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954B1 -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954B1
KR102536954B1 KR1020200151209A KR20200151209A KR102536954B1 KR 102536954 B1 KR102536954 B1 KR 102536954B1 KR 1020200151209 A KR1020200151209 A KR 1020200151209A KR 20200151209 A KR20200151209 A KR 20200151209A KR 102536954 B1 KR102536954 B1 KR 102536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oor
open
charging
pcb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2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64756A (en
Inventor
조종화
함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to KR1020200151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954B1/en
Publication of KR2022006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9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체결되고 내부에 구비된 패널에 충전포트가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충전도어를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PCB와, 상기 PCB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도어가 터치되는지 감지하는 센서부, 그리고 상기 PCB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우징에 구비되는 PCB에 센서부와 제어부를 모두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구동부를 체결하여 구성의 간소화 및 컴팩트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housing fastened to a vehicle body and having a charging port disposed on a panel provided therein; a driving unit operating the charging door to open and close an open portion of the housing; A PCB provided on the PCB, a sensor unit disposed on the PCB and detecting whether the charging door is touched, and a control unit disposed on the PCB and receiving data from the sensor unit to control the driving unit to open the charging door. do.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simplifying and compacting the configuration by including both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unit on the PCB provided in the housing and fastening the driving unit to the housing.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Electric vehicle charging door device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도어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충전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charging door by sensing a user's operation on the charging door.

근래에 들어,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전기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에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와 모터를 탑재하여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을 구현하는 것으로,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를 반드시 구비해야 한다. In recent years, as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has begun to emerge, much effort has been devoted to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Such an electric vehicle is equipped with a battery and a motor to realize driving of the vehicle by using power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must have a charging port for charging the battery.

이와 같은 충전포트는 차체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도어를 매개로 외부로부터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전기자동차는 충전도어의 개폐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개폐 장치를 구비하게 되는 데, 종래 대부분의 전기자동차용 충전도어의 개폐 장치는 전동 구동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주로 차량 실내에 위치한 개방용 버튼을 조작하여 충전도어를 개방시키게 된다.Such a charging port is provided so as not to be directly exposed from the outside via a charging door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ccordingly, most electric vehicles ar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opening and closing devices to implement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charging door. Conventionally, most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s of the charging door for electric vehicles are configured to operate by electric drive, mainly The charging door is opened by manipulating an opening button located inside the vehicle.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존의 전동 구동식 충전도어의 개폐 장치는 충전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항시 차량의 실내에서 버튼을 조작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electrically driven charging door opening/closing device has an inconvenient problem in use because a button must always be op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to open the charging door.

등록특허 제10-1630589호Registered Patent No. 10-163058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충전도어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충전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charging door by sensing a user's operation on the charging door.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에 구비되는 PCB에 센서부와 제어부를 모두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구동부를 체결하여 구성의 간소화 및 컴팩트화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s to provide a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that has both a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on a PCB provided in a housing and can simplify and compact the configuration by fastening a drive unit to the housing. ther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는, 차체에 체결되고, 내부에 구비된 패널에 충전포트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충전도어를 동작시키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PCB; 상기 PCB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도어가 터치되는지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PCB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fastened to a vehicle body and having a charging port disposed on a panel provided therein; a driving unit operating the charging door to open and close the open portion of the housing; PCB provided in the housing; a sensor unit disposed on the PCB and sensing whether the charging door is touched; and a controller disposed on the PCB and controlling the drive unit to receive data from the sensor unit and open the charging door.

그리고, 상기 PCB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포트에 전원단자가 연결되면 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램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 charge amount lamp disposed on the PCB and displaying a charge amount when a pow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harge port;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PCB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포트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충전도어가 개방 시 점등되는 충전포트 램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charging port lamp disposed on the PCB, positioned adjacent to the charging port, and turned on when the charging door is opened; may be further included.

나아가, 상기 충전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도어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more, a heating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to be loca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harging door in a closed state and generating heat when power is applied; may be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외부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히팅부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heating unit to oper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PCB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도어의 오픈터치 영역이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오픈 감지센서; 및 상기 오픈 감지센서의 둘레에 배치되게 상기 PCB에 구비되고, 상기 오픈터치 영역 이외의 영역이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가이드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open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PCB and detecting that an open touch area of the charging door is touched; and a guide sensor provided on the PCB to be disposed around the open sensor and detecting that an area other than the open touch area is touched.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픈 감지센서만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충전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오픈 감지센서와 상기 가이드센서가 함께 터치되면 상기 충전도어를 개방하지 않도록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open the charging door when only the open sensor is touched, and not to open the charging door when both the open sensor and the guide sensor are touched.

그리고, 상기 PCB에 구비되고, 터치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충전도어를 폐쇄하도록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클로즈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nd, a close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PCB and generating a command signal for the control unit to close the charging door when touched; may be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클로즈 감지센서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패널에 표시된 클로즈 터치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close touch part displayed on the pane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lose sensor.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충전도어를 개폐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charging door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charging door by detecting a user's operation,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에 구비되는 PCB에 센서부와 제어부를 모두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구동부를 체결하여 구성의 간소화 및 컴팩트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provided on the PCB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e driving unit is fastened to the housing to obtain an effect of simplifying and compacting the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에서 충전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에서 하우징의 내부에 PCB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에서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에서 하우징과 패널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에서 링크부와 구동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에서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의 구동부에서 웜휠기어와 웜기어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door is opened in the charging door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CB is disposed inside a housing in a charging door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disposed inside a housing in a charging door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ousing and a panel extracted from a charging door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nk unit and a driving unit in a charging door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driving unit in a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orm wheel gear and a worm gear extracted from a driving unit of a charging door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 "and/or" may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and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에서 충전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arging door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and FIG.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arging door open state in the charging door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그리고, 도 3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에서 하우징의 내부에 PCB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하우징과 패널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CB is disposed inside a housing in the charging door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housing and the panel taken out.

그리고, 도 6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에서 링크부와 구동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상기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상기 구동부에서 웜휠기어와 웜기어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nk unit and a drive unit extracted from the charging door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FIGS.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drive unit, and FIG. 9 is the drive unit It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a worm wheel gear and a worm gear extracted from

그리고, 도 10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블록도이다.And, Figure 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door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100)는 차체에 체결되고 내부에 구비된 패널(230)에 충전포트(110)가 배치되는 하우징(200)과, 충전도어(120)를 스윙 가능하게 구비된 링크부(310),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도어(120)가 상기 하우징(200)을 개폐하도록 상기 링크부(3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1 to 10, the charging door device 100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200 fastened to a vehicle body and having a charging port 110 disposed on a panel 230 provided therein. ), a link part 310 provided to swing the charging door 120, and the link part 310 provided in the housing 200 so that the charging door 120 opens and closes the housing 200 It may be made including a drive unit 300 for rotating.

상기 하우징(200)은 내부에 다른 구성이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차체에 체결 고정된다. The housing 200 is formed to have a hollow so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nd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일 예로, 상기 하우징(200)은 차체에 체결 고정되는 상부 하우징(210)과,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개방된 배면을 폐쇄하는 하부 하우징(220)과,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전면에 체결되는 패널(230), 그리고 상기 구동부(300)가 체결되는 구동부 하우징(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housing 200 includes an upper housing 210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a lower housing 220 closing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210, and a front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210. It may include a panel 230 fastened, and a driving unit housing 240 to which the driving unit 300 is fastened.

상기 상부 하우징(210)은 차체에 체결되게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체결부(211)가 형성되고, 내부에 다른 구성이 수용되게 중공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PCB(71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upper housing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211 protruding outward to be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and is formed to have a hollow space to accommodate other components therein. Here, a PCB 710 described below may be disposed inside the upper housing 210 .

그리고, 상부 하우징(210)에는 상기 충전포트(110)가 삽입되게 관통 형성된 충전포트 삽입홀(212)과, 상기 링크부(310)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링크부 삽입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housing 210 has a charging port insertion hole 212 through which the charging port 110 is inserted, and a link portion insertion hole 213 through which the link portion 310 is inserted and rotated.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210)에는 상기 PCB(710)에 구비된 구성들이 삽입되어 상기 패널(230) 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upper housing 210 so that components included in the PCB 710 may be inserted and exposed toward the panel 230 .

일 예로, 상기 PCB(710)에는 오픈 감지센서(410), 가이드센서(420), 클로즈 감지센서(430), 충전량 램프(510), 그리고 충전포트 램프(520)가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CB 710 may include an open detection sensor 410, a guide sensor 420, a close detection sensor 430, a charging amount lamp 510, and a charging port lamp 520.

여기서, 상기 충전량 램프(510)는 상기 PCB(710)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포트(110)에 전원단자가 연결되면 충전량을 표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충전량 램프(510)는 상기 충전포트(110)에 전원단자가 연결되면 차량의 배터리에 충전된 양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charging amount lamp 510 may be disposed on the PCB 710 and display the charging amount when a pow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0 . That is, the charging amount lamp 51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mount charged in the battery of the vehicle when the pow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0 .

이를 위하여, 상기 충전량 램프(510)는 복수의 램프가 배치되고, 배터리의 충전량에 대응되어 램프가 발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o this end, the charge amount lamp 5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mps and emit light corresponding to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량 램프(510)가 4개로 이루어진 경우,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에는 4개의 램프에 모두 불이 들어오고, 약 50~70% 충전된 경우에는 3개의 램프에 불이 들어오고, 약 30~50% 충전된 경우에는 2개의 램프에 불이 들어오고, 약 10~30% 충전된 경우에는 1개의 램프에 불이 들어오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number of charge amount lamps 510 is 4, all 4 lamps light up when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and 3 lamps light up when the battery is charged to about 50-70%. When the lamp lights up, about 30-50% charged, two lamps light up, and when about 10-30% charged, one lamp lights up.

물론, 1개의 램프에서도 색상의 변화로 충전량을 구분할 수 있도, 또한 램프의 깜빡임으로도 충전량을 구분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Of course, even in one lamp, the amount of charge can be distinguished by a change in color, or the amount of charge can be distinguished by blinking of the lamp.

그리고, 상기 충전포트 램프(520)는 상기 PCB(710)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포트(11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충전도어(120)가 개방 시 점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어두는 장소에서 충전할 경우, 상기 충전포트(110)의 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하여 상기 충전포트(110)에 외부의 전원단자를 정확히 삽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Also, the charging port lamp 520 may be disposed on the PCB 710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charging port 110 to be turned on when the charging door 120 is opened. That is, when charging in a dark plac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port 110 and guide the user to accurately insert the external power terminal into the charging port 110 .

도한, 상기 충전포트 램프(520)는 외부의 전원단자가 체결된 상태에서 충전이 되지 않거나 또는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 색상이 변하거나 깜빡임으로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harging port lamp 520 is not charged in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power terminal is connected or charging is completed, the color of the charging port lamp 520 may change or blink so that the user recognizes it.

그리고,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 상기 가이드센서(420), 상기 클로즈 감지센서(430)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Also, the open detection sensor 410, the guide sensor 420, and the close detection sensor 4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와 같이, 상기 PCB(710)에 상기한 부품이 구비된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210)에는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가 삽입되게 관통 형성된 오픈 감지센서 삽입홀(214)과, 상기 가이드센서(420)가 삽입되게 관통 형성된 가이드센서 삽입홀(215)과, 상기 클로즈 감지센서(430)가 삽입되게 관통 형성된 클로즈 감지센서 삽입홀(216)과, 상기 충전량 램프(510)가 삽입되게 관통 형성된 충전량 램프 삽입홀(217), 그리고 상기 충전포트 램프(520)가 삽입되게 관통 형성된 충전포트 램프 삽입홀(218)이 형성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PCB 710 is provided with the above components, the upper housing 210 includes an open detection sensor insertion hole 214 through which the open detection sensor 410 is inserted, and the guide sensor ( 4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sensor insertion hole 215, the close detection sensor insertion hole 216 through which the close detection sensor 430 is inserted, and the charge amount through which the charge amount lamp 510 is inserted. A lamp insertion hole 217 and a charging port lamp insertion hole 218 through which the charging port lamp 520 is inserted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210)에는 히팅부(600)가 배치되는 히팅부 삽입홈(219)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팅부 삽입홈(219)은 상기 히팅부(600)가 상기 충전도어(1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heating unit insertion groove 219 in which the heating unit 600 is disposed may be formed in the upper housing 210 . Here, the heating unit insertion groove 219 may be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housing 210 so that the heating unit 600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harging door 120 .

여기서, 상기 히팅부(600)는 상기 충전도어(1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도어(120)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히팅부 삽입홈(219)에 배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도록 이루어진다. Here, the heating unit 600 is disposed in the heating unit insertion groove 219 of the upper housing 210 so as to be loca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harging door 120 in a closed state, It is made to generate heat when power is applied.

일 예로, 겨울과 같이 외부의 온도가 영하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충전도어(120)와 상기 패널(230)이 맞닿는 부분이 얼어서 상기 충전도어(120)가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drops below freezing, such as in winter, the charging door 120 and the panel 230 may freeze and the charging door 120 may not be opened.

이때, 상기 히팅부(600)가 동작하여 상기 충전도어(120)와 상기 패널(230)이 맞닿는 부분을 가열하여 얼음을 녹여서 상기 충전도어(120)가 개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ating unit 600 may operate to heat a portion where the charging door 120 and the panel 230 come into contact to melt the ice so that the charging door 120 can be opened.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720)는 차량에 구비된 외기 온도센서(미도시)로부터 외기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기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히팅부(6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720 may receive outside air temperature data from an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vehicle, and control the heating unit 600 to oper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below a certain temperature. .

상기 하부 하우징(220)은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개방된 배면을 폐쇄하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ower housing 2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ver that closes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210 .

여기서, 상기 하부 하우징(220)에는 상기 충전포트(110)가 삽입되게 충전포트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Here, a charging port through-hole 221 is formed in the lower housing 220 so that the charging port 110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220)은 상기 상부 하우징(210)에서 상기 구동부 하우징(240)이 형성된 부분에는 간섭되지 않도록 회피부(222)가 절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220 has an avoidance portion 222 cut ou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210 where the driving unit housing 240 is formed.

즉, 상기 하부 하우징(220)은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개방된 배면에 체결되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210)에 형성된 상기 충전포트 삽입홀(212)과 상기 링크부 삽입홀(213)을 제외한 부분을 밀폐하도록 체결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210)에 수용된 PCB(7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전기부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That is, while the lower housing 220 is fastened to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210, except for the charging port insertion hole 212 and the link unit insertion hole 213 formed in the upper housing 210, It is fastened to seal the part. Through this, the PCB 710 accommodated in the upper housing 2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electrical components can be safely protected.

상기 패널(230)은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개방된 전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이루어진다.The panel 23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o at least partially close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210 .

즉, 상기 패널(230)은 상기 충전포트(110)와 상기 링크부(310)가 배치되는 영역 이외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210)의 전면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다. That is, the panel 230 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210 except for the area where the charging port 110 and the link part 310 are disposed.

이를 위하여, 상기 패널(230)은 상기 충전포트(11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충전포트 노출홀(231)과, 상기 링크부(310)가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링크부 관통홀(2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o this end, the panel 230 has a charging port exposure hole 231 through which the charging port 11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link portion through which the link portion 310 can be inserted and rotated. A through hole 232 may be included.

그리고, 상기 패널(230)은 상기 PCB(710)에 구비된 클로즈 감지센서(430)의 위치를 나타내는 클로즈 터치부(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로즈 감지센서(430)는 상기 패널(23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상부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클로즈 터치부(233)를 터치하면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panel 230 may further include a close touch unit 233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close detection sensor 430 provided on the PCB 710 . That is, the close sensor 430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housing 210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panel 230, and recognizes when a user touches the close touch unit 233. are provided

이러한, 상기 클로즈 터치부(233)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홈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클로즈 터치부(233)는 상기 패널(230)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등 사용자가 상기 클로즈 감지센서(43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lose touch part 233 may be formed in a groove or protrusion shape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it. Of course, the close touch unit 233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user can detect the location of the close sensor 430, such as being displayed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nel 230.

상기 패널(230)에는 투명하거나 적어도 반투명한 재질로 제작된 충전량 램프 윈도우(234)와, 충전포트 램프 윈도우(23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량 램프(510)와 상기 충전포트 램프(520)가 발광하면 상기 패널(230)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충전량 램프 윈도우(234)와, 충전포트 램프 윈도우(235)는 투명하거나 적어도 반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nel 230 may include a charge amount lamp window 234 and a charge port lamp window 235 made of a transparent or at least translucent material. That is, when the charge amount lamp 510 and the charge port lamp 520 emit light, the charge amount lamp window 234 and the charge port lamp window 235 are transparent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them from the outside of the panel 230. or at least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상기 패널(230)은 둘레를 따라 차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36)를 더 포함한다. The panel 230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236 protruding outward from the vehicle body along the circumference.

여기서, 상기 충전도어(120)는 폐쇄되면 상기 패널(230)에 밀착되고 상기 돌출부(236)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충전도어(120)가 상기 패널(230)에 밀착되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36)는 상기 충전도어(12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Here, when the charging door 120 is closed, it adheres to the panel 230 and is positioned inside the protrusion 236 .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charging door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nel 230 and closed, the protrusion 236 is dispos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harging door 120 .

그리고, 상기 패널(230)은 상기 돌출부(236)에서 하측 모서리 부분에 배수홈(23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홈(237)은 상기 충전도어(120)가 밀착되는 상기 패널(230)의 내측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panel 230 may have a drainage groove 237 formed at a lower corner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236 . Here, the drainage groove 237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230 to which the charging door 120 is in close contact.

즉, 상기 배수홈(237)은 비 또는 눈이 오거나, 세차를 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236)에 물이 고이면 이를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That is, the drain groove 237 is formed to discharge water accumulated in the protrusion 236 when it rains or snows or when washing the car.

그리고, 상기 충전도어(120)에는 외측 둘레를 따라 실링부재(12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도어(120)가 상기 패널(230)에 밀착하여 폐쇄된 경우에 상기 실링부재(124)가 상기 패널(230)과 밀착되면서 실링하여 비 또는 눈이 오거나, 세차를 하는 경우에 상기 패널(230)의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aling member 124 may be provid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harging door 120 . That is, when the charging door 120 is clos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anel 230, the sealing member 124 seals the panel 230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anel 230, so that it can be rained or snowed or wash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panel 230 .

상기 구동부 하우징(240)은 상기 상부 하우징(210)에서 상기 링크부 삽입홀(213)이 형성된 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300)가 체결되게 구동부 체결홈(241)이 형성된다. The driving unit housing 240 is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link unit insertion hole 213 is formed in the upper housing 210, and a driving unit fastening groove 241 is formed to fasten the driving unit 300 thereto.

즉, 상기 구동부 하우징(240)은 상기 구동부(3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부 삽입홀(213)에 삽입된 링크부(310)가 상기 구동부(3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 삽입홀(213)이 형성된 측에 배치된다. That is, the driving unit housing 240 has the link unit insertion hole so that the link unit 310 inserted into the link unit insertion hole 213 can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00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unit 300 is fastened. 213 is formed.

그리고, 상기 구동부 하우징(240)에는 상기 구동부(300)에 구비되고 상기 링크부(310)와 체결되어 상기 링크부(310)를 회전시키는 출력축(370)이 삽입되어 지지되게 출력축 삽입홀(242)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housing 240 has an output shaft insertion hole 242 so that an output shaft 370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300 and fastened to the link unit 310 to rotate the link unit 310 is inserted and supported. can be formed.

상기 링크부(310)는 상기 구동부(300)와 상기 충전도어(12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부(30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링크부(310)의 일측단은 상기 충전도어(120)에 체결되어, 타측단은 상기 구동부(300)의 출력축(370)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한다. The link unit 31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driving unit 300 and the charging door 120, and receives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unit 300 to open and close the charging door 120. That is, one end of the link unit 310 is fastened to the charging door 120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output shaft 370 of the driving unit 300 to rotate together.

그리고, 상기 링크부(310)는 U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패널(230)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30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충전도어(120)를 스윙 동작시켜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동작시킨다. In addition, the link unit 310 is bent in a U-shape and disposed passing through the panel 230, and swings the charging door 120 while rotating by receiv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unit 300. The charging door 120 is operated to open or close.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하우징(200)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도어(120)가 상기 하우징(200)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상기 링크부(310)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driving unit 300 is provided in the housing 200 and rotates the link unit 310 so that the charging door 120 opens and closes the open portion of the housing 200 .

즉, 상기 구동부(300)는 회전동력의 출력축(370)으로 전달하고, 상기 출력축(370)에 체결된 상기 링크부(310)가 상기 출력축(370)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링크부(310)에 체결된 상기 충전도어(120)를 스윙 동작하면서 개폐되게 이동시킨다.That is, the drive unit 300 transmits rotational power to the output shaft 370, and while the link unit 310 fastened to the output shaft 370 rotates together with the output shaft 370, the link unit 310 The charging door 120 fastened to is moved to be opened and closed while swinging.

일 예로, 상기 구동부(300)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320)와, 상기 구동모터(320)의 회전축(321)에 체결되는 제1 웜기어(330)와, 상기 제1 웜기어(330)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1 웜휠기어(340)와, 상기 제1 웜휠기어(340)의 회전축(341)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웜휠기어(340)와 함께 회전하는 제2 웜기어(350)와, 상기 제2 웜기어(350)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2 웜휠기어(360), 그리고 상기 제2 웜휠기어(360)와 상기 링크부(310)가 체결되어 상기 제2 웜휠기어(360)의 회전동력을 상기 링크부(310)에 전달하는 출력축(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e unit 300 includes a drive motor 320 generating rotational power, a first worm gear 330 coupled to a rotational shaft 321 of the drive motor 320, and the first worm gear 330 A first worm wheel gear 340 gear-coupled with and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and a second worm gear ( 350), a second worm wheel gear 360 that is gear-coupled with the second worm gear 350 and transmits rotational power, and the second worm wheel gear 360 and the link part 310 are fastened to the second It may include an output shaft 370 that transmits rotational power of the worm wheel gear 360 to the link unit 310.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320)의 회전축(321)과 상기 제1 웜휠기어(340)의 회전축(341)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웜휠기어(340)의 회전축(341)과 상기 출력축(370)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320)의 회전축(321)과 상기 출력축(370)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rotation shaft 321 of the drive motor 320 and the rotation shaft 341 of the first worm wheel gear 340 ar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rotation shaft 341 of the first worm wheel gear 340 and The output shaft 37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rotation shaft 321 of the drive motor 320 and the output shaft 37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구동부(300)는 웜휠기어와 윔기어의 조합을 통하여 상기 구동부(300)의 회전동력을 감속하면서 일정 토크 이상으로 상기 출력축에 전달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driving unit 300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torque or more to the output shaft while decelera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unit 300 through a combination of a worm wheel gear and a worm gea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100)는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등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20)가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충전도어(120)를 강제로 회전시켜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harging door device 100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motor 320 does not operate due to discharge of the battery of the vehicle, the user forcibly opens the charging door 120. The charging door 120 may be opened or closed by rotating.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부(300)의 상기 제1 웜기어(330)와 상기 제2 웜기어(350)는,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도어(120)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도 그에 대응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9~20°의 리드각(θ1)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대표적으로 제2 웜기어(350)와 제2 웜휠기어(360)를 발췌하여 도시하였고, 제1 웜기어(330)와 제1 웜휠기어(340)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first worm gear 330 and the second worm gear 350 of the driving unit 300, referring to FIG. 9, will be rotated in response even if the charging door 120 rotates by an external force It may be formed to have a lead angle (θ 1 ) of 9 to 20° so as to be able to do so. In FIG. 9, the second worm gear 350 and the second worm wheel gear 360 are representatively shown, and the first worm gear 330 and the first worm wheel gear 340 are formed in the same way.

즉, 상기 리드각(θ1)이 9° 미만으로 형성되면 상기 충전도어(120)를 강제 회전시켜도 웜휠기어가 웜기어를 회전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때, 더 강한 힘으로 상기 충전도어(120)를 회전시키면 웜휠기어의 기어이와 웜기어의 기어이가 서로 이탈되면서 강제 회전은 가능하지만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lead angle θ 1 is less than 9°, the worm wheel gear does not rotate the worm gear even when the charging door 120 is forcibly rotated. At this time, when the charging door 120 is rotated with a stronger force, the gear teeth of the worm wheel gear and the gear teeth of the worm gea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orced rotation is possible, but parts may be damaged.

그리고, 상기 리드각(θ1)이 20°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웜휠기어와 웜기어간의 미끄럼이 쉽게 발생하여 동력전달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ead angle θ 1 is formed to exceed 20°, slip between the worm wheel gear and the worm gear easily occurs, and power transmission is not easy.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모터(320)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320)의 회전동력을 잘 전달하고, 상기 구동모터(320)가 동작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충전도어(120)를 강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웜휠기어와 웜기어가 원활하게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웜기어(330)와 상기 제2 웜기어(350)의 리드각(θ1)이 9~20°를 가지도록 형성하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motor 320 operates,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motor 320 is well transmitted, and the driving motor 320 does not operate and the user forces the charging door 120. Even when rotating, the lead angle (θ 1 ) of the first worm gear 330 and the second worm gear 350 is 9 to 20 so that the worm wheel gear and the worm gear can be smoothly meshed and rotated. Formed to have.

나아가, 상기 제1 웜휠기어(340)와 상기 제2 웜휠기어(360)도,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웜기어(330)와 상기 제2 웜기어(350)의 리드각(θ1)에 대응하여 9~20°의 리드각(θ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referring to FIG. 9, the first worm wheel gear 340 and the second worm wheel gear 360 also have a lead angle θ 1 of the first worm gear 330 and the second worm gear 350 Correspondingly, it may be formed to have a lead angle (θ 2 ) of 9° to 20°.

즉, 웜기어에 형성된 리드각(θ1)에 대응하여 웜휠기어에도 리드각(θ2)이 형성되어 보다 원할하게 웜기어와 웜휠기어가 맞물려, 상기 충전도어(120)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거나 상기 구동모터(320)에 의해 회전하여도 회전동력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That is, in response to the lead angle (θ 1 ) formed in the worm gear, the lead angle (θ 2 ) is also formed in the worm wheel gear, so that the worm gear and the worm wheel gear are meshed more smoothly, so that the charging door 120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or the drive Even when rotated by the motor 320, it may be formed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well.

그리고,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출력축(370)에 체결되어 상기 출력축(37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센서(3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센서(380)는 상기 링크부(310)가 회전하는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e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ensor 380 coupled to the output shaft 370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output shaft 370 . Here, the rotation sensor 380 may be formed of a sensor that measures an angle at which the link unit 310 rotates.

이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720)는 상기 회전센서(38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도어(120)의 개폐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720 may receive data from the rotation sensor 380 and control the opening/closing angle of the charging door 120 .

즉,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720)는 상기 구동모터(320)를 동작시켜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고, 상기 회전센서(380)로부터 상기 링크부(310)가 회전한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도어(120)를 설정된 각도까지 회전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when opening the charging door 120, the control unit 720 operates the driving motor 320 to open the charging door 120, and the link unit 310 from the rotation sensor 380. ) Receives rotated angle data and rotates the charging door 120 to a set angle to be controlled to open.

나아가, 상기 회전센서(380)는 상기 충전도어(120)의 폐쇄를 감지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rotation sensor 380 may also be used for detecting the closing of the charging door 120 .

즉, 상기 충전도어(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충전도어(12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어부(720)는 상기 회전센서(380)로부터 상기 충전도어(12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충전도어(120)를 폐쇄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charging door 120 in the closing direction while the charging door 120 is open, the control unit 720 detects that the charging door 120 moves from the rotation sensor 380. The driving unit 300 may be controlled to close the charging door 120 by detecting rota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losing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100)는 상기 충전도어(120)가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충전도어(120)를 터치하여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할 수 있다. The charging door device 100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at the charging door 120 is touched, so that the user touches the charging door 120 to activate the charging door ( 120) can be opened.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부는 상기 충전도어(120)의 오픈터치 영역(121)이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오픈 감지센서(4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To this end, the sensor unit may be formed of an open detection sensor 410 that senses that the open touch area 121 of the charging door 120 is touched.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는 정전용량형 터치센서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720)는 상기 구동부(300)를 동작시켜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open sensor 410 is provided as a capacitive touch sensor,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open touch area 121, the control unit 720 operates the driving unit 300 to open the charging door 120. can be controlled to

이때, 상기 제어부(720)는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가 일정 정전용량 이상 또는 일정 시간 이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으로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720 may control the charging door 120 to be opened when the open sensor 410 is touched under at least one condition of a certain capacitance or more or a certain time or more.

즉, 사용자가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려는 의도를 가지지 않은 경우에 상기 충전도어(120)가 개방되지 않도록 일정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does not intend to open the charging door 120, certain conditions may be set in advance so that the charging door 120 is not opened.

일 예로,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충전도어(120)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를 1~2초 동안 설정된 정전용량 이상이 되도록 가압한 후 힘을 제거하면 상기 충전도어(120)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정전용량보다 낮은 값을 가지도록 터치되거나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터치되면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open the charging door 120, the user presses the open detection sensor 410 displayed on the charging door 120 to have a set capacitance or higher for 1 to 2 seconds, and then removes the force. When the charging door 120 can be opened. At this time, if the touch has a value lower than the set capacitance or a touch for a shorter time than the set time, the charging door 120 may not be open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100)는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 이외의 영역이 터치되거나,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과 함께 다른 영역의 상기 충전도어(120)가 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harging door device 100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ea other than the open touch area 121 is touched, or the charging door 120 in another area together with the open touch area 121 ) is touched, it is possible to control not to open the charging door 120 .

일 예로, 세차 등을 위하여 차량에 물을 분사하는 경우 또는 사람이 상기 충전도어(120)에 기대어 있는 경우 등과 같이, 상기 충전도어(120)의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이 일정 정전용량 이상으로 일정 시간 동안 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 이외의 영역도 함께 터치되므로, 이러한 경우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water is sprayed on a vehicle for car washing or when a person is leaning against the charging door 120, the open touch area 121 of the charging door 120 has a capacitance of more than a certain amount. It can be touch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this time, since an area other than the open touch area 121 is also touched, in this case, the charging door 120 may not be opened.

이를 위하여,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 이외의 영역이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가이드센서(4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o this end, a guide sensor 420 disposed around the open sensor 410 and detecting that an area other than the open touch area 121 is touched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가이드센서(420)는 정전용량형 터치센서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 이외의 영역을 일정 정전용량 이상으로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720)는 상기 구동부(300)를 동작시키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guide sensor 420 is provided as a capacitive touch sensor so that the control unit 720 does not operate the driving unit 300 when the user touches an area other than the open touch area 121 with a certain capacitance or more. You can control it.

그리고,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와 상기 가이드센서(420)가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open detection sensor 410 and the guide sensor 420 are touched together, the charging door 120 may not be opened.

즉, 상기 제어부(720)는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만 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고,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와 상기 가이드센서(420)가 함께 터치되면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720 opens the charging door 120 when only the open detection sensor 410 is touched, and the charging door 120 when both the open detection sensor 410 and the guide sensor 420 are touched. It is possible to control not to open the door 120 .

또한, 상기 제어부(720)는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가 터치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가이드센서(420)가 터치되면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720 may control not to open the charging door 120 when the guide sensor 420 is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open detection sensor 410 is touched.

일 예로,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가 2초이상 터치되면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가 1초 터치된 후 상기 가이드센서(420)가 함께 터치되면,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려는 의도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충전도어(120)를 개방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open sensor 410 is touched for 2 seconds or longer to open the charging door 120, the guide sensor 420 operates after the open sensor 410 is touched for 1 second. When they are touched together,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ntion to open the charging door 120 is not, and the charging door 120 may not be opened.

그리고, 상기 충전도어(120)가 터치되는 경우 이러한 터치력을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와 상기 가이드센서(42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도어(120)에 오픈 터치부재(122)와 가이드 터치부재(123)가 구비될 수 있다. And, when the charging door 120 is touched, the open touch member 122 and the guide touch the charging door 120 so that the touch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n sensor 410 and the guide sensor 420. A member 123 may be provided.

즉, 상기 충전도어(120)의 외측면에는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전도어(120)의 내측면에서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오픈 터치부재(12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이 터치되면 상기 오픈 터치부재(122)가 상기 패널(230)을 터치하면서 상기 오픈 감지센서(410)를 터치하게 된다. That is, the open touch area 12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arging door 120, and the open touch member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 touch area 12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harging door 120. (122) is provided. Accordingly, when the open touch area 121 is touched, the open touch member 122 touches the open sensor 410 while touching the panel 230 .

여기서,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은 상기 충전도어(120)의 외측면에서 홈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open touch area 12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r a protrus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arging door 12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location.

물론,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은 상기 충전도어(120)와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등 사용자가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Of course, the open-touch area 121 can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user can grasp the location of the open-touch area 121, such as being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at of the charging door 120.

그리고, 상기 가이드 터치부재(123)는 상기 충전도어(120)의 내측면에서 상기 오픈 터치부재(122)의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오픈 터치부재(122)의 둘레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오픈터치 영역(121) 이외의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가이드 터치부재(123)가 상기 패널(230)을 터치하면서 상기 가이드센서(420)를 터치하게 된다. Further, the guide touch member 123 is spaced apart from the open touch member 12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harging door 120 and is disposed around the open touch member 122 . Accordingly, when an area other than the open touch area 121 is touched, the guide touch member 123 touches the guide sensor 420 while touching the panel 230 .

여기서, 상기 오픈 터치부재(122)와 상기 가이드 터치부재(123)는 도전체이면서 탄성력을 가지도록 도전성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pen touch member 122 and the guide touch member 123 are preferably made of a conductive rubber material so as to have elasticity while being conductiv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e pers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110 : 충전포트
120 : 충전도어 121 : 오픈터치 영역
122 : 오픈 터치부재 123 : 가이드 터치부재
124 : 실링부재 200 : 하우징
210 : 상부 하우징 220 : 하부 하우징
230 : 패널 233 : 클로즈 터치부
240 : 구동부 하우징 300 : 구동부
310 : 링크부 320 : 구동모터
330 : 제1 웜기어 340 : 제1 웜휠기어
350 : 제2 웜기어 360 : 제2 웜휠기어
370 : 출력축 380 : 회전센서
410 : 오픈 감지센서 420 : 가이드센서
430 : 클로즈 감지센서 510 : 충전량 램프
520 : 충전포트 램프 600 : 히팅부
710 : PCB 720 : 제어부
100: electric vehicle charging door device 110: charging port
120: charging door 121: open touch area
122: open touch member 123: guide touch member
124: sealing member 200: housing
210: upper housing 220: lower housing
230: panel 233: close touch unit
240: driving unit housing 300: driving unit
310: link unit 320: drive motor
330: first worm gear 340: first worm wheel gear
350: second worm gear 360: second worm wheel gear
370: output shaft 380: rotation sensor
410: open detection sensor 420: guide sensor
430: close detection sensor 510: charge amount lamp
520: charging port lamp 600: heating unit
710: PCB 720: control unit

Claims (9)

중공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차체에 체결되고, 내부에 구비된 패널에 충전포트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충전도어를 동작시키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PCB;
상기 PCB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도어가 터치되는지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PCB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PCB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도어의 오픈터치 영역이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오픈 감지센서; 및
상기 오픈 감지센서의 둘레에 배치되게 상기 PCB에 구비되고, 상기 오픈터치 영역 이외의 영역이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가이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픈 감지센서만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충전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오픈 감지센서와 상기 가이드센서가 함께 터치되거나, 상기 오픈 감지센서가 터치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가이드센서가 터치되면 상기 충전도어를 개방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a housing that is formed to have a hollow shape,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and has a charging port disposed on a panel provided therein;
a driving unit operating the charging door to open and close the open portion of the housing;
PCB provided in the housing;
a sensor unit disposed on the PCB and sensing whether the charging door is touched; and
A controller disposed on the PCB and receiving data from the sensor unit to control the driving unit to open the charging door;
The sensor unit,
an open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PCB and detecting that an open touch area of the charging door is touched; and
A guide sensor provided on the PCB to be disposed around the open sensor and detecting that an area other than the open touch area is touched;
The control unit,
Opening the charging door when only the open detection sensor is touched;
The charging door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not to open the charging door when the open detection sensor and the guide sensor are touched together or when the guide sensor is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open detection sensor is tou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포트에 전원단자가 연결되면 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램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harge amount lamp disposed on the PCB and displaying a charge amount when a pow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harge port;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포트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충전도어가 개방 시 점등되는 충전포트 램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harging port lamp disposed on the PCB, positioned adjacent to the charging port, and turned on when the charging door is opened;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도어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는 히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heating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to be position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harging door in a closed state and generating heat when power is applied;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외부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히팅부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unit,
The charging door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to oper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vehicle is below a certain tempera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에 구비되고, 터치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충전도어를 폐쇄하도록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클로즈 감지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lose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PCB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command signal for the control unit to close the charging door when touched;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클로즈 감지센서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패널에 표시된 클로즈 터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도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housing,
a close touch unit displayed on the pane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lose sensor;
Charging door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KR1020200151209A 2020-11-12 2020-11-12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25369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209A KR102536954B1 (en) 2020-11-12 2020-11-12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209A KR102536954B1 (en) 2020-11-12 2020-11-12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756A KR20220064756A (en) 2022-05-19
KR102536954B1 true KR102536954B1 (en) 2023-05-26

Family

ID=8180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209A KR102536954B1 (en) 2020-11-12 2020-11-12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95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9070A1 (en) * 2011-12-27 2013-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ame
JP2017507062A (en) * 2014-02-03 2017-03-16 ブローズ 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シーオー. カーゲー, コブルク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Device for closing an opening for filling or coupling in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003B1 (en) * 2011-11-08 2013-10-08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Camera apparatus for vehicle
KR101579414B1 (en) 2012-07-05 2015-12-21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Charging port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20180105296A (en) * 2017-03-14 2018-09-28 동아전장주식회사 Charging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9070A1 (en) * 2011-12-27 2013-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ame
JP2017507062A (en) * 2014-02-03 2017-03-16 ブローズ 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シーオー. カーゲー, コブルク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Device for closing an opening for filling or coupling in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756A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2556B2 (en) Adjustment mechanism including closed flap that is non-contact and adjustable by external force
KR100466571B1 (en) Improvements to automobile anti-pinching systems
CN104481280A (en) Electronic lock with double-motor structure
CN111660999A (en) Vehicle operation detection device
CN108284766B (en) Electric car charging interface device
KR102536954B1 (en)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2527769B1 (en)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2536955B1 (en)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N204343822U (en) A kind of electronic lock of bi-motor structure
CN210013598U (en) Waterproof fingerprint formula car door handle
CN209228243U (en) A kind of control system of automatic door and window
CN211285408U (en) Tire breaker capable of automatically lifting
CN218881940U (en) Domestic indo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0410855B1 (en) The system for eliminating room pressure occurring due to the closing of the door in a car
CN215291979U (en) Waterproof fingerprint formula door handle of car intelligence
KR100527938B1 (en) Trunk rid lamp switch structure of automobile
CN215056753U (en) Domestic burglary-resisting door with warning function
CN213953476U (en) Double-control electric door with width recognition function
CN108518152A (en) A kind of control system of automatic door and window
CN218814146U (en) Sensing control wrench for drainage valve
CN210217391U (en) Door lock with child mis-triggering function
KR100288391B1 (en) Magnetic Glass Opening Switch
CN209724011U (en) A kind of power windows of induction type automatic open close
CN211229855U (en) Unlocking and locking mechanism for electric control mechanical lock
KR101912505B1 (en) A door-ding protector mounted on vehicle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