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398B1 -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 Google Patents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398B1
KR102537398B1 KR1020220113587A KR20220113587A KR102537398B1 KR 102537398 B1 KR102537398 B1 KR 102537398B1 KR 1020220113587 A KR1020220113587 A KR 1020220113587A KR 20220113587 A KR20220113587 A KR 20220113587A KR 102537398 B1 KR102537398 B1 KR 102537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user
band
cap
sti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진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딥슨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딥슨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딥슨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113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398B1/ko
Priority to KR1020230066047A priority patent/KR20240034634A/ko
Priority to KR1020230066046A priority patent/KR20240034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21Neural system treatment
    • A61N2007/0026Stimulation of nerv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73Ultrasound therapy using multiple frequenc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78Ultrasound therapy with multiple treatment transdu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1Beam steering with moving parts, e.g. transducers, lenses, r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용자의 머리와 밀착되도록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밴드 본체; 상기 밴드 본체의 전방부로서 상기 사용자의 전두부와 밀착되는 전방끈에 구비된 한 쌍의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전방끈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캡 본체가 구비된 캡; 및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한 쌍의 레일과 결합되기 전에 상기 캡 본체에 결속되어 상기 캡 본체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배향되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자극기;를 포함하고, 상기 캡 및 초음파자극기는, 복수의 영역으로 초음파가 조사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복수개의 초음파자극기를 한 쌍의 레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초음파 치료가 요구되는 복수의 신체 영역과 용이하게 배향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밴드의 착용이 가능한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다양하게 초음파 자극을 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Movable ultrasonic stimulator band}
본 발명은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자극기를 밴드 본체에 결합시킨 후 초음파 치료가 요구되는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향해 초음파가 조사되도록 초음파자극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에 관한 것이다.
물리적인 침습 과정 없이 뇌 환부를 자극할 수 있는 초음파 자극 치료법이 알려져있다. 주지하다시피 뇌신경 자극 기술 중에서 경두개 직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기술이나 경두개 자기자극(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기술은, 뇌심부(deep brain)까지 자극하여 치료하는 것이 어려우며, 뇌심부의 특정 영역을 목적으로 치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초음파자극 기술은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극소부위 및 뇌심부(deep brain)까지 신경 세포(neuron)의 활동을 활성화 하거나 또는 억제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뇌신경 조절을 통해 우울장애, 조현병 등의 정신 질환이나 알츠하이머, 뇌전증 등 만성 신경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자극 기술은 뇌척수액에 녹아있는 단백질 종류의 각종 노폐물(예: 치매의 원인인 베타 아밀로이드, 타우단백질)을 제거하는 프로세스인 글림프 시스템(Glymphatic System)이라는 뇌척수액의 뇌속 세정기능을 초음파 자극으로 더욱 활발하게 일어날수 있게 초음파로 자극을 주어 치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음파자극 기술을 이용하여 만성 신경계 질환의 치료와 뇌속 세정기능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초음파자극기가 초음파로 뇌의 여러 영역을 자극할 필요가 있는데, 초음파자극기가 뇌의 여러 영역에 초음파를 일괄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치료자)의 머리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초음파자극기를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장치(예: 모자, 헤드기어, 헬멧)에 배치시킨 초음파자극 시스템이 구현되었는데, 초음파자극 시스템으로 뇌의 여러 영역을 자극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초음파자극기가 장치의 전체 면적에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치 방식이 복잡하며, 제조 및 운용하는데 있어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3925호(2020.01.0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1009호(2021.10.28 등록)
본 발명은 초음파자극기의 배치 방식이 복잡하며, 제조 및 운용하는데 있어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종래의 초음파자극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초음파자극기를 밴드 본체에 결합시킨 후 사용자의 다양한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밴드 본체를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시키고, 초음파 치료가 요구되는 사용자의 신체 영역과 배향되도록 초음파자극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가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동시에 조사되도록 복수개의 초음파자극기를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용자의 머리와 밀착되도록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밴드 본체; 상기 밴드 본체의 전방부로서 상기 사용자의 전두부와 밀착되는 전방끈에 구비된 한 쌍의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전방끈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캡 본체가 구비된 캡; 및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한 쌍의 레일과 결합되기 전에 상기 캡 본체에 결속되어 상기 캡 본체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배향되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자극기;를 포함하고, 상기 캡 및 초음파자극기는, 복수의 영역으로 초음파가 조사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와 다른 방식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용자의 머리와 밀착되도록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밴드 본체; 상기 밴드 본체의 일부로서 상기 사용자의 전두부와 밀착되는 전방끈에 구비된 한 쌍의 캡 삽입부와, 상기 밴드 본체의 일부로서 일단이 상기 전방끈과 일체 형성되며 타단이 일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의 전두부로부터 정수리를 거쳐 후두부와 인접하게 되는 머리망과, 상기 밴드 본체의 일부로서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캡 삽입부와 일체 형성되며 상기 머리망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사용자의 머리와 이격되면서 상기 머리망을 X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X 밴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캡 본체를 통해 상기 밴드 본체상에 배치되는 캡; 및 상기 캡 본체가 상기 밴드 본체상에 배치되기 전에 상기 캡 본체에 결속되며, 상기 밴드 본체상에서 배향되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자극기;를 포함하고, 상기 캡 및 초음파자극기는, 복수의 영역으로 초음파가 조사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초음파자극기를 초음파 치료가 요구되는 복수의 신체 영역과 배향되도록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밴드의 착용이 가능한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다양하게 초음파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자극기로 초음파 치료가 요구되는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 자극을 선행함으로써, 치료에 대한 약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의 전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과 한 쌍의 레일간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과 제1 접착수단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과 제2 접착수단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에서 사용하는 초음파의 파형 변조와 파라미터 설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초음파자극기가 교호적으로 동작할 때의 파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의 전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과 한 쌍의 캡 삽입부간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과 제3 접착수단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1 실시예
이하에서는, 초음파 치료가 요구되는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향해 초음파(10)가 조사되도록 초음파자극기(13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자극을 선행함으로써, 치료에 대한 약물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100)는 초음파(10)를 조사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초음파자극기 밴드(100)의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의 전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며 밴드 본체(110), 캡(120) 및 초음파자극기(130)가 구비된다.
상기 밴드 본체(110)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용자의 머리와 밀착되도록 유연한 소재(예: 실리콘)의 전방끈(111), 스트랩(112), 후방끈(113), 머리망(114) 및 고정끈(115)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끈(111)은 밴드 본체(110)의 전방부로서 사용자의 전두부와 밀착되며, 초음파자극기(130)의 슬라이드 이동 및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 이동제한부(1111) 및 한 쌍의 레일(1112)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는 캡(120)의 외형을 이루는 캡 본체(121)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이동경로이며, 이동제한부(1111)에 의해 전방끈(111)상에서 구획되어 제1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a)와 제2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b)로 나누어진다.
상기 이동제한부(1111)는 캡 본체(121)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를 제1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a)와 제2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b)로 구획하기 위해 한 쌍의 레일(1112)과 결합되는 형태로 전방끈(111)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제한부(1111)는 캡 본체(121)가 제1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a)상에서 최대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거리와 제2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b)상에서 최대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거리가 동일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를 균등하게 구획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1112)은 제1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a)와 제2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b)상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레일(1112a)와 제2 레일(1112b)로 이루어지며, 캡 본체(121)가 끼움구(127)를 통해 끼움결합되면 상기 캡 본체(121)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상기 스트랩(112)은 사용자의 다양한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3중 스트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와 밀착되기 위해 벨크로(1120a, 1120b)의 탈부착이 가능한 제1 벨크로 스트랩부(112a) 및 제2 벨크로 스트랩부(112b)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벨크로 스트랩부(112a)는 제2 벨크로 스트랩부(112b)와의 탈부착을 위해 제1 벨크로(1120a)가 구비되며, 제1 고정끈(115a)과 인접한 전방끈(111)의 일단 및 후방끈의 일단(113a)과 연결되는 형태로 전방끈(111) 및 후방끈(113)과 일체 형성된다.
상기 제2 벨크로 스트랩부(112b)는 제1 벨크로 스트랩부(112a)와의 탈부착을 위해 제2 벨크로(1120b)가 구비되며, 제2 고정끈(115b)과 인접한 전방끈(111)의 타단 및 후방끈의 타단(113b)과 연결되는 형태로 전방끈(111) 및 후방끈(113)과 일체 형성된다.
상기 후방끈(113)은 일단(113a)이 제1 벨크로 스트랩부(112a)로부터 일체 형성되면서 타단(113b)이 제2 벨크로 스트랩부(112b)로부터 일체 형성되어 스트랩(112)와 일체 형성되며,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 지지하게 된다.
상기 머리망(114)은 사용자의 전두부로부터 정수리까지에 밀착되는 제1 머리망부(1140) 및 상기 사용자의 측두부로부터 정수리까지에 밀착되고 중심부가 상기 제1 머리망부(1140)의 타단과 일체 형성되는 제2 머리망부(114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머리망부(1140)는 일단이 전방끈(111)의 중심부와 연결되어 이동제한부(1111)와 근접하게 되며, 나머지가 사용자의 전두부로부터 정수리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전두부로부터 정수리까지에 밀착된다.
상기 제2 머리망부(1141)는 일측의 내면이 전방끈(111)의 일단과 밀착되며, 타측의 내면이 전방끈(111)의 타단과 밀착되고, 나머지가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서 사용자의 측두부로부터 정수리를 향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측두부로부터 정수리까지에 밀착된다.
즉, 상기 밴드 본체(110)는 스트랩(112) 및 후방끈(113)으로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 지지하게 되며, 머리망(114)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전두부 및 측두부로부터 정수리까지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상태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머리망부(1141)는 밴드 본체(110)가 특정 장소(예: 진료실)에 구비된 고정장치와 체결되기 위해 체결수단(1141a)이 외면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100)에 머리를 착용하여 초음파 치료가 요구되는 머리의 일부 영역에 초음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고정끈(115)은 제2 머리망부(1141)의 일단 및 타단의 위치 변경을 통해 머리망(114)이 사용자의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용자의 전두부, 측두부 및 정수리와 밀착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제2 머리망부(1141)의 일측과 인접하게 되는 제1 고정끈(115a) 및 상기 제2 머리망부(1141)의 타측과 인접하게 되는 제2 고정끈(115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고정끈(115a)은 제2 머리망부(1141)의 일측이 관통되도록 홈을 형성하며, 제2 머리망부(1141)의 일단의 위치를 변경 및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150a)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수단(1150a)은 사용자에 의해 압력이 가해져 상기 제2 머리망부(1141)의 일측 외면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2 머리망부(1141)의 일단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제2 머리망부(1141)의 일측 외면을 가압하지 않게 되면 상기 제2 머리망부(1141)의 일단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 제2 고정끈(115b)은 제2 머리망부(1141)의 타측이 관통되도록 홈을 형성하며, 제2 머리망부(1141)의 타단의 위치를 변경 및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수단(1150b)이 구비된다.
상기 제2 고정수단(1150b)은 사용자에 의해 압력이 가해져 상기 제2 머리망부(1141)의 타측 외면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2 머리망부(1141)의 타단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제2 머리망부(1141)의 타측 외면을 가압하지 않게 되면 상기 제2 머리망부(1141)의 타단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 머리망부(114)는 상기 제1, 2 고정수단(1150a, 1150b)으로부터 일측 외면 및 타측 외면이 가압하지 않게 되면, 제1 고정끈(115a) 및 제2 고정끈(115b)의 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캡(120)은 한 쌍의 레일(1112)과 결합되어 전방끈(111)의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캡 본체(121)가 구비되며, 제1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a)와 제2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b)상에서 각각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제1 캡(120a)과 제2 캡(120b)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캡 본체(121)는 한 쌍의 레일(1112)과 결합되기 전에 초음파자극기(130)를 결속시키며, 이를 통해 상기 초음파자극기(130)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캡 본체(121)는 초음파자극기(130)의 결속을 위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한 제1 하우징(121a)과 제2 하우징(12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하우징(121a) 및 제2 하우징(121b)에는 결속부(122), 개구부(123), 복수개의 지지부(124), 끼움구(127) 및 돌출부재(128)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21a)에는 초음파자극기(130)의 결속을 위한 제1 결속부(125a) 및 제2 결속부(125b)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121b)에는 상기 제1, 2 결속부(125a, 125b)에 의해 결속될 제1 피결속부(126a) 및 제2 피결속부(126b)가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캡 본체(121)는 상기 제1, 2 피결속부(126a, 126b)의 결속을 통해 폐쇄되며, 이때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자극기(130)를 결속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과 한 쌍의 레일간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결속부(122)는 캡 본체(121)에 인입된 초음파자극부(131)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상기 초음파자극부(131)의 외주면과 교합되어 상기 초음파자극기를 결속시킨다.
이러한 상기 결속부(122)와 초음파자극부(131)의 교합 방식은 한정하지 아니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초음파자극부(131)의 외주면에 교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자극부(131)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기 결속부(122)의 내면에 피교합면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부(122)와 초음파자극부(131)이 교합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3)는 캡 본체(121)에 인입된 커버(132)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상기 커버(132)의 타단 및 케이블 연결부(133)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개구부(123)는 캡 본체(121)가 폐쇄된 상태를 기준으로, 결속부(122)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초음파자극부(131)가 커버(132)보다 외주면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124)는 캡 본체(121)에 인입된 초음파자극부(131)의 타단과 접촉되는 단턱을 통해 상기 초음파자극부(131)의 타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124)는 초음파자극부(131)의 타단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 제1 하우징(121a)과 제2 하우징(121b)에 각각 2개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끼움구(127)는 캡 본체(121)가 한 쌍의 레일(1112)과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캡 본체(121)를 이루는 제1 하우징(121a)과 제2 하우징(121b)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며, 돌출부재(128)가 일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 하우징(121a)에 형성된 끼움구(127)와 상기 제2 하우징(121b)에 형성된 끼움구(127)는 상기 캡 본체(121)가 폐쇄될 때를 기준으로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재(128)는 끼움구(127)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끼움구(127)와 일체 형성되어 상기 끼움구(127)에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1112)의 끝단과 교합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자극기(130)는 캡 본체(121)가 끼움구(127) 및 돌출부재(128)를 통해 한 쌍의 레일(1112)과 결합되기 전에, 상기 캡 본체(121)에 결속되어 상기 캡 본체(121)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배향되는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초음파자극기(130)는 제1 캡(120a)과 제2 캡(120b)의 각 캡 본체(121)에 결속될 수 있도록, 제1 초음파자극기(130a)와 제2 초음파자극기(130b)로 마련되며, 이를 통해 상기 캡 본체(12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동안 또는 슬라이드 이동된 후에 복수의 영역으로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초음파자극기(130)는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을 포함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해 초음파자극부(131), 커버(132) 및 케이블연결부(133)가 구비된다.
상기 초음파자극부(131)는 일단과 근접 또는 인접하게 되는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한 압전체 및 정합층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초음파자극부(131)에 내장된 압전체는 전극으로부터 제공받은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여 초음파를 조사하며, 정합층은 상기 압전체로부터 초음파가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을 향해 유효하게 조사(또는 방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초음파자극부(131)는 커버(132)보다 외주면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서 복수개의 지지부(124)에 구비된 각각의 단턱과 접촉되는 영역이 상기 커버(132)와 연결되는 타단에 확보될 수 있고, 상기 단턱과의 접촉을 통해 타단이 지지됨으로써 캡 본체(121)에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커버(132)는 일단이 초음파자극부(131)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초음파자극부(131)에 내장된 압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전극이 내장된다.
이러한 상기 커버(132)에 내장된 전극은 압전체로 전달할 전기 에너지를 케이블연결부(133)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게 된다.
상기 케이블연결부(133)는 일단이 커버(132)의 타단과 결합되며, 압전체가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전기 에너지를 상기 커버(132)에 내장된 전극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된 케이블이 삽입될 커넥터가 타단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초음파자극기(130)는 케이블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132)에 전기 에너지가 충전된 배터리가 전극과 함께 내장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자극기(130)는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초음파 자극의 ON/OFF를 위한 전원부와, 커버(132)에 배터리가 내장됨과 동시에 케이블 연결부(133)의 커넥터에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에 전극으로의 전기 에너지 공급 수단을 배터리 또는 전원공급장치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초음파자극기(130)는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가능한 접착수단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일(1112)을 대신하여 끼움구(127)에 끼움결합되면 초음파자극부(131)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포함한 신체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접착수단은 머리를 제외한 사용자의 신체(예: 어깨, 등)와 접촉되기 위한 접촉부의 형태가 서로 다른 제1 접착수단(140a)과 제2 접착수단(140b)으로 마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과 제1 접착수단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과 제2 접착수단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1 접착수단(140a)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될 십자형의 제1 접착부(1400a)가 구비되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본체(121)의 끼움구(127)를 통해 상기 캡 본체(121)에 끼움결합된 후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접착수단(140a)은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제1 접착부(1400a)의 일면에 테이프 등의 접착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수단(140b)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착부(1400a)와 다른 형태의 제2 접착부(1400b)가 구비되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본체(121)의 끼움구(127)를 통해 상기 캡 본체(121)에 끼움결합된 후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접착수단(140b)은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제2 접착부(1400b)의 일면에 테이프 등의 접착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100)에는 초음파자극기(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이 상기 초음파자극기(130)의 내부에 구비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주파수발생부(150)는 소정의 주파수(예 : 100 KHz ~ 800 KHz 대역의 펄스 파형, 151)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800 KHz 초과의 주파수에 의한 초음파는 두개골에 의해 약 70% 이상 흡수되어 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파형변조기(160)는 발생된 주파수(151)의 파형을 펄스포락선(161) 또는 하프사인 포락선(Half Sine Envelope, 163)으로 변조하는데, 이러한 주파수(151)의 변조 과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에서 사용하는 초음파의 파형 변조와 파라미터 설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파형 변조의 파형도를 참조하면, 주파수(151)는 펄스포락선(161)이나 하프사인 포락선(163)을 통해 파형이 변조되는 과정에서 D는 버스트 지속 시간(Burst duration, BD)이다. 그리고 PRP(Pulse Repetition Period) 역수는 펄스 반복 주파수(Pulse Repetition Frequency, PRF)로, 펄스 길이(Pulse Length, PL) × 펄스 반복 주파수(PRF)가 차지하는 기간(즉, 초음파가 조사되는 시간)이 펄스 길이(PL) 상대 비율을 듀티 사이클(%)로 표현된다(예: PL 1 mS duty 10 %면, 1 mS가 10 %의 비율로 차지함으로 PRF=1/10 mS). 또한, 펄스의 수(N)를 조정하여 총 초음파 조사시간을 결정하고, 초음파의 세기/파워는 파형의 피크-투-피크의 크기(A)로 결정한다.
상기 초음파자극기(130)는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고, 다양한 펄스(Pulse) 조합의 자극을 통한 치료효과를 보기 위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파형의 조합을 제어부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9의 (b)의 파형도에서 T/T는 치료 시간(Treatment Time), PL은 펄스 길이(Pulse Length), BD는 버스트 지속 시간(Burst duration), BI는 버스트 간격(Burst Interval), ISI는 내부 자극 간격(Inter Stimulation Interval), PRP는 펄스 반복 기간(Pulse Repetition Period), PRF는 펄스 반복 주파수(Pulse Repetition Frequency)를 의미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증폭기(170)는 변조된 펄스 파형을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며, 공명회로부(180)는 증폭된 파형의 임피던스를 매칭한다.
상기 초음파자극기(130)는 케이블 등의 수단을 통해 공명회로부(180)에 연결되어 초음파(10)를 조사하는데, 초음파(10)의 세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0.1~190Watt/cm2의 공간-피크 펄스-평균강도(Isppa)일 수 있으며, 국제적으로 인체에 가할 수 있는 의료용 초음파 영상기기에서 인가된 최고 세기는 190Watt/cm2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초음파(10)의 초점은 10mWatt/cm2~3Watt/cm2의 공간-피크 시간-평균강도(Ispta)일 수 있으며, 국제적으로 인체에 가할 수 있는 의료용 초음파 영상기기에서 인가된 최고 한계는 720 mW/cm2이지만, 치료용은 더 큰 에너지의 인가가 가능하다고 많은 논문에서 보여지고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a)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 초음파자극기(130a)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이동경로(1110b)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 초음파자극기(130b)는 교호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데, 이때의 제1 초음파자극기(130a)와 제2 초음파자극기(130b)의 파형 및 주파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2 초음파자극기가 교호적으로 동작할 때의 파형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초음파자극기(130a)와 제2 초음파자극기(130b)는 상호 교호적으로 동작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동시에 동작될 수도 있다. 즉, 제1 초음파자극기(130a)가 초음파(10)를 조사하는 사이마다 제2 초음파자극기(130b)가 초음파(10)를 조사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초음파자극기(130a)의 파형과 주파수 및 제2 초음파자극기(130b)의 파형과 주파수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음파(10)는 사용자의 신체 내부에 열작용이 발생되도록 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일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100)와 다른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자극을 선행함으로써, 치료에 대한 약물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200)는 초음파(10)를 조사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초음파자극기 밴드(200)의 장치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의 전면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의 배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2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며 밴드 본체(210), 캡(220) 및 초음파자극기(230)가 구비된다.
상기 밴드 본체(210)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용자의 머리와 밀착되도록 유연한 소재(예: 실리콘)의 전방끈(211), 스트랩(212), 머리망(213) 및 X 밴드(214)가 구비된다.
상기 전방끈(211)은 밴드 본체(110)의 전방부로서 사용자의 전두부와 밀착되며, 초음자자극기(230)를 밴드 본체(210)상에 배치시키기 위한 한 쌍의 캡 삽입부(21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전방끈(211)은 일단 및 타단이 한 쌍의 캡 삽입부(2110)와 일체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심부는 머리망(213)의 일단과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캡 삽입부(2110)는 제1 캡 삽입부(2110a)와 제2 캡 삽입부(21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2 캡 삽입부(2110a, 2110b)는 캡(220)이 삽입될 캡 삽입공간(2111a, 211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2 캡 삽입부(2110a, 2110b)는 캡(220)의 제1 핀(224a)이 관통될 제1 핀 삽입구(2112a, 2112b)와 상기 캡(220)의 제2 핀(225a)이 관통될 제2 핀 삽입구(2113a, 2113b)가 형성되어 상기 캡(200)이 밴드 본체(210)로부터 탈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제1 핀 삽입구(2112a, 2112b)와 제2 핀 삽입구(2113a, 2113b)는 각각 상기 제1, 2 캡 삽입부(2110a, 2110b)상에 복수개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캡(220)은 캡 삽입공간(2111a, 2111b)상에서 부착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캡 삽입부(2110a)는 X 밴드(214)의 일부인 제1 X 밴드 본체(2140)의 일단과 일체 형성되며, 상기 제2 캡 삽입부(2110b)는 상기 X 밴드(214)의 나머지 일부인 제2 X 밴드 본체(2141)의 일단과 일체 형성된다.
상기 스트랩(212)은 도면에 미도시된 벨크로의 탈부착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와 밀착되는 제1 벨크로 스트랩부(212a)와 제2 벨크로 스트랩부(21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벨크로 스트랩부(212a)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머리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제1 캡 삽입부(2110a)의 일단과 일체 형성되고,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제2 벨크로 스트랩부(212b)의 벨크로와 탈부착될 벨크로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벨크로 스트랩부(212b)는 제2 캡 삽입부(2110b)의 타단과 일체 형성되며,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제1 벨크로 스트랩부(212a)의 벨크로와 탈부착될 벨크로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벨크로 스트랩부(212b)는 벨크로가 구비된 일측과 대향되며 제1 벨크로 스트랩부(212a)와 부착될 때를 기준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타측이 머리망(213)의 타단 및 X 밴드(214)의 타단과 결합되고, 이를 통해 상기 머리망(213)의 타단 및 X 밴드(214)의 타단은 상기 제2 벨크로 스트랩부(212b)에 의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머리망(213)은 일단이 전방끈(211)의 중심부와 일체 형성되며, 상기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이 일 방향으로 사용자의 전두부로부터 정수리를 거쳐 후두부와 인접하게 되며 제2 벨크로 스트랩부(212b)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머리망(213)은 일단과 타단의 사이에 제1 핀(224a) 또는 제2 핀(225a)이 관통될 제3 핀 삽입구(2130, 2131)이 형성됨으로써, 캡(220)이 탈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X 밴드(214)는 제1 X 밴드 본체(2140)와 제2 X 밴드 본체(2141)가 일체 형성되며, 머리망(213)을 사이에 두고 사용자의 머리와 이격되면서 상기 머리망(213)을 X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X 형태로 구현되어 밴드 본체(210)상에 구비된다.
상기 제1 X 밴드 본체(2140)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제1 핀(224a) 또는 제2 핀(225a)이 관통될 제4 핀 삽입구(2140a)이 복수개로 형성됨으로써, 캡(220)이 상기 제1 X 밴드 본체(214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탈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제2 X 밴드 본체(2141)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제1 핀(225a) 또는 제2 핀(225b)이 관통될 제5 핀 삽입구(2141a)이 복수개로 형성됨으로써, 캡(220)이 상기 제2 X 밴드 본체(214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탈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캡(220)은 복수의 사용자 머리 영역을 향해 초음파가 조사될 수 있도록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캡(220)은 밴드 본체(210)에 형성된 제1 핀 삽입구(2112a, 2111b) 및 제2 핀 삽입구(2113a, 2113b), 제3 핀 삽입구(2130, 2131), 제4 핀 삽입구(2140a), 제5 핀 삽입구(2141a)를 통해 상기 밴드 본체(210)상에서 복수의 영역에 동시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캡(220)에 끼움결합된 초음파자극기(230)는 복수의 사용자 머리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동시에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캡(22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본체(221)로 외형이 이루어지며, 상기 캡 본체(221)에는 개구부(222), 복수개의 지지결속부(223), 한 쌍의 날개(224, 225)가 구비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222)는 케이블 연결부(232)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구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결속부(223)는 캡 본체(221)에 인입된 초음파자극부(231)의 외주면과 교합되기 위한 결속부재(223a)와, 사용자의 머리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할 상기 초음파자극부(231)의 일단과 대향되는 상기 초음파자극부(231)의 타단과 접촉을 통해 상기 초음파자극부(231)의 타단을 지지하는 단턱(223b)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복수개의 지지결속부(223)는 초음파자극부(231)의 교합 구조가 보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초음파자극부(231)의 타단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 캡 본체(221)의 내부공간상에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날개(224, 225)는 제1 날개(224)와 제2 날개(225)로 이루어지며, 캡 본체(221)는 상기 제1, 2 날개(224, 225)에 구비된 제1, 2 핀(224a, 225a)를 통해 밴드 본체(2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캡 본체(221)가 상기 제1, 2 핀(224a, 225a)을 통해 밴드 본체(210)에 부착되는 방식의 일 예는 도 1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과 한 쌍의 캡 삽입부간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캡 본체(221)는 제1 날개(224)의 일측에 구비된 제1 핀(224a)이 제1 캡 삽입부(2110a) 및 제2 캡 삽입부(2110b) 중 적어도 하나의 캡 삽입부(2110)에 형성된 제1 핀 삽입구(2112)를 관통하며, 제2 날개(225)의 일측에 구비된 제2 핀(225a)이 제2 핀 삽입구(2113)를 관통하는 것을 통해 상기 캡 삽입부(21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2 날개(224, 225)는 캡 본체(221)가 밴드 본체(210)상에 부착된 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되도록 제1, 2 핀(224a, 225a)이 일측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 본체(221)는 상기 제1, 2 핀(224a, 225a)을 통해 밴드 본체(210)에 부착되는 방식의 일 예에서 설명한 한 쌍의 캡 삽입부(2110a, 2110b)의 제1 핀 삽입구(2112a, 2112b) 및 제2 핀 삽입구(2113a, 2113b), 머리망(213)의 제3 핀 삽입구(2130, 2131)와, X 밴드(214)의 제4, 5 핀 삽입구(2140a, 2141a)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밴드 본체(21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고, 상기 밴드 본체(210)에 부착될 때 밴드 본체(210)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자극기(230)는 캡 본체(221)가 밴드 본체(210)상에 배치되기 전에 지지결속부(223)를 통해 상기 캡 본체(221)에 결속되어 끼움결합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캡 본체(221)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상기 밴드 본체(210)상에서 배향되는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초음파자극기(230)는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해 초음파자극부(231) 및 케이블 연결부(232)가 구비된다.
상기 초음파자극부(231)는 일단과 근접 또는 인접하게 되는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한 압전체 및 정합층, 상기 압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전극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초음파자극부(231)는 캡 본체(221)에 끼움결합되기 위해 지지결속부(223)의 결속부재(223a)와 교합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결속부재(223a)와 교합될 외주면에는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결속부재(223a)와의 끼움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은 상기 지지결속부(223)가 상기 캡 본체(221)상에 복수개로 마련됨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 연결부(232)는 일단이 초음파자극부(231)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압전체가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전극으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이 삽입될 커넥터가 타단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초음파자극기(230)는 케이블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음파자극부(231)에 전기 에너지가 충전된 배터리가 전극과 함께 내장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자극기(230)는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초음파 자극의 ON/OFF를 위한 전원부와, 초음파자극부(231)에 배터리가 내장됨과 동시에 케이블 연결부(133)의 커넥터에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에 전극으로의 전기 에너지 공급 수단을 배터리 또는 전원공급장치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초음파자극기(230)는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가능한 접착수단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본체(221)의 외면에 형성된 끼움구(226)에 끼움결합되면 초음파자극부(231)가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포함한 신체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접착수단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 가능한 형태의 제3 접착수단(240)으로 마련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과 제3 접착수단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접착수단(240)은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될 십자형의 제3 접착부(2400)가 구비되며,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본체(221)의 끼움구(226)를 통해 상기 캡 본체(221)에 끼움결합된 후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3 접착수단(240)은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제3 접착부(2400)의 일면에 테이프 등의 접착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200)에는 초음파자극기(23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이 상기 초음파자극기(230)의 내부에 구비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마련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초음파, 100, 200: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110, 210: 밴드 본체, 111, 211: 전방끈,
112, 212: 스트랩, 112a, 212a: 제1 벨크로 스트랩부,
112b, 212b: 제2 벨크로 스트랩부, 113: 후방끈,
113a: 후방끈의 일단, 113b: 후방끈의 타단,
114, 213: 머리망, 115a: 제1 고정끈,
115b: 제2 고정끈, 120, 220: 캡,
120a, 220a: 제1 캡, 120b, 220b: 제2 캡,
121, 221: 캡 본체, 121a: 제1 하우징,
121b: 제2 하우징, 122: 결속부,
123, 222: 개구부, 124: 지지부,
124a, 223b: 단턱, 125a: 제1 피결속부,
125b: 제2 피결속부, 126a: 제1 결속부재,
126b: 제2 결속부재, 127, 226: 끼움구,
128a: 돌출부재, 130: 초음파자극기,
130a: 제1 초음파자극기, 130b: 제2 초음파자극기,
131, 231: 초음파자극부, 132: 커버,
133, 232: 케이블 연결부, 140a: 제1 접착수단,
140b: 제2 접착수단, 150: 주파수발생부,
151: 주파수, 160: 파형변조기,
161: 펄스포락선, 163: 하프사인 포락선,
170: 증폭기, 180: 공명회로부,
1110a: 제1 슬라이드 이동경로, 1110b: 제2 슬라이드 이동경로,
1111: 이동제한부, 1112: 한 쌍의 레일,
1112a: 제1 레일, 1112b: 제2 레일,
1120a: 제1 벨크로, 1120b: 제2 벨크로,
1140: 제1 머리망부, 1141: 제2 머리망부,
1141a: 체결수단, 1150a: 제1 고정수단,
1150b: 제2 고정수단, 1400a: 제1 접착부,
1400b: 제2 접착부, 2110: 캡 삽입부,
2110a: 제1 캡 삽입부, 2110b: 제2 캡 삽입부,
2111: 캡 삽입공간, 2112: 제1 핀 삽입구,
2113: 제2 삽입구, 2130, 2131: 제3 핀 삽입구,
214: X 밴드, 2140: 제1 X 밴드 본체,
2140a: 제4 핀 삽입구, 2141: 제2 X 밴드 본체,
2141a: 제5 핀 삽입구, 223: 지지결속부,
223a: 결속부재, 224, 225: 날개,
224a, 225a: 핀, 240: 제3 접착수단,
2400: 제3 접착부.

Claims (16)

  1. 사용자의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용자의 머리와 밀착되도록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밴드 본체;
    상기 밴드 본체의 전방부로서 상기 사용자의 전두부와 밀착되는 전방끈에 구비된 한 쌍의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전방끈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캡 본체가 구비된 캡; 및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한 쌍의 레일과 결합되기 전에 상기 캡 본체에 결속되어 상기 캡 본체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배향되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자극기;를 포함하고,
    상기 캡 및 초음파자극기는,
    복수의 영역으로 초음파가 조사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본체는,
    상기 한 쌍의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캡 본체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면서 상기 캡 본체의 슬라이드 이동경로를 제1 슬라이드 이동경로와 제2 슬라이드 이동경로로 구획하기 위한 이동제한부가 구비된 상기 전방끈;
    상기 밴드 본체의 후방부로서, 제1 벨크로 스트랩부와 제2 벨크로 스트랩부에 각각 구비된 벨크로의 탈부착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와 밀착되는 스트랩;
    상기 제1 벨크로 스트랩부와 일단, 상기 제2 벨크로 스트랩부와 타단이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스트랩으로부터 일체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 지지하게 되는 후방끈;
    일단이 상기 전방끈의 중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제한부와 근접하게 되며 나머지가 상기 사용자의 전두부로부터 정수리까지에 밀착되는 제1 머리망부와, 일측의 내면이 상기 전방끈의 일단, 타측의 내면이 상기 전방끈의 타단과 밀착되며 나머지가 상기 사용자의 측두부로부터 정수리까지에 밀착되고 상기 제1 머리망부로부터 일체 형성되는 제2 머리망부가 구비된 머리망; 및
    상기 머리망이 상기 사용자의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용자의 전두부, 측두부 및 정수리와 밀착되도록 상기 제2 머리망부의 일단 및 타단의 위치를 변경 및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제1 고정끈;과 제2 고정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자극기는,
    일단과 근접 또는 인접하게 되는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한 압전체 및 정합층이 내장되는 초음파자극부;
    일단이 상기 초음파자극부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압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전극이 내장되는 커버; 및
    일단이 상기 커버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압전체가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전극으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이 삽입될 커넥터가 타단에 구비되는 케이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캡 본체에 인입된 상기 초음파자극부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상기 초음파자극부의 외주면과 교합되어 상기 초음파자극기를 결속시키는 결속부;
    상기 캡 본체에 인입된 상기 커버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상기 커버의 타단 및 상기 케이블 연결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부;
    상기 캡 본체에 인입된 상기 초음파자극부의 타단과 접촉되는 단턱을 통해 상기 초음파자극부의 타단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캡 본체가 상기 한 쌍의 레일과 끼움결합되기 위한 끼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자극기는,
    상기 초음파자극부가 상기 커버보다 외주면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서 상기 단턱을 통해 상기 초음파자극부의 타단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초음파자극기의 결속을 위하여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결속부, 개구부, 지지부 및 끼움구가 구비되고, 상기 초음파자극기의 결속을 위한 제1 결속부 및 제2 결속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결속부, 개구부, 지지부 및 끼움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2 결속부에 의해 결속될 제1 피결속부 및 제2 피결속부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초음파자극기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끼움구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끼움구와 일체 형성되어 상기 끼움구에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의 끝단과 교합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자극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가능한 접착수단이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대신하여 상기 캡 본체의 끼움구에 끼움결합 가능하고,
    상기 접착수단이 상기 끼움구에 끼움결합된 후 상기 접착수단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되면, 상기 초음파자극부가 상기 접착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11. 사용자의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용자의 머리와 밀착되도록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밴드 본체;
    상기 밴드 본체의 일부로서 상기 사용자의 전두부와 밀착되는 전방끈에 구비된 한 쌍의 캡 삽입부와, 상기 밴드 본체의 일부로서 일단이 상기 전방끈과 일체 형성되며 타단이 일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의 전두부로부터 정수리를 거쳐 후두부와 인접하게 되는 머리망과, 상기 밴드 본체의 일부로서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캡 삽입부와 일체 형성되며 상기 머리망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사용자의 머리와 이격되면서 상기 머리망을 X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X 밴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캡 본체를 통해 상기 밴드 본체상에 배치되는 캡; 및
    상기 캡 본체가 상기 밴드 본체상에 배치되기 전에 상기 캡 본체에 결속되며, 상기 밴드 본체상에서 배향되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자극기;를 포함하고,
    상기 캡 및 초음파자극기는,
    복수의 영역으로 초음파가 조사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자극기는,
    일단과 근접 또는 인접하게 되는 사용자의 머리의 일부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한 압전체 및 정합층, 상기 압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전극이 내장되는 초음파자극부; 및
    일단이 상기 초음파자극부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압전체가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전극으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이 삽입될 커넥터가 타단에 구비되는 케이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외면에 형성된 끼움구;
    상기 캡 본체에 인입된 상기 초음파자극부의 외주면과 교합되기 위한 결속부재와, 상기 초음파자극부의 타단과 접촉을 통해 상기 초음파자극부의 타단을 지지하는 단턱이 구비되는 지지결속부;
    상기 케이블 연결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부; 및
    상기 캡 삽입부, 머리망, X 밴드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핀이 일측에 구비된 한 쌍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본체는,
    상기 캡 본체의 핀이 관통 가능한 직경의 핀 삽입구가 상기 캡 삽입부, 머리망, X 밴드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캡 본체의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자극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가능한 접착수단이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대신하여 상기 캡 본체의 끼움구에 끼움결합 가능하고,
    상기 접착수단이 상기 끼움구에 끼움결합된 후 상기 접착수단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착되면, 상기 초음파자극부가 상기 접착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본체는,
    벨크로의 탈부착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머리 둘레의 크기에 맞춰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와 밀착되며, 상기 머리망의 타단 및 상기 X 밴드의 타단과 결합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KR1020220113587A 2022-09-07 2022-09-07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KR102537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587A KR102537398B1 (ko) 2022-09-07 2022-09-07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KR1020230066047A KR20240034634A (ko) 2022-09-07 2023-05-23 치료가 요구되는 신체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선행 자극이 가능한 초음파자극기 밴드
KR1020230066046A KR20240034633A (ko) 2022-09-07 2023-05-23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다양하게 초음파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587A KR102537398B1 (ko) 2022-09-07 2022-09-07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046A Division KR20240034633A (ko) 2022-09-07 2023-05-23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다양하게 초음파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KR1020230066047A Division KR20240034634A (ko) 2022-09-07 2023-05-23 치료가 요구되는 신체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선행 자극이 가능한 초음파자극기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398B1 true KR102537398B1 (ko) 2023-05-30

Family

ID=8652965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587A KR102537398B1 (ko) 2022-09-07 2022-09-07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KR1020230066047A KR20240034634A (ko) 2022-09-07 2023-05-23 치료가 요구되는 신체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선행 자극이 가능한 초음파자극기 밴드
KR1020230066046A KR20240034633A (ko) 2022-09-07 2023-05-23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다양하게 초음파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047A KR20240034634A (ko) 2022-09-07 2023-05-23 치료가 요구되는 신체 영역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선행 자극이 가능한 초음파자극기 밴드
KR1020230066046A KR20240034633A (ko) 2022-09-07 2023-05-23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다양하게 초음파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373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744A (ko) * 2014-03-12 2015-09-22 주식회사 엠에스피 초음파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형 저강도 초음파 집속 자극장치
KR102063925B1 (ko) 2016-09-23 2020-01-08 기초과학연구원 뇌 자극 장치
KR20200121127A (ko) * 2019-04-15 2020-10-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장치
KR20200143303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오토스윙 헤드 밴드
KR102321009B1 (ko) 2021-07-06 2021-11-03 뉴로핏 주식회사 경두개 직류 자극술을 위한 맞춤형 헤드기어 설계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10158629A (ko) * 2020-06-24 2021-12-31 권승열 초점 가변형 초음파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744A (ko) * 2014-03-12 2015-09-22 주식회사 엠에스피 초음파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형 저강도 초음파 집속 자극장치
KR102063925B1 (ko) 2016-09-23 2020-01-08 기초과학연구원 뇌 자극 장치
KR20200121127A (ko) * 2019-04-15 2020-10-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장치
KR20200143303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오토스윙 헤드 밴드
KR20210158629A (ko) * 2020-06-24 2021-12-31 권승열 초점 가변형 초음파 치료장치
KR102321009B1 (ko) 2021-07-06 2021-11-03 뉴로핏 주식회사 경두개 직류 자극술을 위한 맞춤형 헤드기어 설계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633A (ko) 2024-03-14
KR20240034634A (ko)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garwal et al. Wireless power transfer strategies for implantable bioelectronics
US10357646B2 (en) Interface apparatus for stimulation of biological tissue
US2022023384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nerve stimulation
CA2708801C (en) Dermatome stimulation devices and methods
US8874205B2 (en) Device and methods for non-invasive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ir use for vagal nerve stimulation
CN101357251B (zh) 基于微线圈阵列的多通道神经电刺激传输装置
CN105944245A (zh) 头戴式超声换能器
WO2009011529A2 (en) Creation curer of laser low frequency cupping glass iontophoresis magnet needle
US20070043404A1 (en) Device for electrically stimulating parts of the nervous system
KR102537398B1 (ko) 이동형 초음파자극기 밴드
KR102106783B1 (ko) 전기 자극 장치
CN109771855A (zh) 基于多模成像的超声调控神经组织的装置及方法
KR102537399B1 (ko) 이동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밴드
US20230405347A1 (en) Quantized waveform power transmission
US20230390571A1 (en) An electromagnetic treatment device
CN211132719U (zh) 经皮颅耳电刺激仪
EP3691743B1 (en) System for electrical stimulation during functional mri
KR102651511B1 (ko) 전자 세라믹 초음파와 저주파 평행 자기장을 활용한 휴대용 관절 자극장치
CN110870946A (zh) 刺激脑内缰核和/或髓纹和/或后屈束的装置
US20220323745A1 (en) Nerve stimulation therapy for maintaining telomere lengths
KR20230117910A (ko)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JP7278540B2 (ja) 複合治療器
KR20230117911A (ko) 브레인 치료 트랜스듀서 고정형 장치
KR20220069278A (ko) 미주 신경 다중 자극기
CN112295103A (zh) 经皮颅耳电刺激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