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910A -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910A
KR20230117910A KR1020220014223A KR20220014223A KR20230117910A KR 20230117910 A KR20230117910 A KR 20230117910A KR 1020220014223 A KR1020220014223 A KR 1020220014223A KR 20220014223 A KR20220014223 A KR 20220014223A KR 20230117910 A KR20230117910 A KR 20230117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stimulator
brain
mammal
ultrasonic sti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진
웅 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딥슨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딥슨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딥슨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01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7910A/ko
Publication of KR2023011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61M2021/0038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21Neural system treatment
    • A61N2007/0026Stimulation of nerv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56Beam shap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78Ultrasound therapy with multiple treatment transdu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인 치료를 위하여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자극기를 탈부착 또는 이동시킨 후에 고정시킬 수 있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는, 포유류의 뇌를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초음파자극기; 상기 초음파자극기의 탈부착을 통해 상기 초음파자극기가 초음파자극이 필요한 상기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 및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되는 것을 통해 상기 포유류의 머리와 내면이 접촉하게 되며, 상기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가 외면에 결합되는 헬멧;를 포함하며, 초음파자극기의 탈부착 또는 이동을 통해 브레인 치료를 제공받을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과 배향되도록 함으로써, 초음파자극기로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을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Brain Therapy Ultrasonic Stimulator Stationary Device}
본 발명은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인 치료를 위하여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자극기를 탈부착 또는 이동시킨 후에 고정시킬 수 있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리적인 침습 과정 없이 뇌 환부를 자극할 수 있는 초음파 자극 치료법이 알려져있다. 주지하다시피 뇌신경 자극 기술 중에서 경두개 직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기술이나 경두개 자기자극(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기술은, 뇌심부(deep brain)까지 자극하여 치료하는 것이 어려우며, 뇌심부의 특정 영역을 목적으로 치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초음파자극 기술은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극소부위 및 뇌심부(deep brain)까지 신경 세포(neuron)의 활동을 활성화 하거나 또는 억제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뇌신경 조절을 통해 우울장애, 조현병 등의 정신 질환이나 알츠하이머, 뇌전증 등 만성 신경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자극 기술은 뇌척수액에 녹아있는 단백질 종류의 각종 노폐물(예: 치매의 원인인 베타 아밀로이드, 타우단백질)을 제거하는 프로세스인 글림프 시스템(Glymphatic System)이라는 뇌척수액의 뇌속 세정기능을 초음파 자극으로 더욱 활발하게 일어날수 있게 초음파로 자극을 주어 치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음파자극 기술을 이용하여 만성 신경계 질환의 치료와 뇌속 세정기능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초음파자극기가 초음파로 뇌의 여러 영역을 자극할 필요가 있는데, 초음파자극기가 뇌의 여러 영역에 초음파를 일괄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치료자)의 머리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초음파자극기를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장치(예: 모자, 헤드기어, 헬멧)에 배치시킨 초음파자극 시스템이 구현되었는데, 초음파자극 시스템으로 뇌의 여러 영역을 자극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초음파자극기가 장치의 전체 면적에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치 방식이 복잡하며, 제조 및 운용하는데 있어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3925호(2020.01.0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1009호(2021.10.28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초음파자극기의 배치 방식이 복잡하며, 제조 및 운용하는데 있어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종래의 초음파자극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초음파자극기가 브레인 치료를 제공받을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과 배향되도록 탈부착 또는 이동시키고, 초음파가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에 일괄적으로 전달되도록 초음파자극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 조사를 통해 포유류의 뇌 여러 영역이 동시에 치료되도록 복수개의 초음파자극기를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는, 포유류의 뇌를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초음파자극기; 상기 초음파자극기의 탈부착을 통해 상기 초음파자극기가 초음파자극이 필요한 상기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 및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되는 것을 통해 상기 포유류의 머리와 내면이 접촉하게 되며, 상기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가 외면에 결합되는 헬멧;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외연에 상기 초음파자극기가 연결될 막대; 상기 막대가 관통되도록, 상기 막대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막대 수용블럭; 및 상기 복수개의 막대 수용블럭에 각각 마련되며, 손잡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막대가 고정 또는 유동되도록 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는, 상기 복수개의 막대 수용블럭이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막대가 각 막대 수용블럭을 관통할 때, 상기 초음파자극기가 배치될 격자형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자극기는, 상기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자극부; 및 상기 초음파 자극부와 연결되며, 상기 격자형의 중공을 이루도록 외부에 노출되는 각 막대의 외연에 탈부착되어 상기 초음파 자극부를 상기 격자형의 중공에 배치시키는 복수개의 탈부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는,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되어 상기 포유류의 피부에 음향학적으로 커플링되도록 탈기수를 수용하는 워터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는, 포유류의 뇌를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초음파자극기; 상기 초음파자극기의 이동을 통해 상기 초음파자극기가 초음파자극이 필요한 상기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초음파자극기 이동부; 및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되는 것을 통해 상기 포유류의 머리와 내면이 접촉하게 되며, 상기 초음파자극기 이동부가 외면에 결합되는 헬멧;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자극기 이동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되,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각 층마다 상기 초음파자극기가 회전 운동될 중공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자극기는, 상기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자극부; 및 상기 초음파 자극부와 연결되며, 상기 중공을 이루는 두 개의 레일의 외연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초음파 자극부가 상기 두 개의 레일을 따라 회전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는,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되어 상기 포유류의 피부에 음향학적으로 커플링되도록 탈기수를 수용하는 워터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는, 포유류의 뇌를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초음파자극기; 및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맞게 3D 프린팅되어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될 때 상기 포유류의 머리와 내면이 접촉하게 되며, 상기 초음파자극기를 외면에 탈부착 또는 이동시켜 초음파자극이 필요한 상기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헬멧;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자극기의 탈부착 또는 이동을 통해 브레인 치료를 제공받을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과 배향되도록 함으로써, 초음파자극기로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로 마련된 초음파자극기의 탈부착 또는 이동을 통해 포유류의 뇌 여러 영역에 초음파를 동시에 전달함으로써, 복수개의 초음파자극기로 포유류의 뇌 여러 영역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 고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의 탈부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워터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에서 사용하는 초음파의 파형 변조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2 초음파자극기가 교호적으로 동작할 때의 파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의 이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를 이용한 브레인 치료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1 실시예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 고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의 탈부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100)(이하에서는 '고정형 장치(100)'이라 한다.)는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110), 헬멧(120) 및 초음파자극기(130)가 구비된다.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110)는 초음파자극기(130)의 탈부착을 통해 초음파자극기(130)가 초음파자극이 필요한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으로 초음파(10)를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브레인 치료를 제공받을 포유류는 한정하지 아니하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사람)일 수 있고, 초음파자극기(130)의 초음파(10) 기반의 초음파자극으로 치료될 뇌 특정 영역이라 함은 뇌의 전체 영역(예: 좌뇌와 우뇌)일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뇌의 전체 영역 중 일부분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110)는 초음파자극기(130)의 탈부착을 위해 막대(111), 막대 수용블럭(112) 및 락킹수단(113)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막대(111)는 외연에 초음파자극기(130)가 연결되며, 복수개로 마련되어 복수개의 막대 수용블럭(112)을 각각 관통할 수 있고, 헬멧(120)의 외면 형태로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110)가 마련되도록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막대 수용블럭(112)은 막대(111)가 관통되도록, 각 측부에 막대(111)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막대 수용블럭(112)은 복수개로 마련될 뿐만 아니라 격자형으로 배치되는데, 이는 복수개의 막대 수용블럭(112)이 복수개의 막대(111)와 함께 초음파자극기(130)가 배치될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초음파자극기(130)가 배치될 공간은 복수개의 막대(111)가 격자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막대 수용블럭(112)을 관통하게 될 때 형성되는 격자형의 중공일 수 있다.
락킹수단(113)은 각 막대 수용블럭(112)의 일부에 마련되며,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수용홈을 관통한 막대(111)가 고정 또는 유동되도록 한다.
또한, 락킹수단(113)은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손잡이의 회전 방향에 따라 막대(111)를 고정시킬 때, 막대 수용블럭(112)의 내부로 돌출되어 막대 수용블럭(112)의 수용홈을 관통한 막대의 일부와 체결됨으로써, 막대(111)의 유동을 방지하는 체결부재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헬멧(120)은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되는 것을 통해 포유류의 머리와 내면이 접촉하게 되며, 외면에는 막대(111)와 막대 수용블럭(112)이 격자형을 이루는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110)가 외면에 결합됨으로써, 초음파자극기(130)가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과 배향되도록 한다.
이러한 헬멧(120)은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될 때 착용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끈(125)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초음파자극기(130)는 포유류의 뇌 전체 영역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초음파자극기(130)는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에 초음파(10)를 조사하기 위한 트랜스듀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자극부(131) 및 복수개의 탈부착수단(132)으로 구현될 수 있다.
초음파 자극부(131)는 막대(111)와 막대 수용블럭(112)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형의 중공에 배치되며, 격자형의 중공에 배치된 후에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을 향해 초음파(10)를 조사하여 브레인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초음파 자극부(131)는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이 브레인 치료되도록 격자형의 중공에 배치되는 것을 통해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에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초음파 자극부(131)가 배치될 격자형의 중공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복수개의 격자형 중공은 초음파 자극부(131)가 뇌의 전체 영역을 브레인 치료할 수 있게 뇌의 전체 영역에 배향되도록 하는 위치마다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초음파 자극부(131)는 뇌의 전체 영역에 배향되는 일면에서 초음파(10)를 조사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하며, 브레인 치료를 수행하는 관리자(치료자)의 선택에 따라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서 초음파(10)를 조사할 수 있는데, 이는 초음파 자극부(131)가 탈부착이 아닌 복수개의 탈부착수단(132) 중 적어도 하나의 탈부착수단(132)을 축으로 회전하여 격자형의 중공과 인접한 다른 격자형의 중공에 배치될 때,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과 배향되던 일면이 아닌 타면이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과 배향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초음파 자극부(131)를 다른 격자형의 중공에 배치시켜 초음파(10)를 조사하기까지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복수개의 탈부착수단(132)은 초음파 자극부(131)와 연결되며, 막대 수용블럭(112)와 함께 격자형의 중공을 형성하도록 두 개의 막대 수용블럭(112)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는 각 막대(111)의 외연에 탈부착되는 것을 통해 초음파 자극부(131)가 격자형의 중공에 배치되도록 하거나 초음파 자극부(13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탈부착수단(132)은 개수를 한정하지 아니하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격자형의 중공을 이루는 각 막대(111)의 외연에 탈부착되도록 제1 탈부착수단(132a), 제2 탈부착수단(132b), 제3 탈부착수단(132c) 및 제4 탈부착수단(132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탈부착수단(132a)은 제1 막대(111a), 제2 탈부착수단(132b)은 제2 막대(111b), 제3 탈부착수단(132c)은 제3 막대(111c), 제4 탈부착수단(132d)은 제4 막대(111d)의 외연에 각각 탈부착될 수 있으며, 제1, 2, 3, 4 막대(111a, 111b, 111c, 111d)와 함께 격자형의 중공을 형성하는 막대 수용블럭(112)은 제1 막대 수용블럭(112a), 제2 막대 수용블럭(112b), 제3 막대 수용블럭(112c) 및 제4 막대 수용블럭(112d)로 이루어질 수 있고, 락킹수단(113)은 제1 막대 수용블럭(112a)에 구비된 제1 락킹수단(113a), 제2 막대 수용블럭(112b)에 구비된 제2 락킹수단(113b), 제3 막대 수용블럭(112c)에 구비된 제3 락킹수단(113c), 제4 막대 수용블럭(112d)에 구비된 제4 락킹수단(113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초음파자극기(130)는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이 아닌 포유류의 뇌 여러 영역에 초음파(10)를 동시에 조사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예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초음파자극기(130)는 포유류의 뇌 여러 영역에 초음파(10)를 조사하기 위해 개수를 한정하지 아니하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초음파자극기(130a)과 제2 초음파자극기(130b)로 구현되어 포유류의 뇌 여러 영역에 초음파(10)를 조사할 수 있다.
제1 초음파자극기(130a)는 복수의 초음파 프로브 어레이로 구성되며, 저강도로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에 초음파(10)를 조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초음파자극기(130a)의 프로프 어레이는 복수의 초음파소자 선(line)들이 동축으로 구성된 원형이나 대칭형으로 배열되거나, 복수의 디스크형식(원이나 정사각형)의 초음파소자들이 특정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열된 구조이거나, 피에조 물질의 단일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제1 초음파자극기(130a)의 복수의 프로브는 각각의 위상(phase)를 조절하여, 특정한 위치로 초음파가 모이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고, 위상을 조절하여 초음파의 방향도 조절(beam steering)할 수 있다. 만약, 제1 초음파자극기(130a)가 단일 부재의 트랜스듀서인 경우, 제1 초음파자극기(130a)의 지오메트리와 방향은 초음파의 빔 포커스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며, 트랜스듀서는 음향 영역에 따라 초음의 구성 또는 비초점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초음파자극기(130a)는 초음파 자극부(131)와 복수개의 탈부착수단(132)을 통해 특정한 위치를 향하여 독립적으로 작동하나 집속 초음파(Focused Ultrasound)라고 할 만큼의 집속력이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과정에서, 초음파의 동적 압력에 의한 ISF의 대량 유동이 발생되어, 뇌 노폐물을 포함한 용질의 움직임이 강화된다. 여기서, 용질은 혈관주위 공간에서 더 빠르게 흡수되어 뇌의 림프성 노폐물의 원활한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 동적 압력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저주파 대역의 초음파(10)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초음파자극기(130a)에 의해 조사되는 초음파(10)는 포유류의 뇌 바깥에서 뇌심부로 흐르거나 전달되는 뇌의 각종 노폐물을 포함한 용질(Solute)들을 뇌심부로 밀어내어 기존 뇌 림프계를 통해 배출되도록 촉진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초음파자극기(130b)는 상기 제1 초음파자극기(130a)와 상호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수행하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초음파자극기(130a)와 설치 위치 및 조사되는 주파수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형 장치(100)에는 워터백(14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워터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워터백(140)은 헬멧(120)이 포유류의 머리(두피)에 착용되기 전에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으며, 포유류의 피부에 음향학적으로 커플링되도록 탈기수(degassed water)를 수용한다.
이러한 워터백(140)은 커플링 젤로 대체될 수 있는데 커플링 젤은 초음파자극기(130)와 포유류의 두피 사이에 도포되어 음향학적으로 커플링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커플링 젤은 포유류의 두피 굴곡에 밀착하도록 탄성압축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가스가 제거된 PVA(Poly-vinyl Alcohol) 같은 고형젤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고정형 장치(100)에는 초음파자극기(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파수발생부(150)는 소정의 주파수(예 : 100 KHz ~ 800 KHz 대역의 펄스 파형, 151)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800 KHz 초과의 주파수에 의한 초음파는 두개골에 의해 약 70% 이상 흡수되어 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파형변조기(160)는 발생된 주파수(151)의 파형을 펄스포락선(161) 또는 하프사인 포락선(Half Sine Envelope, 163)으로 변조하는데, 이러한 주파수(151)의 변조 과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에서 사용하는 초음파의 파형 변조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파수(151)는 펄스포락선(161)이나 하프사인 포락선(163)을 통해 파형이 변조되는 과정에서 D는 톤지속시간(Tone Burst Duration. TBD)로써, 100~500 ms이다. 그리고, I는 펄스 간격(Inter-Pulse-Interval, IPI)로써 펄스간격(I)의 역수는 펄스 반복 주파수(Pulse Repetition Frequency, PRF)로, TBD ×PRF가 차지하는 기간(즉, 초음파가 조사되는 시간)이 1초에 대한 비율을 듀티 사이클(%)로 표현된다. 또한, 펄스의 수(N)를 조정하여 총 초음파 조사시간을 결정하고, 초음파의 세기/파워는 파형의 피크-투-피크의 크기(A)로 결정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증폭기(170)는 변조된 펄스 파형을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며, 공명회로부(180)는 증폭된 파형의 임피던스를 매칭한다.
초음파자극기(130)는 케이블 등의 수단을 통해 공명회로부(180)에 연결되어 초음파(10)를 조사하는데, 초음파(10)의 세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0.1 ~ 190 Watt/cm2의 공간-피크 펄스-평균강도(Isppa)일 수 있으며, 국제적으로 인체에 가할 수 있는 의료용 초음파 영상기기에서 인가된 최고 세기는 190 Watt/cm2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초음파(10)의 초점은 100~720 mWatt/cm2의 공간-피크 시간-평균강도(Ispta)일 수 있으며, 국제적으로 인체에 가할 수 있는 의료용 초음파 영상기기에서 인가된 최고 한계는 720 mW/cm2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초음파(10)의 톤지속시간(D)은 100~500 ms이면서 듀티 사이클은 0.3~70 %가 될 수 있다. 이는, 100 ms 미만에서는 배출 촉진의 효과가 미미하고, 500 ms보다 큰 경우, 듀티 사이클이 70 %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어(즉 1초에 1회 이상 적용), 해당 공간-피크 펄스-평균강도(Isppa)에 따라 공간-피크 시간-평균강도(Ispta)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Ispta가 높은 경우 인체조직의 온도를 높일 수 있어서 역시 피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복수개의 초음파자극기(130)는 초음파(10)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개수가 한정되지 아니하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초음파자극기(130a)와 제2 초음파자극기(130b)로 한정할 수 있으며, 제1 초음파자극기(130a)와 제2 초음파자극기(130b)는 교호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데, 이때의 제1 초음파자극기(130a)와 제2 초음파자극기(130b)의 파형 및 주파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2 초음파자극기가 교호적으로 동작할 때의 파형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초음파자극기(130a)와 제2 초음파자극기(130b)는 상호 교호적으로 동작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동시에 동작될 수도 있다. 즉, 제1 초음파자극기(130a)가 초음파(10)를 조사하는 사이마다 제2 초음파자극기(130b)가 초음파(10)를 조사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초음파자극기(130a)의 파형과 주파수 및 제2 초음파자극기(130b)의 파형과 주파수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의 구성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을 편의상 생략하고,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자극기의 이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200)(이하에서는 '고정형 장치(200)'라 한다.)는 초음파자극기 이동부(210), 헬멧(220) 및 초음파자극기(230)가 구비된다.
초음파자극기 이동부(110)는 초음파자극기(230)의 이동을 통해 초음파자극기(230)가 초음파자극이 필요한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으로 초음파(10)를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초음파자극기 이동부(210)는 초음파자극기(230)의 이동을 위해 복수개로 마련되되,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각 층마다 초음파자극기(230)가 회전 운동될 중공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초음파자극기(230)가 회전 운동될 중공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복수개의 중공은 초음파자극기(230)가 뇌의 전체 영역을 브레인 치료할 수 있게 뇌의 전체 영역에 배향되도록 하는 위치마다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레일의 개수는 한정하지 아니하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레일이 제1 레일(211)과 제2 레일(212)인 것으로 초음파자극기(230)의 이동 방식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헬멧(220)은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되는 것을 통해 포유류의 머리와 내면이 접촉하게 되며, 외면에는 복수개의 레일로 이루어지는 초음파자극기 이동부(210)가 외면에 결합됨으로써, 초음파자극기(230)가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과 배향되도록 한다.
이러한 헬멧(220)은 제1 실시예의 헬멧(120)과 동일하게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될 때 착용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끈(225)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초음파자극기(230)는 제1 실시예의 초음파자극기(130)와 동일하게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에 초음파(10)를 조사하기 위한 트랜스듀서일 수 있으며,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이 아닌 포유류의 뇌 여러 영역에 초음파(10)를 동시에 조사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된다.
이러한 초음파자극기(23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초음파 자극부(231) 및 한 쌍의 이동수단(232a, 232b)으로 구현될 수 있다.
초음파 자극부(231)는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이 브레인 치료되도록 제1 레일(231)과 제2 레일(232)의 이격 공간인 중공에 배치되는 것을 통해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에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초음파 자극부(231)는 제1 실시예의 초음파 자극부(131)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뇌의 전체 영역에 배향되는 일면에서 초음파(10)를 조사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하며, 브레인 치료를 수행하는 관리자(치료자)의 선택에 따라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서 초음파(10)를 조사할 수 있는데, 이는 관리자가 초음파(10)의 조사면을 구분하지 않고 초음파 자극부(131)를 중공에 배치하여 초음파(10)를 조사하기까지의 시간이 단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 쌍의 이동수단(232a, 232b)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레일(211)의 외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이동수단(232a)과 제2 레일(212)의 외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이동수단(232b)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이동수단(232a)과 제2 이동수단(232b)은 각각 초음파 자극부(131)와 연결되어 초음파 자극부(131)가 제1 레일(211)과 제2 레일(212)을 따라 회전 운동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형 장치(200)에는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워터백 또는 커플링 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의 워터백 및 커플링 젤은 제1 실시예의 워터백 및 커플링 젤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고정형 장치(200)에는 초음파자극기(23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주파수발생부, 파형변조기, 증폭기 및 공명회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의 주파수발생부, 파형변조기, 증폭기 및 공명회로부는 제1 실시예의 주파수발생부(150), 파형변조기(160), 증폭기(170) 및 공명회로부(180)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도록 하겠다.
제3 실시예의 구성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을 편의상 생략하고, 상기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300)(이하에서는 '고정형 장치(300)'이라 한다.)는 초음파자극기(310) 및 헬멧(320)이 구비된다.
초음파자극기(310)는 제1 실시예의 초음파자극기(130)와 동일하게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에 초음파(10)를 조사하기 위한 트랜스듀서일 수 있으며,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이 아닌 포유류의 뇌 여러 영역에 초음파(10)를 동시에 조사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된다.
헬멧(320)은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되는 것을 통해 포유류의 머리와 내면이 접촉하게 되며,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초음파자극기(310)를 탈부착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외면에 마련됨으로써, 초음파자극기(310)가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과 배향되도록 한다.
이러한 헬멧(320)은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될 때 고정되도록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맞게 3D 프린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2 실시예의 헬멧(120, 220)과 달리 고정끈(125, 225)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고정형 장치(300)에는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워터백 또는 커플링 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실시예의 워터백 및 커플링 젤은 제1 실시예의 워터백 및 커플링 젤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도록 하겠다.
다만, 상기 고정형 장치(300)는 헬멧(320)이 포유류의 머리에 맞게 3D 프린팅되기 때문에, 워터백 및 커플링 젤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형 장치(300)에는 초음파자극기(3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주파수발생부, 파형변조기, 증폭기 및 공명회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실시예의 주파수발생부, 파형변조기, 증폭기 및 공명회로부는 제1 실시예의 주파수발생부(150), 파형변조기(160), 증폭기(170) 및 공명회로부(180)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도록 하겠다.
실시예의 동작
도 12는 본 발명의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를 이용한 브레인 치료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브레인 치료를 받을 포유류가 사용자(사람)인 것으로 하여 제1 실시예의 고정형 장치(100)를 이용한 브레인 치료 방법(S110)의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관리자가 브레인 치료를 제공받을 사용자의 머리에 워터백(140)을 장착시킬 수 있다(S111).
다만 이 과정에서 워터백(140)이 미구성되는 경우, 관리자는 워터백(140)을 대체하는 커플링 젤을 사용자의 두피에 도포할 수 있다.
워터백 도포 단계(S111) 후, 관리자는 사용자의 머리에 헬멧(120)을 장착시킬 수 있다(S112).
헬멧 장착 단계(S112) 후, 관리자는 사용자의 뇌 특정 영역 또는 뇌 여러 영역에 초음파자극이 가해지도록 막대(111)와 막대 수용블럭(112)에 의해 형성된 격자형의 중공 상에 초음파자극기(130)를 배치시킬 수 있다(S113).
초음파자극기 배치 단계(S113) 후, 관리자는 주파수발생부(150), 파형변조기(160), 증폭기(170) 및 공명회로부(180)를 동작시켜 초음파 자극부(131)에서 초음파(10)가 조사되도록 한다(S114).
이 과정에서, 초음파(10)의 조사시간은 30~40분일 수 있는데, 이는 조사시간이 40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온에서 커플링 젤이 건조되면서 헬멧(120)을 착용한 사용자가 불편한 느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초음파(10)는 조사시간동안 조사되면서 초음파자극기(130)의 동작 설정에 따라 뇌의 전체 영역(예: 좌뇌와 우뇌)에 순차적으로 조사되어 사용자의 뇌 림프계의 순환을 증진할 수도 있다.
초음파 조사 단계(S114) 후, 관리자는 브레인 치료를 지속적으로 진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5).
이때 만약, 브레인 치료가 지속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15-YES), 관리자는 추가적으로 현재 초음파자극기(130)로 초음파(10)를 조사하는 사용자의 뇌 특정 영역을 제외한 다른 뇌 특정 영역에 초음파(10)를 조사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6).
이때 만약, 다른 뇌 특정 영역의 브레인 치료가 진행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S116-NO), 초음파자극기(130)는 현재의 위치에서 초음파(10)의 조사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뇌 특정 영역이 지속적으로 치료되도록 한다(S117).
이와 달리 만약, 다른 뇌 특정 영역의 브레인 치료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S116-YES), 초음파자극기(130)는 탈부착을 통해 위치되었던 격자형 중공과 다른 격자형 중공으로 위치가 변동되며, 위치 변동 후 배향되는 다른 뇌 특정 영역에 초음파(10)를 조사함으로써(S118), 다른 뇌 특정 영역의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초음파,
100, 200, 300: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110: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
111: 막대,
112: 막대 수용블럭,
113: 락킹수단,
120, 220, 320: 헬멧,
125, 225: 고정끈,
130, 230, 310: 초음파자극기,
130a: 제1 초음파자극기,
130b: 제2 초음파자극기,
131, 231: 초음파 자극부,
132a, 132b, 132c, 132d: 탈부착수단,
140: 워터백,
150: 주파수발생부,
151: 주파수,
160: 파형변조기,
161: 펄스포락선,
163: 하프사인 포락선,
170: 증폭기,
180: 공명회로부,
210: 초음파자극기 이동부,
211: 제1 레일,
212: 제2 레일,
232: 이동수단,
232a, 232b: 이동수단.

Claims (10)

  1. 포유류의 뇌를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초음파자극기;
    상기 초음파자극기의 탈부착을 통해 상기 초음파자극기가 초음파자극이 필요한 상기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 및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되는 것을 통해 상기 포유류의 머리와 내면이 접촉하게 되며, 상기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가 외면에 결합되는 헬멧;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외연에 상기 초음파자극기가 연결될 막대;
    상기 막대가 관통되도록, 상기 막대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막대 수용블럭; 및
    상기 복수개의 막대 수용블럭에 각각 마련되며, 손잡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막대가 고정 또는 유동되도록 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자극기 탈부착부는,
    상기 복수개의 막대 수용블럭이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막대가 각 막대 수용블럭을 관통할 때, 상기 초음파자극기가 배치될 격자형의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자극기는,
    상기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자극부; 및
    상기 초음파 자극부와 연결되며, 상기 격자형의 중공을 이루도록 외부에 노출되는 각 막대의 외연에 탈부착되어 상기 초음파 자극부를 상기 격자형의 중공에 배치시키는 복수개의 탈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되어 상기 포유류의 피부에 음향학적으로 커플링되도록 탈기수를 수용하는 워터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6. 포유류의 뇌를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초음파자극기;
    상기 초음파자극기의 이동을 통해 상기 초음파자극기가 초음파자극이 필요한 상기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초음파자극기 이동부; 및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되는 것을 통해 상기 포유류의 머리와 내면이 접촉하게 되며, 상기 초음파자극기 이동부가 외면에 결합되는 헬멧;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자극기 이동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되,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각 층마다 상기 초음파자극기가 회전 운동될 중공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자극기는,
    상기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자극부; 및
    상기 초음파 자극부와 연결되며, 상기 중공을 이루는 두 개의 레일의 외연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초음파 자극부가 상기 두 개의 레일을 따라 회전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되어 상기 포유류의 피부에 음향학적으로 커플링되도록 탈기수를 수용하는 워터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10. 포유류의 뇌를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초음파자극기; 및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맞게 3D 프린팅되어 상기 포유류의 머리에 착용될 때 상기 포유류의 머리와 내면이 접촉하게 되며, 상기 초음파자극기를 외면에 탈부착 또는 이동시켜 초음파자극이 필요한 상기 포유류의 뇌 특정 영역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헬멧;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KR1020220014223A 2022-02-03 2022-02-03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KR20230117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223A KR20230117910A (ko) 2022-02-03 2022-02-03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223A KR20230117910A (ko) 2022-02-03 2022-02-03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910A true KR20230117910A (ko) 2023-08-10

Family

ID=8756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223A KR20230117910A (ko) 2022-02-03 2022-02-03 브레인 치료 초음파자극기 고정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791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925B1 (ko) 2016-09-23 2020-01-08 기초과학연구원 뇌 자극 장치
KR102321009B1 (ko) 2021-07-06 2021-11-03 뉴로핏 주식회사 경두개 직류 자극술을 위한 맞춤형 헤드기어 설계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925B1 (ko) 2016-09-23 2020-01-08 기초과학연구원 뇌 자극 장치
KR102321009B1 (ko) 2021-07-06 2021-11-03 뉴로핏 주식회사 경두개 직류 자극술을 위한 맞춤형 헤드기어 설계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menko et al. Systematic examination of low-intensity ultrasound parameters on human motor cortex excitability and behavior
US20110112394A1 (en) Neuromodulation of deep-brain targets using focused ultrasound
US8956277B2 (en) Stimulation method via deep brain stimulation
US20110208094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of the reticular activating system
US20120197163A1 (en) Patterned control of ultrasound for neuromodulation
US20140194726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for Cognitive Enhancement
US20110178442A1 (en) Patient feedback for control of ultrasound deep-brain neuromodulation
US20110270138A1 (en) Ultrasound macro-pulse and micro-pulse shapes for neuromodulation
US20130144192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treatment of anxiety (including panic attacks)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US20130079682A1 (en) Ultrasound-neuromodulation techniques for control of permeability of the blood-brain barrier
US20120083719A1 (en) Ultrasound-intersecting beams for deep-brain neuromodulation
US20130178765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of spinal cord
US20120053391A1 (en) Shaped and steered ultrasound for deep-brain neuromodulation
US20140094719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treatment of schizophrenia
US20110196267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of the occiput
US20130261506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US20120226091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treatment of pain
US20120245493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treatment of addiction
US20120232433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treatment of tinnitus
US20120283604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treatment of movement disorders, including motor tremor, tourette's syndrome, and epilepsy
US20120220812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for stroke mitigation and rehabilitation
US8353853B1 (en) Encephalic insonication
WO2006021851A1 (en) Focused ultrasound system for surrounding a body tissue mass
US20120296241A1 (en) Ultrasound neuromodulation for treatment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WO2017107230A1 (zh) 一种基于大规模面阵元的超声脑刺激或调控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