몸체부(bp)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댐퍼(d)는 곡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d)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선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댐퍼(d)는 몸체부(bp)의 방사상으로 곡선 형상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댐퍼(d)는 적어도 2개 이상 몸체부(bp)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댐퍼(d)는 U자 또는 S자로 형성될 수 있다.
댐퍼(d)는 하부 브라켓(1150a) 또는 하우징(117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댐퍼(d)는 끝단에 고정부(114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1145) 통해 하부 브라켓(1150a) 또는 하우징(117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145)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동 모듈(10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d)는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170)의 상부 또는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에 결합돌기(1151a)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결합돌기는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140)는 고정부(1145)의 결합홀 및 상기 결합돌기(1151a)의 결합홀을 통해 하우징(1170)의 상부 또는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방법은 나사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고정부(1145)는 하우징(1170)의 또는 하부 브라켓(1150a)에 접착 결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하우징(1170)의 내부 또는 하부 브라켓(1150a)에 내부에는 댐퍼(d)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1145)와 상기 결합부가 끼워 맞춤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댐퍼(d)와 상기 결합부를 고정 설치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댐퍼(d)와 상기 결합부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탄성 부재(114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에는 코일(1130)에 전류가 인가된 후 코일(1130)과 자석(1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도되는 힘에 따라 탄성 부재(1140)에서 탄성력이 발생되면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탄성 부재(1140)는 코일(1130)에 흐르는 전류와 자석(11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도되는 힘에 따라 수직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14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음원에 대응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1140)의 몸체부(bp)가 보빈(1120)과 결합함으로써, 코일(1130)과 자석(1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도되는 힘에 따라 보빈(1120)이 상하로 운동하는 경우 탄성 부재(1140) 또한 상하로 운동 가능하며, 탄성 부재(1140)의 댐퍼(d)가 하부 브라켓(1150a)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하 운동이 일정한 진폭을 가지며 진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국, 탄성 부재(1140)의 몸체부(bp)가 보빈(1120)의 상부면(1122)과 결합함으로써, 보빈(1120)이 코일(1130)과 자석(1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 탄성 부재(1140)의 댐퍼(d)가 고정되고 탄성 부재(1140)의 몸체부(bp)가 보빈(1120)과 결합됨에 따라, 탄성 부재(1140)에서 상기 보빈(1120)의 움직임에 따른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다. 탄성력의 발생에 의해 탄성 부재(1140)는 보빈(1120)과 함께 진동 운동을 할 수 있다.
탄성 부재(1140)의 댐퍼(d)는 보빈(1120)이 일정 범위내에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댐퍼(d)는 코일(1130)에 전류가 인가된 후 코일(1130)과 자석(1110)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힘에 의해 보빈(1120)이 상하로 운동하는 경우, 일정 범위내에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댐퍼(d)는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시 코일(1130), 보빈(1120) 또는 프로브(1210)가 소정의 진폭을 가지며 진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일(1130)과 자석(1110)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향으로 힘이 발생되는 경우, 보빈(1120)이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댐퍼(d)는 보빈(1120)이 계속 상향으로 이동하여 진동 모듈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보빈(1120)을 가이드해줄 수 있다.
탄성 부재(1140)는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시 보빈(1120)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140)는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시 보빈(1120)에 틸팅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 모듈(1000)이 마사지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외부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진동 모듈(1000)에 편심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탄성 부재(1140)가 하부 브라켓(1150a) 및 보빈(1120)과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편심 문제를 최소화해 줄 수 있다.
탄성 부재(1140)의 몸체부(bp)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홀은 상기 복수의 결합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bp)에 형성되는 방열홀은 상술한 보빈(1120)의 상부면(1122)에 형성되어 있는 방열홀(1125)의 위치, 크기 및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1140)에 형성되는 방열홀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는 상술한 보빈(1120)의 상부면(1122)에 형성된 방열홀(1125)의 기능, 작용 및 효과와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탄성 부재(1140)의 댐퍼(d)가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댐퍼(d)들의 배치 간격이 일정한 경우, 복수개의 댐퍼(d)들 각각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이 중앙부에 동일한 크기로 인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탄성 부재(1140)는 복수의 댐퍼(d)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140)가 복수의 댐퍼(d)를 구비하고, 복수의 댐퍼(d)들의 배치 간격이 일정한 경우, 복수개의 댐퍼(d)들 각각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이 중앙부에 동일한 크기로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브(1210)가 탄성 부재(1140)의 중앙부에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댐퍼(d)들 각각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한 편심이 방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복수의 탄성 부재(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진동 모듈(1000)에 상술한 탄성 부재(1140)를 2개 이상 배치함으로써 탄성력을 더욱 증가시켜 강한 진동을 유도할 수 있고, 동시에 강한 진동에도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프로브(121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1210)는 헤드부(1211) 및 결합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1210)의 헤드부(1211)는 소정의 무게를 가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헤드부(1211)는 진동 모듈(1000)의 진동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일정한 무게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 모듈(1000)에서 같은 크기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경우, 코일(1130)과 자석(1110)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이 동일하더라도, 적절한 무게를 갖는 프로브(1210)가 탄성 부재(1140)에 결합될 때 탄성 부재(11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크기는 상기 프로브(1210)가 탄성 부재(1140)에 결합되지 않을 때 탄성 부재(11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1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크기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일정 무게를 가지는 프로브(1210)가 탄성 부재(1140)에 결합됨으로써, 진동 모듈(1000)의 진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프로브(1210)의 헤드부(1211)는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헤드부(1211)는 인체와 접촉하지 않으며, 진동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역할만 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1210)의 결합부(1212)는 보빈(1120) 및 탄성 부재(114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브(1210)의 결합부(12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빈(1120)의 상부면(1122)에 형성된 결합홀(1124) 및 탄성 부재(1140)의 몸체부(bp)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을 통해 보빈(1120) 및 탄성 부재(114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브(1210)는 보빈(1120) 및 탄성 부재(1140)와의 결합을 통해 코일(1130)과 자석(1110)의 상호 작용에 따라 발생되는 힘에 의해 보빈(1120)과 탄성 부재(1140)와 함께 상하 진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보빈(1120)과 탄성 부재(1140)의 배치 방법 또는 연결방법에 따라, 프로브(1210)의 결합부(1212)는 보빈(1120)에만 결합될 수도 있고, 탄성 부재(1140)에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브(1210)의 결합부(1212)가 보빈(1120) 및 탄성 부재(1140)와 결합하는 방법은 나사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프로브(1210)의 결합부(1212)는 보빈(1120) 및 탄성 부재(114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볼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의 헤드부 형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브(1210)의 헤드부(1211)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부(1211)가 인체와 접촉하는 경우, 헤드부(1211)는 인체를 마사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헤드부(1211)가 특정 부위를 집중적으로 자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끝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헤드부(1211)가 얼굴 등의 부위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마사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끝단이 넓은 면적을 가지는 편평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헤드부(1211)가 두피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헤드부(1211)는 복수개의 와이어가 방사상으로 퍼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술한 헤드부(1211)의 형상 외에도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1211)의 형상은 다양한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기 알려진 다양한 헤드부(1211)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 기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음파 진동 발생부(1100), 음파 진동 증폭부(1200) 및 하우징(1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음파 진동 발생부(1100)는 자석(1110), 상부판(1160), 코일(1130), 보빈(1120), 하부 브라켓(1150a) 및 탄성 부재(1140)를 포함할 수 있고,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음파 진동 증폭부(1200)는 프로브(1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자석(1110), 보빈(1120), 코일(1130), 탄성 부재(1140) 및 프로브(12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자석(1110), 보빈(1120), 코일(1130), 탄성 부재(1140) 및 프로브(1210)와 각각 서로 대응되는 구성이며, 그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구성요소인 하부 브라켓(1150a), 상부판(1160) 및 하우징(117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하부 브라켓(1150a)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브라켓(1150a)은 상술한 탄성 부재(1140)와 결합할 수 있는 상부면과 후술할 하우징(1170)과 결합할 수 있는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결합 돌기(1151a)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결합 돌기(1151a)는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 돌기(1151a)에는 후술할 탄성 부재(114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결합 돌기(1151a)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홀은 하부 브라켓(1150a)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 돌기(1151a)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홀은 후술할 하우징(117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결합홀(1171)과 대응하는 위치, 개수, 크기 또는 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결합 돌기(1151a)는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 중에서 하우징(1170)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홀(1171)의 위치와 대응하는 곳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브라켓(1150a)의 복수의 결합 돌기(1151a)에 구비된 결합홀은 하우징(1170)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1171)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이 탄성 부재(1140)와 결합하는 방법과 하부 브라켓(1150a)의 하부면이 하우징(1170)과 결합하는 방법은 나사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이 탄성 부재(1140)와 결합하는 방법과 하부 브라켓(1150a)의 하부면이 하우징(1170)과 결합하는 방법은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시 내구성 확보 및 진동력이 유지될 수 있는 결합 방법일 수 있다. 또한, 하부 브라켓(1150a)은 실리콘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와셔는 하부 브라켓(1150a)의 하부면 또는 결합 돌기(1151a)에 구비될 수 있고, 완충 작용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 돌기(1151a)는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돌출 높이는 진동 모듈(1000)의 작동에 따라 탄성 부재(1140)가 진동하는 경우 탄성 부재(1140)의 최대 진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결합 돌기(1151a)는 진동 모듈(1000)의 작동에 따라 탄성 부재(1140)가 진동할 때 탄성 부재(1140)와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결합 돌기(1151a)의 돌출 높이는 탄성 부재(1140)의 최대 진폭 이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탄성 부재(1140)의 최대 진폭이 3mm이면 복수의 결합 돌기(1151a)의 돌출 높이는 3mm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결합 돌기(1151a)의 돌출 높이는 진동 모듈(1000)의 최대 진동 진폭과 하우징(1170)의 내부 깊이, 하부 브라켓(1150a)의 높이 및 보빈(1120)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결합 돌기(1151a)의 돌출 높이는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시 보빈(1120)이 하우징(1170)에 닿지 않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상부판(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160)은 자석(111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고, 보빈(1120)의 하부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석(1110)의 상부면에 상부판(1160)이 구비됨으로써, 상부판(1160)은 자석(1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코일(1130)에 집중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부판(1160)은 자석(1110)의 N극에서 S극으로 자기장이 형성되는 경우,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로가 코일(1130)에 보다 집중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석(1110)의 상부면에 상부판(1160)이 구비됨으로써, 자석(1110)의 상부면에 상부판(1160)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자기장이 자석(1110)의 상부면에서 보빈(1120)을 향하는 방향 보다 코일(11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욱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상부판(1160)이 구비됨으로써 자석(1110)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의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상부판(1160)은 자석(1110)의 상부면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판(1160)은 자석(1110)의 상부면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부판(1160)은 자석(1110)의 상부면과 형상은 동일하되 일정 비율로 크기가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부판(1160)은 자석(1110)의 상부면을 모두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170)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공간은 상술한 자석(1110), 보빈(1120), 코일(1130)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7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70)의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7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는 자석(111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내부 공간의 바닥면의 중심점과 자석(1110)의 바닥면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하우징(117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자석(11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7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는 자석(111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은 자석(111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자석(1110)이 삽입 배치된 후 진동 모듈(1000)의 진동에 의해 자석(1110)이 고정홈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는 정도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홈은 자석(1110)이 고정홈에 강하게 결합하여 진동 모듈(1000)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홈은 고정홈에 고정된 자석(1110)의 외주면이 하우징(1170)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자석(1110)과 코일(113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70)의 상부면에는 상술한 하부 브라켓(1150a)이 장착될 수 있는 복수의 결합홀(117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브라켓(1150a)은 나사 결합을 통해 하우징(1170)의 상부면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알려진 다양한 결합 방법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하우징(1170)은 몸체부(1172) 및 결합부(117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하우징(1170)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1172) 및 상기 몸체부(1172)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117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70)의 몸체부(1172)는 상술한바와 같이 자석(1110), 보빈(1120), 코일(1130)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하우징(1170)의 몸체부(1172)는 전선 통과 홀(11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 홀(1174)은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 홀(1174)은 코일(11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코일(1130)과 연결되는 전선이 하우징(1170)의 하부면 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170)의 결합부(1173)는 적어도 하나 이상 몸체부(1172)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70)의 결합부(117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117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1175)은 후술할 진동 전달부(200)와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1170)의 결합부(1173)와 진동 전달부(200)의 결합과 관련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170)의 몸체부(1172)는 상술한 브라켓(1150)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11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76)은 원기둥 형상으로 브라켓(1150)과 나사 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우징(1170)의 하부면은 기판 예컨대, PCB가 설치될 수 있는 고정홈(117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 기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음파 진동 발생부(1100), 음파 진동 증폭부(1200) 및 하우징(1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음파 진동 발생부(1100)는 자석(1110), 상부판(1160), 코일(1130), 보빈(1120), 상부 브라켓(1150b), 하부 브라켓(1150a) 및 탄성 부재(1140)를 포함할 수 있고, 음파 진동 증폭부(1200)는 프로브(1210) 및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하우징(1170)은 상부 하우징(1170b)과 하부 하우징(1170a)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자석(1110), 상부판(1160), 보빈(1120), 코일(1130), 하부 브라켓(1150a), 탄성 부재(1140) 및 프로브(121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자석(1110), 상부판(1160), 보빈(1120), 코일(1130), 하부 브라켓(1150a), 탄성 부재(1140) 및 프로브(1210)와 각각 서로 대응되는 구성이며, 그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구성요소인 상부 브라켓(1150b), 연결부재 및 하우징(117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 브라켓(115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1150b)은 상술한 프로브(121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면(1152b) 및 탄성 부재(1140) 및 하부 브라켓(1150a)과 결합할 수 있는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1150b)이 탄성 부재(1140)를 커버할 수 있음에 따라, 탄성 부재(1140)는 직접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탄성 부재(114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음에 따라, 탄성 부재(1140)는 외부의 개입 없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1150b)의 상부면(1152b)의 형상은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의 형상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부 브라켓(1150b)은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1150b)의 상부면(1152b)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되어 있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부 브라켓(1150b)의 상부면(1152b)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개구부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개구부는 삽입홀(1154b) 또는 방열홀(1153b) 일 수 있다.
상기 삽입홀(1154b)은 상부 브라켓(1150b)의 상부면(1152b)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연결 부재(1180)는 상부 브라켓(1150b)의 상부면(1152b)에 형성된 삽입홀(1154b)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진동 모듈(1000)의 진동에 따라 인체 자극 시 진동 모듈(1000)에 발생할 수 있는 편심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삽입홀(1154b)은 상부 브라켓(1150b)의 상부면(1152b) 중앙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방열홀(1153b)은 상부 브라켓(1150b)의 상부면(1152b)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홀(1153b)은 상기 삽입홀(1154b)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1150b)에 형성된 방열홀(1153b)은 상술한 보빈(1120) 및 탄성 부재(1140)에 형성되어 있는 방열홀의 위치, 크기 및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브라켓(1150b)의 상부면(1152b)에 형성되는 방열홀(1153b)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는 상술한 보빈(1120)의 상부면(1122)에 형성된 방열홀(1125)의 기능, 작용 및 효과와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부 브라켓(1150b)의 하부면에는 탄성 부재(1140) 및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과 결합할 수 있는 돌출부(1151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브라켓(1150b)은 탄성 부재(1140) 및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과 결합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브라켓(1150b)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부(1151b)와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 돌기(1151a)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1150b)은 상부 브라켓(1150b)의 하부면과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 사이에 탄성 부재(1140)가 배치되도록 하부 브라켓(1150a)과 결합할 수 있다. 즉, 상부 브라켓(1150b)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부(1151b)와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 돌기(1151a) 사이에 탄성 부재(1140)의 댐퍼(d) 끝단에 형성된 결합홀이 위치하는 상태로, 상부 브라켓(1150b)은 탄성 부재(1140) 및 하부 브라켓(1150a)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부 브라켓(1150b), 탄성 부재(1140) 및 하부 브라켓(1150a)이 서로 결합하는 방법은 나사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브라켓(1150b)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151b)는 하부 브라켓(1150a)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 돌기(1151a)와 대응하는 위치, 개수, 크기 또는 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연결 부재(1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18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1181)와 상기 몸체부(1181)를 진동 모듈(1000)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1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상부 브라켓(1150b) 및/또는 상부 하우징(1170b)이 더 포함됨에 따라 별도의 부재 없이 프로브(1210)가 탄성 부재(1140) 및 보빈(1120)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프로브(1210)의 결합부(1212)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비해 더욱 길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시 프로브(1210)의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는 바,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상기 프로브(1210)의 결합부(1212)를 수용할 수 있는 연결 부재(1180)를 탄성 부재(1140)와 프로브(121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프로브(1210)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1180)가 상부 브라켓(1150b) 및 상부 하우징(1170b) 사이에 배치함에 따라 상부 브라켓(1150b) 및 상부 하우징(1170b)이 연결 부재(118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프로브(121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연결 부재(1180)는 틸팅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하나의 프로브(1210)가 개시되었지만 프로브(1210)의 형상은 매우 다양할 수 있는 바, 연결 부재(1180)의 몸체부(1181)는 다양한 형상의 프로브(12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프로브(1210)와 호환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1180)의 몸체부(1181)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술한 프로브(1210)의 결합부(1212)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몸체부(118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 부재(1180)의 몸체부(1181)의 크기 및 형상은 상술한 상부 브라켓(1150b)의 상부면(1152b)에 형성된 삽입홀(1154b)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 부재(1180)의 결합부(1182)는 상술한 탄성 부재(1140) 및 보빈(1120)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볼트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연결 부재(1180)는 연결 부재(1180)의 결합부(1182)를 통해 탄성 부재(1140) 및 보빈(1120)과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1180)는 연결 부재(1180)의 결합부(1182)를 통해 탄성 부재(1140)의 몸체부(bp)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 및 보빈(1120)의 상부면(1122)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1124)과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브(1210)의 결합부(1212)가 연결 부재(1180)의 몸체부(1181)와 결합하고, 연결 부재(1180)의 몸체부(1181)가 상부 브라켓(1150b)의 삽입홀(1154b)에 삽입 배치된 후, 연결 부재(1180)의 결합부(1182)가 탄성 부재(1140) 및 보빈(1120)과 결합함으로써, 진동 모듈(1000)의 작동 시 탄성 부재(1140) 및 보빈(1120)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면, 연결 부재(1180)는 탄성 부재(1140) 및 보빈(1120)의 상하 방향 진동을 프로브(1210)에 전달해줄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브(1210) 또는 연결 부재(1180)는 보빈(1120)과는 결합되지 않고, 탄성 부재(1140)에만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로브(1210) 또는 연결부재(1180)는 탄성 부재(1140)에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은 하우징(117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117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부 하우징(1170a)과,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상부 하우징(117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1170a)은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000)의 하우징(1170)과 대응되는 구성이며, 그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부 하우징(1170b)은 진동 모듈(1000)의 최상측에 위치하고, 연결 부재(1180), 상부 하우징(1150b), 탄성 부재(1140)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상부 하우징(1170b)내에 수용되는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하우징(1170b)은 외부에서 진동 모듈(100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부 하우징(1170b)내에 수용되는 부품들의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1170b)은 내부 공간에 연결 부재(1180)를 수용함과 동시에 연결 부재(1180)를 고정시킴으로써 진동 모듈(1000)의 진동에 따른 프로브(1210) 및/또는 연결 부재(1180)의 틸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170b)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부 하우징(1170b)은 상기 내부 공간은 상술한 하부 브라켓(1150a), 보빈(1120), 탄성 부재(1140), 상부 브라켓(1150b) 및 연결 부재(1180)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70b)의 상부면(1172b)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되어 있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부 하우징(1170b)의 상부면(1172b)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개구부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개구부는 삽입홀(1174b) 또는 방열홀(1173b) 일 수 있다.
상기 삽입홀(1174b)은 상부 하우징(1170b)의 상부면(1172b)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연결 부재(1180)는 상부 하우징(1170b)의 상부면(1172b)에 형성된 삽입홀(1174b)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진동 모듈(1000)의 진동에 따라 인체 자극 시 진동 모듈(1000)에 발생할 수 있는 편심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삽입홀(1174b)은 상부 하우징(1170b)의 상부면(1172b) 중앙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방열홀(1173b)은 상부 하우징(1170b)의 상부면(1172b)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홀(1173b)은 상기 삽입홀(1174b)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70b)에 형성된 방열홀(1173b)은 상술한 보빈(1120) 및 탄성 부재(1140)에 형성되어 있는 방열홀의 위치, 크기 및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하우징(1170b)의 상부면(1172b)에 형성되는 방열홀(1173b)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는 상술한 보빈(1120)의 상부면(1122)에 형성된 방열홀(1125)의 기능, 작용 및 효과와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부 하우징(1170b)은 하부 하우징(1170a)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즉, 상부 하우징(1170b)과 하부 하우징(1170a)은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석(1110), 상부판(1160) 및 하우징(1170)의 중앙 영역은 적어도 일부 이상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자석(1110), 상부판(1160) 및 하우징(1170)의 중앙 영역에는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홀은 연결 샤프트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 샤프트는 원형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 샤프트는 탄성 부재(1140), 보빈(1120), 상부판(1160), 자석(1110) 및 하우징(117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샤프트는 탄성 부재(1140)에 고정되어 양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브(1210)는 음파 진동 발생부(1100)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될 수 있고, 연결 샤프트와 결합하여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시 양방향으로 인체에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 기기(100)의 제어 모듈은 제어부(2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0)는 진동 모듈 및 출력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0)는 입력부(2300), 통신부(2200) 및 출력부(24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0)는 다양한 실시예의 형태로서 음파 진동 기기(100)의 통신부(2200)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0)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데이터는 음파 진동 기기(100)의 통신부(2200)에 송신될 수 있고, 서버로부터 음파 진동 기기(100)가 수신 받은 데이터는 통신부(2200)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 기기(100)는 통신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0)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200)는 사용자 디바이스, 리모콘 또는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200)는 3G, 4G, LTE 등의 무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2200)는 블루투스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UWB(ultra videband) 모듈 또는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 기기(100)는 입력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300)는 음파 진동 기기(100)의 사용자로부터 음파 진동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 받는 구성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데이터는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음원 소스이거나 상기 음원 소스의 세기에 관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300)에서 입력 받는 데이터는 그 외의 다양한 정보일 수 있으며, 예컨대 마사지 모드 등에 관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 기기(100)는 미디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출력부는 음파 진동 기기(100)의 사용자에게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등의 모듈을 지칭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디어 출력부는 입력부(2300)를 통해 입력된 음원 소스의 특정 주파수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미디어 출력부는 입력부(2300)를 통해 입력된 음원 소스의 세기의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 기기(100)는 음원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원 출력부는 음파 진동 기기(100)의 사용자에게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음원 소스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시적으로, 음원 출력부는 상기 음원 소스를 진동 모듈(1000)을 통해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음원 출력부는 상기 음원 소스를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0)가 수행하는 일련의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2100)는 입력부(2300)를 통해 입력된 음원 소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110), 상기 음원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130)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음파 진동 발생부에 인가하는 단계(S2150)를 수행할 수 있다.
음원 소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110)는 제어부(2100)가 음파 진동 기기(100)의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음원 소스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0)가 외부 기기(예를 들어, 모바일, 음원 서버 등)로부터 통신부(2200)를 통해 음원 소스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음파 진동 기기(100)의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원 소스 데이터를 로드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음원 소스 데이터는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음파의 주파수 정보 및/또는 음파의 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소스 데이터는 디지털 형식의 디지털 음원 및 아날로그 형식의 아날로그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원 소스 데이터는 출력부(2400)에서 출력되거나 진동 모듈(1000)에서 진동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파수 정보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음원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130)는 제어부(2100)가 획득된 음원 소스 데이터의 주파수 및/또는 세기를 조절한 후, 조절된 음원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100)는 음원 소스 데이터의 주파수 및/또는 세기를 조절하지 않고 음원 소스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 신호를 음파 진동 발생부(1100)에 인가하는 단계(S2150)에서, 제어부(2100)는 특정 주파수 및 세기를 가지는 제어 신호가 출력부(2400) 및/또는 진동 모듈(100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출력부(2400) 및/또는 진동 모듈(1000)에 상기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400)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진동 모듈(1000)에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어부(2100)가 진동모듈(100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할 경우, 상기 제어 신호는 전기적 신호일 수 있고, 제어부(2100)는 상기 제어 신호를 코일(1130)에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0)는 제어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여 음파 진동 발생부(1100)에서 발생되는 진동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0)는 세기가 조절된 제어 신호를 음파 진동 발생부(1100)에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원 소스 데이터의 주파수 종류 및 세기의 정도를 미디어 출력부가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주파수 및 세기를 가지는 음원 소스 데이터가 출력부를 통해 스피커 등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원 소스 데이터가 음파 진동 발생부(1100)를 통해 진동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2100)는 하나의 음원 소스 데이터가 진동 모듈(1000) 및 출력부(2400)에서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진동 모듈(1000) 및 출력부(2400)에서 서로 다른 음원 소스 데이터가 동시에 출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14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탄성부재(1140)는 진동 모듈(1000)에서 진동에 관여하는 주요 구성 중 하나로, 탄성부재(1140)의 크기, 형태 및 재질 등에 따라 진동 모듈(1000)의 진동 효율 또는 안정성 내지 내구성 등이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 이 때, 진동 모듈(1000)의 진동 효율과 내구성은 서로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어, 이들의 균형까지 조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1140)에 대한 보다 정교하고 세밀한 설계가 요구된다.
탄성부재(1140)는 탄성력이나 복원력을 가지는 물체 또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140)는 강 스프링(steel spring) 또는 고무 스프링(rubber spr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140)는 인장되거나 수축되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 평판한 형태로 다수의 댐퍼(damper)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스프링(plate spring) 또는 다이어프램 스프링(diaphrag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140)는 다양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140)는 탄소(C), 규소(Si), 베릴륨(Be), 크롬(Cr), 인(P), 황(S), 망간(Mn) 및 니켈(Ni) 등의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140)는 포함하는 성분에 따라 무게, 질량, 탄성계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항복강도(yield strength) 등의 물리적 성질이 특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부재(1140)는 평판형 스프링으로, 탄성부재(1140)의 몸체부가 플레이트이고 탄성부재(1140)의 탄성부가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는 댐퍼(d)인 경우를 주로 서술하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부재(1140)가 평판형 스프링 외에 상술한 다른 종류의 스프링, 나아가서 탄성력을 가지는 물체인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1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140)는 몸체부(bp) 및 적어도 하나의 댐퍼(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140)는 몸체부(bp)와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댐퍼(d)를 포함하며, 몸체부(bp) 및 댐퍼(d)는 아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몸체부(bp) 및 댐퍼(d)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듈(1000)이 구동됨에 따라 보빈(1120)은 위치 이동하여 보빈(1120)과 연결된 몸체부(bp)는 중심축(CA)을 기준으로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며, 이 때 댐퍼(d)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하여 몸체부(bp)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몸체부(bp)는 연결된 보빈(1120)에 상기 탄성력을 전달하여 결과적으로 보빈(1120)이 상하로 진동할 수 있다.
몸체부(bp)는 진동 증폭부(1200)와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증폭부(1200)는 몸체부(bp)의 일면에 중심축(CA)을 따라 또는 중심축(CA)과 평행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은 나사 결합, 억지끼움 결합, 자석 결합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고, 상술한 결합을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bp)는 중심부에 중앙홀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bp)는 보빈(1120)과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1120)은 몸체부(bp)의 타면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빈(1120) 및 몸체부(bp)는 나사 결합, 억지끼움 결합, 자석 결합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을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bp)는 중심축(CA)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몸체부 결합홀(bch)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대칭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몸체부 결합홀(bch)을 통해 몸체부(bp)는 보빈(1120)과 면접촉할 수 있고, 이로써 탄성부재(1140)의 진동에 따른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bp)는 보빈(1120) 및 진동 증폭부(120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보빈(1120) 및 진동 증폭부(1200)의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증폭부(1200)는 직접 또는 연결 부재(1180)를 통해 보빈(1120)과 결합하고 그 사이에 탄성 부재(1140)가 배치됨으로써 진동 증폭부(1200) 및 보빈(1120)의 가압에 의해 탄성부재(1140), 진동 증폭부(1200) 및 보빈(112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bp)는 몸체부 방열홀(bdh)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bp)는 진동 모듈(1000)이 구동됨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중심축(CA)을 기준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몸체부 방열홀(bdh)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 모듈(1000)에서 내부 저항에 의해 코일(1130)에서 발생하는 열 또는 진동 모듈(1000) 구성들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탄성부재(1140)에 전달될 수 있고, 탄성부재(1140)는 몸체부 방열홀(bdh)을 통해 전달받은 열을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 결합홀(bch) 및 몸체부 방열홀(bdh)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몸체부(b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몸체부 결합홀(bch) 및 몸체부 방열홀(bdh)은 몸체부(bp) 상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여기서, 몸체부 결합홀(bch) 및 몸체부 방열홀(bdh)은 적절한 개수로 몸체부(b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140)의 상술한 물리적 성질을 고려하여 몸체부(bp)는 네 개의 몸체부 결합홀(bch) 및 네 개의 몸체부 방열홀(bdh)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d)는 몸체부(bp)와 브라켓(1150) 또는 하우징(117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댐퍼(d)의 말단은 브라켓(1150) 또는 하우징(117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댐퍼(d)의 말단이 브라켓(1150) 또는 하우징(1170)에 고정됨으로써, 전자기력에 의해 코일(1130) 및 보빈(1120)의 움직임에 따라 댐퍼(d)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보빈(1120)에 결합된 탄성부재(1140)가 고정된 댐퍼(d)의 말단을 중심으로 진동할 수 있다.
댐퍼(d)는 탄성부재(1140)가 진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하중(load)을 견디도록 적절한 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10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140)는 제1 내지 제4 댐퍼(d1, d2, d3, d4)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d)는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댐퍼(d1)는 몸체부(bp)의 제1 지점(pt1)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댐퍼(d2)는 제2 지점(pt2)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 댐퍼(d3)는 몸체부(bp)의 제3 지점(pt3)으로부터 연장되고, 제4 댐퍼(d4)는 몸체부(bp)의 제4 지점(pt4)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댐퍼(d)가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지점(pt)은 탄성부재(1140)의 중심축(CA)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140)가 네 개의 댐퍼(d)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내지 제4 지점(pt1, pt2, pt3, pt4)는 탄성부재(1140)를 4등분하는 가상의 제1 축(a1) 및 제2 축(a2) 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댐퍼(d)는 몸체부(bp)의 외주면을 마주보며 또는 외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댐퍼(d1, d2, d3, d4)는 몸체부(bp)의 외주면을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댐퍼(d1, d2, d3, d4)는 몸체부(bp)로부터 중심축(C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포물선을 그리며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댐퍼(d)는 몸체부(bp)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되, 서로 다른 댐퍼(d)는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댐퍼(d1, d2)가 몸체부(bp)를 4등분하는 가상의 제1 축(a1) 및 제2 축(a2) 상에 위치하는 제1 지점(pt1) 및 제2 지점(pt2)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우, 제1 댐퍼(d1) 및 제2 댐퍼(d2)는 서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댐퍼(d1)는 제1 지점(pt1)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 댐퍼(d1)의 말단이 제2 축(a2)을 넘어가지 않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댐퍼(d2)는 제2 지점(pt1)으로부터 연장되되 제2 댐퍼(d2)의 말단이 제1 축(a1)을 넘어가지지 않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3 댐퍼(d3) 및 제4 댐퍼(d4)에 대해서도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댐퍼(d)는 댐퍼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댐퍼(d1, d2, d3, d4)는 각각 말단에 댐퍼 결합홀을 포함하고, 탄성부재(1140)는 댐퍼 결합홀을 통해 브라켓(1150) 또는 하우징(1170)에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은 억지끼움 결합, 나사 결합, 자석 결합, 압착 결합, 밀착 결합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부재(1140)가 네 개의 댐퍼(d)를 포함하는 경우를 주로 서술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140)는 몸체부(bp)를 2등분하는 가상의 한 축을 기준으로 배치되거나 연장되는 두 개의 댐퍼(d)를 포함하거나, 몸체부(bp)를 3등분하는 가상의 세 축을 기준으로 배치되거나 연장되는 세 개의 댐퍼(d)를 포함하거나, 몸체부(bp)를 5등분하는 가상의 다섯 축을 기준으로 배치되거나 연장되는 다섯 개의 댐퍼(d)를 포함할 수도 있다.한편, 탄성부재(1140)는 몸체부(bp)로부터 댐퍼(d)가 연장되는 길이 및 댐퍼(d)의 폭에 기초하여 탄성 또는 복원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탄성계수 또는 진동 모듈(1000)의 구동 또는 외부 압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정도를 나타내는 안전계수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140)에서 댐퍼(d)가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길수록 탄성력이 증가하여 탄성계수가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댐퍼(d)가 연장되는 길이가 증가할수록 진동 모듈(1000)의 구동으로 인해 탄성부재(1140)가 진동함에 따라 댐퍼(d)가 쉽게 파손될 수 있어 안전계수는 낮아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탄성계수가 증가하면서 안전계수도 증가하도록 특정한 형태로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댐퍼(d)를 포함하는 탄성부재(1140)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별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휘어지는 댐퍼(d)를 포함하는 탄성부재(11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10에서 서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댐퍼(d)는 부분별로 휨 방향이 변경되면서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는, 댐퍼(d)는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되 연장되는 중에 연장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d)는 몸체부(bp)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심축(C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후,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댐퍼(d)의 형상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댐퍼(d)는 몸체부(bp)의 특정 지점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댐퍼(d1, d2, d3, d4)는 몸체부(bp)의 제1 내지 제4 지점(pt1, pt2, pt3, pt4)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댐퍼(d)가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지점(pt)은 앞서 도 10에서 서술한 바와 궤를 같이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댐퍼(d1, d2, d3, d4)가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 지점(pt1, pt2, pt3, pt4)은 몸체부(bp)를 4등분하는 제1 축(a1) 및 제2 축(a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d)는 댐퍼 결합홀(dch)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댐퍼(d1, d2, d3, d4)는 각각 말단에 제1 내지 제4 댐퍼 결합홀(dch1, dch2, dch3, dch4)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 결합홀(dch)은 댐퍼(d)는 댐퍼 결합홀(dch)을 통해 브라켓(1150) 또는 하우징(1170)에 결합될 수 있다.
댐퍼 결합홀(dch)은 몸체부(bp)를 기준으로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댐퍼 결합홀(dch1, dch2, dch3, dch4)은 몸체부(bp) 중심축(CA)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댐퍼 결합홀(dch1, dch2, dch3, dch4)이 몸체부(bp)를 4등분하는 제3 축(a3) 및 제4 축(a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댐퍼 결합홀(dch1) 및 제3 댐퍼 결합홀(dch3)은 제3 축(a3) 상에 배치되고, 제2 댐퍼 결합홀(dch2) 및 제4 댐퍼 결합홀(dch4)은 제4 축(a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댐퍼 결합홀(dch)의 위치에 따라 댐퍼(d)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댐퍼(d)가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지점(pt) 및 댐퍼 결합홀(dch)은 특정 위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댐퍼(d)가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지점(pt) 및 댐퍼 결합홀(dch)은 몸체부(bp)의 중심축(CA)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댐퍼 결합홀(dch1, dch2, dch3, dch4)은 몸체부(bp)의 중심과 제1 내지 제4 지점(pt1, pt2, pt3, pt4)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으로부터 중심축(CA)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가상의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지점(pt1, pt3)이 배치되는 제1 축(a1)과 제1 및 제3 댐퍼 결합홀(dch1, dch3)이 배치되는 제3 축(a3)은 몸체부(bp)의 중심점에서 만나거나 중심축(CA)을 기준으로 소정의 사이각을 가질 수 있고, 제2 및 제4 지점(pt2, pt4)이 배치되는 제2 축(a2)과 제2 및 제4 댐퍼 결합홀(dch2, dch4)이 배치되는 제4 축(a4)은 몸체부(bp)의 중심점에서 만나거나 중심축(CA)을 기준으로 소정의 사이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댐퍼(d)가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지점(pt) 및 댐퍼 결합홀(dch)이 몸체부(bp)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어느 한 댐퍼(d)가 연장되는 지점(pt)과 다른 댐퍼(d) 사이에 공간에 댐퍼 결합홀(dch)이 배치될 수 있고, 이 때 탄성부재(1140)의 전체 크기, 특히 탄성부재(1140) 중 중심축(CA)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가 축소되어 결과적으로 진동 모듈(1000)의 부피의 크기를 줄이거나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댐퍼(d)가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지점(pt) 및 댐퍼 결합홀(dch)은 몸체부(bp) 중심을 기준으로 같은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및 제3 지점(pt1, pt3)이 위치하는 제1 축(a1) 상에 제1 및 제3 댐퍼 결합홀(dch1, dch3)이 위치하고, 제2 및 제4 지점(pt2, pt4)이 위치하는 제2 축(a2) 상에 제2 및 제4 댐퍼 결합홀(dch2, dch4)이 위치할 수 있다.
댐퍼(d)의 길이는 댐퍼 결합홀(dch)의 배치 위치 및 댐퍼(d)가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지점(pt)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d)의 길이는 몸체부(bp)의 지점(pt)에서부터 댐퍼(d)를 따라 댐퍼 결합홀(dch)에 도달하기까지의 길이로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댐퍼(d1)는 제1 지점(pt1)으로부터 중심축(CA)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제1 길이만큼 연장되고 시계 방향으로 제1 댐퍼 결합홀(dc1) 배치 위치까지 제2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고, 이 때, 제1 댐퍼 결합홀(dch1) 배치 위치가 제1 지점(pt1)으로부터 중심축(CA)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있어 제2 길이가 제1 길이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140)의 탄성 효율은 댐퍼(d)의 길이가 길수록 향상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댐퍼(d) 중 내측 부분 보다 외측 부분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더 용이하므로, 상술한 댐퍼 결합홀(dch)의 배치는 탄성부재(1140)의 탄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댐퍼(d)가 댐퍼 결합홀(dch)을 포함하고, 댐퍼 결합홀(dch)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댐퍼(d)는 댐퍼 결합홀(dch)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때, 상술한 내용에서 댐퍼 결합홀(dch)의 배치 위치는 댐퍼(d) 말단의 배치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댐퍼(d)가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도중에 연장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서로 다른 댐퍼(d)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댐퍼(d)가 연장될 수 있는 길이가 증가할 수 있고, 이로써 탄성부재(1140)의 탄성계수가 증가하여 진동 모듈(1000)의 진동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를 참조하여, 탄성부재(1140)에서 댐퍼(d)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파손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d)의 형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진동 모듈(1000)의 진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댐퍼(d)는 내측 부분(di), 외측 부분(do) 및 연결 부분(dc)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d)는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부분(di), 내측 부분(di) 보다 몸체부(bp)의 중심에서 멀리 배치되는 외측 부분(do) 및 내측 부분(di)과 외측 부분(do)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d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댐퍼(d1)는 제1 내측 부분(di1), 제1 연결 부분(dc1) 및 제1 외측 부분(do1)으로 구성되거나 구분되고, 제2 댐퍼(d2)는 제2 내측 부분(di2), 제2 연결 부분(dc2) 및 제2 외측 부분(do2)으로 구성되거나 구분될 수 있다.
댐퍼(d)가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됨에 따라 내측 부분(di)에서 휘어지는 방향 및 연결 부분(dc)에서 휘어지는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여기서, 댐퍼(d)의 연결 부분(dc)은 내측 부분(di)의 휨 방향과 다른 휨 방향으로 연결 부분(dc)의 중심을 기준으로 90° 이상 연장되어 제한된 영역에서 댐퍼(d)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내측 부분(di)은 댐퍼(d) 중 몸체부(bp)의 중심에 가까운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측 부분(di1)은 몸체부(bp)의 제1 지점(pt1)에서 미리 설정된 곡률 반경을 가지고 몸체부(bp)의 외주면을 마주보고 연장되는 제1 댐퍼(d1)의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외측 부분(do)은 댐퍼(d) 중 내측 부분(di) 보다 몸체부(bp)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배치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부분(do1)은 제1 내측 부분(di1) 또는 제1 연결 부분(dc1)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곡률 반경을 가지고 제1 내측 부분(di1)의 외주면을 마주보고 연장되는 제1 댐퍼(d1)의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내측 부분(di) 및 외측 부분(do)은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부분(do)은 내측 부분(di) 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댐퍼(d1)가 몸체부(bp)와 연결되는 제1 지점(pt1) 및 제2 댐퍼(d2)의 제2 연결 부분(dc2)은 몸체부(bp)의 중심축(CA)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사잇각을 가지도록 이격될 수 있고 제1 댐퍼(d1)의 제1 댐퍼 결합홀(dch1) 또는 제1 외측 부분(do1)의 말단이 제1 지점(pt1) 및 제2 연결 부분(dc2)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바, 제1 외측 부분(do1)은 제1 내측 부분(di1) 보다 제1 지점(pt1) 및 제2 연결 부분(dc2)의 사잇각 또는 사이의 영역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1 지점(pt1)으로부터 제1 댐퍼 결합홀(dch1)까지의 거리는 제1 지점(pt1)으로부터 제1 댐퍼(d1)의 제1 연결 부분(dc1)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연결 부분(dc)은 댐퍼(d) 중 내측 부분(di) 및 외측 부분(do)을 연결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분(dc1)은 제1 내측 부분(di1) 및 제1 외측 부분(do1)을 연결하는 제1 댐퍼(d1)의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연결 부분(dc)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분(dc)은 U자 형상, V자 형상 또는 일자 형상 등 내측 부분(di) 및 외측 부분(do)을 연결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분(dc)은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댐퍼(d)의 연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댐퍼(d)가 내측 부분(di), 연결 부분(dc) 및 외측 부분(do)을 포함함에 따라 탄성부재(1140)가 하우징(1170) 또는 브라켓(1150)에 연결될 때 탄성부재(1140)와 연결되는 하우징(1170) 또는 브라켓(1150)의 결합 돌기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음파 진동 기기(100) 구동 시 댐퍼(d) 및 하우징(1170) 또는 댐퍼(d) 및 브라켓(1150) 사이에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 돌기의 반경은 댐퍼 결합홀(dch)의 중심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140)의 제1 댐퍼(d1)가 제1 댐퍼 결합홀(dch1) 및 하우징(1170) 또는 브라켓(1150)의 제1 결합 돌기를 통해 하우징(1170) 또는 브라켓(1150)에 연결되는 경우, 제1 결합 돌기에서 중심으로부터 말단까지의 길이는 제1 댐퍼 결합홀(dch1)의 중심으로부터 제1 댐퍼(d1)와 인접한 제2 댐퍼(d2)의 제2 연결 부분(dc2)까지의 거리 이하에서 설정될 수 있다.
댐퍼(d)는 부분적으로 휘어지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또는, 댐퍼(d)는 부분적으로 구불구불한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댐퍼(d)는 몸체부(bp)의 중심 방향 또는 중심축(CA)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부분 및 오목한 부분을 교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댐퍼(d)는 휘어지는 지점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댐퍼(d)는 부분적으로 곡률 반경이 다를 수 있다. 또는, 댐퍼(d)에서 구체적으로, 댐퍼(d) 중 내측 부분(di), 연결 부분(dc) 및 외측 부분(do) 중 적어도 일부는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내측 부분(di)은 몸체부(bp)에서 연결 부분(dc)으로 연장되면서 휘어지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bp)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부분(di)의 일단과 연결 부분(dc)과 연결되는 내측 부분(di)의 타단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는, 내측 부분(di)은 몸체부(bp)에서 연결 부분(dc)으로 연장되면서 곡률 반경이 변경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외측 부분(do)은 연결 부분(dc)에서 외측 부분(do)의 말단으로 연장되면서 휨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부분(do)은 연결 부분(dc)으로부터 연장되면서 몸체부(bp)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연장되다가 몸체부(bp) 방향으로 오목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외측 부분(do)은 연결 부분(dc)에서 외측 부분(do)의 말단으로 연장되면서 곡률 반경이 변경될 수도 있다.
내측 부분(di) 및 외측 부분(do)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휨 방향이나 곡률 반경이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휨 방향 또는 곡률 반경이 일정한 경우 보다 댐퍼(d)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어 탄성부재(1140)의 탄성계수 또는 탄성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내측 부분(di) 및 외측 부분(do)이 휨 방향이 변경되는 횟수가 많아질 수록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소모비용이 증가하므로, 내측 부분(di) 및 외측 부분(do) 중 어느 한 부분만 부분적으로 휨 방향이 달라지도록 구성하거나 내측 부분(di) 및 외측 부분(do) 각 부분 내에서 휨 방향이 변경되는 횟수를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탄성부재(1140)의 일면을 포함하는 평면을 중심으로 탄성부재(1140)의 댐퍼(d)의 휨 방향에 대해 서술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달리, 댐퍼(d)는 탄성부재(1140)의 위쪽/아래쪽 방향 또는 중심축(CA)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d)의 적어도 일부는 중심축(CA)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휘어졌다가 중심축(CA)과 평행하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휘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부분(di) 및 외측 부분(do)에서 휨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응력이 분산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연결 부분(dc)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으로 연장되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댐퍼(d1)의 제1 연결 부분(dc1)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1 내지 제3 부분(dcp1, dcp2, dcp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부분(dc1)은 제1 내측 부분(di1)으로부터 제1 곡률 반경(r1)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제1 부분(dcp1), 제1 부분(dcp1)으로부터 제2 곡률 반경(r2)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제2 부분(dcp2) 및 제2 부분(dcp2)으로부터 제3 곡률 반경(r3)을 가지면서 연장되고 제1 외측 부분(do1)과 연결되는 제3 부분(dcp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곡률 반경(r1) 및 제3 곡률 반경(r3)은 제2 곡률 반경(r2)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 때, 제1 곡률 반경(r1)은 제3 곡률 반경(r3) 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또 여기서, 제2 부분(dcp2)은 막대형으로 제2 곡률 반경(r2)이 무한대일 수 있다. 또는, 제1 댐퍼(d1)의 제1 연결 부분(dc1)에서 제2 부분(dcp2)은 생략되거나 제1 댐퍼(d1)는 제1 내지 제3 부분(dcp1, dcp2, dcp3) 외에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140)의 댐퍼(d)가 부분별로 휨 방향을 달리하여 연장되거나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탄성부재(1140)에 인가되는 하중(load) 또는 그에 따른 응력(stress)이 분산될 수 있다.
도 13는 탄성부재(1140)의 구조해석에 따른 응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응력은 음파 진동 기기(100)가 동작하여 탄성부재(1140)에 압축, 인장, 굽힘, 비틀림 등의 하중(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그 크기에 대응하여 탄성부재(1140) 내에 생기는 저항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140)에 대한 구조해석 방법으로 폰 미세스 응력(von Mises stress) 또는 등가응력(effective or equivalent stress)을 이용하였으나 그 외의 구조해석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응력이 높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응력이 낮은 부분보다 파손되거나 모양이 변형될 확률이 높을 수 있다.
응력은 탄성부재(1140)가 음파 진동 기기(100) 구동 시 허용되는 허용응력 및 파괴되는 파괴응력을 포함하며, 탄성부재(1140)에 인가되는 외력 또는 발생하는 응력이 허용응력 미만이 되어야 음파 진동 기기(100)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탄성부재(1140)의 댐퍼(d)가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별로 휨 방향을 달리하여 연장되거나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
탄성부재(1140)에서 응력은 몸체부(bp) 보다 댐퍼(d)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140)의 댐퍼(d) 중 연결 부분(dc)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응력이 발생하여 음파 진동 기기(100)의 구동에 따라 연결 부분(dc)의 파손 위험이 높을 수 있다.
댐퍼(d)에서 부분적으로 곡률 반경이 변경되는 경우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13를 참조하면, (a)와 같이 댐퍼(d)의 제1 내지 제3 부분(dcp1, dcp2, dcp3)에서 곡률 반경이 일정한 경우 응력이 밀집되어 분포할 수 있고, (b)와 같이 댐퍼(d)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1 내지 제3 부분(dcp1, dcp2, dcp3)을 포함하는 경우 응력이 분산되어 분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d)의 제2 부분(dcp2)에서 주로 발생하는 응력이 제1 및 제3 부분(dcp1, dcp3)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탄성부재(1140)의 댐퍼(d) 중 대표적으로 제1 댐퍼(d1)에 대해서 주로 서술하였으며, 제2 내지 제4 댐퍼(d2, d3, d4)에 대해서도 같은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댐퍼(d)가 내측 부분(di), 연결 부분(dc) 및 외측 부분(do)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주로 서술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측 부분(di)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 부분(dc)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고, 연결 부분(dc)의 적어도 일부와 외측 부분(do)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댐퍼(d)는 상술한 내측 부분(di), 연결 부분(dc) 및 외측 부분(do) 외에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140)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키면 파괴응력 및 허용응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안전계수가 증가하고, 이로써 음파 진동 기기(100)의 구동에 따른 탄성부재(1140)의 손상 및 변형이 방지되어 탄성부재(114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는 또 다른 탄성부재(1140)의 형태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14 및 도 15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탄성부재(1140)가 포함되는 진동 발생부(1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부(1100)는 복수의 탄성부재(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부(1100)는 제1 탄성부재(1140-1) 및 제2 탄성부재(114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탄성부재(1140-1, 1140-2)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서술한 탄성부재(1140)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140-1) 및 제2 탄성부재(1140-2)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탄성부재(1140-1) 및 제2 탄성부재(1140-2)는 부분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탄성부재(1140-1, 1140-2)는 동일한 몸체부(bp) 및 댐퍼(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탄성부재(1140-1, 1140-2)는 동일한 댐퍼(d)를 포함하되 서로 다른 형상의 몸체부(bp)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탄성부재(1140-1, 114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크기나 두께가 다를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140-1) 및 제2 탄성부재(1140-2)는 서로 면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부재(1140-1) 및 제2 탄성부재(1140-2)는 면 접촉한 상태 또는 중첩된 상태에서 진동 증폭부(1200)를 통해 보빈(11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1 탄성부재(1140-1) 및 제2 탄성부재(1140-2)는 면 접촉한 상태 또는 중첩된 상태에서 나사, 핀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하우징(1170) 또는 브라켓(11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을 위해, 제1 탄성부재(1140-1) 및 제2 탄성부재(1140-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몸체부 결합홀(bch), 댐퍼 결합홀(dch) 및 몸체부 방열홀(bd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탄성부재(1140-2)는 제1 탄성부재(1140-1)의 제1 몸체부 결합홀(bch-1)과 동일한 수직선 상에 배치되는 제2 몸체부 결합홀(bch-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부재(1140-2)는 제1 탄성부재(1140-1)의 제1 댐퍼 결합홀(dch-1)과 동일한 수직선 상에 배치되는 제2 댐퍼 결합홀(dch-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원활한 방열을 위해 제1 및 제2 탄성부재(1140-1, 1140-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몸체부 방열홀(bdh)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탄성부재(1140-2)는 제1 탄성부재(1140-1)의 제1 몸체부 방열홀(bdh-1)과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제2 몸체부 방열홀(bd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140-1) 및 제2 탄성부재(1140-2)의 두께의 합은 특정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부재(1140-1)의 제1 두께(t1) 및 제2 탄성부재(1140-2)의 제2 두께(t2)의 합은 0.5mm 내지 3.0mm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두께(t1) 및 제2 두께(t2)의 합이 상술한 범위 내에 포함됨으로써 같은 두께를 가지는 하나의 탄성부재(1140)와 비교하여 높은 탄성 효율 또는 향상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140-1) 및 제2 탄성부재(1140-2)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부재(1140-1)가 제2 탄성부재(1140-2)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제1 탄성부재(1140-1)의 제1 두께(t1)는 제2 탄성부재(1140-2)의 제2 두께(t2) 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탄성부재(1140-1)가 제2 탄성부재(1140-2)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제1 탄성부재(1140-1)의 제1 두께(t1)는 제2 탄성부재(1140-2)의 제2 두께(t2)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두께(t1) 및 제2 두께(t2)는 각각 0.1mm 내지 2.5mm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제1 두께(t1) 및 제2 두께(t2)의 합, 제1 두께(t1) 및 제2 두께(t2) 각각이 상술한 범위 내에 포함됨으로써 탄성부재(1140)는 음파 진동 기기(100)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80Hz 내지 200Hz) 내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높은 진동 진폭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140-1) 및 제2 탄성부재(1140-2)의 형상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부재(1140-1) 및 제2 탄성부재(1140-2)는 도 11에서 서술된 형상의 탄성부재(1140)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탄성부재(1140-1) 및 제2 탄성부재(1140-2)는 부분별로 다른 결합강도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탄성부재(1140-1, 1140-2)는 제1 탄성부재 몸체부(bp-1) 및 제2 탄성부재 몸체부(bp-2) 사이의 결합 강도는 제1 탄성부재 댐퍼(d-1) 및 제2 탄성부재 댐퍼(d-2) 사이의 결합 강도 보다 크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탄성부재 몸체부(bp-1) 및 제2 탄성부재 몸체부(bp-2)는 제1 탄성부재 댐퍼(d-1) 및 제2 탄성부재 댐퍼(d-2) 사이의 결합 포인트 보다 많은 결합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 몸체부(bp-1) 및 제2 탄성부재 몸체부(bp-2)는 보빈(1120)이 위치 이동함에 따라 진동하는 부분으로, 제1 탄성부재 몸체부(bp-1) 및 제2 탄성부재 몸체부(bp-2) 사이의 결합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진동에 따른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부재 몸체부(bp-1) 및 제2 탄성부재 몸체부(bp-2)는 진동 증폭부(1200)에 의한 결합 외에 각 몸체부(bp)에서 중심축(CA)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몸체부 결합홀(bch)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 댐퍼(d-1) 및 제2 탄성부재 댐퍼(d-2)는 보빈(1120)이 위치 이동함에 따라 진폭을 정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탄성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변형 시, 제1 탄성부재 댐퍼(d-1) 및 제2 탄성부재 댐퍼(d-2)가 강하게 접촉하여 결합되는 경우 상호간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보빈(1120)이 위치 이동할 때, 제1 탄성부재 댐퍼(d-1)의 일부분 및 및 제2 탄성부재 댐퍼(d-2)의 일부분 사이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를 2개를 결합시켰을 때 제1 탄성부재 댐퍼(d-1)의 일부분 및 및 제2 탄성부재 댐퍼(d-2)의 일부분 사이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됨에 따라, 동일한 두께의 하나의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제1 탄성부재 댐퍼(d-1) 및 제2 탄성부재 댐퍼(d-2)에서의 응력이 효율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부재 댐퍼(d-1) 및 제2 탄성부재 댐퍼(d-2)는 하나의 고정단(예를 들어, 댐퍼 결합홀(dch))을 통해서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바와 같이, 탄성부재(1140)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탄성부재(1140)가 각 부분별 적절한 결합 포인트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탄성부재(1140)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제1 탄성부재(1140-1) 및 제2 탄성부재(1140-2)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서술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부재(1140)는 세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술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진동 모듈(1000)에 따라 발생한 진동을 상기 진동 모듈(1000)이 탑재되는 다양한 기구 또는 장치에 효율적으로 전달해줄 수 있는 진동 전달부(200)가 포함된 다양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동 모듈(1000)과 진동 전달부(200)가 구비된 진동 장치(10)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는 진동 모듈(1000), 진동 전달부(200) 및 진동 수용부(S)가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마사지 장치 또는 운동 보조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본원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10),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진동 모듈(1000) 및 제어 모듈(2000)은 도 1을 통해 상술한 진동 모듈(1000) 및 제어 모듈(2000)에 관한 내용과 대응되므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는 진동 모듈(1000), 제어 모듈(2000) 및 진동 전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진동 전달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진동 전달부(200)는 진동 모듈(1000)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진동 모듈(10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진동 모듈(1000)이 탑재된 기구 또는 장치에 효율적으로 전달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진동 모듈(1000)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은 프로브(1210)를 통해 인체에 전달된다. 이때, 프로브(12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는 인체 범위를 진동 전달 범위라고 정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10)는 진동 전달부(200)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전달 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 모듈(10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1130)에 흐르는 전류와 자석(11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도되는 힘에 따라 진동 모듈(1000)은 진동할 수 있는데, 이때 진동 모듈(1000)에 발생하는 진동은 진동 전달부(20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진동 모듈(1000) 뿐만 아니라 진동 전달부(200)도 함께 진동함으로써, 진동 전달부(200)를 포함하는 진동 장치(10)는 진동 전달부(200)를 포함하지 않는 진동 모듈(1000)에 비해 보다 넓은 진동 전달 범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전달 범위는 프로브(1210)와 접촉되어 진동이 주변으로 전달되는 영역, 즉 프로브(1210)의 주변 영역이라고 가정하면, 진동 전달부(200)를 포함하는 진동 장치(10)는 프로브(1210)의 주변 영역만이 아니라, 프로브(12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진동 전달부(200)의 주변 영역까지 진동 전달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한편, 진동 전달부(200)는 진동 모듈(1000)의 하우징(1170)의 적어도 일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되, 진동 모듈(1000)의 프로브(1210)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1210)에 대한 외력의 분산을 유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시 프로브(1210)는 인체와 접촉하면서 마사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프로브(1210)가 인체와 접촉함에 따라 프로브(1210)에는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로브(12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일정 값을 초과하게 되면, 프로브(1210)의 진동 범위에 한계가 생기게 되어 진동 전달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진동 전달부(200)가 프로브(1210)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프로브(1210)에 대한 외력의 분산을 유도함으로써 진동 및 마사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진동 전달부(200)의 형상, 높이, 종류 및 하우징(1170)과 결합하는 방법 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진동 전달부(20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 전달부(200)는 상술한 진동 모듈(10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진동 전달부(20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직육면체 또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그 밖에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기 알려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진동 전달부(200)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된 형상인 개방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진동 전달부(200)가 개방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개방된 영역으로 프로브(1210)가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브(1210)는 상기 개방된 영역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형태로 상기 개방된 영역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전달부(200)가 개방형인 경우, 상기 개방된 영역은 프로브(1210)의 위치 및 형상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개방된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한편, 진동 전달부(200)의 개방된 형상에 따라, 진동 전달 범위는 프로브(1210) 주변 영역 및 하우징(1170) 주변 영역 전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진동 전달부(200)는 보다 강하고 다양한 세기의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진동 전달부(200)는 상부 영역이 폐쇄된 형상인 폐쇄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진동 전달부(200)가 폐쇄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프로브(1210)는 진동 전달부(200)의 상부의 아래쪽에 배치되되 진동 전달부(2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진동 전달부(200)가 폐쇄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진동 전달부(200)의 내부 공간에 프로브(12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전달 범위가 하우징 주변 영역이 되되, 프로브(1210)는 진동 장치(10)의 작동 시 외력을 받지 않음에 따라 진동 시 진동 모듈(10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목표하는 세기의 진동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7 내지 22는 진동 장치(10)의 진동 전달부(200)의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22를 참조하여, 진동 장치(10)의 진동 전달부(200)의 높이를 설명하도록 한다.
진동 전달부(200)의 높이는 진동 전달부(200)의 하부 끝단에서 상부 끝단 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전달부(200)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돌출된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 진동 전달부(200)의 높이는, 진동 전달부(200)의 하부로 가장 돌출된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가장 돌출된 부분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전달부(200)의 높이는 상기 기준 평면(p)로부터 상기 진동 전달부(200)의 상부의 끝단까지의 거리(b1, b2, b3)) 및 상기 보빈(1120)의 다양한 진동에 따른 상기 프로브(1210) 끝단의 높이(a)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진동 전달부(200)의 높이는, 프로브(1210)에 가해지는 외력의 진동 전달부(200)로의 분산을 유도하기 위해, 보빈(1120)의 중심축에 수직한 가상의 기준 평면(P)으로부터 보빈(1120)의 진동에 따라 보빈(1120)의 위치가 최대로 낮아진 상태에서의 프로브(1210)의 일단까지의 거리(a) 보다 상기 기준 평면(P)으로부터 상기 진동 전달부(200)의 상부의 일단까지의 거리(b1)가 길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동 전달부(200)의 높이는, 상기 보빈(1120)의 진동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가상의 평면(P)을 기준으로, 상기 보빈(1120)의 최대 하향 진동 시 상기 프로브(1210) 끝단의 높이(a)가 상기 기준 평면(P)으로부터 상기 진동 전달부(200)의 상부의 끝단까지의 거리(b1)를 초과하지 않도록 구비되어 상기 프로브(1210)에 가해지는 외력의 상기 진동 전달부(200)로의 분산을 유도할 수 있다.즉, 진동 장치(10)의 작동에 따라 프로브(1210) 및 진동 전달부(200)에 동시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프로브(1210)와 진동 전달부(200)의 상부 사이에 프로브(1210)가 하향 진동할 수 있는 공간(R)이 마련됨으로써, 프로브(121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프로브(1210)는 지속적으로 상하 진동을 할 수 있다.
한편, 보빈(1120)은 탄성 부재(1140)와 결합하여 함께 상하로 진동하는 바, 도 17 내지 도 19에서 표현된 탄성 부재(1140)의 위치 및 상태는 보빈(1120)의 위치 및 상태와 대응할 수 있다.
진동 전달부(200)의 높이에 따라 프로브(1210)와 인체의 접촉 유무 및 접촉 정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진동 전달부(200)의 높이는 진동 장치(10)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프로브(1210)와의 관계에서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진동 전달부(200)의 형상이 개방형인 경우와 폐쇄형인 경우로 나누어 진동 전달부(200)의 높이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진동 전달부(200)의 형상이 개방형인 경우, 진동 전달부(200)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진동 전달부(200)의 형상이 개방형인 경우, 진동 장치(10)는 프로브(1210)가 인체를 직접 타격하는 직접 타격식과 프로브(1210)가 인체를 직접 타격하지 않는 간접 타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진동 전달부(200)의 높이에 관하여 직접 타격식 진동 장치(10)와 간접 타격식 진동 장치(10)로 나누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진동 장치(10)는 진동 전달부(200)의 형상이 개방형인 경우, 프로브(1210)가 인체를 직접 타격하지 않는 간접 타격식일 수 있다.
도 17의 (a) 내지 (c)는 진동 장치(10)의 진동에 따른 프로브(1210)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a)는 탄성 부재(1140)가 최대로 수축한 상태를 의미하고, (c)는 탄성 부재(1140)가 최대로 이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a)와 (b)의 중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7의 (a) 내지 (c)에서 프로브(1210)의 위치 변화에 따라, 가상의 기준 평면(P)과 진동 전달부(20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전달부(200)와 프로브(1210)의 끝단 사이의 거리도 달라질 수 있다. 즉, 진동 전달부(200)와 프로브(1210)의 끝단 사이의 거리는 (a)가 가장 길게 형성될 수 있고, (c)에서 가장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간접 타격식 진동 장치(10)의 경우, 진동 전달부(200)의 높이는, 프로브(1210)에 의한 간접적인 진동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120)의 중심축에 수직한 가상의 기준 평면(P)으로부터 보빈(1120)의 진동에 따라 보빈(1120)의 위치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에서의 프로브(1210) 일단까지의 거리(a) 보다 가상의 기준 평면(P)으로부터 상기 진동 전달부(200)의 상부의 일단까지의 거리(b3)가 길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진동 장치(10)의 진동에 따라 보빈(1120)의 위치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에서도 프로브(1210)가 진동 장치(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브(1210)는 진동 장치(10)의 작동에 따라 보빈(1120)의 상하 왕복 운동이 최소 1회이상 반복되는 구간에서 진동 전달부(20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장치(10)의 진동 시 프로브(12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수 있고, 이로써 진동 장치(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오직 진동 전달부(200)를 통해서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진동 장치(10)는 진동 전달부(200)의 형상이 개방형인 경우, 프로브(1210)가 인체를 직접 타격하는 직접 타격식 진동 장치(10)일 수 있다.
도 18의 (a) 내지 (c)는 진동 장치(10)의 진동에 따른 프로브(1210)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a)는 탄성 부재(1140)가 최대로 수축한 상태를 의미하고, (c)는 탄성 부재(1140)가 최대로 이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a)와 (b)의 중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직접 타격식 진동 장치(10)의 경우, 진동 전달부(200)의 높이는, 프로브(1210)에 의한 직접적인 진동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120)의 중심축에 수직한 가상의 기준 평면(P)으로부터 보빈(1120)의 진동에 따라 보빈(1120)의 위치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에서의 프로브(1210) 일단(a)까지의 거리 보다 가상의 기준 평면으로부터 상기 진동 전달부(200)의 상부의 일단(b3)까지의 거리가 짧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프로브(1210)는 프로브(1210)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진동 장치(10)의 작동에 따라 보빈(1120)의 상하 왕복 운동이 최소 1회 이상 반복되는 구간에서 진동 전달부(200)의 상부 외측으로 적어도 1회 이상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장치(10)의 진동 시 프로브(1210) 및 진동 전달부(200)에 의해 진동이 동시에 전달될 수 있어 보다 넓은 진동 전달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장치(10)의 진동 시 프로브(121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프로브(1210)는 프로브(1210)와 진동 전달부(200) 사이의 공간(R)에서 진동함으로써, 지속적인 진동 전달을 할 수 있다.
진동 전달부(200)의 형상이 폐쇄형인 경우, 진동 전달부(200)는 상부 영역이 폐쇄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9의 (a) 내지 (c)는 진동 장치(10)의 진동에 따른 프로브(1210)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a)는 탄성 부재(1140)가 최대로 수축한 상태를 의미하고, (c)는 탄성 부재(1140)가 최대로 이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a)와 (b)의 중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진동 전달부(200)의 형상이 폐쇄형인 경우, 진동 전달부(200)의 높이는 프로브(1210)에 의한 간접적인 진동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120)의 중심축에 수직한 가상의 기준 평면(P)으로부터 보빈(1120)의 진동에 따라 보빈(1120)의 위치가 최대로 높아진 상태에서의 프로브(1210) 일단까지의 거리(a) 보다 가상의 기준 평면으로부터 상기 진동 전달부(200)의 상부의 일단까지의 거리(b3)가 길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브(1210)는 진동 장치(10)의 작동에 따라 보빈(1120)의 상하 왕복 운동이 최소 1회이상 반복되는 구간에서 진동 전달부(20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장치(10)의 진동 시 프로브(1210)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바, 진동 장치(10)에 의한 진동은 진동 전달부(200)에 의해서만 전달될 수 있어 간접적인 진동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장치(10)의 진동 시 프로브(1210)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바, 프로브(1210)의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고 진동 장치(10)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과 상관없이 목표하는 세기의 진동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진동 전달부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10)의 진동 전달부(200)는 프로브(1210)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진동 전달부(200a) 및 하우징(1170)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진동 전달부(20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는 진동 전달부의 종류 및 진동 전달부와 진동 모듈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1를 참조하여, 진동 전달부(200)의 종류 및 진동 전달부(200)와 진동 모듈(1000)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1의 (a)를 참조하면, 제1 진동 전달부(200a)는 프로브(1210)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되 프로브(1210)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프로브(121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진동 전달부(200a)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 프로브(1210) 중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진동 전달부(200a)는 프로브(1210)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되, 프로브(1210)와 접촉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진동모듈(10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되 진동모듈(100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하우징(1170)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되 하우징(1170)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 하우징(1170) 중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진동 전달부(200a)는 제2 진동 전달부(200b)와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진동 전달부(200a)와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진동 모듈(1000)을 포함하며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진동 모듈(10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진동 전달부(200)에 전달되는 과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진동 모듈(10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전달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면, 진동 모듈(1000)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진동은 진동모듈(1000)에서 제2 진동 전달부(200b)에 전달되고 이후 진동은 상기 제2 진동 전달부(200b)와 결합되어 있는 제1 진동 전달부(200a)에 전달될 수 있다. 결국 진동 모듈(10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제1 진동 전달부(200a)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진동 모듈(1000)의 프로브(12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제1 진동 전달부(200a)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진동 전달부(200b)가 진동모듈(1000)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는 반면, 상기 제1 진동 전달부(200a)는 프로브(1210)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되 프로브(1210)와 접촉되지 않고, 제2 진동 전달부(200b)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일 수 있다.진동 모듈(10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제2 진동 전달부(200b)를 통해 제1 진동 전달부(200a)에 전달됨으로써, 진동 장치(10)가 보다 넓은 범위에 진동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진동 전달부(200a)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된 형상인 개방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진동 전달부(200a)는 상부 영역이 폐쇄된 형상인 폐쇄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진동 전달부(200a)의 형상이 개방형인 경우와 폐쇄형인 경우는 상술한 진동 전달부(200)의 형상이 개방형인 경우와 폐쇄형인 경우와 대응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하우징(1170) 중 적어도 일부 영역과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결합 부재(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하우징(1170)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하우징(1170) 중 적어도 일부 영역과 결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결합 부재(210b)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원기둥 형상의 내부는 상술한 하우징(1170)의 결합부(1173)와 나사결합이 되도록 나사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70)은 몸체부(1172)와 결합부(117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진동 모듈(10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제2 진동 전달부(200b)에 전달하기 위해, 제2 진동 전달부(200b)의 복수의 결합 부재가 하우징(1170)의 결합부(1173)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2 진동 전달부(200b)의 복수의 결합 부재(210b)가 하우징(1170)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경우,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하우징(1170)의 몸체부(1172)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하우징(1170)의 결합부(1173)와 결합하되 하우징(1170)의 몸체부(1172)와는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하우징(1170)의 결합부(1173)와 결합하되 하우징(1170)의 몸체부(1172)와는 이격되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상술한 진동 모듈(1000)의 진동 발생부(1100)와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진동 모듈(1000)의 작동에 따라 하우징(1170)이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 하우징(1170)의 하부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우징(1170)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진동 전달부(200a)는 제2 진동 전달부(200b)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진동 전달부(200a)와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21의 (b)를 참조하면,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진동 발생부(1100)의 하우징(117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하우징(1170)과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17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자석(1110), 보빈(1120), 코일(1130)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진동 전달부(200b)가 진동 발생부(1100)의 하우징(117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2 진동 전달부(200b)의 복수의 결합 부재(2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댐퍼(d)에 형성된 댐퍼 결합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진동 모듈(1000)의 작동에 따라 보빈(1120)이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 보빈(1120)의 하부면(1123)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빈(1120)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본 명세서에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진동 발생부(1100)의 하우징(1170)과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 제2 진동 전달부(200b)로 표현될 수도 있고, 하우징(1170)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2 진동 전달부(200b)가 하우징(1170)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진동 장치(1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진동 전달부(200b)가 하우징(1170)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진동 장치(10)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 할 수 있다.
제2 진동 전달부(200b)가 하우징(117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진동 장치(10)는 진동 발생부(1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진동 전달부(200) 또는 하우징(1170)을 통해 진동 수용부(S)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진동 전달부(200a)와 제2 진동 전달부(200b)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3 진동 전달부(200c)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진동 전달부(200a)와 제2 진동 전달부(200b)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진동 모듈(1000)의 진동이 오랜 시간 지속되더라도 진동 전달부(200)의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진동 모듈(1000), 제어 모듈(2000), 진동 전달부(200) 및 진동 수용부(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마사지 장치 또는 운동 보조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마사지 장치와 운동 보조 기구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설명하되,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진동 모듈(1000) 및 제어 모듈(2000)은 도 1을 통해 상술한 진동 모듈(1000) 및 제어 모듈(2000)에 관한 내용과 대응되므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3은 진동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진동 수용부(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수용부(S)는 어플리케이션의 진동 모듈(10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부분에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즉, 진동 수용부(S)는 어플리케이션과 접촉하는 인체 부위 전체에 진동을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는 어플리케이션의 진동 수용부(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의 진동 수용부(S)는 어플리케이션의 목적 및 기능에 적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4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이 마사지 장치인 경우, 진동 수용부(S)는 마사지를 하고자 하는 타겟 인체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마사지 장치의 진동 수용부(S)는 방석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사지 장치가 회음부를 마사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진동 수용부(S)의 형상은 방석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진동 수용부(S)가 방석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방석 형상은 기 알려진 다양한 방석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이 운동 보조 기구인 경우, 진동 수용부(S)는 운동 보조 기구가 그 기능을 수행하려는 타겟 인체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동 보조 기구의 진동 수용부(S)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운동 보조 기구의 진동 수용부(S)는 구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동 보조 기구가 폼롤러로 사용되는 경우, 진동 수용부(S)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 또는 구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원기둥 형상 또는 구 형상은 기 알려진 다양한 폼롤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운동 보조 기구의 진동 수용부(S)는 밸런스 쿠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운동 보조 기구의 진동 수용부(S)의 형상은 상부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이고 하부는 중앙이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진동 수용부(S)의 상부에 올라가 좌우로 밸런스를 유지하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수용부(S)는 진동 모듈(1000) 및 진동 전달부(2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진동 수용부(S)는 진동 모듈(1000) 및 진동 전달부(200)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수용부(S)는 진동 모듈(1000) 또는 진동 전달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진동 수용부(S)는 진동 모듈(1000) 또는 진동 전달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진동 모듈(1000) 및 진동 전달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보다 직접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진동 수용부(S)는 진동 모듈(1000) 또는 진동 전달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간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진동 모듈(1000) 및 진동 전달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한층 완화된 상태로 진동을 수용할 수 있다.
마사지 장치에 구비되는 진동 수용부(S)의 재질은 기 알려진 방석에 사용되는 재질을 비롯한 다양한 재질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시적으로, 마사지 장치에 구비되는 진동 수용부(S)의 재질은 스펀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사지 장치에 구비되는 진동 수용부(S)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운동 보조 기구에 구비되는 진동 수용부(S)의 재질은 기 알려진 폼롤러에 사용되는 재질을 비롯한 다양한 재질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시적으로, 운동 보조 기구에 구비되는 진동 수용부(S)의 재질은 EVA 또는 EPP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운동 보조 기구에 구비되는 진동 수용부(S)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7은 마사지 장치의 진동 수용부 내에 진동 모듈이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8은 운동 보조 기구 내에 진동 모듈이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진동 수용부(S)에 배치되는 진동 모듈(1000)의 배치 위치, 개수 및 방향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진동 모듈(1000)은 진동 수용부(S)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진동 모듈(1000)은 진동 수용부(S)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 모듈(1000)은 진동 수용부(S)에 배치되되, 진동 수용부(S)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작동 시 보다 집중적으로 진동 자극이 요구되는 인체 부위와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듈(1000)은 진동 수용부(S)에 배치되되, 배치 위치, 방향 및 개수 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장치의 진동 수용부(S)에는 진동 모듈(10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진동 모듈(1000)은 진동 수용부(S)의 중앙 영역에 하나만이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마사지 장치에서 진동 모듈(1000)이 진동 수용부(S)의 중앙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회음부에 가장 강한 진동이 인가될 수 있고, 동시에 진동 수용부(S)에도 진동이 전달됨으로써 진동 수용부(S)와 접하는 신체 예컨대, 다리, 허벅지 등에도 진동 전달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음부를 자극함으로써, 강한 진동을 장까지 전달하여 변비 등에도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사지 장치의 진동 수용부(S)는 인체 중 허벅지가 닿는 부분(HA1, HA2) 중 어느 하나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마사지 장치(210)의 진동 수용부(S)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HA1, HA2) 중 어느 하나에 스피커를 배치함으로써, 진동 장치(10)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동일한 음원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진동에 따른 유익한 효과를 체감상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장치(10)에서 사용되는 음원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이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기구의 진동 수용부(S)에는 진동 모듈(1000)이 진동 수용부(S)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진동 모듈(1000)은 진동 수용부(S)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 모듈(1000)은 진동 수용부(S)에 배치되되, 진동 수용부(S)에서 운동 보조 기구의 작동 시 보다 집중적으로 진동 자극이 요구되는 인체 부위와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운동 보조 기구의 진동 수용부(S)에는 진동 모듈(10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즉, 진동 모듈(1000)은 진동 수용부(S)의 중앙 영역에 하나만이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9 및 도 30은 진동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진동 모듈의 배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진동 모듈(1000)은 진동 수용부(S)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되, 프로브(1210)의 진동 방향이 진동 수용부(S)의 높이 방향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진동 수용부(S)의 높이 방향이란 진동 수용부(S)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면과 수직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 수용부(S)의 높이 방향이란 진동 수용부(S)의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진동 모듈(1000)은 진동 수용부(S)의 외면과 진동 전달부(200)의 일면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방향과 진동 모듈(1000)의 진동 방향이 정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국, 진동 모듈(1000)은 프로브(1210)가 진동 수용부(S)의 높이 방향을 향하도록 진동 수용부(S)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모듈(1000)에서 발생한 진동이 최단거리로 사용자에게 전달됨으로써, 진동 모듈(10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마사지 장치 사용자의 신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진동 모듈(1000)은 진동 수용부(S)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되, 프로브(1210)의 진동 방향이 진동 수용부(S)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 모듈(1000)은 진동 수용부(S)의 외면과 진동 전달부(200)의 일면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방향과 진동 모듈(1000)의 진동 방향이 정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1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진동 모듈(1000), 제어 모듈(2000), 진동 전달부(200), 진동 수용부(S) 외에도 커버(C), 온열 제공부(T), 돌기 자극부(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C)는 진동 수용부(S)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수용부(S)의 외면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온열 제공부(T)는 어플리케이션과 접촉하는 인체에 열을 전달하여 마사지 및/또는 운동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돌기 자극부(B)는 상기 진동 수용부(S) 또는 커버(C)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돌기에 의한 자극을 추가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자극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음파 진동 기기(100)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32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기능 및 진동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진동 증폭부(1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음파 진동 기기(100)가 클렌징, 세안, 로션 도포 등의 피부 관리에 이용되는 경우를 주로 서술하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2을 참조하면, 진동 증폭부(1200)는 프로브(1210), 브러시, 온도 조절 부재(TE) 및 방열 부재(CF)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증폭부(1200)는 온도 조절 부재(TE)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고 방열 부재(CF)를 통해 열을 방출하고, 브러시를 통해 피부에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브러시는 피부와 접촉하여 진동을 제공하거나 피부 미용 용품을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브러시는 피부와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돌기의 형상은 원추형, 절두원추형, 피라미드형, 절두피라미드형, 원통형, 반구형, 프리즘형(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기부를 갖는 삼각형 프리즘), 절두프리즘형, 입방형, 입방체형, 오면체형(기부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 절두오면체형, 및 이들의 변형 또는 수정을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폴리머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시는 실리콘 고무, 고무 폴리우레탄,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부틸 고무(이소부틸렌-이소프렌 코폴리머), 천연 또는 합성 폴리이소프렌, 니트릴 고무(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고무), 고무 폴리프로필렌, EPDM(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코폴리머), EPM(에틸렌 프로필렌 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브러시가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폴리머 조성물로 구성됨에 따라 진동에 따른 피부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다.
브러시는 진동 증폭부(12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시는 탄성 변형되어 프로브(1210) 상단에 씌워지고 피부 관리 후 세척 또는 교체를 위해 프로브(12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브러시는 음파 진동 기기(100)가 피부에 진동을 제공함에 있어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면서 피부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켜 피부 관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온도 조절 부재(TE)는 프로브(1210)를 통해 피부에 대해 냉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냉각 에너지 또는 열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 부재(TE)는 제어 모듈(2000)의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프로브(1210)에 냉각 에너지 또는 열 에너지를 제공하여 프로브(1210) 중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온도 조절 부재(TE)는 열전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 부재(TE)는 펠티에 효과(Peltier's effect)에 의한 흡열 또는 발열을 이용하는 열전 소자(thermoelectric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조절 부재(TE)는 한 쪽 단자는 흡열하고 다른 쪽 단자는 발열하며,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흡열하는 단자와 발열하는 단자의 전환이 가능하고,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흡열 및 발열량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조절 부재(TE)는 신축성이 있는 플렉서블(flexible)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온도 조절 부재(TE)는 평평한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온도 조절 부재(TE)가 열전소자인 경우에 대하여 서술하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 조절 부재(TE)는 진동 증폭부(12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조절 부재(TE)는 프로브(1210) 내부에 배치되고, 온도 조절 부재(TE)의 적어도 일면이 프로브(1210)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조절 부재(TE)의 상부면이 프로브(1210)의 내부면 중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과 면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온도 조절 부재(TE)의 하부면이 프로브(1210)의 내부면 중 후출하는 방열핀(CF)이 부착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과 면 접촉할 수 있다. 온도 조절 부재(TE)의 적어도 일부가 프로브(1210)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와 면 접촉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진동 증폭부(1200)는 온도 조절 부재(TE)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내부에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1210)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여 온도 조절 부재(TE)와 제어 모듈(20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코드가 프로브(12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코드는 진동 증폭부(1200)가 삽입되는 탄성부재(1140) 및 보빈(1120)의 중앙홀을 관통하여 제어모듈(2000)과 연결됨으로써 온도 조절 부재(TE) 및 제어모듈(20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진동 증폭부(1200)는 내부에 온도 조절 부재(TE)를 포함하기 위해 조립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브(1210)는 제조 공정을 위해 피부와 접촉하는 제1 프로브 부재 및 보빈(1120)과 연결되는 제2 프로브 부재로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제1 프로브 부재 및 제2 프로브 부재는 서로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프로브 부재 및 제2 프로브 부재는 열적으로 분리되기 위해 단열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방열핀(CF)은 진동 증폭부(1200) 내의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핀(CF)은 프로브(1210) 내부에서 온도 조절 부재(TE)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조절 부재(TE)가 피부에 대한 냉각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온도 조절 부재(TE)의 발열면에서 열 에너지가 발생하고, 열 에너지에 의한 냉각 효율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방열핀(CF)은 상기 열 에너지를 전달 받아 외기와의 접촉을 통해 열 에너지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방열핀(CF)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핀은 외기와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각 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방열핀의 말단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평평하거나 볼록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진동 증폭부(1200)는 복수의 방열핀(CF)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방열핀(CF)은 프로브(1210)의 외면 중 온도 조절 부재(TE)의 발열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입설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방열핀(CF)은 프로브(1210) 면에 수직한 방향, 기울어진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입설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방열핀(CF)은 온도 조절 부재(TE)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열핀(CF)은 온도 조절 부재(TE)로부터 직접 또는 프로브(121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 받아 진동 증폭부(1200)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3을 참조하여 음파 진동 기기(100)가 냉온 기능 및 진동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3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주파수에 따른 피부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어떤 대상이 음파 진동을 제공받는 경우, 진동의 주파수에 따라 대상의 특정 영역에서 진동하는 부분이 특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대상에 대해 음파 진동은 정상파(stationary wave)로 제공되고 이에 따라 대상의 특정 영역에서는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마디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가 음파 진동을 제공받으면 진동 주파수에 따라 피부는 특정 패턴의 진동하지 않는 마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마디 부분의 패턴은 주파수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마디 부분의 패턴이 다른 패턴으로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마디 부분이 중앙에서 주변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진동 주파수가 감소함에 따라 마디 부분이 주변부에서 중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마디 부분의 패턴 변화와 냉온 기능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피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음파 진동 기기(100)에 대하여 서술한다.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이 동작하는 중에 진동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이 피부에 진동 에너지를 제공하는 도중 진동 발생부(1100)를 제어하여 진동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2000)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속도로 변화하는 주파수를 가지도록 진동 발생부(11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주파수가 변경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는 상술한 음파 진동에 따른 마디 부분의 패턴이 변경되는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는 클라드니 패턴(Chladni pattern)을 기준으로 패턴이 변경되는 주파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는 150Hz 내지 350Hz, 250Hz 내지 500Hz, 400Hz 내지 750Hz 또는 650Hz 내지 950Hz 중 적어도 일부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의 크기는 200Hz 이하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진동 주파수가 변경되는 미리 설정된 시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은 세안, 세정, 클렌징 등의 피부 관리에 대응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은 5초 내지 30초 사이로 설정될 수 있다.
또 여기서, 미리 설정된 속도는 음파 진동 기기(100)가 제공하는 피부 관리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속도는 상술한 미리 설정된 시간 및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속도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같은 속도로 유지되거나 변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의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피부 표면의 진동 패턴을 변화시키고, 이로써 피부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의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진동 모듈(1000)과 접촉하는 피부 표면에서 진동하지 않는 마디 부분을 피부 표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부 표면의 중심부에 위치한 모공을 확장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의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진동 모듈(1000)과 접촉하는 피부 표면에서 진동하지 않는 마디 부분을 피부 표면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부 표면의 중심부에 위치한 모공을 축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에 의해 피부의 모공이 축소되거나 확대되는 도중에 피부에 냉각 에너지 또는 열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술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 미리 설정된 시간 및 미리 설정된 속도는 후술하는 온도 조절 부재(TE) 제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2000)은 진동 증폭부(1200)의 온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0)은 온도 조절 부재(TE)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흡열 또는 발열 반응을 유도하고 이로써 프로브(1210)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프로브(1210)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시키거나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주파수를 제어함과 동시에 진동 증폭부(12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어 모듈(2000)이 진동 모듈(1000)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진동 증폭부(1200)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주파수를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속도로 증가시키면서 온도 조절 부재(TE)를 이용하여 프로브(1210)의 온도를 상온 보다 높은 미리 설정된 온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주파수를 변경하기 전, 변경한 후 또는 변경하는 도중 프로브(1210)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온도는 30℃ 내지 60℃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2000)이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진동 증폭부(1200)의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모공이 효과적으로 확장되고 피부가 이완되는 등 피부 흐름이 활성화되어 피부 미용 제품의 흡수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주파수를 감소시키면서 진동 증폭부(1200)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주파수를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속도로 감소시키면서 온도 조절 부재(TE)를 이용하여 프로브(1210)의 온도를 상온 보다 낮은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주파수를 변경하기 전, 변경한 후 또는 변경하는 도중 프로브(1210)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온도는 -15℃ 내지 25℃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2000)이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주파수를 감소시키면서 진동 증폭부(1200)의 온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모공이 효과적으로 수축되어 세안 후 피부를 진정시키고 노폐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진동 증폭부(1200)의 온도를 감소시키거나,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주파수를 감소시키면서 진동 증폭부(1200)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제어 모듈(2000)은 진동 모듈(1000)의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증폭부(1200)의 온도를 단계별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0)은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증폭부(1200)의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다시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즉폭부(1200)의 온도를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음파 진동 기기(100)는 상술한 냉온 기능 또는 진동 기능 외에 추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 진동 기기(100)는 갈바닉(Galvanic) 피부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갈바닉 피부 관리는 미세한 전류를 이용하여 화장품 등 피부 미용 제품이 피부에 효율적으로 흡수되도록 하는 피부 관리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극성을 띄는 화장품 등 피부 미용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고 같은 극성을 띄는 갈바닉 전류를 피부에 인가하여 피부 미용 제품을 피부 깊숙이 침투시킬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위해 음파 진동 기기(100)는 제공 받는 전기 신호에 따라 특정 극성을 띄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증폭부(1200)는 전기 신호를 제공 받아 특정 극성을 가지는 갈바닉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브(1210) 중 적어도 일부는 전극을 포함하고, 제어 모듈(2000)은 상기 전극에 전기 신호를 제공하여 갈바닉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능은 음파 진동 기기(100)의 냉온 기능 또는 진동 기능 수행과 동시에 또는 수행 전/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세안에 앞서 음파 진동 기기(100)를 이용하여 갈바닉 피부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냉온 기능 및 진동 기능을 이용하여 세안하고 다시 갈바닉 피부 관리 기능을 수행하여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14)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댐퍼; 및
    상기 몸체부의 제2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부분, 상기 제1 내측 부분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부분 및 상기 제1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 부분, 상기 제2 내측 부분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부분 및 상기 제2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탄성부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분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탄성부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분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곡률 반경 보다 큰 값을 가지는,
    탄성부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3 부분의 곡률 반경 보다 큰 값을 가지는,
    탄성부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제1 외측 부분은 상기 제2 댐퍼의 상기 제2 연결 부분과 이격되는,
    탄성부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는 제1 댐퍼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댐퍼 결합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제1 연결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탄성부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360/n°(n은 2이상의 자연수)의 사이각을 가지는,
    탄성부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부분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휘어지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탄성부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부분은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 방향으로 볼록한 부분 및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 방향으로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는,
    탄성부재.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중심 및 상기 제1 외측 부분의 일점을 연결하는 제1 가상선이 상기 제1 내측 부분과 만나는 제1 교점 및 상기 제1 외측 부분의 일점 사이의 거리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 및 상기 제1 외측 부분의 다른 일점을 연결하는 제2 가상선이 상기 제1 내측 부분과 만나는 제2 교점 및 상기 제1 외측 부분의 다른 일점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탄성부재.
  11.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프로브를 진동시키는 진동 모듈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
    상기 자석의 중심축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자석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프로브가 연결되는 보빈;
    상기 보빈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코일; 및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에 의한 상기 보빈의 위치 이동에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댐퍼 및 상기 몸체부의 제2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측 부분, 상기 제1 내측 부분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부분 및 상기 제1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내측 부분, 상기 제2 내측 부분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부분 및 상기 제2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외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진동 모듈.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는 제1 댐퍼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댐퍼는 제2 댐퍼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댐퍼 결합홀 및 상기 제2 댐퍼 결합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진동 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돌출되는 제1 및 제2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댐퍼 결합홀 및 상기 제1 결합 돌기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댐퍼 결합홀 및 상기 제2 결합 돌기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진동 모듈.
  14. 삭제
KR1020200175508A 2020-10-16 2020-12-15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 KR102537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4245 2020-10-16
KR1020200134245 2020-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727A KR20220050727A (ko) 2022-04-25
KR102537473B1 true KR102537473B1 (ko) 2023-05-30

Family

ID=737899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508A KR102537473B1 (ko) 2020-10-16 2020-12-15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
KR1020200175204A KR102561164B1 (ko) 2020-10-16 2020-12-15 음파 진동 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204A KR102561164B1 (ko) 2020-10-16 2020-12-15 음파 진동 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37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6596A (ko) * 2022-11-08 2024-05-16 주식회사 세라젬 음파 진동 모듈이 구비된 복부 마사지 장치
KR102545268B1 (ko) * 2022-11-16 2023-06-16 주식회사 에이디씨 진동 패턴을 조절할 수 있는 미용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866A (ko) * 2014-11-28 2016-06-08 (주)에보소닉 음향 압력을 이용한 안마용 마사지 장치
KR20160140176A (ko) * 2015-05-29 2016-12-07 (주)에보소닉 음향 압력을 이용하는 다용도 안마기
KR101780956B1 (ko) * 2015-12-16 2017-09-26 (주)에보소닉 음파진동부를 구비하는 안마 마사지기의 아암 유닛
KR20160001335U (ko) * 2016-02-15 2016-04-25 피에스아이 주식회사 음파 진동자의 원리를 이용한 두피 마사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727A (ko) 2022-04-25
KR20220050726A (ko) 2022-04-25
EP3984514A1 (en) 2022-04-20
KR102561164B1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7473B1 (ko)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
US10172763B2 (en) Skin and scalp massaging apparatus using acoustic pressure
JP6423879B2 (ja) 音響圧力を利用する振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人体刺激装置
US7382079B2 (en) Piezoelectric device for generating acoustic signal
KR100922264B1 (ko) 초음파 헤어 트리트먼트 장치
US20080004552A1 (en) Massage Device Utilizing an Unanchored Magnet for Primary Force Generation
KR101784298B1 (ko) 형상기억합금부재를 이용한 마사지 장치와 이것의 제어시스템
KR101607526B1 (ko) 음파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안마기
JP2023532615A (ja) 人体刺激ユニット及び前記人体刺激ユニットを有する人体刺激装置
KR20180100280A (ko) 사물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안마 의자 장치
CN209220681U (zh) 一种音波眼罩
EP3984514B1 (en) Acoustic wave vibration apparatus and application including the same
KR20160064866A (ko) 음향 압력을 이용한 안마용 마사지 장치
KR101866100B1 (ko) 음파 진동장치
JP4056874B2 (ja) 振動装置
JP2015085150A (ja) マッサージ信号同期振動装置
JP2004048932A5 (ko)
CN209392356U (zh) 一种振动马达按摩机构
CN213608103U (zh) 按摩仪
CN219022185U (zh) 一种具有律动调节功能的便携式按摩仪
CN216877104U (zh) 筋膜枪
WO2022210303A1 (ja) 振動装置
KR20040009619A (ko) 오디오신호를 이용한 마사지 장치
WO2022210304A1 (ja) 振動装置
US20010051777A1 (en) Vibrating massa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