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391B1 - 합성 맵 시스템 - Google Patents

합성 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391B1
KR102537391B1 KR1020220181601A KR20220181601A KR102537391B1 KR 102537391 B1 KR102537391 B1 KR 102537391B1 KR 1020220181601 A KR1020220181601 A KR 1020220181601A KR 20220181601 A KR20220181601 A KR 20220181601A KR 102537391 B1 KR102537391 B1 KR 102537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selection
building
unit
cou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윤종철
김동철
김봉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텐일레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텐일레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텐일레븐
Priority to KR102022018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 맵 시스템에서는 영역구분기, 선택부 및 맵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구분기는 전 세계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할 수 있다. 선택부는 복수의 영역들 중 선택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맵 제공부는 선택영역에 상응하는 복수의 맵 서비스들 중 선택 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맵 시스템은 전 세계를 격자 형태로 구분한 복수의 영역들 중 선택영역에 서비스되는 복수의 맵 서비스들 중 선택 맵을 제공하고, 선택 맵에 따라 국가별 최적의 건축설계 안을 도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 맵 시스템{SYNTHETIC MAP SYSTEM}
본 발명은 합성 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지도 Map API 서비스의 정확도나 정밀도는 특정 지역에만 국한될 수 있다. 국가별로 유리한 서비스를 사전에 구분작업을 하여 영역(region)따라 다른 API를 호출함으로써 국내외 정밀한 지도 서비스 제공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34902호 (등록일자, 2021.11.3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 세계를 격자 형태로 구분한 복수의 영역들 중 선택영역에 서비스되는 복수의 맵 서비스들 중 선택 맵을 제공하고, 선택 맵에 따라 국가별 최적의 건축설계 안을 도출할 수 있는 합성 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 맵 시스템에서는 영역구분기, 선택부 및 맵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구분기는 전 세계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할 수 있다.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선택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맵 제공부는 상기 선택영역에 상응하는 복수의 맵 서비스들 중 선택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전 세계를 격자 형태로 구분한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국가별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천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상응하는 국가 별로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맵 서비스들 중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하나를 상기 선택 맵으로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영상제공부 및 비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건축물이 배치될 건축지점에 상응하는 영역에서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맵 서비스들의 상기 건축지점에 대한 복수의 지도영상들을 제공할 수 있다. 비교부는 상기 복수의 지도영상들을 비교하여 상기 건축지점에 대한 상기 선택 맵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 맵 시스템은 판단부 및 건축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는 상기 선택 맵에서의 상기 건축지점을 포함하는 국가에 해당하는 건축국가를 판단할 수 있다. 건축선택부는 상기 건축국가에 따라 국가 별로 제공되는 복수의 건축법규들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법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 맵 시스템은 스타일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타일 결정부는 상기 건축지점에 상응하는 상기 건축국가의 기후 및 환경에 따라 복수의 건축 스타일들 중 하나의 선택 스타일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 맵 시스템은 설계 제공부 및 최종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계 제공부는 상기 선택 맵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법규 및 상기 선택 스타일에 상응하는 복수의 건축 설계안들을 제공할 수 있다. 최종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건축 설계안들 중 하나의 최종 안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 맵 시스템은 국가 선택부, 기존 영상부 및 기존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국가 선택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선택국가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 영상부는 상기 선택국가에서 상기 건축물이 배치되는 건축영역의 면적에 상응하는 건축면적을 갖는 기존 건축물들의 영상들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 선택부는 상기 기존 건축물들의 영상들 중 선택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 맵 시스템은 신호제공부 및 주변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제공부는 상기 기존 건축물들의 영상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주변제공부는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영상에 상응하는 위치의 주변도로를 따라 형성되는 주변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맵 시스템은 전 세계를 격자 형태로 구분한 복수의 영역들 중 선택영역에 서비스되는 복수의 맵 서비스들 중 선택 맵을 제공하고, 선택 맵에 따라 국가별 최적의 건축설계 안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합성 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합성 맵 시스템에 포함되는 영역 구분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4는 도 1의 합성 맵 시스템에 포함되는 선택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7은 도 1의 합성 맵 시스템에 포함되는 선택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9는 도 1의 합성 맵 시스템에 포함되는 건축 선택부 및 스타일 결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합성 맵 시스템에 포함되는 설계 제공부 및 최종 선택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합성 맵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합성 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합성 맵 시스템에 포함되는 영역 구분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4는 도 1의 합성 맵 시스템에 포함되는 선택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 맵 시스템(10)에서는 영역 구분기(100), 선택부(200) 및 맵 제공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 구분기(100)는 전 세계를 복수의 영역(RE)들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RE)들은 전 세계를 격자 형태로 구분한 영역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 세계의 영역을 복수 개로 구분한 영역들은 각각 격자 형태를 갖는 제0영역(000) 내지 제333영역(3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RE)들은 국가별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영역(RE)들은 격자형태로 구분될 수도 있지만, 국가별로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33영역(133)에 포함되는 일본의 국가번호를 제133번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132영역(132)에 포함되는 한국의 국가번호를 132번으로 설정하여 복수의 영역(RE)들을 국가별로 설정된 번호를 이용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선택부(200)는 복수의 영역(RE)들 중 선택영역(SRE)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부(200)는 추천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천부(210)는 복수의 영역(RE)들의 각각에 상응하는 국가 별로 제공되는 복수의 맵 서비스들 중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하나를 선택 맵(SMP)으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33영역(133)에 포함되는 일본에서 지도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복수의 맵 서비스들은 제1 맵 서비스(MPS1), 제2 맵 서비스(MPS2) 및 제3 맵 서비스(MPS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맵 서비스(MPS1)의 일본내 사용빈도는 전체 사용빈도 중 70%를 차지하고, 제2 맵 서비스(MPS2)의 사용빈도는 전체 사용빈도 중 20%를 차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맵 서비스(MPS3)의 사용빈도는 전체 사용빈도 중 10%를 차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천부(210)는 제1 맵 서비스(MPS1) 내지 제3 맵 서비스(MPS3) 중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맵에 해당하는 제1 맵 서비스(MPS1)를 선택 맵(SMP)으로 추천할 수 있다.
맵 제공부(300)는 선택영역(SRE)에 상응하는 복수의 맵 서비스들 중 선택 맵(SMP)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 제공부(300)는 추천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선택 맵(SMP)을 선택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 맵(SMP)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맵 시스템(10)은 전 세계를 격자 형태로 구분한 복수의 영역(RE)들 중 선택영역(SRE)에 서비스되는 복수의 맵 서비스들 중 선택 맵(SMP)을 제공하고, 선택 맵(SMP)에 따라 국가별 최적의 건축설계 안을 도출할 수 있다.
도 5 내지 7은 도 1의 합성 맵 시스템에 포함되는 선택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부(200)는 영상 제공부(220) 및 비교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제공부(220)는 복수의 영역(RE)들 중 건축물이 배치될 건축지점에 상응하는 영역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맵 서비스들의 건축지점에 대한 복수의 지도영상(MI)들을 제공할 수 있다. 건축물이 배치될 건축지점에 상응하는 영역은 건축영역(G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내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맵 서비스들은 네이버 지도 서비스 및 구글지도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건축영역(GR)에 대해서 구글지도는 개념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건물의 위치 및 도로현황에 대한 표시만 되어 있을 뿐이나, 네이버 지도는 국내에 특화되어 보다 실제적인 건물현황 및 도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비교부(230)는 복수의 지도영상(MI)들을 비교하여 건축지점에 대한 선택 맵(SMP)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동일한 건축영역(GR)에 대한 네이버 지도 및 구글지도를 비교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맵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IN)을 통해서 비교부(230)가 네이버 지도를 선택 맵(SMP)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 및 9는 도 1의 합성 맵 시스템에 포함되는 건축 선택부 및 스타일 결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 맵 시스템(10)은 판단부(410) 및 건축 선택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410)는 선택 맵(SMP)에서의 건축지점을 포함하는 국가에 해당하는 건축국가(CP)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이 건축될 국가는 다양할 수 있다. 복수의 국가들은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및 아프리카에 포함되는 전세계 모든 국가가 대상이 될 수 있다. 다만, 전세계 모든 국가들은 각각 별개의 건축법규들에 따라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다.
건축 선택부(420)는 건축국가(CP)에 따라 국가 별로 제공되는 복수의 건축법규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법규(SL)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이 배치될 건축국가(CP)가 태국인 경우, 건축 선택부는 태국의 건축법규를 선택법규(SL)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 맵 시스템(10)은 스타일 결정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타일 결정부(430)는 건축지점에 상응하는 건축국가(CP)의 기후 및 환경에 따라 복수의 건축 스타일들 중 하나의 선택 스타일(SS)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이 배치되는 건축국가(CP)의 기후 및 건축영역(GR) 주변의 자연환경 및 도로환경 등에 따라 지역주민들이 전통적으로 선호하는 건축 스타일이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건축 스타일들은 제1 건축 스타일(GS1), 제2 건축 스타일(GS2) 및 제3 건축 스타일(GS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타일 결정부(430)는 건축국가(CP)의 기후, 건축영역(GR) 주변의 자연환경 및 건축주의 선호에 따라 제2 건축 스타일을 선택 스타일(SS)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합성 맵 시스템에 포함되는 설계 제공부 및 최종 선택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합성 맵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 맵 시스템(10)은 설계 제공부(500) 및 최종 선택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계 제공부(500)는 선택 맵(SMP)에 기초하여 선택법규(SL) 및 선택 스타일(SS)에 상응하는 복수의 건축 설계안(GDA)들을 제공할 수 있다. 최종 선택부(600)는 복수의 건축 설계안(GDA)들 중 하나의 최종 안(FA)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맵 시스템(10)에 포함되는 설계 제공부(500)는 선택 맵(SMP), 선택법규(SL) 및 선택 스타일(SS)에 따라 다양한 건축 설계안(GDA)들을 제공할 수 있고, 합성 맵 시스템(10)에 포함되는 최종 선택부(600)는 설계 제공부(500)가 제공하는 다양한 건축 설계안(GDA)들 중 최종 안(FA)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 맵 시스템(10)은 국가 선택부(710), 기존 영상부(720) 및 기존 선택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국가 선택부(710)는 사용자 입력(IN)에 따라 결정되는 선택국가(SC)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에 건축물을 건축하더라도 다른 나라의 건축양식이나 인테리어들을 참고하여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IN)을 통해서 건축물을 건축함에 있어서 참고할 국가로 프랑스를 선택국가(SC)로 선택할 수 있다.
기존 영상부(720)는 선택국가(SC)에서 건축물이 배치되는 건축영역(GR)의 면적에 상응하는 건축면적을 갖는 기존 건축물들의 영상(OI)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선택부(710)로부터 제공되는 선택국가(SC)가 프랑스인 경우, 기존 영상부(720)는 프랑스에 포함되는 건축영역(GR)의 건축면적이 건축물이 건축될 건축영역(GR)의 면적과 비슷한 기존 건축물들의 영상(OI) 예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건축영역(GR)의 면적이 비슷하다는 것은 건축물이 건축될 건축영역(GR)의 면적의 10% 범위내에 있는 면적일 수 있다.
기존 선택부(730)는 기존 건축물들의 영상(OI)들 중 선택영상(SI)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 맵 시스템(10)은 신호제공부(740) 및 주변제공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제공부(740)는 기존 건축물들의 영상(OI)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SS)를 제공할 수 있다. 주변제공부(750)는 선택신호(SS)에 따라 선택영상(SI)에 상응하는 위치의 주변도로를 따라 형성되는 주변영상(JI)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제공부가 선택신호(SS)를 제공하는 경우, 선택영상(SI)에 상응하는 주변의 환경을 더욱 상세하게 검토하기 위하여 주변 제공부는 주변영상(JI)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맵 시스템(10)은 전 세계를 격자 형태로 구분한 복수의 영역(RE)들 중 선택영역(SRE)에 서비스되는 복수의 맵 서비스들 중 선택 맵(SMP)을 제공하고, 선택 맵(SMP)에 따라 국가별 최적의 건축설계 안을 도출할 수 있다.
10: 합성 맵 시스템 100: 영역 구분기
200: 선택부 300: 맵 제공부

Claims (10)

  1. 전 세계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는 영역구분기;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선택영역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영역에 상응하는 복수의 맵 서비스들 중 선택 맵을 제공하는 맵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맵에서 건축물이 배치될 건축지점을 포함하는 국가에 해당하는 건축국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건축국가에 따라 국가 별로 제공되는 복수의 건축법규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법규를 제공하는 건축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전 세계를 격자 형태로 구분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국가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상응하는 국가 별로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맵 서비스들 중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하나를 상기 선택 맵으로 추천하는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건축물이 배치될 건축지점에 상응하는 영역에서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맵 서비스들의 상기 건축지점에 대한 복수의 지도영상들을 제공하는 영상제공부; 및
    상기 복수의 지도영상들을 비교하여 상기 건축지점에 대한 상기 선택 맵을 선택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맵 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맵 시스템은,
    상기 건축지점에 상응하는 상기 건축국가의 기후 및 환경에 따라 복수의 건축 스타일들 중 하나의 선택 스타일을 결정하는 스타일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맵 시스템은,
    상기 선택 맵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법규 및 상기 선택 스타일에 상응하는 복수의 건축 설계안들을 제공하는 설계 제공부; 및
    상기 복수의 건축 설계안들 중 하나의 최종 안을 선택하는 최종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합성 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맵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선택국가를 제공하는 국가 선택부;
    상기 선택국가에서 상기 건축물이 배치되는 건축영역의 면적에 상응하는 건축면적을 갖는 기존 건축물들의 영상들을 제공하는 기존 영상부; 및
    상기 기존 건축물들의 영상들 중 선택영상을 제공하는 기존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맵 시스템은,
    상기 기존 건축물들의 영상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제공하는 신호제공부; 및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영상에 상응하는 위치의 주변도로를 따라 형성되는 주변영상을 제공하는 주변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맵 시스템.
KR1020220181601A 2022-12-22 2022-12-22 합성 맵 시스템 KR102537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601A KR102537391B1 (ko) 2022-12-22 2022-12-22 합성 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601A KR102537391B1 (ko) 2022-12-22 2022-12-22 합성 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391B1 true KR102537391B1 (ko) 2023-05-31

Family

ID=8654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601A KR102537391B1 (ko) 2022-12-22 2022-12-22 합성 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3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387B1 (ko) * 2002-07-03 2005-01-27 노도영 지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848452B1 (ko) * 2006-12-05 2008-07-28 주식회사 케이티 지도 기반의 컨텐츠 등록/표시 방법
KR102334902B1 (ko) 2019-11-22 2021-12-03 주식회사 에디트콜렉티브 전자 지도 기반 건축물 기획 설계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63274B1 (ko) * 2022-05-30 2022-11-07 주식회사 텐일레븐 건축물 설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387B1 (ko) * 2002-07-03 2005-01-27 노도영 지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848452B1 (ko) * 2006-12-05 2008-07-28 주식회사 케이티 지도 기반의 컨텐츠 등록/표시 방법
KR102334902B1 (ko) 2019-11-22 2021-12-03 주식회사 에디트콜렉티브 전자 지도 기반 건축물 기획 설계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63274B1 (ko) * 2022-05-30 2022-11-07 주식회사 텐일레븐 건축물 설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09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estate spatial data analysis
Duany et al. Making the good easy: the smart code alternative
CN104807468B (zh) 一种多目的地地图的自动简化及布局优化方法和系统
JPH07262208A (ja) イメージ情報を用いた検索方法
JP6433722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情報管理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情報管理方法
NZ540819A (en) Navigation system with analysis and merging of multiple similar location results
US2016037744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537391B1 (ko) 합성 맵 시스템
US20030043177A1 (en) Exploded view automatic creation apparatus, storage media and methods
KR102038043B1 (ko) 선택용이성이 향상된 건축적산 제공방법
CN103185579A (zh) 显示关注点的方法
CN102564442B (zh) 显示道路路段的方法和装置以及提供地图数据库的方法
Williamson et al. Understanding cadastral maps
EP17259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reinforcing bars for use in reinforced products
CN105631038A (zh) 导航地图的生成方法和系统,及具有该系统的电子设备
CN112097780A (zh) 对象的无缝显示
JP5557771B2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
WO2011039820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14119794A (zh) 用于图像光影效果调节的方法及装置、云端服务器
WO2012028164A2 (en) A combined projectio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mproving accuracy of map projections
KR101949783B1 (ko) 지자체별 관내도 자동 제작시스템
JP2006285028A (ja) 地図画像生成装置および方法
RU2364940C1 (ru) Способ расстановки бергштрихов на оригинале рельефа, компьютерный способ распознавания на оригинале рельефа частей горизонталей, проходящих через области с малыми уклонами, и компьютерный способ распознавания минимальных контуров, составленных горизонталями и рамкой оригинала рельефа
Wickel A German perspective on urban growth boundaries: the answer of comprehensive regional planning
CN112129312A (zh) 一种地图显示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