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452B1 -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 - Google Patents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452B1
KR102537452B1 KR1020210139213A KR20210139213A KR102537452B1 KR 102537452 B1 KR102537452 B1 KR 102537452B1 KR 1020210139213 A KR1020210139213 A KR 1020210139213A KR 20210139213 A KR20210139213 A KR 20210139213A KR 102537452 B1 KR102537452 B1 KR 102537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liding
panel
sliding pane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5624A (ko
Inventor
김민수
이승철
이인제
엄정민
Original Assignee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4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26Sliding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Transfer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4Rollers, rails or oth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2Rai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61H2201/0169Noise 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패널 측면에 배치되고, 내부가 빈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 형상의 채널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 슬라이딩 패널과 베이스 패널의 중첩시 베이스 패널 배치 방향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밴딩부가 형성되는 레일, 각각 레일의 일측 및 타측 끝단 방향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2 풀리, 슬라이딩 패널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캐리어 플레이트,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채널 내부에 삽입되는 롤러, 슬라이딩 패널 반대측 방향의 롤러 표면 일부가 일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 돌기,롤러의 가이드 돌기와 상보적인 형태의 오목홈 형상을 이루며, 롤러의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 구동 모터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가동이 이루어지는 구동부, 제1,2 풀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도록 구동부와 제1,2 풀리를 서로 연결하며, 캐리어 플레이트가 제1,2 풀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와이어로 구성되어, 구동부 구동시 롤러가 채널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 패널의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는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 {Sliding Structure of Panel Member}
본 발명은 의료 기기 또는 건강 관리 용품의 커버나 시트 등을 구성하는 패널 부재를 접거나 펼쳐 여닫기 위한 슬라이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패널 측면에 배치되고, 내부가 빈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 형상의 채널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 슬라이딩 패널과 베이스 패널의 중첩시 베이스 패널 배치 방향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밴딩부가 형성되는 레일, 각각 레일의 일측 및 타측 끝단 방향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2 풀리, 슬라이딩 패널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캐리어 플레이트,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채널 내부에 삽입되는 롤러, 슬라이딩 패널 반대측 방향의 롤러 표면 일부가 일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 돌기,롤러의 가이드 돌기와 상보적인 형태의 오목홈 형상을 이루며, 롤러의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 구동 모터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가동이 이루어지는 구동부, 제1,2 풀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도록 구동부와 제1,2 풀리를 서로 연결하며, 캐리어 플레이트가 제1,2 풀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와이어로 구성되어, 구동부 구동시 롤러가 채널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 패널의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는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침대와 같은 의료 기기, 또는 안마 의자나 안마 침대와 같은 건강 관리 용품의 커버 및 시트 등은 사용자의 신장과 같은 신체적 특징이나 기기 및 용품을 작동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맞춰 복수의 패널 부재를 병렬로 배치하고, 각 패널 부재를 슬라이딩 시켜 접거나 펼치는 슬라이딩 구조를 적용하게 된다.
특히 일반 가정용 의료 기기나 건강 관리 용품의 경우 한정된 실내 공간 안에서 기기 및 용품을 설치 또는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용이하고, 사용 완료 후 보관시 보다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구조의 적용 실익이 크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구조가 적용된 의료 기기나 건강 관리 용품의 커버 및 시트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8653호 (2016.07.05.공개)에서는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제1 베드부와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제2 베드부가 안내부와 이동부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모듈에 의해 활주하면서 제1 베드로부터 제2 베드가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는 오토슬라이딩 타입의 마사지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오토슬라이딩 타입의 마사지장치의 경우 회전하는 휠로 구성된 이동부가 레일로 구성된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사지 장치 생산시 발생한 조립 공차나 반복 사용에 의한 조립부 유격 등에 의해 안내부와 마사지장치 본체간 비틀림 또는 기울어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작동 시 이동부와 안내부간 불균일한 접촉이 발생하거나, 이동부의 휠 회전축이 기울어지면서 회전시 요동이 발생하여 작동 소음이나 진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는 의료 기기나 건강 관리 용품의 특성상 반복되는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 구조의 펼침 상태에서 이동부 또는 안내부가 변형되거나 유격이 증가하여 슬라이딩 작동 중 소음이나 진동 발생이 점차 증가하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8653호 (2016.07.05.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조립 공차나 반복 사용에 의한 조립부 유격 등에 의해 의료 기기나 건강 관리 용품의 슬라이딩 작동 중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의료 기기나 건강 관리 용품을 장시간 사용에 따른 슬라이딩 작동을 위한 롤러 또는 휠의 회전축의 변형이나 유격 발생시 롤러나 휠의 요동을 방지하여 슬라이딩 작동시 소음 및 진동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패널과 베이스 패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며, 레일과 풀리 및 와이어로 구성되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레귤레이터 시스템 가동에 따른 슬라이딩 패널의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 패널과 베이스 패널이 펼쳐지면서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거나, 슬라이딩 패널의 역방향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 패널과 베이스 패널이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중첩되는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에 있어서, 슬라이딩 패널의 슬라이딩 작동 방향과 평행을 이루도록 슬라이딩 패널 측면에 배치되고, 내부가 빈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 형상의 채널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 슬라이딩 패널과 베이스 패널의 중첩시 베이스 패널 배치 방향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밴딩부가 형성되는 레일, 밴딩부가 형성된 레일의 일측 끝단 방향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풀리, 레일의 타측 끝단 방향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 풀리, 슬라이딩 패널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플레이트,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채널 내부에 삽입되는 롤러, 레일의 슬라이딩 패널 방향 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채널 내부에 롤러 삽입시, 롤러의 회전축 이동 통로가 되는 개방부, 구동 모터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가동이 이루어지는 구동부, 제1,2 풀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도록 구동부와 제1,2 풀리를 서로 연결하며, 캐리어 플레이트가 제1,2 풀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와이어로 구성되어, 구동부 구동시 롤러가 채널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 패널의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고, 의료 기기 또는 건강 관리 용품의 커버나 시트의 여닫음이나 접힘 또는 펼침이 이루어지며,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 이동 중 밴딩부의 구부러진 형상을 따라 캐리어 플레이트의 연결 각도 변환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는 슬라이딩 패널 반대측 방향의 롤러 표면 일부가 일정 높이 돌출되어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은 레일의 개방부 반대측면에 롤러의 가이드 돌기와 상보적인 형태의 오목홈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패널의 슬라이딩 작동시 롤러의 가이드 돌기가 레일의 가이드 홈을 따라 안내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는 구 형상으로 융기된 끝단이 형성된 회전축인 볼 스터드와, 중앙에 볼 스터드의 융기 형상과 상보적인 오목홈 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볼 스터드에 유동 가능하도록 압입되는 틸팅 롤러로 이루어지되, 캐리어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틸팅 롤러의 연결부 가장자리를 따라 챔퍼가 형성되어, 구동부 가동에 의한 롤러의 채널 내부 이동 중, 볼 스터드와 틸팅 롤러간 구 형상의 압입면을 따라 볼 스터드의 회전축과 틸팅 롤러의 회전축간 기울어짐량 보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의 회전축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구동부 가동에 의한 롤러의 채널 내부 이동 중, 롤러의 회전축의 탄성 변형에 따른 텐션 조절에 의해 롤러의 기울어짐량 보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틸팅 롤러의 챔퍼 반대 방향 연결부 가장자리에는 스토퍼가 돌출되어, 회전축 압입 방향으로의 볼 스터드 이동량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구동부와 제1,2 풀리를 통해 구동부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고, 밴딩부 형성된 레일 내부의 채널을 따라 롤러가 안내되면서 캐리어 플레이트를 통해 롤러와 연결된 슬라이딩 패널의 슬라이딩 작동을 발생시켜, 슬라이딩 패널과 베이스 패널이 펼치거나,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중첩시킬 때, 롤러 측표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돌기와 상보적인 형상의 오목홈을 이루며 채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 작동 중 진동 및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축 끝단이 구 형상으로 융기된 볼 스터드에 볼 스터드와 상보적인 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된 틸팅 롤러를 유동 가능하도록 압입하여, 슬라이딩 패널의 슬라이딩 작동 중 유격이나 공차에 의해 롤러의 기울어짐 발생시 틸팅 롤러를 통해 회전축 기울어짐량을 보정함으로써, 채널과 롤러간 불균일한 접촉에 의한 마찰 소음이나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틸팅 롤러의 챔퍼에 형성된 모서리 돌출부를 통해 틸팅 롤러의 회전축 기울어짐 각도를 제한하게 되며, 과도한 기울어짐에 의한 틸팅 롤러의 요동에 따른 작동 소음이나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볼 스터드가 압입되는 반대 방향의 틸팅 롤러 연결부에 돌출된 스토퍼를 통해, 볼 스터드의 회전축 압입 방향 이동량을 제한함으로써, 볼 스터드의 끝단이 채널 내부면이나 가이드 홈 표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볼 스터드 끝단부와의 접촉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롤러의 회전축을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하여, 롤러의 채널 내 이동 중 롤러의 회전축 텐션 조절에 의해 롤러의 기울어짐량을 보정함으로써, 작동 소음 및 진동 발생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의 슬라이딩 작동 과정 및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에서 와이어에 의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와 구동부간 연결 구조, 및 캐리어 플레이트와 슬라이딩 패널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에서 레일의 단면 형상 및 채널 내 삽입된 롤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에서 구동부의 정방향 회전에 따른 슬라이딩 패널의 펼침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에서 구동부의 역방향 회전에 따른 슬라이딩 패널과 베이스 패널간 중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에서 구동부의 형상 및 드럼의 와이어 권취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에서 드럼의 회전 방향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에서 구 형상으로 융기된 연결면이 형성된 틸팅 롤러와 볼 스터드간 압입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에서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틸팅 롤러와 볼 스터드간 압입면을 따라 발생하는 틸팅 작동 및 스토퍼에 의한 볼 스터드의 이동거리 제한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에서 탄성체로 이루어진 회전축이 적용된 롤러의 변형에 따른 텐션 조절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는 의료 기기 또는 건강 관리 용품의 커버나 시트 등의 여닫음, 접힘 또는 펼침 구조에 적용되며, 패널은 슬라이딩 패널(10)과 베이스 패널(20)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패널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패널(10)이 레일(100)을 따라 일방향 슬라이딩 작동을 하게 되면, 슬라이딩 패널(10)과 베이스 패널(20)이 서로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도록 펼쳐지면서 커버의 닫힘 또는 시트의 펼침이 이루어지게 되거나, 슬라이딩 패널(10)의 역방향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 패널(10)과 베이스 패널(20)이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중첩되면서 커버의 열림 또는 시트의 접힘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100)은 레일(100)의 길이 방향이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작동 방향과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슬라이딩 패널(10) 측면에 배치되고, 내부가 빈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 형상을 이루는 채널(channel,110)이 형성되며, 강(steel)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료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료로 구성된다.
슬라이딩 패널(10)과 베이스 패널(20)이 서로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도록 펼쳐질 때, 슬라이딩 패널(10)이 위치하는 방향의 일측 끝단으로 밴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밴딩부(120)는 슬라이딩 패널(10)과 베이스 패널(20)의 중첩시, 레일(100)이 베이스 패널(20)의 배치 방향을 향하도록 포물선 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밴딩부(120)가 형성된 레일(100)의 일측 끝단 방향에는 제1 풀리(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레일(100)의 타측 끝단 방향에는 제2 풀리(1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1 풀리(130)와 제2 풀리(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동 모터(31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가동이 이루어지는 구동부(300)가 배치된다.
제1 풀리(130)와 제2 풀리(140) 및 구동부(300)는 와이어(400)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와이어(400)는 제1,2 풀리(130,14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면서 폐곡선을 이루어, 구동 모터(310)의 회전 가동시 와이어(400)가 제1,2 풀리(130,140)를 양 축으로 하는 궤도 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슬라이딩 패널(10)의 레일(100) 방향 일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플레이트(200)가 장착되며, 캐리어 플레이트(200)의 레일(100) 방향 일측면에는 롤러(2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레일(100)의 채널(110)은 슬라이딩 패널(10) 방향 측면 일부가 레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부(120)가 형성되어, 채널(110) 내부에 롤러(210)가 삽입되면서 캐리어 플레이트(200)와 레일(100)이 서로 연결될 때, 개방부(120)가 롤러(210) 회전축의 이동 통로가 된다.
슬라이딩 패널(10)은 캐리어 플레이트(200)와 롤러(210)를 통해 레일(100)에 연결되며, 캐리어 플레이트(200)는 제1,2 풀리(130,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와이어(400)에 고정되어, 구동 모터(31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가동에 따라 와이어(400)의 궤도 운동이 발생하면, 캐리어 플레이트(200)의 제1 풀리(130) 방향 또는 제2 풀리(140) 방향 직선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하 중첩된 상태의 슬라이딩 패널(10)이 베이스 패널(20)로부터 펼쳐질 때 구동 모터(310)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 회전, 슬라이딩 패널(10)과 베이스 패널(20)간 중첩이 이루어질 때 구동 모터(310)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 회전으로 정의하여 기재한다.
구동 모터(310)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 가동시, 구동 모터(310) 회전축의 시계 방향(CW, clockwise) 회전이나 반시계 방향(CCW, counter clockwise)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구동 모터(310)의 시계 방향(CW) 또는 반시계 방향(CCW) 회전은 구동 모터(310)의 배치 방향 또는 제1,2 풀리(130,140)의 연결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100)은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방향 일측면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방향 양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100)이 슬라이딩 패널(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 레일(100)에 연결되는 롤러(210)와 캐리어 플레이트(200), 와이어(400)를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제1,2 풀리(130,140)와 구동부(300) 및 와이어(400) 또한 슬라이딩 패널(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양측 레일(100)의 밴딩부(120)는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방향 일측면으로 레일(100)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방향 타측면에는 레귤레이터 방식 외에도 유압식, 스프링식, 전자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식의 슬라이더가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슬라이딩 패널(10)의 보다 안정적인 여닫음이나 접힘 또는 펼침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31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캐리어 플레이트(200)가 제1 풀리(130) 방향으로 이동시, 롤러(210)가 레일(100)의 채널(110)을 따라 안내되면서, 베이스 패널(20)과 평행을 이루도록 중첩된 상태의 슬라이딩 패널(10)이 베이스 패널(20)로부터 펼쳐지게 되고, 롤러(210)가 밴딩부(120)에 다다르면, 밴딩부(120)가 형성하는 포물선 형상을 따라 롤러(210)의 채널(110)내 이동 방향이 전환되어, 슬라이딩 패널(10)과 베이스 패널(20) 표면이 서로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도록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31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캐리어 플레이트(200)가 제2 풀리(140) 방향 직선 이동시, 밴딩부(120)가 형성하는 포물선 형상을 따라 롤러(210)의 채널(110)내 이동 방향이 전환되면, 베이스 패널(20)과 연접하는 슬라이딩 패널(10)의 측면 끝단이 베이스 패널(20)과 중첩이 발생하게 된다.
롤러(210)가 밴딩부(120)를 벗어나 채널(110)내 직선 구간에 진입하면 베이스 패널(20)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슬라이딩 패널(10)이 제2 풀리(140)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슬라이딩 패널(10)과 베이스 패널(20)간 완전한 중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패널(10)과 연결되는 회전축 반대측 방향의 롤러(210) 표면 일부가 일정 높이 돌출되어 가이드 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롤러(210)의 가이드 돌기(211)와 상보적인 형태의 오목홈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 홈(112)이 레일(100)의 개방부(111) 반대측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이동시 롤러(210)가 채널(110) 내부를 이동할 때, 가이드 홈(112)이 가이드 돌기(211)를 안내하여 채널(110)과 롤러(210)간 흔들림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작동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300)는 구동 모터(310)와 연결되고, 외주면 표면에 와이어(400)가 권취되는 드럼(3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동 모터(310)의 구동에 따른 드럼(32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드럼(320)에 권취된 제1 풀리(130) 방향 와이어(400)와 제2 풀리(140) 방향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제1,2 풀리(130,140)에 의해 와이어(400)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면서 구동 모터(310)의 회전 운동을 와이어(400)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400)는 제1 와이어(410)와 제2 와이어(4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풀리(11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제1 와이어(410)의 양 끝단은 각각 드럼(320)과 캐리어 플레이트(200)에 고정되고, 제2 풀리(23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제2 와이어(420)의 양 끝단은 각각 드럼(320)과 캐리어 플레이트(100)에 고정된다.
드럼(320)에 고정된 제1 와이어(410)와 제2 와이어(420)의 끝단은 드럼(320) 표면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권취되며, 드럼(320)의 정방향이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제1 와이어(410)의 풀린 길이만큼 제2 와이어(420)의 드럼(320) 표면으로의 권취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2 와이어(420)의 풀린 길이만큼 제1 와이어(410)의 드럼(320) 표면으로의 권취가 이루어짐으로써, 구동 모터(310)의 회전 운동을 캐리어 플레이트(200)의 직선 이동 운동으로 전환하여,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롤러(210)는 회전축 끝단이 구 형상으로 융기되어 볼 스터드(220)가 형성되고, 볼 스터드(220)의 구 형상 융기부에 틸팅 롤러(212)가 압입될 수 있으며, 볼 스터드(220)에 압입된 틸팅 롤러(212)의 중앙부에는 볼 스터드(220)의 융기 형상과 상보적인 오목홈 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볼 스터드(220)와 틸팅 롤러(212)간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캐리어 플레이트(200)와 대향하는 틸팅 롤러(212)의 연결부 가장자리를 따라 챔퍼(chamfer,213)가 형성되며, 볼 스터드(220)는 챔퍼(213)가 형성된 방향으로부터 틸팅 롤러(212)에 압입된다.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작동 중 채널(110)과 롤러(210)간 유격이나 공차(tolerance)에 의해, 채널(110) 내부를 이동하는 롤러(210)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롤러(210)의 기울어짐은 채널(110) 특정 부와 불균일한 접촉 상태를 유발하여 마찰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9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챔퍼(213)는 볼 스터드(220)와 틸팅 롤러(212)간 구 형상의 압입면을 따라 틸팅 롤러(212)의 회전축 기울어짐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채널(110)의 유격이나 공차에 따른 기울어짐 각도만큼 틸팅 롤러(212)의 회전축 기울어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볼 스터드(220)의 회전축과 틸팅 롤러(212)의 회전축간 기울어짐량을 보정하게 된다.
또한, 틸팅 롤러(212)에 형성된 구 형상의 압입면과 챔퍼(213)간 연결 부위의 끝단은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돌출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틸팅 롤러(212)의 회전축 기울어짐 각도가 일정 각도 초과시 압입면과 챔퍼(213)간 연결 부위 돌출부가 볼 스터드(220)의 회전축과 접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작동 중 틸팅 롤러(212)의 기울어짐량을 제한하게 되며, 틸팅 롤러(212)의 과도한 기울어짐에 따른 틸팅 롤러(212)의 요동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슬라이딩 패널(10)의 작동 소음이나 진동 발생을 방지한다.
이때, 도 9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 스터드(220)가 압입되는 틸팅 롤러(212)의 챔퍼(213) 반대 방향 연결부 가장자리에 스토퍼(214)가 돌출되며, 스토퍼(214)는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작동 중 회전축 압입 방향으로의 볼 스터드(220) 이동량을 제한함으로써, 볼 스터드(220)의 끝단이 채널(110) 내부면이나 가이드 홈(112) 표면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압입을 통한 틸팅 롤러(212)와 볼 스터드(220)의 조립 결합 과정에서 과도한 압입력이 작용하거나,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작동 중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볼 스터드(220)가 틸팅 롤러(212)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볼 스터드(220)의 끝단이 채널(110) 내부면이나 가이드 홈(112) 표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작동 중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롤러(210)의 회전축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작동 중 채널(110)의 유격이나 공차에 따른 기울어짐 각도만큼 롤러(210)가 기울어지면서 롤러(210)의 회전축에 텐션이 가해질 때, 롤러(210)의 회전축이 탄성 변형되면서 롤러(210)의 기울어짐량 보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슬라이딩 작동 중 롤러(210)의 요동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롤러(210), 특히 틸팅 롤러(212)는 이중사출 방식으로 제조하거나, 표면 코팅을 수행함으로써, 채널(110)과 접촉하는 표면이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롤러(210)가 채널(110) 내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롤러(210) 외표면의 탄성체가 흡수하여 작동 소음 및 진동 발생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슬라이딩 패널 20: 베이스 패널
100: 레일 110: 채널
111: 개방부 112: 가이드 홈
120: 밴딩부 130: 제1 풀리
140: 제2 풀리 200: 캐리어 플레이트
210: 롤러 211: 가이드 돌기
212: 틸팅 롤러 213: 챔퍼
214: 스토퍼 220: 볼 스터드
300: 구동부 310: 구동 모터
320: 드럼 400: 와이어
410: 제1 와이어 420: 제2 와이어

Claims (5)

  1. 슬라이딩 패널(10)과 베이스 패널(20)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며, 레일과 풀리 및 와이어로 구성되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레귤레이터 시스템 가동에 따른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 패널(10)과 베이스 패널(20)이 펼쳐지면서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거나, 슬라이딩 패널(10)의 역방향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 패널(10)과 베이스 패널(20)이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중첩되는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에 있어서,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작동 방향과 평행을 이루도록 슬라이딩 패널(10) 측면에 배치되고, 내부가 빈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 형상의 채널(channel,110)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 슬라이딩 패널(10)과 베이스 패널(20)의 중첩시 베이스 패널(20) 배치 방향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밴딩부(120)가 형성되는 레일(100);
    밴딩부(120)가 형성된 레일(100)의 일측 끝단 방향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풀리(130);
    레일(100)의 타측 끝단 방향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 풀리(140);
    슬라이딩 패널(1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 플레이트(200);
    캐리어 플레이트(20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채널(110) 내부에 삽입되는 롤러(210);
    레일(100)의 슬라이딩 패널(10) 방향 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채널(110) 내부에 롤러(210) 삽입시, 롤러(210)의 회전축 이동 통로가 되는 개방부(120);
    구동 모터(31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가동이 이루어지는 구동부(300);
    제1,2 풀리(130,14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도록 구동부(300)와 제1,2 풀리(130,140)를 서로 연결하며, 캐리어 플레이트(200)가 제1,2 풀리(130,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와이어(400);
    로 구성되어, 구동부(300) 구동시 롤러(211)가 채널(110)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고, 의료 기기 또는 건강 관리 용품의 커버나 시트의 여닫음이나 접힘 또는 펼침이 이루어지며, 레일(100)에 의해 안내되는 캐리어 플레이트(200)의 수평 방향 이동 중 밴딩부(120)의 구부러진 형상을 따라 캐리어 플레이트(200)의 연결 각도 변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210)는 구 형상으로 융기된 끝단이 형성된 회전축인 볼 스터드(220)와, 중앙에 볼 스터드(220)의 융기 형상과 상보적인 오목홈 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볼 스터드(220)에 유동 가능하도록 압입되는 틸팅 롤러(212)로 이루어지되,
    캐리어 플레이트(200)와 대향하는 틸팅 롤러(212)의 연결부 가장자리를 따라 챔퍼(chamfer,213)가 형성되어, 구동부(300) 가동에 의한 롤러(210)의 채널(110) 내부 이동 중, 볼 스터드(220)와 틸팅 롤러(212)간 구 형상의 압입면을 따라 볼 스터드(220)의 회전축과 틸팅 롤러(212)의 회전축간 기울어짐량 보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10)는 슬라이딩 패널(10) 반대측 방향의 롤러(210) 표면 일부가 일정 높이 돌출되어 가이드 돌기(211)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100)은 레일(100)의 개방부(111) 반대측면에 롤러(210)의 가이드 돌기(211)와 상보적인 형태의 오목홈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 홈(112)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패널(10)의 슬라이딩 작동시 롤러(210)의 가이드 돌기(211)가 레일(100)의 가이드 홈(112)을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10)의 회전축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구동부(300) 가동에 의한 롤러(210)의 채널(110) 내부 이동 중, 롤러(210)의 회전축의 탄성 변형에 따른 텐션 조절에 의해 롤러(210)의 기울어짐량 보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롤러(212)의 챔퍼(213) 반대 방향 연결부 가장자리에는 스토퍼(214)가 돌출되어, 회전축 압입 방향으로의 볼 스터드(220) 이동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
KR1020210139213A 2021-10-19 2021-10-19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 KR10253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213A KR102537452B1 (ko) 2021-10-19 2021-10-19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213A KR102537452B1 (ko) 2021-10-19 2021-10-19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624A KR20230055624A (ko) 2023-04-26
KR102537452B1 true KR102537452B1 (ko) 2023-05-30

Family

ID=8609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213A KR102537452B1 (ko) 2021-10-19 2021-10-19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4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030B1 (ko) * 2011-08-17 2013-05-2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용 침대
KR101521716B1 (ko) * 2013-11-08 2015-05-19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전신 마사지기
KR20160078653A (ko)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세라젬 오토슬라이딩 타입의 마사지장치
KR102365663B1 (ko) * 2017-03-23 2022-02-22 (주)세라젬 온열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624A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38433A1 (zh) 一种柔性屏终端
US9067479B2 (en) Roller shade
US20140285066A1 (en) Linear ultrasonic motor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13062060A1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10247902B2 (en) Moto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537452B1 (ko)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구조
CN107765502B (zh) 投影屏幕装置
US9796250B2 (en) Vehicle window regulator, and vehicle door structure comprising the vehicle window regulator
US20120186758A1 (en) Sunshade device
US7717009B2 (en) Rotary damper
JP2019146386A (ja) ケーブル移動装置
JP7490986B2 (ja) 車両用開閉体駆動装置
JP2008167585A (ja) 減速機構付き電動モータ
CN111012149B (zh) 一种用于智能家居的窗帘和控制方法
CN114373383A (zh) 可折叠显示设备
CN111035217A (zh) 一种构件智能家居的自动窗帘和控制方法
EP4026590A1 (en) Length adjustment module, slope adjustment tool, and treadmill comprising same
KR20140133227A (ko) 축방향 왕복 운동 장치
CN113888985B (zh) 显示装置
US7191563B2 (en) Tension roller of power slide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WO2021079963A1 (ja) 駆動装置及び窓ガラス昇降装置
US20230132282A1 (en) Display device
US8390171B2 (en) Ultrasonic motor mechanism
JP3617747B2 (ja) 車両用ブラインド装置
US20230137554A1 (en) Vehicle do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